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98673B1 - Transmition system for alarm signals from facilities - Google Patents
Transmition system for alarm signals from faciliti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98673B1 KR102698673B1 KR1020220045466A KR20220045466A KR102698673B1 KR 102698673 B1 KR102698673 B1 KR 102698673B1 KR 1020220045466 A KR1020220045466 A KR 1020220045466A KR 20220045466 A KR20220045466 A KR 20220045466A KR 102698673 B1 KR102698673 B1 KR 1026986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alarm
- transmitter
- setting unit
- rela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02—Monitoring continuous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비의 경보 신호 송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교체 가능한 릴레이부를 이용하여 경보 신호의 종류와 레벨에 차이가 있는 설비들의 경보 신호 발생 여부를 검출하고, 검출된 결과를 무선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송신부의 검출 결과를 수신하여, 각 설비들의 경보 신호 발생 여부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의 출력에 따라 각각 상기 설비들을 나타내는 램프에 경보 신호 발생을 표시하는 경보 표시부와,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에 푸시 알림을 제공하는 경보 푸시 알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larm signals for equipment, and may include a transmitter that detects whether alarm signals have been generated for equipment having different types and levels of alarm signals using a replaceable relay unit and wirelessly transmits the detection results, a receiver that receives the detection results of the transmitter and outputs a signal indicating whether alarm signals have been generated for each equipment, an alarm display unit that displays the occurrence of an alarm signal on a lamp representing each of the equipment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receiver unit, and an alarm push notification unit that provides a push notification to a user terminal on which a dedicated application is install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설비의 경보 신호 송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설비들의 경보 방식 차이에 무관하게 경보 상태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arm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for equipment, and more specifically, to a system capable of integrated management of alarm status regardless of differences in alarm methods of equipment.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에서는 다양한 설비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설비들은 각각 이상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발생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In general, various types of equipment are used in industrial sites. Each of these equipments includes an alarm generating means that generates an alarm when an abnormality occurs.
예를 들어 경보 발생 수단은 무전압 접점방식을 사용하거나, DC 전압 또는 AC 전압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larm generating means may use a voltage-free contact method or may output a voltage of DC voltage or AC voltage.
또한, DC 또는 AC 전압을 출력하더라도 각 설비마다 DC 전압값 또는 AC 전압값의 출력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출력 전압의 주파수에도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경보 발생시 연속 경보음 형태나 파생경보음 형태등 다양한 경보 발생 형태 차이를 나타낸다.In addition, even if DC or AC voltage is output, there may be differences in the output of DC voltage or AC voltage for each facility, and there may also be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the output voltage. Therefore, when an alarm occurs, there are various differences in the types of alarm occurrence, such as continuous alarm sound or derivative alarm sound.
통상 설비의 알람은 무인으로 관리되기 때문에 경비실 또는 사무실에서는 비상 경보나 설비 알람을 쉽게 인지할 수 없으며, 따라서 설비 경보 발생을 특정한 모니터링 위치(경비실 등)로 알릴 수 있는 기술적 수단들이 요구되고 있다.Since equipment alarms are usually managed unmanned, it is not easy to recognize emergency alarms or equipment alarms in the security room or office. Therefore, technical means are required to notify the occurrence of equipment alarms to a specific monitoring location (such as the security room).
설비들의 알람 포트를 유선으로 모니터링 위치까지 연결하는 방식은 배선의 어려움, 배선 작업 시간의 지연 등 다양한 어려움이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설비의 경보 발생을 모니터링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The method of connecting the alarm ports of the equipment to the monitoring location by wire has various difficulties such as difficulty in wiring and delay in wiring work time. To solve these problems, a technology for monitoring the occurrence of alarms in the equipment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has been proposed.
예를들어 공개특허 10-2021-0108861호(2021년 9월 3일 공개, 산업설비 및 장치 감시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에는 산업설비 및 장치의 비정상적 현상 또는 상황을 감시하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송신하는 시스템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For example,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108861 (published on September 3, 2021, Industrial Facilities and Devices Monitoring Alarm System and Method) describes a system that monitors abnormal phenomena or situations in industrial facilities and devices and transmits them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그러나 위의 공개특허에서는 하나의 감시 대상 설비의 경보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으나, 다수의 설비들의 각기 다른 다양한 경보 출력을 고려하지 않은 것이며, 따라서 다수 설비의 경보를 동시에 모니터링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 public patent can provide a means to monitor the alarm status of one surveillance target facility, but it does not consider the various different alarm outputs of multiple facilities, and therefore has the disadvantage of not being able to monitor alarms of multiple facilities simultaneously.
상기와 같은 요구를 감안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각각 다른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산업 설비들의 경보신호를 수집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The problem that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solve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mentioned needs is to provide a system capable of collecting and monitoring alarm signals of industrial facilities that each output different alarm signals.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설비의 경보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릴레이를 포함하되, 산업 설비의 경보 신호 전압 종류 및 레벨에 맞게 릴레이를 외부에서 교체 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system including a relay that operates according to an alarm signal of a facility, wherein the relay can be replaced externally according to the type and level of alarm signal voltage of the industrial facility.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 설비의 경보 신호 송수신 시스템은, 교체 가능한 릴레이부를 이용하여 경보 신호의 종류와 레벨에 차이가 있는 설비들의 경보 신호 발생 여부를 검출하고, 검출된 결과를 무선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송신부의 검출 결과를 수신하여, 각 설비들의 경보 신호 발생 여부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의 출력에 따라 각각 상기 설비들을 나타내는 램프에 경보 신호 발생을 표시하는 경보 표시부와,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에 푸시 알림을 제공하는 경보 푸시 알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s, the alarm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of the equip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ransmitter which detects whether alarm signals have occurred in equipment having different types and levels of alarm signals using a replaceable relay unit and wirelessly transmits the detection result, a receiver which receives the detection result of the transmitter and outputs a signal regarding whether alarm signals have occurred in each equipment, an alarm display unit which displays the occurrence of an alarm signal on a lamp representing each equipment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receiver unit, and an alarm push notification unit which provides a push notification to a user terminal on which a dedicated application is install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설비들 각각의 경보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 단자들을 포함하는 입력부와, 상기 경보 신호에 따라 접점 상태가 가변되는 다수의 교체 가능한 릴레이로 구성되는 제1릴레이부와, 상기 제1릴레이부를 통해 전압 입력부의 전압을 입력받아 경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버퍼부와, 상기 제1버퍼부의 경보 데이터를 제1무선 통신부를 통해 송신하는 제1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tter may include an input unit including input terminals into which an alarm signal of each of the facilities is input, a first relay unit configured with a plurality of replaceable relays whose contact states change according to the alarm signal, a first buffer unit that receives a voltage of a voltage input unit through the first relay unit and stores alarm data, and a first control unit that transmits the alarm data of the first buffer unit throug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송신부의 경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무선 통신부와, 설정에 따라 상기 경보 데이터를 해석하여, 제2버퍼에 저장하는 제2제어부와, 상기 제2버퍼에 저장된 경보 데이터에 따라 제2릴레이부를 구동하여, 상기 경보 표시부의 램프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릴레이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unit may include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alarm data from the transmitting unit, a second control unit that interprets the alarm data according to settings and stores it in a second buffer, and a relay driving unit that controls power supply to a lamp of the alarm display unit by driving a second relay unit according to the alarm data stored in the second buffer.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1제어부와 제2제어부 각각의 주파수를 설정하는 제1주파수 설정부 및 제2주파수 설정부와, 제1제어부와 제2제어부 각각의 통신 ID를 설정하는 제1ID 설정부 및 제2ID 설정부와, 제1제어부와 제2제어부 각각의 통신 옵션을 설정하는 제1옵션 설정부 및 제2옵션 설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may include a first frequency setting unit and a second frequency setting unit that set frequencies of each of the first control unit and the second control unit, a first ID setting unit and a second ID setting unit that set communication IDs of each of the first control unit and the second control unit, and a first option setting unit and a second option setting unit that set communication options of each of the first control unit and the second control unit.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주파수 설정부, 제2주파수 설정부, 제1ID 설정부, 제2ID 설정부, 제1옵션 설정부 및 제2옵션 설정부는, 다수의 핀 스위치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각각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requency setting unit, the second frequency setting unit, the first ID setting unit, the second ID setting unit, the first option setting unit, and the second option setting unit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in switches so that each function can be set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본 발명은 다수의 설비들에서 서로 다른 방식의 경보 신호를 수집하여 무선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송신부의 무선 송신 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되, 적어도 상기 송신부는 설비들의 경보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릴레이들을 포함하고, 릴레이를 설비의 경보 신호의 종류에 따라 외부에서 교체 가능한 것으로 함으로써, 경보 신호의 종류 및 레벨이 상이한 다수의 설비들의 경보 발생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ransmitter that collects alarm signals of different types from a plurality of facilities and wirelessly transmits them, and a receiver that receives and displays the wireless transmission signal of the transmitter, wherein at least the transmitter includes relays that operate according to the alarm signals of the facilities, and the relays are externally replaceabl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alarm signal of the facility, thereby enabling the monitoring of alarm occurrences of a plurality of facilities having different types and levels of alarm signal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설비의 경보 신호 송수신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송신부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수신부의 블록 구성도이다.Figure 1 is a block diagram of an alarm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of a facilit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the transmitter in Figure 1.
Figure 3 is a block diagram of the receiver in Figure 1.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를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configuration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can have various changes. However,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is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so that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ll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mponents are illustrated with their actual sizes enlarg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ratio of each component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는 위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위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may only b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In addi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The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mmonly known to a person skilled in the art, unless otherwise defined.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비의 경보 신호 송수신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alarm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of an equipm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설비의 경보 신호 송수신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Figure 1 is a block diagram of an alarm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of a facilit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다수의 설비(1) 또는 센서의 신호의 경보 신호를 입력받아 설정에 따라 송신하되, 설비 또는 센서의 경보 신호의 종류와 무관하게 수집하여 송신하는 송신부(100)와, 상기 송신부(100)와는 원격지에 위치하며, 송신부(100)의 경보신호를 수신하고 경보 발생 설비(1)를 확인하는 수신부(200)와, 상기 수신부(200)에서 확인된 경보가 발생한 설비에 해당하는 경보를 표시하는 경보 표시부(300)와, 상기 수신부(200)에서 확인된 경보가 발생한 설비에 해당하는 푸시 알림을 사용자 단말(600)로 제공하는 경보 푸시 알림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ransmitter (100) that receives alarm signals of signals from a plurality of facilities (1) or sensors and transmits them according to settings, but collects and transmits them regardless of the type of alarm signal of the facilities or sensors, a receiver (200) located remotely from the transmitter (100) and receives the alarm signal of the transmitter (100) and identifies the facility (1) that has generated an alarm, an alarm display unit (300) that displays an alarm corresponding to the facility in which an alarm has occurred, identified by the receiver (200), and an alarm push notification unit (400) that provides a push notification corresponding to the facility in which an alarm has occurred, identified by the receiver (200), to a user terminal (600).
미설명 부호 500은 설정부이며, 송신부(100)와 수신부(200)를 필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The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설비의 경보 신호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alarm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of the equip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설비(1)는 다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때 설비(1)의 경보 수단은 송신부(100)의 입력단에 직결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First, the equipment (1) can be provided in multiple numbers, and in this case, the alarm means of the equipment (1)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transmitter (100).
본 발명은 설비(1)의 경보 수단의 신호를 송신부(100)에서 직접 입력받는 것으로 설명하나, 설비(1)에 설치된 센서(도면 미도시)의 검출신호를 직접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receiving a signal from an alarm means of the equipment (1) directly from the transmitter (100), but it is also possible to directly receive a detection signal from a sensor (not shown in the drawing) installed in the equipment (1).
설비(1)들의 경보 수단(또는 센서)의 출력은 모두 동일한 방식을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특징적인 작용과 효과의 설명을 위하여 설비(1)들은 일부 또는 전부가 각각 서로 다른 방식의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The output of the alarm means (or sensors) of the equipment (1) may all have the same method, but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characteristic operation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 or all of the equipment (1) are explained as outputting alarm signals of different methods.
예를 들어 설비(1)의 경보 신호는 전압일 수 있으며, DC 전압, AC 전압으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예로들어 DC 전압의 경우에도 12V 출력 또는 24V 출력 등 출력 전압 레벨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For example, the alarm signal of the equipment (1) may be a voltage, and may differ between DC voltage and AC voltage. Also, for example, in the case of DC voltage, there may be differences in the output voltage level, such as 12 V output or 24 V output.
본 발명에서 송신부(100)는 적당한 처리에 의하여 경보 신호의 종류나 레벨과 무관하게 경보 신호 발생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tter (100) can monitor the occurrence of an alarm signal regardless of the type or level of the alarm signal through appropriate processing.
도 2는 송신부(100)의 블록 구성도이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transmitter (100).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송신부(100)는 상기 설비(1)들 각각의 경보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120)와, 상기 경보 신호에 따라 열림 또는 닫힘 상태로 제어되는 다수의 릴레이를 포함하는 릴레이부(130)와, 상기 릴레이부(130)의 상태에 따른 전압 입력부(140)의 입력전압을 버퍼링하는 버퍼(160)와, 설정에 따른 주파수 및 ID로 상기 버퍼(160)의 검출 데이터를 무선 통신부(170)를 통해 송신하는 제어부(110)와, 상기 제어부(110)의 통신 주파수를 설정하는 주파수 설정부(111)와, 제어부(110)의 통신 ID를 설정하는 ID 설정부(112)와, 통신 옵션을 설정하는 옵션 설정부(113)와, 설정부(500)의 설정을 입력받는 설정 입력부(1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2, the transmitt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n input unit (120) into which an alarm signal of each of the facilities (1) is input, a relay unit (130) including a plurality of relays controlled to be open or closed according to the alarm signal, a buffer (160) for buffering an input voltage of a voltage input unit (140)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relay unit (130), a control unit (110) for transmitting detection data of the buffer (16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0) with a frequency and ID according to settings, a frequency setting unit (111) for setting a communication frequency of the control unit (110), an ID setting unit (112) for setting a communication ID of the control unit (110), an option setting unit (113) for setting a communication option, and a setting input unit (114) for receiving settings of the setting unit (500).
상기 릴레이부(130)의 릴레이들은 양단이 체결부(150)에 의해 체결되며, 필요에 따라 외부에서 개별 교체될 수 있다.The relays of the above relay unit (130) are connected at both ends by a connecting unit (150) and can be individually replaced externally as needed.
이와 같은 송신부(100)의 구성과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transmitter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입력부(120)는 다수의 입력 단자를 포함하며, 입력 단자들 각각에는 앞서 설명한 설비(1)들의 경보 수단에 연결되어 경보 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한다.The input unit (120) includes a plurality of input terminals, and each of the input terminals is connected to an alarm means of the equipment (1) described above to input an alarm signal.
이때, 경보 신호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DC 전압, AC 전압 등의 전기적 신호일 수 있으며, 전압 레벨에도 차이가 있다.At this time, the alarm signal can be an electrical signal such as DC voltage or AC voltage as explained above, and there are also differences in voltage levels.
본 발명의 송신부는 다수의 릴레이가 전압 입력부(140)와, 버퍼(160)의 사이에 위치하며, 입력부(120)의 입력 단자 각각을 통해 입력된 경보 신호에 의해 릴레이가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가 되도록 한다.The transmi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relays positioned between the voltage input unit (140) and the buffer (160), and causes the relays to be opened or closed by an alarm signal input through each input terminal of the input unit (120).
상기 릴레이부(130)의 릴레이들은 양단이 커넥터인 체결부(150)에 결합되어 전압 입력부(140)와 버퍼(160) 사이에 배치된다.The relays of the above relay unit (130) are connected to a connecting unit (150) with connectors at both ends and are placed between the voltage input unit (140) and the buffer (16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설비(1)들의 경보 신호는 서로 다른 것으로 하며, 설치시 각 설비(1)의 경보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릴레이부(130)의 릴레이들을 경보 신호에 따라 절환 될 수 있는 스펙의 릴레이로 교체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As explained above, the alarm signals of the equipment (1)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relays of the relay unit (130) operated by the alarm signal of each equipment (1) during installation can be replaced with relays having specifications that can be switched according to the alarm signal.
예를 들어 경보 신호가 DC 12V인 설비(1)에 대응하는 릴레이는 DC 12V가 인가되면 닫히거나 또는 열리는 릴레이를 사용하며, DC 24V의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설비에 대응하는 릴레이는 DC 24VDML 입력시 닫히거나 열리는 릴레이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For example, a relay corresponding to equipment (1) whose alarm signal is DC 12 V can be replaced with a relay that closes or opens when DC 12 V is applied, and a relay corresponding to equipment that outputs an alarm signal of DC 24 V can be replaced with a relay that closes or opens when DC 24 V is input.
따라서 송신부(100)는 경보 신호의 종류에 무관하게 모든 설비의 경보 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Therefore, the transmitter (100) can collect alarm signals from all facilities regardless of the type of alarm signal.
전압 입력부(140)는 일정한 정전압을 출력하는 것으로 하며, 릴레이부(130)를 구성하는 릴레이들의 상태에 따른 전압신호가 버퍼(160)에 수신된다.The voltage input section (140) outputs a constant voltage, and a voltage signal according to the status of the relays constituting the relay section (130) is received in the buffer (160).
예를 들어 설비#1에 경보신호가 발생하고 다른 설비들은 경보 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면, 버퍼(160)에 수신된 데이터는 1, 0, 0,.., 0 또는 반대로 0, 1, 1,.., 1이 된다.For example, if an alarm signal is generated in
제어부(110)는 무선 통신부(170)를 통해 버퍼(160)에 수신된 검출 데이터를 송신한다.The control unit (110) transmits the detection data received to the buffer (16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0).
이때 송신 주파수는 주파수 설정부(111)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주파수 설정부(111)는 핀 스위치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핀 설정을 변경하여 통신 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ransmission frequency can be set by the frequency setting unit (111). The frequency setting unit (111) can be a pin switch, and the user can set the communication frequency by changing the pin setting.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송신부(100)가 하나인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때 원활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각 송신부(100)마다 통신 주파수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The drawing show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transmitt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e, but if necessary, it may be provided in multiple units, and in this case, in order to perform smooth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frequency may be set differently for each transmitter (100).
이때의 주파수는 3개의 밴드와 각 밴드에서 복수의 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다. 만약 32개 주파수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5개의 핀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The frequency at this time can be set to 3 bands and multiple frequencies in each band. If 32 frequencies are to be set, 5 pin switches can be used.
또한, ID 설정부(112)를 통해 송신부(100)의 ID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D 설정부(112)로 5개의 핀 스위치를 사용하는 경우, 32개의 서로 다른 ID를 설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32개의 송신부(100)를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D of the transmitter (100) can be set through the ID setting unit (112). For example, when five pin switches are used as the ID setting unit (112), 32 different IDs can be set, and thus 32 transmitters (100) can be used.
그리고 주파수 설정부(111)를 이용하여 송신부(100)의 송신 주파수 채널을 단일 채널 또는 2채널 송신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는 송수신 주파수를 동일하게 사용하거나 송신 주파수 채널과 수신 주파수 채널을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And, using the frequency setting unit (111), the transmission frequency channel of the transmitter (100) can be set to single channel or two-channel transmission. This allows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frequencies to be used the same or the transmission frequency channel and the reception frequency channel to use different frequencies.
옵션 설정부(113) 역시 다수의 핀 스위치를 포함하며, 옵션 설정부(113)의 핀 스위치를 조작하여 송신부(100)로부터 수신부(200)로의 일방향 통신만 가능하도록 설정하거나, 송신부(100)와 수신부(200)의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The option setting unit (113) also includes a number of pin switches, and by manipulating the pin switches of the option setting unit (113), only one-way communication from the transmitter (100) to the receiver (200) can be set to be possible, or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the transmitter (100) and the receiver (200) can be set to be possible.
또한, 옵션 설정부(113)를 이용하여 송신전 감지(LBT)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 수 있다. 알려진 바와 같이 LBT는 송신전 동일한 주파수의 신호가 주변에 있는지 확인하는 기능이다.Additionally, the option setting section (113) can be used to activate or deactivate the beam-before-transmission (LBT) function. As is known, LBT is a function that checks whether there is a signal of the same frequency in the surroundings before transmission.
또한, 옵션 설정부(113)는 상기 버퍼(160)에 수신된 데이터의 송신 방식을 직렬 또는 병렬 방식으로 송신할 것을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tion setting unit (113) can set the transmission method of data received in the buffer (160) to be transmitted in a serial or parallel manner.
이러한 옵션 설정부(113)의 설정 기능 일부는 설정부(500)에서 설정할 수 있다.Some of the setting functions of this option setting section (113) can be set in the setting section (500).
상기 설정부(500)는 송신부(100)와 수신부(200)의 제어부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이때 설정입력부(114)는 시리얼 포트일 수 있다.The above setting unit (500) may be a computing device having a program installed that can change the control unit settings of the transmitter (100) and receiver (200). At this time, the setting input unit (114) may be a serial port.
이처럼 송신부(100)는 주파수 설정부(111), ID 설정부(112), 옵션 설정부(113), 설정 입력부(114)에 의하여 설정된 통신 설정에 따라 데이터를 송신한다.In this way, the transmitter (100) transmits data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settings set by the frequency setting unit (111), ID setting unit (112), option setting unit (113), and setting input unit (114).
도 3은 수신부(200)의 블록 구성도이다.Figure 3 is a block diagram of a receiver (200).
이를 참조하면, 수신부(200)는, 송신부(100)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220)와, 수신된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버퍼(230)와, 상기 버퍼(230)의 데이터에 따라 릴레이부(250)를 구동하여, 정보 표시부(300)에 경보 상태를 표시하는 릴레이부(250)와, 상기 무선 통신부(220)를 통한 통신을 제어하는 제어부(210)와, 상기 제어부(210)의 주파수 설정을 변경하는 주파수 설정부(211)와, 통신 ID를 설정하는 ID 설정부(212)와, 통신 옵션을 설정하는 옵션 설정부(213)와, 상기 설정부(500)로부터 설정을 입력받는 설정 입력부(214)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is, the receiving unit (2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that receives data from the transmitting unit (100), a buffer (230) that buffers the received data, a relay unit (250) that drives a relay unit (250) according to the data of the buffer (230) to display an alarm status on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300), a control unit (210) that controls communicatio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a frequency setting unit (211) that changes the frequency setting of the control unit (210), an ID setting unit (212) that sets a communication ID, an option setting unit (213) that sets a communication option, and a setting input unit (214) that receives settings from the setting unit (500).
이와 같은 수신부(200)의 구성에서 제어부(210)는 주파수 설정부(211)의 핀 스위치 상태에 따라 수신 주파수를 결정한다. 주파수 설정부(211)를 이용하여 단일채널 또는 2채널 송수신이 가능할 수 있다.In the configuration of the receiver (200)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210) determines the reception frequency according to the pin switch state of the frequency setting unit (211). Single-channel or two-channel transmission and reception can be possible using the frequency setting unit (211).
또한, ID 설정부(212)의 핀 스위치 상태에 따라 수신부(200)의 ID가 설정된다. 수신부(200)의 ID는 옵션 설정부(213)에서 양방향 통신 설정이 있을 때, 수신부(200)의 통신 ID를 설정한다.In addition, the ID of the receiver (200) is set according to the pin switch status of the ID setting unit (212). The ID of the receiver (200) sets the communication ID of the receiver (200) when there is a two-way communication setting in the option setting unit (213).
옵션 설정부(213)의 기능은 송신부(100)의 옵션 설정부(113)의 기능과 동일할 수 있으며, 특징적으로 수신된 데이터의 해석을 설정할 수 있는 데이터 해석 옵션을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The function of the option setting unit (213) may be the same as the function of the option setting unit (113) of the transmitter (100), and is specifically configured to be able to set a data interpretation option that can set the interpretation of received data.
데이터 해석 옵션은 잡음이나 기타의 원인으로 인한 경보 신호 검출 오류에 의해 경보 표시부(300)에 경보 표시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data interpretation option is intended to prevent an alarm from being displayed on the alarm display unit (300) due to an alarm signal detection error caused by noise or other causes.
예를 들어, 특정한 설비(1)의 경보 신호가 특정한 주파수를 가지는 것일 때, 상기 송신부(100)의 송신 데이터에서 해당 설비의 경보 신호는 고전위와 저전위를 반복하는 신호가 되며, 이러한 형태의 신호는 통신 오류나 기타 주변의 전자기적 분위기에 따라 발생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n alarm signal of a specific facility (1) has a specific frequency, the alarm signal of the facility in the transmission data of the transmitter (100) becomes a signal that repeats high and low potentials, and this type of signal may occur due to a communication error or other surrounding electromagnetic atmosphere.
옵션 설정부(213)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경보 신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때, 연속신호를 경보 신호로 판단하거나, 점멸신호를 경보 신호로 판단할 수 있도록 선택할 수 있으며, 특히 점멸신호의 경우 경보 신호의 판단을 유보하여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동일한 패턴의 점멸신호가 입력되면 경보 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판단은 제어부(210)에서 이루어진다.When determining whether an alarm signal has occurred using data received from the option setting unit (213), it is possible to select whether a continuous signal is determined as an alarm signal or a flashing signal is determined as an alarm signal.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flashing signal, the judgment of the alarm signal can be reserved, and if a flashing signal of the same pattern is input even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it can be determined as an alarm signal. This judgment is made in the control unit (210).
또한, 옵션 설정부(213)를 이용하여 수신부(200)의 출력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즉, 경보 표시부(300)에 경보가 표시되는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put time of the receiver (200) can be determined using the option setting unit (213). That is, the time at which an alarm is displayed on the alarm display unit (300) can be determined.
예를 들어 표시가 시작된 후 10초 또는 20초 경과 후 표시를 종료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you can set it to end after 10 or 20 seconds from the time the display starts.
이러한 설정은 옵션 설정부(213)의 핀 스위치 조작 및 제어부(210)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타이머 정보에 따라 설정된다.These settings are set according to the pin switch operation of the option setting unit (213) and the timer information stored in the internal memory of the control unit (210).
설정 입력부(214)는 직렬 포트이며, 설정부(500)의 설정을 입력받는다.The settings input unit (214) is a serial port and receives settings from the settings unit (500).
버퍼(230)에 입력된 데이터는 릴레이 구동부(240)에서 해석되어 릴레이부(250)를 구동하여, 경보 표시부(300)에서 특정한 설비에 경보 신호가 발생함을 표시할 수 있다.Data entered into the buffer (230) is interpreted by the relay driving unit (240) to drive the relay unit (250), thereby indicating that an alarm signal has been generated for a specific facility in the alarm display unit (300).
릴레이부(250)는 다수의 릴레이를 포함하며, 릴레이의 상태에 따라 경보 표시부(300)의 램프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것으로 한다.The relay unit (250) includes a number of relays and supplies or cuts off power to the lamp of the alarm display unit (300) depending on the status of the relay.
경보 표시부(300)는 모니터링 위치에 설치된 패널이며, 각 설비에 해당하는 표시 램프를 포함하며, 알람음을 발생시키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The alarm display unit (300) is a panel installed at a monitoring location, includes an indicator lamp corresponding to each facility, and may include a means for generating an alarm sound.
또한, 경보 푸시 알림부(400)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600)에 푸시 알림을 제공하여 특정 설비에 경보가 발생함을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alarm push notification unit (400) can provide a push notification to a user terminal (600) with a dedicated application installed to notify the user that an alarm has occurred in a specific facility.
송신부(100)와 수신부(200)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때, 수신부(200)는 특정한 송신부(100)의 송신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재전송 요청 신호를 해당 ID의 송신부(100)로 송신할 수 있다.When a transmitter (100) and a receiver (200) perform two-way communication, if a transmission signal from a specific transmitter (100) is not received, the receiver (200) can transmit a retransmission request signal to the transmitter (100) of the corresponding ID.
이때, 송신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한 후, 재전송 요청 신호를 해당 ID의 송신부(100)로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 송신부(100)는 즉시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고, 설정된 시간만큼 지연시킨 후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At this time, after confirming that the transmission signal has not been received, a retransmission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transmission unit (100) of the corresponding ID, and the transmission unit (100) that receives this does not transmit the data immediately, but delays it for a set amount of time and then transmits it.
이는 동일 사업장에서 송신부(100)를 많이 사용하는 경우 송신부(100)간 전파 충돌로 인해 전송확인 신호를 받지 못하는경우, 자동으로 재전송시 2차 전파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ID별로 지연시간에 차등을 두어 2차 전파 충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many transmitters (100) are used in the same workplace and a transmission confirmation signal is not received due to a radio collision between transmitters (100), the delay time can be differentiated by ID to prevent secondary radio collision when automatically retransmitting.
또한, 본 발명의 송신부(100)는 정전이 발생한 후, 다시 복구가 된 상태에서 현재 릴레이부(130)의 상태에 따른 초기 데이터를 1회 자동 전송하여, 정전 복구를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mitt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power outage recovery by automatically transmitting initial data once according to the current state of the relay unit (130) after a power outage has occurred and has been restored.
이러한 방법 외에 송신부(100)와 수신부(200)가 릴레이의 온오프 상태를 연속으로 양방향 통신함으로써, 정전이나 노이즈로 인한 일시적인 오류 발생시에 송신부(100)와 수신부(200) 전체의 릴레이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is method, since the transmitter (100) and receiver (200) continuously communicate the on/off state of the relay in both directions, the relay state of the entire transmitter (100) and receiver (200) can be checked when a temporary error occurs due to a power outage or noise.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y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with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is.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0:송신부 110:제어부
120:입력부 130:릴레이부
140:전압 입력부 150:체결부
160:버퍼 170:무선 통신부
200:수신부 210:제어부
220:무선 통신부 230:버퍼
240:릴레이 구동부 150:릴레이부100: Transmitter 110: Control unit
120: Input section 130: Relay section
140: Voltage input section 150: Connection section
160:Buffer 170:Wireless Communications Unit
200: Receiver 210: Control Unit
22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30: Buffer
240: Relay drive unit 150: Relay unit
Claims (5)
상기 송신부의 검출 결과를 수신하여, 각 설비들의 경보 신호 발생 여부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의 출력에 따라 각각 상기 설비들을 나타내는 램프에 경보 신호 발생을 표시하는 경보 표시부; 및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에 푸시 알림을 제공하는 경보 푸시 알림부를 포함하되,
상기 송신부는,
상기 설비들 각각의 경보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 단자들을 포함하는 입력부와, 상기 경보 신호에 따라 접점 상태가 가변되는 다수의 교체 가능한 릴레이로 구성되는 제1릴레이부와, 상기 제1릴레이부를 통해 전압 입력부의 전압을 입력받아 경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버퍼부와, 상기 제1버퍼부의 경보 데이터를 제1무선 통신부를 통해 송신하는 제1제어부로 구성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송신부의 경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무선 통신부와, 설정에 따라 상기 경보 데이터를 해석하여, 제2버퍼에 저장하는 제2제어부와, 상기 제2버퍼에 저장된 경보 데이터에 따라 제2릴레이부를 구동하여, 상기 경보 표시부에 마련되며 상기 설비들 각각에 대응하는 램프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릴레이 구동부로 구성되며,
상기 송신부와 상기 수신부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때, 상기 수신부는 특정한 송신부의 송신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재전송 요청 신호를 해당 ID의 송신부로 송신하고, 재전송 요청 신호를 수신한 송신부는 즉시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고, 설정된 시간만큼 지연시킨 후 송신하여 송신부간 전파 충돌을 방지하며,
상기 송신부는 정전이 발생한 후, 다시 복구가 된 상태에서 상기 제1릴레이부의 상태에 따른 초기 데이터를 1회 자동 전송하여, 정전 복구를 수행하며,
상기 송신부와 상기 수신부가 상기 제1릴레이부의 릴레이들의 온오프 상태를 연속으로 양방향 통신하여, 정전이나 노이즈로 인한 일시적인 오류 발생시에 전체 릴레이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의 경보 신호 송수신 시스템. A plurality of transmitters that detect whether alarm signals have occurred in facilities with different types and levels of alarm signals using replaceable relay units and wirelessly transmit the detection results;
A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the detection results of the above transmitter and outputs a signal indicating whether an alarm signal has been generated for each facility;
An alarm display unit that indicates the occurrence of an alarm signal on a lamp representing each of the above facilities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above receiver unit; and
Includes an alarm push notification unit that provides push notifications to user terminals on which a dedicated application is installed;
The above transmitter,
It is composed of an input section including input terminals into which alarm signals of each of the above facilities are input, a first relay sec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replaceable relays whose contact states change according to the alarm signals, a first buffer section which receives voltage from a voltage input section through the first relay section and stores alarm data, and a first control section which transmits alarm data of the first buffer section throug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section.
The above receiver,
It is composed of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the alarm data of the above transmitter, a second control unit that interprets the alarm data according to the setting and stores it in a second buffer, and a relay driving unit that drives a second relay unit according to the alarm data stored in the second buffer and controls the power supply to the lamps provided in the alarm display unit an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above facilities.
When the abov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perform two-way communication, if the transmission signal of a specific transmitter is not received, the receiver transmits a retransmission request signal to the transmitter of the corresponding ID, and the transmitter that receives the retransmission request signal does not transmit data immediately, but delays it for a set amount of time and then transmits it to prevent radio collision between the transmitters.
The above transmitter automatically transmits initial data onc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first relay unit after a power outage has occurred and the power is restored, thereby performing power outage recovery.
An equipment alarm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tter and receiver continuously bidirectionally communicate the on/off status of the relays of the first relay unit, so that the status of all relays can be checked when a temporary error occurs due to a power outage or noise.
제1제어부와 제2제어부 각각의 주파수를 설정하는 제1주파수 설정부 및 제2주파수 설정부;
제1제어부와 제2제어부 각각의 통신 ID를 설정하는 제1ID 설정부 및 제2ID 설정부;
제1제어부와 제2제어부 각각의 통신 옵션을 설정하는 제1옵션 설정부 및 제2옵션 설정부를 포함하는 설비의 경보 신호 송수신 시스템.In the first paragraph,
A first frequency setting unit and a second frequency setting unit each setting the frequencies of the first control unit and the second control unit;
A first ID setting unit and a second ID setting unit each setting a communication ID for the first control unit and the second control unit;
An alarm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of a facility including a first option setting unit and a second option setting unit that set communication options for each of the first control unit and the second control unit.
상기 제1주파수 설정부, 제2주파수 설정부, 제1ID 설정부, 제2ID 설정부, 제1옵션 설정부 및 제2옵션 설정부는,
다수의 핀 스위치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각각의 기능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의 경보 신호 송수신 시스템.
In paragraph 4,
The above first frequency setting unit, second frequency setting unit, first ID setting unit, second ID setting unit, first option setting unit and second option setting unit are,
An alarm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for equipment characterized by having a plurality of pin switches, each of which can be set to a user's cho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45466A KR102698673B1 (en) | 2022-04-13 | 2022-04-13 | Transmition system for alarm signals from faciliti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45466A KR102698673B1 (en) | 2022-04-13 | 2022-04-13 | Transmition system for alarm signals from facilitie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46728A KR20230146728A (en) | 2023-10-20 |
KR102698673B1 true KR102698673B1 (en) | 2024-08-26 |
Family
ID=88514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45466A Active KR102698673B1 (en) | 2022-04-13 | 2022-04-13 | Transmition system for alarm signals from faciliti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98673B1 (en)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70447B1 (en) * | 2002-04-02 | 2005-02-07 | 주식회사 신우엔지니어링 | System for forwarding a alarm |
KR101743264B1 (en) * | 2015-10-28 | 2017-06-02 | (주)지트론시스템 | Production line system |
KR20210124713A (en) * | 2020-04-07 | 2021-10-15 | (주)지트론시스템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between industrial equipments and monitoring system using the device |
KR102376687B1 (en) * | 2020-06-16 | 2022-03-21 | (주)지트론시스템 |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industrial equipment |
-
2022
- 2022-04-13 KR KR1020220045466A patent/KR102698673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46728A (en) | 2023-10-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GB2358503A (en) | Alarm or detection system | |
WO2011050461A1 (en) |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enrollment of two- way wireless sensors in a security system | |
KR102698673B1 (en) | Transmition system for alarm signals from facilities | |
US5459450A (en) | Presence-detecting system | |
JP3104973B2 (en) | Wireless security system with propagation check function | |
JP2002094449A (en) | Wireless access system | |
JP6941583B2 (en) | Sound alarm display method for automatic fire alarm system and automatic fire alarm system | |
RU2529578C2 (en) | System for alerting workers on station railway lines | |
JP5175237B2 (en) | Equipment signal inspection adapter, equipment signal inspection method | |
KR100969206B1 (en) | P-type control panel capable of self diagnosis | |
KR20210124713A (en)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between industrial equipments and monitoring system using the device | |
JP3908043B2 (en) | Wireless transmitter | |
JP2005354159A (en) | Communication module | |
JP2859135B2 (en) | Wireless security system | |
JP3748666B2 (en) | Transmitter used for security system | |
JP4469191B2 (en) | Apartment house intercom system | |
KR100969207B1 (en) | P-type control panel capable of self diagnosis | |
JP3298773B2 (en) | Monitoring control device and monitoring control system | |
JPH09252355A (en) | Terminal network controller | |
JPH10248095A (en) | Installation management system | |
KR200215205Y1 (en) | Wire and wireless type Warning device using dial-pulse | |
JP2021026284A (en) | Fire alarm facility and renewal method of fire alarm facility | |
JPH07200970A (en) | Guard system | |
KR101720993B1 (en) | A two-way wireless transmitter | |
JP2006099506A (en) | Abnormality reporting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4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3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8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8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