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62690B1 - User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notification message linked with wearable device - Google Patents

User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notification message linked with wearab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2690B1
KR102362690B1 KR1020170121059A KR20170121059A KR102362690B1 KR 102362690 B1 KR102362690 B1 KR 102362690B1 KR 1020170121059 A KR1020170121059 A KR 1020170121059A KR 20170121059 A KR20170121059 A KR 20170121059A KR 102362690 B1 KR102362690 B1 KR 102362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ification message
user terminal
wearable device
delivery
notific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0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32795A (en
Inventor
김기현
김현숙
정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70121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690B1/en
Publication of KR20190032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7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690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은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생성부, 상기 사용자와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 중에 상기 알림 메시지가 생성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지연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지연부 및 판단된 지연 여부에 따라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전달부를 포함한다. A user terminal providing a notification service in conjunction with a wearable device includes a generator that generates a notification message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an event, and based on whether the notification message is generated during an interac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user terminal. and a delay unit determining whether to delay delivery of the notification message, and a transmission unit transmitting the notification message to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elay.

Description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USER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NOTIFICATION MESSAGE LINKED WITH WEARABLE DEVICE}User termina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viding notification service in conjunction with wearable device {USER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NOTIFICATION MESSAGE LINKED WITH WEARABLE DEVICE}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terminal, a method, and a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a notification service in conjunction with a wearable device.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란 입을 수 있는 기기를 의미하며, 과학 기술이 발전하며 티셔츠, 안경, 팔찌, 시계, 신발 등의 착용할 수 있는 스마트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인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는 스마트 워치가 있으며, 스마트 워치는 시간을 알려주는 기존의 시계 기능에 스마트폰을 확인하지 않아도 알림, 메일,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더해졌다. A wearable device refers to a wearable device, and as science and technology advance, wearable smart devices such as T-shirts, glasses, bracelets, watches, and shoes are being developed. A representative wearable device is a smart watch, and the smart watch has a function that allows you to check notifications, mail, and messages in real time without checking your smartphone to the existing watch function that tells the time.

이러한 스마트 기능을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 10-1689368호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개시하고 있다. In relation to a wearable device that provides such a smart functio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89368, which is a prior art, discloses a wearable device.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스마트폰과의 연동을 통해 스마트폰에서 발생되는 알림을 전달받아 더 가까이에서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러나 불필요한 알림이 발생된 경우, 사용자의 집중을 방해하여, 사용자의 경험을 저해하며, 알림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 화면 온/오프, 진동 등의 기능이 동반으로 발생됨으로써, 에너지가 소모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A wearable device provides a function to receive notifications generated from a smartphone through interworking with a smartphone and deliver it closer to the user. However, when an unnecessary notification is generated, it interferes with the user's concentration, impairs the user's experience, and functions such as communication for sending and receiving notifications, screen on/off, and vibration are generated together, thereby consuming energy. Have.

스마트 단말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의 불필요한 알림의 전달을 감소시켜 베터리의 소모를 최소화하는 사용자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사용자 단말의 알림 동작은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의 알림 전달을 지연하는 방법을 통해 불필요한 전달을 감소시키는 사용자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새로운 이벤트 발생에 따른 알림 메시지가 생성된 경우, 지연 시간에 상한을 두어 사용자 경험의 저하를 최소화하는 사용자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r terminal, a method, and a computer program that minimize battery consumption by reducing unnecessary notification delivery from a smart terminal to a wearable devic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r terminal, a method, and a computer program that reduce unnecessary transmission through a method of delaying notification delivery to a wearable device without changing the notification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r terminal, a method, and a computer program that minimize deterioration of user experience by setting an upper limit on a delay time when a notification message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a new event is generated. However,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embodiment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생성부, 사용자와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 중에 상기 알림 메시지가 생성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지연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지연부 및 상기 판단된 지연 여부에 따라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전달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the notification message is generated while an interaction between a generation unit generating a notification message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an event, and a user and the user terminal occur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user terminal including a delay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o delay delivery of the notification message based on whether or not and a delivery unit for transmitting the notification message to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elay.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와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 중에 상기 알림 메시지가 생성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지연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지연 여부에 따라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whether to delay delivery of the notification message based on whether the notification message is generated during the steps of generating a notification message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an event, and an interaction between a user and the user terminal occur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for providing a notification service, comprising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re is a delay and transmitting the notification message to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elay.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경우,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사용자와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 중에 상기 알림 메시지가 생성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지연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지연 여부에 따라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달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mputer program is executed by the computing device, generates a notification message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an event, and whether the notification message is generated whil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user terminal occur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medium including a sequence of instructions for determining whether to delay delivery of the notification message based on .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are merely exemplar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re may be additional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스마트 단말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의 불필요한 알림의 전달을 감소시켜 베터리의 소모를 최소화하는 사용자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의 알림 동작은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의 알림 전달을 지연하는 방법을 통해 불필요한 전달을 감소시키는 사용자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새로운 이벤트 발생에 따른 알림 메시지가 생성된 경우, 지연 시간에 상한을 두어 사용자 경험의 저하를 최소화하는 사용자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user terminal, a method, and a computer program for minimizing battery consumption by reducing the transmission of unnecessary notifications from the smart terminal to the wearable devi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user terminal, a method, and a computer program that reduce unnecessary transmission through a method of delaying notification delivery to a wearable device without changing the notification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When a notification message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a new event is generat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user terminal, a method, and a computer program that minimize deterioration of user experience by setting an upper limit on the delay ti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새로운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알림 메시지의 삭제 명령어를 전달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연 중인 알림 및 지연된 알림을 전송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notific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updating a delayed notification message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a new event i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transmitting a deletion command of a notification message i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re flowcharts of a pending notification and a method of transmitting a delayed not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providing a notification service in a user terminal in conjunction with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with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being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of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Howe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in advance.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In this specification, a "part" include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a unit realized by software, and a unit realized using both. In addition, one unit may be implemented using two or more hardware, and two or more units may be implemented by one hardware.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terminal or device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instead performed by a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or device. Similarly,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server may also be performed in a terminal or device connected to the serv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11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는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1)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notific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 the notific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1 may include a user terminal 110 and a wearable device 120 . The user terminal 110 and the wearable device 120 exemplarily show components that can be controlled by the notific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1 .

도 1의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1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20)와 동시에 또는 시간 간격을 두고 연결될 수 있다. Each component of the notific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1 of FIG. 1 is generally connected through a network.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 the user terminal 110 may be connected to the wearable device 120 at the same time or at a time interval.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A network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information can be exchanged between each node, such as terminals and servers, and includes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and the Internet (WWW: World). Wide Web), wired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s, telephone networks, wired and wireless television networks, and the like. Examples of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s include 3G, 4G, 5G,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Wi-Fi, Bluetooth communication, infrared communication, ultrasound Communicati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LiFi, and the like are includ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사용자 단말(110)은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알림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10 may generate a notification message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an event.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100)와 사용자 단말(110) 간의 상호 작용(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는 모든 행위)이 발생하는 중에 알림 메시지가 생성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지연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지연 여부에 따라 알림 메시지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10 determines whether or not a notification message is generated during an interaction between the user 100 and the user terminal 110 (eg, all actions of the user using the user terminal).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o delay delivery, and a notification message may be delivered to the wearable device 120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elay.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100) 및 사용자 단말(110) 간의 상호 작용이 발생하지 않는 중에 알림 메시지가 생성되는 경우,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지연하지 않고, 알림 메시지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notification message is generated while interaction between the user 100 and the user terminal 110 does not occur, the user terminal 110 transmits the notification message to the wearable device ( 120) can be transferred.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100) 및 사용자 단말(110) 간의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 중에 알림 메시지가 생성되는 경우,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지연하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알림 메시지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110)의 스크린이 온(on)되어 있는 동안 알림 메시지가 생성되는 경우,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지연할 수 있다.For another example, when a notification message is generated while the user 100 and the user terminal 110 interact with each other, the user terminal 110 delays delivery of the notification message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is elapses, the notification message may be delivered to the wearable device 120 . Also, when a notification message is generated while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10 is on, the user terminal 110 may delay delivery of the notification message for a preset time.

사용자 단말(110)은 알림 메시지의 전달이 지연되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와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추가적인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지연된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취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100) 및 사용자 단말(110) 간의 추가적인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 경우, 지연된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취소하고, 사용자(100) 및 사용자 단말(110) 간의 추가적인 상호 작용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지연된 알림 메시지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10 may cancel delivery of the delayed notification message based on whether additional interac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user terminal occurs during a preset time for which the delivery of the notification message is delayed. For example, when an additional interaction between the user 100 and the user terminal 110 occurs, the user terminal 110 cancels delivery of the delayed notification message, and additionally between the user 100 and the user terminal 110 . When the interaction does not occur, a delayed notification message may be delivered to the wearable device 120 after a preset time has elapsed.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110)에서 발생된 새로운 이벤트에 대응하여 생성된 알림 메시지가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와 관련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10 may update the delayed notification message based on whether a notification message generated in response to a new event generated in the user terminal 110 is related to the delayed notification message.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110)에서 발생된 새로운 이벤트에 대응하여 생성된 알림 메시지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된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된 알림 메시지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새로운 이벤트의 발생에 대응하여 생성된 알림 메시지에 강제 전송 플래그를 설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notification message generated in response to a new event generated in the user terminal 110 is related to a notification message delivered to the wearable device 120 , the user terminal 110 is transmitted to the wearable device 120 . In order to update the notification message, a forced delivery flag may be set in the notification message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occurrence of a new event.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100)의 입력에 따라 알림 메시지에 대한 삭제 명령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삭제 명령어가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경우,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를 삭제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10 may generate a delete command for the notification message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user 100 . When the delete command is related to the delayed notification message, the user terminal 110 may delete the delayed notification message.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삭제 명령어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된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된 알림 메시지를 삭제하기 위해 삭제 명령어에 강제 전송 플래그를 설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delete command is related to the notification message delivered to the wearable device 120, the user terminal 110 may set a forced transmission flag in the deletion command to delete the notification message delivered to the wearable device 120. have.

이러한 사용자 단말(11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20)와 연동하여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되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경우,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사용자(100) 및 사용자 단말(110) 간의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 중에 알림 메시지가 생성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지연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지연 여부에 따라 알림 메시지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10 is performed by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medium including a sequence of instructions for providing a notification service in conjunction with the wearable device 120, and when the computer program is executed by the computing device, the occurrence of an event Generates a notification message according to, and determines whether to delay delivery of the notification message based on whether a notification message is generated whil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ser 100 and the user terminal 110 occurs, and determines whether to delay the determined delay Accordingly, it may include a sequence of commands to transmit a notification message to the wearable device 120 .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는 사용자 단말(110)과의 연동을 통해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는 사용(100)와 사용자 단말(110) 간의 상호 작용의 발생 여부에 따라 지연된 알림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The wearable device 120 may display a notification message on the display through interworking with the user terminal 110 . The wearable device 120 may display a delayed notification message according to whether an interaction between the use 100 and the user terminal 110 occurs.

본 발명에서는 IMS(Instant Messenger Service) 등의 응용 프로그램의 경우, 알림 메시지의 발생 시, 알림 효과 및 사용자 편의를 위해 추가적으로 전력을 소모하여 짧은 시간 화면을 켜게 되는 스크린 온(screen on) 상태가 된다. 이러한 알림 메시지를 스크린 온과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를 통해 동시에 발생시키는 것은, 지나치게 에너지 소모가 큰 비효율적인 알림으로 판단하여, 스크린 온을 동반하는 알림 메시지의 경우, 사용자(100)가 사용자 단말(110)에서 알림 메시지를 인지하지 못한 경우에만,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스크린 온 알림의 발생의 경우, 이전의 사용자(100)와 사용자 단말(110) 간의 상호 작용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알림 메시지 전달 지연과 같이 전달을 지연시킬 수 있다. 이러한 알림 메시지는 예를 들어, 10초 미만으로 화면을 켜게 되므로, 사용자(100)가 인지하지 못하더라도 짧은 시간 지연시킨 후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알림 메시지가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an application program such as IMS (Instant Messenger Service), when a notification message is generated, additional power is consumed for notification effect and user convenience to turn on the screen for a short time. Simultaneously generating such a notification message through the screen-on and the wearable device 120 is judged to be an inefficient notification that consumes too much energy. ) was transmitted to the wearable device 120 only when the notification message was not recognized. To this end, in the case of the occurrence of a screen-on notification, even if the previous interaction between the user 100 and the user terminal 110 does not occur, the transmission may be delayed as in the notification message transmission delay. Since such a notification message turns on the screen in less than 10 seconds, for example, even if the user 100 does not recognize it, the notification message can be delivered to the wearable device 120 after a short delay.

사용자 단말(110)과 웨어러블 디바이스(120) 간의 연동을 위해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20) 예를 들어, 알림 매니저와 같은 응용 소프트웨어의 설치가 필요하며,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는 알림 매니저와의 연동을 통해 알림 메시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For interworking between the user terminal 110 and the wearable device 120, the wearable device 120, for example, requires installation of application software such as a notification manager, and the wearable device 120 provides notification through interworking with the notification manager. A message function can be provided.

또한, 구글 안드로이드 웨어(Google Android Wear) OS가 적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20)와 연동되기 위해서는, 사용자 단말(110)에 구글 안드로이드 웨어러블 응용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다. 안드로이드 웨어 응용 소프트웨어는 사용자 단말(110)에 발생하는 알림 중 'ON_GOING'(백그라운드로 진행 중인 작업 표시) 또는 'LOCAL_ONLY flag'가 설정되지 않은 알림 등을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전달하며, 웨어러블 디바이스(120) 또는 사용자 단말(110)에서 알림 삭제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전달 받아 반대편 디바이스의 알림이 삭제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work with the wearable device 120 to which the Google Android Wear OS is applied, the user terminal 110 requires Google Android wearable application software. The Android wear application software delivers notifications that are not set to 'ON_GOING' (displays work in progress in the background) or 'LOCAL_ONLY flag' among the notifications generated on the user terminal 110 to the wearable device 120 through Bluetooth communication. , when a notification deletion occurs in the wearable device 120 or the user terminal 110, the notification may be transmitted and the notification of the opposite device may be delet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생성부(210), 지연부(220), 전달부(230), 취소부(240), 업데이트부(250) 및 삭제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10)의 생성부(210), 지연부(220), 전달부(230), 취소부(240), 업데이트부(250) 및 삭제부(270)는 알림 매니저에 의해 작업이 수행되며, 사용자 단말(110)은 알림 매니저(Notification Manager)를 통해 알림 메시지의 생성 및 삭제를 다른 시스템 컴포넌트 또는 사용자 응용 소프트웨어에 통보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이를 사용하기 위해 'NotificationListenerService'를 상속받아 각각 알림 메시지의 생성/삭제가 발생될 때 호출되는 콜백(callback) 메소드를 구현한 다음, 'NotificationManagerService'에 등록할 수 있다. 2 is a block diagram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 the user terminal 110 may include a generating unit 210 , a delay unit 220 , a transmission unit 230 , a cancellation unit 240 , an update unit 250 , and a deletion unit 270 . can The creation unit 210 , the delay unit 220 , the delivery unit 230 , the cancellation unit 240 , the update unit 250 , and the deletion unit 270 of the user terminal 110 perform tasks by the notification manager. The user terminal 110 provides a function of notifying other system components or user application software of the creation and deletion of a notification message through a notification manager, and inherits 'NotificationListenerService' to use it and notifies each After implementing a callback method that is called when message creation/deletion occurs, it can be registered in 'NotificationManagerService'.

생성부(210)는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알림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벤트는 예를 들어, 알림, 문자, IMS 메시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성부(210)는 GCM(Google Cloud Messaging), 원격 서버의 정보 업데이트, 브로드캐스트(broadcast), 알람 이벤트(alarm event) 등의 다양한 조건 및 상황에 따라 안드로이드에서 제공하는 알림 API를 통해 알림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The generator 210 may generate a notification message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an event. The event may include, for example, a notification, a text message, an IMS message,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generator 210 uses the notification API provided by Android according to various conditions and situations such as Google Cloud Messaging (GCM), information update of a remote server, broadcast, and alarm event. You can create a notification message through

예를 들어, 생성부(210)는 알림 내용(title, content 등)과 알림 속성(진동, 소리, LED, 알림 표시 형태 등)을 나타내는 알림 객체를 생성하여, 알림 매니저(Notification Manager)로 알림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알림 메시지는 안드로이드 시스템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능으로, 알림 매니저에 의해 관리되며, 전달된 알림 메시지는 올바른지 검사 후, 내부적으로 관리되는 알림 리스트에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 메시지는 이벤트의 생성을 사용자에게 인지시키기 위한 메시지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generator 210 generates a notification object representing notification content (title, content, etc.) and notification properties (vibration, sound, LED, notification display form, etc.), and sends a notification message to a notification manager. can pass A notification message is a function that can affect the entire Android system and is managed by the notification manager, and after checking whether the delivered notification message is correct, it can be added to the internally managed notification list. For example, the notification message may be a message for recognizing generation of an event to the user.

지연부(220)는 사용자(100) 및 사용자 단말(110) 간의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 중에 알림 메시지가 생성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지연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100)가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 중 발생되는 알림의 경우, 사용자(100)가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알림 메시지를 인지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지연부(220)의 판단에 따라 알림 메시지를 즉시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하지 않고, 일정 시간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지연시킴으로써,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의 불필요한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The delay unit 220 may determine whether to delay delivery of the notification message based on whether a notification message is generated dur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ser 100 and the user terminal 110 . In this case, in the case of a notification generated while the user 100 is using the user terminal 110 ,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user 100 may recognize the notification message through the user terminal 110 , so that the delay unit 220 determines Accordingly, the notification message is not immediately delivered to the wearable device 120 , but the delivery of the notification message is delay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o reduce the delivery of unnecessary notification messages to the wearable device 120 .

예를 들어, 지연부(220)는 사용자(100) 및 사용자 단말(110) 간의 상호 작용이 발생하지 않는 중에 알림 메시지가 생성되는 경우,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지연하지 않을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notification message is generated while interaction between the user 100 and the user terminal 110 does not occur, the delay unit 220 may not delay delivery of the notification message.

다른 예를 들어, 지연부(220)는 사용자(100) 및 사용자 단말(110) 간의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 중에 알림 메시지가 생성되는 경우,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지연할 수 있다. 또한, 지연부(220)는 사용자 단말(110)의 스크린이 온(on)되어 있는 동안 알림 메시지가 생성되는 경우,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지연할 수 있다. 사용자(100) 및 사용자 단말(110) 간의 상호 작용은 사용자(100)가 사용자 단말(110)의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하는 경우, 또는 사용자 단말(110)의 스위치를 입력하는 경우 등에 발생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a notification message is generated while an interaction between the user 100 and the user terminal 110 occurs, the delay unit 220 may delay delivery of the notification message for a preset time. Also, when a notification message is generated while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10 is on, the delay unit 220 may delay delivery of the notification message for a preset tim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ser 100 and the user terminal 110 may occur when the user 100 inputs through the touch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10 or when a switch of the user terminal 110 is input.

전달부(230)는 지연부(220)에서 판단된 지연 여부에 따라 알림 메시지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달부(230)는 지연부(220)에서 사용자(100) 및 사용자 단말(110) 간의 상호 작용이 발생하지 않는 중에 알림 메시지가 생성되는 경우, 알림 메시지를 지연없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달부(230)는 지연부(220)에서 사용자(100) 및 사용자 단말(110) 간의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 중에 알림 메시지가 생성된 경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알림 메시지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100) 및 사용자 단말(110) 간의 상호 작용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100)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알림 메시지의 생성을 인지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100)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알림 메시지의 생성을 인지하기 위하여 지연 없이 알림 메시지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하는 것이다.The delivery unit 230 may deliver the notification message to the wearable device 120 according to the delay determined by the delay unit 220 . For example, when a notification message is generated while interaction between the user 100 and the user terminal 110 does not occur in the delay unit 220 , the delivery unit 230 transmits the notification message to the wearable device 120 without delay. ) can be passed as As another example, when a notification message is generated dur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ser 100 and the user terminal 110 in the delay unit 220 , the delivery unit 230 transmits the notification message after a preset time elapses. may be transmitted to the wearable device 120 . In other words, whe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ser 100 and the user terminal 110 does not occur, the user 100 cannot recognize the generation of the notification message through the user terminal 110, so that the user 100 can use the wearable In order to recognize the generation of the notification message through the device, the notification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wearable device 120 without delay.

전달부(230)는 사용자(100) 및 사용자 단말(110) 간의 추가적인 상호 작용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지연된 알림 메시지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달부(230)는 알림 메시지가 지연된 후,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100) 및 사용자 단말(110) 간의 상호 작용이 발생하지 않거나, 사용자 단말(110)에서 화면이 꺼지는 스크린 오프(screen off)가 발생하는 경우, 전달부(230)는 사용자(100)가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알림 메시지를 인지하지 못한 것으로 간주하여, 지연된 알림 메시지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100) 및 사용자 단말(110) 간의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100)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알림 메시지의 생성을 인지할 수 있으므로, 이미 사용자(100)가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알림 메시지의 생성을 인지한 상황에서 다시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를 통해 인지할 필요가 없으므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지연하는 것이다.When additional interaction between the user 100 and the user terminal 110 does not occur, the delivery unit 230 may deliver the delayed notification message to the wearable device 120 after a preset time has elapsed. For example, after the notification message is delayed, the delivery unit 230 does not interact between the user 100 and the user terminal 110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the screen is turned off in the user terminal 110 . off) occurs, the delivery unit 230 considers that the user 100 has not recognized the notification message through the user terminal 110 and may deliver the delayed notification message to the wearable device 120 . In other words, whe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ser 100 and the user terminal 110 occurs, the user 100 can recognize the generation of the notification message through the user terminal 110, so that the user 100 has already In a situation in which the generation of the notification message is recognized through the terminal 110 , there is no need to recognize through the wearable device 120 again, so the delivery of the notification message to the wearable device 120 is delayed.

취소부(240)는 알림 메시지의 전달이 지연되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와 사용자 단말(110) 간의 추가적인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지연된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취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취소부(240)는 알림 메시지의 지연 중 사용자(100) 및 사용자 단말(110) 간의 추가적인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100)가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알림 메시지를 인지한 것으로 간주하여 지연된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취소할 수 있다. The cancellation unit 240 may cancel delivery of the delayed notification message based on whether additional interac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user terminal 110 occurs during a preset time during which the delivery of the notification message is delayed. For example, when an additional interaction between the user 100 and the user terminal 110 occurs during the delay of the notification message, the cancel unit 240 recognizes the notification message by the user 100 through the user terminal 110 . The delivery of the delayed notification message can be canceled by deeming it to have been

업데이트부(250)는 사용자 단말(110)에서 발생된 새로운 이벤트에 대응하여 생성된 알림 메시지가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와 관련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데이트부(250)는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에 대해 업데이트가 발생되는 경우,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20)에 전달된 상태가 아니므로, 업데이터의 발생 시,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The update unit 250 may update the delayed notification message based on whether the notification message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new event generated in the user terminal 110 is related to the delayed notification message. For example, when an update occurs with respect to the delayed notification message, the updater 250 does not transmit the delayed notification message to the wearable device 120. Therefore, when the updater occurs, the delayed notification message is displayed. can be updated.

업데이트부(250)는 사용자 단말(110)에서 발생된 새로운 이벤트에 대응하여 생성된 알림 메시지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된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된 알림 메시지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새로운 이벤트의 발생에 대응하여 생성된 알림 메시지에 강제 전송 플래그를 설정할 수 있다. The update unit 250 updates the notification message delivered to the wearable device 120 when the notification message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new event generated in the user terminal 110 is related to the notification message delivered to the wearable device 120 . In order to do this, a forced transmission flag may be set in the notification message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occurrence of a new event.

삭제부(260)는 사용자(100)의 입력에 따라 알림 메시지에 대한 삭제 명령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삭제부(260)는 사용자(100)의 입력에 따라 알림 매니저의 알림 삭제 메소드가 호출되면, 알림 리스트에서 해당 알림을 삭제할 수 있다.The deletion unit 260 may generate a deletion command for the notification message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user 100 . For example, when a notification deletion method of the notification manager is called according to an input of the user 100 , the deletion unit 260 may delete a corresponding notification from the notification list.

삭제부(260)는 사용자(100) 및 사용자 단말(110) 간의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 중에 삭제 명령어가 생성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삭제 명령어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할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삭제부(260)는 사용자 (100) 및 사용자 단말(110) 간의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 중에 삭제 명령어가 생성되는 경우, 삭제 명령어의 전달을 지연할 수 있고, 사용자 (100) 및 사용자 단말(110) 간의 상호 작용이 발생하지 않는 중에 삭제 명령어가 생성되는 경우, 사용자(100)가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알림 메시지가 인지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여, 삭제 명령어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할 수 있다. The deletion unit 260 may determine whether to transmit the deletion command to the wearable device 120 based on whether the deletion command is generated dur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ser 100 and the user terminal 110 . For example, when a delete command is generated while the user 100 and the user terminal 110 interact with each other, the deletion unit 260 may delay delivery of the deletion command, and the user 100 and the user When the delete command is generated whil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erminals 110 does not occur, the user 100 considers that the notification message has not been recognized through the user terminal 110 and sends the delete command to the wearable device 120 . can transmit

이와 같이, 삭제부(260)는 알림 메시지의 삭제 명령어에 대한 무분별한 전달도 지연을 통해 줄일 수 있으며, 알림 메시지의 삭제는 알림 메시지의 전달보다 중요성이 낮기 때문에 더 오랜 시간 지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100)가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 중 알림 메시지를 삭제하면, 그 즉시 동일한 알림 상태를 위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삭제 명령어가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사용자(100)는 사용자 단말(110)을 사용 중이므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20)의 삭제를 인지하지 못한다. In this way, the deletion unit 260 may reduce the indiscriminate delivery of the delete command of the notification message through delay, and since the deletion of the notification message is less important than the delivery of the notification message, it may be delayed for a longer time. For example, when the user 100 deletes a notification message while the user terminal 110 is in use, a deletion command may be immediately transmitted to the wearable device 120 for the same notification state. However, in this case, since the user 100 is using the user terminal 110 , the user does not recognize the deletion of the wearable device 120 .

따라서, 삭제부(260)는 사용자 (100) 및 사용자 단말(110) 간의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 중에 생성된 삭제 명령어에 대해서는 기설정된 지연 시간 또는 화면이 꺼지는 스크린 오프(screen off) 시점까지 지연 전달함으로써, 사용자(100)가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 중 발생하는 모든 알림 메시지와 함께 모아서 전달할 수 있다. 이외에도, 삭제 명령어와 관련하여 전달이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에 대해 새로운 알림 메시지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해당 삭제 명령어의 전달을 줄일 수 있다. Accordingly, the deletion unit 260 delays and delivers the deletion command generated dur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ser 100 and the user terminal 110 until a preset delay time or a screen off point when the screen is turned off. , the user 100 may collect and deliver all notification messages that occur while using the user terminal 110 . In addition, even when a new notification message is generated for a notification message whose delivery is delayed in relation to the deletion command, the transmission of the corresponding deletion command can be reduced.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용자(100)가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 중 발생되는 대부분의 알림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Through this process, most notifications generated while the user 100 uses the user terminal 110 may not be delivered to the wearable device 120 .

삭제부(260)는 삭제 명령어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된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된 알림 메시지를 삭제하기 위해 삭제 명령어에 강제 전송 플래그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삭제부(260)는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에 대해 삭제가 발생되는 경우,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20)에 전달된 상태가 아니므로, 삭제 발생 시,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를 삭제할 수 있다.When the delete command is related to the notification message delivered to the wearable device 120 , the deletion unit 260 may set a forced transmission flag in the deletion command to delete the notification message delivered to the wearable device 120 . In addition, when deletion occurs with respect to the delayed notification message, the deletion unit 260 may delete the delayed notification message when the deletion occurs because the delayed notification message is not delivered to the wearable device 120 . .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새로운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이벤트 발생에 따라 새롭게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S300), 생성된 알림 메시지가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와의 관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10).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생성된 알림 메시지가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경우(S311),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S320).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생성된 알림 메시지가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와 관련이 없는 경우(S432), 사용자(100) 및 사용자 단말(110) 간의 상호 작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30). 3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updating a delayed notification message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a new event i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 the user terminal 110 may generate a new notification message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an event (S300), and determine whether the generated notification message is related to a delayed notification message (S310). For example, when the generated notification message is related to the delayed notification message (S311), the user terminal 110 may update the delayed notification message (S320). As another example, when the generated notification message is not related to the delayed notification message (S432), the user terminal 110 may determine whether interaction between the user 100 and the user terminal 110 occurs. (S330).

여기서, 상호 작용 발생 여부는 사용자의 최근 상호 작용이 기설정된 임계 시간(DELAY_THR) 이내 발생된 경우, 사용자(100)가 사용자 단말(110)을 사용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100) 및 사용자 단말(110) 간의 상호 작용의 발생되지 않은 경우(S331), 사용자 단말(110)이 스크린 온(screen on)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S340).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110)이 스크린 온인 경우(S341),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지연할 수 있다(S360). 또는,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110)이 스크린 온이 아닌 경우(S342), 생성된 알림 메시지를 지연 없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할 수 있다(S350).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100) 및 사용자 단말(110) 간의 상호 작용이 발생된 경우(S332), 사용자 단말(110)은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지연할 수 있다(S360).Here, whether the interaction has occurred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100 is using the user terminal 110 when the user's recent interaction occurs within a preset threshold time DELAY_THR. For example, when interaction between the user 100 and the user terminal 110 does not occur ( S331 ), the user terminal 110 may check whether the user terminal 110 is in a screen on state. (S340). When the user terminal 110 is screen-on (S341), the user terminal 110 may delay delivery of the notification message (S360). Alternatively, when the user terminal 110 is not screen-on (S342), the user terminal 110 may transmit the generated notification message to the wearable device 120 without delay (S350). As another example, when an interaction between the user 100 and the user terminal 110 occurs (S332), the user terminal 110 may delay delivery of the notification message (S360). .

사용자 단말(110)은 알림 메시지의 업데이트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70).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생성된 알림 메시지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된 알림 메시지를 업데이트 시키는 경우(S371), 사용자(100)가 사용자 단말(110)에서 알림 메시지를 인지하더라도, 이후의 삭제 또는 업데이트의 발생시 동기화를 위하여 알림 메시지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송해야 하므로, 추가적으로 생성된 알림 메시지에 강제 전송 플래그(MUST_SEND flag)를 설정하여 해당 알림 메시지가 반드시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S380).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된 알림 메시지를 업데이트 시키지 않은 경우(S372), 임계 시간까지 알림을 지연시킬 수 있다(S390). 임계 시간은 스크린 절전 시간일 수 있으며, 사용자(100)가 사용자 단말(110)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 자동으로 스크린이 꺼질 때까지의 대기 시간을 나타내며, 지나치게 짧은 경우, 스크린이 사용 중일 때 꺼지게 되며, 길 경우, 불필요한 배터리를 낭비하게 되므로, 사용자에 의해 자신의 스마트폰 입력 간격 시간에 기초하여 개인화된 값이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임계 시간을 (스크린 절전 시간*0.5)로 설정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10 may determine whether to update the notification message (S370). For example, when the user terminal 110 updates the notification message delivered to the wearable device 120 by the generated notification message (S371), even if the user 100 recognizes the notification message from the user terminal 110, When a subsequent deletion or update occurs, a notification message must be transmitted to the wearable device 120 for synchronization. Therefore, by setting a MUST_SEND flag in the additionally generated notification message, the notification message must be sent to the wearable device 120. It can be delivered (S380). As another example, when the user terminal 110 does not update the notification message delivered to the wearable device 120 ( S372 ), the user terminal 110 may delay the notification until a threshold time ( S390 ). The threshold time may be a screen power saving time, and when the user 100 does not use the user terminal 110, it indicates a waiting time until the screen is automatically turned off. If it is too short, the screen turns off when the screen is in use. , if it is long, unnecessary battery is wasted, so a personalized value may be set by the user based on his/her smartphone input interval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eshold time may be set to (screen power saving time*0.5).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300 내지 S39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steps S300 to S390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steps or combined into fewer ste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some steps may be omitted as needed, and the order between the steps may be switch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알림 메시지의 삭제 명령어를 전달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100)로부터 미리 생성된 알림 메시지에 대한 삭제 요청을 수신한 경우, 수신된 삭제 요청에 따라 삭제 명령어를 생성할 수 있다(S410). 사용자 단말(110)은 삭제 명령어를 생성하는 동안 사용자 단말(110)이 스크린이 온(screen on)으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420). 또한, 사용자 단말(110)은 삭제 명령어를 생성하는 동안 사용자(100) 및 사용자 단말(110) 간의 상호 작용의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110)이 스크린이 온으로 되어 있지 않으면(S421), 삭제 명령어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송할 수 있다(S422). 4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transmitting a deletion command of a notification message i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 when receiving a deletion request for a notification message generated in advance from the user 100 , the user terminal 110 may generate a deletion command according to the received deletion request ( S410 ). The user terminal 110 may check whether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10 is turned on while generating the delete command (S420). Also, the user terminal 110 may check whether an interaction between the user 100 and the user terminal 110 has occurred while generating the delete command. For example, whe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10 is not turned on (S421), the user terminal 110 may transmit a delete command to the wearable device 120 (S422).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110)이 스크린이 온으로 되어 있다면(S423), 삭제 명령어가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와 관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30).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삭제 명령어가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와 관련되었다고 판단된 경우(S431),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를 삭제할 수 있다(S432). Whe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10 is turned on (S423), the user terminal 110 may determine whether the delete command is related to the delayed notification message (S430). Fo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lete command is related to the delayed notification message (S431), the user terminal 110 may delete the delayed notification message (S432).

사용자 단말(110)은 삭제 명령어가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와 관련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S433), 삭제 명령어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송된 알림 메시지와 관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40).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삭제 명령어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송된 알림 메시지와 관련되어 있는 경우(S441), 해당 알림 메시지가 새로 발생하지 않는 이상 동기화를 위해 추가적으로 삭제 명령어에 강제 전송 플래그를 설정할 수 있다(S442).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삭제 명령어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송된 알림 메시지와 관련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S443), 삭제 명령어의 전달을 지연할 수 있다(S45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lete command is not related to the delayed notification message (S433), the user terminal 110 may determine whether the delete command is related to the notification message transmitted to the wearable device 120 (S440) . For example, when the delete command is related to the notification message transmitted to the wearable device 120 (S441), the user terminal 110 forcibly transmits an additional deletion command for synchronization unless a corresponding notification message is newly generated. A flag may be set (S442). As anothe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lete command is not related to the notification message transmitted to the wearable device 120 ( S443 ), the user terminal 110 may delay delivery of the delete command ( S450 ).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400 내지 S45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steps S400 to S450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steps or combined into fewer ste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some steps may be omitted as needed, and the order between the steps may be switched.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연 중인 알림 및 지연된 알림을 전송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5A and 5B are flowcharts of a pending notification and a method of transmitting a delayed not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알림 메시지의 지연 중에 사용자(100) 및 사용자 단말(110) 간의 상호 작용이 발생되면(S510), 지연 중인 모든 알림 메시지의 지연을 취소하고, 각 알림 메시지에 사용자 인식 플래그(USER_PERCEIVED flag)를 설정할 수 있다(S520). 5A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transmitting a pending notification mess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A , when an interaction between the user 100 and the user terminal 110 occurs during the delay of the notification message ( S510 ), the user terminal 110 cancels the delay of all delayed notification messages, and each notification A user recognition flag (USER_PERCEIVED flag) may be set in the message ( S520 ).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510 내지 S52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steps S510 to S520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steps or combined into fewer ste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some steps may be omitted as needed, and the order between the steps may be switched.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연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가 지연 시간을 초과하거나, 또는 스크린 오프(screen off)가 발생되면(S550),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 중 사용자 인식 플래그가 설정되지 않거나 강제 전송 플래그(MUST_SEND flag)가 설정된 알림 메시지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모두 전달하고(S560), 전송된 알림 메시지를 제외하고 알림 메시지에 대한 리스트를 초기화할 수 있다(S570). 5B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transmitting a delayed notification mess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B , when the delayed notification message exceeds the delay time or a screen off occurs ( S550 ), the user terminal 110 does not set a user recognition flag among the delayed notification message or force All notification messages in which the MUST_SEND flag is set may be delivered to the wearable device 120 (S560), and a list of notification messages may be initialized except for the transmitted notification message (S570).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550 내지 S57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steps S550 to S570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steps or combined into fewer ste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some steps may be omitted as needed, and the order between the steps may be switch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에 의해 수행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20)와 연동하여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5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알림 서비스 제공시스템(1)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5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에 의해 수행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20)와 연동하여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6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providing a notification service by interworking with a wearable device i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providing a notification service in connection with the wearable device 120 performed by the user terminal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is a notific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5B ( 1) includes the steps processed in time series. Therefore, even if omitted below, the method of providing a notification service in conjunction with the wearable device 120 performed by the user terminal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5B is also applied.

단계 S61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알림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In step S610, the user terminal 110 may generate a notification message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an event.

단계 S62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100)와 사용자 단말(110) 간의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 중에 알림 메시지가 생성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지연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n step S620 , the user terminal 110 may determine whether to delay delivery of the notification message based on whether a notification message is generated whil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ser 100 and the user terminal 110 is occurring.

단계 S63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판단된 지연 여부에 따라 알림 메시지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달할 수 있다. In step S630 , the user terminal 110 may deliver a notification message to the wearable device 120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elay.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610 내지 S63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steps S610 to S630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steps or combined into fewer ste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some steps may be omitted as needed, and the order between the steps may be switched.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된 미디어 재생 장치 및 제어 서버에서 위성 방송망 및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끊김 없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된 미디어 재생 장치 및 제어 서버에서 위성 방송망 및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끊김 없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The method for providing seamless content using a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media playback device and the control serv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includes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medium executed by a computer or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computer. It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that includes it. In addition, the method for providing seamless content using a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media playback apparatus and the control serv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medium executed by a computer. can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Computer-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Also, computer-readable media may include computer storage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persed form,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10: 사용자 단말
120: 웨어러블 디바이스
210: 생성부
220: 지연부
230: 전달부
240: 취소부
250: 업데이트부
260: 삭제부
110: user terminal
120: wearable device
210: generator
220: delay unit
230: transfer unit
240: cancellation part
250: update unit
260: deletion part

Claims (18)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생성부;
사용자와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 중에 상기 알림 메시지가 생성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지연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지연부; 및
상기 판단된 지연 여부에 따라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전달부
를 포함하되,
상기 지연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스크린에 대한 기설정된 동작 중에 상기 알림 메시지가 생성되었는지 여부에 더 기초하여 상기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지연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In a user terminal providing a notification service in conjunction with a wearable device,
a generator for generating a notification message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an event;
a delay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o delay delivery of the notification message based on whether the notification message is generated during an interaction between a user and the user terminal; and
A delivery unit that delivers the notification message to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elay
including,
The delay unit determines whether to delay delivery of the notification message based on whether the notification message is generated during a preset operation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부는 상기 상호 작용이 발생하지 않는 중에 상기 알림 메시지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지연하지 않고,
상기 전달부는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The method of claim 1,
The delay unit does not delay delivery of the notification message when the notification message is generated while the interaction does not occur;
The delivery unit will deliver the notification message to the wearable device, the user termina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부는 상기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 중에 상기 알림 메시지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지연하고,
상기 전달부는 상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3.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notification message is generated while the interaction occurs, the delay unit delays delivery of the notification message for a preset time,
The delivery unit will deliver the notification message to the wearable device after the preset time has elapsed, the user terminal.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메시지의 전달이 지연되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와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추가적인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지연된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취소하는 취소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4. The method of claim 3,
A cancellation unit for canceling delivery of the delayed notification message based on whether an additional interac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user terminal occurs during a preset time during which the delivery of the notification message is delayed
Which will further include, the user terminal.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취소부는 상기 추가적인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지연된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취소하고,
상기 전달부는 상기 추가적인 상호 작용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지연된 알림 메시지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ancellation unit cancels delivery of the delayed notification message when the additional interaction occurs,
When the additional interaction does not occur, the delivery unit transmits the delayed notification message to the wearable device after the preset time has elaps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스크린이 온(on)되어 있는 동안 상기 알림 메시지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지연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3.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notification message is generated while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is on, the delay unit delays delivery of the notification message for a preset time, the user terminal.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발생된 새로운 이벤트에 대응하여 생성된 알림 메시지가 상기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와 관련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를 업데이트하는 업데이트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4. The method of claim 3,
An update unit for updating the pending notification message based on whether a notification message generated in response to a new event generated in the user terminal is related to the delayed notification message
Which will further include, the user terminal.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발생된 상기 새로운 이벤트에 대응하여 생성된 알림 메시지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달된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경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달된 알림 메시지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상기 새로운 이벤트의 발생에 대응하여 생성된 알림 메시지에 강제 전송 플래그를 설정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8. The method of claim 7,
When the notification message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new event generated in the user terminal is related to the notification message delivered to the wearable device, the update unit updates the notification message delivered to the wearable device. In response, the user terminal is to set the forced transmission flag to the generated notification messag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알림 메시지에 대한 삭제 명령어를 생성하는 삭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4. The method of claim 3,
A deletion unit for generating a deletion command for the notification message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Which will further include, the user terminal.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부는 상기 삭제 명령어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달된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경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달된 알림 메시지를 삭제하기 위해 상기 삭제 명령어에 강제 전송 플래그를 설정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0. The method of claim 9,
When the delete command is related to the notification message delivered to the wearable device, the deletion unit sets a forced transmission flag in the deletion command to delete the notification message delivered to the wearable devic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부는 상기 삭제 명령어가 상기 지연 중인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경우, 상기 지연 중인 알림 이벤트를 삭제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deletion unit will delete the pending notification event when the deletion command is related to the delayed notification message, the user terminal.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와 사용자 단말 간의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 중에 상기 알림 메시지가 생성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지연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지연 여부에 따라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지연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스크린에 대한 기설정된 동작 중에 상기 알림 메시지가 생성되었는지 여부에 더 기초하여 상기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지연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A method of providing a notification service in conjunction with a wearable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generating a notification message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an event;
determining whether to delay delivery of the notification message based on whether the notification message is generated while an interac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user terminal is occurring; and
transmitting the notification message to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elay
including,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delay delivery of the notification message comprises:
The method of providing a notification service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delay delivery of the notification message based on whether the notification message is generated during a preset operation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작용이 발생하지 않는 중에 상기 알림 메시지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지연하지 않는 단계; 및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not delaying delivery of the notification message when the notification message is generated while the interaction does not occur; and
delivering the notification message to the wearable device
Further comprising a, notific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 중에 상기 알림 메시지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지연하는 단계; 및
상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delaying delivery of the notification message for a preset time when the notification message is generated while the interaction is occurring; and
transmitting the notification message to the wearable device after the preset time has elapsed
Further comprising a, notific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메시지의 전달이 지연되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와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추가적인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지연된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취소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canceling delivery of the delayed notification message based on whether an additional interac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user terminal occurs during a preset time during which the delivery of the notification message is delayed
Further comprising a, notific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지연된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취소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canceling delivery of the delayed notification message when the additional interaction occurs
Further comprising a, notific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상호 작용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지연된 알림 메시지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n the additional interaction does not occur, transmitting the delayed notification message to the wearable device after the preset time has elapsed
Further comprising a, notific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사용자 단말이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경우,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사용자와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 중에 상기 알림 메시지가 생성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지연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지연 여부에 따라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달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스크린에 대한 기설정된 동작 중에 상기 알림 메시지가 생성되었는지 여부에 더 기초하여 상기 알림 메시지의 전달을 지연할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medium including a sequence of instructions for a user terminal to provide a notification service in conjunction with a wearable device, the computer program comprising:
When the computer program is executed by a computing device,
Generate a notification message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an event,
determining whether to delay delivery of the notification message based on whether the notification message is generated while an interac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user terminal occurs;
Transmitting the notification message to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elay,
and a sequence of instructions for determining whether to delay delivery of the notification message based on whether or not the notification message is generated during a preset operation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KR1020170121059A 2017-09-20 2017-09-20 User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notification message linked with wearable device Active KR1023626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059A KR102362690B1 (en) 2017-09-20 2017-09-20 User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notification message linked with wearab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059A KR102362690B1 (en) 2017-09-20 2017-09-20 User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notification message linked with wearabl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795A KR20190032795A (en) 2019-03-28
KR102362690B1 true KR102362690B1 (en) 2022-02-14

Family

ID=65908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059A Active KR102362690B1 (en) 2017-09-20 2017-09-20 User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notification message linked with wearab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269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31176A (en) * 2021-01-08 2021-04-30 未来穿戴技术有限公司 Electric quantity prompting method and device, wearable massag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1520B1 (en) * 2003-06-13 2012-07-09 야후! 인크. Method and system for alert delivery architectur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0936A (en) * 2007-05-15 2008-11-21 (주) 엘지텔레콤 Message reception notification filtering service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339101B1 (en) * 2012-11-03 2013-12-09 박상용 Method of providing alarm searvice using address book of smart device
KR102354326B1 (en) * 2014-05-23 2022-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wearable device of setting for notification message recev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1520B1 (en) * 2003-06-13 2012-07-09 야후! 인크. Method and system for alert delivery archite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795A (en) 2019-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70182A1 (en) Message notificatio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a communication account
EP2713641B1 (en) Method for receiving data,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mobile terminal, and server
KR102041492B1 (en) Zero-click sharing of application context across devices
EP3585130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re-establishing session
CN111770172B (en) Message middleware consumption proxy method, device, proxy server and storage medium
KR102164457B1 (en) Electronic device for multiple radio access and method thereof
KR20140031283A (en) Transferring application state across devices
CN103916423A (en) Data synchronization method and device
US10237215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during a communication session
CN111246449B (en) Communication state updating method and device
CN111031563B (en) Communication state updating method and device
TW200952416A (en) Management method for remote digital signages
US20140074941A1 (en) Messaging and updating services over the air from application servers to applications in mobile devices
CN104539669B (en) A kind of method of data synchronization based on mobile terminal
CN103491162A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information based on mobile Internet
JP2016033811A (en) Session management method, session management device, session management program and communication processing method
KR102362690B1 (en) User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notification message linked with wearable device
CN110362395A (en) Background program management metho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2202589B1 (en) Check-in server, media platform server and media play device for providing customized contents
US201500569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ty based mobile device profiling
CN108632300B (en) Data synchronization system, method, server, client and electronic equipment
CN106412047A (en) Notification message prompting methods and apparatuses
WO2024007961A1 (en) Relay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nd terminal and network-side device
WO2023185929A1 (en) Resourc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terminal, and network side device
US20230247556A1 (en) Modifying idle mode drx on wireless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9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9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7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2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2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