[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20564B1 - Resource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slice - Google Patents

Resource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sl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20564B1
KR102720564B1 KR1020190142933A KR20190142933A KR102720564B1 KR 102720564 B1 KR102720564 B1 KR 102720564B1 KR 1020190142933 A KR1020190142933 A KR 1020190142933A KR 20190142933 A KR20190142933 A KR 20190142933A KR 102720564 B1 KR102720564 B1 KR 102720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ce
information
tenant
learning
resource managem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29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56163A (en
Inventor
임혁
김요한
Original Assignee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90142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20564B1/en
Publication of KR20210056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61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20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20564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96Bandwidth or capacity management, i.e. automatically increasing or decreasing capac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96Bandwidth or capacity management, i.e. automatically increasing or decreasing capacities
    • H04L41/0897Bandwidth or capacity management, i.e. automatically increasing or decreasing capacities by horizontal or vertical scaling of resources, or by migrating entities, e.g. virtual resources or ent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06N3/088Non-supervised learning, e.g. competitive lear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04L12/1485Tariff-related aspects
    • H04L12/1496Tariff-related aspects involving discou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6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using machine learning or artificial intellig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29Service quality level-based billing, e.g. dependent on measured service level customer is charged more or 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41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characterised by the time relationship between creation and deployment of a service
    • H04L41/5048Automatic or semi-automatic definitions, e.g. definition templ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76Network utilisation, e.g. volume of load or congestion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0Actions related to the user profile or the type of traffic
    • H04L47/805QOS or priority awa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스 자원관리장치에는, 슬라이스 고객과 슬라이스 테넌트와의 관계에 관한 제 1 정보를 수집하고, 슬라이스 공급자와 상기 슬라이스 테넌트와의 관계에 관한 제 2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제 1 정보 및 상기 제 2 정보를 참조하여, 최적의 슬라이스 자원할당량을 알아내도록 학습하는 학습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 1 정보에는, 상기 슬라이스 테넌트가 제공되는 응용 서비스의 특징, 슬라이스에서 수행되는 트래픽 상태, 상기 슬라이스의 QoS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고, 상기 제 2 정보에는 상기 슬라이스 공급자가 제공되는 가격정보가 포함되어, 상기 학습부는 학습된 결과에 따라서, 현재 상태에 맞는 최적의 슬라이스 자원을 제안한다. A slice resource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arning unit which collects first information regarding a relationship between a slice customer and a slice tenant, collects second information regarding a relationship between a slice provider and the slice tenant, and learns to find an optimal slice resource allocation amount by referring to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wherein the first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characteristic of an application service provided by the slice tenant, a traffic status performed in the slice, and QoS of the slice, and the second information includes pric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lice provider, and the learning unit proposes an optimal slice resource suitable for a current state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learning.

Description

슬라이스의 자원관리장치 및 방법{Resource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slice}{Resource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slice}

본 발명은 슬라이스의 자원을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resources of a slice.

5G 망에서는, 하나의 물리적인 네트워크 위에 논리적으로 분리된 여러 개의 엔드 투 엔드 네트워크를 만들어서, 서로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테넌트들에게 전용 네트워크를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전용 네트워크 또는 상기 엔드 투 엔드 네트워크를 지칭하는 단위를 슬라이드(slice)라고 한다. In a 5G network, multiple logically separated end-to-end networks can be created on a single physical network to support dedicated networks for tenants providing different services. The unit referring to the dedicated network or end-to-end network is called a slice.

상기 각 슬라이스는, 가상화된 자원을 보장받고, 다른 슬라이스의 통신에 영향을 주거나 받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가상화된 자원에는, 스펙트럼, 전송, 저장, 및 계산파워가 포함될 수 있다. It is important that each of the above slices is guaranteed virtualized resources and does not affect or are affected by the communication of other slices. The virtualized resources may include spectrum, transmission, storage, and computational power.

상기 슬라이드 테넌트는 슬라이스 공급자로부터 슬라이스 자원을 임차하고, 임차한 슬라이스 자원을 슬라이스 고객에게 제공한다. 상기 슬라이스 테넌트가 상기 슬라이스 고객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슬라이스 공급자로부터 자원을 어느 정도 임차할 것인가는 알아내기가 어렵다. 이에 대한 종래기술은 아직 제시된 바가 없다. The above slide tenant rents slice resources from the slice provider and provides the rented slice resources to the slice customer. It is difficult to find out how much resources the slice tenant will rent from the slice provider in order to provide services to the slice customer. No prior art has been presented yet for this purpose.

다만, 관련되는 기술로서, 'O. U. Akguel, I Malanchini, and A Capone, "Dynamic Resource Trading in Sliced Mobile Networks,"IEEE TNSM, January 2019.'에는 슬라이스 중개 플랫폼이 제안된다. 상기 슬라이스 중개 플랫폼은, 상기 슬라이스 테넌트에게 최고의 서비스 품질(QoS)를 제공할 수 있는 자원을 동적으로 할당하는 방안을 제공한다. However, as a related technology, a slice brokerage platform is proposed in 'O. U. Akguel, I Malanchini, and A Capone, "Dynamic Resource Trading in Sliced Mobile Networks," IEEE TNSM, January 2019.' The slice brokerage platform provides a method for dynamically allocating resources that can provide the best quality of service (QoS) to the slice tenant.

그러나, 서비스 품질만을 만족하는 것으로는, 상기 슬라이드 고객의 다양한 니즈를 만족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상기 슬라이드 테넌트의 수익, 서비스 품질, 동적으로 원활한 자원할당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atisfying only the quality of service cannot satisfy the various needs of the above slide customers. For example, there are problems in that the revenue of the above slide tenant, the quality of service, and the dynamic and smooth resource allocation cannot be performed.

O. U. Akguel, I Malanchini, and A Capone, "Dynamic Resource Trading in Sliced Mobile Networks,"IEEE TNSM, January 2019.O. U. Akguel, I Malanchini, and A Capone, “Dynamic Resource Trading in Sliced Mobile Networks,” IEEE TNSM, January 2019.

본 발명은 상기되는 배경에서 제안되는 것으로서, 물리적 대역폭 자원이 제한된 네트워크 슬라이싱 환경에서 사용자 트래픽의 QoS를 만족시키면서 테넌트(tenant)의 이익을 최대화하는 슬라이스의 자원관리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against the background mentioned above, and proposes a resource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for a slice that maximizes the benefits of a tenant while satisfying the QoS of user traffic in a network slicing environment with limited physical bandwidth resources.

본 발명은, 응용 서비스 별로 다른 탄성 트래픽과 비탄성 트래픽의 비율 특성에 따라서, 각 슬라이스에 할당되는 대역폭의 양이 적응적으로 달라지도록 하여, 다양한 슬라이스 고객의 니즈에 대응할 수 있는 슬라이스의 자원관리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lice resource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responding to the needs of various slice customers by adaptively changing the amount of bandwidth allocated to each slice according to the ratio characteristics of elastic traffic and inelastic traffic that are different for each application service.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스 자원관리장치에는, 슬라이스 고객과 슬라이스 테넌트와의 관계에 관한 제 1 정보를 수집하고, 슬라이스 공급자와 상기 슬라이스 테넌트와의 관계에 관한 제 2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제 1 정보 및 상기 제 2 정보를 참조하여, 최적의 슬라이스 자원할당량을 알아내도록 학습하는 학습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 1 정보에는, 상기 슬라이스 테넌트가 제공되는 응용 서비스의 특징, 슬라이스에서 수행되는 트래픽 상태, 상기 슬라이스의 QoS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고, 상기 제 2 정보에는 상기 슬라이스 공급자가 제공되는 가격정보가 포함되어, 상기 학습부는 학습된 결과에 따라서, 현재 상태에 맞는 최적의 슬라이스 자원을 제안한다. A slice resource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arning unit which collects first information regarding a relationship between a slice customer and a slice tenant, collects second information regarding a relationship between a slice provider and the slice tenant, and learns to find an optimal slice resource allocation amount by referring to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wherein the first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characteristic of an application service provided by the slice tenant, a traffic status performed in the slice, and QoS of the slice, and the second information includes pric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lice provider, and the learning unit proposes an optimal slice resource suitable for a current state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learning.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슬라이스 자원관리방법에는, 슬라이스와 관련되는 정보를 수집하는 것; 상기 수집된 정보 중의 적어도 일부를 상태정보로 하여 강화학습이 수행되어, 슬라이스 테넌트가 슬라이스 공급자로부터 슬라이스의 자원을 얼마나 구매할 지를 결정하는 것; 및 상기 슬라이스 테넌트가 결정된 슬라이스 자원 구매량을 슬라이스 공급자로부터 공급받아 슬라이스 고객에게 제공하는 것이 포함된다.A slice resourc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ollecting information related to a slice; performing reinforcement learning using at least some of the collected information as state information to determine how much slice resources a slice tenant will purchase from a slice provider; and providing the determined slice resource purchase amount to a slice customer by the slice tenant from a slice provider.

본 발명에 따르면, 강화학습을 이용해 각 슬라이스의 트래픽 상태에 따라 대역폭을 조절하도록 학습하고, 이에 따라 슬라이스의 자원, 특히 대역폭을 동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슬라이스의 자원을 현재 상태에 맞추어서 보다 적응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learning to adjust bandwidth according to the traffic status of each slice using reinforcement learning, and dynamically adjusting the resources of the slice, particularly the bandwidth, accordingly, the resources of the slice can be managed more adaptively according to the current status.

본 발명에 따르면, 응용서비스 단위로 효율적인 대역폭 조절이 가능하여, 슬라이스 테넌트의 이익을 크게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fficient bandwidth control is possible on an application service basis, thereby greatly increasing the profits of slice tenants.

본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스 자원량의 계산에 복잡한 계산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시스템의 오버헤드가 적은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complex calculations are not required for calculating the amount of slice resources, there is an advantage of less overhead in the system.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에피소드에 대하여 최적의 액션이 보고되어 있으므로, 과거시간에 대한 정보를 참조할 필요가 없이 현재 시간에 더 정확한 슬라이스 자원을 알아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ptimal actions are reported for various episodes, more accurate slice resources can be found at the current time without having to refer to information about past times.

도 1은 슬라이스를 제공하는 전체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슬라이스 테넌트가 슬라이스 공급자로부터 슬라이스의 자원을 얼마나 할당받을 지를 결정하는 슬라이스의 자원관리장치를 포함하여, 슬라이스 자원관리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스 자원관리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탄력적 트래픽과 비탄력적 트래픽에 대하여, 슬라이스 자원수요와 QoS의 상관관계를 비교하는 그래프.
도 5 내지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스 자원관리장치 및 방법에 의한 효과를 설명하는 도면.
Figure 1 is a block diagram of the entire system providing slices.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slice resource management device, including a slice resource management device that determines how much of the slice's resources a slice tenant will be allocated from a slice provider.
Figure 3 is a drawing explaining a slice resourc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4 is a graph comparing the correlation between slice resource demand and QoS for elastic and inelastic traffic.
FIGS. 5 to 10 are drawings explaining the effects of a slice resource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에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below,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easily propose other embodi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by adding, changing, deleting, and adding components, but this will also be considere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상기 슬라이스를 제공하는 전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Figure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entire system providing the above slice.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스 공급자(3)가 가지는 자원은 상기 슬라이스 테넌트(1)에게 임차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스 테넌트(1)는 상기 슬라이스 고객(2)에게 슬라이스를 이용하여 전용의 응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resources of the slice provider (3) can be leased to the slice tenant (1). The slice tenant (1) can provide a dedicated application service to the slice customer (2) by using the slice.

상기 슬라이스 공급자(3)가 가진 물리적 자원에는, 무선 네트워크 자원(21), 유선 네트워크 자원(22), 및 클라우드 자원(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physical resources possessed by the above slice provider (3) may include wireless network resources (21), wired network resources (22), and cloud resources (23).

상기 슬라이스 고객(2)이 더 많거나 더 많은 트래픽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슬라이스 테넌트(1)는 상기 슬라이스 공급자(3)로부터 더 많은 자원을 할당받아야 한다. 물론, 반대의 경우는 반대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스 테넌트(1)가 상기 슬라이스 공급자(3)로부터 자원을 할당받는 경우에는, 그 만큼 더 많은 비용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스 테넌트(1)는 적절한 슬라이스 자원을 할당받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다. If the above slice customer (2) is more or uses more traffic, the slice tenant (1) should be allocated more resources from the slice provider (3). Of course, the opposite case can work in the opposite way. On the other hand, if the slice tenant (1) is allocated resources from the slice provider (3), more costs are incurred. Therefore, it is an important task for the slice tenant (1) to be allocated appropriate slice resources.

도 2는 상기 슬라이스 테넌트가 상기 슬라이스 공급자로부터 슬라이스의 자원을 얼마나 할당받을 지를 결정하는 슬라이스의 자원관리장치를 포함하여, 슬라이스 자원관리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slice resource management device, including a slice resource management device that determines how much of the slice's resources the slice tenant will be allocated from the slice provider.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스 자원관리장치(30)는 상기 슬라이스 테넌트(1)의 슬라이스 자원관리를 위하여 제공되는 시스템이다. 상기 슬라이드 자원관리장치(30)는 슬라이스 테넌트(1) 측의 시스템 서버에 포함될 수도 있으나, 그에 그치지 않고, 슬라이스 공급자(2) 또는 그 외의 제 3 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Referring to Fig. 2, the slice resource management device (30) is a system provided for slice resource management of the slice tenant (1). The slide resource management device (30) may be included in a system server on the slice tenant (1) side, but may also be provided to a slice provider (2) or other third parties.

상기 슬라이스 자원관리장치(30)는, 상기 슬라이스 고객(2)과 상기 슬라이스 테넌트(1)와의 관계에 대하여 필요한 제 1 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제 1 정보에는, 슬라이스 내 트래픽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트래픽 모니터링부(11), 및 트래픽의 QoS(Quallity of Service)를 계산하는 QoS계산부(13)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트래픽 모니터링부(11)에서는 실시간 자원 사용률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트래픽 모니터링부(11)에서는, 슬라이스의 응용 서비스 특징을 탄력적(elastic)/비탄력적(inelastic)으로 구분하여 색인할 수 있는 서비스 특징부(12)가 포함될 수 있다. The above slice resource management device (30) collects first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lice customer (2) and the slice tenant (1). The first information may include a traffic monitoring unit (11) that monitors traffic status within the slice, and a QoS calculation unit (13) that calculates QoS (Quality of Service) of the traffic. The traffic monitoring unit (11) may monitor real-time resource utilization. The traffic monitoring unit (11) may include a service feature unit (12) that may index and classify application service features of the slice into elastic/inelastic.

상기 슬라이스 자원관리장치(30)에는, 상기 슬라이스 공급자(3)와 상기 슬라이스 테넌트(1)와의 관계에 대하여 필요한 제 2 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제 2 정보에는 상기 슬라이스 공급자가 슬라이스의 공급에 대한 댓가 정보인 가격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스 자원관리장치(30)에는, 상기 가격정보를 모니터링하는 가격 모니터링부(14)가 포함될 수 있다. The above slice resource management device (30) collects second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lice supplier (3) and the slice tenant (1). The second information may include price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on the price paid by the slice supplier for the supply of the slice. The above slice resource management device (30) may include a price monitoring unit (14) that monitors the price information.

상기 슬라이스 자원관리장치(30)는, 상기 제 1 정보 및 상기 제 2 정보를 참조하여, 최적의 슬라이스 자원의 할당량을 알아내도록 학습하는 학습부(15)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학습부(15)는, 상기 제 1 정보 및 상기 제 2 정보를 참조하여, 최적의 슬라이스 자원할당량을 알아내기 위한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학습부(15)에서 학습된 결과에 기초하여, 현재 상태에 대응하는 최적의 슬라이스 자원할당량을 현재 시점으로 제공할 수 있다. The above slice resource management device (30) may include a learning unit (15) that learns to find out the optimal slice resource allocation amount by referring to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The learning unit (15) may perform learning to find out the optimal slice resource allocation amount by referring to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Based on the result learned by the learning unit (15), the optimal slice resource allocation amount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tate may be provided at the current point in time.

상기 학습부(15)는, 강화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강화학습에는, Q-러닝, policy gradient, actor-critic, 및 deterministic policy gradient 등의 다양한 강화학습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Q-러닝이 적용된다. The above learning unit (15) can apply reinforcement learning. Various reinforcement learning methods such as Q-learning, policy gradient, actor-critic, and deterministic policy gradient can be applied to the above reinforcement learning. In the embodiment, Q-learning is applied.

상기 학습부(15)에서는, 상기 응용 서비스 특징, 상기 트래픽 상태, 상기 QoS, 및 상기 가격정보를 이용하여, 최적의 슬라이스 자원 할당량을 제안하도록 학습이 수행될 수 있다. In the above learning unit (15), learning can be performed to propose an optimal slice resource allocation amount using the application service characteristics, the traffic status, the QoS, and the price information.

상기 학습부(15)에서 얻어진 Q-테이블에 따라서, 자원할당부(16)는 현재상태에서 실시간으로 최적의 슬라이스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Q-table obtained from the above learning unit (15), the resource allocation unit (16) can allocate optimal slice resources in real time in the current state.

상기 자원할당부(16)는, 상기 슬라이스 공급자(3)와의 연결을 통하여 특정의 슬라이스 테넌트에게 슬라이스 자원을 할당할 수 있고, 상기 슬라이스 자원에는 슬라이스의 대역폭이 포함될 수 있다. The above resource allocation unit (16) can allocate slice resources to a specific slice tenant through a connection with the slice provider (3), and the slice resources can include the bandwidth of the slice.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스 자원관리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Figure 3 is a drawing explaining a slice resourc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슬라이스 자원관리장치는 슬라이스와 관련되는 다양한 정보를 수집한다(S1). 여기서 수집되는 정보에는, 상기 응용 서비스 특징, 상기 트래픽 상태, 상기 QoS, 및 상기 가격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first, the slice resource management device collects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slice (S1). The information collected here may include the application service characteristics, the traffic status, the QoS, and the pricing information.

상기 수집된 정보 중의 적어도 일부를 상태정보(State)로 하여, 상기 강화학습이 수행되어, 슬라이스 자원관리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슬라이스 자원관리는 슬라이스의 자원을 얼마나 구매할 지를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S2). The reinforcement learning can be performed using at least some of the collected information as state information, so that slice resource management can be performed. For example, the slice resource management can be determining how much slice resource to purchase (S2).

상기 슬라이스 자원 구매량이 결정된 다음에는, 결정된 구매량에 따라서, 상기 슬라이스 테넌트는 슬라이스 공급자로부터 슬라이스 자원을 구매할 수 있다(S3). 물론 구매된 슬라이스 자원은 상기 슬라이스 고객에게 제공될 수 있다. After the above-mentioned slice resource purchase amount is determined, the slice tenant can purchase slice resources from the slice provider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urchase amount (S3). Of course, the purchased slice resources can be provided to the slice customer.

이하에서는 상기 슬라이스 자원관리방법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Below, the above slice resource management method is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실시예의 상기 Q-러닝은, 하기 수학식 1의 룰에 따라서, Q값을 계속해서 업데이트 하는 것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First, the Q-learning of the embodiment can be performed by continuously updating the Q value according to the rule of the following mathematical expression 1.

여기서, s는 상태정보를 나타내고, a는 액션정보를 나타내고, α는 학습비율을 나타내고, γ는 할인요인(discount factor)을 나타내고, v는 리워드를 나타낸다. Here, s represents state information, a represents action information, α represents the learning rate, γ represents a discount factor, and v represents a reward.

상기 리워드(v)는 하기 수학식 2로 나타낼 수 있다. The above reward (v) can be expressed by the following mathematical formula 2.

여기서, p는 가격을 나타내고, R는 슬라이스 자원을 나타내고, n은 슬라이스의 색인을 나타내고, t는 시간을 나타내고, sell은 슬라이스 고객에게 판매을 나타내고, buy는 슬라이스 공급자로부터의 구매을 나타내고, violate는 QoS를 만족시키지 않은 것을 나타내고, ω는 QoS 가중치를 나타내고, π는 정책(policy)을 나타낸다. Here, p represents the price, R represents the slice resource, n represents the index of the slice, t represents time, sell represents a sale to a slice customer, buy represents a purchase from a slice provider, violate represents not satisfying the QoS, ω represents the QoS weight, and π represents the policy.

상기 수학식 2에서 패널티(penalty)의 계산에 상기 QoS정보가 참조될 수 있다. In the above mathematical expression 2, the QoS information can be referenced in calculating the penalty.

상기 수학식 2에 따르면, 상기 수학식 1의 Q-러닝은 를 최고로 하는 정책을 향하도록 Q값을 업데이트 해 나간다. 또한, 상기 수학식 1은 새로운 이벤트가 있을 때마다 반복하여 Q-테이블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mathematical expression 2, the Q-learning of the above mathematical expression 1 is The Q value is updated to move toward the policy that prioritizes the best. In addition, the above mathematical expression 1 can be repeated to update the Q-table whenever a new event occurs.

상기 수학식 2의 업데이트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는 큰 영향을 미친다. 상기 상태정보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In the update of the above mathematical expression 2, the state information has a great influence. The state information is explained in detail.

상기 상태정보에는, 상기 응용 서비스 특징, 상기 트래픽 상태, 시간정보, 및 상기 가격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The above status information may include the application service characteristics, the traffic status, time information, and the price information.

상기 응용 서비스 특징에는, 상기 응용 서비스를 탄력적 트래픽(elastic traffic)과, 비탄력적 트래픽(inelastic traffic)으로 구분한다. 상기 탄력적 트래픽(elastic traffic)과, 상기 비탄력적 트래픽(inelastic traffic)으로 구분되고, 두 트래픽의 비율정보가 강화학습의 상태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In the above application service features, the application service is divided into elastic traffic and inelastic traffic. The elastic traffic and inelastic traffic are divided, and the ratio information of the two traffics can be used as status information of reinforcement learning.

상기 탄력적 트래픽과 상기 비탄력적 트래픽을 설명한다. The above elastic traffic and the above inelastic traffic are described.

먼저, 상기 탄력적 트래픽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되는 스루풋과 지연에 대하여 넓은 조정범위를 가지는 트래픽을 말한다. 이 때문에 탄력적 트래픽에 해당하는 응용 서비스는, 스루풋과 지연 조정이 어느 정도 발생하더라도 여전이 응용 서비스를 만족시킬 수 있다. p2p 서비스를 탄력적 트래픽의 예라고 할 수 있다. First, the above elastic traffic refers to traffic that has a wide adjustment range for throughput and delay transmitted through the network. Therefore, application services corresponding to elastic traffic can still satisfy application services even if throughput and delay adjustments occur to some extent. P2P services can be considered as an example of elastic traffic.

반면에 상기 비탄력적 트래픽은, 스루풋과 지연에 대한 요구사항이 민감하여, 네트워크에 스루풋과 지연 조정이 발생하는 경우에 응용 서비스를 만족시킬 수 없는 트래픽을 말한다. 오디오 스트리밍이나 VoIP서비스는 비탄력적 트래픽의 예라고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bove inelastic traffic refers to traffic that is sensitive to requirements for throughput and delay and cannot satisfy application services when throughput and delay adjustments occur in the network. Audio streaming and VoIP services are examples of inelastic traffic.

도 4는 상기 탄력적 트래픽과 상기 비탄력적 트래픽에 대하여, 슬라이스 자원수요와 QoS의 상관관계를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Figure 4 is a graph comparing the correlation between slice resource demand and QoS for the elastic traffic and the inelastic traffic.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탄력적 트래픽은 평균적인 자원수요()만을 요구하지만, 상기 비탄력적 트래픽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일정한 최소한의 수요()를 요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4, the elastic traffic is an average resource demand ( ) but to satisfy the above inelastic traffic, a certain minimum demand ( ) can be seen to be demanding.

이는 이미 살펴본 바와 같이, 각 트래픽이 만족하는 성능을 얻기 위한 응용 서비스의 특성에 기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탄력적 트래픽의 경우에는 일정한 수준 이상의 슬라이스 자원이 없으면 동작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최소한의 수요가 있는 것이다. As we have already seen, this may b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pplication service that each traffic needs to achieve satisfactory performance.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above inelastic traffic, it is difficult to operate without a certain level of slice resources, so there is a minimum demand.

상기 탄력적 트래픽과 상기 비탄력적 트래픽의 비율을 흐름비(φ: flow ratio)로서, 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 The ratio of the above elastic traffic and the above inelastic traffic is called the flow ratio (φ: flow ratio). can be defined as follows.

상기 트래픽 상태는, 전체 슬라이스 자원의 수요(Dn,t)로서, 로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I는 비탄력적 트래픽을 나타내고, E는 탄력적 트래픽을 나타내고, D는 수요(Demand)를 나타낸다. The above traffic status is the demand for the entire slice resource (D n,t ). can be defined as, where I represents inelastic traffic, E represents elastic traffic, and D represents demand.

상기 탄력적 트래픽과 상기 비탄력 트래픽에서, 각각 평균적인 자원수요(), 일정한 최소한의 수요()가 요청되는 것임은 살펴본 바와 같다. In the above elastic traffic and the above inelastic traffic, the average resource demand ( ), a certain minimum demand ( ) is requested as seen in the following.

상기 가격정보는, 현재 마켓 가격비(ρ)로서, 로 나타낼 수 있다. The above price information is the current market price ratio (ρ). can be expressed as

상기 t는 시간 정보로서, 전체 시간(T) 중에서 매번 이벤트가 발생하는 일정한 시간주기(τ)를, 시간 단위로 하여 업데이트가 수행될 수 있다. The above t is time information, and updates can be performed with a constant time period (τ) in which an event occurs each time among the total time (T), as a time unit.

상기 수학식 1 및 상기 수학식 2를 구현하는 것에 의해서 학습이 수행되고, 그 결과에 따라서, 소정의 단위(σ)로 상기 슬라이스 자원을 더 많이 구매하거나 더 적게 구매할 수 있다. Learning is performed by implementing the above mathematical expressions 1 and 2, and depending on the result, more or less of the slice resource can be purchased in a predetermined unit (σ).

상기 슬라이스 자원관리장치 및 방법에는, 위와 같은 과정으로 Q러닝이 수행된 결과가 저장되어 있고, 현재 상태가 입력이 되었을 때 최적의 슬라이스 자원의 할당량을 알려줄 수 있다. In the above slice resource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the result of Q-learning performed through the above process is stored, and when the current state is input, the optimal slice resource allocation amount can be notified.

상기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스 자원관리장치 및 방법에 의한 효과를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The effects of the slice resource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10.

도 5는 에피소드에 다른 평균 리워드를 나타낸다. 도 5에서, 상기 α는 0.1이고, 상기 γ는 0.9이고, 상기 ω는 1.6이고, 구매가는 $40이고, 판매가는 $200이고, 전체 트래픽은 200이고, φ는 0 보다 크고 1보다 작은 범위 내에서 임의로 선정하였다. Figure 5 shows different average rewards for an episode. In Figure 5, α is 0.1, γ is 0.9, ω is 1.6, the purchase price is $40, the sale price is $200, the total traffic is 200, and φ is randomly selected within the range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1.

도 5를 참조하면, Q-값이 소정의 값으로 잘 수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5,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Q-value converges well to a given value.

도 6은, 시간슬롯에 따라서 슬라이스 자원을 얼마나 잘 관리하였는지를 비교하는 그래프로서, 도 6(a)는 실시예에 따른 결과를 나타내고, 도 6(b)는 이전의 시간슬롯의 수요에 대응하여 동적으로 자원을 할당한 결과(previous method)를 나타내고, 도 6(c)는 이전 에피소드의 전체 자원수요의 절반을 할당한 결과(half of demand)를 나타내고, 도 6(d)는 고정 자원의 결과(fixed resource)를 나타낸다. FIG. 6 is a graph comparing how well slice resources were managed according to time slots. FIG. 6(a) shows the resu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6(b) shows the result of dynamically allocating resources in response to the demand of the previous time slot (previous method), FIG. 6(c) shows the result of allocating half of the total resource demand of the previous episode (half of demand), and FIG. 6(d) shows the result of fixed resources (fixed resources).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경우가, 슬라이스 자원 수요에 대응하여 슬라이스 자원공급이 가장 원활하게 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it can be seen that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the supply of slice resources changes most smoothly in response to the demand for slice resources.

도 7은 슬라이스 자원관리에 있어서 거래간격(trading interval)을 달리 하면서 상기 슬라이스 태넌트의 이익(도 7(a))과, QoS만족률(도 7(b))를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Figure 7 is a graph comparing the profit (Figure 7(a)) and QoS satisfaction rate (Figure 7(b)) of the slice tenant while changing the trading interval in slice resource management.

도 7(a)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경우에는 거래간격을 달리 하더라도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이전 에피소드의 전체 자원수요의 절반을 할당하거나, 고정 자원을 할당하는 경우에는, 거래간격을 달리 하더라도 용향이 없고, 이전의 시간슬롯의 수요에 대응하여 동적으로 자원을 할당하는 경우에는, 실시예에 비하여 낮은 이익과 QoS만족률을 보여주었다. Referring to Fig. 7(a), it can be seen that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there is little effect even if the transaction interval is changed. In contrast, in the case of allocating half of the total resource demand of the previous episode or allocating fixed resources, there is no effect even if the transaction interval is changed, and in the case of dynamically allocating resources in response to the demand of the previous time slot, lower profits and QoS satisfaction rates were shown compared to the embodiment.

이에 따르면, 거래간격이 달라지더라도 실시예가 가장 좋은 효과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According to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example shows the best effect even if the transaction interval changes.

도 8은 상기 탄력적 트래픽과 상기 비탄력적 트래픽의 비율에 대한 흐름비를 달리 하여 QoS 만족률을 비교하였다. Figure 8 compares the QoS satisfaction rate by changing the flow ratio for the ratio of the elastic traffic and the inelastic traffic.

도 8을 참조하면, 실시예는, 상기 비탄력적 트래픽이 상당히 많은 경우에는, 고정 자원을 할당하는 때와 비교하여, 약간 낮은 QoS 만족률을 보이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럼에도 상기 슬라이스 테넌트의 수익이 높은 것임을 감안할 때 실시예가 더 우위에 있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it can be seen that the embodiment shows a slightly lower QoS satisfaction rate compared to when allocating fixed resources when the inelastic traffic is considerably large. However, considering that the revenue of the slice tenant is high, the embodiment may be superior.

그 외의 경우에 있어서는 어느 흐름비에 있어서도 좋은 QoS 만족률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In other cases, it can be seen that good QoS satisfaction is achieved at any flow rate.

도 9는 상기 QoS 가중치에 따른 효과를 보이는 도면이다.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the effect according to the above QoS weight.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수학식 2에서 상기 QoS 가중치(ω)를 높일수록, QoS 위반(penalty)은 낮아지지만, 상기 슬라이스 테넌트의 수익은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it can be seen that as the QoS weight (ω) in the mathematical expression 2 increases, the QoS violation (penalty) decreases, but the revenue of the slice tenant decreases.

도 10은 상기 슬라이스 공급자가 슬라이스 자원의 공급가를 달리함에 따라서 슬라이스 자원의 구매를 달리하는 성능을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Figure 10 is a graph comparing the performance of purchasing slice resources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upply price of slice resources by the slice supplier.

도 10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경우에는 $200가 넘어서는 때에, 상기 슬라이스 자원의 구매를 낮추는 것을 알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슬라이스 공급자의 공급가격에 대하여 적절히 반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it can be seen that when it exceeds $200, the purchase of the slice resource is lowered, and 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it responds appropriately to the supply price of the slice supplier.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응용 서비스의 특징(탄력적 트래픽 또는 비탄력적 트래픽)과 트래픽 상태에 따라 강화학습을 기반으로 학습하여 매 자원거래간격마다 동적으로 원활하게 슬라이스 자원량을 구매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ce resource amount can be dynamically and smoothly purchased at each resource transaction interval by learning based on reinforcement learning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elastic traffic or inelastic traffic) of the application service and the traffic status.

본 발명에 따르면, 짧은 자원거래간격에서도 슬라이스 자원량을 늘릴지 줄일지 정하는데 복잡한 계산이 필요없고, 단순히 현재상태에서 최고의 액션을 선택하면 되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complex calculations are not required to determine whether to increase or decrease the amount of slice resources even in a short resource transaction interval, and the best action in the current state can be simply selected.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러 에피소드를 거치면서 여러 상태세트에 대한 최적의액션을 정해 두었기 때문에, 과거 시간에 대한 정보를 참조할 필요가 없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ptimal action for multiple state sets is determined over multiple episodes, there is no need to refer to information about past times.

본 발명에 의해서 테넌트는 슬라이스 자원을 원활히 관리하여 그 수익을 더 높일 수 있고, 네트워크의 전체로 볼 때, 네트워크 자원을 낭비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enants can smoothly manage slice resources to increase their profits, and when viewed from the network as a whole, there is an effect of not wasting network resources.

1: 슬라이스 테넌트
2: 슬라이스 고객
3: 슬라이스 공급자
30: 슬라이스 자원관리장치
11: 트래픽 모니터링부
12: 서비스 특징부
13: QoS계산부
14: 가격 모니터링부
15: 학습부
16: 자원할당부
1: Slice Tenant
2: Slice Customer
3: Slice Provider
30: Slice Resource Management Device
11: Traffic Monitoring Department
12: Service Features
13: QoS calculation section
14: Price Monitoring Department
15: Learning Department
16: Resource Allocation Department

Claims (5)

슬라이스 고객과 슬라이스 테넌트와의 관계에 관한 제 1 정보를 수집하고,
슬라이스 공급자와 상기 슬라이스 테넌트와의 관계에 관한 제 2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제 1 정보 및 상기 제 2 정보를 참조하여, 최적의 슬라이스 자원할당량을 알아내도록 학습하는 학습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 1 정보에는, 상기 슬라이스의 QoS, 상기 슬라이스 테넌트가 제공하는 응용 서비스의 특징, 및 상기 슬라이스에서 수행되는 트래픽 상태가 포함되고,
상기 제 2 정보에는 상기 슬라이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가격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학습부는 학습된 결과에 따라서, 현재 상태에 맞는 최적의 슬라이스 자원을 제안하는,
슬라이스 자원관리장치.
Collect first-hand information about your relationship with Slice Customers and Slice Tenants;
Collect secondary information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lice Provider and the Slice Tenant;
A learning unit is included that learns to find the optimal slice resource allocation amount by referring to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The first information includes the QoS of the sli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ed by the slice tenant, and the traffic status performed in the slice.
The above second information includes pric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lice supplier,
The above learning unit proposes the optimal slice resource suitable for the current state based on the learned results.
Slice resource management device.
슬라이스와 관련되는 정보를 수집하는 것;
상기 수집된 정보 중의 적어도 일부를 상태정보로 하여 강화학습이 수행되어, 슬라이스 테넌트가 슬라이스 공급자로부터 슬라이스의 자원을 얼마나 구매할 지를 결정하는 것; 및
상기 슬라이스 테넌트가 결정된 슬라이스 자원 구매량을 슬라이스 공급자로부터 공급받아 슬라이스 고객에게 제공하는 것이 포함되고,
상기 정보를 수집하는 것에서 수집되는 정보에는, 상기 슬라이스 테넌트가 제공하는 응용 서비스의 특징, 상기 슬라이스에서 수행되는 트래픽 상태, 상기 슬라이스의 QoS, 및 상기 슬라이스의 공급에 대한 댓가정보인 가격정보가 포함되는, 슬라이스 자원관리방법.
Collec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slice;
Reinforcement learning is performed using at least some of the collected information as state information to determine how much of the slice's resources the slice tenant will purchase from the slice provider; and
The above slice tenant includes supplying the determined slice resource purchase amount from the slice provider and providing it to the slice customer,
A slice resource management method, wherein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collecting the above information includes characteristics of application services provided by the slice tenant, traffic status performed in the slice, QoS of the slice, and price information which is compensation information for the provision of the slice.
삭제delet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 서비스 특징에는,
탄력적 트래픽과 비탄력적 트래픽과의 비율정보가 포함되는 슬라이스 자원관리방법.
In the second paragraph,
The above application service features include:
A slice resource management method that includes ratio information between elastic and inelastic traffic.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학습은 Q러닝이고,
상기 Q러닝은,
<수학식 2>

여기서, p는 가격을 나타내고, R는 슬라이스 자원을 나타내고, n은 슬라이스의 색인을 나타내고, t는 시간을 나타내고, sell은 슬라이스 고객에게 판매을 나타내고, buy는 슬라이스 공급자로부터의 구매을 나타내고, viloate는 QoS를 만족시키지 않은 것을 나타내고, ω는 QoS 가중치를 나타내고, π는 정책(policy)을 나타내고,
상기 수학식 2에서, 상기 를 최고로 하도록,
<수학식 1>

여기서, s는 상태정보를 나타내고, a는 액션정보를 나타내고, α는 학습비율을 나타내고, γ는 할인요인(discount factor)을 나타내고, v는 리워드를 나타내고,
수학식 1의 Q값을 업데이트 하도록 수행하는 슬라이스 자원관리방법.
In the second paragraph,
The above reinforcement learning is Q-learning,
The above Q-learning is,
<Mathematical formula 2>

Here, p represents the price, R represents the slice resource, n represents the index of the slice, t represents the time, sell represents a sale to the slice customer, buy represents a purchase from the slice provider, viloate represents not satisfying the QoS, ω represents the QoS weight, and π represents the policy.
In the above mathematical expression 2, To make the best of it,
<Mathematical formula 1>

Here, s represents state information, a represents action information, α represents the learning rate, γ represents a discount factor, and v represents a reward.
A slice resource management method that updates the Q value of mathematical expression 1.
KR1020190142933A 2019-11-08 2019-11-08 Resource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slice Active KR1027205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933A KR102720564B1 (en) 2019-11-08 2019-11-08 Resource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sl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933A KR102720564B1 (en) 2019-11-08 2019-11-08 Resource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sl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163A KR20210056163A (en) 2021-05-18
KR102720564B1 true KR102720564B1 (en) 2024-10-23

Family

ID=76158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2933A Active KR102720564B1 (en) 2019-11-08 2019-11-08 Resource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sl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2056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825838B1 (en) * 2021-05-26 2025-06-25 국방과학연구소 Method for resource management of network slicing in communication system and resource allocation training method
WO2023229190A1 (en) * 2022-05-27 2023-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Transmission path determin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method
CN115633000B (en) * 2022-09-21 2025-09-23 阿里巴巴(中国)有限公司 Cloud resource scheduling system, method and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30046A1 (en) * 2018-01-19 2019-07-25 Ciena Corporation Autonomic resource partitions for adaptive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8758B1 (en) * 2017-03-29 2021-08-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Virtual network management apparatus considering network resources and method theref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30046A1 (en) * 2018-01-19 2019-07-25 Ciena Corporation Autonomic resource partitions for adaptive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163A (en) 202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6755B2 (en) Service enhancement discovery for connectivity traits and virtual network functions in network services
He et al. On the cost–QoE tradeoff for cloud-based video streaming under Amazon EC2's pricing models
US7305431B2 (en) Automatic enforcement of service-level agreements for providing services over a network
US8589558B2 (en)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 deployment of web applications in a multi-datacenter system
US7860973B2 (en) Data center scheduler
KR102720564B1 (en) Resource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slice
US20120173709A1 (en) Seamless scaling of enterprise applications
US20060117317A1 (en) On-demand utility services utilizing yield management
Hoßfeld et al. A new QoE fairness index for QoE management
US200200198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deling and provisioning information system capacity
US8788310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mputing resources based on yield management framework
US202202325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andwidth allocation
US20140013321A1 (en) Method for providing cloud computing resources
US20160210341A1 (en) Capacity planning for database replication latency
US20150304453A1 (en) Dynamic network traffic management in response to non-network conditions input
Abusafia et al. Context-aware trustworthy iot energy services provisioning
Mukherjee et al. An economic model for green cloud
WO2024002535A1 (en)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business risk
Casalicchio et al. An inter-cloud outsourcing model to scale performance, availability and security
Lieto et al. Dynamic pricing for tenants in an automated slicing marketplace
Sahai et al. Specifying and guaranteeing quality of service for web services through real time measurement and adaptive control
US20160140590A1 (en) Managing resource access using multiple service categories
Tsitsipas et al. Towards usage-based dynamic overbooking in iaas clouds
Bose et al. Fuzzy Logic based QoS Management and Monitoring System for Cloud Computing
Bonald et al. The multi-source model for dimensioning data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