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5314B1 -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he user terminal device - Google Patents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he user terminal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05314B1 KR102305314B1 KR1020150016664A KR20150016664A KR102305314B1 KR 102305314 B1 KR102305314 B1 KR 102305314B1 KR 1020150016664 A KR1020150016664 A KR 1020150016664A KR 20150016664 A KR20150016664 A KR 20150016664A KR 102305314 B1 KR102305314 B1 KR 1023053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b
- region
- terminal device
- user terminal
- area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사용자 단말장치가 개시된다. 본 사용자 단말 장치는, 구부러져 고정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면 및 측면을 구성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면에 배치된 메인 영역과 메인 영역으로부터 측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부러진 부분을 포함하는 서브 영역으로 구분되는 플렉서블 표시부, 메인 영역 및 서브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사용자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 및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서브 영역에 개별적으로 표시 가능한 복수의 UI 요소를 메인 영역에 표시되도록 하고, 메인 영역 상에 표시된 복수의 UI 요소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UI 요소가 서브 영역에 표시되도록 플렉서블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 user terminal device is disclosed. The present user terminal device is bent and fixed to configure the front and side surfaces of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is divided into a main region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a sub region extending from the main region in a lateral direction and including a bent portion. A display unit, a touch sensing unit for detecting a user's touch in at least one of the main area and the sub area, and a plurality of UI elements that can be individually displayed in the sub area are displayed in the main area when a preset event occurs,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flexibl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selected UI element on the sub-region when one of the plurality of UI elements displayed on the region is selec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 영역과 메인 영역의 측면으로 확장되어 형성된 서브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부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렉션을 입력받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terminal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user terminal device receiving a user interaction input using a flexible display unit including a main area and a sub area extending to the side of the main area, and controlling the same it's about how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사용자 단말 장치들이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크기도 최소화되면서 그 기능은 더욱 다양해져, 그 수요가 점점 더 늘어나고 있다. With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technology, various types of user terminal devices are being developed and distributed. In recent years, as the size of the user terminal device is minimized, its functions are more diversified, and the demand thereof is increasing.
사용자 단말 장치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멀티미디어 컨텐츠나, 어플리케이션 화면 등과 같이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 구비된 버튼이나 터치 스크린 등을 이용하여,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는 사용자와의 인터렉션에 따라 선택적으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그 실행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device may provide various contents such as multimedia contents or an application screen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A user may select a function that he/she wants to use by using a button or a touch screen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device. The user terminal device may selectively execute a program according to an interaction with the user, and display the execution result.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이 점차 다양해짐에 따라,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이나 사용자 인터렉션 방식에 대해서도 다양한 니즈(needs)가 발생하고 있다. 즉, 컨텐츠의 종류 및 기능이 크게 증대함에 따라, 단순히 버튼을 선택하거나,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는 종래의 인터렉션 방식으로는 부족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the functions that can be provided by the user terminal device are gradually diversified, various needs are also generated for a method of displaying content and a method of user interaction. That is, as the types and functions of content greatly increase, the conventional interaction method of simply selecting a button or touching a touch screen may be insufficient.
이에 따라, 사용자가 좀 더 편리한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렉션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user interaction technology that allows a user to use a user terminal device in a more convenient manner.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인 영역과 메인 영역의 측면으로 확장되어 형성된 서브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부를 이용하여 다양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지원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ccordance with the above-described need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r terminal device capable of supporting various user interactions using a flexible display unit including a main area and a sub-region extending to the side of the main area, and controlling the same to provide a method.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는, 구부러져 고정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면 및 측면을 구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면에 배치된 메인 영역과 상기 메인 영역으로부터 상기 측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부러진 부분을 포함하는 서브 영역으로 구분되는 플렉서블 표시부, 상기 메인 영역 및 상기 서브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사용자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 및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서브 영역에 개별적으로 표시 가능한 복수의 UI 요소를 상기 메인 영역에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메인 영역 상에 표시된 복수의 UI 요소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UI 요소가 상기 서브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user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bent and fixed to configure the front and side surfaces of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the main area and the main area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user terminal device A flexible display unit divided into sub-regions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including a bent portion, a touch sensing unit sensing a user touch in at least one of the main region and the sub-region, and a preset event occurs, the A plurality of UI elements that can be individually displayed in a sub-area are displayed in the main area, and when one of a plurality of UI elements displayed on the main area is selected, the flexible display unit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selected UI element in the sub-area. Includes a control unit to control.
이 경우,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는, 상기 서브 영역에서 상기 메인 영역으로 이동하는 터치 제스처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eset event may be a touch gesture moving from the sub area to the main area.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제스처의 길이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 영역에 표시되는 UI 요소의 개수를 가변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flexible display unit to display a variable number of UI elements displayed on the main area in response to the length of the touch gesture.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제스처가 릴리즈되면, 기설정된 위치에 있는 UI 요소를 상기 서브 영역에 표시하도록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touch gesture is released,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flexible display unit to display a UI element at a preset position on the sub-region.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 영역에서 상기 메인 영역으로 이어지는 멀티 터치(multi-touch) 제스처가 감지되면, 상기 서브 영역에 표시 가능한 UI 요소를 편집하기 위한 화면을 상기 메인 영역에 표시하도록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when a multi-touch gesture extending from the sub-region to the main region is detected,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display a screen for editing UI elements displayable in the sub-region on the main region. can control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영역에 표시된 복수의 UI 요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기설정된 터치 제스처가 감지되면, 상기 기설정된 터치 제스처가 감지된 UI 요소를 상기 서브 영역에서 표시 가능한 기등록된 UI 요소에서 제외할 수 있다.Meanwhile, when a preset touch gesture for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UI elements displayed in the main area is detected,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display a UI element in which the preset touch gesture is detected in the sub-region. can be excluded from
이 경우, 상기 기설정된 터치 제스처는, 상기 메인 영역에 표시된 복수의 UI 요소 중 하나를 다른 UI 요소와 이격시키는 터치 제스처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eset touch gesture may be a touch gesture that separates one of a plurality of UI elements displayed on the main area from another UI element.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 영역 상에서 플릭(flick) 제스처가 감지되면, 상기 서브 영역 상에 표시 중인 UI 요소를 기등록된 다른 UI 요소로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when a flick gesture is detected on the sub-region,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flexible display unit to change and display a UI element being displayed on the sub-region into another previously registered UI element.
한편, 상기 서브 영역은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 중 하나에서 상기 메인 영역으로 이동하는 터치 제스처가 감지되면, 상기 서브 영역에 대한 서브 메뉴들을 상기 메인 영역에 표시하도록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ub-reg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ub-regions, and when a touch gesture moving from one of the plurality of sub-regions to the main region is detected, the sub-menus for the sub-regions are displayed in the main region. The flexible display unit may be controlled to display.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는 구부러져 고정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면 및 측면을 구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면에 배치된 메인 영역과 상기 메인 영역으로부터 상기 측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부러진 부분을 포함하는 서브 영역으로 구분되는 플랙서블 표시부와 상기 메인 영역 및 상기 서브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사용자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를 구비한 것이며, 본 제어방법은,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서브 영역에 개별적으로 표시 가능한 복수의 UI 요소를 상기 메인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영역 상에 표시된 복수의 UI 요소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UI 요소를 상기 서브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Meanwhile, in the method of controlling a user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device is bent and fixed to configure the front and side surfaces of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includes a main area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A flexible display unit divided into sub-regions extending from the main region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including a bent portion and a touch sensing unit sensing a user's touch in at least one of the main region and the sub-region, The control method includes, when a preset event occurs, displaying a plurality of UI elements individually displayable in the sub-region on the main region, and when one of a plurality of UI elements displayed on the main region is selected, the selected UI and displaying an element in the sub-region.
이 경우,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는, 상기 서브 영역에서 상기 메인 영역으로 이동하는 터치 제스처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eset event may be a touch gesture moving from the sub area to the main area.
이 경우, 상기 복수의 UI 요소를 상기 메인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제스처의 길이에 대하여 상기 메인 영역에 표시되는 UI 요소의 개수를 가변하여 표시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splaying of the plurality of UI elements on the main area may include varying the number of UI elements displayed on the main area with respect to the length of the touch gesture.
이 경우, 상기 UI 요소를 상기 서브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제스처가 릴리즈되면, 기설정된 위치에 있는 UI 요소를 상기 서브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splaying of the UI element on the sub-region may include displaying the UI element at a preset position on the sub-region when the touch gesture is released.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상기 서브 영역에서 상기 메인 영역으로 이어지는 멀티 터치(multi-touch) 제스처가 감지되면, 상기 서브 영역에 표시 가능한 UI 요소를 편집하기 위한 화면을 상기 메인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 multi-touch gesture extending from the sub area to the main area is detected, a screen for editing UI elements displayable in the sub area is displayed on the main area. The step of displaying may be further included.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상기 메인 영역에 표시된 복수의 UI 요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기설정된 터치 제스처가 감지되면, 상기 기설정된 터치 제스처가 감지된 UI 요소를 상기 서브 영역에서 표시 가능한 기등록된 UI 요소에서 제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 preset touch gesture for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UI elements displayed on the main area is detected, the UI element in which the preset touch gesture is detected can be displayed in the sub area. The step of excluding from the previously registered UI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이 경우, 상기 기설정된 터치 제스처는, 상기 메인 영역에 표시된 복수의 UI 요소 중 하나를 다른 UI 요소와 이격시키는 터치 제스처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eset touch gesture may be a touch gesture that separates one of a plurality of UI elements displayed on the main area from another UI element.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상기 서브 영역 상에서 플릭(flick) 제스처가 감지되면, 상기 서브 영역 상에 표시 중인 UI 요소를 기등록된 다른 UI 요소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when a flick gesture is detected on the sub-region, changing the UI element being displayed on the sub-region to another previously registered UI element and displaying it. can
한편, 상기 서브 영역은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구분되고, 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 중 하나에서 상기 메인 영역으로 이동하는 터치 제스처가 감지되면, 상기 서브 영역에 대한 서브 메뉴들을 상기 메인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ub-reg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ub-regions, and in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 touch gesture moving from one of the plurality of sub-regions to the main region is detected, a sub-menu for the sub-reg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them on the main area.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본 기록매체는, 구부러져 고정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면 및 측면을 구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면에 배치된 메인 영역과 상기 메인 영역으로부터 상기 측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부러진 부분을 포함하는 서브 영역으로 구분되는 플랙서블 표시부를 구비한 사용자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은,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서브 영역에 개별적으로 표시 가능한 복수의 UI 요소를 상기 메인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영역 상에 표시된 복수의 UI 요소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UI 요소를 상기 서브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rding medium is bent and fixed to configure the front and side surfaces of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includes a main area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the and a program for executing a control method of a user terminal device having a flexible display unit divided into sub-regions extending from a main region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including a bent portion, wherein the control method of the user terminal device includes: When a set event occurs, displaying a plurality of UI elements individually displayable in the sub-area on the main area, and when one of a plurality of UI elements displayed on the main area is selected, setting the selected UI element to the sub-area Including the step of indicating.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메인 영역과 서브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부를 이용하여 다양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 편의성 및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be provided with various user experiences by using the flexible display unit including the main area and the sub area. Accordingly, user convenience and satisfaction may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 내지 도 10은 플렉서블 표시부의 다양한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소프트웨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표시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그리고,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10 are views showing various configuration examples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oftware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to 22 are views showing examples of screens displayed on a user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2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user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Since the present embodiments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ion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rights.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consisting of"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and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one or more oth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presence of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실시 예에 있어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모듈’ 혹은 복수의‘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 'module' or 'unit' perform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In addition, a plurality of 'modules' or a plurality of 'units' are integrated into at least one module and implemented with at least one processor (not shown) except for 'modules' or 'units' that need to be implemented with specific hardware. can be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장치의 기본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의 사용자 단말 장치(1000)는 구체적으로는, TV, PC, 랩탑 PC, 휴대폰, 태블릿 PC, PDA, MP3 플레이어, 키오스크, 전자 액자, 테이블 디스플레이 장치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휴대폰이나 태블릿 PC, PDA, MP3 플레이어, 랩탑 PC 등과 같이 휴대 가능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모바일 디바이스로 명명할 수도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로 통칭하여 설명한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basic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device for explain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Specifically, the
도 1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0)는 플렉서블 표시부(100), 터치 감지부(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a
플렉서블 표시부(100)는 메인 영역과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영역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메인 영역과 서브 영역은 다양한 의미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예로, 두 영역 중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영역을 메인 영역이라고 하고, 크기가 작은 영역을 서브 영역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또는, 홈 화면으로 복귀하기 위한 홈 버튼이나 전면 스피커 등이 배치된 면과 동일한 면에 위치한 영역을 메인 영역이라고 하고, 측면에 위치한 영역을 서브 영역이라고 정의할 수도 있다. 또는, 메인 영역은 영역 내의 UI를 직접 컨트롤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하고, 서브 영역은 메인 영역의 UI를 컨트롤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The
서브 영역의 면적은 메인 영역보다는 작을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영역은 메인 영역과 상이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가령, 메인 영역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전면(front surface)에 배치되었다면,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영역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외관을 이루는 면(surface)들 중에서 우측면(right side surface), 좌측면(left side surface), 후면(back surface)과 같이 서로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영역을 포함하는 면(평면 또는 곡면)과,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영역을 포함하는 면(평면 또는 곡면)은 둔각을 이루도록 고정될 수 있다. 서브 영역의 형태, 위치, 개수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부분에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서브 영역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외관을 이루는 면들 중 사이드 면에 위치하는 경우, 서브 영역을 엣지(Edge) 영역이라 할 수 있다.The area of the sub region may be smaller than that of the main region. Also, the at least one sub-region may form a different surface from the main region. For example, if the main region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터치 감지부(200)는 메인 영역 및 서브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사용자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200)는 터치 패널 및 펜 인식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사용자의 손가락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신호에 해당하는 터치 이벤트 값을 출력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플렉서블 표시부(100)의 메인 영역 및 서브 영역 아래에 모두 실장될 수 있다. 터치 패널이 사용자의 손가락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는 방식에는 정전식 방식과 감압식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정전식은 사용자의 인체로 야기되는 미세 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감압식은 터치 패널에 내장된 두 개의 전극 판을 포함하여, 터치된 지점의 상하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The
펜 인식 패널은 사용자의 터치용 펜(예컨대,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디지타이저 펜(digitizer pen))의 운용에 따른 사용자의 펜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고, 펜 근접 이벤트 값 또는 펜 터치 이벤트 값을 출력할 수 있다. 펜 인식 패널은 플렉서블 표시부(100)의 메인 영역 및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아래에 실장될 수 있다. 펜 인식 패널은, 일 예로, EMR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펜의 근접 또는 터치에 의한 전자기장의 세기 변화에 따라 터치 또는 근접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펜 인식 패널은 그리드 구조를 가지는 전자 유도 코일 센서(미도시)와 전자 유도 코일 센서의 각 루프 코일에 순차적으로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 신호를 제공하는 전자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펜 인식 패널의 루프 코일 근방에 공진회로를 내장하는 펜이 존재하면, 해당 루프 코일로부터 송신되는 자계가 펜 내의 공진회로에 상호 전자 유도에 기초한 전류를 발생시킨다. 이 전류를 기초로 하여, 펜 내의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코일로부터 유도 자계가 발생하게 되고, 펜 인식 패널은 이 유도 자계를 신호 수신 상태에 있는 루프 코일에서 검출하게 되어 펜의 접근 위치 또는 터치 위치가 감지될 수 있다. The pen recognition panel detects a user's pen gesture input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of a touch pen (eg, a stylus pen or a digitizer pen), and outputs a pen proximity event value or a pen touch event value can do. The pen recognition panel may be mounted under at least one of the main area and the plurality of sub areas of the
제어부(300)는 플렉서블 표시부(100)의 메인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영역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가령, 제어부(300)는 서브 영역에 표시 가능한 UI 요소를 메인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서브 영역 및 메인 영역에 표시되는 UI 요소의 종류, 표시 방법, 레이아웃 등은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도 2는 하나의 서브 영역 및 메인 영역으로 구분되는 플렉서블 표시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외관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external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device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unit divided into one sub area and a main area.
도 2에 따르면, 플렉서블 표시부(1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전면(front surface)에 배치된 메인 영역(1010) 및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우측면에 배치된 서브 영역(1020)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메인 영역(1010)과 서브 영역(1020)은 경계 영역(1050)을 기준으로 구분된다. 플렉서블 표시부(100)가 구부러진 상태라는 점을 고려하여, 경계 영역(1050)은 다르게는 벤딩 라인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FIG. 2 , the
도 3은 도 2의 사용자 단말 장치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따르면, 플렉서블 표시부(100)의 메인 영역(1010)과 서브 영역(1020)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전면 및 측면에 각각 배치된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of FIG. 2 . Referring to FIG. 3 , the
도 4 및 도 5는 두 개의 서브 영역 및 메인 영역으로 구분되는 플렉서블 표시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외관 구성 예 및 그 단면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4 and 5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external configuration and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device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unit divided into two sub-regions and a main region.
도 4에 따르면, 메인 영역(1010)은 전면에 배치되고, 우측면 및 좌측면에 각각 서브 영역(1020, 1030)이 배치된다. 메인 영역(1010)과 각 서브 영역(1020, 1030)은 경계 영역(1050-1, 1050-2)에 의해 구분된다. Referring to FIG. 4 , the
도 5는 도 4의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단면 구성을 나타낸다. 도 5에 따르면, 각 서브 영역(1020, 1030)은 전면 방향에서 시청 가능하도록 메인 영역(1010)과 둔각을 이루면서 배치될 수 있다. FIG. 5 show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the
도 6 및 도 7은 두 개의 서브 영역 및 메인 영역으로 구분되는 플렉서블 표시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따르면, 두 개의 서브 영역(1020, 1030)은 메인 영역(1010)을 기준으로 양 측면에 배치되며, 전면 방향이 아닌 우측 및 좌측 방향에서 시청 가능한 각도로 고정될 수 있다. 즉, 도 7에 따르면, 각 서브 영역(1020, 1030)은 메인 영역(1010)을 포함하는 면과, 90도에 가깝게 벤딩될 수 있다. 6 and 7 are diagrams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user terminal device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unit divided into two sub-regions and a main region. Referring to FIG. 6 , the two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서브 영역은 메인 영역(1010)의 반대 방향 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region may be disposed on a side opposite to the
도 8 및 도 9는 두 개의 서브 영역 및 메인 영역으로 구분되는 플렉서블 표시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8 및 도 9에 따르면, 플렉서블 표시부(100)는 전면에 형성된 메인 영역(1010), 측면에 형성된 제1 서브 영역(1020), 후면에 형성된 제2 서브 영역(1040)으로 구분된다. 도 9에서는, 제2 서브 영역(1040)은 후면 전체를 덮지 않고, 후면의 일부 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제1 경계 영역(1050-1) 및 제3 경계 영역(1050-3)을 기준으로, 메인 영역(1010), 제1 서브 영역(1020), 제2 서브 영역(1040)을 구분하여, 영역 별로 상이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8 and 9 show another example of a user terminal device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unit divided into two sub-regions and a main region. 8 and 9 , the
한편, 도 3 내지 도 9에서는, 서브 영역(1020, 1030, 1040)이 라운드 형태로 벤딩된 형태를 도시하였으나, 서브 영역(1020, 1030, 1040)도 평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영역(1010)을 포함하는 평면과, 서브 영역(1020, 1030, 1040)을 포함하는 평면은, 경계 라인을 따라 접할 수 있다. 즉, 경계 영역(1050-1, 1050-2, 1050-3)은 라인 형상이 될 수도 있다. Meanwhile, in FIGS. 3 to 9 , the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1000)는 삼각형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영역(1010)을 포함하는 면과 서브 영역(1020)을 포함하는 면은 경계 영역(1050)에서 둔각(θ)을 이루도록 서로 연결된다. 이 밖에도, 단면 구성은 사다리꼴, 5각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또한, 이상에서는 플렉서블 표시부(100)가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면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으로 벤딩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플렉서블 표시부(1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전면을 기준으로 세로 방향으로 벤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도 10은 플렉서블 표시부(100)가 세로 방향으로 벤딩된 상태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플렉서블 표시부(1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전면에 배치된 메인 영역(1010) 및 하측 면에 배치된 서브 영역(1020)으로 구분될 수 있다. 메인 영역(1010)의 상측에는 스피커부(390)가 배치될 수 있다. 10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한편, 도 1에서는, 플렉서블 표시부(100), 터치 감지부(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실시 예에 따라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0)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 단말 장치(1000)는 각종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감지된 사용자 제스쳐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그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컨텐츠를 메인 영역 및 서브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할 수 있다. Meanwhile, in FIG. 1 , the configura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including the
그 밖에도 사용자 단말 장치(100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도 11은 휴대폰으로 구현된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1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0)는 플렉서블 표시부(100), 터치 감지부(200), 제어부(300), 저장부(310), GPS 칩(320), 통신부(330), 비디오 프로세서(340), 오디오 프로세서(350), 버튼(360), 마이크부(370), 촬상부(380), 스피커부(390), 움직임 감지부(400)를 포함한다. 1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플렉서블 표시부(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부(10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부(100) 내에는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구동 회로, 백라이트 유닛 등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터치 감지부(200)는 사용자의 터치 제스쳐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정전식이나, 감압식, 압전식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정전식은 터치 스크린 표면에 코팅된 유전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터치 스크린 표면에 터치되었을 때 사용자의 인체로 여기되는 미세 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감압식은 터치 스크린에 내장된 두 개의 전극 판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였을 경우, 터치된 지점의 상하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이 밖에도, 사용자 단말 장치(1000)가 펜 입력 기능도 지원하는 경우, 벤디드 터치 스크린(100)은 사용자의 손가락 이외에도 펜과 같은 입력 수단을 이용한 사용자 제스쳐도 감지할 수 있다. 입력 수단이 내부에 코일을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일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0)는 스타일러스 펜 내부의 코일에 의해 변화되는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는 자기장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터치 제스쳐 뿐만 아니라 근접 제스쳐, 즉, 호버링(hovering)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The
저장부(31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저장부(310)에는 메인 영역 및 서브 영역에 표시될 각종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The
제어부(300)는 저장부(310)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표시부(100)의 메인 영역 및 서브 영역 각각에 UI 요소를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제어부(300)는 메인 영역 및 서브 영역에 걸쳐 연속된 UI 요소를 디슬플레이할 수도 있다.The
제어부(300)는 RAM(210), ROM(220), CPU(230), GPU(Graphic Processing Unit)(240), 버스(250)를 포함한다. RAM(210), ROM(220), CPU(230), GPU(Graphic Processing Unit)(240) 등은 버스(250)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The
CPU(230)는 저장부(31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31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저장부(31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The
ROM(220)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CPU(230)는 ROM(220)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310)에 저장된 O/S를 RAM(210)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CPU(230)는 저장부(31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RAM(210)에 복사하고, RAM(210)에 복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GPU(24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영역 및 서브 영역 중에서 활성화된 영역에 UI 요소를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는, GPU(240)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연산부는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 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벤디드 터치 스크린(100)으로 제공되어, 메인 영역 및 서브 영역에 각각 표시된다. The
GPS 칩(320)은 GPS(Gr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제어부(300)는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할 때나 그 밖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필요할 경우에, GPS 칩(320)을 이용하여 사용자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The
통신부(33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330)는 와이파이칩(331), 블루투스 칩(332), 무선 통신 칩(333), NFC 칩(334)을 포함한다. 제어부(300)는 통신부(330)를 이용하여 각종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한다.The
와이파이 칩(331), 블루투스 칩(332)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칩(331)이나 블루투스 칩(332)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333)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NFC 칩(334)은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The Wi-
비디오 프로세서(340)는 통신부(330)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 또는, 저장부(310)에 저장된 컨텐츠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비디오 프로세서(340)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The
오디오 프로세서(350)는 통신부(330)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 또는, 저장부(310)에 저장된 컨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프로세서(35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The
제어부(30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재생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비디오 프로세서(340) 및 오디오 프로세서(350)를 구동시켜, 해당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When a playback program for multimedia content is executed, the
플렉서블 표시부(100)는 비디오 프로세서(340)에서 생성한 이미지 프레임을 메인 영역, 서브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The
또한, 스피커부(390)는 오디오 프로세서(350)에서 생성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Also, the
버튼(360)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본체 외관의 전면부나 측면부, 배면부 등의 임의의 영역에 형성된 기계적 버튼, 터치 패드, 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버튼이 될 수 있다. The
마이크 부(370)는 사용자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입력받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어부(300)는 마이크 부(37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통화(call) 과정에서 이용하거나,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부(310)에 저장할 수 있다.The
촬상부(380)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상하기 위한 구성이다. 촬상부(380)는 전면 카메라, 후면 카메라와 같이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촬상부(380)는 사용자의 시선 추적을 위한 실시 예에서 사용자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The
촬상부(380) 및 마이크 부(370)가 마련된 경우, 제어부(300)는 마이크 부(37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이나 촬상부(380)에 의해 인식되는 사용자 모션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 단말 장치(1000)는 모션 제어 모드나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모션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300)는 촬상부(380)를 활성화시켜 사용자를 촬상하고, 사용자의 모션 변화를 추적하여 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300)는 마이크 부(37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음성을 분석하고, 분석된 사용자 음성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음성 인식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When the
모션 제어 모드나 음성 제어 모드가 지원되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0)에서는, 음성 인식 기술 또는 모션 인식 기술이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홈 화면에 표시된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듯한 모션을 취하거나, 그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음성 명령어를 발음하는 경우, 해당 오브젝트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고, 그 오브젝트에 매칭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In the
움직임 감지부(4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본체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즉, 사용자 단말 장치(1000)는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되거나 기울어질 수 있다. 움직임 감지부(400)는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회전 방향 및 각도, 기울기 등과 같은 움직임 특성을 감지할 수 있다. The
그 밖에, 도 11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실시 예에 따라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0) 내에 USB 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는 USB 포트나, 헤드셋, 마우스, LAN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외부 입력 포트,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DMB 칩, 다양한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 11 ,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USB port to which a USB connector can be connected in the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부(310)에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도 12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에 따르면, 저장부(310)에는 OS(1210), 커널(1220), 미들웨어(1230), 어플리케이션(1240) 등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various programs may be stored in the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1210)는 하드웨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OS(1210)는 하드웨어 관리와 메모리, 보안 등의 기본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계층이다. An operating system (OS) 1210 controls and manages the overall operation of hardware. That is, the
커널(1220)은 벤디드 터치 스크린(100)에서 감지되는 터치 신호 등을 비롯한 각종 신호들을 미들웨어(1220)로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The
미들웨어(12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각종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한다. 도 12에 따르면, 미들웨어(1230)는 X11 모듈(1230-1), APP 매니저(1230-2), 연결 매니저(1230-3), 보안 모듈(1230-4), 시스템 매니저(1230-5),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1230-6), UI 프레임워크(1230-7), 윈도우 매니저(1230-8), 필기 인식 모듈(1230-9)을 포함한다. The
X11 모듈(1230-1)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0)에 구비된 각종 하드웨어들로부터 각종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는 모듈이다. 여기서 이벤트란, 사용자 제스쳐가 감지되는 이벤트, 시스템 알람(alarm)이 발생하는 이벤트, 특정 프로그램이 실행 또는 종료되는 이벤트 등과 같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The X11 module 1230-1 is a module for receiving various event signals from various hardware provided in the
APP 매니저(1230-2)는 저장부(310)에 설치(install)된 각종 어플리케이션(1240)의 실행 상태를 관리하는 모듈이다. APP 매니저(1230-2)는 X11 모듈(1230-1)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 이벤트가 감지되면, 해당 이벤트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실행시킨다. The APP manager 1230 - 2 is a module for managing execution states of
연결 매니저(1230-3)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모듈이다. 연결 매니저(1230-3)는 DNET 모듈, UPnP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세부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manager 1230 - 3 is a module for supporting a wired or wireless network connection. The connection manager 1230 - 3 may include various detailed modules such as a DNET module and a UPnP module.
보안 모듈(1230-4)은 하드웨어에 대한 인증(Certification), 요청 허용(Permission), 보안 저장(Secure Storage) 등을 지원하는 모듈이다. The security module 1230 - 4 is a module supporting hardware certification, request permission, secure storage, and the like.
시스템 매니저(1230-5)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0) 내의 각 구성요소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그 모니터링 결과를 타 모듈들에게 제공한다. 가령, 배터리 잔량이 부족하거나,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통신 연결 상태가 끊어지는 경우 등이 발생하면 시스템 매니저(1230-5)는 그 모니터링 결과를 메인 UI 프레임워크(1230-7)나 서브UI 프레임워크(1230-9)로 제공하여 알림 메시지나 알림 음을 출력할 수 있다.The system manager 1230 - 5 monitors the status of each component in the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1230-6)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0)에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모듈이다.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1230-6)는 플레이어 모듈, 캠코더 모듈, 사운드 처리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화면 및 음향을 생성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he multimedia framework 1230 - 6 is a module for playing multimedia content stored in the
메인 UI 프레임워크(1230-7)는 벤디드 터치 스크린(100)의 메인 영역에 표시할 각종 UI를 제공하기 위한 모듈이고, 서브 UI 프레임워크(1230-9)는 서브 영역에 표시할 각종 UI를 제공하기 위한 모듈이다. 메인 UI 프레임워크(1230-7) 및 서브 UI 프레임워크(1230-9)는 각종 오브젝트를 구성하는 이미지 합성기(Image Compositor module), 오브젝트가 표시될 좌표를 산출하는 좌표 합성기, 구성된 오브젝트를 산출된 좌표에 렌더링하는 렌더링 모듈, 2D 또는 3D 형태의 UI를 구성하기 위한 툴(tool)을 제공하는 2D/3D UI 툴킷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ain UI framework 1230 - 7 is a module for providing various UIs to be displayed in the main area of the
윈도우 매니저(1230-8)는 사용자의 신체나 펜을 이용한 터치 이벤트나 기타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1230-8)는 이러한 이벤트가 감지되면 메인 UI 프레임워크(1230-7) 또는 서브 UI 프레임워크(1230-9)로 이벤트 신호를 전달하여, 이벤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The window manager 1230 - 8 may detect a touch event or other input event using the user's body or a pen. When such an event is detected, the window manager 1230-8 transmits an event signal to the main UI framework 1230-7 or the sub UI framework 1230-9 to perform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event.
그 밖에도,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 및 드래그하는 경우, 그 드래그 궤적에 따라 라인을 드로잉하기 위한 필기 모듈이나, 움직임 감지부(400)에서 감지된 센서 값에 기초하여 피치각, 롤각, 요우각 등을 산출하기 위한 각도 산출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이 저장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touches and drags the screen, a writing module for drawing a line according to the drag trajectory, or a pitch angle, a roll angle, a yaw angle, etc. Various program modules such as an angle calculation module for calculating may be stored.
어플리케이션 모듈(1240)은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들(1240-1 ~ 1240-n)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모듈, 게임 모듈, 전자 책 모듈, 달력 모듈, 알람 관리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들은 디폴트로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가 사용 과정에서 임의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CPU(230)는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어플리케이션 모듈(1240)을 이용하여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The
도 12에 표시된 소프트웨어 구조는 일 예에 불과하므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일부가 생략 또는 변형되거나, 추가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저장부(310)에는 각종 센서들에서 센싱된 신호들을 분석하기 위한 센싱 모듈이나, 메신저 프로그램, SMS(Short Message Service) &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프로그램, 이메일 프로그램 등과 같은 메시징 모듈, 전화 정보 수집기(Call Info Aggregator) 프로그램 모듈, VoIP 모듈, 웹 브라우저 모듈 등과 같이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추가로 마련될 수도 있다. Since the software structure shown in FIG. 12 is only an example,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ccording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some may be omitted, modified, or added as necessary. For example, the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0)는 휴대폰, 태블릿 PC, 랩탑 PC, PDA, MP3 플레이어, 전자 액자 장치, TV, PC, 키오스크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1 및 도 12에서 설명한 구성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0)는 다양한 형태 및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제어부(300)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지원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렉션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user interaction metho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300)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기 설정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이벤트란 사용자 조작을 감지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가령, 기 설정된 터치 제스처가 감지되는 이벤트,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이벤트 등 다양한 사용자 조작과 관련된 이벤트가 있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reset event occurs, the
터치 제스처에는 예컨대, 일 지점을 터치한 후 터치 상태를 유지하면서 다른 지점으로 이동하는 제스처(드래그, drag), 일 지점을 터치한 후 문지르는 제스처(러빙, rubbing), 일 지점을 임계 시간 이상 누르고 있는 제스처(롱 프레싱, long pressing), 일 지점을 터치한 후, 한쪽 방향으로 빠르게 튀기는 제스처(플릭, flick), 손끝으로 가볍게 터치하는 제스처(태핑, tapping) 등 다양한 제스처가 있다. Touch gestures include, for example, a gesture of touching one point and moving to another point while maintaining the touch state (drag, drag), a gesture of rubbing after touching a point (rubbing), and pressing and holding a point for more than a threshold time. There are various gestures such as a gesture (long pressing), a gesture that quickly flicks in one direction after touching a point (flick), and a gesture of lightly touching with a fingertip (tapping).
제어부(300)는 기 설정된 이벤트가 감지되면, 서브 영역에 개별적으로 표시 가능한 복수의 UI 요소를 메인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플렉서블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300)는 이러한 UI 요소를 메인 영역에만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UI 요소 중 일부는 서브 영역에, 일부는 메인 영역에 표시할 수도 있다.When a preset event is detected, the
서브 영역에 표시 가능한 UI 요소는, 서브 영역의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을 가진다. 레이아웃이란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의 크기, 형태, 배치 위치, 배치 순서 등을 정해 둔 정보를 의미한다. 이하에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서브 영역에 표시 가능한 UI 요소'와 동일한 의미로서 용어 'UI 요소'를 사용하도록 한다.A UI element that can be displayed in a sub-region has a display layout of the sub-region. The layout refers to information in which the size, shape, arrangement position, arrangement order, and the like of an area for display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re determined.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term 'UI element' is used as the same meaning as 'UI element displayable in a sub area'.
사용자 단말 장치(1000)가 제공할 수 있는 UI 요소는 다양하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볼륨 조절을 위한 UI 요소, 화면 밝기의 조절을 위한 UI 요소, 즐겨찾기 아이콘을 모아놓은 UI 요소, 관심 주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UI 요소, 음악 또는 동영상 재생을 위한 UI 요소 등 수많은 UI 요소가 제공될 수 있다. 이 중에서 사용자는 원하는 UI 요소만을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다. UI 요소의 등록 및 미등록 상태에 대한 정보는 저장부(310)에 저장되어 있다.There are various UI elements that the
제어부(300)는 기 설정된 이벤트가 감지되면, 이러한 등록된 UI 요소들을 메인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는 이러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When a preset event is detected, the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이하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해선 서브 영역이 하나인 것으로 가정하도록 하며, 플렉서블 표시부(100)의 메인 영역은 1010, 플렉서블 표시부(100)의 서브 영역에 대해서는 1020로 참조 부호를 통일시켜 사용한다. Meanwhil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re is one sub-region for the following various embodiments, and the main region of the
도 13을 참고하면, 서브 영역(1020)에서 메인 영역(1010)으로 이동하는 터치 제스처가 감지되면, 제어부(300)는 UI 요소 A 및 UI 요소 B를 메인 영역(1010)에 표시하거나, 처음부터 서브 영역(1020) 상에 표시되던 UI 요소 A는 그대로 서브 영역(1020)에, UI 요소 B는 메인 영역(1010)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어지는 터치 제스처가 감지되면, 제어부(300)는 추가적인 UI 요소 C와 UI 요소 D를 메인 영역(1010)에 더 표시한다. 이때의 터치 제스처는 처음 터치점에서, 처음 터치점 보다는 낮은 위치의 최종 터치점으로 이어지는, 가령 원호를 그리는 듯한 터치 제스처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 when a touch gesture moving from the
도 14는 도 13과는 다른 터치 제스처를 이용하여 메인 영역(1010)에 복수의 UI 요소들이 표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at a plurality of UI elements are displayed in the
도 14를 참고하면, 서브 영역(1020)에서 메인 영역(1010)으로 일직선으로 이동하는 터치 제스처에 따라, 제어부(300)는 UI 요소 A 및 UI 요소 B를 메인 영역(1010)에 표시하거나, 처음부터 서브 영역(1020) 상에 표시되던 UI 요소 A는 그대로 서브 영역(1020)에, UI 요소 B는 메인 영역(1010)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어지는 터치 제스처가 감지되면, 제어부(300)는 추가적인 UI 요소 C와 UI 요소 D를 더 표시한다. Referring to FIG. 14 , according to a touch gesture moving in a straight line from the
도 13과 도 14를 통해 설명한 것과 같이, 제어부(300)는 터치 제스처의 길이에 대응하여 메인 영역(1010)에 표시되는 UI 요소의 개수를 가변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UI 요소가 메인 영역으로 나오는 순서는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서브 영역(1020)에서 메인 영역(1010)으로 이어지는 터치 제스처가 감지되면, 제어부(300)는 서브 영역(1020)에 표시 중이던 UI 요소를 선두로 하여 다른 UI 요소들이 뒤따르도록 표시할 수 있거나, 서브 영역(1020)에 표시 중이던 UI 요소를 맨 마지막으로 하여, 다른 UI 요소들이 메인 영역(1010) 쪽으로 차례대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D-C-B-A의 순으로 표시될 수 있거나,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A-B-C-D의 순서로 표시될 수 있다.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and 14 , the
한편, 터치 제스처는 도 13과 도 14에서 설명한 것 이외에 더 다양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제스처가 감지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에도 상술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기 설정된 움직임이 감지되면, 서브 영역에 표시 가능한 복수의 UI 요소들이 메인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5는 이러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Meanwhile, touch gestures may be more diverse than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and 14 .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may be performed not only when a touch gesture is sensed but also when a movement of the
도 15를 참고하면, 움직임 감지부(400)에 의해 사용자 단말 장치(1000)가 기 설정된 방향으로 가속되는 움직임이 감지되면(마치 부채를 펼치듯이), 제어부(300)는 가속이 감지된 방향으로 펼쳐지는 형태로 UI 요소 A, UI 요소 B, UI 요소 C, UI 요소 D를 메인 영역(1010)에 표시할 수 있거나, 처음부터 서브 영역(1020)에 표시되던 UI 요소 A는 그대로 서브 영역(1020)에, 나머지 UI 요소들은 메인 영역(1010)에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5 , when a motion in which the
또는, 서브 영역(1020) 상의 일 영역이 터치되고 있는 동안에 단말 장치(1000)가 가속되는 움직임이 감지되면, 제어부(300)는 가속이 감지된 방향으로 펼쳐지는 형태로 UI 요소 A, UI 요소 B, UI 요소 C, UI 요소 D를 메인 영역(1010)에 표시할 수 있거나, 처음부터 서브 영역(1020)에 표시되던 UI 요소 A는 그대로 서브 영역(1020)에, 나머지 UI 요소들은 메인 영역(1010)에 표시할 수 있다. 즉, 터치 제스처와 움직임 제스처의 조합이 이용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an acceleration motion of the
한편, 이와 같이 복수의 UI 요소들이 표시된 상태에서, UI 요소들이 펼쳐진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0)가 가속되는 움직임이 감지되면, 제어부(300)는 메인 영역(1010)상에 표시되던 UI 요소들을 사라지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in a state in which the plurality of UI elements are displayed as described above, when a movement of the
도 13 내지 도 15에서 설명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는 기 등록되어 있는 복수의 UI 요소를 한꺼번에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to 15 , since the user can check a plurality of previously registered UI elements at once, user convenience can be improved.
그리고 사용자는, 메인 영역(1010)에 표시된 복수의 UI 요소를 확인하고 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서브 영역(102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UI 요소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예컨대 사용자는 메인 영역(1010)에 표시된 복수의 UI 요소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메인 영역(1010)에 표시된 복수의 UI 요소 중 어느 하나를 롱 프레싱하여 이동 가능한 상태로 변경시킨 다음에, 그 UI 요소를 서브 영역(1020)으로 드레그하여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 밖에도 사용자는 다양한 방식으로 복수의 UI 요소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may check a plurality of UI elements displayed on th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선택하고자 하는 UI 요소를 특정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그 UI 요소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실시 예가 도 16 내지 도 17에 도시되어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user may select the UI element by moving the UI element to be selected to a specific location. An embodiment related thereto is shown in FIGS. 16 to 17 .
도 16을 참고하면, 제어부(300)는 터치 제스처에 따라 메인 영역(1010)에 표시되는 UI 요소의 개수를 증가시켜 표시할 수 있고, 마찬가지 방식으로, 터치 제스처에 따라 제어부(300)는 메인 영역(1010)에 표시되는 UI 요소의 개수를 줄여가며 표시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제스처가 서브 영역(1020)에서 메인 영역(1010)으로 향하면 UI 요소 개수가 증가되며, 터치 제스처가 메인 영역(1010)에서 서브 영역(1020)으로 향하면 UI 요소 개수가 감소된다.Referring to FIG. 16 , the
즉, 제어부(300)는 터치 제스처의 길이에 따라 메인 영역(1010)에 표시되는 UI 요소의 개수를 가변하여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터치 제스처가 릴리즈되면(터치 제스처가 더 이상 감지되지 않으면, 예컨대, 사용자가 플렉서블 표시부로부터 손을 떼면), 터치 제스처가 릴리즈될 당시에 서브 영역(1020)에 표시되던 UI 요소 C가 선택될 수 있다. 선택된 UI 요소 C는 서브 영역(1020)에 표시되며, 나머지 UI 요소A, B 는 사라지게 된다.That is, the
도 16에선 터치 제스처가 릴리즈될 당시에 서브 영역(1020)에 위치하는 UI 요소가 선택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메인 영역(1010) 상의 기 설정된 위치에 UI 요소가 위치된 후 터치 제스처가 릴리즈 되면, 그 UI 요소가 선택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대해선 도 17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In FIG. 16 ,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UI element located in the
도 17을 참고하면, 메인 영역(1010) 상에 가령, UI 요소 선택을 위해 UI 요소를 위치시켜야할 영역을 알리는 그래픽 오브젝트(17)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7에선 그래픽 오브젝트(17)가 쉐도우(shadow)인 것으로 도시하였고, UI 요소 B가 그래픽 오브젝트(17)에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 제스처를 릴리즈하면 UI 요소 B가 선택되어 서브 영역(1020) 상에 표시되고, 나머지 UI 요소 A,C,D, E, F는 사라지게 된다. 만약, UI 요소 B가 그래픽 오브젝트(17)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UI 요소 C를 선택하고 싶은 경우, 플렉서블 표시부(100)에서 손을 떼지 않고 오른쪽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동하면, UI 요소 C가 그래픽 오브젝트(17) 상에 위치할 것이고, 그 상태에서 손을 떼면 UI 요소 C가 선택되어 서브 영역(1020) 상에 표시될 것이다.Referring to FIG. 17 , a
한편, 이상에선 복수의 UI 요소가 메인 영역(1010)으로 표시되는 실시 예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UI 요소를 서브 영역 상에서 하나씩 확인하는 방법도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300)는 서브 영역(1020) 상에서 플릭(flick) 제스처가 감지되면, 서브 영역(1020) 상에 표시 중인 UI 요소를 기등록된 다른 UI 요소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대해선 도 18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Meanwhile, although embodiments in which a plurality of UI elements are displayed in the
도 18을 참고하면, 서브 영역(1020) 상에 UI 요소 A가 표시된 상태에서 플릭(flick) 제스처가 감지되면, 제어부(300)는 UI 요소 A와는 다른 UI 요소 B가 서브 영역(1020)에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가령 도 18에 도시된 것처럼, 기존에 표시 중이던 UI 요소 A가 플릭 제스처가 취해진 위쪽 방향으로 사라지면서 다른 UI 요소 B가 등장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원하는 UI 요소가 등장할 때까지 서브 영역(1020) 상에서 플릭(flick) 제스처를 반복할 수 있다. 이러한 반복 동작이 피로하다고 느낀다면, 사용자는 얼마든지 상술한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UI 요소들을 한꺼번에 나열하여 확인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8 , when a flick gesture is detected while UI element A is displayed on the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1000)가 제공할 수 있는 UI 요소는 다양하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볼륨 조절을 위한 UI 요소, 화면 밝기의 조절을 위한 UI 요소, 즐겨찾기 아이콘을 모아놓은 UI 요소, 관심 주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UI 요소, 음악 또는 동영상 재생을 위한 UI 요소 등 수많은 UI 요소가 제공될 수 있다. 이 중에서 몇몇의 UI 요소는 사용자에게 불필요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원하는 UI 요소만을 등록해놓고 사용할 수 있다. Meanwhile, there are various UI elements that the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0)에서 지원하는 UI 요소가 10 가지라면, 사용자는 이 중에서 4 개의 UI 요소만 선택하여 등록해놓을 수 있다. 그리고 기 설정된 이벤트가 감지되면, 제어부(300)는 기 등록된 4 개의 UI 요소를 앞서 설명한 실시 예들에 따라 메인 영역(1010)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re are ten UI elements supported by the
이하에선, 도 19 내지 도 20을 참고하여, 기 등록된 UI 요소를 편집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editing a previously registered UI ele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9 to 20 .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인 영역(1010)에 표시된 복수의 UI 요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기설정된 터치 제스처가 감지되면, 제어부(300)는 기설정된 터치 제스처가 감지된 UI 요소를 서브 영역에서 표시 가능한 기등록된 UI 요소에서 제외할 수 있다. 이 경우, 기 설정된 터치 제스처는 메인 영역(1010)에 표시된 복수의 UI 요소 중 하나를 다른 UI 요소와 이격시키는 터치 제스처일 수 있다. 가령, 도 19에 도시된 것처럼 UI 요소 C를 위쪽으로 밀어서 다른 UI 요소 A, B, D, E와 이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UI 요소 C는 기등록된 UI 요소로부터 제외되므로, 추후엔 UI 요소 A, B, D, E만 메인 영역(1010) 상에 표시되게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reset touch gesture for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UI elements displayed in the
또한, UI 요소를 제거하는 동작뿐만 아니라, UI 요소의 순서를 변경하기 위한 동작도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I 요소 A, B, C, D, E가 표시된 상태에서, UI 요소 C를 롱 프레싱하면, 제어부(300)는 UI 요소 C를 이동 가능한 상태로 변경시키고, 사용자 터치 제스처에 따라 UI 요소 C가 UI 요소 D와 E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A-B-C-D-E 순서로 표시되던 것이, A-B-D-C-E 순서로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an operation for changing the order of UI elements as well as an operation for removing UI elements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when UI element C is long pressed while UI elements A, B, C, D, and E are displayed, the
한편 등록 해제시킨 UI 요소는 물론 다시 등록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 장치(1000)는 UI 요소를 편집하기 위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UI elements that have been deregistered can be re-registered as well. To this end, th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브 영역(1020)에서 메인 영역(1010)으로 이어지는 멀티 터치(multi-touch)가 감지되면, 제어부(300)는 서브 영역(1020)에 표시 가능한 UI 요소를 편집하기 위한 화면을 메인 영역(1010)에 표시할 수 있다. 멀티 터치란, 서로 떨어진 2 이상의 지점을 동시에 터치하는 것을 인식하는 기술이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a multi-touch is detected from the
가령, 도 20에 도시된 것처럼, 서브 영역(1020)의 2 이상의 지점을 터치하여 메인 영역(1010) 쪽으로 이동하는 멀티 터치 제스처가 감지되면, 제어부(300)는 편집 화면(20)을 메인 영역(1010)에 표시할 수 있다. 편집 화면(20) 상에선 도 2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0)가 제공하는 UI 요소가 모두 표시되며, 등록된 UI 요소의 라디오 버튼엔 체크가 되어 있고, 등록 해제된 UI 요소의 라디오 버튼엔 체크가 되어 있지 않다. 즉, 도 20에서 UI 요소 A, B는 등록 해제된 상태고 UI 요소 C, D, E는 등록된 상태이다. 여기서 완료 버튼이 선택되면, 설정이 저장된다. 그 결과, 기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예를 들어 서브 영역(1020)에서 메인 영역(1010)으로 이동하는 터치 제스처가 감지되면), 제어부(300)는 등록된 UI 요소 C, D, E만 메인 영역(1010)에 표시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0 , when a multi-touch gesture moving toward the
또한, 편집 화면(20) 상에서 UI 요소의 순서를 바꾸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편집 화면(20) 상에서 UI 요소를 롱 프레싱하여 움직여 순서를 바꾸는 것이 가능하다. Also,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order of UI elements on the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1000)는 이러한 멀티 터치 제스처에 의해 편집 화면이 표시되는 대신, 다른 표시 동작이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어부(300)는 서브 영역(1020) 상에서 메인 영역(1010)으로 이어지는 멀티 터치 제스처가 감지되면, 서브 영역(1020)에 표시되던 UI 요소가 확장된 확장 UI 요소를 메인 영역(1020)에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대해선 도 2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Meanwhile, the
도 21을 참고하면, 예컨대 음악 재생과 관련한 UI 요소가 서브 영역(1020)상에 표시된 상태에서, 서브 영역(1020)에서 메인 영역(1010)으로 향하는 멀티 터치 제스처가 감지되면, 제어부(300)는 음악 재생과 관련한 UI 요소에 대한 서브 메뉴를 메인 영역 상(1010)에 표시할 수 있다. 가령, 도 21에 도시된 것처럼 음악의 주파수 특성을 변경하기 위한 EQ(Equalizer) 메뉴 화면(21)이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서브 영역(1020)에서 제공되던 기능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한 기능들을 포함한 서브 메뉴가 메인 영역(1010) 상에서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21 , for example, when a multi-touch gesture directed from the
또한, 제어부(300)는 멀티 터치 제스처의 길이에 따라 서브 메뉴의 크기를 가변할 수도 있다. 즉, 서브 영역(1020)에서 메인 영역(1010)로 이어지는 터치 제스처의 길이에 대응되게 서브 메뉴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Also, the
한편, 멀티 터치 제스처는 상술한 방법과는 다른 방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영역(1010)의 일 지점 및 서브 영역(1020)의 일 지점을 동시에 터치하는 멀티 터치 제스처가 감지되는 경우에도, 상술한 것과 동일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메인 영역(1010)의 터치점과 서브 영역(1020)의 터치점 간의 거리에 의해 서브 메뉴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Meanwhile, the multi-touch gesture may be performed in a manner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example, even when a multi-touch gesture of simultaneously touching one point of the
한편, 도 21에서 설명한 실시 예 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식으로 서브 영역에 대한 서브 메뉴가 메인 영역(1010)에 표시될 수도 있다. Meanwhi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1 , a sub-menu for a sub-region may be displayed on the
구체적으로, 서브 영역(1020)은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구분되고, 복수의 서브 영역 중 하나에서 메인 영역(1010)으로 이동하는 터치 제스처가 감지되면, 제어부(300)는 서브 영역(1020)에 대한 서브 메뉴들을 메인 영역(1010)에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대해선 도 22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Specifically, the
도 22를 참고하면, 서브 영역(1020)은 a, b, c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고, a 영역에서 메인 영역(1010)으로 이동하는 터치 제스처가 감지되면, 제어부(300)는 a 영역과 관련된 서브 메뉴 A를 메인 영역(1010)에 표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b 영역에서 메인 영역(1010)으로 이동하는 터치 제스처가 감지되면, 제어부(300)는 b 영역과 관련된 서브 메뉴 B를 메인 영역(1010)에 표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c 영역에서 메인 영역(1010)으로 이동하는 터치 제스처가 감지되면, 제어부(300)는 c 영역과 관련된 서브 메뉴를 메인 영역(1010)에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2 , the
예를 들어, 서브 영역(1020)에 현재 표시되고 있는 UI 요소가 와이파이(a 영역), 벨소리(b 영역) 및 블루투스(c 영역) 설정에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경우, a 영역이 터치되면, 와이파이가 온 또는 오프되고, b 영역이 터치되면 무음, 진동 및 벨소리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변경되고, c 영역이 터치되면 블루투스가 온 또는 오프될 수 있다.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UI element currently displayed in the
이 경우, a 영역으로부터 메인 영역(1010)으로 이어지는 터치 제스처가 감지되면, 제어부(300)는 a 영역에 관련한 서브 메뉴 A에, 연결가능한 와이파이 엑세스 포인트 목록을 표시할 수 있고, b 영역으로부터 메인 영역(1010)으로 이어지는 터치 제스처가 감지되면, 제어부(300)는 b 영역에 관련한 서브 메뉴 B에 벨소리 목록을 표시할 수 있고, c 영역으로부터 메인 영역(1010)으로 이어지는 터치 제스처가 감지되면, 제어부(300)는 c 영역에 관련한 서브 메뉴에 블루투스 연결 가능한 주변 기기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a touch gesture extending from area a to the
상술한 예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서브 영역(1020) 상에 표시된 UI 요소에 따라 다양한 서브 메뉴들이 메인 영역(1010)에 표시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xample is merely an embodiment, and various sub-menus may be displayed on th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서브 영역에서 표시 가능한 복수의 UI 요소를, 서브 영역보다 넓은 공간을 제공하는 메인 영역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되며, 서브 영역에서 표시되는 UI 요소를 메인 영역으로 확장하여 보다 다양한 정보와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user can check a plurality of UI elements that can be displayed in the sub area in the main area that provides a larger space than the sub area, and UI elements displayed in the sub area can be extended to the main area to receive more various information and functions.
이하에서는, 본 사용자 단말 장치(1000)의 제어 방법을 흐름도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controlling the present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3에 따르면, 기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S2310), 사용자 단말 장치(1000)는 플렉서블 표시부의 서브 영역에 개별적으로 표시 가능한 복수의 UI 요소를, 플렉서블 표시부의 메인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S2320). 기 설정된 이벤트에는 가령, 서브 영역 또는 메인 영역의 기 설정된 지점을 터치하는 이벤트, 서브 영역에서 메인 영역으로 이어지는 터치 제스처가 감지되는 이벤트, 사용자 단말 장치(1000)가 기 설정된 방향으로 가속되는 움직임이 감지되는 이벤트 등 다양한 이벤트가 있을 수 있다. 2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user terminal device having a flexible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G. 23 , when a preset event occurs ( S2310 ), the
이러한 상태에서, 메인 영역 상에 표시된 복수의 UI 요소 중 하나가 선택되면(S2330), 사용자 단말 장치(1000)는 선택된 UI 요소를 서브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S2340). UI 요소를 선택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표시된 복수의 UI 요소 중 하나를 직접 터치함으로써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선택하고자 하는 UI 요소를 플렉서블 표시부의 기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킨 뒤 터치 제스처를 릴리즈함으로써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실시 예에 따라 기 설정된 위치는 메인 영역 상에 존재할 수 있고, 서브 영역 상에 존재할 수도 있다. 특정 UI 요소를 기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터치 제스처가 이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서브 영역에서 메인 영역으로 향하거나, 메인 영역에서 서브 영역으로 향하는 터치 제스처가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브 영역에서 메인 영역으로 향하는 터치 제스처에 따라 표시되는 UI 요소 개수가 증가하며, 메인 영역에서 서브 영역으로 향하는 터치 제스처에 따라 표시되는 UI 요소의 개수가 감소한다. 감소되는 경우, UI 요소가 서브 영역으로 밖으로 사라지는 듯한 그래픽 효과가 연출될 수 있다. 또 한편, 사용자는 메인 영역 상의 UI 요소를 롱 프레싱 하여 직접 서브 영역쪽으로 옮길 수도 있다.In this state, when one of the plurality of UI elements displayed on the main area is selected ( S2330 ), the
사용자 단말 장치(1000)는 이와 같이 선택된 UI 요소를 서브 영역에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0)는 선택되지 않은 UI 요소들에 대해선 표시를 중단한다.The
그리고, 이와 같이 서브 영역 상에 표시된 UI 요소를 통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선 UI 요소가 서브 영역에 표시되는 중에만 사용자가 UI 요소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1000)를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UI 요소가 메인 영역에 표시된 상태에서도 사용자는 메인 영역에 표시된 UI 요소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1000)를 제어할 수 있다.And, through the UI element displayed on the sub-region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control the
또 한편, 도면들에서 UI 요소의 크기가 일정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UI 요소의 크기는 서브 영역에 표시될 때와, 메인 영역에 표시되고 있을 때 서로 다를 수 있다. 예컨대, 메인 영역에 표시될 때는 UI 요소의 크기가 확대되어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서브 영역 상에서 UI 요소가 비교적 작은 크기로 표시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불편들, 예컨대 나이가 많은 사용자들에게 UI 요소가 잘 보이지 않는다는 불편이 해소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it is illustrated that the sizes of the UI elements are constant in the drawings, they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lso, the size of the UI element may be different when being displayed in the sub area and when being displayed in the main area. For example, when displayed in the main area, the size of the UI element may be enlarg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convenience caused by the UI element being displayed in a relatively small size on the sub-region, for example, the inconvenience of not seeing the UI element well for older users, may be resolved.
이 밖에도,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설명한 UI 요소 표시에 관련한 동작들이 수행될 수 있으나, 각 실시 예들에 대한 구체적인 흐름도는 그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In addition, although operations related to UI element display described in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performed, a detailed flowchart for each embodiment will not be illustrated and described.
이상과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는 다양한 제어 방법을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각 실시 예들은 실시 예 별로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user terminal device may support various control methods.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for each embodiment, bu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y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as needed.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readable medium) 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는 다양한 장치에 탑재되어 사용될 수 있다.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user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various embodiments may be stored in a non-transitory readable medium. Such a non-transitory readable medium may be mounted and used in various devices.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될 수 있다.The non-transitory readable medium refers to a medium that stores data semi-permanently, rather than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moment, such as a register, cache, memory, etc., and can be read by a device. Specifically, it may be a CD, DVD, hard disk, Blu-ray disk, USB, memory card, ROM, or the like.
일 예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서브 영역에 개별적으로 표시 가능한 복수의 UI 요소를 메인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및 메인 영역 상에 표시된 복수의 UI 요소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UI 요소가 서브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preset event occurs, displaying a plurality of UI elements individually displayable in the sub-area in the main area, and when one of the plurality of UI elements displayed on the main area is selected, the selected UI element is displayed in the sub-area The program code for performing the step may be provided stored in a non-transitory readable medium (non-transitory readable medium).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플렉서블 표시부 200 : 터치 감지부
300 : 제어부 1000 : 사용자 단말 장치100: flexible display unit 200: touch sensing unit
300: control unit 1000: user terminal device
Claims (19)
구부러져 고정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면 및 측면을 구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면에 배치된 메인 영역과 상기 메인 영역으로부터 상기 측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부러진 부분을 포함하는 서브 영역으로 구분되는 플렉서블 표시부;
상기 메인 영역 및 상기 서브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사용자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움직임 감지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 영역이 터치되는 동안 상기 움직임 감지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가 일 방향으로 가속되는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서브 영역에 개별적으로 표시 가능한 복수의 UI 요소를 상기 가속이 감지된 방향으로 상기 메인 영역에 표시하도록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메인 영역 상에 표시된 복수의 UI 요소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UI 요소를 상기 서브 영역에 표시하도록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장치. In the user terminal device,
a flexible display unit that is bent and fixed to configure the front and side surfaces of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is divided into a main area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a sub area extending from the main area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including a bent portion;
a touch sensing unit configured to sense a user's touch in at least one of the main area and the sub area;
a motion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mo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unit; including;
The control unit is
When a movement of the user terminal device accelerated in one direction is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ng unit while the sub-region is touched, a plurality of individually displayable UI elements in the sub-region are displayed in the main directio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cceleration is detected. controlling the flexible display unit to display on the area;
When one of a plurality of UI elements displayed on the main area is selected, the user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exible display unit is controlled to display the selected UI element on the sub area.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 영역에서 상기 메인 영역으로 이동하는 터치 제스처가 감지되면, 상기 서브 영역에 개별적으로 표시 가능한 복수의 UI 요소를 상기 메인 영역에 표시하도록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s
When a touch gesture moving from the sub-region to the main region is sensed, the flexible display unit is controlled to display a plurality of UI elements individually displayable in the sub-region on the main reg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제스처의 길이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 영역에 표시되는 UI 요소의 개수를 가변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is
and controlling the flexible display unit to display a variable number of UI elements displayed on the main area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touch gesture.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제스처가 릴리즈되면, 기설정된 위치에 있는 UI 요소를 상기 서브 영역에 표시하도록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unit is
When the touch gesture is released, the user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exible display unit is controlled to display a UI element located at a preset position on the sub-reg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 영역에서 상기 메인 영역으로 이어지는 멀티 터치(multi-touch) 제스처가 감지되면, 상기 서브 영역에 표시 가능한 UI 요소를 편집하기 위한 화면을 상기 메인 영역에 표시하도록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s
When a multi-touch gesture from the sub area to the main area is detected, the flexible display unit is controlled to display a screen for editing UI elements displayable in the sub area on the main area. a user terminal device.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영역에 표시된 복수의 UI 요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기설정된 터치 제스처가 감지되면, 상기 기설정된 터치 제스처가 감지된 UI 요소를 상기 서브 영역에서 표시 가능한 기등록된 UI 요소에서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s
When a preset touch gesture for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UI elements displayed in the main area is detected, the UI element in which the preset touch gesture is detected is excluded from the previously registered UI elements that can be displayed in the sub area a user terminal device.
상기 기설정된 터치 제스처는,
상기 메인 영역에 표시된 복수의 UI 요소 중 하나를 다른 UI 요소와 이격시키는 터치 제스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preset touch gesture is
A user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touch gesture for separating one of the plurality of UI elements displayed on the main area from another UI elemen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 영역 상에서 플릭(flick) 제스처가 감지되면, 상기 서브 영역 상에 표시 중인 UI 요소를 기등록된 다른 UI 요소로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s
When a flick gesture is detected on the sub-region, the user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exible display unit is controlled to change and display the UI element being displayed on the sub-region to another previously registered UI element.
상기 서브 영역은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 중 하나에서 상기 메인 영역으로 이동하는 터치 제스처가 감지되면, 상기 서브 영역에 대한 서브 메뉴들을 상기 메인 영역에 표시하도록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sub-reg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ub-regions,
The control unit is
When a touch gesture moving from one of the plurality of sub areas to the main area is detected, the flexible display unit is controlled to display sub menus for the sub areas on the main area.
상기 서브 영역이 터치되는 동안 상기 움직임 감지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가 일 방향으로 가속되는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서브 영역에 개별적으로 표시 가능한 복수의 UI 요소를 상기 가속이 감지된 방향으로 상기 메인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영역 상에 표시된 복수의 UI 요소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UI 요소를 상기 서브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A flexible display unit that is bent and fixed to constitute the front and side surfaces of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is divided into a main area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a sub area extending from the main area in the lateral direction to include a bent portion, A method for controlling a user terminal device comprising: a touch sensing unit sensing a user touch in at least one of the main region and the sub region; and a motion sensing unit sensing a movement of the user terminal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When a movement of the user terminal device accelerated in one direction is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ng unit while the sub-region is touched, a plurality of individually displayable UI elements in the sub-region are displayed in the main directio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cceleration is detected. marking the area; and
and displaying the selected UI element on the sub-region when one of a plurality of UI elements displayed on the main area is selected.
상기 서브 영역에서 상기 메인 영역으로 이동하는 터치 제스처가 감지되면, 상기 서브 영역에 개별적으로 표시 가능한 복수의 UI 요소를 상기 메인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11. The method of claim 10,
When a touch gesture moving from the sub-region to the main region is detected, displaying a plurality of UI elements individually displayable in the sub-region on the main region; Way.
상기 복수의 UI 요소를 상기 메인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제스처의 길이에 대하여 상기 메인 영역에 표시되는 UI 요소의 개수를 가변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12. The method of claim 11,
Displaying the plurality of UI elements in the main area comprises:
The control method of a user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UI elements displayed on the main area is displayed by varying the length of the touch gesture.
상기 UI 요소를 상기 서브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제스처가 릴리즈되면, 기설정된 위치에 있는 UI 요소를 상기 서브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13. The method of claim 12,
Displaying the UI element in the sub-region comprises:
When the touch gesture is released, a UI element at a preset position is displayed on the sub-region.
상기 서브 영역에서 상기 메인 영역으로 이어지는 멀티 터치(multi-touch) 제스처가 감지되면, 상기 서브 영역에 표시 가능한 UI 요소를 편집하기 위한 화면을 상기 메인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11. The method of claim 10,
When a multi-touch gesture from the sub area to the main area is detected, displaying a screen for editing UI elements displayable in the sub area on the main area; A method of controlling a user terminal device.
상기 메인 영역에 표시된 복수의 UI 요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기설정된 터치 제스처가 감지되면, 상기 기설정된 터치 제스처가 감지된 UI 요소를 상기 서브 영역에서 표시 가능한 기등록된 UI 요소에서 제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11. The method of claim 10,
When a preset touch gesture is detected for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UI elements displayed in the main area, excluding the UI element in which the preset touch gesture is detected from the previously registered UI elements displayable in the sub area; Control method of a user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상기 기설정된 터치 제스처는,
상기 메인 영역에 표시된 복수의 UI 요소 중 하나를 다른 UI 요소와 이격시키는 터치 제스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preset touch gesture is
A method of controlling a user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ouch gesture separates one of a plurality of UI elements displayed on the main area from another UI element.
상기 서브 영역 상에서 플릭(flick) 제스처가 감지되면, 상기 서브 영역 상에 표시 중인 UI 요소를 기등록된 다른 UI 요소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11. The method of claim 10,
When a flick gesture is detected on the sub-region, changing the UI element being displayed on the sub-region to another previously registered UI element and displaying the changed; .
상기 서브 영역은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 중 하나에서 상기 메인 영역으로 이동하는 터치 제스처가 감지되면, 상기 서브 영역에 대한 서브 메뉴들을 상기 메인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ub-reg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ub-regions,
The control method of the user terminal device,
When a touch gesture moving from one of the plurality of sub-regions to the main region is detected, displaying sub-menus for the sub-region in the main region; .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서브 영역이 터치되는 동안 상기 움직임 감지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가 일 방향으로 가속되는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서브 영역에 개별적으로 표시 가능한 복수의 UI 요소를 상기 가속이 감지된 방향으로 상기 메인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영역 상에 표시된 복수의 UI 요소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UI 요소를 상기 서브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A flexible display unit that is bent and fixed to constitute the front and side surfaces of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is divided into a main area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a sub area extending from the main area in the lateral direction to include a bent portion, and a program for executing a control method of a user terminal device having a touch sensing unit detecting a user touch in at least one of the main area and the sub area and a motion detecting unit detecting a motion of the user terminal apparatus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The control method of the user terminal device,
When a movement of the user terminal device accelerated in one direction is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ng unit while the sub-region is touched, a plurality of individually displayable UI elements in the sub-region are displayed in the main directio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cceleration is detected. marking the area; and
and displaying the selected UI element in the sub area when one of a plurality of UI elements displayed on the main area is select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4/834,521 US10067666B2 (en) | 2015-01-08 | 2015-08-25 |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562101016P | 2015-01-08 | 2015-01-08 | |
US62/101,016 | 2015-01-0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85677A KR20160085677A (en) | 2016-07-18 |
KR102305314B1 true KR102305314B1 (en) | 2021-09-27 |
Family
ID=56679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16664A Expired - Fee Related KR102305314B1 (en) | 2015-01-08 | 2015-02-03 |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he user terminal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05314B1 (en)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474894A1 (en) * | 2011-01-06 | 2012-07-11 | Research In Motion Limited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
US20130117698A1 (en) * | 2011-10-31 | 2013-05-0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KR101515623B1 (en) * | 2012-05-14 | 2015-04-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functions of portable terminal having bended display |
KR102118381B1 (en) * | 2013-03-06 | 2020-06-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
-
2015
- 2015-02-03 KR KR1020150016664A patent/KR10230531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85677A (en) | 2016-07-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30708B1 (en) | User termincal device for supporting user interaxion and methods thereof | |
KR102420043B1 (en)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 |
KR102427833B1 (en) |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 thereof | |
US10067666B2 (en) |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2024187B1 (en) |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reof | |
KR101580300B1 (en) | User termincal device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he user termincal device thereof | |
US10416883B2 (en) |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102318610B1 (en) | Mobile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 |
KR102168648B1 (en) |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10579248B2 (en) |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image by using scroll bar | |
KR20160123620A (en)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 |
KR102308201B1 (en) |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140136356A (en) | user terminal device and interaction method thereof | |
US11243687B2 (en) |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20170004220A (en) |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keypad and keypad displaying method thereof | |
KR102351634B1 (en) | Terminal apparatus, audio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und volume of external speaker thereof | |
KR102327139B1 (en) |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brightness in portable device | |
KR102492182B1 (en) |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EP3287886B1 (en) |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102305314B1 (en) |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he user terminal device | |
KR102269075B1 (en)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CN111580706B (en) | Electronic device providing user interaction and method thereof | |
KR20170009688A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4091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4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