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18683B1 - Creative education system that generates video from picture - Google Patents

Creative education system that generates video from pi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8683B1
KR102318683B1 KR1020210002091A KR20210002091A KR102318683B1 KR 102318683 B1 KR102318683 B1 KR 102318683B1 KR 1020210002091 A KR1020210002091 A KR 1020210002091A KR 20210002091 A KR20210002091 A KR 20210002091A KR 102318683 B1 KR102318683 B1 KR 102318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i
picture
page
chroma key
video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20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우윤우
Original Assignee
우윤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윤우 filed Critical 우윤우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683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69Engineering, e.g. mechanical, electrical desig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23Colour matching, recognition, analysis, mixture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eative education system for manufacturing images into videos, which comprises: a camera API (110) for generating a video file by photographing and editing, in order, a plurality of picture images photographed in a stop motion method one by one while moving a character on a base picture; a chroma key API (120) for selecting a specific background color in the video file generated by the camera API (110), removing the color with chroma key, and inserting a background to generate a base page; a recording API (130) for generating a video page by selecting a corresponding base page from among base pages processed by the chroma key API (120) and inserting lines or sound effects into the selected base page to be dubbed; and a video file generator (140)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 title page prior to the video page generated by the recording API (130) when a title background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learning target can manufacture his/her pictures into a moving video so that an educational effect can be maximized by not only inducing creative thinking in addition to active participation into art learning, curiosity induction, and interest feeling but also inducing interest in class.

Description

그림을 동영상으로 제작하는 창의교육 시스템{Creative education system that generates video from picture}Creative education system that generates video from picture}

본 발명은 그림을 동영상으로 제작하는 창의교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그림을 단시간에 스토리가 있으면서 움직이는 동영상 형태로 손쉽게 제작할 수 있는 그림을 동영상으로 제작하는 창의교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eative education system for producing a picture into a moving pi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reative education system for producing a picture as a moving picture in a moving picture form with a story in a short time.

인간은 보편적으로 자신의 생각과 감정 등을 표현하고자 하는 기본적인 욕구를 지니고 있다. 그림은 이러한 인간의 표현의지를 전달하는 가장 기초적이며 명확한 전달수단이다.Humans have a basic desire to express their thoughts and feelings in general. Paintings are the most basic and clear means of conveying this human will to express.

한편, 최근 각종 두뇌발달연구의 성과로 그리기 교육이 지성 및 감성발달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미술교육이 성장하는 어린이들에게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Meanwhile, as a result of recent brain development research, drawing education is known to be helpful for intellectual and emotional development, and art education is actively being conducted for growing children.

특히, 최근에는 미술교육 환경의 발달로 인해 인터넷과 같은 정보통신매체를 이용하는 다양한 형태의 교육방법이 제시되고 있다.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art education environment, various types of educational methods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media such as the Internet have been proposed.

이러한 시기에 어린이의 모바일 사용이 점차 늘어남에 따라 스마트폰의 순기능을 발휘하여 아이들에게 재미와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창의 미술교육이 필요하다 하겠다. In this period, as children's mobile use is gradually increasing, it is necessary to provide creative art education that can generate fun and interest in children by demonstrating the net function of smartphones.

종래 관련 분야 특허 기술로서, 객체의 특징선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미술 학습 데이터를 제시하고 이를 기초로 사용자가 작성한 결과를 피드백받아 분석함으로써 컴퓨터를 통한 미술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미술 학습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중간 과정에 대한 도면 입력 또는 마우스 또는 전용 태블릿을 통한 신호 입력을 통하여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피드백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컴퓨터를 이용한 학습방법을 미술 교육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As a prior art related field patented technology, art learning data is presented to the user based on the feature line information of the object, and the results written by the user are received and analyzed based on this, thereby maximizing the effect of art learning through the computer, and the user's art A technology that enables the conventional computer-based learning method to be applied to art education by identifying problems occurring in the learning process through drawing input for the intermediate process or signal input through a mouse or a dedicated tablet and enabling feedback to the user This has been proposed (refer to Patent Document 1).

또한, 사용자가 각 객체를 선택하고 이를 합성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미술 학습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이를 기초로 사용자가 작성한 결과를 피드백받아 분석함으로써 컴퓨터를 통한 미술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미술 학습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중간 과정에 대한 도면 입력 또는 마우스 또는 전용 태블릿을 통한 신호 입력을 통하여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피드백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컴퓨터를 이용한 학습방법을 미술 교육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In addition, the user selects each object, synthesizes it, presents the user's desired art learning data to the user, and receives and analyzes the result written by the user based on this, thereby maximizing the effect of art learning through the computer and the user's art learning It is a technology that enables the conventional computer-based learning method to be applied to art education by identifying problems occurring in the process through drawing input for the intermediate process or signal input through a mouse or a dedicated tablet and allowing feedback to the user. It has been proposed (refer to Patent Document 2).

국내등록특허 10-0710037호Domestic Registered Patent No. 10-0710037 국내등록특허 10-0758939호Domestic Registered Patent No. 10-0758939

본 발명은 학습 대상자가 능동적으로 참여하며 호기심을 유발시키고 흥미를 느끼면서 창의적인 생각을 발휘할 수 있도록 유도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수업에 흥미를 유발시켜 창의성 발달이라는 교육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그림을 동영상으로 제작하는 창의교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video image of a picture that enables the learning subject to actively participate, arouse curiosity, and to express creative thinking while feeling interest, and to arouse interest in the class in this process to achieve the educational effect of creativity development. Its purpose is to provide a creative education system produced b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그림을 동영상으로 제작하는 창의교육 시스템은, 바탕 그림 위에 캐릭터를 움직여가면서 한장 한장씩 스톱모션 방식으로 촬영된 복수개의 그림 이미지를 순서를 정해서 촬영 편집하여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카메라 API와; 상기 카메라 API에서 생성된 동영상 파일에 특정 배경 색을 선택하여 크로마키로 색을 제거하고 배경을 삽입하여 베이스 페이지를 생성하는 크로마키 API와; 상기 크로마키 API에서 처리된 베이스 페이지들 중에서 해당되는 베이스 페이지를 선택하고 선택된 베이스 페이지에 대사나 효과음을 삽입하여 더빙함으로써 동영상 페이지를 생성하는 녹음 API와; 타이틀 배경 선택시 상기 녹음 API에서 생성된 동영상 페이지에 타이틀 페이지를 제작하여 앞부분에 자동 생성하는 동영상 파일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reative education system for producing a picture as a moving pi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video image by shooting and editing a plurality of picture images taken in a stop motion method one by one while moving the character on the base picture in order. a camera API for generating a file; a chroma key API for selecting a specific background color from the video file generated by the camera API, removing the color with the chroma key, and inserting the background to generate a base page; a recording API for generating a video page by selecting a corresponding base page from among the base pages processed by the chroma key API and dubbing by inserting lines or sound effects into the selected base pag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ving picture file generator that automatically creates a title page in the front part of the video page generated by the recording API when the title background is selected.

여기에서, 상기 카메라 API는 촬영 편집시 캔버스 사각 프레임에 자동 맞춤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Here, the camera API may have an auto-fit function to the rectangular frame of the canvas during shooting and editing.

또한, 상기 크로마키 API는 한가지 색을 크로마키 색으로 지정하여 배경 바꾸기가 가능하고, 가로 및 세로 영상 제작이 가능하게 하며 그림을 레이어로 작업하여 촬영한 그림을 동영상으로 제작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hroma key API has a function that enables the background to be changed by designating one color as the chroma key color, enables horizontal and vertical image production, and enables the production of a photographed picture into a moving picture by working with a picture as a layer can do.

또한, 상기 크로마키 API는 크로마키 적용 시 캔버스의 색을 기준으로 임의의 한가지 색을 선택하여 투명하게 처리하고, 투명한 색에 여러가지 배경을 적용시킴으로써 한가지 그림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게 하며, 색의 레인지를 조절함으로써 색 영역 범위를 축소하거나 확장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hroma key API selects an arbitrary color based on the color of the canvas when applying the chroma key, processes it transparently, and applies various backgrounds to the transparent color so that one picture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and the color range By adjusting , a function of reducing or extending the color gamut range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녹음 API는 특정 목소리 또는 특정 소리를 이용하여 대사 또는 효과음을 더빙함과 아울러 사운드 이펙트를 삽입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cording API may include a function of inserting a sound effect while dubbing a dialogue or sound effect using a specific voice or a specific sound.

또한, 상기 녹음 API는 페이지 구간 선택 후 선택된 페이지 구간에 맞추어 타이머 기능이 작동되면 페이지가 로딩 되면서 타이머 기능으로 선택 구간에 맞추어 대사 또는 효과음을 더빙하는 기능과, 캐릭터가 복수일 경우 제1 캐릭터 구간과 제2 캐릭터 구간을 각각 지정하여 더빙이 가능하며 페이지를 복수 선택하여 반복 더빙이 가능하게 하는 기능과, 전체 베이스 페이지 선택 후 BGM을 삽입할 수 있으며, 크로마키 적용하여 배경을 변경하고 대사와 효과음을 더빙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cording API includes a function of dubbing lines or sound effects according to the selected section with a timer function as the page is loaded when the timer function is activated according to the selected page section after selecting a page section, and when there are multiple characters, the first character section and Dubbing is possible by designating each second character section, a function that enables repeated dubbing by selecting multiple pages, BGM can be inserted after selecting the entire base page, and chroma key is applied to change the background, dialogue and sound effects A dubbing function may b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르면, 학습 대상자가 자신의 그림을 상상하는대로 움직이는 동영상으로 제작이 가능하므로 미술학습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며 호기심을 유발시키고 흥미를 느끼면서 창의적인 생각을 발휘할 수 있도록 유도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과정에서 수업에 흥미를 유발시켜 창의성 발달이라는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이렇게 제작된 동영상을 활용하여 컴퓨터(스마트폰)로 하는 비대면 교육이 가능하며 기존의 미술수업 또는 창의수업과 연계하여 효과적인 교육도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possible to produce a moving image of the subject's drawing as he imagines it, it is possible to actively participate in art learning, arouse curiosity, and not only induce creative thoughts while feeling interest, but also inducing them to express their creative thoughts in this process. The educational effect of creativity development can be maximized by arousing interest in the class. By using the video produced in this way, non-face-to-face education with a computer (smartphone) is possible, and effective education is possible in connection with the existing art class or creative class.

부연하여, 기존의 미술교육과 연결하여, 그림 또는 공예 교육과정 이후에 동영상을 제작하므로써 흥미있는 교육과정을 제 3자(부모 등)에게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an interesting curriculum can be delivered to a third party (parents, etc.) by making a video after the painting or crafts curriculum in connection with the existing art edu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림을 동영상으로 제작하는 창의교육 시스템 블록도.
도 2 내지 5는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되는 동영상 관련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림을 동영상으로 제작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에 따른 비즈니스 모델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is a block diagram of a creative education system for producing a pi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moving picture.
2 to 5 are drawings related to the video produc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of producing a picture into a moving pi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to 9 are conceptual diagrams of a business mod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그림을 동영상으로 제작하는 창의교육 시스템은, 저작도구이자 창의교육 플랫폼으로서 학습 대상자 자신이 능동적으로 참여하며 호기심을 유발시키고 흥미를 느끼면서 창의적인 생각을 발휘할 수 있도록 유도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수업에 흥미를 유발시켜 창의성 발달이라는 교육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자신의 그림을 단시간에 상상하는대로 움직이는 동영상(애니메이션)으로 손쉽게 제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The creative education system for producing a pi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video is an authoring tool and a creative education platform, which induces learners to actively participate, arouse curiosity, feel interest, and express creative thoughts, and in this process In order to arouse interest in the class and achieve the educational effect of creativity development, the technical feature is to support easy production of one's own picture as a moving video (animation) as imagined in a short time.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그림을 동영상으로 제작하는 창의교육 시스템은, 크게 카메라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110), 크로마키 API(120), 녹음 API(130) 및 동영상 파일 생성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1, the creative education system for producing a picture into a moving pi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a camera API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110), a chroma key API 120, a recording API 130, and a video file generation. and a unit 140 .

먼저, 상기 카메라 API(110)는 카메라로 촬영된 그림 이미지를 편집하여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파일 등의 동영상 파일을 생성한다. 즉, 그림을 동영상으로 제작하기 위해 GIF 파일 등의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바탕 그림 위에 캐릭터를 움직여가면서, 즉 위치를 바꿔가면서 한장 한장씩 스톱모션 방식으로 촬영된 복수개의 그림 이미지를 순서를 정해서 촬영 편집하여 동영상 파일을 생성한다. First, the camera API 110 creates a video file such as a GIF (Graphics interchange Format) file by editing a picture image taken with a camera. In other words, to create a picture into a video, a video file such as a GIF file is created. Specifically, moving the character on the base picture, that is, changing the position, one by one, a plurality of picture images taken in the stop motion method are shot and edited in order to create a video file.

예를 들면, 도 2에서 나무가 그려진 바탕 그림 위에 벌 형태의 캐릭터를 따로 제작하여 그림 위에서 움직여가면서 한장 한장씩 스톱모션 방식으로 촬영된 복수개의 그림 이미지를 적절히 선별한 후 순서를 정해 편집함으로써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게 된다. For example, in FIG. 2, a bee-shaped character is separately produced on the base picture on which a tree is drawn, and a plurality of picture images shot in a stop motion method one by one while moving on the picture are appropriately selected and then edited in order to create a video file. will create

이때, 상기 카메라 API(110)는 대상 그림을 촬영 편집할 때 캔버스 사각 프레임에 자동 맞춤 기능, 즉 흔들림 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camera API 110 has an automatic fitting function, that is, a shake prevention function, to the rectangular frame of the canvas when shooting and editing the target picture.

상기 크로마키 API(120)는 상기 카메라 API(110)에서 생성된 동영상 파일에 특정 배경 색을 선택하여 크로마키로 동영상 파일 본래의 색을 제거하고 배경을 삽입하여 베이스 페이지를 생성한다(도 3에서 좌측 도면 참조). 이때, 상기 크로마키 API(120)는 한가지 색을 크로마키 색으로 지정하여 배경 바꾸기가 가능하다. 즉, 한가지 색을 크로마키 색으로 지정한 후 이 부분에 배경 이미지 화면 바꾸기가 가능한 것이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 및 세로 영상 제작이 가능하게 하며 배경그림과 캐릭터를 따로 작업하여 촬영한 그림을 동영상으로 제작이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hroma key API 120 selects a specific background color from the video file generated by the camera API 110, removes the original color of the video file with the chroma key, and inserts the background to create a base page (left in FIG. 3). see drawing). In this case, the chroma key API 120 may change the background by designating one color as the chroma key color. That is, after designating one color as the chroma key color,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background image screen in this part.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it is preferable to have a function that enables the production of horizontal and vertical images and enables the production of a picture taken by separately working with a background picture and a character into a moving picture.

이와 더불어, 상기 크로마키 API(120)는 크로마키를 적용할 때 캔버스의 색을 기준으로 임의의 한가지 색을 선택하여 투명하게 처리하고, 투명한 색에 여러가지 배경을 적용시킴으로써 한가지 그림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게 하며, 색의 레인지를 조절함으로써 색 영역 범위를 축소하거나 확장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녹음 API(130)는 상기 크로마키 API(120)에서 처리된 베이스 페이지들 중에서 해당되는 베이스 페이지를 선택하고, 선택된 베이스 페이지에 필요에 따라 대사나 효과음을 삽입하여 더빙함으로써 동영상 페이지를 생성한다(도 3에서 중간 도면 참조).
이때, 상기 녹음 API(130)는 특정 목소리 또는 특정 소리를 이용하여 대사 또는 효과음을 더빙함과 아울러 사운드 이펙트를 삽입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그림을 그린 당사자 본인이 자신의 목소리를 녹음하여 대사 또는 효과음을 더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린아이가 본인 목소리로 타이핑 대신에 대사 또는 의성어, 의태어를 직접 더빙할 수 있어 타이핑을 못치는 어린아이에게도 대사 삽입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녹음 API(130)는 페이지 구간 선택 후 선택된 페이지 구간에 맞추어 타이머 기능이 작동되면 스스로 더빙 구간을 제어할 수 있어서 페이지가 로딩 되면서 타이머 기능으로 선택 구간에 맞추어 대사 또는 효과음을 더빙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녹음 API(130)는 캐릭터가 복수일 경우 제1 캐릭터 구간과 제2 캐릭터 구간을 각각 지정하여 더빙이 가능하며 페이지를 복수 선택하여 반복 더빙이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hroma key API 120 selects an arbitrary color based on the color of the canvas when applying the chroma key, processes it transparently, and applies various backgrounds to the transparent color to change one picture in various ways. and may have a function of reducing or extending the color gamut range by adjusting the color range.
The recording API 130 selects a corresponding base page from among the base pages processed by the chroma key API 120, and creates a video page by dubbing by inserting lines or sound effects into the selected base page as needed ( See the middle drawing in FIG. 3).
In this case, the recording API 130 may have a function of inserting a sound effect as well as dubbing a dialogue or sound effect using a specific voice or a specific sound. Therefore, the person who drew the picture can record his/her own voice and dub the dialogue or sound effect. For example, a child can directly dub lines or onomatopoeic words instead of typing with their own voice, making it possible to insert lines even for children who cannot type.
In addition, the recording API 130 can control the dubbing section by itself when the timer function is activated according to the selected page section after selecting the page section. can be provided
In additio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characters, the recording API 130 may have a function of enabling dubbing by designating a first character section and a second character section, respectively, and selecting a plurality of pages to enable repeated dubbing.

또한, 상기 녹음 API(130)는 전체 베이스 페이지 선택 후 백그라운드 뮤직(BGM)을 삽입할 수 있으며, 크로마키 적용하여 배경을 변경하고 대사와 효과음을 더빙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cording API 130 may insert background music (BGM) after selecting the entire base page, change the background by applying chroma key, and have a function of dubbing lines and sound effect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 동영상 파일 생성부(140)는 제목이 삽입된 타이틀 배경이 선택되면 상기 녹음 API(130)에서 생성된 동영상 페이지에 앞서 타이틀 페이지를 자동 생성한다(도 3에서 우측 도면 참조). 즉, 타이틀 배경 선택 후 제목을 기입하여 생성된 타이틀 페이지를 상기 녹음 API(130)에서 생성된 동영상 페이지에 앞서 자동 생성하는 것이다. When a title background having a title inserted therein is selected, the video file generator 140 automatically creates a title page prior to the video page generated by the recording API 130 (refer to the right drawing in FIG. 3 ). That is, a title page generated by entering a title after selecting a title background is automatically generated prior to a video page generated by the recording API 130 .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그림을 동영상으로 제작하는 창의교육 시스템은, 기존 시스템과 달리 4가지 기능( 카메라 API / 크로마키 API / 녹음 API / 동영상 파일 생성 )을 구비하고 있다. As such, the creative education system for producing a picture into a moving pi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four functions (camera API / chroma key API / recording API / video file creation) unlike the existing system.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그림을 동영상으로 제작하는 창의교육 시스템에 의해 제작되는 동영상은 도 8,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앱으로 제작된 후 플랫폼으로 업로드 되어 갤러리에서 확인 가능하다. 이때, 인입결제 또는 추가결제 후에 더 많은 배경 이미지 또는 타이틀 템플릿을 삽입하여 운영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video produced by the creative education system for producing a pi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video is uploaded to the platform after being produced as an app as shown in FIGS. 8 and 9 and can be checked in the gallery. In this case, after the incoming payment or additional payment, more background images or title templates may be inserted and operated.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동영상 앱을 통해 컴퓨터(스마트폰)로 하는 비대면 교육이 가능하며 종래 다른 동영상 앱과 비교하면, 캔버스 비율대로 가로, 세로 제작이 가능하고, 한가지 색을 크로마키 색으로 지정하여 배경 바꾸기가 가능하며, 자신의 목소리를 직접 녹음하여 효과음 또는 대사를 더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rough the video app produc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n-face-to-face education with a computer (smartphone) is possible. Compared with other video apps, horizontal and vertical production is possible according to the canvas ratio, and one color is designated as a chroma key color.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background, an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ub sound effects or lines by recording one's own voice.

사업적인 측면에서는 도 8,9에 도시한 바와 같이 B2B로써 미디어교육/방문미술/아이디어상품 등 기업과 MOU를 맺어 기업회원에게 앱을 공급하여 수익을 창출하며 B2C로써 방과후 교실/유치원에서 무료교육을 통하여 회원을 확보하면서 앱사용 방법을 알 수 있는 AR워크북을 유료공급하며, 앱스토어 유튜브에서 광고수익을 수익원으로 하는 장점이 있다. In terms of business, as shown in Figs. 8 and 9, as B2B, we signed an MOU with companies such as media education/visiting art/idea products to supply apps to corporate members to generate revenue, and B2C to provide free education in after-school classrooms/kindergartens. It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an AR workbook that allows you to know how to use the app for a fee while securing members through the app, and it uses ad revenue as a revenue source from the App Store YouTube.

웹 내에 유료화 하여 선택시 다음과 같은 서비스 공급이 가능하다.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following services if you choose to pay within the web.

1. 아동 그림 DB 구축 후 포트폴리오 제작 서비스 실시. 앱 내에 타이틀 제작과 함께 포트폴리오 템플릿을 적용하여 손쉽게 포트폴리오 제작 가능1. Implementation of portfolio creation service after building children's picture DB. You can easily create a portfolio by applying a portfolio template along with creating a title within the app.

타이틀 제작은 템플릿 선택→꾸미기→제목 삽입To create a title, select a template → Decorate → Insert a title

포트폴리오 제작은 앞단에 개인 프로필과 본인 사진 등 개인 소개 페이지 동영상과 함께 갤러리 사진을 첨부하여 포트폴리오 제작 가능To create a portfolio, you can create a portfolio by attaching a gallery photo along with a personal introduction page video such as a personal profile and a picture of yourself at the front.

2. 아동 작품 중 선별하여 상업적인 광고 또는 컨텐츠 활용을 통한 저작료 지급 서비스2. Copyright payment service through commercial advertisement or content utilization by selecting children's works

앱으로 동영상 제작 후 웹상의 작품 갤러리에 올려 정해진 기간 동안 <좋아요> 몇 점 이상 받은 작품에 한하여 유튜브 갤러리에 업로드 됨After making a video with the app, it is uploaded to the gallery of works on the web, and only works that have received more than a few <Likes> during a set period are uploaded to the YouTube gallery.

또한 동영상 이미지를 상업적으로 쓰게 될 경우 저작자에게 저작료를 지급하는 에이전시 서비스 In addition, an agency service that pays copyright fees to the author when the video image is used commercially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미술교육과 연결하여, 그림 또는 공예 교육과정 이후에 동영상을 제작하므로써 흥미있는 교육과정을 제 3자(부모 등)에게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the existing art educ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an interesting educational process can be delivered to a third party (such as a parent) by producing a moving picture after the painting or craft curriculum.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그림을 동영상으로 제작하는 창의교육 시스템을 한정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creative education system for producing a pi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video has been described according to a limited embodimen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embodiment, and it is intended for those with ordinary knowledge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implemented within the obvious scope.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for explaining, not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 카메라 API
120 : 크로마키 API
130 : 녹음 API
140 : 영상 파일 생성부
110 : Camera API
120: Chromakey API
130 : Recording API
140: image file generating unit

Claims (6)

그림을 동영상으로 제작하는 창의교육 시스템으로서,
바탕 그림 위에 캐릭터를 움직여가면서 한장 한장씩 스톱모션 방식으로 촬영된 복수개의 그림 이미지를 순서를 정해서 촬영 편집하여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카메라 API(110)와;
상기 카메라 API(110)에서 생성된 동영상 파일에 특정 배경 색을 선택하여 크로마키로 색을 제거하고 배경을 삽입하여 베이스 페이지를 생성하는 크로마키 API(120)와;
상기 크로마키 API(120)에서 처리된 베이스 페이지들 중에서 해당되는 베이스 페이지를 선택하고 선택된 베이스 페이지에 대사나 효과음을 삽입하여 더빙함으로써 동영상 페이지를 생성하는 녹음 API(130)와;
타이틀 배경 선택시 상기 녹음 API(130)에서 생성된 동영상 페이지에 앞서 타이틀 페이지를 자동 생성하는 동영상 파일 생성부(140)를 포함하는 그림을 동영상으로 제작하는 창의교육 시스템.
As a creative education system that produces pictures into videos,
a camera API 110 for creating a video file by setting a sequence and editing a plurality of picture images taken one by one in a stop motion method while moving the character on the base picture;
a chroma key API 120 for selecting a specific background color from the video file generated by the camera API 110, removing the color with the chroma key, and inserting the background to generate a base page;
a recording API 130 for generating a video page by selecting a corresponding base page from among the base pages processed by the chroma key API 120 and dubbing by inserting lines or sound effects into the selected base page;
A creative education system for producing a picture into a moving picture, including a moving picture file generator 140 that automatically creates a title page prior to the moving picture page generated by the recording API 130 when a title background is select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API(110)는 촬영 편집시 캔버스 사각 프레임에 자동 맞춤 기능을 구비한 그림을 동영상으로 제작하는 창의교육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amera API 110 is a creative education system that produces a picture with an automatic fit function to a rectangular frame of the canvas when editing a photograph as a video.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크로마키 API(120)는 한가지 색을 크로마키 색으로 지정하여 배경 바꾸기가 가능하고, 가로 및 세로 영상 제작이 가능하게 하며 그림을 레이어로 작업하여 촬영한 그림을 동영상으로 제작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구비한 그림을 동영상으로 제작하는 창의교육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hroma key API 120 can designate one color as a chroma key color to change the background, make horizontal and vertical images possible, and work with pictures in layers to produce a picture taken as a video. A creative education system that produces pictures with videos.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크로마키 API(120)는 크로마키 적용 시 캔버스의 색을 기준으로 임의의 한가지 색을 선택하여 투명하게 처리하고, 투명한 색에 여러가지 배경을 적용시킴으로써 한가지 그림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게 하며, 색의 레인지를 조절함으로써 색 영역 범위를 축소하거나 확장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그림을 동영상으로 제작하는 창의교육 시스템.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chroma key API 120 selects an arbitrary color based on the color of the canvas when applying the chroma key, processes it transparently, and applies various backgrounds to the transparent color so that one picture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A creative education system that produces a picture with a function to reduce or expand the color gamut by adjusting the rang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녹음 API(130)는 특정 목소리 또는 특정 소리를 이용하여 대사 또는 효과음을 더빙함과 아울러 사운드 이펙트를 삽입하는 기능을 구비한 그림을 동영상으로 제작하는 창의교육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cording API 130 is a creative education system for producing a picture having a function of inserting a sound effect as well as dubbing a dialogue or sound effect using a specific voice or a specific sound as a moving pictu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녹음 API(130)는 페이지 구간 선택 후 선택된 페이지 구간에 맞추어 타이머 기능이 작동되면 페이지가 로딩 되면서 타이머 기능으로 선택 구간에 맞추어 대사 또는 효과음을 더빙하는 기능과, 캐릭터가 복수일 경우 제1 캐릭터 구간과 제2 캐릭터 구간을 각각 지정하여 더빙이 가능하며 페이지를 복수 선택하여 반복 더빙이 가능하게 하는 기능과, 전체 베이스 페이지 선택 후 BGM을 삽입할 수 있으며, 크로마키 적용하여 배경을 변경하고 대사와 효과음을 더빙하는 기능을 구비한 그림을 동영상으로 제작하는 창의교육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cording API 130 has a function of dubbing lines or sound effects according to the selected section with a timer function as the page is loaded when the timer function is activated according to the selected page section after selecting the page section, and when there are multiple characters, the first character section Dubbing is possible by designating a section and a second character section respectively, and a function that enables repeated dubbing by selecting multiple pages, BGM can be inserted after selecting the entire base page, and the background can be changed by applying chroma key, dialogue and sound effects A creative education system that produces videos with a function of dubbing.
KR1020210002091A 2020-08-07 2021-01-07 Creative education system that generates video from picture Active KR10231868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946 2020-08-07
KR20200098946 2020-08-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8683B1 true KR102318683B1 (en) 2021-10-28

Family

ID=78232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2091A Active KR102318683B1 (en) 2020-08-07 2021-01-07 Creative education system that generates video from pi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8683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2788A (en) * 2003-11-06 2005-06-02 Tatsumi Denshi Kogyo Kk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creating photograph
KR20070016902A (en) * 2005-08-05 2007-02-08 주식회사 오아시스미디어 Real-time multi-layer composite recording system and method,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method
KR100710037B1 (en) 2006-04-21 2007-04-20 김영나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records and provides a method of providing and managing object-based art learning data based on feature line presentation
KR100758939B1 (en) 2006-04-21 2007-09-14 김영나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method for providing and managing art learning data based on object selection and composition and program for realizing the same
KR20140041998A (en) * 2012-09-26 2014-04-07 주식회사 에이아이오코리아 Method and apparatus for chromakey compositing of subject image and background image
KR101655078B1 (en) * 2015-04-29 2016-09-07 주식회사 시어스랩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moving photograph
KR20190030870A (en) * 2017-09-15 2019-03-25 주식회사 케이티 Image composition apparatus using virtual chroma-key backgroun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2788A (en) * 2003-11-06 2005-06-02 Tatsumi Denshi Kogyo Kk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creating photograph
KR20070016902A (en) * 2005-08-05 2007-02-08 주식회사 오아시스미디어 Real-time multi-layer composite recording system and method,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method
KR100710037B1 (en) 2006-04-21 2007-04-20 김영나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records and provides a method of providing and managing object-based art learning data based on feature line presentation
KR100758939B1 (en) 2006-04-21 2007-09-14 김영나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method for providing and managing art learning data based on object selection and composition and program for realizing the same
KR20140041998A (en) * 2012-09-26 2014-04-07 주식회사 에이아이오코리아 Method and apparatus for chromakey compositing of subject image and background image
KR101655078B1 (en) * 2015-04-29 2016-09-07 주식회사 시어스랩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moving photograph
KR20190030870A (en) * 2017-09-15 2019-03-25 주식회사 케이티 Image composition apparatus using virtual chroma-key backgroun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iman Prepare to board! creating story and characters for animated features and shorts
Kriger Animated realism: a behind the scenes look at the animated documentary genre
Faber et al. Animation unlimited: innovative short films since 1940
Jordan Techniques of visual persuasion: Create powerful images that motivate
KR102318683B1 (en) Creative education system that generates video from picture
KR20230057651A (en) Creative education system that generates video from picture
Subotnick Animation in the home digital studio: creation to distribution
KR20250142718A (en) Picture video production education system
Mitchell et al. The Screens of Virtual Production: What is Real?
Maddock Reframing cinematography: interpreting cinematography in an emerging virtual practice
Maddock Virtually Real: Cinematographic Verisimilitude within the Construct of Artistic Referentiality
Sasikala et al. The Media Lexicon: A Comprehensive Guide to Media Terms and Concepts
Mandal’s KG Joshi College of Arts & NG Bedekar College of Commerce (Autonomous)(Affiliated to University of Mumbai)
Palamara Be good or be good at it
Ranjana et al. Exploring Adaptability of Miniature Painting to New Media
Ye et al. Fusion of Ink and Algorithm: Exploring Embodied Interaction with Lingnan Painting Through Generative AI
ADUKU DIGITAL TECHNOLOGY AND THE CHALLENGES FOR NIGERIAN THEATRE
Uroskie From Pictorial Collage to Intermedia Assemblage: Variations V (1965) and the Cagean Origins of VanDerBeek’s Expanded Cinema
Francis Close-Up Gallery: The Afrosurrealist Film Society
Sem et al. Choice Based Credit System (CBCS), Learning Outcomes Based Curriculum Framework (LOCF) Guideline Based Credit and Hours Distribution System for all UG courses including Lab Hours
Al Hafiz et al. Representation of Depression Sufferers in Short Films Using 360⁰ Virtual Reality
Zelić THE PAST IN THE PRESENT IN THE NEW MEDIA OF SOCIAL NETWORKS: PHOTOGRAPHY BY ERIO PICCAGLIANI AND THE OPERA SINGER MARIA CALLAS THROUGH NEW MEDIA
Wade Colleen Syron DS1 06 October 2019 Designing within the Realm of Dance
Kim Intermedial Aesthetics: Still Images, Moving Words, and Written Sounds in Early Twentieth-Century Korean Cinematic Novels (Yeonghwa Soseol)
Bremgartner Performing ‘Readings’: The Interplay of Theatre And Digital Comics In Tezuk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0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5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0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0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