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7037B1 - Apparatis and method for motion control autonomous vehicle - Google Patents
Apparatis and method for motion control autonomous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27037B1 KR102227037B1 KR1020200016740A KR20200016740A KR102227037B1 KR 102227037 B1 KR102227037 B1 KR 102227037B1 KR 1020200016740 A KR1020200016740 A KR 1020200016740A KR 20200016740 A KR20200016740 A KR 20200016740A KR 102227037 B1 KR102227037 B1 KR 1022270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iver
- equation
- target control
- control value
- targe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01000003152 motion sick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21 model calc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41 surface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20 vestib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40/09—Driving style or behaviou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7—Longitudinal accele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9—Lateral accele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098—Details of control systems ensuring comfort, safety or stabilit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082—Selecting or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es of propel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01—Details of the control system
- B60W2050/0019—Control system elements or transfer fun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60W2520/105—Longitudinal accele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2—Lateral speed
- B60W2520/125—Lateral accele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8—Steering ang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30—Driving sty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율주행 차량 모션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운전성향에 적합하게 차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자율주행 차량 모션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motion of an autonomous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utonomous vehicle motion capable of controlling a vehicle suitable for a driver's driving tendency.
자율주행 차량은 운전자가 차량을 조작하지 않아도 자동차 스스로 주행 환경을 인식하여 목표 지점까지 운행할 수 있는 차량을 의미한다.An autonomous vehicle refers to a vehicle that can drive to a target point by recognizing the driving environment by itself even if the driver does not manipulate the vehicle.
자율주행 차량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운전자는 운전 조작 및 전방 주시 의무로부터 자유로워지고, 자율주행 중인 차량 내에서 영화 감상, 독서, 회의 등의 자유로운 활동이 가능해진다.As the level of self-driving vehicles increases, drivers are freed from the obligation to manipulate driving and look forward, and free activities such as watching movies, reading, and meetings are possible in the vehicle in autonomous driving.
이러한 자율주행 중인 차량 내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는 전정 기관과 시각 기관에서 처리하는 정보의 차이로 인해 멀미 증상(motion sickness)이 발생하여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Passengers, including drivers in such autonomous vehicles, may experience motion sickness due to differences in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vestibular organ and the visual organ and may feel uncomfortable.
이와 같이, 자율주행 차량 탑승자의 멀미 이슈가 발생함에 따라 멀미를 최소화할 수 있는 모션 제어의 정교화가 요구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as an issue of motion sickness of an autonomous vehicle occupant arises, there is a demand for elaboration of motion control that can minimize motion sickness.
본 발명은 이러한 요구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자율주행 모드로 운행 시에 운전자의 운전성향에 맞춤화된 모션 제어 특성을 반영하여 차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자율주행 차량 모션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in accordance with such a demand, and provides an autonomous vehicle mo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at enables a vehicle to be controlled by reflecting a motion control characteristic tailored to a driver's driving tendency when driving in an autonomous driving mode. There is a purpos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 모션 제어 장치는, 자율주행에 필요한 목표 제어값을 산출하는 목표 제어값 산출부; 상기 목표 제어값 산출부에서 산출된 목표 제어값을 운전자로부터 선택받은 운전자 모드에 기반하여 변경하는 목표 제어값 변경부; 및 상기 목표 제어값 변경부에서 변경된 목표 제어값을 기반으로 차량의 모션을 제어하는 차량 모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 autonomous vehicle mo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target control value calculating unit for calculating a target control value required for autonomous driving; A target control value changing unit for changing the target control value calculated by the target control value calculating unit based on a driver mode selected by a driver; And a vehicle motion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a mo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target control value changed by the target control value changing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목표 제어값 변경부는, 운전자로부터 선택받은 운전자 모드가 스포츠 모드이면, 목표 조향각을 하기의 수학식 1에 기반하여 변경하고, 운전자로부터 선택받은 운전자 모드가 마일드 모드이면, 목표 조향각을 하기의 수학식 2에 기반하여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rget control value changing unit, when the driver mode selected by the driver is a sports mode, changes the target steering angle based on
[수학식 1][Equation 1]
수학식 1에서, 게인 과 는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은 모션 특성 값에 비례하여 각각 설정되고,In
[수학식 2][Equation 2]
수학식 2에서, 게인 은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은 모션 특성 값에 반비례하여 설정되고, 는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은 모션 특성 값에 비례하여 설정된다.In Equation 2, the gain Is set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motion characteristic value input from the driver, Is set in proportion to the motion characteristic value input from the driv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목표 제어값 변경부는, 운전자로부터 선택받은 운전자 모드가 마일드 모드이면, 목표 토크 값을 하기의 수학식 3에 기반하여 변경하고, 운전자로부터 선택받은 운전자 모드가 마일드 모드이면, 목표 토크 값을 하기의 수학식 4에 기반하여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rget control value changing unit, when the driver mode selected by the driver is a mild mode, changes the target torque value based on Equation 3 below, and the driver mode selected by the driver is a mild mode. If so, it is preferable to change the target torque value based on Equation 4 below.
[수학식 3][Equation 3]
수학식 3에서, 게인 과 은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은 모션 특성 값에 비례하여 각각 설정되고,In Equation 3, the gain and Is set in proportion to the motion characteristic value input from the driver,
[수학식 4][Equation 4]
수학식 4에서, 게인 은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은 모션 특성 값에 반비례하여 설정되고, 은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은 모션 특성 값에 비례하여 설정된다.In Equation 4, the gain Is set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motion characteristic value input from the driver, Is set in proportion to the motion characteristic value input from the driv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 모션 제어 장치는, 운전자의 운전성향을 정량화하여 운전성향지수를 실시간으로 연산하고, 연산된 운전성향지수에 기반하여 운전자의 운전성향을 판단하는 운전성향 판단부; 자율주행에 필요한 목표 제어값을 산출하는 목표 제어값 산출부; 상기 목표 제어값 산출부에서 산출된 목표 제어값을 상기 운전성향 판단부에서 판단된 운전성향에 기반하여 변경하는 목표 제어값 변경부; 및 상기 목표 제어값 변경부에서 변경된 목표 제어값을 기반으로 차량의 모션을 제어하는 차량 모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 autonomous vehicle mo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a driving tendency index in real time by quantifying a driver's driving tendency, and determines the driving tendency of the driver based on the calculated driving tendency index. part; A target control value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a target control value required for autonomous driving; A target control value changing unit for changing the target control value calculated by the target control value calculating unit based on the driving tendency determined by the driving tendency determining unit; And a vehicle motion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a mo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target control value changed by the target control value changing uni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목표 제어값 변경부는, 상기 변경된 제어값을 이용하여 횡가속도 및 종가속도를 예측하고, 예측된 횡가속도 및 종가속도가 기설정된 기준 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변경된 목표 제어값을 제한 조정하고, 차량 모션 제어부는, 상기 목표 제어값 변경부에서 제한 조정된 목표 제어값을 기반으로 차량의 모션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rget control value changing unit predicts the lateral acceleration and the vertical acceleration using the changed control value, and the changed target so that the predicted lateral acceleration and vertical acceleration do not exceed a preset reference valu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value is limited and adjusted, and the vehicle motion controller controls the mo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target control value limited and adjusted by the target control value changing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 모션 제어 방법은, 목표 제어값 산출부가, 자율주행에 필요한 목표 제어값을 산출하는 단계; 목표 제어값 변경부가, 상기 목표 제어값 산출부에서 산출된 목표 제어값을 운전자로부터 선택받은 운전자 모드에 기반하여 변경하는 단계; 및 차량 모션 제어부가, 상기 변경된 목표 제어값을 기반으로 차량의 모션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 autonomous vehicle mo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alculating, by a target control value calculating unit, a target control value required for autonomous driving; Changing, by a target control value changing unit, a target control value calculated by the target control value calculating unit based on a driver mode selected from a driver; And controlling, by the vehicle motion controller, the mo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changed target control valu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목표 제어값 산출부에서 산출된 목표 제어값을 운전자로부터 선택받은 운전자 모드에 기반하여 변경하는 단계는, 운전자로부터 선택받은 운전자 모드가 스포츠 모드이면, 목표 조향각을 하기의 수학식 1에 기반하여 변경하고, 운전자로부터 선택받은 운전자 모드가 마일드 모드이면, 목표 조향각을 하기의 수학식 2에 기반하여 변경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changing the target control value calculated by the target control value calculation unit based on the driver mode selected by the driver comprises: if the driver mode selected by the driver is a sport mode, a target steering angle is performed. If the driver mode selected by the driver is a mild mode and the driver mode is changed based on
[수학식 1][Equation 1]
수학식 1에서, 게인 과 는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은 모션 특성 값에 비례하여 각각 설정되고,In
[수학식 2][Equation 2]
수학식 2에서, 게인 은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은 모션 특성 값에 반비례하여 설정되고, 는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은 모션 특성 값에 비례하여 설정된다.In Equation 2, the gain Is set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motion characteristic value input from the driver, Is set in proportion to the motion characteristic value input from the driv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목표 제어값 산출부에서 산출된 목표 제어값을 운전자로부터 선택받은 운전자 모드에 기반하여 변경하는 단계는, 운전자로부터 선택받은 운전자 모드가 마일드 모드이면, 목표 토크 값을 하기의 수학식 3에 기반하여 변경하고, 운전자로부터 선택받은 운전자 모드가 마일드 모드이면, 목표 토크 값을 하기의 수학식 4에 기반하여 변경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changing the target control value calculated by the target control value calculating unit based on the driver mode selected by the driver may include: if the driver mode selected by the driver is a mild mode, the target torque value is If the driver mode selected by the driver is the mild mode, and the driver mode selected by the driver is changed based on Equation 3 below, it is preferable to change the target torque value based on Equation 4 below.
[수학식 3][Equation 3]
수학식 3에서, 게인 과 은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은 모션 특성 값에 비례하여 각각 설정되고,In Equation 3, the gain and Is set in proportion to the motion characteristic value input from the driver,
[수학식 4][Equation 4]
수학식 4에서, 게인 은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은 모션 특성 값에 반비례하여 설정되고, 은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은 모션 특성 값에 비례하여 설정된다.In Equation 4, the gain Is set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motion characteristic value input from the driver, Is set in proportion to the motion characteristic value input from the driv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 모션 제어 방법은, 운전성향 판단부가, 운전자의 운전성향을 정량화하여 운전성향지수를 실시간으로 연산하고, 연산된 운전성향지수에 기반하여 운전자의 운전성향을 판단하는 단계; 목표 제어값 산출부가, 자율주행에 필요한 목표 제어값을 산출하는 단계; 목표 제어값 변경부가, 상기 목표 제어값 산출부에서 산출된 목표 제어값을 상기 운전성향 판단부에서 판단된 운전성향에 기반하여 변경하는 단계; 및 차량 모션 제어부가, 상기 변경된 목표 제어값을 기반으로 차량의 모션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utonomous vehicle mo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propensity determination unit quantifies the driving propensity of the driver, calculates the driving propensity index in real time, and calculates the driving propensity of the driver based on the calculated driving propensity index. Judging; Calculating, by a target control value calculating unit, a target control value required for autonomous driving; Changing, by a target control value changing unit, a target control value calculated by the target control value calculating unit based on the driving tendency determined by the driving tendency determining unit; And controlling, by the vehicle motion controller, the mo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changed target control value.
본 발명의 자율주행 차량 모션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자율주행 모드로 운행 시에 운전자의 운전성향에 맞춤화된 모션 제어 특성을 반영하여 차량을 제어함으로써, 탑승객의 승차감 및 만족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In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mo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driving in the autonomous driving mode, the vehicle is controlled by reflecting motion control characteristics tailored to the driver's driving tendency, thereby improving the ride comfort and satisfaction of passenger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 모션 제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변경된 목표 제어값을 기반을 차량의 모션을 제어했을 때의 차량 요레이트 변화를 예시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처리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처리도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utonomous vehicle mo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views exemplarily showing changes in the vehicle yaw rate when the motion of the vehicle is controlled based on the target control value chang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rocessing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rocessing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detail sufficient to enabl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specific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one embodiment.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to be described below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ppropriately described,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ranges equivalent to those claimed by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over several aspects.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 모션 제어 장치 및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motion of an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 모션 제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utonomous vehicle mo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 모션 제어 장치(100)는 운전성향 판단부(110), 목표 제어값 산출부(120), 목표 제어값 변경부(140), 차량 모션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1, the autonomous vehicle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운전성향 판단부(110)는 운전자의 운전성향을 정량화하여 운전성향지수를 실시간으로 산출하고, 산출된 운전성향지수에 기반하여 운전자의 운전성향을 판단할 수 있다.In such a configuration, the driving
구체적으로 운전성향 판단부(110)는 센서부(도시하지 않음)에서 검출된 각종 주행 정보(예를 들어, 요 레이트(yaw rate) 센서 값, 가속 위치 센서(APS) 값, 종/횡 가속도 센서 값, 조향각 센서 값, 휠속도 센서 값,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센서 값, 곡률 값 등)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운전성향을 검출하되, 오래된 데이터에 낮은 가중치를 부여하고 최근 데이터에 더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여 평균값을 계산하는 EWMA(Exponentially Weighted Moving Average) 기법을 통해 운전성향지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운전성향지수에 기반하여 운전자의 운전성향을 검출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riving
목표 제어값 산출부(120)는 자율주행에 필요한 목표 제어값인 목표 조향각, 목표 구동 토크, 목표 제동 토크 등을 산출할 수 있다.The target control
구체적으로 목표 제어값 산출부(120)는 GPS 등을 이용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레이저 스캐너 등을 통해 차선과 신호 등 주변 환경을 모니터링하는 카메라로 목적지까지 가는 경로의 전체적인 주행환경을 인지한 후, 목표 경로에 기반하여 속도와 조향각 등 자율주행에 필요한 목표 제어값을 산출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arget control
목표 제어값 변경부(140)는 목표 제어값 산출부(120)에서 산출된 목표 제어값을 운전자의 운전성향에 기반하여 변경할 수 있다.The target control
일 예로, 목표 제어값 변경부(140)는 자율주행 모드에서 운전자 모드 입력부(130)를 통해 운전자로부터 운전자 모드를 선택받으면, 운전자로부터 선택받은 운전자 모드에 기반하여, 목표 제어값 산출부(120)에서 산출된 목표 제어값을 변경할 수 있다.As an example, when the driver mode is selected from the driver through the driver
운전자는 스포티한 자율주행을 원할 경우에 스포츠 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안락한 자율주행을 원할 경우에 마일드 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보통의 자율주행을 원할 경우에 노멀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The driver can select the sport mode if he wants sporty autonomous driving, the mild mode if he wants comfortable autonomous driving, and the normal mode if he wants normal autonomous driving.
운전자는 운전자 모드를 선택한 후, 선택한 운전자 모드에서의 모션 특성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운전자는 기설정된 범위(예를 들어, 0~10) 내에서 모션 특성 값을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받은 모션 특성 값이 높을수록 선택받은 운전자 모드에 대응하는 모션 특성이 강하게 나타날 수 있다.After selecting the driver mode, the driver can set the motion characteristic value in the selected driver mode. The driver may set a motion characteristic value within a preset range (eg, 0 to 10), and the higher the set motion characteristic value, the stronger the motion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driver mode may appear.
예를 들어, 운전자로부터 선택받은 운전자 모드가 스포츠 모드이면, 목표 제어값 변경부(140)는 목표 제어값 산출부(120)에서 산출된 목표 제어값 중에서 목표 조향각을 수학식 1에 기반하여 변경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driver mode selected by the driver is a sport mode, the target control
수학식 1에서, 게인 과 는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은 모션 특성 값에 비례하여 각각 설정될 수 있다.In
여기서, 게인 과 는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은 모션 특성 값에 선형적으로 비례하여 설정되는 값으로, 은 1~1.25 사이에서 설정되고, 는 0~0.1 사이에서 설정될 수 있다.Here, the gain and Is a value set linearly in proportion to the motion characteristic value input from the driver, Is set between 1 and 1.25, Can be set between 0 and 0.1.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은 모션 특성 값이 0인 경우, 은 1, 는 0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스포츠 모드에서 나타낼 수 있는 가장 약한 횡방향 제어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If the motion characteristic value input from the driver is 0, Is 1, May be set to 0, and may represent the weakest transverse control characteristic that can be exhibited in the sport mode.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은 모션 특성 값이 10인 경우, 은 1,25, 는 0.1로 설정될 수 있으며, 스포츠 모드에서 나타낼 수 있는 가장 강한 횡방향 제어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If the motion characteristic value input from the driver is 10, Is 1,25, May be set to 0.1, and may represent the strongest transverse control characteristic that can be exhibited in the sport mode.
한편, 운전자로부터 선택받은 운전자 모드가 마일드 모드이면, 목표 제어값 변경부(140)는 목표 제어값 산출부(120)에서 산출된 목표 제어값 중에서 목표 조향각을 수학식 2에 기반하여 변경할 수 있다.Meanwhile, if the driver mode selected by the driver is the mild mode, the target control
수학식 2에서, 게인 은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은 모션 특성 값에 반비례하여 설정되고, 는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은 모션 특성 값에 비례하여 설정될 수 있다.In Equation 2, the gain Is set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motion characteristic value input from the driver, May be set in proportion to the motion characteristic value input from the driver.
여기서, 게인 은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은 모션 특성 값에 선형적으로 반비례하여 설정되는 값으로, 0.75~1 사이에서 설정될 수 있다.Here, the gain Is a value set linearly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motion characteristic value input from the driver, and may be set between 0.75 and 1.
는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은 모션 특성 값에 선형적으로 비례하여 설정되는 값으로, 는 0.05~0.15 사이에서 설정될 수 있다. Is a value set linearly in proportion to the motion characteristic value input from the driver, Can be set between 0.05 and 0.15.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은 모션 특성 값이 0인 경우, 은 1, 는 0.05로 설정될 수 있으며, 마일드 모드에서 나타낼 수 있는 가장 강한 횡방향 제어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If the motion characteristic value input from the driver is 0, Is 1, May be set to 0.05, and may represent the strongest transverse control characteristic that can be exhibited in the mild mode.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은 모션 특성 값이 10인 경우, 은 0.75, 는 0.15로 설정될 수 있으며, 마일드 모드에서 나타낼 수 있는 가장 약한 횡방향 제어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If the motion characteristic value input from the driver is 10, Silver 0.75, May be set to 0.15, and may represent the weakest transverse control characteristic that can be exhibited in the mild mode.
또한, 목표 제어값 변경부(140)는 운전자로부터 선택받은 운전자 모드가 스포츠 모드이면, 목표 제어값 산출부(120)에서 산출된 목표 제어값 중에서 목표 토크 값(목표 구동 토크 값 또는 목표 제동 토크 값)을 수학식 3에 기반하여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river mode selected by the driver is a sport mode, the target control
수학식 3에서, 게인 과 은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은 모션 특성 값에 비례하여 각각 설정될 수 있다.In Equation 3, the gain and May be set respectively in proportion to the motion characteristic value input from the driver.
여기서, 게인 와 은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은 모션 특성 값에 선형적으로 비례하여 설정되는 값으로, 는 1~1.5 사이에서 설정되고, 은 0~0.2 사이에서 설정될 수 있다.Here, the gain Wow Is a value set linearly in proportion to the motion characteristic value input from the driver, Is set between 1 and 1.5, Can be set between 0 and 0.2.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은 모션 특성 값이 0인 경우, 는 1, 은 0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스포츠 모드에서 나타낼 수 있는 가장 약한 종방향 제어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If the motion characteristic value input from the driver is 0, Is 1, May be set to 0, and may represent the weakest longitudinal control characteristic that can be exhibited in the sport mode.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은 모션 특성 값이 10인 경우, 는 1,5, 은 0.2로 설정될 수 있으며, 스포츠 모드에서 나타낼 수 있는 가장 강한 종방향 제어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If the motion characteristic value input from the driver is 10, Is 1,5, May be set to 0.2, and may represent the strongest longitudinal control characteristic that can be exhibited in the sport mode.
한편, 운전자로부터 선택받은 운전자 모드가 마일드 모드이면, 목표 제어값 변경부(140)는 목표 제어값 산출부(120)에서 산출된 목표 제어값 중에서 목표 토크 값(목표 구동 토크 값 또는 목표 제동 토크 값)을 수학식 4에 기반하여 변경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driver mode selected by the driver is the mild mode, the target control
수학식 4에서, 게인 은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은 모션 특성 값에 반비례하여 설정되고, 은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은 모션 특성 값에 비례하여 설정된다.In Equation 4, the gain Is set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motion characteristic value input from the driver, Is set in proportion to the motion characteristic value input from the driver.
여기서, 게인 은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은 모션 특성 값에 선형적으로 반비례하여 설정되는 값으로, 0.5~1 사이에서 설정될 수 있다.Here, the gain Is a value set linearly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motion characteristic value input from the driver, and may be set between 0.5 and 1.
은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은 모션 특성 값에 선형적으로 비례하여 설정되는 값으로, 은 0.05~0.25 사이에서 설정될 수 있다. Is a value set linearly in proportion to the motion characteristic value input from the driver, Can be set between 0.05 and 0.25.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은 모션 특성 값이 0인 경우, 은 1, 은 0.05로 설정될 수 있으며, 마일드 모드에서 나타낼 수 있는 가장 강한 종방향 제어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If the motion characteristic value input from the driver is 0, Is 1, May be set to 0.05, and may represent the strongest longitudinal control characteristic that can be exhibited in the mild mode.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은 모션 특성 값이 10인 경우, 은 0.5, 은 0.25로 설정될 수 있으며, 마일드 모드에서 나타낼 수 있는 가장 약한 종방향 제어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If the motion characteristic value input from the driver is 10, Silver 0.5, May be set to 0.25, and may represent the weakest longitudinal control characteristic that can be exhibited in the mild mode.
다른 예로, 목표 제어값 변경부(140)는 자율주행 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 자동 모드를 선택받으면, 운전성향 판단부(110)에서 판단된 운전성향에 기반하여, 목표 제어값 산출부(120)에서 산출된 목표 제어값을 변경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the automatic mode in the autonomous driving mode, the target control
구체적으로 목표 제어값 변경부(140)는 운전성향 판단부(110)에서 판단된 운전성향이 스포츠 모드에 해당하면, 목표 제어값 산출부(120)에서 산출된 목표 제어값 중에서 목표 조향각을 수학식 1에 기반하여 변경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driving tendency determined by the driving
수학식 1에서, 게인 과 는 운전성향 판단부(110)에서 산출된 운전성향지수에 비례하여 각각 설정될 수 있다.In
수학식 1에서, 게인 과 는 운전성향 판단부(110)에서 산출된 운전성향지수에 선형적으로 비례하여 설정되는 값으로, 은 1~1.25 사이에서 설정되고, 는 0~0.1 사이에서 설정될 수 있다.In
운전성향 판단부(110)에서 산출된 운전성향지수가 낮을수록 약한 횡방향 제어 특성을 나타낼 수 있고, 운전성향 판단부(110)에서 산출된 운전성향지수가 높을수록 강한 횡방향 제어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The lower the driving propensity index calculated by the driving
한편, 운전성향 판단부(110)에서 판단된 운전성향이 마일드 모드에 해당하면, 목표 제어값 변경부(140)는 목표 제어값 산출부(120)에서 산출된 목표 제어값 중에서 목표 조향각을 수학식 2에 기반하여 변경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driving tendency determined by the driving
수학식 2에서, 게인 은 운전성향 판단부(110)에서 산출된 운전성향지수에 반비례하여 설정되고, 는 운전성향 판단부(110)에서 산출된 운전성향지수에 비례하여 설정될 수 있다.In Equation 2, the gain Is set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driving tendency index calculated by the driving
수학식 2에서, 게인 은 운전성향 판단부(110)에서 산출된 운전성향지수에 선형적으로 반비례하여 설정되는 값으로, 0.75~1 사이에서 설정될 수 있다.In Equation 2, the gain Is a value set linearly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driving tendency index calculated by the driving
는 운전성향 판단부(110)에서 산출된 운전성향지수에 선형적으로 비례하여 설정되는 값으로, 는 0.05~0.15 사이에서 설정될 수 있다. Is a value set in linear proportion to the driving tendency index calculated by the driving
운전성향 판단부(110)에서 산출된 운전성향지수가 낮을수록 약한 횡방향 제어 특성을 나타낼 수 있고, 운전성향 판단부(110)에서 산출된 운전성향지수가 높을수록 강한 횡방향 제어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The lower the driving propensity index calculated by the driving
또한, 목표 제어값 변경부(140)는 운전성향 판단부(110)에서 판단된 운전성향이 스포츠 모드에 해당하면, 목표 제어값 산출부(120)에서 산출된 목표 제어값 중에서 목표 토크 값(목표 구동 토크 값 또는 목표 제동 토크 값)을 수학식 3에 기반하여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riving tendency determined by the driving
수학식 3에서, 게인 과 은 운전성향 판단부(110)에서 산출된 운전성향지수에 비례하여 각각 설정될 수 있다.In Equation 3, the gain and May be set in proportion to the driving tendency index calculated by the driving
수학식 3에서, 게인 와 은 운전성향 판단부(110)에서 산출된 운전성향지수에 선형적으로 비례하여 설정되는 값으로, 는 1~1.5 사이에서 설정되고, 은 0~0.2 사이에서 설정될 수 있다.In Equation 3, the gain Wow Is a value set in linear proportion to the driving tendency index calculated by the driving
운전성향 판단부(110)에서 산출된 운전성향지수가 낮을수록 약한 종방향 제어 특성을 나타낼 수 있고, 운전성향 판단부(110)에서 산출된 운전성향지수가 높을수록 강한 종방향 제어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The lower the driving propensity index calculated by the driving
한편, 운전성향 판단부(110)에서 판단된 운전성향이 마일드 모드에 해당하면, 목표 제어값 변경부(140)는 목표 제어값 산출부(120)에서 산출된 목표 제어값 중에서 목표 토크 값(목표 구동 토크 값 또는 목표 제동 토크 값)을 수학식 4에 기반하여 변경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driving tendency determined by the driving
수학식 4에서, 게인 은 운전성향 판단부(110)에서 산출된 운전성향지수에 반비례하여 설정되고, 은 운전성향 판단부(110)에서 산출된 운전성향지수에 비례하여 설정된다.In Equation 4, the gain Is set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driving tendency index calculated by the driving
수학식 4에서, 게인 은 운전성향 판단부(110)에서 산출된 운전성향지수에 선형적으로 반비례하여 설정되는 값으로, 0.5~1 사이에서 설정될 수 있다.In Equation 4, the gain Is a value set linearly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driving tendency index calculated by the driving
은 운전성향 판단부(110)에서 산출된 운전성향지수에 선형적으로 비례하여 설정되는 값으로, 은 0.05~0.25 사이에서 설정될 수 있다. Is a value set in linear proportion to the driving tendency index calculated by the driving
운전성향 판단부(110)에서 산출된 운전성향지수가 낮을수록 약한 종방향 제어 특성을 나타낼 수 있고, 운전성향 판단부(110)에서 산출된 운전성향지수가 높을수록 강한 종방향 제어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The lower the driving propensity index calculated by the driving
한편, 목표 제어값 변경부(140)는 노면 판단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주행하는 도로의 노면이 저마찰 노면(예를 들어, 빗길, 빙판길, 커브길 등)으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자율주행 모드에서 운전자로부터 운전자 모드 또는 자동 모드를 선택받을 때, 높은 횡가속도나, 높은 종가속도 또는 종감속도를 제한하는 제한 모드를 선택받은 경우에는, 변경된 목표 제어값을 이용하여 횡가속도와 종가속도를 예측하고, 예측된 횡가속도와 종가속도가 기설정된 기준 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변경된 목표 제어값을 제한 조정할 수 있다.Meanwhile, the target control
구체적으로, 목표 제어값 변경부(140)는 특정 종방향 속도 에서 수학식 5와 같은 횡방향 모델 계산을 통해 산출된 값을 수학식 6에 대입하여 예측 횡가속도를 도출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arget control
수학식 5에서, 는 차량의 슬립각이고, 는 차량 요레이트이다.In
목표 제어값 변경부(140)는 수학식 5 및 6을 통해 도출된 예측 횡가속도가 기설정된 가속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조향각 을 제한할 수 있다.The target control
또한, 목표 제어값 변경부(140)는 현재 종방향 토크 에서 토크가 만큼 증가할 때 수학식 8을 통해 종방향 가속도 변화량을 예측하고, 예측된 종방향 가속도 변화량을 수학식 9에 대입시켜 예측 종가속도를 도출할 수 있다. 수학식 8에서, 는 종감속비 및 변속기 감속비이고, 는 타이어 동방경이고, 은 차량 질량이다.In addition, the target control
목표 제어값 변경부(140)는 수학식 8 및 9를 통해 도출된 예측 종가속도가 기설정된 가속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구동(또는 제동) 토크 를 제한할 수 있다.The target control
목표 제어값 변경부(140)는 목표 제어값 산출부(120)에서 산출된 목표 제어값을 운전자의 운전성향에 기반하여 변경하는 목표 조향각 및 목표 토크 변경부(141), 목표 조향각 및 목표 토크 변경부(141)에서 변경된 목표 조향각 및 목표 토크를 기반으로 예측 횡가속도와 예측 종가속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예측 횡가속도 또는 예측 종가속도가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목표 조향각 및 목표 토크 변경부(141)에서 변경된 목표 조향각 및 목표 토크를 제한하는 목표 조향각 및 목표 토크 제한부(143), 목표 조향각 및 목표 토크 제한부(143)에서 산출된 예측 횡가속도 또는 예측 종가속도가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목표 조향각 및 목표 토크 변경부(141)에서 변경된 목표 조향각 및 목표 토크를 다시 변경하는 목표 조향각 및 목표 토크 최종 변경 산출부(1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target control
차량 모션 제어부(150)는 목표 제어값 변경부(140)에서 변경된 목표 제어값을 기반으로 차량의 모션을 제어할 수 있다.The
차량 모션 제어부(150)는 목표 제어값 변경부(140)에서 목표 제어값이 제한 조정되는 경우, 제한 조정된 목표 제어값을 기반으로 차량의 모션을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target control value is limited and adjusted by the target control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변경된 목표 제어값을 기반을 차량의 모션을 제어했을 때의 차량 요레이트 변화를 예시적으로 보인 도면으로, 도 2는 게인 변환에 따른 차량 요레이트의 변화를 예시적으로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게인 변환에 따른 차량 요레이트의 변화를 예시적으로 보인 도면이다.2 and 3 are views illustrating a change in the vehicle yaw rate when the motion of the vehicle is controlled based on the target control value chang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gain A diagram showing a change in the vehicle yaw rate according to the conversion as an example, and FIG. 3 is a gain It is a diagram showing a change in the vehicle yaw rate according to the conversion by way of example.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게인 과 가 커질수록 차량 요레이트가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Gain as shown in Figs. 2 and 3 and It can be seen that the larger the is, the larger the vehicle yaw rat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처리도이다.4 is a processing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 제어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자율주행 차량 제어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상에서 진행되므로, 도 1의 자율주행 차량 제어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autonomous vehicl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ceeds on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utonomous
우선, 목표 제어값 산출부(120)가 자율주행에 필요한 목표 제어값을 산출할 수 있다(S110).First, the target control
상기한 단계 S110에서 목표 제어값 산출부(120)는 자율주행에 필요한 목표 제어값인 목표 조향각, 목표 구동 토크, 목표 제동 토크 등을 산출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step S110, the target control
이후 목표 제어값 변경부(140)는 목표 제어값 산출부(120)에서 산출된 목표 제어값을 운전자로부터 선택받은 운전자 모드에 기반하여 변경할 수 있다(S120).Thereafter, the target control
상기한 단계 S120에서 목표 제어값 변경부(140)는 운전자 모드 입력부(130)를 통해 운전자로부터 선택받은 운전자 모드가 스포츠 모드이면, 목표 제어값 변경부(140)는 목표 제어값 산출부(120)에서 산출된 목표 제어값 중에서 목표 조향각을 수학식 1에 기반하여 변경할 수 있다.If the driver mode selected from the driver through the driver
그리고 운전자로부터 선택받은 운전자 모드가 마일드 모드이면, 목표 제어값 변경부(140)는 목표 제어값 산출부(120)에서 산출된 목표 제어값 중에서 목표 조향각을 수학식 2에 기반하여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driver mode selected by the driver is the mild mode, the target control
또한, 목표 제어값 변경부(140)는 운전자로부터 선택받은 운전자 모드가 스포츠 모드이면, 목표 제어값 산출부(120)에서 산출된 목표 제어값 중에서 목표 토크 값(목표 구동 토크 값 또는 목표 제동 토크 값)을 수학식 3에 기반하여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river mode selected by the driver is a sport mode, the target control
그리고, 운전자로부터 선택받은 운전자 모드가 마일드 모드이면, 목표 제어값 변경부(140)는 목표 제어값 산출부(120)에서 산출된 목표 제어값 중에서 목표 토크 값(목표 구동 토크 값 또는 목표 제동 토크 값)을 수학식 4에 기반하여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driver mode selected by the driver is the mild mode, the target control
상기한 단계 S120을 통해 목표 제어값이 변경되면, 차량 모션 제어부(150)는 상기한 단계 S120을 통해 변경된 목표 제어값을 기반으로 차량의 모션을 제어할 수 있다(S130).When the target control value is chang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step S120, the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처리도이다.5 is a processing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 제어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자율주행 차량 제어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상에서 진행되므로, 도 1의 자율주행 차량 제어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ceeds on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utonomous driving
우선, 운전성향 판단부(110)는 운전자의 운전성향을 정량화하여 운전성향지수를 실시간으로 연산하고, 연산된 운전성향지수에 기반하여 운전자의 운전성향을 판단할 수 있다(S210).First, the driving
그리고 목표 제어값 산출부(120)는 자율주행에 필요한 목표 제어값을 산출할 수 있다(S220).In addition, the target control
상기한 단계 S220에서 목표 제어값 산출부(120)는 자율주행에 필요한 목표 제어값인 목표 조향각, 목표 구동 토크, 목표 제동 토크 등을 산출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step S220, the target control
이후 목표 제어값 변경부(140)는 목표 제어값 산출부(120)에서 산출된 목표 제어값을 운전성향 판단부(110)에서 판단된 운전성향에 기반하여 변경할 수 있다(S230).Thereafter, the target control
상기한 단계 S230에서 목표 제어값 변경부(140)는 자율주행 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 자동 모드를 선택받으면, 운전성향 판단부(110)에서 판단된 운전성향에 기반하여, 목표 제어값 산출부(120)에서 산출된 목표 제어값을 변경할 수 있다.In the above step S230, the target control
구체적으로 목표 제어값 변경부(140)는 운전성향 판단부(110)에서 판단된 운전성향이 스포츠 모드에 해당하면, 목표 제어값 산출부(120)에서 산출된 목표 제어값 중에서 목표 조향각을 수학식 1에 기반하여 변경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driving tendency determined by the driving
그리고 운전성향 판단부(110)에서 판단된 운전성향이 마일드 모드에 해당하면, 목표 제어값 변경부(140)는 목표 제어값 산출부(120)에서 산출된 목표 제어값 중에서 목표 조향각을 수학식 2에 기반하여 변경할 수 있다.And if the driving tendency determined by the driving
또한, 목표 제어값 변경부(140)는 운전성향 판단부(110)에서 판단된 운전성향이 스포츠 모드에 해당하면, 목표 제어값 산출부(120)에서 산출된 목표 제어값 중에서 목표 토크 값(목표 구동 토크 값 또는 목표 제동 토크 값)을 수학식 3에 기반하여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riving tendency determined by the driving
그리고 운전성향 판단부(110)에서 판단된 운전성향이 마일드 모드에 해당하면, 목표 제어값 변경부(140)는 목표 제어값 산출부(120)에서 산출된 목표 제어값 중에서 목표 토크 값(목표 구동 토크 값 또는 목표 제동 토크 값)을 수학식 4에 기반하여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driving tendency determined by the driving
이후, 목표 제어값 변경부(140)는 상기한 단계 S230을 통해 변경된 목표 조향각 및 목표 토크를 기반으로 예측 횡가속도와 예측 종가속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예측 횡가속도 또는 예측 종가속도가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목표 조향각 및 목표 토크 변경부(141)에서 변경된 목표 조향각 및 목표 토크를 제한 조정할 수 있다(S240).Thereafter, the target control
목표 조향각 및 목표 토크 변경부(141)에서 변경된 목표 조향각 및 목표 토크를 제한 조정하는 단계 S240은 운전자로부터 제한 모드를 선택받은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The step S240 of limiting and adjusting the target steering angle and target torque changed by the target steering angle and target
이후에는 상기한 단계 S230 또는 상기한 단계 S240을 통해 목표 제어값이 변경되면, 차량 모션 제어부(150)는 상기한 단계 S230 또는 단계 S240을 통해 최종적으로 변경된 목표 제어값을 기반으로 차량의 모션을 제어할 수 있다(S250).Thereafter, when the target control value is changed through step S230 or step S240, the
본 발명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 제어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for controlling an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or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field.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media), and a hardware device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I will be able to.
110. 운전성향 판단부,
120. 목표 제어값 산출부,
130. 운전자 모드 입력부,
140. 목표 제어값 변경부,
141. 목표 조향각 및 목표 토크 변경부,
143. 목표 조향각 및 목표 토크 제한부,
145. 목표 조향각 및 목표 토크 최종 변경 산출부
150. 차량 모션 제어부110. Driving propensity judgment unit,
120. Target control value calculation unit,
130. Driver mode input,
140. Target control value change unit,
141. Target steering angle and target torque change section,
143. Target steering angle and target torque limiter,
145. Target steering angle and target torque final change calculation unit
150. Vehicle Motion Control Unit
Claims (9)
상기 목표 제어값 산출부에서 산출된 목표 제어값을 운전자로부터 선택받은 운전자 모드에 기반하여 변경하는 목표 제어값 변경부; 및
상기 목표 제어값 변경부에서 변경된 목표 제어값을 기반으로 차량의 모션을 제어하는 차량 모션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목표 제어값 변경부는,
운전자로부터 선택받은 운전자 모드가 스포츠 모드이면,
목표 조향각을 하기의 수학식 1에 기반하여 변경하고,
운전자로부터 선택받은 운전자 모드가 마일드 모드이면,
목표 조향각을 하기의 수학식 2에 기반하여 변경하는, 자율주행 차량 모션 제어 장치.
[수학식 1]
수학식 1에서, 게인 과 는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은 모션 특성 값에 비례하여 각각 설정되고,
[수학식 2]
수학식 2에서, 게인 은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은 모션 특성 값에 반비례하여 설정되고, 는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은 모션 특성 값에 비례하여 설정된다.A target control value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a target control value required for autonomous driving;
A target control value changing unit for changing the target control value calculated by the target control value calculating unit based on a driver mode selected by a driver; And
Includes; a vehicle mo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o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target control value changed by the target control value changing unit,
The target control value changing unit,
If the driver mode selected by the driver is a sport mode,
Change the target steering angle based on Equation 1 below,
If the driver mode selected by the driver is mild mode,
An autonomous vehicle motion control device for changing a target steering angle based on Equation 2 below.
[Equation 1]
In Equation 1, the gain and Is set in proportion to the motion characteristic value input from the driver,
[Equation 2]
In Equation 2, the gain Is set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motion characteristic value input from the driver, Is set in proportion to the motion characteristic value input from the driver.
상기 목표 제어값 변경부는,
운전자로부터 선택받은 운전자 모드가 스포츠 모드이면,
목표 토크 값을 하기의 수학식 3에 기반하여 변경하고,
운전자로부터 선택받은 운전자 모드가 마일드 모드이면,
목표 토크 값을 하기의 수학식 4에 기반하여 변경하는, 자율주행 차량 모션 제어 장치.
[수학식 3]
수학식 3에서, 게인 과 은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은 모션 특성 값에 비례하여 각각 설정되고,
[수학식 4]
수학식 4에서, 게인 은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은 모션 특성 값에 반비례하여 설정되고, 은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은 모션 특성 값에 비례하여 설정된다.The method of claim 1,
The target control value changing unit,
If the driver mode selected by the driver is a sport mode,
Change the target torque value based on Equation 3 below,
If the driver mode selected by the driver is mild mode,
An autonomous vehicle motion control device that changes a target torque value based on Equation 4 below.
[Equation 3]
In Equation 3, the gain and Is set in proportion to the motion characteristic value input from the driver,
[Equation 4]
In Equation 4, the gain Is set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motion characteristic value input from the driver, Is set in proportion to the motion characteristic value input from the driver.
자율주행에 필요한 목표 제어값을 산출하는 목표 제어값 산출부;
상기 목표 제어값 산출부에서 산출된 목표 제어값을 상기 운전성향 판단부에서 판단된 운전성향에 기반하여 변경하는 목표 제어값 변경부; 및
상기 목표 제어값 변경부에서 변경된 목표 제어값을 기반으로 차량의 모션을 제어하는 차량 모션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목표 제어값 변경부는,
상기 운전성향 판단부에서 판단된 운전성향이 스포츠 모드이면,
목표 조향각을 하기의 수학식 1에 기반하여 변경하고,
상기 운전성향 판단부에서 판단된 운전성향이 마일드 모드이면,
목표 조향각을 하기의 수학식 2에 기반하여 변경하는, 자율주행 차량 모션 제어 장치.
[수학식 1]
수학식 1에서, 게인 과 는 상기 운전성향 판단부에서 산출된 운전성향지수에 비례하여 각각 설정되고,
[수학식 2]
수학식 2에서, 게인 은 상기 운전성향 판단부에서 산출된 운전성향지수에 반비례하여 설정되고, 는 상기 운전성향 판단부에서 산출된 운전성향지수에 비례하여 설정된다.A driving propensity determination unit that quantifies the driving propensity of the driver to calculate the driving propensity index in real time, and determines the driving propensity of the driver based on the calculated driving propensity index;
A target control value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a target control value required for autonomous driving;
A target control value changing unit for changing the target control value calculated by the target control value calculating unit based on the driving tendency determined by the driving tendency determining unit; And
Includes; a vehicle mo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o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target control value changed by the target control value changing unit,
The target control value changing unit,
If the driving tendency determined by the driving tendency determining unit is a sport mode,
Change the target steering angle based on Equation 1 below,
If the driving tendency determined by the driving tendency determining unit is a mild mode,
An autonomous vehicle motion control device for changing a target steering angle based on Equation 2 below.
[Equation 1]
In Equation 1, the gain and Are respectively set in proportion to the driving tendency index calculated by the driving tendency determination unit,
[Equation 2]
In Equation 2, the gain Is set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driving tendency index calculated by the driving tendency determination unit, Is set in proportion to the driving tendency index calculated by the driving tendency determining unit.
상기 목표 제어값 변경부는,
상기 운전성향 판단부에서 판단된 운전성향이 스포츠 모드이면,
목표 토크 값을 하기의 수학식 3에 기반하여 변경하고,
상기 운전성향 판단부에서 판단된 운전성향이 마일드 모드이면,
목표 토크 값을 하기의 수학식 4에 기반하여 변경하는, 자율주행 차량 모션 제어 장치.
[수학식 3]
수학식 3에서, 게인 과 은 상기 운전성향 판단부에서 산출된 운전성향지수에 비례하여 각각 설정되고,
[수학식 4]
수학식 4에서, 게인 은 상기 운전성향 판단부에서 산출된 운전성향지수에 반비례하여 설정되고, 은 상기 운전성향 판단부에서 산출된 운전성향지수에 비례하여 설정된다.The method of claim 4,
The target control value changing unit,
If the driving tendency determined by the driving tendency determining unit is a sport mode,
Change the target torque value based on Equation 3 below,
If the driving tendency determined by the driving tendency determining unit is a mild mode,
An autonomous vehicle motion control device that changes a target torque value based on Equation 4 below.
[Equation 3]
In Equation 3, the gain and Is each set in proportion to the driving tendency index calculated by the driving tendency determining unit,
[Equation 4]
In Equation 4, the gain Is set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driving tendency index calculated by the driving tendency determination unit, Is set in proportion to the driving tendency index calculated by the driving tendency determining unit.
목표 제어값 변경부가, 상기 목표 제어값 산출부에서 산출된 목표 제어값을 운전자로부터 선택받은 운전자 모드에 기반하여 변경하는 단계; 및
차량 모션 제어부가, 상기 변경된 목표 제어값을 기반으로 차량의 모션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목표 제어값 산출부에서 산출된 목표 제어값을 운전자로부터 선택받은 운전자 모드에 기반하여 변경하는 단계는,
운전자로부터 선택받은 운전자 모드가 스포츠 모드이면,
목표 조향각을 하기의 수학식 1에 기반하여 변경하고,
운전자로부터 선택받은 운전자 모드가 마일드 모드이면,
목표 조향각을 하기의 수학식 2에 기반하여 변경하는 단계인, 자율주행 차량 모션 제어 방법.
[수학식 1]
수학식 1에서, 게인 과 는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은 모션 특성 값에 비례하여 각각 설정되고,
[수학식 2]
수학식 2에서, 게인 은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은 모션 특성 값에 반비례하여 설정되고, 는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은 모션 특성 값에 비례하여 설정된다.Calculating, by a target control value calculating unit, a target control value required for autonomous driving;
Changing, by a target control value changing unit, a target control value calculated by the target control value calculating unit based on a driver mode selected from a driver; And
Including, by the vehicle motion controller, controlling the mo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changed target control value,
The step of changing the target control value calculated by the target control value calculation unit based on the driver mode selected by the driver,
If the driver mode selected by the driver is a sport mode,
Change the target steering angle based on Equation 1 below,
If the driver mode selected by the driver is mild mode,
An autonomous vehicle motion control method, which is a step of changing a target steering angle based on Equation 2 below.
[Equation 1]
In Equation 1, the gain and Is set in proportion to the motion characteristic value input from the driver,
[Equation 2]
In Equation 2, the gain Is set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motion characteristic value input from the driver, Is set in proportion to the motion characteristic value input from the driver.
상기 목표 제어값 산출부에서 산출된 목표 제어값을 운전자로부터 선택받은 운전자 모드에 기반하여 변경하는 단계는,
운전자로부터 선택받은 운전자 모드가 스포츠 모드이면,
목표 토크 값을 하기의 수학식 3에 기반하여 변경하고,
운전자로부터 선택받은 운전자 모드가 마일드 모드이면,
목표 토크 값을 하기의 수학식 4에 기반하여 변경하는 단계인, 자율주행 차량 모션 제어 방법.
[수학식 3]
수학식 3에서, 게인 과 은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은 모션 특성 값에 비례하여 각각 설정되고,
[수학식 4]
수학식 4에서, 게인 은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은 모션 특성 값에 반비례하여 설정되고, 은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은 모션 특성 값에 비례하여 설정된다.The method of claim 6,
The step of changing the target control value calculated by the target control value calculation unit based on the driver mode selected by the driver,
If the driver mode selected by the driver is a sport mode,
Change the target torque value based on Equation 3 below,
If the driver mode selected by the driver is mild mode,
An autonomous vehicle motion control method, which is a step of changing a target torque value based on Equation 4 below.
[Equation 3]
In Equation 3, the gain and Is set in proportion to the motion characteristic value input from the driver,
[Equation 4]
In Equation 4, the gain Is set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motion characteristic value input from the driver, Is set in proportion to the motion characteristic value input from the driver.
목표 제어값 산출부가, 자율주행에 필요한 목표 제어값을 산출하는 단계;
목표 제어값 변경부가, 상기 목표 제어값 산출부에서 산출된 목표 제어값을 상기 운전성향 판단부에서 판단된 운전성향에 기반하여 변경하는 단계; 및
차량 모션 제어부가, 상기 변경된 목표 제어값을 기반으로 차량의 모션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목표 제어값 산출부에서 산출된 목표 제어값을 상기 운전성향 판단부에서 판단된 운전성향에 기반하여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운전성향 판단부에서 판단된 운전성향이 스포츠 모드이면,
목표 조향각을 하기의 수학식 1에 기반하여 변경하고,
상기 운전성향 판단부에서 판단된 운전성향이 마일드 모드이면,
목표 조향각을 하기의 수학식 2에 기반하여 변경하는 단계인, 자율주행 차량 모션 제어 방법.
[수학식 1]
수학식 1에서, 게인 과 는 상기 운전성향 판단부에서 산출된 운전성향지수에 비례하여 각각 설정되고,
[수학식 2]
수학식 2에서, 게인 은 상기 운전성향 판단부에서 산출된 운전성향지수에 반비례하여 설정되고, 는 상기 운전성향 판단부에서 산출된 운전성향지수에 비례하여 설정된다.Calculating a driving tendency index in real time by quantifying the driving tendency of the driver, and determining the driving tendency of the driver based on the calculated driving tendency index;
Calculating, by a target control value calculating unit, a target control value required for autonomous driving;
Changing, by a target control value changing unit, a target control value calculated by the target control value calculating unit based on the driving tendency determined by the driving tendency determining unit; And
Including, by the vehicle motion controller, controlling the mo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changed target control value,
The step of changing the target control value calculated by the target control value calculating unit based on the driving tendency determined by the driving tendency determining unit,
If the driving tendency determined by the driving tendency determining unit is a sport mode,
Change the target steering angle based on Equation 1 below,
If the driving tendency determined by the driving tendency determining unit is a mild mode,
An autonomous vehicle motion control method, which is a step of changing a target steering angle based on Equation 2 below.
[Equation 1]
In Equation 1, the gain and Are respectively set in proportion to the driving tendency index calculated by the driving tendency determination unit,
[Equation 2]
In Equation 2, the gain Is set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driving tendency index calculated by the driving tendency determination unit, Is set in proportion to the driving tendency index calculated by the driving tendency determining uni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6740A KR102227037B1 (en) | 2020-02-12 | 2020-02-12 | Apparatis and method for motion control autonomous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6740A KR102227037B1 (en) | 2020-02-12 | 2020-02-12 | Apparatis and method for motion control autonomous vehic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27037B1 true KR102227037B1 (en) | 2021-03-12 |
Family
ID=75177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16740A Active KR102227037B1 (en) | 2020-02-12 | 2020-02-12 | Apparatis and method for motion control autonomous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27037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20230A (en) * | 2010-10-05 | 2014-02-18 |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behaviors of detected objects |
JP2018073374A (en) * | 2016-10-31 | 2018-05-10 | ティノス インク.Tinnos Inc. | Vehicle control method and system capable of recognizing driver |
JP2018101400A (en) * | 2016-12-20 | 2018-06-28 | バイドゥ・ユーエスエイ・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Baidu USA LLC | Method and system for recognizing individual driving preference of autonomous vehicle |
JP2018524223A (en) * | 2015-06-03 | 2018-08-30 | クリアモーショ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body movement and occupant experience |
KR20190101926A (en) | 2019-06-04 | 2019-09-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utonomous vehicl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2020
- 2020-02-12 KR KR1020200016740A patent/KR10222703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20230A (en) * | 2010-10-05 | 2014-02-18 |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behaviors of detected objects |
JP2018524223A (en) * | 2015-06-03 | 2018-08-30 | クリアモーショ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body movement and occupant experience |
JP2019218055A (en) * | 2015-06-03 | 2019-12-26 | クリアモーショ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vehicle body motion and occupant experience |
JP2018073374A (en) * | 2016-10-31 | 2018-05-10 | ティノス インク.Tinnos Inc. | Vehicle control method and system capable of recognizing driver |
JP2018101400A (en) * | 2016-12-20 | 2018-06-28 | バイドゥ・ユーエスエイ・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Baidu USA LLC | Method and system for recognizing individual driving preference of autonomous vehicle |
KR20190101926A (en) | 2019-06-04 | 2019-09-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utonomous vehicl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8706006B (en) | Vehicle driving support system | |
KR102343684B1 (en) | How to generate control data to assist drivers based on rules | |
JP4639997B2 (en) | Vehicle deceleration control device | |
CN108706012B (en) | Vehicle driving support system | |
CN108688670B (en) | Vehicle driving support system | |
US7774121B2 (en) | Curve speed control system with adaptive map preview time and driving mode selection | |
RU2556829C2 (en) | Module and method relating to mode selection when determining vehicle velocity control point values | |
JP5157304B2 (en) | Vehicle travel control device | |
US11486720B2 (en) | Method and driver assistance system for improving ride comfort of a transportation vehicle and transportation vehicle | |
US10338583B2 (en) | Driving assistance device | |
US20190344797A1 (en) | Method and system for customizing a driving behavior of an autonomous vehicle | |
US20070038336A1 (en) | Driver assisting system | |
EP4041607B1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utonomous vehicle adaptive to user driving preferences | |
JP7226197B2 (en) | vehicle controller | |
KR101509693B1 (en) | System and method of determining short term driving tendency of driver | |
JP4735195B2 (en) | Vehicle control system | |
KR102002421B1 (en) | Adaptive cruis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adaptive cruise control in consideration of traffic condition | |
JP2009006828A (en) | Vehicle speed control device and vehicle speed program | |
KR101533884B1 (en) | Optimal fuel economy driving device with 3d map | |
JP2018205794A (en) |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operation support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 |
JP6858738B2 (en) | Automatic operation control device and automatic operation control method | |
CN116529560A (en) | Method, computer program and device for adjusting course | |
KR102227037B1 (en) | Apparatis and method for motion control autonomous vehicle | |
CN111731280A (en) | Vehicle control device, vehicl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 |
CN111497824A (en) | Cross-country control brak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2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3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3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