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3504B1 - Method for recommending total-service related to share-service - Google Patents
Method for recommending total-service related to share-ser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83504B1 KR102283504B1 KR1020190143557A KR20190143557A KR102283504B1 KR 102283504 B1 KR102283504 B1 KR 102283504B1 KR 1020190143557 A KR1020190143557 A KR 1020190143557A KR 20190143557 A KR20190143557 A KR 20190143557A KR 102283504 B1 KR102283504 B1 KR 1022835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rvice
- user
- shared
- user terminal
- service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G06Q2220/10—Usage protection of distributed data 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공유자원에 결합되어 서비스의 이용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복합 IoT 디바이스, 관리자 단말 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서비스 이용기록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하는 서비스정보 수집단계, 및 상기 서비스 이용기록에 기초하여, 서비스를 추천받는 사용자와 서비스 이용패턴이 유사한 다른 사용자가 이용한 서비스를 추천하는 큐레이션단계를 포함하는, 공유서비스 연계 토탈서비스 추천 방법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선호할 것으로 예상되는 다른 종류의 다양한 서비스 또는 상품을 추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다양한 서비스 및 상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rvice information collection step of receiving and storing a service usage record through a block chain network from a composite IoT device, a manager terminal, or a user terminal that is coupled to a shared resource to allow or block the use of the service, and a curation step of recommending a service used by another user who has a similar service usage pattern to the user receiving the service recommendation based on the service usage record. Since a variety of services or products of different types expected to be recommended may be recommended,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about various services and products.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유서비스 연계 토탈서비스 추천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commending a total service linked to a shared service.
현재의 공유서비스는 기업이 개인과 개인을 중개하고 수수료를 받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기업이 운영하는 중앙집중화된 공유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기초하여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현재의 공유서비스는 하나의 품목을 공유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형태를 갖고 있다. 예를 들어, 우버(Uber)는 차량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고, 에어비엔비(Airbnb)는 숙박공유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기존 공유서비스는 다양한 종류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The current shared service is in the form of a company intermediary between individuals and receiving a fee, and the service is provided based on the centralized shared service provision system operated by the company. The current shared service has a service provision form for sharing a single item. For example, Uber provides a ride-sharing service, and Airbnb provides a lodging-sharing service. These existing shared services have limitations in not being able to provide various types of products or services.
최근 미디어 콘텐츠 분야에서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영화나 드라마를 추천해주는 기능이 도입되고 있고, 이러한 기능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취향에 맞는 다른 콘텐츠를 추천받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추천서비스의 발전에 비추어 보면, 기존의 공유서비스는 단일한 품목만을 제공하므로 해당 품목에 대한 사용자의 취향 또는 선호도를 알 수 있을 뿐이고, 추천 기능을 수행하더라도 해당 품목 범위 내로 한정되는 한계가 있다. Recently, in the field of media content, a function for recommending movies or dramas according to a user's taste has been introduced, and according to this function, the user can receive and use other contents suitable for his or her taste. In light of the development of this recommendation service, since the existing shared service provides only a single item, the user's taste or preference for the item can only be known, and even if the recommendation function is performed, it is limited within the range of the item.
또한, 현재의 공유서비스는 공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중앙집중화된 시스템을 이용하므로, 해킹이나 서버에 대한 공격을 받는 경우 서비스의 제공이 어려워지는 단일실패지점이 존재하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urrent shared service uses a centralized system for providing the shared servi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a single point of failure in which the provision of the service becomes difficult in case of a hacking or attack on the serv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 및 상품을 블록체인 기반의 공유서비스로 제공하면서, 사용자가 이용한 서비스 또는 상품과 다른 종류의 다양한 서비스 및 상품을 추천하는 토탈서비스 추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tal service recommendation method that recommends a variety of services and products different from the services or products used by the user while providing various types of services and products as a block chain-based shared service. will provid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공유서비스를 제공하고 토탈서비스를 추천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tform that provides a shared service and recommends a total service using a block chain network.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유서비스 연계 토탈서비스 추천 방법은, 공유자원에 결합되어 서비스의 이용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복합 IoT 디바이스, 관리자 단말 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서비스 이용기록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하는 서비스정보 수집단계, 및 상기 서비스 이용기록에 기초하여, 서비스를 추천받는 사용자와 서비스 이용패턴이 유사한 다른 사용자가 이용한 서비스를 추천하는 큐레이션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shared service-linked total service recommend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service usage record from a composite IoT device, a manager terminal, or a user terminal that is coupled to a shared resource and allows or blocks the use of the service through a block chain network. and a curation step of recommending a service used by a user who is recommended for a service and another user having a similar service usage pattern based on the service usage record.
또한, 상기 서비스정보 수집단계는 상기 복합 IoT 디바이스, 관리자 단말, 사용자 단말이 서비스 이용기록을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이용기록 전송단계, 상기 서비스 이용기록에 포함된 개인정보를 저장하기 전에 비식별화하는 비식별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이용기록을 분산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서비스 이용기록의 저장과정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저장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ice information collection step is a usage record transmission step in which the composite IoT device, the manager terminal, and the user terminal transmit the service usage record to the block chain network, and de-identification before storing the person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rvice usage record and a storage step of storing the service usage record in a distributed database and storing the storage process of the service usage record in a blockchain network.
또한, 상기 서비스정보 수집단계는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상기 복합 IoT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기록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기록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수집된 서비스 이용기록을 저장하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저장하지 않을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service information collection step, the block chain network compares the service use record provided by the composite IoT device with the service use record provided by the user terminal and stores the collected service use record if they do not match. may not be saved.
또한, 상기 큐레이션단계는 사용자의 과거 서비스 이용기록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패턴을 분석하는 패턴분석단계, 다른 사용자의 과거 서비스 이용기록에 기초하여 분석된 다른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패턴과 상기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패턴을 비교하여, 유사한 패턴을 갖는 다른 사용자를 식별하는 패턴비교단계, 및 상기 유사한 패턴을 갖는 다른 사용자가 이용한 서비스들 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사용자의 현재상태와 관련된 서비스를 추천하는 상태기반 추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uration step is a pattern analysis step of analyzing the user's service usage pattern by analyzing the user's past service usage record, the service usage pattern of another user analyzed based on the past service usage record of another user and the user A pattern comparison step of comparing service usage patterns to identify other users having a similar pattern, and a state of recommending a service related to the user's current statu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from among the services used by other users having the similar pattern It may include a base recommendation step.
또한, 상기 서비스 이용기록은 상기 공유자원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한 내역 및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의 만족도를 선호부터 비선호까지 점수로 입력한 선호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큐레이션단계는 상기 유사한 패턴을 갖는 다른 사용자가 이용한 서비스들을 선호 점수가 높은 순서대로 추천하는 선호기반 추천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rvice use record includes a history of using the service provided by using the shared resource and preference information in which the user inputs the satisfaction of the service as a score from preference to non-preference, and the curation step includes the similar patter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preference-based recommendation step of recommending services used by other users having a preference score in order of high preference score.
또한, 상기 큐레이션단계는 상기 유사한 패턴을 갖는 다른 사용자가 이용한 서비스들 중에서 비선호 점수가 존재하는 서비스를 분류하고, 분류된 서비스의 리뷰를 분석하여 긍정 반응에 해당하는 특징을 추출하여 제시하면서 특색 서비스로 추천하는 비선호기반 추천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uration step classifies a service having a non-preference score among the services used by other users having the similar pattern, analyzes a review of the classified service, extracts and presents a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to a positive response, and presents a feature service It may further include a non-preference-based recommendation step of recommending.
또한, 상기 패턴분석단계는 사용자의 과거 서비스 이용기록에 기초하여, 정해진 기간 범위 내에서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를 시간순서대로 이용한 순차패턴을 인식하고, 상기 패턴비교단계는 상기 순차패턴을 비교함에 있어서, 정해진 기간 범위 내에서 서비스를 추천받는 사용자가 가장 처음에 이용한 서비스부터 최근에 이용한 서비스까지의 순차패턴을 비교하여 유사한 패턴을 갖는 다른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attern analysis step recognizes sequential patterns using various types of services in chronological order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range based on the user's past service use records, and the pattern comparison step compares the sequential patterns, Another user having a similar pattern may be identified by comparing the sequential patterns from the service first used by the user who is recommended to the service within the range of the predetermined period to the service used recently.
또한, 상기 복합 IoT 디바이스는 다양한 종류의 공유자원에 결합되어 물리적 또는 전기적으로 상기 공유자원을 개폐하는 잠금모듈,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공유자원의 이용권한을 갖는지 여부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는 키에 기초하여 판단하고, 상기 잠금모듈을 개폐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mposite IoT device is coupled to various types of shared resources and includes a locking module for physically or electrically opening and closing the shared resource,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user terminal or block chain network, and the user terminal is the shared resource. It may include a controller module tha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user has the right to use the resource based on the key received from the block chain network, and controls to open and close the lock modul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유서비스 연계 토탈서비스 추천 방법은, 상기 관리자 단말이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 및 상기 복합 IoT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하여 상기 서비스를 이용가능하게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제공하는 서비스 등록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hared service linkage total service recommend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ager terminal registers information for providing the service and information on the composite IoT device to the block chain network to use the service Possibly, it may further include a service registration step to provide to the blockchain network.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describe his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re i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서비스 또는 상품을 이용한 기록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선호할 것으로 예상되는 다른 종류의 다양한 서비스 또는 상품을 추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다양한 서비스 및 상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ser can recommend various other types of services or products expected to be preferred by the user based on the record of using the service or product, the user can provide information on the various services and products. can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공유서비스를 제공하고 토탈서비스를 추천하는 과정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플랫폼을 통해 제공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람과 이용하는 사람이 자유롭게 시장에 진입할 수 있으므로 공유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of providing a shared service and recommending a total service is provided through a platform using a block chain network, so that the person providing the service and the person using the service can freely enter the market. Sharing economy can be promo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유서비스 연계 토탈서비스 추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유서비스 연계 토탈서비스 추천 방법이 수행되는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IoT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유서비스 연계 토탈서비스 추천 방법이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유서비스 연계 토탈서비스 추천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태기반 추천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호기반 추천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선호기반 추천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순차패턴 인식 및 순차패턴 비교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recommending a total service linked to a shared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nvironment in which a shared service linkage total service recommend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posite Io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rvice that can be provided by a method for recommending a total service linked to a shared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each step of a method for recommending a total service linked to a shared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based recommendation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eference-based recommendation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on-preference-based recommendation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quential pattern recognition and sequential pattern comparis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일면", "타면",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adding reference number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only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number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terms such as "one side", "the other sid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the component is limited by the terms. no. Hereinafter,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유서비스 연계 토탈서비스 추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recommending a total service linked to a shared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유서비스 연계 토탈서비스 추천 방법은, 다양한 공유자원(10)을 누구나 공유대상으로 제공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블록체인 네트워크(50)에 기반하여 제공되는 복합 IoT 디바이스(20)를 이용한 공유서비스 제공방법과 연계되어 수행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shared service linkage total service recommend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a
관리자가 복합 IoT 디바이스(20)를 다양한 종류의 공유자원(10)에 결합하고 공유자원(10)에 관한 정보와 복합 IoT 디바이스(20)에 관한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50)에 등록함으로써 공유자원(10)을 공유서비스에 제공하면, 사용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50)를 통해 공유자원(10)의 이용권한을 획득하고 이용권한에 기초하여 복합 IoT 디바이스(20)의 잠금을 개방하여 공유자원(10)을 이용할 수 있다. Shared resources by an administrator combining the
복수의 사용자들이 다양한 종류의 공유자원(10)을 이용한 내역을 포함하는 서비스 이용기록은 블록체인 네트워크(50)로 제공되고, 누적된 복수의 서비스 이용기록은 빅데이터 분석방법에 의해 분석된다. 서비스를 추천받을 사용자는 자신의 이용패턴과 유사한 패턴의 다른 사용자가 이용한 서비스들 중에서 선택된 서비스를 추천받을 수 있다. The service usage record including the details of how a plurality of users have used various types of shar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공유자원(10)은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장치나 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유자원(10)은 대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자동차나 숙박시설과 같은 자원일 수 있고, 관광 서비스에서 입장료를 구매하거나 음식 서비스에서 음식을 구매하기 위하여 필요한 카드리더기, POS(Point Of Sale) 시스템 등의 결제시스템과 같은 자원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사용기록이 수집될 수 있는 서비스와 추천될 수 있는 서비스는 대여를 통한 공유서비스 뿐만 아니라, 매매를 통해 소유권이 이전되는 거래서비스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모든 종류의 서비스를 추천할 수 있으므로 토탈서비스를 추천할 수 있는 것이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red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유서비스 연계 토탈서비스 추천 방법을 제공하는 환경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nvironment for providing a shared service linkage total service recommend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유서비스 연계 토탈서비스 추천 방법이 수행되는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nvironment in which a shared service linkage total service recommend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유서비스 연계 토탈서비스 추천 방법은 복합 IoT 디바이스(20), 관리자 단말(31), 사용자 단말(32), 블록체인 네트워크(50), 분산형 데이터베이스(70), 매칭서버(80)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The shared service linkage total service recommend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블록체인 네트워크(50)는 복수의 노드(51)가 피어 투 피어(P2P, Peer to Peer) 방식으로 연결된 네트워크이다. 블록체인 네트워크(50)는 복수의 노드(51)들 사이의 정보처리와 각 노드(51)의 정보처리에 기초하여 공유서비스 연계 토탈서비스 추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50)는 공유자원(10)을 공유서비스에 제공하고 공유자원(10)을 이용하며 토탈서비스 추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는 복수의 노드(51)로 구성될 수 있다. The
노드(51)는 통신부(51a), 제어부(51b), 저장부(51c)를 포함할 수 있다. 노드(51)는 서버 컴퓨터, PC, 노트북 PC,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의 정보처리장치를 포함한다. 통신부(51a)는 다른 노드(51), 관리자 단말(31), 사용자 단말(32), 복합 IoT 디바이스(20), 분산형 데이터베이스(70), 매칭서버(8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51a)는 노드(51)와 다른 노드(51)를 연결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50)를 구성할 수 있다. 저장부(51c)는 블록체인(60)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51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유서비스 연계 토탈서비스 추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말하는 공유서비스 또는 서비스는, 공유자원(10)을 공유하는 서비스 뿐만 아니라, 공유자원(10)을 이용하여 물건을 판매하거나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공유자원(10) 자체를 매매하는 서비스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유서비스 연계 토탈서비스 추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실시할 수 있는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The
블록체인(60)은 이전 블록(61)의 해시값을 자기 블록(61)의 구성으로 포함하는 블록(61)들의 연속적인 연결로 구성될 수 있다. 블록(61)은 이전 블록(61)의 해시값 및 저장공간을 포함한다. 블록체인(60)은 블록체인 네트워크(50)를 구성하는 복수의 노드(51)에 각각 저장되고, 복수의 노드(51)에 저장된 블록체인(60)들은 서로 동일한 데이터를 갖는다. 블록(61)의 저장공간에는 공유자원(10)에 관한 정보, 복합 IoT 디바이스(20)에 관한 정보, 관리자에 관한 정보, 사용자에 관한 정보, 공유자원(10)을 이용한 서비스 이용기록 등이 저장될 수 있거나, 이러한 정보들은 분산형 데이터베이스(70)에 저장하고 저장내역을 블록(61)의 저장공간에 저장할 수 있다. The
관리자 단말(31) 및 사용자 단말(32)은 블록체인 네트워크(5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정보처리장치이다. 관리자 단말(31) 및 사용자 단말(32)은 스마트폰, 노트북 PC, 태블릿 PC, 웨어러블 컴퓨터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31) 및 사용자 단말(32)은 dApp을 통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5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The
dApp(distributed Application)은 사용자 및 관리자가 복합 IoT 디바이스를 이용한 공유서비스 제공방법을 이용하기 위하여 관리자 단말(31) 및 사용자 단말(32)을 통해 접속하는 프론트엔드 인터페이스(Frontend Interface)이다. dApp은 관리자 단말(31) 및 사용자 단말(32)에 설치되어 실행될 수도 있고, 블록체인 네트워크(50)와 별도의 서버에서 운영되는 웹페이지 형태로 관리자 단말(31) 및 사용자 단말(32)에 제공될 수 있으며, 블록체인 네트워크(50)의 노드(51)에서 실행될 수도 있다. dApp은 관리자용 dApp(41) 및 사용자용 dApp(42)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용 dApp(41)은 공유자원(10)에 관한 정보, 및 복합 IoT 디바이스(20)에 관한 정보의 등록기능, 공유자원(10)의 모니터링 기능, 각종 관리 허가 기능들을 관리자 단말(31)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용 dApp(42)은 공유자원(10) 검색기능, 이용권한 신청, 복합 IoT 디바이스(20)의 잠금해제 요청, 토탈서비스 추천 등의 기능들을 관리자 단말(31)에 제공할 수 있다. A dApp (distributed application) is a front-end interface through which users and managers connect through the
dApp은 관리자 단말(31) 및 사용자 단말(32)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나 명령을 블록체인 네트워크(50)에 존재하는 스마트 컨트랙트에 전달한다. 블록체인 네트워크(50)에서 구동되는 스마트 컨트랙트는 관리자용 스마트 컨트랙트 및 사용자용 스마트 컨트랙트를 포함한다. 관리자용 스마트 컨트랙트는 관리자용 dApp(41)으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 및 명령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사용자용 스마트 컨트랙트는 사용자용 dApp(42)으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 및 명령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The dApp transfers data or commands received from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IoT 디바이스(2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 IoT 디바이스(20)는 다양한 종류의 공유자원(10)에 결합되어 물리적 또는 전기적으로 공유자원(10)을 개폐하는 잠금모듈(21), 사용자 단말(32) 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5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22), 및 사용자 단말(32)이 공유자원(10)의 이용권한을 갖는지 여부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50)로부터 수신하는 키에 기초하여 판단하고, 잠금모듈(21)을 개폐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모듈(23)을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 the
또한, 복합 IoT 디바이스(20)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정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표시모듈(25),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터치 등을 입력받을 수 있는 입력모듈(24), 복합 IoT 디바이스(20)의 구성들에게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등의 전원모듈(26)을 포함할 수 있다. 복합 IoT 디바이스(20)가 포함하는 각 모듈들(21 내지 27)은 물리적으로 독립된 디바이스로 구성될 수도 있고, 일부 모듈들이 하나의 디바이스로 구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잠금모듈(21)은 컨트롤러모듈(23)의 제어에 따라 개폐될 수 있다. 잠금모듈(21)은 공유대상에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공유대상을 이용할 때 필요한 공유대상의 일부 구성에 사용자가 접근하는 것을 물리적으로 또는 전기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유대상이 회의실이나 숙박시설인 경우 잠금모듈(21)은 문의 도어락이나 자물쇠에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사용자가 문을 임의로 개방할 수 없도록 차단할 수 있다. 또는, 공유대상이 전자기기일 때 잠금모듈(21)은 전자기기의 입력장치나 출력장치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전자기기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할 수 없도록 물리적 또는 전기적인 제한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잠금모듈(21)은 거래시의 결제서비스를 제공하는 카드리더기 또는 POS 시스템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이용권한에 기초하여 결제서비스를 수행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또는, 잠금모듈(21)은 도어락이나 자물쇠 등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잠금모듈(21)은 다양한 공유대상에 결합될 수 있다. The
통신모듈(22)은 관리자 단말(31), 사용자 단말(32), 블록체인 네트워크(5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모듈(22)은 Wi-Fi, Bluetooth, NFC 등의 근거리 통신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통신모듈(22)은 GPS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인식할 수도 있다. The
컨트롤러모듈(23)은 잠금모듈(21)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모듈(23)은 공유자원(10)의 이용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32)의 이용권한을 확인할 수 있다. 컨트롤러모듈(23)은 일회용 인증 프로토콜에 따라 블록체인 네트워크(50)로부터 수신되는 키와 사용자 단말(32)이 통신모듈(22)을 통해 전송하는 키를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32)의 이용권한을 확인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50)로부터 수신되는 키와 사용자 단말(32)이 통신모듈(22)을 통해 전송하는 키가 일치하는 경우 컨트롤러모듈(23)은 사용자 단말(32)에 이용권한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모듈(23)은 사용자 단말(32)의 이용권한의 존재가 확인되면 잠금모듈(21)을 개방하도록 제어한다. 컨트롤러모듈(23)은 정해진 사용기간이 경과하거나, 필요한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잠금모듈(21)을 잠그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컨트롤러모듈(23)은 통신모듈(22)과 사용자 단말(32) 사이의 근거리 통신 또는 GPS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32)이 정해진 거리만큼 접근하여야 이용권한을 갖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절차를 시작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32)과 통신모듈(22)이 정해진 거리만큼 접근한 상태에서 잠금이 개방되어야 이용권한이 없는 사람의 이용을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근접여부 판단은 추가적인 안전장치가 된다. 통신모듈(22)은 Wi-Fi, Bluetooth, NFC 등의 전파 강도에 기초한 거리판단을 수행하거나, 자신의 GPS 좌표와 사용자 단말(32)로부터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32)의 GPS 정보를 비교하여 근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모듈(23)은 사용자 단말(32)이 통신모듈(22)과 정해진 거리만큼 접근한 것으로 판단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50)에 일회용 인증 프로토콜에 기초한 이용권한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The
복합 IoT 디바이스(20)의 잠금모듈(21)은 사용자가 공유자원(10)의 이용권한에 기초하여 잠금모듈(21)을 개방하여야 공유자원(10)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다른 잠금장치(예를 들어, 도어락)에 접근가능하도록, 잠금장치에 애드온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애드온(add on) 방식이란 공유자원(10)에 설치되어 있는 잠금장치는 그대로 유지하고, 잠금장치에 복합 IoT 디바이스(20)를 추가로 결합하는 것이다. 복합 IoT 디바이스(20)의 잠금모듈(21)은 잠금장치를 개방하기 위해 필요한 키패드, 열쇠구멍, 다이얼 등을 커버하도록 결합되고, 잠금모듈(21)이 개방되면 사용자가 키패드, 열쇠구멍, 다이얼 등에 접근할 수 있는 공간을 오픈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컨트롤러모듈(23)은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입력모듈(24)로 입력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공유자원(10)의 이용에 필요한 절차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컨트롤러모듈(23)은 공유자원(10)의 이용권한에 기초하여 잠금모듈(21)을 개방하는 경우, 잠금장치를 개방할 수 있는 키를 상기 사용자 단말(32)로 제공할 수 있다. 컨트롤러모듈(23)은 사용자 단말(32)에 이용권한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공유자원(10)을 이용하는데 필요한 비밀번호 등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32)로 제공하거나 표시모듈(25)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모듈(21)이 도어락에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32)의 이용권한이 확인되면 컨트롤러모듈(23)은 잠금모듈(21)을 개방하도록 제어하면서, 도어락을 개방하는데 필요한 도어락 비밀번호를 사용자 단말(32)로 제공하거나 표시모듈(25)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The
게이트웨이모듈(27)은 모션센서, 인체감지센서, 적외선센서, 초음파센서, 터치센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공유자원(10)의 이용상태를 감시하여 이용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컨트롤러모듈(23)에 제공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모듈(27)은 공유자원(10)을 이용하는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시한다. 게이트웨이모듈(27)은 물리적으로 별도의 디바이스로 형성되고, 공유자원(10)의 이용상태를 감시하기 적합한 위치의 공유자원(10)에 결합될 수 있다. The
예를 들어, 공유자원(10)이 회의실이나 숙박시설 등의 공간인 경우, 게이트웨이모듈(27)은 공간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게이트웨이모듈(27)은 잠금모듈(21)과 물리적으로 별도의 디바이스로 형성되어, 게이트웨이모듈(27)이 감지한 공유자원(10)의 이용상태는 통신모듈(22)을 통해 컨트롤러모듈(23)에 전달될 수 있다. 컨트롤러모듈(23)은 이용권한에 기초하여 공유자원(10)을 이용하는 사람이 침입자인지 정당한 사용자인지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모듈(23)은 침입자로 판단되는 경우 관리자 단말(31)에 경보를 제공할 수 있다. 컨트롤러모듈(23)은 이용권한에 기초한 사용시간이 만료되면 게이트웨이모듈(27)로부터 수신한 이용상태에 기초하여 공유자원(10)을 이용하는 사람이 없는지 확인하고, 공유자원(10)을 이용하는 사람이 없는 경우 잠금모듈(21)이 잠궈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품을 구매하는 거래 서비스의 경우 공유자원(10)을 일회적으로 이용하는 것이므로 게이트웨이모듈(27)이 불필요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shared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IoT 디바이스(20)는 다양한 공유자원(10)에 결합될 수 있고, 공유자원(10)의 이용권한이 존재하는 사용자에게만 잠금모듈(21)을 개방하여 공유자원(10)의 이용을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유서비스 연계 토탈서비스 추천 방법은, 공유자원(10)에 결합되어 서비스의 이용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복합 IoT 디바이스(20), 관리자 단말(31) 또는 사용자 단말(32)로부터 서비스 이용기록을 블록체인 네트워크(50)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하는 서비스정보 수집단계(S50), 및 서비스 이용기록에 기초하여, 서비스를 추천받는 사용자와 서비스 이용패턴이 유사한 다른 사용자가 이용한 서비스를 추천하는 큐레이션단계(S60)를 포함할 수 있다. A shared service-linked total service recommend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유서비스 연계 토탈서비스 추천 방법이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rvice that can be provided by a method for recommending a total service linked to a shared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유서비스 연계 토탈서비스 추천 방법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다양한 서비스를 추천할 수 있는 dApp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복합 IoT 디바이스(20)는 다양한 종류의 공유자원(10)에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이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는 도 4에 도시한 종류로 제한되지 않는다. As shown in FIG. 4 , the shared service linkage total service recommend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through a dApp capable of providing various services and recommending various services. Since the
사용자용 dApp(42)은 내부에 서비스 종류에 따라 복수의 구별되는 dApp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용 dApp(42)은 서비스의 종류와 무관하게 하나의 dApp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교통 서비스, 숙박 서비스, 관광 서비스, 금융 서비스, 음식 서비스, 렌트 서비스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교통 서비스 제공 dApp을 사용자 단말(32)에 설치하고 실행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50)에 등록된 교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설치한 교통 서비스 제공 dApp은 사용자에게 교통 서비스를 추천할 수 있고, 교통 서비스 이외에 다른 종류의 서비스도 추천할 수 있다. 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유서비스 연계 토탈서비스 추천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each step of a method for recommending a total service linked to a shared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유서비스 연계 토탈서비스 추천 방법은, 사용자가 '복합 IoT 디바이스(20)를 이용한 공유서비스'를 이용한 내역인 서비스 이용기록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복합 IoT 디바이스(20)를 이용한 공유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먼저 설명한다. The shared service-linked total service recommend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based on a service use record, which is a history of a user's use of 'shared service using the complex IoT device 20'. A step of providing a shared service using the
복합 IoT 디바이스(20)를 이용한 공유서비스는, 관리자 단말(31)이 관리자 dApp을 통하여 공유자원(10)의 정보 및 공유자원(10)에 결합된 복합 IoT 디바이스(20)의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50)에 제공하여 공유자원(10)을 공유가능하도록 제공하는 공유자원 등록단계(S10), 사용자 단말(32)이 사용자 dApp을 통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50)에 등록된 공유자원(10)의 이용권한을 요청하고 관리자 단말(31)이 사전에 지정해놓은 스마트 컨트랙트에 기초하여 이용권한이 부여되는 이용권한 획득단계(S20), 및 복합 IoT 디바이스(20)가 사용자 단말(32)에 이용권한이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공유자원(10)에 접근가능하도록 잠금을 개방하는 이용 시작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고, 이용권한에 기초하여 정해진 사용시간이 만료되는 경우, 공유자원(10)의 이용상태를 점검하여 이용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잠금모듈(21)이 잠궈지도록 제어하는 이용 종료단계(S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shared service using the
복합 IoT 디바이스(20)를 이용한 공유서비스 제공방법은, 복합 IoT 디바이스(20), 관리자 단말(31), 사용자 단말(32), 블록체인 네트워크(50)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수행될 수 있다. 관리자와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IoT 디바이스(20)를 이용한 공유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회원가입을 하고 정해진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The shared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the
공유자원 등록단계(S10)는 관리자 단말(31)이 관리자용 dApp(41)을 통하여 공유자원(10)의 정보 및 복합 IoT 디바이스(20)의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50)에 제공하는 단계,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50)의 관리자용 스마트 컨트랙트에 기초하여 공유자원(10)의 정보 및 복합 IoT 디바이스(20)의 정보가 블록체인 네트워크(50)가 생성하는 블록(61)에 기록되고 블록(61)이 공유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hared resource registration step (S10) is a step in which the
먼저 관리자는 복합 IoT 디바이스(20)를 공유자원(10)에 설치한다.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31)을 이용하여 관리자 dApp을 실행하거나 관리자 dApp에 접속하여 공유자원(10)에 관한 정보 및 복합 IoT 디바이스(20)에 관한 정보를 입력한다. 공유자원(10)에 관한 정보는 공유자원(10)의 종류, 특징, 대여비용, 대여가능 시간대, 최소대여 가능시간 등 사용자가 공유자원(10)을 이용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복합 IoT 디바이스(20)에 관한 정보는 기기 ID, Mac Address, 게이트웨이모듈(27)의 센서 타입, 센서 추가 시간 등 사용자 단말(32)과 블록체인 네트워크(50)가 복합 IoT 디바이스(20)를 인식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관리자 단말(31)에 입력된 공유자원(10)에 관한 정보 및 복합 IoT 디바이스(20)에 관한 정보는 dApp을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50)의 관리자용 스마트 컨트랙트에 전달된다. First, the manager installs the
관리자용 dApp(41)은 네트워크의 관리자용 스마트 컨트랙트를 호출하여 입력받은 공유자원(10)에 관한 정보 및 복합 IoT 디바이스(20)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관리자용 dApp(41)은 Restful API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5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The
관리자용 스마트 컨트랙트는 공유자원(10) 정보관리 기능을 수행하여 공유자원(10)을 사용자가 이용가능하도록 블록체인 네트워크(50) 상에 등록한다. 관리자용 스마트 컨트랙트는 공유자원(10)에 관한 정보 및 복합 IoT 디바이스(20)에 관한 정보를 블록(61)의 저장공간에 테이블 형식으로 저장하도록 블록체인 네트워크(50)를 구성하는 노드(51)들에 공유할 수 있다. 공유자원(10)에 관한 정보 및 복합 IoT 디바이스(20)에 관한 정보는 검증 및 합의과정을 통해 블록(61)에 저장된다. The manager smart contract performs a shared
이용권한 획득단계(S20)는, 사용자 단말(32)이 사용자용 dApp(42)을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50)에 분산 저장된 블록체인(60)에 기록된 공유자원(10)의 검색을 요청하면, 사용자용 dApp(42)이 블록체인(60)에 기록된 공유자원(10)을 검색하여 제공가능한 공유자원(10)의 목록을 사용자 단말(32)로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32)이 제공가능한 공유자원(10)의 목록 중에서 공유자원(10)을 선택하여 이용권한 획득을 요청하는 단계,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50)의 관리자용 스마트 컨트랙트는 요청된 공유자원(10)의 이용가능여부를 판단하고 이용가능한 경우 사용자 단말(32)에 이용권한을 부여하였음을 블록체인(60)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사용자는 공유자원(10)을 이용하기 위하여 먼저 이용권한을 획득하여야 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2)에서 사용자용 dApp(42)을 실행하거나 사용자용 dApp(42)에 접속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50)에 등록된 공유자원(10)의 검색을 요청할 수 있다. dApp은 공유자원(10)의 종류, 위치, 사용기간, 대여비용 등의 조건을 선택하여 공유자원(10)을 검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dApp은 사용자 단말(32)로부터 수신한 검색조건에 기초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50)를 구성하는 임의의 노드(51)에 검색을 요청할 수 있다. 복수의 노드(51)들 각각은 동일한 블록체인(60)을 저장하고 있으므로, 사용자용 dApp(42)에 의해 요청된 검색을 수행하고 결과를 회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2)은 임의의 노드(51)에서 검색을 수행한 결과를 사용자용 dApp(42)을 통해 전달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32)은 수신한 검색결과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In order to use the shared
사용자는 검색결과로 제공된 공유자원(10) 목록에서 공유자원(10)을 선택하고 공유자원(10)의 이용권한 획득을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2)은 사용자용 dApp(42)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공유자원(10)의 이용권한 획득을 블록체인 네트워크(50)의 관리자용 스마트 컨트랙트에 요청할 수 있다.The user may select the shared
관리자용 스마트 컨트랙트는 사용자용 dApp(42)으로부터 수신한 공유자원(10)의 이용권한 획득요청을 수신하면, 공유자원(10)의 이용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공유자원(10)의 이용가능 여부는 공유자원(10)의 이용권한 획득요청에 포함된 조건들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사용자가 요청한 시간에 이미 예약되어 있는 다른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블랙리스트에 등록되어 있어서 이용권한을 획득할 자격이 없는 사람인지 판단할 수 있다. 관리자용 스마트 컨트랙트는 요청된 공유자원(10)이 이용가능한 경우 이용권한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32)에 이용권한을 부여함을 블록체인(60)에 기록한다. 관리자용 스마트 컨트랙트는 요청된 시간에 해당 사용자 단말(32)에 이용권한이 존재한다는 내용을 블록체인 네트워크(50)에 공유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50)는 검증 및 합의를 통해 블록(61)에 이용권한이 부여되었음을 저장한다. 관리자용 스마트 컨트랙트는 이용권한이 부여되었음을 사용자 dApp을 통해 사용자 단말(32)에 제공할 수 있다. When the smart contract for the manager receives a request for obtaining the right to use the shared
사용자 단말(32)이 이용권한을 획득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2)을 통해 복합 IoT 모듈의 잠금을 개방하고 공유자원(10)의 이용을 시작할 수 있다. 이용 시작단계(S30)는 사용자 단말(32)이 사용자용 dApp(42)을 통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50)에 이용권한에 기초한 상기 복합 IoT 디바이스(20)의 잠금 개방을 요청하는 단계, 복합 IoT 디바이스(20)가 사용자 단말(32)이 정해진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복합 IoT 디바이스(20)와 사용자 단말(32)이 정해진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복합 IoT 디바이스(20)와 상기 사용자 단말(32)이 각각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50)에 일회용 인증 프로토콜의 실행을 요청하는 단계, 블록체인 네트워크(50)는 일회용 인증 프로토콜에 따라, 일회용 키를 생성하여 상기 복합 IoT 디바이스(20)와 상기 사용자 단말(32)에 각각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복합 IoT 디바이스(20)가 수신한 상기 일회용 키와 상기 사용자 단말(32)로부터 수신한 상기 일회용 키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32)에 이용권한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잠금을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2)을 통해 이용권한을 획득한 공유자원(10)에 결합된 복합 IoT 디바이스(20)에 잠금 개방을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2)은 복합 IoT 디바이스(20)에 직접 또는 dApp이나 블록체인 네트워크(50)를 통해 잠금 개방을 요청할 수 있다.The user may request a lock open from the
복합 IoT 디바이스(20)는 잠금 개방 요청을 받으면 사용자 단말(32)이 정해진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근접 여부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2)이 공유자원(10) 근처에 없는 상태에서 이용권한에 기초하여 잠금모듈(21)을 개방하게 되면, 이용권한이 없는 타인이 공유자원(10)을 이용할 위험이 존재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공유자원(10)에 정해진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과정이다. 근접 여부 판단은 복합 IoT 디바이스(20)의 컨트롤러모듈(23)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사용자 단말(32)은 Wi-Fi, bluetooth, NFC 등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복합 IoT 디바이스(20)에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2)은 자신의 GPS 좌표를 복합 IoT 디바이스(20)에 전송하여 복합 IoT 디바이스(20)가 근접 여부 판단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Upon receiving the lock open request, the
사용자 단말(32)이 복합 IoT 디바이스(20)에 정해진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복합 IoT 디바이스(20)는 사용자 단말(32)에 근접 여부 판단을 통과하였다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근접 여부 판단을 통과한 경우, 복합 IoT 디바이스(20)와 사용자 단말(32)은 블록체인 네트워크(50)에 일회용 인증 프로토콜의 실행을 요청할 수 있다. 복합 IoT 디바이스(20)와 사용자 단말(32)로부터 수신되는 일회용 인증 프로토콜의 실행 요청이 일치하는 경우 블록체인 네트워크(50)는 일회용 인증 프로토콜을 실행한다.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일회용 인증 프로토콜은 블록체인(60)에 저장된 이용권한 기록을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32)이 정해진 시간에 해당 공유자원(10)의 이용권한을 갖는지 판단하고, 이용권한이 존재하는 경우 일회용 인증 프로토콜은 복합 IoT 디바이스(20)와 사용자 단말(32)에 일회용 키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일회용 키는 임의로 생성되는 값일 수 있고, 복합 IoT 디바이스(20)와 사용자 단말(32) 각각의 공개키로 암호화되어 전달될 수 있다. 복합 IoT 디바이스(20)가 수신한 일회용 키와 사용자 단말(32)이 수신한 일회용 키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복합 IoT 디바이스(20)는 사용자 단말(32)이 이용권한을 갖는 것으로 판단하여 잠금모듈(21)의 잠금을 개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잠금모듈(21)이 개방되면 공유자원(10)을 이용할 수 있다. 잠금모듈(21)이 공유자원(10)의 기존 잠금장치에 애드온 방식으로 결합된 경우 복합 IoT 디바이스(20)는 사용자 단말(32)에 기존 잠금장치의 비밀번호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2)에 표시된 비밀번호를 기존 잠금장치에 입력하여 공유자원(10)을 이용할 수 있다. The one-time authentication protocol searches the record of use rights stored in the
게이트웨이모듈(27)은 사용자가 공유자원(10)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공유자원(10)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공유자원(10)이 회의실이나 숙박시설 등의 공간인 경우, 잠금모듈(21)이 개방되면 게이트웨이모듈(27)은 공유자원(10)인 공간에 사람이 들어오고 나가는지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모듈(27)은 정해진 주기마다 또는 잠금모듈(21)이 개방되면 지속적으로 공유자원(10)의 이용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모듈(27)은 공유자원(10)의 이용상태를 복합 IoT 디바이스(20)에 전송할 수 있다.The
관리자 단말(31)은 관리자용 dApp(41)을 통해 공유자원(10) 접근관리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31)은 공유자원(10)에 이용을 신청한 사용자들에 관한 정보, 공유자원(10)의 이용상태에 관한 정보, 공유자원(10)의 이용기록 및 예약 기록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관리자용 dApp(41)은 관리자용 스마트 컨트랙트에 공유자원(10)의 현재 상태 모니터링을 요청할 수 있으며 관리자용 스마트 컨트랙트는 복합 IoT 디바이스(20)로부터 게이트웨이모듈(27)이 제공한 공유자원(10)의 이용상태를 수신하여 관리자용 dApp(41)을 통해 관리자 단말(31)에 제공할 수 있다.The
사용자는 이용권한에 기초한 사용시간이 종료되는 경우 공유자원(10)의 이용을 중지한다. 복합 IoT 디바이스(20)는 이용권한에 기초한 사용시간이 종료되는 경우 게이트웨이모듈(27)로부터 공유자원(10)의 이용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잠금모듈(21)을 동작시켜 사용자와 공유자원(10)을 차단해도 되는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공유자원(10)이 회의실이나 숙박시설과 같은 공간인 경우, 게이트웨이모듈(27)은 공유자원(10)인 공간 안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센싱할 수 있고, 공유자원(10)인 공간 안에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게 되었을 때 복합 IoT 디바이스(20)는 잠금모듈(21)이 잠궈지도록 제어하는 이용 종료단계(S40)를 수행할 수 있다. The user stops using the shared
복합 IoT 디바이스(20)가 잠금모듈(21)을 잠그도록 제어하여 사용자의 이용이 종료되면, 복합 IoT 디바이스(2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50)에 사용종료 사실을 전송한다. 공유서비스 사용이 종료되면 서비스 이용내역이 블록체인 네트워크(50)에 전달된다.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내역은 블록체인(60) 또는 분산형 데이터베이스(70)에 저장될 수 있다. When the user's use is terminated by controlling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유서비스 연계 토탈서비스 추천 방법은, 공유자원(10)에 결합되어 서비스의 이용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복합 IoT 디바이스(20), 관리자 단말(31) 또는 사용자 단말(32)로부터 서비스 이용기록을 블록체인 네트워크(50)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하는 서비스정보 수집단계(S50), 및 서비스 이용기록에 기초하여, 서비스를 추천받는 사용자와 서비스 이용패턴이 유사한 다른 사용자가 이용한 서비스를 추천하는 큐레이션단계(S60)를 포함할 수 있다. A shared service-linked total service recommend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서비스정보 수집단계(S50)는 복합 IoT 디바이스(20), 관리자 단말(31), 사용자 단말(32)이 서비스 이용기록을 블록체인 네트워크(50)로 전송하는 이용기록 전송단계(S51), 서비스 이용기록에 포함된 개인정보를 저장하기 전에 비식별화하는 비식별화 단계(S52), 및 서비스 이용기록을 분산형 데이터베이스(70)에 저장하고 서비스 이용기록의 저장과정을 블록체인 네트워크(50)에 저장하는 저장단계(S5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rvice information collection step (S50) is a usage record transmission step (S51) in which the
이용기록 전송단계(S51)는 공유자원(10)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이다. 서비스 이용기록은 서비스의 종류, 위치, 비용, 이용 시작 및 종료시간, 사용자의 선호 또는 비선호 점수, 사용자의 서비스 리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50)는 복합 IoT 디바이스(20), 관리자 단말(31), 사용자 단말(32)로부터 서비스 이용기록을 수집할 수 있다. The usage record transmission step S51 is a step of collec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ovision of services using the shared
서비스정보 수집단계(S5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50)가 상기 복합 IoT 디바이스(20)가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기록과 사용자 단말(32)이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기록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수집된 서비스 이용기록을 저장하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저장하지 않을 수 있다. 정상적으로 서비스의 이용이 시작되고 종료되면 복합 IoT 디바이스(20)와 사용자 단말(32)이 동일한 서비스 이용기록을 갖게 되며, 양쪽에서 수신하는 서비스 이용기록이 일치하는 경우 위변조되지 않은 정상적인 데이터를 수신한 것이므로 수신 데이터를 신뢰할 수 있다. In the service information collection step (S50), the
서비스 이용기록이 수신되면 서비스 이용기록에 포함된 개인정보를 비식별화한다(S52). 서비스 이용기록에 포함된 개인정보의 비식별화는 익명화, 범주화, 총계처리 등의 비식별화 알고리즘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익명화는 데이터에 포함된 사람의 성명을 인식할 수 없도록 일부나 전부를 변형하거나 제거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홍길동"이라는 이름을 "홍*동"으로 일부를 변형하거나, "고객 1"과 같이 전부를 변형할 수 있다. 총계처리는 특정 항목의 값이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 총액을 계산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홍*동"의 거래 횟수가 "20회/40회/10회"인 경우 총 거래 횟수가 "70회"인 것으로 집계할 수 있다. 범주화는 특정 값이 포함되는 범위에 따라 집계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홍*동"의 거래 횟수가 "13회"인 경우 미리 "10~20회"로 집계할 수 있다. When the service usage record is received, the person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rvice usage record is de-identified (S52). De-identific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ncluded in service use records can be performed through de-identification algorithms such as anonymization, categorization, and total processing. Anonymization is the transformation or removal of some or all of the names of persons contained in data so that they cannot be recognized. For example, the name "Hong Gil-dong" can be partially changed to "Hong*dong", or all can be changed, such as "Customer 1". Total processing is to calculate the total amount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values of a specific item. For example, if the number of transactions of "Hong*Dong" is "20/40/10", the total number of transactions may be counted as "70". Categorization is aggregation according to the range in which a particular value is included. For example, if the number of transactions of "Hong*Dong" is "13", it can be counted as "10 to 20" in advance.
서비스 이용기록의 비식별화가 수행되면 서비스 이용기록을 저장하는 저장단계(S53)를 수행한다. 서비스 이용기록은 블록체인 네트워크(50)의 노드(51)에 저장되는 볼록체인에 저장되거나, 블록체인 네트워크(50)를 통해 분산형 데이터베이스(70)에 저장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50)를 통해 수집되는 서비스 이용기록은 다수의 사용자가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를 이용한 기록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서비스에 관한 다양한 사용기록을 수집할 수 있다. 서비스정보 수집단계(S50)는 공유서비스가 수행되는 동안 지속적으로 반복 수행되어 서비스 사용기록을 계속 수집할 수 있다. When the de-identification of the service usage record is performed, a storage step (S53) of storing the service usage record is performed. The service usage record may be stored in the convex chain stored in the
매칭서버(80)는 다수의 서비스 사용기록을 수집한 빅데이터에 기초하여 큐레이션단계(S60)를 수행할 수 있다. 매칭서버(80)는 분산형 데이터베이스(70)에 저장된 서비스 사용기록을 읽어들여 분석할 수 있다. 큐레이션단계(S60)는 사용자가 사용자용 dApp(42)을 실행하거나, 사용자 단말이 추천을 요청하거나, 공유서비스의 이용을 종료한 경우에 실행되어 사용자에게 토탈서비스를 추천할 수 있다. 큐레이션단계(S60)는 사용자의 과거 서비스 이용기록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패턴을 분석하는 패턴분석단계(S61), 다른 사용자의 과거 서비스 이용기록에 기초하여 분석된 다른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패턴과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패턴을 비교하여, 유사한 패턴을 갖는 다른 사용자를 식별하는 패턴비교단계(S62), 및 유사한 패턴을 갖는 다른 사용자가 이용한 서비스들 중에서 사용자 단말(32)로부터 수신하는 사용자의 현재상태와 관련된 서비스를 추천하는 상태기반 추천단계(S6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atching
패턴분석단계(S61)는 수집된 서비스 사용기록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패턴을 분석한다. 패턴분석단계(S61)는 각각의 사용자마다 수행되어 사용자가 이용한 서비스들을 다양한 기준과 방법으로 분석하여 패턴을 인식할 수 있다. 패턴분석단계(S61)를 수행하면 사용자마다 공유서비스를 이용하는 패턴이 생성된다. 패턴분석단계(S61)에서 사용자의 과거 서비스 이용기록을 패턴화하는 방법으로는, 서비스 이용기록의 데이터를 산점도화하거나, 수형도 또는 다차원좌표화하거나 특성벡터화 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패턴을 패턴화하는 방식은 패턴을 비교하는 패턴비교단계(S62)에서 패턴을 비교할 때 이용되는 알고리즘에 따라 다른 패턴화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The pattern analysis step (S61) analyzes the service usage pattern of the user by analyzing the collected service usage record. The pattern analysis step (S61) is performed for each user to analyze the services used by the user using various standards and methods to recognize the pattern. When the pattern analysis step (S61) is performed, a pattern using the shared service is generated for each user. As a method of patterning the user's past service use record in the pattern analysis step (S61), a method such as scattering the data of the service use record, forming a tree diagram or multidimensional coordinates, or forming a characteristic vector may be used. As for the method of patterning the service use pattern of the user, a different patterning method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an algorithm used when comparing the patterns in the pattern comparison step ( S62 ) of comparing the patterns.
패턴비교단계(S62)는 서비스를 추천받을 사용자의 과거 서비스 이용패턴과 다른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패턴을 비교하는 과정이다. 패턴비교단계(S62)를 수행하면 서비스를 추천받을 사용자와 유사한 이용패턴을 갖는 다른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과거 서비스 이용패턴이 유사한 사용자들은 유사한 취향을 갖는 것이므로, 유사한 이용패턴을 갖는 다른 사용자의 서비스를 추천하는 경우 만족도 높은 토탈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패턴비교단계(S62)는 행렬분해(Matrix Factorization), k-최근접 이웃 알고리즘 (k-Nearest Neighbor algorithm; kNN), 군집분석(Clustering analysis),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딥러닝 (Deep Learning) 등의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The pattern comparison step ( S62 ) is a process of comparing the past service usage pattern of the user to whom the service is to be recommended with the service usage pattern of other users. When the pattern comparison step ( S62 ) is performed, it is possible to identify other users having a usage pattern similar to that of the user to whom the service is to be recommended. Since users with similar service usage patterns in the past have similar taste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otal service with high satisfaction when recommending services of other users with similar usage patterns. The pattern comparison step (S62) is matrix factorization, k-nearest neighbor algorithm (kNN), clustering analysis, artificial neural network, deep learning. ) can be used.
서비스 이용패턴을 비교하여 유사한 패턴을 갖는 다른 사용자를 식별한 다음에는, 다른 사용자들이 이용한 서비스들 중에서 추천할 서비스를 선정할 수 있다. 다른 사용자들이 이용한 서비스들 중에서 추천할 서비스를 선정하여 추천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현재상태에 기초하여 알맞는 서비스를 추천하는 상태기반 추천단계(S63), 다른 사용자들의 선호가 높은 순서대로 서비스를 추천하는 선호기반 추천단계(S64), 다른 사용자들의 비선호가 존재하는 서비스의 긍정적인 부분을 분석하여 특색 서비스로서 추천하는 비선호기반 추천단계(S65)를 포함할 수 있다. 상태기반 추천단계(S63)는 선호기반 추천단계(S64) 또는 비선호기반 추천단계(S65)와 함께 수행되어, 선호기반 추천단계(S64) 또는 비선호기반 추천단계(S65)가 수행되어 추출된 서비스들을 대상으로 상태기반 추천단계(S63)를 더 수행할 수도 있다. After identifying other users having similar patterns by comparing service usage patterns, it is possible to select a service to be recommended from among the services used by other users. The step of selecting and recommending a service from among the services used by other users includes a state-based recommendation step of recommending a suitable service based on the user's current status (S63), and recommending services in the order of preference of other users. It may include a preference-based recommendation step (S64), and a non-preference-based recommendation step (S65) of analyzing a positive part of a service in which other users' non-preferences exist and recommending it as a characteristic service. The state-based recommendation step (S63) is performed together with the preference-based recommendation step (S64) or the non-preference-based recommendation step (S65), and the service extracted by the preference-based recommendation step (S64) or the non-preference-based recommendation step (S65) is performed The state-based recommendation step (S63) may be further performed for the target.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태기반 추천단계(S63)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based recommendation step S6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의 도시된 바와 같이, 상태기반 추천단계(S63)는 유사한 이용패턴의 다른 사용자가 과거에 이용한 서비스들 중에서 사용자의 현재상태에 알맞는 서비스를 추천할 수 있다. 사용자의 현재상태는 사용자 단말(32)이 인식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50)를 통해 매칭서버(80)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의 현재상태는 현재위치, 현재시간, 생체신호, 동행자정보, 날씨정보, 검색정보 등 사용자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태기반 추천단계(S63)에서, 사용자의 현재상태에 기초하여 추천시 이용가능성을 먼저 판단할 수 있다(S63a). 예를 들어, 현재시간에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시간에 이용가능한지 여부를 기준으로 다른 사용자가 이용한 10개의 서비스들 중에서 이용가능한 4개의 서비스를 추출할 수 있다.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우천시에는 이용 불가능할 수 있으므로 날씨정보를 기준으로 이용가능성을 판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의 현재상태에 기초하여 접근가능성이 높은 순서대로 이용가능한 서비스들을 나열하여 접근성이 좋은 순서대로 서비스를 추천할 수 있다(S63b). 예를 들어, 사용자의 현재위치와 가까운 서비스를 추출하여 가까운 순서대로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 in the state-based recommendation step S63, a service suitable for the current state of the user may be recommended from among the services used in the past by other users with similar usage patterns. The user's current state may be recognized by the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호기반 추천단계(S64)를 나타내는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eference-based recommendation step S6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큐레이션단계(S60)는 유사한 패턴을 갖는 다른 사용자가 이용한 서비스들을 선호 점수가 높은 순서대로 추천하는 선호기반 추천단계(S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호기반 추천단계(S64)는 다른 사용자가 선호하는 서비스를 추천할 수 있다. 선호기반 추천단계(S64)를 수행하기 위하여, 서비스 이용기록은 공유자원(10)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한 내역 및 사용자가 서비스의 만족도를 선호부터 비선호까지 점수로 입력한 선호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uration step (S60) may further include a preference-based recommendation step (S64) of recommending services used by other users having a similar pattern in the order of preference scores. As shown in FIG. 7 , the preference-based recommendation step S64 may recommend a service preferred by another user. In order to perform the preference-based recommendation step (S64), the service usage record includes the history of using the service provided using the shared
사용자는 자신이 이용한 서비스에 관하여 선호 또는 비선호를 사용자 단말(32)을 통하여 입력할 수 있고, 선호와 비선호의 강도를 점수로 입력할 수 있다. 서비스 이용기록에 포함된 서비스에 대한 선호 또는 비선호를 도면으로 나타내면 도 7과 같이 도시할 수 있다. 유사한 이용패턴을 갖는 다른 사용자가 선호하는 서비스는 서비스를 추천받을 사용자도 선호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선호 점수가 높은 순서대로 서비스를 추천하면 사용자의 취향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를 추천받는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가 선호하는 순서대로 나열된 서비스 목록을 제공받을 수 있다. The user may input preference or non-preference with respect to the service used by the user through the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선호기반 추천단계(S65)를 나타내는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on-preference-based recommendation step S6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선호기반 추천단계(S65)는 사용자에게 특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선호 기반으로만 서비스를 추천하는 경우 다양한 서비스가 추천되지 못하고 특정 몇몇 서비스에만 추천이 쏠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유자원(10)이 블록체인 네트워크(50)에 제공되는 시점이 빠를수록 선호 점수가 누적될 가능성이 높고, 그에 따라 먼저 등록된 서비스가 계속 추천되는 추천 쏠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8 , the non-preference-based recommendation step S65 may provide a feature service to the user. When a service is recommended only based on preference, various services may not be recommended and a problem may arise in which recommendations are concentrated only on a few specific services. For example, the sooner the shared
사용자가 서비스를 평가함에 있어서, 비선호 점수를 입력하는 이유는 다양하게 존재한다. 서비스를 평가하는 항목은 음식의 맛, 고객 응대의 친절도, 편안함, 등의 다양한 기준이 존재할 수 있고, 사용자의 성향에 따라 동일한 서비스의 평가가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사용자가 비선호 점수를 입력하였다고 하여, 다른 사용자가 동일한 서비스를 만족하지 않는다고 예상할 수는 없다. 따라서 비선호 점수를 받은 서비스라도 다른 사용자에게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으므로 추천할 수 있다. 다만 비선호 점수를 받은 경우라도 다른 사용자가 만족할 수 있는 요소가 필요하므로 서비스에 긍정적인 요소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When a user evaluates a service, there are various reasons for inputting a non-preference score. As for the service evaluation item, various criteria such as taste of food, kindness of customer service, comfort, etc. may exist, and the evaluation of the same service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a user's tendency. Therefore, even if a specific user inputs a non-preference score, it cannot be expected that other users are not satisfied with the same service. Therefore, even a service with a non-preferred score can be recommended because it can receive a good evaluation from other users. However,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whether there are positive elements in the service, since elements that other users can be satisfied with are required even when a non-preference score is received.
비선호기반 추천단계(S65)는 비선호 점수를 받은 서비스에 관한 리뷰를 분석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선호기반 추천단계(S65)는 서비스들 중에서 비선호 점수가 존재하는 서비스를 분류하고 서비스에 관련된 리뷰를 분석한다. 예를 들면, 서비스들 중에서 비선호 점수가 존재하는 서비스 3을 선택하고, 서비스 3에 존재하는 리뷰들을 분석한다. 복수의 리뷰들의 내용을 분석하면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에 갖는 긍정반응을 인식할 수 있다. 인식된 긍정반응을 분석하여 어떤 평가항목에 관한 것인지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3에 비선호 점수가 존재하지만 리뷰들 중에서 리뷰 2를 분석한 결과 고객 응대가 친절하지 않았다는 부정적 반응과, 새로운 종류의 음식을 경험할 수 있다는 긍적정 반응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음식의 종류라는 항목에서 긍정반응이 인식된 경우 특색 서비스로서 음식 종류의 새로움이라는 긍정적 정보와 함께 서비스 3을 특색 서비스로 제공할 수 있다. In the non-preference-based recommendation step (S65), a review on the service receiving the non-preference score is analyzed. As shown in FIG. 8 , in the non-preference-based recommendation step S65, a service having a non-preference score among the services is classified and a review related to the service is analyzed. For example, a service 3 having a non-preference score is selected from among the services, and reviews existing in the service 3 are analyzed.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a plurality of reviews, it is possible to recognize a positive reaction that a user has for a corresponding service. It is possible to recognize which evaluation items are related by analyzing the recognized positive responses. For example, although there is an unfavorable score for Service 3, as a result of analyzing Review 2 among the reviews, it is possible to recognize a negative reaction that customer service was not friendly and a positive reaction that it is possible to experience a new kind of food. In this case, if a positive reaction is recognized in the item of type of food, service 3 may be provided as a characteristic service together with positive information of novelty of the type of food as a characteristic service.
분석대상 리뷰는 이용패턴이 유사한 사용자가 남긴 리뷰에 한정하지 않고, 서비스에 남겨진 모든 리뷰를 대상으로 분석한다. 이용패턴이 유사한 사용자들이 남긴 리뷰들만을 대상으로 분석한다면, 사용자들이 유사한 기준으로 평가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같은 서비스를 새로운 시각으로 평가하는 리뷰가 존재하기 힘들고, 특정 유형의 사람들에게는 특정 유형의 서비스만 추천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비선호기반 추천단계(S65)는 사용자가 새로운 특성의 서비스를 추천받을 수 있는 점에서 이점이 있는 것이므로, 분석대상 리뷰의 범위를 모든 사용자들이 남긴 리뷰로 하여 성향이 다른 사람들의 리뷰에 근거하여 긍정반응을 분석하면 새로운 서비스를 추천할 수 있는 것이다. Analysis target reviews are not limited to reviews left by users with similar usage patterns, but all reviews left on the service are analyzed. If we analyze only the reviews left by users with similar usage patterns, it is difficult to find reviews that evaluate the same service from a new perspective because users are more likely to evaluate it based on similar criteria, and recommend only specific types of services to specific types of people. problem arises. Since the non-preference-based recommendation step (S65)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user can be recommended a service with a new characteristic, the scope of the analysis target review is the reviews left by all users, and a positive response is based on the reviews of people with different tendencies By analyzing , new services can be recommended.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순차패턴 인식 및 순차패턴 비교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quential pattern recognition and sequential pattern comparis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패턴분석단계(S61) 및 패턴비교단계(S62)는 서비스 사용 순서를 기준으로 수행될 수 있다. 패턴분석단계(S61)는 사용자의 과거 서비스 이용기록에 기초하여, 정해진 기간 범위 내에서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를 시간순서대로 이용한 순차패턴을 인식하고, 패턴비교단계(S62)는 순차패턴을 비교함에 있어서, 정해진 기간 범위 내에서 서비스를 추천받는 사용자가 가장 처음에 이용한 서비스부터 최근에 이용한 서비스까지의 순차패턴을 비교하여 유사한 패턴을 갖는 다른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ttern analysis step (S61) and the pattern comparison step (S62)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service usage order. The pattern analysis step (S61) recognizes sequential patterns using various types of services in chronological order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range based on the user's past service use records, and the pattern comparison step (S62) is performed in comparing the sequential patterns. , it is possible to identify other users having a similar pattern by comparing the sequential patterns from the first service used to the most recently used service by the user recommended for the service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range.
정해진 기간 범위는 1일 또는 일주일 등으로 결정될 수 있고, 서비스를 추천받을 사용자가 설정하는 기간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를 추천받을 사용자가 1일 단위로 기간을 결정하는 경우, 사용자의 과거 서비스 사용기록을 1일 단위로 패턴을 분석할 수 있고, 다른 사용자의 과거 서비스 사용기록도 1일 단위로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The predetermined period range may be determined as one day or one week, and may be determined as a period set by a user to whom a service is to be recommended. For example, if a user who is to be recommended for a service determines the period in units of one day, the user's past service usage records can be analyzed for patterns in units of one day, and the past service usage records of other users are also determined in units of one day. patterns can be analyzed.
순차패턴은 서비스를 이용한 순서에 관한 서비스 이용패턴이다. 순차패턴은 서비스의 종류를 기준으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일 범위에서 사용자가 이용한 서비스를 시간순서대로 나열하면, 서비스 1(교통), 서비스 2(관광), 서비스 3(음식), 서비스 4(관광), 서비스 5(교통), 서비스 4(금융) ... 서비스 No.(숙박) 등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No.'는 서비스를 구분하기 위한 임의의 일련번호이다. The sequential pattern is a service use pattern regarding the order in which the service is used. The sequential pattern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type of service. For example, if the services used by the user are listed in chronological order in the range of 1 day, service 1 (transportation), service 2 (tourism), service 3 (food), service 4 (tourism), service 5 (transportation), service 4 (financial) ... service No. (accommodation), and the like. In this specification, 'No.' is an arbitrary serial number for distinguishing a service.
패턴분석단계(S61)에서, 서비스를 추천받을 사용자의 과거 서비스 이용기록에서 순차패턴을 분석하고, 다른 사용자의 과거 서비스 이용기록에서 순차패턴을 분석한다. 패턴이 분석되면 패턴비교단계(S62)를 수행한다. 패턴비교단계(S62)에서 서비스를 추천받을 사용자의 순차패턴과 다른 사용자들의 순차패턴을 비교한다. 이때, 사용자의 가장 최근 순차패턴과 일치하거나 정해진 범위에서 유사한 순차패턴을 갖는 다른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서비스를 추천받을 사용자가 서비스 1, 서비스 2를 이용한 상태라면 순차패턴에서 서비스 3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순차패턴은 서비스 1과 2만으로 생성된다. 이때 서비스 1과 서비스 2만으로 생성된 순차패턴과 다른 사용자들의 순차패턴에서 서비스 1과 서비스 2를 비교하여 유사한 패턴을 갖는 다른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In the pattern analysis step ( S61 ), a sequential pattern is analyzed in the past service use record of the user to be recommended for service, and the sequential pattern is analyzed in the past service use record of another user. When the pattern is analyzed, a pattern comparison step (S62) is performed. In the pattern comparison step ( S62 ), the sequential pattern of the user to be recommended for the service is compared with the sequential pattern of other users.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identify another user that matches the most recent sequential pattern of the user or has a similar sequential pattern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or example, if a user to be recommended a service currently uses services 1 and 2, since service 3 does not exist in the sequential pattern, the sequential pattern is created only with services 1 and 2. At this time, by comparing the service 1 and service 2 in the sequential pattern generated only with the service 1 and the service 2 and the sequential patterns of other users, other users having a similar pattern can be identified.
정해진 범위에서 서비스를 추천받을 사용자가 현재까지 이용한 서비스에 기초하여 유사한 패턴을 갖는 다른 사용자를 식별하면, 다른 사용자의 순차패턴에서 다음 순서에 해당하는 서비스들 중에서 서비스를 추천할 수 있다. 서비스 1과 2에 기초한 순차패턴이 유사한 사용자들이라도 다음 순서에 해당하는 서비스 3은 다양하다.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 3들 중에서 상술한 상태기반 추천단계(S63), 선호기반 추천단계(S64), 비선호기반 추천단계(S65)를 수행할 수 있다. If a user who is to be recommended a servic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dentifies another user having a similar pattern based on the service used so far, the service may be recommended from among the services corresponding to the next order in the sequential pattern of the other user. Even for users with similar sequential patterns based on services 1 and 2, service 3 corresponding to the next sequence is diverse. Accordingly, among the various types of services 3, the above-described state-based recommendation step S63, preference-based recommendation step S64, and non-preference-based recommendation step S65 can be performed.
서비스를 추천받을 사용자와 순차패턴이 유사한 다른 사용자들이 이용한 서비스들에 기초하여, 상태기반 추천단계(S63)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태기반 추천단계(S63)에서 사용자의 다양한 현재 상태를 고려할 수 있다. 사용자와 함께 서비스를 이용할 동행자가 존재하는지 여부, 사용자의 신체 상태(생체 신호, 운동량, 피로도 등), 사용자가 위치하는 지역과 서비스가 제공되는 지역의 날씨나 기온과 같은 기상상태, 사용자의 과거 선호도 정보 등이 현재 상태로 고려될 수 있다. The state-based recommendation step ( S63 )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services used by other users having a similar sequential pattern to the user to be recommended for the service. In this case, various current states of the user may be considered in the state-based recommendation step ( S63 ). Whether there is a companion to use the service with the user,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biometric signal, exercise amount, fatigue, etc.) Information and the like may be considered as the current state.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서비스 또는 상품을 이용한 기록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선호할 것으로 예상되는 다른 종류의 다양한 서비스 또는 상품을 추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다양한 서비스 및 상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ser can recommend various services or products of different types expected to be preferred by the user based on the record of using the service or product, the user can provide information on various services and products. information can be provided.
또한, 공유서비스를 제공하고 토탈서비스를 추천하는 과정을 블록체인 네트워크(50)를 이용한 플랫폼을 통해 제공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람과 이용하는 사람이 자유롭게 시장에 진입할 수 있으므로 공유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providing the process of providing a shared service and recommending a total service through a platform using the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this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clear that the transformation or improvement is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All simpl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de clear by the appended claims.
10: 공유자원
20: 복합 IoT 디바이스
21: 잠금모듈
22: 통신모듈
23: 컨트롤러모듈
24: 입력모듈
25: 표시모듈
26: 전원모듈
27: 게이트웨이모듈
31: 관리자 단말
32: 사용자 단말
41: 관리자용 dApp
42: 사용자용 dApp
50: 블록체인 네트워크
51: 노드
51a: 통신부
51b: 제어부
51c: 저장부
60: 블록체인
61: 블록
70: 분산형 데이터베이스
80: 매칭서버10: Shared Resources
20: Composite IoT Devices
21: lock module
22: communication module
23: controller module
24: input module
25: display module
26: power module
27: gateway module
31: manager terminal
32: user terminal
41: dApps for administrators
42: dApp for users
50: Blockchain Network
51: node
51a: communication department
51b: control
51c: storage
60: Blockchain
61: block
70: Distributed Database
80: matching server
Claims (9)
상기 서비스 이용기록에 기초하여, 서비스를 추천받는 사용자와 서비스 이용패턴이 유사한 다른 사용자가 이용한 서비스를 추천하는 큐레이션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큐레이션단계는
사용자의 과거 서비스 이용기록에 기초하여, 정해진 기간 범위 내에서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를 시간순서대로 이용한 순차패턴을 인식하는 패턴분석단계;
상기 순차패턴을 비교함에 있어서, 정해진 기간 범위 내에서 서비스를 추천받는 사용자가 가장 처음에 이용한 서비스부터 최근에 이용한 서비스까지의 순차패턴을 비교하여 유사한 순차패턴을 갖는 다른 사용자를 식별하는 패턴비교단계; 및
상기 유사한 순차패턴을 갖는 다른 사용자가 이용한 다음 순서의 서비스들 중에서 하나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추천하는 추천단계를 포함하는, 공유서비스 연계 토탈서비스 추천 방법.A service information collection step of receiving and storing service usage records through a block chain network from a composite IoT device, a manager terminal, or a user terminal that is coupled to various types of shared resources and allows or blocks the use of various types of services; and
a curation step of recommending a service used by a user who is recommended for a service and another user having a similar service usage pattern based on the service usage record,
The curation step is
a pattern analysis step of recognizing sequential patterns using various types of services in chronological order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based on the user's past service use records;
In comparing the sequential patterns, a pattern comparison step of identifying other users having a similar sequential pattern by comparing the sequential patterns from the first service used by the user receiving the service recommendation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range to the most recently used service; and
and a recommending step of recommending, to the user terminal, one of the services in the next order used by other users having the similar sequential pattern.
상기 서비스정보 수집단계는
상기 복합 IoT 디바이스, 관리자 단말, 사용자 단말이 서비스 이용기록을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이용기록 전송단계;
상기 서비스 이용기록에 포함된 개인정보를 저장하기 전에 비식별화하는 비식별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이용기록을 분산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서비스 이용기록의 저장과정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저장단계를 포함하는, 공유서비스 연계 토탈서비스 추천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rvice information collection step is
A usage record transmission step in which the composite IoT device, the manager terminal, and the user terminal transmit the service usage record to the block chain network;
a de-identification step of de-identifying before storing the person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rvice use record; and
and a storage step of storing the service usage record in a distributed database and storing the service usage record storage process in a block chain network.
상기 서비스정보 수집단계는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상기 복합 IoT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기록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기록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수집된 서비스 이용기록을 저장하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저장하지 않는, 공유서비스 연계 토탈서비스 추천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rvice information collection step is
Shared service link total, in which the blockchain network compares the service usage record provided by the composite IoT device with the service usage record provided by the user terminal and stores the collected service usage record if they match and does not store if they do not match How to recommend service.
상기 추천단계는,
상기 유사한 순차패턴을 갖는 다른 사용자가 이용한 다음 순서의 서비스들 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사용자의 현재상태와 관련된 서비스를 추천하는 상태기반 추천단계인, 공유서비스 연계 토탈서비스 추천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commended step is
A shared service-linked total service recommendation method, which is a state-based recommendation step of recommending a service related to the current state of the user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from among the services of the next order used by other users having the similar sequential pattern.
상기 서비스 이용기록은
상기 공유자원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한 내역 및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의 만족도를 선호부터 비선호까지 점수로 입력한 선호도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천단계는
상기 유사한 순차패턴을 갖는 다른 사용자가 이용한 다음 순서의 서비스들을 선호 점수가 높은 순서대로 추천하는 선호기반 추천단계인, 공유서비스 연계 토탈서비스 추천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rvice use record is
It further includes a history of using the service provided by using the shared resource and preference information in which the user inputs the satisfaction of the service as a score from preference to non-preference,
The recommended step is
A total service recommendation method linked to a shared service, which is a preference-based recommendation step of recommending the services of the next order used by other users having the similar sequential pattern in the order of preference score.
상기 추천단계는
상기 유사한 순차패턴을 갖는 다른 사용자가 이용한 다음 순서의 서비스들 중에서 비선호 점수가 존재하는 서비스를 분류하고, 분류된 서비스의 리뷰를 분석하여 긍정 반응에 해당하는 특징을 추출하여 제시하면서 특색 서비스로 추천하는 비선호기반 추천단계인, 공유서비스 연계 토탈서비스 추천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commended step is
Classifying a service with a non-preference score among the services of the next order used by other users with a similar sequential pattern, analyzing the review of the classified service, extracting and presenting a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to a positive response, and recommending it as a feature service A method of recommending total services linked to shared services, which is a non-preference-based recommendation stage.
상기 복합 IoT 디바이스는
다양한 종류의 공유자원에 결합되어 물리적 또는 전기적으로 상기 공유자원을 개폐하는 잠금모듈;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공유자원의 이용권한을 갖는지 여부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는 키에 기초하여 판단하고, 상기 잠금모듈을 개폐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모듈을 포함하는, 공유서비스 연계 토탈서비스 추천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mposite IoT device is
a locking module coupled to various types of shared resources to physically or electrically open and close the shared resources;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user terminal or the block chain network; and
and a controller module that determines whether the user terminal has the right to use the shared resource based on the key received from the block chain network, and controls to open and close the lock module.
상기 서비스정보 수집단계 이전에 수행되고, 상기 관리자 단말이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 및 상기 복합 IoT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하여 상기 서비스를 이용가능하게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제공하는 공유자원 등록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유서비스 연계 토탈서비스 추천 방법.9. The method of claim 8,
Sharing is performed before the service information collection step, and the manager terminal registers information for providing the service and information on the composite IoT device to the block chain network to provide the service to the block chain network so that the service can be used A total service recommendation method linked to a shared service, further comprising a resource registration step.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3557A KR102283504B1 (en) | 2019-11-11 | 2019-11-11 | Method for recommending total-service related to share-service |
PCT/KR2019/015545 WO2021095927A1 (en) | 2019-11-11 | 2019-11-14 | Method for recommending total service linked to shared ser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lligent smart contrac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3557A KR102283504B1 (en) | 2019-11-11 | 2019-11-11 | Method for recommending total-service related to share-ser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56746A KR20210056746A (en) | 2021-05-20 |
KR102283504B1 true KR102283504B1 (en) | 2021-07-29 |
Family
ID=76143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43557A Active KR102283504B1 (en) | 2019-11-11 | 2019-11-11 | Method for recommending total-service related to share-ser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83504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358785A (en) * | 2021-12-23 | 2022-04-15 | 号百信息服务有限公司 | Electronic subscription recommenda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user payment behavior analysi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62290B1 (en) * | 2018-12-31 | 2019-03-26 | 주식회사 미탭스플러스 | Distributed Ledger Device for Supporting Sharing Economy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47915A (en) | 2011-11-01 | 2013-05-09 | 홍기섭 | System and method for unifying management of sharing car |
KR20170110330A (en) * | 2016-03-23 | 2017-10-11 |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 Apparatus for advertisement platfor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20190124938A (en) * | 2018-04-27 | 2019-11-06 | 안 데이비드 | Decentralized peer to peer ride share system |
-
2019
- 2019-11-11 KR KR1020190143557A patent/KR10228350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62290B1 (en) * | 2018-12-31 | 2019-03-26 | 주식회사 미탭스플러스 | Distributed Ledger Device for Supporting Sharing Econom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56746A (en) | 2021-05-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2056558B2 (en) | Proximity-based system for object tracking and automatic application initialization | |
US20230134823A1 (en) | Proximity-Based System for Object Tracking | |
US12273339B1 (en) | Proximity-based system for automatic application or data access and item tracking | |
US9935932B2 (en) | Wireless sensor field enumeration | |
US7904718B2 (en) | Personal digital key differentiation for secure transactions | |
US8401875B2 (en) | Secured personal data handling and management system | |
US8312521B2 (en) | Biometric authenticaton system and method with vulnerability verification | |
KR101944965B1 (en) | User authentication system using face recognition and biometric authentication card, and method thereof | |
CN106127130A (en) | The notice system and method based on living things feature recognition being managed | |
JP2021529394A (en) | Time and attendance systems, methods and electronics | |
Saravanakumar et al. | Secure personal authentication in fog devices via multimodal rank‐level fusion | |
US10740447B2 (en) | Using biometric user-specific attributes | |
CN109598232A (en) | A kind of integrated bio identification technology control method and its device | |
US20200388387A1 (en) | System of monitoring, processing, analysis and storage of the physiological signs for the recognition of emotions | |
KR102283503B1 (en) | Method for providing intelligent smart contract | |
KR102283504B1 (en) | Method for recommending total-service related to share-service | |
Bock | Identity Management with Biometrics: Explore the latest innovative solutions to provide secure identification and authentication | |
US10628665B1 (en) | Enhancing capabilities by cooperatively using identity systems and identification databases | |
US7574608B2 (en) | Security screening of electronic devices by device-reported data | |
CN109543391A (en) | Biological information dynamic matching method, device and living creature characteristic recognition system | |
KR102365675B1 (en) | Complex IoT device and share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20230138712A (en) | Management and feedback system for sharing services through verifying user-specific key | |
Jain et al. | Biometric System Design, Overview | |
JP2002297256A (en) | Personal identification system | |
Ashibani et al. | A flexible authentication scheme for smart home networks using app interactions and machine learn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3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11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2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3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7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7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