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7111B1 -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of Remained Adhesive Quantity on The Tooth Surface - Google Patents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of Remained Adhesive Quantity on The Tooth Surfa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97111B1 KR102197111B1 KR1020190053766A KR20190053766A KR102197111B1 KR 102197111 B1 KR102197111 B1 KR 102197111B1 KR 1020190053766 A KR1020190053766 A KR 1020190053766A KR 20190053766 A KR20190053766 A KR 20190053766A KR 102197111 B1 KR102197111 B1 KR 1021971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dhesive residue
- image
- residue
- tooth surface
- adhesiv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5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2014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03325 tomograph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10365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9877 rende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7781 pre-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2935 Avera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3479 dental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282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16 cosmetic surg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98 dental ename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28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62—Arrangements for scanning
- A61B5/0066—Optical coherence imag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6—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specially adapted to be cemented to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 표면상의 접착잔여물 측정 시스템 및 접착잔여물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광간섭단층촬영장치를 이용하여, 치아 표면 상으로 빛을 입사시켜서 반사 또는 산란되는 빛을 수광하여 상기 치아에 대한 단층이미지의 획득이 이루어지는 단층이미지획득단계; 상기 단층이미지획득단계에서 얻어진 다수의 단층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치아 표면 상에 남아있는 접착제인 접착잔여물의 존부에 대한 판단과 상기 접착잔여물에 대한 물리적 정보를 얻는 접착잔여물파악단계; 및 상기 잔여물파악단계에서 얻어진 상기 접착잔여물에 대한 물리적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정보제공이 이루어지는 정보제공단계;를 포함하므로, 치아의 표면상에 남아있는 접착잔여물에 대한 정보를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주므로 접착잔여물 제거의 정확도를 증대시켜주고, 접착잔여물 제거시 치아의 손상을 억제시켜줄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measuring adhesive residues on a tooth surface and a method for measuring adhesive residues.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device, light is incident on the tooth surface to receive light reflected or scattered. A tomographic image acquisition step of obtaining a tomographic image of the tooth; An adhesion residue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adhesive residue remaining on the tooth surface by using a plurality of tomographic images obtained in the tomographic image acquisition step and obtaining physical information on the adhesive residue; And an information providing step in which information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physical information on the adhesive residue obtained in the residue grasping step; thus, information on the adhesive residue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tooth is measured. Thus, since it is provided to the user, a technology is disclosed that increases the accuracy of removing adhesive residues and suppresses damage to teeth when removing adhesive residues.
Description
본 발명은 접착잔여물 측정 시스템 및 접착잔여물 측정방법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아교정기 탈거 후 치아표면 상에 남아있는 접착잔여물의 제거를 위해 광간섭 단층이미지를 이용하여 치아표면 상의 접착잔여물을 파악할 수 있는 측정시스템 및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hesive residue measuring system and an adhesive residue measur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remove the adhesive residue remaining on the tooth surface after removal of the orthodontic appliance by using an optical interference tomographic image to the adhesive residue on the tooth surface. It relates to a measuring system and measuring method that can grasp water.
근래에 미용 또는 성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치열이 고르게 되도록 교정하기 위한 치아교정치료 또한 증가하고 있다. 치아교정에 관련하여 다양한 기술이 있으며, 이 중에서 특히 교정용 브라켓을 이용한 치아교정술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as interest in beauty or plastic surgery increases, orthodontic treatments for correcting teeth to be evenly increased are also increasing. There are various technologies related to orthodontics, and among them, orthodontics using orthodontic brackets are widely used.
교정용 브라켓을 이용한 치아교정술에서는, 다수의 치아 각각에 대하여 브라켓을 납착한 밴드를 장착하는 방식으로 법랑질(dental enamel)에 대해 교정용 브라켓을 접착한다. 교정용 브라켓을 치아에 접착시키기 위하여 통상 고점도 레진 페이스트와 같은 치아 교정용 접착제가 많이 사용된다. In orthodontic surgery using an orthodontic bracket, an orthodontic bracket is adhered to a dental enamel by attaching a band to which the bracket is attached to each of a plurality of teeth. In order to adhere the orthodontic bracket to the teeth, an orthodontic adhesive such as a high viscosity resin paste is commonly used.
이러한 치아 교정용 접착제를 이용하여 교정용 브라켓을 치아에 접착시킨 후 일정 기간이 경과되어 교정치료가 종료되면 교정용브라켓을 치아로부터 분리제거를 시켜준다.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after the orthodontic bracket is adhered to the teeth using such an orthodontic adhesive, the orthodontic bracket is separated and removed from the teeth when the orthodontic treatment is completed.
이 과정에서 치아교정용 접착제 또한 제거되어야 한다. 교정용 브라켓을 제거시킬 때 경화된 치아교정용 접착제 또한 제거가 되지만 치아로부터 완전히 제거되지 못하고 일부 치아교정용 접착제가 치아 표면상에 남아 있는 경우가 많다.In this process, the orthodontic adhesive must also be removed. When removing the orthodontic bracket, the cured orthodontic adhesive is also removed, but it is not completely removed from the tooth and some orthodontic adhesive remains on the tooth surface in many cases.
따라서, 종래에는 치과의사가 육안관측으로 잔여접착제의 양을 예측하고 잔여 접착제를 제거하였다. 그러나 치아표면과 접착제를 육안으로 정확하게 구분하여 판단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잔여접착물 제거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밖에 없었으며, 아울러 치아의 손상 또한 커질 수 밖에 없었다. Therefore, conventionally, the dentist predicted the amount of residual adhesive by visual observation and removed the residual adhesive. However, since it is very difficult to accurately distinguish between the tooth surface and the adhesive with the naked eye, the accuracy of removing the residual adhesive was degraded, and the damage to the tooth was also increased.
따라서 치아의 표면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접착제만 제거할 수 있도록 치아 표면상에 남아있는 접착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어왔다. Therefore, there has been a demand for a technology capable of accurately grasping the adhesive remaining on the tooth surface so that only the adhesive can be removed without damaging the tooth surface.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치아 표면상에 남아있는 접착잔여물을 측정할 수 있는 접착잔여물 측정시스템 및 접착잔여물 측정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o provide an adhesive residue measuring system and adhesive residue measuring method capable of measuring the adhesive residue remaining on the tooth surfa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아 표면상의 접착잔여물 측정방법은, 광간섭단층촬영장치를 이용하여, 치아 표면 상으로 빛을 입사시켜서 반사 또는 산란되는 빛을 수광하여 상기 치아에 대한 단층이미지의 획득이 이루어지는 단층이미지획득단계; 상기 단층이미지획득단계에서 얻어진 다수의 단층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치아 표면 상에 남아있는 접착제인 접착잔여물의 존부에 대한 판단과 상기 접착잔여물에 대한 물리적 정보를 얻는 접착잔여물파악단계; 및 상기 잔여물파악단계에서 얻어진 상기 접착잔여물에 대한 물리적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정보제공이 이루어지는 정보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A method for measuring adhesion residues on a tooth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by using a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pparatus, light is incident on the tooth surface to receive reflected or scattered light. A tomographic image acquisition step of obtaining a tomographic image of the tooth; An adhesion residue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adhesive residue remaining on the tooth surface by using a plurality of tomographic images obtained in the tomographic image acquisition step and obtaining physical information on the adhesive residue; And an information providing step in which information is provided so that a user can recognize physical information on the adhesive residue obtained in the residue grasping step.
여기서, 상기 접착잔여물파악단계는, 상기 단층이미지획득단계에서 순차적으로 획득된 다수의 상기 단층이미지 각각에 대하여 임의의 기준치 이상의 픽셀강도(pixel intensity)를 갖는 픽셀들로 픽셀라인이 형성된 전처리이미지를 형성시키는 전처리단계; 및 상기 전처리단계에서 형성된 다수의 상기 전처리이미지 상의 상기 픽셀라인을 비교하여 상기 접착잔여물의 존부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접착잔여물에 대한 3차원 랜더링(rendering)이미지를 형성시키는 판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adhesion residue, a pre-processed image in which a pixel line is formed with pixels having a pixel intensity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tomographic images sequentially obtained in the tomographic image acquisition step A pretreatment step of forming; And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adhesive residue by comparing the pixel lines on the plurality of preprocessed images formed in the preprocessing step, and forming a three-dimensional rendering image of the adhesive residue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it. It may be another feature that includes;
나아가, 상기 정보제공단계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상기 접착잔여물에 대한 물리적 정보는 상기 접착잔여물이 상기 치아 표면상에서 차지하는 면적, 상기 접착잔여물의 부피 및 상기 접착잔여물의 형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Further, the physical information on the adhesive residue provided to the user in the information providing step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of the area occupied by the adhesive residue on the tooth surface, the volume of the adhesive residue, and the shape of the adhesive residue. It can also be characterized as another feature.
여기서, 상기 전처리단계에서, 상기 단층이미지에서 픽셀강도가 기준치에 미만인 경우 해당 픽셀강도를 0으로 설정하고, 픽셀강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해당 픽셀강도를 255로 설정시킴으로써 상기 픽셀라인이 형성된 상기 전처리이미지를 형성시키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in the pre-processing step, when the pixel intensity in the tomography image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pixel intensity is set to 0, and when the pixel intensity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pixel intensity is set to 255, so that the preprocessed image in which the pixel line is formed Forming may be another feature.
또한, 상기 판단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상기 픽셀라인의 비교는, N번째 상기 전처리이미지(N : 양의 정수)의 상기 픽셀라인과 N+1번째 상기 전처리이미지의 상기 픽셀라인을 비교하는 것으로서, 동일한 X축 좌표성분을 갖음으로써 서로 대응되는 픽셀들끼리 Y축 좌표성분을 비교하여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픽셀에서 Y축 좌표성분의 간격차이가 기준간격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N번째 전처리이미지를 기준이미지로 설정하고, 상기 N+1번째 전처리이미지를 상기 접착잔여물의 존재가 시작되는 치아 부분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mparison of the pixel lines performed in the determination step is to compare the pixel line of the N-th pre-processed image (N: a positive integer) with the pixel line of the N+1-th pre-processed image, and the same X-axis Comparing the Y-axis coordinate components between the corresponding pixels by having the coordinate components, and when the gap difference between the Y-axis coordinate components in at least one or more pixels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interval, the N-th preprocessed image is set as the reference image. Another feature may be to determine that the N+1 th pre-processed image corresponds to a tooth portion where the presence of the adhesive residue begins.
나아가, 상기 판단단계에서, 기 설정된 상기 기준이미지 상의 상기 픽셀라인을 기준으로 하여 N+1번째 이후 순번의 상기 전처리이미지 상의 상기 픽셀라인과 순차적으로 비교하되, N+a번째(a : 2 이상의 양의 정수)의 상기 전처리이미지 상의 상기 픽셀라인과의 비교에서, 동일한 X축 좌표성분을 갖음으로써 서로 대응되는 픽셀들끼리의 Y축 좌표성분 비교하여 Y축좌표성분에서의 간격차이가 기준간격보다 큰 것이 없으면, N+a번째 전처리이미지를 접착잔여물의 존재가 종료되는 치아 부분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N번째 전처리이미지를 상기 기준이미지에서 해제시키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Further, in the determination step, based on the pixel line on the reference image set in advance, the pixel lines on the preprocessed image in the order of N+1 and subsequent times are compared sequentially, and N+a-th (a: 2 or more) In the comparison with the pixel line on the pre-processed image of (integer), the gap difference in the Y-axis coordinate component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interval by comparing the Y-axis coordinate components of the pixel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by having the same X-axis coordinate component. If there is non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N+a-th pre-processed image corresponds to the tooth portion where the presence of the adhesive residue ends, and the N-th pre-processed image is released from the reference image.
나아가 상기 판단단계에서, 상기 기준이미지가 설정되기 전 또는 해제된 상태인 경우에, 다수의 상기 전처리이미지 중 M번째 상기 전처리이미지(M : 양의 정수)의 상기 픽셀라인과 M+1번째 상기 전처리이미지의 상기 픽셀라인과의 비교판단은, 동일한 X축 좌표성분을 갖음으로써 서로 대응되는 픽셀들끼리의 Y축 좌표성분 비교하되, Y축좌표성분에서의 간격차이가 기준간격보다 큰 것이 없으면 M+1번째 상기 전처리이미지를 상기 접착잔여물이 부존재하는 치아부분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Further, in the determination step, when the reference image is set or released, the pixel line of the M-th pre-processed image (M: positive integer) and the M+1-th pre-processed of the plurality of pre-processed images The comparison with the pixel line of the image is to compare the Y-axis coordinate components of the pixels that correspond to each other by having the same X-axis coordinate component, but if the gap difference in the Y-axis coordinate component is not larger than the reference interval, M+ Another feature may be to determine that the first pre-processed image corresponds to a tooth portion in which the adhesive residue is absent.
나아가, 상기 판단단계에서, 상기 접착잔여물이 부존재하는 치아부분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단된 다수의 상기 전처리이미지 상의 상기 픽셀라인들을 평균하여 얻어지는 픽셀라인을 치아표면라인으로 설정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Further, in the determination step, a pixel line obtained by averaging the pixel lines on the plurality of pre-processed images determined to correspond to a tooth portion in which the adhesive residue is absent is set as a tooth surface line. You may.
나아가 상기 판단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상기 픽셀라인과의 비교판단에서, 동일한 X축 좌표성분을 갖음으로써 서로 대응되는 픽셀들끼리 Y축 좌표성분을 비교하여 Y축 좌표성분의 간격차이가 기준간격보다 큰 픽셀만 픽셀라인에 남겨두고 Y축 좌표성분의 간격차이가 기준간격 이하인 픽셀은 픽셀라인에서 제거함으로써 잔여물표면픽셀라인을 형성시키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Furthermore, in the comparison judgment with the pixel line made in the determination step, pixels having the same X-axis coordinate component and corresponding pixels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so that only pixels having a gap difference between the Y-axis coordinate components greater than the reference interval are compared. Another feature may be that pixels that are left on the pixel line and have a gap difference between the Y-axis coordinate components equal to or less than the reference interval are removed from the pixel line to form a residual surface pixel line.
더 나아가 상기 판단단계에서, 상기 접착잔여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N+1번째 상기 전처리이미지부터 N+a-1번째 상기 전처리이미지까지 각각에 대하여 상기 치아표면라인을 반영시킴으로써 접착잔여물단층이미지를 형성시키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Furthermore, in the determination step, a tomographic image of the adhesive residue by reflecting the tooth surface line for each of the N+1th pre-processed image determined to be present to the N+a-1th pre-processed image. It may be another feature to form.
더 나아가 상기 판단단계에서, a-2개의 상기 접착잔여물단층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접착잔여물이 상기 치아 표면상에서 차지하는 면적 또는 상기 접착잔여물의 부피를 계산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Furthermore, in the determination step, another feature may be that the area occupied by the adhesive residue on the tooth surface or the volume of the adhesive residue is calculated using a-2 tomographic images of the adhesive residue.
더 나아가 상기 판단단계에서, a-2개의 상기 접착잔여물단층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접착잔여물에 대한 상기 3차원 랜더링이미지를 형성시키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Furthermore, in the determination step, it may be another feature of forming the three-dimensional rendering image of the adhesive residue by using a-2 of the adhesive residue tomographic image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아 표면상의 접착잔여물 측정시스템은 치아에 광을 조사하여 광간섭단층이미지를 획득하는 광간섭단층촬영장치; 및 상기 광간섭단층촬영장치로부터 정보수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광간섭단층촬영장치로부터 광간섭단층이미지를 전달받아서, 치아 표면 상에 남아있는 접착제인 접착잔여물의 존부를 판단하고, 치아 표면 상에 상기 접착잔여물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접착잔여물에 대한 물리적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정보처리하여 제공하는 정보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A system for measuring adhesion residues on a tooth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pparatus for obtaining a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image by irradiating light onto the teeth; And a connection to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pparatus, receiving a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image from th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pparatus,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adhesive residue remaining on the tooth surface, and In the case where the adhesive residue is present,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hat processes and provides physical information on the adhesive residue so that a user can recognize it is provided.
여기서,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광간섭단층촬영장치 측으로부터 상기 광간섭단층이미지를 전달받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로 전달된 상기 광간섭단층이미지가 저장되는 데이터저장부; 상기 통신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광간섭단층이미지를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시키며,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다수의 광간섭단층이미지를 토대로 치아 표면 상의 상기 접착잔여물의 존부를 판단하고, 치아 표면 상의 상기 접착잔여물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접착잔여물에 대한 물리적 정보를 얻는 중앙처리부; 및 상기 중앙처리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접착잔여물에 대한 물리적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receiving th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image from the side of th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pparatus; A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optical interference tomography image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The optical interference tomography image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is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adhesive residue on the tooth surface is determined based on a plurality of optical interference tomography images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and the adhesion on the tooth surface A central processing unit that obtains physical information on the adhesive residue when there is a residue;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physical information on the adhesive residue received fro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so that a user can recognize it.
본 발명에 따른 치아 표면상의 접착잔여물 측정 시스템과 접착잔여물 측정방법은, 치아의 표면상에 남아있는 접착잔여물에 대한 정보를 측정하여 제공하므로 접착잔여물 제거의 정확도를 증대시켜주고, 접착잔여물 제거시 치아의 손상을 억제시켜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adhesive residue measuring system and the adhesive residue measuring method on the tooth su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 and provide information on the adhesive residue remaining on the tooth surface, thereby increasing the accuracy of the adhesive residue removal a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uppress the damage to the teeth when removing the residu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아 표면상의 접착잔여물 측정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아 표면상의 접착잔여물 측정시스템의 정보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아 표면상의 접착잔여물 측정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아 표면상의 접착잔여물 측정방법에서, 치아 표면상의 접착잔여물의 존부를 판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아 표면상의 접착잔여물 측정방법에서 얻어지는 치아표면라인과 잔여물표면픽셀라인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아 표면상의 접착잔여물 측정방법에서 얻어지는 접착잔여물의 일부 측단면 및 평면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ystem for measuring adhesive residues on a tooth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of a system for measuring adhesive residues on a tooth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 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of measuring an adhesive residue on a tooth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schematic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adhesive residue on a tooth surface in a method for measuring an adhesive residue on a tooth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ooth surface line and a residual surface pixel line obtained in a method of measuring an adhesion residue on a tooth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 and a plan view of an adhesive residue obtained in a method for measuring an adhesive residue on a tooth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re specifically understoo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아 표면상의 접착잔여물 측정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아 표면상의 접착잔여물 측정시스템의 정보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ystem for measuring adhesive residues on a tooth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of a system for measuring adhesive residues on a tooth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shown.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아 표면상의 접착잔여물 측정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치아 표면상의 접착잔여물 측정시스템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후에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치아 표면상의 접착잔여물 측정방법에 대하여 설명을 하기로 한다.First, a system for measuring adhesive residues on a tooth surface capable of performing a method for measuring adhesive residues on a tooth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and then on a tooth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measuring the adhesive residue will be described below.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아표면상의 접착잔여물 측정시스템은 광간섭단층촬영장치 및 정보처리장치를 포함한다. 1 to 2, a system for measuring adhesion residues on a tooth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pparatus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광간섭단층촬영장치는 광간섭을 이용하여 치아의 단층이미지를 다수 획득한다. 이러한 광간섭단층촬영장치는 광원(100), 광분리기(200), 기준단(300), 측정단(400) 및 신호수집기(500)를 포함한다.Th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pparatus acquires multiple tomographic images of teeth by using optical interference. Such a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pparatus includes a
광원(100)은 치아(10)의 단층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광을 형성시킨다. 광원(100)에서 형성된 광은 광분리기(200)로 이동된다. 광원으로는 백색광광원 또는 파장훑음 레이저(swept sourc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광분리기(200)는 광원(100)으로부터 형성되어 온 광을 분리하여 기준단(300)과 측정단(400)으로 각각 나누어 전달한다. The
측정단(400)은 광분리기(200)로부터 이동되어오는 빛을 치아(10)로 입사시켜준다. 측정단(400)으로 이동된 빛은 대물렌즈(미도시)에 의해 집광되어 치아(10)로 입사되며, 입사된 빛 중 일부가 반사 또는 산란되어 되돌아온다.The
기준단(300)에는 기준거울(미도시)이 마련되어 있으며, 광분리기(200)에서 분리된 광을 기준거울을 통해 반사시켜서 되돌려 보내준다.A reference mirror (not shown) is provided in the
신호수집기(500)는 광검출기로서, 기준단(300)에서 반사되어 오는 빛과 측정단(400)으로부터 이동되어 오는 빛을 함께 합쳐서 광간섭신호 또는 광간섭스펙트럼을 추출하며, 광간섭단층이미지가 형성된다. 형성된 광간섭단층이미지는 정보처리장치(600) 측으로 전송된다.The
정보처리장치(600)는 광간섭단층촬영장치의 신호수집기(500)로부터 광간섭단층이미지를 다수 전달받아서 사용자가 치아(10) 표면상의 접착잔여물(20)을 파악할 수 있도록 정보처리하여 제공한다. The
이러한 정보처리장치(600)는 도 2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중앙처리부(610), 데이터저장부(620), 통신부(630) 및 출력부(640)을 포함한다. 여기서 필요에 따라 입력부(65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통신부(630)는 광간섭단층촬영장치의 신호수집기(500) 측으로부터 다수의 광간섭단층이미지를 전달받아서 중앙처리부(610)으로 전달한다. The
중앙처리부(610)는 통신부(630)을 통해 전달받은 다수의 광간섭단층이미지를 데이터저장부(620)에 저장시킨다. 그리고 데이터저장부(620)에 저장된 다수의 광간섭단층이미지를 토대로 치아(10) 표면상의 접착잔여물(20)의 존부를 판단하고, 접착잔여물(20)의 이미지, 치아 표면상에서 점유하는 면적, 부피 등 접착잔여물(20)에 대한 물리적 정보를 얻는다. The
그리고, 중앙처리부(610)는 접착잔여물(20)에 대한 물리적 정보를 데이터저장부(620)에 저장시킬 수 있으며, 접착잔여물(20)에 대한 물리적 정보를 사용자가 파악할 수 있도록 출력부(640)으로 전달한다.In addition, the
출력부(640)는 중앙처리부(610)로부터 접착잔여물(20)에 대한 물리적 정보를 전달받아서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한다. 이러한 출력부(640)의 일 예로서 모니터기기를 들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출력부(640)을 통해 접착잔여물(20)이 치아 표면상에서 차지하는 면적, 부피 또는 입체적 형태 등을 파악할 수 있다. The
이와 같은 치아 표면상의 접착잔여물 측정시스템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아 표면상의 접착잔여물 측정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The method of measuring the adhesive residue on the tooth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using such a system for measuring the adhesive residue on the tooth surface.
이어서 도 3 내지 도 7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아 표면상의 접착잔여물 측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Next, a method of measuring an adhesive residue on a tooth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further reference to FIGS. 3 to 7.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아 표면상의 접착잔여물 측정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아 표면상의 접착잔여물 측정방법에서, 접착잔여물의 존부를 판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아 표면상의 접착잔여물 측정방법에서 얻어지는 치아표면라인과 잔여물표면픽셀라인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아 표면상의 접착잔여물 측정방법에서 얻어지는 접착잔여물의 일부 측단면 및 평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flow 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of measuring an adhesive residue on a tooth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 and 5 are a method for measuring an adhesive residue on a tooth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chematic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determination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water, and FIG.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tooth surface line and a residual surface pixel line obtained in a method for measuring adhesion residue on a tooth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partial side cross-section and plane of an adhesive residue obtained in a method for measuring an adhesive residue on a tooth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아 표면상의 접착잔여물 측정방법은 단층이미지획득단계(S100), 접착잔여물파악단계(S200) 및 정보제공단계(S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3, the method of measuring the adhesion residue on the tooth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mographic image acquisition step (S100), an adhesion residue determination step (S200), and an information provision step (S300). .
<< S100 >><< S100 >>
단층이미지획득단계(S100)는 광간섭단층촬영장치를 이용하여, 치아(10) 표면 상으로 빛을 입사시켜서 반사 또는 산란되는 빛을 수광하여 치아(10)에 대한 단층이미지의 획득이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The tomography image acquisition step (S100) is a step in which light is incident on the surface of the
도 1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광간섭단층촬영장치를 통해 얻어진 치아(10)의 단층이미지는 신호수집기(500)에서 정보처리장치(600)의 통신부(630)으로 전송된다. The tomographic image of the
정보처리장치(600)의 통신부(630)로 전송된 단층이미지는 중앙처리부(610)에 의하여 데이터저장부(620)에 순차적으로 저장된다. The tomographic images transmitted to the
<< S200 >><< S200 >>
접착잔여물파악단계(S200)에서는 단층이미지획득단계(S100)에서 순차적으로 얻어진 다수의 단층이미지를 이용하여 치아(10) 표면 상에 남아있는 접착제인 접착잔여물(20)의 존부에 대한 판단과 접착잔여물(20)에 대한 물리적 정보를 얻는다. In the determination of the adhesive residue (S200), determination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adhesive residue (20)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이러한 접착잔여물파악단계(S200)는 전처리단계(S210) 및 판단단계(S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bonding residue determination step (S200) may include a pretreatment step (S210) and a determination step (S220).
< S210 ><S210>
전처리단계(S210)는 단층이미지획득단계(S100)에서 순차적으로 획득된 다수의 단층이미지 각각에 대하여, 임의의 기준치 이상의 픽셀강도(pixel intensity)를 갖는 픽셀(pixel)들로 픽셀라인이 형성된 전처리이미지를 형성시키는 단계이다.The pre-processing step (S210) is a pre-processed image in which a pixel line is formed with pixels having a pixel intensity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for each of a plurality of tomographic images sequentially acquired in the tomographic image acquisition step (S100). Is the step of forming.
여기서 픽셀라인이 형성된 전처리이미지는, 단층이미지에서 픽셀강도가 기준치에 미만인 경우 해당 픽셀강도를 0으로 설정하고, 픽셀강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해당 픽셀강도를 255로 설정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pre-processed image in which the pixel line is formed may be formed by setting the pixel intensity to 0 when the pixel intensity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in the tomographic image, and by setting the pixel intensity to 255 when the pixel intensity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중앙처리부(610)는 데이터저장부(620)에 저장된 다수의 광간섭단층이미지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불러온다. The
도 4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치아(10)에 대하여 스캔이 진행되는 방향으로 한 장씩 순차적으로 스캔함으로써 광간섭단층이미지가 얻어지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광간섭단층이미지들이 데이터저장부(620)에 저장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4, a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image is obtained by sequentially scanning the
그리고 한 장씩 차례로 광간섭단층이미지를 데이터저장부(620)로부터 로딩한 다음 광간섭단층이미지에서 픽셀들의 픽셀강도를 기준치와 비교하여 전처리이미지를 형성시킨다. Then, one by one, th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image is sequentially loaded from the
여기서 픽셀강도의 기준치가 110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광간섭단층이미지 내에서 픽셀강도가 110보다 작은 픽셀들에 대해서는 픽셀강도를 0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픽셀강도가 기준치인 110 이상인 픽셀들에 대해서는 픽셀강도를 255로 설정시킨다. Here, if the reference value of the pixel intensity is set to 110, the pixel intensity is set to 0 for pixels whose pixel intensity is less than 110 in the optical interference tomography image. In addition, for pixels whose pixel intensity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of 110, the pixel intensity is set to 255.
이와 같이 픽셀강도를 재설정시킴에 따라 원래 픽셀강도가 110 이상인 픽셀들만 남게 되며, 픽셀강도가 255로 설정된 픽셀들로 픽셀라인이 형성된다. As the pixel intensity is reset as described above, only pixels with an original pixel intensity of 110 or more remain, and a pixel line is formed with pixels whose pixel intensity is set to 255.
이처럼 픽셀라인이 형성된 전처리이미지를 광간섭단층이미지로부터 형성시켜준다. 필요에 따라서는 전처리단계(S210)에서 형성된 전처리이미지들 또한 중앙처리부(610)에 의해 데이터저장부(620)에 저장시킬 수도 있으며, 이 또한 바람직하다.In this way, the preprocessed image in which the pixel line is formed is formed from the optical interference tomographic image. If necessary, the pre-processed images formed in the pre-processing step (S210) may also be stored in the
< S220 > <S220>
판단단계(S220)는 전처리단계(S210)에서 형성된 다수의 전처리이미지 상의 픽셀라인을 비교하여 접착잔여물(20)의 존부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접착잔여물(20)에 대한 3차원 랜더링(rendering)이미지를 형성시키는 단계이다.The determination step (S220) determin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판단단계(S220)에서 이루어지는 전처리이미지의 픽셀라인 비교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mparison of the pixel lines of the preprocessed image performed in the determination step S220 may be performed as follows.
기본적으로 다수의 전처리이미지 중 M번째 전처리이미지의 픽셀라인과 M+1번째 전처리이미지의 픽셀라인과의 비교판단은, 동일한 X축 좌표성분을 갖음으로써 서로 대응되는 픽셀들끼리의 Y축 좌표성분 비교하되, 픽셀의 Y축 좌표성분에서의 간격차이가 기준간격보다 큰 것이 없으면, M+1번째 전처리이미지를 접착잔여물(20)이 부존재하는 치아(10) 부분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M은 임의의 양의 정수이다.Basically, the comparison of the pixel line of the M-th pre-processed image and the pixel line of the M+1 pre-processed image among a number of pre-processed images is to compare the Y-axis coordinate components of the corresponding pixels by having the same X-axis coordinate component. However, if the gap difference in the Y-axis coordinate component of the pixel is not greater than the reference gap, it is determined that the M+1 preprocessed image corresponds to the portion of the
예를 들어, 3번째 전처리이미지의 픽셀라인과 4번째 전처리이미지의 픽셀라인을 비교할 때 3번째 전처리이미지의 픽셀라인에 속하는 픽셀로서 픽셀좌표가 (5,10)인 것과 4번째 전처리이미지의 픽셀라인에 속하는 픽셀로서 픽셀좌표가 (5,8)인 것을 비교한다는 것이다. For example, when comparing the pixel line of the 3rd preprocessed image and the pixel line of the 4th preprocessed image, a pixel belonging to the pixel line of the 3rd preprocessed image and the pixel coordinates of (5,10) and the pixel line of the 4th preprocessed image It compares the pixels with the pixel coordinates of (5,8).
이 경우 기준간격이 3 이라고 한다면, 비교하는 두 픽셀의 Y축 좌표성분이 10 과 8 로서 간격차이는 2 이므로 기준간격인 3보다 작다고 판단하며 X축 좌표성분이 5인 지점에서의 픽셀라인에서는 접착잔여물(20)이 부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In this case, if the reference interval is 3, the Y-axis coordinate components of the two pixels to be compared are 10 and 8, and the gap difference is 2, so it is determined that it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interval 3, and the pixel line at the point where the X-axis coordinate component is 5 is adhered. It is determined that the
이러한 방식으로 픽셀라인의 처음부터 끝까지 각각의 픽셀을 대응되는 픽셀과 각기 비교하여 Y축 좌표성분이 기준간격보다 큰 차이를 나타내는 픽셀이 있는지 비교판단을 한다. In this way, each pixel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the pixel line is compared with the corresponding pixel, and a comparison and judgment is made whether there is a pixel representing a difference in which the Y-axis coordinate component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interval.
그 결과 기준간격보다 큰 차이를 나타내는 픽셀이 없으면 4번째 전처리이미지는 치아(10)의 표면상에 접착잔여물(20)이 없는 부분에 해당되는 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4번째 전처리이미지의 픽셀라인과 다음 순번인 5번째 전처리이미지의 픽셀라인을 위와 같은 방식으로 비교판단을 한다는 것이다. As a result, if there is no pixel showing a difference greater than the reference interval, the fourth pre-processed image is determined to correspond to the portion where there is no
이와 같은 판단은 기준이미지가 설정되기 전 또는 해제된 상태인 경우에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준이미지는 당해 전처리이미지가 치아(10) 표면상에 접착잔여물이 남아 있는 부분에 해당되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비교기준이 되는 전처리이미지를 말한다.Such a determination is made before the reference image is set or in the case of being released. Here, the reference image refers to a pre-processed image serving as a reference for comparison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pre-processed image corresponds to a portion of the
그리고, 다수의 전처리이미지 중에서 접착잔여물(20)이 부존재하는 치아(10) 부분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단된 다수의 전처리이미지 픽셀라인들을 평균하여 얻어지는 픽셀라인을 치아표면라인(702, 도 6 참조)으로 설정한다.In addition, a pixel line obtained by averaging a plurality of pre-processed image pixel lines determined to correspond to a portion of the
기준이미지의 설정 및 접착잔여물의 존재판단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tting of the reference image and the determination of the presence of the adhesive residue can be made as follows.
판단단계(S220)에서 이루어지는 픽셀라인의 비교는, N번째 전처리이미지의 픽셀라인과 N+1번째 전처리이미지의 픽셀라인을 비교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N은 임의의 양의 정수이다. 그리고, 동일한 X축 좌표성분을 갖음으로써 서로 대응되는 픽셀들끼리 Y축 좌표성분을 비교하여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픽셀에서 Y축 좌표성분의 간격차이가 기준간격보다 큰 경우에는, N번째 전처리이미지를 기준이미지로 설정한다. The comparison of the pixel lines performed in the determination step S220 may be performed by comparing the pixel lines of the Nth preprocessed image and the pixel lines of the N+1th preprocessed image. Where N is any positive integer. And, by comparing the Y-axis coordinate components of the corresponding pixels by having the same X-axis coordinate component, if the gap difference between the Y-axis coordinate components in at least one or more pixels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interval, the N-th preprocessed image is referenced. Set as an image.
그리고, N+1번째 전처리이미지를 접착잔여물(20)의 존재가 시작되는 치아 부분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T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N+1th preprocessed image corresponds to a tooth portion where the presence of the
이와 같이 기준이미지가 설정되면, N+2번째 전처리이미지부터는 기준이미지로 설정된 N번째 전처리이미지와 비교하여 판단한다.When the reference image is set in this way, the N+2 preprocessed image is determined by comparing it with the Nth preprocessed image set as the reference image.
도 4에서, 도면부호 710이 지시하는 위치에서 스캔된 광간섭단층이미지 및 전처리이미지에서는 치아(10) 표면상에 접착잔여물(20)이 없는 부분에 대한 이미지이므로 접착잔여물(20)이 나타나지 않는다. In FIG. 4, in th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image and the preprocessed image scanned at the position indicated by
그리고, 도면부호 720의 위치에서 스캔된 광간섭단층이미지 및 전처리이미지에서는 접착잔여물(20)이 있는 부분에 대한 이미지이므로 광간섭단층이미지 및 전처리이미지에 접착잔여물(20)이 존재함에 따른 두께가 반영되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optical interference tomography image and the preprocessed image scanned at the position of 720 are the image of the portion with the
도 4에서 도면부호 710의 위치에서 스캔된 광간섭단층이미지에 대한 전처리이미지를 도 5의 도면부호 710에 나타내었다. 마찬가지로 도면부호 720의 위치에서 스캔된 광간섭단층이미지에 대한 전처리이미지를 도 5의 도면부호 720에 나타내었다.A preprocessed image of th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image scanned at the
그리고,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해 도면부호 710의 전처리이미지와 도면부호720의 전처리이미지를 겹친 모습을 도 5의 우측에 나타내었다. And, for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 state in which the
여기서, 도면부호 712의 픽셀라인과 도면부호 722의 픽셀라인은 접착잔여물(20)이 없는 부분에서 겹쳐지게 된다. 즉, 픽셀라인에 속하는 각 픽셀의 X축좌표성분과 Y축좌표성분이 비교대상이 되는 픽셀라인에서 대응되는 픽셀의 X축 좌표성분과 Y축 좌표성분이 같으면 픽셀라인이 겹쳐지게 된다. Here, the pixel line of
그러나, 접착잔여물(20)이 있는 부분에서는 겹쳐지지 않고 차이가 나타나게 된다. 즉, 동일한 X축 좌표성분을 갖고 있음으로써 서로 대응되는 두 픽셀의 Y축 좌표성분이 차이가 있기 때문에 두 픽셀라인이 겹쳐지지 않는 부분이 되는 것이다. However, in the portion where the
따라서 두 픽셀라인 간의 간격차이(d)가 기준간격보다 크게 나타나면 접착잔여물(20)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Therefore, if the gap difference (d) between the two pixel lines is larger than the reference gap, it is determined that the
여기서 기준간격은 3픽셀로 설정된 것도 바람직하다. 기준간격이 3픽셀로 설정된 경우 두 픽셀라인 사이의 간격차이가 3픽셀 이상인 부분은 접착잔여물(20)이 존재하는 부분으로 판단을 한다. Here,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reference interval is set to 3 pixels. When the reference interval is set to 3 pixels, a portion in which the gap difference between the two pixel lines is 3 pixels or more is determined as a portion where the
그리고, 기준간격보다 큰 간격차이가 나타나는 픽셀이 있으면, 해당 전처리이미지는 접착잔여물(20)이 있는 부분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비교기준이 된 바로 직전 순번의 전처리이미지를 기준이미지로 설정한다. 그리고 이후 다음 차례 순번의 전처리이미지와 비교되는 기준이 된다. And, if there is a pixel with a gap difference greater than the reference interval, it is determined that the corresponding pre-processed image corresponds to the portion where the
도 5에서 도면부호 710의 전처리이미지의 픽셀라인(712)과 도면부호 720의 전처리이미지의 픽셀라인(722)을 비교판단할 때 도 5의 우측에 겹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잔여물(20)의 표면부분에 해당되는 픽셀라인(724)는 겹쳐지지 않고 접착잔여물(20)이 없는 부분에서는 두 픽셀라인(712, 722)이 겹쳐진다. 여기서 도면부호 712의 픽셀라인과 도면부호 724의 픽셀라인은 Y축 성분에서 간격차이(d)를 나타내게 되며, 이 간격차이가 기준간격보다 크면 도면부호 710의 전처리이미지로 설정되고, 도면부호 712의 픽셀라인이 비교 기준이 된다. In FIG. 5, when comparing the
따라서 다음 순번인 도면부호 730(도 4참조)에 해당되는 위치에서의 전처리이미지는 기준이미지(710)와 비교되어 접착잔여물(20)의 존재여부가 판단된다.Therefore, the pre-processed image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next reference numeral 730 (refer to FIG. 4) is compared with the
접착잔여물(20)의 존재가 종료되는 부분에서의 비교판단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omparative judgment at the portion where the presence of the
기 설정된 기준이미지 상의 픽셀라인을 기준으로 하여 N+1번째 이후 순번의 전처리이미지 상의 픽셀라인과 순차적으로 비교하되, N+a번째의 전처리이미지 픽셀라인과의 비교에서, 동일한 X축 좌표성분을 갖음으로써 서로 대응되는 픽셀들끼리의 Y축 좌표성분 비교하여 Y축좌표성분에서의 간격차이가 기준간격보다 큰 것이 없으면, N+a번째 전처리이미지를 접착잔여물의 존재가 종료되는 치아 부분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기준이미지인 N번째 전처리이미지를 기준이미지에서 해제시켜준다. 여기서 a는 2 이상의 양의 정수를 의미한다. Based on the pixel line on the preset reference image, it is compared sequentially with the pixel lines on the preprocessed image of the N+1th or later, but has the same X-axis coordinate component in comparison with the pixel line of the N+ath preprocessed image. If there is no gap difference in the Y-axis coordinate component greater than the reference interval by comparing the Y-axis coordinate components of the pixel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 N+a-th pre-processed image is considered to correspond to the tooth portion where the presence of the adhesive residue ends. It is determined, and the N-th preprocessed image, which is the reference image, is released from the reference image. Here, a means a positive integer of 2 or more.
도 4에서 도면부호 710의 위치에 해당되는 전처리이미지가 기준이미지일 때 도면부호 770의 위치에 해당되는 전처리이미지와의 비교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접촉잔여물(20)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In FIG. 4, when the preprocessed imag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그러나, 기준이미지와 도면부호 780의 위치에 해당되는 전처리이미지와의 비교에서 동일한 X축 좌표성분을 갖음으로써 서로 대응되는 픽셀들끼리의 Y축 좌표성분 비교하였을 때, 접촉잔여물(20)이 없는 부분이므로 Y축좌표성분에서의 간격차이가 기준간격보다 큰 것이 없을 것이다. However, when comparing the reference image with the preprocessed imag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따라서 도면부호 780에 해당되는 전처리이미지를 접착잔여물(20)의 존재가 종료되는 치아 부분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Accordingly,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processed image corresponding to the
그리고, 접착잔여물(20)이 있는 부분에 해당되는 전처리이미지들의 개수도 파악하여 접착잔여물(20)이 치아(10) 표면에서 차지하는 면적 또는 부피의 계산에 이용한다. In addition, the number of pre-processed images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with the
아울러, 치아(10) 표면 상에 접착잔여물(20)이 있는 부분에 해당되는 전처리이미지인 것으로 판단되면 잔여물표면픽셀라인(704)을 형성시킨다.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mage is a pre-processed image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of the
즉, 픽셀라인과의 비교판단에서 동일한 X축 좌표성분을 갖음으로써 서로 대응되는 픽셀들끼리 Y축 좌표성분을 비교하여 Y축 좌표성분의 간격차이가 기준간격보다 큰 픽셀만 픽셀라인에 남겨두고 Y축 좌표성분의 간격차이가 기준간격 이하인 픽셀은 픽셀라인에서 제거함으로써 도 6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잔여물표면픽셀라인(704)을 형성시킨다.In other words, by comparing the Y-axis coordinate component with the pixel line by having the same X-axis coordinate component, only pixels with a gap difference between the Y-axis coordinate component greater than the reference interval are left in the pixel line by comparing the Y-axis coordinate component with each other. Pixels having an interval difference between the axis coordinate components equal to or less than the reference interval are removed from the pixel line to form a residual
그리고, 접착잔여물(20)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N+1번째 전처리이미지부터 N+a-1번째 전처리이미지까지 각각에 대하여 치아표면라인(702)을 반영시킴으로써 도 6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잔여물표면픽셀라인(704)과 치아표면라인(702)이 나타난 접착잔여물단층이미지를 형성시킨다. In addition, by reflecting the
이 때 접착잔여물(20)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N+1번째 전처리이미지부터 N+a-1번째 전처리이미지까지의 접착잔여물단층이미지의 개수는 총 a-2개가 된다.At this time, the total number of tomographic images of adhesive residues from the N+1 pre-processed image to the N+a-1 pre-processed image determined to be present is a-2.
도 6에서는 잔여물표면픽셀라인(704)과 치아표면라인(702)이 표현된 하나의 접착잔여물단층이미지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In FIG. 6, a schematic view of one adhesive residue tomographic image in which the residue
이와 같이 접착잔여물단층이미지를 형성시킨 후에는 a-2개의 접착잔여물단층이미지를 이용하여 접착잔여물(20)이 치아(10) 표면상에서 차지하는 면적 또는 접착잔여물의 부피를 계산한다.After the adhesion residue tomography image is formed in this way, the area occupied by the
면적의 경우 광간섭단층이미지를 얻을 때 측정하는 범위의 가로길이, 세로길이 및 픽셀갯수의 정보를 알 수 있다. 이를 토대로 접착잔여물(20)의 최대 가로길이와 최대 세로길이에 의한 넓이를 가지는 사각형을 가지고 접착잔여물(20)이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로 접착잔여물(20)의 면적이 계산된다.In the case of area, information on the horizontal length, vertical length and number of pixels of the range measured when obtaining an optical interference tomography image can be known. Based on this, the area of the
부피는 잔여물표면픽셀라인(704)을 이용하여 접촉잔여물(20)의 높이평균치를 구한다. 그리고 접촉잔여물(20)의 높이평균치와 접촉잔여물(20)의 면적을 곱하여 줌으로써 접촉잔여물(20)의 부피를 계산한다.As for the volume, the height average value of the
또한, a-2개의 접착잔여물단층이미지를 이용하여 접착잔여물(20)에 대한 3차원 랜더링(rendering)이미지를 형성시킬수도 있다. In addition, a three-dimensional rendering image of the
이와 같은 접착잔여물파악단계(S200)가 중앙처리부(610)에 의해 실시될 수 있으며, 접착잔여물(20)이 치아(10) 표면상에서 차지하는 면적 또는 접착잔여물(20)의 부피 그리고 접착잔여물(20)에 대한 3차원 랜더링이미지가 출력부(640)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출력부(640)를 통해 사용자가 접착잔여물(20)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Such an adhesive residue determination step (S200) may be performed by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접착잔여물파악단계(S200)가 중앙처리부(610)에 의해 실행된다. The bonding residue determination step (S200) as described above is executed by the
<< S300 >><< S300 >>
정보제공단계(S300)는 접착잔여물파악단계(S200)에서 얻어진 접착잔여물(20)에 대한 물리적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정보제공이 이루어지는 단계이다.The information providing step (S300) is a step in which information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physical information on the
정보제공단계(S300)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접착잔여물(20)에 대한 물리적 정보는 접착잔여물(20)이 치아(10) 표면상에서 차지하는 면적, 접착잔여물(20)의 부피 및 접착잔여물(20)의 형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hysical information on the
이러한 정보제공단계(S300)는 중앙처리부(61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기기와 같은 출력부(64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출력부(640)를 통해 사용자는 치아(10) 표면상의 접착잔여물(20)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This information providing step (S300) may be performed by an
도 7에서는 출력부(640)의 일 예인 모니터 디스플레이를 통해 도시될 수 있는 접착잔여물(20)의 측단면 모습과 평면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7 schematically shows a side cross-sectional view and a plan view of an
도 7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치아표면라인(706)과 잔여물표면픽셀라인(708)을 나타내면서 접착잔여물(20)의 두께 정도를 사용자가 파악할 수 있도록 두께에 따라 색상이나 명도에 차이를 주어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파악이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7 shows the
또는, 접착잔여물(20)의 형태를 3차원 랜더링이미지로 전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입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by displaying the shape of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아 표면상의 접착잔여물 측정 시스템과 접착잔여물 측정방법은 치아 표면상에 남아있는 접착잔여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므로 접착잔여물 제거의 정확도를 증진시켜주고, 접착잔여물 제거시 치아의 손상을 억제시켜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dhesive residue measuring system and the adhesive residue measuring method on the tooth su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information on the adhesive residue remaining on the tooth surface, thereby improving the accuracy of removing the adhesive residu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suppress damage to teeth when removing adhesive residues.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by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on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bove.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the following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10 : 치아 20 : 접착잔여물
100 : 광원 200 : 광분리기
300 : 기준단 400 : 측정단
500 : 신호수집기
600 : 정보처리장치
610 : 중앙처리부 620 : 데이터저장부
630 : 통신부 640 : 출력부
650 : 입력부10: tooth 20: adhesive residue
100: light source 200: optical separator
300: reference stage 400: measuring stage
500: signal collector
600: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610: central processing unit 620: data storage unit
630: communication unit 640: output unit
650: input
Claims (14)
상기 단층이미지획득단계에서 얻어진 다수의 단층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치아 표면 상에 남아있는 접착제인 접착잔여물의 존부에 대한 판단과 상기 접착잔여물에 대한 물리적 정보를 얻는 접착잔여물파악단계; 및
상기 잔여물파악단계에서 얻어진 상기 접착잔여물에 대한 물리적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정보제공이 이루어지는 정보제공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잔여물파악단계는,
상기 단층이미지획득단계에서 순차적으로 획득된 다수의 상기 단층이미지 각각에 대하여 임의의 기준치 이상의 픽셀강도(pixel intensity)를 갖는 픽셀들로 픽셀라인이 형성된 전처리이미지를 형성시키는 전처리단계; 및
상기 전처리단계에서 형성된 다수의 상기 전처리이미지 상의 상기 픽셀라인을 비교하여 상기 접착잔여물의 존부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접착잔여물에 대한 3차원 랜더링(rendering)이미지를 형성시키는 판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표면상의 접착잔여물 측정방법.
A tomographic image acquisition step of acquiring a tomographic image of the tooth by injecting light onto the tooth surface and receiving the reflected or scattered light using a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pparatus;
An adhesion residue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adhesive residue remaining on the tooth surface by using a plurality of tomographic images obtained in the tomographic image acquisition step and obtaining physical information on the adhesive residue; And
Including; an information providing step in which information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physical information on the adhesive residue obtained in the residue grasping step,
The step of determining the adhesive residue,
A pre-processing step of forming a pre-processed image in which pixel lines are formed with pixels having a pixel intensity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tomographic images sequentially obtained in the tomographic image acquisition step; And
A determination step of comparing the pixel lines on the plurality of preprocessed images formed in the preprocessing step to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adhesive residue, and forming a three-dimensional rendering image of the adhesive residue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How to measure adhesion residue on the tooth surface.
상기 정보제공단계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상기 접착잔여물에 대한 물리적 정보는 상기 접착잔여물이 상기 치아 표면상에서 차지하는 면적, 상기 접착잔여물의 부피 및 상기 접착잔여물의 형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표면상의 접착잔여물 측정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physical information on the adhesive residue provided to the user in the information providing step includes at least one of an area occupied by the adhesive residue on the tooth surface, a volume of the adhesive residue, and a shape of the adhesive residue. Characterized by,
How to measure adhesion residue on the tooth surface.
상기 전처리단계에서,
상기 단층이미지에서 픽셀강도가 기준치에 미만인 경우 해당 픽셀강도를 0으로 설정하고, 픽셀강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해당 픽셀강도를 255로 설정시킴으로써 상기 픽셀라인이 형성된 상기 전처리이미지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표면상의 접착잔여물 측정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pretreatment step,
In the tomographic image, when the pixel intensity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pixel intensity is set to 0, and when the pixel intensity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pixel intensity is set to 255, thereby forming the preprocessed image in which the pixel line is formed,
How to measure adhesion residue on the tooth surface.
상기 판단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상기 픽셀라인의 비교는,
N번째 상기 전처리이미지(N : 양의 정수)의 상기 픽셀라인과 N+1번째 상기 전처리이미지의 상기 픽셀라인을 비교하는 것으로서,
동일한 X축 좌표성분을 갖음으로써 서로 대응되는 픽셀들끼리 Y축 좌표성분을 비교하여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픽셀에서 Y축 좌표성분의 간격차이가 기준간격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N번째 전처리이미지를 기준이미지로 설정하고, 상기 N+1번째 전처리이미지를 상기 접착잔여물의 존재가 시작되는 치아 부분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표면상의 접착잔여물 측정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comparison of the pixel lines made in the determination step,
Comparing the pixel line of the N-th pre-processed image (N: positive integer) and the pixel line of the N+1-th pre-processed image,
When the Y-axis coordinate component is compared with each other by having the same X-axis coordinate component, and the gap difference between the Y-axis coordinate component in at least one or more pixels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interval,
The N-th pre-processed image is set as a reference image, and the N+1-th pre-processed image is determined to correspond to a tooth portion where the presence of the adhesive residue begins,
How to measure adhesion residue on the tooth surface.
상기 판단단계에서,
기 설정된 상기 기준이미지 상의 상기 픽셀라인을 비교기준으로 하여 N+1번째 이후 순번의 상기 전처리이미지 상의 상기 픽셀라인과 순차적으로 비교하되,
N+a번째(a : 2 이상의 양의 정수)의 상기 전처리이미지 상의 상기 픽셀라인과의 비교에서,
동일한 X축 좌표성분을 갖음으로써 서로 대응되는 픽셀들끼리의 Y축 좌표성분 비교하여 Y축좌표성분에서의 간격차이가 기준간격보다 큰 것이 없으면,
N+a번째 전처리이미지를 접착잔여물의 존재가 종료되는 치아 부분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N번째 전처리이미지를 상기 기준이미지에서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표면상의 접착잔여물 측정방법.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determination step,
The pixel lines on the preset reference image are compared with the pixel lines on the preprocessed image sequentially after the N+1th as a comparison reference,
In comparison with the pixel line on the preprocessed image of the N+a-th (a: a positive integer greater than or equal to 2),
Comparing the Y-axis coordinate components of the pixels that correspond to each other by having the same X-axis coordinate component, and if there is no gap difference in the Y-axis coordinate component greater than the reference interval,
It is determined that the N+a-th preprocessed image corresponds to the tooth portion where the presence of the adhesive residue ends,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N-th preprocessed image is released from the reference image,
How to measure adhesive residue on the tooth surface.
상기 판단단계에서,
상기 기준이미지가 설정되기 전 또는 해제된 상태인 경우에,
다수의 상기 전처리이미지 중 M번째 상기 전처리이미지(M : 양의 정수)의 상기 픽셀라인과 M+1번째 상기 전처리이미지의 상기 픽셀라인과의 비교판단은,
동일한 X축 좌표성분을 갖음으로써 서로 대응되는 픽셀들끼리의 Y축 좌표성분 비교하되,
Y축좌표성분에서의 간격차이가 기준간격보다 큰 것이 없으면 M+1번째 상기 전처리이미지를 상기 접착잔여물이 부존재하는 치아부분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표면상의 접착잔여물 측정방법.
The method of claim 6,
In the determination step,
Before the reference image is set or is in a state of being released,
A comparison determination between the pixel line of the M-th pre-processed image (M: positive integer) among the plurality of pre-processed images and the pixel line of the M+1-th pre-processed image is,
By having the same X-axis coordinate component, compare the Y-axis coordinate component of the pixel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f the gap difference in the Y-axis coordinate component is not greater than the reference gap,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that the M+1 th pre-processed image corresponds to a tooth portion in which the adhesive residue is absent,
How to measure adhesion residue on the tooth surface.
상기 판단단계에서,
상기 접착잔여물이 부존재하는 치아부분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단된 다수의 상기 전처리이미지 상의 상기 픽셀라인들을 평균하여 얻어지는 픽셀라인을 치아표면라인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표면상의 접착잔여물 측정방법.
The method of claim 7,
In the determination step,
A pixel line obtained by averaging the pixel lines on the plurality of pre-processed images determined to correspond to a tooth portion in which the adhesive residue is absent is set as a tooth surface line,
How to measure adhesion residue on the tooth surface.
상기 판단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상기 픽셀라인과의 비교판단에서,
동일한 X축 좌표성분을 갖음으로써 서로 대응되는 픽셀들끼리 Y축 좌표성분을 비교하여 Y축 좌표성분의 간격차이가 기준간격보다 큰 픽셀만 픽셀라인에 남겨두고 Y축 좌표성분의 간격차이가 기준간격 이하인 픽셀은 픽셀라인에서 제거함으로써 잔여물표면픽셀라인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표면상의 접착잔여물 측정방법.
The method of claim 8,
In the comparison judgment with the pixel line made in the judgment step,
By having the same X-axis coordinate component, the Y-axis coordinate component is compared between the corresponding pixels, and only pixels with a gap difference of the Y-axis coordinate component greater than the reference interval are left in the pixel line, and the gap difference between the Y-axis coordinate component is the reference interval. The following pixels are removed from the pixel line to form a residual surface pixel line,
How to measure adhesion residue on the tooth surface.
상기 판단단계에서,
상기 접착잔여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N+1번째 상기 전처리이미지부터 N+a-1번째 상기 전처리이미지까지 각각에 대하여 상기 치아표면라인을 반영시킴으로써 접착잔여물단층이미지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표면상의 접착잔여물 측정방법.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determination step,
Forming a tomographic image of the adhesion residue by reflecting the tooth surface line for each of the N+1th pre-processed image determined to have the adhesion residue to the N+a-1th pre-processed image. ,
How to measure adhesion residue on the tooth surface.
상기 판단단계에서,
a-2개의 상기 접착잔여물단층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접착잔여물이 상기 치아 표면상에서 차지하는 면적 또는 상기 접착잔여물의 부피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표면상의 접착잔여물 측정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In the determination step,
characterized in that the area occupied by the adhesive residue on the tooth surface or the volume of the adhesive residue is calculated using a-2 pieces of the adhesive residue tomographic image,
How to measure adhesion residue on the tooth surface.
상기 판단단계에서,
a-2개의 상기 접착잔여물단층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접착잔여물에 대한 상기 3차원 랜더링이미지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표면상의 접착잔여물 측정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In the determination step,
a, characterized in that forming the three-dimensional rendering image of the adhesive residue by using the two adhesive residue tomographic images
How to measure adhesion residue on the tooth surface.
상기 광간섭단층촬영장치로부터 정보수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광간섭단층촬영장치로부터 광간섭단층이미지를 전달받아서, 치아 표면 상에 남아있는 접착제인 접착잔여물의 존부를 판단하고, 치아 표면 상에 상기 접착잔여물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접착잔여물에 대한 물리적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정보처리하여 제공하는 정보처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순차적으로 획득된 다수의 상기 광간섭단층이미지 각각에 대하여 임의의 기준치 이상의 픽셀강도(pixel intensity)를 갖는 픽셀들로 픽셀라인이 형성된 전처리이미지를 형성시키고, 다수의 상기 전처리이미지 상의 상기 픽셀라인을 비교하여 상기 접착잔여물의 존부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접착잔여물에 대한 3차원 랜더링(rendering)이미지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표면상의 접착잔여물 측정시스템.
A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pparatus for obtaining a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image by irradiating light onto the teeth; And
It is connected so as to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pparatus, and by receiving th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image from th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pparatus, it judg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dhesive residues remaining on the tooth surface, and on the tooth surface Including;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or processing and providing physical information on the adhesive residue so that a user can recognize physical information on the adhesive residue when the adhesive residue exists,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equentially acquired optical interference tomography images, a pre-processed image in which pixel lines are formed with pixels having a pixel intensity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is formed, and the pixel lines on the plurality of pre-processed images are compared. And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adhesive residue, and forming a three-dimensional rendering image of the adhesive residue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it,
Adhesive residue measurement system on the tooth surface.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광간섭단층촬영장치 측으로부터 상기 광간섭단층이미지를 전달받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로 전달된 상기 광간섭단층이미지가 저장되는 데이터저장부;
상기 통신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광간섭단층이미지를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시키며,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다수의 광간섭단층이미지를 토대로 치아 표면 상의 상기 접착잔여물의 존부를 판단하고, 치아 표면 상의 상기 접착잔여물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접착잔여물에 대한 물리적 정보를 얻는 중앙처리부; 및
상기 중앙처리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접착잔여물에 대한 물리적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표면상의 접착잔여물 측정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3,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 communication unit receiving th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image from the side of th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pparatus;
A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optical interference tomography image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The optical interference tomography image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is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adhesive residue on the tooth surface is determined based on a plurality of optical interference tomography images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and the adhesion on the tooth surface A central processing unit that obtains physical information on the adhesive residue when there is a residue; And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physical information on the adhesive residue received fro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so that a user can recognize it.
Adhesive residue measurement system on the tooth surfa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53766A KR102197111B1 (en) | 2019-05-08 | 2019-05-08 |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of Remained Adhesive Quantity on The Tooth Surfa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53766A KR102197111B1 (en) | 2019-05-08 | 2019-05-08 |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of Remained Adhesive Quantity on The Tooth Surfa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29414A KR20200129414A (en) | 2020-11-18 |
KR102197111B1 true KR102197111B1 (en) | 2020-12-30 |
Family
ID=73697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53766A Active KR102197111B1 (en) | 2019-05-08 | 2019-05-08 |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of Remained Adhesive Quantity on The Tooth Surfa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97111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89237A (en) | 2002-08-29 | 2004-03-25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Tooth observation device |
KR101542867B1 (en) | 2014-02-28 | 2015-08-07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dental restorations and system including the apparatus |
JP5977302B2 (en) | 2006-08-31 | 2016-08-24 | ケアストリーム ヘルス インク | Caries detection method |
KR101853101B1 (en) | 2017-11-30 | 2018-04-30 | 유형근 | The apparatus and method of smart oral cavity teeth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65802B1 (en) | 2015-03-19 | 2015-11-05 | 장상건 | Tooth correction device and tooth correction method using tooth correction device |
CN108601636B (en) * | 2015-12-04 | 2021-04-27 | 3 形状股份有限公司 | Derive tooth condition information for populating digital dental charts |
KR101743374B1 (en) | 2015-12-28 | 2017-06-02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Adhesive composition for orthodontic treatment |
-
2019
- 2019-05-08 KR KR1020190053766A patent/KR10219711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89237A (en) | 2002-08-29 | 2004-03-25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Tooth observation device |
JP5977302B2 (en) | 2006-08-31 | 2016-08-24 | ケアストリーム ヘルス インク | Caries detection method |
KR101542867B1 (en) | 2014-02-28 | 2015-08-07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dental restorations and system including the apparatus |
KR101853101B1 (en) | 2017-11-30 | 2018-04-30 | 유형근 | The apparatus and method of smart oral cavity teeth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29414A (en) | 2020-11-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478136B1 (en) | Endoscope system and operation method of endoscope system | |
KR102370017B1 (en) | Investigating method for optical portion embedded in intraoral scanner and system using the same | |
EP2428764A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nd displaying intra-oral measurement data | |
EP2428913B1 (en) | Object classification for measured three-dimensional object scenes | |
US7573583B2 (en) | Laser digitizer system for dental applications | |
JP2654646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nd displaying the three-dimensional morphology of a cavity | |
US9157733B2 (en) | Method of data acquisition for three-dimensional imaging | |
CN109945955B (en) | Water meter visual online detection method and system | |
JP5073996B2 (en) | Image processing device | |
US20090128648A1 (en) |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for performing three dimensional measurements | |
JPWO2012077713A1 (en) | Gaze point detection method and gaze point detection device | |
CN105358092A (en) | Video-Based Automated Acquisition for Dental Surface Imaging Devices | |
FR2511917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POSITIONING OF A TOOL IN RELATION TO A WORKPIECE | |
EP3327402A1 (en) | Inspection system and inspection method | |
JP4724056B2 (en) | Inspection device | |
KR20160147980A (en) | Systems,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for collecting color information about an object undergoing a 3d scan | |
US20150072313A1 (en) | Method for measuring a dental situation | |
JP2016090401A (en) | Appearance inspection device, appearance inspection system and appearance inspection method | |
EP3070431B1 (en) | Visual inspection device and visual inspection method | |
EP3187100A1 (en) | Line-of-sight detection device | |
Wang et al. | Highly reflective surface measurement based on dual stereo monocular structured light system fusion | |
KR102197111B1 (en) |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of Remained Adhesive Quantity on The Tooth Surface | |
DE112015006164T5 (en) | Method for measuring a scanning path of an optical scanning device, device for measuring a scanning path and method for calibrating an image | |
JP4581424B2 (en) | Appearance inspection method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 |
EP1972887A1 (en) | System and method for height measure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6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2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2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