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16559B1 - Server, vehic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notification - Google Patents

Server, vehic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notifi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6559B1
KR102516559B1 KR1020220038732A KR20220038732A KR102516559B1 KR 102516559 B1 KR102516559 B1 KR 102516559B1 KR 1020220038732 A KR1020220038732 A KR 1020220038732A KR 20220038732 A KR20220038732 A KR 20220038732A KR 102516559 B1 KR102516559 B1 KR 102516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data
vehicle
emergency
accid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87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46528A (en
Inventor
김대원
Original Assignee
팅크웨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04609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382185B1/en
Application filed by 팅크웨어(주) filed Critical 팅크웨어(주)
Priority to KR1020220038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6559B1/en
Publication of KR20220046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6528A/en
Priority to KR1020230040309A priority patent/KR10264665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6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6559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G06Q50/30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2Registering or indicat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onl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6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with transmission via telephone networ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1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larm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서버의 긴급 상황 알림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방법은 차량의 긴급 상황 이벤트 발생시, 차량에 대한 차량용 단말로부터 긴급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차량용 단말에 대하여 긴급 상황 취소용 대기 카운트를 시작하는 단계, 긴급 상황 취소용 대기 카운트가 종료될 때까지 긴급 상황에 대한 취소가 이루어지는지 여부에 따라 긴급 상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긴급 상황으로 판단되면, 수신된 긴급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긴급 신고 기관으로 차량의 긴급 상황에 대한 신고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for notifying a server of an emergency situation is disclosed. The method includes receiving emergency information from a vehicle terminal for the vehicle when an emergency event occurs in the vehicle, starting a standby count for emergency cancellation for the vehicle terminal, and until the standby count for emergency cancellation ends.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n emergency situation based on whether or not the cancellation of the emergency situation is mad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mergency situation is an emergency situation, including the step of reporting the emergency situation of the vehicle to an emergency reporting agency using the received emergency situation information. do.

Figure R1020220038732
Figure R1020220038732

Description

서버, 차량용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긴급 상황 알림 방법{SERVER, VEHIC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NOTIFICATION}Server, vehicle terminal and emergency notif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SERVER, VEHIC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NOTIFICATION}

아래의 설명은 차량 운행 상태를 통합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following descrip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vehicle driving conditions.

이 발명은 2018년도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이다(No.R0113-17-002, 차량ICT 기반 긴급구난체계(e-Call) 표준 및 차량 단말기 개발).This invention is a study conducted with the support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Promotion Center with financial resources from the government (Ministry of Science and ICT) in 2018 (No.R0113-17-002, vehicle ICT-based emergency rescue system (e-Call) standard and vehicle terminal development).

자동차 분야에 정보통신 기술이 융합되면서 각 차량의 운행 정보나 사고 기록 정보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다.A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re converged in the automobile field, various methods of remotely monitoring and managing driving information or accident record information of each vehicle are being attempted.

차량 관리 기술의 일례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08122호(공개일 2005년 1월 21일)에는 GPS 위성으로부터 소정시간마다 GPS 정보를 입력 받아 차량의 현재 위치를 생성하여 위치 정보 저장기에 저장하고 소정의 목적지에 도착하면 현재 위치 정보를 검출하여 차량 운행에 반영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As an example of vehicle management technology,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5-0008122 (published on January 21, 2005) receives GPS information from GPS satellites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generate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and stores the location information. Disclosed is a vehicl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information in a device, detecting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when arriving at a predetermined destination, and reflecting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o vehicle operation.

최근에는 차량 운행 중 이용되는 블랙박스, 내비게이션,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다양한 전장품에 도입되는 IT 기술이 고도화 되면서 그에 적절한 차량과의 연결(connectivity)을 통한 새로운 기능 구현을 요구하고 있다.In recent years, as IT technology introduced to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black boxes, navigation devices, smartphones, and tablet PCs used during vehicle operation has been advanced, new functions are required to be implemented through appropriate connectivity with vehicles.

차량의 운행 리포트나, 주차 충격 혹은 긴급 상황 등을 포함한 차량 운행 상태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Provides a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vehicle driving conditions, including vehicle driving reports, parking shocks, or emergency situations.

컴퓨터로 구현되는 서버에서 수행하는 차량 통합 관리 방법에 있어서, 차량에 장착 또는 내장된 차량용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의 운행 상태와 관련된 차량 운행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 상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차량 운행 데이터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연계하여 상기 차량 운행 데이터를 기초로 운행 리포트와 주차 충격 알림 및 사고 상황 알림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합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A vehicle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performed by a computer-implemented server,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vehicle driving data related to a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from a vehicle terminal installed or embedded in a vehicle; and providing a service related to the vehicle driving data through a dedicated application on a user terminal used by the user of the vehicle, wherein the providing includes a driving report and a driving report based on the vehicle driving data in association with the application. Provided is a vehicle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providing at least one of a parking impact notification and an accident situation notification.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단말에서는 속도 정보가 포함된 GPS 정보를 주기적으로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운행 리포트를 위해 상기 차량용 단말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된 상기 GPS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 거리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the vehicle terminal periodically transmits GPS information including speed information to the server, and the providing step includes using the GPS information periodically received from the vehicle terminal for the driving report. It may include estimating the mileage of the vehicle.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단말과 접속되면 상기 서비스에 필요한 데이터의 종류와 전송 주기를 포함한 통신 환경 설정 정보(configuration)를 상기 차량용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용 단말에서는 상기 통신 환경 설정 정보를 통해 정해진 주기로 정해진 종류의 차량 운행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step of transmitting communication environment setting information (configuration) including the type and transmission period of data necessary for the service to the vehicle terminal when connected to the vehicle terminal, wherein the vehicle terminal further comprises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Through the setting information, vehicle driving data of a predetermined type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at a predetermined period.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 상시 모드에서는 상기 차량 운행 데이터의 전송 주기를 다른 모드보다 짧게 설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 the constant mode in which the vehicle is running, a transmission period of the vehicle driving data may be set shorter than in other modes.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단말에서는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 상시 모드에서 과속 이벤트, 급가속 이벤트, 급제동 이벤트, 급회전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가 감지되는 시점에 해당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차량 운행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각 이벤트 별로 누적된 상기 차량 운행 데이터를 바탕으로 평가된 운행 리포트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when at least one of an overspeed event, a rapid acceleration event, a sudden braking event, and a sudden turning event is detected in the vehicle terminal in the constant mode in which the vehicle is driving, vehicle driving data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event is detected. The transmitting to the server and providing may include providing a driving report evaluated based on the vehicle driving data accumulated for each event through the application.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단말에서는 주차 모드에서 충격 이벤트가 감지되는 시점에 상기 충격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차량 운행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충격 이벤트에 대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주차 충격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in-vehicle terminal transmits vehicle driving data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impact event to the server when an impact event is detected in a parking mode, and the providing of the vehicle operation data comprises the steps of: A step of providing a parking impact notification through an application may be included.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주차 충격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용 단말로부터 상기 충격 이벤트가 감지된 시점의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주차 충격 알림과 함께 상기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providing of the parking impact notification may include receiving an image at a time when the impact event is detected from the vehicle terminal and providing the image together with the parking impact notification.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단말에서는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 상시 모드에서 사고 발생 이벤트가 감지되는 시점에 상기 사고 발생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차량 운행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고 발생 이벤트에 대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설정된 비상 연락처로 사고 상황 알림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in-vehicle terminal transmits vehicle driving data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accident event to the server when an accident event is detected in an always-on mode in which the vehicle is driving, and the providing step comprises: , Sending an accident situation notification to an emergency contact set through the application for the accident occurrence event.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사고 상황 알림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고 발생 이벤트에 대해 긴급 상황 알림 취소가 가능한 소정 시간 동안 대기 카운트를 시작하고 상기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긴급 상황 알림 취소를 위한 사용자 입력이 없는 경우 상기 대기 카운트가 종료된 이후에 상기 사고 상황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transmitting of the accident notification may include starting a standby count for a predetermined time capable of canceling the emergency notification with respect to the accident occurrence event, and receiving a user input for canceling the emergency notification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If there is no notification, the accident situation notification may be transmitted after the standby count is terminated.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사고 상황 알림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고 발생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차량 운행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고 상황이 발생된 위치와 시간, 사고 상황의 종류, 사고 상황 발생 직전의 속도, 충격 크기 중 적어도 하나의 세부 정보를 포함한 상기 사고 상황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transmitting of the accident situation notification may include the location and time of the accident situation, the type of accident situation, and the situation immediately before the occurrence of the accident situation based on vehicle driving data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accident occurrence event. The accident situation notification including detailed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speed and impact size may be transmitted.

컴퓨터로 구현되는 사용자 단말과 결합되어 차량 통합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차량 통합 관리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차량에 장착 또는 내장된 차량용 단말과 연결되면 상호 간에 식별 정보를 교환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상기 차량용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서버로부터 상기 서버에서 상기 차량용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차량의 차량 운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공하는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executing a method for integrated vehicle management coupled to a user terminal implemented by a computer, wherein the method for integrated vehicle management includes the user terminal under control of an application running in the user terminal. exchanging and sto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 each other when the terminal is connected to a vehicle terminal installed or built into the vehicle; And based on the vehicle driving data of the vehicle received from the vehicle terminal in the server from the server related to the application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terminal stored in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application in the user terminal It provides a computer program comprising the step of receiving the provided content.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서버로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지도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the receiving of the content may include reques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server according to control of the application in the user terminal;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server according to control of the application in the user terminal; and display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using a map according to control of the application in the user terminal.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지오 펜싱(Geo-fencing) 구역에 대한 설정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서버에서 상기 설정 정보에 따라 제공하는 상기 지오 펜싱 구역에 대한 알림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receiving of the content may include transmitting setting information for a geo-fencing area to the server under control of the application in the user terminal; and receiving and outputting a notification about the geo-fencing area provided by the server according to the set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application in the user terminal.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중심 위치와 반경을 선택하여 지오 펜싱 구역을 지정하는 기능, 지오 펜싱 구역에 대한 알림 종류를 설정하는 기능, 지오 펜싱 구역에 대한 알림의 반복 주기와 시간대 또는 유효 기간을 설정하는 기능, 지오 펜싱 구역 리스트를 제공하고 리스트의 항목을 편집하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application includes a function of specifying a geo-fencing zone by selecting a center location and a radius, a function of setting a notification type for a geo-fencing zone, a repeat cycle and time period of notification for a geo-fencing zone, or a valid period At least one of a function of setting a geo-fencing zone and a function of providing a list of geo-fencing zones and editing items in the list may be provided.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차량에 대한 운행 리포트의 조회 요청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서버에서 상기 차량 운행 데이터를 바탕으로 평가된 운행 리포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receiving of the content may include transmitting a search request for a driving report for the vehicle to the server according to control of the application in the user terminal; and receiving and outputting a driving report evaluated based on the vehicle driving data in the server from the server according to control of the application in the user terminal.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서버에서 상기 차량용 단말로부터 주차 충격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차량 운행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 제공하는 주차 충격 알림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receiving of the content may include providing the server when vehicle driving data including information on a parking impact event is received from the vehicle terminal by the server according to control of the application in the user terminal. Receiving and outputting a parking impact notification may be included.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차량용 단말에서 상기 주차 충격 이벤트가 감지된 시점에 제공한 영상을 상기 주차 충격 알림과 함께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receiving of the content may include the parking impact notification and an image provided from the server at the time when the parking impact event is detected in the vehicle terminal according to control of the application in the user terminal. A step of receiving together may be further included.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차량 통합 관리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서버에서 상기 차량용 단말로부터 사고 발생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차량 운행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 사고 상황 알림을 전송하기 위한 비상 연락처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method for integrated vehicle management includes notification of an accident situation when the server receives vehicle driving data including information on an accident occurrence event from the vehicle terminal under control of the application in the user terminal. It may further include setting an emergency contact for transmitting.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차량 통합 관리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차량용 단말 중 하나 이상의 차량용 단말을 선택하여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integrated vehicle management method may further include selecting and connecting one or more vehicular terminals from among a plurality of vehicular terminals according to control of the application in the user terminal.

컴퓨터로 구현되는 서버의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차량에 장착 또는 내장된 차량용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의 운행 상태와 관련된 차량 운행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차량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 상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차량 운행 데이터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처리하고, 상기 제공하는 과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연계하여 상기 차량 운행 데이터를 기초로 운행 리포트와 주차 충격 알림 및 사고 상황 알림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An integrated vehicle management system of a computer-implemented server, comprising at least one processor implemented to execute a computer-readable command, wherein the at least one processor operates on a vehicle from a vehicle terminal mounted or embedded in a vehicle. receiving vehicle driving data related to a driving state; and processing a process of providing a service related to the vehicle driving data through a dedicated application on a user terminal used by the user of the vehicle. Provided is a vehicl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at least one of a parking impact notification and an accident situation notifi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차량의 운행 리포트나, 주차 충격 혹은 긴급 상황 등을 포함한 차량 운행 상태를 통합 관리함으로써 차량 운행 상태를 보다 정확하고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차량 운행 상태에 대응되는 조치를 더욱 적절하고 신속하게 취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tegrating management of vehicle driving conditions including vehicle driving reports, parking shocks, emergency situations, etc.,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and specifically grasp vehicle driving conditions and to take measures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driving conditions. It can be taken more appropriately and quickl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 및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차량용 단말과 서비스 서버 간의 기본 통신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차량 위치 확인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지오 펜싱(Geo-fencing)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운행 리포트 발행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주차 충격 알림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긴급 상황 알림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net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vehicl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basic communication process between a vehicle terminal and a servic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vehicle position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geo-fencing proces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to 9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process of issuing a driving re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parking impact notific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n emergency notific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운행 중인 차량의 상태를 통합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technology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state of a running vehicle.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개시되는 것들을 포함하는 실시예들은 차량 운행 상태를 관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 충돌 등 위험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정확성, 신속성, 효율성, 편의성, 비용 절감 등의 측면에 있어서 상당한 장점들을 달성한다.Embodiments including those specificall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manage vehicle driving conditions, and through this, not only can quickly respond to dangerous situations such as vehicle collisions, but also accuracy, promptness, efficiency, convenience, cost reduction, etc. It achieves significant advantages in terms of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110), 사용자 단말(120), 차량용 단말(130), 및 네트워크(14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net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twork environment of FIG. 1 shows an example including an integrated vehicle management system 110 , a user terminal 120 , a vehicle terminal 130 , and a network 140 .

사용자 단말(120)은 차량 운전자인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로,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태블릿(tablet) PC,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120)은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40)를 통해 차량용 단말(130) 및/또는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110)과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은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110)과 관련된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한 모든 단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20)은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제어 하에 서비스 화면 구성, 데이터 입력, 데이터 송수신, 데이터 저장 등 서비스 전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20 is a terminal used by a user who is a vehicle driver, and may be a mobile terminal implemented as a computer device.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120 includes a smart phone, a mobile phone, a tablet PC, a wearable devic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nd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 etc.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120 may communicate with the vehicle terminal 130 and/or the integrated vehicle management system 110 through the network 140 using a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method. The user terminal 120 may mean any terminal device capable of installing and executing dedicated applications related to the integrated vehicle management system 110 .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120 may perform overall service operations such as service screen configuration, data input, data transmission/reception, and data storage under the control of a dedicated application.

차량용 단말(130)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단말로, 차량에 장착 또는 내장된 전자 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차량용 단말(130)은 차량 출고 시점에 차량 제조사에 의해 차량에 장착 또는 내장된 OE(OEM Pre-Installed) 단말, 혹은 차량 출고 후 차량 운전자가 개별적으로 장착 또는 내장한 AM(After Market) 단말일 수 있다. 차량용 단말(130)의 예를 들면, 블랙박스, 내비게이션, VSM(Vehicle Status Monitoring) 단말 등이 있다. 그리고, 차량용 단말(130)은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40)를 통해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110) 및/또는 사용자 단말(120)과 통신할 수 있다.The vehicle terminal 130 is a terminal implemented as a computer device and may refer to an electronic device installed or built into a vehicle. The in-vehicle terminal 130 may be an OE (OEM Pre-Installed) terminal installed or built into the vehicle by the vehicle manufacturer at the time the vehicle is shipped, or an AM (After Market) terminal individually installed or built in by the vehicle driver after the vehicle is shipped. there is. Examples of the vehicle terminal 130 include a black box, a navigation device, and a vehicle status monitoring (VSM) terminal. In addition, the vehicle terminal 130 may communicate with the integrated vehicle management system 110 and/or the user terminal 120 through the network 140 using a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method.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110)은 사용자 단말(120) 및/또는 차량용 단말(130)과 네트워크(140)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The integrated vehicle management system 110 communicates with the user terminal 120 and/or the vehicle terminal 130 through the network 140 to provide commands, codes, files, contents, services, and the like to a computer device or a plurality of computer devices. can be implemented with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110)은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클라이언트(client)인 사용자 단말(120)을 대상으로 차량 통합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역할을 한다.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110)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의 특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들을 실행할 수 있다. 특히,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110)은 사용자 단말(120) 및/또는 차량용 단말(130)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가공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일례로 차량 운행 상태를 모니터링 하여 차량 운행 상태에 대응되는 조치를 취할 수 있다.The integrated vehicle management system 110 serves as a platform for providing integrated vehicle management services to the user terminal 120, which is a client on which a dedicated application is installed. Integrated vehicle management system 110 may execute one or more processes configured to perform one or more of the features described herein. In particular, the integrated vehicle management system 110 may provide services by processing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user terminal 120 and/or the vehicle terminal 130, and for example, by monitoring the vehicle driving state to respond to the vehicle driving state action can be taken.

일례로,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110)은 사용자 단말(120) 및/또는 차량용 단말(130)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바탕으로 차량 통합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10), 및 사용자 단말(120)로 차량 통합 관리 서비스와 관련된 푸시 알림(push notification)을 전송하기 위한 푸시 서버(2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와 푸시 서버(20)는 통합된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현되거나, 혹은 별개의 시스템으로 구현되어 상호 연동하는 형태로 동작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서비스 서버(10)와 푸시 서버(20)와 별개의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the integrated vehicle management system 110 includes a service server 10 for providing an integrated vehicle management service based 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120 and/or the vehicle terminal 130, and the user terminal 120 ) may include a push server 20 for transmitting a push notification related to an integrated vehicle management service.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service server 10 and the push server 20 are implemented as an integrated system or implemented as separate systems and operate in a mutually interworking manner. In the following embodiment, it will be described that the service server 10 and the push server 20 are implemented as separate systems,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110)은 서버 컴퓨터에 해당되는 것으로, 서버 컴퓨터의 예로는 서버 컴퓨팅 디바이스, 개인용 컴퓨터, 서버 컴퓨터, 일련의 서버 컴퓨터들, 미니 컴퓨터, 및/또는 메인프레임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러한 것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 컴퓨터는 분산형 시스템일 수 있고, 그리고 서버 컴퓨터의 동작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상에서 동시에 그리고/또는 순차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The integrated vehicle management system 110 corresponds to a server computer, and examples of the server computer may include a server computing device, a personal computer, a server computer, a series of server computers, a mini computer, and/or a mainframe computer. It is not limited to these. A server computer may be a distributed system, and operations of the server computer may be executed concurrently and/or sequentially on one or more processors.

일례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120)가 포함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일례로 브라우저나 상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110)에 접속하여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110)이 제공하는 서비스나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20)이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40)를 통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110)으로 전송하면,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110)은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코드를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20)은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코드에 대응하는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by accessing the integrated vehicle management system 110 under the control of an operating system (OS) or at least one program (for example, a browser or the installed application)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120 in which the dedicated application is installed, Services or contents provided by the integrated vehicle management system 110 may be provided. For example, when the user terminal 120 transmits a service request message to the integrated vehicle management system 110 through the network 140 under the control of an application, the integrated vehicle management system 110 responds to the service request message. The code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20, and the user terminal 120 may provide content to the user by constructing and displaying a screen corresponding to the code under control of the application.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4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4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4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communication method is not limited, and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as well as a communication method utilizing a communication network (e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wired Internet, a wireless Internet, and a broadcasting network) that the network 140 may include may also be included. For example, the network 140 may include a personal area network (PAN), a local area network (LAN), a campus area network (CAN), a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a wide area network (WAN), and a broadband network (BBN). , one or more arbitrary networks such as the Internet. In addition, the network 140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network topologies including a bus network, a star network, a ring network, a mesh network, a star-bus network, a tree or a hierarchical network, and the like. Not limited.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 및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서는 사용자 단말(120), 그리고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11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한다. 다른 전자 기기인 차량용 단말(130) 역시 사용자 단말(120)과 동일한 또는 유사한 내부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110)에 속한 서비스 서버(10)와 푸시 서버(20) 또한 동일한 또는 유사한 내부 구성을 가질 수 있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and an integrated vehicl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2 , internal configurations of the user terminal 120 and the integrated vehicle management system 110 are described. The vehicle terminal 130, which is another electronic device, may also have the same or similar internal configuration as the user terminal 120, and the service server 10 and the push server 20 belonging to the integrated vehicle management system 110 may also have the same or similar internal configuration. may have an internal structure.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110)과 사용자 단말(120)은 메모리(211, 221), 프로세서(212, 222), 통신 모듈(213, 223)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214, 224)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1, 221)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11, 221)에는 운영체제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사용자 단말(12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1, 221)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213, 223)을 통해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이 네트워크(14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 있다.The integrated vehicle management system 110 and the user terminal 120 may include memories 211 and 221, processors 212 and 222, communication modules 213 and 223, and input/output interfaces 214 and 224. The memories 211 and 221 a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and may include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read only memory (ROM), and a permanent mass storage device such as a disk drive. Also, an operating system or at least one program code (eg, a code for an application installed and driven in the user terminal 120) may be stored in the memories 211 and 221. These software components may be loaded from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eparate from the memories 211 and 221 . The separat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uch as a floppy drive, a disk, a tape, a DVD/CD-ROM drive, and a memory card. In another embodiment, software components may be loaded into the memories 211 and 221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s 213 and 223 rather than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For example, the at least one program is a memory (for example, based on a program (for example, the above-described application) installed by files provided by developers or a file distribution system that distributes application installation files through the network 140). 211, 221).

프로세서(212, 222)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1, 221) 또는 통신 모듈(213, 223)에 의해 프로세서(212, 222)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2, 222)는 메모리(211, 22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rocessors 212 and 222 may be configured to process commands of a computer program by performing basic arithmetic, logic, and input/output operations. Instructions may be provided to processors 212 and 222 by memories 211 and 221 or communication modules 213 and 223 . For example, the processors 212 and 222 may be configured to execute instructions received according to program codes stored in a recording device such as the memories 211 and 221 .

통신 모듈(213, 223)은 네트워크(140)를 통해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110)과 사용자 단말(120)이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른 전자 기기(일례로 차량용 단말(130))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120)의 프로세서(222)가 메모리(22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일례로 검색 요청)이 통신 모듈(223)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40)를 통해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110)으로 전달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s 213 and 223 may provide a function for the integrated vehicle management system 110 and the user terminal 120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network 140, and other electronic devices (eg, the vehicle terminal 130) ) can provide a function to communicate with. For example, a request generated by the processor 222 of the user terminal 120 according to a program code stored in a recording device such as the memory 221 (for example, a search request) is transmitted to the network 140 under the control of the communication module 223. ) It may be delivered to the integrated vehicle management system 110 through.

입출력 인터페이스(214, 224)는 입출력 장치(215, 225)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의 통신 세션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24)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사용자 단말(120)의 프로세서(222)는 메모리(221)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에 있어서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110)이나 차량용 단말(130)이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서비스 화면이나 컨텐츠를 입출력 인터페이스(224)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The input/output interfaces 214 and 224 may be means for interface with the input/output devices 215 and 225 . For example, the input device may include a device such as a keyboard or mouse, and the output device may include a device such as a display for displaying a communication session of an application. As another example, the input/output interface 224 may be a means for interface with a device in which functions for input and output are integrated into one, such as a touch screen. As a more specific example, the processor 222 of the user terminal 120 uses data provided by the integrated vehicle management system 110 or the vehicle terminal 130 in processing the command of the computer program loaded into the memory 221. The configured service screen or contents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through the input/output interface 224 .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110)과 사용자 단말(120)은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20)은 상술한 입출력 장치(225)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사용자 단말(120)이 스마트폰인 경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포함하고 있는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카메라,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진동을 위한 진동기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사용자 단말(120)에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Also, in other embodiments, the integrated vehicle management system 110 and the user terminal 120 may include more components than those shown in FIG. 2 . However, there is no need to clearly show most of the prior art components.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120 is implemented to include at least some of the above-described input/output devices 225 or other components such as a transceiver,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odule, a camera, various sensors, and a database. may further include. As a more specific example, when the user terminal 120 is a smartphone, an acceleration sensor or gyro sensor, a camera, various physical buttons, a button using a touch panel, an input/output port, a vibrator for vibration, etc. It can be seen that various components of may be implemented to be further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120 .

이하에서는 차량 운행 상태를 통합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a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lly managing a vehicle driving state will be described.

차량 운행 상태를 통합 관리를 위한 전체 시스템 구성은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110)과 사용자 단말(120) 및 차량용 단말(1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entire system configuration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vehicle driving state may include the integrated vehicle management system 110 , the user terminal 120 , and the vehicle terminal 130 .

차량용 단말(130)은 통신형 단말로, 단말에 탑재된 내장 센서 혹은 차량에 장착되어 단말과 연결된 외장 센서로부터 차량 운행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여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110) 및/또는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할 수 있다.The vehicle terminal 130 is a communication-type terminal, and collects information related to the vehicle driving state from a built-in sensor mounted on the terminal or an external sensor mounted on the vehicle and connected to the terminal to provide an integrated vehicle management system 110 and/or a user terminal ( 120) can be transmitted.

사용자 단말(120)은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110)과 관련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및 실행되는 것으로, 차량 통합 관리를 위한 기본 기능 및 통신 관련 기능을 사용할 때 필요하다. 사용자 단말(120)에서 실행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하나 이상의 차량용 단말(130)을 선택하여 관리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20 is a dedicated application related to the integrated vehicle management system 110 installed and executed, and is required when using basic functions and communication-related functions for integrated vehicle management. A dedicated application running on the user terminal 120 may select and manage one or more vehicle terminals 130 .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110)은 사용자 단말(120) 상의 전용 어플리케이션과 차량용 단말(130)을 연결하는 서비스 서버(10)를 포함하고, 이때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용 단말(130)과 통신하여 획득한 정보를 가공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vehicl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110 includes a service server 10 that connects a dedicated application on the user terminal 120 and the vehicle terminal 130, and at this time, the service server 10 communicates with the vehicle terminal 130 to obtain We can provide services by processing this information.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110)은 차량 운행 상태와 관련된 각종 푸시 알림을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하기 위한 푸시 서비스 연동용 서버인 푸시 서버(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tegrated vehicle management system 110 may include a push server 20 that is a server for linking a push service to transmit various push notifications related to vehicle driving conditions to the user terminal 120 .

먼저, 차량용 단말(130)의 무선 통신 환경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a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process of the vehicle terminal 130 will be described.

차량용 단말(130)은 와이파이(Wi-Fi) AP 모드 사양을 포함할 수 있으며, 초기에는 와이파이 AP 모드로 동작한다. 이때, AP 정보에는 SSID(service set identification)가 포함될 수 있다.The vehicle terminal 130 may include Wi-Fi AP mode specifications, and initially operates in Wi-Fi AP mode. In this case, the AP information may include service set identification (SSID).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차량용 단말(130)이 접속할 와이파이의 SSID(service set identification)와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다.The user may input a service set identification (SSID) and password of Wi-Fi to which the vehicle terminal 130 is to access through the user terminal 120 .

사용자 단말(120)은 와이파이 AP 모드의 차량용 단말(130)에 접속하여 차량용 단말(130)이 접속할 와이파이의 SSID와 패스워드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차량용 단말(130)은 해당 와이파이 접속 정보를 와이파이 셋업 파일에 저장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20 may access the vehicle terminal 130 in the Wi-Fi AP mode and transmit the SSID and password of the Wi-Fi to which the vehicle terminal 130 will access. At this time, the vehicle terminal 130 may store the corresponding Wi-Fi access information in a Wi-Fi setup file.

차량용 단말(130)의 부팅 시 와이파이 셋업 파일이 없으면 와이파이 AP 모드로 부팅하고, 와이파이 셋업 파일이 있으면 지정된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찾아 접속할 수 있다.When booting the vehicle terminal 130, if there is no Wi-Fi setup file, it boots in Wi-Fi AP mode, and if there is a Wi-Fi setup file, it can find and connect to a designated Wi-Fi network.

차량용 단말(130)은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110) 및/또는 사용자 단말(120)과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차량용 단말(130)의 통신 환경이 와이파이 네트워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20)이 테더링(tethering)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차량용 단말(130)을 RF(Radio Frequency)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의 무선 연결이나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의 유선 연결 등으로 사용자 단말(120)에 연결함으로써 차량용 단말(130)이 사용자 단말(120)에서 제공하는 테더링 기능을 통해 네트워크(140)에 접속하여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110)과 통신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The vehicle terminal 130 may directly communicate with the integrated vehicle management system 110 and/or the user terminal 120 through a Wi-Fi network.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of the vehicle terminal 130 is not limited to a Wi-Fi network, and for example, when the user terminal 120 provides a tethering function, the vehicle terminal 130 is RF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By connecting to the user terminal 120 through a wireless connection such as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Bluetooth, Zigbee, or a wired connection such as universal serial bus (USB), the vehicle terminal 130 is a user terminal ( It is also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the integrated vehicle management system 110 by accessing the network 140 through the tethering function provided by 120 .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차량용 단말과 서비스 서버 간의 기본 통신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to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basic communication process between a vehicle terminal and a servic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용 단말(130)은 부팅이나 모드가 전환된 후 통신이 가능해지면 서비스 서버(10)와 접속을 시도하게 되는데, 이때 차량용 단말(130)은 접속 시도를 위한 데이터로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모델명, 단말 모드, 송신 가능 정보 등을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한다(S301).As shown in FIG. 3, the vehicle terminal 130 attempts to access the service server 10 when communication is possible after booting or mode conversion. UUID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model name, terminal mode, transmittable information, etc. are transmitted to the service server 10 (S301).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용 단말(130)의 접속 시도에 대한 응답으로 통신 환경 설정 정보(configuration)를 차량용 단말(130)로 전송한다(S302). 이때, 통신 환경 설정 정보는 서비스 제공을 위한 필요 정보로서 서비스를 위해 차량용 단말(130)에서 차량 운행 상태와 관련하여 전송해 줘야 하는 데이터의 종류와 주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rvice server 10 transmits communication environment setting information (configuration) to the vehicle terminal 130 in response to the connection attempt of the vehicle terminal 130 (S302).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setting information is necessary information for providing the service and may include the type and period of data to be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terminal 130 in relation to the vehicle driving state for the service.

차량용 단말(130)은 서비스 서버(10)에서 요구한 통신 환경 설정 정보에 따라 차량 운행 상태와 관련된 데이터(이하, '차량 운행 데이터'라 칭함)를 주기적으로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한다(S303). 차량 운행 데이터는 차량용 단말(130)을 통해 획득 가능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GPS 정보, 단말 모드(예컨대, 주차 모드, 상시(주행) 모드 등), 이벤트 타입, 가속도 센서 값(예컨대, G 센서 피크 값) 등을 포함할 수 있다. GPS 정보에는 경위도, 속도, 머리말(heading), 시간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vehicle terminal 130 periodically transmits data related to vehicle driving conditions (hereinafter referred to as 'vehicle driving data') to the service server 10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setting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service server 10 (S303 ). The vehicle driving data may include information obtainable through the vehicle terminal 130, for example, GPS information, terminal mode (eg, parking mode, constant (driving) mode, etc.), event type, acceleration sensor value (eg, , G sensor peak value) and the like. GPS information may include latitude, speed, heading, time information, and the like.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용 단말(130)이 주기적으로 제공하는 차량 운행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데이터의 수신에 따른 응답을 차량용 단말(130)로 전송한다(S304).When receiving vehicle driving data periodically provided by the vehicle terminal 130, the service server 10 transmits a response according to reception of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vehicle terminal 130 (S304).

차량용 단말(130)과 서비스 서버(10) 간의 통신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거나, 혹은 주기적으로 차량용 단말(130)이 서비스 서버(10)와의 통신을 재개하여 상기한 과정(S303~S304)을 반복한다.Communication between the vehicle terminal 130 and the service server 10 is continuously maintained, or the vehicle terminal 130 periodically resumes communication with the service server 10 to repeat the above-described processes (S303 to S304).

그리고, 서비스 서버(10)에서 요청하는 정보가 있는 경우, 차량용 단말(130)은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차량 운행 데이터에 서비스 서버(10)에서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re is information requested from the service server 10, the vehicle terminal 130 may include the information requested from the service server 10 in periodically transmitted vehicle driving data and transmit the same.

*일례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용 단말(130)로부터 차량 운행 데이터를 수신하고(S401), 차량 운행 데이터에 포함된 특정 이벤트에 대해 추가 정보로서 비디오 및 오디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라이브 데이터, 예를 들어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영상을 차량용 단말(130)로 요청할 수 있다(S402).*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service server 10 receives vehicle driving data from the vehicle terminal 130 (S401), and among video and audio as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a specific event included in the vehicle driving data. Live data including at least one, for example, a front or rear image of the vehicle may be requested from the vehicle terminal 130 (S402).

차량용 단말(130)은 서비스 서버(10)의 요청을 수신한 후 정해진 주기마다 전송하는 차량 운행 데이터에 서비스 서버(10)가 요청한 라이브 데이터(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영상 등)를 포함시켜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한다(S403).After receiving a request from the service server 10, the vehicle terminal 130 includes the live data requested by the service server 10 (video of the front or rear of the vehicle, etc.) 10) (S403).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용 단말(130)로부터 자신이 요청한 라이브 데이터를 포함한 차량 운행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데이터의 수신에 따른 응답을 차량용 단말(130)로 전송한다(S404).When the service server 10 receives vehicle driving data including live data requested by the vehicle terminal 130 from the vehicle terminal 130, it transmits a response according to the reception of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vehicle terminal 130 (S404).

따라서,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용 단말(130)의 최초 통신에 대한 응답으로 통신 환경 설정을 통해 차량용 단말(130)에서 전송할 차량 운행 데이터의 종류와 주기(빈도)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차량 운행 데이터의 종류와 주기는 모드(예컨대, 주차 모드, 상시(주행) 모드 등) 별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후, 차량용 단말(130)은 특별한 이벤트가 없는 한 정해진 주기로 정해진 종류의 차량 운행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rvice server 10 may set the type and cycle (frequency) of vehicle driving data to be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terminal 130 through communication environment setting in response to the initial communication of the vehicle terminal 130 . In this case, the type and period of vehicle driving data may be set differently for each mode (eg, parking mode, constant (driving) mode, etc.). Thereafter, the vehicle terminal 130 may transmit vehicle driving data of a predetermined type to the service server 10 at a predetermined period unless there is a special event.

차량용 단말(130)과 서비스 서버(10)간의 통신이 단절된 동안에는 서비스 서버(10)에 보낼 차량 운행 데이터를 차량용 단말(130)의 로컬에 저장하고 있다가 통신이 연결되었을 때 일괄 송신할 수 있다.While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vehicle terminal 130 and the service server 10 is disconnected, the vehicle driving data to be sent to the service server 10 is stored locally in the vehicle terminal 130, and can be collectively transmitted when communication is connected.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차량 위치 확인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vehicle position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 단말(120) 상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차량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A dedicated application on the user terminal 120 may provide a function for checking the location of the vehicle.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20)은 사용자에 의해 전용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차량 위치 확인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선택되는 경우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일정 주기(예컨대, 10초)마다 서비스 서버(10)로 차량의 위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501). 이때, 요청 신호에는 차량용 단말(130)의 UUID가 포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user terminal 120 is a service server at regular intervals (eg, 10 seconds)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dedicated application when a user interface for checking the vehicle location provided by the dedicated application is selected by the user. In (10),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requested (S501). At this time, the request signal may include the UUID of the vehicle terminal 130 .

서비스 서버(10)는 사용자 단말(120)의 요청에 대해 차량용 단말(130)로부터 획득한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할 수 있다(S502). 다시 말해, 서비스 서버(10)는 사용자 단말(120)의 요청에 포함된 UUID의 차량용 단말(130)이 전송한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1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위치 정보에는 차량의 현재 위치와 속도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rvice server 10 may transmit location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vehicle terminal 130 to the user terminal 120 upon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120 (S502). In other words, the service server 10 may deliver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vehicle terminal 130 of the UUID included in the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120 to the user terminal 120 . In this case,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the current location and speed direction of the vehicle.

사용자 단말(120)은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서비스 서버(1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지도를 이용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와 속도 방향을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S503).The user terminal 120 may display the current location and speed direction of the vehicle on the map using the map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ice server 10 under the control of the dedicated application (S503).

사용자 단말(120)이 차량용 단말(130)과 최초 연결 시 사용자 단말(120)와 차량용 단말(130)의 상호 간에 식별 정보(UUID나 전화 번호 등)를 교환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20)에 저장된 정보가 차량용 단말(130)에 저장된 정보와 같을 때 상기한 차량 위치 확인 과정을 처리할 수 있다.When the user terminal 120 connects to the vehicle terminal 130 for the first time, identification information (UUID or phone number, etc.) may be exchanged and stored between the user terminal 120 and the vehicle terminal 130, and the user terminal 120 When the information stored in is the same as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vehicle terminal 130, the above-described vehicle positioning process may be processed.

사용자 단말(120)은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차량 위치 확인을 위한 서비스 화면에서 다른 화면으로 이동하게 되면 차량 위치 확인을 위한 관련 통신을 중단할 수 있다.When the user terminal 120 moves from a service screen for checking a vehicle location to another screen under the control of a dedicated application, it may stop related communication for checking the location of a vehicle.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지오 펜싱(Geo-fencing)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and 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geo-fencing proces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지오 펜싱은 위치 기반 서비스(LBS)를 활용하여 특정 지리적인 영역을 가상 울타리로 지정해놓고 해당 영역의 출입 현황 등을 알려주는 기술이다.Geo-fencing is a technology that utilizes location-based services (LBS) to designate a specific geographic area as a virtual fence and informs the access status of the area.

사용자 단말(120) 상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지오 펜싱 구역에 대한 알림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알림 기능은 차량이 지오 펜싱 구역에 접근할 때 진입 알림 경보를 제공하는 기능과, 차량이 지오 펜싱 구역을 벗어날 때 진출 알림 경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지오 펜싱 구역을 진입 금지 영역과 진출 금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설정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A dedicated application on the user terminal 120 may provide a notification function for a geo-fencing area. In this case, the notification function may include a function of providing an entry notification alarm when the vehicle approaches the geo-fencing area and a function of providing an exit notification alarm when the vehicle leaves the geo-fencing area. And, 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 geo-fencing area by dividing it into an entry prohibition area and an entry prohibition area.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20)은 현재 지정된 지오 펜싱 구역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서버(10)로 요청할 수 있다(S601).As shown in FIG. 6 , the user terminal 120 may request information on a currently designated geo-fencing area from the service server 10 (S601).

서비스 서버(10)는 사용자 단말(120)의 요청에 대해 현재 지정된 지오 펜싱 구역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할 수 있다(S602).The service server 10 may transmit information on a currently designated geo-fencing area to the user terminal 120 in response to a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120 (S602).

사용자 단말(120)은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서비스 서버(1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지도를 이용하여 지오 펜싱 구역을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S603). 이때, 지오 펜싱 구역에 대한 편집을 허용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20 may display the geo-fencing area on the map using the map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ice server 10 under the control of the dedicated application (S603). At this time, editing of the geo-fencing zone may be allowed.

지오 펜싱 구역에 대한 편집 기능으로는 중심 위치와 반경을 선택하여 지오 펜싱 구역을 지정하는 기능, 지오 펜싱 구역에 대한 알림 종류(진입 알림 또는 진출 알림)를 설정하는 기능, 지오 펜싱 구역에 대한 알림의 반복 주기와 시간대, 유효 기간 등을 설정하는 기능, 지오 펜싱 구역 목록을 제공하여 목록에서 선택된 특정 구역을 삭제하는 기능, 지오 펜싱 구역 목록을 제공하여 목록에서 선택된 특정 구역의 반경이나 알림 종류 등을 변경하는 기능, 지오 펜싱 구역에 대한 알림을 중단하거나 재개하도록 설정하는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Editing functions for the geo-fencing zone include the ability to specify the geo-fencing zone by selecting the center location and radius, the function to set the notification type (entry notification or exit notification) for the geo-fencing zone, and the notification of the geo-fencing zone. Function to set repeat cycle, time zone, validity period, etc., function to delete a specific zone selected from the list by providing a geo-fencing zone list, and change the radius or notification type of a specific zone selected from the list by providing a list of geo-fencing zones It may include a function to stop or resume notifications about geo-fencing zones.

사용자 단말(120)은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편집 기능을 통해 설정한 지오 펜싱 구역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S604).The user terminal 120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geo-fencing area set by the user through the editing function to the service server 10 under the control of the dedicated application (S604).

서비스 서버(1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사용자가 설정한 지오 펜싱 구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 후 사용자의 지오 펜싱 설정에 따른 응답을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한다(S605).The service server 10 receives and stores information on the geo-fencing area set by the user from the user terminal 120 and transmits a response according to the user's geo-fencing setting to the user terminal 120 (S605).

그리고, 서비스 서버(10)는 지오 펜싱에 대한 알림이 필요한 경우 푸시 서버(20)와의 연동을 통해 푸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ice server 10 may provide push notification through interworking with the push server 20 when notification for geo-fencing is required.

도 7을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용 단말(130)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GPS 정보를 통해 차량의 현 위치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지오 펜싱 구역의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거나, 혹은 차량의 현 위치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지오 펜싱 구역을 벗어나는 경우 알림 이벤트를 발생할 수 있다(S701).Referring to FIG. 7 , the service server 10 approache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within a certain distance of a geo-fencing area designated by the user through GPS information periodically received from the vehicle terminal 130, or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A notification event may be generated when the user leaves the geo-fencing area designated by the user (S701).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의 현 위치가 지오 펜싱 구역에 접근하거나 지오 펜싱 구역을 벗어남에 따라 발생된 알림 이벤트에 대하여 지오 펜싱 알림을 푸시 서버(20)로 요청할 수 있다(S702). 이때, 알림 요청에는 사용자 단말(120)의 식별 번호(예컨대, 전화 번호 등)가 포함될 수 있다.The service server 10 may request a geo-fencing notification from the push server 20 for a notification event generated whe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approaches or leaves the geo-fencing area (S702). At this time, the notification request may include an identification number (eg, phone number, etc.) of the user terminal 120 .

푸시 서버(20)는 서비스 서버(10)의 알림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120) 상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지오 펜싱 알림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S703).The push server 20 may deliver the geo-fencing notification to the user through a dedicated application on the user terminal 120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request of the service server 10 (S703).

사용자 단말(120)이 차량용 단말(130)과 최초 연결 시 사용자 단말(120)과 차량용 단말(130)의 상호 간에 식별 정보(UUID나 전화 번호 등)를 교환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20)에 저장된 정보가 차량용 단말(130)에 저장된 정보와 같을 때 상기한 지오 펜싱 과정을 처리할 수 있다.When the user terminal 120 connects to the vehicle terminal 130 for the first time, identification information (UUID or phone number, etc.) may be exchanged and stored between the user terminal 120 and the vehicle terminal 130, and the user terminal 120 When the information stored in is the same as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vehicle terminal 130, the geo-fencing process described above may be processed.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운행 리포트 발행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to 9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process of issuing a driving re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용 단말(130)에서 제공하는 차량 운행 데이터를 바탕으로 운행 리포트를 제공할 수 있고, 이에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20) 상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운행 리포트를 확인할 수 있다. 일례로, 차량용 단말(130)은 차량의 제한 속도 초과(과속), 급가속, 급제동, 급회전 등의 이벤트를 감지하여 이벤트 감지 시점의 차량 운행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서버(10)는 일정 기간 동안 누적된 차량 운행 데이터를 바탕으로 차량 운행 상태에 대해 평가된 리포트를 사용자 단말(120) 상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service server 10 may provide a driving report based on vehicle driving data provided by the vehicle terminal 130 , and thus the user may check the driving report through a dedicated application on the user terminal 120 . For example, the vehicle terminal 130 may detect an event such as exceeding a vehicle speed limit (speeding), rapid acceleration, sudden braking, or sudden turn, and transmit vehicle driving data at the time of event detection to the service server 10 . In this case, the service server 10 may provide the user with a report evaluated on the vehicle driving state based on vehicle driving data accumulated ov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rough a dedicated application on the user terminal 120 .

차량용 단말(130)이 차량의 상시(주행) 모드에서 서비스 서버(10)에 접속하는 경우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의 주행 거리를 판단하기 위해 차량 운행 데이터의 전송 주기를 다른 모드(예컨대, 주차 모드)에 비해 짧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용 단말(130)이 차량의 상시(주행) 모드에서 GPS 정보(경도와 위도 및 속도)를 2초 간격으로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 있고, 운행 리포트를 위해 차량용 단말(130)로부터 수집된 GPS 정보를 사용하여 차량의 주행 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용 단말(130)로부터 수신한 GPS 정보의 속도 변화가 선형이라 간주하고 주행 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 2초마다 GPS 속도를 수신할 때 수신한 2개의 속도 정보 V1(m/s)과 V2(m/s)를 통해 추정된 주행 거리 m은 {(V1+V2)/2}×2(s)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GPS 속도와 위치를 측정할 수 없는 터널 등의 GPS 음영 구간은 GPS 속도와 위치 값이 있는 인접한 점을 직선으로 연결함으로써 주행 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When the vehicle terminal 130 accesses the service server 10 in the constant (driving) mode of the vehicle, the service server 10 sets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vehicle driving data to another mode (eg, parking) to determine the driving distance of the vehicle. mode) can be set shorter. For example, the service server 10 may set the vehicle terminal 130 to transmit GPS information (longitude, latitude, and speed) at 2-second intervals in the vehicle's constant (driving) mode, and the vehicle terminal for a driving report. The mileage of the vehicle can be estimated using the GPS information collected from (130). At this time, the service server 10 may assume that the speed change of the GP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vehicle terminal 130 is linear and estimate the driving distance. When receiving the GPS speed every 2 seconds, the estimated driving distance m through the received two speed information V1 (m/s) and V2 (m/s) is {(V1+V2)/2}×2(s) can be defined as In addition, in a GPS shaded section such as a tunnel where GPS speed and location cannot be measured, the driving distance can be estimated by connecting adjacent points having GPS speed and location values with a straight line.

본 실시예에서 차량용 단말(130)은 차량 OBD(On Board Diagnostics)에 연결하지 않고 속도 정보가 포함된 GPS 정보를 주기적으로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고, 서비스 서버(10)에서는 차량용 단말(130)로부터 수신한 GPS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 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vehicle terminal 130 may periodically transmit GPS information including speed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10 without connecting to vehicle OBD (On Board Diagnostics), and the service server 10 may transmit the vehicle terminal ( The driving distance of the vehicle may be estimated using the GPS speed information received from 130).

도 8을 참조하면, 차량용 단말(130)은 차량이 도로 상의 제한 속도인 규정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과속 이벤트가 발생됨에 따라 과속 검출 정보를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S801). 일례로, 차량용 단말(130)은 과속 검출 정보를 주기적 정보 송신 형태로 전달할 수 있으며,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차량 운행 데이터에 포함시켜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차량 운행 데이터에는 이벤트 타입으로 과속 이벤트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고 과속 검출 정보로서 규정 속도와 초과 속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vehicle terminal 130 may transmit speed detection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10 as an over-speed event occurs when the vehicle exceeds the speed limit on the road (S801). For example, the vehicle terminal 130 may transmit the speed detection information in the form of periodic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may transmit the speed detection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10 by including it in periodically transmitted vehicle driving data. In this case, the vehicle driving data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n overspeed event as an event type and information about a prescribed speed and an overspeed as speed detection information.

차량용 단말(130)은 차량이 정차 상태(예컨대, 4km/h 이하)에서 정해진 시간 내에 설정 속도(예컨대, 20km/h)에 도달하는 경우 급가속 이벤트가 발생됨에 따라 급가속 검출 정보를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S802). 일례로, 차량용 단말(130)은 급가속 검출 정보를 즉시 정보 송신 형태로 전달할 수 있으며, 급가속 이벤트 발생 시점에 서비스 서버(10)에 접속하여 급가속 검출 정보를 포함한 차량 운행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차량 운행 데이터에는 이벤트 타입으로 급가속 이벤트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고 급가속 검출 정보로서 가속도 센서 값, 예를 들어 G 센서의 Z축 방향을 차량 가속 시 + 방향으로 가정할 때 Z축 최대 피크 값이 포함될 수 있다.When the vehicle terminal 130 reaches a set speed (eg, 20 km/h)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n a stopped state (eg, 4 km/h or less), as a sudden acceleration event occurs, the rapid acceleration detec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rvice server ( 10) can be transmitted (S802). For example, the vehicle terminal 130 may immediately transmit the sudden acceleration detection information in the form of information transmission, access the service server 10 at the time of the sudden acceleration event, and send vehicle driving data including the sudden acceleration detection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 10) can be sent. At this time, the vehicle driving data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rapid acceleration event as an event type, and as the rapid acceleration detection information, the acceleration sensor value, for example, the Z-axis maximum peak when assuming that the Z-axis direction of the G-sensor is + direction during vehicle acceleration. value may be included.

차량용 단말(130)은 차량이 주행 상태(예컨대, 20km/h 이상)에서 정해진 시간 내에 설정 속도(예컨대, 4km/h)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급제동 이벤트가 발생됨에 따라 급제동 검출 정보를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S803). 일례로, 차량용 단말(130)은 급제동 검출 정보를 즉시 정보 송신 형태로 전달할 수 있으며, 급제동 이벤트 발생 시점에 서비스 서버(10)에 접속하여 급제동 검출 정보를 포함한 차량 운행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차량 운행 데이터에는 이벤트 타입으로 급제동 이벤트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고 급제동 검출 정보로서 가속도 센서 값, 예를 들어 G 센서의 Z축 방향을 차량 감속 시 - 방향으로 가정할 때 Z축 최소 피크 값이 포함될 수 있다.The vehicle terminal 130 transmits emergency braking detection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10 as an emergency braking event occurs when the vehicle falls below a set speed (eg, 4 km/h)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n a driving state (eg, 20 km/h or higher). It can be transmitted to (S803). For example, the vehicle terminal 130 may immediately transmit sudden braking detection information in the form of information transmission, access the service server 10 at the time of sudden braking event occurrence, and transmit vehicle driving data including sudden braking detection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10. can transmit At this time, the vehicle operation data includes information about sudden braking events as an event type, and as sudden braking detection information, the acceleration sensor value, for example, the Z-axis minimum peak value when assuming that the Z-axis direction of the G-sensor is the - direction when the vehicle is decelerating is can be included

차량용 단말(130)은 차량의 주행 상태에서 차량의 횡방향에 대한 가속도 센서 값이 정해진 시간 내에 설정 레벨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급회전 이벤트가 발생됨에 따라 급회전 검출 정보를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S804). 예를 들어, G 센서의 Y축 방향을 차량의 횡방향으로 가정할 때 차량용 단말(130)은 G 센서의 Y축 피크 값(절대 값)이 0.3 이상에서 소정 시간 내에 0.3 미만으로 떨어지면 급회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차량용 단말(130)은 급회전 검출 정보를 즉시 정보 송신 형태로 전달할 수 있으며, 급회전 이벤트 발생 시점에 서비스 서버(10)에 접속하여 급회전 검출 정보를 포함한 차량 운행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차량 운행 데이터에는 이벤트 타입으로 급회전 이벤트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고 급회전 검출 정보로서 가속도 센서 값, 예를 들어 G 센서의 Y축 피크 값(절대 값)이 포함될 수 있다.The vehicle terminal 130 may transmit sudden turn detection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10 as a sudden turn event occurs when the value of the acceleration sensor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vehicle falls below a set level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n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 S804).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Y-axis direction of the G-sensor is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vehicle terminal 130 determines that a sharp turn occurs when the Y-axis peak value (absolute value) of the G-sensor drops from 0.3 or more to less than 0.3 within a predetermined time. can do. For example, the vehicle terminal 130 may immediately transmit the sudden turn detection information in the form of information transmission, access the service server 10 at the time of the sudden turn event, and transmit vehicle driving data including the sharp turn detection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10. can transmit In this case, the vehicle driving data may include information on a sharp turn event as an event type, and may include an acceleration sensor value, for example, a Y-axis peak value (absolute value) of a G sensor as sharp turn detection information.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용 단말(130)로부터 주기적으로 혹은 이벤트 발생 즉시 차량 운행 데이터(과속 검출 정보, 급가속 검출 정보, 급제동 검출 정보, 급회전 검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데이터의 수신에 따른 응답을 차량용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service server 10 receives vehicle driving data (overspeed detection information, rapid acceleration detection information, sudden braking detection information, sudden turn detection information) from the vehicle terminal 130 periodically or immediately upon occurrence of an event, a response according to the reception of the corresponding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vehicle terminal 130.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용 단말(130)에서 제공하는 차량 운행 데이터를 바탕으로 운행 리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The service server 10 may provide a driving report based on vehicle driving data provided by the vehicle terminal 130 .

도 9를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용 단말(130)에서 제공하는 차량 운행 데이터를 바탕으로 주기적으로 운행 리포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서비스 서버(10)는 지난 리포트가 생성된 이후 일정 시간(예컨대, 7일)이 경과하는 조건(시간 조건)과 차량의 주행 거리가 일정 거리(예컨대, 60km) 이상 누적되는 조건(거리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 리포트를 추가 생성할 수 있다(S901).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간 조건과 거리 조건 중 어느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리포트를 추가 생성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9 , the service server 10 may periodically generate a driving report based on vehicle driving data provided by the vehicle terminal 130 . For example, the service server 10 may determine a condition (time condition) in which a certain amount of time (eg, 7 days) has elapsed since the last report was generated and a condition in which the driving distance of the vehicle is accumulated over a certain distance (eg, 60 km) (distance). conditions), a report may be additionally generated (S901).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also possible to additionally generate a report when one of a time condition and a distance condition is satisfied.

사용자 단말(120)은 사용자가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운행 리포트를 조회하는 경우 서비스 서버(10)로 사용자에 의한 운행 리포트 뷰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S902).When the user searches for a driving report through a dedicated application, the user terminal 120 may request a driving report view inquiry by the user to the service server 10 (S902).

서비스 서버(10)는 사용자 단말(120)의 요청에 대해 사용자 단말(120) 상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운행 리포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903).The service server 10 may provide a operation report to the user through a dedicated application on the user terminal 120 in response to the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120 (S903).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의 과속과 관련된 리포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 60 km를 주행하는 동안 제한 속도 초과 이력이 전혀 없는 경우 좋음(Good)으로 평가된 리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2) 60 km를 주행하는 동안 과속 단속 카메라(safety camera)가 위치한 지점에서의 제한 속도 초과 이력이 없는 경우 보통(Okay)으로 평가된 리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3) 60 km를 주행하는 동안 과속 단속 카메라가 위치한 지점에서의 제한 속도 초과 이력이 있고 평균 초과 속도가 10km/h 미만인 경우 개선 필요(Need Improvement)로 평가된 리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4) 60 km를 주행하는 동안 과속 단속 카메라가 위치한 지점에서의 제한 속도 초과 이력이 있고 평균 초과 속도가 10km/h 이상이고 20km/h 미만인 경우 불안전(Unsafe)으로 평가된 리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5) 누적된 주행 거리 중 과속 단속 카메라가 위치한 지점에서의 제한 속도 초과 이력이 있고 평균 초과 속도가 20km/h 이상인 경우 위험(Dangerous)으로 평가된 리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의 과속과 관련된 리포트로서 상기한 평가 레벨(좋음, 보통, 개선필요, 불안전, 위험)에 대응되는 속도(speed) 평가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The service server 10 may generate a report related to vehicle speeding. For example, (1) when there is no history of exceeding the speed limit while driving 60 km, a report evaluated as good may be provided. (2) If there is no history of exceeding the speed limit at a point where a safety camera is located while driving 60 km, a report rated as OK can be provided. (3) If there is a history of exceeding the speed limit at the point where the speed enforcement camera is located while driving 60 km and the average speed exceeds 10 km/h, a report evaluated as Need Improvement can be provided. (4) If there is a history of exceeding the speed limit at the point where the speed enforcement camera is located while driving 60 km, and the average speed exceeds 10 km/h and is less than 20 km/h, a report evaluated as Unsafe can be provided. . (5) A report evaluated as Dangerous can be provided if there is a history of exceeding the speed limit at the point where the speeding camera is located among the accumulated mileage and the average speed exceeds 20 km/h. The service server 10 may provide a speed evaluation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above evaluation level (good, normal, improvement needed, unsafe, dangerous) as a report related to the speeding of the vehicle.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의 급가속과 관련된 리포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 60 km를 주행하는 동안 수집된 G 센서의 Z축 최대 피크 값이 모두 0.4g 미만인 경우 좋음(Good)으로 평가된 리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2) 60 km를 주행하는 동안 수집된 G 센서의 Z축 최대 피크 값이 모두 0.7g을 넘지 않은 경우 보통(Okay)으로 평가된 리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3) 60 km를 주행하는 동안 수집된 G 센서의 Z축 최대 피크 값 중에서 0.7g을 넘는 피크 값이 0.1% 미만인 경우 개선 필요(Need Improvement)로 평가된 리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4) 60 km를 주행하는 동안 수집된 G 센서의 Z축 최대 피크 값 중에서 0.7g을 넘는 피크 값이 0.1% 이상이고 1% 미만인 경우 불안전(Unsafe)으로 평가된 리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5) 60 km를 주행하는 동안 수집된 G 센서의 Z축 최대 피크 값 중에서 0.7g을 넘는 피크 값이 1% 이상이거나 G 센서의 Z축 최대 피크 값이 0.8g 이상인 경우 위험(Dangerous)으로 평가된 리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의 급가속과 관련된 리포트로서 상기한 평가 레벨(좋음, 보통, 개선필요, 불안전, 위험)에 대응되는 가속(acceleration) 평가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The service server 10 may generate a report related to rapid acceleration of the vehicle. For example, (1) when all of the Z-axis maximum peak values of the G sensors collected while driving 60 km are less than 0.4 g, a report evaluated as “Good” may be provided. (2) If all of the Z-axis maximum peak values of the G-sensors collected while driving 60 km do not exceed 0.7g, a report evaluated as OK can be provided. (3) If the peak value exceeding 0.7g is less than 0.1% among the Z-axis maximum peak values of the G sensor collected while driving 60 km, a report evaluated as Need Improvement can be provided. (4) A report evaluated as unsafe can be provided if the peak value exceeding 0.7g is greater than 0.1% and less than 1% among the maximum peak values of the Z-axis of the G sensor collected while driving 60 km. (5) Among the Z-axis maximum peak values of the G-sensor collected while driving 60 km, if the peak value over 0.7g is more than 1%, or if the Z-axis maximum peak value of the G-sensor is over 0.8g, it is evaluated as dangerous. report can be provided. The service server 10 may provide an acceleration evaluation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evaluation level (good, normal, need for improvement, unsafe, or dangerous) as a report related to sudden acceleration of the vehicle.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의 급제동과 관련된 리포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 60 km를 주행하는 동안 수집된 G 센서의 Z축 최소 피크 값이 -0.4g 이상인 경우 좋음(Good)으로 평가된 리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2) 60 km를 주행하는 동안 수집된 G 센서의 Z축 피크 값 중에서 -0.3g ≥ Z축 피크 값 > -0.6g의 조건을 만족하는 피크 값이 1개 또는 2개인 경우 보통(Okay)으로 평가된 리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3) 60 km를 주행하는 동안 수집된 G 센서의 Z축 피크 값 중에서 -0.3g ≥ Z축 피크 값 > -0.6g의 조건을 만족하는 피크 값이 3개인 경우 개선 필요(Need Improvement)로 평가된 리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4) 60 km를 주행하는 동안 수집된 G 센서의 Z축 피크 값 중에서 -0.3g ≥ Z축 피크 값 > -0.6g의 조건을 만족하는 피크 값이 4개 이상인 경우 불안전(Unsafe)으로 평가된 리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5) 60 km를 주행하는 동안 수집된 G 센서의 Z축 피크 값 중에서 -0.3g ≥ Z축 피크 값 > -0.6g의 조건을 만족하는 피크 값이 4개 이상이면서 -0.8g이하인 피크 값이 존재하는 경우 위험(Dangerous)으로 평가된 리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의 급제동과 관련된 리포트로서 상기한 평가 레벨(좋음, 보통, 개선필요, 불안전, 위험)에 대응되는 감속(Braking) 평가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The service server 10 may generate a report related to sudden braking of the vehicle. For example, (1) When the minimum peak value of the Z-axis of the G sensor collected while driving 60 km is -0.4 g or more, a report evaluated as Good may be provided. (2) Among the Z-axis peak values of the G sensor collected while driving 60 km, if there are one or two peak values that satisfy the condition of -0.3g ≥ Z-axis peak value > -0.6g, it is set to OK. An evaluation report can be provided. (3) Among the Z-axis peak values of the G sensor collected while driving 60 km, if there are 3 peak values that satisfy the condition of -0.3g ≥ Z-axis peak value > -0.6g, it is evaluated as Need Improvement. report can be provided. (4) Among the Z-axis peak values of the G sensor collected while driving 60 km, if there are 4 or more peak values that satisfy the condition of -0.3g ≥ Z-axis peak value > -0.6g, it is evaluated as unsafe. report can be provided. (5) Among the Z-axis peak values of the G sensor collected while driving 60 km, there are 4 or more peak values that satisfy the condition of -0.3g ≥ Z-axis peak value > -0.6g and the peak value is less than -0.8g. If present, a report rated as Dangerous can be provided. The service server 10 may provide a braking evaluation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above evaluation level (good, normal, need for improvement, unsafe, dangerous) as a report related to sudden braking of the vehicle.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의 급회전과 관련된 리포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 60 km를 주행하는 동안 수집된 G 센서의 Y축 피크 값(절대 값) 중에서 0.6g ≤ |y-value|의 비율이 0.5% 미만이고 0.7g ≤ |y-value|이 없는 경우 좋음(Good)으로 평가된 리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2) 60 km를 주행하는 동안 수집된 G 센서의 Y축 피크 값(절대 값) 중에서 0.6g ≤ |y-value|의 비율이 0.8% 미만이고 0.7g ≤ |y-value|이 없는 경우 보통(Okay)으로 평가된 리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3) 60 km를 주행하는 동안 수집된 G 센서의 Y축 피크 값(절대 값) 중에서 0.6g ≤|y-value|의 비율이 0.8% 이상이고 0.7g ≤ |y-value|이 없는 경우 개선 필요(Need Improvement)로 평가된 리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4) 60 km를 주행하는 동안 수집된 G 센서의 Y축 피크 값(절대 값) 중에서 0.6g ≤ |y-value|의 비율이 0.8% 이상이고 0.7g ≤ |y-value|이 있는 경우 불안전(Unsafe)으로 평가된 리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5) 60 km를 주행하는 동안 수집된 G 센서의 Y축 피크 값(절대 값) 중에서 0.6g ≤ |y-value| 의 비율이 0.8% 이상이고 0.8g ≤ |y-value|이 있는 경우 위험(Dangerous)으로 평가된 리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의 급회전과 관련된 리포트로서 상기한 평가 레벨(좋음, 보통, 개선필요, 불안전, 위험)에 대응되는 코너링(cornering) 평가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The service server 10 may generate a report related to a sharp turn of the vehicle. For example, (1) among the Y-axis peak values (absolute values) of the G-sensor collected while driving 60 km, the ratio of 0.6g ≤ |y-value| is less than 0.5%, and the ratio of 0.7g ≤ |y-value| If there is no, a report evaluated as Good can be provided. (2) Among the Y-axis peak values (absolute values) of the G sensor collected while driving 60 km, if the ratio of 0.6g ≤ |y-value| is less than 0.8% and there is no 0.7g ≤ |y-value|, it is normal. (Okay) can provide a report evaluated. (3) Improvement when the ratio of 0.6g ≤ |y-value| is 0.8% or more and there is no 0.7g ≤ |y-value| among the Y-axis peak values (absolute values) of the G sensor collected while driving 60 km A report evaluated as Need Improvement can be provided. (4) Among the Y-axis peak values (absolute values) of the G-sensor collected while driving 60 km, if the ratio of 0.6g ≤ |y-value| is 0.8% or more and there is 0.7g ≤ |y-value|, it is unsafe. (Unsafe) can provide a report evaluated. (5) 0.6g ≤ |y-value| If the ratio of is 0.8% or more and there is 0.8g ≤ |y-value|, a report evaluated as Dangerous can be provided. The service server 10 may provide a cornering evaluation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above evaluation level (good, normal, need for improvement, unsafe, dangerous) as a report related to a sharp turn of the vehicle.

따라서, 차량용 단말(130)은 차량의 과속, 급가속, 급제동, 급회전 등을 감지하여 감지된 정보를 포함한 차량 운행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고, 이에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용 단말(130)에서 제공하는 차량 운행 데이터를 바탕으로 주기적으로 운행 리포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20) 상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the vehicle terminal 130 may detect speeding, rapid acceleration, sudden braking, sudden turning, etc. of the vehicle and transmit vehicle driving data including detected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10. A driving report may be periodically generated based on the vehicle driving data provided by 130 and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a dedicated application on the user terminal 120 .

상기에서는 차량용 단말(130)에서 과속 이벤트, 급가속 이벤트, 급제동 이벤트, 급회전 이벤트 등을 감지하여 차량 운행 데이터에 해당 이벤트에 대응되는 정보를 포함시켜 서비스 서버(10)로 전달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서비스 서버(10)에서 차량용 단말(130)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된 차량 운행 데이터를 바탕으로 차량에 대한 과속, 급가속, 급제동, 급회전 등을 직접 판단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In the above,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vehicle terminal 130 detects a speeding event, a sudden acceleration event, a sudden braking event, a sudden turning event, etc., and include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vent in the vehicle driving data and transmits it to the service server 10. It is not limited. As anothe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for the service server 10 to directly determine overspeed, sudden acceleration, sudden braking, sudden turn, etc. of the vehicle based on vehicle driving data periodically received from the vehicle terminal 130 .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주차 충격 알림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parking impact notific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차량용 단말(130)은 주차 모드에서 충격이 감지되면 주차 충격 이벤트가 발생됨에 따라 충격 검출 정보를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S1001). 차량용 단말(130)은 주차 모드에서 충격 녹화나 지능형 충격 감지가 발생하면 이를 접촉 사고 가능성으로 판단하여 서비스 서버(10)로 알릴 수 있다. 이때, 차량용 단말(130)은 주차 충격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의 G 센서의 피크 값을 기준으로 충격 세기(예컨대, 강한 충격과 약한 충격 등)와 충격 위치(예컨대, 오른쪽 후방이나 측면, 왼쪽 후방이나 측면 등)를 구분할 수 있다. 일례로, 차량용 단말(130)은 충격 검출 정보의 경우 즉시 정보 송신 형태로 전달 할 수 있으며, 충격 이벤트 발생 시점에 서비스 서버(10)에 접속하여 충격 검출 정보를 포함한 차량 운행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정보 전달 방식이 즉시 정보 송신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충격 검출 정보를 주기적 정보 송신 형태로 전달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때, 차량 운행 데이터에는 이벤트 타입으로 주차 충격 이벤트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고 충격 검출 정보로서 가속도 센서 값, 예를 들어 G 센서의 피크 값과 충격 세기, 충격 위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when an impact is detected in the parking mode, the vehicle terminal 130 may transmit impact detection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10 as a parking impact event occurs (S1001). When an impact recording or intelligent impact detection occurs in the parking mode, the vehicle terminal 130 may determine this as a possibility of a contact accident and notify the service server 10 of it. At this time, the vehicle terminal 130 determines the intensity of impact (eg, strong impact and weak impact) and the impact location (eg, right rear or side, left rear or left rear or side, etc.). For example, in the case of impact detection information, the vehicle terminal 130 may immediately transmit information in the form of information transmission, access the service server 10 at the time of the impact event, and transmit vehicle driving data including the impact detection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10. ) can be transmitted.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is not limited to an immediate information transmission form, and it is also possible to transmit the impact detection information in a periodic information transmission form. In this case, the vehicle driving data may include information on a parking impact event as an event type, and may include an acceleration sensor value, for example, a peak value of a G-sensor, an impact intensity, and an impact location as impact detection information.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용 단말(130)로부터 차량 운행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차량 운행 데이터에 포함된 이벤트 타입을 기준으로 이벤트 타입이 주차 충격 이벤트인 경우 주차 충격 알림을 푸시 서버(20)로 요청할 수 있다(S1002). 이때, 알림 요청에는 사용자 단말(120)의 식별 번호(예컨대, 전화 번호 등)가 포함될 수 있으며, 충격 검출 정보로서 충격 세기와 충격 위치, G 센서의 피크 값 등이 포함될 수 있다.When receiving vehicle driving data from the vehicle terminal 130, the service server 10 may request a parking impact notification to the push server 20 if the event type is a parking impact event based on the event type included in the vehicle driving data. Yes (S1002). In this case, the notification request may include an identification number (eg, phone number, etc.) of the user terminal 120, and impact detec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mpact intensity, impact location, peak value of the G-sensor, and the like.

푸시 서버(20)는 서비스 서버(10)의 알림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120) 상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주차 충격 알림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S1003). 주차 충격 알림에는 충격 세기와 충격 위치, 그리고 G 센서의 피크 값에 기반한 충격 세기를 나타내는 문자열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push server 20 may deliver a parking impact notification to the user through a dedicated application on the user terminal 120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request of the service server 10 (S1003). The parking impact notification may include impact intensity, impact location, and a character string representing the impact intensity based on the peak value of the G sensor.

따라서,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용 단말(130)로부터 차량의 주차 모드 시 발생된 주차 충격 이벤트가 수신되면 푸시 서버(20)를 거쳐 사용자 단말(120) 상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으로 주차 충격 알림을 즉시 전달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rvice server 10 may immediately deliver a parking impact notification to a dedicated application on the user terminal 120 via the push server 20 when a parking impact event generated in the parking mode of the vehicle is received from the vehicle terminal 130. there is.

더 나아가, 차량용 단말(130)은 주차 충격 이벤트 발생 시 충격 녹화 영상을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비스 서버(10)는 주차 충격 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 도 4를 통해 설명한 방식과 같이 충격 녹화 영상을 차량용 단말(130)로 요청하여 수신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에, 서비스 서버(10)는 주차 충격 알림과 함께 충격 녹화 영상을 사용자 단말(120) 상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 상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받은 주차 충격 알림으로 사용자는 파일 선택 없이 해당 이벤트가 발생한 파일을 바로 재생하여 확인할 수 있다. 주차 충격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의 녹화 영상은 물론이고, 차량에 대한 라이브 영상을 제공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일례로, 차량용 단말(130)과 서비스 서버(10), 그리고 사용자 단말(120) 간에 RTP(real time protocol) 또는 RTSP(real time streaming protocol)을 통해 주차 충격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의 차량 주변 영상에 대한 라이브 스트리밍 혹은 녹화 영상의 플레이를 지원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vehicle terminal 130 may transmit an impact recording image to the service server 10 when a parking impact event occurs. As another example, when a parking impact event is detected, the service server 10 may request and receive an impact recording image from the vehicle terminal 130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 Accordingly, the service server 10 may deliver the impact recorded image together with the parking impact notification to the user through a dedicated application on the user terminal 120 . With the parking impact notification received through the dedicated application on the user terminal 120, the user can directly reproduce and check the file in which the corresponding event occurred without selecting the file.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live video of the vehicle as well as a recorded video at the time the parking impact event occurred. For example, an image around the vehicle at a time when a parking impact event occurs through a real time protocol (RTP) or a real time streaming protocol (RTSP) between the vehicle terminal 130, the service server 10, and the user terminal 120 is displayed. Live streaming or play of recorded video can be supported.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긴급 상황 알림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n emergency notific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10)는 사용자 단말(120) 상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설정된 비상 연락처를 저장할 수 있다(S1101). 비상 연락처는 차량의 긴급 상황 발생 시 사용자가 연락을 희망하는 보호자의 전화번호나 긴급 신고 기관(예컨대, 112, 119 등)의 전화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용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사용자 단말(120) 상의 주소록이나 검색 기능과 연동하여 비상 연락처를 등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the service server 10 may store emergency contact information set through a dedicated application on the user terminal 120 (S1101). The emergency contact information may include a phone number of a guardian whom the user wishes to contact in case of a vehicle emergency or a phone number of an emergency reporting agency (eg, 112, 119, etc.). The dedicated application may provide a function for registering an emergency contact in conjunction with an address book or search function on the user terminal 120 .

차량용 단말(130)은 상시(주행) 모드에서 사고 발생 이벤트인 긴급 상황 이벤트가 발생되면 긴급 상황 정보를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S1102). 긴급 상황은 사용자가 직접 차량용 단말(130) 상에 구비된 구조 요청(SOS) 버튼을 입력하는 경우, 주행 중 차량이 추돌한 경우(예컨대, G 센서의 벡터 합으로 2g 이상의 피크 값이 감지된 경우), 주행 중 차량이 낙하한 경우(예컨대, 0.25초 내에 30m 이상 추락한 경우), 주행 중 차량이 전복한 경우(예컨대, 차속이 없고 정상 중력 방향 대비 40도 이상 기울어진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차량용 단말(130)은 긴급 상황 정보를 즉시 정보 송신 형태로 전달할 수 있으며, 긴급 상황 이벤트 발생 시점에 서비스 서버(10)에 접속하여 긴급 상황 정보를 포함한 차량 운행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차량 운행 데이터에는 이벤트 타입으로 긴급 상황 이벤트에 대한 정보(SOS 버튼, 추돌, 낙하, 전복 등)가 포함되고 긴급 상황 정보로서 소정 시간(예컨대, 1초) 전 주행 속도와, 가속도 센서 값(예컨대, G 센서의 벡터 합)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이 추돌 후 전복된 상황이라면 순차적인 긴급 상황 이벤트가 발생되므로 차량용 단말(130)은 추돌에 따른 긴급 상황 정보를 포함한 차량 운행 데이터를 먼저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하고 직후 전복에 따른 긴급 상황 정보를 포함한 차량 운행 데이터를 이어서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The vehicle terminal 130 may transmit emergency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10 when an emergency event, which is an accident occurrence event, occurs in the regular (driving) mode (S1102). An emergency situation is when a user directly inputs a rescue request (SOS) button provided on the vehicle terminal 130 or when a vehicle collides while driving (eg, when a peak value of 2g or more is detected as a vector sum of G sensors) ), when the vehicle falls while driving (for example, when the vehicle falls 30 m or more within 0.25 seconds), when the vehicle rolls over while driving (for example, when the vehicle has no speed and is tilted more than 40 degrees compared to the normal direction of gravity), etc. can For example, the vehicle terminal 130 may immediately deliver emergency information in the form of information transmission, access the service server 10 at the time of an emergency event, and transmit vehicle driving data including emergency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10. can be sent to At this time, the vehicle driving data includes emergency event information (SOS button, collision, fall, overturn, etc.) as an event type, and as emergency information, driving speed before a predetermined time (eg, 1 second), acceleration sensor value ( For example, a vector sum of G sensors) may be included. For example, if the vehicle is overturned after a collision, sequential emergency events occur, so the vehicle terminal 130 first transmits vehicle driving data including emergenc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llision to the service server 10 and immediately after the rollover. Vehicle driving data including emergenc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then be transmitted to the service server 10 .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용 단말(130)로부터 차량 운행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차량 운행 데이터에 포함된 이벤트 타입을 기준으로 이벤트 타입이 긴급 상황 이벤트인 경우 긴급 상황의 취소가 가능한 시간(예컨대, 10초)에 대한 알림 요청을 차량용 단말(130)로 전달함과 동시에 긴급 상황 취소용 대기 카운트를 시작한다(S1103).When the service server 10 receives vehicle driving data from the vehicle terminal 130, based on the event type included in the vehicle driving data, if the event type is an emergency event, the time during which the emergency situation can be canceled (eg, 10 seconds) )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terminal 130, and at the same time, a standby count for emergency cancellation is started (S1103).

차량용 단말(130)은 서비스 서버(10)의 알림 요청에 따라 긴급 상황 취소가 가능한 시간(예컨대, 10초) 동안 긴급 상황 취소용 대기 카운트에 대한 음성 표출을 시작한다(S1104). 예를 들어, 차량용 단말(130)은 음성으로 "긴급 상황이 감지되었습니다. 비상 연락처로 알리려고 합니다. 취소를 원하면 10초 이내 아무 버튼이나 누르세요"의 메시지를 출력한 후 이어서 "10, 9, 8, 7, 6, 5, 4, 3, 2, 1"까지 1초마다 카운트 하고, 카운트 도중 버튼 입력이 있는 경우 "취소 되었습니다"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The in-vehicle terminal 130 starts to express the voice for the standby count for emergency cancellation during the emergency cancellation time (eg, 10 seconds)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request of the service server 10 (S1104). For example, the in-vehicle terminal 130 outputs a message saying "An emergency has been detected. I would like to notify the emergency contact. If you want to cancel, press any button within 10 seconds" by voice, and then "10, 9, It counts up to 8, 7, 6, 5, 4, 3, 2, 1" every second, and if there is a button input during counting, a voice message of "Cancelled" can be output.

차량용 단말(130)은 사용자가 카운트 도중 임의 버튼을 입력하는 경우 긴급 상황에 대한 취소 요청을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서비스 서버(10)는 사용자에 의한 수동 취소로 인식하여 긴급 상황 취소용 대기 카운트를 중단하고 긴급 상황 알림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The vehicle terminal 130 may transmit a cancellation request for an emergency situation to the service server 10 when a user presses an arbitrary button during counting, and the service server 10 recognizes the cancellation as a manual cancellation by the user and cancels the emergency situation. You can stop the waiting count for cancellation and end the emergency notification process.

다른 예로, 서비스 서버(10)는 긴급 상황 취소용 대기 카운트를 수행하는 동안 차량용 단말(130)로부터 주기적으로 차량 운행 데이터를 수신하게 되는데, 이때 차량 운행 데이터에 포함된 GPS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이 소정 속도(예컨대, 10km/h) 이상으로 주행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차량의 긴급 상황을 자동으로 취소하여 긴급 상황 취소용 대기 카운트를 중단하고 긴급 상황 알림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service server 10 periodically receives vehicle driving data from the vehicle terminal 130 while performing the standby count for emergency cancell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driving at a speed higher than (eg, 10 km/h), the emergency state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may be automatically canceled to stop waiting count for emergency state cancellation and ending the emergency state notification process.

서비스 서버(10)는 긴급 상황 취소용 대기 카운트가 종료될 때까지 차량의 긴급 상황에 대한 수동 취소 혹은 자동 취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비상 연락처로 사고 상황 알림으로써 문자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S1105). 이때,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의 긴급 상황에 대한 문자 알림을 위해 사전에 등록된 비상 연락처 목록과 긴급 상황과 관련된 세부 정보를 SMS 서버(30)로 전달할 수 있다(S1106).The service server 10 may transmit a text notification as an accident notification to an emergency contact if manual cancellation or automatic cancellation of the emergency situation of the vehicle is not performed until the waiting count for emergency cancellation ends (S1105). At this time, the service server 10 may deliver a pre-registered emergency contact list and detail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emergency to the SMS server 30 for text message notification of an emergency situation of the vehicle (S1106).

이에, SMS 서버(30)는 서비스 서버(1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차량의 긴급 상황에 대해 사용자가 사전에 등록해 놓은 비상 연락처로 긴급 상황과 관련된 세부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1107). 차량용 단말(130) 또한 긴급 상황 취소용 대기 카운트가 종료되면, 즉 카운트 종료 시점까지 버튼 입력이 없을 경우, "긴급 연락처로 연락 하였습니다"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S1108).Accordingly, the SMS server 30 may transmit a message including detail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emergency situation to the emergency contact registered by the user in advance for the emergency situa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ice server 10 ( S1107). The in-vehicle terminal 130 may also output a voice message of “You have contacted the emergency contact” when the standby count for emergency cancellation ends, that is, when there is no button input until the count ends (S1108).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는 차량의 사용자 전화번호와 차량의 긴급 상황을 알리는 본문이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본문 내용은 "[수동SOS|추돌|전복|낙하]으로 보이는 긴급상황 발생. 자세한 정보:Short URL"의 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Short URL로 참조되는 페이지 상의 정보에는 서비스 서버(10)에서 제공한 세부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세부 정보에는 긴급 상황이 발생된 위치(지도)와 시간, 긴급 상황의 종류(수동 SOS, 추돌, 낙하, 전복 등), 긴급 상황 발생 직전 차량의 속도, 그리고 충격 크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격 크기는 긴급 상황 발생 시점의 1초 전후에 감지된 G 센서의 최대 피크 값이 2g 이상이고 2.5g 미만이면 '약함', 2.5g 이상이고 3g 미만이면 '보통', 3g 이상이면 '강함'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message may include the phone number of the user of the vehicle and a body notifying the vehicle of an emergency situation. Short URL" format.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on the page referred to as the Short URL may include detailed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ervice server 10, and the detailed information includes the location (map) and time of the emergency, and the type of emergency (manual SOS, collision). , fall, rollover, etc.), the speed of the vehicle just before the emergency occurred, and the size of the impact. For example, the magnitude of the shock is 'weak' if the maximum peak value of the G sensor detected 1 second before and after the emergency occurs is 2g or more and less than 2.5g, 'moderate' if it is more than 2.5g and less than 3g, and 'moderate' if it is 3g or more. It can be defined as 'strong'.

따라서,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의 긴급 상황 발생 시 사전에 등록된 비상 연락처를 이용하여 보호자에게 긴급 상황의 세부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긴급 신고 기관으로 차량의 긴급 상황에 대한 신고를 자동 처리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Therefore, when a vehicle emergency occurs, the service server 10 transmits a message including details of the emergency to the guardian using the emergency contact registered in advance, or automatically handles a report on the vehicle emergency to the emergency reporting agency. It is also possible to do

상기에서는 차량의 상시(주행) 모드 중 추돌, 낙하, 전복 등의 긴급 상황을 차량용 단말(130)에서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비스 서버(10)에서 차량용 단말(130)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된 차량 운행 데이터를 바탕으로 차량의 긴급 상황을 직접 판단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또한, 차량의 긴급 상황에 대해 SMS 서버(30)를 통해 문자 형식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신속하고 적극적인 대처를 위해 ARS(automatic response system) 등과 연계하여 비상 연락처로 긴급 상황의 세부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음성 콜을 발신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In the above,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vehicle terminal 130 determines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collision, fall, and overturn in the vehicle's constant (driving) mo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rvice server 10 periodically receives the vehicle terminal 130. It is also possible to directly determine the emergency situa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received vehicle driving data. In addition, although it is described that a text message is transmitted through the SMS server 30 for the emergency situation of the vehicle,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emergency contact It is also possible to make a voice call to convey the details of an emergency.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차량의 운행 리포트나, 주차 충격 혹은 긴급 상황 등을 포함한 차량 운행 상태를 통합 관리함으로써 차량 운행 상태를 보다 정확하고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차량 운행 상태에 대응되는 조치를 더욱 적절하고 신속하게 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tegrating and managing vehicle driving conditions including vehicle driving reports, parking shocks, emergency situations, etc., the vehicle driving condition can be grasped more accurately and specifically, and measures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driving condition can be taken. can be taken more appropriately and quickly.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components, software components, and/or a combination of hardware components and software components. For example, device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includ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and a programmable PLU (programmable logic unit). logic unit),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The processing device may run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A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software.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there are cases in which one processing device is used,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ocess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or a plurality of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it can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a processor and a controller.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such as parallel processors.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foregoing, which configures a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processes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You can command the device. Software and/or data may be any tangible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intended to be interpreted by or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a processing device. can be embodied in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n networked computer system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on one or more computer readable media.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 개의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어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In this case, the medium may continuously store a program executable by a computer or temporarily store the program for execution or download. In addition, the medium may be various recording means or storage means in the form of a single or combined hardware, but is not limited to a medium directly connected to a certain computer system, and may be distributed on a network. Examples of the medium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 and DV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and ROM, RAM, flash memory, etc. configured to store program instructions. In addition, examples of other media include recording media or storage media managed by an app store that distributes applications, a site that supplies or distributes various other software, and a server.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different from the method described, and/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may b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method described, or other components may be used. Or even if it is replac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21)

자동차 응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가지는 제1 전자 장치에 의해 실행될 시,
자동차 내에 포함된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자동차의 제1 사고를 나타내는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1 사고 이후 발생된 상기 자동차의 제2 사고를 나타내는 제2 데이터를 수신하고, 여기서,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는 사고 순서에 따라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순차적으로 송신됨;
상기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에 의해 설정되는 제1 타임 아웃 기간(time out period) 내에서 식별된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관련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야기된 응급 취소를 위한 메시지가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의해 설정되는 상기 응급 취소를 위한 제2 타임 아웃 기간 안에서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및
상기 메시지가 상기 제2 타임 아웃 기간 안에서 수신되지 않음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자동차가 응급 상황 내에 있음을 알리기 위해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연결된 제3 전자 장치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상기 제1 전자 장치를 야기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사고가 상기 제2 사고와 구별됨을 인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전자 장치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는,
상기 제3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자동차가 응급 상황 내에 있음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응급 에이전트와 관련된 제4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기 위해 이용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one or more programs for providing vehicle emergency service, wherein the one or more programs, when executed by a first electronic device having at least one communication circuit,
Receiving first data representing a first accident of the vehicle and second data representing a second accident of the vehicle that occurred after the first accident through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circuit from a second electronic device included in the vehicle; , where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are sequentially transmitted from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accident sequence;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identified within a first time out period set by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based at least in part on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based on the reception; and identify whether a message for emergency cancellation caused by a related user input is received from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within the second time out period for emergency cancellation set by the first electronic device; and
Based on identifying that the message is not received within the second time out period, via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circuit, a third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nic device is informed that the vehicle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instructions that cause the first electronic device to transmit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The third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to recognize that the first accident is distinguished from the second accident based on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received by the third electronic device,
Used for the third electronic device to send a message for notifying that the car including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to a fourth electronic device associated with an emergency agent,
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의해 실행될 시,
상기 응급 취소를 위한 상기 메시지가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2 타임 아웃 기간 안에서 수신됨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의 상기 송신을 우회하고,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의 상기 수신에 대하여 자동차 응급 서비스를 종료하도록, 상기 제1 전자 장치를 야기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ne or more programs, when executed by the first electronic device,
Based on identifying that the message for emergency cancellation is received from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within the second time out period, the transmission of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is bypassed, and the first data and instructions causing the first electronic device to terminate a vehicle emergency service upon the receipt of the second data.
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사고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즉시 송신되고,
상기 제2 데이터는,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사고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즉시 송신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first data,
immediately transmitted from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in response to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detecting the first incident;
The second data,
immediately transmitted from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in response to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detecting the second accident;
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는,
상기 자동차 또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자동차가 응급 상황 내에서 있음을 알리기 위한 상기 메시지의 상기 송신을 위해 상기 제3 전자 장치에 의해 처리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Each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or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third electronic device for the transmission of the message to indicate that the vehicle including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제1 사고의 발생의 타이밍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시간 이전의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자동차의 이동 속도, 상기 제1 사고의 상기 발생의 상기 타이밍에서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관련된 가속도 센서의 값, 또는 상기 제1 사고의 상기 발생의 상기 타이밍에서 위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데이터는,
상기 제2 사고의 발생의 타이밍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시간 이전의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자동차의 이동 속도, 상기 제2 사고의 상기 발생의 상기 타이밍에서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관련된 가속도 센서의 값, 또는 상기 제2 사고의 상기 발생의 상기 타이밍에서 위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first data,
The moving speed of the vehicle including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before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timing of occurrence of the first accident, the value of the acceleration sensor associated with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at the timing of the occurrence of the first accident , or at least one of location data at the timing of the occurrence of the first accident,
The second data,
The moving speed of the vehicle including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before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timing of occurrence of the second accident, the value of the acceleration sensor associated with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at the timing of the occurrence of the second accident , or at least one of location data at the timing of the occurrence of the second incident.
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의해 실행될 시,
제3 데이터를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통해 수신하고, 여기서, 상기 제3 데이터는,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관련된 SOS 버튼 상의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전자 장치에게 즉시 송신됨;
상기 제3 데이터의 상기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응급 취소를 위한 상기 메시지가 상기 응급 취소를 위한 상기 제2 타임 아웃 기간 안에서 수신되는지 여부를 상기 제3 데이터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식별하고; 및
상기 제3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응급 취소를 위한 상기 메시지가 상기 제2 타임 아웃 기간 안에서 수신되지 않음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3 전자 장치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3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상기 제1 전자 장치를 더 야기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전자 장치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3 데이터는,
상기 제3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자동차가 응급 상황 내에서 있음을 알리기 위한 상기 제4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기 위해 이용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one or more programs, when executed by the first electronic device,
receiving third data from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circuit, wherein the third data is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detecting a user input on an SOS button associated with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immediately sent from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to the first electronic device in response to the
identify, based on the reception of the third data, based at least in part on the third data, whether the message for emergency cancellation is received within the second time out period for emergency cancellation; and
Based on identifying that the message for emergency cancellation of the third data is not received within the second time out period, the third data is sent to the third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circuit. comprising instructions that further cause the first electronic device to transmit;
The third data received by the third electronic device,
Used for the third electronic device to transmit to the fourth electronic device for notifying that the car including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의해 실행될 시,
상기 제3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응급 취소를 위한 상기 메시지가 상기 제2 타임 아웃 기간 안에서 수신됨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3 데이터의 상기 송신을 우회하고, 상기 제3 데이터의 상기 수신에 대하여 자동차 응급 서비스를 종료하도록, 상기 제1 전자 장치를 더 야기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one or more programs, when executed by the first electronic device,
Based on identifying that the message for emergency cancellation for the third data is received within the second time out period, the transmission of the third data is bypassed, and for the reception of the third data, the vehicle Including instructions further causing the first electronic device to terminate emergency services.
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가지는 제1 전자 장치를 동작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자동차 내에 포함된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자동차의 제1 사고를 나타내는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1 사고 이후 발생된 상기 자동차의 제2 사고를 나타내는 제2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여기서,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는 사고 순서에 따라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순차적으로 송신됨;
상기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에 의해 설정되는 제1 타임 아웃 기간(time out period) 내에서 식별된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관련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야기된 응급 취소를 위한 메시지가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의해 설정되는 상기 응급 취소를 위한 제2 타임 아웃 기간 안에서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동작; 및
상기 메시지가 상기 제2 타임 아웃 기간 안에서 수신되지 않음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자동차가 응급 상황 내에 있음을 알리기 위해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연결된 제3 전자 장치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사고가 상기 제2 사고와 구별됨을 인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전자 장치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는,
상기 제3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자동차가 응급 상황 내에 있음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응급 에이전트와 관련된 제4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기 위해 이용되는,
방법.
A method for operating a first electronic device having at least one communication circuit, comprising:
Receiving first data representing a first accident of the vehicle and second data representing a second accident of the vehicle that occurred after the first accident through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circuit from a second electronic device included in the vehicle operation, wherein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are sequentially transmitted from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accident sequence;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identified within a first time out period set by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based at least in part on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based on the reception; and identifying whether a message for emergency cancellation caused by a related user input is received from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within the second time out period for emergency cancellation set by the first electronic device; and
Based on identifying that the message is not received within the second time out period, via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circuit, a third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nic device is informed that the vehicle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Including the operation of transmitting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The third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to recognize that the first accident is distinguished from the second accident based on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received by the third electronic device,
Used for the third electronic device to send a message for notifying that the car including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to a fourth electronic device associated with an emergency agent,
method.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응급 취소를 위한 상기 메시지가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2 타임 아웃 기간 안에서 수신됨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의 상기 송신을 우회하고,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의 상기 수신에 대하여 자동차 응급 서비스를 종료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Based on identifying that the message for emergency cancellation is received from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within the second time out period, the transmission of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is bypassed, and the first data and terminating an automobile emergency service upon said receipt of said second data.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사고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즉시 송신되고,
상기 제2 데이터는,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사고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즉시 송신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first data,
immediately transmitted from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in response to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detecting the first incident;
The second data,
immediately transmitted from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in response to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detecting the second accident;
method.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는,
상기 자동차 또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자동차가 응급 상황 내에서 있음을 알리기 위한 상기 메시지의 상기 송신을 위해 상기 제3 전자 장치에 의해 처리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Each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or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third electronic device for the transmission of the message to indicate that the vehicle including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method.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제1 사고의 발생의 타이밍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시간 이전의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자동차의 이동 속도, 상기 제1 사고의 상기 발생의 상기 타이밍에서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관련된 가속도 센서의 값, 또는 상기 제1 사고의 상기 발생의 상기 타이밍에서 위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데이터는,
상기 제2 사고의 발생의 타이밍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시간 이전의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자동차의 이동 속도, 상기 제2 사고의 상기 발생의 상기 타이밍에서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관련된 가속도 센서의 값, 또는 상기 제2 사고의 상기 발생의 상기 타이밍에서 위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first data,
The moving speed of the vehicle including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before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timing of occurrence of the first accident, the value of the acceleration sensor associated with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at the timing of the occurrence of the first accident , or at least one of location data at the timing of the occurrence of the first accident,
The second data,
The moving speed of the vehicle including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before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timing of occurrence of the second accident, the value of the acceleration sensor associated with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at the timing of the occurrence of the second accident , or at least one of location data at the timing of the occurrence of the second incident.
method.
청구항 12에 있어서,
제3 데이터를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통해 수신하는 동작, 여기서, 상기 제3 데이터는,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관련된 SOS 버튼 상의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전자 장치에게 즉시 송신됨;
상기 제3 데이터의 상기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응급 취소를 위한 상기 메시지가 상기 응급 취소를 위한 상기 제2 타임 아웃 기간 안에서 수신되는지 여부를 상기 제3 데이터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식별하는 동작; 및
상기 제3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응급 취소를 위한 상기 메시지가 상기 제2 타임 아웃 기간 안에서 수신되지 않음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3 전자 장치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3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전자 장치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3 데이터는,
상기 제3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자동차가 응급 상황 내에서 있음을 알리기 위한 상기 제4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기 위해 이용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Receiving third data from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circuit, wherein the third data detects, by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a user input on an SOS button associated with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immediately transmitted from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to the first electronic device in response to doing;
based on the reception of the third data, identifying whether the message for emergency cancellation is received within the second time out period for emergency cancellation based at least in part on the third data; and
Based on identifying that the message for emergency cancellation of the third data is not received within the second time out period, the third data is transmitted to the third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circuit. Further comprising the operation of transmitting,
The third data received by the third electronic device,
Used for the third electronic device to send to the fourth electronic device for notifying that the car including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method.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3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응급 취소를 위한 상기 메시지가 상기 제2 타임 아웃 기간 안에서 수신됨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3 데이터의 상기 송신을 우회하고, 상기 제3 데이터의 상기 수신에 대하여 자동차 응급 서비스를 종료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Based on identifying that the message for emergency cancellation for the third data is received within the second time out period, the transmission of the third data is bypassed, and for the reception of the third data, the vehicle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action of terminating emergency services.
제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자동차 내에 포함된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자동차의 제1 사고를 나타내는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1 사고 이후 발생된 상기 자동차의 제2 사고를 나타내는 제2 데이터를 수신하고, 여기서,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는 사고 순서에 따라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순차적으로 송신됨;
상기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에 의해 설정되는 제1 타임 아웃 기간(time out period) 내에서 식별된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관련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야기된 응급 취소를 위한 메시지가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의해 설정되는 상기 응급 취소를 위한 제2 타임 아웃 기간(time out period) 안에서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및
상기 메시지가 상기 제2 타임 아웃 기간 안에서 수신되지 않음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자동차가 응급 상황 내에 있음을 알리기 위해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연결된 제3 전자 장치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사고가 상기 제2 사고와 구별됨을 인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전자 장치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는,
상기 제3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자동차가 응급 상황 내에 있음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응급 에이전트와 관련된 제4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기 위해 이용되는,
제1 전자 장치.
In the first electronic device,
at least one communication circuit;
at least one memory configured to store instructions; and
including at least one process, wherein the at least one processor comprises:
Receiving first data representing a first accident of the vehicle and second data representing a second accident of the vehicle that occurred after the first accident through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circuit from a second electronic device included in the vehicle; , where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are sequentially transmitted from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accident sequence;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identified within a first time out period set by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based at least in part on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based on the reception; and Identify whether a message for emergency cancellation caused by a related user input is received from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within a second time out period for emergency cancellation set by the first electronic device; ; and
Based on identifying that the message is not received within the second time out period, via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circuit, a third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nic device is informed that the vehicle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To transmit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configured to execute the instructions;
The third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to recognize that the first accident is distinguished from the second accident based on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received by the third electronic device,
Used for the third electronic device to send a message for notifying that the car including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to a fourth electronic device related to an emergency agent,
A first electronic device.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응급 취소를 위한 상기 메시지가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2 타임 아웃 기간 안에서 수신됨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의 상기 송신을 우회하고,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의 상기 수신에 대하여 자동차 응급 서비스를 종료하기 위해,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제1 전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the at least one processor,
Based on identifying that the message for emergency cancellation is received from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within the second time out period, the transmission of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is bypassed, and the first data and configured to execute the instructions to terminate a vehicle emergency service upon the receipt of the second data.
A first electronic device.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사고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즉시 송신되고,
상기 제2 데이터는,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사고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즉시 송신되는,
제1 전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the first data,
immediately transmitted from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in response to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detecting the first incident;
The second data,
immediately transmitted from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in response to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detecting the second accident;
A first electronic device.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는,
상기 자동차 또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자동차가 응급 상황 내에서 있음을 알리기 위한 상기 메시지의 상기 송신을 위해 상기 제3 전자 장치에 의해 처리되는,
제1 전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7, wherein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Each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or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third electronic device for the transmission of the message to indicate that the vehicle including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A first electronic device.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제1 사고의 발생의 타이밍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시간 이전의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자동차의 이동 속도, 상기 제1 사고의 상기 발생의 상기 타이밍에서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관련된 가속도 센서의 값, 또는 상기 제1 사고의 상기 발생의 상기 타이밍에서 위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데이터는,
상기 제2 사고의 발생의 타이밍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시간 이전의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자동차의 이동 속도, 상기 제2 사고의 상기 발생의 상기 타이밍에서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관련된 가속도 센서의 값, 또는 상기 제2 사고의 상기 발생의 상기 타이밍에서 위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전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8, wherein the first data,
The moving speed of the vehicle including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before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timing of occurrence of the first accident, the value of the acceleration sensor associated with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at the timing of the occurrence of the first accident , or at least one of location data at the timing of the occurrence of the first accident,
The second data,
The moving speed of the vehicle including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before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timing of occurrence of the second accident, the value of the acceleration sensor associated with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at the timing of the occurrence of the second accident , or at least one of location data at the timing of the occurrence of the second incident.
A first electronic device.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3 데이터를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통해 수신하고, 여기서, 상기 제3 데이터는,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관련된 SOS 버튼 상의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전자 장치에게 즉시 송신됨;
상기 제3 데이터의 상기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응급 취소를 위한 상기 메시지가 상기 응급 취소를 위한 상기 제2 타임 아웃 기간 안에서 수신되는지 여부를 상기 제3 데이터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식별하고; 및
상기 제3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응급 취소를 위한 상기 메시지가 상기 제2 타임 아웃 기간 안에서 수신되지 않음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3 전자 장치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3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전자 장치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3 데이터는,
상기 제3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자동차가 응급 상황 내에서 있음을 알리기 위한 상기 제4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기 위해 이용되는,
제1 전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9, wherein the at least one processor,
receiving third data from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circuit, wherein the third data is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detecting a user input on an SOS button associated with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immediately sent from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to the first electronic device in response to the
identify, based on the reception of the third data, based at least in part on the third data, whether the message for emergency cancellation is received within the second time out period for emergency cancellation; and
Based on identifying that the message for emergency cancellation of the third data is not received within the second time out period, the third data is sent to the third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circuit. configured to execute the instructions to transmit;
The third data received by the third electronic device,
Used for the third electronic device to transmit to the fourth electronic device for notifying that the car including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A first electronic device.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3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응급 취소를 위한 상기 메시지가 상기 제2 타임 아웃 기간 안에서 수신됨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3 데이터의 상기 송신을 우회하고, 상기 제3 데이터의 상기 수신에 대하여 자동차 응급 서비스를 종료하기 위해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제1 전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0, wherein the at least one processor,
Based on identifying that the message for emergency cancellation for the third data is received within the second time out period, the transmission of the third data is bypassed, and for the reception of the third data, the vehicle configured to execute the instructions to terminate emergency services;
A first electronic device.
KR1020220038732A 2017-04-10 2022-03-29 Server, vehic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notification Active KR1025165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8732A KR102516559B1 (en) 2017-04-10 2022-03-29 Server, vehic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notification
KR1020230040309A KR102646657B1 (en) 2017-04-10 2023-03-28 Server, vehic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notif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097A KR102382185B1 (en) 2016-12-02 2017-04-10 Server, vehic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notification
KR1020220038732A KR102516559B1 (en) 2017-04-10 2022-03-29 Server, vehic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notificatio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6097A Division KR102382185B1 (en) 2016-12-02 2017-04-10 Server, vehic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notificatio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0309A Division KR102646657B1 (en) 2017-04-10 2023-03-28 Server, vehic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notif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6528A KR20220046528A (en) 2022-04-14
KR102516559B1 true KR102516559B1 (en) 2023-03-31

Family

ID=8121151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8732A Active KR102516559B1 (en) 2017-04-10 2022-03-29 Server, vehic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notification
KR1020230040309A Active KR102646657B1 (en) 2017-04-10 2023-03-28 Server, vehic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notification
KR1020240032141A Pending KR20240040060A (en) 2017-04-10 2024-03-06 Server, vehic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notification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0309A Active KR102646657B1 (en) 2017-04-10 2023-03-28 Server, vehic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notification
KR1020240032141A Pending KR20240040060A (en) 2017-04-10 2024-03-06 Server, vehic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notifi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51655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830B1 (en) * 2011-12-08 2012-03-2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Accident detecting service and system using vehicle operation data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6538A (en) * 2008-05-07 2009-11-11 강의수 Emergency call method using location tracking of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101143359B1 (en) * 2009-08-13 2012-05-09 주식회사 유디텍 Intelligent system and method for saving a life when auto acciden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830B1 (en) * 2011-12-08 2012-03-2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Accident detecting service and system using vehicle operation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6657B1 (en) 2024-03-13
KR20220046528A (en) 2022-04-14
KR20230047987A (en) 2023-04-10
KR20240040060A (en) 2024-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2185B1 (en) Server, vehic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notification
CN111052771B (en)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relay message to external vehicle and method thereof
US10972975B2 (en)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communication signal related to pedestrian safety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20210158701A1 (en)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v2x messag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814601B1 (en) System and method for safe taxi service
KR20190011488A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circuit based 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external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US9241249B2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otification at an automotive head unit that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s outside a vehicle
US12267756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edly managing vehicle operation state
KR102585581B1 (en) Parking management system
CN115004271A (en) Method for embedding protected vehicle identifier information in cellular vehicle-to-all (C-V2X) messages
CN111976875A (en)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safely using bicycle, electronic equipment and vehicle system
CN111316064A (en) In-vehicle device, recording medium, and notification method
KR101451765B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KR102516559B1 (en) Server, vehic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notification
JP5359577B2 (en) Information management center and in-vehicle terminal
JP2014194342A (en) On-vehicle navigation apparatus, portable terminal apparatus and navigation system
JP2021103435A (en) Notification control device, notification device, notification control method, and notification control program
JP2020113203A (en) Driving support device
KR20250000616A (en) Driving information data collection system for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0329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70410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7004609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6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3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3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