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05953B1 - User Certification method based on multi-device, and service apparatus therefor - Google Patents

User Certification method based on multi-device, and service apparatus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5953B1
KR102205953B1 KR1020140003748A KR20140003748A KR102205953B1 KR 102205953 B1 KR102205953 B1 KR 102205953B1 KR 1020140003748 A KR1020140003748 A KR 1020140003748A KR 20140003748 A KR20140003748 A KR 20140003748A KR 102205953 B1 KR102205953 B1 KR 102205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ervice
authentication
user authent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37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84110A (en
Inventor
고경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3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5953B1/en
Publication of KR20150084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41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953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5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an additional device, e.g. smartcard, SIM or a different communication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07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tickets, e.g. Kerber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5Push-based network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와 사용자 식별 정보를 매핑하여 관리하고, 사용자 인증 요청 시, 입력된 사용자 식별 정보에 매핑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중 랜덤으로 선택된 한 디바이스를 통해서 인증 처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를 특정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 정보와 매핑하여 등록하고, 서비스를 요청한 제2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사용자 식별 정보에 매핑된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제1 디바이스를 통해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에 성공하면 서비스 이용을 위한 보안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보안 정보를 기반으로 제2 디바이스에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현된다.The present invention maps and manages one or more devices used by a user an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performs authentication processing through one device selected at random among one or more devices mapped to the input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n a user authentication is requested. A device-based user authentication method and a service apparatus therefor, comprising: mapping one or more first devices with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specific user to register, and receiv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a second device requesting a service, the received user By selecting one of one or more first devices mapped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e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selected first device, and if user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security information for service use is generated, and a second device based on the security information It is implemented to provide services to devices.

Description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장치{User Certification method based on multi-device, and service apparatus therefor}User Certification method based on multi-device, and service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사용자 인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와 사용자 식별 정보를 매핑하여 관리하고, 사용자 인증 요청 시, 입력된 사용자 식별 정보에 매핑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중 랜덤으로 선택된 한 디바이스를 통해서 인증 처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multi-device-based user authentication, and more specifically, one or more devices used by a user an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re mapped and managed, and when user authentication is requested, among one or more devices mapped to the input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device-based user authentication method for performing authentication processing through one randomly selected device, and a service apparatus therefor.

통신 기술 및 디지털 기술의 발달에 따라서,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대다수의 온라인 서비스는 사용자 별로 구분된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과금 처리를 위하여 사용자 인증 기반으로 이루어진다.With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digital technology, various online services based on the Internet are provided, and most of the online services are provided based on user authentication to provide services classified for each user or process billing.

이러한 온라인 서비스에서의 가장 기본적인 사용자 인증 방식으로는, 아이디(ID) 및 패스워드를 기반으로 한 로그인 방식을 들 수 있다.The most basic user authentication method in such an online service is a login method based on an ID and password.

이는 사용자가 회원 가입 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설정하여 등록하고, 이후 서비스 이용 시마다 앞서 등록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함으로써 사용자 본인임을 인증하는 방식이다.This is a method of certifying that the user is himself/herself by setting an ID and password when registering as a member, and inputting the previously registered ID and password every time after using the service.

그런데 이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인증 방식의 경우, key logger 등을 통해서 입력 수단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가로채는 해킹 기술을 통한 스니핑(Snipping)이 용이하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 user authentication method based on information input by a user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in that sniffing through a hacking technique that intercepts data input from an input means through a key logger or the like is easy.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아이디 및 패스워드의 입력 전, key logger와 같은 해킹 프로그램의 설치 여부를 매번 검사하도록 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는 검사에 시간이 소요된다는 불편함이 있으며, 아울러,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가 공용으로 이용하는 디바이스의 경우, 검사 프로그램의 위 변조 유무를 알 수 없으므로 검사 결과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are cases in which it is necessary to check whether or not a hacking program such as a key logger is installed before inputting an ID and password, but this is inconvenient that it takes time to check, and in addition, a number of unspecified users In the case of a device that is commonly us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liability of the test result is degraded because it is not possible to know whether or not the test program has been altered.

따라서,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하면서 보안 취약성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사용자 인증 방식이 요구되고 있다. Therefore, a new user authentication method capable of solving security vulnerabilities while minimizing user inconvenience is required.

한국특허공개 제10-2008-0067448호, 2008년 07월 21일 공개 (명칭: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컴퓨터에서의 보안 방법)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8-0067448, published on July 21, 2008 (Name: Security method in a computer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에, 본 발명은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하면서 보안 취약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이용하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와 사용자 식별 정보를 매핑하여 관리하고, 사용자 인증 요청 시, 입력된 사용자 식별 정보에 매핑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중 랜덤으로 선택된 한 디바이스를 통해서 인증 처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solve security vulnerabilities while minimizing user inconvenience, and is mapped to one or more devices used by a user an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is mapped to the input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n a user authentication is request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device-based user authentication method for performing authentication processing through one device selected at random among one or more devices, and a service apparatus therefor.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사용자 인증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한 제2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서비스 통신부; 서비스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의 등록 요청에 의하여,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를 특정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 정보와 매핑하여 등록하는 디바이스 등록부; 서비스 통신부를 통해 제2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 식별 정보에 매핑된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제1 디바이스를 통해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에 성공하면 서비스 이용을 위한 보안 정보를 생성하여 제2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인증 처리부; 사용자 식별 정보와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 간의 매핑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서비스 장치를 제공한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rvice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one or more first devices for user authentication and a second device for service use; A device registration unit that maps and registers at least one first device with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specific user according to a registration request of at least one first device received through the service communication unit; When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second device through the service communication unit, one or more first devices mapped to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re selected, use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selected first device, and if user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the service An authentication processing unit that generates security information for use and provides it to the second device; It provides a service apparatus for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a multi-device, compris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mapping information between one or more first devices.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디바이스 등록부는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된 제1 디바이스에 대하여 사용자 식별 정보와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ervice apparatus for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a multi-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registration unit performs authentication on one or more first devices and maps the authenticated first device with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인증 처리부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제1 디바이스를 랜덤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service apparatus for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a multi-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hentication process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randomly selects a first device to perform user authentic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인증 처리부는 선택한 제1 디바이스로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한 후, 제2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인증 정보가 제1 디바이스로 전송한 인증 정보와 일치하면 사용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service apparatus for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a multi-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authentication processing unit transmits a message includ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the selected first device,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cond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first devi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authentication has been successful if it matche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to.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디바이스 등록부는 인증된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에 푸시 동작에 의해 활성화되는 푸쉬 클라이언트 모듈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service apparatus for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a multi-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registration unit downloads and installs a push client module activated by a push operation to one or more authenticated first devic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인증 처리부는 선택한 제1 디바이스에 설치된 푸쉬 클라이언트 모듈을 호출하여, 푸쉬 클라이언트 모듈로부터 응답에 따라서 사용자 인증의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multi-device-based user authentication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hentication processing unit calls a push client module installed in the selected first device and determines whether user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according to a response from the push client module. It featur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보안 정보는 쿠키 또는 토큰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ervice apparatus for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a multi-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curity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in the form of a cookie or a token.

더하여,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서비스 장치가 사용자 식별 정보와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를 매핑하여 등록하는 단계; 서비스를 제공받을 제2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전송 받는 단계; 입력된 사용자 식별 정보에 매핑된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를 확인하여,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제1 디바이스를 통해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사용자 인증에 성공하면, 서비스 이용을 위한 보안 정보를 생성하여 제2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사용자 인증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nother means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service device mapp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one or more first devices and registering; Receiv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a second device to be provided with a service; Checking one or more first devices mapped to the input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electing one of the one or more first devices;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through the selected first device; And if user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generating security information for service use and providing the security information to a second device.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사용자 인증 방법에 있어서, 등록하는 단계는, 서비스 장치가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로부터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인증된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multi-device-based user authent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gistering includes: receiving, by a service apparatus, a registration request from one or more first devices; Generat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Performing authentication for one or more first devices; It may include mapping and storing at least one authenticated first device and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사용자 인증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 중 하나를 랜덤으로 선택할 수 있다.In the multi-device-based user authent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selecting one of one or more first devices may randomly select one of the one or more first devic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사용자 인증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선택한 제1 디바이스로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제2 디바이스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인증 정보가 제1 디바이스로 전송한 인증 정보와 일치하면 사용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multi-device-based user authent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forming of user authentication includes: transmitting a message includ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a selected first device; Receiv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a second device; If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cond device matche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first device, determining that the user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사용자 인증 방법에 있어서, 등록하는 단계는, 인증된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에 서비스 장치로부터 푸시 동작에 의해 활성화되는 푸쉬 클라이언트 모듈을 다운로드 하여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multi-device-based user authent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gistering step further includes downloading and installing a push client module activated by a push operation from a service device to one or more authenticated first devices. can do.

더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서비스 장치가 사용자 인증을 위해 선택한 제1 디바이스에 설치된 푸쉬 클라이언트 모듈을 호출하는 단계; 호출에 의해 활성화된 제1 디바이스의 푸쉬 클라이언트 모듈로부터 호출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1 디바이스의 푸쉬 클라이언트 모듈로부터 수신된 호출에 대한 응답에 따라서 사용자 인증의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erforming of user authentication may include: calling a push client module installed in the first device selected for user authentication by the service apparatus; Receiving a response to the call from the push client module of the first device activated by the call; And determining whether user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according to a response to a call received from the push client module of the first device.

아울러, 본 발명은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사용자 인증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performing a multi-device-based user authentication method is recorded.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와 사용자 식별 정보를 매핑하여 관리하고, 사용자 인증 요청 시, 입력된 사용자 식별 정보에 매핑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중 랜덤으로 선택된 한 디바이스를 통해서 인증 처리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Key logger 등과 같은 해킹 프로그램을 통한 입력 정보의 노출 여부 및 검사 프로그램의 위조 및 변조에 관계없이 항상 신뢰성 있는 사용자 인증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ps and manages one or more devices used by a user an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when a user authentication is requested, authentication processing is performed through one device selected at random among one or more devices mapped to the input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gardless of whether input information is exposed through hacking programs such as key loggers, and forgery or alteration of inspection programs, reliable user authentication results can always be provided.

특히, 본 발명은 서비스 이용을 위해 사용자가 이용하는 디바이스, 특히 공용 디바이스가 아닌, 사용자가 기 등록한 신뢰성 있는 제 삼의 디바이스를 통해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공격자의 스니핑 타겟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인증 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through a device used by a user for service use, not a public device, but through a trusted third device previously registered by the user, thereby changing the location of the attacker's sniffing target. You can increase your credibility.

또한, 본 발명은 고정된 디바이스가 아니라, 사용자가 이용하는 멀티 디바이스 중 임의로 선택된 디바이스를 통해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스니핑 타겟이 복수 개로 되어 공격에 대한 복잡도를 증가시키고, 그 결과 보안 취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 fixed device, but by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through a randomly selected device among multi-devices used by the user, thereby increasing the complexity of the attack due to a plurality of sniffing targets, an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ecurity vulnerability. hav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에 있어서, 서비스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에 있어서, 인증에 이용되는 제1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에 있어서, 서비스 이용 시 사용되는 제2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사용자 인증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사용자 인증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ulti-device-based user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rvice apparatus in a multi-device-based user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first device used for authentication in a multi-device-based user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 second device used when using a service in the multi-device-based user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ulti-device-based user authent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ulti-device-based user authentication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throughout the drawings.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described below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 is appropriate as a concept of terms for describing his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various alternatives that can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and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other elements, and to limit the elements. Not used.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similarly,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더하여,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할 경우, 이는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eans that it is logically or physically connected or can be connected. In other word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may exist in the middle, or may be in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described herein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 other features, or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preliminarily excluded.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은, 사용자 인증 시 사용자가 이용하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멀티 디바이스라 함)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디바이스를 통해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을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The multi-device-based user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through one device selected from one or more devices (referred to as multi-devices) used by a user during user authentication, and its configuration And explain the a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ulti-device-based user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은 통신망(10)을 통해서 상호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서비스 장치(100)와,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200)와, 제2 디바이스(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1, a multi-device-based user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rvice device 100, one or more first devices 200, and a second device 100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10. It includes a device 300.

여기서, 통신망(10)은 서비스 장치(100)와 제1 디바이스(200) 및 제2 디바이스(300) 간의 정보 교환 및 요청을 위한 일련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통신망(10)은 현재 공지되어 있거나 현재 개발 중으로 향후 이용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무선랜(WLAN, 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고속하향패킷접속(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방식 또는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Here,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performs a series of data transmission/reception operations for exchanging and requesting information between the service apparatus 100 and the first device 200 and the second device 300.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is currently known or under development, and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networks available in the future may be used, for example, WLAN (Wireless LAN), Wi-Fi, Wibro, and WiMAX.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Wimax),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or Ethernet, xDSL (ADSL, VDSL), HFC (Hybrid Fiber Coax), FTTC (Fiber to The Curb), Wired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FTTH (Fiber To The Home) may be used.

참고로, 상기 제1 디바이스(200)가 무선 기반의 휴대형 단말 장치인 경우, 통신망(10)은 제1 디바이스(200)와 무선 통신망(예를 들어, 이동통신망 또는 Wi-Fi 망)을 통해 접속되며, 제2 디바이스(300)가 PC일 경우, 통신망(10)은 제2 디바이스(300)와 유선망(예를 들어,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For reference, when the first device 200 is a wireless-based portable terminal device,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is connected to the first device 20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 Wi-Fi network). When the second device 300 is a PC,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device 300 through a wired network (eg, an Internet network)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즉, 통신망(10)은 제1 디바이스(200) 및 제3 디바이스(300)와의 통신을 위해서 서로 다른 둘 이상의 통신망이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도 있다.That is,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may be formed by combining two or more different communication networks for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device 200 and the third device 300.

이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비스 장치(100) 및 제1,2 디바이스(200, 300)에 대하여 설명한다.Now, the service apparatus 100 and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200 and 300 constituting the multi-device-based user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서비스 장치(100)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사용자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서버 장치이다. 상기 서비스 장치(100)는 인증만을 수행하는 인증 서버가 될 수 도 있고, 인증 기능을 포함하여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가 될 수 도 있다.The service apparatus 100 is a server apparatus that performs multi-device-based user authentication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device 100 may be an authentication server that performs only authentication, or may be a service server for providing a predetermined service including an authentication function.

그리고,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200)는 상기 서비스 장치(100)와 연동하여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장치이며, 제2 디바이스(300)는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고, 사용자 인증 결과에 따른 보안 정보를 이용하는 사용자 장치로 구분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first device 200 is a user device that performs multi-device-based user authentication by interworking with the service device 100, and the second device 300 requests user authentication, and the user authentication result It can be classified into user devices that use the following security information.

즉, 본 발명은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고, 사용자 인증 결과에 따른 보안 정보를 이용하는 디바이스와,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는 디바이스를 분리하며, 이러한 사용자 인증 처리를 기준으로, 제1 디바이스(200)와 제2 디바이스(300)가 구분될 수 있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s a device that requests user authentication and uses security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 authentication result from a device on which use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and based on this user authentication process, the first device 200 and the second device 300 can be distinguished.

여기서,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200)는 특정 사용자만이 접근할 수 있으며 신뢰할 수 있는 사용자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단말기는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ID(Mobile Internet Device), 스마트폰(Smart Phone)이나, 개인용 데스크톱(Desktop), 태블릿컴퓨터(Tablet PC), 노트북(Note book), 넷북(Net book)등이 될 수 있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at least one first device 200 can be accessed only by a specific user and is a trusted user device. For example, the terminal is a mobile phone,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or a mobile internet device (MID). , Smartphone (Smart Phone), personal desktop (Desktop), tablet computer (Tablet PC), notebook (Note book), it can be a net book (Net book).

반면, 제2 디바이스(300)는 서비스 장치(100)에 접속하여 상기 서비스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는 사용자 장치라면 어떤 것이라도 제한되지 않으며, 특히,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ID(Mobile Internet Device), 스마트폰(Smart Phone) 뿐만 아니라, 불특정 다수가 공용으로 이용 가능한 데스크톱(Desktop), 태블릿컴퓨터(Tablet PC), 노트북(Note book), 넷북(Net book) 도 포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device 300 is not limited to any user device that can access the service device 100 and process the service provided by the service device 100, and in particular, a mobile phone, a portable multimedia device (PMP). Player), MID (Mobile Internet Device), Smart Phone, as well as Desktop, Tablet PC, Note Book, Net Book, which can be used by many unspecified people. Can be included.

그리고, 멀티 디바이스 기반 사용자 인증을 위하여 상술한 서비스 장치(100), 및 제1,2 디바이스(200,30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In addition, the service apparatus 100 and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200 and 300 described above operate as follows for multi-device-based user authentication.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장치(100)는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사용자 인증을 위해서, 사용자 별로 사용자 식별 정보와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200)를 매핑하여 등록한다.First, the service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ps and registers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one or more first devices 200 for each user for multi-device-based user authentication.

이를 위하여, 상기 서비스 장치(1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200)로부터 등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서비스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200)에 대하여 디바이스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service apparatus 100 may generat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and may receive a registration request from one or more first devices 200. In addition, the service apparatus 100 may perform device authentication with respect to one or more first devices 200.

여기서, 사용자 식별 정보는, 서비스 이용 시 사용자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로서, 사용자가 설정하는 아이디(ID)가 될 수 있다.Here,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for classifying a user when using a service, and may be an ID set by the user.

그리고 상기 서비스 장치(100)는 서비스 이용을 위해 접속한 임의의 제2 디바이스(300)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는 사용자가 서비스 장치(100)에 접속한 제2 디바이스(300)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ice apparatus 100 receives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any second device 300 that has accessed for service use.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second device 300 connected to the service apparatus 100.

이에, 서비스 장치(100)는 제2 디바이스(3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식별 정보에 매핑된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200)를 확인하고, 그 중 하나를 선택한다. 그리고, 서비스 장치(100)는 제1 디바이스(200)를 통해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2 디바이스(300)로 서비스 이용을 위한 보안 정보(예를 들어, 쿠키 혹은 토큰)를 생성하여 제공한다.Accordingly, the service apparatus 100 checks one or more first devices 200 mapped to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cond device 300 and selects one of them. In addition, the service device 100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through the first device 200, and security information (eg, cookie or token) for service use to the second device 300 according to the user authentication result. And provide it.

상기에서 선택된 제1 디바이스(200)를 통한 사용자 인증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 예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User authentication through the first device 200 selected above may be performed in various ways, and a specific embodiment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에 있어서, 서비스 장치(100)의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service apparatus 100 in a multi-device-based user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서비스 장치(100)는, 서비스 통신부(2600)와, 디바이스 등록부(120)와, 인증 처리부(130)와, 저장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service apparatus 100 for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a multi-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rvice communication unit 2600, a device registration unit 120, an authentication processing unit 130, and a storage unit 140. ) Can be included.

서비스 통신부(2600)는 상기 통신망(10)을 기반으로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사용자 인증을 위해서 제1,2 디바이스(200, 300)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service communication unit 2600 is a componen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y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200 and 300 for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a multi-device based on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디바이스 등록부(120)는 사용자 별로,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사용자 인증에 이용될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200)와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 정보를 매핑하여 관리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디바이스 등록부(120)는 상기 서비스 통신부(2600)를 통해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200)로부터 등록 요청을 수신하며, 등록 요청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200)를 특정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 정보와 매핑하여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서 생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디바이스 등록부(120)는 사용자 인증에 이용될 제1 디바이스(200)에 대한 신뢰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등록 요청된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200)에 대한 디바이스 인증을 수행하며, 이를 통해 검증된 제1 디바이스(200)만을 사용자 식별 정보에 매핑할 수 있다.The device registration unit 120 is a configuration for mapping and managing one or more first devices 200 to be used for multi-device-based user authentication an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corresponding user for each user. To this end, the device registration unit 120 receives a registration request from one or more first devices 200 through the service communication unit 2600, and the at least one first device 200 requested to be registered is a user of a specific user. It is mapped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Here,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user settings. In addition, the device registration unit 120 performs device authentication for the at least one first device 200 requested for registration in order to increase trust in the first device 200 to be used for user authentication, and is verified through this. Only the first device 200 may be mapped to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다음으로, 인증 처리부(130)는, 서비스를 이용할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인증 처리부(130)는 상기 서비스 통신부(2600)를 통해서 임의의 상기 제2 디바이스(300)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매핑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200) 중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제1 디바이스(200)를 통해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에 성공하면 서비스 이용을 위한 보안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300)로 제공한다. 여기서, 보안 정보는 사용자 인증 여부 및 서비스 이용 범위 등을 설정하는 사용자 권한 등에 관련된 정보로서, 쿠키 혹은 토큰 형태로 생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안 정보는 일정 기간 또는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유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Next, the authentication processing unit 130 is a configuration for processing user authentication to use the service. Specifically, whe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second device 300 through the service communication unit 2600, the authentication processing unit 130, the at least one first device 200 mapped to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e of them is selected, use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selected first device 200, and if user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security information for service use is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second device 300. Here, the security information is information related to user authorization for setting user authentication status and service use range, and may be generated and provided in the form of a cookie or token. In addition, the security information may be set to be effective for a certain period or when certain conditions are satisfied.

여기서, 상기 인증 처리부(130)는 서비스를 요청한 제2 디바이스(300)로부터 서비스 요청과 함께 서비스를 이용할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Here, the authentication processing unit 130 may receiv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user who will use the service together with the service request from the second device 300 requesting the service.

아울러, 상기 인증 처리부(130)는 수신한 사용자 식별 정보에 매핑된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200) 중 하나를 선택할 때, 램덤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랜덤으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제1 디바이스(200)를 선택함으로써, 공격 타겟에 대한 불확실성을 높여, 공격을 어렵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selecting one of the one or more first devices 200 mapped to the receiv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authentication processing unit 130 may select randomly. As described above, by randomly selecting the first device 200 to perform user authentication, uncertainty about an attack target may be increased, making it difficult to attack.

아울러, 상기 인증 처리부(130)는 상기 선택한 제1 디바이스(200)를 통해서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 실시 예에서, 상기 인증 처리부(130)는,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제1 디바이스(200)로 전송한 후, 상기 제2 디바이스(300)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300)로부터 수신한 인증 정보가 상기 제1 디바이스(200)로 전송한 인증 정보와 일치하면 사용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 정보는 사용자 인증을 위해서 랜덤하게 선택한 임의의 인증 번호가 될 수 있으며, 상기 메시지는 SMS, MMS, LMS를 포함하는 다양한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이렇게 전송된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는 상기 선택된 제1 디바이스(200)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며, 이를 확인한 사용자는 제2 디바이스(300)를 통해 상기 확인한 인증 정보를 입력하여 서비스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thentication processing unit 130 may perform user authentication in various ways through the selected first device 200. In this embodiment, the authentication processing unit 130 transmits a message includ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After transmitting to the first device 200,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second device 300 and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cond device 300 is transmitted to the first device 200 If it matches with, it can be determined that user authentication has been successful. Here,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a random authentication number randomly selected for user authentication, and the message may be transmitted through various text message services including SMS, MMS, and LMS. The message including the transmitt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selected first device 200, and the user who confirms this inputs the verifi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second device 300 and sends the message to the service device 100. Can be transmitted.

또 다른 실시 예의 경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디바이스 등록부(120)는, 사용자 식별 정보와 매핑될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200)에 푸시 동작에 의해 활성화되는 푸쉬 클라이언트 모듈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는 디바이스 등록부(120)가 푸쉬 클라이언트 모듈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200)로 전송하여 설치를 지시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푸쉬 클라이언트 모듈은 서비스 장치(100)로부터의 호출에 따라서 활성화되어 사용자 인증 관련 정보를 제1 디바이스(2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하고, 아울러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서 상기 호출에 대한 응답(인증 확인 응답 등)을 서비스 장치(100)로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호출에 대한 응답은, 사용자 확인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in order to perform user authentication, the device registration unit 120 may download and install a push client module activated by a push operation on one or more first devices 200 to be mapped with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have. This may be accomplished by the device registration unit 120 instructing installation by transmitting a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push client module to the one or more first devices 200. In addition, the push client module is activated according to a call from the service device 100 and outputs user authentication-related information to the user through the first device 200, and a response to the call (authentication confirmation) according to a preset algorithm. Response, etc.) may be implemented to transmit to the service device 100. Here, the response to the call may be made through user confirmation.

이 경우, 상기 인증 처리부(130)는, 사용자 인증을 위해 선택한 제1 디바이스(200)에 설치된 푸쉬 클라이언트 모듈을 호출하여, 상기 푸쉬 클라이언트 모듈로부터의 응답에 따라서 사용자 인증의 성공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1 디바이스(200)로부터 정상적인 응답이 수신되면, 사용자 인증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고, 응답이 수신되지 않으면, 사용자 인증에 실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uthentication processing unit 130 may call a push client module installed in the first device 200 selected for user authentication, and determine whether user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according to a response from the push client module. . That is, when a normal response is received from the first device 200, it is determined that user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and if the response is not received, it may be determined that user authentication has failed.

마지막으로, 저장부(140)는 서비스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40)는 상기 디바이스 등록부(120)에 의해서 등록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와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 간의 매핑 정보(141)를 저장할 수 있으며, 아울러, 인증 처리부(130)에 의해서 사용자 인증에 성공한 경우에 제공되는 보안 정보(142)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Finally, the storage unit 140 is a configuration for storing data and programs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service apparatus 100, and in particular, may store data for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a multi-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the mapping information 141 betwee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device registration unit 120 and one or more first devices, and user authentication by the authentication processing unit 130 The security information 142 provided in the case of success in may be temporarily stored.

다음으로, 상기 서비스 장치(100)와 연동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제1 디바이스(200)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a first device 200 that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in conjunction with the service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인증에 이용되는 제1 디바이스(200)를 나타낸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device 200 used for user authentication in a multi-device-based user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200)는 입력부(210), 표시부(220), 통신부(230), 오디오 처리부(240), 저장부(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a first device 200 includes an input unit 210, a display unit 220, a communication unit 230, an audio processing unit 240, a storage unit 250, and a control unit 260.

여기서, 제어부(260)는 사용자 인증을 위해 서비스 장치(100)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푸쉬 클라이언트 모듈(261)과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메시지 처리 모듈(26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ler 26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ush client module 261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service device 100 for user authentication and a message processing module 262 that transmits and receives a text message.

각 구성 요소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입력부(2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 각종 기능 설정 및 제1 디바이스(2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260)로 전달한다. 특히, 본 발명의 입력부(210)는 디바이스 등록 요청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거나, 등록 후 사용자 인증 요청에 대한 사용자 확인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input unit 210 control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numeric and character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various function settings, and signals input in connection with function control of the first device 200. Pass it to 260. In particular, the input unit 2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a user command for requesting device registration or may receive a user confirmation signal for a user authentication request after registration.

이러한 입력부(210)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입력부(210)는 표시부(220)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210)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 장치 외에도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The input unit 2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keypad and a keypad that generates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touch or manipulation. In this case, the input unit 21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ingle touch panel (or touch screen) together with the display unit 220 to perform input and display functions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as the input unit 210, in addition to input devices such as a keyboard, keypad, mouse, and joystick, all types of input means that may be developed in the future may be used.

표시부(220)는 제1 디바이스(200)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220)는 제1 디바이스(200)의 메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22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초박막 액정표시장치(TFT-LCD, Thin Film Transistor LCD),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LED), 레티나 디스플레이(Retina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3 Dimension)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표시부(220)가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구성된 경우, 표시부(220)는 입력부(210)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220)는 푸쉬 클라이언트 모듈(261) 또는 메시지 처리 모듈(262)에 의해 처리된 사용자 인증 관련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220 displays information on a series of operation states and operation results that occur while performing a function of the first device 200.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220 may display a menu of the first device 200 and user data input by the user. The display unit 220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 ultra-thin liquid crystal display (TFT-LCD, Thin Film Transistor LCD), a light emitting diode (LED),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LED), activ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MOLED, Active Matrix OLED), Retina Display, flexible display, and 3D display. In this case, when the display unit 22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220 may perform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the input unit 210. The display unit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utput a screen related to user authentication processed by the push client module 261 or the message processing module 262.

통신부(230)는 서비스 장치(100)와 통신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멀티 디바이스 사용자 인증을 위한 디바이스 등록 과정과 관련된 데이터의 송수신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communication unit 230 is a component for communicating with the service apparatus 100 and serves to support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related to a device registration process for multi-device user authentication.

예컨대 통신부(230)는 서비스 장치(100)로 디바이스 등록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장치(100)로부터 인증 요청을 수신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230 may transmit a device registration request to the service device 100, receive an authentication request from the service device 100, and transmit a response thereto.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통신부(230)는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서비스 장치(100)와의 연동을 위한 푸쉬 클라이언트 모듈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unit 230 may receive a text message includ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orresponds to a push client module for interworking with the service device 100 You can receive a program to do.

오디오 처리부(240)는 마이크(MIC), 스피커(SPK) 등과 연결되어 제1 디바이스(200)의 동작 중 발생하는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동작 중 발생하는 오디오신호를 스피커(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출력하거나, 마이크(MIC)를 통해 인식된 다양한 가청음을 오디오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The audio processing unit 240 is connected to a microphone (MIC), a speaker (SPK), and the like to process an audio signal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first device 200, and the audio signal generated during operation is transmitted to the speaker (SPK).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output as an audible sound or convert various audible sounds recognized through a microphone (MIC) into an audio signal.

저장부(250)는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구체적으로 저장부(250)는 제1 디바이스(200)를 부팅시키는 OS 프로그램, 상기 OS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저장부(250)는 상기 푸쉬 클라이언트 모듈(261) 및 메시지 처리 모듈(262)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250)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multimedia card micro) 타입의 메모리(예컨대,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롬(ROM) 등의 저장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250 is a configuration for storing data and programs, and specifically, the storage unit 250 stores an OS program that boots the first device 200 and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executed based on the OS program. I can. In particular, the storage unit 250 may store programs corresponding to the push client module 261 and the message processing module 262. The storage unit 250 includes a flash memory, a hard disk, a multimedia card micro-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etc.), RAM, and ROM (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torage medium such as ROM).

제어부(260)는 제1 디바이스(2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하드웨어적으로 CPU(Central Processing Unit)/MPU(Micro Processing Unit)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 로딩 데이터가 로딩되는 실행 메모리(예컨대, 레지스터 및/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 및 상기 프로세서와 메모리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들을 입출력하는 버스(BUS)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적으로 제1 디바이스(200)에 기 정의된 기능, 다시 말해 소정의 기록매체로부터 메모리로 로딩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연산 처리되는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Routine) 또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260)에 포함된 푸쉬 클라이언트 모듈(261) 및 메시지 처리 모듈(262)은 각각의 기능에 대응하는 상기 프로그램 루틴 또는 프로그램 데이터와 프로세서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troller 260 performs overall control of the first device 200, and in hardware, at least one processor including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 MPU (Micro Processing Unit) and at least one memory loading data It may include a loaded execution memory (eg, a register and/or a random access memory (RAM)) and a bus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at least one data to the processor and the memory. In addition, the software may include a predefined function of the first device 200, that is, a predetermined program routine or program data that is loaded into a memory from a predetermined recording medium and processed by a processor. The push client module 261 and the message processing module 262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260 may be configured as a combination of the program routine or program data corresponding to each function and a processor.

이러한, 본 발명의 제어부(26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사용자 인증을 지원하기 위해 제1 디바이스(200) 내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와 기능적으로 연결된다. 즉, 제어부(260)는 입력부(210), 표시부(220), 통신부(230), 오디오처리부(240) 및 저장부(250)와 기능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각 구성 요소에 전원 공급 및 기능 수행을 위한 신호의 흐름을 제어하게 된다.The controller 26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unctionally connected to at least one or more components provided in the first device 200 to support multi-device-based user authent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control unit 260 is functionally connected to the input unit 210, the display unit 220, the communication unit 230, the audio processing unit 240, and the storage unit 250, and supplies power and functions to the respective components. It controls the flow of signals for.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60)는 입력부(210)를 통해 전달된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서, 통신부(230)를 제어하여 서비스 장치(100)로 디바이스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서비스 장치(100)로부터 디바이스 인증이 요청되면, 요청된 디바이스 인증을 위한 응답을 상기 서비스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응답은 제1 디바이스(200)를 인증하기 위한 정보, 예를 들어, 기기 식별 정보, 또는 사전에 저장된 인증서 등을 전송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ler 260 of the first device 200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230 according to a user input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input unit 210 to request device registration from the service apparatus 100. Thereafter, when device authentication is requested from the service device 100, a response for the requested device authentic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ice device 100. The response may be in the form of transmitting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first device 200, for exampl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a pre-stored certificate.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200)는 디바이스 등록을 요청 한 후, 상기 서비스 장치(1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서, 푸쉬 클라이언트 모듈(261)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할 수 있다. 즉, 상기 푸쉬 클라이언트 모듈(261)은 디바이스의 등록 과정을 통해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requesting device registration, the first device 200 may download and install the push client module 261 according to a request from the service device 100. . That is, the push client module 261 may be configured through a device registration process.

상술한 등록 과정을 통해서 서비스 장치(100)에 등록된 제1 디바이스(200)는 서비스 장치(100)로부터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푸쉬 클라이언트 모듈(261)에 대한 호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260)는 메시지 처리 모듈(262)을 통해서 수신된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를 표시부(220)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거나, 푸쉬 클라이언트 모듈(261)을 활성화시켜, 상기 푸쉬 클라이언트 모듈(261)의 알고리즘에 따른 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활성화된 푸쉬 클라이언트 모듈(261)은 사용자 인증이 요청되었음을 표시부(220)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알리고, 입력부(21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확인 여부에 따라서 상기 호출에 대한 응답을 서비스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호출에 대한 응답에는 사용자 인증이 지원하기 위한 정보, 예를 들어, 인증서 또는 사용자 인증에 대한 확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device 200 registered with the service device 100 through the above-described registration process receives a text message includ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device 100 or receives a call signal to the push client module 261 can do.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260 outputs a text message includ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message processing module 262 to the display unit 220 so that the user can check or activate the push client module 261 , Performs processing according to the algorithm of the push client module 261. Specifically, the activated push client module 261 outputs through the display unit 220 that user authentication has been requested to notify the user, and responds to the call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has been confirmed through the input unit 210 100). In this case, the response to the call may include information for supporting user authentication, for exampl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a certificate or user authentication.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에 있어서, 서비스 이용 시 사용되는 제2 디바이스(300)를 나타낸 구성도이다.Next, FIG.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device 300 used when using a service in a multi-device-based user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제2 디바이스(300)는 입력부(310), 표시부(320), 통신부(330), 오디오 처리부(340), 저장부(350) 및 제어부(36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second device 300 includes an input unit 310, a display unit 320, a communication unit 330, an audio processing unit 340, a storage unit 350, and a control unit 360.

여기서, 제어부(260)는 서비스 이용을 위해 서비스 장치(100)와 연동하는 브라우저 모듈(36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저장부(250)는 사용자 인증에 따라서 서비스 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보안 정보(351)를 저장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 unit 260 may include a browser module 361 interworking with the service device 100 to use a service, and the storage unit 250 is provided with security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device 100 according to user authentication. Can store 351.

각 구성 요소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입력부(3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 각종 기능 설정 및 제2 디바이스(3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360)로 전달한다. 특히, 본 발명의 입력부(310)는 특정 서비스 이용을 위해 서비스 장치(100)로의 접속 요청을 입력받거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In more detail for each component, the input unit 310 control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numeric and character information input from a user, various function settings, and signals input in connection with function control of the second device 300. Forward to 360. In particular, the input unit 3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a request for access to the service device 100 in order to use a specific service, or may receiv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user authentication.

이러한 입력부(310)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입력부(310)는 표시부(320)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310)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 장치 외에도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The input unit 31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of a keypad and a touch pad that generate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touch or manipulation. In this case, the input unit 31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ingle touch panel (or touch screen) together with the display unit 320 to perform input and display functions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as the input unit 310, in addition to input devices such as a keyboard, a keypad, a mouse, and a joystick, all types of input means that may be developed in the future may be used.

표시부(320)는 제2 디바이스(300)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320)는 제2 디바이스(300)의 메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32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초박막 액정표시장치(TFT-LCD, Thin Film Transistor LCD),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LED), 레티나 디스플레이(Retina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3 Dimension)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표시부(320)가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구성된 경우, 표시부(320)는 입력부(310)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320)는 브라우저 모듈(361)을 통해 접속된 서비스 페이지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페이지는 사용자 식별 정보 및/또는 인증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320 displays information on a series of operation states and operation results that occur while performing a function of the second device 300. Also, the display unit 320 may display a menu of the second device 300 and user data input by a user. The display unit 320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 ultra-thin liquid crystal display (TFT-LCD, Thin Film Transistor LCD), a light emitting diode (LE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organic). LED), activ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MOLED, Active Matrix OLED), Retina Display, flexible display, and 3D display. In this case, when the display unit 32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320 may perform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the input unit 310. The display unit 3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utput a service page accessed through the browser module 361. The service page may include a function of inputt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or authentication information.

통신부(330)는 서비스 장치(100)와 통신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서비스 이용과 관련된 데이터의 송수신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communication unit 330 is a component for communicating with the service device 100 and serves to support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related to service use.

예컨대 통신부(330)는 서비스 장치(100)로 서비스 요청, 사용자 식별 정보, 인증 정보 중 하나를 전송하고, 서비스 장치(100)로부터 인증 결과를 포함하는 보안 정보 및 서비스 페이지를 수신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330 may transmit one of a service request,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ice device 100 and receive security information and a service page including an authentication result from the service device 100.

오디오 처리부(340)는 마이크(MIC), 스피커(SPK) 등과 연결되어 제2 디바이스(300)의 동작 중 발생하는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동작 중 발생하는 오디오신호를 스피커(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출력하거나, 마이크(MIC)를 통해 인식된 다양한 가청음을 오디오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특히, 오디오 처리부(340)는 서비스 이용 중 발생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audio processing unit 340 is connected to a microphone (MIC), a speaker (SPK), and the like, and is configured to process an audio signal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second device 300. The audio signal generated during operation is transmitted to the speaker SPK.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output as an audible sound or convert various audible sounds recognized through a microphone (MIC) into an audio signal. In particular, the audio processing unit 340 may output an audio signal generated during service use.

저장부(350)는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구체적으로 저장부(350)는 제2 디바이스(300)를 부팅시키는 OS 프로그램, 상기 OS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350)는 서비스 장치(100)로부터 제공된 보안 정보(351)를 일정 기간 동안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350 is a configuration for storing data and programs. Specifically, the storage unit 350 stores an OS program for booting the second device 300 and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executed based on the OS program. I can. In particular, the storage unit 350 may store the security information 351 provided from the service device 100 for a predetermined period.

이러한, 저장부(350)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multimedia card micro) 타입의 메모리(예컨대,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롬(ROM) 등의 저장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350 includes a flash memory, a hard disk, a multimedia card micro-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etc.), RAM, and ROM (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torage medium such as ROM).

제어부(360)는 제2 디바이스(3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하드웨어적으로 CPU(Central Processing Unit)/MPU(Micro Processing Unit)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 로딩 데이터가 로딩되는 실행 메모리(예컨대, 레지스터 및/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 및 상기 프로세서와 메모리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들을 입출력하는 버스(BUS)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적으로 제2 디바이스(300)에 기 정의된 기능, 다시 말해 소정의 기록매체로부터 메모리로 로딩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연산 처리되는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Routine) 또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360)는 웹 기반의 서비스 페이지를 처리하기 위한 브라우저 모듈(36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브라우저 모듈(361)을 통해 서비스 장치(1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페이지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ler 360 performs overall control of the second device 300, and in hardware, at least one processor including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 MPU (Micro Processing Unit) and at least one memory loading data It may include a loaded execution memory (eg, a register and/or a random access memory (RAM)) and a bus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at least one data to the processor and the memory. In addition, the software may include a predefined function of the second device 300, that is, a predetermined program routine or program data that is loaded from a predetermined recording medium into a memory and processed by a processor. The control unit 360 may include a browser module 361 for processing a web-based service page, and may receive and output a service page provided by the service device 100 through the browser module 361. have.

이러한, 본 발명의 제어부(36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디바이스 기반 사용자 인증을 통한 서비스 이용을 지원하기 위해 제2 디바이스(300) 내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와 기능적으로 연결된다. 즉, 제어부(360)는 입력부(310), 표시부(320), 통신부(330), 오디오처리부(340) 및 저장부(350)와 기능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각 구성 요소에 전원 공급 및 기능 수행을 위한 신호의 흐름을 제어하게 된다.The controller 36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unctionally connected to at least one or more components provided in the second device 300 to support service use through multi-device-based user authent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control unit 360 is functionally connected to the input unit 310, the display unit 320, the communication unit 330, the audio processing unit 340, and the storage unit 350, and supplies power and functions to the respective components. It controls the flow of signals for.

구체적으로 제2 디바이스(300)의 제어부(360)는 입력부(310)를 통해 전달된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서, 통신부(330)를 제어하여 서비스 장치(100)로 서비스 페이지를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요청에 따라 제공되는 서비스 페이지를 브라우저 모듈(361)을 통해 랜더링하여 표시부(320)로 출력할 수 있다. 이렇게 출력된 서비스 페이지는 사용자 식별 정보 입력을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상기 서비스 장치(100)로 전송하여 사용자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360 of the second device 300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330 according to a user input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input unit 310 to request a service page from the service device 100, and the request The service page provided according to the result may be rendered through the browser module 361 and output to the display unit 320. The service page output in this way may include a configuration for inputt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through this to the service device 100 to request user authentication.

이후, 상기 제어부(360)은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 정보를 입력부(310)를 통해 입력받아 상기 서비스 장치(100)로 더 전송할 수 있다.Thereafter, the controller 360 may receiv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user authentication through the input unit 310 and further transmit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ice device 100.

그리고, 상기 제어부(360)는 사용자 인증 결과를 포함하는 보안 정보를 서비스 장치(10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60 may receive and store security information including a user authentication result from the service device 100.

이후 상기 제어부(360)는 상기 보안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 장치(100)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Thereafter, the controller 360 may use various services provided by the service device 100 based on the security information.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서비스 장치(100) 및 제1,2 디바이스(200, 300)를 통해 이루어지는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사용자 인증 방법을 설명한다.Next, a multi-device-based user authentication method performed through the service apparatus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200 and 300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사용자 인증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First, FIG. 5 is a flow chart showing a multi-device-based user authentication metho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사용자 인증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200)를 통해서 서비스 장치(100)로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S105). 여기서, 디바이스 등록 요청은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200)가 각각 서비스 장치(100)에 직접 접속하여 각각 전송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200)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200)에 대한 등록을 요청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5, a user who wants to use multi-device-based user authentication may request registration to the service apparatus 100 through one or more first devices 200 (S105). Here, the device registration request may be transmitted by each of the at least one first device 200 directly accessing the service apparatus 100, and the at least one first device may be transmitted through any one of the at least one first device 200. You can also request registration for (200).

이에, 서비스 장치(100)는 해당 사용자를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데,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ID)는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하거나 혹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할 수 있다(S110). Accordingly, the service device 100 generates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user, and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may be generated based on user information or may be generated based on input data from the user (S110). .

그리고, 상기 서비스 장치(100)는 등록 요청된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200)를 검증하기 위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200)로 디바이스 인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S115), 그에 대한 응답에 따라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200)를 검증한다(S120).In addition, the service apparatus 100 transmits a device authentication request message to the one or more first devices 200 in order to verify the one or more first devices 200 requested for registration (S115), and Therefore, the at least one first device 200 is verified (S120).

그리고, 상기 서비스 장치(100)는 검증된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200)를 상기 생성한 사용자 식별 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한다(S125).In addition, the service apparatus 100 maps and stores the at least one verified first device 200 with the generat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S125).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장치(100)는 검증된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200)에 소정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푸쉬 클라이언트 모듈(261)을 설치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rvice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download a predetermined program to one or more verified first devices 200 and install the push client module 261.

이후 사용자는 상기 기 등록된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200)가 아닌 임의의 제2 디바이스(300)를 통해 서비스 장치(100)에 접속하여 서비스 이용을 요청할 수 있다(S130). 여기서, 제2 디바이스(300)는 공공 장소에 설치되어 불특정 다수가 이용 가능한 사용자 장치일 수 있다.Thereafter, the user may access the service apparatus 100 through a second device 300 other than the one or more previously registered first devices 200 and request service use (S130). Here, the second device 300 may be a user device installed in a public place and available to a large number of unspecified users.

이 경우, 사용자는 서비스 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 페이지의 안내에 따라서 제2 디바이스(300)를 통해 자신의 사용자 식별 정보(ID)를 입력하여 서비스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S135).In this case, the user may input his/her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through the second device 300 according to the guide of the service page provided from the service apparatus 100 and transmit the input to the service apparatus 100 (S135). .

이렇게 서비스를 요청한 제2 디바이스(300)를 통해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한 서비스 장치(100)는, 수신한 사용자 식별 정보에 매핑된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200)를 확인하고(S140), 그 중 하나를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대상 디바이스로 선택한다(S145). 이때,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디바이스의 선택은 랜덤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rvice apparatus 100 receiv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second device 300 requesting the service in this way checks the one or more first devices 200 mapped to the receiv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S140), and One is selected as a target device to perform user authentication (S145). In this case, the selection of a device to perform user authentication may be made randomly.

그리고, 서비스 장치(100)는 사용자 인증을 위해, 상기 선택한 제1 디바이스(200)에 설치된 푸쉬 클라이언트 모듈(261)을 호출한다(S150).Then, the service apparatus 100 calls the push client module 261 installed in the selected first device 200 for user authentication (S150).

이때, 호출된 제1 디바이스(200)에 정상적으로 푸쉬 클라이언트 모듈(261)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푸쉬 클라이언트 모듈(261)이 동작하여, 사용자에게 인증이 요청되었음을 알려,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S155), 아울러 서비스 장치(100)로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른 응답을 전송한다(S160). 여기서, 상기 응답은, 사용자 확인을 통해 전송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응답을 거부한 경우 전송되지 않을 수 도 있다.At this time, the push client module 261 is normally installed in the called first device 200, and the push client module 261 operates, notifying the user that authentication has been requested, so that the user can check it (S155 ), and also transmits a response according to a preset algorithm to the service device 100 (S160). Here, the response may be transmitted through user confirmation, and may not be transmitted when the user rejects the response.

따라서, 서비스 장치(100)는 선택한 제1 디바이스(200)의 푸쉬 클라이언트 모듈(261)을 호출한 후, 응답이 수신되지 않으면, 사용자 인증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고, 반면 응답이 수신되면 사용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 인증의 성공 여부 및 사용자 권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보안 정보(예를 들어, 쿠키 혹은 토큰)을 생성한다(S165).Therefore, after calling the push client module 261 of the selected first device 200, the service device 100 determines that user authentication has failed if a response is not received. On the other hand, when a response is received, the user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and security information (for example, a cookie or a token) including information on user authority is generated (S165).

아울러, 상기 제2 디바이스(300)는 상기 S135 단계에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전송한 후, 기 설정된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다시 상기 서비스 장치(100)에 재접속한다(S170).In addition, after transmitt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step S135, the second device 300 reconnects to the service apparatus 100 again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S170).

이에 상기 서비스 장치(100)는 앞서 S165 단계에서의 인증 처리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생성한 보안 정보를 제2 디바이스(300)로 제공하고, 해당 보안 정보를 바탕으로 서비스를 실행한다(S175).Accordingly, the service apparatus 100 provides the generated security information to the second device 300 based on the result of the authentication process in step S165 above, and executes the service based on the security information (S175).

이상은 푸쉬 방식으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경우의 실시 예를 설명한 것이다.The above describes an embodiment of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using a push method.

따라서, 사용자는 불특정 다수에게 노출되거나 위변조 여부를 알 수 없는 제2 디바이스(300)를 통해서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모두 입력하여 노출시키지 않고, 사용자 식별 정보만을 입력함으로써, 기 등록된 신뢰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200)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안전하게 사용자 인증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a user intends to use the service through the second device 300 that is exposed to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or does not know whether forgery or alteration is not known, the user is not exposed by entering both the ID and password, but by entering only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securely process user authentication through any one of the trusted one or more first devices 200.

다음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사용자 인증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Next, FIG. 6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ulti-device-based user authentication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제1 실시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사용자 인증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200)를 통해서 서비스 장치(100)로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S205). 여기서, 디바이스 등록 요청은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200)를 통해 각각 서비스 장치(100)로 직접 접속할 수 도 있으며,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200)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200)에 대한 등록을 요청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6, as in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a user who wants to use multi-device-based user authentication may request registration as the service apparatus 100 through one or more first devices 200 ( S205). Here, the device registration reques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service device 100 through one or more first devices 200, and the one or more first devices 200 through any one of the one or more first devices 200. You can also request registration for ).

이후, 서비스 장치(100)는 해당 사용자를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데,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ID)는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하거나 혹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할 수 있다(S210). Thereafter, the service device 100 generates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user, and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may be generated based on user information or may be generated based on input data from the user (S210). .

그리고, 상기 서비스 장치(100)는 등록 요청된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200)를 검증하기 위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200)로 디바이스 인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S215), 그에 대한 응답에 따라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200)를 검증한다(S220).In addition, the service device 100 transmits a device authentication request message to the one or more first devices 200 to verify the one or more first devices 200 requested for registration (S215), and responds to the Therefore, the at least one first device 200 is verified (S220).

그리고, 상기 서비스 장치(100)는 검증된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200)를 상기 생성한 사용자 식별 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한다(S225).In addition, the service apparatus 100 maps and stores the at least one verified first device 200 with the generat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S225).

상술한 S205 단계 내지 S225 단계는 앞서 제1 실시 예의 S105 단계 내지 S125 단계와 유사하게 이루어지며, 다만,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멀티 디바이스 기반 사용자 인증에 이용할 제1 디바이스(200)에 푸쉬 클라이언트 모듈(261)을 설치하는 과정이 생략된다.Steps S205 to S225 described above are performed similarly to steps S105 to S125 of the first embodiment.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module 261 is omitted.

이후 사용자는 상기 기 등록된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200)가 아닌 임의의 제2 디바이스(300)를 통해 서비스 장치(100)에 접속하여 서비스 이용을 요청할 수 있다(S230). 여기서, 제2 디바이스(300)는 공공 장소에 설치되어 불특정 다수가 이용 가능한 사용자 장치일 수 있다.Thereafter, the user may access the service apparatus 100 through a second device 300 other than the one or more previously registered first devices 200 and request service use (S230). Here, the second device 300 may be a user device installed in a public place and available to a large number of unspecified users.

이 경우, 사용자는 서비스 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 페이지의 안내에 따라서 제2 디바이스(300)를 통해 자신의 사용자 식별 정보(ID)를 입력하여 서비스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S235).In this case, the user may input his/her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through the second device 300 according to the guide of the service page provided from the service device 100 and transmit it to the service device 100 (S235). .

이렇게 서비스를 요청한 제2 디바이스(300)를 통해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한 서비스 장치(100)는, 수신한 사용자 식별 정보에 매핑된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200)를 확인하고(S240), 그 중 하나를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대상 디바이스로 선택한다(S245). 이때,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디바이스의 선택은 랜덤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rvice apparatus 100 receiv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second device 300 requesting the service in this way checks the at least one first device 200 mapped to the receiv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S240), and One is selected as a target device to perform user authentication (S245). In this case, the selection of a device to perform user authentication may be made randomly.

그리고, 서비스 장치(100)는 사용자 인증을 위해, 상기 선택한 제1 디바이스(200)로 인증 정보를 전송한다(S250). 여기서, 상기 인증 정보는, SMS, MMS, LMS와 같은 메시지 서비스를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Then, the service apparatus 100 transmits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the selected first device 200 for user authentication (S250). Here,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hrough a message service such as SMS, MMS, and LMS.

따라서, 선택된 제1 디바이스(200)는 메시지 처리 모듈(262)를 통해서 상기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후, 표시부(22)를 통해 출력한다(S255).Accordingly, the selected first device 200 receives a message includ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message processing module 262 and then outputs it through the display unit 22 (S255).

이렇게 제1 디바이스(200)를 통해 인증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는, 제2 디바이스(300)가 접속한 서비스 페이지를 통해서 상기 인증 정보를 입력하여 서비스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S260).The user who check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first device 200 in this way may input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service page accessed by the second device 300 and transmit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ice apparatus 100 (S260).

서비스를 요청한 제2 디바이스(300)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한 서비스 장치(100)는 상기 수신한 인증 정보가 앞서 제1 디바이스(200)로 전송한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 지를 비교하고, 일치할 경우 사용자 인증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 인증 성공 여부 및 사용자 권한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보안 정보(예를 들어, 쿠키)를 생성한다(S265).Upon receiv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econd device 300 requesting the service, the service device 100 compares whether the receiv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tche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previously transmitted to the first device 200, and if it does, the user It is determined that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and security information (eg, cookie) including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user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and user authority is generated (S265).

그리고, 상기 생성한 보안 정보를 제2 디바이스(300)로 제공하고, 이후, 상기 보안 정보를 바탕으로 서비스를 실행한다(S270).Then, the generated security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second device 300, and then, a service is executed based on the security information (S270).

이상에 의하면, 멀티 디바이스 중 랜덤으로 선택된 제1 디바이스(200)로 인증 정보(예를 들어, 인증 번호)를 전송하여, 전송된 인증 번호를 제2 디바이스(300)로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제2 디바이스(300)를 통해서 사용자 정보가 노출될 가능성 및 공격자가 랜덤하게 선택된 제1 디바이스(200)로 전송된 인증 정보를 가로챌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사용자 인증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authentication information (eg, authentication number) is transmitted to the first device 200 randomly selected from among the multi-devices, and the transmitted authentication number is input to the second device 300, so that the second device Through 300, the possibility that user information is exposed and the possibility that an attacker intercept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randomly selected first device 200 can be minimized, and as a result, reliability for user authentication can be increased.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사용자 인증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ulti-device-based user authent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of software that can be rea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ere, th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a program command, a data file, a data structure, or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For example, the recording medium is a magnetic medium such as a hard disk, a floppy disk, and a magnetic tape, an optical medium such as a 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CD-ROM), a digital video disk (DVD), and a floppy disk. Magnetic-Optical Media, such as a floptical disk,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ndom Access Memory (RAM), Flash memory, etc. do. Examples of the program instructions may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se hardware devices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장치(100)나 제1,2 디바이스(200, 300)에 탑재되는 프로세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일 구현 예에서, 이 프로세서는 싱글 쓰레드(Single-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 예에서 본 프로세서는 멀티 쓰레드(Multi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다. 나아가 본 프로세서는 메모리 혹은 저장 장치 상에 저장된 명령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Further, a processor mounted in the service apparatus 100 or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200 and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cess program instructions for exec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implementation example, the processor may be a single-threaded processor, and in another implementation example, the processor may be a multithreaded processor. Furthermore, the processor is capable of processing instructions stored in a memory or a storage device.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장치(100)나 제1,2 디바이스(200, 3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앞서 설명한 기능들과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명령으로는, 예컨대 JavaScript나 ECMAScript 명령 등의 스크립트 명령과 같은 해석되는 명령이나 실행 가능한 코드 혹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는 기타의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서버 팜(Server Farm)과 같이 네트워크에 걸쳐서 분산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혹은 단일의 컴퓨터 장치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The service apparatus 100 or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200 and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riven by a command that causes one or more processors to perform the functions and processe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such instructions may include interpreted instructions such as script instructions such as JavaScript or ECMAScript instructions, executable code, or other instructions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Furthermore,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over a network, such as a server farm, or may be implemented in a single computer device.

비록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는 예시적인 장치 구성을 기술하고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다른 유형의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describe exemplary device configurations, the functional operations and implementations of the subject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implemented with other types of digital electronic circuits, or the structures disclosed herein and structural equivalents thereof. It may be implemented with computer software, firmware, or hardware, or may be implemented by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m. Implementations of the subject matter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e or more computer program products, that is, one relating to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encoded on a tangible program storage medium for execution by o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t can be implemented as the above module.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be a machine-readable storage device, a machine-readable storage substrate, a memory device, a composition of materials that affect a machine-readable radio wave signal,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m.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탑재되고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 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A computer program (also known as a program, software, software application, script or code) mounted on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exec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iled or interpreted language or programming including a priori or procedural language. It can be written in any form of language, and can be deployed in any form, including standalone programs, modules, components, subroutines, or other units suitable for use in a computer environment. Computer programs do not necessarily correspond to files in the file system. A program may be in a single file provided to the requested program, or in multiple interactive files (e.g., files that store one or more modules, subprograms, or portions of code), or part of a file that holds other programs or data. (Eg, one or more scripts stored within a markup language document). The computer program may be deployed to run on one computer or multiple computers located at one site or distributed across a plurality of sites and interconnected by a communication network.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Implementations of the subject matter described herein include a backend component, such as a data server, or a middleware component such as an application server, or, for example, a web browser or graphic user that allows a user to interact with an implementation of the subject matter described herein. It can be implemented in a front-end component, such as a client computer with an interface, or a computing system that includes an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such back-ends, middleware or front-end components. The components of the system can be interconnected by any form or medium of digital data communication, for example a communication network.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While this specification includes details of a number of specific implementations, these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o the scope of any invention or claim, but rather as a description of features that may be peculiar to a particular embodiment of a particular invention. It must be understood. Certain features described herein in the context of separat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in a single embodiment. Conversely, various features described in the context of a single embodiment can also be implemented in multiple embodiments individually or in any suitable sub-combination. Furthermore, although features operate in a particular combination and may be initially described as so claimed, one or more features from a claimed combination may in some cases be excluded from the combination, and the claimed combination may be a subcombination. Or sub-combination variations.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Likewise, although operations are depicted in the drawings in a specific order,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such operations must be performed in that particular order or sequential order shown, or that all illustrated operations must be performed in order to obtain a desired result. In certain cases, multitasking and parallel processing can be advantageous. In addition, separation of the various system component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not be understood as requiring such separation in all embodiments, and the program components and systems described are generally integrated together into a single software product or packaged in multiple software products. You should understand that you can.

아울러,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나,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although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disclos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other modified example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even with the exceptions disclosed herein. It is self-evident to those who have knowledge. In addition,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used in a general meaning to easily describe the technica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term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와 사용자 식별 정보를 매핑하여 관리하고, 사용자 인증 요청 시, 입력된 사용자 식별 정보에 매핑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중 랜덤으로 선택된 한 디바이스를 통해서 인증 처리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Key logger 등과 같은 해킹 프로그램을 통한 입력 정보의 노출 여부 및 검사 프로그램의 위조 및 변조에 관계없이 항상 신뢰성 있는 사용자 인증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ps and manages one or more devices used by a user an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when a user authentication is requested, authentication processing is performed through one device selected at random among one or more devices mapped to the input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gardless of whether input information is exposed through hacking programs such as key loggers, and forgery or alteration of inspection programs, reliable user authentication results can always be provided.

특히, 본 발명은 서비스 이용을 위해 사용자가 이용하는 디바이스, 특히 공용 디바이스가 아닌, 사용자가 기 등록한 신뢰성 있는 제 삼의 디바이스를 통해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공격자의 스니핑 타겟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인증 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through a device used by a user for service use, not a public device, but through a trusted third device previously registered by the user, thereby changing the location of the attacker's sniffing target. You can increase your credibility.

또한, 본 발명은 고정된 디바이스가 아니라, 사용자가 이용하는 멀티 디바이스 중 임의로 선택된 디바이스를 통해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스니핑 타겟이 복수 개로 되어 공격에 대한 복잡도를 증가시키고, 그 결과 보안 취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 fixed device, but by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through a randomly selected device among multi-devices used by the user, thereby increasing the complexity of the attack due to a plurality of sniffing targets, an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ecurity vulnerability. have.

10: 통신망
100: 서비스 장치
200: 제1 디바이스
300: 제2 디바이스
10: communication network
100: service device
200: first device
300: second device

Claims (14)

사용자 인증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한 제2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서비스 통신부;
상기 서비스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의 등록 요청에 의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를 특정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 정보와 매핑하여 등록하는 디바이스 등록부;
상기 서비스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매핑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제1 디바이스를 통해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서비스 이용을 위한 보안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인증 처리부;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와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 간의 매핑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디바이스 등록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인증된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에 푸시 동작으로 활성화되는 푸쉬 클라이언트 모듈을 설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서비스 장치.
A service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one or more first devices for user authentication and a second device for service use;
A device registration unit for registering the at least one first device by mapping the at least one first device with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specific user in response to a registration request of the at least one first device received through the service communication unit;
When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second device through the service communication unit, one of the one or more first devices mapped to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selected, use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selected first device, and user authentication An authentication processing unit generating security information for use of the service and providing the security information to the second device upon success;
A storage unit for storing mapping information betwee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one or more first devices,
The device registration unit
A service apparatus for multi-device-based user authent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ing authentication on the at least one first device and controlling to install a push client module activated by a push operation on the at least one authenticated firs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등록부는
상기 인증된 제1 디바이스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와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서비스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evice registration unit
A service apparatus for multi-device-based user authent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mapping the authenticated first device with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처리부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상기 제1 디바이스를 랜덤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서비스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uthentication processing unit
A service apparatus for multi-device-based user authent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device to perform user authentication is randomly select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처리부는
상기 선택한 제1 디바이스에 설치된 푸쉬 클라이언트 모듈을 호출하여, 상기 푸쉬 클라이언트 모듈로부터 응답에 따라서 사용자 인증의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서비스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uthentication processing unit
A service apparatus for multi-device-based user authentication, comprising calling a push client module installed in the selected first device and determining whether user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according to a response from the push client module.
삭제delete 서비스 장치가 사용자 식별 정보와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를 매핑하여 등록하는 단계;
서비스를 제공받을 제2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전송 받는 단계;
입력된 사용자 식별 정보에 매핑된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를 확인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제1 디바이스를 통해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사용자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서비스 이용을 위한 보안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된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에 푸시 동작으로 활성화되는 푸쉬 클라이언트 모듈을 설치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사용자 인증 방법.
Registering, by a service device, mapp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one or more first devices;
Receiv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a second device to be provided with a service;
Checking one or more first devices mapped to the input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electing one of the one or more first devices;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through the selected first device; And
If user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the step of generating security information for using the service and providing it to the second device,
The registering step
Performing authentication for the at least one first device; And
Controlling to install a push client module activated by a push operation on the at least one authenticated first device;
Multi-device-based user authentication method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003748A 2014-01-13 2014-01-13 User Certification method based on multi-device, and service apparatus therefor Active KR1022059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748A KR102205953B1 (en) 2014-01-13 2014-01-13 User Certification method based on multi-device, and service apparatus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748A KR102205953B1 (en) 2014-01-13 2014-01-13 User Certification method based on multi-device, and service apparatus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4110A KR20150084110A (en) 2015-07-22
KR102205953B1 true KR102205953B1 (en) 2021-01-20

Family

ID=53874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3748A Active KR102205953B1 (en) 2014-01-13 2014-01-13 User Certification method based on multi-device, and service apparatus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595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9562A (en) * 2019-01-17 2020-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shared digital key
CN118377495A (en) * 2023-01-20 2024-07-23 华为技术有限公司 Application program installation method and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95887B (en) * 2006-04-11 2013-02-13 高通股份有限公司 Method and apparatus for binding multiple authentications
KR101368122B1 (en) 2007-01-16 2014-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security of computer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puter therefor
KR101029364B1 (en) * 2008-06-24 2011-04-13 주식회사 케이티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grated web browsing service
KR101031977B1 (en) * 2008-08-29 2011-04-2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Authentication method of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4110A (en) 201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002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s based on actions associated with untrusted emails
US11921839B2 (en) Multiple device credential sharing
JP7086994B2 (en) Secure authentication of BOT users
US20210126835A1 (en) Internet of things device discovery and deployment
JP6576555B2 (en) Service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system
US10754941B2 (en) User device security manager
US8749361B2 (en) Method and system for tactile signaled authentication
US11165780B2 (en) Systems and methods to secure publicly-hosted cloud applications to run only within the context of a trusted client application
US1229910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ximity single sign-on
WO2014052892A1 (en) Cloud-assisted method and service for application security verification
US960067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count recovery using a platform attestation credential
US12206647B2 (en) Dynamic variance mechanism for securing enterprise resources using a virtual private network
WO2017113119A1 (en) Method and device for associating application with biological characteristic, and mobile terminal
JP2014519674A (en) Trusted platform based open ID authentic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CN110795737A (en) Method and terminal equipment for upgrading service application range of electronic identity card
US20230186304A1 (en) Transaction Validation Service
US20200036749A1 (en) Web browser incorporating social and community features
CN113994330A (en) System and method for single sign-on of application program
CN113630253A (en) Login method, device, computer system and readable storage medium
KR102362108B1 (en) Authent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20150128129A1 (en) Method and device for installing application
KR102205953B1 (en) User Certification method based on multi-device, and service apparatus therefor
CN114884722B (en) Vulnerability detec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US9426144B1 (en) Single sign-on service security protections
KR102228940B1 (en) Device-based secure payment method and system, and apparatus for payment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1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1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1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6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1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1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