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90978B1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nline community service based on SNS document similarity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nline community service based on SNS document similarit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90978B1 KR102690978B1 KR1020230094571A KR20230094571A KR102690978B1 KR 102690978 B1 KR102690978 B1 KR 102690978B1 KR 1020230094571 A KR1020230094571 A KR 1020230094571A KR 20230094571 A KR20230094571 A KR 20230094571A KR 102690978 B1 KR102690978 B1 KR 1026909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cument
- similar
- community
- user
- document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3—Document management system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SNS나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사용자들이 자신과 유사한 관심사를 가지는 다른 사용자를 찾기 위해서는 온라인상에 게시된 문서들을 검색하여 유사성을 판단한 후 유사문서의 게시자를 확인하여 하부 커뮤니티를 생성해야 하고, 하부 커뮤니티를 생성한 후 비회원을 초대시에는 해당 하부 커뮤니티와 부합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다시 수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던 종래기술의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SNS나 온라인 커뮤니티의 사용들이 문서를 조회시 해당 문서와 다른 문서간의 유사도를 계산하여 유사문서 및 문서유사성 관련정보를 제공하고, 해당 정보에 근거하여 유사문서를 게시한 사용자를 특정 하부 커뮤니티에 직접 초대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각각의 사용자들이 보다 용이하고 편리하게 유사문서의 게시자들과 하부 커뮤니티를 생성하고 소통할 수 있는 동시에, 신규회원의 초대 또한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SNS 문서 유사도 기반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n online community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for users of SNS or online community services to find other users with similar interests to themselves, they search documents posted online to find similar users. After determining, the publisher of similar documents must be checked to create a sub-community, and after creating a sub-community, when inviting non-members,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hey match the sub-community must be performed agai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community services, when users of SNS or online communities view a document, the similarity between the document and other documents is calculated, similar documents and information related to document similarity are provided, and similar documents are posted based on the information. By allowing a user to be directly invited to a specific sub-community, each user can more easily and conveniently create and communicate with publishers of similar documents and sub-communities, while also making it quicker and easier to invite new members.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nline community services based on SNS document similarity are provid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종래, 일반적으로, 서로 관심사가 유사한 사용자들이 모여서 이루어지는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에 있어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 SNS)나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의 사용자들이 자신과 유사한 관심사를 가지는 다른 사용자를 찾기 위해서는 온라인상에 게시된 문서에서 키워드를 추출하여 검색을 수행하고, 검색결과에 제시된 각각의 유사문서들을 일일이 조회하여 유사성을 판단한 후, 자신과 공통된 관심사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 유사문서의 게시자를 확인하여 소통을 개시하고 하부 커뮤니티를 새로 생성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공통되는 관심사를 가지는 사용자들끼리 하부 커뮤니티를 형성하기까지의 과정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함이 있는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SNS나 온라인 커뮤니티의 사용들이 온라인에 게시한 특정 문서를 조회시 해당 문서와 다른 문서간의 유사도를 계산하여 해당 문서와 유사한 유사문서 및 해당 문서와 유사문서간의 문서유사성 관련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각각의 사용자들이 보다 용이하고 편리하게 유사문서의 게시자들과 온라인 커뮤니티 내에서 하부 커뮤니티를 생성하고 소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SNS 문서 유사도 기반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n online community ser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conventional, generally online community service where users with similar interests gather together to provide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 or online community service users, in order to find other users with similar interests, they extract keywords from documents posted online, perform a search, and search each similar document presented in the search results one by one to determine similarity. Afterwards, you must go through the process of identifying the publisher of similar documents judged to have common interests, initiate communication, and create a new sub-community, so the process of forming a sub-community among users with common interests is necessar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prior art online community services, which had limitations that were very cumbersome and inconvenient, when users of SNS or online communities search for a specific document posted online, the similarity between the document and other documents is calculated and the document It is designed to provide information related to similar documents and document similarities between the documents and similar documents, so that each user can more easily and conveniently create and communicate with publishers of similar documents and sub-communities within the online community. This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nline community services based on SNS document similarity.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온라인 커뮤니티 내에서 하부 커뮤니티를 생성한 후 해당 하부 커뮤니티에 비회원을 초대하는 경우, 초대하고자 하는 비회원의 정보와 해당 비회원이 게시한 문서를 검색하여 해당 하부 커뮤니티와 부합하는지를 주관적으로 판단하는 과정을 다시 수행하여 초대 여부를 결정해야 하므로 하부 커뮤니티의 생성뿐만 아니라 새로운 회원을 초대하는 과정도 매우 번거롭고 불편함이 있는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SNS나 온라인 커뮤니티의 사용들이 온라인에 게시한 특정 문서를 조회시 해당 문서와 다른 문서간의 유사도를 계산하여 해당 문서와 유사한 유사문서 및 해당 문서와 유사문서간의 문서유사성 관련정보를 제공하고, 해당 정보에 근거하여 유사문서를 게시한 사용자를 하부 커뮤니티에 직접 초대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각각의 사용자들이 보다 용이하고 편리하게 유사문서의 게시자들과 하부 커뮤니티를 생성하고 소통할 수 있는 동시에, 생성된 하부 커뮤니티에 신규회원을 초대하는 과정도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SNS 문서 유사도 기반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Addition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ub-community is created within an online community through the process described above and then a non-member is invited to the sub-community, the information of the non-member to be invited and the documents posted by the non-member are searched for the corresponding sub-community. The problem with prior art online community services is that the process of inviting new members as well as creating a subcommunity is very cumbersome and inconvenient because the process of subjectively determining whether it matches the subcommunity must be performed again to decide whether to invit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hen users of SNS or online communities search for a specific document posted online, the similarity between the document and other documents is calculated and information related to similar documents similar to the document and the document similarity between the document and similar documents is provided. And, based on that information, users who posted similar documents can be directly invited to the sub-community, allowing each user to more easily and conveniently create and communicate with sub-communities with publishers of similar documents. , It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nline community services based on SNS document similarity, which are configured so that the process of inviting new members to the created subcommunity can be performed more quickly and easily.
최근, 인터넷 및 IT 기술이 발전하고 스마트폰의 보급이 보편화되면서, 예를 들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 SNS) 등과 같이, 개인간의 소통을 위한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 사용자의 수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Recently, as Internet and IT technology has developed and the spread of smartphones has become widespread, various online community services for communication between individuals, such as social network services (SNS), are increasing, and accordingly, The number of users in various online communities is also increasing significantly.
즉, SNS는 사용자간의 자유로운 의사소통과 정보 공유 및 인맥 확대, 업무 협력 등을 통해 사회적 관계를 생성하고 강화해주는 온라인 플랫폼으로서, SNS 사용자는 회원가입을 통해 자신이 쓴 게시글이나 댓글, 인용한 글 등의 문서, 사진, 영상 등을 업로드하고, 타인이 업로드한 게시글이나 댓글, 문서, 사진, 영상 등을 조회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1:1 또는 N:N으로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자유로이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SNS is an online platform that creates and strengthens social relationships through free communication, information sharing, network expansion, and business cooperation between users. SNS users register as members to post, comment, and quote articles they have written. You can upload documents, photos, videos, etc., and view posts, comments, documents, photos, videos, etc. uploaded by others. Through this, you can freely communicate 1:1 or N:N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can do.
또한, 이러한 SNS나 온라인 커뮤니티에 업로드되는 문서에는 게시문서, 게시문서에 대한 댓글, 댓글에 대한 댓글(답글), 프로필 소개글, 하부 커뮤니티 소개글,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 기타 사용자가 입력하거나 링크를 통해 연결한 텍스트 또는 숫자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념해야 한다. In addition, documents uploaded to such SNS or online communities include posted documents, comments on posted documents, comments (replies) to comments, profile introductions, subcommunity introductions, keywords entered by users, and other user inputs or links. It may include text or numerical information connected through , but it should be noted tha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아울러, 예를 들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15478호의 "게임 유저 그룹에 대응하는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및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32889호의 "SNS를 이용한 게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등에 제시된 바와 같이, 종래, SNS나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사용자들 중에서 서로 관심사가 유사한 사용자들을 연결해 주기 위해 다양한 장치 및 방법들이 제시된 바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내용들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는 것이었다. In addition, for exampl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815478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online community services corresponding to game user groups” 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632889 “Game service method and system using SNS” As presented in others, various devices and methods have been proposed to connect users with similar interests among SNS or online community service users. However, the content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ve the following limitations.
여기서, SNS나 온라인 커뮤니티에 게시된 각 문서들은 하나의 문서를 기준으로 해당 문서와 그 문서를 제외한 다른 문서들간의 유사성이 1:1로 계산될 수 있으며, 이에, 본 발명에서는, 유사성 판단의 기준이 되는 문서를 1차문서라 하고, 1차문서와 유사성이 있는 문서를 1차문서에 대한 유사문서로 정의한다. Here, for each document posted on SNS or an online community, the similarity between the document and other documents excluding the document can be calculated as 1:1 based on one document.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ndard for determining similarity is This document is called a primary document, and a document that is similar to the primary document is defined as a similar document to the primary document.
즉, 일반적으로, 기존의 SNS나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에서는, 사용자들이 자신과 유사한 관심사를 가지는 사용자를 찾고 소통하기 위해서는, 먼저 키워드 검색 등을 통해 특정 1차문서와 유사한 유사문서를 조회하고, 각각의 유사문서에 대하여 1차문서와의 유사성을 주관적으로 판단하여 유사문서를 게시한 사용자를 확인한 다음, 해당 사용자를 선택하여 채팅이나 채널 등의 하부 커뮤니티를 생성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In other words, in general, in existing SNS or online community services, in order for users to find and communicate with users with similar interests, they first search for similar documents similar to a specific primary document through keyword search, etc., and then search for similar documents for each similar document. A process is required to subjectively judge the similarity of a document to the primary document, identify the user who posted the similar document, and then select that user to create a sub-community such as a chat or channel.
따라서 기존의 SNS나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들은 자신과 유사한 사용자를 찾기 위해 1차문서에서 키워드 추출 -> 추출한 키워드로 검색 -> 검색결과에 제시된 각각의 유사문서들을 조회하여 1차문서와 유사성 판단 -> 유사문서의 게시자 확인 -> 1차문서 및 유사문서 게시자와의 커뮤니케이션 시작의 다소 복잡한 단계를 거쳐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Therefore, existing SNS or online community services extract keywords from primary documents to find users similar to themselves -> search with extracted keywords -> search each similar document presented in the search results to determine similarity to the primary document -> similar There wa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go through the somewhat complicated steps of confirming the publisher of the document -> starting communication with the publisher of the primary document and similar documents.
더욱이, 기존의 SNS나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들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하부 커뮤니티를 생성한 후 해당 하부 커뮤니티에 비회원을 초대하는 경우, 초대하고자 하는 비회원의 정보와 해당 비회원이 게시한 문서를 검색하여 해당 하부 커뮤니티와 부합하는지를 주관적으로 판단하는 과정을 다시 수행하여 초대 여부를 결정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있는 것이었다. Moreover, when existing SNS or online community services create a sub-community through the process described above and then invite a non-member to the sub-community, the information of the non-member to be invited and the documents posted by the non-member are searched. There was also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re-perform the process of subjectively determining whether it matches the corresponding subcommunity and then deciding whether or not to invite.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SNS나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들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하여는, SNS나 온라인 커뮤니티의 사용들이 온라인에 게시한 특정 문서를 조회시 해당 문서와 다른 문서간의 유사도를 계산하여 해당 문서와 유사한 유사문서 및 해당 문서와 유사 문서간의 문서유사성 관련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각각의 사용자들이 보다 용이하고 편리하게 유사문서의 게시자들과 하부 커뮤니티를 생성하고 소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새로운 구성의 SNS 문서 유사도 기반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아직까지 그러한 요구를 모두 만족시키는 장치나 방법은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limitations of SNS or online community service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when users of SNS or online communities view a specific document posted online, the similarity between the document and other documents is calculated and the document A new SNS that is structured to provide information related to similar documents and document similarities between the documents and similar documents, allowing each user to create and communicate with publishers of similar documents more easily and conveniently. Although it is desirable to propose an online community service provis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document similarity, no device or method that satisfies all such requirements has yet been proposed.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일반적으로, 서로 관심사가 유사한 사용자들이 모여서 이루어지는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에 있어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나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의 사용자들이 자신과 유사한 관심사를 가지는 다른 사용자를 찾기 위해서는 온라인상에 게시된 문서에서 키워드를 추출하여 검색을 수행하고, 검색결과에 제시된 각각의 유사문서들을 일일이 조회하여 유사성을 판단한 후, 자신과 공통된 관심사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 유사문서의 게시자를 확인하여 소통을 개시하고 하부 커뮤니티를 생성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공통되는 관심사를 가지는 사용자들끼리 하부 커뮤니티를 형성하기까지의 과정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함이 있는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SNS나 온라인 커뮤니티의 사용들이 온라인에 게시한 특정 문서를 조회시 해당 문서와 다른 문서간의 유사도를 계산하여 해당 문서와 유사한 유사문서 및 해당 문서와 유사문서간의 문서유사성 관련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각각의 사용자들이 보다 용이하고 편리하게 유사문서의 게시자들과 하부 커뮤니티를 생성하고 소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SNS 문서 유사도 기반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or In order for users of online community services to find other users with similar interests to themselves, they extract keywords from documents posted online, perform a search, search each similar document presented in the search results one by one, and determine the similarity. Since you must go through the process of identifying the publisher of similar documents judged to have common interests with you, initiate communication, and create a subcommunity, the process of forming a subcommunity among users with common interests is very cumbersome and inconvenien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online community services of the prior art, which had limitations, when users of SNS or online communities search for a specific document posted online, the similarity between the document and other documents is calculated and similar to the document is calculated. An SNS document similarity-based online community that is structured to provide information related to documents and document similarities between the document and similar documents, allowing each user to more easily and conveniently create and communicate with publishers of similar documents and subcommunities. The purpose is to present a service provision system and metho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하부 커뮤니티를 생성한 후 해당 하부 커뮤니티에 비회원을 초대하는 경우, 초대하고자 하는 비회원의 정보와 해당 비회원이 게시한 문서를 검색하여 해당 하부 커뮤니티와 부합하는지를 주관적으로 판단하는 과정을 다시 수행하여 초대 여부를 결정해야 하므로 하부 커뮤니티의 생성뿐만 아니라 새로운 회원을 초대하는 과정도 매우 번거롭고 불편함이 있는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SNS나 온라인 커뮤니티의 사용들이 특정 하부 커뮤니티에서 온라인에 게시한 특정 문서를 조회시 해당 문서와 해당 하부 커뮤니티의 소개문서와의 유사도를 계산하여 해당 하부 커뮤니티의 소개문서와 유사한 유사문서 및 해당 하부 커뮤니티의 소개문서와 유사문서간의 문서유사성 관련정보를 제공하고, 해당 정보에 근거하여 유사문서를 게시한 사용자를 해당 하부 커뮤니티에 직접 초대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각각의 사용자들이 보다 용이하고 편리하게 유사문서의 게시자들과 하부 커뮤니티를 생성하고 소통할 수 있는 동시에, 생성된 하부 커뮤니티에 신규회원을 초대하는 과정도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SNS 문서 유사도 기반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reate a sub-community through the process described above and then invite a non-member to the sub-community by searching the information of the non-member to be invited and the documents posted by the non-member. Since the process of subjectively determining whether it matches the community must be performed again to decide whether or not to invite, the process of inviting new members as well as creating subcommunities is very cumbersome and inconvenient, solving the problems of prior art online community services. To solve the problem, when users of SNS or online communities view a specific document posted online by a specific sub-community, the similarity between the document and the introduction document of the sub-community is calculated, and similar documents similar to the introduction document of the sub-community are calculated. It provides information related to document similarity between the introduction document and similar documents of the relevant subcommunity, and allows users who posted similar documents based on the information to be directly invited to the relevant subcommunity, making it easier and more convenient for each user. An online community service provision system based on SNS document similarity that allows you to create and communicate with publishers of similar documents and at the same time invite new members to the created subcommunity more quickly and easily. The purpose is to suggest a metho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문서 유사도에 기반하여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이루어지는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요청하고 제공받기 위한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 및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어 사용자의 요청을 수신하고 해당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문서나 사용자에 의해 업로드된 문서와 다른 문서들 사이의 유사도를 계산하여 미리 정해진 설정에 따라 유사문서에 대한 목록을 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유사문서의 게시자를 하부 커뮤니티에 초대할 수 있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로 유사문서 및 게시자에 대한 검색을 수행할 필요 없이 서로 공통된 관심사를 가지는 다른 사용자들과 하부 커뮤니티를 통해 소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시스템이 제공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 online community service provision system configured to provide an online community service based on document similarity, a plurality of users request and receive the service desired by each user. terminal; and a service server that is linked with each user terminal to receive the user's request and perform processing to provide the corresponding service, wherein the service server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user's request and process the document selected by the user or uploaded by the user. By calculating the similarity between the document and other documents, presenting a list of similar documents according to predetermined settings, and allowing the user to invite the publisher of the similar document selected by the user to the lower community, the user An online community service provision system is provided that allows users to communicate through a subcommunity with other users who have common interests without the need to separately search for similar documents and publishers.
여기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미리 정해진 설정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업로드된 제 1 문서와 온라인상에 게시된 다른 문서들 사이의 유사도 점수를 계산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유사도 계산단계; 상기 유사도 계산단계에서 산출된 유사도 점수에 근거하여 미리 정해진 설정에 따라 유사문서의 목록을 작성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유사문서 목록 작성단계; 상기 유사문서 목록 작성단계를 통해 작성된 목록에서 사용자가 특정 유사문서를 선택하면 해당 유사문서에 대한 조회화면을 표시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유사문서 조회단계; 및 사용자가 상기 유사문서의 조회화면에 표시된 커뮤니티 초대버튼을 선택하면 해당 유사문서를 게시한 게시자 정보와 게시문서 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함께 표시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유사문서의 게시자를 특정 하부 커뮤니티에 초대할 수 있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초대단계를 포함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service server includes a similarity calculation step in which a similarity score is calculated between the first document selected or uploaded by the user and other documents posted online according to predetermined settings; A similar document list creation step in which a process of creating a list of similar documents according to predetermined settings is performed based on the similarity score calculated in the similarity calculation step; A similar document search step in which, when a user selects a specific similar document from the list created through the similar document list creation step, a search screen for the similar document is displayed; And when the user selects the community invitation button displayed on the similar document search screen, information on the publisher who posted the similar document and various information including posted document information are displayed together, and the publisher of the similar document desired by the user is invited to a specific subcommunit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perform processing including an invitation step in which processing to enable invitation is performed.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가 하부 커뮤니티의 가입회원이 게시한 문서를 조회하는 경우 해당 하부 커뮤니티에 대한 소개문서와의 유사문서 목록을 함께 표시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하부 커뮤니티 가입회원 문서 조회단계를 더 포함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ervice server performs a sub-community member document search step in which, when a user searches a document posted by a sub-community member, a list of documents similar to the introductory document for the sub-community is displayed togeth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perform further processing.
아울러, 상기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가 하부 커뮤니티의 비가입회원이 게시한 문서를 조회하는 경우 해당 하부 커뮤니티에 대한 소개문서와의 유사문서 목록을 함께 표시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하부 커뮤니티 비가입회원 문서 조회단계를 더 포함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ervice server searches documents for unsubscribed members of the subcommunity, where processing is performed to display a list of documents similar to the introductory document for the subcommunity when a user searches for a document posted by a nonsubscribed member of the subcommunit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perform processing that further includes steps.
더욱이, 상기 유사문서 조회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제 1 문서를 조회시 상기 제 1 문서의 조회창에 상기 제 1 문서의 게시자, 게시시간 및 게시문서 내용과 커뮤니티 초대버튼이 표시되며, 상기 제 1 문서의 조회창 상단에는 각각의 문서에 부여되어 있는 하부 커뮤니티 속성 및 카테고리 속성에 대한 선택버튼이 각각 표시되고, 상기 제 1 문서의 조회창 아래에는 상기 제 1 문서와 유사한 유사문서의 개수를 나타내는 유사문서 개수 표시와 사용자가 유사문서를 추천하는 알고리즘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사 추천 설정 버튼이 각각 표시되며, 상기 유사문서 개수 표시 아래에는 유사 추천 설정에서 설정된 정렬순서에 따라 유사문서가 정렬되어 표시되는 유사문서 조회창이 표시되고, 각각의 유사문서에 대하여 커뮤니티 초대버튼이 표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제 1 문서를 조회할 때 상기 제 1 문서와 유사한 유사문서를 동일한 화면에서 확인 가능한 동시에 해당 유사문서의 게시자를 하부 커뮤니티에 초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oreover, in the similar document search step, when the user searches the first document, the publisher, posting time, and content of the posted document and a community invitation button are displayed in the search window of the first document, and the first At the top of the document search window, selection buttons for the lower community properties and category properties assigned to each document are displayed, and below the search window for the first document is a similar display indicating the number of similar documents similar to the first document. A similar recommendation settings button is displayed to display the number of documents and allow the user to set an algorithm for recommending similar documents. Below the display of the number of similar documents, similar documents are sort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sort order set in the similar recommendation settings. A similar document search window is displayed, and a community invitation button is displayed for each similar document, so that when the user searches the first document, similar documents similar to the first document can be checked on the same screen, and at the same time, the similar document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nfigured to increase user convenience and improve user experience by allowing publishers of to be invited to the subcommunity.
여기서, 상기 유사문서 조회단계는, 사용자가 특정 하부 커뮤니티에 대한 선택버튼을 선택하면 해당 하부 커뮤니티에 해당되는 문서만 표시되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similar document search step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user selects a selection button for a specific sub-community, processing is performed so that only documents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sub-community are displayed.
또한, 상기 유사문서 조회단계는, 사용자가 특정 카테고리에 대한 선택버튼을 선택하면 해당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문서만 표시되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imilar document search step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user selects a selection button for a specific category, processing is performed so that only documents corresponding to that category are displayed.
아울러, 상기 유사문서 조회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유사 추천 설정 버튼을 누르면 상기 제 1 문서에 대한 유사문서를 선정하는 기준이 되는 유사도 점수의 상한값과 하한값 설정과, 유사도순, 게시일자를 기준으로 한 시간순, 조회수 순, 댓글수를 포함하는 정렬기준에 따라 유사문서의 정렬순서를 각각 설정할 수 있는 설정화면이 표시되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similar document search step, when the user presses the similar recommendation setting button, the upper and lower limits of the similarity score are set as a standard for selecting a similar document for the first document, and the similarity score is set based on the similarity order and posting dat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nfigured to display a settings screen that can set the sort order of similar documents according to sorting criteria including time order, number of views, and number of comments.
더욱이, 상기 유사문서 조회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유사 추천 설정에 따라 정렬되어 상기 유사문서 조회창에 표시되는 각각의 유사문서에 대하여, 해당 유사문서의 게시자, 게시시간, 게시글 내용과 함께 상기 제 1 문서와의 유사도 점수가 표시되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oreover, in the similar document search step, for each similar document sorted according to the similar recommendation settings selected by the user and displayed in the similar document search window, the publisher, posting time, and posting content of the similar document are included in the similar document search window. 1 Characterized in that processing is performed to display a similarity score with a document.
또한, 상기 유사문서 조회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유사 추천 설정에 따라 정렬되어 상기 유사문서 조회창에 표시되는 각각의 유사문서에 대하여, 상기 제 1 문서와 해당 유사문서간의 공통된 키워드 및 해당 유사문서에는 포함되어 있으나 상기 제 1 문서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은 공통되지 않은 키워드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similar document search step, for each similar document sorted according to the similar recommendation settings selected by the user and displayed in the similar document search window, common keywords between the first document and the similar document and the similar document are search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perform processing to display non-common keyword information that is included in but not included in the first document.
아울러, 상기 초대단계는, 사용자가 특정 유사문서의 커뮤니티 초대버튼을 선택하면 해당 유사문서의 게시자를 초대목록에 등록하고, 상기 사용자가 해당 유사문서의 게시자를 특정 하부 커뮤니티에 초대하기 위해 상기 초대목록을 조회하면 상기 초대목록에 등록된 해당 유사문서의 게시자 정보와 해당 게시자가 게시한 게시문서 및 해당 하부 커뮤니티 소개문서와의 유사도 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특정 하부 커뮤니티에 다른 사용자를 초대시 해당 사용자의 게시문서를 별도로 조회하여 확인할 필요 없이 해당 하부 커뮤니티에 부합하는 사용자를 초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invitation step, when the user selects the community invitation button for a specific similar document, the publisher of the similar document is registered in the invitation list, and the user registers the publisher of the similar document in the invitation list to invite the publisher of the similar document to a specific subcommunity. When searching, processing is performed to display the publisher information of the similar document registered in the invitation list and the similarity information with the posted document posted by the publisher and the subcommunity introduction document, allowing the user to access a specific subcommunity. When inviting another us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users matching the corresponding subcommunity can be invited without the need to separately check the posted documents of the user.
더욱이, 상기 하부 커뮤니티 가입회원 문서 조회단계는, 사용자가 특정 하부 커뮤니티의 가입회원이 게시한 문서를 조회하는 경우, 해당 하부 커뮤니티에 대한 소개문서와 함께 해당 하부 커뮤니티에 대한 소개문서와의 유사도 점수에 근거하여 유사문서 목록을 표시하고, 각각의 유사문서에 대하여 게시자 정보, 게시문서 정보 및 해당 하부 커뮤니티에 대한 소개문서와의 유사도 점수 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조회하는 문서의 내용과 함께 해당 하부 커뮤니티의 소개문서와의 유사도를 동일한 화면에서 확인 가능하여 해당 하부 커뮤니티에 부합하는 문서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oreover, in the sub-community member document search step, when a user searches a document posted by a member of a specific sub-community, the similarity score with the introduction document for the sub-community is calculated along with the introduction document for the sub-community. Based on this, a list of similar documents is displayed, and for each similar document, processing is performed to display publisher information, posted document information, and similarity score information with the introduction document for the corresponding subcommunity, so that the document that the user searches is performed.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nfigured so that the content and the degree of similarity with the introduction document of the corresponding subcommunity can be checked on the same screen, so that documents matching the corresponding subcommunity can be quickly and easily confirmed.
또한, 상기 하부 커뮤니티 비가입회원 문서 조회단계는, 사용자가 특정 하부 커뮤니티의 비가입회원이 게시한 문서를 조회하는 경우, 해당 하부 커뮤니티에 대한 소개문서와 함께 해당 하부 커뮤니티에 대한 소개문서와의 유사도 점수에 근거하여 유사문서 목록을 표시하고, 각각의 유사문서에 대하여 게시자 정보, 게시문서 정보, 해당 하부 커뮤니티에 대한 소개문서와의 유사도 점수 정보 및 커뮤니티 초대버튼을 함께 표시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비회원의 정보와 해당 비회원이 게시한 문서에 대한 정보 및 해당 하부 커뮤니티 소개문서와의 유사도 점수를 동일한 화면에서 모두 확인할 수 있으므로, 해당 하부 커뮤니티와 부합하는 문서를 게시한 비회원을 선택하여 초대하는 과정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sub-community non-registered member document search step, when the user searches documents posted by non-registered members of a specific sub-community, the similarity with the introductory document for the sub-community is checked along with the introductory document for the sub-community. A list of similar documents is displayed based on the score, and for each similar document, processing is performed to display publisher information, posted document information, similarity score information with the introduction document for the corresponding subcommunity, and a community invitation button. Since the user can check the non-member's information, the information about the document posted by the non-member, and the similarity score with the relevant sub-community introduction document all on the same screen, select and invite non-members who posted documents matching the sub-community.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structured so that the process can be carried out quickly and easily.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에 기재된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설정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업로드된 제 1 문서와 온라인상에 게시된 다른 문서들 사이의 유사도 점수를 계산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유사도 계산단계; 상기 유사도 계산단계에서 산출된 유사도 점수에 근거하여 미리 정해진 설정에 따라 유사문서의 목록을 작성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유사문서 목록 작성단계; 상기 유사문서 목록 작성단계를 통해 작성된 목록에서 사용자가 특정 유사문서를 선택하면 해당 유사문서에 대한 조회화면을 표시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유사문서 조회단계; 사용자가 상기 유사문서의 조회화면에 표시된 커뮤니티 초대버튼을 선택하면 해당 유사문서를 게시한 게시자 정보와 게시문서 정보 및 초대하려는 하부 커뮤니티에 대한 소개문서와의 유사도 점수를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함께 표시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유사문서의 게시자를 특정 하부 커뮤니티에 초대할 수 있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초대단계; 사용자가 특정 하부 커뮤니티의 가입회원이 게시한 문서를 조회하는 경우 해당 하부 커뮤니티에 대한 소개문서와의 유사문서 목록을 함께 표시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하부 커뮤니티 가입회원 문서 조회단계; 및 사용자가 특정 하부 커뮤니티의 비가입회원이 게시한 문서를 조회하는 경우 해당 하부 커뮤니티에 대한 소개문서와의 유사문서 목록을 함께 표시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하부 커뮤니티 비가입회원 문서 조회단계를 포함하는 처리가 상기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서비스 서버를 통하여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online community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the online community service providing system described above, between the first document selected or uploaded by the user according to predetermined settings and other documents posted online A similarity calculation step in which processing to calculate a similarity score is performed; A similar document list creation step in which a process of creating a list of similar documents according to predetermined settings is performed based on the similarity score calculated in the similarity calculation step; A similar document search step in which, when a user selects a specific similar document from the list created through the similar document list creation step, a search screen for the similar document is displayed; When the user selects the community invitation button displayed on the similar document search screen, various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publisher who posted the similar document, posted document information, and the similarity score with the introduction document for the subcommunity to be invited are displayed together. An invitation step in which processing is performed to allow the user to invite the publisher of the desired similar document to a specific sub-community; When a user searches for a document posted by a member of a specific sub-community, a sub-community member document search step is performed to display a list of documents similar to the introduction document for the corresponding sub-community; And when a user searches a document posted by a non-member of a specific sub-community, processing includes a sub-community non-subscribed member document search step in which processing is performed to display a list of documents similar to the introduction document for the relevant sub-community. An online community service providing method is provided, which is configured to be performed through a service server of the online community service providing system.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SNS나 온라인 커뮤니티의 사용들이 온라인에 게시한 특정 문서를 조회시 해당 문서와 다른 문서간의 유사도를 계산하여 해당 문서와 유사한 유사문서 및 해당 문서와 유사문서간의 문서유사성 관련정보를 제공하고, 해당 정보에 근거하여 유사문서를 게시한 사용자를 하부 커뮤니티에 직접 초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SNS 문서 유사도 기반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됨으로써, 각각의 사용자들이 보다 용이하고 편리하게 유사문서의 게시자들과 하부 커뮤니티를 생성하고 소통할 수 있는 동시에, 생성된 하부 커뮤니티에 신규회원을 초대하는 과정도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ers of SNS or online communities view a specific document posted online,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the document and other documents is calculated to determine similar documents similar to the document and documents between the document and similar documents. By providing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online community service based on SNS document similarity, which provides similarity-related information and allows users who posted similar documents based on the information to be directly invited to the lower community, each user can make it easier. You can conveniently create and communicate with publishers of similar documents, and at the same time, the process of inviting new members to the created subcommunity can be done more quickly and easil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각각의 사용자들이 보다 용이하고 편리하게 유사문서의 게시자들과 하부 커뮤니티를 생성하고 소통할 수 있는 동시에, 생성된 하부 커뮤니티에 신규회원을 초대하는 과정도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SNS 문서 유사도 기반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됨으로써, SNS나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의 사용자들이 자신과 유사한 관심사를 가지는 다른 사용자를 찾기 위해서는 온라인상에 게시된 문서에서 키워드를 추출하여 검색을 수행하고, 검색결과에 제시된 각각의 유사문서들을 일일이 조회하여 유사성을 판단한 후, 자신과 공통된 관심사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 유사문서의 게시자를 확인하여 소통을 개시하고 하부 커뮤니티를 생성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공통되는 관심사를 가지는 사용자들끼리 하부 커뮤니티를 형성하기까지의 과정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함이 있는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들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each user can more easily and conveniently create and communicate with publishers of similar documents and at the same time, the process of inviting new members to the created sub-community is also easier. By providing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nline community services based on SNS document similarity that can be quickly and easily configured, users of SNS or online community services can search for documents posted online to find other users with similar interests. Extract keywords, perform a search, search each similar document presented in the search results one by one to determine similarity, and then check the publisher of similar documents judged to have common interests with you to initiate communication and create a subcommunity. Since the process of forming a sub-community among users with common interests is very cumbersome and inconvenient,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s of prior art online community services.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SNS나 온라인 커뮤니티의 사용들이 온라인에 게시한 특정 문서를 조회시 해당 문서와 다른 문서간의 유사도를 계산하여 해당 문서와 유사한 유사문서 및 해당 문서와 유사문서간의 문서유사성 관련정보를 제공하고, 해당 정보에 근거하여 유사문서를 게시한 사용자를 특정 하부 커뮤니티에 직접 초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SNS 문서 유사도 기반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됨으로써, 하부 커뮤니티를 생성한 후 해당 하부 커뮤니티에 비회원을 초대하는 경우, 초대하고자 하는 비회원의 정보와 해당 비회원이 게시한 문서를 검색하여 해당 하부 커뮤니티와 부합하는지를 주관적으로 판단하는 과정을 다시 수행하여 초대 여부를 결정해야 하므로 하부 커뮤니티의 생성뿐만 아니라 새로운 회원을 초대하는 과정도 매우 번거롭고 불편함이 있는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들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users of SNS or online communities search for a specific document posted online,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the document and other documents is calculated to determine similar documents similar to the document and between the document and similar documents. A SNS document similarity-based online community service provision system and method is provided, which provides document similarity-related information and allows users who posted similar documents based on that information to be directly invited to a specific sub-community, thereby creating a sub-community. After that, if you invite a non-member to the sub-community, you must search the information of the non-member you want to invite and the documents posted by the non-member and subjectively determine whether it matches the sub-community to decide whether to invite or not. It can solve the problems of prior art online community services, which had limitations such that not only the creation of a community but also the process of inviting new members was very cumbersome and inconveni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NS 문서 유사도 기반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NS 문서 유사도 기반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서비스 서버(12)에서 온라인에 게시된 특정 문서와 다른 문서들에 대한 유사도를 분석하여 유사도 점수에 따라 유사문서의 목록을 제시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NS 문서 유사도 기반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서비스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문서 조회화면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NS 문서 유사도 기반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서비스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하부 커뮤니티 초대화면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NS 문서 유사도 기반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서비스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하부 커뮤니티 소개문서 표시화면의 구성예로서 가입회원 문서 조회창이 표시되는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NS 문서 유사도 기반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서비스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하부 커뮤니티 소개문서 표시화면의 구성예로서 비가입회원 문서 조회창이 표시되는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NS 문서 유사도 기반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전체적인 처리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Figure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online community service provision system based on SNS document similar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list of similar documents according to the similarity score by analyzing the similarity between a specific document and other documents posted online in the service server 12 of the SNS document similarity-based online community service provi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presented.
Figure 3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document inquiry screen provided through a service server of an online community service provision system based on SNS document similar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lower community invitation screen provided through a service server of an online community service provision system based on SNS document similar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ase in which a member document inquiry window is displayed a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lower community introduction document display screen provided through a service server of an online community service provision system based on SNS document similar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ase where a non-subscribed member document search window is displayed a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lower community introduction document display screen provided through the service server of the SNS document similarity-based online community service provi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
Figure 7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processing process of the SNS document similarity-based online community service provi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SNS 문서 유사도 기반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specific embodiments of th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nline community services based on SNS document similar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여기서, 이하에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의 내용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에 유념해야 한다. Her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ontent described below is only one embodiment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tent of the embodiment described below.
또한,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종래기술의 내용과 동일 또는 유사하거나 당업자의 수준에서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설명을 간략히 하기 위해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념해야 한다.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w, parts that are the same or similar to the contents of the prior art or that are judged to be easily understood and implemented at the level of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o simplify the explan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s omitted.
계속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SNS 문서 유사도 기반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Continuing,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pecific details of th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nline community services based on SNS document similar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더 상세하게는,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NS 문서 유사도 기반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시스템(10)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In more detail, first, referring to FIG. 1, 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NS document similarity-based online community service provid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NS 문서 유사도 기반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시스템(10)은, 크게 나누어, 각각의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요청하고 제공받기 위한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11)와,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11)와 연동되어 사용자의 요청을 수신하고 해당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서비스 서버(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1, the SNS document similarity-based online community service provis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ughly divided into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1 for requesting and receiving the desired service for each user.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ervice server 12 that is linked with each user terminal 11 to receive a user's request and perform processing to provide the corresponding service.
여기서, 상기한 사용자 단말기(11)는, 예를 들면, PC나 노트북 등과 같은 정보처리장치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과 같은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 단말기에 서비스 서버(12)와 연동되는 전용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 별도로 전용의 하드웨어를 구현할 필요 없이 보다 간단한 구성 및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될 수 있다. Here, the user terminal 11 is, for example,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uch as a PC or a laptop, or, preferably, a service server 12 on a user's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or tablet PC. It can be configured by installing a dedicated application program that works with and can be implemented at a simpler configuration and lower cost without the need to implement separate dedicated hardware.
또한, 상기한 서비스 서버(1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문서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업로드된 문서와 다른 문서들 사이의 유사도 점수를 계산하여 미리 정해진 설정에 따라 유사문서에 대한 목록을 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유사문서의 게시자를 사용자의 하부 커뮤니티에 초대하거나 새로운 하부 커뮤니티를 생성하여 서로 관심사가 유사한 사용자들끼리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ervice server 12 calculates a similarity score between the document selected by the user or uploaded by the user and other documents and creates a list of similar documents according to predetermined settings. It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processing that allows users with similar interests to communicate more conveniently and easily by presenting and inviting publishers of similar documents selected by the user to the user's sub-community or creating a new sub-community. there is.
더 상세하게는,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NS 문서 유사도 기반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시스템(10)의 서비스 서버(12)에서 온라인에 게시된 특정 문서와 다른 문서들에 대한 유사도를 분석하여 유사도 점수에 따라 유사문서의 목록을 제시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2, FIG. 2 shows a specific document and other documents posted online on the service server 12 of the SNS document similarity-based online community service provis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conceptual diagram that schematically shows the structure of analyzing the similarity and presenting a list of similar documents according to the similarity score.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SNS 등과 같은 온라인상에 게시되어 있는 문서들은 하나의 특정 문서(제 1 문서)를 기준으로 해당 문서와 그 문서를 제외한 다른 문서들간의 유사성이 1:1로 계산될 수 있으며, 이에,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유사성 판단의 기준이 되는 문서를 제 1 문서라 하고, 제 1 문서와 유사성이 있는 문서를 제 1 문서에 대한 유사문서로 정의한다. As shown in Figure 2, for documents posted online such as SNS, the similarity between that document and other documents excluding that document can be calculated at 1:1 based on one specific document (the first document). Accordingly,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document that serves as the standard for determining similarity is called the first document, and a document that is similar to the first document is defined as a similar document to the first document.
이때, 문서간 유사도를 산출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단어가 언급된 빈도(frequency) 카운트를 이용한 방법인 Bag-of-Words(BOW) 방법이나, 단어빈도(Term Frequency)-역문헌빈도(Inverse Document Frequency)(TF-IDF) 가중치 모델 및 인공신경망 기반의 Word2vec, Vector Space, Doc2Vec, GloVe 모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구성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t this time,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similarity between documents is, for example, the Bag-of-Words (BOW) method, which uses the frequency count of words mentioned, or the Term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 ( Inverse Document Frequency (TF-IDF) weight model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based Word2vec, Vector Space, Doc2Vec, and GloVe models can be used,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configurations.
즉, 본 발명은 문서 및 문서 안에 포함된 단어나 형태소의 유사성을 판단하는 것이면 크게 제한되지 않고 모두 적용 가능하며,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취지 및 본질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하여 적용될 수 있는 것임에 유념해야 한다. 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without major limitations as long as it determines the similarity of documents and words or morphemes contained therein, an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eed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t can be applied with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depending on the situation.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BOW나 인공신경망 모델 등을 이용하여 문서간 유사도를 산출하는 방법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는 종래기술의 문서유사도 산출 알고리즘들의 내용을 참조하여 당업자가 적절히 구현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에, 본 발명에서는, 설명을 간략히 하기 위해,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내용으로부터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종래기술의 문헌 등을 참조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는 내용에 대하여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념해야 한다. In addition, as mentioned above, for more specific details on how to calculate similarity between documents using BOW or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s, etc.,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appropriately implement them by referring to the contents of document similarity calculation algorithms in the prior art.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implify the explanation, a detailed description is given of contents that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content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or that can be easily understood and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by referring to literature of the prior art. It should be noted that is omitted.
더욱이, 서비스 서버(12)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제 1 문서와 제 1 문서를 제외한 다른 문서간의 문서유사도 점수가 계산되면 계산된 문서유사도 점수를 제 1 문서와 제 1 문서에 대한 유사문서의 메타정보에 각각 태깅(tagging)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제 1 문서를 조회할 때 동일한 화면(웹페이지)에서 제 1 문서와 유사한 문서를 신속하게 조회할 수 있다. Moreover, when the document similarity score between the first document and other documents excluding the first document is calculated as described above, the service server 12 divides the calculated document similarity score into that of the first document and similar documents for the first document. It can be configured to perform tagging on each meta information, and through this, when the user searches the first document, he or she can quickly search for documents similar to the first document on the same screen (web page).
또한, 서비스 서버(12)는, 신규문서가 등록되면 등록된 신규문서를 기준으로 기존 문서와의 문서간 유사도 점수를 계산하고, 계산결과에 근거하여 문서간 유사도 점수와 유사문서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각각의 문서에 태깅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new document is registered, the service server 12 calculates the similarity score between documents with the existing document based on the registered new document, and updates the similarity score between documents and information about similar documents based on the calculation results. and can be configured to perform tagging processing on each document.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부터, 사용자가 제 1 문서를 조회할 때 제 1 문서와 유사한 다른 문서를 동일한 화면에서 함께 볼 수 있으므로 문서 조회시의 편의성을 높이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refore, from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when a user searches a first document, he or she can view other documents similar to the first document together on the same screen, thereby increasing convenience in searching documents and improving user experience.
즉,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NS 문서 유사도 기반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시스템(10)의 서비스 서버(12)를 통해 제공되는 문서 조회화면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That is, referring to FIG. 3, FIG. 3 schematically shows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document inquiry screen provided through the service server 12 of the SNS document similarity-based online community service provis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oncept diagram.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 1 문서를 조회시 제 1 문서의 조회창에는 제 1 문서를 게시한 게시자 정보(게시자의 이름이나 닉네임 또는 ID 등)와 게시문서의 게시시간 정보 및 게시문서 내용(게시문서 제목, 게시문서 본문 등)이 함께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3, when a user searches the first document, the first document's search window contains information about the publisher who posted the first document (poster's name, nickname, or ID, etc.), information on the posting time of the posted document, and the posted document. The contents (posted document title, posted document body, etc.) can be configured to be displayed together.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문서 조회창의 아래에는 제 1 문서와 유사한 유사문서의 개수가 표시되고, 사용자가 유사문서를 추천하는 알고리즘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사 추천 설정 버튼이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3, the number of similar documents similar to the first document is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document search window, and a similar recommendation setting button is displayed to allow the user to set an algorithm for recommending similar documents. It can be configured.
더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유사 추천 설정 버튼을 누르면 제 1 문서에 대한 유사문서를 선정하는 기준이 되는 유사도 점수의 상한값과 하한값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유사문서의 게시일자를 기준으로 유사문서를 선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유사도순, 게시일자를 기준으로 한 시간순, 조회수 순, 댓글수 순 등과 같이 다양한 기준에 따라 유사문서의 정렬순서를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when the user presses the similar recommendation setting button, it can be configured to set the upper and lower limits of the similarity score, which is the standard for selecting a similar document for the first document, and the posting date of the similar document. It can be configured to select similar documents based on , or it can be configured to adjust the sort order of similar documents according to various criteria such as similarity order, time based on posting date, number of views, number of comments, etc. there is.
아울러,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문서 조회창의 하단에는 유사 추천 설정에 따른 제 1 문서의 유사문서를 조회할 수 있는 조회창이 표시되며, 유사문서 조회창에는 유사 추천 설정에서 설정한 정렬순서(유사도순, 게시일자를 기준으로 한 시간순, 조회수 순, 댓글수 순 등)에 따라 유사문서가 순서대로 정렬되어 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3, a search window is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document search window where you can search similar documents of the first document according to the similar recommendation settings, and the similar document search window displays the sort order set in the similar recommendation settings. Similar documents can be arranged and presented in order (order of similarity, time based on posting date, number of views, number of comments, etc.).
이때, 각각의 유사문서에는 기준이 되는 제 1 문서와 해당 유사문서간의 유사도 점수가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기준이 되는 제 1 문서와 해당 유사문서간의 공통된 키워드 및 해당 유사문서에는 포함되어 있으나 제 1 문서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은 키워드(공통되지 않은 키워드)가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each similar document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a similarity score between the first document that serves as the standard and the similar document, and keywords common between the first document that serves as the standard and the similar document and the similar document include keywords. 1 It can be configured to display keywords that are not included in the document (non-common keywords).
더욱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서조회 페이지에는 게시된 문서에 부여되는 특정 카테고리를 선택하면 해당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문서만 선택적으로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카테고리는 게시자가 해당 문서를 게시할 때 부여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문서를 게시할 때 해당 게시문서의 내용이나 목적에 가장 부합하는 카테고리를 선택 가능하고, 조회자는 자신이 조회하고자 하는 내용이나 목적에 부합하는 카테고리를 선택하면 해당 카테고리가 부여되어 작성된 문서만 선택적으로 조회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Furthermore, as shown in Figure 3, the document search page can be configured to provide a function that allows you to selectively search only documents corresponding to that category by selecting a specific category assigned to the posted document, and these categories can be provided by the publisher. By allowing users to select the category that best matches the content or purpose of the posted document when posting a document, viewers can select the category that best matches the content or purpose they want to view. If you select , it can be configured so that only documents created with the corresponding category can be selectively searched.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서조회 페이지에는 게시된 문서에 부여된 특정 하부 커뮤니티를 선택하면 해당 하부 커뮤니티에 해당되는 문서만 선택적으로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카테고리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커뮤니티도 게시자가 해당 문서를 게시할 때 부여할 수 있도록 하여 글을 게시할 때 해당 게시문서의 내용이나 목적에 가장 부합하는 하부 커뮤니티를 선택 가능하고, 조회자는 자신이 조회하고자 하는 내용이나 목적에 맞는 하부 커뮤니티를 선택하면 해당 하부 커뮤니티가 부여되어 작성된 문서만 선택적으로 조회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3, the document search page can be configured to provide a function that allows you to selectively search only documents corresponding to the subcommunity by selecting a specific subcommunity assigned to the posted document, and the category and Similarly, these communities can be granted by the publisher when posting the document, so that when posting an article, the viewer can select the subcommunity that best matches the content or purpose of the posted document, and the viewer can select the content or purpose he or she wants to view. If you select a sub-community that fits your needs, it can be configured to selectively search only documents created with that sub-community assigned.
아울러, 하부 커뮤니티에서는 해당 하부 커뮤니티에 가입된 회원만 게시문서를 업로드할 수 있으며, 하부 커뮤니티 관리자의 선택에 따라 공개/비공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공개 하부 커뮤니티의 경우 모두 사용자가 해당 하부 커뮤니티의 게시문서를 조회할 수 있으나, 비공개로 설정할 경우 하부 커뮤니티에 가입된 회원만 게시문서를 조회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sub-community, only members registered in the sub-community can upload posted documents, and public/private settings can be set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sub-community manager, so in the case of public sub-communities, all users can upload the posted documents of the sub-community. You can view it, but if it is set to private, it can be configured so that only members registered in the subcommunity can view the posted document.
더욱이, 이러한 하부 커뮤니티는 통상적으로 온라인 커뮤니티 내에서 개설되는 하나 이상의 하부 커뮤니티가 가지는 속성과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하부 커뮤니티 관리자가 권한을 가지고 커뮤니티의 성격을 규정할 수 있고, 회원관리와 접근권한을 부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Moreover, these subcommunities have the attributes and forms of one or more subcommunities that are typically created within an online community, and each subcommunity manager has the authority to define the nature of the community, manage members, and access rights. It can be configured to grant.
여기서, 상기한 하부 커뮤니티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NS 문서 유사도 기반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시스템(10)의 서비스 서버(12)를 통해 생성된 하부 커뮤니티 이외에, 예를 들면, 1:1 및 N:N의 소통이 가능한 채팅, 채널, 블로그, 카페, SNS 등과 같이, 현재 서비스 중인 기존의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의 유형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하부 커뮤니티의 유형을 선택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Here, the above-mentioned sub-community is, for example, 1:1 and N, in addition to the sub-community created through the service server 12 of the SNS document similarity-based online community service provision system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select the type of sub-community desired, including the types of various existing online community services currently in service, such as chatting, channels, blogs, cafes, SNS, etc. that allow :N communication.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문서 및 제 1 문서에 대한 유사문서가 동일한 화면에 제시되고, 각 문서에 하부 커뮤니티 연결버튼이 구비되어 제 1 문서 및 유사문서의 게시자를 하부 커뮤니티에 초대하거나 의사소통하는 과정이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ocument and similar documents to the first document are presented on the same screen, and each document is provided with a lower community connection button to connect the publisher of the first document and similar documents to the lower community. The process of inviting or communicating can be made more convenient and easier.
또한, 사용자가 온라인 커뮤니티 연결버튼을 선택하면 특정 문서의 게시자를 초대목록에 등록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즉, 사용자가 특정 문서의 게시자를 특정 하부 커뮤니티에 초대하고 싶을 때 해당 특정 문서의 게시자를 초대목록에 등록한 후 특정 하부 커뮤니티에서 초대목록을 조회하고, 초대목록 중에서 특정 문서의 게시자와 해당 게시자가 등록한 문서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문서의 게시자를 선택하여 초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the online community connection button, the function can be provided to register the publisher of a specific document in the invitation list, that is, when the user wants to invite the publisher of a specific document to a specific subcommunity. After registering the publisher of a specific document in the invitation list, the invitation list can be searched in a specific sub-community, and the publisher of the document can be selected and invited from the invitation list based on the publisher of the specific document and the document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publisher. You can.
여기서,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이 특정 하부 커뮤니티에 특정 문서의 게시자를 초대할 때에는 이미 등록해 둔 초대목록에서 게시자를 선택시 해당 하부 커뮤니티에 부합하는 문서를 작성한 게시자만을 선택하여 초대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Here, in particular, when inviting the publisher of a specific document to a specific sub-community as mentioned above, when selecting a publisher from the already registered invitation list, it is necessary to select and invite only the publishers who created documents matching the sub-community. .
즉, 종래의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들은 단순히 초대목록에서 게시자의 정보(닉네임, 아이디 등)만을 제공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사용자가 해당 온라인 커뮤니티의 목적과 초대하려는 게시자가 작성한 문서의 목적이 부합하는지를 초대목록 화면에서 판단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으며, 그로 인해, 사용자가 다른 게시자를 초대하는 경우 해당 게시자가 작성한 문서를 일일이 검색하고 조회하여 내용을 판단한 후 초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In other words, in most cases, conventional online community services simply provide only the publisher's information (nickname, ID, etc.) in the invitation list, so the user can check whether the purpose of the online community and the purpose of the document written by the publisher to be invited are consistent with the invitation list screen. There are limitations that make it difficult to judge, and as a result, when a user invites another publisher, there i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search and view each document written by that publisher to determine the contents before inviting the user.
이에, 본 발명에서는, 하부 커뮤니티에서 비회원을 초대할 때 표시되는 초대목록에도 게시자 정보와 게시문서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별도로 게시자의 게시문서를 조회할 필요 없이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하부 커뮤니티에 부합하는 게시자를 초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SNS 문서 유사도 기반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시스템(10)을 제시하였다.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publisher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posted documents are also provided in the invitation list displayed when inviting non-members in the lower community, making it more convenient and easier for users without the need to separately search the publisher's posted documents. We presented an online community service provision system (10) based on SNS document similarity that allows inviting publishers who fit the subcommunity.
즉,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NS 문서 유사도 기반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시스템(10)의 서비스 서버(12)를 통해 제공되는 온라인 커뮤니티 초대화면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That is, referring to FIG. 4,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n online community invitation screen provided through a service server (12) of an online community service providing system (10) based on SNS document similar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문서를 조회하다가 특정 문서에서 해당 문서를 게시한 게시자를 초대목록에 등록할 때 해당 문서의 게시자 정보뿐만 아니라 그 해당 문서의 정보(제목, 본문, 주요 키워드)를 함께 등록하고, 특정 하부 커뮤니티에서 비회원을 초대할 때 표시되는 초대목록에도 특정 문서를 게시한 게시자 정보와 해당 문서에 대한 정보 및 해당 하부 커뮤니티의 소개문서와의 유사도 정보 등을 함께 제공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로 게시자의 게시문서를 검색하고 조회하여 내용을 판단하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도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하부 커뮤니티의 목적에 부합하는 문서를 작성한 게시자만을 선택하여 초대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searches a document and registers the publisher who posted the document in a specific document to the invitation list, not only the publisher information of the document, but also the information of the document (title, text) , main keywords) are registered together, and the invitation list displayed when inviting non-members to a specific sub-community also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publisher who posted a specific document, information about the document, and information about the similarity with the introduction document of the sub-community. By being configured to provide this, users can more conveniently and easily select and invite only publishers who have created documents that meet the purpose of the lower community without having to separately search and view the publisher's posted documents and judge the contents.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대목록에서 특정 문서에 대한 정보와 함께 하부 커뮤니티의 소개문서와 해당 문서 사이의 문서유사도가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해당 하부 커뮤니티와 부합하는 문서를 작성한 게시자를 더욱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4, the invitation list can be configured to display the document similarity between the introduction document of the subcommunity and the corresponding document along with information about the specific document, and through this, the user can select the document that matches the subcommunity. You can more easily select the publisher who created the document.
아울러,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NS 문서 유사도 기반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시스템(10)의 서비스 서버(12)를 통해 제공되는 특정 하부 커뮤니티 소개문서 표시화면의 구성예로서 가입회원 문서 조회창이 표시되는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5, FIG. 5 is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specific sub-community introduction document display screen provided through the service server 12 of the SNS document similarity-based online community service provis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ase where the registered member document search window is displayed.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부 커뮤니티 내에서 조회되는 개별 문서에 해당 하부 커뮤니티에 대한 소개문서와의 문서유사도가 계산되어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으로부터, 문서를 조회하는 사용자는 하부 커뮤니티상의 여러 문서들이 해당 하부 커뮤니티의 소개문서와 얼마나 유사한지를 용이하게 판단 가능하고, 그것에 의해, 해당 하부 커뮤니티에 보다 부합하는 문서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선택하여 조회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ividual document searched within the sub-community can be configured to calculate and display the document similarity with the introduction document for the corresponding sub-community, and from this configuration, the document search The user can easily determine how similar various documents in the subcommunity are to the introductory document of the corresponding subcommunity, and thereby quickly and easily select and search documents that better match the subcommunity.
더욱이,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은 해당 하부 커뮤니티에 가입한 회원의 문서뿐만 아니라 해당 하부 커뮤니티에 가입하지 않은 비회원이 게시한 문서도 동일하게 문서 조회화면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Moreover, the above-mentioned function can be configured to provide a document inquiry screen not only for documents posted by members who have joined the corresponding sub-community, but also for documents posted by non-members who have not joined the corresponding sub-community.
더 상세하게는,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NS 문서 유사도 기반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시스템(10)의 서비스 서버(12)를 통해 제공되는 특정 하부 커뮤니티 소개문서 표시화면의 구성예로서 비가입회원 문서 조회창이 표시되는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6, FIG. 6 is a display screen of a specific sub-community introduction document provided through the service server 12 of the SNS document similarity-based online community service provis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this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ase where the non-subscribed member document search window is displayed.
즉, SNS나 온라인상의 문서는 특정 하부 커뮤니티에 게시되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문서간 문서유사도가 계산될 수 있으므로, 특정 하부 커뮤니티에 게시된 문서 역시 SNS에 업로드되어 있는 다른 모든 문서와 문서유사도 점수의 산출이 가능하며, 이에, 특정 하부 커뮤니티에 게시된 문서와 특정 하부 커뮤니티에 게시되지 않은 문서도 동일하게 유사문서 조회시 함께 조회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document similarity between documents can be calculated for documents on SNS or online regardless of whether they are posted to a specific sub-community, so documents posted to a specific sub-community are also calculated with a document similarity score with all other documents uploaded to SNS. This is possible, and therefore, documents posted to a specific sub-community and documents not posted to a specific sub-community can be viewed together when searching for similar documents.
이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해당 하부 커뮤니티에 가입하지 않은 비회원의 문서에도 해당 하부 커뮤니티의 소개문서와의 문서유사도가 함께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으로부터, 해당 하부 커뮤니티의 회원은 비회원의 정보(문서 게시자의 정보)와 해당 비회원이 게시한 문서에 대한 정보 및 문서유사도 점수를 동일한 화면에서 모두 확인할 수 있으므로, 하부 커뮤니티에 비회원의 초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이 크게 단축될 수 있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ure 6,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cuments of non-members who have not joined the corresponding sub-community can be configured to display document similarity with the introduction document of the corresponding sub-community, and from this configuration, the corresponding sub-community Community members can check non-member information (document publisher information), information about documents posted by non-members, and document similarity scores all on the same screen, greatly shortening the process of deciding whether to invite non-members to the lower community. It can be.
즉, 하부 커뮤니티의 회원은 비회원이 작성한 문서와 해당 비회원의 정보 및 비회원이 작성한 문서와 해당 하부 커뮤니티의 소개문서와의 문서유사도 정보를 바탕으로 비회원이 작성한 문서가 해당 하부 커뮤니티와 부합하는지를 결정하고 비회원이 게시한 문서의 일측에 표시되어 있는 커뮤니티 초대버튼을 눌러 해당 비회원을 초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비회원을 해당 하부 커뮤니티에 초대하는 과정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member of the sub-community determines whether the document written by the non-member matches the sub-community based on the document written by the non-member, the non-member's information, and the document similarity information between the document written by the non-member and the introduction document of the sub-community, and the non-member You can invite non-members by clicking the community invitation button displayed on one side of this posted document, and through this, the process of inviting non-members to the subcommunity can be done more quickly and easily.
이때, 초대하는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해당 비회원을 초대목록에 등록한 뒤 초대하고자 하는 하부 커뮤니티에서 초대목록을 조회하고, 초대목록 중에서 특정 문서의 게시자와 해당 게시자가 등록한 문서 정보 및 해당 하부 커뮤니티의 소개문서와 해당 문서 사이의 문서유사도를 바탕으로 해당 문서의 게시자를 선택하여 초대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method of inviting is to register the non-member in the invitation list as described above, then search the invitation list in the sub-community to which you want to invite, and among the invitation list, identify the publisher of a specific document, the document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publisher, and the sub-community. Based on the document similarity between the introduction document and the relevant document, the publisher of the relevant document can be selected and invited.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르면, SNS 상에 업로드된 문서들의 유사성을 계산하여 유사한 문서들을 한꺼번에 묶어서 조회할 수 있으며, 유사한 문서들을 게시한 사용자들과 채팅이나 채널 등의 하부 커뮤니티를 보다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으므로 유사한 문서를 게시한 사용자들끼리 원스톱으로 의사소통이 가능해진다. Therefore, from the above-mentioned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milarity of documents uploaded on SNS can be calculated, similar documents can be grouped and searched, and users who have posted similar documents can be connected to sub-communities such as chat or channels. Because it can be created more easily, users who have posted similar documents can communicate in one stop.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해당 하부 커뮤니티의 특성을 나타내는 소개문서와 특정 게시문서와의 문서유사도를 계산하여 해당 하부 커뮤니티에 초대할 비회원을 선정하는데 활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하부 커뮤니티의 회원이 해당 하부 커뮤니티와 부합하는 문서를 게시한 비회원을 선정하여 해당 하부 커뮤니티에 초대하는 과정을 보다 용이하고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ocument similarity between an introduction document re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rresponding sub-community and a specific posted document is calculated and used to select non-members to be invited to the sub-community, so that members of the sub-community can access the sub-community. You can more easily and conveniently proceed with the process of selecting non-members who have posted documents that match and inviting them to the corresponding subcommunity.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하부 커뮤니티에 초대할 비회원을 선정시 조회하는 초대목록에 해당 하부 커뮤니티의 소개문서와 초대의 대상이 되는 비회원이 게시한 문서간의 문서유사도가 표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초대하려는 비회원의 문서가 해당 하부 커뮤니티의 목적에 부합하는지를 사용자가 다시 일일이 확인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vitation list that is searched when selecting a non-member to be invited to a sub-community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document similarity between the introduction document of the sub-community and the document posted by the non-member who is the target of the invitation, so that the non-member to be invited This can eliminate the inconvenience of users having to check again whether the documents meet the purpose of the corresponding subcommunity.
즉,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NS 문서 유사도 기반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시스템(10)의 전체적인 처리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That is, referring to FIG. 7, FIG. 7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processing process of the SNS document similarity-based online community service provid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NS 문서 유사도 기반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방법은, 크게 나누어, 먼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업로드된 특정 문서와 다른 문서들 사이의 유사도 점수를 계산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유사도 계산단계(S10)와, 유사도 계산단계(S10)에서 산출된 유사도 점수에 근거하여 미리 정해진 설정에 따라 유사문서의 목록을 작성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유사문서 목록 작성단계(S20)와, 유사문서 목록 작성단계(S20)를 통해 작성된 목록에서 사용자가 특정 유사문서를 선택하면 해당 문서에 대한 조회화면을 표시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유사문서 조회단계(S30)와, 사용자가 유사문서 조회단계(S30)를 통해 표시되는 유사문서 조회화면에 표시된 커뮤니티 초대버튼을 선택하면 해당 문서를 게시한 게시자를 초대목록에 등록하고, 해당 게시자 정보와 게시문서 정보, 유사도 점수 정보 및 특정 하부 커뮤니티에 대한 소개문서를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초대단계(S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the method for providing an online community service based on SNS document similar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roadly divided into: first, calculating a similarity score between a specific document selected or uploaded by a user and other documents; A similarity calculation step (S10) in which processing is performed, and a similar document list creation step (S20) in which processing is performed to create a list of similar documents according to predetermined settings based on the similarity score calculated in the similarity calculation step (S10). , a similar document search step (S30) in which processing is performed to display a search screen for the document 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similar document from the list created through the similar document list creation step (S20), and the user searches the similar document If you select the community invitation button displayed on the similar document search screen displayed through step (S30), the publisher who posted the document is registered in the invitation list, and the publisher information, posted document information, similarity score information, and information about the specific subcommunity are registere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invitation step (S40) in which processing to display various information including an introduction document is performed.
또한, 상기한 방법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가 특정 하부 커뮤니티에서 해당 하부 커뮤니티의 가입회원이 게시한 문서를 조회하는 경우 해당 하부 커뮤니티에 대한 소개문서와 함께 해당 하부 커뮤니티에 대한 소개문서와의 유사도 점수에 따라 유사문서 목록을 표시하고, 각각의 유사문서에 대하여 게시자 정보, 게시문서 정보 및 해당 하부 커뮤니티에 대한 소개문서와의 유사도 점수 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하부 커뮤니티 가입회원 문서 조회단계와, 사용자가 하부 커뮤니티에서 해당 하부 커뮤니티의 비가입회원이 게시한 문서를 조회하는 경우 해당 하부 커뮤니티에 대한 소개문서와 함께 해당 하부 커뮤니티에 대한 소개문서와의 유사도 점수에 따라 유사문서 목록을 표시하고, 각각의 유사문서에 대하여 게시자 정보, 게시문서 정보, 해당 하부 커뮤니티에 대한 소개문서와의 유사도 점수 정보 및 커뮤니티 초대버튼을 함께 표시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하부 커뮤니티 비가입회원 문서 조회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above method, although not shown, when a user searches a specific sub-community for documents posted by members of the sub-community, an introductory document for the sub-community and an introductory document for the sub-community are provided. A list of similar documents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similarity score, and for each similar document, the publisher information, posted document information, and similarity score information with the introduction document for the corresponding subcommunity are processed to display documents for subcommunity members. Step: When a user searches a subcommunity for documents posted by non-members of the subcommunity, a list of similar documents is displayed along with the introduction document for the subcommunity according to the similarity score with the introduction document for the subcommunity. And, for each similar document, it further includes a sub-community non-member document search step in which processing is performed to display publisher information, posted document information, similarity score information with the introduction document for the corresponding sub-community, and a community invitation button. It can be configured as follows.
여기서, 상기한 각 단계의 보다 구체적인 처리과정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구성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간략히 하기 위해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음에 유념해야 한다. Here, since the more specific processing of each step described above can b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it should be noted that detailed description of overlapping content has been omitted here to simplify the explanation. .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NS 문서 유사도 기반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을 구현할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르면, SNS나 온라인 커뮤니티의 사용들이 온라인에 게시한 특정 문서를 조회시 해당 문서와 다른 문서간의 유사도를 계산하여 해당 문서와 유사한 유사문서 및 해당 문서와 유사문서간의 문서유사성 관련정보를 제공하고, 해당 정보에 근거하여 유사문서를 게시한 사용자를 특정 하부 커뮤니티에 직접 초대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각각의 사용자들이 보다 용이하고 편리하게 유사문서의 게시자들과 온라인 커뮤니티를 생성하고 소통할 수 있는 동시에, 생성된 하부 커뮤니티에 신규회원을 초대하는 과정도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n online community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SNS document similar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b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documents posted online by users of SNS or online communities When searching, the similarity between the relevant document and other documents is calculated to provide similar documents similar to the relevant document and information related to document similarity between the relevant document and similar documents, and based on the information, the user who posted the similar document is assigned to a specific subcommunity. By allowing direct invitation, each user can more easily and conveniently create and communicate with online communities with publishers of similar documents, while also making the process of inviting new members to the created sub-community faster and easier. It can be done.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SNS 문서 유사도 기반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의 상세한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설계상의 필요 및 기타 다양한 요인에 따라 여러 가지 수정, 변경, 결합 및 대체 등이 가능한 것임은 당연한 일이라 하겠다. Above, the details of th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nline community services based on SNS document similar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r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s. Therefore, it is natural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changed, combined, and replaced in various way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 to design needs and various other factors. .
10. SNS 문서 유사도 기반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시스템
11. 사용자 단말기
12. 서비스 서버 10. Online community service provision system based on SNS document similarity
11. User terminal
12. Service server
Claims (14)
각각의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요청하고 제공받기 위한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 및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어 사용자의 요청을 수신하고 해당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PC나 노트북을 포함하는 정보처리장치나, 또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포함하는 정보통신 단말기에 상기 서비스 서버와 연동되는 전용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구성되며,
상기 서비스 서버는,
단어가 언급된 빈도(frequency) 카운트를 이용하는 Bag-of-Words(BOW) 방법, 단어빈도(Term Frequency)-역문헌빈도(Inverse Document Frequency)(TF-IDF) 가중치 모델, 미리 구축된 인공신경망 모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업로드된 제 1 문서와 온라인상에 게시된 다른 문서들 사이의 유사도 점수를 계산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유사도 계산단계;
상기 유사도 계산단계에서 산출된 유사도 점수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문서와 각각의 유사문서의 메타정보에 유사도 점수에 대한 정보를 각각 태깅(tagging)하여 유사문서 목록을 작성하고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유사문서 목록이 표시되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유사문서 목록 작성단계; 및
상기 유사문서 목록 작성단계를 통해 작성된 상기 유사문서 목록에서 사용자가 특정 유사문서를 선택하면 해당 유사문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조회화면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유사문서 조회단계를 포함하는 처리가 수행되고,
상기 유사문서 조회단계는,
상기 제 1 문서의 게시자, 게시시간 및 게시문서 내용과 커뮤니티 초대버튼이 포함된 제 1 문서 조회창과, 상기 제 1 문서와 유사한 유사문서가 표시되는 유사문서 조회창 및 각각의 유사문서에 대한 커뮤니티 초대버튼이 포함된 유사문서 조회화면이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로 유사문서 및 게시자에 대한 검색을 수행할 필요 없이 유사문서를 확인하고 자신이 원하는 유사문서를 게시한 게시자를 초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시스템.
In an online community service provision system that provides online community services based on document similarity,
Multiple user terminals for each user to request and receive desired services;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rvice server that is linked with each user terminal to receive the user's request and perform processing to provide the corresponding service,
The user terminal is,
It is configured by installing a dedicated application program linked to the service server on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cluding a PC or laptop, or 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smartphone or tablet PC,
The service server is,
Bag-of-Words (BOW) method using word frequency counts, Term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 (TF-IDF) weight model, and pre-built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A similarity calculation step in which a similarity score is calculated between a first document selected by the user or uploaded by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other documents posted online, using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Based on the similarity score calculated in the similarity calculation step, information on the similarity score is tagged in the meta information of the first document and each similar document to create a list of similar documents, and the user terminal of the corresponding user is created. A similar document list creation step in which processing is performed to display the similar document list through; and
A similar document search step in which processing is performed so that when a user selects a specific similar document from the similar document list created through the similar document list creation step, a search screen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the similar document is displayed through the user terminal. Processing is performed including,
The similar document search step is,
A first document search window that includes the publisher, posting time, and content of the posted document of the first document and a community invitation button; a similar document search window that displays similar documents similar to the first document; and a community invitation for each similar document. Processing is performed so that a similar document search screen containing a button is displayed through the user's user terminal,
An online community service provision system that allows users to check similar documents and invite publishers who have posted similar documents they want without having to separately search for similar documents and publishers.
상기 유사문서 조회화면은,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내에 생성된 각각의 커뮤니티에 속하는 하부 커뮤니티들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하부 커뮤니티를 선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뮤니티 선택버튼 및 사용자가 원하는 카테고리를 선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 선택버튼이 상기 제 1 문서 조회창의 상단에 각각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
The similar document search screen above is,
At least one community selection button for selecting a sub-community desired by the user among sub-communities belonging to each community created within the online community service provided through the service server, and at least one category for selecting a category desired by the user. An online community service provis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 selection button is displayed at the top of the first document search window.
상기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내에 생성된 각각의 커뮤니티에 속하는 하부 커뮤니티들 중 특정 하부 커뮤니티의 가입회원이 게시한 문서를 조회하는 경우, 상기 유사도 계산단계 및 상기 유사문서 목록 작성단계의 처리를 통해, 해당 하부 커뮤니티에 대한 소개문서와, 상기 소개문서와 상기 제 1 문서와의 유사도 점수에 근거한 유사문서 목록에 더하여,
상기 소개문서와 상기 제 1 문서와의 유사도 점수 정보가 포함된 하부 커뮤니티 가입회원 문서 조회화면이 표시되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됨으로써,
사용자가 조회하는 문서의 내용과 함께 해당 문서가 게시된 하부 커뮤니티에 대한 소개문서와 상기 제 1 문서와의 유사도를 동일한 화면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2,
The service server is,
When a user searches for a document posted by a member of a specific sub-community among the sub-communities belonging to each community created within the online community service provided through the service server, the similarity calculation step and the similar document list creation step Through the processing, in addition to the introduction document for the corresponding subcommunity and the list of similar documents based on the similarity score between the introduction document and the first document,
By performing processing to display a sub-community member document inquiry screen containing similarity score information between the introduction document and the first document,
An online community service providing system, wherein the user can check the content of the document being viewed, as well as the introductory document for the sub-community where the document is posted and the degree of similarity with the first document on the same screen.
상기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내에 생성된 각각의 커뮤니티에 속하는 하부 커뮤니티들 중 특정 하부 커뮤니티의 비가입회원이 게시한 문서를 조회하는 경우, 상기 유사도 계산단계 및 상기 유사문서 목록 작성단계의 처리를 통해, 해당 하부 커뮤니티의 소개문서와, 상기 소개문서와 상기 제 1 문서와의 유사문서 유사도 점수에 근거한 유사문서 목록에 더하여,
상기 소개문서와 상기 제 1 문서와의 유사도 점수 정보 및 커뮤니티 초대버튼이 포함된 하부 커뮤니티 비가입회원 문서 조회화면이 표시되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됨으로써,
사용자가 비회원의 정보와 해당 비회원이 게시한 문서에 대한 정보 및 해당 문서가 게시된 하부 커뮤니티에 대한 소개문서와 상기 제 1 문서와의 유사도 점수를 동일한 화면에서 모두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2,
The service server is,
When a user searches for a document posted by a non-subscriber member of a specific sub-community among the sub-communities belonging to each community created within the online community service provided through the service server, the similarity calculation step and creation of the similar document list Through the processing step, in addition to the introduction document of the corresponding subcommunity and the list of similar documents based on the similarity score of similar documents between the introduction document and the first document,
Processing is performed to display a subcommunity non-member document inquiry screen containing similarity score information between the introduction document and the first document and a community invitation butt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information of the non-member, the information about the document posted by the non-member, the introductory document for the subcommunity where the document is posted, and the similarity score with the first document all on the same screen. Online community service provision system.
상기 유사문서 조회화면은,
상기 제 1 문서와 유사한 유사문서의 개수를 나타내는 유사문서 개수 표시와 사용자가 유사문서를 추천하는 알고리즘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사추천 설정버튼이 상기 제 1 문서 조회창의 하단에 각각 표시되며,
상기 유사추천 설정버튼을 통해 설정된 정렬순서에 따라 유사문서가 정렬되어 상기 유사문서 조회창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
The similar document search screen above is,
A similar document count display indicating the number of similar documents similar to the first document and a similar recommendation setting button for allowing the user to set an algorithm for recommending similar documents are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document search window, respectively,
An online community service providing system, wherein similar documents are sorted according to the sort order set through the similar recommendation setting button and displayed in the similar document search window.
상기 유사문서 조회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유사추천 설정에 따라 정렬되어 상기 유사문서 조회창에 표시되는 각각의 유사문서에 대하여, 해당 유사문서의 게시자, 게시시간, 게시글 내용, 상기 제 1 문서와의 유사도 점수가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함께 표시되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5,
The similar document search step is,
For each similar document sorted according to the similar recommendation settings selected by the user and displayed in the similar document search window, the publisher, posting time, posting content, and similarity score with the first document of the similar document are determined by the user. An online community service provis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processing is performed to display together through a user terminal.
상기 유사문서 조회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유사추천 설정에 따라 정렬되어 상기 유사문서 조회창에 표시되는 각각의 유사문서에 대하여, 상기 제 1 문서와 해당 유사문서간의 공통된 키워드 및 해당 유사문서에는 포함되어 있으나 상기 제 1 문서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은 공통되지 않은 키워드 정보가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함께 표시되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5,
The similar document search step is,
For each similar document sorted according to the similar recommendation settings selected by the user and displayed in the similar document search window, common keywords between the first document and the similar document and keywords included in the similar document but not in the first document are included. An online community service provis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processing is performed so that non-common keyword information that is not included is displayed together through the user terminal of the user.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조회화면에 표시된 커뮤니티 초대버튼을 선택하면 해당 유사문서를 게시한 게시자 정보와 게시문서 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정보가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함께 표시되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초대단계를 더 포함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
When a user selects the community invitation button displayed on the inquiry screen through his/her user terminal, various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publisher who posted the similar document and information on the posted document are processed to be displayed together through the user's user terminal. An online community service provis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processing further includes an invitation step being performed.
상기 초대단계는,
사용자가 특정 유사문서에 대하여 커뮤니티 초대버튼을 선택하면 해당 유사문서를 게시한 게시자를 해당 사용자의 초대목록에 등록하고,
사용자가 상기 초대목록을 조회하면, 상기 유사도 계산단계 및 상기 유사문서 목록 작성단계의 처리를 통해, 상기 초대목록에 등록된 해당 유사문서를 게시한 게시자 정보와, 해당 게시자가 게시한 게시문서 및 상기 커뮤니티 초대버튼에 설정된 하부 커뮤니티에 대한 소개문서와 상기 제 1 문서와의 유사도 점수가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함께 표시되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9,
The invitation step is,
When a user selects the community invitation button for a specific similar document, the publisher who posted the similar document is registered in the user's invitation list.
When a user searches the invitation list, through processing of the similarity calculation step and the similar document list creation step, information on the publisher who posted the similar document registered in the invitation list, the posted document posted by the publisher, and the above An online community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processing is performed so that an introduction document for a lower community set in a community invitation button and a similarity score with the first document are displayed together through the user terminal of the corresponding user.
상기 유사문서 조회단계는,
사용자가 특정 카테고리에 대한 카테고리 선택버튼을 선택하면,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해당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문서만 표시되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2,
The similar document search step is,
An online community service provision system, wherein when a user selects a category selection button for a specific category, processing is performed to display only documents corresponding to that category through the user's user terminal.
상기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업로드된 제 1 문서와 온라인상에 게시된 다른 문서들 사이의 유사도 점수를 계산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유사도 계산단계;
상기 유사도 계산단계에서 산출된 유사도 점수에 근거하여 유사문서의 목록을 작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표시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유사문서 목록 작성단계;
상기 유사문서 목록 작성단계를 통해 작성된 목록에서 사용자가 특정 유사문서를 선택하면 해당 유사문서에 대한 조회화면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표시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유사문서 조회단계;
사용자가 상기 유사문서의 조회화면에 표시된 커뮤니티 초대버튼을 선택하면 해당 유사문서를 게시한 게시자 정보와 게시문서 정보 및 해당 유사문서가 게시된 커뮤니티에 대한 소개문서와 상기 제 1 문서와의 유사도 점수를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함께 표시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초대단계;
사용자가 특정 커뮤니티의 가입회원이 게시한 문서를 조회하는 경우 해당 커뮤니티에 대한 소개문서와 상기 제 1 문서와의 유사도 점수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함께 표시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가입회원 문서 조회단계; 및
사용자가 특정 커뮤니티의 비가입회원이 게시한 문서를 조회하는 경우 해당 커뮤니티에 대한 소개문서와 상기 제 1 문서와의 유사도 점수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함께 표시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비가입회원 문서 조회단계를 포함하는 처리가 상기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서비스 서버를 통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방법.
In the method of providing an online community service using the online community service provision system described in claim 1,
A similarity calculation step in which a similarity score is calculated between a first document selected or uploaded by a user through a user terminal of the online community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other documents posted online;
A similar document list creation step in which a list of similar documents is created based on the similarity score calculated in the similarity calculation step and displayed through the user terminal;
A similar document search step in which, when a user selects a specific similar document from the list created through the similar document list creation step, a search screen for the similar document is displayed through the user terminal;
When the user selects the community invitation button displayed on the search screen of the similar document, information on the publisher who posted the similar document, information on the posted document, an introduction document for the community where the similar document was posted, and a similarity score between the first document and the first document are calculated. An invitation step in which processing is performed to display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ogether through the user terminal;
A member document search step in which, when a user searches a document posted by a member of a specific community, an introduction document for the community and a similarity score with the first document are displayed together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When a user searches a document posted by a non-subscribed member of a specific community, a non-subscribed member document search step is performed to display the introduction document for the relevant community and the similarity score with the first document through the user terminal. An online community service provis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processing including is performed through a service server of the online community service provision system.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94571A KR102690978B1 (en) | 2023-07-20 | 2023-07-20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nline community service based on SNS document similarity |
PCT/KR2024/010451 WO2025018835A1 (en) | 2023-07-20 | 2024-07-19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nline community service based on sns document similarit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94571A KR102690978B1 (en) | 2023-07-20 | 2023-07-20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nline community service based on SNS document similarit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90978B1 true KR102690978B1 (en) | 2024-08-05 |
Family
ID=92378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94571A Active KR102690978B1 (en) | 2023-07-20 | 2023-07-20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nline community service based on SNS document similarity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690978B1 (en) |
WO (1) | WO2025018835A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34477A (en) * | 2010-10-01 | 2012-04-12 | 엔에이치엔(주)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ocument based on personal network |
KR101632889B1 (en) | 2015-12-28 | 2016-06-23 | 주식회사 실리콘큐브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Game Service using SNS |
KR101815478B1 (en) | 2016-11-16 | 2018-01-05 | 넷마블게임즈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online community service corresponding game user group |
KR102347306B1 (en) * | 2021-02-19 | 2022-01-06 | 주식회사 문토 | Method of matching meeting members and system thereof using big data |
KR20230022353A (en) * | 2021-08-06 | 2023-02-15 | 주식회사 시어스랩 |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service that automatically creates highly accurate user-participating virtual space based on user preferences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282544A (en) * | 2009-06-08 | 2010-12-16 |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 Community classification device, community classification method, and community classification program |
KR20160037457A (en) * | 2014-09-29 | 2016-04-06 | (주)링크소프트 | digital docum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
KR102226606B1 (en) * | 2020-08-06 | 2021-03-11 | 주식회사 글로쿼드텍 | Home gateway apparatus, sensor terminal, and method thereof |
-
2023
- 2023-07-20 KR KR1020230094571A patent/KR102690978B1/en active Active
-
2024
- 2024-07-19 WO PCT/KR2024/010451 patent/WO2025018835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34477A (en) * | 2010-10-01 | 2012-04-12 | 엔에이치엔(주)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ocument based on personal network |
KR101632889B1 (en) | 2015-12-28 | 2016-06-23 | 주식회사 실리콘큐브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Game Service using SNS |
KR101815478B1 (en) | 2016-11-16 | 2018-01-05 | 넷마블게임즈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online community service corresponding game user group |
KR102347306B1 (en) * | 2021-02-19 | 2022-01-06 | 주식회사 문토 | Method of matching meeting members and system thereof using big data |
KR20230022353A (en) * | 2021-08-06 | 2023-02-15 | 주식회사 시어스랩 |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service that automatically creates highly accurate user-participating virtual space based on user preferenc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5018835A1 (en) | 2025-01-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Lury et al. | Algorithmic personalization as a mode of individuation | |
Ning et al. | PersoNet: Friend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big-five personality traits and hybrid filtering | |
KR101917271B1 (en) | System and method for computing ratings and rankings of member profiles in an Internet-based social network service, and record medium for same | |
Lup et al. | Instagram# instasad?: exploring associations among instagram use, depressive symptoms, negative social comparison, and strangers followed | |
US9529910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an expert-informed information acquisition engine utilizing an adaptive torrent-based heterogeneous network solution | |
RU2627717C2 (en) |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 generation of recommendations | |
KR102107848B1 (en) | Book Recommendation Service Method | |
Bozzon et al. | Choosing the right crowd: expert finding in social networks | |
KR101865710B1 (en) | System and method for directing content to users of a social networking engine | |
US20080270038A1 (en) |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compatibility between members of a social network | |
CN109688479B (en) | A bullet screen display method, a bullet screen display device and a bullet screen display server | |
Kanetkar et al. | Web-based personalized hybrid book recommendation system | |
Yang et al. | A social recommender system by combining social network and sentiment similarity: A case study of healthcare | |
JP6028582B2 (en) | Server apparatus, program, and communication system | |
WO2016052149A1 (en) | Commodity recommendation device and commodity recommendation method | |
JP2008242521A (en) | Internet communication server and community recommendation method | |
US20180260419A1 (en) | Constructing a database of verified individuals | |
JP2018037076A (en) | SNS portal system | |
KR20140004601A (en) | System and method for matching users having matter of common interest and change of talent using tag applicable to mobile messenger | |
Prando et al. | Content-based Recommender System using Social Networks for Cold-start Users. | |
Hong et al. | GRSAT: a novel method on group recommendation by social affinity and trustworthiness | |
JP5048852B2 (en) | Search device, search method, search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the program | |
Chang et al. | Using heterogeneous social media as auxiliary information to improve hotel recommendation performance | |
Jamjuntra et al. | Social network user identification | |
KR102690978B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nline community service based on SNS document similarit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7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3072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407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4072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4072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7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7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