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8002B1 - System and method for editing video using streaming technology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editing video using streaming technolog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08002B1 KR102508002B1 KR1020200160546A KR20200160546A KR102508002B1 KR 102508002 B1 KR102508002 B1 KR 102508002B1 KR 1020200160546 A KR1020200160546 A KR 1020200160546A KR 20200160546 A KR20200160546 A KR 20200160546A KR 102508002 B1 KR102508002 B1 KR 1025080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diting
- video
- information
- user device
- remote serv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e.g. interacting with MPEG-4 objects, editing local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04N21/472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using interactive regions of the image, e.g. hot spo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8—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for searching program descripto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 H04N21/8586—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by using a UR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한 편집용 원격 서버에서의 동영상 편집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소정의 편집 프로그램이 설치된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썸네일 정보, 시간 정보 및 편집 대상 동영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 편집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편집 대상 동영상의 정보에 상응하는 저장된 동영상의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썸네일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편집 프로그램의 타임라인 상에서, 상기 썸네일 이미지에 상응하는 동영상의 편집 상황에 대한 편집 정보를 포함하는 미리보기 요청 신호 또는 편집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보기 요청 신호 또는 편집 완료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편집 정보에 따라 편집 대상 동영상을 분할한 후, 분할된 동영상을 정렬 및 합하여 사용자 디바이스로 제공 또는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video editing method in a remote server for editing using streaming technology is provided. The method includes receiving a video editing request signal including thumbnail information, time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f a video to be edited from a user device in which a predetermined editing program is installed; extracting at least one thumbnail image of a stored video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editing target video; transmitting the extracted thumbnail image to the user device; receiving a preview request signal or an editing completion signal including editing information about an editing situation of a video corresponding to the thumbnail image on the timeline of the editing program; and dividing a video to be edited according to the edit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preview request signal or the editing completion signal, arranging and combining the divided videos, and providing or storing the divided videos to a user devi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한 동영상 편집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편집용 원격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을 스트리밍 기술을 사용하여 재생함과 동시에 편집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editing system and method using streaming technology, and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simultaneous editing while reproducing a video stored in a remote server for editing using streaming technology.
종래의 동영상 편집 방법에서는 편집 대상 동영상을 로컬 스토리지에 저장한 후, 편집 도구를 이용하여 편집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In a conventional video editing method, a video to be edited is stored in a local storage and then edited using an editing tool.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편집 대상 동영상을 저장하기 위해 대용량의 스토리지가 필요하고, 편집 대상 동영상을 별도로 저장하거나 다운로드 받기 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This conventional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a large amount of storage is required to store the video to be edited, and it takes a lot of time to separately store or download the video to be edited.
또한, 종래의 방법은 원격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을 편집하기 위해서, 편집 대상 동영상을 다운로드 받아야 하므로, 다운로드 받은 동영상에 대한 불법적인 배포 또는 재배포의 우려가 있어 방송 콘텐츠와 같은 저작권을 가지는 동영상의 편집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method, since a video to be edited must be downloaded in order to edit a video stored in a remote server, there is a risk of illegal distribution or redistribution of the downloaded video. had issues with not being able to use it.
이에 따라, 원격 서버에 있는 동영상을 로컬 스토리지에 다운로드하지 않고도 동영상을 편집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technology capable of editing a video in a remote server without downloading it to a local storage.
본 발명의 실시예는 편집용 원격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을 스트리밍 기술을 사용하여 사용자 디바이스 상에서 재생함과 동시에 편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한 동영상 편집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video editing system and method using streaming technology, which enables video stored in a remote server for editing to be played back on a user device and simultaneously edited using streaming technology.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a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한 편집용 원격 서버에서의 동영상 편집 방법은 소정의 편집 프로그램이 설치된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썸네일 정보, 시간 정보 및 편집 대상 동영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 편집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편집 대상 동영상의 정보에 상응하는 저장된 동영상의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썸네일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편집 프로그램의 타임라인 상에서, 상기 썸네일 이미지에 상응하는 동영상의 편집 상황에 대한 편집 정보를 포함하는 미리보기 요청 신호 또는 편집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보기 요청 신호 또는 편집 완료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편집 정보에 따라 편집 대상 동영상을 분할한 후, 분할된 동영상을 정렬 및 합하여 사용자 디바이스로 제공 또는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 video editing method in a remote server for editing using streaming technology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umbnail information, time information, and editing from a user device in which a predetermined editing program is installed. Receiving a video editing request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on a target video; extracting at least one thumbnail image of a stored video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editing target video; transmitting the extracted thumbnail image to the user device; receiving a preview request signal or an editing completion signal including editing information about an editing situation of a video corresponding to the thumbnail image on the timeline of the editing program; and dividing a video to be edited according to the edit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preview request signal or the editing completion signal, arranging and combining the divided videos, and providing or storing the divided videos to a user device.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검색 키워드를 포함하는 동영상의 검색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검색 키워드를 이용하여 저장된 동영상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 결과로 동영상 ID, 동영상 제목, 동영상 대표 썸네일 URL 및 동영상 URL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결과 목록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ing a video search request signal including a search keyword from the user device; Searching for a stored video using the search keyword; generating a search result list including at least one of a video ID, a video title, a representative video thumbnail URL, and video URL information as the search result; and providing the search result list to the user device.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추출된 썸네일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썸네일 이미지에 상응하는 URL 정보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tting of the extracted thumbnail image to the user device may include transmitting UR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thumbnail image to the user device.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분할된 동영상을 정렬 및 합하여 사용자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편집 정보에 따라 생성된 미리보기 동영상에 상응하는 URL 정보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제공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arranging and combining the divided videos and providing them to the user device, UR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review video generated according to the editing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user device.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편집 상황에 상응하는 편집 정보는 편집에 사용된 동영상의 목록 정보, 동영상의 시작 시간 정보, 동영상의 길이 정보 및 상기 타임라인 상에서의 동영상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di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diting situ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video list information used for editing, video start time information, video length information, and video location information on the timeline. can include
또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한 사용자 디바이스에서의 동영상 편집 방법은 편집 대상 동영상을 미리 설치된 소정의 편집 프로그램의 타임라인 상에 출력하기 위하여 썸네일 정보, 시간 정보 및 편집 대상 동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 편집 요청 신호를 편집용 원격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편집용 원격 서버로부터 추출된 썸네일 이미지를 수신하여 타임라인 상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타임라인 상에서의 상기 썸네일 이미지에 상응하는 동영상에 대하여, 사용자의 편집 입력에 대응되는 편집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에 대한 편집 상황에 상응하는 편집 정보를 포함하는 미리보기 요청 신호 또는 편집 완료 신호을 상기 편집용 원격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편집용 원격 서버로부터 미리보기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동영상의 스트리밍 URL을 수신 및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a video editing method in a user device using a streaming technology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umbnail information, time information, and editing target video information in order to output a video to be edited on a timeline of a predetermined editing program installed in advance. Transmitting a video editing request signal comprising a to a remote server for editing; receiving the thumbnail image extracted from the remote server for editing and outputting it on a timeline; performing an editing process corresponding to a user's editing input on a video corresponding to the thumbnail image on the timeline; transmitting a preview request signal or an editing completion signal including edi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editing situation of the video to the remote server for editing; and receiving and playing a video streaming URL corresponding to a preview request signal from the remote server for editing.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검색 키워드를 포함하는 동영상의 검색 요청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검색 키워드를 포함하는 동영상의 검색 요청 신호를 상기 편집용 원격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편집용 원격 서버로부터 동영상 ID, 동영상 제목, 동영상 대표 썸네일 URL 및 동영상 URL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 목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결과 목록을 상기 편집 프로그램 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ing a video search request input including a search keyword from the user; transmitting a video search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search keyword to the remote server for editing; Receiving a search result list including at least one of a video ID, a video title, a representative video thumbnail URL, and video URL information from the remote server for editing; and outputting the search result list on the editing program.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타임라인 상에서의 상기 썸네일 이미지에 상응하는 동영상에 대하여, 사용자의 편집 입력에 대응되는 편집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타임라인 상에 출력된 동영상의 썸네일에 대한 영역 자르기 입력, 썸네일의 위치 이동 입력 및 하나 이상의 썸네일 또는 썸네일의 그룹 삭제 입력 중 어느 하나의 상기 편집 입력에 대응하는 편집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performing the editing process corresponding to the user's editing input with respect to the video corresponding to the thumbnail image on the timeline, for the thumbnail of the video output on the timeline It is possible to perform an editing process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editing inputs among a region cropping input, a thumbnail location movement input, and one or more thumbnail or thumbnail group deletion inputs.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편집 상황에 상응하는 편집 정보는 편집에 사용된 동영상의 목록 정보, 동영상의 시작 시간 정보, 동영상의 길이 정보 및 상기 타임라인 상에서의 동영상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di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diting situ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video list information used for editing, video start time information, video length information, and video location information on the timeline. can include
또한,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른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한 동영상 편집 시스템은 편집 대상 동영상을 저장하고, 동영상 편집 요청에 상응하는 해당 동영상의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를 추출하여 제공하며, 미리보기 요청 신호 또는 편집 완료 신호에 대응하여 편집 정보에 따라 편집 대상 동영상을 분할한 후, 분할된 동영상을 정렬 및 합하여 제공 또는 저장하는 편집용 원격 서버와, 소정의 편집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상기 동영상 편집 요청에 따라 추출된 썸네일 이미지를 수신하여 상기 편집 프로그램의 타임라인 상에 출력하고, 상기 타임라인 상에서의 썸네일 이미지에 상응하는 동영상에 대하여 사용자의 편집 입력에 대응하는 편집 과정을 수행하고, 편집 상황에 상응하는 편집 정보를 포함하는 미리보기 요청 신호 또는 편집 완료 신호를 상기 편집용 원격 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미리보기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동영상의 스트리밍 URL을 수신 및 재생하는 사용자 디바이스를 포함한다.In addition, a video editing system using a streaming technology 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a video to be edited, extracts and provides at least one thumbnail image of the corresponding video corresponding to a video editing request, and provides a preview request signal or After dividing the video to be edited according to the edit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editing completion signal, a remote server for editing that arranges and sums the divided videos to provide or store them, and a predetermined editing program is installed to extract the video according to the video editing request. Receives a thumbnail image and outputs it on the timeline of the editing program, performs an editing process corresponding to the user's editing input for a video corresponding to the thumbnail image on the timeline, and edit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diting situation and a user device providing a preview request signal or an editing completion signal including a preview request signal or an editing completion signal to the remote server for editing, and receiving and playing a video streaming URL corresponding to the preview request signal.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사용자로부터 검색 키워드를 포함하는 동영상의 검색 요청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검색 요청 신호를 편집용 원격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편집용 원격 서버로부터 생성된 검색 결과 목록을 상기 편집 프로그램 상에 출력하고, 상기 편집용 원격 서버는 동영상 ID, 동영상 제목, 동영상 대표 썸네일 URL 및 동영상 URL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 목록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제공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device transmits a search request signal to a remote server for editing upon receiving a search request input for a video including a search keyword from a user, and a search result generated from the remote server for editing. A list is output on the editing program, and the remote server for editing generates a search result list including at least one of video ID, video title, video representative thumbnail URL, and video URL information, and provides it to the user device. .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is, another method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another system, an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원격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을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하여 재생을 수행하는 동시에 동영상 편집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원격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 편집을 위한 다운로드 과정이 불필요하며, 이를 통한 동영상이 불법적으로 재배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video stored in a remote server can be reproduced using a streaming technology and simultaneously edited. Accordingly, a download process for editing videos stored in a remote server is unnecessary, and through this, illegal redistribution of videos can be prevented.
또한, 원격 접속을 통한 동영상 편집이 가능하며, 인터넷이 가능한 환경이라면 언제 어디서나 원격으로 동영상 편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video editing is possible through remote access,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video editing can be done remotely anytime, anywhere in an environment where the Internet is available.
이와 더불어, 원격 온라인 접속을 통한 동영상 편집이 가능하므로 동영상 편집을 위한 다수의 협업 동작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video editing is possible through remote online acces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multiple collaborative operations for video editing are possibl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한 동영상 편집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한 편집용 원격 서버에서의 동영상 편집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한 사용자 디바이스에서의 동영상 편집 방법의 순서도이다.1 is a diagram for schematically explaining a video editing system using a streaming techn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of a video editing method in a remote server for editing using a streaming techn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of a video editing method in a user device using a streaming techn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se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commo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other than the recited elements.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refer to like elements,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elements. 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element mentioned below may also be the second elem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with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한 동영상 편집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for schematically explaining a video editing system using a streaming techn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한 동영상 편집 시스템은 편집용 원격 서버(100)와 사용자 디바이스(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편집용 원격 서버(100)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을 다운로드 과정 없이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하여 재생을 수행하는 동시에 편집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video editing system using streaming techn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이때, 도 1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는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network)의 일 예에는 UNB(Ultra Narrow-Band),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At this time, each component shown in FIG. 1 may be connected through a network. A network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capable of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nodes such as terminals and servers. Examples of such networks include Ultra Narrow-Band (UNB) and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networks. , LTE (Long Term Evolution) network,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network, Internet (Internet), LAN (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PAN (Personal Area Network), Bluetooth network,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alog broadcasting network,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network, etc. are includ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편집용 원격 서버(100)는 편집 대상 동영상을 저장하고 있는 동시에, 원격 편집을 지원할 수 있는 편집 대상 동영상 검색, 썸네일 추출 및 제공, 편집 동영상 인코딩, 편집 동영상 스트리밍과 같은 기술을 제공하는 서버이다.The
사용자 디바이스(200)에는 소정의 편집 프로그램이 미리 설치되어 있다. 편집 프로그램은 일 예로 PC를 통해 구동되는 웹 기반 편집 도구일 수 있다. 이러한 편집 프로그램은 인터넷이 구비되는 환경에서 동작하는 것으로, 그 대상 디바이스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A predetermined editing program is pre-installed in the user device 200 . The editing program may be, for example, a web-based editing tool driven through a PC. This editing program operates in an environment equipped with the Internet, and the target devic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집용 원격 서버(100) 및 사용자 디바이스(200)에서 수행되는 동영상 편집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video editing method performed in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한 편집용 원격 서버(100)에서의 동영상 편집 방법의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of a video editing method in the
먼저, 편집용 원격 서버(100)가 시작됨에 따라, 외부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기다린다(S101). 이때, 외부로부터의 입력 신호는 사용자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또는 편집용 원격 서버(100)에 직접 입력되는 신호일 수 있다.First, as the
다음으로, 편집용 원격 서버(100)는 외부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입력 신호의 종류를 구분한다(S103).Next, as the
먼저 일 실시예로, 외부 입력 신호의 종류가 '검색' 신호인 케이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First, as an embodiment, a case in which the type of external input signal is a 'search' signal will be described.
편집용 원격 서버(100)는 사용자 디바이스(200)로부터 검색 키워드를 포함하는 동영상의 검색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S105), 사용자 디바이스(200)로부터 함께 수신한 검색 키워드를 이용하여 편집용 원격 서버(100) 내에 저장된 동영상을 대상으로 검색을 수행한다(S107).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별도의 로컬 스토리지가 아닌 편집용 원격 서버(100) 자체에 동영상을 저장하고 있으며, 이를 사용자 디바이스(200)로 다운로드되도록 하는 것이 아닌 URL을 통한 스트리밍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다음으로, 편집용 원격 서버(100)는 검색된 동영상들의 리스트 정보로 구성되는 검색 결과 목록을 생성하고(S109), 검색 결과 목록을 사용자 디바이스(200)로 제공한다(S111).Next, the
이때, 편집용 원격 서버(100)는 검색 결과로 동영상 ID, 동영상 제목, 동영상 대표 썸네일 URL 및 동영상 URL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 목록을 생성한다.At this time, the
이와 같은 '검색' 과정이 완료됨에 따라 편집용 원격 서버(100)는 다시 입력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As this 'search' process is completed, the
다음 일 실시예로, 외부 입력 신호의 종류가 '동영상 편집 요청' 신호인 케이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next embodiment, a case in which the type of external input signal is a 'video editing request' signal will be described.
일 실시예로, 편집용 원격 서버(100)는 소정의 편집 프로그램이 설치된 사용자 디바이스(200)로부터 썸네일 정보, 시간 정보(또는 시간 정보 목록) 및 편집 대상 동영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 편집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S113).In one embodiment, the
편집용 원격 서버(100)는 편집 대상 동영상의 상응하는, 편집용 원격 서버(100)에 저장된 동영상의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를 추출하고(S115), 추출된 썸네일 이미지를 사용자 디바이스(200)로 전송한다(S117). 이때, 편집용 원격 서버(100)는 추출된 썸네일 이미지에 상응하는 URL 정보를 사용자 디바이스(200)로 전송한다.The
이와 같은 '동영상 편집 요청'에 상응하는 과정이 완료됨에 따라 편집용 원격 서버(100)는 다시 입력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As the process corresponding to the 'video editing request' is completed, the
다음 일 실시예로, 외부 입력 신호의 종류가 '미리보기 요청' 신호인 케이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next embodiment, a case in which the type of external input signal is a 'preview request' signal will be described.
일 실시예로, 편집용 원격 서버(100)는 편집 프로그램의 타임라인 상에서 썸네일 이미지에 상응하는 동영상 편집 상황에 대한 편집 정보를 포함하는 미리보기 요청 신호를 사용자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하면(S119), 미리보기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편집 정보에 따라 편집 대상 동영상을 분할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121). 그리고 분할된 동영상들을 정렬하고 합한 후(S123), 편집 정보에 따라 생성된 미리보기 동영상에 상응하는 스트리밍 URL 정보를 사용자 디바이스(200)로 제공한다(S125).In one embodiment, when the
이때, 편집 상황에 상응하는 편집 정보는 편집에 사용된 동영상의 목록 정보, 동영상의 시작 시간 정보, 동영상의 길이 정보 및 타임라인 상에서의 동영상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di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diting situ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video list information used for editing, video start time information, video length information, and video location information on the timeline.
이와 같은 '미리보기 요청'에 상응하는 과정이 완료됨에 따라 편집용 원격 서버(100)는 다시 입력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As the process corresponding to such a 'preview request' is completed, the
다음 일 실시예로, 외부 입력 신호의 종류가 '편집 완료' 신호인 케이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next embodiment, a case in which the type of external input signal is an 'editing complete' signal will be described.
일 실시예로, 편집용 원격 서버(100)는 편집 상황으로 편집 완료 신호를 사용자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하면(S127), 편집 정보에 따라 따라 편집 대상 동영상을 분할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129). 그리고 분할된 동영상들을 정렬하고 합한 후(S131), 편집 정보에 따라 생성된 동영상을 저장한다(S133).In one embodiment, when the
이와 같은 '편집 완료'에 상응하는 과정이 완료됨에 따라 편집용 원격 서버(100)는 다시 입력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As the process corresponding to such 'editing completion' is completed,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한 사용자 디바이스(200)에서의 동영상 편집 방법의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of a video editing method in the user device 200 using streaming techn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편집 프로그램이 시작됨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기다린다(S201). 다음으로,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의 종류를 구분한다(S203).First, as the editing program starts, the user device 200 waits for an input from the user (S201). Next, as the user device 200 receives an input from the user, it distinguishes the type of the user's input (S203).
일 실시예로, 사용자의 입력이 '동영상 검색 요청 입력'인 케이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As an embodiment, a case in which the user's input is 'video search request input' will be described.
일 실시예로,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사용자로부터 검색 키워드를 포함하는 동영상의 검색 요청을 수신하면(S205), 검색 키워드를 포함하는 동영상의 검색 요청 신호를 편집용 원격 서버(100)로 전송한다(S207).In one embodiment, when the user device 200 receives a search request for a video including a search keyword from a user (S205), the user device 200 transmits a video search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search keyword to the
이후, 편집용 원격 서버(100)로부터 동영상 ID, 동영상 제목, 동영상 대표 썸네일 URL 및 동영상 URL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동영상에 대한 검색 결과 목록이 생성됨에 따라 이를 수신하면(S209), 검색 결과 목록을 편집 프로그램 상에 출력한다(S211). Thereafter, when a search result list for a video including at least one of a video ID, a video title, a video representative thumbnail URL, and video URL information is generated from the
이와 같은 '동영상 검색 요청 입력'에 상응하는 과정이 완료됨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다시 사용자의 입력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As the process corresponding to the 'video search request input' is completed, the user device 200 again maintains the user's input standby state.
다음 일 실시예로, 사용자의 입력이 '동영상 편집 요청'인 케이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 a case in which the user's input is 'video editing request' will be described.
일 실시예로,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편집 대상 동영상을 미리 설치된 소정의 편집 프로그램의 타임라인 상에 출력하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동영상 편집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S213), 썸네일 정보, 시간 정보 및 편집 대상 동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 편집 요청 신호를 편집용 원격 서버(100)로 전송한다(S215)In one embodiment, as the user device 200 receives a 'video editing request' from the user in order to output a video to be edited on the timeline of a predetermined editing program installed in advance (S213), thumbnail information, time information and A video editing request signal including video information to be edited is transmitted to the
이 과정은 사용자가 선택한 편집 대상 동영상을 편집 프로그램의 타임라인 상에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선택된 편집 대상 동영상의 썸네일을 특정 주기별로 타임라인 상에 출력할 수도 있다.This process is to express the video to be edited selected by the user on the timeline of the editing program.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umbnail of the selected video to be edited can be output on the timeline at specific intervals.
이후,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편집용 원격 서버(100)로부터 추출된 썸네일 이미지를 수신하여(S217) 편집 프로그램의 타임라인 상에 출력한다(S219). 이때,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편집용 원격 서버(100)로부터 썸네일 이미지들의 URL을 수신하게 된다.Then, the user device 200 receives the thumbnail image extracted from the
이와 같은 '동영상 편집 요청'에 상응하는 과정이 완료됨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다시 사용자의 입력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As the process corresponding to the 'video editing request' is completed, the user device 200 again maintains the user's input waiting state.
다음 일 실시예로, 사용자의 입력이 '동영상 편집 입력'인 케이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 a case in which the user's input is 'video editing input' will be described.
일 실시예로, 사용자의 입력의 종류가 '동영상 편집 입력'인 경우(S221),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타임라인 상에서의 썸네일 이미지에 상응하는 동영상에 대하여 사용자의 편집 입력에 대응되는 편집 과정을 수행한다(S223).In one embodiment, when the type of user input is 'video editing input' (S221), the user device 200 performs an editing process corresponding to the user's editing input for the video corresponding to the thumbnail image on the timeline. It is performed (S223).
이러한 편집 입력은, 일 예로 '자르기 입력', '이동 입력' 그리고 '삭제 입력'이 있다. '자르기 입력'은 타임라인 상에서 출력된 동영상의 썸네일들에 대한 영역 자르기를 수행하는 입력이고, '이동 입력'은 타임라인 상에서 출력된 동영상의 썸네일들에 대한 위치 이동을 수행하는 입력이며, '삭제 입력'은 타임라인 상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썸네일 또는 썸네일의 그룹 삭제를 위한 입력에 해당한다.Such editing input includes, for example, 'cutting input', 'moving input', and 'delete input'. 'Cut input' is an input that performs region cropping on the thumbnails of the video output on the timeline, 'move input' is an input that moves the location of the thumbnails of the video output on the timeline, and 'delete 'Input' corresponds to an input for deleting one or more thumbnails or a group of thumbnails selected on the timeline.
이와 같은 '동영상 편집 입력'에 상응하는 과정이 완료됨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다시 사용자의 입력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As the process corresponding to the 'video editing input' is completed, the user device 200 again maintains the user's input waiting state.
다음 일 실시예로, 사용자의 입력이 '미리보기 요청 입력'인 케이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 a case in which the user's input is 'preview request input' will be described.
일 실시예로, 사용자의 입력의 종류가 '미리보기 요청 입력'인 경우(S225),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동영상에 대한 편집 상황에 상응하는 편집 정보를 생성한다(S227).In one embodiment, when the type of user input is 'preview request input' (S225), the user device 200 generates edi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editing situation for a video (S227).
이때,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편집에 사용된 동영상의 목록 정보, 동영상의 시작 시간 정보, 동영상의 길이 정보 및 타임라인 상에서의 동영상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편집 정보를 생성한다.At this time, the user device 200 generates editing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video list information used for editing, video start time information, video length information, and video location information on the timeline.
그 다음,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편집 정보를 포함하는 미리보기 요청 신호를 편집용 원격 서버(100)로 전송하며(S229), 이에 대응하여 편집용 원격 서버(100)로부터 미리보기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동영상의 스트리밍 URL 정보를 수신한다(S231). 이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스트리밍 URL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보기 동영상을 스트리밍한다(S233).Then, the user device 200 transmits a preview request signal including editing information to the
이와 같은 '미리보기 요청 입력'에 상응하는 과정이 완료됨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다시 사용자의 입력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As the process corresponding to the 'preview request input' is completed, the user device 200 again maintains the user's input waiting state.
다음 일 실시예로, 사용자의 입력이 '편집 완료 입력'인 케이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 a case in which the user's input is an 'edited input' will be described.
일 실시예로, 사용자로부터 '편집 완료'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S235), 타임라인 상에 표현된 편집 상황에 대한 편집 정보를 생성한 후(S237), 편집 정보를 포함하는 편집 완료 신호를 편집용 원격 서버(100)로 전송한다(S239).In one embodiment, upon receiving an 'editing complete' input from the user (S235), editing information for the editing situation expressed on the timeline is generated (S237), and then editing the editing completion signal including the editing information. For transmission to the remote server 100 (S239).
이와 같은 편집 완료 신호를 수신한 편집용 원격 서버(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편집 정보에 따라 편집 대상 동영상을 분할, 정렬 및 합하는 과정을 거친 후, 해당 동영상을 저장한다.Upon receiving such an editing completion signal, the
이후,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편집 완료 입력'에 상응하는 과정이 완료됨에 따라 다시 사용자의 입력 대기 상태를 유지하며, 사용자로부터 '종료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편집 프로그램을 종료시킨다(S241).Thereafter, the user device 200 maintains the user's input waiting state again as the process corresponding to the 'editing completion input' is completed, and terminates the editing program upon receiving the 'end input' from the user (S241).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01 내지 단계 S241 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아울러, 기타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에 기술된 내용은 도 2 및 도 3의 동영상 편집 방법에도 적용된다.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steps S101 to S241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steps or combined into fewer steps,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some steps may be omitted if necessary, and the order of steps may be changed. In addition, even if other contents are omitted, the contents described in FIG. 1 are also applied to the video editing method of FIGS. 2 and 3.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편집 방법은, 하드웨어인 서버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video edi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or application) to be executed in combination with a server, which is hardware, and stored in a medium.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forementioned program is C, C++, JAVA, machine language, etc. It may include a code coded in a computer language of. These codes may include functional codes related to functions defining necessary functions for executing the methods, and include control codes related to execution procedures necessary for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to execute the function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cedure. can do. In addition, these codes may further include memory reference related codes for which location (address address) of the computer's internal or external memory should be referenced for additional information or media required for the computer's processor to execute the functions. there is. In addition, when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needs to communicate with any other remote computer or server in order to execute the functions, the code uses the computer's communication module to determine how to communicate with any other remote computer or server. It may further include communication-related codes for whether to communicate, what kind of information or media to transmit/receive during communication, and the like.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The storage medium is not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moment, such as a register, cache, or memory, but a medium that stores data semi-permanently and is readable by a device. Specifically, examples of the storage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etc.,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program may be stored in various recording media on various servers accessible by the computer or various recording media on the user's computer. In addition, the medium may be distributed to computer systems connected through a network, and computer readable codes may be stored in a distributed manner.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Steps of a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directly in hardware, implemented in a software module executed by hardware, or implemented by a combination thereof. A software module may include random access memory (RAM), read only memory (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flash memory, hard disk, removable disk, CD-ROM, or It may reside in any form of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well know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편집용 원격 서버
200: 사용자 디바이스100: remote server for editing
200: user device
Claims (11)
소정의 편집 프로그램이 설치된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썸네일 정보, 시간 정보 및 편집 대상 동영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 편집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편집 대상 동영상의 정보에 상응하는 저장된 동영상의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를 추출하되, 상기 편집 프로그램의 타임라인 상에 특정 주기별로 출력되도록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썸네일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편집 프로그램의 타임라인 상에서, 상기 썸네일 이미지에 상응하는 동영상의 편집 상황에 대한 편집 정보를 포함하는 미리보기 요청 신호 또는 편집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보기 요청 신호 또는 편집 완료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편집 정보에 따라 편집 대상 동영상을 분할한 후, 분할된 동영상을 정렬 및 합하여 사용자 디바이스로 제공 또는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타임라인 상에 출력된 선택된 편집 대상 동영상의 썸네일에 대한 영역 자르기 입력, 썸네일의 위치 이동 입력 및 하나 이상의 썸네일 또는 썸네일의 그룹 삭제 입력 중 어느 하나의 편집 입력에 대응하는 편집 과정을 수행하되,
상기 편집 대상 동영상은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온라인 접속을 통해 편집을 위한 협업 동작을 통해 편집되는 것인,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한 편집용 원격 서버에서의 동영상 편집 방법.
In the video editing method on a remote server for editing using streaming technology,
Receiving a video editing request signal including thumbnail information, time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f a video to be edited from a user device in which a predetermined editing program is installed;
extracting at least one thumbnail image of a stored video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editing target video, and outputting the thumbnail image on a timeline of the editing program at specific intervals;
transmitting the extracted thumbnail image to the user device;
receiving a preview request signal or an editing completion signal including editing information about an editing situation of a video corresponding to the thumbnail image on the timeline of the editing program; and
Dividing a video to be edited according to the edit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preview request signal or the editing completion signal, arranging and combining the divided videos, and providing or storing the divided videos to a user device;
The user device performs an editing process corresponding to an editing input of any one of an input to cut a region for a thumbnail of a selected video to be edited output on the timeline, an input to move a location of a thumbnail, and an input to delete one or more thumbnails or a group of thumbnails. perform,
The video to be edited is edited through a collaborative operation for editing through online access from a plurality of user devices,
A video editing method on a remote server for editing using streaming technology.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검색 키워드를 포함하는 동영상의 검색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검색 키워드를 이용하여 저장된 동영상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 결과로 동영상 ID, 동영상 제목, 동영상 대표 썸네일 URL 및 동영상 URL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결과 목록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한 편집용 원격 서버에서의 동영상 편집 방법.
According to claim 1,
Receiving a video search request signal including a search keyword from the user device;
Searching for a stored video using the search keyword;
generating a search result list including at least one of a video ID, a video title, a representative video thumbnail URL, and video URL information as the search result; and
Further comprising providing the search result list to the user device,
A video editing method on a remote server for editing using streaming technology.
상기 추출된 썸네일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썸네일 이미지에 상응하는 URL 정보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인,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한 편집용 원격 서버에서의 동영상 편집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extracted thumbnail image to the user device,
Transmitting UR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thumbnail image to the user device,
A video editing method on a remote server for editing using streaming technology.
상기 분할된 동영상을 정렬 및 합하여 사용자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편집 정보에 따라 생성된 미리보기 동영상에 상응하는 URL 정보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것인,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한 편집용 원격 서버에서의 동영상 편집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arranging and summing the divided videos and providing them to the user device,
Providing UR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review video generated according to the editing information to the user device,
A video editing method on a remote server for editing using streaming technology.
상기 편집 상황에 상응하는 편집 정보는 편집에 사용된 동영상의 목록 정보, 동영상의 시작 시간 정보, 동영상의 길이 정보 및 상기 타임라인 상에서의 동영상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한 편집용 원격 서버에서의 동영상 편집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edi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diting situ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list information of a video used for editing, start time information of a video, length information of a video, and location information of a video on the timeline.
A video editing method on a remote server for editing using streaming technology.
편집 대상 동영상을 미리 설치된 소정의 편집 프로그램의 타임라인 상에 출력하기 위하여 썸네일 정보, 시간 정보 및 편집 대상 동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 편집 요청 신호를 편집용 원격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편집용 원격 서버로부터 추출된 썸네일 이미지를 수신하여 타임라인 상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타임라인 상에서의 상기 썸네일 이미지에 상응하는 동영상에 대하여, 사용자의 편집 입력에 대응되는 편집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에 대한 편집 상황에 상응하는 편집 정보를 포함하는 미리보기 요청 신호 또는 편집 완료 신호을 상기 편집용 원격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편집용 원격 서버로부터 미리보기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동영상의 스트리밍 URL을 수신 및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타임라인 상에서의 상기 썸네일 이미지에 상응하는 동영상에 대하여, 사용자의 편집 입력에 대응되는 편집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에서의 온라인 접속을 통해 상기 동영상의 편집을 위한 협업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타임라인 상에 출력된 선택된 편집 대상 동영상의 썸네일에 대한 영역 자르기 입력, 썸네일의 위치 이동 입력 및 하나 이상의 썸네일 또는 썸네일의 그룹 삭제 입력 중 어느 하나의 상기 편집 입력에 대응하는 편집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되, 상기 편집 대상 동영상의 썸네일은 특정 주기별로 타임라인 상에 출력되는 것인,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한 사용자 디바이스에서의 동영상 편집 방법.
In the video editing method in a user device using streaming technology,
Transmitting a video editing request signal including thumbnail information, time information, and editing target video information to a remote server for editing to output a video to be edited on a timeline of a pre-installed editing program;
receiving the thumbnail image extracted from the remote server for editing and outputting it on a timeline;
performing an editing process corresponding to a user's editing input on a video corresponding to the thumbnail image on the timeline;
transmitting a preview request signal or an editing completion signal including edi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editing situation of the video to the remote server for editing; and
Receiving and playing a streaming URL of a video corresponding to a preview request signal from the remote server for editing,
The step of performing an editing process corresponding to a user's editing input with respect to a video corresponding to the thumbnail image on the timeline,
Performing a collaborative operation for editing the video through online access in a plurality of user devices,
It is to perform an editing process corresponding to the editing input of any one of an input to cut a region for a thumbnail of a selected video to be edited output on the timeline, an input to move a thumbnail position, and an input to delete one or more thumbnails or a group of thumbnails. However, the thumbnail of the video to be edited is output on the timeline at specific intervals.
A video editing method on a user device using streaming technology.
상기 사용자로부터 검색 키워드를 포함하는 동영상의 검색 요청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검색 키워드를 포함하는 동영상의 검색 요청 신호를 상기 편집용 원격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편집용 원격 서버로부터 동영상 ID, 동영상 제목, 동영상 대표 썸네일 URL 및 동영상 URL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 목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결과 목록을 상기 편집 프로그램 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한 사용자 디바이스에서의 동영상 편집 방법.
According to claim 6,
receiving a video search request input including a search keyword from the user;
transmitting a video search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search keyword to the remote server for editing;
Receiving a search result list including at least one of a video ID, a video title, a representative video thumbnail URL, and video URL information from the remote server for editing; and
Further comprising outputting the search result list on the editing program,
A video editing method on a user device using streaming technology.
상기 편집 상황에 상응하는 편집 정보는 편집에 사용된 동영상의 목록 정보, 동영상의 시작 시간 정보, 동영상의 길이 정보 및 상기 타임라인 상에서의 동영상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한 사용자 디바이스에서의 동영상 편집 방법.
According to claim 6,
The edi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diting situ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list information of a video used for editing, start time information of a video, length information of a video, and location information of a video on the timeline.
A video editing method on a user device using streaming technology.
편집 대상 동영상을 저장하고, 동영상 편집 요청에 상응하는 해당 동영상의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를 추출하여 제공하며, 미리보기 요청 신호 또는 편집 완료 신호에 대응하여 편집 정보에 따라 편집 대상 동영상을 분할한 후, 분할된 동영상을 정렬 및 합하여 제공 또는 저장하는 편집용 원격 서버와,
소정의 편집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상기 동영상 편집 요청에 따라 추출된 썸네일 이미지를 수신하여 상기 편집 프로그램의 타임라인 상에 출력하고, 상기 타임라인 상에서의 썸네일 이미지에 상응하는 동영상에 대하여 사용자의 편집 입력에 대응하는 편집 과정을 수행하고, 편집 상황에 상응하는 편집 정보를 포함하는 미리보기 요청 신호 또는 편집 완료 신호를 상기 편집용 원격 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미리보기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동영상의 스트리밍 URL을 수신 및 재생하는 사용자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복수 개이되,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에서의 온라인 접속을 통해 상기 동영상의 편집을 위한 협업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타임라인 상에 출력된 선택된 편집 대상 동영상의 썸네일에 대한 영역 자르기 입력, 썸네일의 위치 이동 입력 및 하나 이상의 썸네일 또는 썸네일의 그룹 삭제 입력 중 어느 하나의 상기 편집 입력에 대응하는 편집 과정을 수행하되, 상기 편집 대상 동영상의 썸네일은 특정 주기별로 타임라인 상에 출력되는 것인,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한 동영상 편집 시스템.
In a video editing system using streaming technology,
After storing the video to be edited, extracting and providing at least one thumbnail image of the video corresponding to the video editing request, and dividing the video to be edited according to the edit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preview request signal or the editing completion signal, A remote server for editing that sorts and sums the divided videos and provides or stores them;
A predetermined editing program is installed to receive the extracted thumbnail image according to the video editing request, output it on the timeline of the editing program, and respond to the user's editing input for the video corresponding to the thumbnail image on the timeline performing an editing process, providing a preview request signal or an editing completion signal including edi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diting situation to the remote server for editing, receiving a streaming URL of a video corresponding to the preview request signal, and Including a user device that plays,
The plurality of user devices perform a collaborative operation for editing the video through online access from the plurality of user devices,
Perform an editing process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editing inputs of a region cropping input, a thumbnail position movement input, and one or more thumbnail or thumbnail group deletion inputs for the thumbnail of the selected video to be edited output on the timeline, Thumbnails of the video to be edited are output on the timeline at specific intervals.
Video editing system using streaming technology.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사용자로부터 검색 키워드를 포함하는 동영상의 검색 요청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검색 요청 신호를 편집용 원격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편집용 원격 서버로부터 생성된 검색 결과 목록을 상기 편집 프로그램 상에 출력하고,
상기 편집용 원격 서버는 동영상 ID, 동영상 제목, 동영상 대표 썸네일 URL 및 동영상 URL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 목록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것인,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한 동영상 편집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0,
The user device transmits a search request signal to a remote server for editing upon receiving a search request input for a video including a search keyword from the user, and outputs a list of search results generated from the remote server for editing on the editing program. do,
The remote server for editing generates a search result list including at least one of a video ID, a video title, a video representative thumbnail URL, and video URL information and provides it to the user device.
Video editing system using streaming technology.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0546A KR102508002B1 (en) | 2020-11-25 | 2020-11-25 | System and method for editing video using streaming technology |
PCT/KR2020/018262 WO2022114356A1 (en) | 2020-11-25 | 2020-12-14 | System and method for editing video, using streaming technolog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0546A KR102508002B1 (en) | 2020-11-25 | 2020-11-25 | System and method for editing video using streaming technolog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72678A KR20220072678A (en) | 2022-06-02 |
KR102508002B1 true KR102508002B1 (en) | 2023-03-10 |
Family
ID=81755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60546A Active KR102508002B1 (en) | 2020-11-25 | 2020-11-25 | System and method for editing video using streaming technology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508002B1 (en) |
WO (1) | WO2022114356A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40033042A1 (en) * | 2009-04-14 | 2014-01-30 | Avid Technology Canada Corp. | Rendering in a multi-user video editing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32674A (en) * | 2009-09-23 | 2011-03-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between clients in a multimedia broadcasting system |
KR101924978B1 (en) * | 2016-09-28 | 2018-12-04 | 비버이엔티 주식회사 | A providing system for timeline-based social network service |
KR20180041879A (en) * | 2016-10-17 | 2018-04-25 | (주)와토시스 | Method for editing and apparatus thereof |
KR20190091215A (en) * | 2018-01-26 | 2019-08-05 | 드림투비 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streaming multimedia data without transcoding using meta data |
-
2020
- 2020-11-25 KR KR1020200160546A patent/KR102508002B1/en active Active
- 2020-12-14 WO PCT/KR2020/018262 patent/WO2022114356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40033042A1 (en) * | 2009-04-14 | 2014-01-30 | Avid Technology Canada Corp. | Rendering in a multi-user video editing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72678A (en) | 2022-06-02 |
WO2022114356A1 (en) | 2022-06-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701008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sharing multimedia editing projects | |
JP4987907B2 (en) | Metadata processing device | |
CN106257930B (en) | Generate the dynamic time version of content | |
KR20170084745A (en) | System for automatically re-creating a personal media with Multi-modality feature and method thereof | |
CN101300567A (en) | Media sharing and authoring on the web | |
CN101150699A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 |
CN101390032A (en) | System and methods for storing, editing, and sharing digital video | |
US20070058949A1 (en) | Synching a recording time of a program to the actual program broadcast time for the program | |
US20190199763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reviewing content | |
CA3211145A1 (en) | Instant video trimming and stitching and associated methods and systems | |
WO2016118537A1 (en) |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seamless narrated videos using real time streaming media | |
JP2007525900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content in a program | |
JP4732418B2 (en) | Metadata processing method | |
KR102508002B1 (en) | System and method for editing video using streaming technology | |
CN118828141A (en) | Video processing method,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 |
KR102069897B1 (en) | Method for generating user video and Apparatus therefor | |
JP2019169851A (en) | Broadcasting system | |
KR102036383B1 (en) | Content creation method and apparatus | |
US7610554B2 (en) | Template-based multimedia capturing | |
KR101409019B1 (en) | Content creation method and apparatus | |
KR20150106472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 | |
JP4652389B2 (en) | Metadata processing method | |
CN1726708B (en) | Multimedia data processing equipment capable of easily preparing multimedia content | |
CN105573921A (en) | File storage method and device | |
JP2007037031A (en) | Editing apparatus and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4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0112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7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3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3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