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1779B1 - Manufacturing device for food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device for fo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91779B1 KR102591779B1 KR1020210009501A KR20210009501A KR102591779B1 KR 102591779 B1 KR102591779 B1 KR 102591779B1 KR 1020210009501 A KR1020210009501 A KR 1020210009501A KR 20210009501 A KR20210009501 A KR 20210009501A KR 102591779 B1 KR102591779 B1 KR 1025917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cooking
- cover
- food
- pres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OR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or cooking oil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회전되면서 조리대상물을 조리하는 제1조리부와, 제1조리부와 이웃하게 배치되고 회전되면서 조리대상물을 조리하는 제2조리부와, 제1조리부에서 조리된 조리대상물을 제2조리부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제2조리부에서 조리 완료된 조리대상물을 후처리하는 후처리부를 포함하여, 조리대상물을 대량생산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manufacturing apparatus, which includes a first cooking unit that rotates to cook the food, a second cooking unit that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cooking unit and rotates to cook the food, and the food cooked in the first cooking unit. It is possible to mass-produce cooking objects by including a moving unit that moves the cooking objects to the second cooking unit and a post-processing unit that post-processes the cooking objects that have been cooked in the second cooking unit.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품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화공정을 통해 기름을 두르고 가열하여 식품을 대량 조리할 수 있는 식품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manufacturing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food manufacturing device that can cook food in large quantities by adding oil and heating it through an automated process.
일반적으로 전(煎)은 우리 민족의 전통식품으로, 주재료에 따라 녹두전을 비롯하여 호박전, 부추전, 김치전, 해물파전, 고기전, 감자전, 버섯전 등이 있다. 이러한 전의 조리방법은 주재료를 일정규격으로 썰어서 밀가루와 물로 반죽하고, 반죽을 프라이팬에 정량씩 넣고 펼쳐서 윗면과 아랫면을 뒤집어서 조리하게 된다.In general, pancakes are a traditional food of our people. Depending on the main ingredients, they include mung bean pancakes, pumpkin pancakes, chive pancakes, kimchi pancakes, seafood pancakes, meat pancakes, potato pancakes, mushroom pancakes, etc. In this type of cooking method, the main ingredients are cut to a certain size, kneaded with flour and water, the dough is placed in a frying pan, spread out, and the top and bottom sides are turned over and cooked.
이와 같은 전은 조리와 동시에 먹게 되는데, 가정에서 전을 조리하기 위해 재료의 준비과정에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모되고, 조리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장기보관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This kind of pancake is eaten at the same time as it is cooked, but it takes a lot of effort and time to prepare the ingredients to cook pancakes at home, and not only is cooking inconvenient, but long-term storage is impossible.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is.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66681호(2019.04.02. 등록, 발명의 명칭 : 터널형 식품 구이 제조장치)에 게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ublish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966681 (registered on April 2, 2019, title of invention: Tunnel-type food roasting manufacturing devi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화공정을 통해 기름을 두르고 가열하여 식품을 대량 조리할 수 있는 식품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food manufacturing device that can cook food in large quantities by adding oil and heating it through an automated process.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는: 회전되면서 조리대상물을 조리하는 제1조리부; 상기 제1조리부와 이웃하게 배치되고, 회전되면서 조리대상물을 조리하는 제2조리부; 상기 제1조리부에서 조리된 조리대상물을 상기 제2조리부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제2조리부에서 조리 완료된 조리대상물을 후처리하는 후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ood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oking unit that cooks the food while rotating; a second cooking unit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cooking unit and rotating to cook the food; a moving unit that moves the food cooked in the first cooking unit to the second cooking unit; and a post-processing unit that post-processes the food cooked in the second cooking unit.
상기 제1조리부는 제1조리구동부; 상기 제1조리구동부에 의해 회전되고, 조리대상물이 안착되는 제1조리판부; 및 상기 제1조리판부를 가열하는 제1조리가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cooking unit includes a first cooking unit; a first cooking plate unit that is rotated by the first cooking driving unit and on which a cooking object is placed; and a first cooking heating unit that heats the first cooking plate unit.
상기 제1조리부는 상기 제1조리판부에 오일을 제공하는 제1조리오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cook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oking oil unit providing oil to the first cooking plate unit.
상기 제2조리부는 제2조리구동부; 상기 제1조리구동부에 의해 회전되고, 조리대상물이 안착되는 제2조리판부; 및 상기 제2조리판부를 가열하는 제1조리가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cooking unit includes a second cooking unit; a second cooking plate unit that is rotated by the first cooking driving unit and on which a cooking object is placed; and a first cooking heating unit that heats the second cooking plate unit.
상기 제2조리부는 상기 제2조리판부에 오일을 제공하는 제2조리오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cook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oking oil unit providing oil to the second cooking plate.
상기 제2조리부는 상기 제1조리부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cook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inked with the first cooking unit.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는 제1조리부와 제2조리부가 회전되면서 조리대상물을 조리함으로써, 조리 공간을 줄이면서 조리 시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조리대상물을 대량생산할 수 있다.The food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oks the food while the first cooking unit and the second cooking unit rotate, thereby securing cooking time while reducing the cooking space and mass producing the foo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조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조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조리부와 제2조리부가 서로 연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컨베이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유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유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위치변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위치변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받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수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회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저장부에서 공급대기부로 조리대상물이 공급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대기부에서 제1조리부로 조리대상물이 공급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상유지부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상유지부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형상유지부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형상유지부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food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first cook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econd cook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oking unit and the second cooking unit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o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oving convey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ovement guidance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ovement guidance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position conversion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position conversion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lean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leaning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leaning coll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leaning recover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location of the suppl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cooking objects are supplied from the supply storage unit to the supply standb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cooking objects are supplied from the supply standby unit to the first cook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position of the shape maintain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9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shape maintain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0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shape maintaining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shape maintaining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ver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ver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food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lines or sizes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1)는 제1조리부(10)와, 제2조리부(20)와, 이동부(30)와, 후처리부(40)를 포함한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food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1, the
제1조리부(10)는 회전되면서 조리대상물을 조리한다. 일예로, 제1조리부(10)는 원판 형상을 하여 회전되면서 전과 같은 조리대상물을 조리할 수 있다.The
제2조리부(20)는 제1조리부(10)와 이웃하게 배치되고, 회전되면서 조리대상물을 조리한다. 일예로, 제2조리부(20)는 원판 형상을 하여 회전되면서 조리대상물을 조리할 수 있다. The
제1조리부(10)와 제2조리부(20)는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동일한 속도로 회전되면서 조리대상물을 조리할 수 있다. 제1조리부(10)와 제2조리부(20)는 회전하면서 조리대상물을 조리함으로써, 조리를 위한 설비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 제1조리부(10)와 제2조리부(20)는 동일방향으로 회전되거나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이동부(30)는 제1조리부(10)에서 조리된 조리대상물을 제2조리부(20)로 이동시킨다. 일예로, 이동부(30)는 제1조리부(10)에서 1차 조리 완료된 조리대상물을 제2조리부(20)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moving
후처리부(40)는 제2조리부(20)에서 조리 완료된 조리대상물을 후처리한다. 일예로, 후처리부(40)는 조리대상물을 급속 냉동 시설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조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조리부(10)는 제1조리구동부(11)와, 제1조리판부(12)와, 제1조리가열부(13)를 포함한다.Figure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first cook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제1조리판부(12)는 제1조리구동부(11)에 의해 회전되고, 조리대상물이 안착된다. 일예로, 제1조리구동부(11)는 전원이 인가되면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가 될 수 있다. 제1조리판부(12)는 제1조리구동부(11)의 회전축에 장착되어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조리판부(12)는 별도의 지지수단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제1조리판부(12)는 제1조리구동부(11)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원판 형상의 제1조리판결합부(121)와, 제1조리판결합부(121)의 가장자리에 조립되어 조리대상물이 안착되는 제1조리판연장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제1조리가열부(13)는 제1조리판부(12)를 가열한다. 일예로, 제1조리가열부(13)는 제1조리판연장부(122)의 저면에 배치되어 제1조리판연장부(122)를 가열할 수 있다. 제1조리가열부(13)는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제1조리판부(12)를 가열하는 열선이 될 수 있다. 그 외, 제1조리가열부(13)는 제1조리판연장부(122)의 하방에 고정 설치되고, 연료로 점화되는 버너가 될 수 있다.The firs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조리부(10)는 제1조리오일부(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조리오일부(14)는 제1조리판부(12)에 오일을 제공한다. 일예로, 제1조리오일부(14)는 오일이 저장되는 제1오일저장부(141)와, 제1오일저장부(141)와 연결되어 오일을 안내하는 제1오일안내부(142)와, 제1오일안내부(142)와 연결되고 제1조리판연장부(122)에 오일을 배출하는 제1오일배출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The
한편, 제1조리구동부(11)에는 제1조리공급부(19)가 구비되고, 제1조리가열부(13)에 연결된 제1조리단자부(18)는 제1조리판부(12)와 함께 회전되면서 제1조리공급부(19)와 접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제1조리공급부(19)는 나산형으로 복수개의 단자를 구비하고, 제1조리단자부(18)는 회전되면서 제1조리공급부(19)와 순차로 접속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조리공급부(19)에서 제공되는 전원이 회전되는 제1조리가열부(13)에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조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조리부(20)는 제2조리구동부(21)와, 제2조리판부(22)와, 제2조리가열부(23)를 포함한다.Figure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econd cook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the
제2조리판부(22)는 제2조리구동부(21)에 의해 회전되고, 조리대상물이 안착된다. 일예로, 제2조리구동부(21)는 전원이 인가되면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가 될 수 있다. 제2조리판부(22)는 제2조리구동부(21)의 회전축에 장착되어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조리판부(22)는 별도의 지지수단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제2조리판부(22)는 제2조리구동부(21)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원판 형상의 제2조리판결합부(221)와, 제2조리판결합부(221)의 가장자리에 조립되어 조리대상물이 안착되는 제2조리판연장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제2조리가열부(23)는 제2조리판부(22)를 가열한다. 일예로, 제2조리가열부(23)는 제2조리판연장부(222)의 저면에 배치되어 제2조리판연장부(222)를 가열할 수 있다. 제2조리가열부(23)는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제2조리판부(22)를 가열하는 열선이 될 수 있다. 그 외, 제2조리가열부(23)는 제2조리판연장부(222)의 하방에 고정 설치되고, 연료로 점화되는 버너가 될 수 있다.The secon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조리부(20)는 제2조리오일부(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조리오일부(24)는 제2조리판부(22)에 오일을 제공한다. 일예로, 제2조리오일부(24)는 오일이 저장되는 제2오일저장부(241)와, 제2오일저장부(241)와 연결되어 오일을 안내하는 제2오일안내부(242)와, 제2오일안내부(242)와 연결되고 제2조리판연장부(222)에 오일을 배출하는 제2오일배출부(243)를 포함할 수 있다.The
한편, 제2조리구동부(21)에는 제2조리공급부(29)가 구비되고, 제2조리가열부(23)에 연결된 제2조리단자부(28)는 제2조리판부(22)와 함께 회전되면서 제2조리공급부(29)와 접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제2조리공급부(29)는 나산형으로 복수개의 단자를 구비하고, 제2조리단자부(28)는 회전되면서 제2조리공급부(29)와 순차로 접속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조리공급부(29)에서 제공되는 전원이 회전되는 제2조리가열부(23)에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조리부와 제2조리부가 서로 연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조리부(20)는 제1조리부(10)와 연동될 수 있다. 즉, 제2조리판부(22)는 제2조리구동부(2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제2조리판부(22)에 결합되는 제2조리기어부(25)는 제1조리부(10)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1조리기어부(15)와 맞물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조리기어부(15)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제2조리기어부(25) 및 제2조리기어부(25)와 결합된 제2조리판부(22)가 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제1조리기어부(15)는 제1조리판부(12)에 결합될 수 있다.Figure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oking unit and the second cooking unit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 the
한편, 이동부(30)는 제1조리부(10)에서 조리된 조리대상물을 뒤집어 제2조리부(20)로 공급한다. 일예로, 이동부(30)는 제1조리부(10)에서 조리된 조리대상물을 제2조리부(20)로 실어 나르되, 이동부(30)에서 조리대상물이 낙하되면서 뒤집힌 상태로 제2조리부(20)에 안착될 수 있다.Meanwhile, the moving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30)는 이동컨베이어부(31)와, 이동유도부(32)를 포함한다.Figure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o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the moving
이동컨베이어부(31)는 제1조리부(10)와 제2조리부(20)의 상방에 배치되고, 제1조리부(10)에서 조리된 조리대상물이 제2조리부(20)에 뒤집혀 낙하되도록 유도한다. 일예로, 이동컨베이어부(31)는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되면서 조리대상물을 옮길 수 있다. 이러한 이동컨베이어부(31)의 단부는 제2조리부(20)와 이격되므로, 이동컨베이어부(31)에서 낙하되는 조리대상물이 뒤집혀서 제2조리부(20)에 안착될 수 있다.The moving
이동유도부(32)는 제1조리부(10)에서 이동되는 조리대상물을 이동컨베이어부(31)로 유도한다. 일예로, 제1조리부(10)의 상방에 이동컨베이어부(31)가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1조리부(10)에 안착된 조리대상물은 이동유도부(32)에 의해 들려 이동컨베이어부(31)로 진입할 수 있다.Th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컨베이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컨베이어부(31)는 이동롤러부(311)와, 이동벨트부(312)와, 이동모터부(313)를 포함한다.Figure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oving convey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the moving
이동롤러부(311)는 한 쌍이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일예로, 이동롤러부(311)는 미도시된 별도의 지지수단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이동롤러부(311) 중 어느 하나는 제1조리부(10)의 상방에 배치되고, 이동롤러부(311) 중 다른 하나는 제2조리부(20)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조리부(10)의 상방에 배치되는 이동롤러부(311) 보다 제2조리부(20)의 상방에 배치되는 이동롤러부(311)가 더 고점에 위치될 수 있다.A pair of moving
이동벨트부(312)는 이동롤러부(311)에 감겨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된다. 일예로, 이동벨트부(312)는 탄성을 갖는 고무벨트가 될 수 있으며, 열전도성이 우수한 체인벨트가 될 수 있다.The moving
이동모터부(313)는 이동롤러부(311)를 회전시킨다. 일예로, 이동롤러부(311) 중 어느 하나는 이동모터부(313)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The mov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컨베이어부(31)는 이동조절부(3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조절부(314)는 이동롤러부(311)를 지지하고, 이동벨트부(312)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다. 일예로, 이동조절부(314)는 제2조리부(20)의 상방에 배치되는 이동롤러부(311)를 지지하되, 자체 길이가 가변되거나 회전을 유도하여 이동롤러부(31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조리대상물의 크기나 두께에 따라 낙하지점이 조절되면 조리대상물은 뒤집혀 제2조리부(20)에 안착될 수 있다.The moving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유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유도부(32)는 회전되면서 조리대상물의 전단부를 들어 올린다. 일예로, 이동유도부(32)는 이동유도회전부(321)와, 이동유도막대부(322)와, 이동유도접촉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유도회전부(321)는 이동컨베이어부(31)의 전방에 배치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동유도막대부(322)는 이동유도회전부(321)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고, 이동유도접촉부(323)는 이동유도막대부(322)의 단부에 형성되어 조리대상물과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유도회전부(321)가 회전되면 이동유도접촉부(323)가 조리대상물의 단부를 눌러주어 조리대상물의 단부가 이동컨베이어부(31) 방향으로 진입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그 외, 이동유도막대부(322)가 한 쌍이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경우, 한 쌍의 이동유도막대부(322) 사이로 조리대상물이 진입하면 회전되는 이동유도막대부(322)로 인해 조리대상물이 들려 이동컨베이어부(31)로 진입할 수 있다. Figure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ovement guidance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7, the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유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유도부(32)는 유체를 분사하여 조리대상물의 전단부를 들어 올린다. 일예로, 이동유도부(32)는 이동유도저장부(325)와, 이동유도라인부(326)와, 이동유도노즐부(327)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유도저장부(325)는 유체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동유도라인부(326)는 이동유도저장부(325)에 연결되어 유체를 안내할 수 있다. 이동유도노즐부(327)는 제1조리부(10)에 안착되어 이동되는 조리대상물에 유체를 분사할 수 있다. 이동유도노즐부(327)에서 경사지게 분사되는 유체로 인해 조리대상물의 전단부가 들려 이동컨베이어부(31)로 진입할 수 있다.Figure 8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ovement guidance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8, the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위치변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위치변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1)는 위치변환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변환부(50)는 제1조리부(10)와 제2조리부(2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배치되어 조리되는 조리대상물을 뒤집을 수 있다. 이러한 위치변환부(50)는 제1조리부(10)에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고, 제2조리부(20)에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Figure 9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position conversion un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0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position conversion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s 9 and 10, the
제1실시예에 따른 위치변환부(50)는 변환회전부(51)와 변환덕트부(52)를 포함할 수 있다(도 9 참조). 이러한 위치변환부(50)는 조리대상물의 진행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축이 형성되어 조리대상물을 뒤집을 수 있다.The
즉, 변환회전부(51)는 전원이 인가되면 회전력을 제공하고, 변환덕트부(52)는 변환회전부(51)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변환덕트부(52)는 일측이 개구된 덕트 형상을 하고, 초기에 이동되는 조리대상물이 삽입 가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조리대상물이 변환덕트부(52)에 삽입되면, 변환회전부(51)에 의해 변환덕트부(5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조리대상물이 뒤집힌 상태로 낙하될 수 있다.That is, the
제2실시예에 따른 위치변환부(50)는 변환지지부(55)와, 변환축부(56)와, 변환판부(57)를 포함할 수 있다(도 10 참조). 이러한 위치변환부(50)는 조리대상물의 진행 방향으로 회전축이 형성되어 조리대상물을 뒤집을 수 있다.The
즉, 변환지지부(55)는 조리대상물의 상방에 배치되고, 필요에 따라 구동되어 조리대상물을 향하여 이동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변환축부(56)는 변환지지부(55)에 장착되고, 변환판부(57)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일예로, 변환지지부(55)의 이동으로 변환판부(57)가 조리대상물을 받쳐주면, 변환지지부(55)가 원위치로 이동되고, 변환축부(56)에 의해 변환판부(57)가 회전되면 조리대상물이 뒤집혀 낙하될 수 있다.That is, the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1)는 청소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청소부(60)는 제1조리부(10)와 제2조리부(20)에 형성되는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즉, 조리대상물이 가열된 기름에 의해 조리되고,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은 청소부(60)에 의해 걸러질 수 있다. 일예로, 청소부(60)는 조리 완료된 영역에 대한 청소를 실시할 수 있다. 즉, 청소부(60)는 이동부(30)의 하방에 배치되고, 조리대상물이 이동부(30)로 이동된 후 비워진 제1조리부(10)에 대한 청소를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청소부(60)는 후처리부(40)의 하방에 배치되고, 조리대상물이 조리 완료되어 후처리부(40)로 이동된 후 비워진 제2조리부(20)에 대한 청소를 실시할 수 있다.Figure 1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lean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1 , the
보다 구체적으로, 청소부(60)는 청소지지부(61)와 청소받이부(62)를 포함한다. 청소지지부(61)는 지면이나 고정된 설비에 결합되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청소받이부(62)는 청소지지부(61)에 장착되고, 제1조리부(10)와 제2조리부(20)에 각각 배치되어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받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받이부(62)는 받이막대부(621)와, 받이틀부(622)를 포함한다.Figure 1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leaning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2, the cleaning
받이막대부(621)는 청소지지부(61)에 장착된다. 일예로, 받이막대부(621)는 청소지지부(61)에 하나 이상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받이막대부(621)는 제1조리부(10) 또는 제2조리부(20)에 근접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The receiving
받이틀부(622)는 받이막대부(621)에 조립 가능하고, 제1조리부(10)와 제2조리부(2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밀착 가능하다. 일예로, 받이틀부(622)는 받이막대부(621)의 단부에 장착되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로 교체될 수 있다. 받이틀부(622)는 제1조리부(10) 또는 제2조리부(20)에 밀착되어 이물질 및 오일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받이틀부(622)가 연이어 배치되면, 이물질 및 오일이 받이틀부(622)에 의해 일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다.The receiv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받이부(62)는 받이망부(6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받이망부(623)가 형성되는 경우, 받이틀부(622)는 판재 형상이 아니라 사각틀 형상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받이망부(623)는 받이틀부(622)의 내측을 연결하되 오일을 통과시키면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망 형상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받이망부(623)는 받이틀부(622)의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거나, 받이틀부(622)의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부(60)는 청소회전부(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청소회전부(63)는 청소받이부(6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일예로, 청소회전부(63)는 청소지지부(61)에 장착되고, 청소지지부(6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청소받이부(62)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한 상태에서 청소회전부(63)의 길이가 가변됨에 따라 청소받이부(62)가 회전되어 제1조리부(10) 또는 제2조리부(20)에 밀착되거나 이격될 수 있다.The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수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부(60)는 청소수거부(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청소수거부(64)는 제1조리부(10)와 제2조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오목한 형상을 하여 잔류물이 보관 가능하다. 일예로, 청소수거부(64)는 제1조리판부(12) 및 제2조리판부(22)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탈부착될 수 있다. 청소수거부(64)는 제1조리판부(12) 및 제2조리판부(22) 보다 저점을 형성하여 조리대상물에 대한 조리시 발생하는 잔류물을 일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제1조리판부(12) 및 제2조리판부(22)가 회전되면 원심력에 의해 이물질이 청소수거부(64)로 이동될 수 있다. 그 외, 청소받이부(62)에 부딪힌 오일이나 이물질이 청소받이부(62)를 따라 이동되면서 청소수거부(64)에 도달할 수 있다. Figure 1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leaning coll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3, the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회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부(60)는 청소회부수(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회수부(65)는 제1조리부(10)와 제2조리부(2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배치되어 오일을 흡입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흡입된 오일 중 이물질이나 잔류물을 제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청소회수부(65)는 회수관부(651)와, 회수필터부(652)와, 회수저장부(653)와, 회수활용부(654)를 포함할 수 있다. 회수관부(651)는 청소수거부(64)에 연결되어 청소수거부(64)에 저장된 오일을 안내할 수 있다. 회수필터부(652)는 회수관부(651)에 장착되어 이동되는 오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이러한 회수필터부(652)는 교체가 자동으로 이루어져 연속여과가 가능할 수 있다. 회수저장부(653)는 회수필터부(652)를 통과한 오일을 일시 저장할 수 있다. 회수활용부(654)은 회수저장부(653)에 연결되어 회수저장부(653)에 저장된 오일을 재활용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회수활용부(654)는 제1조리부(10)와 제2조리부(20)에 오일을 공급하는 제1조리오일부(14)와 제2조리부(24)에 연결될 수 있다.Figure 1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leaning recover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4, the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1)는 공급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급부(70)는 제1조리부(10)의 상방에 배치되고, 제1조리부(10)에 조리대상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일예로, 공급부(70)에서 공급되는 조리대상물은 각종 육류와 해물 및 야채가 선택적으로 포함되고, 밀가루와 물이 혼합된 반죽이 될 수 있다.Figure 1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location of the suppl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5, the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저장부에서 공급대기부로 조리대상물이 공급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대기부에서 제1조리부로 조리대상물이 공급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과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70)는 공급저장부(71)와, 공급대기부(72)와, 공급배출부(73)와, 공급안내부(74)를 포함한다.Figure 1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ate in which cooking objects are supplied from the supply storage unit to the supply standb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7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ate in which cooking objects are supplied from the supply standby unit to the first cook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ate in which cooking objects are supplied. 16 and 17, the
공급저장부(71)에는 조리대상물이 저장된다. 일예로, 공급저장부(71)는 제1조리부(10)의 상방에 배치되되, 별도의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다. 공급저장부(71)는 상측이 개방된 형상을 하여 작업자가 추가로 조리대상물을 공급할 수 있다. 그 외, 공급저장부(71)는 이동 가능하고, 제1조리부(10)에 근접되도록 지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Cooking objects are stored in the
공급대기부(72)는 공급저장부(71)에 연결되고, 설정용량의 조리대상물이 유입된다. 일예로, 공급대기부(72)는 대기하우징부(721)와, 대기저장부(722)와, 대기유입부(723)와, 대기연결부(724)를 포함할 수 있다. 대기하우징부(721)는 공급저장부(71)의 하방에 배치되고, 공급저장부(71)에 연결되거나 별도의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대기하우징부(721)는 제1조리부(10)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대기저장부(722)는 대기하우징부(721)에 하나 이상 형성되고 설정용량의 조리대상물이 대기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대기저장부(722)는 대기하우징부(721)를 관통하는 홀 형상을 할 수 있다. 대기유입부(723)는 대기저장부(722)와 연통되고 대기하우징부(721)의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대기연결부(724)는 공급저장부(71)와 대기유입부(723)를 연결할 수 있다.The
공급배출부(73)는 공급대기부(72)에 유입된 조리대상물을 배출한다. 일예로, 공급배출부(73)는 대기저장부(722)와 동축상에 배치되고, 길이가 가변됨에 따라 대기저장부(722)에 저장된 조리대상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공급배출부(73)는 대기하우징부(721)에 연결되는 배출하우징부(731)와, 배출하우징부(731)에 장착되고 전후 이동되면서 대기저장부(722)에 대기중인 조리대상물을 밀어내는 배출실린더부(732)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실린더부(72)는 대기저장부(722)의 일단부로 출입 가능하고, 대기저장부(722)의 타단부는 대기밸브부(725)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The
공급안내부(74)는 공급대기부(72)에 연결되고, 공급배출부(73)를 통해 배출되는 조리대상물을 제1조리부(10)로 안내한다. 일예로, 공급안내부(74)는 대기저장부(722)의 타단부와 각각 연결되고, 공급배출부(73)를 통해 이동되는 조리대상물을 제1조리부(10)로 낙하시킬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70)는 공급교반부(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교반부(75)는 공급저장부(71)에 장착되고, 조리대상물을 휘저을 수 있다. 일예로, 공급교반부(75)는 공급저장부(71)에 장착되는 교반지지부(751)와, 교반지지부(75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교반축부(752)와, 교반축부(752)를 회전시키는 교반구동부(753)와, 교반축부(752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교반돌기부(75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급교반부(75)는 조리대상물 중에 포함된 건더기류를 균일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70)는 공급형상부(7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급형상부(76)는 공급안내부(74)의 단부에 배치되고, 배출되는 조리대상물의 형상을 유도할 수 있다. 일예로, 공급형상부(76)는 조리될 조리대상물의 형상을 유도하는 틀이 될 수 있으며, 공급안내부(74)에 탈부착 가능하여 다양한 형상의 틀이 공급안내부(74)에 조립될 수 있다. 그 외, 공급형상부(76)는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되면서 배출되는 조리대상물의 낙하지점을 조절하여 다양한 형상이나 크기를 구현할 수 있다.The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상유지부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상유지부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과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1)는 형상유지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igure 18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position of the shape maintain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9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shape maintain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s 18 and 19,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상유지부(80)는 제1조리부(10)에 공급된 조리대상물의 형상을 균일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형상유지부(80)는 유지승강부(81)와, 유지틀부(8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유지승강부(81)는 제1조리부(10)의 상방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다. 일예로, 유지승강부(81)는 공급부(70)와 이웃하도록 배치되되, 공급부(70)와 결합되거나 별도의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상하 이동될 수 있다.The
유지틀부(82)는 유지승강부(81)에 장착되고, 제1조리부(10)에 도달하여 조리대상물의 크기를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일예로, 조리대상물이 제1조리부(10)에 안착된 후, 유지승강부(81)에 의해 유지틀부(82)가 제1조리부(10)에 밀착되어 각각의 조리대상물 크기를 균일하게 성형할 수 있다. 이러한 유지틀부(82)는 하측이 개방된 형상을 하고, 조리 완료될 식품의 형상이나 크기에 따라 교체 사용될 수 있다.The hold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상유지부(80)는 유지누름부(83)를 포함할 수 있다. 유지누름부(83)는 유지틀부(82)에 내장되고, 상하 이동되어 조리대상물을 눌러줄 수 있다. 일예로, 유지누름부(83)는 유지틀부(82)의 내측 상면에 장착되고 상하 길이가 조절 가능한 누름구동부(831)와, 누름구동부(831)에 장착되고 유지틀부(82)에 내장된 조리대상물의 상면을 눌러주어 식품의 균일 두께를 유도하는 누름판부(8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누름구동부(831)는 식품 두께에 따라 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The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형상유지부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형상유지부(80)는 제1조리부(10)의 상방에서 회전되면서 하방으로 통과하는 조리대상물을 가압하여 조리대상물이 일정한 두께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유지롤러부(85)가 될 수 있다. 일예로, 유지롤러부(85)는 제1조리부(10)의 상방에 배치되는 유지롤러회전부(851)가 유지롤러지지부(852)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유지롤러지지부(852)의 길이가 가변되면 유지롤러회전부(85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조리대상물의 두께를 변경할 수 있다.Figure 20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shape maintaining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0, the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형상유지부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형상유지부(80)는 제1조리부(10)의 상방에서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되면서 하방으로 통과하는 조리대상물을 설정시간 동안 가압하여 조리대상물이 일정한 두께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유지컨베이어부(8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유지컨베이어부(89)는 제1조리부(10)의 상방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유지컨베이어풀리부(891)가 유지컨베이어지지부(892)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유지컨베이어풀리부(891)에 감긴 유지컨베이어벨트부(893)가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되면서 조리대상물을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유지컨베이어벨트부(893)는 굽힘 가능한 형상을 하고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재질을 포함하여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유지컨베이어지지부(892)의 높이를 조절하여 조리대상물의 두께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유지컨베이어풀리부(891)와 유지컨베이어벨트부(893)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가열하는 유지컨베이어가열부(894)에 의해 유지컨베이어벨트부(893)가 가열되어 조리대상물에 대한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Figure 2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shape maintaining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1, the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1)는 커버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90)는 제1조리부(10)와 제2조리부(20)의 상방에 배치되고, 오염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일예로, 커버부(90)는 조리대상물이 조리되는 영역 전체 상방을 커버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하 이동되어 외부로 오염된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커버부(90)는 제1조리부(10)와 제2조리부(20)를 각각 커버하거나, 이들을 동시에 커버할 수 있다.Figure 2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location of the cover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2, the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90)는 커버상부(91)와, 커버덕트부(92)와, 커버지지부(93)를 포함할 수 있다.Figure 2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ver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3, the
커버상부(91)는 제1조리부(10)와 제2조리부(20)의 상방에 배치된다. 일예로, 커버상부(91)는 제1조리부(10)와 제2조리부(20)를 각각 커버하되, 가장자리가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고, 중앙으로 갈수록 고점을 형성할 수 있다. The cover
커버덕트부(92)는 커버상부(91)에 연결되고 공기를 안내한다. 일예로, 커버덕트부(92)는 일체로 이루어진 커버상부(91)의 고점과 연통되어 제1조리부(10) 또는 제2조리부(20)로 유입된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커버덕트부(92)는 커버상부(9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커버지지부(93)는 커버상부(91)를 지지할 수 있다. 일예로, 하나 이상의 커버지지부(93)는 제1조리부(10) 또는 제2조리부(20)에 장착되고, 커버상부(91)의 가장자리를 지지할 수 있다. 커버지지부(93)는 자체 길이가 가변되어 커버상부(9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Th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90)는 커버배출부(94)와 커버필터부(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배출부(94)는 커버덕트부(92)와 연결되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배출부(94)에 내장된 커버필터부(95)는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Meanwhile, the
일예로, 커버배출부(94)는 커버덕트부(92)에 조립되어 커버덕트부(92)와 연통되는 커버배출연결부(941)와, 커버배출연결부(941)에서 상하로 연장되어 상방으로 공기를 배출시키고 하방으로 이물질을 낙하시키는 커버배출몸체부(94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배출몸체부(942)의 상단부는 건물 외부까지 연장될 수 있고, 커버배출몸체부(942)의 하단부는 이물질이 수렴해서 모여진 후 배출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커버배출몸체부(942)에는 커버배출도어부(943)가 형성되어 커버배출몸체부(942)의 내부 수리가 가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커버필터부(95)는 커버배출부(94)에 장착되고, 상방으로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 이러한 커버필터부(95)는 복수개가 상하로 이격되고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커버배출도어부(943)를 통해 커버배출몸체부(942)에 내장된 커버필터부(95)를 교체할 수 있다. 한편, 커버배출부(94) 또는 커버덕트부(92)에는 공기를 일방향으로 강제 이송하기 위한 송풍기가 장착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90)는 커버회수부(9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회수부(96)는 커버상부(91)에 장착되고, 커버상부(91)에서 흘러내리는 낙하물을 안내할 수 있다. 일예로, 고온의 공기가 커버상부(91)의 저면을 따라 올라가면서 커버상부(91)의 저면에 응축수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응축수에는 이물질이 포함될 수 있으며, 경사진 커버상부(91)를 따라 흘러내리다가 커버회수부(96)에 의해 회수될 수 있다. 즉, 커버회수부(96)는 커버상부(91)의 가장자리에 장착되고, 커버상부(91)로 흘러내리는 응축수를 받아내도록 상측이 개구된 형상을 하고, 경사지게 배치되어 응축수를 저장수단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The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food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structur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작업자가 육류, 해물류, 야채류, 밀가루, 물 등이 선택적으로 혼합된 조리대상물을 공급저장부(71)에 투입하면, 공급교반부(75)가 구동되면서 조리대상물이 굳는 것을 방지하고, 주재료를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다.When an operator inputs a cooking object selectively mixed with meat, seafood, vegetables, flour, water, etc. into the supply and
공급저장부(71)에 투입된 조리대상물은 공급대기부(72)로 설정량 유입되고, 공급배출부(73)에 의해 공급대기부(72)에서 배출된 후 공급안내부(74)에 의해 안내되어 제1조리부(10)에 안착된다.The cooking object inputted into the
제1조리부(10)는 회전되면서 안착된 조리대상물을 조리하는데, 승하강 가능한 형상유지부(80)는 제1조리부(10)에 도달하여 조리대상물의 형상 및 크기가 동일하도록 유도한다.The
형상유지부(80)에 의해 외관이 균일해진 조리대상물은 제1조리부(10)를 통해 이동되고, 이동부(30)에 의해 제2조리부(20)로 이동되어 조리된다. 이때, 이동컨베이어부(31)는 제1조리부(10)에서 제2조리부(20)로 조리대상물을 옮기고, 이동유도부(32)는 제1조리부(10)에서 조리되면서 이동되는 조리대상물을 살짝 들어올려 이동컨베이어부(31)에 안착시킨다. 한편, 이동컨베이어부(31)에서 낙하되는 조리대상물은 뒤집혀서 제2조리부(20)에 안착되어 조리된다. 그리고, 제1조리부(10)와 제2조리부(20)에 하나 이상 배치되는 위치변환부(50)는 조리대상물을 뒤집어줄 수 있다.The cooking object whose appearance has been made uniform by the
제2조리부(20)에 의해 조리되는 조리대상물은 후처리부(40)로 이동되어 급속냉동 및 포장되어 제품화된다.The cooking object cooked by the
청소부(60)는 제1조리부(10)와 제2조리부(20)를 통해 생성되는 잔류물을 걷어낸다. 즉, 청소지지부(61)에 장착된 청소받이부(62)는 제1조리부(10)와 제2조리부(20)에 밀착되어 오일에 포함된 주재료를 청소수거부(64)로 유도한다. 그리고, 청소회수부(65)는 청소수거부(64)에 수거된 오일을 재활용하면서 이물질을 걸러낸다. 한편, 청소회전부(63)는 청소받이부(62)를 회전시켜 줌으로써, 청소받이부(62)가 선택적으로 주재료를 처리할 수 있다.The
제1조리부(10)와 제2조리부(20)의 상방에 배치되는 커버부(90)는 조리 과정에서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면서 이물질을 걸러낸다. 즉, 제1조리부(10)와 제2조리부(20)의 상방을 커버하는 커버상부(91)로 유입된 공기는 커버배출부(9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되, 커버필터부(95)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진다. 그리고, 커버회수부(96)는 커버상부(91)의 가장자리로 흘러내리는 응축수를 수거한다. 한편, 조리대상물에 대한 조리 공정 중에는 커버지지부(93)에 의해 커버상부(91)가 상하 이동되어 제1조리부(10) 및 제2조리부(20)와의 간격을 조절하여줌으로써, 외부로 오염된 공기가 누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1)는 제1조리부(10)와 제2조리부(20)가 회전되면서 조리대상물을 조리함으로써, 조리 공간을 줄이면서 조리 시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조리대상물을 대량생산할 수 있다.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can be made therefrom.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below.
10 : 제1조리부 11 : 제1조리구동부
12 : 제1조리판부 13 : 제1조리가열부
14 : 제1조리오일부 20 : 제2조리부
21 : 제2조리구동부 22 : 제2조리판부
23 : 제2조리가열부 24 : 제2조리오일부
30 : 이동부 31 : 이동컨베이어부
32 : 이동유도부 40 : 후처리부
50 : 위치변환부 51 : 변환회전부
52 : 변환덕트부 60 : 청소부
61 : 청소지지부 62 : 청소받이부
63 : 청소회전부 64 : 청소수거부
65 : 청소회수부 70 : 공급부
71 : 공급저장부 72 : 공급대기부
73 : 공급배출부 74 ; 공급안내부
80 : 형상유지부 81 : 유지승강부
82 : 유지틀부 83 : 유지누름부
90 : 커버부 91 : 커버상부
92 : 커버덕트부 93 : 커버지지부
94 : 커버배출부 95 : 커버필터부
96 : 커버회수부10: 1st cooking unit 11: 1st cooking unit
12: 1st cooking panel 13: 1st cooking heating unit
14: 1st cooking part 20: 2nd cooking part
21: 2nd cooking section 22: 2nd cooking panel section
23: 2nd cooking heating part 24: 2nd cooking heating part
30: moving part 31: moving conveyor part
32: movement guidance unit 40: post-processing unit
50: position conversion unit 51: conversion rotation unit
52: Conversion duct part 60: Cleaner
61: cleaning support part 62: cleaning receiving part
63: cleaning rotation unit 64: cleaning collection rejection
65: Cleaning recovery department 70: Supply department
71: supply storage unit 72: supply waiting unit
73:
80: Shape maintenance part 81: Maintenance lifting part
82: holding frame part 83: holding press part
90: cover part 91: cover upper part
92: cover duct part 93: cover support part
94: cover discharge part 95: cover filter part
96: Cover recovery unit
Claims (6)
상기 제1조리부와 이웃하게 배치되고, 회전되면서 조리대상물을 조리하는 제2조리부;
상기 제1조리부에서 조리된 조리대상물을 상기 제2조리부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상기 제2조리부에서 조리 완료된 조리대상물을 후처리하는 후처리부; 및
상기 제1조리부와 상기 제2조리부의 상방에 배치되고, 오염된 공기를 배출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조리부는
제2조리구동부;
상기 제2조리구동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조리대상물이 안착되는 제2조리판부; 및
상기 제2조리판부를 가열하는 제2조리가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조리판부에 결합되는 제2조리기어부는 상기 제1조리부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1조리기어부와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제2조리부는 상기 제1조리부와 연동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조리부와 상기 제2조리부의 상방에 배치되는 커버상부;
상기 커버상부에 연결되고 공기를 안내하는 커버덕트부;
상기 커버상부를 지지하는 커버지지부; 및
상기 커버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커버상부에서 흘러내리는 낙하물을 안내하는 커버회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회수부는 상기 커버상부의 가장자리에 장착되고, 경사진 상기 커버상부를 따라 흘러내리는 응축수를 수거하도록 상측이 개구된 형상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제조장치.
a first cooking unit that cooks the food while rotating;
a second cooking unit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cooking unit and rotating to cook the food;
a moving unit that moves the food cooked in the first cooking unit to the second cooking unit;
a post-processing unit that post-processes the food cooked in the second cooking unit; and
A cover portion disposed above the first cooking unit and the second cooking unit and discharging contaminated air,
The second cooking unit
2nd District East;
a second cooking plate portion rotatably mounted on the second cooking driving unit and on which a cooking object is placed; and
It includes a second cooking heating unit that heats the second cooking plate unit,
The second cooking gear coupled to the second cooking plate portion remains engaged with the first cooking gear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cooking portion and rotated, so that the second cooking portion is interlocked with the first cooking portion,
The cover part
a cover upper portion disposed above the first cooking unit and the second cooking unit;
a cover duct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ver and guiding air;
a cover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cover; and
It includes a cover recovery unit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ver and guiding falling objects flowing down from the upper part of the cover,
The food manufacturing apparatu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recovery part is mounted on an edge of the cover upper part and has an open upper side to collect condensate flowing down along the inclined upper cover.
제1조리구동부;
상기 제1조리구동부에 의해 회전되고, 조리대상물이 안착되는 제1조리판부; 및
상기 제1조리판부를 가열하는 제1조리가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cooking unit
1st District East;
a first cooking plate unit that is rotated by the first cooking driving unit and on which a cooking object is placed; and
A food manufacturing apparatus comprising a first cooking heating unit that heats the first cooking plate unit.
상기 제1조리판부에 오일을 제공하는 제1조리오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cooking unit is
A food manufactur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first cooking oil portion that provides oil to the first cooking plate portion.
상기 제2조리판부에 오일을 제공하는 제2조리오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cooking unit
A food manufactur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second cooking oil portion that provides oil to the second cooking plate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9501A KR102591779B1 (en) | 2021-01-22 | 2021-01-22 | Manufacturing device for fo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9501A KR102591779B1 (en) | 2021-01-22 | 2021-01-22 | Manufacturing device for foo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06513A KR20220106513A (en) | 2022-07-29 |
KR102591779B1 true KR102591779B1 (en) | 2023-10-23 |
Family
ID=82606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09501A Active KR102591779B1 (en) | 2021-01-22 | 2021-01-22 | Manufacturing device for fo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91779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092730A1 (en) | 2002-01-10 | 2005-05-05 | Nothum Robert G.Jr. | Spiral oven, heat delivery, enclosure and drive |
US20110168031A1 (en) | 2004-10-12 | 2011-07-14 | Jim Vadevoulis | Automatic frying apparatus for foodstuffs |
KR102059177B1 (en) * | 2018-09-11 | 2019-12-24 | 정병춘 | Cooking device of dumpling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32885B1 (en) * | 2016-06-16 | 2018-02-28 | 주식회사 사옹원 | The equipment of pancake |
-
2021
- 2021-01-22 KR KR1020210009501A patent/KR10259177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092730A1 (en) | 2002-01-10 | 2005-05-05 | Nothum Robert G.Jr. | Spiral oven, heat delivery, enclosure and drive |
US20110168031A1 (en) | 2004-10-12 | 2011-07-14 | Jim Vadevoulis | Automatic frying apparatus for foodstuffs |
KR102059177B1 (en) * | 2018-09-11 | 2019-12-24 | 정병춘 | Cooking device of dumpl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06513A (en) | 2022-07-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572194A (en) | Oil smoke free automatic roasting apparatus for kitchen | |
KR102591780B1 (en) | Manufacturing device for food | |
KR102291053B1 (en) | Frying device | |
KR102591779B1 (en) | Manufacturing device for food | |
KR102467135B1 (en) | Meat roasting device | |
KR102555222B1 (en) | Manufacturing device for food | |
KR102556331B1 (en) | Manufacturing device for food | |
KR102555221B1 (en) | Manufacturing device for food | |
CN108888124A (en) | Horizontal automatic barbecue oven | |
CN108835681B (en) | Chestnut frying machine | |
CN216088540U (en) | Fried slurry-coated bean curd production line | |
CN206582926U (en) | A kind of fume-free environmental protection type roasting oven | |
CN218126861U (en) | Multifunctional rotary oven | |
CN115568482A (en) | Prefabricated small yellow croaker low-temperature frying device | |
KR102810047B1 (en) | Manufacturing device for food | |
US20100107898A1 (en) | Machine and methods of operation for frying comestibles | |
CN212591803U (en) | An automatic seasoning sprinkling device | |
CN209644630U (en) | An undertaking device for an intelligent cooking machine | |
KR102824570B1 (en) | Manufacturing device for food | |
CN112790409A (en) | A dehydration drying component for dehydrated vegetable processing | |
KR102821372B1 (en) | Manufacturing device for food | |
CN218604785U (en) | Frying stove | |
KR102824569B1 (en) | Manufacturing device for food | |
KR200336244Y1 (en) | Angle Adjustment Apparatus of Meat Roast Plate | |
CN220068830U (en) | Horizontal frying pan for puffed food process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3070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301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3070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303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3101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309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3070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303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0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10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