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2122B1 - Safety management device for industrial sites - Google Patents
Safety management device for industrial sit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42122B1 KR102442122B1 KR1020220046280A KR20220046280A KR102442122B1 KR 102442122 B1 KR102442122 B1 KR 102442122B1 KR 1020220046280 A KR1020220046280 A KR 1020220046280A KR 20220046280 A KR20220046280 A KR 20220046280A KR 102442122 B1 KR102442122 B1 KR 1024421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afety
- signal
- facility
- operator
- work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30—Mounting radio sets or communication system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Multi-Process Working Machines An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모에 구비되며, 작업자의 산업현장 내 위치를 감지한 후 신호를 출력하는 작업자 위치감지부, 산업현장 내 차량과 동일한 이동수단에 구비되며, 이동수단의 산업현장 내 위치를 감지한 후 신호를 출력하는 이동수단 위치감지부, 산업현장 내 공정라인의 설비에 구비되며, 각 공정라인 내 설비의 동작여부를 감지한 후 신호를 출력하는 설비 작동감지부. 작업자 위치감지부에서 감지된 작업자의 위치 신호와, 이동수단 위치감지부에서 감지된 이동수단의 위치 신호 및, 설비 작동감지부에서 감지된 설비의 작동여부 신호를 전달받은 후, 작업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산업현장 내 작업자의 위치와, 이동수단의 위치, 및 설비의 작동여부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상태를 판단한 후, 해당되는 안전정보 신호를 출력하는 안전상태 파악부, 안전모에 구비되며, 안전상태 파악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전달받아 안전모를 착용한 작업자에게 안전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출력하는 안전정보 인지부를 포함하는 산업현장용 안전 관리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safety helmet worn by a worker, a worker position detecting unit that outputs a signal after detecting the location of the worker in the industrial site, is provided in the same moving means as the vehicle in the industrial site, and is provided in the industrial site of the moving means A moving means position detecting unit that outputs a signal after detecting a position, a facility operation detecting unit that is provided in the equipment of the process line in the industrial site, and outputs a signal after detecting whether the equipment in each process line is operating. After receiving the position signal of the operator detected by the operator position detection unit, the position signal of the movement means detected by the movement means position detection unit, and the operation status signal of the equipment detected by the equipment operation detection unit, the current position of the operator is determined. After determining the safety status of the worker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worker in the industrial site, the location of the transportation means, and whether the facility is operating as a standard, the safety status identification unit that outputs the relevant safety information signal, is provided in the helmet, and the safety status Provided is a safety management device for industrial sites including a safety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that receives a signal output from the grasper and outputs safety information to a worker wearing a hard hat so that the safety information can be recogniz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모를 이용하여 산업현장의 작업자에게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산업현장용 안전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management device for an industrial site that provides information for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to a worker at an industrial site using a safety helmet worn by the worker.
일반적으로 산업현장들의 설비들은 공정라인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고, 정해진 공정에 따라 제품을 가공하기 위하여 설비들 간에 제품들이 이송되게 된다. 이렇게 배치된 설비들 사이에는 작업자가 조업을 위해 이동할 수 있도록 통로가 마련된다.In general, facilities of industrial sites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long a process line, and products are transferred between the facilities in order to process the produc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cess. A passage is provided between the facilities arranged in this way so that the worker can move for operation.
그리고, 작업자들은 산업현장에서 설비의 조작 또는 수리를 위해서 설비 사이에 형성된 통로를 따라 수시로 이동하게 된다. 이처럼 설비를 조작하는 작업자들이 설비의 가동 중에 그 사이 통로를 따라 무의식적으로 이동하더라도 설비들은 지속적으로 가동된다. 그리고, 산업현장은 설비에서 발생하는 각종 소음 때문에 다른 작업자가 육성으로 사고위험을 알리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workers frequently move along the passages formed between the facilities for the operation or repair of the facilities in the industrial field. In this way, even if the workers who operate the equipment unconsciously move along the passage during the operation of the equipment, the equipment is continuously operated. In addition, industrial sites have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asy to inform other workers of the risk of accidents through training because of various noises generated from facilities.
따라서, 산업현장의 공정설비 주변에서 통행하는 작업자의 안전사고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시설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safety facility for preventing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of workers passing around the process facilities of the industrial site.
이러한, 안전시설로 작업자가 공정라인으로 출입시 이를 감지하여 설비들을 비상정지시키는 안전사고 방지장치가 사용되고 있다.A safety accident prevention device that detects when a worker enters and exits a process line to a safety facility and emergency stops the facilities is used.
그러나, 종래에는 공정라인으로 출입시에만 작업자를 감지하여 설비들을 비상정지되게 할 뿐, 산업현장에서 작업자가 설비들의 공정라인 출입 외에 공정라인 사이의 이동이나 지게차와 같은 이동수단이 작업자에게 접근시 및, 작업자가 각종 공정라인 내부로 출입하지 않고 설비가 가동되는 상태에서 접근시 공정라인에 대한 각종 안전정보를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prior art, only when entering and exiting the process line, the operator is detected and the equipment is emergency stopped.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check various safety information about the process line when the operator approaches the facility while the equipment is in operation without entering and exiting the various process lines.
이러한, 산업현장용 안전장치에 대한 관련기술은,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0-0134195호(2010.12.23)에 제시된다.The related technology for such a safety device for an industrial site is present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0-0134195 (2010.12.23).
본 발명은, 산업현장에서 작업자가 설비들의 공정라인 출입 외에 공정라인 사이의 이동이나 지게차와 같은 이동수단이 작업자에게 접근시 및, 작업자가 각종 공정라인 내부로 출입하지 않고 설비가 가동되는 상태에서 접근시 공정라인에 대한 각종 안전정보 작업자에게 전달하면서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산업현장용 안전 관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worker in an industrial site moves between process lines or a moving means such as a forklift approaches the worker in addition to entry and exit of the process line of facilities, the worker approaches the worker in a state in which the equipment is operated without entering into various process line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afety management device for industrial sites that prevents safety accidents while delivering various safety information about city process lines to workers.
본 발명은,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모에 구비되며, 작업자의 산업현장 내 위치를 감지한 후 신호를 출력하는 작업자 위치감지부, 상기 산업현장 내 차량과 동일한 이동수단에 구비되며, 이동수단의 산업현장 내 위치를 감지한 후 신호를 출력하는 이동수단 위치감지부, 상기 산업현장 내 공정라인의 설비에 구비되며, 각 공정라인 내 설비의 동작여부를 감지한 후 신호를 출력하는 설비 작동감지부. 상기 작업자 위치감지부에서 감지된 작업자의 위치 신호와, 이동수단 위치감지부에서 감지된 이동수단의 위치 신호 및, 설비 작동감지부에서 감지된 설비의 작동여부 신호를 전달받은 후, 작업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산업현장 내 작업자의 위치와, 이동수단의 위치, 및 설비의 작동여부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상태를 판단한 후, 해당되는 안전정보 신호를 출력하는 안전상태 파악부, 상기 안전모에 구비되며, 안전상태 파악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전달받아 안전모를 착용한 작업자에게 안전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출력하는 안전정보 인지부를 포함하는 산업현장용 안전 관리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safety helmet worn by a worker, a worker position detecting unit that outputs a signal after detecting the location of the worker in the industrial site, is provided in the same moving means as the vehicle in the industrial site, and the industrial site of the moving means A movement means position detection unit for outputting a signal after detecting the inside position, a facility operation detection unit provided in the facility of the process line in the industrial site, and outputting a signal after detecting whether the facility in each process line is operating. After receiving the position signal of the operator detected by the operator position detection unit, the position signal of the movement means detected by the movement means position detection unit, and the operation status signal of the facility detected by the facility operation detection unit, the operator's current position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worker in the industrial site, the location of the moving means, and the safety status of the work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acility, a safety status identification unit that outputs a corresponding safety information signal, is provided in the helmet, Provided is a safety management device for industrial sites including a safety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that receives a signal output from the safety state identification unit and outputs safety information to a worker wearing a hard hat so that the safety information can be recognized.
또한, 상기 작업자 위치감지부는, 상기 안전모에 구비되며, 안전모를 착용한 작업자의 산업현장 내 위치를 감지하는 작업자 위치감지센서, 상기 작업자 위치감지센서와 연결되도록 안전모에 구비되며, 작업자 위치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안전상태 파악부로 전달하는 작업자 위치전달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orker position detection unit is provided in the helmet, and is provided in the safety hat to be connected to the operator position detection sensor and the operator position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worker wearing the helmet in the industrial site, and from the operator position detection sensor. It may include an operator position transfer means for transferring the sensed signal to the safety state detection unit.
또한, 상기 이동수단 위치감지부는, 상기 이동수단에 구비되며, 이동수단의 산업현장 내 위치를 감지하는 이동수단 위치감지센서, 상기 이동수단 위치감지센서와 연결되도록 이동수단에 구비되며, 이동수단 위치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안전상태 파악부로 전달하는 이동수단 위치전달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ving means position detecting unit is provided in the moving means and provided in the moving means to be connected to the moving means position detecting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moving means in the industrial site, the moving means position detecting sensor, the moving means position It may include a moving means position transfer means for transferring the signal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to the safety state detection unit.
또한, 상기 설비 작동감지부는, 상기 설비에 구비되며, 설비의 구동여부를 감지하는 설비 구동감지센서, 상기 설비 구동감지센서와 연결되도록 설비에 구비되며, 설비 구동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안전상태 파악부로 전달하는 설비 구동전달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cility operation detection unit is provided in the facility, the facility drive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facility is driven, is provided in the facility to be connected to the facility drive detection sensor, and transmits the signal detected by the facility drive detection sensor to a safe state. It may include a facility drive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to the grasping unit.
또한, 상기 안전상태 파악부는, 상기 공정라인의 설비 구동구역과 이동수단의 이동 가능경로 및 작업자의 이동 가능경로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작업자의 위치에 따라 해당되는 안전정보가 저장되며, 작업자 위치감지부로부터 입력받는 작업자의 위치 신호와, 이동수단 위치감지부로부터 입력받는 이동수단의 위치 신호 및, 설비 작동감지부로부터 입력받는 설비의 작동여부 신호를 통해 작업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작업자의 공정라인 내 위치와, 이동수단의 위치, 및 설비의 작동여부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상태를 판단하는 안전판단 관리수단, 상기 안전판단 관리수단 및 안전정보 인지부와 연결되며, 안전판단 관리수단에서 판단된 신호를 전달받은 후, 작업자의 현재 위치에 따라 안전정보 신호를 안전정보 인지부로 전달하는 안전정보 전달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afety state determination unit, the facility driving zone of the process line and the movable path of the moving means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about the movable path of the worker, and the safet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worker are stored, and the operator's position is detected The operator's process line based on the worker's current position through the operator's position signal input from the unit, the moving means' position signal inputted from the moving means position detection unit, and the facility operation status signal input from the facility operation detection unit A signal determined by the safety judgment management means, the safety judgment management means and the safety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which determines the safety state of the operator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vehicle, the location of the moving means, and whether the equipment is operated. After receiving the information, it may include a safety information transmitting means for transmitting a safety information signal to the safety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according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operator.
또한, 상기 안전정보 인지부는, 상기 안전모에 구비되며, 안전상태 파악부에서 출력된 안전정보 신호를 입력받는 안전정보입력수단, 상기 안전모에 구비된 상태로 안전정보입력수단과 연결되며, 안전정보입력수단에서 입력된 안전정보 신호를 작업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소리로 출력하는 안전정보 출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afety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is provided in the helmet and connected to the safety information input means for receiving the safety information signal output from the safety state identification unit, and the safety information input means in the state provided in the safety helmet, safety information input It may include a safety information output means for outputting a sound so that the operator can recognize the safety information signal input from the means.
또한, 상기 안전판단 관리수단에 저장된 안전정보는, 공정라인의 설비 및 구역에 따른 안전수칙 정보와, 공정라인 내 위험 설비 및 구역에 대한 위치정보와, 이동수단의 작업자 접근거리 정보 및, 공정라인 내 작업자의 안전 이동경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판단 관리수단은 작업자가 이동하면서 산업현장에 위치시 공정라인 내 각 설비 및 구역에 따른 안전수칙 정보와 더불어 작업자가 안전하게 이동 가능한 안전 이동경로 정보를 안전정보 인지부로 전달하도록 안전정보 전달수단에 신호를 전달하고, 작업자가 공정라인 내 위험 설비 및 구역에 위치하거나 이동수단이 작업자에 일정거리 내 접근시 위험 정보를 안전정보 인지부로 전달하도록 안전정보 전달수단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afety information stored in the safety judgment management means includes safety rul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facilities and areas of the process line, location information on hazardous facilities and areas in the process line, information on the operator's approach distance of the moving means, and the process line It includes information on the safe movement path of my worker, and the safety judgment management means provides information on the safe movement path that the worker can safely move along with safety rule information according to each facility and area in the process line when the worker is located at the industrial site while moving. A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afety information transmission means to deliver it to the safety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and the safety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afety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when the operator is located in a hazardous facility or area in the process line or when the moving means approaches the operator within a certain distance It can transmit a signal to the means.
또한, 상기 공정라인 내 설비가 마련된 구역의 출입구에는 설비의 작동여부를 제어하는 안전플러그를 더 구비하며, 상기 안전상태 파악부는, 상기 안전모를 착용한 제1작업자의 위치 신호가 안전플러그를 통해 설비의 작동이 중지된 해당 구역 내에 위치할 경우, 설비의 작동이 중지된 해당 구역으로 안전모를 착용한 제2작업자가 접근시 제2작업자의 안전정보 인지부로 제1작업자가 있음을 인지할 수 있는 안전정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a safety plug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quipment is further provided at the entrance of the area in which the equipment is provided in the process line, and the safety state determination unit, the location signal of the first operator wearing the helmet, is installed through the safety plug Safety that can recognize the presence of the first operator through the safety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of the second operator when a second operator wearing a hard hat approaches the zone where the operation of equipment has stopped An information signal can be output.
본 발명에 따른 산업현장용 안전 관리장치는, 안전상태 파악부가 작업자 위치감지부에서 감지된 작업자의 위치 신호와, 이동수단 위치감지부에서 감지된 이동수단의 위치 신호 및, 설비 작동감지부에서 감지된 설비의 작동여부 신호를 전달받은 후, 작업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산업현장 내 작업자의 위치와, 이동수단의 위치, 및 설비의 작동여부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상태를 판단한 후, 해당되는 안전정보 신호를 출력하여 안전정보 인지부로 전달한다. 그러면, 안전모에 구비된 안전정보 인지부에서 작업자가 안전정보를 인지할 수 있도록 소리로 출력하는 바, 산업현장 내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The safety management device for an industrial si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signal of the worker detected by the safety state detection unit by the operator position detection unit, the position signal of the moving means detected by the moving means position detection unit, and the facility operation detection unit After receiving the signal whether the facility is operating or not, the worker's safety status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worker in the industrial site, the location of the transportation means, and whether the facility is operating based on the worker's current location, and then the corresponding safety information signal is printed and transmitted to the safety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Then, the safety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provided in the safety helmet outputs a sound so that the operator can recognize the safety information,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for the operator in the industrial sit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현장용 안전 관리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afety management device for an industrial si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should properly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현장용 안전 관리장치는, 작업자 위치감지부(100), 이동수단 위치감지부(200), 설비 작동감지부(300), 안전상태 파악부(400), 안전정보 인지부(500)를 구비하고 있다.1, the safety management apparatus for an industrial si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orker
상기 작업자 위치감지부(100)는 작업자의 산업현장 내 위치를 감지한 후 감지된 작업자의 위치 신호를 안전상태 파악부(400)로 전달되게 출력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작업자는 산업현장 내에서 작업하는 근로자나 관리자 뿐만 아니라, 현장을 방문하는 방문고객이나 신입사원 등과 같이 일시적 방문객을 포함할 수 있다.The worker
이러한, 상기 작업자 위치감지부(100)는 작업자의 머리에 착용된 안전모(10)에 구비된다. 여기서, 작업자 위치감지부(100)는 작업자 위치감지센서(110), 작업자 위치전달수단(120)을 포함한다. 이때, 작업자 위치감지센서(110)와 작업자 위치전달수단(120)은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모(10)에 하나의 보드 상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안전모(10)에는 작업자 위치감지센서(110)와 작업자 위치전달수단(120) 및 이후 설명될 안전정보 인지부(50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하도록 충전 배터리와 같은 전원공급수단(도면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This, the operator
상기 작업자 위치감지센서(110)는 안전모(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안전모(10)를 착용한 작업자의 산업현장(P) 내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이러한, 작업자 위치감지센서(110)는 작업자 위치전달수단(120)과 연결되어, 감지된 작업자의 위치 감지신호를 작업자 위치전달수단(120)으로 전달한다.The worker
상기 작업자 위치전달수단(120)은 작업자 위치감지센서(110)에서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은 후, 안전상태 파악부(400)의 안전판단 관리수단(410)으로 전달되도록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작업자 위치전달수단(120)은 작업자 위치감지센서(110)와 연결되도록 안전모(10)의 일측에 구비된다. 여기서, 작업자 위치전달수단(120)은 작업자 위치감지센서(110)에서 전달받은 신호를 안전판단 관리수단(410)으로 무선 신호로 전달할 수 있도록 와이파이나 적외선통신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The operator position transmitting means 120 is a means for outputting a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safety judgment management means 410 of the safety
상기 이동수단 위치감지부(200)는 산업현장(P) 내 지게차나 운반에 사용되는 각종 차량과 같은 이동수단(20)들의 위치를 감지한 후 감지된 이동수단(20)의 위치 신호를 안전상태 파악부(400)로 전달되게 출력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이동수단 위치감지부(200)는 산업현장(P) 내에서 이동되는 이동수단(20)에 구비된다. 여기서, 이동수단 위치감지부(200)는 이동수단 위치감지센서(210), 이동수단 위치전달수단(220)을 포함한다. 이때, 이동수단 위치감지센서(210)와 이동수단 위치전달수단(220)은 차량에 하나의 보드 상에 연결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동수단(20)에 마련된 배터리(도면미도시)로부터 이동수단 위치감지센서(210)와 이동수단 위치전달수단(220)으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The moving means
상기 이동수단 위치감지센서(210)는 이동수단(20)의 일측에 구비되며, 이동수단(20)의 산업현장(P) 내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이러한, 이동수단 위치감지센서(210)는 이동수단 위치전달수단(220)과 연결되어, 감지된 이동수단(20)의 위치 감지신호를 이동수단 위치전달수단(220)으로 전달한다.The moving means
상기 이동수단 위치전달수단(220)은 이동수단 위치감지센서(210)에서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은 후, 안전상태 파악부(400)의 안전판단 관리수단(410)으로 전달되도록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이동수단 위치전달수단(220)은 이동수단 위치감지센서(210)와 연결되도록 이동수단(20)의 일측에 구비된다. 여기서, 이동수단 위치전달수단(220)은 이동수단 위치감지센서(210)에서 전달받은 신호를 안전판단 관리수단(410)으로 무선 신호로 전달할 수 있도록 와이파이나 적외선통신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The moving means position transmitting means 220 is a means for outputting a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safety judgment management means 410 of the safety
상기 이동수단 위치감지부(200)는 산업현장(P) 내 지게차나 운반에 사용되는 각종 이동수단(20)들의 위치를 감지한 후 감지된 이동수단(20)의 위치 신호를 안전상태 파악부(400)로 전달되게 출력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이동수단 위치감지부(200)는 산업현장(P) 내에서 이동되는 이동수단(20)에 구비된다. 여기서, 이동수단 위치감지부(200)는 이동수단 위치감지센서(210), 이동수단 위치전달수단(220)을 포함한다. 이때, 이동수단 위치감지센서(210)와 이동수단 위치전달수단(220)은 차량에 하나의 보드 상에 연결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동수단(20)에 마련된 배터리(도면미도시)로부터 이동수단 위치감지센서(210)와 이동수단 위치전달수단(220)으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The moving means
상기 이동수단 위치감지센서(210)는 이동수단(20)의 일측에 구비되며, 이동수단(20)의 산업현장(P) 내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이러한, 이동수단 위치감지센서(210)는 이동수단 위치전달수단(220)과 연결되어, 감지된 이동수단(20)의 위치 감지신호를 이동수단 위치전달수단(220)으로 전달한다.The moving means
상기 이동수단 위치전달수단(220)은 이동수단 위치감지센서(210)에서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은 후, 안전상태 파악부(400)의 안전판단 관리수단(410)으로 전달되도록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이동수단 위치전달수단(220)은 이동수단 위치감지센서(210)와 연결되도록 이동수단(20)의 일측에 구비된다. 여기서, 이동수단 위치전달수단(220)은 이동수단 위치감지센서(210)에서 전달받은 신호를 안전판단 관리수단(410)으로 무선 신호로 전달할 수 있도록 와이파이나 적외선통신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The moving means position transmitting means 220 is a means for outputting a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safety judgment management means 410 of the safety
상기 설비 작동감지부(300)는 산업현장(P) 내 공정라인의 설비(30)들의 동작여부를 감지한 후 감지된 설비(30)의 동작여부 신호를 안전상태 파악부(400)로 전달되게 출력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설비 작동감지부(300)는 산업현장(P) 내 공정라인에 마련된 설비(30)에 구비된다. 여기서, 설비 작동감지부(300)는 설비 구동감지센서(310), 설비 구동전달수단(320)을 포함한다. 이때, 설비 작동감지센서(310)와 설비 구동전달수단(320)은 설비(30)에 하나의 보드 상에 연결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설비(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라인(도면미도시)로부터 설비 구동감지센서(310)와 설비 구동전달수단(320)으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The facility
상기 설비 구동감지센서(310)는 설비(30)의 일측에 연결 구비되며, 설비(30)의 공정라인 상에서 작동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이러한, 설비 구동감지센서(310)는 설비 구동전달수단(320)과 연결되어, 감지된 설비(30)의 동작 감지신호를 설비 구동전달수단(320)으로 전달한다. 이때, 설비 구동감지센서(310)는 설비(30)의 움직임을 통해 설비(30)의 동작을 감지하거나, 설비(30)의 제어라인(도면미도시)과 연결되어 설비(30)의 제어라인을 통해 설비(30)의 구동신호가 입력시 이를 감지하여 동작상태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The facility driving
상기 설비 구동전달수단(320)은 설비 구동감지센서(310)에서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은 후, 안전상태 파악부(400)의 안전판단 관리수단(410)으로 전달되도록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설비 구동전달수단(320)은 설비 구동감지센서(310)와 연결되도록 설비(30)의 일측에 구비된다. 여기서, 설비 구동전달수단(320)은 설비 구동감지센서(310)에서 전달받은 신호를 안전판단 관리수단(410)으로 무선 신호로 전달할 수 있도록 와이파이나 적외선통신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The facility drive transmission means 320 is a means for receiving a signal detected by the facility
상기 안전상태 파악부(400)는 작업자 위치감지부(100)에서 감지된 작업자의 위치 신호와, 이동수단 위치감지부(200)에서 감지된 이동수단(20)의 위치 신호 및, 설비 작동감지부(300)에서 감지된 설비(30)의 작동여부 신호를 전달받은 후, 안전모(10)를 착용한 작업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공정라인 내 작업자의 위치와, 이동수단(20)의 위치, 및 설비(30)의 작동여부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상태를 판단한 후, 해당되는 안전정보 신호를 출력하여 이후 설명될 안전정보 인지부(500)로 전달한다. 이러한, 안전상태 파악부(400)는 작업자 위치감지부(100)의 작업자 위치전달수단(120)과, 이동수단 위치감지부(200)의 이동수단 위치전달수단(220)과, 설비 작동감지부(300)의 설비 구동전달수단(320) 및 안전정보 인지부(500)의 안전정보 입력수단(510)과 연결된다. 여기서, 안전상태 파악부(400)는 안전판단 관리수단(410), 안전정보 전달수단(420)를 포함한다.The safety
먼저, 상기 안전판단 관리수단(410)에는 공정라인 내 설비(30)의 작동을 통해 공정이 이루어지는 구동구역과, 이동수단(20)의 산업현장(P) 내 이동이 가능한 이동 가능경로 및, 작업자의 산업현장(P) 내 이동이 가능한 이동 가능경로에 대한 위치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안전판단 관리수단(410)에는 작업자의 위치에 따라 해당되는 안전정보가 저장되는데, 이러한, 안전정보는 공정라인의 설비(30) 및 설비(30)의 작동구역에 따른 안전수칙 정보와, 공정라인 내 위험 설비(20) 및 위험 설비(30)의 작동 구역에 대한 위치정보와, 이동수단(20)과 작업자의 안전거리 정보 및, 공정라인 내 작업자의 안전 이동경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the safety judgment management means 410 includes a driving zone in which the process is perform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이러한, 상기 안전판단 관리수단(410)은 작업자 위치감지부(100)의 작업자 위치전달수단(110)으로부터 입력받는 안전모(10)를 착용한 작업자의 산업현장(P) 내 위치 신호와, 이동수단 위치감지부(200)의 이동수단 위치전달수단(220)으로부터 입력받는 이동수단(20)의 산업현장(P) 내 위치 신호 및, 설비 작동감지부(300)의 설비 구동전달수단(320)으로부터 입력받는 설비(30)의 공정라인 내 작동여부 신호를 통해 작업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작업자의 공정라인 내 위치와, 이동수단(20)의 위치, 및 설비(30)의 작동여부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상태를 판단한다.Such, the safety judgment management means 410 is a position signal in the industrial site (P) of the worker wearing the
이때, 상기 안전판단 관리수단(410)은 작업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작업자가 이동하면서 산업현장(P)에 위치시 공정라인 내 각 설비(20) 및 설비(20)가 작동하는 구역에 따른 안전수칙 정보와 더불어 작업자가 안전하게 이동 가능한 안전 이동경로 정보를 안전정보 인지부(500)로 전달하도록 안전정보 전달수단(420)에 신호를 전달하고, 작업자가 공정라인 내 위험 설비(20) 및 위험 설비(20)가 구비된 구역에 위치하거나 이동수단(20)이 작업자에 일정거리 내 접근시 위험 정보를 안전정보 인지부(500)로 전달하도록 안전정보 전달수단(420)에 신호를 전달한다.At this time, the safety judgment management means 410 is located in the industrial site (P) while moving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worker, each
상기 안전정보 전달수단(420)은 안전판단 관리수단(410)에서 판단된 출력 신호를 전달받은 후, 작업자의 현재 위치에 따른 안전정보 신호를 안전정보 인지부(400)의 안전정보 입력수단(410)으로 전달한다. 이러한, 안전정보 전달수단(420)은 안전판단 관리수단(410) 및 안전정보 인지부(500)의 안정정보 입력수단(410)과 연결되는데, 이때, 안정정보 전달수단(420)은 안전판단 관린수단(410)에서 전달받은 판단 신호를 안전정보 입력수단(510)으로 무선 신호로 전달할 수 있도록 와이파이나 적외선통신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The safety information transmitting means 420 receives the output signal determined by the safety judgment management means 410, and then transmits the safety inform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operator to the safety information input means 410 of the safety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400. ) to pass This, the safety information transmitting means 420 is connected to the safety information input means 410 of the safety judgment management means 410 and the safety
상기 안전정보 인지부(500)는 안전상태 파악부(400)의 안전정보 전달수단(420)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전달받아 안전모(10)를 착용한 작업자에게 안전정보 신호를 전달한 후, 안전정보를 작업자가 인지할 수 있게 출력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안전정보 인지부(500)는 안전모(10)에 구비되며, 앞서 설명한 안전모(10)에 마련된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게 된다. 여기서, 안전정보 인지부(500)는 안전정보 입력수단(510), 안전정보 출력수단(520)을 포함한다.The safety
상기 안전정보 입력수단(510)은 안전상태 파악부(400)의 안전정보 전달수단(420)에서 출력된 안전정보 신호를 입력받은 후, 안전정보 출력수단(520)으로 전달한다. 이러한, 안전정보 입력수단(510)은 안전모(510)에 구비된 상태로 안정정보 출력수단(520)과 연결되게 배치한다.The safety information input means 510 receives the safety information signal output from the safety information transmission means 420 of the
상기 안전정보 출력수단(520)은 안전정보 입력수단(510)에서 입력된 안전정보 신호를 안전모(510)를 착용한 작업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소리로 출력되게 한다. 이러한, 안전정보 출력수단(520)은 안전모(10)에 구비된 상태로 안전정보 입력수단(510)과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안전정보 출력수단(520)은 안정정보 신호를 소리로 출력하는 스피커로 적용될 수 있다.The safety information output means 520 outputs the safety information signal input from the safety information input means 510 as a sound so that the worker wearing the
이같이, 일 실시예의 산업현장용 안전 관리장치에 사용되는 안전모(10)에는 작업자에 의한 안전모(10)의 착용여부를 안전상태 파악부(400)에서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착용감지부(60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착용감지부(600)는 안전모(10)의 턱끈에 구비되는 버클(도면미도시)에 구비되어 버클의 착탈상태를 감지하면서 안전모(10)의 착용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착용감지부(600)에서 버클의 결합을 통해 안전모(10)가 작업자에게 안정적으로 착용된 상태로 감지할 경우, 감지된 신호는 안전상태 파악부(400)로 전달되고, 이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작업자 위치감지부(100)와 이동수단 위치감지부(200) 및 설비 작동감지부(300)에서 출력된 신호에 의한 안전정보를 안전정보 인지부(500)로 전달되게 하는 동작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때, 착용감지부(600)는 버클의 착탈상태를 압력에 의해 감지하는 압력센서일 수 있다.In this way, the
또한, 일 실시예의 산업현장용 안전 관리장치는, 공정라인 내 설비(30)가 마련된 구역의 각 출입구에 설비(30)의 작동여부를 작업자가 수동으로 제어하는 안전플러그(40)를 착탈 가능하게 구비할 수 있다. 이렇게, 안전 플러그(40)가 구비된 경우, 안전상태 파악부(400)의 안전판단 관리수단(410)은 안전 플러그(40)의 착탈여부에 따른 설비(30)의 구동상태 신호를 전달받으며, 안전모(10)를 착용한 제1작업자의 위치 신호가 안전 플러그(40)를 통해 설비(30)의 작동이 중지된 해당 구역 내에 위치할 경우, 설비(30)의 작동이 중지된 해당 구역으로 안전모(10)를 착용한 제2작업자가 접근시 제2작업자의 안전정보 인지부(500)의 안전정보 입력수단(510)으로 제1작업자가 있음을 인지할 수 있는 안전정보 신호를 전달하여 안전정보 출력수단(520)에서 출력하면서 제2작업자가 알 수 있게 한다. 이같이, 안전상태 파악부(400)의 안전판단 관리수단(410)에서 안전 플러그(40)의 착탈여부에 따라 공정라인의 설비(30) 중지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다른 작업자가 공정라인 내에 작업자가 있음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지 않고도 인지할 수 있게 하는 바, 다른 작업자가 혹시나 다시 안전 플러그(40)를 꽂으면서 설비(30)의 작동으로 인한 공정라인 내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되게 한다.In addition,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for an industrial site of an embodiment is detachably provided with a
이와 같이 구성된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현장용 안전 관리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operation process of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for an industrial si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산업현장(P) 내 작업자가 안전모(10)를 착용한 후, 산업현장(P) 내에서 이동하게 되면 작업자 위치감지부(100)의 작업자 위치감지센서(110)에서 위치를 감지한 후, 작업자 위치전달수단(120)을 통해 안전상태 파악부(400)로 전달된다.First, after the worker in the industrial site (P) wears the
그리고, 산업현장(P) 내 이동수단(20)의 위치는 이동수단 위치감지센서(210)에서 감지한 후, 이동수단 위치전달수단(220)을 통해 안전상태 파악부(400)로 전달된다.And, the position of the moving means 20 in the industrial site (P) is detected by the moving means
또한, 산업현장(P)의 공정라인 내 설비(30)의 동작 여부는 설비 작동감지부(300)의 설비 구동감지센서(310)에서 감지한 후, 설비 구동전달수단(320)을 통해 안전상태 파악부(400)로 전달된다.In addition, whether the operation of the
이렇게, 상기 안전상태 파악부(400)로 작업자 위치감지부(100)에서 감지된 작업자의 위치 신호와, 이동수단 위치감지부(200)에서 감지된 이동수단의 위치 신호 및, 설비 작동감지부(300)에서 감지된 설비의 작동여부 신호를 전달받은 후, 작업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산업현장(P) 내 작업자의 위치와, 이동수단의 위치, 및 설비의 작동여부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상태를 판단한 후, 해당되는 안전정보 신호를 출력한다.In this way, the position signal of the operator detected by the operator
예컨대, 상기 안전상태 파악부(400)의 안전판단 관리수단(410)은 작업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작업자가 이동하면서 산업현장(P)에 위치시 공정라인 내 각 설비(20) 및 설비(20)가 작동하는 구역에 따른 안전수칙 정보와 더불어 작업자가 안전하게 이동 가능한 안전 이동경로 정보를 안전정보 인지부(500)로 전달하도록 안전정보 전달수단(420)에 신호를 전달하고, 작업자가 공정라인 내 위험 설비(20) 및 위험 설비(20)가 구비된 구역에 위치하거나 이동수단(20)이 작업자에 일정거리 내 접근시 위험 정보를 안전정보 인지부(500)로 전달하도록 안전정보 전달수단(420)에 신호를 전달한다. 그리고, 안전정보 인지부(500)에서 안전정보 전달수단(420)으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소리로 출력하면서 작업자가 인지할 수 있게 한다.For example, the safety judgment management means 410 of the safety
일 실시예로, 상기 안전상태 파악부(400)는 작업자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설비(20)의 공정라인마다 주의 사항이나 위험사항을 미리 안내할 수 있도록 안전정보 인지부(500)로 해당 안전정보 신호를 전달하며, 이동수단(20)의 이동시에는 작업자가 이동수단(20)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하지 않고 보행자 통로를 통해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게 보행자 경로를 안내할 수 있도록 안전정보 인지부(500)로 안전정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afety
또한, 상기 안전판단 관리수단(410)은 안전 플러그(40)의 착탈여부에 따른 설비(30)의 구동상태 신호도 전달받을 수 있는데, 이때 안전모(10)를 착용한 제1작업자의 위치 신호가 안전 플러그(40)를 통해 설비(30)의 작동이 중지된 해당 구역 내에 위치할 경우, 설비(30)의 작동이 중지된 해당 구역으로 안전모(10)를 착용한 제2작업자가 접근시 제2작업자의 안전정보 인지부(500)의 안전정보 입력수단(510)으로 제1작업자가 있음을 인지할 수 있는 안전정보 신호를 전달하여 안전정보 출력수단(520)에서 출력하면서 제2작업자가 알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safety judgment management means 410 may also receive a driving state signal of the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현장용 안전 관리장치는, 안전상태 파악부(400)가 작업자 위치감지부(100)에서 감지된 작업자의 위치 신호와, 이동수단 위치감지부(200)에서 감지된 이동수단(20)의 위치 신호 및, 설비 작동감지부(300)에서 감지된 설비(30)의 작동여부 신호를 전달받은 후, 작업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산업현장(P) 내 작업자의 위치와, 이동수단(20)의 위치, 및 설비(30)의 작동여부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상태를 판단한 후, 해당되는 안전정보 신호를 출력하여 안전정보 인지부(500)로 전달한다. 그러면, 안전모(10)에 구비된 안전정보 인지부(500)에서 작업자가 안전정보를 인지할 수 있도록 소리로 출력하는 바, 산업현장 내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As such, in the industrial site safety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afety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which is only exemplar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작업자 위치감지부 110: 작업자 위치감지센서
120: 작업자 위치전달수단 200: 이동수단 위치감지부
210: 이동수단 위치감지센서 220: 이동수단 위치전달수단
300: 설비 작동감지부 310: 설비 구동감지센서
320: 설비 구동전달수단 400: 안전상태 파악부
410: 안전판단 관리수단 420: 안전정보 전달수단
500: 안전정보 인지부 510: 안전정보 입력수단
520: 안전정보 출력수단 600: 착용감지부100: operator position detection unit 110: operator position detection sensor
120: operator position transmitting means 200: moving means position sensing unit
210: moving means position sensor 220: moving means position transmitting means
300: facility operation detection unit 310: facility operation detection sensor
320: equipment drive transmission means 400: safety state identification unit
410: safety judgment management means 420: safety information transmission means
500: safety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510: safety information input means
520: safety information output means 600: fit part
Claims (8)
상기 산업현장 내 차량과 동일한 이동수단에 구비되며, 이동수단의 산업현장 내 위치를 감지한 후 신호를 출력하는 이동수단 위치감지부;
상기 산업현장 내 공정라인의 설비에 구비되며, 각 공정라인 내 설비의 동작여부를 감지한 후 신호를 출력하는 설비 작동감지부;
상기 작업자 위치감지부에서 감지된 작업자의 위치 신호와, 이동수단 위치감지부에서 감지된 이동수단의 위치 신호 및, 설비 작동감지부에서 감지된 설비의 작동여부 신호를 전달받은 후, 작업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산업현장 내 작업자의 위치와, 이동수단의 위치, 및 설비의 작동여부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상태를 판단한 후, 해당되는 안전정보 신호를 출력하는 안전상태 파악부;
상기 안전모에 구비되며, 안전상태 파악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전달받아 안전모를 착용한 작업자에게 안전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출력하는 안전정보 인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상태 파악부는, 상기 공정라인의 설비 구동구역과 이동수단의 이동 가능경로 및 작업자의 이동 가능경로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작업자의 위치에 따라 해당되는 안전정보가 저장되며, 작업자 위치감지부로부터 입력받는 작업자의 위치 신호와, 이동수단 위치감지부로부터 입력받는 이동수단의 위치 신호 및, 설비 작동감지부로부터 입력받는 설비의 작동여부 신호를 통해 작업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작업자의 공정라인 내 위치와, 이동수단의 위치, 및 설비의 작동여부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상태를 판단하는 안전판단 관리수단, 상기 안전판단 관리수단 및 안전정보 인지부와 연결되며, 안전판단 관리수단에서 판단된 신호를 전달받은 후, 작업자의 현재 위치에 따라 안전정보 신호를 안전정보 인지부로 전달하는 안전정보 전달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안전판단 관리수단에 저장된 안전정보는, 공정라인의 설비 및 구역에 따른 안전수칙 정보와, 공정라인 내 위험 설비 및 구역에 대한 위치정보와, 이동수단의 작업자 접근거리 정보 및, 공정라인 내 작업자의 안전 이동경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판단 관리수단은 작업자가 이동하면서 산업현장에 위치시 공정라인 내 각 설비 및 구역에 따른 안전수칙 정보와 더불어 작업자가 안전하게 이동 가능한 안전 이동경로 정보를 안전정보 인지부로 전달하도록 안전정보 전달수단에 신호를 전달하고, 작업자가 공정라인 내 위험 설비 및 구역에 위치하거나 이동수단이 작업자에 일정거리 내 접근시 위험 정보를 안전정보 인지부로 전달하도록 안전정보 전달수단에 신호를 전달하는 산업현장용 안전 관리장치.A worker position detecting unit provided on a safety helmet worn by the worker, and outputting a signal after detecting the location of the worker in the industrial site;
a moving means position detecting unit provided in the same moving means as the vehicle in the industrial site, and outputting a signal afte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moving means in the industrial site;
a facility operation detection unit provided in the facility of the process line in the industrial site, and outputting a signal after detecting whether the facility in each process line is operating;
After receiving the position signal of the operator detected by the operator position detection unit, the position signal of the movement means detected by the movement means position detection unit, and the operation status signal of the facility detected by the facility operation detection unit, the operator's current position a safety state identification unit for outputting a corresponding safety information signal after judging the safety state of the operator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operator in the industrial site, the position of the moving means, and whether the equipment is operated on the basis of ;
A safety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provided in the helmet, receiving a signal output from the safety state identification unit, and outputting the safety information so that the worker wearing the helmet can recognize the safety information;
The safety state determination unit stores location information on the facility driving zone of the process line and the movable path of the moving means and the movable path of the worker, and safet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worker, from the worker position sensing unit. The position of the operator in the process line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worker through the input of the worker's position signal, the moving means' position signal input from the moving means' position detecting unit, and the facility's operation status signal received from the facility operation detecting unit And, the safety judgment management means for judging the safety state of the operator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moving means and whether the equipment is operating, is connected to the safety judgment management means and the safety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and transmits the signal determined by the safety judgment management means After receiving, it includes a safety information transmitting means for transmitting a safety information signal to the safety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according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operator,
The safety information stored in the safety judgment management means includes safety rule information according to facilities and areas of the process line, location information on hazardous facilities and areas in the process line, information on the access distance of workers of the moving means, and workers in the process line including safe movement route information of
The safety judgment management means to the safety information delivery means so that when the operator is located in the industrial field while moving, information on the safety rules for each facility and area in the process line and the information on the safe movement route that the operator can move safely along with the safety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are delivered to the safety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A safety management device for industrial sites that transmits a signal and transmits a signal to the safety information transmission means to deliver the danger information to the safety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when the operator is located in a hazardous facility and area within the process line or when the moving means approaches the operator within a certain distance .
상기 작업자 위치감지부는,
상기 안전모에 구비되며, 안전모를 착용한 작업자의 산업현장 내 위치를 감지하는 작업자 위치감지센서,
상기 작업자 위치감지센서와 연결되도록 안전모에 구비되며, 작업자 위치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안전상태 파악부로 전달하는 작업자 위치전달수단을 포함하는 산업현장용 안전 관리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perator position sensing unit,
A worker position detection sensor provided in the helmet, which detects the position of the worker wearing the helmet in the industrial site,
A safety management device for industrial sites that is provided in a safety helmet to be connected to the worker position detection sensor, and includes a worker position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a signal detected by the operator position detection sensor to a safety state detection unit.
상기 이동수단 위치감지부는,
상기 이동수단에 구비되며, 이동수단의 산업현장 내 위치를 감지하는 이동수단 위치감지센서,
상기 이동수단 위치감지센서와 연결되도록 이동수단에 구비되며, 이동수단 위치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안전상태 파악부로 전달하는 이동수단 위치전달수단을 포함하는 산업현장용 안전 관리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ving means position sensing unit,
A moving means position detection sensor provided in the moving means and detecting the location of the moving means in the industrial site;
A safety management device for an industrial site comprising a moving means position transmitting means provided in the moving means to be connected to the moving means position detecting sensor, and transmitting a signal detected by the moving means position detecting sensor to a safety state detection unit.
상기 설비 작동감지부는,
상기 설비에 구비되며, 설비의 구동여부를 감지하는 설비 구동감지센서,
상기 설비 구동감지센서와 연결되도록 설비에 구비되며, 설비 구동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안전상태 파악부로 전달하는 설비 구동전달수단을 포함하는 산업현장용 안전 관리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acility operation detection unit,
A facility drive detection sensor that is provided in the facility and detects whether the facility is driven;
A safety management device for an industrial site, which is provided in the facility to be connected to the facility drive detection sensor and includes a facility drive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a signal detected by the facility drive detection sensor to a safety state detection unit.
상기 안전정보 인지부는,
상기 안전모에 구비되며, 안전상태 파악부에서 출력된 안전정보 신호를 입력받는 안전정보입력수단,
상기 안전모에 구비된 상태로 안전정보입력수단과 연결되며, 안전정보입력수단에서 입력된 안전정보 신호를 작업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소리로 출력하는 안전정보 출력수단을 포함하는 산업현장용 안전 관리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afety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Safety information input means provided in the helmet and receiving the safety information signal output from the safety state detection unit;
Safety management device for an industrial site including a safety information output means connected to the safety information input means in a state provided in the helmet, and outputting a sound so that the operator can recognize the safety information signal input from the safety information input means.
상기 공정라인 내 설비가 마련된 구역의 출입구에는 설비의 작동여부를 제어하는 안전플러그를 더 구비하며,
상기 안전상태 파악부는, 상기 안전모를 착용한 제1작업자의 위치 신호가 안전플러그를 통해 설비의 작동이 중지된 해당 구역 내에 위치할 경우, 설비의 작동이 중지된 해당 구역으로 안전모를 착용한 제2작업자가 접근시 제2작업자의 안전정보 인지부로 제1작업자가 있음을 인지할 수 있는 안전정보 신호를 출력하는 산업현장용 안전 관리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afety plug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quipment is further provided at the entrance of the area where the equipment is provided in the process line,
The safety state determination unit, when the location signal of the first worker wearing the helmet is located in the zone where the operation of the facility is stopped through the safety plug, the second worker wearing the helmet to the zone where the operation of the facility is stopped A safety management device for industrial sites that outputs a safety information signal that can recognize the presence of the first operator to the safety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of the second operator when the operator approach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46280A KR102442122B1 (en) | 2022-04-14 | 2022-04-14 | Safety management device for industrial sit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46280A KR102442122B1 (en) | 2022-04-14 | 2022-04-14 | Safety management device for industrial sit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42122B1 true KR102442122B1 (en) | 2022-09-14 |
Family
ID=83279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46280A Active KR102442122B1 (en) | 2022-04-14 | 2022-04-14 | Safety management device for industrial sit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42122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96977A (en) * | 2011-02-24 | 2012-09-03 | (주)바소콤 | System for safety management of worker |
KR20170115937A (en) * | 2016-04-08 | 2017-10-18 | 진종곤 | Construction safety System |
KR102052628B1 (en) * | 2018-05-28 | 2019-12-05 | 주식회사 윈정보기술 | IoT-based data processing system for predicting failur of shipyard equipment |
KR102072380B1 (en) * | 2018-09-12 | 2020-02-03 | 주식회사 영신 | Inteligent safty remote management system for heavy equipment using UWB based proximity warning module |
-
2022
- 2022-04-14 KR KR1020220046280A patent/KR10244212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96977A (en) * | 2011-02-24 | 2012-09-03 | (주)바소콤 | System for safety management of worker |
KR20170115937A (en) * | 2016-04-08 | 2017-10-18 | 진종곤 | Construction safety System |
KR102052628B1 (en) * | 2018-05-28 | 2019-12-05 | 주식회사 윈정보기술 | IoT-based data processing system for predicting failur of shipyard equipment |
KR102072380B1 (en) * | 2018-09-12 | 2020-02-03 | 주식회사 영신 | Inteligent safty remote management system for heavy equipment using UWB based proximity warning modu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30153335A1 (en) | Protecting device for a user of an aerial lift and aerial lift comprising such a device | |
US6202797B1 (en) | Automatic protection of elevator mechanics | |
US5796341A (en) | Safety and security system for work area | |
US5666010A (en) | Safety system for machine tools | |
US7863848B2 (en) | Industrial robot system | |
US6963278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safety within a work zone | |
KR100779727B1 (en) | Workplace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RFCID | |
KR101587591B1 (en) | Mines integrated central management system | |
EP3483105A1 (en) | Restricted access area safety system | |
KR20210133071A (en) | Smart safety costum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
KR101995631B1 (en) | Wearable equipment with safety helmet for personnel management and safety management functions | |
JP6077803B2 (en) | Safety equipment for work machines | |
KR102154836B1 (en) | Work safety apparatus interlock with saftey ring | |
KR20170055370A (en) | Security System by distance using Active RFID | |
ITFI20100105A1 (en) | INTEGRATED AND MODULAR ACTIVE SECURITY SYSTEM BASED ON RFID ACTIVE DOUBLE-FREQUENCY DEVICES. | |
KR20150049650A (en) | Forklift truck alram and stop control system by measuring distance of obstacle | |
KR101858995B1 (en) | Safety accident prevention system | |
KR102442122B1 (en) | Safety management device for industrial sites | |
KR20210000451A (en) | Safety management system with coupling checking sensor of safety hooks for high-place working | |
US20050128077A1 (en) | Device and process for entering or leaving an area in a controlled manner | |
KR20220165203A (en) | Equipment and system for operator safety management of heavy equipment | |
KR20160077808A (en) | Apparatus for controlling overhead traveller crane and method thereof | |
KR101487752B1 (en) | Lift safety control system using safety helmet with vibration sens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899289B1 (en) | Remote control system for coil transfer trucks | |
KR100863459B1 (en) | Tunnel Safety Management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