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7438B1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thereof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97438B1 KR102397438B1 KR1020150144719A KR20150144719A KR102397438B1 KR 102397438 B1 KR102397438 B1 KR 102397438B1 KR 1020150144719 A KR1020150144719 A KR 1020150144719A KR 20150144719 A KR20150144719 A KR 20150144719A KR 102397438 B1 KR102397438 B1 KR 1023974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 display device
- image content
- mode
- determin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101100453350 Candida albicans (strain SC5314 / ATCC MYA-2876) HBR1 gene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9
- 101100337984 Scheffersomyces stipitis (strain ATCC 58785 / CBS 6054 / NBRC 10063 / NRRL Y-11545) GSM1 gene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877 ren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844 transfo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60 site-specific infrared dichroism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1 transform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09—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by transcoding between formats or standards, e.g. from MPEG-2 to MPEG-4 or from Quicktime to Realvideo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server load, available bandwidth, upstream requests
- H04N21/2402—Monitoring of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bandwidth availabl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영상 입력부 및 영상 입력부를 통해 수신된 영상 콘텐츠의 해상도를 판단하고, 판단된 해상도를 바탕으로 수신된 영상 콘텐츠를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대역폭(bandwidth)을 판단하며, 수신된 영상 콘텐츠를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처리 모드를 결정하고, 판단된 대역폭(bandwidth)을 바탕으로 상기 결정된 처리 모드에 따라 처리된 영상 콘텐츠를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도록 영상 입력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devi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The display device determines the resolution of the image content received through the image input unit and the image input unit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and transmits the received image content to another display device based on the determined resolution. , determines a processing mode for transmitting the received image content to another display device, and inputs an image to transmit the image content process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rocessing mode to another display device based on the determined bandwidth It includes a processor that controls the department.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루어진 비디오 월(Videowall)과 같은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가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콘텐츠의 신호 손실을 최소화하여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빠르게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in a display system such as a video wall composed of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the display device minimizes signal loss of image content input from an external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for rapidly transmitting data to another display devi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근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병원, 기업의 리셉션 장소, 또는 대형 스크린 광고 등에 활용하기 위하여 복수의 FHD(Full-High Definition) 해상도 또는 UHD(Ultra-High Definition) 해상도 등의 고해상도 LFD(Large Format Display)를 포함하는 비디오 월(Videowall)과 같은 디스플레이 시스템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A recent display device includes a high-resolution LFD (Large Format Display) such as a plurality of Full-High Definition (FHD) resolutions or Ultra-High Definition (UHD) resolutions for use in hospitals, corporate reception places, or large-screen advertisements. The use of display systems such as videowalls is increasing.
LFD는 여러 장의 패널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비디오 월을 조립하여 각종 미디어가 하나로 움직이는 시각적인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비디오 월은 하나의 큰 이미지 또는 다수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복수의 디지털 디스플레이의 행렬로 구성하여 설치한다. 이 때,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 소스 장치로부터 FHD 및 UHD와 같은 고해상도의 영상 콘텐츠를 입력 받아 다른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고속 전송한다. 영상의 고속 전송 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되는 영상콘텐츠의 신호 손실로 인하여 화면에 보여지는 영상이 왜곡되는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 In LFD, a video wall can be assembled in various shapes using multiple panels to create a visual effect in which various media move as one. The video wall is installed in a matrix of a plurality of digital displays so that one large image or a plurality of images can be displayed. In this case, the display device receives high-resolution image content such as FHD and UHD from an external source device and transmits the high-resolution image content to a plurality of other display devices at high speed. When an image is transmitted at a high speed, a malfunc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such as distortion of an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may occur due to signal loss of image content transmitted from the display apparatus to another display apparatus.
종래에는 고해상도(FHD 및 UHD) 영상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LFD 비디오 월(Large Format Display Videowall)을 구현할 때, DP1.2(Display Port 1.2)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 DP1.2는 외부 소스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로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영상콘텐츠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신호 손실로 인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오동작을 방지한다.Conventionally, when implementing an LFD video wall (Large Format Display Videowall) for displaying high-resolution (FHD and UHD) image content, a display interface such as DP1.2 (Display Port 1.2) is used. DP1.2 prevents malfunction of the display device due to signal loss occurring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image content from an external source device to a display device or from a display device to another display device.
그러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입력된 해상도가 UHD일 경우, DP1.2로 구현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력된 UHD 해상도를 4개의 분할된 FHD 데이터 형태로 인식한다. 따라서, DP1.2로 구현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 소스 장치로부터 UHD 영상콘텐츠를 입력받을 때, UHD원본 데이터를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when the resolution input to the display device is UHD, the display device implemented with DP1.2 recognizes the input UHD resolution as four divided FHD data types. Accordingly, the display device implemented with DP1.2 ha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recognize UHD original data when receiving UHD image content from an external source device.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력된 UHD영상 콘텐츠를 FHD 형태로 인식하는 과정에서 대역폭을 줄인다(reduced bandwidth). 이 때,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처리된 UHD영상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해서 UHD에 적용 가능한 비트레이트(High Bit Rate)가 수동으로 입력되었다. 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reduces the bandwidth in the process of recognizing the input UHD video content in FHD format (reduced bandwidth). At this time, in order to transmit the processed UHD image content from the display device to another display device, a high bit rate applicable to UHD was manually input.
따라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입력된 고해상도(UHD) 영상의 원본 데이터를 인식하여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비디오월(Videowall)을 구성할 때, 디스플레이 장치에 입력된 UHD 원본 데이터의 신호손실(signal loss)를 최소화하고 빠르게 다른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는 구현방법을 제공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splay device recognizes the original data of the input high-resolution (UHD) image and configures a videowall that transmits it to another display device, the signal loss of the UHD original data input to the display device loss) and provide an implementation method for quickly transmitting to another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받은 고해상도 영상 콘텐츠의 신호 손실을 최소화하여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빠르게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in which the display apparatus minimizes signal loss of high-resolution image content received from an external apparatus and transmits it to another display apparatus quickl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은, 외부로부터 고해상도 영상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영상 콘텐츠의 해상도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해상도를 바탕으로 상기 수신된 영상 콘텐츠를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대역폭(bandwidth)을 판단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콘텐츠를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처리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대역폭(bandwidth)을 바탕으로 상기 결정된 처리 모드에 따라 처리된 영상 콘텐츠를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control method of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high-resolution image content from the outside; determining the resolution of the received video content; determining a bandwidth for transmitting the received image content to another display device based on the determined resolution, and determining a processing mode for transmitting the received image content to the other display device; and transmitting the image content process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rocessing mode to the other display device based on the determined bandwidth.
또한, 상기 수신된 영상 콘텐츠를 처리하는 영상 처리 단계; 상기 처리된 영상 콘텐츠 중 적어도 일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처리 모드는, 상기 수신된 영상 콘텐츠를 파싱(parsing)하지않고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pass through)하는 바이패스 모드 및 상기 처리된 영상 콘텐츠를 복원하여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리패키징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n image processing step of processing the received image content;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processed image content, wherein the processing mode is a bypass of passing through the received image content to the other display device without parsing it. mode and a repackaging mode in which the processed image content is restored and transmitted to the other display device.
그리고,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열 순서를 바탕으로 상기 바이패스 모드 및 상기 리패키징 모드 중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termining may include determining one of the bypass mode and the repackaging mode based on an arrangement order of the display device.
여기서, 상기 리패키징 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설정된 배열순서에서 정기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Here, the repackaging mode may operate regularly in a preset arrangement order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또한, 상기 처리된 영상 콘텐츠의 신호 손실률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된 신호 손실률에 따라 상기 바이패스 모드 및 상기 리패키징 모드 중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a signal loss rate of the processed image content, wherein the determining of the processing mode may include determining one of the bypass mode and the repackaging mod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ignal loss rate. there is.
그리고, 상기 처리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 손실률이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리패키징 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신호 손실률이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바이패스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The determining of the processing mode may include determining the repackaging mode when the signal loss rat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value, and determining the bypass mode when the signal loss rate is less than a preset value.
또한, 상기 대역폭(bandwidth)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영상 콘텐츠의 해상도가 제1 해상도인 경우, 상기 대역폭(bandwidth)을 제1 비트레이트(High Bit Rate1, HBR1)로 판단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콘텐츠의 해상도가 제2 해상도인 경우, 상기 대역폭(bandwidth)을 제2 비트레이트(High Bit Rate2, HBR2)로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termining of the bandwidth may include determining the bandwidth as a first bit rate (High Bit Rate1, HBR1) when the resolution of the received video content is a first resolution, and When the resolution of the video content is the second resolution, the bandwidth may be determined as the second bit rate (High Bit Rate2, HBR2).
그리고,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처리된 영상 콘텐츠를 수신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수신(Rx) 단자, 송신(Tx)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eiving may include receiving the processed image content through a display interface for transmission to another display device, and the display interface may include a receiving (Rx) terminal and a transmitting (Tx) terminal.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처리된 영상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비디오 월(videowall)에 포함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may be included in a video wall that displays the processed image content.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영상 입력부; 및 상기 영상 입력부를 통해 수신된 고해상도 영상 콘텐츠의 해상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해상도를 바탕으로 상기 수신된 영상 콘텐츠를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대역폭(bandwidth)을 판단하며, 상기 수신된 영상 콘텐츠를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처리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판단된 대역폭(bandwidth)을 바탕으로 상기 결정된 처리 모드에 따라 처리된 영상 콘텐츠를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영상 입력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apparatus includes: an image input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and determining the resolution of the high-resolution image content received through the image input unit, and determining a bandwidth for transmitting the received image content to another display device based on the determined resolution, and the received image content A processor that determines a processing mode for transmitting , to the other display device, and controls the image input unit to transmit image content process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rocessing mode to the other display device based on the determined bandwidth includes ;
또한, 상기 수신된 영상 콘텐츠를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처리된 영상 콘텐츠 중 적어도 일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 모드는, 상기 수신된 영상 콘텐츠를 파싱(parsing)하지 않고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pass through)하는 바이패스 모드 및 상기 처리된 영상 콘텐츠를 복원(reconstruct)하여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리패키징 모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image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the received image content;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at least a portion of the processed image content, wherein the processing mode is a bypass mode in which the received image content is passed through to the other display device without parsing it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repackaging mode in which the processed image content is reconstructed and transmitted to the other display device.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열 순서를 바탕으로 상기 바이패스 모드 및 상기 리패키징 모드 중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may determine one of the bypass mode and the repackaging mode based on an arrangement order of the display device.
또한, 상기 리패키징 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설정된 배열순서에서 정기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Also, the repackaging mode may periodically operate in a preset arrangement order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영상 콘텐츠의 신호 손실률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신호 손실률에 따라 상기 바이패스 모드 및 상기 리패키징 모드 중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The processor may determine a signal loss rate of the received image content, and determine one of the bypass mode and the repackaging mod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ignal loss rate.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신호 손실률이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리패키징 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신호 손실률이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바이패스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Also, when the signal loss rat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value, the processor may determine the repackaging mode, and when the signal loss rate is less than a preset value, the processor may determine the bypass mode.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영상 콘텐츠의 해상도가 제1 해상도인 경우, 상기 대역폭(bandwidth)을 제1 비트레이트(High Bit Rate1, HBR1)로 판단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콘텐츠의 해상도가 제2 해상도인 경우, 상기 대역폭(bandwidth)을 제2 비트레이트(High Bit Rate2, HBR2)로 판단할 수 있다.And, when the resolution of the received image content is the first resolution, the processor determines the bandwidth as a first bit rate (High Bit Rate1, HBR1), and the resolution of the received image content is the second resolution. In the case of 2 resolution, the bandwidth may be determined as a second bit rate (High Bit Rate2, HBR2).
또한, 상기 영상 입력부는, 상기 처리된 영상 콘텐츠를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수신(Rx) 단자, 송신(Tx)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input unit may include a display interface for transmitting the processed image content to another display device, and the display interface may include a reception (Rx) terminal and a transmission (Tx) terminal.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처리된 영상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비디오 월에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may be included in a video wall that displays the processed image content.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비디오 월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 콘텐츠의 신호 손실을 최소화하고 고속으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device included in the video wall can minimize signal loss of image content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and transmit it to another display device at high spe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나타내는 블록도,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는 블록도,
도 4a 내지 도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된 해상도에 따른 대역폭(bandwidth)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5a 내지 도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된 해상도에 따른 영상 콘텐츠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로세서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B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determining a bandwidth according to an input resolu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cessing image content according to an input resolu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a processor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equence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The present embodiments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ion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disclosure.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rights.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it is understood that terms such as "comprises" or "consisting of" do not pre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should be
실시예에 있어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 'module' or 'unit' perform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In addition, a plurality of 'modules' or a plurality of 'units' are integrated into at least one module and implemented with at least one processor (not shown) except for 'modules' or 'units' that need to be implemented with specific hardware. can b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시스템(10)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8)가 연결되어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입력받은 고해상도 영상 콘텐츠를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8)에 디스플레이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 the
이때, 외부 소스 장치(50)는 컴퓨터, 호스트 기기,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8) 등의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시스템(10)은 복수의 FHD(Full High Definition) 및 UHD(Ultra High Definition) 해상도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루프 아웃(loop out) 형식으로 연결되는 LFD 비디오 월(Large Format Display Videowall)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이용하여 하나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이때,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8)는 각각의 고해상도 영상 콘텐츠(FHD 영상 또는 UHD 영상 등)를 고속으로 전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 전송되는 영상의 데이터의 신호가 손실되지 않을 필요가 존재한다. 만약,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기 100-8)가 수신한 각각의 신호 데이터가 현저하게 다를 경우, 디스플레이 시스템(10)을 시청하는 시청자는 왜곡된 영상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8)에 입력되는 각각의 신호 값이 왜곡되거나 손실되는 것을 줄이기 위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8)는 각각의 영상 콘텐츠를 제어할 필요가 존재한다.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display apparatuses 100-1 to 100-8 transmit image data signals to display each high-resolution image content (FHD image or UHD image, etc.) on th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소스 장치(50)에서 입력된 영상 콘텐츠의 해상도를 판단(FHD 및 UHD)하고, 판단된 해상도를 바탕으로 입력받은 영상 콘텐츠를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기 위한 대역폭(bandwidth)을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콘텐츠의 해상도가 제1 해상도인 경우, 대역폭(bandwidth)을 제1 비트레이트(High Bit Rate1, HBR1)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콘텐츠의 해상도가 제2 해상도인 경우, 대역폭(bandwidth)을 제2 비트레이트(High Bit Rate2, HBR2)로 판단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콘텐츠를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8)로 전송하기 위한 처리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처리 모드는, 바이패스 모드 또는 리패키징 모드일 수 있다. 바이패스 모드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콘텐츠를 파싱(parsing)하지 않고 판단된 비트레이트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로 전달(pass through)하여 온타임(ontime)을 줄이는 모드이다. 한편, 리패키징 모드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콘텐츠를 판단된 비트레이트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로 전송할 때, 처리된 영상 콘텐츠를 복원하여 전송하는 모드이다. 리패키징 모드는 바이패스 모드와 비교하여 온타임(ontime)은 길지만 손실된 신호를 복원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처리 모드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8)가 행렬의 배열로 구성된 비디오 월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열 위치를 바탕으로 상기 바이패스 모드 및 상기 리패키징 모드 중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The processing mode of the
리패키징 모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된 영상의 신호 손실을 방지하거나, 손실된 신호를 복원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8) 중에서 기설정된 배열 순서에서 정기적으로 동작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The repackaging mode may be determined to be regularly operated in a preset arrangement order among the display apparatuses 100-1 to 100-8 in order to prevent signal loss of an image processed by the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비디오 월 내에서 배열 위치에 관계없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처리한 영상 콘텐츠의 신호 손실률에 따라 바이패스 모드 및 리패키징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처리한 영상 콘텐츠의 신호 손실률이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처리 모드는 처리된 영상의 신호 손실을 복원하여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로 전송하는 리패키징 모드일 수 있다. 한편,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처리한 영상 콘텐츠의 신호 손실률이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처리 모드는 처리된 영상을 파싱(parsing)하지 않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로 전달(pass through)하는 바이패스 모드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bypass mode and the repackaging mode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 signal loss rate of the image content processed by the
도 1을 참조하여,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고해상도의 영상을 입력받고, 입력된 영상 콘텐츠의 해상도(예를 들어, FHD 또는 UHD 등)를 판단한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판단된 해상도를 바탕으로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수신한 영상 콘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로 전송하기 위한 대역폭(bandwidth)을 판단한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수신한 영상 콘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로 전송하기 위한 처리 모드를 결정하고, 위에서 판단된 대역폭(bandwidth)을 바탕으로 결정된 처리 모드에 따라 처리된 영상 콘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로 전송한다. Referring to FIG. 1 , the first display apparatus 100 - 1 receives a high-resolution image from the
그리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제1디스플레이 장치(100-1)에서 처리된 영상 콘텐츠를 입력받는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로부터 입력받은 영상의 해상도를 판단한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판단된 해상도를 바탕으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콘텐츠를 제3 디스플레이(100-3)으로 전송하기 위한 대역폭(bandwidth)를 판단한다. 또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로부터 수신한 영상 콘텐츠를 제3 디스플레이 장치(100-3)으로 전송하기 위한 처리 모드를 결정하고, 판단된 대역폭을 바탕으로 결정된 처리 모드에 따라 처리된 영상 콘텐츠를 제3 디스플레이 장치(100-3)으로 전송한다.Then, the second display apparatus 100 - 2 receives the image content processed by the first display apparatus 100 - 1 . The second display apparatus 100 - 2 determines the resolution of the image received from the first display apparatus 100 - 1 . The second display apparatus 100 - 2 determines a bandwidth for transmitting the image content received from the first display apparatus 100 - 1 to the third display 100 - 3 based on the determined resolution. . Also, the second display apparatus 100-2 determines a processing mode for transmitting the image content received from the first display apparatus 100-1 to the third display apparatus 100-3, and uses the determined bandwidth. The image content processed according to the processing mode determined based on the background is transmitted to the third display apparatus 100 - 3 .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비디오 월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8)는 각각 외부 소스 장치(50)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8)로부터 고해상도의 영상을 입력받고, 입력된 영상의 해상도를 판단한다.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8)는 판단된 해상도를 바탕으로 각각 수신된 영상을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8)로 전송하기 위한 대역폭을 판단하며, 각각 수신된 영상 콘텐츠를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8)로 전송하기 위한 처리 모드를 결정하고, 판단된 대역폭(bandwidth)을 바탕으로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8)에서 결정된 처리 모드에 따라 처리된 영상 콘텐츠를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8)로 전송한다.Accordingly,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display apparatuses 100-1 to 100-8 constituting the video wall are th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비디오 월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소스 장치(10)로부터 수신된 영상 콘텐츠의 신호 손실을 최소화하고 고속으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8)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 입력부(110)와 프로세서(120)를 포함한다.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영상 입력부(110)는 외부 소스 장치(50)와 통신을 수행한다. 특히, 영상입력부(110)는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영상 콘텐츠를 수신받을 수 있다. 이때, 외부 소스 장치는 예를 들어, 컴퓨터, 호스트 기기,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또한, 영상입력부(11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영상을 입력받아 처리한 영상 콘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로 전송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수신(Rx) 단자, 송신(Tx)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콘텐츠를 처리하는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특히, 프로세서(120)는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입력된 영상 콘텐츠의 해상도를 판단한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판단된 영상의 해상도를 바탕으로 처리된 영상을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8)로 전송하기 위한 대역폭(bandwidth)을 판단한다. The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판단한 대역폭을 바탕으로 처리하는 영상콘텐츠의 신호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처리 모드를 결정한다. 프로세서(120)는 바이패스 모드와 리패키징 모드의 처리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바이패스 모드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콘텐츠를 파싱(parsing)하지 않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로 전달(pass through)하는 모드이다. 리패키징 모드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입력받아 처리한 영상을 복원(reconstruct)하여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로 전송하는 모드이다. Then, the
또한,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행렬의 구성으로 배열된 비디오 월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열 위치를 바탕으로 상기 바이패스 모드 및 상기 리패키징 모드 중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특정 배열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리패키징 모드를 정기적으로 결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Also, in a video wall in which a plurality of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된 영상 콘텐츠의 신호 손실률을 판단하고, 판단된 신호 손실률에 따라 바이패스 모드 및 리패키징 모드 중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처리한 영상의 신호 손실률이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처리 모드를 리패키징 모드로 결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처리한 영상의 신호 손실률이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처리 모드를 바이패스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영상 입력부(210), 영상 처리부(220), 디스플레이부(230), 메모리(240), 오디오 출력부(250), 입력부(260), 통신부(270) 및 프로세서(280)를 포함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영상 입력부(21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영상입력부(210)는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FHD 또는 UHD 등의 고해상도 영상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영상입력부(21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서 프로세서(120)를 통해 처리된 영상 콘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로 송수신할 수 있다.The
또한, 영상 입력부(21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영상을 입력받아 처리한 영상 콘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로 전송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수신(Rx) 단자, 송신(Tx)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영상입력부(210)는 고해상도 영상의 스트림 전송을 지원하는 DP1.2(Display Port)와 같이 수신단자(Rx)와 송신단자(Tx)를 포함하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DP1.2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일 실시예일 뿐, 고해상도 영상의 스트림 전송을 지원하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변형 구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영상 처리부(220)는 영상 입력부(210)로부터 획득된 영상 데이터에 대한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영상 처리부(220)는 영상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영상 처리부(220)는 프로세서(120)를 통해 처리된 영상 콘텐츠를 처리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부(230)는 프로세서(120)를 통해 처리되어 영상입력부(210)로부터 수신된 영상 콘텐츠 및 그래픽 처리부(283)로부터 처리된 다양한 UI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230)는 프로세서(120)에서 처리된 영상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한다. The display unit 230 displays at least one of image content processed through the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비디오 월 중 일 구성으로 구현될 때, 디스플레이부(230)는 입력된 영상 콘텐츠 중 일부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In particular, when the
메모리(24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240)에는 베이스 모듈, 센싱 모듈, 통신 모듈, 프리테이션 모듈, 웹브라우저 모듈, 서비스 모듈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모듈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포함된 각 하드웨어들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위 레이어 모듈로 전달하는 기초 모듈이다. 센싱 모듈은 각종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및 관리하는 모듈로서, 얼굴 인식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NFC 인식 모듈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리젠테이션 모듈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모듈로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 UI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UI 렌더링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웹 브라우저 모듈은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여 웹 서버에 액세스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서비스 모듈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모듈이다. The
특히, 메모리(24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콘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로 전송할 때, 전송되는 데이터의 신호 손실을 최소화하고 영상이 처리되는 온타임(on time) 속도를 최대한 빠르게 유지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들을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240)는 수신 모듈, 해상도 판단 모듈, 대역폭 판단 및 처리 모드 결정 모듈을 저장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더욱 구체적으로, 수신 모듈은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영상이 입력되는 것을 판단한다. 그리고, 해상도 판단 모듈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입력받은 해상도가 FHD인지 UHD인지 판단한다. 또한, 대역폭 판단 및 처리 모드 결정 모듈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입력받은 해상도를 바탕으로 수신된 영상을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로 전송하기 위한 대역폭을 판단하고, 판단된 대역폭을 바탕으로 바이패스 모드 또는 리패키징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처리 모드를 결정한다. More specifically, the receiving module determines that an image is input from the
이때, 처리 모드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수신된 영상 콘텐츠를 파싱(parsing)하지않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로 전달(pass through)하는 바이패스 모드 및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처리된 영상 콘텐츠를 복원하여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로 전송하는 리패키징 모드일 수 있다.In this case, in the processing mode, the first display apparatus 100 - 1 passes through the image content received from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240)는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각종 프로그램 모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일부 생략되거나 변형 또는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상술한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태블릿 PC로 구현된 경우, 베이스 모듈에는 GPS 기반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위치 판단 모듈을 더 포함하며, 센싱 모듈에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싱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오디오 출력부(250)는 오디오 처리부(미도시)에서 처리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구성이다.The
입력부(26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는다. 한편, 입력부(280)는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기 위하여, 리모컨, 음성 입력부, 모션 입력부, 포인팅 디바이스 등과 같은 다양한 입력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The
통신부(270)는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칩, 무선 통신 칩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 칩은 각각 LAN 방식,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이 중 NFC 칩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 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The
프로세서는(280)는 메모리(2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28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RAM(281), ROM(282), 그래픽 처리부(283), 메인 CPU(28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85-1 ~ 285-n), 버스(286)를 포함한다. 이때, RAM(281), ROM(282), 그래픽 처리부(283), 메인 CPU(28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85-1 ~ 285-n) 등은 버스(28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The
ROM(28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 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284)는 ROM(28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메모리(240)에 저장된 O/S를 RAM(28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284)는 메모리(24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281)에 복사하고, RAM(28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The
그래픽 처리부(283)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포인터,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는 입력부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23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The
메인 CPU(284)는 메모리(240)에 액세스하여, 메모리(24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인 CPU(284)는 메모리(2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콘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The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85-1 내지 28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The first to n-th interfaces 285-1 to 285-n are connected to the various components described above. One of the interfaces may be a network interfac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a network.
특히, 프로세서(28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콘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로 전송할 때, 전송되는 영상의 신호 손실을 최소화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온타임(on time) 속도를 최대한 빠르게 유지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In particular, the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8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의 해상도를 판단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입력받은 영상의 해상도를 바탕으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서 처리된 영상을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로 전송하기 위한 대역폭을 판단한다. Specifically, the
또한, 프로세서(28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서 판단된 대역폭을 바탕으로 영상 콘텐츠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 모드를 바이패스 모드 또는 리패키징 모드 중 하나를 결정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서 판단된 대역폭(bandwidth)을 바탕으로 결정된 처리 모드에 따라 처리된 영상 콘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로 전송하도록 영상 입력부(210)를 제어한다.Also, th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8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콘텐츠의 해상도가 FHD인지 UHD인지 판단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고해상도 영상 콘텐츠를 입력받을 때, 프로세서(280)는 FHD 또는 UHD 각각의 영상 콘텐츠의 원본 해상도를 자동 인식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다시 말해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UHD 해상도의 영상 콘텐츠를 입력받을 때, 프로세서(280)는 입력받은 UHD 데이터를4개의 FHD해상도 영상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여 대역폭을 줄이지(reduced bandwidth) 않고 UHD 해상도 원본 데이터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when the first display device 100 - 1 receives UHD resolution image content from the
또한, 프로세서(28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서 판단된 해상도를 바탕으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로 전송하기 위한 대역폭(bandwidth)을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 FHD 해상도의 영상 콘텐츠가 입력 시, 프로세서(280)는 대역폭을 제1 비트레이트(HBR1) 값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 UHD 해상도의 영상 콘텐츠가 입력 시, 프로세서(280)는 대역폭을 제2 비트레이트(HBR2) 값으로 판단한다. In additio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고해상도 영상의 스트림 전송을 지원하는 DP1.2(Display Port 1.2)를 이용한 LFD 비디오 월(Large Format Display Videowall)을 구현할 때, DP1.2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서 처리한 영상 콘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로 전송하기 위한 비트레이트를 3가지 경우 (1 lane, 2 lane, 4 lane)로 제공한다. 이 때, 각 레인당 비트레이트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입력된 영상 콘텐츠의 해상도에 따라 다르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lurality of
즉,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FHD 영상 콘텐츠를 입력받을 경우, DP1.2는 각 레인당 2.7기가비트/초(2.7Gbit/s)를 제공한다. 이때, 프로세서(28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 입력된 FHD 영상을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로 전송하기 위한 대역폭으로 DP1.2의 각 레인당 2.7기가비트/초를 제1 비트레이트(HBR1)로 판단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first display device 100 - 1 receives FHD image content from the
한편,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UHD 영상 콘텐츠를 입력받을 경우, DP1.2는 각 레인당 5.4기가비트/초(5.4Gbit/s)를 제공한다. 이때, 프로세서(28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 입력된 UHD 영상을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로 전송하기 위한 대역폭으로 DP1.2의 각 레인당 5.4기가비트/초를 제2 비트레이트(HBR2)로 판단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first display device 100 - 1 receives UHD image content from the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UHD보다 더 높은 해상도의 영상 콘텐츠를 입력받을 경우에도, 프로세서(28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 입력된 영상 콘텐츠의 원본 해상도를 유지하면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서 처리된 영상을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로 전송할 수 있다. Here,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first display device 100 - 1 receives image content having a higher resolution than UHD from the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DP1.3(Display Port 1.3)은 UHD보다 고해상도의 영상의 전송을 위하여 각 레인당 8.1기가비트/초(8.1Gbit/s)인 제3 비트레이트(High Bit Rate3, HBR3)를 제공한다. 따라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UHD 해상도 이상의 영상을 입력받을 경우, 프로세서(28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서 처리한 영상 데이터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로 전송하기 위한 대역폭을 각 레인당 8.1 기가비트/초를 지닌 제3 비트레이트 (High Bit Rate3, HBR3)로 판단될 수 있다.Specifically, for example, DP1.3 (Display Port 1.3) has a third bit rate (High Bit Rate3, HBR3) of 8.1 Gbit/s (8.1 Gbit/s) per lane for transmission of images with higher resolution than UHD. provides Accordingly, when the first display apparatus 100 - 1 receives an image of UHD resolution or higher from the
그리고 프로세서(28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판단된 대역폭(bandwidth)을 바탕으로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수신된 영상콘텐츠를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8)로 전송하기 위한 처리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처리 모드는 바이패스 모드 또는 리패키징 모드 중 하나이다. The
바이패스 모드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콘텐츠를 파싱(parsing)하지 않고 판단된 비트레이트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로 전달(pass through)하여 온타임(ontime)을 줄이는 모드이다. 한편, 리패키징 모드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콘텐츠를 판단된 비트레이트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로 전송할 때, 처리된 영상 콘텐츠를 복원하여 전송하는 모드이다.In the bypass mode, the first display device 100-1 passes the image content input from the
이 때, 바이패스 모드는 온타임이 짧아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데이터를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8)로 빠르게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 편, 리패키징 모드는 처리된 영상 콘텐츠의 신호 손실을 복원하는 과정에서 온타임은 바이패스보다 길다. 그러나, 리패키징 모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데이터를 복원하여 전송되는 영상 콘텐츠의 신호 손실을 최소화하여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8)로 전송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bypass mode has a short on-time, so that the
따라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이루어진 비디오 월에서 고해상도 영상 콘텐츠를 전송할 때, 바이패스 모드와 리패키징 모드를 가변조합하여 신호 손실을 최소화하고 고속으로 영상콘텐츠를 전송하여 비디오 월에 영상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ransmitting high-resolution image content in a video wall composed of a plurality of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고해상도 영상의 스트림 전송을 지원하는 DP1.2(Display Port)로 구현하는 비디오 월에서, DP1.2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서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콘텐츠를 패킷 형태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로 전송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가 이전 값과 비교하여 간헐적인 데이터 붕괴(intermittent data corruption)가 있을 경우 (신호 손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리패키징 모드로 수신받은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손실된 데이터를 복원(reconstruct)하고 복원한 데이터를 다시 패킹(packing)하여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로 전송할 수 있다.Specifically, for example, in a video wall implemented with DP1.2 (Display Port) supporting stream transmission of high-resolution images, DP1.2 is input from th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DP 1.2(Display Port 1.2) 뿐 아니라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및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등과 같은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여러 가지 소스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패키징 모드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다양한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여러 가지 소스 신호를 입력 받더라도,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DPCD(Display Port Configuration Data)를 갖는 DP1.2 신호를 출력하여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isplay apparatus 100 - 1 provides a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and a digital visual interface (DVI) as well as a display port 1.2 (DP 1.2) from the
구체적으로, DP 1.2를 구성하는 AUX 채널(AUX CH)은, DP 1.2로 연결된 소스 장치(50)와 싱크 장치(100-1)의 링크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다. 이때, 링크 서비스는 DP1.2를 통해 연결된 소스 장치(50)와 싱크 장치(100-1) 사이의 링크의 발견, 구성, 유지를 위해 사용된다. AUX 채널은 링크 서비스들을 이용하기 위해서 DPCD (DisplayPort Configuration Data)에 액세스(access)를 읽고/기록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AUX channels constituting DP 1.2 may manage link services of the
여기서, DPCD(Display Port Configuration Data)는 DP1.2가 연결된 싱크 디바이스(100-1)의 디스플레이 포트 주소 영역에 매핑된 데이터이다. DP1.2로 연결된 소스 디바이스(50)는 DPCD 주소로부터 디스플레이 포트 링크와 싱크 디바이스(100-1)의 상태 및 신호 수신 가능성을 읽을 수 있다. Here, DPCD (Display Port Configuration Data) is data mapped to the display port address area of the sink device 100-1 to which DP1.2 is connected.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디바이스(100-1)가 다양한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호를 입력받더라도, 제1 디바이스(100-1)는 DPCD를 갖는 DP1.2 신호를 제2 디바이스(100-2)에 출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디바이스(100-2)가 DP1.2가 아닌 다른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소스장치(50)로부터 입력 받은 영상 콘텐츠를 제2 디바이스(100-2)로 전송할 때, 제2 디바이스(100-2)는 추가적으로 HDMI 및 DVI등과 같은 다른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신호를 DP1.2 신호로 변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비디오 월에서 영상 콘텐츠의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first device 100-1 receives a signal through various digital interfaces, the first device 100-1 transmits the DP1.2 signal having the DPCD to the second device. It can be implemented to output to (100-2). Accordingly, when the first device 100-2 transmits the image content input from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바이패스 모드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콘텐츠를 처리하여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로 전달하는 속도는 빠르다. 그러나,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8)에서 연속으로 바이패스 모드로 입력받은 영상 콘텐츠를 처리할 경우, 누적된 신호 손실로 인하여 특정 위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n)에서 영상의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n=1, 2, 3,..., n)As described above, in the bypass mode, the speed at which the first display apparatus 100 - 1 processes the image content received from the
따라서, 프로세서(280)는, 상술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8)의 배열이 행렬로 구성된 비디오 월에서, 기 결정된 배열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장치(100-n번째)에서는 정기적으로 리패키징 모드로 결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그리고, 프로세서(28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8)의 위치 배열에 관계없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콘텐츠의 신호 손실률을 판단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처리한 영상의 신호손실률이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리패키징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8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처리한 영상의 신호 손실률이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바이패스 모드로 결정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And, the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콘텐츠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서 DP1.2의 패킷 형태로 데이터를 변형하는 과정에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 입력된 해상도에 상관없이 신호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8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서 발생하는 영상 데이터의 신호 손실률을 판단하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처리한 영상의 신호 손실률이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손실된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하여 리패키징 모드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process of transforming the image content received from the
그리고, 프로세서(280)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에서 온타임을 줄이기 위해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제1 디스플레이에서 처리한 영상 콘텐츠를 수신받아 데이터를 파싱하지 않고 제3 디스플레이 장치(100-3)로 전달(pass though)하는 바이패스 모드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Then, in order to reduce the on-time in the second display device 100-2, the
이하에서는 도 4a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 및 도4b는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4)에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입력된 영상을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기 위하여 입력된 영상의 해상도에 따른 대역폭(bandwidth)을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A to 5B . 4A and 4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for determining a bandwidth according to the resolution of an image input to the display apparatuses 100-1 to 100-4 in order to transmit an image input from the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입력된 영상 콘텐츠의 해상도를 판단한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판단된 해상도를 바탕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처리한 영상 콘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로 전송하기 위한 비트레이트를 판단한다.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 입력된 영상의 해상도가 FHD인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제1 비트레이트를 판단하고, 입력된 영상의 해상도가 UHD인 경우에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제2 비트레이트를 판단한다. The first display apparatus 100 - 1 determines the resolution of the image content input from the
도 4a를 참조하여, 제1 디스플레이(100-1)가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FHD해상도 영상을 입력받을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제 4 디스플레이 장치(100-4)는 제1 비트레이트(HBR1)로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4)에서 처리된 영상 콘텐츠를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4)로 전송한다. Referring to FIG. 4A , when the first display 100-1 receives an FHD resolution image from the
한편,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UHD 해상도의 영상 콘텐츠 입력받을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4)는 각각 제2 비트레이트(HBR2)로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4)에서 처리된 영상을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4)로 전송하게 된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4B , when the first display device 100-1 receives an image content of UHD resolution from the
그러나 상술한 예들은 하나의 실시예일 뿐, 입력된 해상도에 따라 변형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로부터 제1 디스플레이(100-1) 내지 제2 디스플레이(100-2)에서는 FHD를 입력받을 경우,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2)는 제1 비트레이트(HBR1)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3 디스플레이(100-3)에서 UHD데이터를 입력받을 시, 제3 디스플레이(100-3) 장치에서 비트레이트 값은 제2 비트레이트(HBR2)가 전송될 수 있다. However, the above-described examples are merely exemplary, and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input resolution. For example, when FHD is received from the first display 100-1 to the second display 100-2 from the external device, each display device 100-1 to 100-2 transmits the first bit rate ( HBR1). Also, when UHD data is received from the third display 100 - 3 , the second bit rate HBR2 may be transmitted as a bit rate value from the device of the third display 100 - 3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제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입력된 해상도를 바탕으로 판단된 대역폭(bandwidth)을 바탕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한 영상을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4)로 전송하기 위한 처리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5A and 5B , more specifically, based on a bandwidth determined based on a resolution input to the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은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입력된 영상의 해상도를 바탕으로 판단된 대역폭(bandwidth)에 따라 영상콘텐츠를 처리하는 처리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처리 모드는 바이패스 모드 또는 리패키징 모드 중 하나이다. The first display apparatus 100 - 1 may determine a processing mode for processing image content according to a bandwidth determined based on the resolution of the image input from the
여기서, 바이패스 모드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콘텐츠를 파싱(parsing)하지 않고 판단된 비트레이트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로 전달(pass through)하여 온타임(ontime)을 줄이는 모드이다. 한편, 리패키징 모드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콘텐츠를 판단된 비트레이트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로 전송할 때, 처리된 영상 콘텐츠를 복원하여 전송하는 모드이다. Here, in the bypass mode, the first display apparatus 100 - 1 transmits the image content input from the
이 때, 바이패스 모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온타임이 짧아 데이터를 빠르게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 편, 리패키징 모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된 영상 콘텐츠의 신호 손실을 복원하는 과정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온타임은 바이패스보다 길어지나 처리된 데이터를 복원하여 신호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bypass mode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on-time of th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예를 들어, DP 1.2(Display Port 1.2)를 통해 구현한 비디오 월에서, 리패키징 모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DPCD(Display Port Configuration Data)를 갖는 DP1.2 신호를 출력하여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데이터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n a video wall implemented through DP 1.2 (Display Port 1.2), the repackaging mode is DP1. 2 may be implemented to output a signal and transmit it to another display device to improve data processing speed.
따라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행렬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비디오 월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입력된 고해상도 영상 콘텐츠를 다른 디스플레이 전송할 때, 바이패스 모드와 리패키징 모드를 가변조합하여 신호 손실을 최소화하고 고속으로 영상콘텐츠를 전송하여 비디오 월에 영상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설정된 배열의 위치에서 정기적으로 리패키징 모드를 결정하고 손실된 신호를 복원(reconstruct)하여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4)로 처리된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In this case, a repackaging mode is periodically determined at a location of a preset arrangement of the
그리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위치 배열에 관계없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입력받아 처리한 영상콘텐츠의 신호 손실률을 판단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처리한 데이터의 신호 손실률이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 모드는 리패키징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처리한 데이터의 신호 손실률이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 모드는 바이패스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5a를 참조하여,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DP1.2 뿐 아니라 HDMI 및 DVI 등과 같은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FHD해상도 영상을 입력 받을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입력 받은 영상 데이터의 신호 손실을 복원하여 제2디스플레이 장치(100-2)로 전송하기 위하여 리패키징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 5A , the first display device 100-1 displays an FHD resolution image from the
또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다양한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FHD 해상도 영상에 대한 여러 가지 소스 신호를 입력 받더라도,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DPCD(Display Port Configuration Data)를 갖는 DP1.2 신호를 출력하여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도록 리패키징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서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입력 받은 영상 데이터를 리패키징 모드로 처리하여, 입력 받은 영상 데이터의 신호 손실을 줄일 뿐 아니라 영상 데이터의 처리 속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Also, even when the first display device 100-1 receives various source signals for FHD resolution images from the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파싱(parsing)하지 않고 제3 디스플레이 장치(100-3)로 전달(pass through)하여 온타임(ontime)을 짧게 유지하는 바이패스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제3 디스플레이 장치(100-3)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파싱하지 않고 제4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로 전달하여 온타임을 짧게 유지하는 바이패스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The second display apparatus 100 - 2 passes through the data processed by the first display apparatus 100 - 1 to the third display apparatus 100 - 3 without parsing it, and passes it through ontime. ) can be determined as a bypass mode that keeps the The third display apparatus 100-3 may determine the bypass mode for keeping the on-time short by transmitting the data processed by the second display apparatus 100-1 to the fourth display apparatus (not shown) without parsing it. there is.
제n 디스플레이 장치(100-n)는 제n-1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에서 처리한 데이터의 신호 손실을 복원하여 제n+1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로 전송하기 위하여 리패키징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제 n+1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부터 제 N-1 장치(미도시)는 입력 받은 데이터를 파싱하지 않고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로 전달(pass through)하여 온타임(ontime)을 짧게 유지하는 바이패스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비디오 월의 최종 디스플레이 장치인 제N 디스플레이 장치(100-N)는 바이패스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The n-th display device 100-n may determine a repackaging mode to restore signal loss of data processed by the n-1 th display device (not shown) and transmit it to the n+1-th display device (not shown). there is. The n+1th display device (not shown) to the N-1th device (not shown) pass through the input data to another display device (not shown) without parsing the input data to keep the ontime short. The bypass mode can be determined. Finally, the N-th display apparatus 100 -N, which is the final display apparatus of the video wall, may determine the bypass mo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5b를 참조하여,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DP1.2 뿐 아니라 HDMI 및 DVI 등과 같은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UHD해상도 영상을 입력 받을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입력 받은 영상 데이터의 신호 손실을 복원하여 제2디스플레이 장치(100-2)로 전송하기 위하여 리패키징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B , the first display device 100-1 displays UHD resolution images from the
또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다양한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UHD 해상도 영상에 대한 여러 가지 소스 신호를 입력 받더라도,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DPCD(Display Port Configuration Data)를 갖는 DP1.2 신호를 출력하여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도록 리패키징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서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입력 받은 영상 데이터를 리패키징 모드로 처리하여, 입력 받은 영상 데이터의 신호 손실을 줄일 뿐 아니라 영상 데이터의 처리 속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Also, even if the first display device 100 - 1 receives various source signals for UHD resolution images from the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파싱(parsing)하지 않고 제3 디스플레이 장치(100-3)로 전달(pass through)하여 온타임(ontime)을 짧게 유지하는 바이패스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제3 디스플레이 장치(100-3)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파싱하지 않고 제4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로 전달하여 온타임을 짧게 유지하는 바이패스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The second display apparatus 100 - 2 passes through the data processed by the first display apparatus 100 - 1 to the third display apparatus 100 - 3 without parsing it, and passes it through ontime. ) can be determined as a bypass mode that keeps the The third display apparatus 100-3 may determine the bypass mode for keeping the on-time short by transmitting the data processed by the second display apparatus 100-1 to the fourth display apparatus (not shown) without parsing it. there is.
제n 디스플레이 장치(100-n)는 제n-1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에서 처리한 데이터의 신호 손실을 복원하여 제n+1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로 전송하기 위하여 리패키징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제 n+1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부터 제 N-1 장치(미도시)는 입력 받은 데이터를 파싱하지 않고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로 전달(pass through)하여 온타임(ontime)을 짧게 유지하는 바이패스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비디오 월의 최종 디스플레이 장치인 제N 디스플레이 장치(100-N)는 바이패스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The n-th display device 100-n may determine a repackaging mode to restore signal loss of data processed by the n-1 th display device (not shown) and transmit it to the n+1-th display device (not shown). there is. The n+1th display device (not shown) to the N-1th device (not shown) pass through the input data to another display device (not shown) without parsing the input data to keep the ontime short. The bypass mode can be determined. Finally, the N-th display apparatus 100 -N, which is the final display apparatus of the video wall, may determine the bypass mode.
그러나, 도 5a 및 도 5b에서 도시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일 실시예들일 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FHD또는 UHD의 영상을 입력 받을 경우, 제1디스플레이 장치(100-1)에서는 리패키징 모드를 결정,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에서는 바이패스 모드를 결정, 제3 디스플레이 장치(100-3)에서는 바이패스 모드를 결정하고 제4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설정된 배열 위치에서 리패키징 모르를 결정하는 등 다양한 가변조합으로 구현할 수 있다. However, the embodiments shown in FIGS. 5A and 5B are only exemplary embodi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lthough not shown, the first display device 100 - 1 provides an FHD or UHD display from the
구체적으로, 예시적인 목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FHD 영상을 입력받은 경우, 제n 디스플레이 장치(100-n)마다 리패키징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시적인 목적으로, n은 1부터 100의 숫자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 100개가 비디오 월로 연결되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리패키징 모드가 정기적으로 설정되는 장치의 배열 위치는 n=8, 16, 24,...,100 등의 8의 배수의 위치에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100-8n)로 결정할 수 있다. Specifically, for example, when the first display apparatus 100 - 1 receives the FHD image from the
한편,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UHD의 영상을 입력받은 경우, 제n 디스플레이 장치(100-n)마다 리패키징 모드를 적용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예시적인 목적으로, n은 1부터 25의 숫자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 25개가 비디오 월로 연결되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리패키징 모드가 정기적으로 설정되는 장치의 배열 위치는 n=12, 24 등의 12의 배수의 위치에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100-12n)로 결정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first display apparatus 100 - 1 receives a UHD image from the
또한, 다른 실시 예로(미도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서는 리패키징 모드를 결정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에서는 신호 손실률에 따른 처리 모드 결정방법에 따라 바이패스 모드 또는 리패키징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not shown), the first display apparatus 100-1 determines the repackaging mode, and the second display apparatus 100-2 determines the bypass mode according to the processing mode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signal loss rate. Alternatively, a repackaging mode may be determined.
상술한 예시들은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일 실시예일 뿐,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설정된 배열의 위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처리한 데이터의 신호 손실률을 바탕으로 바이패스 모드와 리패키징 모드를 다양한 방법으로 가변조합하여 처리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examples are only one embodiment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ypass mode and the repackaging mode are selected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preset arrangement of the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the
우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 입력부(110)를 통해서 수신된 영상콘텐츠(s610)의 해상도를 판단한다(s62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콘텐츠의 원본 해상도 데이터(FHD 및 UHD)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판단된 해상도를 바탕으로 상기 수신된 영상 콘텐츠를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8)로 전송하기 위한 대역폭(bandwidth)을 결정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콘텐츠를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8)로 전송하기 위한 처리 모드를 결정한다(s630). First, the
이때, 처리 모드는 바이패스 모드 또는 리패키징 모드 중 하나이다. 바이패스 모드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콘텐츠를 파싱(parsing)하지 않고 판단된 비트레이트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로 전달(pass through)하여 온타임(ontime)을 줄이는 모드이다. 한편, 리패키징 모드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콘텐츠를 판단된 비트레이트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로 전송할 때, 처리된 영상 콘텐츠를 복원하여 전송하는 모드이다. At this time, the processing mode is either a bypass mode or a repackaging mode. In the bypass mode, the first display device 100-1 passes the image content input from the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설정된 배열의 위치에서 정기적으로 리패키징 모드를 결정하고 손실된 신호를 복원(reconstruct)하여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8)로 처리된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repackaging mode is periodically determined at a predetermined arrangement position of the
그리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치 배열에 관계없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입력받아 처리한 영상콘텐츠의 신호 손실률을 판단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처리한 데이터의 신호 손실률이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 모드는 리패키징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처리한 데이터의 신호 손실률이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 모드는 바이패스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And, regardless of the positional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의 해상도에 따라 판단된 대역폭(bandwidth)을 바탕으로 결정된 처리 모드에 따라 처리된 영상 콘텐츠를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8)로 전송한다(s640). In addition, the
따라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행렬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비디오 월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입력된 고해상도 영상 콘텐츠를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8)로 전송할 때, 바이패스 모드와 리패키징 모드를 가변조합하여 루프아웃 온타임(loop out on time)을 최대한 짧게 유지하고 신호 손실을 최소화하여 비디오 월 전체에 동일한 고해상도의 영상 콘텐츠를 빠르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Accordingly, in a video wall in which a plurality of
여기서, 루프아웃 온타임(loop out on time)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연결된 비디오 월에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화면이 켜진 후,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의 화면이 켜지기 전까지의 시간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처리 모드를 가변조합함으로써,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서로 연결된 비디오 월에서 첫번째 세트부터 마지막 세트까지 모두 화면이 켜지는데 걸리는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Here, the loop out on time is the second display device 100-2 after the scree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100-1 is turned on in the video wall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0)이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콘텐츠를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우선, 외부 소스 장치(50)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 영상 콘텐츠를 전송한다(s710). 이때,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은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외부 소스 장치(5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에 연결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입력(Rx) 및 출력(Tx) 단자를 통하여 처리된 영상 콘텐츠의 비트레이트를 전송할 수 있다. FIG. 7 is a sequence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the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수신한 영상 콘텐츠의 해상도를 판단(s720)하고 해당 영상 콘텐츠는 디스플레이한다(s730). Then, the first display apparatus 100-1 determines the resolution of the image content received from the external source apparatus 50 (s720) and displays the image content (s730).
또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영상 콘텐츠의 판단된 해상도를 바탕으로 처리된 영상을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로 전송하기 위한 대역폭(bandwidth)을 판단하고 처리 모드를 결정한다(s740). 구체적으로, 처리모드는 바이패스 모드 또는 리패키징 모드이다. Also, the first display apparatus 100-1 determines a bandwidth for transmitting the processed image to the second display apparatus 100-2 based on the determined resolution of the image content and determines a processing mode. (s740). Specifically, the processing mode is a bypass mode or a repackaging mode.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은 판단된 대역폭(bandwidth)을 바탕으로 처리된 영상 콘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100-2)로 전송한다(s750). Then, the first display apparatus 100-1 transmits the image content processed based on the determined bandwidth to the second display 100-2 (s750).
또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서 처리된 영상콘텐츠를 바탕으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로부터 수신한 영상 콘텐츠의 해상도를 판단한다(s760).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판단된 해상도를 디스플레이하고(s770). 그리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가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콘텐츠 처리 방법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처리 방법과 동일한 과정을 거친다. Also, the second display apparatus 100-2 determines the resolution of the image content received from the first display apparatus 100-1 based on the image content processed by the first display apparatus 100-1 ( s760). The second display apparatus 100-2 displays the determined resolution (S770). In addition, the method of processing the image content displayed by the second display apparatus 100 - 2 goes through the same process as the processing method of the first display apparatus 100 - 1 .
상술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시스템(10)에 의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연결된 비디오 월은 외부 소스 장치(50)로부터 입력받은 고해상도 영상 콘텐츠를 다른 디스플레이로 전송할 때, 루프아웃 온타임(loop out on time)을 최대한 짧게 유지하면서 신호 손실을 최소화하여 선명한 영상콘텐츠를 빠른 속도로 전송하고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When the video wall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입력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방법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Meanwhile, the display metho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and provided to the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The non-transitory readable medium refers to a medium that stores data semi-permanently, rather than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moment, such as a register, cache, memory, and the like, and can be read by a device. Specifically, the above-described various applications or programs may be provided by being stored in a non-transitory readable medium such as a CD, DVD, hard disk, Blu-ray disk, USB, memory card, ROM, and the like.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In addition,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210: 영상입력부 120, 280: 프로세서
220: 영상 처리부 230: 디스플레이
240: 메모리 250: 오디오 출력부
260: 입력부 270: 통신부110, 210:
220: image processing unit 230: display
240: memory 250: audio output unit
260: input unit 270: communication unit
Claims (18)
인터페이스; 및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영상 콘텐츠의 해상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해상도를 바탕으로 상기 수신된 영상 콘텐츠를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대역폭(bandwidth)을 판단하며,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열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영상 콘텐츠를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처리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처리 모드에 따라 상기 판단된 대역폭을 바탕으로 영상 콘텐츠를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 모드는, 바이패스 모드 및 리패키징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처리 모드가 상기 바이패스 모드인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수신된 영상 콘텐츠에 대한 파싱(parsing) 없이 상기 수신된 영상 콘텐츠를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처리 모드가 상기 리패키징 모드인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수신된 영상 컨텐츠를 복원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 display device included in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the display device comprising:
interface; and
The resolution of the image content received through the interface is determined, and a bandwidth for transmitting the received image content to another display device is determined based on the determined resolution, and the display in the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A processing mode for transmitting the received image content to the other display device is determined based on an arrangement order of the devices, and the image content is displayed through the interface based on the determined bandwidth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rocessing mode A processor that transmits to the device; includes;
The processing mode includes a bypass mode and a repackaging mode,
The processor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rocessing mode is the bypass mode, transmitting the received image content to the other display device through the interface without parsing the received image conten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rocessing mode is the repackaging mode, the display apparatus restores the received image content and transmits it to the other display apparatus through the interface.
상기 리패키징 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설정된 배열순서에서 정기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repackaging mode is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device and th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gular operation in a preset arrangement order of the other display device.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영상 콘텐츠의 신호 손실률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신호 손실률에 따라 상기 바이패스 모드 및 상기 리패키징 모드 중 하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is
and determining a signal loss rate of the received image content, and determining one of the bypass mode and the repackaging mod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ignal loss rate.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판단된 신호 손실률이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리패키징 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판단된 신호 손실률이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바이패스 모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6. The method of claim 5,
The processor is
When the determined signal loss rat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value, the repackaging mode is determined, and when the determined signal loss rate is less than a preset value, the bypass mode is determined.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영상 콘텐츠의 해상도가 제1 해상도인 경우, 상기 대역폭을 제1 비트레이트(High Bit Rate1, HBR1)로 판단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컨텐츠의 해상도가 제2 해상도인 경우, 상기 대역폭을 제2 비트레이트(High Bit Rate2, HBR2)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is
When the resolution of the received image content is the first resolu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bandwidth is a first bit rate (High Bit Rate1, HBR1), and when the resolution of the received image content is the second resolution, the bandwidth is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ermination is made at a 2-bit rate (High Bit Rate2, HBR2).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비디오 월(Videowall)에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display device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th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ncluded in a video wall (Videowall).
수신된 영상 콘텐츠의 해상도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해상도를 바탕으로 상기 수신된 영상 콘텐츠를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대역폭을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열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영상 콘텐츠를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처리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처리 모드에 따라 상기 판단된 대역폭을 바탕으로 영상 콘텐츠를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 모드는, 바이패스 모드 및 리패키징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처리 모드가 상기 바이패스 모드인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수신된 영상 콘텐츠에 대한 파싱(parsing) 없이 상기 수신된 영상 콘텐츠를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처리 모드가 상기 리패키징 모드인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수신된 영상 콘텐츠를 복원하여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A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included in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the method comprising:
determining the resolution of the received video content;
A bandwidth for transmitting the received image content to another display apparatus is determined based on the determined resolution, and the received image content is displayed on the other display apparatuses based on an arrangement order of the display apparatuses in the plurality of display apparatuses. determining a processing mode for transmission to ; and
Transmitting the image content to the other display device based on the determined bandwidth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rocessing mode; and
The processing mode includes a bypass mode and a repackaging mode,
The sending step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rocessing mode is the bypass mode, transmitting the received image content to the other display device without parsing the received image conten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rocessing mode is the repackaging mode, the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apparatus to restore the received image content and transmit it to the other display apparatus.
상기 수신된 영상 콘텐츠의 신호 손실률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된 영상 콘텐츠의 신호 손실률에 따라 상기 바이패스 모드 및 상기 리패키징 모드 중 하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11. The method of claim 10,
Further comprising; determining a signal loss rate of the received video content;
Determining the processing mode comprises:
and determining one of the bypass mode and the repackaging mod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ignal loss rate of the image content.
상기 처리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된 신호 손실률이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리패키징 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판단된 신호 손실률이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바이패스 모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15. The method of claim 14,
Determining the processing mode comprises:
When the determined signal loss rat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value, the repackaging mode is determined, and when the determined signal loss rate is less than a preset value, the bypass mode is determined.
상기 대역폭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영상 콘텐츠의 해상도가 제1 해상도인 경우, 상기 대역폭을 제1 비트레이트(High Bit Rate1, HBR1)로 판단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콘텐츠의 해상도가 제2 해상도인 경우, 상기 대역폭을 제2 비트레이트(High Bit Rate2, HBR2)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11. The method of claim 10,
Determining the bandwidth comprises:
When the resolution of the received image content is the first resolution, the bandwidth is determined as a first bit rate (High Bit Rate1, HBR1), and when the resolution of the received image content is the second resolution, the bandwidth is A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ermination is made at a 2-bit rate (High Bit Rate2, HBR2).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비디오월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ntrol method of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device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are included in a video wal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5/238,136 US10191709B2 (en) | 2015-09-04 | 2016-08-16 | Display apparatus configured to determine a processing mode to transfer image contents to another display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50125779 | 2015-09-04 | ||
KR1020150125779 | 2015-09-0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28810A KR20170028810A (en) | 2017-03-14 |
KR102397438B1 true KR102397438B1 (en) | 2022-05-13 |
Family
ID=58460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44719A Active KR102397438B1 (en) | 2015-09-04 | 2015-10-16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9743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28121B1 (en) | 2018-02-12 | 2021-11-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An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
KR102338901B1 (en) | 2018-04-03 | 2021-12-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An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
KR102545072B1 (en) | 2018-07-19 | 2023-06-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WO2025048280A1 (en) * | 2023-08-29 | 2025-03-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Display device for immersive screen,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20118144A1 (en) * | 1999-12-29 | 2002-08-29 | Raymond C. Edmonds | Intelligent display interface |
US20090024867A1 (en) * | 2006-05-24 | 2009-01-22 | Gloege Chad N | Redundant data path |
US20090278763A1 (en) * | 2008-05-06 | 2009-11-12 | Xuming Henry Zeng | System Having Capability for Daisy-Chained Serial Distribution of Video Display Data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6963B1 (en) * | 2007-02-09 | 2009-01-09 | (주)엘포트 | Video Wall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Using Wireless Network |
-
2015
- 2015-10-16 KR KR1020150144719A patent/KR10239743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20118144A1 (en) * | 1999-12-29 | 2002-08-29 | Raymond C. Edmonds | Intelligent display interface |
US20090024867A1 (en) * | 2006-05-24 | 2009-01-22 | Gloege Chad N | Redundant data path |
US20090278763A1 (en) * | 2008-05-06 | 2009-11-12 | Xuming Henry Zeng | System Having Capability for Daisy-Chained Serial Distribution of Video Display Data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28810A (en) | 2017-03-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10369B1 (en) | Screencasting for multi-screen applications | |
US10191709B2 (en) | Display apparatus configured to determine a processing mode to transfer image contents to another display apparatus | |
KR102397438B1 (en)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thereof | |
US10564913B2 (en) | Display device of multi-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20150312508A1 (en) | User terminal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user terminal device and multimedia system thereof | |
US11249640B2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CN111064906A (en) | Domestic processor and domestic FPGA multi-path 4K high-definition video comprehensive display method | |
KR102368044B1 (en) |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user terminal device thereof | |
TW201212647A (en) | Mechanism for memory reduction in Picture-in-Picture video generation | |
CN103605535A (en) | Operation method and system of intelligent display device, intelligent display device and mobile device | |
EP3156908A1 (en) | User terminal,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nd multimedia system | |
KR102275728B1 (en)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highlight thereof | |
US9535648B2 (en) |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10785512B2 (en) | Generalized low latency user interaction with video on a diversity of transports | |
CN104182193B (en) | High-definition large screen display method and system and large screen workstation | |
CN101127847A (en) | A screen display synthesis method and synthesis device | |
US9911175B2 (en) | Modification of graphical command tokens | |
US9489916B2 (en) | Processing method of an external-image device | |
US12417066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cloud terminal, cloud server, and storage medium | |
US11467798B2 (en) | Display apparatus for changing an advertisement area, server,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s thereof | |
CN106303285A (en) | A method and device for outputting multimedia information | |
US9361860B2 (en) | Display apparatus, image post-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post-processing of contents | |
KR20240083457A (en)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1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7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10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2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8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5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5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