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91452B1 - Method for searching data via graphic user interface - Google Patents

Method for searching data via graphic user interf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91452B1
KR102691452B1 KR1020210173518A KR20210173518A KR102691452B1 KR 102691452 B1 KR102691452 B1 KR 102691452B1 KR 1020210173518 A KR1020210173518 A KR 1020210173518A KR 20210173518 A KR20210173518 A KR 20210173518A KR 102691452 B1 KR102691452 B1 KR 102691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erver
gui
query statement
colum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35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85402A (en
Inventor
전성권
Original Assignee
디티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티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티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3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91452B1/en
Publication of KR20230085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54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91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91452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2Query formulation
    • G06F16/2428Query predicate definition using graphical user interfaces, including menus and form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2Query trans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GUI를 통한 데이터 조회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서버 접속을 승인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상의 데이터 테이블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테이블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컬럼(column) 별 검색 조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컬럼 별 검색 조건 정보에 대한 정렬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데이터 테이블, 컬럼 별 검색 조건 및 정렬 조건에 따라 쿼리(query) 문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inquiry method through a GUI, comprising the steps of approving server access from a user terminal; Receiving data table selection information on a database stored in the server; Receiving search condition information for each column created based on the table selection information; Receiving sorting conditions for the search condition information for each column; and generating a query statement for the database according to the data table, search conditions for each column, and sorting conditions; Includes.

Description

GUI를 통한 데이터 조회 방법{METHOD FOR SEARCHING DATA VIA GRAPHIC USER INTERFACE}How to search data through GUI {METHOD FOR SEARCHING DATA VIA GRAPHIC USER INTERFACE}

본 발명은 GUI를 통한 데이터 조회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 상의 메뉴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쿼리를 생성하여 데이터를 조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searching data through a GUI, and more specifically, to a method of searching data by creating a query by selecting a menu on a screen displayed on a user terminal for various databases.

최근에는 수많은 데이터들이 수집될 수 있는 환경이 되면서 다양한 데이터베이스(DB)들이 구축되어 있다. Recently, as the environment has become one where a large amount of data can be collected, various databases (DBs) have been established.

예를 들어, 기존의 재무 관련 데이터뿐만 아니라, 다양한 센서에서 수집되는 수많은 데이터들이 있으며, 스마트 팩토리(Smart Factory)로 전환되면서 다양한 기기, 장비에서의 정보가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고 있다.For example, in addition to existing financial data, there is a lot of data collected from various sensors, and with the transition to a smart factory, information from various devices and equipment is being built into a database.

종래에는 데이터베이스의 특정 테이블에 기록된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수정 또는 삭제하기 위해서는 JSP(Java Server Pages), ASP(Active Server pages), PHP(Hypertext Preprocessor) 등 웹 프로그램을 통해 갱신되는 경우가 많았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input, modify, or delete data recorded in a specific table of a database, it was often updated through web programs such as JSP (Java Server Pages), ASP (Active Server pages), and PHP (Hypertext Preprocessor).

다만, 기존 방식의 경우에는 스마트 팩토리의 관리자의 소프트웨어 활용 능력이 개발자 수준만큼 전문적이지 못할 경우, 구축을 하여도 활용할 수 없는 효용성의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existing method, if the smart factory manager's ability to use the software was not as professional as the developer's, there was a problem of utility in that it could not be used even after construction.

따라서, 스마트 팩토리를 구축 또는 구축하여 제조 데이터를 수집 및 관리하려는 공장 관리자들이 직접 데이터를 조회하고 관리할 수 있는 환경이 개발되고 있으며, GUI(Graphic User Interface) 환경에서 DB 쿼리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Accordingly, an environment is being developed where factory managers who want to collect and manage manufacturing data by building or constructing a smart factory can directly query and manage the data, and DB queries can now be used in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environment.

본 발명에서는, GUI 환경에서 DB 쿼리를 쉽게 생성하고 실행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개시하기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e will disclose a method for easily creating and executing DB queries in a GUI environment.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DB 쿼리를 모르는 상황에서도 GUI 환경을 통해 쿼리 문을 작성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allows users to write query statements through a GUI environment even when they do not know DB queries.

또한, 쿼리 문으로 도출된 값을 프로그램에서 테이블 형태로 확인하고, 다양한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values derived from the query statement can be checked in table form in the program and output in various forms.

또한, 작성된 쿼리 문은 커뮤니티를 통해 공유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들 간에 좋은 예제문을 활용한 자체 기술 습득이 가능하게 한다.In addition, written query statements can be shared through the community, allowing users to acquire their own skills using good example statemen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GUI를 통한 데이터 조회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서버 접속을 승인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상의 데이터 테이블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테이블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컬럼(column) 별 검색 조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컬럼 별 검색 조건 정보에 대한 정렬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데이터 테이블, 컬럼 별 검색 조건 및 정렬 조건에 따라 쿼리(query) 문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inquiry method through a GUI, comprising the steps of approving server access from a user terminal; Receiving data table selection information on a database stored in the server; Receiving search condition information for each column created based on the table selection information; Receiving sorting conditions for the search condition information for each column; and generating a query statement for the database according to the data table, search conditions for each column, and sorting conditions; Includes.

또한, 상기GUI를 통한 데이터 조회 방법은 상기 생성된 쿼리 문에 따라 조회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of searching data through the GUI may further include outputting data searched according to the generated query statement.

또한, 상기 서버 접속을 승인하는 단계는, 접속하려는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유형 정보, 사용자 식별 정보, 접속 IP 주소에 기초하여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ep of approving the server connection is characterized by determining whether to approve the server connection based on the database type information,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connection IP address of the server to be connected.

또한, 컬럼(column) 별 검색 조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GUI에 표시된 검색 조건을 선택함으로써 서버에서 컬럼 별 검색 조건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ep of receiving search condition information for each column is generated based on data transmitted from the server to the user terminal, and selects the search condition displayed on the GUI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to search for each column from the server. Characterized by receiving search condition information.

또한, 상기 생성된 쿼리 문에 따라 조회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쿼리 문 및 조회된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생성된 쿼리 문에 대한 수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outputting the data searched according to the generated query statement may output the generated query statement and the searched data, and provide an area in which modifications to the generated query statement can be performed. there is.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GUI를 통한 데이터 조회 서버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접속을 승인하는 접속 관리부;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상의 데이터 테이블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데이터 관리부; 상기 테이블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컬럼(column) 별 검색 조건 정보 및 상기 컬럼 별 검색 조건 정보에 대한 정렬 조건을 수신하는 검색 조건 관리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데이터 테이블, 컬럼 별 검색 조건 및 정렬 조건에 따라 쿼리(query) 문을 생성하는 쿼리 생성부; 를 포함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inquiry server through a GUI, comprising: a connection management unit that approves a connection from a user terminal; a data management unit that receives data table selection information on a database stored in a server; a search condition management unit that receives search condition information for each column created based on the table selection information and sorting conditions for the search condition information for each column; a query generator that generates a query statement for the database according to the data table, search conditions for each column, and sort conditions; Includes.

또한, 상기 생성된 쿼리 문에 따라 조회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쿼리 실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query execution unit that outputs data searched according to the generated query statement.

또한, 상기 접속 관리부는, 접속하려는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유형 정보, 사용자 식별 정보, 접속 IP 주소에 기초하여 승인 여부를 결정한다.Additionally, the connection management unit determines whether to grant approval based on the database type information,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connection IP address of the server to be connected.

또한, 상기 검색 조건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GUI에 표시된 검색 조건을 선택함으로써, 컬럼 별 검색 조건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dditionally, the search condition management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receives search condition information for each column by selecting a search condition displayed on a GUI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또한, 상기 쿼리 실행부는, 상기 생성된 쿼리 문 및 조회된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생성된 쿼리 문에 대한 수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query execution unit may output the generated query statement and searched data, and provide an area where modifications to the generated query statement can be performed.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DB 쿼리를 모르는 상황에서도 GUI 환경을 통해 쿼리 문을 작성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allows users to write query statements through a GUI environment even when they do not know DB queries.

본 발명에 따를 때, 스마트 팩토리를 도입하였거나 도입하려는 제조 기업, 자체 전산 개발 능력을 가지고 있지 못한 중견/중소기업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easily utilized by manufacturing companies that have introduced or are planning to introduce smart factories, and by medium-sized/small businesses that do not have their own computer development capabilities.

또한, 이미 데이터를 많이 확보하였으나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거나 또는 데이터의 중요성을 알고 있지만 구축이 힘든 상황의 제조 기업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easily utilized by manufacturing companies that have already secured a lot of data but are not utilizing it properly, or a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data but have difficulty establishing it.

또한, 쿼리 문으로 도출된 값을 프로그램에서 테이블 형태로 확인하고, 다양한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values derived from the query statement can be checked in table form in the program and output in various forms.

또한, 작성된 쿼리 문은 커뮤니티를 통해 공유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들 간에 좋은 예제문을 활용한 자체 기술 습득이 가능하게 한다.In addition, written query statements can be shared through the community, enabling users to acquire their own skills using good example stat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GUI를 통한 데이터베이스 조회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GUI를 통한 데이터베이스 조회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서버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GUI를 통한 데이터베이스의 조회 화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사용자 단말에서 데이터베이스로의 접속을 설정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DB 테이블 및 컬럼 선택 화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DB 검색 조건 선택 화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DB 정렬 조건 화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DB 쿼리 출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base query system through a GUI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database search process through a GUI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serve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atabase inquiry screen through a GUI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screen for setting up a connection to a database from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B table and column selection screen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B search condition selection screen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B sorting condition screen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a DB query output screen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un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given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cases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cases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 Additionally,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In this specification, 'part' include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a unit realized by software, and a unit realized using both. Additionally, one unit may be realized using two or more pieces of hardware, and two or more units may be realized using one piece of hardware. Meanwhile, '~ part'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and '~ part' may be configured to resid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may be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Therefore, as an example, '~ part' refers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and procedures. ,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s,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s provided within the components and 'par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parts' or may be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parts'. In addition, the components and 'parts' may be implemented to regenerate one or more CPUs within the device or secure multimedia card.

이하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기반 단말,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mentioned below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or portable terminal that can connect to a server or othe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includes, for example, a laptop, desktop, laptop, etc.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nd the portable terminal i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guarantees portability and mobility. ,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LTE (Long Term Evolution) communication-based terminal, smart It may include all type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phones, tablet PCs, etc. Additionally, “network” refers to a wired network, 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or satellite, such as a Local Area Network (LAN), Wide Area Network (WAN), or Value Added Network (VAN). It can be implemented with any type of wireless network, such as a communication network.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GUI를 통한 데이터베이스 조회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database query system through a GUI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UI를 통한 데이터베이스 조회 시스템은 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200) 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database query system through a GUI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rver 100 and a user terminal 200.

본 발명에 따르는 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를 처리하는 기기로서, 데이터베이스를 입력, 편집, 수신, 전송할 수 있는 기기이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데이터베이스 입력, 편집, 수신, 전송 명령에 대하여 이에 대한 승인 여부 등을 결정하며, 결정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The serv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that processes a database and is capable of inputting, editing, receiving, and transmitting a database. The server 100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approve database input, editing, reception, and transmission commands of the user terminal 200, and performs the determined task.

본 발명에 따르는 사용자 단말(200)는 데스크탑(210), 노트북(220), 스마트폰(230), 태블릿,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를 통하여 이미지를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sktop 210, a laptop 220, a smartphone 230, a tablet,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nd all type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can do. The user can transmit the image to the server 100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A network is any wired network, such as a Local Area Network (LAN), Wide Area Network (WAN), or Value Added Network (VAN), or any network, such as a 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or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It can be implemented as any type of wireless network.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GUI를 통한 데이터베이스 조회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database search process through a GUI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서버 접속을 승인할 수 있다(S210).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서버에 접속할 수 있으며, 서버는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접속 승인을 결정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server may approve server access from the user terminal (S210). The user can access the server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the server can decide to approve the connection based on the input user information.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GUI 환경에서 데이터 테이블을 선택할 수 있으며, 서버는 저장된 DB 상의 데이터 테이블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220). 즉, 사용자로서는 서버가 제공하는 GUI 환경에서 데이터를 선택하는 과정에 따라 원하는 데이터 테이블을 쉽게 가공할 수 있다.The user can select a data table in the GUI environment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and the server can receive data table selection information on the stored DB (S220). In other words, users can easily process the desired data table by selecting data in the GUI environment provided by the server.

서버는 사용자의 테이블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컬럼(column) 별 검색 조건 정보를 수신한다(S230). 사용자는 필요로 하는 데이터 컬럼을 설정할 수 있으며, 서버는 선택된 컬럼에 대한 검색 조건을 수신할 수 있다.The server receives search condition information for each column created based on the user's table selection information (S230). Users can set the data column they need, and the server can receive search conditions for the selected column.

서버는 컬럼 별 검색 조건 정보에 대한 정렬 조건을 수신한다(S240). 서버에서 검색되는 다양한 데이터들에 대한 정렬 조건을 선택함으로써, 서버는 사용자에게 유의미한 정보로 정렬할 수 있다.The server receives sorting conditions for search condition information for each column (S240). By selecting sorting conditions for various data retrieved from the server, the server can sort information that is meaningful to the user.

서버는 DB에 대하여 데이터 테이블, 컬럼 별 검색 조건 및 정렬 조건에 따라 쿼리(query) 문을 생성한다(S250). 서버는 생성된 쿼리 문에 따라 조회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The server creates a query statement for the DB according to the data table, search conditions for each column, and sorting conditions (S250). The server can output searched data according to the generated query statement.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서버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Figure 3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serve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00)는 접속 관리부(110), 데이터 관리부(120), 검색 조건 관리부(130) 및 쿼리 생성부(140)를 포함한다. 도 3에는 미도시되었지만, 통신부, 저장부, 전원부, 입출력부가 서버(100)의 원활한 동작을 위해 더 포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server 100 includes a connection management unit 110, a data management unit 120, a search condition management unit 130, and a query creation unit 140. Although not shown in FIG. 3, a communication unit, a storage unit, a power unit, and an input/output unit may be further included to ensure smooth operation of the server 100.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접속 관리부(11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접속을 승인한다. 접속 관리부(110)는 접속하려는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유형 정보, 사용자 식별 정보, 접속 IP 주소에 기초하여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The connection management unit 110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pproves the connection from the user terminal. The connection management unit 110 may determine whether to approve the connection based on the database type information,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connection IP address of the server to be connected.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데이터 관리부(120)는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상의 데이터 테이블 선택 정보를 수신한다. 데이터 관리부(120)는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GUI에 표시된 검색 조건을 선택함으로써, 컬럼 별 검색 조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data management unit 120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data table selection information on a database stored in a server. The data management unit 120 may receive search condition information for each column by selecting the search condition displayed on the GUI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검색 조건 관리부(130)는 테이블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컬럼(column) 별 검색 조건 정보 및 상기 컬럼 별 검색 조건 정보에 대한 정렬 조건을 수신한다.The search condition management unit 130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search condition information for each column created based on table selection information and sorting conditions for the search condition information for each column.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쿼리 생성부(14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데이터 테이블, 컬럼 별 검색 조건 및 정렬 조건에 따라 쿼리(query) 문을 생성한다.The query generator 140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query statement for the database according to the data table, search conditions for each column, and sort conditions.

서버(100)는 생성된 쿼리 문에 따라 조회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쿼리 실행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쿼리 문 및 조회된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생성된 쿼리 문에 대한 수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The server 100 may further include a query execution unit (not shown) that outputs searched data according to the generated query statement. The generated query statement and searched data can be output, and an area where modifications to the generated query statement can be performed can be provid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GUI를 통한 데이터베이스의 조회 화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atabase inquiry screen through a GUI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로서,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 이다.Figure 4 is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ed on a user terminal, and is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for searching a database.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DB 쿼리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메뉴(210), 회사 로고(220),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정보(230), 프로그램 설정 창(240), 쿼리 생성 창(250) 및 쿼리 결과 창(260)과 같은 레이아웃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DB query program running on the user terminal includes program menu (210), company logo (220), database table information (230), program settings window (240), query creation window (250), and query result window (260). It can be configured as a layout.

프로그램 메뉴(210)는 사용자가 작업하는 프로그램의 작업명이 표시될 수 있으며, 회사 로고(220)는 데이터베이스의 소유 기업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정보(230)는 선택된DB의 테이블 정보를 계층적 구조로 표시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 설정 창(240)는 사용자로부터 조건을 입력받는 화면 영역일 수 있다. 쿼리 생성 창(250)는 조건에 따라 생성된 쿼리 문을 표시하는 창이며, 쿼리 결과 창(260)는 쿼리 문을 실행하였을 때의 출력 값을 표시하는 창이다.The program menu (210) may display the working name of the program that the user is working on, and the company logo (220) may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company that owns the database. In addition, the database table information (230) may display the table information of the selected DB in a hierarchical structure, and the program setting window (240) may be a screen area that receives conditions from the user. The query generation window (250) is a window that displays a query statement generated according to conditions, and the query result window (260) is a window that displays an output value when the query statement is executed.

GUI를 통한 데이터조회 과정은 크게 접속(Step 1), 테이블 선택(Step 2), 검색 조건(Step 3), 정렬 방법(Step 4) 및 쿼리 출력(Step 5)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GUI를 통한 데이터베이스 조회 과정에 따라 각 화면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개시하기로 한다.The data inquiry process through the GUI can largely be comprised of connection (Step 1), table selection (Step 2), search conditions (Step 3), sorting method (Step 4), and query output (Step 5). Hereinafter, the GUI The configuration of each scree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database search process through .

도 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사용자 단말에서 데이터베이스로의 접속을 설정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screen for setting up a connection to a database from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접속 승인 과정에서는 사용자가 접속하려는 DB의 유형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S SQL, MySQL, Maria DB 등 DB의 유형을 선택할 수 있다. During the access approval process, the user can select the type of DB they wish to access. For example, you can select the type of DB such as MS SQL, MySQL, or Maria DB.

접속 승인 과정에서는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 사용자 정보, 암호, 접속 포트 등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용자 정보와 서버에 기저장된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접속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During the access approval process, user information such as the IP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user information, password, and access port can be received, an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approve the access by comparing this user information with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on the server.

도 6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DB 테이블 및 컬럼 선택 화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B table and column selection screen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의 화면 좌측의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정보에는 계층적 구조로서 상위 정보(예, testdb) 및 하위 정보(예, tb_mach, ChangeProtocol, ErrorProtocol, MenuPermissions, MenuStripPermissions, PermissionGroups, TableSettings, Users, Table1)가 표시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database table information on the left side of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has a hierarchical structure, including upper level information (e.g., testdb) and lower level information (e.g., tb_mach, ChangeProtocol, ErrorProtocol, MenuPermissions, MenuStripPermissions, PermissionGroups, TableSettings, Users , Table1) can be displayed.

프로그램 설정 창에는 테이블 정보(예, ChangeProtocol)과 테이블의 컬럼(column)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프로그램 설정 창에 표시된 컬럼에서 체크박스 등에 체크하는 방식으로 조회하려는 컬럼을 선택할 수 있다. 서버는 각각의 컬럼과 컬럼의 타입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The program settings window can display table information (e.g. ChangeProtocol) and table column information, and the user can select the column they want to search by checking a checkbox in the column displayed in the program settings window. The server can display each column and its type together.

도 7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DB 검색 조건 선택 화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B search condition selection screen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과정(Step 1, Step 2)에서의 선택 작업은 누적하여 프로그램 설정 창에 표시될 수 있으며, DB 검색 조건 선택 과정(Step 3)에서는 각각의 컬럼에 대한 조건을 설정, 추가, 수정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7, the selection tasks in the previous processes (Step 1, Step 2) can be accumulated and displayed in the program settings window, and in the DB search condition selection process (Step 3), the conditions for each column are set. You can set, add, and edit.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ID 컬럼에 대하여 0보다 크거나 같은 조건을 설정할 수 있으며, Value 컬럼에 대하여 최신 값을 출력하는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7, a condition of greater than or equal to 0 can be set for the ID column, and a condition for outputting the latest value can be set for the Value colum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DB 정렬 조건 화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B sorting condition screen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각각의 컬럼은 조건에 대하여 출력될 수 있으나, 사용자에게 유의미한 정보가 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정렬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정렬 과정(Step 4)에서는 출력되는 컬럼의 데이터에 대하여 정렬 방식(예, 오름차순)을 설정할 수 있으며, 서버는 오름차순, 내림차순, 최신순, 큰 값순 등 다양한 정렬 방식으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서버가 제공하는 정렬 방식 이외에 사용자 정의에 따른 정렬 순으로 입력을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Each column can be output for a condition, but in order to provide meaningful information to the user, it needs to be aligned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 Therefore, in the sorting process (Step 4), you can set a sorting method (e.g., ascending order) for the data of the output column, and the server can receive user input in various sorting methods such as ascending order, descending order, latest order, and largest value order. there is. In some cases, it is possible to receive input in a user-defined sorting order other than the sorting method provided by the server.

도 9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DB 쿼리 출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a DB query output screen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그램 설정 창에 앞서 Step 1 내지 Step 4 까지의 검색 조건이 간단하게 표시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쿼리 생성 창에는 상기의 검색 조건에 따라 실행하려는 쿼리 문이 생성되어 표시될 수 있다. 종래에는 쿼리 문을 개발자 수준의 관리자가 직접 입력하는 방식으로 수행하여야 했기 때문에 일반인의 DB 접근이 어려웠으나, 본 발명에 따를 때에는 쿼리 문을 생성하기까지 GUI 환경에서 선택하는 과정만으로 가능하기 때문에 일반인의 접근성이 높아지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As shown in FIG. 9, search conditions from Step 1 to Step 4 can be simply displayed prior to the program settings window. In addition, in the query creation window, a query statement to be executed according to the above search conditions may be generated and displayed. In the past, it was difficult for the general public to access the DB because the query statement had to be entered directly by a developer-level administrator.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reate a query statement by simply selecting it in the GUI environment, so the general public can access the DB. There is a beneficial effect of increased accessibility.

쿼리 결과 창에는 생성된 쿼리 문의 생성 결과가 표시되며, 설정된 정렬 순서에 따라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출력되는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에서 조회하는 것뿐만 아니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The query results window displays the generated query statement results and can be output according to the set sort order. Additionally, the server can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output data can be received and stored as well as searched by the user terminal.

쿼리 문은 select, where, from과 같은 주요 구문으로 생성된 구문일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insert, update, join과 같은 구문으로 확대하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생성된 쿼리 문은 표 또는 차트와 같은 데이터 형식으로 출력될 수도 있다.A query statement can be a statement created from main statements such as select, where, and from, and can additionally perform functions by expanding to statements such as insert, update, and join. The generated query statement can also be output in a data format such as a table or chart.

본 발명에 따를 때, 사용자는 개인화된(customized) 쿼리 문을 생성할 수 있으며, 쿼리 문을 타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상에 복수의 관리자가 존재하는 경우, 관리자마다 서로 다른 쿼리 문을 생성하여 실행하는 것보다는 동일 수준의 쿼리 문을 실행하는 것이 작업의 일관성에 유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rs can create customized query statements and share the query statements with other users. For example, if there are multiple managers on the same smart factory system, it may be advantageous for work consistency to execute query statements at the same level rather than creating and executing different query statements for each manager.

또한, 서버는 동일 데이터베이스뿐만 아니라 유사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는 경우에 기존에 조회하였던 쿼리 문을 참조함으로써 보다 간단하고 정확하게 조회하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Additionally, when searching not only the same database but also similar databases, the server can provide a simpler and more accurate search environment by referring to previously searched query statements.

따라서, 서버는 각 사용자가 공유하기를 원하는 쿼리 문을 저장하는 커뮤니티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커뮤니티 공간 상에서 쿼리 문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공유되는 쿼리 파일 등은 다양한 파일 형식(예, CSV, TXT, Excel, Json 등)으로 공유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rver can provide a community space for storing query statements that each user wants to share, and can allow query statements to be shared on the community space. At this time, the shared query files, etc. can be shared in various file formats (e.g. CSV, TXT, Excel, Json, etc.).

서버는 공유자 각각에 공유 권한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공유 권한이 있는 사용자 간에 공유할 수 있도록 권한 부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The server can check whether each sharer has sharing permissions and can perform an authorization process to enable sharing between users who have sharing permissions.

또한 서버는 사용자가 조회하려는 데이터와 유사한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쿼리 문이 공유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공유 가능한 데이터베이스의 쿼리 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Additionally, if the server determines that a query statement for a database similar to the data the user wants to query has been shared, it may provide the user with query statement information for a shareable database.

사용자는 서버에서 공유하는 쿼리 문을 참고하여 개인화하여 수정할 수 있으며, 다시 수정된 쿼리 문을 공유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공유 환경이 계속됨에 따라서 우수 쿼리 문들을 통한 데이터베이스 조회를 수행할 수 있으며, 개발자 수준의 SW 활용 능력이 없는 사용자로서도 스마트 팩토리 구축 및 관리에 수월할 수 있다.Users can personalize and modify query statements shared by the server by referring to them, and can also share the modified query statements. As this shared environment continues, database searches can be performed using excellent query statements, and even users without developer-level SW skills can easily build and manage a smart factory.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contain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program modules executed by a computer. Computer-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Additionally, computer-readable media may include both computer storage media and communication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Communication media typically include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in a modulated data signal such as a carrier wave, or other transmission mechanism, and includes any information delivery medium.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Although the methods and system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some or all of their components or operations may be implemented using a computer system having a general-purpose hardware architecture.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singl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서버
200: 사용자 단말
100: Server
200: user terminal

Claims (10)

GUI를 통한 데이터 조회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서버 접속을 승인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상의 데이터 테이블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테이블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컬럼(column) 별 검색 조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컬럼 별 검색 조건 정보에 대한 정렬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계층적 구조로 표시된 데이터 테이블, 컬럼 별 검색 조건 및 정렬 조건에 따라 쿼리(query) 문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컬럼(column) 별 검색 조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GUI에 표시된 검색 조건을 선택함으로써 서버에서 컬럼 별 검색 조건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생성된 쿼리 문은 타 사용자 단말에 커뮤니티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 가능하고, 생성된 쿼리문을 공유 권한이 있는 사용자 간에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를 통한 데이터 조회 방법.
In the data inquiry method through GUI,
Approving server access from the user terminal;
Receiving data table selection information on a database stored in the server;
Receiving search condition information for each column created based on the table selection information;
Receiving sorting conditions for the search condition information for each column; and
Generating a query statement for the database according to a data table displayed in a hierarchical structure, search conditions for each column, and sorting conditions;
Including,
The step of receiving search condition information for each column is:
Characterized in receiving search condition information for each column from the server by selecting search conditions generated based on data transmitted from the server to the user terminal and displayed on a GUI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A data inquiry method through a GUI, characterized in that the generated query statement can be transmitted to other user terminals through a community network, and the generated query statement is shared between users who have sharing permiss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쿼리 문에 따라 조회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GUI를 통한 데이터 조회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outputting data searched according to the generated query statement;
A method of querying data through a GUI, further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접속을 승인하는 단계는,
접속하려는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유형 정보,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접속 IP 주소에 기초하여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를 통한 데이터 조회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tep of approving the server connection is,
A data inquiry method through a GUI, characterized in that approval is determined based on the database type information,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ccess IP address of the server to be accessed.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쿼리 문에 따라 조회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쿼리 문 및 조회된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생성된 쿼리 문에 대한 수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를 통한 데이터 조회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step of outputting data searched according to the generated query statement is,
Output the generated query statement and searched data,
A data inquiry method through a GUI,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an area where modifications to the generated query statement can be performed.
GUI를 통한 데이터 조회 서버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접속을 승인하는 접속 관리부;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상의 데이터 테이블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데이터 관리부;
상기 테이블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컬럼(column) 별 검색 조건 정보 및 상기 컬럼 별 검색 조건 정보에 대한 정렬 조건을 수신하는 검색 조건 관리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계층적 구조로 표시된 데이터 테이블, 컬럼 별 검색 조건 및 정렬 조건에 따라 쿼리(query) 문을 생성하는 쿼리 생성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검색 조건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GUI에 표시된 검색 조건을 선택함으로써, 컬럼 별 검색 조건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생성된 쿼리 문은 타 사용자 단말에 커뮤니티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 가능하고, 생성된 쿼리문을 공유 권한이 있는 사용자 간에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를 통한 데이터 조회 서버.
In the data inquiry server through GUI,
a connection management unit that approves a connection from a user terminal;
a data management unit that receives data table selection information on a database stored in a server;
a search condition management unit that receives search condition information for each column created based on the table selection information and sorting conditions for the search condition information for each column; and
a query generator that generates a query statement for the database according to data tables displayed in a hierarchical structure, search conditions for each column, and sorting conditions;
Including,
The search condition management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receives search condition information for each column by selecting a search condition displayed on a GUI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The generated query statement can be transmitted to other user terminals through a community network, and the generated query statement is shared between users with sharing permissions. A data inquiry server through a GUI.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쿼리 문에 따라 조회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쿼리 실행부를 더 포함하는, GUI를 통한 데이터 조회 서버.
According to clause 6,
A data inquiry server through a GUI, further comprising a query execution unit that outputs the searched data according to the generated query statemen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관리부는,
접속하려는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유형 정보,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접속 IP 주소에 기초하여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를 통한 데이터 조회 서버.
According to clause 6,
The connection management department,
A data inquiry server through a GUI, characterized in that approval is determined based on the database type information,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ccess IP address of the server to be accessed.
삭제dele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쿼리 실행부는,
상기 생성된 쿼리 문 및 조회된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생성된 쿼리 문에 대한 수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를 통한 데이터 조회 서버.
In clause 7,
The query execution unit,
Output the generated query statement and searched data,
A data inquiry server through a GUI,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an area where modifications to the generated query statement can be performed.
KR1020210173518A 2021-12-07 2021-12-07 Method for searching data via graphic user interface Active KR1026914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518A KR102691452B1 (en) 2021-12-07 2021-12-07 Method for searching data via graphic user interf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518A KR102691452B1 (en) 2021-12-07 2021-12-07 Method for searching data via graphic user interfa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5402A KR20230085402A (en) 2023-06-14
KR102691452B1 true KR102691452B1 (en) 2024-08-05

Family

ID=86744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3518A Active KR102691452B1 (en) 2021-12-07 2021-12-07 Method for searching data via graphic user interfa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91452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69284A1 (en) * 2002-03-08 2003-09-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raphical user interface to build event-based dynamic searches or queries using event profiles
KR101900811B1 (en) * 2016-07-05 2018-09-20 한다시스템 주식회사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designing a quer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69284A1 (en) * 2002-03-08 2003-09-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raphical user interface to build event-based dynamic searches or queries using event profiles
KR101900811B1 (en) * 2016-07-05 2018-09-20 한다시스템 주식회사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designing a query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윤선희, 안정적인 DB보안 시스템 구축을 위한 보안기술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Vol.19, pp143-152(2014.1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5402A (en) 2023-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9140B2 (en) Dynamic resource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CN1713179B (en) Impact analysis in an object model
CN109492053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data
CN114036425A (en) Page access method, client, server and system
CN111796851B (en) Client base library updat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RU2679971C2 (en) Implementation of access to semantic content in development system
CN111930449B (en) Data management method and server
EP3486798A1 (en) Reporting and data governance management
KR102400201B1 (en) Interworking method between oneM2M to NGSI-LD standard platforms using semantic ontology
KR102691452B1 (en) Method for searching data via graphic user interface
WO2024250877A1 (en) Data card application building method and system,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US10318524B2 (en) Reporting and data governance management
CN115408009B (en) Code file genera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US20230237179A1 (en) Metadata-driven restricted measures
CN115878699A (en) Method for processing Mock data of front-end equipment and front-end equipment
CN115951879A (en) Template code generation method, device, system,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CN115543428A (en) Simulated data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strategy template
RU2216043C2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decisions
CN117290859A (en) Code warehouse authority configuration method, system,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0019403B (en) Query method and related device
KR102857353B1 (en) System for providing customized menu configuration service based on salesforce
KR102624044B1 (en) Method of application generation based on template and server implementing thereof
US20230319137A1 (en) Domain specific provider contracts for core data services
KR10275876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EP4307745A1 (en) Access control method and access control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7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7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