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9554B1 - Visual vehicle recognition system for pedestrians - Google Patents
Visual vehicle recognition system for pedestrian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59554B1 KR102459554B1 KR1020200103715A KR20200103715A KR102459554B1 KR 102459554 B1 KR102459554 B1 KR 102459554B1 KR 1020200103715 A KR1020200103715 A KR 1020200103715A KR 20200103715 A KR20200103715 A KR 20200103715A KR 102459554 B1 KR102459554 B1 KR 1024595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section
- speed
- lighting
- sig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HWYHZTIRURJOHG-UHFFFAOYSA-N luminol Chemical compound O=C1NNC(=O)C2=C1C(N)=CC=C2 HWYHZTIRURJOHG-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5
- 206010039203 Road traffic accid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4994 dea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517 death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930 cognitive 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00 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6—Anti-collision systems for active traffic, e.g. moving vehicles, pedestrians, bik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자를 위한 차량인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 간격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감지센서를 구비한 차량감지부가 차량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고, 제어부에서 차량감지부에서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위치, 차량의 속력, 차량의 진행방향을 특정하고, 특정된 차량의 정보에 기초하여 위험구간 및 경고구간을 계산하고, 조명구동부는 계산된 위험구간 및 경고구간의 정보에 기초하여, 위험구간을 점등하는 제1신호 및 경고구간을 점등하는 제2신호를 생성하고, 조명부가 제1신호 및 제2신호를 수신하여 제1신호에 따라 위험구간을 나타내는 적색을 점등하고, 제2신호에 따라 경고구간을 나타내는 청색을 점등하고, 도로의 좌측 및 우측 외곽에 도로상에 설치되어 보행자에게 차량의 위험도를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한 보행자를 위한 시각적 차량인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recognition system for pedestrians, and more particularly, a vehicle detection unit having a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vehicle, and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presence of the vehicle. Based on the information, the vehicle position, the vehicle speed, and the vehicle traveling direction are specified, and the danger section and warning section are calculated based on the specified vehicle information, and the lighting driver is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calculated risk section and warning section. Based on the first signal for lighting the danger section and the second signal for lighting the warning section, the lighting unit receives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and turns on the red indicating the danger section according to the first signal, It relates to a visual vehicle recognition system for pedestrians that lights a blue color indicating a warning section according to a second signal, and is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outskirts of the road to visually confirm the risk of the vehicle to the pedestrian.
Description
본 발명은 보행자를 위한 시각적 차량인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감압센서를 구비한 차량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차량의 무게를 바탕으로 차량의 위치, 진행방향 및 진행속도를 특정하고, 특정된 차량의 정보를 바탕으로 위험구역을 설정하여, 위험구역내의 조명부를 점등시켜 보행자가 차도를 횡단할 경우 시각적으로 위험구역을 인지할 수 있으므로, 보행자 시야의 사각지대에 차량이 존재하거나, 보행자가 스마트폰 등을 사용하여 차량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점등된 조명부를 통하여, 차량이 존재하는 위험구역임을 시각적으로 인지가능한 보행자를 위한 시각적 차량인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sual vehicle recognition system for pedestrians, and more particularly, to specify the position, direction and speed of the vehicle based on the weight of the vehicle sensed by a vehicle detection unit having a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The danger zone is set based on the specified vehicle information and the lighting in the danger zone is turned on to visually recognize the danger zone when pedestrians cross the road. It relates to a visual vehicle recognition system for pedestrians that can visually recognize that a vehicle is in a dangerous area through a lighting unit that is turned on even when the vehicle does not recognize the vehicle using a smart phone or the like.
도로교통공단에서 발표된 보도자료에서 보면 교통사고분석시스템(TAAS)에서 측정된 2019년 대한민국의 인구 10만 명당 보행 중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평균 2.51명이고, 이는 OECD 평균 인구 10만명당 보행 중 교통사고 사망자 수인 1.0*명과 대비하여 2.5가량 높은 수치이다.According to a press release released by the Road Traffic Authority, the average number of pedestrian traffic accidents per 100,000 population in Korea in 2019 measured by the Traffic Accident Analysis System (TAAS) was 2.51, which is the OECD average of pedestrian traffic accidents per 100,000 population. This is about 2.5 higher than the number of deaths of 1.0*.
또한, 연령별로 살펴보면 14세이하 0.34명, 15~20세 0.49명, 21~30세 0.75명, 31~40세 0.5명, 41~50세 1.16명, 51~60세 2.7명, 61~64세 3.46명, 65세이상 9.26명으로 인지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65세 이상인 고령의 보행자가 교통사고 사망자의 57%에 달한다.Also, by age, 0.34 people under 14, 0.49 between 15 and 20, 0.75 between 21 and 30, 0.5 between 31 and 40, 1.16 between 41 and 50, 2.7 between 51 and 60, and 2.7 between 61 and 64 With 3.46 people and 9.26 people over 65, elderly pedestrians over 65, who have relatively poor cognitive abilities, account for 57% of traffic accident deaths.
따라서, 도로에 차량이 존재하는 경우 보행자가 차량을 인지하지 못하더라도, 보행자에게 차량을 인식시키는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로 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system for recognizing a vehicle to a pedestrian even if the pedestrian does not recognize the vehicle when there is a vehicle on the road.
종래의 보행자에게 차량을 인식시키는 시스템에 대한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6-0088433호(2006.08.04 공개)에 게시되어 있다. 이를 간략히 살펴보면, 야간에 주행하는 차량이 도로에 설치된 차량감지부에 감지되는 경우 횡단보도에 설치된 조명부를 점등시켜, 차량운전자는 횡단보도의 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보행자는 차량의 근접을 알 수 있도록 구성된 횡단보도용 안전 시스템이 게시되어 있다.A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system for recognizing a vehicle to a pedestrian, it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6-0088433 (published on Aug. 4, 2006). In brief, when a vehicle traveling at night is detected by a vehicle detection unit installed on the road, the lighting unit installed in the crosswalk is turned on, so that the vehicle driver can accurately recognize the location of the crosswalk, and pedestrians can detect the proximity of the vehicle. A safety system for crosswalks that is configured to be known is posted.
종래의 보행자에게 차량을 인식시키는 시스템에 대한 다른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70126호(2013.05.27 등록)에 게시되어 있다. 이를 간략히 살펴보면, 야간에 주행하는 차량이 도로에 설치된 두개의 차량감지부에 감지되는 경우, 각각의 차량감지부에 차량이 감지된 시간차이로 차량의 속도를 특정하여 횡단보도에 설치된 조명부의 밝기를 조절하여, 차량운전자는 횡단보도의 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보행자는 차량의 접근정도를 조명부의 밝기로 알 수 있도록 구성된 횡단보도용 안전 시스템이 게시되어 있다.As another example of a conventional system for recognizing a vehicle to a pedestrian, it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70126 (registered on May 27, 2013). In brief, when a vehicle traveling at night is detected by two vehicle detection units installed on the road, the speed of the vehicle is specified by the time difference when the vehicle is detected by each vehicle detection unit, and the brightness of the lighting unit installed in the crosswalk is measured. A safety system for crosswalks has been posted so that the vehicle driver can accurately recognize the location of the crosswalk by adjusting it, and the pedestrian can know the degree of approach of the vehicle by the brightness of the lighting unit.
그러나, 종래의 기술의 보행자에게 차량을 인식시키는 시스템은 보행자가 차량을 인식할 수 있는 구역이 도로 전체가 아닌 도로의 일부분으로 제한되어 있으며, 점등부가 도로위에 설치되어 25톤트럭과 같이 높은 차고의 차량이 통행하는 것에 제한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system for recognizing a vehicle to a pedestrian of the prior art, the area in which the pedestrian can recognize the vehicle is limited to a part of the road rather than the entire road, and the lighting unit is installed on the road so that th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a restriction on the passage of vehicles.
본 발명은, 복수의 감압센서를 구비한 차량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차량의 무게를 바탕으로 차량의 위치, 진행방향 및 진행속도를 특정하므로, 차량의 위치로부터 차량의 속력에 따른 정지거리를 위험구간으로 설정이 가능한 보행자를 위한 시각적 차량인식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specifies the position, direction, and speed of the vehicle based on the weight of the vehicle sensed by the vehicle detection unit having a plurality of pressure-sensitive sensors, so that the stopping distance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vehicle from the location of the vehicle is determined in the dangerous sec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visual vehicle recognition system for pedestrians that can be set as
또한, 본 발명은, 위험구간내의 조명부를 점등시켜 보행자가 차도를 횡단할 경우 점등된 조명부로부터 시각적으로 위험구간을 인지할 수 있으므로, 보행자 시야의 사각지대에 차량이 존재하거나, 보행자가 스마트폰 등을 사용하여 차량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차량의 위협이 존재하는 위험구간임을 시각적으로 인지가능한 보행자를 위한 시각적 차량인식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urns on the lighting unit in the danger zone so that when a pedestrian crosses the roadway, the danger zone can be visually recognized from the illuminated lighting part.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a visual vehicle recognition system for pedestrians that can visually recognize that it is a dangerous section in which a threat of a vehicle exists even when the vehicle is not recognized using the
또한, 본 발명은, 경고구간내의 조명부를 점등시켜 보행자가 차도를 횡단할 경우 점등된 조명부로부터 시각적으로 경고구간을 인지할 수 있으므로, 보행자 시야의 사각지대에 차량이 존재하거나, 보행자가 스마트폰 등을 사용하여 차량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차량의 위협이 존재하는 경고구간임을 시각적으로 인지가능한 보행자를 위한 시각적 차량인식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ognize the warning section visually from the illuminated lighting section when the pedestrian crosses the road by turning on the lighting unit in the warning section, so that the vehicle is present in the blind spot of the pedestrian's view, or the pedestrian is using a smartphone, etc.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a visual vehicle recognition system for pedestrians that can visually recognize that the warning section is a warning section in which a vehicle threat exists even when the vehicle is not recognized using the
또한, 본 발명은, 도로에 설치되는 조명부가 차량의 차고를 제한하지 않도록 설치되는 보행자를 위한 시각적 차량인식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isual vehicle recognition system for pedestrians that is installed so that the lighting unit installed on the road does not limit the height of the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고, 일정 간격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감지센서를 구비한 차량감지부; 상기 차량감지부에서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위치, 차량의 속력, 차량의 진행방향을 특정하고, 특정된 차량의 정보에 기초하여 위험구간 및 안전구간을 계산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계산된 위험구간 및 안전구간의 정보에 기초하여, 위험구간을 점등하는 제1신호 및 경고구간을 점등하는 제2신호를 생성하는 조명구동부; 및 상기 조명구동부의 제1신호 및 제2신호를 수신하고, 제1신호에 따라 위험구간을 나타내는 적색을 점등하고, 제2신호에 따라 경고구간을 나타내는 청색을 점등하고, 도로의 좌측 및 우측 외곽에 도로상에 설치되는 조명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vehicle, a vehicle detection unit having a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 control unit for specifying a position of a vehicle, a speed of a vehicle, and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information sensed by the vehicle detection unit, and calculating a dangerous section and a safe section based on the specified vehicle information; a lighting driver for generating a first signal for illuminating the danger section and a second signal for illuminating the warning sec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danger section and the safety section calculated by the control unit; and receiving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of the lighting driving unit, turning on red indicating the danger section according to the first signal, turning on blue indicating the warning section according to the second signal, and turning on the left and right outer edges of the road It includes; a lighting unit installed on the road.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에서 계산되는 위험구간은 차량을 기준하여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고, 위험구간의 길이는 차량의 속력이 20km일 경우 9m, 차량의 속력이 30km일 경우 15m, 차량의 속력이 40km일 경우 22m, 차량의 속력이 50km일 경우 32m, 차량의 속력이 60km일 경우 44m, 차량의 속력이 70km일 경우 58m, 차량의 속력이 80km일 경우 76m, 차량의 속력이 100km일 경우 112m이다.In addition, the dangerous section calculated by the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constant length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vehicle, and the length of the dangerous section is 9m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is 20km, and 15m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is 30km , 22m when the vehicle speed is 40km, 32m when the vehicle speed is 50km, 44m when the vehicle speed is 60km, 58m when the vehicle speed is 70km, 76m when the vehicle speed is 80km, and the vehicle speed is At 100 km, it is 112 m.
또한, 상기 제어부에서 계산되는 경고구간은 차량을 기준하여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위험구간이 끝나는 지점에서 10m 또는 20m에 해당되는 길이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warning section calculated by the control unit is formed with a length corresponding to 10m or 20m at the point where the dangerous section ends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with respect to the vehicl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도로상에 차량이 복수대 존재하여 계산되는 경고구간과 위험구간이 중첩되는 경우, 중첩되는 구간을 위험구간으로 판정한다.In addition, when the warning section and the dangerous section calculated by the presence of a plurality of vehicles on the road overlap, the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overlapping section as a dangerous section.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조명부는 전류의 제어에 따라 적색 또는 청색으로 점등가능하고, 전류의 제어에 따라 밝기 조절이 가능한 루미놀 페인트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lit in red or blu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urrent, and can be formed of luminol paint, the brightness of which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urrent.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조명부는 전류의 제어에 따라 적색 또는 청색 또는 백색으로 점등가능하고, 전류의 제어에 따라 밝기 조절이 가능한 삼색LED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lit in red, blue, or whit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urrent, and can be formed of a three-color LED capable of adjusting the brightness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urrent.
본 발명은, 복수의 감압센서를 구비한 차량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차량의 무게를 바탕으로 차량의 위치, 진행방향 및 진행속도를 특정하므로, 차량의 위치로부터 차량의 속력에 따른 정지거리를 위험구간으로 설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specifies the position, direction, and speed of the vehicle based on the weight of the vehicle sensed by the vehicle detection unit having a plurality of pressure-sensitive sensors, so that the stopping distance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vehicle from the location of the vehicle is determined in the dangerous sec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set to .
또한, 본 발명은, 위험구간내의 조명부를 점등시켜 보행자가 차도를 횡단할 경우 점등된 조명부로부터 시각적으로 위험구간을 인지할 수 있으므로, 보행자 시야의 사각지대에 차량이 존재하거나, 보행자가 스마트폰 등을 사용하여 차량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차량의 위협이 존재하는 위험구간임을 시각적으로 인지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urns on the lighting unit in the danger zone so that when a pedestrian crosses the roadway, the danger zone can be visually recognized from the illuminated lighting part. Even if the vehicle is not recognized using the
또한, 본 발명은, 경고구간내의 조명부를 점등시켜 보행자가 차도를 횡단할 경우 점등된 조명부로부터 시각적으로 경고구간을 인지할 수 있으므로, 보행자 시야의 사각지대에 차량이 존재하거나, 보행자가 스마트폰 등을 사용하여 차량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차량의 위협이 존재하는 경고구간임을 시각적으로 인지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ognize the warning section visually from the illuminated lighting section when the pedestrian crosses the road by turning on the lighting unit in the warning section, so that the vehicle is present in the blind spot of the pedestrian's view, or the pedestrian is using a smartphone, etc. Even if the vehicle is not recognized using the
또한, 본 발명은, 도로에 설치되는 조명부가 차량의 차고를 제한하지 않도록 설치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being installed so that the lighting unit installed on the road does not limit the height of the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를 위한 시각적 차량인식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위치 대비 도로상에 위험구간 및 경고구간이 점등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행방향이 서로 다른 복수의 차량이 충분히 먼 거리에 위치할 때의 차량의 위치 대비 도로상에 위험구간 및 경고구간이 점등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행방향이 서로 다른 복수의 차량이 서로 중간 거리에 위치할 때의 차량의 위치 대비 도로상에 위험구간 및 경고구간이 점등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행방향이 서로 다른 복수의 차량이 가까운 거리에 위치할 때의 차량의 위치 대비 도로상에 위험구간 및 경고구간이 점등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차량이 서로 지나갈 때의 차량의 위치 대비 도로상에 위험구간 및 경고구간이 점등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1 is a block diagram of a visual vehicle recognition system for a pedestri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anger section and a warning section are lit on the road compared to the position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anger section and a warning section are lit on the road compared to the position of the vehicle when a plurality of vehicles having different traveling directions are located at a sufficiently distant di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angerous section and a warning section are lit on a road compared to the position of the vehicle when a plurality of vehicles having different traveling directions are located at an intermediate distance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angerous section and a warning section are lit on a road compared to the position of the vehicle when a plurality of vehicles having different traveling directions are located at a close di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anger section and a warning section are lit on a road compared to the position of the vehicle when a plurality of vehicles pass each 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is between each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elements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본 발명은 도 1을 참조하면, 차량감지부(10), 조명부(20), 제어부(30), 및 조명구동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차량감지부(10)는 복수의 감지센서(11)로 구성되며, 복수의 감지센서는 도로(1)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차량(2)의 존재유무를 감지한다. 차량감지부(10)는 제어부(30)와 연결된다.The
이러한 감지센서(11)는 대표적으로 도로(1)의 하면에 설치되어 차량(2)의 중량에 의하여 스위치 접점이 가동되는 감압센서일 수 있고, 도로(1)의 좌우 외곽에 레이저 송신부와 레이저 수신부가 설치되어 차량(2)이 존재할 경우 레이저 송신부가 송신하는 레이저가 레이저 수신부에 도달하지 못하는 것을 감지하는 레이저센서일 수 있다.The
차량감지부(10)의 감지센서(11)는 도로(1)상에 위치한 차량(2)이 센싱되는 경우 실시간으로 차량(2)의 감지 사실을 제어부(30)로 전달한다.When the
조명부(20)는 도로(1)의 외곽 또는 도로의 차선에 복수개의 조명(21)이 설치되고, 후술하는 조명구동부(40)의 제어에 의해 빛을 점등하는 구성이다. 조명부(20)는 조명구동부(40)과 연결되어, 조명구동부(40)의 제어에 의해 빛의 색상 또는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조명부(20)는 도로(1)의 노면에 도포 또는 설치되므로, 차량의 통행을 방해하지 않는다.The
조명(21)은 도로(1)의 외곽 또는 도로(1)에 도포되고, 전기적 자극을 받으면 소량이 산화제와 반응하여 빛을 발광하는 루미놀 페인트일 수 있고, 전기적 제어에 의해 적색, 청색, 녹색의 LED를 점등하는 삼색LED일 수 있다.The
루미놀 페인트는 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에는 빛을 내지 않고, 전류가 흐를 때에는 빛을 발광하며, 전류의 조절에 따라 빛의 세기 또는 색상이 변화하는 효과를 갖는 페인트이다.Luminol paint is a paint that does not emit light when no current flows, emits light when current flows, and has the effect of changing the intensity or color of light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urrent.
삼색LED는 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에는 빛을 내지 않고, 전류의 제어에 따라 적색, 청색, 녹색의 LED를 발광시켜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효과를 갖는 LED이다.The tri-color LED does not emit light when no current flows, and has the effect of emitting light of various colors by emitting red, blue, and green LEDs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urrent.
제어부(30)는 차량감지부(10) 및 조명구동부(40)과 연결된다.The
제어부(30)는 차량감지부(10)에 감지된 차량(2)의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차량(2)의 위치를 특정한다.The
제어부(30)는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감지센서(11)에 감지된 시각을 바탕으로 차량(2)의 특정된 위치가 변화하는 시간을 계산하여 차량의 속력 및 진행방향을 특정한다.The
제어부(30)는 차량(2)의 위치, 속력 및 진행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2)의 위치로부터 차량(2)의 진행방향으로 차량(2)의 속력에 해당하는 정지거리만큼의 구간을 계산하여 위험구간(A)으로 설정한다.The
정지거리는 공주거리와 제동거리의 합으로 계산된다.The stopping distance is calculated as the sum of the idle distance and the braking distance.
공주거리는 운전자가 위험을 감지하고 브레이크를 밟아서 브레이크가 작동되기까지 차량(2)이 주행한 거리이고, 제동거리는 브레이크가 작동된 후 차량(2)이 완전히 정차할 때까지 차량이 주행한 거리이다.The driving distance is the distance traveled by the
시속20km의 차량은 9m의 정지거리가 계산된다. 시속30km의 차량은 15m의 정지거리가 계산된다. 시속40km의 차량은 22m의 정지거리가 계산된다. 시속50km의 차량은 32m의 정지거리가 계산된다. 시속60km의 차량은 44m의 정지거리가 계산된다. 시속70km의 차량은 58m의 정지거리가 계산된다. 시속80km의 차량은 76m의 정지거리가 계산된다. 시속100km의 차량은 112m의 정지거리가 계산된다.For a vehicle at 20 km/h, a stopping distance of 9 m is calculated. For a vehicle at 30 km/h, a stopping distance of 15 m is calculated. For a vehicle at 40 km/h, a stopping distance of 22 m is calculated. For a vehicle at 50 km/h, a stopping distance of 32 m is calculated. For a vehicle at 60 km/h, a stopping distance of 44 m is calculated. For a vehicle at 70 km/h, a stopping distance of 58 m is calculated. For a vehicle at 80 km/h, a stopping distance of 76 m is calculated. For a vehicle at 100 km/h, a stopping distance of 112 m is calculated.
차량의 속력을 10의 단위에서 올림하여 더욱 넓은 정지거리를 특정하므로 보행자의 안정성을 높인다.By raising the speed of the vehicle by 10 to specify a wider stopping distance, the stability of pedestrians is increased.
계산되는 정지거리는 기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The calculated stopping distance may change depending on the climate.
정지거리는 우천시에 1.5배, 노면이 결빙되었을 시에 3배로 계산된다.The stopping distance is calculated by 1.5 times when it rains and 3 times when the road surface is frozen.
제어부(30)는 위험구간(A)에서 차량(2)의 진행방향 측면부에 위치한 일정범위를 경고구간(B)으로 설정한다. 경고구간(B)의 범위는 10m 또는 20m일 수 있다.The
제어부(30)는 설정된 위험구간(A) 및 경고구간(B)의 위치정보를 조명구동부(40)에 전달한다.The
도 1 및 도 2을 참조하면, 조명구동부(40)는 위험구간(A)에 해당되는 조명부(20)의 조명(21)에 위험구간(A)을 나타내는 적색을 점등시키는 제1신호를 생성하고, 경고구간(B)에 해당되는 조명(21)에 경고구간(B)을 나타내는 청색을 점등시키는 제2신호를 생성한다.1 and 2, the
조명구동부(40)는 위험구간에 해당되는 조명부(20)의 조명(21)에 송신하는 전류를 제어하여 적색의 밝은 빛을 점등시킬 수 있다.The
조명구동부(40)는 위험구간에 해당되는 조명부(20)의 조명(21) 중 차량(2)의 위치에서 가까운 조명(21)일수록 밝게, 차량(2)의 위치에서 먼 조명(21)일수록 상대적으로 어둡게 점등시킬 수 있다.The
조명구동부(40)는 경고구간에 해당되는 조명부(20)의 조명(21)에 송신하는 전류를 제어하여 청색의 밝은 빛을 점등시킨다.The
조명구동부(40)는 차량(2)의 진행방향측 차선에 설치된 조명(21)뿐만 아니라 반대편측 차선에 설치된 조명(21) 또한 점등시켜 보행자가 최대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The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조명구동부(40)는 복수의 차량(2)이 반대편 차선에서 서로 다른 진행방향으로 다가올 경우, 경고구역(B)보다 위험구역(A)을 우선하여 점등시킨다.3 and 4 , when a plurality of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조명구동부(40)는 복수의 차량(2)이 반대편 차선에서 서로 다른 진행방향으로 지나치는 경우, 각각의 차량의 위치로부터 위험구역(A) 및 경고구역(B)을 설정하여 점등시킨다.5 and 6 , when a plurality of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In the above, even if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ing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components may operate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In addition, although all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one independent hardware, some or all of the components are selectively combined to perform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one or a plurality of pieces of hardware. It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having Codes and code segments constituting the computer program can be easily deduc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computer program is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read and executed by the computer, thereby implemen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medium of the computer program may include a magnetic recording medium, an optical recording medium, a carrier wave medium, and the like.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s", "comprises"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embedded, unless otherwise stated, excluding other components. Rather,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able to include other components further.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commonly used,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understand that there i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concept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차량감지부
20 : 조명부
30 : 제어부
40 : 조명구동부
A : 위험구간
B : 경고구간10: vehicle detection unit
20: lighting unit
30: control unit
40: lighting driving unit
A : danger zone
B : Warning section
Claims (6)
상기 차량감지부에서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위치, 상기 차량의 속력,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을 특정하고, 상기 특정된 차량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으로부터의 위험구간 및 경고구간을 계산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계산된 상기 위험구간 및 경고구간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위험구간을 점등하는 제1신호 및 상기 경고구간을 점등하는 제2신호를 생성하는 조명구동부; 및
상기 조명구동부의 제1신호 및 제2신호를 수신하고, 제1신호에 따라 상기 위험구간을 나타내는 적색을 점등하고, 제2신호에 따라 상기 경고구간을 나타내는 청색을 점등하고, 상기 도로의 좌측 및 우측 외곽에 도로상에 설치되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보행자를 위한 시각적 차량인식 시스템.a vehicle detection unit installed on a road to detect the presence of a vehicle and having a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The position of the vehicle, the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re specified based on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vehicle detection unit, and a danger section and a warning section from the vehicle are calculated based on the specified vehicle information. a control unit;
a lighting driver for generating a first signal for illuminating the danger section and a second signal for illuminating the warning section on the basis of the information of the danger section and the warning section calculated by the control unit; and
Receives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of the lighting driving unit, turns on the red indicating the danger section according to the first signal, turns on the blue color indicating the warning section according to the second signal, the left side of the road and A visual vehicle recognition system for pedestrians including; a lighting unit installed on the road outside the right side.
상기 제어부에서 계산되는 상기 위험구간은 상기 차량을 기준하여,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위험구간의 일정한 길이는 상기 차량의 속력이 20km일 경우 9m, 상기 차량의 속력이 30km일 경우 15m, 상기 차량의 속력이 40km일 경우 22m, 상기 차량의 속력이 50km일 경우 32m, 상기 차량의 속력이 60km일 경우 44m, 상기 차량의 속력이 70km일 경우 58m, 상기 차량의 속력이 80km일 경우 76m, 상기 차량의 속력이 100km일 경우 112m인 보행자를 위한 시각적 차량인식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angerous section calculated by the control unit is formed with a constant length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with respect to the vehicle,
The constant length of the dangerous section is 9m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is 20km, 15m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is 30km, 22m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is 40km, 32m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is 50km, 32m, the vehicle's A visual vehicle recognition system for pedestrians whose speed is 44 m when the speed is 60 km, 58 m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is 70 km, 76 m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is 80 km, and 112 m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is 100 km.
상기 제어부에서 계산되는 상기 경고구간은 상기 차량을 기준하여,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상기 위험구간이 끝나는 지점에서 10m 또는 20m에 해당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보행자를 위한 시각적 차량인식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rning section calculated by the controller is a visual vehicle recognition system for pedestrians that is formed with a length corresponding to 10m or 20m from the end of the danger section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vehicle.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로상에 차량이 복수대 존재하여 계산되는 상기 경고구간과 상기 위험구간이 중첩되는 경우, 중첩되는 구간을 위험구간으로 판정하는 보행자를 위한 시각적 차량인식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s a visual vehicle recognition system for pedestrians for determining the overlapping section as a dangerous section when the warning section calculated by the presence of a plurality of vehicles on the road and the dangerous section overlap.
상기 조명부는 전류의 제어에 따라 적색 또는 청색으로 점등가능하고, 전류의 제어에 따라 밝기 조절이 가능한 루미놀 페인트로 형성되는 보행자를 위한 시각적 차량인식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ing unit is a visual vehicle recognition system for pedestrians that is formed of luminol paint that can be lit in red or blu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urrent, and whose brightness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urrent.
상기 조명부는 전류의 제어에 따라 적색 또는 청색 또는 백색으로 점등가능하고, 전류의 제어에 따라 밝기 조절이 가능한 삼색LED로 형성되는 보행자를 위한 시각적 차량인식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ing unit can be lit in red, blue, or whit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urrent, and is formed of a three-color LED that can control the brightness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urrent. A visual vehicle recognition system for pedestrian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3715A KR102459554B1 (en) | 2020-08-19 | 2020-08-19 | Visual vehicle recognition system for pedestrian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3715A KR102459554B1 (en) | 2020-08-19 | 2020-08-19 | Visual vehicle recognition system for pedestrian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22585A KR20220022585A (en) | 2022-02-28 |
KR102459554B1 true KR102459554B1 (en) | 2022-10-26 |
Family
ID=80497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03715A Active KR102459554B1 (en) | 2020-08-19 | 2020-08-19 | Visual vehicle recognition system for pedestrian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59554B1 (en)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88433A (en) | 2005-02-01 | 2006-08-04 | 민선영 | Safety system for pedestrian crossing |
KR101270126B1 (en) | 2011-11-07 | 2013-05-31 | 하이테콤시스템(주) | Lighting controller and enforcing speed limits system for road crossing |
KR20150009157A (en) * | 2013-07-16 | 2015-01-26 | 주미숙 | Danger area LED one's eyes leading lamp control method |
KR20150031972A (en) * | 2013-09-17 | 2015-03-25 | 주식회사 피앤코 |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Secondary Traffic Accidents |
-
2020
- 2020-08-19 KR KR1020200103715A patent/KR102459554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22585A (en) | 2022-02-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956116B (en) | For the method and controller of the desired motion path for highlighting automobile | |
US11288959B2 (en) | Active lane markers having driver assistance feedback | |
KR101674443B1 (en) | Safety system of crosswalk for pedestrian protection | |
KR101655933B1 (en) | Road sign apparatus and road sign system | |
CN104299400B (en) | Vehicle-periphery monitors system | |
KR102012842B1 (en) | Smart headlight of matrix type for automobile | |
KR20150009157A (en) | Danger area LED one's eyes leading lamp control method | |
KR20160029044A (en) | Lightening system of crosswalk | |
KR102263867B1 (en) | System for protecting pedestrian in crosswalk | |
KR100871344B1 (en) | Vehicle speed response induction display device and method | |
CN102398544B (en) | Maneuvering aid for commercial vehicle | |
KR20170077620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ing Speed using Sequential On-and-Off Lighting | |
KR20180020201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ing Speed using Sequential On-and-Off Lighting | |
KR102144772B1 (en) | Reversible lane operating system | |
KR102252913B1 (en) | System and method of detecting signal light | |
KR20190013363A (en) | System for pedestrian safety | |
KR102459554B1 (en) | Visual vehicle recognition system for pedestrians | |
KR102351316B1 (en) | Smart crosswalk system | |
KR20170001677A (en) | lamp for traffic signal at the front of car | |
KR101931593B1 (en) | Pedestrian protection notification system | |
KR20030080842A (en) | Devicd for warning the over speed of car and dispalying the condition of road | |
ITRM980780A1 (en) | LIGHTING SYSTEM FOR MOTOR VEHICLES | |
KR20140104622A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lights of vehicle | |
CN111629472A (en) | Millimeter wave radar-based pedestrian crossing intelligent street lamp indica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 |
CN210733969U (en) |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0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10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