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4975B1 - Method for searching images based on tag,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searching images based on tag,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54975B1 KR102254975B1 KR1020140028333A KR20140028333A KR102254975B1 KR 102254975 B1 KR102254975 B1 KR 102254975B1 KR 1020140028333 A KR1020140028333 A KR 1020140028333A KR 20140028333 A KR20140028333 A KR 20140028333A KR 102254975 B1 KR102254975 B1 KR 1022549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terminal
- search
- tag
- nam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그 기반의 영상 검색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메신저 프로그램의 대화창 내에 존재하는 대화 내용 중 원하는 영상을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이 실행 중인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대화 수행 시 대화창에 영상이 출력되면, 영상의 메타 정보와 영상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영상을 태깅한다. 그리고 대화창에 연동된 검색창에 검색어가 입력되면, 단말이 대화창에 포함된 영상 중 입력된 검색어를 포함하는 태그를 갖는 영상을 추출하여 화면에 출력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g-based image search method, an apparatus and a system for the same, and is to enable a desired image to be easily searched among chat contents existing in a chat window of a messenger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image is output on a chat window when a terminal performs a conversation through a running messenger program, the image is tagged based on meta information of the image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mage. In addition, when a search word is input to a search box linked to the chat window, the terminal extracts an image having a tag including the input search word among the images included in the chat window and outputs it on the screen.
Description
본 발명은 메신저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신저를 통해 대화 수행 시 대화창에 입력되는 영상을 위치 정보와 메타 정보(metadata)를 기반으로 태깅(tagging)하고, 영상에 태깅된 태그(tag)를 기반으로 대화창 내에서 영상 검색을 수행하는 태그 기반의 영상 검색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ssenger service, and more specifically, an image input to a chat window when performing a conversation through a messenger is tagge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and meta data, and a tag tagged to the imag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g-based image search method for performing image search in a chat window based on, and an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ame.
정보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이동통신 단말, 개인용 컴퓨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단말들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되고 있다.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various types of terminals such a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personal computers are being implemented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이동통신 단말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이동통신 단말은 기본적인 음성 통신 기능에서 더 나아가 최근에는 데이터 통신, 카메라를 이용한 사진이나 동영상 촬영, 음악 또는 동영상 파일 재생, 게임, 방송 시청 등 다양한 기능들을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되고 있다.Tak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n examp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goes beyond basic voice communication functions and, in recent years, enables various functions such as data communication, taking pictures or videos using a camera, playing music or video files, playing games, and watching broadcasts. It is being implemented.
이러한 단말에서 실행될 수 있는 기능의 증대를 위한 기술 개발은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하드웨어 개량 기술은 물론 소프트웨어 개량 기술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다.Technology development for increasing functions that can be executed in such a terminal is continuously being made, and it is continuously being made mainly on hardware improvement technology as well as software improvement technology.
한편, 최근에는 이러한 단말을 이용하여 통신망에 접속한 후 다수의 사용자와 메시지를 송수신함으로써, 대화를 진행할 수 있는 메신저 프로그램의 사용 빈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the frequency of use of a messenger program capable of conducting a conversation has continuously increased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ssages with a plurality of users after accessing a communication network using such a terminal.
이러한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는 문자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문자 메시지를 상대방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상대방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최근에는 캡쳐한 영상, 촬영한 영상, 저장된 영상 등을 이용하는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Through such a messenger program, a user creates a text message and transmits the generated text message to the other terminal to communicate with the other terminal, but recently, a captured image, a photographed image, and a stored image are used. The frequency is increasing.
그리고 메신저 프로그램의 대화창 내에는 상대방과 주고받은 문자 메시지, 영상 등과 같은 대화 내용이 입력된 시간 순서에 따라 섞여 존재하게 된다. 사용자가 대화 내용을 삭제하지 않는 이상, 대화창에서는 상대방과 주고 받은 대화 내용이 그대로 존재한다.In addition, in the chat window of the messenger program, chat contents such as text messages and videos exchanged with the other party are mixed according to the input time sequence. Unless the user deletes the conversation content, the conversation content exchanged with the other party remains in the conversation window.
따라서 사용자가 상대방과 주고 받은 내용 중 특정 내용을 찾고자 하는 경우, 직접 대화창을 스크롤 하면서 해당 내용을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Therefore, when a user wants to find a specific content among the content exchanged with the other party, there is an inconvenience of having to find the content while scrolling the chat window directly.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메신저 프로그램의 대화창에 텍스트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method of providing a text search function to a chat window of a messenger program may be considered.
하지만 텍스트 검색 기능은 대화창의 대화 내용 중 문자 메시지에 대해서만 검색할 수 있을 뿐, 영상에 대한 검색은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로 인해 대화창에서 특정 영상을 찾기 위해서는 일일이 대화창을 스크롤 하면서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여전히 존재한다.However, the text search function has a problem that it can only search text messages among the conversation contents of the chat window, and it cannot search for images. For this reason, in order to find a specific video in the chat window, there is still the hassle of having to scroll through the chat window one by on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메신저 프로그램의 대화창에서의 텍스트 검색을 통하여 원하는 영상을 검색할 수 있는 태그 기반의 영상 검색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ag-based image search method capable of searching for a desired image through text search in a chat window of a messenger program, and an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신저를 통해 대화 수행 시 대화창에 입력되는 영상을 위치 정보와 메타 정보(metadata)를 기반으로 태깅(tagging)하고, 영상에 태깅된 태그(tag)를 기반으로 대화창 내에서 영상 검색을 수행하는 태그 기반의 영상 검색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ag an image input into a chat window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and meta-data when performing a chat through a messenger, and an image within the chat window based on the tag tagged on the image. It is to provide a tag-based image search method for performing a search, and an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a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메신저 프로그램의 대화창에서 텍스트 검색을 통하여 원하는 문자 메시지 뿐만 아니라 영상을 함께 검색할 수 있는 태그 기반의 영상 검색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ag-based image search method, an apparatus and a system for the same, capable of searching not only a desired text message but also an image through text search in a chat window of a messenger program.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출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을 제공한다. 출력부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한 대화 수행 시 입력되는 대화 내용을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출력부와 기능적으로 연결되며, 메신저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실행 중인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대화 수행 중 대화 내용으로 영상이 출력부로 출력되면, 영상의 메타 정보와 영상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영상을 태깅하고, 대화창에 연동된 검색창에 검색어가 입력되면, 대화창에 포함된 영상 중 검색어를 포함하는 태그를 갖는 영상을 추출하여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rminal including an output unit and a control unit. The output unit outputs the contents of the conversation that is input when conducting the conversation through the messenger program.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is functionally connected to the output unit, executes a messenger program, and when an image is output to the output unit as the conversation content while performing a conversation through the running messenger program, the image is displayed based on the meta information of the imag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mage. When tagging is performed and a search word is input to a search box linked to the chat window, an image having a tag including the search word is extracted from the images included in the chat window and outputted through the output unit.
본 발명에 따른 단말에 있어서, 제어부는 단말의 현재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좌표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위치의 장소 명 또는 건물 명을 획득한 후, 획득한 장소 명 또는 건물 명을 해당 영상의 태그로 사용하여 태깅할 수 있다.In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acquires coordinate information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acquires the place name or building name of the current location based on the acquired coordinate information, and then the acquired place name or building name. You can use it as a tag for the video and tag it.
본 발명에 따른 단말에 있어서, 제어부는 대화창에서 영상이 표시된 위치를 중심으로 근방에 위치하는 문자 메시지에 포함된 장소 명, 건물 명 또는 명칭을 추출하고, 추출한 장소 명, 건물 명 또는 명칭을 해당 영상의 태그로 사용하여 태깅할 수 있다.In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extracts the place name, building name, or name included in the text message located near the location where the image is displayed in the chat window, and converts the extracted place name, building name, or name into the corresponding image. You can use it as a tag for tagging.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태깅된 영상, 영상의 메타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함께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tagged image, meta information of the image, and location information togeth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장치와 연동하여 하나 이상의 상대방 단말과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발생되는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a messenger program with one or more counterpart terminals by interworking with a service devic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이때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하여 상대방 단말로부터 영상을 수신하여 대화창에 출력하되,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대방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출력한 영상, 수신한 상대방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 및 출력한 영상의 메타 정보를 함께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receives an image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outputs it to the chat window, but receive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unterpart terminal from the service device and outputs the video,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ed counterpart terminal, and meta information of the output video.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together.
또는 제어부는 통신망을 통하여 상대방 단말로 영상을 전송하여 대화창에 출력하되,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파악한 현재 위치 정보를 영상과 함께 서비스 장치를 통하여 상대방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may transmit an image to the other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output it to a chat window, to determine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transmit the determine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o the other terminal through the service device together with the image.
본 발명은 또한, 서비스 통신부, 서비스 제어부 및 서비스 저장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장치를 제공한다. 서비스 통신부는 하나 이상의 단말과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한다. 서비스 제어부는 서비스 통신부와 기능적으로 연결되며, 서비스 통신부를 통해 메신저 프로그램의 대화창이 실행되고 있는 단말로부터 영상이 수신되면, 영상의 메타 정보와 영상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영상을 태깅하여 저장하고, 대화창에 연동된 검색창에 검색어가 입력되면, 대화창에 포함된 영상 중 검색어를 포함하는 태그를 갖는 영상을 추출하여 단말로 전송한다. 그리고 서비스 저장부는 서비스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태깅된 영상, 영상의 메타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함께 저장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ervice device including a service communication unit, a service control unit, and a service storage unit. The servic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and receives various information through one or more terminals and a messenger program. The service control unit is functionally connected to the service communication unit, and when an image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running the chat window of the messenger program through the service communication unit, the image is tagged and stored based on the meta information of the imag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mage, and the chat window When a search word is input in the search window linked to, an image having a tag including the search word is extracted from the images included in the chat window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In addition, the service storage unit stores the tagged image, meta information of the image, and location information together under the control of the service controller.
본 발명은 또한, 단말과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는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단말은 실행 중인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대화 수행 시 대화창에 대화 내용 중 영상이 출력되면, 영상의 메타 정보와 영상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영상을 태깅하고, 대화창에 연동된 검색창에 검색어가 입력되면, 대화창에 포함된 영상 중 검색어를 포함하는 태그를 갖는 영상을 추출하여 화면에 출력한다. 그리고 서비스 장치는 통신망을 통해 단말과 상대방 단말 간의 대화 수행에 따른 대화 내용의 전달을 중계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ervice system including a terminal and a service device. When performing a conversation through a running messenger program, the terminal tags the video based on the meta information of the video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ideo, and when a search word is input in the search window linked to the chat window, Among the images included in the chat window, an image having a tag including a search word is extract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In addition, the service device relays the delivery of the conversation contents according to the conversa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counterpart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또한, 단말이 실행 중인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대화 수행 시 대화창에 영상이 출력되면, 영상의 메타 정보와 영상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영상을 태깅하는 단계와, 대화창에 연동된 검색창에 검색어가 입력되면, 단말이 대화창에 포함된 영상 중 검색어를 포함하는 태그를 갖는 영상을 추출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그 기반의 영상 검색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tep of tagging an image based on meta information of the image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mage when an image is output in a chat window when performing a chat through a messenger program running on the terminal, and a search word in a search box linked to the chat window. When is input, a tag-based image search method is provided that includes, by the terminal, extracting an image having a tag including a search word from among images included in a chat window and outputting it to a screen.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검색 방법에 있어서, 태깅하는 단계에서, 영상의 태그에 포함되는 위치 정보는 영상을 전송하는 쪽의 현재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기반으로 한 장소 명, 건물 명, 영상이 대화창에 표시된 위치를 중심으로 근방에 위치하는 문자 메시지에 포함된 장소 명, 건물 명 또는 명칭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image search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agging step,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ag of the image is a place name, a building name, and an image based on coordinate information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image transmitting side. It may include a place name, a building name, or a name included in a text message located near the displayed location.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검색 방법에 있어서, 영상은 캡쳐한 영상, 촬영한 영상 또는 단말에 저장된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image search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may include a captured image, a captured image, or an image stored in a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검색 방법에 있어서, 태깅하는 단계는 단말이 영상, 영상의 메타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함께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image search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agging may further include storing, by the terminal, the image, meta information of the image, and lo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검색 방법에 있어서, 저장하는 단계에서, 단말이 태깅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In the image search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oring step, the terminal may store the tagged image.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검색 방법에 있어서, 저장하는 단계는, 단말이 상대방 단말로 전송할 영상을 대화창에 입력하는 단계, 단말이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및 단말이 입력한 영상, 파악한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 및 입력한 영상의 메타 정보를 함께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image search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ing includes: inputting an image to be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to the other terminal into a chat window, the terminal determining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the image input by the terminal, the determined terminal It may include storing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meta information of the input image together.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검색 방법에 있어서, 저장하는 단계는, 단말이 서비스 장치를 통하여 상대방 단말로부터 영상을 수신하여 대화창에 출력하는 단계, 단말이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대방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단말이 출력한 영상, 수신한 상대방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 및 출력한 영상의 메타 정보를 함께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image retrieva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ing includes: receiving, by a terminal, an image from a counterpart terminal through a service device and outputting it to a chat window, receiving, by the terminal,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unterpart terminal from the service device, And storing the image output by the terminal,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ed counterpart terminal, and meta information of the output image together.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검색 방법에 있어서, 저장하는 단계에서, 단말이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대화 수행 시 대화창에 입력되는 문자 메시지와 영상을 포함하는 대화 내용을 저장할 수 있다.In the image retrieva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oring step, the content of a conversation including a text message and an image input to a conversation window when the terminal performs a conversation through a messenger program may be stored.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검색 방법에 있어서, 출력하는 단계에서, 추출된 영상이 복수 개인 경우, 단말이 추출된 영상이 입력된 시간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In the image search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outputting step,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extracted images, the terminal may sequentially output the extracted images to the screen according to the input time sequence.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검색 방법에 있어서, 출력하는 단계에서, 단말이 검색어를 포함하는 영상과 문자 메시지를 추출하여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In the image search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outputting step, the terminal may extract an image and a text message including a search word and output it on a screen.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검색 방법에 있어서, 출력하는 단계에서, 추출된 영상과 문자 메시지가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경우, 단말이 추출된 영상과 문자 메시지를 입력된 시간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In the image search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outputting step, when there are at least one extracted image and text message, the terminal may sequentially output the extracted image and text message to the screen according to the input time sequence. .
그리고 본 발명은 전술된 영상 검색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above-described image retrieval method is recorded.
본 발명에 따르면, 대화창의 대화 내용에 포함된 영상을 위치 정보와 메타 정보를 기반으로 태깅하고, 영상에 태깅된 태그를 기반으로 대화창 내에서 해당 영상에 대한 검색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대화창에서의 텍스트 검색을 통하여 원하는 영상을 쉽게 검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n image included in the chat content of a chat window can be tagge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and meta information, and a search for a corresponding image in the chat window can be performed based on the tag tagged on the image, the user can You can easily search for a desired video through text search in the chat window.
더욱이 영상의 태그에 포함되는 위치 정보는 영상을 전송하는 쪽의 현재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장소 명 또는 건물 명, 대화창에 표시된 영상의 표시 위치를 중심으로 근방에 위치하는 문자 메시지에 포함된 장소 명, 건물 명, 명칭 등을 포함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해당 영상을 연상할 수 있는 위치에 대한 텍스트 입력을 통하여 원하는 영상을 쉽게 검색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video tag is included in the text message located near the center of the place name or building name based on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ideo transmitting party, and the display location of the video displayed in the chat window. Since the location name, building name, name, etc. are included, the user can easily search for a desired image through text input for a location that can be intuitively reminiscent of the corresponding image.
또한 본 발명은 메신저 프로그램의 대화창에서 텍스트 검색을 통하여 원하는 문자 메시지 뿐만 아니라 영상을 함께 검색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a desired text message but also an image can be searched through text search in a chat window of a messenger progra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말의 주요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서비스 장치의 주요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그 기반의 영상 검색 방법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저장 단계의 일 예에 대한 상세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4의 저장 단계의 다른 예에 대한 상세 흐름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태그 기반의 영상 검색 방법에 따른 화면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그 기반의 영상 검색 방법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태그 기반의 영상 검색 방법에 따른 화면 예시도이다.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a messeng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of FIG. 1.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of the service device of FIG. 1.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ag-based image search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etailed flowchart of an example of the storage step of FIG. 4.
6 is a detailed flowchart of another example of the storage step of FIG. 4.
7 to 9 are exemplary screen views according to a tag-based image search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ag-based image search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emplary screen diagram according to a tag-based image search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is is to convey more clearly without obscuring the 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omitting unnecessary description. In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and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other elements,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elements.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portion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throughout the drawings.
아울러, 본 발명의 단말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단말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타블렛 PC(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Player 등의 이동 단말기는 물론, 스마트 TV(Smart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통신망을 통해 다른 사용자와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이라면, 그 어떠한 장치도 본 발명의 단말로 적용 가능하다.In addition,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th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s a smart TV as well as mobile terminals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nd an MP3 player. A fixed terminal such as a (Smart TV) or a desktop computer may be used, and any device can be applied as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it is a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ssages with other users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신저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esseng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a messeng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시스템(100)은 통신망(30)을 매개로 연결된 다수의 단말(10)과 서비스 장치(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다수의 단말(10)은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하나 이상의 상대방 단말과 메시지를 송수신하거나 컨텐츠를 송수신하여 공유할 수 있는 장치로,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장치를 의미한다.The plurality of
여기서, 메신저 프로그램은 서비스 장치(2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것으로,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Instant Messaging Service)를 제공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메신저 프로그램은 서비스 장치(20)로부터 다운로드 되어 단말(10)에 설치될 수 있으며, 단말(10)이 메신저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있지 않더라도, 서비스 장치(20)에 접속하여 클라우드 서비스 방식으로 메신저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도 있다.Here, the messenger program may be provided by the
이러한 단말(10)은 메신저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 화면(예컨대, 초기 화면, 대화창 화면, 검색창 화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메신저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실행되거나 특정 이벤트 발생 시 실행될 수 있다. 예컨대 상대방으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될 때 또는 서비스 장치(20)로부터 특정 정보가 수신될 때 등과 같이 특정 이벤트 발생 시 단말(10)의 메신저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다.The terminal 10 may execute a messenger program and display a messenger program execution screen (eg, an initial screen, a chat window screen, a search window screen, etc.). Here, the messenger program may be executed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or when a specific event occurs. For example, a messenger program of the terminal 10 may be executed when a specific event occurs, such as when a message is received from a counterpart or when specific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10)은 실행 중인 메신저 프로그램의 대화창을 통해 지정된 하나 이상의 상대방 단말과 대화 수행을 위한 대화 내용을 송수신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단말(10a)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이며, 제2 단말(10b)은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제1 단말(10a)의 사용자와 대화 내용을 송수신할 수 있는 상대방의 단말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terminal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ransmits/receives conversation contents for conducting a conversation with one or more designated counterpart terminals through a conversation window of a running messenger program. Her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이러한 단말(10)은 실행 중인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대화 수행 시 대화창에 대화 내용이 출력되면, 해당 대화 내용을 저장한다. 특히 단말(10)은 대화 내용 중 영상이 출력되면, 영상의 메타 정보와 영상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영상을 태깅한다. 단말(10)은 대화창에 연동된 검색창에 검색어가 입력되면, 대화창에 포함된 영상 중 검색어를 포함하는 태그를 갖는 영상을 추출하여 검색창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When the conversation content is displayed in the conversation window when the convers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running messenger program, the terminal 10 stores the conversation content. In particular, when an image is output from the content of the conversation, the terminal 10 tags the image based on meta information of the image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mage. When a search word is input to a search box linked to a chat window, the terminal 10 may extract an image having a tag including the search word from among the images included in the chat window and output it to the search window screen.
또한 단말(10)은 대화창에 연동된 검색창에 검색어가 입력되면, 대화창에 포함된 문자 메시지 및 영상 중 검색어를 포함하는 태그를 갖는 영상과 문자 메시지를 추출하여 검색창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search word is input to a search box linked to a chat window, the terminal 10 may extract an image and a text message having a tag including the search word from among text messages and images included in the chat window and output it to the search window screen.
여기서 대화 내용은 사용자와 상대방 간에 주고 받는 문자 메시지와 영상을 포함하며, 그 외 이모티콘, 플레시콘, 스티커 등과 같은 다양한 아이콘, 음성 메시지 등 다양한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onversation content includes text messages and images exchanged between the user and the other party, and may include various contents such as various icons such as emoticons, flashicons, stickers, and voice messages.
서비스 장치(20)는 통신망(30)을 통해 다수의 단말(10) 간의 대화 수행에 따른 대화 내용의 전달을 중계한다. 이러한 서비스 장치(20)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다수의 단말(10) 사이의 대화 내용의 송수신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컨대, 서비스 장치(20)는 제1 단말(10a)의 사용자에 의해 대화 내용이 입력되면, 메신저 프로그램의 대화창 화면을 통해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제2 단말(10b)로 전송하고, 제2 단말(10b)로부터 대화 내용이 수신되면, 이를 제1 단말(10a)로 전송하는 과정의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The
또한 단말(10)의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송수신되는 대화 내용은 단말(10)에 저장할 수도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서비스 장치(20)가 해당 대화 내용을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장치(2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현재 대화창을 통해 송수신되고 있는 대화 내용을 저장하고, 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단말(10a)과 하나 이상의 제2 단말(10b)이 메신저 프로그램의 대화창을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제1 단말(10a)의 대화창 화면에서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 예컨대, 일 방향으로의 스와이프 동작이 감지되면, 대화창을 통해 송수신된 대화 내용을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언제든지 저장된 대화 내용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content of conversations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messenger program of the terminal 10 may be stored in the terminal 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또한 서비스 장치(20)는 메신저 프로그램의 대화창이 실행되고 있는 단말(10)로부터 영상이 수신되면, 영상의 메타 정보와 영상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영상을 태깅하여 저장할 수 있다. 서비스 장치(20)는 대화창에 연동된 검색창에 검색어가 입력되면, 대화창에 포함된 영상 중 검색어를 포함하는 태그를 갖는 영상을 추출하여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n image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10 on which the chat window of the messenger program is running, the
또한 단말(10)의 사용자는 자신이 상대방과 주고받은 대화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서비스 장치(20)에 접속하여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접속은 단말(10)을 통해 서비스 장치(20)에 별도의 로그인 등의 절차를 거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로그인 등의 절차를 거치지 않더라도 자동적으로 서비스 장치(20)에 연결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의 사용자는 미리 서비스 장치(20)로부터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메신저 프로그램의 특정 실행 화면을 통해 즉시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특정 실행 화면에 표시되는 특정 객체 또는 특정 명령에 대한 선택 입력이 감지될 때 서비스 장치(20)에 바로 접속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user of the terminal 10 may access the
또한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송수신된 대화 내용은 단말(10)과 서비스 장치(20)에 동시에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대화 내용만 서비스 장치(20)에 저장할 수도 있다.In addition, conversation contents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messenger program may be simultaneously stored in the terminal 10 and the
이 외에도, 서비스 장치(20)는 다수의 단말(10)로 메신저 프로그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가입된 사용자들을 사용자 식별자로 구분하고 각각의 가입된 사용자들에 대해 상태, 수신모드, 메시지 수신자 리스트 및 가입자 환경 정보를 관리하고, 인터넷에 접속 중인(On-line) 사용자들 간에 IM 대화 메시지를 전달을 위한 IM 대화 세션, 즉 대화 채널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장치(20)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호 처리 및 MSRP(Message Session Relay Protocol) 릴레이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수의 단말(10), 예컨대 제1 단말(10a) 및 제2 단말(10b) 간에 채팅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In addition, in order to provide a messenger program service to a plurality of
이러한 서비스 장치(20)는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장치의 집합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파일 처리를 위한 파일 서버, 단말(10)로 관련된 정보를 자동적으로 푸쉬(push)할 수 있는 푸쉬 서버 등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이 외에도 서비스 장치(20)는 시스템 설계 방식에 따라 다양한 서버들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서버에 대응하는 기능을 하나의 모듈로써 하나의 서비스 장치(20) 내에 구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o this, the
앞서 설명한 본 실시예에 따른 대화창을 통해 연결된 상태란 다수의 단말(10) 사이에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이동 경로, 즉 세션(session)이 연결된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 단말(10a)이 대화를 진행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제2 단말(10b)을 선택하여 대화창을 생성하는 행위, 제1 단말(10a)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메시지를 하나 이상의 제2 단말(10b)로 전송하는 행위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 될 수 있다.A state connected through a chat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d above refers to a moving path through which messages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a plurality of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단말(10) 및 서비스 장치(20)는 통신망(30)을 통해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한다. 예컨대 통신망(30)으로는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 방식 또는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ial Cable),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통신망(30)으로는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도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형태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10)에 대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2는 도 1의 단말(10)의 주요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The terminal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as follows. Here,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10 of FIG.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10)은 출력부(14) 및 제어부(15)를 포함하며, 통신부(11), 입력부(12) 및 저장부(1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and 2, the terminal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통신부(11)는 통신망(30)을 통하여 서비스 장치(20) 및 하나 이상의 상대방 단말과 관련 정보의 송수신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통신부(11)는 통신망(30)을 통해 서비스 장치(20)와 연동하여 하나 이상의 상대방 단말과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발생되는 정보를 송수신한다.The
예컨대 통신부(11)는 메신저 프로그램의 대화창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메시지를 대화창의 대화 채널을 통해 연결된 상대방 단말로 전송하고, 상대방 단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1)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상대방 단말로부터 영상 또는 문자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상대방 단말로 영상 또는 문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또한 통신부(11)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다양한 요청 정보를 서비스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11)는 서비스 장치(20)로부터 메신저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영상은 캡쳐한 영상, 촬영한 영상 또는 단말(10)에 저장된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영상은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일 수 있다.Here, the image may include a captured image, a captured image, or an image stored in the terminal 10. Of course, the image may be a moving image or a still image.
입력부(12)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 각종 기능 설정 및 단말(1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15)로 전달한다. 입력부(12)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로부터의 메시지 입력을 지원한다. 입력부(12)는 메신저 프로그램의 대화창에서 영상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의 기 설정된 동작(터치, 드래그, 스와이프 등)의 입력을 지원한다. 입력부(12)는 메신저 프로그램의 검색창에서 텍스트 형태의 검색어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의 기 설정된 동작의 입력을 지원한다.The
여기서 사용자의 기 설정된 동작은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즉 입력부(12)가 출력부(14)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패널에서의 사용자의 터치 및 특정 방향으로의 드래그 또는 스와이프 동작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Here, the user's preset operation may be input by at least one of a keypad and a touch pad that generate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touch or manipulation. That is, when the
또한 입력부(12)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키패드의 화살표 등의 입력을 감지할 수도 있다. 또는 입력부(12)는 사용자의 음성, 예컨대 "왼쪽 드래그", "오른쪽 드래그" 등과 같은 음성의 입력을 지원할 수 있다. 또는 입력부(12)가 제스처 입력 수단을 포함하고 있을 경우, 입력부(12)는 사용자의 기 설정된 제스처를 감지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이러한 입력부(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키보드나 키패드와 같은 키 입력 수단, 터치센서나 터치패드와 같은 터치 입력 수단, 음성 입력 수단,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근접 센서 및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스처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이 외에도 입력부(12)는 현재 개발 중이거나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is, the
저장부(13)는 단말(1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그 응용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3)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으며,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하나 이상의 상대방 단말과 송수신된 대화 내용을 저장할 수 있다.The
이러한 저장부(13)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단말(10)을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와 같은 단말(10) 구동을 위한 관련된 정보들을 저장한다. 데이터 영역은 단말(10)의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예컨대 저장부(13)는 대화 내용 중 영상을 저장할 때, 해당 영상, 해당 영상의 메타 정보 및 해당 영상의 위치 정보를 함께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3)는 제어부(15)의 제어에 따라 해당 영상에 태깅된 태그를 저장한다.The
저장부(13)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multimedia card micro) 타입의 메모리(예컨대,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롬(ROM) 등의 저장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한편 저장부(13)가 메신저 프로그램, 또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송수신된 대화 내용을 저장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대화 내용은 클라우드 서비스 방식에 따라 서비스 장치(20)와 연동하여 서비스 장치(20)에 저장될 수 있다.Meanwhile, an example in which the
출력부(14)는 단말(10)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 상태 및 동작 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출력부(14)는 표시 모듈(미도시) 및 음원출력모듈(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이 중에서 표시 모듈(미도시)은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예컨대, 제어부(15)의 제어 하에 대화창에 대화 내용과, 대화창에 연동된 검색창에 입력된 검색어에 따른 검색 결과를 출력하여 표시할 수 있다.Among them, the display module (not shown) plays a role of displaying various information generated during execution of the messenger program. For example, the content of the conversation in the conversation window under the control of the
이러한 표시 모듈(미도시)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부(12)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입력부(12)와 함께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의 기 설정된 동작, 드래그 앤 드롭 동작, 스크롤 등에 따라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다.Such a display module (not show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ingle touch panel (or touch screen) together with the
예컨대 표시 모듈(미도시)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 LCD),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LED),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또는 3차원 디스플레이(3 Dimensio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display modules (not shown) include LCD (Liquid Crystal Display), TFT-LCD (Thin Film Transistor LCD),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Light Emitting Diodes (LED), 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ED), and Flexible Display ( Flexible display) or 3D display
음원출력모듈(미도시)은 전기적인 신호인 음원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제어부(15)의 제어에 따라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sound source output module (not shown) serves to convert a sound source, which is an electrical signal, into an analog signal, and outputs a voice message under the control of the
제어부(15)는 단말(1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 예컨대,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가 될 수 있다. The
제어부(15)는 각 구성 요소와 기능적으로 연결된다. 즉 제어부(15)는 통신부(11), 입력부(12), 저장부(13) 및 출력부(14)와 기능적으로 연결되며, 각 구성 요소에 전원 공급 및 기능 수행을 위한 신호의 흐름을 제어한다.The
제어부(15)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발생되는 다양한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제어부(15)는 사용자의 요청 또는 기 설정된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면, 메신저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며,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 화면이 출력부(14)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또한 제어부(15)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특정 상대방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대방과의 대화 내용의 송수신을 위한 전반적인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제어부(15)는 메신저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각종 기능 수행을 위한 다양한 동작들을 지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특히 제어부(15)는 메신저 프로그램의 대화창을 통하여 상대방과 주고받는 대화 내용을 저장부(13)에 저장하게 되는데, 대화 내용 중 영상은 태깅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는 실행 중인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대화 수행 중 대화 내용으로 영상이 출력부(14)로 출력되면, 영상의 메타 정보와 영상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영상을 태깅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이때 영상에 부여되는 태그는 사용자가 대화창에 존재하는 영상들 중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영상을 텍스트와 같은 검색어 입력을 통하여 직관적으로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부여한 명칭을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tag assigned to the image includes a name given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and easily find the image to be searched among the images existing in the chat window through input of a search word such as text.
영상의 태그에 장소 명, 건물 명 또는 명칭과 같은 위치 정보를 포함시킨 이유는, 사용자가 쉽게 해당 영상을 찾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검색창을 통하여 검색을 수행하는 경우, 검색창의 검색란에 텍스트 형태의 검색어를 입력하여 검색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검색어는 찾고자 하는 영상을 쉽게 연상할 수 있는 단어, 예컨대 장소 명, 건물 명, 명칭 등이 주로 사용되기 때문이다.The reason why location information such as place name, building name, or name is included in the tag of the video is to allow the user to easily find the video. When a search is performed through a search window, a textual search word is entered in the search box of the search window to perform a search. This is because, as the search word that the user can input, words that can be easily reminiscent of the image to be searched, such as a place name, a building name, and a name, are mainly used.
예컨대 영상의 메타 정보는 영상에 대한 부가정보이다. 예컨대 영상이 디지털 카메라로 찍은 사진인 경우, 디지털 카메라 자체의 정보, 촬영 당시의 시간, 노출, 플래시 사용 여부, 해상도, 사진 크기, 사진에 부여된 명칭(이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그 외 GPS 기능을 사용하여 획득한 촬영 당시의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meta information of the video is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video. For example, if the image is a picture taken with a digital camera, it includes information on the digital camera itself, time at the time of shooting, exposure, whether flash is used, resolution, photo size, name (name) given to the photo, etc. It may further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at the time of shooting acquired using the GPS function.
따라서 제어부(15)는 영상의 메타 정보를 태그로 사용하여 해당 영상을 태깅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영상의 태그에 포함되는 위치 정보는 영상을 전송하는 쪽의 현재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기반으로 한 장소 명 또는 건물 명, 영상이 대화창에 표시된 위치를 중심으로 근방에 위치하는 문자 메시지에 포함된 장소 명 또는 건물 명을 포함할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video tag is the name of the place or building based on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current location of the person transmitting the video, and the location included in the text message located near the location where the video is displayed in the chat window. It can include people or building names.
따라서 단말(10)에 구비된 통신부(11) 또는 GPS 모듈(도시안됨)을 통하여, 제어부(15)는 단말(1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5)는 획득한 좌표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위치의 장소 명 또는 건물 명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5)는 획득한 장소 명 또는 건물 명을 해당 영상의 태그로 사용할 수 있다.Therefore, through the
또는 대화창을 통하여 대화를 수행하면서 영상을 입력하게 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자 또는 상대방은 영상을 입력 하기 전 또는 후에 해당 영상에 대한 설명을 문자 메시지로 입력한다.Alternatively, when an image is input while performing a conversation through a chat window, in general, the user or the other party inputs a description of the image as a text message before or after inputting the image.
따라서 제어부(15)는 대화창에서 영상이 표시된 위치를 중심으로 근방에 위치하는 문자 메시지에 포함된 장소 명, 건물 명, 명칭 등을 태그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명칭은 특정 객체의 명칭, 사람의 이름 등이 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그리고 제어부(15)는 대화창에 연동된 검색창에 검색어가 입력되면, 대화창에 포함된 영상 중 검색어를 포함하는 태그를 갖는 영상을 추출하여 출력부(14)를 통해 출력한다. 물론 제어부(15)는 추출된 영상을 검색창에 출력한다.In addition, when a search word is input to a search box linked to the chat window, the
이때 대화창에 영상은 사용자가 입력할 수도 있고, 상대방이 입력할 수 있다. 먼저 통신부(11)를 통하여 상대방 단말로부터 영상을 수신하여 대화창에 출력하는 경우, 제어부(15)는 서비스 장치(20)로부터 상대방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제어부(15)는 출력한 영상, 수신한 상대방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 및 출력한 영상의 메타 정보를 함께 저장부(13)에 저장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ser may input the image to the chat window, or the other party may input the image. First, when receiving an image from a counterpart terminal through the
통신부(11)를 통하여 상대방 단말로 영상을 전송하여 대화창에 출력하는 경우, 제어부(15)는 단말(1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파악한다. 그리고 제어부(15)는 출력한 영상, 파악한 단말(10)의 현재 위치 정보 및 출력한 영상의 메타 정보를 함께 저장부(13)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는 파악한 단말(1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영상과 함께 서비스 장치(20)를 통하여 상대방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When an image is transmitted to a counterpart terminal through the
추출된 영상이 복수 개인 경우, 제어부(15)는 추출된 영상이 입력된 시간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검색창에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5)는 추출한 영상의 개수와 같은 검색 결과를 검색창에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5)는 “검색어에 대한 **건 검색”의 형태로 검색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extracted images, the
또한 제어부(15)는 검색창에서 검색된 영상뿐만 아니라, 검색어를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를 추출하여 검색창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추출된 영상과 문자 메시지가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경우, 제어부(15)는 추출된 영상과 문자 메시지를 입력된 시간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검색창에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5)는 추출한 영상과 문자 메시지의 개수와 같은 검색 결과를 검색창에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제어부(15)는 검색창에서 검색 메뉴 선택을 통해서 검색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입력부(12)를 통하여 검색 범위를 문자 메시지, 영상 중에서 선택하면, 제어부(15)는 선택된 검색 범위에서 대화창을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검색창에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와 같은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부(15)는 메신저 제어 모듈(16)과 영상 태깅 모듈(17)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메신저 제어 모듈(16)은 메신저 실행, 대화창 생성, 검색창 생성, 검색된 영상 또는 문자 메시지의 출력 등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 전반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 태깅 모듈(17)은 대화창에 표시되는 영상의 태깅 과정을 제어하며, 태깅된 영상을 위치 정보 및 메타 정보와 함께 저장부(13)에 저장하는 과정 전반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order to control the above operation,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20)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3은 도 1의 서비스 장치(20)의 주요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The
도 1 및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서비스 장치(20)는 서비스 통신부(21), 서비스 제어부(25) 및 서비스 저장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and 3, the
서비스 통신부(21)는 하나 이상의 단말(10)과 메신저 프로그램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서비스 통신부(21)는 어느 하나의 단말(10)과 연결된 다른 단말(10) 사이에 송수신되는 대화 내용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통신부(21)는 어느 하나의 단말(10)로부터 다양한 정보에 대한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해당 단말(10)로 제공할 수도 있다.The
서비스 제어부(25)는 서비스 장치(2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서비스 제어부(25)는 메신저 프로그램과 관련된 다양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예컨대, 서비스 제어부(25)는 다수의 단말(10)로 메신저 프로그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가입된 사용자들을 사용자 식별자로 구분하고 각각의 가입된 사용자들에 대해 상태, 수신모드, 메시지 수신자 리스트 및 가입자 환경 정보를 관리하고, 인터넷에 접속 중인(On-line) 사용자들 간에 IM 대화 메시지를 전달을 위한 IM 대화 세션, 즉 대화 채널을 관리하게 된다.For example, in order to provide a messenger program service to a plurality of
또한 서비스 제어부(25)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호 처리 및 MSRP(Message Session Relay Protocol) 릴레이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수의 단말(10), 예컨대 제1 단말(10a) 및 제2 단말(10b) 간에 메시지 또는 컨텐츠 송수신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10)이 대화창에 출력되는 영상에 대한 태깅을 수행하여 저장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서비스 장치(20)가 직접 대화 내용에 포함된 영상에 대한 태깅을 수행한 후 저장할 수 있다. 단말(10)의 대화창에 따른 검색창을 통하여 영상 검색을 요청하는 경우, 서비스 장치(20)가 영상에 부여된 태그를 기반으로 한 텍스트 검색을 통하여 해당 영상을 추출하여 단말(10)의 검색창에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an example in which the terminal 10 performs tagging and stores an image output on a chat window has been disclo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즉 서비스 제어부(25)는 메신저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는 어느 하나의 단말(10), 예컨대 제1 단말(10a)로부터 어느 하나의 상대방 단말, 예컨대 제2 단말(10b)로 전송되는 영상이 수신되면, 영상의 메타 정보와 영상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영상을 태깅할 수 있다. 단말(10)의 대화창에 연동된 검색창에 검색어가 입력되면, 서비스 제어부(25)는 대화창에 포함된 문자 메시지 또는 영상 중 검색어를 포함하는 태그를 갖는 문자 메시지 또는 영상을 추출하여 단말(10)에 제공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또한 제1 단말(10a)로부터 제2 단말(10b)로 전송되는 영상이 수신되는 경우, 서비스 제어부(25)는 제2 단말(10b)로 해당 영상을 전송할 때 제1 단말(10a)의 현재 위치 정보를 파악한 후, 파악한 현재 위치 정보와 해당 영상을 함께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n image transmitted from the
한편 서비스 제어부(25)에서 태깅은 단말(10)의 태깅과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태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Meanwhile, since the tagging in the
이와 같이 서비스 제어부(25)는 메신저 서비스, 영상 태깅 및 태그를 기반으로 한 검색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 단말(10)의 제어부와 유사하게 메신저 제어 모듈(26) 및 영상 태깅 모듈(27)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메신저 제어 모듈(26)은 다수의 단말(10) 사이의 메신저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 태깅 모듈(27)은 대화창에 표시되는 영상의 태깅 과정을 제어하며, 태깅된 영상을 위치 정보 및 메타 정보와 함께 서비스 저장부(23)에 저장하는 과정 전반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서비스 저장부(23)는 서비스 제어부(25)의 제어에 따라 메신저 프로그램 이용 중에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즉 서비스 저장부(23)는 복수의 단말(10) 간에 주고 받은 대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서비스 저장부(23)는 태깅된 영상, 영상의 메타 정보 및 영상의 위치 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저장부(23)는 단말(10)의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대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이러한 서비스 저장부(23)는 메신저 시스템(100) 내의 하나의 저장소일 수 있고, 메신저 시스템(100) 외부에 위치하여 서비스 장치(20)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별도의 데이터 저장 장치일 수도 있다.The
그리고 서비스 장치(20)는 서버 기반 컴퓨팅 방식 또는 클라우드 방식으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메신저 시스템(100)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는 인터넷 상의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에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기능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 컴퓨팅은 데스크톱,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넷북 및 스마트폰 등의 디지털 단말기에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가상화된 IT(Information Technology) 자원, 예를 들어, 하드웨어(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소프트웨어(데이터베이스, 보안, 웹 서버 등), 서비스, 데이터 등을 온 디맨드(On demand) 방식으로 서비스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수의 단말(10)과 서비스 장치(20) 사이에 송수신되는 모든 정보는 인터넷 상의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에 저장되고, 언제 어디서든 전송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단말(10) 또는 서비스 장치(20)에 탑재되는 메모리는 그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일 구현 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일 수도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저장장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다양한 서로 다른 구현 예에서, 저장장치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 광학디스크 장치, 혹은 어떤 다른 대용량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Meanwhile, a memory mounted on the terminal 10 or the
비록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는 예시적인 장치 구성을 기술하고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다른 유형의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describe exemplary device configurations, the functional operations and implementations of the subject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implemented with other types of digital electronic circuits, or the structures disclosed herein and structural equivalents thereof. It may be implemented with computer software, firmware, or hardware, or may be implemented by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m. Implementations of the subject matter described herein are one or more computer program products, that is, one relating to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encoded on a tangible program storage medium for execution by o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t can be implemented as the above module.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be a machine-readable storage device, a machine-readable storage substrate, a memory device, a composition of materials that affect a machine-readable radio wave signal,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m.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100)에서의 태그 기반의 영상 검색 방법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그 기반의 영상 검색 방법에 따른 흐름도이다.A tag-based image search method in the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S51단계에서 단말(10)은 메신저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화면에 대화창을 출력한다. 즉 단말(10)은 메신저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실행 화면에 대화 상대 목록을 출력한다. 대화 상대 목록 중 사용자의 선택 신호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대화 상대가 선택되면, 단말(10)은 화면에 대화창을 출력한다. 이때 대화창의 호출은 입력부를 통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가능하다.1 to 4, first in step S51, the terminal 10 executes a messenger program and outputs a chat window on the screen. That is, the terminal 10 executes a messenger program and outputs a contact list on the execution screen. When at least one conversation partner is selected from the conversation partner list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signal, the terminal 10 outputs a conversation window on the screen. At this time, the conversation window can be called in various ways through the input unit.
다음으로 S53단계에서 단말(10)은 대화창을 통하여 입력되는 대화 내용을 출력하면서 대화를 수행한다. 즉 다수의 단말(10)을 통하여 대화창에 참여한 사람들은 대화창을 통하여 대화 내용을 입력하면서 상대방과 대화를 수행한다. 다수의 단말(10) 간의 대화 내용을 중계는 서비스 장치(20)가 수행한다.Next, in step S53, the terminal 10 performs a conversation while outputting the conversation content input through the conversation window. That is, people who participate in the chat window through the plurality of
다음으로 S55단계에서 단말(10)은 대화 수행 중 대화창에 영상이 출력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단말(10)은 대화 내용으로 영상이 대화창에 출력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물론 영상은 제1 단말(10a)이 제공할 수도 있고, 제2 단말(10a)이 제공할 수도 있다.Next, in step S55, the terminal 10 determines whether or not an image is displayed on the chat window while the chat is being performed. That is, the terminal 10 determines whether or not an image is output on the chat window as the chat content. Of course, the image may be provided by the
S55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영상이 출력되지 않은 경우, 단말(10)은 S53단계에 따른 대화 수행 상태를 유지한다.If the image is not outpu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55, the terminal 10 maintains the conversation execution state according to step S53.
반면에 S55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영상이 출력된 경우, S57단계에서 단말(10)은 출력된 영상, 영상의 메타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함께 저장한다.On the other hand, when an image is outpu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55, the terminal 10 stores the output image, meta information of the image, and location information together in step S57.
이때 S57단계에 따른 저장은 영상이 사용자 단말인 제1 단말(10a)에서 입력되었느냐, 상대방 단말인 제2 단말(10b)에서 입력되었느냐에 따라서 도 5 및 도 4의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도 5는 도 4의 저장 단계의 일 예에 대한 상세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4의 저장 단계의 다른 예에 대한 상세 흐름도이다.In this case, the storage according to step S57 may be performed in the manner of FIGS. 5 and 4 depending on whether the image is input from the
먼저 도 5는 제1 단말(10a)에서 대화창으로 영상이 입력된 경우이다.First, FIG. 5 is a case in which an image is input to a chat window from the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S571단계에서 제1 단말(10a)은 제2 단말(10b)로 전송할 영상을 대화창에 입력한다.Referring to FIG. 5, first, in step S571, the
이어서 S573단계에서 제1 단말(10a)은 자신의 현재 위치를 파악한다. 즉 단말(10)은 통신부 또는 GPS 모듈(도시안됨)을 통하여, 단말(1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10)은 획득한 좌표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위치의 장소 명 또는 건물 명을 획득할 수 있다. 단말(10)은 획득한 장소 명 또는 건물 명을 해당 영상의 태그로 사용할 수 있다.Subsequently, in step S573, the
그리고 S575단계에서 제1 단말(10a)은 입력한 영상, 파악한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 및 입력한 영상의 메타 정보를 함께 저장한다.Further, in step S575, the
도 6은 제2 단말(10b)에서 대화창으로 영상이 입력된 경우이다.6 is a case in which an image is input to a chat window from the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S572단계에서 제1 단말(10a)은 서비스 장치(20)를 통하여 제2 단말(10b)로부터 영상을 수신하여 대화창에 출력한다. 즉 제2 단말(10b)이 제1 단말(10a)로 전송할 영상을 대화창에 입력하면, 서비스 장치(20)는 해당 영상을 수신하여 제1 단말(10a)로 전송한다. 제1 단말(10a)은 수신한 영상을 대화창에 출력한다.1 and 6, first, in step S572, the
이때 제1 단말(10a)이 수신한 영상에는 해당 영상의 메타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image received by the
이어서 S574단계에서 제1 단말(10a)은 서비스 장치(20)로부터 제2 단말(10b)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예컨대 서비스 장치(20)는 제2 단말(10b)로부터 제2 단말(10b)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제1 단말(10a)로 전달할 수 있다.Subsequently, in step S574, the
그리고 S576단계에서 제1 단말(10a)은 대화창에 출력한 영상, 수신한 제2 단말(10b)의 현재 위치 정보 및 출력한 영상의 메타 정보를 함께 저장한다.In step S576, the
다음으로 S59단계에서 단말(10)은 영상의 메타 정보와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영상을 태깅한다. 이때 태깅은 해당 영상의 내용을 대표할 수 있는 검색용 꼬리표인 키워드 또는 태그를 다는 것으로, 사용자가 영상을 쉽게 찾을 수 있는 텍스트 형태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되었다. 영상의 위치 정보는 영상을 전송하는 쪽의 현재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기반으로 한 장소 명 또는 건물 명, 영상이 대화창에 표시된 위치를 중심으로 근방에 위치하는 문자 메시지에 포함된 장소 명, 건물 명 또는 명칭을 포함할 수 있다.Next, in step S59, the terminal 10 tags an image based on meta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mage. In this case, tagging is to attach a keyword or tag, which is a tag for search that can represent the content of the video, and was used to provide information in the form of text that enables users to easily find the vide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ideo includes the name of the place or building based on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current location of the person transmitting the video, the name of the place included in the text message located near the location where the video is displayed in the chat window, and the name of the building. Or it can include a name.
예컨대 단말(10)은 단말(1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좌표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위치의 장소 명 또는 건물 명을 획득한다. 그리고 단말(10)는 획득한 장소 명 또는 건물 명을 해당 영상의 태그로 사용하여 태깅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terminal 10 acquires coordinate information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10, and acquires a place name or a building name of the current location based on the acquired coordinate information. In addition, the terminal 10 may tag the acquired place name or building name as a tag of the corresponding image.
또는 단말(10)은 대화창에서 영상이 표시된 위치를 중심으로 근방에 위치하는 문자 메시지에 포함된 장소 명, 건물 명 또는 명칭을 추출한다. 그리고 단말(10)은 추출한 장소 명, 건물 명 또는 명칭을 해당 영상의 태그로 사용하여 태깅할 수 있다. 이때 영상이 표시된 위치를 중심으로 근방에 위치하는 문자 메시지는 영상이 표시된 위치를 기준으로 상하로 1 내지 5개의 문자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lternatively, the terminal 10 extracts a place name, a building name, or a name included in a text message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location where the image is displayed in the chat window. In addition, the terminal 10 may tag the extracted place name, building name, or name as a tag of the corresponding image. In this case, the text message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position where the image is displayed may include 1 to 5 text messages vertically based on the position where the image is display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물론 S59단계에서 단말(10)은 태깅된 영상을 저장한다.Of course, in step S59, the terminal 10 stores the tagged image.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서는, 단말(10)이 저장 후에 태깅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단말(10)이 태깅을 완료한 이후에 태깅된 영상, 영상의 메타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도 있다.Meanwhile, in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 example in which the terminal 10 is tagged after storage has been disclo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fter the terminal 10 completes the tagging, the tagged image, meta information of the image, and location information may be stored together.
다음으로 S61단계에서 단말(10)은 대화창에 연동된 검색창이 출력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사용자는 대화창에서 대화 내용을 검색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의 선택 신호에 따라 단말(10)은 대화창에 연동된 검색창을 호출하여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검색창의 호출은 입력부를 통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가능하다.Next, in step S61, the terminal 1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earch window linked to the chat window is output. That is, when the user wants to search for conversation contents in the conversation window,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signal, the terminal 10 may call a search window linked to the conversation window and output it on the screen. The search window can be called in various ways through the input unit.
S61단계의 판단 결과 검색창이 출력되지 않은 경우, 단말(10)은 S53단계에 따른 대화 수행 상태를 유지한다.If the search window is not display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61, the terminal 10 maintains the conversation execution state according to step S53.
반면에 S61단계의 판단 결과 검색창이 출력된 경우, S63단계에서 단말(10)은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입력받는다. 이때 검색어는 텍스트 형태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arch window is outpu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61, the terminal 10 receives a search word from the user in step S63. In this case, the search word may be in the form of text.
그리고 검색어가 입력된 후 검색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S65단계에서 단말(10)은 검색어를 포함하는 태그를 갖는 영상을 추출하여 화면에 출력한다. 즉 단말(10)은 저장된 대화 내용 중에서 검색어를 포함하는 태그를 갖는 영상을 추출하고, 추출한 영상을 검색창에 출력한다. 추출된 영상이 복수 개인 경우, 단말(10)은 추출된 영상이 입력된 시간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검색창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대화 내용은 단말(10) 또는 서비스 장치(2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search request signal is input after the search word is input, the terminal 10 extracts an image having a tag including the search word and outputs it on the screen in step S65. That is, the terminal 10 extracts an image having a tag including a search word from the stored conversation contents, and outputs the extracted image to the search window.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extracted images, the terminal 10 may sequentially output the extracted images to the search window according to the input time sequence. At this time, the conversation content may be stored in the terminal 10 or the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태그 기반의 영상 검색 방법에 대해서 도 7 내지 도 9의 화면 예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태그 기반의 영상 검색 방법에 따른 화면 예시도이다.The tag-based image search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exemplary screens of FIGS. 7 to 9. 7 to 9 are exemplary screen views according to a tag-based image search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사용자 단말, 즉 제1 단말에서의 메신저 프로그램의 대화창(70)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7 shows an example of a
대화창(70)은 상단(71), 중단(73) 및 하단(7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단(71)에는 대화창(70)을 통해 연결된 상대방 단말, 즉 제2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The
중단(73)에는 대화창(70)을 통하여 서비스 장치의 제어 하에 제1 및 제2 단말 간에 주고 받는 다양한 형태의 대화 내용이 표시될 수 있다.In the
그리고 하단(75)에는 제2 단말과 다양한 정보, 예컨대 사진, 음악 등의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컨텐츠 공유 화면 표시 메뉴(72), 제2 단말로 이모티콘, 스티커 등을 전송하기 위한 메뉴(74), 메시지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란(76) 및 전송 버튼(79) 등이 표시될 수 있다.And at the bottom 75, a content sharing
제1 단말의 사용자는 대화창(70)의 하단(75)에 마련된 다양한 메뉴를 통하여 입력란(76)에 문자 메시지, 영상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제1 단말의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은 중단(73)의 오른쪽에 표시되고, 제2 단말의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은 중단(73)의 왼쪽에 표시될 수 있다.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may input a text message, an image, etc. into the
이와 같이 단말 사용자는 대화창(70)을 통하여 다양한 형태의 대화 내용을 주고 받을 수 있다.In this way, the terminal user can exchange various types of conversation contents through the
이때 전술된 바와 같이, 대화 내용 중 영상이 입력되면, 제1 단말은 해당 영상을 태깅하여 저장한다. 예컨대 제1 단말 사용자는 “A박물관”에서 사진을 촬영하여 대화창(70)에 입력한 예를 개시하였다. 이때 제1 단말은 “A박물관” 사진을 촬영한 좌표 정보를 GPS 모듈을 통하여 획득한 후, 획득한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A박물관”이라는 장소 명을 획득할 수 있다. 제1 단말은 “A박물관”의 장소 명을 포함시켜 “A박물관”의 사진을 태깅할 수 있다. 물론 제1 단말은 태깅된 “A박물관”의 사진, 사진의 메타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when an image is input among the conversation contents, the first terminal tags and stores the image. For example, the first terminal user disclosed an example of taking a picture at "Museum A" and inputting it into the
또는 제1 단말(10)은 대화창에서 “A박물관”의 사진이 표시된 위치를 중심으로 근방에 위치하는 문자 메시지에 포함된 “A박물관”이라는 장소 명을 추출한다. 그리고 제1 단말은 추출한 “A박물관”의 장소 명을 해당 영상의 태그로 사용하여 태깅할 수 있다. 물론 제1 단말은 태깅된 “A박물관”의 사진을 저장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한편 사용자는 대화창(70)의 내용 중 검색하고자 하는 사항이 있는 경우, 해당 대화창(70)이 화면에 출력된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창(80)을 호출하여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검색창(80)에는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검색란(81)을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a matter to be searched among the contents of the
예컨대 사용자가 검색란(81)에 “A박물관”이라는 텍스트 형태의 검색어를 입력하여 제1 단말에 검색을 수행시키면, 제1 단말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A박물관”에 대한 태그를 갖고 있는 “A박물관”의 사진을 해당 대화창(70)의 대화 내용에서 추출하여 검색창(80)의 검색 출력창(85)에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user enters a search word in the form of text “Museum A” in the
그리고 검색창(80)에는 검색란(81)과 검색 출력창(85) 사이에 검색 건수에 대한 정보를 요약 정보란(83)에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A박물관”에 대한 추출한 영상이 1개인 경우, 제1 단말은 요약 정보란(83)에 “A박물관에 대한 1건 검색”이라고 표시할 수 있다.In the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그 기반의 영상 검색 방법에서는 태그 기반으로 영상만을 검색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은 검색어 매칭되는 영상과 함께 문자 메시지도 검색하여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tag-based image search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 example of searching only an image based on a tag has been disclos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the terminal may search and provide a text message along with an image matching a search word.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그 기반의 영상 검색 방법에 따른 흐름도이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ag-based image search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그 기반의 영상 검색 방법은 S51단계 내지 S63단계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그 기반의 영상 검색 방법과 동일하게 진행된다.1 and 10, in the tag-based image search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ps S51 to S63 are the same as the tag-based image search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4. Proceeds.
따라서 S63단계 이후에 진행되는 S67단계에서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다.Therefore, it will be described in step S67 after step S63.
즉 검색어가 입력된 후 검색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S67단계에서 단말(10)은 검색어를 포함하는 태그를 갖는 영상과 문자 메시지를 추출하여 화면에 출력한다. 즉 단말(10)은 저장된 대화 내용 중에서 검색어를 포함하는 태그를 갖는 영상과 문자 메시지를 추출하고, 추출한 영상과 문자 메시지를 검색창에 출력한다.That is, when a search request signal is input after a search word is input, in step S67, the terminal 10 extracts an image and a text message having a tag including the search word and outputs it on the screen. That is, the terminal 10 extracts an image and a text message having a tag including a search word from the stored conversation contents, and outputs the extracted image and text message to the search window.
이때 추출된 영상과 문자 메시지가 있는 경우, 단말(10)은 추출된 영상이 입력된 시간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검색창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대화 내용은 단말(10) 또는 서비스 장치(2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re are the extracted images and text messages, the terminal 10 may sequentially output the extracted images to the search window according to the input time sequence. At this time, the conversation content may be stored in the terminal 10 or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그 기반의 영상 검색 방법에 대해서 도 7, 도 8 및 도 11의 화면 예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태그 기반의 영상 검색 방법에 따른 화면 예시도이다.A tag-based image search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screens of FIGS. 7, 8 and 11 as follows. Here, FIG. 11 is an exemplary screen diagram according to a tag-based image search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대화창에 대화 내용을 입력하고, 검색창에 검색어를 입력하는 과정은 도 7 및 도 8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process of inputting the content of the conversation in the chat window and the search word in the search box may b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FIGS. 7 and 8,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음으로 사용자가 검색란(81)에 “A박물관”이라고 입력하여 제1 단말에 검색을 수행시키면, 제1 단말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박물관”에 대한 태그를 갖고 있는 “A박물관”의 사진과, “A박물관”이라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자 메시지를 해당 대화창(70)의 대화 내용에서 추출하여 검색 출력창(85)에 표시할 수 있다.Next, when the user enters “Museum A” in the
그리고 검색창(80)에는 검색란(81)과 검색 출력창(85) 사이에 검색 건수에 대한 정보를 요약 정보란(83)에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A박물관”에 대한 추출한 영상 및 문자 메시지의 건 수가 3개인 경우, 제1 단말은 요약 정보란(83)에 “A박물관에 대한 3건 검색”이라고 표시할 수 있다.In the
한편 본 화면 예시도에서는 검색 건 수 전체를 일괄적으로 요약하여 표시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영상과 문자 메시지의 검색 건 수를 구분하여 요약 정보란(83)에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A박물관”에 대한 추출한 영상 및 문자 메시지의 건 수가 3개인 경우, 제1 단말은 요약 정보란(83)에 “A박물관에 대한 사진 1건, 문자 메시지 2건 검색”이라고 표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example of this screen shows an example of collectively summarizing and displaying the total number of search cases, the number of search cases for video and text messages may be classified and displayed in th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태그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검색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때,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image search method based on the tag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computer-readable medium suitable for storing computer program commands and data. In this case, a computer-readable medium suitable for storing computer program commands and data is, for example, a recording medium such as a hard disk, a floppy disk, and a magnetic medium such as a magnetic tape, a CD-ROM (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 Optical Media such as DVD (Digital Video Disk), Magnetic-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 and ROM (Read Only Memory), RAM (RAM) , Random Access Memory), flash memory, EP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and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The processor and memory can be supplemented by special purpose logic circuitry or incorporated into it. Examples of the program instructions may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Such a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merely presented specific examples to aid understanding,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본 발명에 따른 태그 기반의 영상 검색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은 대화창에 입력되는 영상에 메타 정보와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태깅하고, 메신저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텍스트 검색 기능을 통하여 영상에 부여된 태그에 대해서 텍스트 검색을 수행함으로써, 대화창에 존재하는 대화 내용에서 문자 메시지 뿐만 아니라 영상을 검색하여 제공할 수 있다.A tag-based image search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pparatus and a system for the same, tag an image input into a chat window based on meta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and a tag assigned to an image through a text search function provided by a messenger program. By performing a text search on the chat window, not only text messages but also images can be searched and provided in the chat contents existing in the chat window.
따라서 사용자는 메신저 서비스가 제공하는 대화창의 텍스트 검색 기능을 통하여 해당 대화창에 포함된 영상도 쉽게 검색할 수 있기 때문에, 대화창에서 특정 영상을 찾기 위해서 일일이 대화창을 스크롤 하면서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user can easily search the video included in the chat window through the text search function of the chat window provided by the messenger service,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hassle of having to scroll through the chat window one by one to find a specific video in the chat window. .
10: 단말 11: 통신부 12: 입력부
13: 저장부 14: 출력부 15: 저장부
16: 메신저 제어 모듈 17: 영상 태깅 모듈 20: 서비스 장치
21: 서비스 통신부 23: 서비스 저장부 25: 서비스 제어부
30: 통신망 100: 메신저 시스템10: terminal 11: communication unit 12: input unit
13: storage unit 14: output unit 15: storage unit
16: messenger control module 17: video tagging module 20: service device
21: service communication unit 23: service storage unit 25: service control unit
30: communication network 100: messenger system
Claims (20)
상기 출력부와 기능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실행 중인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영상이 대화 내용으로서 상기 출력부로 출력되면, 상기 영상의 메타 정보와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영상을 태깅하여 텍스트 형태로 저장하고,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에 검색어가 입력되면, 상기 검색어를 포함하는 태그를 가진 영상을 추출하여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의 대화창에서 상기 영상이 표시된 위치를 중심으로 근방에 위치하는 문자 메시지에 포함된 장소 명, 건물 명 또는 명칭을 추출하고, 추출한 장소 명, 건물 명 또는 명칭을 영상의 태그로 사용하여 태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conversation contents input through a messenger program;
When functionally connected to the output unit, the messenger program is executed, and an image is output to the output unit as conversation content through the running messenger program, the image is tagged based on meta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mage. A control unit that stores in text form and, when a search word is input into the messenger program, extracts an image having a tag including the search word and outputs it through the output unit; Including,
In the chat window of the messenger program, the place name, building name, or name included in the text message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location where the image is displayed is extracted, and the extracted place name, building name, or name is used as a tag of the image to be tagged. doing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단말의 현재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좌표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위치의 장소 명 또는 건물 명을 획득한 후, 획득한 장소 명 또는 건물 명을 해당 영상의 태그로 사용하여 태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Acquires coordinate information for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acquires the place name or building name of the current location based on the acquired coordinate information, and then uses the acquired place name or building name as a tag of the image to tag it.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검색어를 포함하는 태그를 가진 영상과 함께 상기 검색어를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를 더 추출하여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Extracting a text message including the search word together with an image having a tag including the search word and outputting it through the output unit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서비스 통신부와 기능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서비스 통신부를 통해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는 단말로부터 영상이 수신되면, 상기 영상의 메타 정보와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영상을 태깅하여 텍스트 형태로 저장하고, 상기 단말의 메신저 프로그램에 입력된 검색어가 수신되면, 상기 검색어를 포함하는 태그를 가진 영상을 추출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의 대화창에서 상기 영상이 표시된 위치를 중심으로 근방에 위치하는 문자 메시지에 포함된 장소 명, 건물 명 또는 명칭을 추출하고, 추출한 장소 명, 건물 명 또는 명칭을 영상의 태그로 사용하여 태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A service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through one or more terminals and a messenger program; And
When an image is functionally connected to the service communication unit and is received from a terminal running the messenger program through the service communication unit, the image is tagged based on the meta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mage and stored in a text format, A service control unit for extracting an image having a tag including the search word and transmitting it to the terminal when a search word input into the messenger program of the terminal is received; Including,
In the chat window of the messenger program, the place name, building name, or name included in the text message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location where the image is displayed is extracted, and the extracted place name, building name, or name is used as a tag of the image to be tagged. doing
Servi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28333A KR102254975B1 (en) | 2014-03-11 | 2014-03-11 | Method for searching images based on tag,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28333A KR102254975B1 (en) | 2014-03-11 | 2014-03-11 | Method for searching images based on tag,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06480A KR20150106480A (en) | 2015-09-22 |
KR102254975B1 true KR102254975B1 (en) | 2021-05-21 |
Family
ID=54245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28333A Active KR102254975B1 (en) | 2014-03-11 | 2014-03-11 | Method for searching images based on tag,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5497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43135B1 (en) * | 2018-01-31 | 2018-03-28 | 김규혁 | Video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
KR102733653B1 (en) * | 2018-03-06 | 2024-11-25 |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for recommending profile photo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10087970A1 (en) | 2009-10-14 | 2011-04-14 | At&T Mobility Ii Llc | Systems, apparatus,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for facilitating integrated messaging, contacts and social media for a selected entity |
KR101049271B1 (en) * | 2011-02-22 | 2011-07-13 | 주식회사 쓰리에스플래너 | Automatic information push system based on user pattern data derived from user input data |
KR101267006B1 (en) | 2011-12-21 | 2013-05-30 | (주)카카오 | A method of linking online document and instnt message and a mobile terminal linking online document and instnt message in a chatting window of instnt messaging service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2484B1 (en) | 2003-03-10 | 2009-12-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How to insert a short message in the image of the mobile terminal |
KR100944442B1 (en) * | 2007-12-28 | 2010-02-25 |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 Messag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arch links |
KR101324336B1 (en) * | 2010-12-28 | 2013-10-31 | 주식회사 팬택 | Augmented reality terminal |
KR101761619B1 (en) * | 2011-01-13 | 2017-07-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GB2495699B (en) * | 2011-10-07 | 2019-03-2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ultimedia location-based sharing &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
KR20130058856A (en) * | 2011-11-28 | 2013-06-05 |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ing application in instant messenger |
KR20130127086A (en) * | 2012-05-14 | 2013-11-22 | 리얼네트웍스아시아퍼시픽 주식회사 | Terminal device, system for searching information using instant messenger, and method for searching information |
-
2014
- 2014-03-11 KR KR1020140028333A patent/KR10225497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10087970A1 (en) | 2009-10-14 | 2011-04-14 | At&T Mobility Ii Llc | Systems, apparatus,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for facilitating integrated messaging, contacts and social media for a selected entity |
KR101049271B1 (en) * | 2011-02-22 | 2011-07-13 | 주식회사 쓰리에스플래너 | Automatic information push system based on user pattern data derived from user input data |
KR101267006B1 (en) | 2011-12-21 | 2013-05-30 | (주)카카오 | A method of linking online document and instnt message and a mobile terminal linking online document and instnt message in a chatting window of instnt messaging ser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06480A (en) | 2015-09-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59960B1 (en) | A recording medium for control of messenger,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ame | |
KR102208362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message of electronic device | |
KR101331444B1 (en) | Method for instant messaging service, storage medium recording program and device therefor | |
WO2018072459A1 (en) | Screenshot and reading method and terminal | |
KR101701151B1 (en) | Integrated Message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Portable Device | |
US9904737B2 (en) |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curation ser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 |
KR102106787B1 (en) | Method for coupling application with instant messenger,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ame | |
KR102007506B1 (en) | Method for communicating using image in messenger,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ame | |
KR102049789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snsmitting an information in portable device | |
EP2696603A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data in mobile device having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 |
CN103677585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lligent service by using inputted character in user equipment | |
US20150339017A1 (en) | Terminal apparatus, program, method of calling function,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 |
US20190087391A1 (en) | Human-machine interface for collaborative summarization of group conversations | |
KR20140107736A (en) | Method for providing of voice message,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ame | |
KR20150106481A (en) |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keyword in instant messenger,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ame | |
CN106998493B (en) | Video previewing method and device | |
KR102254975B1 (en) | Method for searching images based on tag,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ame | |
KR101370316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of web page in messenger,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ame | |
KR20150106180A (en) | Method for extracting of keyword in instant messenger,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ame | |
WO2017107543A1 (en) | Information input method and apparatus | |
CN112235412A (en) | Mess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 |
KR20150108097A (en) | Backtup method of information in instant messenger,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ame | |
KR102387268B1 (en) | Messaging service method for providing speech bubble effect, storage medium recording program and device therefor | |
CN116069220A (en) | Content transmitting method, content transmitting device and content transmitting device | |
KR101759563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requesting contents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conten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1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3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3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6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012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6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12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80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3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21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101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12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80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3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5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5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