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6107B1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arking convenience service using deep learning video recognition technology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arking convenience service using deep learning video recognition technolog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36107B1 KR102636107B1 KR1020200183657A KR20200183657A KR102636107B1 KR 102636107 B1 KR102636107 B1 KR 102636107B1 KR 1020200183657 A KR1020200183657 A KR 1020200183657A KR 20200183657 A KR20200183657 A KR 20200183657A KR 102636107 B1 KR102636107 B1 KR 1026361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rking
- information
- deep learning
- learning model
- vehic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4—Architecture, e.g. interconnection topology
- G06N3/0464—Convolutional networks [CNN, ConvNet]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3—Scene text, e.g. street nam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08G1/14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on portable or mobile units,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6—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where the parking area is a limited parking space, e.g. parking garage, restricted space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8—Management of a network of parking area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딥러닝 영상인식 기술을 활용한 주차편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딥러닝 영상인식 기술을 활용한 주차편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딥러닝 모델을 이용해 주차장에 설치된 CCTV 카메라에서 촬영된 CCTV 영상으로부터 차량의 번호판 정보와 빈 주차면 번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차량의 주차위치 정보와 차량이 주차 가능한 여유 주차면 정보를 생성하는 영상 분석 서버; 및 상기 영상 분석 서버로부터 상기 주차위치 정보와 상기 여유 주차면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arking convenience services using deep learning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The system for providing parking convenience services using deep learning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CTV camera installed in a parking lot using a deep learning model. A video analysis server that extracts the vehicle's license plate information and empty parking space number from the CCTV image captured in and analyzes the extracted information to generate park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s vehicle and information on an available parking space where the vehicle can be parked; And a service providing server that receives the parking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free parking surface information from the video analysis server and provides th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주차장 진입 시 여유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 제공과 주차 위치에 대한 자동 알림을 제공할 수 있는 딥러닝 영상인식 기술을 활용한 주차편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arking convenience services using deep learning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that can provide information about free parking spaces and automatic notifications about parking locations when entering a parking lot.
자동차의 수의 급격한 증가에 따라 주차난이 심각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주차 문제가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With the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cars, parking difficulties are becoming more serious, and this parking problem is becoming a social issue.
또한, 운전자는 차량의 주차를 위하여 자신이 위치한 지역 부근의 주차장 정보 또는 가고자 하는 목적지의 주차장 정보를 해당 주차장에 직접 방문을 하거나 전화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접할 수밖에 없다.In addition, in order to park a vehicle, the driver has no choice but to access parking lot information near the area where he or she is located or the parking lot information of the destination he or she wants to go to by visiting the parking lot in person or using means such as a phone call.
따라서, 운전자가 원하는 주차장 정보를 보다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또는 시스템의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 device or system that can more efficiently and quickly provide parking information desired by drivers.
또한, 종래의 주차장에서 제공되는 주차 여유 면수는, 주차장 입구에 설치된 센서를 이용하거나, 각 주차 면에 센서를 탑재하거나, 또는 주차장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주차 면수를 관리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In addition, the number of parking spaces provided in a conventional parking lot is managed by using sensors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installing sensors on each parking surface, or photographing the parking lot and analyzing the captured images. did.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으며, 주차장의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신속하게 정확하게 전달하여 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is conventional method has the problem of being expensive and unable to quickly and accurately convey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parking lot to the user.
또한, 대규모의 실내주차장 이용 시 여유 주차공간을 파악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고, 주차 이후 일정시간 경과 후 주차위치의 망각으로 불편을 겪는 사례가 빈번하며, 대형 할인매장, 주상복합단지, 복층 주차장 등 주차공간이 많고 복잡한 곳일수록 주차 전후의 유도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when using a large-scale indoor parking lot, it is difficult to find a free parking space, and there are frequent cases of forgetting the parking location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parking, and parking spaces such as large discount stores, residential and commercial complexes, and duplex parking lots are frequent. The more crowded and complex these places are, the more the demand for guidance services before and after parking is increasing.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주차 서비스를 위해 고가의 주차관제 장비가 필요한 종래 기술에 비해 본 발명은 영상 촬영 장비만으로 보다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Compared to the prior art, which requires expensive parking control equipment for parking services,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 more useful service with only video shooting equipment.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주차관제 방법 및 시스템은 고가의 인프라장비(센서, 관제센터 등) 설치를 통해 주차 서비스를 제공하고, 층수 별 주차 여유공간 안내 등 다소 부정확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반하여, 본 발명은 주차장에 설치된 영상감시 디바이스(CCTV 카메라와 전송장치)만으로 관련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고, 주차면 서비스까지 가능한 보다 품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To explain in more detail, parking control methods and syst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provide parking services through the installation of expensive infrastructure equipment (sensors, control centers, etc.), and provide somewhat inaccurate services such as guidance on available parking spaces for each floor.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 higher quality service in which related services can be provided only with video surveillance devices (CCTV cameras and transmission devices)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and even parking surface services are possible.
또한, 본 발명은 실내 주차 시 여유 주차면과 주차 위치를 알려주는 주차유도 기능에 대한 사용자 요구를 AI 기반 영상인식 기술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App) 기술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solve the problem of user demand for a parking guidance function that informs the available parking space and parking location when parking indoors through AI-based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and mobile application (App) technology.
또한, 본 발명은 대형 주차장의 주차유도 서비스를 AI(딥러닝) 영상 판독 기술과 앱 서비스 기술을 활용한 방법 및 시스템을 통해 해결하고, 영상촬영, 영상자동인식 딥러닝 기술, DB, 어플리케이션(APP) 개발 등의 IT 기술을 융합하여 주차편의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arking guidance service of a large parking lot through a method and system using AI (deep learning) image reading technology and app service technology, and provides video shooting, automatic image recognition deep learning technology, DB, and application (APP). ) We aim to provide convenient parking services by converging IT technologies such as development.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딥러닝 영상인식 기술을 활용한 주차편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딥러닝 모델을 이용해 주차장에 설치된 CCTV 카메라에서 촬영된 CCTV 영상으로부터 차량의 번호판 정보와 빈 주차면 번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차량의 주차위치 정보와 차량이 주차 가능한 여유 주차면 정보를 생성하는 영상 분석 서버; 및 상기 영상 분석 서버로부터 상기 주차위치 정보와 상기 여유 주차면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parking convenience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deep learning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deep learning model to obtain vehicle license plate information and empty space from CCTV images captured by CCTV cameras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An image analysis server that extracts a parking surface number, analyzes the extracted information, and generates information on the parking location of the user's vehicle and information on a free parking space where the vehicle can be parked; And a service providing server that receives the parking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free parking surface information from the video analysis server and provides th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 분석 서버는 상기 CCTV 영상으로부터 복수개의 차량의 번호판의 문자, 주차면 표기 문자 또는 주차구역 표기 문자를 추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deo analysis server can extract license plate characters, parking surface markings, or parking area marking characters of a plurality of vehicles from the CCTV image.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 분석 서버는 데이터 셋(data set)을 이용해 학습하여 딥러닝 모델을 구성하고, 상기 딥러닝 모델의 학습을 위하여 상기 CCTV 영상의 분류와 라벨링(labeling)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deo analysis server constructs a deep learning model by learning using a data set, and classifies and labels the CCTV images to learn the deep learning model. can be performed.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 분석 서버는 분류에 사용할 학습 데이터와 테스트 데이터로 이루어진 데이터 셋(data set)을 구성하고, 상기 데이터 셋을 이용한 학습의 성능을 평가하고, 상기 학습에 사용할 딥러닝 모델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딥러닝 모델을 수정하거나 새로운 딥러닝 알고리즘을 추가하여 딥러닝 모델을 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deo analysis server configures a data set consisting of learning data and test data to be used for classification, evaluates the performance of learning using the data set, and You can configure a deep learning model by deciding which deep learning model to use, modifying the determined deep learning model, or adding a new deep learning algorithm.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 분석 서버는 상기 딥러닝 모델을 이용해 학습, 평가 및 환경 설정을 반복하여 상기 딥러닝 모델을 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deo analysis server can configure the deep learning model by repeating learning, evaluation, and environment settings using the deep learning model.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다운로드 및 설치를 제공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되는 주차장 지도를 통해 상기 주차위치 정보와 상기 여유 주차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provides downloading and installation of an application to the user terminal, and provides the parking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free parking space through a parking lot map displayed through the application. Information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딥러닝 영상인식 기술을 활용한 주차편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영상 분석 서버가 상기 구성된 딥러닝 모델을 이용해 주차장에 설치된 CCTV 카메라에서 촬영된 CCTV 영상으로부터 차량의 번호판 정보와 빈 주차면 번호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 단계; 상기 영상 분석 서버가 상기 추출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차량의 주차위치 정보와 차량이 주차 가능한 여유 주차면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 단계; 및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영상 분석 서버로부터 상기 주차위치 정보와 상기 여유 주차면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정보 제공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providing parking convenience services using deep learning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ideo analysis server that uses the deep learning model configured above to collect vehicle license plate information and empty space from CCTV images captured by CCTV cameras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An information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a parking lot number; An information generation step in which the image analysis server analyzes the extracted information to generate park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s vehicle and information on a free parking space where the vehicle can be parked; And an information provision step in which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receives the parking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spare parking surface information from the video analysis server and provides th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보추출 단계는 상기 영상 분석 서버가 상기 CCTV 영상으로부터 복수개의 차량의 번호판의 문자, 주차면 표기 문자 또는 주차구역 표기 문자를 추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formation extraction step, the video analysis server may extract license plate characters, parking surface marking characters, or parking area marking characters of a plurality of vehicles from the CCTV image.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보추출 단계의 이전에, 영상 분석 서버가 데이터 셋(data set)을 이용해 학습하여 딥러닝 모델을 구성하는 딥러닝 학습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the information extraction step, a deep learning learning step in which the image analysis server learns using a data set to construct a deep learning model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딥러닝 학습 단계는 상기 영상 분석 서버가 상기 딥러닝 모델의 학습을 위하여 상기 CCTV 영상의 분류와 라벨링(labeling)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ep learning learning step, the video analysis server may perform classification and labeling of the CCTV image to learn the deep learning model.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딥러닝 학습 단계는, 상기 영상 분석 서버가 분류에 사용할 학습 데이터와 테스트 데이터로 이루어진 데이터 셋(data set)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영상 분석 서버가 상기 데이터 셋을 이용한 학습의 성능을 평가하여 상기 학습에 사용할 딥러닝 모델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분석 서버가 상기 딥러닝 모델을 수정하거나 새로운 딥러닝 알고리즘을 추가하여 딥러닝 모델을 구성하는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ep learning learning step includes configuring a data set consisting of learning data and test data to be used by the image analysis server for classification; The video analysis serve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learning using the data set and determining a deep learning model to be used for the learning; and @ where the video analysis server configures a deep learning model by modifying the deep learning model or adding a new deep learning algorithm.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딥러닝 학습 단계는 상기 영상 분석 서버가 상기 딥러닝 모델을 이용해 학습, 평가 및 환경 설정을 반복하여 상기 딥러닝 모델을 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ep learning learning step, the video analysis server may configure the deep learning model by repeating learning, evaluation, and environment settings using the deep learning model.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제공 단계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다운로드 및 설치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되는 주차장 지도를 통해 상기 주차위치 정보와 상기 여유 주차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step includes providing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to download and install an application to the user terminal; and providing, by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the parking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free parking space information through a parking lot map displayed through the applic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주차 서비스를 위해 고가의 주차관제 장비가 필요한 기존 서비스에 비해 영상 촬영 장비만으로 보다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re useful service can be provided with only video recording equipment compared to existing services that require expensive parking control equipment for parking service.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주차관제 방법 및 시스템은 고가의 인프라장비(센서, 관제센터 등) 설치를 통해 주차 서비스를 제공하고, 층수 별 주차 여유공간 안내 등 다소 부정확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반하여, 본 발명은 주차장에 설치된 영상감시 디바이스(CCTV 카메라와 전송장치)만으로 관련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고, 주차면 서비스까지 가능한 보다 품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o explain in more detail, parking control methods and syst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provide parking services through the installation of expensive infrastructure equipment (sensors, control centers, etc.), and provide somewhat inaccurate services such as guidance on available parking spaces for each floor.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related services only with video surveillance devices (CCTV cameras and transmission devices)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and can provide higher quality services including parking surface service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 주차 시 여유 주차면과 주차 위치를 알려주는 주차유도 기능에 대한 사용자 요구를 AI 기반 영상인식 기술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App) 기술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demand for a parking guidance function that informs the available parking space and parking location when parking indoors can be solved through AI-based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and mobile application (App) technolog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대형 주차장의 주차유도 서비스를 AI(딥러닝) 영상 판독 기술과 앱 서비스 기술을 활용한 방법 및 시스템을 통해 해결하고, 영상촬영, 영상자동인식 딥러닝 기술, DB, 어플리케이션(APP) 개발 등의 IT 기술을 융합하여 주차편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arking guidance services in large parking lots are solved through a method and system using AI (deep learning) image reading technology and app service technology, and video shooting, automatic image recognition deep learning technology, DB, and application ( Convenient parking services can be provided by converging IT technologies such as APP (App) development.
또한, 기존에 주차공간에 CCTV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관련 CCTV 이미지를 전송 받아, 해당 주차편의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등의 부가적인 서비스로의 확장도 가능해진다. In addition, if CCTV is already installed in the parking space, it is possible to expand to additional services such as receiving related CCTV images and providing parking convenience services.
또한, 본 발명을 통해 사용자 입장에서는 보유하고 있는 스마트폰상에 복잡한 주차장 진입과 동시에 빈 주차공간에 대한 안내가 제공되며, 동시에 주차장 소유업체 입장에서는 주차편의를 위한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고 소유 매장의 상품 홍보, 전시 등 부가적인 서비스로도 확장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In addition,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users are provided with guidance on empty parking spaces upon entering a complex parking lot on their smartphone, and at the same time, parking lot owners can provide differentiated services for parking convenience and are able to provide a differentiated service for parking convenience. It serves as a foundation for expansion into additional services such as product promotion and exhibi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딥러닝 영상인식 기술을 활용한 주차편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a,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딥러닝 모델을 이용한 영상 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c 내지 2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용 차량 번호판 등의 이미지에 대한 라벨링 툴을 통한 라벨링 작업으로 데이터셋을 제작하기 워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딥러닝 영상인식 기술을 활용한 주차편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한 차량의 주차위치 정보와 차량이 주차 가능한 여유 주차면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parking convenience service provision system using deep learning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A and 2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image analysis method using a deep learning mod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C to 2E are diagrams showing labeling of images such as license plates for learning vehic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iagram to explain how to create a dataset through labeling using a tool.
Figure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parking convenience services using deep learning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 to 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parking position of a vehicle and information on a free parking space where a vehicle can be parked through an applic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if it is determined that specific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Additionally, the size of each component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explanation and does not mean the actual siz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딥러닝 영상인식 기술을 활용한 주차편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딥러닝 모델을 이용한 영상 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parking convenience service provision system using deep learning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llustrates an image analysis method using a deep learning mod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rawing for
이후부터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딥러닝 영상인식 기술을 활용한 주차편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From now on, the configuration of a parking convenience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deep learning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딥러닝 영상인식 기술을 활용한 주차편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영상 분석 서버(110) 서비스 제공 서버(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a parking convenience service provision system using deep learning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rised of an image analysis server 110 and a service provision server 120.
사용자가 차량을 이용해 주차 서비스를 이용하면, 주차장에 설치된 CCTV 카메라(101)가 주차장의 CCTV 영상을 촬영한다. 즉, CCTV 카메라(101)가 주차시설의 영상 정보를 수집 및 전송하여, 상기 영상 분석 서버(110)가 상기 CCTV 영상을 수신한다.When a user uses a parking service by car, a CCTV camera 101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captures CCTV images of the parking lot. That is, the CCTV camera 101 collects and transmits video information of the parking facility, and the video analysis server 110 receives the CCTV video.
상기 영상 분석 서버(110)는 딥러닝 모델을 이용해 주차장에 설치된 CCTV 카메라(101)에서 촬영된 CCTV 영상으로부터 차량의 번호판 정보와 빈 주차면 번호를 추출한다.The video analysis server 110 uses a deep learning model to extract vehicle license plate information and empty parking lot numbers from CCTV images captured by the CCTV camera 101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이때, 상기 영상 분석 서버(110)는 상기 CCTV 영상으로부터 복수개의 차량의 번호판의 문자, 주차면 표기 문자 또는 주차구역 표기 문자를 추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mage analysis server 110 may extract license plate characters, parking surface markings, or parking area marking characters of a plurality of vehicles from the CCTV image.
상기 영상 분석 서버(110)는 이와 같은 영상 분석을 위하여, 데이터 셋(data set)을 이용해 학습하여 딥러닝 모델을 구성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딥러닝 모델의 학습을 위하여 차량 종류별로 상기 CCTV 영상의 분류와 라벨링(labeling)을 수행할 수 있다.In order to analyze such images, the video analysis server 110 can construct a deep learning model by learning using a data set. More specifically, in order to learn the deep learning model, the video analysis server 110 can construct a deep learning model for each vehicle type. Classification and labeling of CCTV images can be performed.
이와 같은 상기 영상 분석 서버(110)의 학습시에는, 분류에 사용할 학습 데이터와 테스트 데이터로 이루어진 데이터 셋(data set)을 구성하고, 상기 데이터 셋을 이용한 학습의 성능을 평가하고, 상기 학습에 사용할 딥러닝 모델을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딥러닝 모델을 수정하거나 새로운 딥러닝 알고리즘을 추가하여 딥러닝 모델을 구성할 수 있다.When training the video analysis server 110, a data set consisting of learning data and test data to be used for classification is formed, the performance of learning using the data set is evaluated, and the data set to be used for learning is evaluated. A deep learning model can be determined, and the deep learning model can be configured by modifying the determined deep learning model or adding a new deep learning algorithm.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영상 분석 서버(110)는 분류 문제를 위해 사용할 원본 데이터 셋을 학습 데이터 셋과 테스트 데이터 셋으로 구성하고, 인식 문제의 성능평가를 위한 정확도 등의 성능 평가 척도를 통해 성능을 평가할 수 있다.To explain in more detail, the video analysis server 110 configures the original data set to be used for the classification problem into a learning data set and a test data set, and evaluates the performance through performance evaluation measures such as accuracy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recognition problem. can be evaluated.
또한 도 2a 내지 2d를 참조하면 수집되는 영상자료 분석을 통해 차량정보(차량번호판), 주차구역 정보를 추출하는 딥러닝 모델을 구축하는 과정으로서, 상기 영상 분석 서버(110)는 이미지 분류(Image Classification) 모델로서 Lenet, AlexNet, ZFNet, GooleNet, VGNet 또는 ResNet 모델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오브젝트 감지(Object Detection) 모델로는 FCN, R-CNN, Fast RCNN 또는 Faster RCNN 모델을 사용할 수 있으며, 번호판과 주차면 번호의 문자 정보 추출을 위한 딥러닝 학습 모델 설정 및 구현함으로써, 최종 검토된 딥러닝 모델에 대해 영상 분석 서버(110)에서 셋업 수행하여 라벨링된 이미지 데이터셋 기반 학습(Training)과 평가(Evaluation)를 반복하여 최적의 환경(Configuration) 설정을 통해 학습모델을 구축한다.Also, referring to FIGS. 2A to 2D, as a process of building a deep learning model to extract vehicle information (vehicle license plate) and parking area information through analysis of collected video data, the video analysis server 110 performs image classification (Image Classification) ) As models, you can use Lenet, AlexNet, ZFNet, GooleNet, VGNet, or ResNet models, and as object detection models, you can use FCN, R-CNN, Fast RCNN, or Faster RCNN models, and license plate and parking surface By setting up and implementing a deep learning learning model to extract character information of numbers, the final reviewed deep learning model is set up on the video analysis server 110 to perform training and evaluation based on the labeled image dataset. Build a learning model by repeatedly setting the optimal environment (configuration).
이와 같이, 상기 영상 분석 서버(110)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딥러닝 모델을 이용해 학습, 평가 및 환경 설정을 반복하여 상기 딥러닝 모델을 구성함으로써, 보다 정확도 높은 정보의 추출과 분석이 가능하다.In this way, the image analysis server 110 configures the deep learning model by repeating learning, evaluation, and environment settings using the deep learning model configured as above, thereby enabling extraction and analysis of information with higher accuracy.
상기 영상 분석 서버(110)는 이와 같이 추출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차량의 주차위치 정보와 차량이 주차 가능한 여유 주차면 정보를 생성한다.The image analysis server 110 analyzes the information extracted in this way and generates information on the parking location of the user's vehicle and information on a free parking space where the vehicle can be parked.
그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 분석 서버(110)가 CCTV 수집 영상에 대한 테스트 및 성능 평가 수행을 하며,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복수 차량의 CCTV 수집영상을 대상으로 관련정보 추출 수행 및 정확도에 대한 평가 시행을 통해, 주차차량 영상의 전송, 수집, 분석, 번호추출 단계 수행에 따른 성능 검증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deo analysis server 110 performs tests and performance evaluations on CCTV collected images, and extracts related information from CCTV collected images of multiple vehicles that are periodically transmitted. Through evaluation of performance and accuracy, performance can be verified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collection, analysis, and number extraction stages of parked vehicle images.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상기 영상 분석 서버로부터 상기 주차위치 정보와 상기 여유 주차면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130)로 제공한다.The service providing server 120 receives the parking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free parking space information from the video analysis server and provides them to the user terminal 13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스마트 단말로 구성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다운로드 및 설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되는 주차장 지도를 통해 상기 주차위치 정보와 상기 여유 주차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120 may provide downloading and installation of an application to the user terminal configured as a smart terminal, and may provide the parking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parking lot map displayed through the application. Information on the available parking space can be provid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여유 주차면과 사용자 차량의 주차 위치를 스마트 단말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본인의 차량 영상인식과 주차 위치에 대한 정보를 등록된 스마트 단말에 전송하도록 하고, 비어 있는 주차면에 마킹된 주차면 번호를 인식하여 여유 주차면 정보를 스마트 단말에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wa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vailable parking space and the parking location of the user's vehicle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a smart terminal application. More specifically, the user's vehicle image recognition and information about the parking location will be transmitted to the registered smart terminal, and the parking space number marked on the empty parking space will be recognized and the free parking space information will be transmitted to the smart terminal. You can.
그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정보(차량번호, 차종 등), 사용자 정보(회원정보, 스마트폰 번호 등), 주차장정보(주차장명, 주차장 내부지도 등) 등 관련 데이터베이스(125)를 구축할 수 있으며, 지능형 주차 관련 시장에 대한 분석과 이를 바탕으로 스마트 단말을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와 CCTV가 설치되어 있는 주차장 간에 보다 편리한 주차관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d databases (125 ) can be built, and based on analysis of the intelligent parking-related market, more convenient parking-related services can be provided between users with smart devices and parking lots with CCTV install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 주차 시 여유 주차면과 주차 위치를 알려주는 주차유도 기능에 대한 사용자 요구를 AI 기반 영상인식 기술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App) 기술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In this 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demand for a parking guidance function that informs the available parking space and parking location when parking indoors can be solved through AI-based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and mobile application (App) technolog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대형 주차장의 주차유도 서비스를 AI(딥러닝) 영상 판독 기술과 앱 서비스 기술을 활용한 방법 및 시스템을 통해 해결하고, 영상촬영, 영상자동인식 딥러닝 기술, DB, 어플리케이션(APP) 개발 등의 IT 기술을 융합하여 주차편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arking guidance services in large parking lots are solved through a method and system using AI (deep learning) image reading technology and app service technology, and video shooting, automatic image recognition deep learning technology, DB, and application ( Convenient parking services can be provided by converging IT technologies such as APP (App) development.
도 2c 내지 2e는 수집된 이미지 데이터셋을 라벨링 툴을 활용하여 라벨링(Labeling)을 수행하여 딥러닝 모델이 해당 이미지에서 대상 물체(차량 번호판, 주차구역번호)를 인식할 수 있게 라벨링 작업을 수행하는 도면이다. 라벨링 작업은 해당 이미지의 추출 대상 영역에 대해 Bounding Box 를 설정하고, 관련 오브젝트의 카테고리(Category)를 지정하여 설정한다. 라벨링 수행한 결과물은 라벨링 툴의 종류에 따라 “XML” 또는 “Json”이라는 파일유형으로 관련 정보를 저장한다.Figures 2c to 2e show labeling of the collected image dataset using a labeling tool to enable the deep learning model to recognize target objects (vehicle license plate, parking zone number) in the image. It is a drawing. The labeling task is set by setting a Bounding Box for the extraction target area of the image and specifying the category of the related object. The labeling results are stored in a file type called “XML” or “Json” depending on the type of labeling tool.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딥러닝 영상인식 기술을 활용한 주차편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한 차량의 주차위치 정보와 차량이 주차 가능한 여유 주차면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parking convenience services using deep learning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s 4 to 9 are diagrams showing an application (applic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rawing to explain how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parking location of a vehicle and information on available parking spaces where a vehicle can be parked through an application.
이후부터는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딥러닝 영상인식 기술을 활용한 주차편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From now on, a method of providing a parking convenience service using deep learning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9.
먼저, 영상 분석 서버가 데이터 셋(data set)을 이용해 학습하여 딥러닝 모델을 구성한다(S310).First, the video analysis server learns using the data set and constructs a deep learning model (S310).
이때, 영상 분석 서버는 학습 대상이 되는 이미지 데이터셋과 라벨링 정보를 반복적으로 학습하여 학습 모델을 구성한다.At this time, the video analysis server constructs a learning model by repeatedly learning the image dataset and labeling information that are subject to learning.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영상 분석 서버는 상기 영상 분석 서버가 분류에 사용할 학습 데이터와 테스트 데이터로 이루어진 데이터 셋(data set)을 구성하고, 상기 영상 분석 서버가 상기 데이터 셋을 이용한 학습의 성능을 평가하여 상기 학습에 사용할 딥러닝 모델을 결정한 후, 상기 영상 분석 서버가 상기 딥러닝 모델을 수정하거나 새로운 딥러닝 알고리즘을 추가하여 딥러닝 모델을 구성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video analysis server configures a data set consisting of learning data and test data to be used by the video analysis server for classification, and the video analysis server evaluates the performance of learning using the data set. After determining the deep learning model to be used for learning, the video analysis server may configure the deep learning model by modifying the deep learning model or adding a new deep learning algorithm.
그뿐만 아니라, 상기 영상 분석 서버는 상기 영상 분석 서버가 상기 딥러닝 모델을 이용해 학습, 평가 및 환경 설정을 반복하여 상기 딥러닝 모델을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ideo analysis server may configure the deep learning model by repeating learning, evaluation, and environment settings using the deep learning model.
이후, 상기 영상 분석 서버가 주차장에 설치된 CCTV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CCTV 영상을 수신하는데, 고해상도의 CCTV가 아닌 일반 해상도의 CCTV에서 추출된 영상의 경우 딥러닝 모델에서 인식하기 용이한 구조로의 해상도 변환을 위해 영상 변환 프로그램을 통해 고해상도 이미지로 변환 처리하는 절차를 거친다(S320).Afterwards, the video analysis server receives CCTV images captured from CCTV cameras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In the case of images extracted from regular resolution CCTV rather than high-resolution CCTV, the resolution is converted to a structure that is easy to recognize in the deep learning model. To do this, the image is converted into a high-resolution image using an image conversion program (S320).
이후, 상기 영상 분석 서버는 상기 구성된 딥러닝 모델을 이용해 주차장에 설치된 CCTV 카메라에서 촬영된 CCTV 영상으로부터 차량의 번호판 정보와 빈 주차면 번호를 추출한다(S330).Thereafter, the video analysis server extracts the vehicle's license plate information and the empty parking lot number from the CCTV image captured by the CCTV camera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using the configured deep learning model (S330).
이때, 상기 영상 분석 서버는 상기 CCTV 영상으로부터 복수개의 차량의 번호판의 문자, 주차면 표기 문자 또는 주차구역 표기 문자를 추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video analysis server can extract license plate characters, parking surface markings, or parking area marking characters of a plurality of vehicles from the CCTV image.
이후에는, 상기 영상 분석 서버가 상기 추출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차량의 주차위치 정보와 차량이 주차 가능한 여유 주차면 정보를 생성한다(S340).Afterwards, the image analysis server analyzes the extracted information and generates information on the parking location of the user's vehicle and information on a free parking space where the vehicle can park (S340).
또한, 상기 영상 분석 서버가 상기 주차위치 정보와 상기 여유 주차면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한다(S350).In addition, the video analysis server provides the parking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free parking spac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S350).
이때,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다운로드 및 설치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로그인 하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되는 주차장 지도를 통해 상기 주차위치 정보와 상기 여유 주차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 when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provides download and installation of an application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user logs in,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is displayed through the application. The parking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available parking space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hrough a map.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사용자의 차량의 주차위치 정보로서 층과 구역의 정보를 제공하되, 주차장 지도를 통해 보다 편리하고 직관적으로 차량의 주차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5 and 6,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provides floor and area information as park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s vehicle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an application, and provides information on the parking location of the vehicle more conveniently and intuitively through a parking lot map. Information can be provided.
또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여유 주차면 정보로서 여유 주차면의 수, 층 그리고 구역의 정보를 제공하며, 이때 도 9에서와 같이 주차장 지도를 통해 보다 편리하고 직관적으로 여유 주차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7 and 8,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provides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available parking spaces, floors, and areas as information on available parking spaces through the application, and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9, the information on the parking lot map is provided. Information on available parking spaces can be provided conveniently and intuitively.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여유 주차면과 사용자 차량의 주차 위치를 스마트 단말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본인의 차량 영상인식과 주차 위치에 대한 정보를 등록된 스마트 단말에 전송하도록 하고, 비어 있는 주차면에 마킹된 주차면 번호를 인식하여 여유 주차면 정보를 스마트 단말에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wa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vailable parking space and the parking location of the user's vehicle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a smart terminal application. More specifically, the user's vehicle image recognition and information about the parking location will be transmitted to the registered smart terminal, and the parking space number marked on the empty parking space will be recognized and the free parking space information will be transmitted to the smart terminal. You can.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 주차 시 여유 주차면과 주차 위치를 알려주는 주차유도 기능에 대한 사용자 요구를 AI 기반 영상인식 기술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App) 기술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In this 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demand for a parking guidance function that informs the available parking space and parking location when parking indoors can be solved through AI-based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and mobile application (App) technology.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However,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but also by equivalents to the claims.
101: CCTV 카메라
110: 영상 분석 서버
120: 서비스 제공 서버
125: 데이터베이스
130: 사용자 단말101: CCTV camera
110: Video analysis server
120: Service provision server
125: database
130: user terminal
Claims (13)
상기 영상 분석 서버로부터 상기 주차위치 정보와 상기 여유 주차면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다운로드 및 설치를 제공하고, 상기 다운로드 및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주차장 내부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장 정보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주차장 지도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사용자의 차량의 주차위치 정보로서 층과 구역의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주차장 지도 정보를 통해 상기 차량의 주차위치 정보를 표시하여 상기 주차위치 정보와 상기 여유 주차면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며,
상기 영상 분석 서버는, 차량번호, 차종을 포함하는 차량정보, 회원정보, 스마트폰 번호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및 주차장명, 주차장 내부지도를 포함하는 주차장정보로 구성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며,
상기 영상 분석 서버는, 상기 CCTV 영상으로부터 복수개의 차량의 번호판의 문자, 주차면 표기 문자 또는 주차구역 표기 문자를 추출하고, 데이터 셋(data set)을 이용해 학습하여 딥러닝 모델을 구성하고, 상기 딥러닝 모델의 학습을 위하여 상기 CCTV 영상의 분류와 라벨링(labeling)을 수행하며, 상기 분류에 사용할 학습 데이터와 테스트 데이터로 이루어진 데이터 셋(data set)을 구성하고, 상기 데이터 셋을 이용한 학습의 성능을 평가하고 상기 학습에 사용할 딥러닝 모델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딥러닝 모델을 수정하거나 새로운 딥러닝 알고리즘을 추가하여 딥러닝 모델을 구성하면서도, 상기 딥러닝 모델을 이용해 학습, 평가 및 환경 설정을 반복하여 상기 딥러닝 모델을 구성하며,
상기 영상 분석 서버는 이미지 분류(Image Classification) 모델로서 Lenet, AlexNet, ZFNet, GooleNet, VGNet 또는 ResNet 모델을 사용하며, 오브젝트 감지(Object Detection) 모델로는 FCN, R-CNN, Fast RCNN 또는 Faster RCNN 모델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러닝 영상인식 기술을 활용한 주차편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ing a deep learning model, the vehicle's license plate information and the parking space number marked on the empty parking space are extracted from CCTV images captured by multiple CCTV cameras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and the extracted information is analyzed to park the user's vehicle. A video analysis server that generates location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available parking spaces where vehicles can park; and
It includes a service providing server that receives the parking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free parking surface information from the video analysis server and provides them to the user terminal.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provides downloading and installation of an application to the user terminal, and provides parking lot map information using a database built with parking lot information including parking lot interior map information through the downloaded and installed application. And, through the application, floor and area information is provided as park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s vehicle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park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is displayed through the parking lot map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parking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free parking. Provides visual information,
The video analysis server builds a database consisting of vehicle information including license plate number and vehicle type, member information, user information including smartphone number, and parking lot information including parking lot name and inside map of the parking lot,
The video analysis server extracts license plate characters, parking surface marking characters, or parking area marking characters of a plurality of vehicles from the CCTV image, learns them using a data set, and constructs a deep learning model, and the deep In order to learn the learning model, classification and labeling of the CCTV images are performed, a data set consisting of learning data and test data to be used for classification is formed, and the performance of learning using the data set is evaluated. Evaluate and determine the deep learning model to be used for learning, configure the deep learning model by modifying the determined deep learning model or adding a new deep learning algorithm, and repeat learning, evaluation, and environment settings using the deep learning model. Constructing the deep learning model,
The video analysis server uses Lenet, AlexNet, ZFNet, GooleNet, VGNet, or ResNet models as image classification models, and FCN, R-CNN, Fast RCNN, or Faster RCNN models as object detection models. A parking convenience service provision system using deep learning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상기 영상 분석 서버가 상기 추출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차량의 주차위치 정보와 차량이 주차 가능한 여유 주차면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 단계; 및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영상 분석 서버로부터 상기 주차위치 정보와 상기 여유 주차면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정보 제공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 제공 단계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다운로드 및 설치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다운로드 및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주차장 내부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장 정보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주차장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사용자의 차량의 주차위치 정보로서 층과 구역의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주차장 지도 정보를 통해 상기 차량의 주차위치 정보를 표시하여 상기 주차위치 정보와 상기 여유 주차면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 추출 단계는, 상기 CCTV 영상으로부터 복수개의 차량의 번호판의 문자, 주차면 표기 문자 또는 주차구역 표기 문자를 추출하고,
상기 정보 생성 단계는, 차량번호, 차종을 포함하는 차량정보, 회원정보, 스마트폰 번호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및 주차장명, 주차장 내부지도를 포함하는 주차장정보로 구성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 생성 단계는, 데이터 셋(data set)을 이용해 학습하여 딥러닝 모델을 구성하고, 상기 딥러닝 모델의 학습을 위하여 상기 CCTV 영상의 분류와 라벨링(labeling)을 수행하며, 상기 분류에 사용할 학습 데이터와 테스트 데이터로 이루어진 데이터 셋(data set)을 구성하고, 상기 데이터 셋을 이용한 학습의 성능을 평가하고 상기 학습에 사용할 딥러닝 모델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딥러닝 모델을 수정하거나 새로운 딥러닝 알고리즘을 추가하여 딥러닝 모델을 구성하면서도, 상기 딥러닝 모델을 이용해 학습, 평가 및 환경 설정을 반복하여 상기 딥러닝 모델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때 이미지 분류(Image Classification) 모델로서 Lenet, AlexNet, ZFNet, GooleNet, VGNet 또는 ResNet 모델을 사용하며, 오브젝트 감지(Object Detection) 모델로는 FCN, R-CNN, Fast RCNN 또는 Faster RCNN 모델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러닝 영상인식 기술을 활용한 주차편의 서비스 제공 방법.
An information extraction step in which the video analysis server extracts the license pl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parking surface number marked on the empty parking surface from CCTV images captured from a plurality of CCTV cameras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using a deep learning model;
An information generation step in which the image analysis server analyzes the extracted information to generate park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s vehicle and information on a free parking space where the vehicle can be parked; and
It includes an information provision step in which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receives the parking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free parking surface information from the video analysis server and provides th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The information providing step includes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providing download and installation of an application to the user terminal;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providing parking lot map information using a database built with parking lot information including parking lot interior map information through the downloaded and installed application; And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provides floor and area information as park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s vehicle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application, and displays the park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rough the parking lot map information to provide the parking location information. and visually providing the free parking space information.
The information extraction step extracts license plate characters, parking surface symbols, or parking zone symbols of a plurality of vehicles from the CCTV image,
The information generation step includes building a database consisting of vehicle information including license plate number and vehicle type, member information, user information including smartphone number, parking lot name, and parking lot information including an internal map of the parking lot. ,
In the information generation step, a deep learning model is constructed by learning using a data set, classification and labeling of the CCTV images are performed to learn the deep learning model, and learning to be used for the classification is performed. Construct a data set consisting of data and test data, evaluate the performance of learning using the data set, determine a deep learning model to be used for learning, and modify the determined deep learning model or create a new deep learning algorithm. It includes the step of configuring the deep learning model by adding and repeating learning, evaluation, and environment settings using the deep learning model,
At this time, Lenet, AlexNet, ZFNet, GooleNet, VGNet, or ResNet models are used as image classification models, and FCN, R-CNN, Fast RCNN, or Faster RCNN models are used as object detection models. A method of providing parking convenience services using deep learning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3657A KR102636107B1 (en) | 2020-12-24 | 2020-12-24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arking convenience service using deep learning video recognition technolog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3657A KR102636107B1 (en) | 2020-12-24 | 2020-12-24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arking convenience service using deep learning video recognition technolog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92165A KR20220092165A (en) | 2022-07-01 |
KR102636107B1 true KR102636107B1 (en) | 2024-02-08 |
Family
ID=82396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83657A Active KR102636107B1 (en) | 2020-12-24 | 2020-12-24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arking convenience service using deep learning video recognition technolog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3610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80003A (en) | 2022-11-29 | 2024-06-05 | 주식회사 신라이앤씨 | Parking area recognition performance improv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deep learning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48019B1 (en) * | 2016-12-27 | 2018-04-11 |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Vehicle License Plate by Detecting Vehicle Area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94153B1 (en) * | 2010-03-18 | 2011-12-14 | 이원석 | Integrated system for parking guidance and parking management |
KR102223572B1 (en) * | 2017-10-25 | 2021-03-05 | 주식회사 지엠케이정보통신 |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intelligent image analysis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
KR20190134018A (en) * | 2018-05-24 | 2019-12-04 | (주)이지정보기술 | Parking control method and system using intelligent CCTV with deep learning based image processing technology |
-
2020
- 2020-12-24 KR KR1020200183657A patent/KR10263610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48019B1 (en) * | 2016-12-27 | 2018-04-11 |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Vehicle License Plate by Detecting Vehicle Area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92165A (en) | 2022-07-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806064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parking space usage condition,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 |
CN110838239B (en) | Parking space navigation method, device,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and computer equipment | |
CN111179585A (en) | Site testing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 driving vehicle | |
CN109618140B (en) | Vehicle monitoring method, device and system based on video monitoring and server | |
CN107430815A (en) |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identification parking area | |
CN113196331A (en) |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device and method using satellite image | |
CN108831183A (en) | Managing system of car parking based on machine vision | |
CN110942663B (en) | Monitoring distribution guiding method and system for parking lot | |
Hakim et al. | Implementation of an image processing based smart parking system using Haar-Cascade method | |
JP2018501543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the current driving situation | |
CN113343933A (en) | Airport scene monitoring method based on video target identification and positioning | |
CN115063746A (en) | Vehicle warehousing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
KR102636107B1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arking convenience service using deep learning video recognition technology | |
Abu-Alsaad | CNN-Based Smart Parking System. | |
CN109903308B (en) | Method and device for acquiring information | |
Pronello et al. | A low-cost automatic people-counting system at bus stops using Wi-Fi probe requests and deep learning | |
Salma et al. | Smart parking guidance system using 360o camera and haar-cascade classifier on iot system | |
CN112784707A (en) | Information fusion method and device, integrated detection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
Annirudh et al. | IoT based intelligent parking management system | |
Telles et al. | SParkSys: a framework for smart parking systems | |
KR20250095694A (en) | Vehicle early warn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vehicle | |
KR102650518B1 (en) | System for providing resident checking service using car number | |
Nahid et al. | Image processing-based smart parking management system | |
JP2020154842A (en) |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s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s | |
CN111627242A (en) | Fusion positioning method for parking spaces in indoor parking gara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7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2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