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2876B1 - Apparatus for recognizing use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ecognizing us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22876B1 KR102322876B1 KR1020200006766A KR20200006766A KR102322876B1 KR 102322876 B1 KR102322876 B1 KR 102322876B1 KR 1020200006766 A KR1020200006766 A KR 1020200006766A KR 20200006766 A KR20200006766 A KR 20200006766A KR 102322876 B1 KR102322876 B1 KR 1023228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mera
- light emitting
- user
- vehicle
- col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25—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9—Side or rear panels
- B60R2011/0022—Pillar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50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keyless data carrier having more than one function
- G07C2009/0054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keyless data carrier having more than one function starting igni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주변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인식하여 인증하는 사용자 인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식 장치는 차량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색상 변경이 가능하며 제어에 따라 결정된 색상을 상기 차량의 외부로 방출하는 발광 모듈; 및 상기 카메라를 통해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가 인식되면 상기 발광 모듈에서 제1색상을 방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인식한 얼굴 이미지에서 얼굴 특징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얼굴 특징 데이터와 기 저장된 얼굴 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고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발광 모듈에서 제2색상이 방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recognition device for recognizing and authenticating a user located around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recognition apparatus includes a camera for capturing an image around a vehicle; a light emitting module capable of changing a color and emitting a color determined according to control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and when the user's face image is recognized through the camera, the light emitting module controls to emit a first color, extracts facial feature data from the recognized face image, and stores the extracted facial feature data and pre-stored face image data. and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light emitting module to emit a second color when the user is compared and authenticated and the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 주변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인식하여 인증하는 사용자 인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recognition device for recognizing and authenticating a user located around a vehicle.
오늘날 다양한 전자기술이 차량에 집약되어, 사용자는 차량 리모콘을 이용하여 차량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고, 더불어 외부에서 차량의 시동할 수도 있다. 이에 나아가, 현재 스마트키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차량을 시동하거나 차량의 문을 개방하는 기술도 등장하였다. Today, various electronic technologies are integrated into a vehicle, and a user can remotely control the vehicle using a vehicle remote control, and can also start the vehicle from the outside. Furthermore, a technology for starting the vehicle from the outside or opening the door of the vehicle using the current smart key has also emerged.
그런데 스마트키, 리모콘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기술은, 사용자가 스마트키 또는 리모콘을 반드시 소지하고 있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사용자가 스마트키 또는 리모콘을 분실한 경우, 스마트키 또는 리모콘을 소지한 타 사용자가 차량을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는 보안상의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technology for authenticating a user using a smart key or a remote control has a problem in that the user must possess the smart key or the remote control. In particular, when the user loses the smart key or the remote control, there is a security problem that other users with the smart key or the remote control can easily enter the vehicle.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마트키 등과 같은 차량 열쇠를 소지하지 않고도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통해서 사용자를 인식하여 차량문을 개방하는 사용자 인식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r recognition device that recognizes a user through a user's face image and opens a vehicle door without possessing a vehicle key such as a smart key.
또한, 본 발명은 발광 소자의 색상 변경을 통해서 사용자 인식 과정에서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사용자 인식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r recognition device that improves convenience in a user recognition process by changing a color of a light emitting devi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com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over,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claim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식 장치는, 차량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색상 변경이 가능하며 제어에 따라 결정된 색상을 상기 차량의 외부로 방출하는 발광 모듈; 및 상기 카메라를 통해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가 인식되면 상기 발광 모듈에서 제1색상을 방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인식한 얼굴 이미지에서 얼굴 특징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얼굴 특징 데이터와 기 저장된 얼굴 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고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발광 모듈에서 제2색상이 방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A user recogni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camera for capturing an image around a vehicle; a light emitting module capable of changing a color and emitting a color determined according to control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and when the user's face image is recognized through the camera, the light emitting module controls to emit a first color, extracts facial feature data from the recognized face image, and stores the extracted facial feature data and pre-stored face image data. and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light emitting module to emit a second color when the user is compared and authenticated and the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차량의 문이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module may control the door of the vehicle to be opened when the authentication of the user is successful.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인증에 실패하면, 상기 발광 모듈에서 제3색상이 방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module may control to emit a third color from the light emitting module when the authentication of the user fails.
상기 사용자 인식 장치는, 상기 차량과 결합하는 하우징; 및 커버를 형성하고 상기 발광 모듈과 상기 카메라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는 가니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recognition device may include: a housing coupled to the vehicle; and a garnish for forming a cover and coupling the light emitting module and the camera with the housing while accommodating therein.
상기 발광 모듈은, 카메라 렌즈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 주변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니쉬의 전체 영역 중에서, 상기 복수의 발광 부재와 상기 카메라의 렌즈가 형성되는 영역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module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members in which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camera lens passes is formed and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periphery of the through hole. In this case, in the entire area of the garnish, an area in which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members and the lens of the camera are formed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상기 하우징은, 상기 차량의 B-필러(B-pillar)에 설치될 수 있다.The housing may be installed on a B-pillar of the vehicle.
상기 사용자 인식 장치는, 상기 발광 부재에서 발생하는 빛이 상기 카메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서, 불투명 소재로 형성되고 카메라의 렌즈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내부가 관통되는 광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할 수 있다. The user recognit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light blocking part formed of an opaque material and penetrating inside so that the lens of the camera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order to block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emitting member from entering the camera. .
상기 광 차단부는, 상기 복수의 발광 부재와 상기 카메라의 렌즈 사이에 배치되고, 관통된 내부 공간에 상기 카메라의 렌즈가 수용될 수 있다. The light blocking uni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members and the lens of the camera, and the lens of the camera may be accommodated in the penetrated inner space.
상기 광 차단부의 일 측면은 상기 카메라의 타 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광 차단부의 타 측면은 상기 가니쉬의 일 측면과 밀착되며, 상기 광 차단부는 상기 카메라의 타 측면의 외주연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One side of the light blocking unit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camera, the other side of the light blocking unit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garnish, and the light blocking unit may be formed along an outer periphery of the other side of the camera. .
본 발명은, 스마트키 등과 같은 차량 열쇠를 소지하지 않고도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통해서 사용자를 인식하여 차량문을 개방함으로써, 차량 보안을 향상시키고 운전자가 차량에 입장하는데 있어서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vehicle security and improving convenience for the driver to enter the vehicle by recognizing the user through the user's face image and opening the vehicle door without possessing a vehicle key such as a smart key.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를 인증 과정을 발광 모듈의 색상 변경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notifying the user of the authentication process through the color change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게다가, 본 발명은 광 차단부를 이용하여, 발광 모듈에서 출력되는 빛이 카메라에 유입되어 카메라의 영상 인식을 저해하는 상황을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eventing a situation in which the light output from the light emitting module is introduced into the camera and inhibits image recognition of the camera by using the light blocking unit.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식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사용자 인식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식 장치의 전자적인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차단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차단부가 사용자 인식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차단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the drawing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only to the matters.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pparatus for recognizing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apparatus for recognizing a user.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nic connection state of a user recogni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light blocking unit is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light blocking unit for recognizing a us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light blocking unit is coupl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above-describ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relation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will be.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식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사용자 인식 장치의 측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pparatus for recognizing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apparatus for recognizing a user.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식 장치의 전자적인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nic connection state of a user recogni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차단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light blocking unit is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식 장치(100)는 제1가니쉬(garnish)(110), 제2가니쉬(120), 카메라(130), 홀더(140), 발광 모듈(150), 하우징(160), 제어 모듈(170), 저장 모듈(180) 및 광 차단부(191)를 포함한다. 1 to 4 , th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니쉬(110)와 상기 하우징(160)이 결합하는데, 상기 제1가니쉬(110)와 상기 하우징(160) 간에 결합한 내부 공간에는 제2가니쉬(120), 카메라(130), 홀더(140), 발광 모듈(150) 및 상기 광 차단부(191)가 수용된다. 상기 제어 모듈(170)과 저장 모듈(180)은 상기 내부 공간에 포함될 수도 있고, 다른 실시 형태로서, 상기 내부 공간 이외의 영역(예컨대, 차량 내)에 설치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1 , the
일 실시예로서, 상기 사용자 인식 장치(100)는 운전자가 접근하기에 용이한차량의 B-필러(B-pillar)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사용자 인식 장치(100)는 운전석 문, 조수석 외벽 등과 같이 차량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As an embodiment, the
제1가니쉬(110)는 사용자 인식 장치(100)의 최외측면에 배치되는 커버이다, 상기 제1가니쉬(110)는 카메라(130)의 촬영이 가능하고 더불어 발광 모듈(150)에서 발생시키는 빛이 외부에 표출되도록, 전체 영역 중에서 카메라의 촬영 영역 및 발광 부재(151)가 결합되는 영역(112)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역(112) 이외의 이외의 영역(111)은 발광 부재(151)과 결합되는 영역(112)과 같이 투명할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다른 실시예로서 소정의 색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니쉬(110)의 전체 영역 중에서 카메라(130)의 렌즈가 결합되는 영역과 발광 부재(151)가 결합되는 영역(112)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이외의 영역(111)은 소정의 색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among the entire area of the
제2가니쉬(120)의 일 측면은 제1가니쉬(110)의 타 측면과 결합된다. 상기 제2가니쉬(120)는 소정의 색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1가니쉬(110)와 조합되어 심미감을 줄 수 있다. 상기 제2가니쉬(120)는 카메라(130)의 촬영이 가능하도록, 카메라 렌즈의 직경보다 긴 직경을 가지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제2가니쉬(120)의 관통홀(120)에 카메라 렌즈(130)가 통과하여 배치된다. 상기 상기 제2가니쉬(120)에 형성된 관통홀은 크기는 상기 발광 부재(151)의 빛을 외부에 방출시킬 수 있을 정도로 크다. 제2가니쉬(120)는 일 측면에 복수의 결합부재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가니쉬(120)의 결합부재가 하우징(160)의 타 측면에 형성된 결합부재와 결합됨으로써, 제2가니쉬(120)과 하우징(160)가 결합 고정된다.One side of the
발광 모듈(150)은 카메라(130)의 촬영을 방해하지 않도록, 소정의 관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발광 모듈(150)의 관통홀의 직경은 제2가니쉬(120)의 관통홀의 직경과 동일할 수 있다. 발광 모듈(150)에 형성된 관통홀의 외주연 주변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의 발광 부재(151)가 형성된다. In the
상기 발광 모듈(150)은 인쇄회로기판 행태로 구현되어 제어 모듈(170)과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발광 모듈(150)은 제어 모듈(170)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즉, 활성화/비활성화)가 제어되고, 더불어 발광 부재(151)의 색상을 변경한다. 상기 발광 부재(151)는 LED(Light Emitting Diode)가 이용될 수 있다. The
홀더(140)는 카메라(130)를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중앙에 소정 직경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카메라 렌즈가 상기 관통홀을 통화하여 배치된다. 상기 홀더(140)의 관통홀의 직경은, 상기 제2가니쉬(120)의 관통홀의 직경 및 발광 모듈(150)의 관통홀의 직경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홀더(140)의 일 측면에는 복수의 결합부재가 형성되어, 카메라(130)의 타 측면에 형성된 결합부재와 결합될 수 있다.The
하우징(160)은 사용자 인식 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고 보호한다. 상기 하우징(160)는 차량의 B 필러를 형성하는 소재와 유사한 소재가 이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60)의 타 측면에는 복수의 결합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를 통해서 제2가니쉬(120), 발광 모듈(150) 각각과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160)은 일 측면에는 복수의 결합부재가 형성되어, 이 결합부재를 통해서 차량에 결합된다.The
이러한 가니쉬들(110, 120), 홀더(140) 및 발광 모듈(150)의 구조에 의해, 카메라(130)는 차량 외부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고, 더불어 발광 부재(151)에서 방출하는 빛은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Due to the structures of the
한편, 제1가니쉬(110)와 제2가니쉬(120)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사용자 인식 장치(100)에 구현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카메라(130)는 차량 외부에 배치되어, 차량 주변을 촬영하는 기능을 수행하다. 상기 카메라(130)는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에 탑재되는 소형 크기의 카메라일 수 있다. 카메라(130)에서 촬영된 영상은 제어 모듈(170)로 전달된다.The
저장 모듈(180)은 비휘발성 메모리, 디스크 장치 등과 같은 저장수단으로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저장 모듈(180)은 인증 정보로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module 180 is a storage means such as a non-volatile memory or a disk device, and stores one or more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The storage module 180 may store the user's face image data as authentication information.
제어 모듈(170)은 MCU(microcontroller unit)와 같은 소형 프로세서로서, 사용자 인식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차량 제어 장치(200)과 연동하여 차량 제어 신호를 차량 제어 장치(200)로 전달한다. The
상기 차량 제어 장치(200)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 IBU(Integrated Body Control Unit) 등으로서, 차량 윈도우의 개폐 상태, 선루프의 개폐 상태, 차량 시트 열선의 온/오프 상태, 연료량 등의 차량의 각종 상태정보를 획득하고, 운전자의 입력에 따라 차량의 상태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차량 제어 장치(200)는 제어 모듈(170)과 통신하여, 제어 모듈(170)로부터 차량 개방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문을 개방하기도 한다. 상기 차량 제어 장치(200)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통하여 제어 모듈(170)과 통신할 수 있다.The
제어 모듈(170)은 카메라(130)로부터 획득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를 인증한다. 구체적으로, 제어 모듈(170)은 카메라(130)로부터 획득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전체 영상에서 얼굴에 해당하는 이미지(즉, 얼굴 오브젝트)를 추출하고, 상기 얼굴 오브젝트에서 사용자의 얼굴 특징 이미지를 추출하고, 이 얼굴 특징 데이터와 저장 모듈(180)에 저장된 얼굴 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여 사용자를 인증한다. 이때, 제어 모듈(170)은 Eigenfaces 기법, Fisherfaces 기법, SVM(Support Vector Machine) 기법, Wavelet와 Elastic Matchin의 조합,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기법, 딥 러닝 기법 등과 같이 공지된 얼굴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카메라(130)에서 사용자의 얼굴에 대한 특징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 얼굴 특징 데이터와 저장 모듈(180)에 저장된 얼굴 이미지 데이터의 일치율을 비교하여,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The
상기 제어 모듈(170)은 평상시에는 발광 모듈(150)을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하다가, 카메라(130)에 촬영된 영상에서 얼굴 이미지가 인식되면(즉, 전체 영상에서 얼굴 오브젝트가 인식되면), 발광 모듈(150)을 활성화하여 발광 부재(151)를 제1색상(예컨대, 흰색)으로 변경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이 얼굴이 인식과 사용자 인증이 시작되었음을 알린다. 또한, 제어 모듈(170)은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에서 추출한 얼굴 특징 데이터와 저장 모듈(180)에 저장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 데이터가 임계값 이상으로 일치하여 사용자 인증에 성공하면, 발광 부재(151)를 제2색상(예컨대, 녹색)으로 변경시키고, 차량 제어 장치(200)로 차량 개방 신호를 전송하여 차량 문을 개방한다. 반면에, 제어 모듈(170)은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에서 추출한 얼굴 특징 데이터와 저장 모듈(180)에 저장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 데이터가 불일치하여 사용자 인증에 실패하면, 발광 부재(151)를 제3색상(예컨대, 적색)으로 변경시키고, 차량문의 잠금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The
사용자는 사용자 인식 장치(100)에서 표출되는 빛의 색상에 따라, 사용자 인증이 진행되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고, 더불어 인증 결과도 인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인식 장치(100)에서 제1색상이 출력되는 경우, 현재 사용자의 얼굴이 인식되어 사용자 인증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인식 장치(100)에서 제2색상이 출력되는 경우, 얼굴 이미지에 기반한 사용자 인증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반대로 사용자는 사용자 인식 장치(100)에서 제3색상이 출력되는 경우, 얼굴 이미지에 기반한 사용자 인증에 실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user may recognize that user authentication is in progress, and may also recognize an authentication result according to the color of light emitted from the
제어 모듈(170)은 발광 모듈(150)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얼굴이 소정 시간(예컨대, 30초) 동안에 계속적으로 인식되지 않으면, 상기 발광 모듈(150)을 다시 비활성화 처리하여, 상기 발광 부재(151)를 소등시킨다.If the user's face is not continuously recognized for a predetermined time (eg, 30 seconds) in a state in which the
발광 모듈(150)의 발광 부재(151)에서 출력되는 빛이, 카메라(130)로 유입되는 경우에, 카메라(130)에서 촬영하는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가 왜곡될 수 있다. 얼 굴 이미지가 왜곡되는 경우, 사용자의 인증이 부정확하게 진행될 수 있다. When the light output from the
이러한 상황을 예방하고자, 소정의 직경과 높이를 가지며 내부과 관통되는 광 차단부(191)과 카메라(130)와 발광 부재(151)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광 차단부(191)는 빛을 통과시키지 않은 불투명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광 차단부(191)에 내부에 형성된 관통 공간에 카메라(130)의 렌즈가 위치하고, 이에 따라 광 차단부(191)는 발광 부재(151)에서 발생한 빛이 상기 카메라 렌즈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광 차단부(191)는 타 측면은 제1가니쉬(110)의 일 측면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광 차단부(191)의 타 측면에는 고무와 같은 탄성부재가 형성되어, 제1가니쉬(110)와 결합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소음, 파손 등을 예방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such a situation, it is disposed between the
한편, 상기 광 차단부는 카메라(130)의 타 측면과 상기 제1가니쉬(110)의 일 측면에 사이의 설치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light blocking unit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other side of the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차단부가 사용자 인식 장치의 측단면도이다.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light blocking unit for recognizing a us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차단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light blocking unit is coupl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광 차단부(192)는 일정한 직경과 높이를 가지며 카메라(130)과 타 측면과 밀착 결합된다. 상기 광 차단부(192)의 내부가 관통되어 있으며, 이 관통된 내부 공간을 통해서 카메라(130) 렌즈가 외부로 노출되어 차량 밖을 촬영할 수 있다. 즉, 광 차단부(192)는 카메라(130)의 타 측면과 제1가니쉬(110)의 일 측면 각각과 밀착되어 결합되고, 카메라(130)의 영상 촬영을 방해하지 않도록 내부가 원통형으로 관통되어 있다. 상기 광 차단부(192)는 상기 카메라(130)의 타 측면의 외주연에 따라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130)의 타 측면과 밀착 결합된다. 상기 광 차단부(192)는 빛을 통과시키지 않은 불투명 재질로서 형성된다. 상기 광 차단부(192)의 타 측면은 고무와 같은 탄성부재로 형성되어, 제1가니쉬(110)와 결합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소음, 파손 등을 예방할 수 있다.5 and 6 ,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fo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limited by the drawing.
100 : 사용자 인식 장치
110, 120 : 가니쉬
130 : 카메라
140 : 홀더
150 : 발광 모듈
160 : 하우징
170 : 제어 모듈
180 : 저장 모듈
191, 192 : 광 차단부
200 : 차량 제어 장치100: user recognition device
110, 120: garnish
130: camera
140: holder
150: light emitting module
160: housing
170: control module
180: storage module
191, 192: light blocking unit
200: vehicle control unit
Claims (8)
색상 변경이 가능하며 제어에 따라 결정된 색상을 상기 차량의 외부로 방출하는 발광 모듈로서, 카메라 렌즈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 주변을 따라 배치되는 발광 부재를 포함하는 발광 모듈;
상기 카메라를 통해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가 인식되면 상기 발광 모듈에서 제1색상을 방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인식한 얼굴 이미지에서 얼굴 특징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얼굴 특징 데이터와 기 저장된 얼굴 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고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발광 모듈에서 제2색상이 방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모듈;
상기 차량과 결합하는 하우징;
커버를 형성하고 상기 발광 모듈과 상기 카메라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는 가니쉬; 및
상기 발광 부재에서 발생하는 빛이 상기 카메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서 불투명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가 내부에 관통되는 광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 차단부의 일 측면은 상기 카메라의 타 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광 차단부의 타 측면은 상기 가니쉬의 일 측면과 밀착되며, 상기 광 차단부는 상기 카메라의 타 측면의 외주연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광 차단부의 타 측면은 탄성부재로 형성되는 사용자 인식 장치.a camera for capturing images around the vehicle;
A light emitting module capable of changing a color and emitting a color determined according to control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the light emitting module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camera lens passes and including a light emitting member dispos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through hole;
When the user's face image is recognized through the camera, the light emitting module controls to emit a first color, extracts facial feature data from the recognized face image, and compares the extracted facial feature data with pre-stored face image data a control module for authenticating the user and controlling the light emitting module to emit a second color when the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a housing coupled to the vehicle;
a garnish for forming a cover and combining the light emitting module and the camera with the housing while accommodating therein; and
In order to block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emitting member from entering the camera, it is formed of an opaque material and includes a light blocking part through which the camera penetrates,
One side of the light blocking par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camera, the other side of the light blocking part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garnish, and the light blocking part is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other side of the camera, The other side of the light blocking unit is a user recognition device formed of an elastic member.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차량의 문이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의 인증에 실패하면 상기 발광 모듈에서 제3색상이 방출되도록 제어하는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식 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module is
When the user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the door of the vehicle is controlled to be opened, and when the user authentication fails, the light emitting module is controlled to emit a third color.
상기 가니쉬의 전체 영역 중에서, 상기 복수의 발광 부재와 상기 카메라의 렌즈가 형성되는 영역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식 장치.According to claim 1,
Among the entire area of the garnish, an area in which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members and the lens of the camera are formed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상기 하우징은, 상기 차량의 B-필러(B-pillar)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식 장치.5. The method of claim 4,
The housing is a user recogni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on the B-pillar (B-pillar) of the vehic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6766A KR102322876B1 (en) | 2020-01-17 | 2020-01-17 | Apparatus for recognizing us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6766A KR102322876B1 (en) | 2020-01-17 | 2020-01-17 | Apparatus for recognizing us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93058A KR20210093058A (en) | 2021-07-27 |
KR102322876B1 true KR102322876B1 (en) | 2021-11-04 |
Family
ID=77125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06766A Active KR102322876B1 (en) | 2020-01-17 | 2020-01-17 | Apparatus for recognizing us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22876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501981A (en) * | 2003-08-13 | 2007-02-01 | セキュリコム・(エヌエスダブリュ)・ピーティーワイ・リミテッド | Remote entry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43016A (en) * | 1997-07-25 | 1999-02-16 | Nippon Electric Ind Co Ltd | Theft preventive device for vehicle |
KR101500041B1 (en) * | 2012-12-14 | 2015-03-06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Camera module and camera apparatus having the same |
-
2020
- 2020-01-17 KR KR1020200006766A patent/KR10232287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501981A (en) * | 2003-08-13 | 2007-02-01 | セキュリコム・(エヌエスダブリュ)・ピーティーワイ・リミテッド | Remote entry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93058A (en) | 2021-07-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288197C (en) | Hand-held fingerprint recognition and transmission device | |
CN109906178B (en) | User authentication starting system and method | |
US9043048B2 (en) | RF biometric ignition control system | |
US20170193723A1 (en) | Door-Lock Using Iris Recognition and System There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Network Gateway Used Therein, And User Authentication Method | |
US11518344B2 (en) | Vehicular security system with biometric authorization feature | |
US20150186720A1 (en) | Authentication system controlled by eye open and eye closed state, handheld control apparatus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recoding media | |
GB2340975A (en) | Access control device | |
KR102265624B1 (en) | Start-up security system for vehicles using facial recognition | |
KR20190127338A (en) | Vehicle terminal and method for recognizing face thereof | |
KR102093858B1 (en) | Biometrics-based vehicle control device and vehicle control method using same | |
KR20150030789A (en) | Hands free liftgate open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rear view camera of a vehicle | |
CN109177924A (en) | Vehicle recognition of face system for unlocking | |
US20160031418A1 (en) | Keyless unlocking system and keyless unlocking method for vehicles | |
KR102322876B1 (en) | Apparatus for recognizing user | |
TW201814573A (en) | Iris authentication device | |
US20200031311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ly accessing an automobile ignition key | |
KR101780204B1 (en) | Apparatus for finger-vein identification | |
KR20140111138A (en) |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ail gate | |
US10424193B1 (en) | Locking mechanisms for enabling or disabling the operations of trainable transceivers | |
KR20150072166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oor control of vehicle using pattern | |
JP4175056B2 (en) | Personal authentication device, personal authentication system, portable terminal, personal authentication program | |
KR101119754B1 (en) | Portable Telecommunication Appatatus Having Vehicle Door's Wireless Opening and Shutting and Ignition Function | |
KR20220040528A (en) | Smart key, smart key system having the smart key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20240208464A1 (en) | Use Of Biometric Data To Facilitate Personalization Services Such As Vehicle Immobilization In Automobiles | |
KR101558778B1 (en) | System and Method for opening door of vehicle using wireless optical communic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4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1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11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