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5572B1 - Method for Selectively Displaying Mulitple Applications - Google Patents
Method for Selectively Displaying Mulitple Application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65572B1 KR102465572B1 KR1020150077680A KR20150077680A KR102465572B1 KR 102465572 B1 KR102465572 B1 KR 102465572B1 KR 1020150077680 A KR1020150077680 A KR 1020150077680A KR 20150077680 A KR20150077680 A KR 20150077680A KR 102465572 B1 KR102465572 B1 KR 1024655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pp
- name
- browsing
- management server
- inform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4—Details of searching files based on file metadata
- G06F16/156—Query results present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4—Details of searching files based on file metadata
- G06F16/148—File search processing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앱 표시 방법은 휴대 단말이 앱 관리 서버로 질의를 전송하는 단계, 앱 관리 서버가 질의에 대응하는 앱 정보를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휴대 단말이 앱 정보를 설정 패턴에 따라 표시하는 단계로 구비한다.The app display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the mobile terminal sending a query to the app management server, the app management server transmitting app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query to the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displaying the app information according to a set pattern. do.
Description
본 발명은 앱(application)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하나의 앱으로 다수의 앱을 표시할 수 있는, 소위 앱 브라우징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lication display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so-called app browsing method capable of displaying a plurality of apps with one app.
휴대 단말은 통화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이메일, 웹 브라우징, 팩스, 뱅킹, 게임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휴대 단말은 표준화된 운영 체제(OS)를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의 구동도 허용하고 있다.The portable terminal can perform e-mail, web browsing, fax, banking, games, etc. while being faithful to a call function. A portable terminal has a standardized operating system (OS) and also allows driving of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림은 통상 '앱(App.)'이라고도 하며, 각종 앱 마켓 등을 통해 유료 또는 무료로 다운받아 스마트폰에 설치하여 사용한다. 사용자는 휴대 단말에서 특정 앱 마켓에 접속하여 원하는 앱을 검색하고, 선택한 앱을 다운받아 설치할 수 있다.An application program is usually referred to as an 'App.', and is downloaded for a fee or free of charge through various app markets, etc., and is installed and used on a smartphone. A user accesses a specific app market on a mobile terminal, searches for a desired app, and downloads and installs the selected app.
그런데, 앱 개발자가 아닌 사람들이 앱을 만들고 운용하는데는 아직 어려움이 많다. 이러한 앱 제작의 어려움을 해결해 주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하나로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3-0091989호는 화면 크기가 제약된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가 모바일 앱을 쉽고 효율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However, it is still difficult for non-app developers to create and operate apps. Attempts are being made to solve these difficulties in app production. As one of them,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3-0091989 suggests a method for a user to easily and efficiently create a mobile app in a mobile terminal with limited screen size.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사용자가 자신의 모바일 앱을 제작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으나, 실제 제작에는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대부분은 앱 제작 전문가에게 맡겨 앱을 제작하고 있다. However, although this prior art can help users create their own mobile apps, it is true that there are limitations in actual production. Therefore, most of them leave it to app production experts to create apps.
그런데, 마케팅, 비용 등의 측면에서, 앱 제작자가 다수의 앱을 하나의 표시 패턴에 앱 정보만을 달리해서 표시해도 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종래의 앱 제작자는 앱을 개별 제작해 왔다.
However, in terms of marketing, cost, etc., there are cases in which an app producer may display a plurality of apps in a single display pattern with different app information. However, even in this case, conventional app makers have individually produced apps.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첫째, 하나의 앱이 다수의 앱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하고,First, it allows one app to display multiple app information,
둘째, 이를 통해 앱 제작자의 마케팅 효율을 높이고, 앱 제작 비용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는, 앱 표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Second, through this, we intend to provide an app display method that can increase the marketing efficiency of app makers and dramatically lower the cost of app production.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앱 표시 방법은, 휴대 단말이 앱 관리 서버로 질의를 전송하는 단계; 앱 관리 서버가 질의에 대응하는 앱 정보를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휴대 단말이 앱 정보를 설정 패턴에 따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An app display method for achieving this object includes the steps of a portable terminal transmitting a query to an app management server; Transmitting, by the app management server, app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query to the portab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may include displaying app information according to a set pattern.
본 발명에 따른 앱 표시 방법에서, 질의 전송 단계는 앱 명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앱 정보 전송 단계는 앱 명칭에 매칭 저장되어 있는 홈페이지 주소, 전화번호, 이미지 등의 앱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app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query transmission step includes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app name, and the app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extracts app information such as homepage address, phone number, image, etc. stored in matching with the app name from the database. steps may be included.
본 발명에 따른 앱 표시 방법에서, 질의 전송 단계 이후에, 앱 관리 서버가 질의에 대응하는 다수의 앱 명칭을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휴대 단말이 다수의 앱 명칭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앱 명칭을 앱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앱 정보 전송 단계는 선택된 앱 명칭에 대응하는 앱 정보를 휴대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In the app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query transmission step, the app management server transmits a plurality of app names corresponding to the query to a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app names and transmitting the selected app name to the app management server. In this case, the app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may transmit app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app name to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앱 표시 방법에서, 휴대 단말은 브라우징 앱을 포함하고, 브라우징 앱이 질의 전송, 앱 정보 수신, 앱 정보 표시를 수행할 수 있다.In the app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terminal includes a browsing app, and the browsing app may transmit a query, receive app information, and display app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른 앱 표시 방법에서, 설정 패턴은 앱 정보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In the app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tting patter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app information.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앱 표시 방법에 의하면, 하나의 앱, 즉 소위 브라우징 앱이 다수의 앱 정보를 사용자의 질의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 결과, 앱 제작자는 하나의 앱만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앱 제작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pp display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one app, that is, a so-called browsing app, can selectively display information on multiple apps in response to a user's query. As a result, an app maker can produce only one app, and through this, the cost of app production can be drastically reduced.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앱 표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b,1c는 본 발명에 따른 브라우징 앱의 실행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앱 표시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보여주는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앱 표시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보여주는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4a,4b는 본 발명에 따른 앱 표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a,5b는 본 발명에 따른 앱 표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1A is a block diagram of an app disp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b and 1c show execution screens of a browsing ap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ata flow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n app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ata flow diagram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n app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a and 4b show a first embodiment of the app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illustrate a second embodiment of app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앱 표시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1b,1c는 본 발명에 따른 브라우징 앱의 실행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1A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pp disp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B and 1C show execution screens of a browsing ap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앱 표시 시스템은 휴대 단말(100), 앱 관리 서버(200)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A , the app display system may include a
휴대 단말(100)은 브라우징 앱(110)을 포함하여 다수의 앱을 포함할 수 있다.The
브라우징 앱(110)은, 실행될 경우,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부에 앱 명칭 창(111)을 표시할 수 있다. When the
브라우징 앱(110)은, 실행될 경우,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창(112)을 제공할 수 있다. 입력창(112)에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들어, '놀부부대찌개', '삼성전자서비스센터' 등의 상호명, '피자', '커피' 등의 일반명사 등을 입력할 수 있다.When executed, the
브라우징 앱(110)은 음성 인식부를 제공할 수 있다. 음성 인식부를 활성화시키고, 사용자가 '놀부부대찌개', '피자' 등을 말하면, 음성 인식부는 '놀부부대찌개', '피자'를 인식하고, 이를 문자로 변환하여 입력창(112)에 입력할 수 있다.
The
브라우징 앱(110)은, 실행될 경우,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앱 명칭 창(111) 외에, 다수의 분할 영역(121~124)을 제공할 수 있다. 각 분할 영역에는 앱 정보를 매칭시킬 수 있다. 특정 분할 영역을 터치하면, 브라우징 앱(110)은 해당 분할 영역에 매칭되어 있는 앱 정보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들어, 특정의 분할 영역(121)을 '홈페이지 바로가기'로 명명하고, 해당 분할 영역에 'm.kipo.go.kr'를 매칭시켜 놓으면, 사용자가 '홈페이지 바로가기'를 클릭하면, 브라우징 앱(110)은 특허청 홈페이지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분할 영역은 '홈페이지 바로가기(121)' 외에, '전화 걸기(122)', '위치 확인(123)', '추천 하기(124)'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각 분할 영역에는 '전화 번호', '지도 정보', '추천 기능'을 각각 매칭시킬 수 있다.
When executed, the
브라우징 앱(110)은 휴대 단말(110) 내의 위치 확인부, 예를들어 GPS 모듈로부터 휴대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브라우징 앱(110)은 데이터를 전송할 때 위치 정보를 전송할 필요가 있으면, 위치 확인부로부터 확인한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The
브라우징 앱(110)은 입력되는 문자나 음성으로부터 생성한 질의를 앱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질의는 입력 문자가 '놀부부대찌개'인 경우, '놀부부대찌개'의 문자를 포함하는 앱 명칭 리스트를 요청하는 앱 명칭 검색 요청일 수 있다.
The
브라우징 앱(110)은 질의에 대한 응답을 앱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휴대 단말(100)에 표시할 수 있다. 응답은 '놀부부대찌개'에 관련되는 앱 명칭 리스트, 예를들어 '놀부부대찌개 남부터미널역점', '놀부부대찌개 교대역점', '놀부부대찌개 뱅뱅사거리점'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 지점의 위치를 표시하는 지도 정보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응답은 '놀부부대찌개 남부터미널역점', '놀부부대찌개 교대역점', '놀부부대찌개 뱅뱅사거리점'에 각각 대응하는 앱 명칭 식별자, 예를들어 'FDNB-0037', 'FDNB-0045', 'FDNB-0047'를 각각 매칭시켜 포함할 수 있다.
The
브라우징 앱(110)은 앱 관리 서버(200)의 응답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브라우징 앱(110)은 앱 명칭 리스트를 리스트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브라우징 앱(110)은 앱 명칭 리스트에서 하나가 클릭되면, 이를 감지하고 그에 대응하는 앱 명칭 식별자를 앱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들어, '놀부부대찌개 남부터미널역점', '놀부부대찌개 교대역점', '놀부부대찌개 뱅뱅사거리점' 의 앱 명칭 리스트가 표시되고, 사용자가 '놀부부대찌개 교대역점'을 클릭하면, 브라우징 앱(110)은 '놀부부대찌개 교대역점'의 앱 명칭 식별자인 'FDNB-0045'를 앱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브라우징 앱(110)은 전송한 앱 명칭 식별자에 대응하는 앱 정보를 앱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들어, '놀부부대찌개 교대역점'의 앱 명칭 식별자인 'FDNB-0045'를 전송한 경우, 브라우징 앱(110)은 앱 관리 서버(200)로부터 '놀부부대찌개 교대역점'의 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앱 정보는 '놀부부대찌개 교대역점'의 앱 명칭, 홈페이지 주소, 전화 번호, 주소, 지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추천 기능', '댓글 달기 기능', '평가 기능' 등을 실행할 수 있는 기능 데이터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우징 앱(110)은 수신한 앱 정보를 설정 패턴에 매칭시켜, '놀부부대찌개 교대역점'을 소개하는 앱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된 '놀부부대찌개 교대역점'의 앱에서 특정 영역을 클릭하면, 홈페이지 확인, 위치 확인, 전화 걸기, 추천 하기, 댓글 달기, 맛 평가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앱의 설정 패턴은,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할 영역을 박스 형태로 구성하고, 각각에 기능 문자를 표시하는 형태일 수 있다.
The
앱 관리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210), 제어부(220)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The
데이터베이스(210)는 다수의 앱에 대해, 앱 명칭, 앱 명칭 식별자, 전화 번호, 홈페이지 주소, 배경 이미지, 위치 정보 등을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들어, '놀부부대찌개 교대역점'의 앱에 대해, '놀부부대찌개 교대역점', 'FDNB-0045', 'm.nolboo-boodae-kyodae.com'. '매장 사진, 메뉴 사진 등의 이미지', '지도 이미지' 등을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The
제어부(220)는 휴대 단말(100)의 브라우징 앱(110)으로부터 질의를 수신할 수 있다. 질의는 '놀부부대찌개 교대역점', '놀부부대찌개 교대', '놀부부대찌개' 등의 검색 요청일 수 있다.The
제어부(220)는 '놀부부대찌개 교대역점'과 같이 앱 명칭을 수신하고, 해당 앱 명칭에 대해 하나의 앱 명칭만이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검색되면, '놀부부대찌개 교대역점'에 해당하는 앱 정보를 추출하여 휴대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제어부(220)는 '놀부부대찌개 교대'의 질의를 수신하면, 데이터베이스(210)를 검색하여 '놀부부대찌개'와 '교대'를 모두 충족하는 앱 명칭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모두 충족하는 검색 결과가 '놀부부대찌개 교대역점'과 같이 하나의 앱 명칭만 있으면, '놀부부대찌개 교대역점'에 해당하는 앱 정보를 추출하여 휴대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렇지 않고, 모두 충족하는 검색 결과가 '놀부부대찌개 교대역점 1호', '놀부부대찌개 교대역점 2호'와 같이 다수가 검색되면, '놀부부대찌개 교대역점 1호' '놀부부대찌개 교대역점 2호'의 앱 명칭과 각각에 대응하는 앱 명칭 식별자를 결합하여 앱 명칭 리스트를 휴대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Upon receiving the query 'Nolbu Budaejjigae Shift', the
제어부(220)는 '놀부부대찌개'의 질의를 수신하면, 휴대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위치에서 일정 거리 내에 있는 앱 명칭을 리스트 형태로 휴대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들어, 휴대 단말(100)의 위치가 교대 근처이면, 데이터베이스(210)를 검색하여 '교대'를 기점으로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놀부부대찌개 교대역점', '놀부부대찌개 남부터미널역점' '놀부부대찌개 고속터미널역점'의 앱 명칭과 각각에 대응하는 앱 명칭 식별자를 결합하여 리스트 형태로 휴대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Upon receiving the query of 'Nolbu Budaejjigae', the
제어부(220)는 휴대 단말(100)로부터 앱 명칭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들어, 휴대 단말(100)의 브라우징 앱(110)이 앱 명칭 리스트에 하나를 선택하면, 브라우징 앱(110)은 선택된 앱 명칭의 앱 명칭 식별자를 앱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20)는 수신한 앱 명칭 식별자에 매칭 저장되어 있는 앱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추출하여, 휴대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들어, '놀부부대찌개 교대역점'의 앱 명칭 식별자를 수신하면, 앱 명칭 식별자 'FDNB-0045'에 매칭 저장되어 있는, '놀부부대찌개 교대역점'의 앱 명칭, 'm.nolboo-boodae-kyodae.com'의 홈페이지 주소, '02-523-7534, 010-245-4584'의 전화번호, '지도 정보 이미지' 등을 휴대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만약, 휴대 단말(100)이 앱 정보를 개별 앱의 형태로 화면에 표시할 경우에는, 매장 사진, 메뉴 사진 등의 이미지도 전송할 수 있다.
Th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앱 표시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보여주는 데이터 흐름도이다.2 is a data flow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n app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휴대 단말(100)에서, 브라우징 앱(110)이 예를들어 '도미도 피자 교대점'의 앱 명칭을 문자, 음성 등으로 입력 받을 수 있다. 이후, 브라우징 앱(110)은 '도미노 피자 교대점'의 앱 명칭을 앱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first, in the
앱 관리 서버(200)에서, 제어부(220)는 휴대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도미노 피자 교대점'의 앱 명칭이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만약, '도미노 피자 교대점'과 일치하는 앱 명칭이 존재하면, 제어부(220)는 '도미노 피자 교대점'에 매칭 저장되어 있는 앱 정보, 예를들어 '도미노 피자 교대점'의 앱 명칭, 'm.dominos-edu.com'의 홈페이지 주소, '02-525-9843, 010-237-4998'의 전화번호, '지도 정보 이미지' 등을 추출하여, 휴대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이 앱 정보를 개별 앱의 형태로 화면에 표시할 경우에는, 매장 사진, 메뉴 사진 등의 이미지도 전송할 수 있다.
In the
한편, 브라우징 앱(110)은 '도미도 피자'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앱 관리 서버(200)의 제어부(220)는 '도미노 피자'를 포함하는 앱 명칭을 모두 추출한다. 그리고, 앱 관리 서버(200)는 휴대 단말(100)로부터 또는 통신망으로부터 휴대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앱 관리 서버(200)는 '도미도 피자'를 포함하는 다수의 앱 명칭 리스트, 예를들어 '도미노 피자 고속터미널점', '도미노 피자 교대점', '도미노 피자 남부터미널점', '도미노 피자 뱅뱅사거리점' 중에서 휴대 단말(100)에서 가장 가까운 하나, 예를들어 '도미노 피자 남부터미널점'을 선택할 수 있다. 앱 관리 서버(200)의 제어부(220)는 선택한 '도미노 피자 남부터미널점'에 매칭 저장되어 있는 앱 정보를 휴대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Meanwhile, the
이후, 휴대 단말(100)에서, 브라우징 앱(110)은 앱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앱 정보를 설정 패턴에 따라 표시할 수 있다. 설정 패턴에 대해서는, 추후 도 4,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Then, in th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앱 표시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보여주는 데이터 흐름도이다.3 is a data flow diagram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n app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100)의 브라우징 앱(110)은 '도미도 피자'와 같이 검색 키워드 형태로 질의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브라우징 앱(110)은 '도미도 피자'를 앱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브라우징 앱(110)은 휴대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앱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앱 관리 서버(200)에서, 제어부(220)는 휴대 단말(100)로부터 '도미노 피자 '를 수신하면, 데이터베이스(210)를 검색하여 '도미노 피자'를 포함하는 다수의 앱 명칭을 추출할 수 있다. 다수의 앱 명칭 리스트는 '도미노 피자 교대점', '도미도 피자 남부터미널점', '도미노 피자 서울대입구역점', '도미노 피자 신림역점', '도미노 피자 낙성대역점', '도미노 피자 상도역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앱 명칭 리스트를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에 연동시켜 그 수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들어, 휴대 단말(100)이 서울대 근처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앱 명칭 리스트는 '도미노 피자 서울대입구역점', '도미노 피자 신림역점', '도미노 피자 낙성대역점'만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의 위치 정보는 휴대 단말(100)이나 통신망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앱 관리 서버(200)는 앱 명칭 리스트를 앱 명칭 식별자와 함께 휴대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In the
브라우징 앱(110)은, 앱 관리 서버(200)로부터 앱 명칭 리스트, 예를들어 '도미노 피자 서울대입구역점', '도미노 피자 신림역점', '도미노 피자 낙성대역점'을 수신하면, 이들 중에서 '도미노 피자 서울대입구역점'을 선택하여, 적어도 앱 명칭 식별자를 앱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When the
이후 처리는 도 2의 절차와 동일하므로, 이후 절차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의 관련 설명으로 갈음한다.
Subsequent processing is the same as the procedure of FIG. 2 , so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ubsequent procedure is replaced with the related description of FIG. 2 .
도 4a,4b는 본 발명에 따른 앱 표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Figures 4a and 4b show a first embodiment of the app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a,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우징 앱(110)은 특정 앱을 항목 표시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4A and 4B , the
브라우징 앱(110)은 앱의 표시 형태, 즉 설정 패턴을 상단의 앱 명칭 표시부()와 하단의 앱 기능 실행부()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The
앱 명칭 표시부(410a,410b)는 '도미노 피자 서초점', '현대자동차 써비스센터 교대점'과 같이 앱 명칭을 표시할 수 있다. 앱 명칭은 표시되는 앱에 따라 달라지며, 하단의 앱 기능 실행부()의 기능 실행 데이터와 매칭되어 있다.
The app
앱 기능 실행부()는 기능 실행 버튼과 기능 실행 데이터로 구성할 수 있다.The app function execution unit ( ) can be composed of a function execution button and function execution data.
기능 실행 버튼(421a~424a,421b~424b)은, 도 4a,4b와 같이, 박스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다른 형태 예를들어 원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기능 실행 버튼(421a~424a,421b~424b)은 클릭 영역을 분할하고, 각 분할 영역에는 '홈페이지 바로가기', '전화 걸기', '위치 확인', '추천 하기' 등의 기능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The
기능 실행 데이터는 '홈페이지 바로가기', '전화 걸기', '위치 확인', '추천 하기'에 각각 매칭되어 있으며, 기능 실행 버튼(421a~424a,421b~424b)이 클릭되면, 매칭된 기능을 실행한다. 예를들어, '전화 걸기'에 '02-536-8879'의 전화 번호가 매칭되어 있을 때, '전화 걸기'의 기능 실행 버튼(422a,422b)을 클릭하면, '02-536-8879'로 전화를 거는 기능이 실행된다.
The function execution data is matched with 'Go to the homepage', 'Make a phone call', 'Check location', and 'Recommendation' respectively, and when the function execution buttons (421a~424a, 421b~424b) are clicked, the matched function is displayed. run For example, when the phone number of '02-536-8879' is matched with 'Call', if you click the function execution button (422a, 422b) of 'Call', '02-536-8879' The function to make a call is executed.
이와 같이, 브라우징 앱(110)은 앱 명칭 표시부(410a,410b)의 앱 명칭을 앱에 대응하는 앱 명칭으로 변경하고, 하단의 앱 기능 실행부의 기능 실행 버튼((421a~424a,421b~424b)의 기능 실행 데이터를 해당 앱에 매칭되는 데이터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들어, 앱 명칭이 '도미노 피자 서초점'에서 '현대자동차 써비스센터 교대점' 으로 변경되면, '전화 걸기'의 기능 문자는 그대로이나, 그에 매칭되는 전화 번호는 '도미노 피자 서초점'의 '02-536-8879'에서 '현대자동차 써비스센터 교대점'의 '02-555-7777'로 변경된다.
In this way, the
도 5a,5b는 본 발명에 따른 앱 표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5a and 5b illustrate a second embodiment of app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우징 앱(110)은 앱 정보를 개별 앱의 실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5A and 5B , the
브라우징 앱(110)은 앱 명칭 표시부(510a,510b), 배경 이미지(520a,520b), 메뉴(531a), 운영 시간(531b), 위치(532a,532b) 등을 이미지를 표시하여, 앱의 실제 형태로 표시할 수도 있다.The
브라우징 앱(110)은 메뉴(531a), 위치(532a)가 클릭되면, 그에 매칭되어 있는 이미지 등을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도 5a,5b의 브라우징 앱(110)은, 도 4a,4b와 같이, 앱 정보가 변경되면 그에 따라 앱 명칭, 배경 이미지 등을 변경하고, 기능 실행 버튼에 매칭되는 기능 실행 데이터도 변경시킬 수 있다.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브라우징 앱(110)은, 설정 패턴을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더라도, 앱 명칭 표시부와 앱 기능 실행부의 기능 실행 데이터를 실제 실행되는 앱에 부합되게 변경할 수 있는, 즉 하나의 제어 앱으로 다수의 앱을 구현할 수 있는 "앱 브라우저"로 기능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이상 본 발명을 여러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이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위 실시예에 기초하여 형태를 변형하거나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변형이나 수정은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based on several examples, these are for exemplifying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change or modify the shape based on the above embodiment. However, such variations or modifications may be construed a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0: 휴대 단말 110 : 브라우징 앱
111,410a,410b,510a,510b: 앱 명칭 창
112: 입력창 200: 앱 관리 서버
210: 데이터베이스 220: 제어부
121~124,421a~424a,421b~424b,531a,532a,531b,532b: 기능 실행 버튼100: mobile terminal 110: browsing app
111,410a,410b,510a,510b: App name window
112: input window 200: app management server
210: database 220: control unit
121~124,421a~424a,421b~424b,531a,532a,531b,532b: Function execution button
Claims (5)
휴대 단말이 앱 관리 서버로 질의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앱 관리 서버가 상기 질의에 대응하는 앱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앱 정보를 설정 패턴에 따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 패턴은 앱 정보에 따라 달라지며,
상기 휴대 단말은 브라우징 앱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우징 앱은 상기 설정 패턴을 앱 명칭 표시부와 앱 기능 실행부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앱 표시 방법.In the app display method,
Transmitting, by the mobile terminal, a query to an app management server;
transmitting, by the app management server, app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query to the portable terminal;
Displaying, by the portable terminal, the app information according to a set pattern;
The setting pattern varies according to app information,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 browsing app,
The browsing app divides and displays the setting pattern into an app name display unit and an app function execution unit. How to display your app.
상기 질의 전송 단계는 앱 명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앱 정보 전송 단계는 상기 앱 명칭에 매칭 저장되어 있는 상기 앱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앱 표시 방법.According to claim 1,
The query sending step includes sending an app name,
Wherein the transmitting of the app information includes extracting the app information matched and stored with the app name from a database.
상기 질의 전송 단계 이후에, 상기 앱 관리 서버가 상기 질의에 대응하는 다수의 앱 명칭을 상기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다수의 앱 명칭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앱 명칭을 상기 앱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앱 정보 전송 단계는 상기 선택된 앱 명칭에 대응하는 앱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앱 표시 방법.According to claim 1,
after the query transmission step, the app management server transmitting a plurality of app names corresponding to the query to the portable terminal; Further comprising, by the portable terminal,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app names and transmitting the selected app name to the app management server;
Wherein the app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transmits app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app name to the mobile termina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77680A KR102465572B1 (en) | 2015-06-02 | 2015-06-02 | Method for Selectively Displaying Mulitple Application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77680A KR102465572B1 (en) | 2015-06-02 | 2015-06-02 | Method for Selectively Displaying Mulitple Application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1961A KR20160141961A (en) | 2016-12-12 |
KR102465572B1 true KR102465572B1 (en) | 2022-11-11 |
Family
ID=57573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77680A Active KR102465572B1 (en) | 2015-06-02 | 2015-06-02 | Method for Selectively Displaying Mulitple Application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6557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842337B1 (en) | 2022-10-31 | 2025-08-06 | 한국원자력연구원 | Test apparatus, test system and control method having beam shutter high speed control and source synchronization control function |
KR20240061246A (en) | 2022-10-31 | 2024-05-08 | 한국원자력연구원 | Particle radiation test apparatus, test system and control method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133780A (en) | 2010-12-17 | 2012-07-12 | Nhn Business Platform Corp | User action information gathering system and its method for providing target advertisement between heterogeneous media |
US20120320271A1 (en) | 2011-06-15 | 2012-12-20 |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fast starting widgets thereof |
US20130006766A1 (en) * | 2011-06-29 | 2013-01-03 | American Express Travel Related Services Company, Inc. | Spend Based Digital Ad Targeting and Measurement |
WO2014126069A1 (en) | 2013-02-12 | 2014-08-21 |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 Output function dividing system |
KR101439928B1 (en) * | 2013-03-27 | 2014-09-12 |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 Method and service providing server for matching identifying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identifying information of the web browser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908469A (en) * | 1997-02-14 | 1999-06-01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Generic user authentication for network computers |
KR101142984B1 (en) * | 2009-05-28 | 2012-05-08 |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 Method to provide site search service and server thereof |
US9298851B2 (en) * | 2011-05-06 | 2016-03-29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Presenting related searches on a toolbar |
-
2015
- 2015-06-02 KR KR1020150077680A patent/KR10246557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133780A (en) | 2010-12-17 | 2012-07-12 | Nhn Business Platform Corp | User action information gathering system and its method for providing target advertisement between heterogeneous media |
US20120320271A1 (en) | 2011-06-15 | 2012-12-20 |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fast starting widgets thereof |
US20130006766A1 (en) * | 2011-06-29 | 2013-01-03 | American Express Travel Related Services Company, Inc. | Spend Based Digital Ad Targeting and Measurement |
WO2014126069A1 (en) | 2013-02-12 | 2014-08-21 |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 Output function dividing system |
KR101439928B1 (en) * | 2013-03-27 | 2014-09-12 |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 Method and service providing server for matching identifying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identifying information of the web brows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1961A (en) | 2016-12-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162865B2 (en) | Generating image tags | |
JP5328212B2 (en) | RECOMMENDATION INFORMATION EVALUATION DEVICE AND RECOMMENDATION INFORMATION EVALUATION METHOD | |
TWI617929B (en) | System stored in a non-transitory medium executable by processor circuitry and method thereof | |
US10324987B2 (en) | Application search using device capabilities | |
WO2016008453A1 (en) | Intelligent service interaction platform apparatus, system and realizing method thereof | |
CN103745013A (en) | Searching method and device | |
KR102691841B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arch service | |
EP3534597A1 (en) | Terminal, service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ed identifier and user interface | |
TW201602814A (en) | Enhanced search results associated with a modular search object framework | |
KR20220101821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arch service in association with chatroom of messenger application | |
US20160188681A1 (en) | Viewing Search Results Using Multiple Different Devices | |
KR101873339B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est contents | |
KR102465572B1 (en) | Method for Selectively Displaying Mulitple Applications | |
KR101101641B1 (en) | Search term recommendation method and device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150019668A (en) | Supporting Method For suggest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search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 |
WO2016157138A1 (en) | A product recommendation system and method | |
CN111859154A (en) | Application recommendation method and device | |
KR20200086574A (en) | Method and system for extracting new keyword by using keyword relation structure | |
CN105242965A (en) | Cloud computing method, cloud server and terminal | |
US9984132B2 (en) | Combining search results to generate customized software application functions | |
US20130205253A1 (en) | Method and system for completing schedule information,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 |
KR20130033505A (en) | System for providing user oriented recommendation service | |
US20160162972A1 (en) | Systems and methods of curation and recommendation of applications and accessory devices to provide expanded user experience | |
KR20190089384A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search word thereof | |
KR102192376B1 (en) | Method and system for extracting foreign synonym using transliteration mode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0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6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6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0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1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11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