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25692B1 -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headend system for broadcasting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headend system for broadcas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5692B1
KR102425692B1 KR1020180123837A KR20180123837A KR102425692B1 KR 102425692 B1 KR102425692 B1 KR 102425692B1 KR 1020180123837 A KR1020180123837 A KR 1020180123837A KR 20180123837 A KR20180123837 A KR 20180123837A KR 102425692 B1 KR102425692 B1 KR 102425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switch
sub
main device
broadcas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38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58287A (en
Inventor
배병준
조용성
김흥묵
김나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90058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82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692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server load, available bandwidth, upstream requests
    • H04N21/2405Monitoring of the internal components or processes of the server, e.g. server 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12Arrangements for observation, testing or troubleshoo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1Wireless systems
    • H04H20/72Wireless systems of terrestri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lor Television Systems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용 헤드엔드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장치를 포함하는 주(Primary) 시스템 및 적어도 하나의 제2장치를 포함하는 부(secondary) 시스템을 포함하는 방송용 헤드엔드 시스템을 제어하는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장치와 연결된 스위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분석하는 단계; 상기 신호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장치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비정상으로 동작하는 제1 장치와 연결된 스위치로 절환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스위치로 하여금 제1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장치로의 스위칭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method for controlling a headend system for broadcas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imary system including at least one first device and a secondary system including at least one second device A control method performed by a device for controlling a headend system for broadcasting, the control method comprising: monitoring and analyzing a signal received through a switch connected to the first device; determin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first device according to the signal analysis result; and transmitting a switching control signal to a switch connected to the abnormally operating first device to cause the switch to perform switching from the first device to the second device.

Figure R1020180123837
Figure R1020180123837

Description

방송용 헤드엔드 시스템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HEADEND SYSTEM FOR BROADCAST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HEADEND SYSTEM FOR BROADCASTING

본 발명은 방송용 헤드엔드 시스템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UHD TV방송용 헤드엔드 시스템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headend system for broadcast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headend system for UHD TV broadcasting.

최근 지상파 북미의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3.0 표준 기술을 기반으로 UHD TV 방송의 상용서비스가 개시되었다. ATSC 3.0 표준은 현존하는 지상파 DTV와는 달리, 방송 프로그램의 전송(Transport)을 위해서 MPEG-2 TS(Transport Stream)를 사용하지 않고 IP 기술과 MMT(MPEG media transport), ROUTE 등 다양한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표준에서는 이러한 기술들을 각각이 개별적으로 어느 정도의 독립성을 가질 수 있도록 레이어 별로 분리하여 구성하고 있다. 즉, 표준에 포함되어 있는 하나의 기술이 업데이트되더라도 다른 기술들은 그대로 사용 가능하고 업데이트된 기술만 수정할 수 있어 매우 효율적인 시스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Recently, commercial service of UHD TV broadcasting has been started based on terrestrial North America's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ATSC) 3.0 standard technology. Unlike the existing terrestrial DTV, the ATSC 3.0 standard does not use MPEG-2 TS (Transport Stream) for broadcast program transport, but uses various technologies such as IP technology, MMT (MPEG media transport), and ROUTE. . In addition, in the standard, these technologies are configured separately for each layer so that each can have a certain degree of independence. That is, even if one technology included in the standard is updated, other technologies can be used as they are, and only the updated technology can be modified, which is a very efficient system configuration.

방송사에서는 이러한 표준 기술들을 바탕으로, 인코더, 시그널링 서버, 다중화기 등 헤드엔드 시스템을 구성하여 상용서비스를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방송사에서 상용서비스를 위한 헤드엔드 시스템을 구성할 때에는 일부 방송 장비가 동작하지 않아 방송이 중단죄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서 동일한 헤드엔드 시스템을 1세트 더 구성하여 운영한다. 이 경우, 메인으로 구성한 헤드엔드 시스템을 주 시스템이라 하고 대비를 위한 헤드엔드 시스템을 부 시스템이라고 한다.Broadcasters provide commercial services by configuring head-end systems such as encoders, signaling servers, and multiplexers based on these standard technologies. In general, when a broadcaster configures a headend system for a commercial service, one more set of the same headend system is configured and operated in order to prepare for a case in which broadcasting is interrupted because some broadcasting equipment does not operate. In this case, the head-end system composed of the main is called the main system, and the head-end system for preparation is called the sub-system.

이러한 주/부 시스템의 구성은 주 신호에서 문제가 발생하여 부 신호로 바뀌었을 때, 수신기에서는 내용만 동일할 뿐 완전히 별개의 프로그램이 처음부터 다시 들어온다고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수신기에서 오동작의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정상 동작한다 하더라도 정상 동작할 때까지는 상당량의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In this configuration of the main/sub system, when a problem occurs in the main signal and it is changed to a sub signal, the receiver recognizes that a completely separate program is entered again from the beginning with the same content only.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ossibility of a malfunction in the receiver is very high, and even if it operates normally, it takes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until the receiver operates normally.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송용 헤드엔드 시스템을 제어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headend system for broadcasting.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송용 헤드엔드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method for controlling a headend system for broadcastin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용 헤드엔드 시스템 제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포함하는 주(Primary) 시스템 및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포함하는 부(secondary) 시스템을 포함하는 방송용 헤드엔드 시스템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headend system for broadcas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imary system including at least one device and a secondary system including at least one device for broadcasting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headend system, comprising a processor, a memory for storing at least one instruction to be executed through the processor, and at least one switch.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는 주 시스템의 제1 장치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만큼 배치되는 스위치로서, 각 스위치는 대응하는 제1 장치 및 상기 제1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부 시스템의 제2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The at least one switch is arrang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first devices in the main system, and each switch may be connected to a corresponding first device and a second device of the sub-system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vice. .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1 장치와 연결된 스위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분석하도록 하는 명령; 상기 신호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장치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도록 하는 명령; 비정상으로 동작하는 제1 장치와 연결된 스위치로 절환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t least one instruction may include: instructions for causing the processor to monitor and analyze a signal received through a switch connected to the first device; a command to determine the operating state of the first device according to the signal analysis result; It may include a command to transmit a changeover control signal to a switch connected to the first device operating abnormally.

상기 스위치는,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절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장치로의 스위칭을 수행할 수 있다. The switch may receive a switch control signal from the processor to perform switching from the first device to the second device.

상기 주 시스템의 제1 장치 및 상기 부 시스템의 제2 장치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first device of the main system and the second device of the sub system may perform the same function.

상기 방송용 헤드엔드 시스템은 UHD(Ultra High Definition) 방송용 헤드엔드 시스템이고, 각 레이어가 독립적으로 구분되는 프로토콜 스택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The headend system for broadcasting is a headend system for Ultra High Definition (UHD) broadcasting, and may operate according to a protocol stack in which each layer is divided independently.

상기 주 시스템의 제1 장치 및 상기 부 시스템의 제2 장치는 동기화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데, 여기서 동기화 정보는 각 장치의 시간 정보 및 패킷 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device of the main system and the second device of the sub system may exchange synchronization information, wherein the synchroniz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ime information and packet capacity of each device.

상기 스위치는, 상기 주 시스템 내에서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흐름 상 연속하여 배치되는 두 개의 제1 장치 및 상기 부 시스템 내에서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흐름 상 연속하여 배치되는 두 개의 제2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The switch includes two first devices sequentially arranged in a flow for sequentially processing broadcast signals in the main system and two second devices sequentially arranged in a flow for sequentially processing broadcast signals in the sub-system. It can be connected to the device.

상기 제1 장치 또는 상기 제2 장치는, 방송용 인코더, 다중화기, 게이트웨이, 시그널링 서버, ESG(Electronic Service Guide) 서버, 스크램블러, 및 모듈레이터 중 하나일 수 있다. The first device or the second device may be one of a broadcast encoder, a multiplexer, a gateway, a signaling server, an Electronic Service Guide (ESG) server, a scrambler, and a modulator.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용 헤드엔드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장치를 포함하는 주(Primary) 시스템 및 적어도 하나의 제2장치를 포함하는 부(secondary) 시스템을 포함하는 방송용 헤드엔드 시스템을 제어하는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장치와 연결된 스위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분석하는 단계; 상기 신호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장치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비정상으로 동작하는 제1 장치와 연결된 스위치로 절환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스위치로 하여금 제1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장치로의 스위칭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method for controlling a headend system for broadcas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ther object is a primary system including at least one first device and a unit including at least one second device. A control method performed by a device for controlling a headend system for broadcasting including a (secondary) system, the control method comprising: monitoring and analyzing a signal received through a switch connected to the first device; determin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first device according to the signal analysis result; and transmitting a switching control signal to a switch connected to the abnormally operating first device to cause the switch to perform switching from the first device to the second device.

상기 스위치는 상기 주 시스템의 제1 장치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만큼 배치되고, 각 스위치는 대응하는 제1 장치 및 상기 제1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부 시스템의 제2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The number of switches may be arrang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first devices in the main system, and each switch may be connected to a corresponding first device and a second device of the sub-system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vice.

상기 주 시스템의 제1 장치 및 상기 부 시스템의 제2 장치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first device of the main system and the second device of the sub system may perform the same function.

상기 방송용 헤드엔드 시스템은 UHD(Ultra High Definition) 방송용 헤드엔드 시스템이고, 각 레이어가 독립적으로 구분되는 프로토콜 스택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The headend system for broadcasting is a headend system for Ultra High Definition (UHD) broadcasting, and may operate according to a protocol stack in which each layer is divided independently.

상기 주 시스템의 제1 장치 및 상기 부 시스템의 제2 장치는 동기화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데, 여기서 동기화 정보는 각 장치의 시간 정보 및 패킷 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device of the main system and the second device of the sub system may exchange synchronization information, wherein the synchroniz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ime information and packet capacity of each device.

상기 스위치는, 상기 주 시스템 내에서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흐름 상 연속하여 배치되는 두 개의 제1 장치 및 상기 부 시스템 내에서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흐름 상 연속하여 배치되는 두 개의 제2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The switch includes two first devices sequentially arranged in a flow for sequentially processing broadcast signals in the main system and two second devices sequentially arranged in a flow for sequentially processing broadcast signals in the sub-system. It can be connected to the device.

상기 제1 장치 또는 상기 제2 장치는, 방송용 인코더, 다중화기, 게이트웨이, 시그널링 서버, ESG(Electronic Service Guide) 서버, 스크램블러, 및 모듈레이터 중 하나일 수 있다. The first device or the second device may be one of a broadcast encoder, a multiplexer, a gateway, a signaling server, an Electronic Service Guide (ESG) server, a scrambler, and a modulator.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주 헤드엔드 시스템 내의 특정 장비에서 문제가 발생할 때 해당 장비만 부 시스템의 장비로 교체함으로써, 다른 레이어를 담당하는 장비에 미치는 부하를 최소화하여 수신기에서 오동작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a problem occurs in a specific device in the main headend system, only the corresponding device is replaced with the device of the sub system, thereby minimizing the load on the equipment in charge of other layers and malfunctioning in the receiver. can reduce the possibility of

또한, 장애 발생 장비가 아니느 다른 레이어를 담당하는 장비는 그대로 활용하기 때문에 정상 동작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quipment responsible for other layers other than the failure-generating equipment is used as it is, there is an effect of minimizing the time required for normal operation.

도 1은 지상파 DTV 의 프로토콜 스택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지상파 UHDTV 의 프로토콜 스택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지상파 DTV에서의 주/부 헤드엔드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용 헤드엔드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송용 헤드엔드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용 헤드엔드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용 헤드엔드 시스템 제어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protocol stack of a terrestrial DTV.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protocol stack of terrestrial UHDTV.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ain/secondary headend system in a terrestrial DTV.
4 is a block diagram of a headend system for broadcas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of a headend system for broadcast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a headend system for broadcas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headend system for broadcas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figure,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The term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is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지상파 DTV 의 프로토콜 스택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rotocol stack of a terrestrial DTV.

도 1을 참조하면, 지상파 DTV(Digital Television) 프로토콜의 물리 계층은 ATSC 1.0을 사용하며 전송 계층으로 MPEG-2 TS를 사용한다. MPEG-2 TS를 전송 계층으로 하는 상위 계층은 영상압축을 위한 MPEG-2, 음성압축을 위한AC-3 및 이들을 위한 시그널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MPEG-2 TS 시스템은 방송망에서 AV(Audio Video)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패킷화, 동기화, 멀티플렉싱 등에 대해 규정한다.Referring to FIG. 1 , the physical layer of the terrestrial DTV (Digital Television) protocol uses ATSC 1.0 and uses MPEG-2 TS as the transport layer. An upper layer using MPEG-2 TS as a transport layer may include MPEG-2 for video compression, AC-3 for audio compression, and signaling for these. The MPEG-2 TS system stipulates packetization, synchronization, multiplexing, etc. necessary to transmit AV (Audio Video) content in a broadcasting network.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위 계층에 위치하는 MPEG-2, AC-3는 각각 독립된 전송 계층을 갖지 않으며 공통된 전송 계층으로 MPEG-2 TS를 사용한다.As shown in FIG. 1 , MPEG-2 and AC-3 located in an upper layer do not have independent transport layers, respectively, and use MPEG-2 TS as a common transport layer.

도 2는 지상파 UHDTV 의 프로토콜 스택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protocol stack of terrestrial UHDTV.

지상파 UHDTV(Ultra High Definition Television) 프로토콜은 MPEG-2 TS 대신, IP(Internet Protocol) 기반의 방송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IP망 간의 이종 서비스, 고정 이동 단말에서의 방송 수신을 제공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UHDTV는 HEVC 비디오 코덱과 실감 오디오, IP기반 다중화, OFDM LDPC 방식 채택을 통해 고화질 프리미엄 방송을 제공하기 위한 송수신 정합 규격을 정의하고 있다.Terrestrial UHDTV (Ultra High Definition Television) protocol is a framework that can provide heterogeneous services between IP networks and broadcast reception in fixed mobile terminals to build an IP (Internet Protocol)-based broadcasting system instead of MPEG-2 TS. to provide. UHDTV defines transmission/reception matching standards to provide high-definition premium broadcasting by adopting HEVC video codec, immersive audio, IP-based multiplexing, and OFDM LDPC method.

도 2를 참조하면, UHDTV방송서비스 프로토콜은 기존 MPEG2-TS를 사용하지 않고 IP/UDP 기반의 ROUTE/DASH(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또는 MMTP(MPEG Media Transport Protocol)를 이용하는 전송 계층을 포함한다. UHDTV는 또한, 방송망이 아닌 브로드맨드망을 통한 HTTP 서비스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 the UHDTV broadcasting service protocol includes a transport layer using IP/UDP-based 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ROUTE/DASH) or MPEG Media Transport Protocol (MMTP) without using the existing MPEG2-TS. UHDTV also includes HTTP service through Broadcommand network rather than broadcasting network.

기존의 지상파 DTV프로토콜과는 달리, 지상파 UHDTV방송서비스 프로토콜은 각각의 기술들이 독립성을 가질 수 있도록 레이어링(Layering)되어 기술별로 분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It can be seen that, unlike the existing terrestrial DTV protocol, the terrestrial UHDTV broadcasting service protocol is layered so that each technology can have independence and is separated by technology.

도 3은 지상파 DTV에서의 주/부 헤드엔드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ain/secondary headend system in a terrestrial DTV.

도 3을 참조하면, 지상파 DTV의 전체 헤드엔드 시스템은 주(primary) 헤드엔드 시스템(31) 및 부(secondary) 헤드엔드 시스템(32)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 the entire headend system of the terrestrial DTV includes a primary headend system 31 and a secondary headend system 32 .

통상적으로 건물 구내에서는 전용수신기를 통해 TV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건물에는 TV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건물 내 TV 방송용 전용 수신기에 재전송하는 방송시설이 설치되는데, 이를 헤드엔드 시스템이라고 한다. 부(secondary) 헤드엔드 시스템(32)은 기본적으로 주(primary) 헤드엔드 시스템(31)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주 헤드엔드 시스템(31)의 일부 방송 장비가 동작하지 않아 방송이 중단되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한 것이다. 주 헤드엔드 시스템(31)은 제1 인코더, 제1 다중화기, 제1 게이트웨이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부 헤드엔드 시스템(32) 또한, 제2 인코더, 제2 다중화기, 제2 게이트웨이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general, in the premises of a building, TV broadcasts can be viewed through a dedicated receiver. A broadcasting facility is installed in the building that receives TV broadcasting signals and retransmits them to a dedicated TV broadcasting receiver in the building, which is called a head-end system. The secondary headend system 32 has basically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primary headend system 31 , and when some broadcasting equipment of the primary headend system 31 does not operate, broadcasting is stopped is to prepare for The main headend system 31 may include a first encoder, a first multiplexer, a first gateway, and the like. The secondary headend system 32 may also include a second encoder, a second multiplexer, a second gateway, and the like.

UHD 소스로부터 입력되는 UHD 방송 신호를 주 헤드엔드 시스템(31) 및 부 헤드엔드 시스템(32)으로 입력되어 각 시스템에서 인코딩, 다중화 과정 등을 거치게 된다. 각 헤드엔드 시스템이 출력하는 신호는 모두 스위칭부(33)로 입력된다. 통상적인 경우 스위칭부(33)는 주 헤드엔드 시스템(31)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TV 수신기로 전달한다. The UHD broadcast signal input from the UHD source is input to the main headend system 31 and the secondary headend system 32, and each system undergoes encoding and multiplexing processes. All signals output from each headend system are input to the switching unit 33 . In a normal case, the switching unit 33 transmits a signal input from the main headend system 31 to the TV receiver.

전체 시스템은 주 헤드엔드 시스템(31)의 최종 출력 신호를 모니터링(도 3의 모니터링 시스템(34)에 의해)하다가 갑자기 방송 프로그램이 중단된다든지 하는 문제가 발생하면 주/부 절환(switching) 제어 신호를 통해 스위칭부(switch)(33)를 제어하여 주 신호 경로(path)를 부 신호 경로로 절환한다. 즉, 스위칭부(33)는 주 헤드엔드 시스템(31)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대신 부 헤드엔드 시스템(32)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기로 전달한다. The whole system monitors the final output signal of the main headend system 31 (by the monitoring system 34 of FIG. 3) and when a problem such as a sudden interruption of a broadcast program occurs, a main/minor switching control signal to control the switch 33 to switch the main signal path to the sub-signal path. That is, the switching unit 33 transfers the signal input from the secondary headend system 32 to the receiver instead of the signal inputted from the main headend system 31 .

이와 같은 주/부 헤드엔드 시스템 구성은 도 2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레이어링 특성을 가지는 지상파 UHDTV 프로토콜 스택 구성의 장점들을 충분히 살리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지상파 UHDTV 방송서비스를 위한 주/부 헤드엔드 시스템 구성에서 UHDTV 프로토콜 스택의 특징들을 잘 활용하여 기존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구조 및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Such a main/secondary headend system configuration does not fully utilize the advantages of a terrestrial UHDTV protocol stack configuration having a layering characteristic as shown in FIG. 2 .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propose a structure and method that can solve the existing problems by well utilizing the features of the UHDTV protocol stack in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sub headend system for the terrestrial UHDTV broadcasting service.

앞서 언급한 것처럼 지상파 UHDTV 프로토콜 스택 구성이 가지는 레이어링 특성은 각 레이어 간에 어느 정도의 독립성이 존재하도록 한다. 따라서, UHDTV 프로토콜에 기반한 헤드엔드 시스템의 구성에서도 이러한 특징들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특징을 잘 살려서 기존에 주/부 시스템 절환시 발생하였던 수신기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정상 동작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As mentioned above, the layering characteristics of the terrestrial UHDTV protocol stack configuration ensure that a certain degree of independence exists between each layer. Accordingly, these features appear in the configuration of the headend system based on the UHDTV protocol.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by making good use of these characteristics, it is possible to prevent a receiver malfunction that has occurred during switching of the main/sub system in the past,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normal opera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용 헤드엔드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of a headend system for broadcas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의 실시예는 지상파 UHDTV 프로토콜 스택 구성의 레이어링 특징을 반영한 헤드엔드 주/부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파 UHDTV 의 전체 헤드엔드 시스템은 주(primary) 헤드엔드 시스템(410) 및 부(secondary) 헤드엔드 시스템(420)을 포함한다.The embodiment of FIG. 4 proposes a headend main/sub system reflecting the layering characteristics of the terrestrial UHDTV protocol stack configuration. The entire headend system of terrestrial UHDTV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imary headend system 410 and a secondary headend system 420 .

주 헤드엔드 시스템(410)은 제1 인코더(411), 제1 다중화기(412), 제1 게이트웨이(4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부 헤드엔드 시스템(420)은 제2 인코더(421), 제2 다중화기(422), 제2 게이트웨이(423)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서, 인코더, 다중화기, 게이트웨이는 각 헤드엔드 시스템이 포함하는 구성요소의 예일 뿐이며, 헤드엔드 시스템이 포함하는 구성요소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엔드 시스템은, 지상파 UHD TV 헤드엔드 시스템의 주요 장비인 인코더, 다중화기, 게이트웨이, 시그널링 서버, ESG(Electronic Service Guide) 서버, 스크램블러, 모듈레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ain headend system 410 may include a first encoder 411 , a first multiplexer 412 , and a first gateway 413 . The secondary headend system 420 may include a second encoder 421 , a second multiplexer 422 , a second gateway 423 , and the like. In the embodiment of FIG. 4 , an encoder, a multiplexer, and a gateway are only examples of components included in each headend system, and components included in the headend system are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headen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encoder, a multiplexer, a gateway, a signaling server, an ESG (Electronic Service Guide) server, a scrambler, a modulator, etc., which are main equipment of the terrestrial UHD TV headend system. ca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용 헤드엔드 시스템은 제1 인코더(411) 및 제2 인코더(421) 사이에 인코더 스위치(431)를 포함하고, 제1 다중화기(412) 및 제2 다중화기(422) 사이에 다중화기 스위치(432)를 포함하며, 제1 게이트웨이(413) 및 제2 게이트웨이(423) 사이에 게이트웨이 스위치(43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용 헤드엔드 시스템은 주 헤드엔드 시스템 내 구성요소 및 해당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부 헤드엔드 시스템 내 구성요소 사이에 스위치를 배치한다. Referring to FIG. 4 , the headend system for broadcas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ncoder switch 431 between a first encoder 411 and a second encoder 421 , and a first multiplexer 412 . and a multiplexer switch 432 between the second multiplexer 422 , and a gateway switch 433 between the first gateway 413 and the second gateway 423 . That is, in the headend system for broadcas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witch is disposed between a component in the main headend system and a component in the secondary headend system that performs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mponent.

이러한 헤드엔드 시스템 구조를 바탕으로, 주 방송 신호가 문제가 없을 때에는 UHD 소스로 입력되는 방송 신호가 순차적으로, 제1 인코더(411), 제1 다중화기(412), 제1 게이트웨이(413), 게이트웨이 스위치(433)를 거쳐 방송 수신기로 전달된다. Based on this headend system structure, when there is no problem with the main broadcast signal, the broadcast signal input to the UHD source is sequentially transmitted to the first encoder 411, the first multiplexer 412, the first gateway 413, It is transmitted to the broadcast receiver through the gateway switch 433 .

한편, 제어부(450)가 인코더 스위치(431), 다중화기 스위치(432), 및 게이트웨이 스위치(433)에 연결된다. 제어부(450)는 각 스위치를 통해서 각각의 장치, 예를 들어, 인코더, 다중화기, 게이트웨이에서 출력되는 스트림들을 모니터링하여 분석하고, 각 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체크한다. 각 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450)는 주/부 절환 제어 신호를 통한 어떠한 명령도 전송하지 않고 방송 신호 플로우가 유지되도록 한다.Meanwhile, the controller 450 is connected to the encoder switch 431 , the multiplexer switch 432 , and the gateway switch 433 . The controller 450 monitors and analyzes streams output from each device, for example, an encoder, a multiplexer, and a gateway through each switch, and checks whether each device operates normally. When each device operates normally, the control unit 450 maintains the broadcast signal flow without transmitting any command through the master/minor switching control signal.

제어부(450)는 각 장치의 출력 신호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있다 특정 장치에서 문제가 인식되면 해당 장치를 위한 스위치에 주/부 절환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해당 스위치는 문제가 된 주 헤드엔드 시스템 내 장치의 출력 신호 대신 부 헤드엔드 시스템 내 대응 장치로 출력 신호를 전환한다. 예를 들어, 제1 인코더(411)에 문제가 감지되면 인코더 스위치(431)에 제어 신호가 전송되고, 인코더 스위치(431)는 제1 인코더(411)을 제2 인코더(421)로 교체한다. 이 경우 방송 신호는, 제2 인코더(421), 인코더 스위치(431), 제1 다중화기(412), 다중화기 스위치(432), 제1 게이트웨이(413), 게이트웨이 스위치(433)를 통해서 전송된다. The control unit 450 monitors the output signal of each device in real time. When a problem is recognized in a specific device, it transmits a main/minor switching control signal to a switch for the corresponding device. The switch diverts the output signal to the corresponding device in the secondary headend system instead of the output signal from the device in the primary headend system in question. For example, when a problem is detected in the first encoder 411 , a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encoder switch 431 , and the encoder switch 431 replaces the first encoder 411 with the second encoder 421 . In this case, the broadcast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encoder 421 , the encoder switch 431 , the first multiplexer 412 , the multiplexer switch 432 , the first gateway 413 , and the gateway switch 433 . .

한편, 예를 들어, 제1 인코더(411)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제1 다중화기(412)에서 문제가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450)는 다중화기 스위치(432)에 주/부 절환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다중화기 스위치(432)는 제1 다중화기(412)를 제2 다중화기(422)로 교체한다. 즉, 제1 인코더(411)의 출력 신호가 제2 다중화기(422)의 입력 신호로 제공된다. 이 경우, UHD 방송 신호는 제1 인코더(411), 인코더 스위치(431), 제2 다중화기(422), 다중화기 스위치(432), 제1 게이트웨이(413), 게이트웨이 스위치(433)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수신기로 제공된다.On the other hand, for example, when the first encoder 411 operates normally and a problem is detected in the first multiplexer 412 , the controller 450 transmits a master/minor switching control signal to the multiplexer switch 432 . do. The multiplexer switch 432 replaces the first multiplexer 412 with the second multiplexer 422 . That is,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encoder 411 is provided as an input signal of the second multiplexer 422 . In this case, the UHD broadcast signal is sequentially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encoder 411 , the encoder switch 431 , the second multiplexer 422 , the multiplexer switch 432 , the first gateway 413 , and the gateway switch 433 . It is provided to the receiver via

다른 예로, 제1 인코더(411)와 제1 다중화기(412)는 정상 동작하는데 제1 게이트웨이(413)에서 문제가 생기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 경우, 인코더 스위치(431), 다중화기 스위치(432)는 그대로 유지되며 제어부(450)는 게이트웨이 스위치(433)에 주/부 절환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제1 게이트웨이(413)를 제2 게이트웨이(423)로 교체한다. 이 경우, 제1 다중화기의 출력 신호는 제2 게이트웨이의 입력 신호로 제공된다. 즉, UHD 방송 신호는 제1 인코더(411), 인코더 스위치(431), 제1 다중화기1(412), 다중화기 스위치(432), 제2 게이트웨이(423), 게이트웨이 스위치(433)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수신기로 제공된다. As another example, the first encoder 411 and the first multiplexer 412 normally operate, but a problem occurs in the first gateway 413 . In this case, the encoder switch 431 and the multiplexer switch 432 are maintained as they are, and the control unit 450 transmits a master/minor switching control signal to the gateway switch 433 to set the first gateway 413 to the second gateway. (423). In this case,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multiplexer is provided as an input signal of the second gateway. That is, the UHD broadcast signal is sequentially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encoder 411 , the encoder switch 431 , the first multiplexer 412 , the multiplexer switch 432 , the second gateway 423 , and the gateway switch 433 . It is provided to the receiver via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TSC 3.0 기반의 지상파 UHDTV 방송 서비스는 IP 기술에 기반하므로 각 장비 간의 인터페이스 또한 IP기반 기술을 사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바와 같은 스위치 제어에 의한 주/부 절환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각 프로토콜 레이어 간에 독립성이 존재하고 이러한 특성들이 장비 간에도 존재하여 문제가 발생한 장비만을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As shown in FIG. 2 , since the ATSC 3.0-based terrestrial UHDTV broadcasting service is based on IP technology, the interface between each equipment also uses IP-based technology. Therefore, the main/minor switching by the switch control as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performed. In addition, since independence exists between each protocol layer, and these characteristics exist between devices, it is possible to replace only the equipment that has a problem.

도 5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송용 헤드엔드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of a headend system for broadcast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상파 UHDTV 의 전체 헤드엔드 시스템은 주(primary) 헤드엔드 시스템(410) 및 부(secondary) 헤드엔드 시스템(420)을 포함한다. The entire headend system of terrestrial UHDTV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imary headend system 410 and a secondary headend system 420 .

주 헤드엔드 시스템(410)은 장치 1A, 장치 2A, 장치 3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부 헤드엔드 시스템(420)은 장치 1B, 장치 2B, 장치 3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헤드엔드 시스템은 3개의 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각 헤드엔드 시스템이 포함하는 장치의 개수는 3개 이상일 수 있으며, 부 헤드엔드 시스템은 주 헤드엔드 시스템이 포함하는 장치에 대응하는 장치, 즉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고려하는 각 장치는 지상파 UHD TV 헤드엔드 시스템의 주요 장비인 인코더, 다중화기, 게이트웨이, 시그널링 서버, ESG 서버, 스크램블러, 모듈레이터 등이 될 수 있다. The primary headend system 410 may comprise device 1A, device 2A, and device 3A. Secondary headend system 420 may comprise device 1B, device 2B, and device 3B.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each headend system is illustrated as including three devices, but the number of devices included in each headend system may be three or more, and the secondary headend system is the main headend system. It includes a device corresponding to the containing device, that is, a device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Each device consider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encoder, a multiplexer, a gateway, a signaling server, an ESG server, a scrambler, a modulator, etc., which are main equipment of a terrestrial UHD TV headend system.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송용 헤드엔드 시스템은 장치 1A 및 장치 1B 사이에 제1 스위치를 포함하고, 장치 2A 및 장치 2B 사이에 제2 스위치를 포함하며, 장치 3A 및 장치 3B 사이에 제3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송용 헤드엔드 시스템은 주 헤드엔드 시스템 내 구성요소 및 해당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부 헤드엔드 시스템 내 구성요소 사이에 스위치를 배치한다. 이러한 헤드엔드 시스템 구조를 바탕으로, 주 방송 신호가 문제가 없을 때에는 UHD 소스로 입력되는 방송 신호가 순차적으로, 장치 1A, 제1 스위치, 장치 2A, 제2 스위치, 장치 3A, 제3 스위치를 거쳐 방송 수신기로 전달된다. Referring to FIG. 5 , a headend system for broadcast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witch between device 1A and device 1B, and a second switch between device 2A and device 2B, and device 3A and A third switch may be included between the devices 3B. That is, in the headend system for broadcast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witch is disposed between a component in the main headend system and a component in the secondary headend system that performs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mponent. Based on this headend system structure, when there is no problem with the main broadcast signal, the broadcast signal input to the UHD source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device 1A, the first switch, the device 2A, the second switch, the device 3A, and the third switch. transmitted to the broadcast receiver.

또한,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헤드엔드 주/부 시스템에서의 동일 기능을 수행하는 장비 간에 동기화 정보를 서로 교환함으로써, 주/부 헤드엔드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각의 장비를 교체했을 때 야기되는 문제를 최소화한다. 즉, 장치 1A는 장치 1B와 동기화 정보를 상호 교환하고, 장치 2A는 장치 2B와 동기화 정보를 상호 교환하며, 장치 3A는 장치 3B와 동기화 정보를 상호 교환한다. 여기서, 동기화 정보는 현재 각 장치에서 사용하고 있는 시간 정보, 생성된 스트림 또는 패킷의 용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by exchanging synchronization information between devices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in the headend main/sub system, each device constituting the main/sub headend system is replaced. minimize the problems That is, device 1A exchanges synchronization information with device 1B, device 2A exchanges synchronization information with device 2B, and device 3A exchanges synchronization information with device 3B. Here, the synchroniz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time information currently being used by each device, a capacity of a generated stream or packet, and the like.

이와 같이 주/부 장치 간에 시간 정보, 패킷 용량 등의 정보들을 공유하면 주/부 시스템이 정확히 동일하게 되고, 그에 따라 하나의 장치가 주에서 부로 교체되더라도 다른 주 장치들은 거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어 수신기 또한 좀더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4와 도 5의 2가지 주/부 시스템 구성을 제안한다. In this way, when information such as time information and packet capacity is shared between the main/sub devices, the main/sub systems are exactly the same, and accordingly, even if one device is replaced from the main device to the sub device, the other main devices are hardly affected. It can also be operated more stably.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two main/sub system configurations of FIGS. 4 and 5 .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용 헤드엔드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6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a headend system for broadcas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방송용 헤드엔드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은 도 4, 도 5를 통해 살펴본 제어부에 의해 실행될 수 있으나, 그 동작 주체가 제어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편의상 도 6에 도시된 헤드엔드 시스템 제어 방법은 방송용 헤드엔드 시스템 제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이하 실시예를 설명한다.This method of controlling the headend system for broadcasting may be executed by the control uni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 but the operation subject is not limited to the control unit. For convenience, it is assumed that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headend system shown in FIG. 6 is performed by the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headend system for broadcasting, and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도 6을 참조하면, 방송용 헤드엔드 시스템 제어 장치는 헤드엔드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 예를 들어, 주 헤드엔드 시스템 내 인코더, 다중화기, 게이트웨이의 각 출력 신호를 관련 스위치를 통해 수신한다(S610). 방송용 헤드엔드 시스템 제어 장치는 수신한 신호를 분석하여(S620), 신호가 비정상인지 판단한다(S630).Referring to FIG. 6 , the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headend system for broadcasting receives each output signal of a device constituting the headend system, for example, an encoder, a multiplexer, and a gateway in the main headend system through a related switch (S610). . The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headend system for broadcasting analyzes the received signal (S620) and determines whether the signal is abnormal (S630).

좀더 구체적으로, 신호가 비정상인지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분석된 정보가 각각의 레이어에 해당되는 표준에 적합한지를 판단한다. 즉, 다중화기가 문제가 있으면 인코더와 게이트웨이는 정상 동작, 다중화기는 오동작이라고 판단한다.More specifically,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signal is abnormal,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analyzed information conforms to a standard corresponding to each layer. That is, if there is a problem with the multiplexer, it is determined that the encoder and gateway are operating normally and the multiplexer is malfunctioning.

방송용 헤드엔드 시스템 제어 장치는 오동작하는 장치에 기초하여 절환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S640), 생성된 신호를 비정상 신호를 발생시키는 장치 관련 스위치로 전송한다(S650).The headend system control device for broadcasting generates a switching control signal based on the malfunctioning device (S640), and transmits the generated signal to a device-related switch that generates the abnormal signal (S650).

절환 제어 신호를 수신한 스위치는, 해당 제어 신호를 바탕으로 주 장비에서 부 장비로 절환을 수행할 수 있다. The switch receiving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may perform switching from the main device to the secondary device based on the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용 헤드엔드 시스템 제어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7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headend system for broadcas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용 헤드엔드 시스템 제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포함하는 주(Primary) 시스템 및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포함하는 부(secondary) 시스템을 포함하는 방송용 헤드엔드 시스템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프로세서(710),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720), 및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730)를 포함할 수 있다.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headend system for broadcas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a headend system for broadcasting including a primary system including at least one device and a secondary system including at least one device The device may include a processor 710 , a memory 720 for storing at least one instruction executed through the processor, and at least one switch 730 .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730)는 주 시스템의 제1 장치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만큼 배치되는 스위치로서, 각 스위치는 대응하는 제1 장치 및 상기 제1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부 시스템의 제2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The at least one switch 730 is a switch arrang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first devices in the main system, and each switch includes a corresponding first device and a second device of the sub-system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vice. can be connected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1 장치와 연결된 스위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분석하도록 하는 명령; 상기 신호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장치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도록 하는 명령; 비정상으로 동작하는 제1 장치와 연결된 스위치로 절환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t least one instruction may include: instructions for causing the processor to monitor and analyze a signal received through a switch connected to the first device; a command to determine the operating state of the first device according to the signal analysis result; It may include a command to transmit a changeover control signal to a switch connected to the first device operating abnormally.

상기 스위치는,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절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장치로의 스위칭을 수행할 수 있다. The switch may receive a switch control signal from the processor to perform switching from the first device to the second device.

상기 주 시스템의 제1 장치 및 상기 부 시스템의 제2 장치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first device of the main system and the second device of the sub system may perform the same function.

상기 방송용 헤드엔드 시스템은 UHD(Ultra High Definition) 방송용 헤드엔드 시스템이고, 각 레이어가 독립적으로 구분되는 프로토콜 스택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The headend system for broadcasting is a headend system for Ultra High Definition (UHD) broadcasting, and may operate according to a protocol stack in which each layer is divided independently.

상기 주 시스템의 제1 장치 및 상기 부 시스템의 제2 장치는 동기화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데, 여기서 동기화 정보는 각 장치의 시간 정보 및 패킷 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device of the main system and the second device of the sub system may exchange synchronization information, wherein the synchroniz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ime information and packet capacity of each device.

상기 스위치는, 상기 주 시스템 내에서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흐름 상 연속하여 배치되는 두 개의 제1 장치 및 상기 부 시스템 내에서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흐름 상 연속하여 배치되는 두 개의 제2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The switch includes two first devices sequentially arranged in a flow for sequentially processing broadcast signals in the main system and two second devices sequentially arranged in a flow for sequentially processing broadcast signals in the sub-system. It can be connected to the device.

상기 제1 장치 또는 상기 제2 장치는, 방송용 인코더, 다중화기, 게이트웨이, 시그널링 서버, ESG(Electronic Service Guide) 서버, 스크램블러, 및 모듈레이터 중 하나일 수 있다. The first device or the second device may be one of a broadcast encoder, a multiplexer, a gateway, a signaling server, an Electronic Service Guide (ESG) server, a scrambler, and a modulator.

상술한 실시예들을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ATSC 3.0에 기반한 헤드엔드 시스템이 갖는 각 레이어 간의 독립적인 특성 및 전송과 인터페이스로서 IP 기술을 사용하는 특징을 활용한다. 따라서, 주 헤드엔드 시스템 내 특정 장치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해당 장치만 부 장치로 교체하여 다른 레이어를 담당하는 장치에 가해지는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수신기에서 오동작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오동작이 발생한 레이어에서의 장비만 교체하고 타 레이어를 담당하는 장비는 그대로 활용하기 때문에 정상 동작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s seen throug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an independent characteristic between each layer of an ATSC 3.0-based headend system and a characteristic of using IP technology as an interface for transmission and interface. Therefore, when a problem occurs in a specific device in the main headend system,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load applied to the device in charge of another layer by replacing only the corresponding device with a secondary device,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malfunction in the receiver.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nly the equipment in the layer in which the malfunction has occurred is replaced and the equipment in charge of other layers is used as it i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time required for the normal operation can be expec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동작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The operation of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program or code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in a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 to store and execute computer-readable programs or codes in a distributed manner.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은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a hardware device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and flash memory. The program instructions may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본 발명의 일부 측면들은 장치의 문맥에서 설명되었으나, 그것은 상응하는 방법에 따른 설명 또한 나타낼 수 있고, 여기서 블록 또는 장치는 방법 단계 또는 방법 단계의 특징에 상응한다. 유사하게, 방법의 문맥에서 설명된 측면들은 또한 상응하는 블록 또는 아이템 또는 상응하는 장치의 특징으로 나타낼 수 있다. 방법 단계들의 몇몇 또는 전부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그램 가능한 컴퓨터 또는 전자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또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에서, 가장 중요한 방법 단계들의 하나 이상은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Although some aspects of the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the context of an apparatus, it may also represent a description according to a corresponding method, wherein a block or apparatus corresponds to a method step or feature of a method step. Similarly, aspects described in the context of a method may also represent a corresponding block or item or a corresponding device feature. Some or all of the method steps may be performed by (or using) a hardware device such as, for example, a microprocessor, a programmable computer, or an electronic circuit. In some embodiments, one or more of the most important method steps may be performed by such an apparatus.

실시예들에서,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장치(예를 들어, 필드 프로그머블 게이트 어레이)가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필드 프로그머블 게이트 어레이는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함께 작동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법들은 어떤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embodiments, a programmable logic device (eg,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may be used to perform some or all of the functionality of the methods described herein. In embodiments, the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ma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a microprocessor to perform one of the methods described herein. In general, the methods are preferably performed by some hardware device.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410: 주 헤드엔드 시스템 420: 주 헤드엔드 시스템
431, 432, 433: 스위치 450: 제어부
700: 방송용 헤드엔드 제어 장치 710: 프로세서
720: 메모리 730: 스위치
410: main headend system 420: main headend system
431, 432, 433: switch 450: control unit
700: broadcast headend control device 710: processor
720: memory 730: switch

Claims (10)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포함하는 주(Primary) 시스템 및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포함하는 부(secondary) 시스템을 포함하는 방송용 헤드엔드 시스템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상기 주 시스템의 제1 주 장치 및 제2 주 장치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스위치로서, 제1 스위치는 상기 제1 주 장치와 대응하는 상기 부 시스템의 제1 부 장치와 연결되고, 제2 스위치는 상기 제2 주 장치와 대응하는 상기 부 시스템의 제2 부 장치와 연결되는, 상기 스위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주 장치 및 상기 제2 주 장치는 상기 주 시스템 내에서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흐름 상 연속하여 배치되는 주 장치이고,
상기 제1 부 장치 및 상기 제2 부 장치는 상기 부 시스템 내에서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흐름 상 연속하여 배치되는 부 장치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제1 스위치와 상기 제2 스위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분석하도록 하는 명령;
상기 신호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주 장치 및 상기 제2 주 장치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제1 주 장치 및 상기 제2 주 장치 중 비정상으로 동작하는 주 장치를 판단하도록 하는 명령; 및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 중 상기 비정상으로 동작하는 주 장치와 연결된 스위치로 절환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방송용 헤드엔드 시스템 제어 장치.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headend system for broadcasting including a primary system including at least one device and a secondary system including at least one device, the apparatus comprising:
a switch disposed to correspond to a first main device and a second main device of the main system, wherein the first switch is connected to a first sub device of the sub system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in device, and a second switch is configured to the switch connected to a second sub-device of the sub-system corresponding to a second main device;
processor; and
a memory for storing at least one instruction executed by the processor;
The first main device and the second main device are main devices that are continuously arranged in a flow for sequentially processing broadcast signals in the main system;
The first auxiliary device and the second auxiliary device are auxiliary devices that are continuously arranged in the flow of sequentially processing broadcast signals in the subsystem;
The at least one command is
instructions to monitor and analyze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a command to determine operating states of the first main device and the second main device according to the signal analysis result, and to determine an abnormally operating main device among the first main device and the second main device; and
and a command for transmitting a switching control signal to a switch connected to the abnormally operating main device among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절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비정상으로 동작하는 주 장치로부터, 상기 제1 부 장치 및 상기 제2 부 장치 중 상기 비정상으로 동작하는 주 장치에 대응하는 부 장치로의 스위칭을 수행하는, 방송용 헤드엔드 시스템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of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receives a changeover control signal from the processor and receives the abnormally operating main device from the abnormally operating one of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devices. A device for controlling a headend system for broadcasting, which performs switching to an auxiliary device corresponding to the main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 시스템의 상기 제1 부 장치 및 상기 제2 부 장치는,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주 시스템의 주 장치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방송용 헤드엔드 시스템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first sub-device and the second sub-device of the sub-system perform the same function as the corresponding main device of the main system, respectivel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송용 헤드엔드 시스템은 UHD(Ultra High Definition) 방송용 헤드엔드 시스템이고, 각 레이어가 독립적으로 구분되는 프로토콜 스택에 따라 동작하는, 방송용 헤드엔드 시스템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eadend system for broadcasting is a headend system for Ultra High Definition (UHD) broadcasting, and each layer operates according to an independently divided protocol stack.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 시스템의 상기 제1 부 장치 및 상기 제2 부 장치는,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주 시스템의 주 장치와 동기화 정보를 교환하며,
상기 동기화 정보는 각 장치의 시간 정보 및 패킷 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송용 헤드엔드 시스템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ub-device and the second sub-device of the sub-system exchange synchronization information with the corresponding master device of the main system, respectively;
The synchronization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time information and packet capacity of each devic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주 장치 및 상기 제2 주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방송용 인코더, 다중화기, 게이트웨이, 시그널링 서버, ESG(Electronic Service Guide) 서버, 스크램블러, 및 모듈레이터 중 하나를 포함하는, 방송용 헤드엔드 시스템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of the first main device and the second main device includes one of a broadcast encoder, a multiplexer, a gateway, a signaling server, an Electronic Service Guide (ESG) server, a scrambler, and a modulator, a broadcast headend system control Device.
제1 주 장치 및 제2 주 장치를 포함하는 주(Primary) 시스템 및 제1 부 장치 및 제2 부 장치를 포함하는 부(secondary) 시스템을 포함하는 방송용 헤드엔드 시스템을 제어하는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주 장치와 대응하는 상기 제1 부 장치를 연결하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주 장치와 대응하는 상기 제2 부 장치를 연결하는 제2 스위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분석하는 단계;
상기 신호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주 시스템 내에서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흐름 상 연속하여 배치되는 상기 제1 주 장치 및 상기 제2 주 장치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제1 주 장치 및 상기 제2 주 장치 중 비정상으로 동작하는 주 장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 중 상기 비정상으로 동작하는 주 장치와 연결된 스위치로 절환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비정상으로 동작하는 주 장치와 연결된 스위치로 하여금 상기 비정상으로 동작하는 주 장치로부터, 상기 부 시스템 내에서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흐름 상 연속하여 배치되는 상기 제1 부 장치 및 상기 제2 부 장치 중 상기 비정상으로 동작하는 주 장치에 대응하는 부 장치로의 스위칭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용 헤드엔드 시스템 제어 방법.
performed by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headend system for broadcasting including a primary system including a first main apparatus and a second main apparatus and a secondary system including a first auxiliary apparatus and a second auxiliary apparatus A control method comprising:
monitoring and analyzing a signal received through a first switch connecting the first main device and the corresponding first sub device, and a second switch connecting the second main device and the corresponding second sub device step;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signal analysis, operation states of the first main device and the second main device which are sequentially arranged in the flow of sequentially processing broadcast signals in the main system are determined, and the first main device and the second main device Determining an abnormally operating main device among the 2 main devices; and
Transmitting a changeover control signal to a switch connected to the abnormally operating main device among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causes a switch connected to the abnormally operating main device from the abnormally operating main device to the sub and switching to an auxiliary device corresponding to the abnormally operating main device among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devices that are sequentially arranged in a flow for sequentially processing broadcast signals in the system. A method of controlling a headend system for broadcasting.
삭제delet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부 시스템의 상기 제1 부 장치 및 상기 제2 부 장치는,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주 시스템의 주 장치와 동기화 정보를 교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동기화 정보는 각 장치의 시간 정보 및 패킷 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송용 헤드엔드 시스템 제어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exchanging synchronization information, by the first sub-device and the second sub-device of the sub-system, with the corresponding master device of the main system;
further comprising,
The synchronization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time information and packet capacity of each device.
KR1020180123837A 2017-11-20 2018-10-17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headend system for broadcasting Active KR10242569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54948 2017-11-20
KR1020170154948 2017-1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287A KR20190058287A (en) 2019-05-29
KR102425692B1 true KR102425692B1 (en) 2022-07-27

Family

ID=66672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3837A Active KR102425692B1 (en) 2017-11-20 2018-10-17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headend system for broadcas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5692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0349B2 (en) * 1995-06-29 1999-06-02 現代電子産業株式会社 Headend with error recovery function and its error recovery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0005B1 (en) * 1997-11-04 2001-01-02 Motorola, Inc. Synchronization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communication components using a network management operations and control paradigm
KR101289937B1 (en) * 2009-12-17 2013-07-25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Heade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video broadcasting content using channel bonding, and broadcasting reciever and method for recieving video broadcasting cont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0349B2 (en) * 1995-06-29 1999-06-02 現代電子産業株式会社 Headend with error recovery function and its error recovery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287A (en) 2019-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4852B1 (en) Broadcast transition channel
US10374865B2 (en) System for processing streaming media service and method and network device thereof
Ramos et al. Reducing channel change delay in IPTV by predictive pre-joining of TV channels
US7151782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ultiple services to end-users
US10674224B2 (en) Adaptive packaging and distribution of channels
WO2000079794A2 (en) Method for delivery of narrow-cast data over digital broadcast channels
US978118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media
US8966559B2 (en) Method and device for ensuring reliability during transmission of television data in a television system based on internet protocol
US9930410B2 (en) Video receiving apparatus for processing a video content receivable from a plurality of distribution platforms, and method thereof
KR101519000B1 (en) Apparatus of an encoder embedded with a modulator for automatic switching and Method thereof
US20100299448A1 (en) Device for the streaming reception of audio and/or video data packets
WO2017062404A1 (en) Gateway multi-view video stream processing for second-screen content overlay
US816013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video streams
JP498105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mpensating for satellite gateway failure
KR101697385B1 (en) Channel adaptive hierarchy broadcasting apparatus and method
KR102425692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headend system for broadcasting
RU2491759C2 (en) Multiplexer and multiplexing method
JP4919969B2 (en) Reception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system in gateway server
JP2015518670A (en) Continuous detection of IPTV stream failure or failure
KR100981247B1 (en) Channel switching method in IPTV service system and IPTV service system
US2025020315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abling the improved delivery of live content items to a plurality of computing devices
EP4376419A1 (en) Method for media stream processing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same
GB2562243A (en) Channel switching
KR100994053B1 (en) IPTV service system, channel switching method in IPTV service system, IPTV set-top box
Syed et al. New Video Coding Technologies and Its Effects on Next Generation Plant Infrastruc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1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0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10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9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03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9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3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10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100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0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204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03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10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100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7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7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