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9039B1 - Notebook type monitor apparatus - Google Patents
Notebook type monitor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79039B1 KR102179039B1 KR1020200063978A KR20200063978A KR102179039B1 KR 102179039 B1 KR102179039 B1 KR 102179039B1 KR 1020200063978 A KR1020200063978 A KR 1020200063978A KR 20200063978 A KR20200063978 A KR 20200063978A KR 102179039 B1 KR102179039 B1 KR 1021790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ernal device
- sound
- keyboard
- base case
- inpu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4—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detachable, e.g. for remote use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integrated loudspeak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노트북형 모니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테블릿, 노트북 및 외부메모리 등의 외부기기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대화면의 영상 출력과 키보드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노트북형 모니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tebook-type monitor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notebook-type monitor device that is selectively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a notebook, and an external memory to enable a large screen image output and keyboard input. About.
최근 제조 기술 및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에 따라 스마트폰은 일반적인 퍼스널 컴퓨터에 버금가는 데이터처리능력 및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지만, 기본적으로 휴대기기라는 한계 때문에 그 크기에 제한될 수 밖에 없어 사용에 따른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manufacturing technology and network technology, smartphones have been able to perform data processing capabilities and functions comparable to those of general personal computers, but they are basically limited to their size due to the limitation of mobile devices, which is inconvenient to use. There was a problem that you had to bear it.
이를 개선하고자, 스마트폰에 다양한 주변기기들을 연결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기는 하나 스마트폰의 기능을 제대로 활용하기에는 많은 제약이 있었으며 결과적으로 불필요한 주변기기들을 구매함으로써 사용자의 부담이 증가하고 휴대 및 보관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통상적으로 스마트폰에는 하나의 외부기기 커넥터가 구비되기 때문에 두 가지 이상의 주변기기를 동시에 연결하여 이용하기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o improve this, there are attempts to connect and use various peripheral devices to a smartphone, but there were many restrictions to properly use the functions of a smartphone, and as a result, the burden on the user increased by purchasing unnecessary peripheral devices, and carrying and storing them. There was this inconvenient problem. In addition, since a single external device connector is typically provided in a smart phon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limited to simultaneously connect and use two or more peripheral devices.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와 키보드가 일체로 이루어진 노트북 형태로 구비되어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외부기기를 접속시키는 것만으로 대화면의 영상 출력과 키보드 입력이 가능하여 외부기기의 활용성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는 노트북형 모니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ptop with a display and a keyboard integrally, so that it is easy to carry and store. It is to provide a notebook-type monitor device capable of inputting and greatly increasing the usability of external devices.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영상출력신호를 제공하는 외부기기(200)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대화면의 영상 출력과 키보드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노트북형 모니터 장치에 있어서, 쿼티(Qwerty) 입력방식의 키보드(112)가 상부면에 장착된 베이스케이스(111) 및, 하단 변부가 상기 베이스케이스(111)의 후방측 변부에 접철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영상출력신호를 화면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14)가 장착된 회동케이스(113)를 포함하는 케이스부(110); 및 상기 디스플레이(114) 및 키보드(112)와 연결되도록 상기 케이스부(110)의 일측에 장착되며 케이블(240)을 통해 상기 외부기기(200)와 접속되어 외부기기(20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출력신호를 디스플레이(114)로 전달하고 키보드(112)로부터 입력되는 자판입력신호를 외부기기(200)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부(120);를 포함하는 노트북형 모니터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notebook type monitor device that is selectively connected to an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영상출력신호를 제공하는 외부기기(200)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대화면의 영상 출력과 키보드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노트북형 모니터 장치에 있어서, 쿼티 입력방식의 키보드(112)가 상부면에 장착되고 상기 키보드(112)의 일측에는 외부기기(20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하향 오목하게 함몰되어 외부기기(200)가 삽입되는 기기안착홈(115)이 형성된 베이스케이스(111) 및, 하단 변부가 상기 베이스케이스(111)의 후방측 변부에 접철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영상출력신호를 화면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14)가 장착된 회동케이스(113)를 포함하는 케이스부(110); 및 상기 디스플레이(114) 및 키보드(112)와 연결되도록 상기 기기안착홈(115) 내에 장착되며 상기 외부기기(200)의 기기커넥터(250)와 접속되어 외부기기(20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출력신호를 디스플레이(114)로 전달하고 키보드(112)로부터 입력되는 자판입력신호를 외부기기(200)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부(120);를 포함하는 노트북형 모니터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notebook-type monitor device that is selectively connected to a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케이스(111)의 상부면에는 터치수단의 접촉에 따라 패드입력신호를 출력하는 터치패드(116)가 더 장착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120)는 터치패드(116)와 연결되어 터치패드(116)로부터 입력되는 패드입력신호를 외부기기(200)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형 모니터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케이스(111)의 상부면 상에서 상기 키보드(112)는 전방측에 폭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기기안착홈(115)과 터치패드(116)는 후방측에 폭방향 양측으로 각각 이격배치되며, 상기 외부기기(200)에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설치되어 터치입력방식을 갖는 외부기기(200)의 디스플레이(220)로부터 입력되는 터치입력신호에 따라 외부기기(200)를 구동제어하는 앱기능부(2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케이스(111)에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터치패드(116)의 패드입력신호와 디스플레이(220)의 터치입력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에 의해서만 외부기기(200)가 구동되도록 하는 모드전환버튼(117)이 더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형 모니터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기기안착홈(115) 내에서 안착된 외부기기(200)의 기기스피커(230)와 대향하는 측벽 위치에는 측방으로 개구된 음향유입공(118)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케이스(111) 내에서 기기안착홈(115)의 측부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음향유입공(118)과 대응되는 위치에 측방으로 개구된 음향관통공(141)이 형성되어 상기 기기스피커(23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에 의해 진동하면서 음향을 증폭시키고 상부에는 증폭된 음향을 상향으로 배출하기 위한 울림공(142)이 상하로 개구되어 형성된 울림챔버(1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케이스(111) 상에서 울림챔버(140)와 상하로 대향하는 위치에는 음향배출공(119)이 상하로 개구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형 모니터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기기안착홈(115) 내에서 안착된 외부기기(200)의 기기스피커(230)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측방으로 개구된 음향유입공(118)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케이스(111) 내에서 일측은 음향유입공(118)을 지향하고 타측은 베이스케이스(111)에 상하로 개구된 음향배출공(119)을 지향하도록 기기안착홈(115)의 측부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기기스피커(23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에 의해 진동하면서 음향을 증폭시키는 복수 개의 울림관(1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형 모니터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울림관(150)은 타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증가하는 나팔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각 울림관(150)은 일측부위가 상하로 중첩되게 배치되며 타측부위는 상향 절곡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형 모니터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기기안착홈(115) 내에서 안착된 외부기기(200)의 기기스피커(230)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측방으로 개구된 음향유입공(118)이 형성되고, 납작한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케이스(111) 내에서 기기안착홈(115)의 측부 위치에 수평 배치되며 상기 기기스피커(23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에 의해 진동하면서 음향을 증폭시키는 울림판(16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케이스(111) 상에서 울림판(160)과 상하로 대향하는 위치에는 음향배출공(119)이 상하로 개구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형 모니터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울림판(160)은,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음향의 저음영역을 증폭하기 위한 확장부(161) 및, 상기 확장부(161)의 일측으로부터 뾰족하게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음향의 고음영역을 증폭하기 위한 협소부(1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형 모니터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bove,
첫째, 케이스부(110)는, 쿼티(Qwerty) 입력방식의 키보드(112)가 상부면에 장착된 베이스케이스(111) 및, 하단 변부가 상기 베이스케이스(111)의 후방측 변부에 접철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영상출력신호를 화면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14)가 장착된 회동케이스(113)를 포함하며, 인터페이스부(120)는 디스플레이(114) 및 키보드(112)와 연결되도록 상기 케이스부(110)의 일측에 장착되며 케이블(240)을 통해 상기 외부기기(200)와 접속되어 외부기기(20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출력신호를 디스플레이(114)로 전달하고 키보드(112)로부터 입력되는 자판입력신호를 외부기기(200)로 전달하는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114)와 키보드(112)가 일체로 이루어진 노트북 형태로 구비되어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외부기기(200)를 접속시키는 것만으로 대화면의 영상출력과 키보드 입력이 가능하여 외부기기(200)의 활용성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First, the
둘째, 케이스부(110)는, 쿼티 입력방식의 키보드(112)가 상부면에 장착되고 상기 키보드(112)의 일측에는 외부기기(20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하향 오목하게 함몰되어 외부기기(200)가 삽입되는 기기안착홈(115)이 형성된 베이스케이스(111) 및, 하단 변부가 상기 베이스케이스(111)의 후방측 변부에 접철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영상출력신호를 화면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14)가 장착된 회동케이스(113)를 포함하며, 인터페이스부(120)는 디스플레이(114) 및 키보드(112)와 연결되도록 상기 기기안착홈(115) 내에 장착되며 상기 외부기기(200)의 기기커넥터(250)와 접속되어 외부기기(20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출력신호를 디스플레이(114)로 전달하고 키보드(112)로부터 입력되는 자판입력신호를 외부기기(200)로 전달함으로써, 외부기기(200)를 인터페이스부(120)에 접속시키기 위한 케이블(240)이 불필요하며 외부기기(200)를 보다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다.Second, in the
상기 상기 베이스케이스(111)의 상부면에는 터치수단의 접촉에 따라 패드입력신호를 출력하는 터치패드(116)가 더 장착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120)는 터치패드(116)와 연결되어 터치패드(116)로부터 입력되는 패드입력신호를 외부기기(200)로 전달함으로써, 마우스를 휴대할 필요가 없고 마우스의 배치공간이 불필요하여 협소한 영역에서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다.A
넷째, 상기 베이스케이스(111)의 상부면 상에서 상기 키보드(112)는 전방측에 폭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기기안착홈(115)과 터치패드(116)는 후방측에 폭방향 양측으로 각각 이격배치되며, 상기 외부기기(200)에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설치되어 터치입력방식을 갖는 외부기기(200)의 디스플레이(220)로부터 입력되는 터치입력신호에 따라 외부기기(200)를 구동제어하는 앱기능부(2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케이스(111)에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터치패드(116)의 패드입력신호와 디스플레이(220)의 터치입력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에 의해서만 외부기기(200)가 구동되도록 하는 모드전환버튼(117)이 더 장착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스타일러스펜(300)을 활용하여 정교한 입력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스타일러스펜(300)이 불필요한 경우 터치패드(116)를 활용한 조작이 가능하다.Fourth, on the upper surface of the
다섯째, 상기 기기안착홈(115) 내에서 안착된 외부기기(200)의 기기스피커(230)와 대향하는 측벽 위치에는 측방으로 개구된 음향유입공(118)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케이스(111) 내에서 기기안착홈(115)의 측부 위치에 배치되는 울림챔버(140)는 음향유입공(118)과 대응되는 위치에 측방으로 개구된 음향관통공(141)이 형성되어 상기 기기스피커(23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에 의해 진동하면서 음향을 증폭시키고 상부에는 증폭된 음향을 상향으로 배출하기 위한 울림공(142)이 상하로 개구되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케이스(111) 상에서 울림챔버(140)와 상하로 대향하는 위치에는 음향배출공(119)이 상하로 개구되어 형성됨으로써, 무전력으로 외부기기(200)의 음향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으며 스피커 및 음향증폭회로가 불필요하여 제조비용을 감축할 수 있다.Fifth, a
여섯째, 상기 기기안착홈(115) 내에서 안착된 외부기기(200)의 기기스피커(230)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측방으로 개구된 음향유입공(118)이 형성되고, 복수 개의 울림관(150)은 베이스케이스(111) 내에서 일측은 음향유입공(118)을 지향하고 타측은 베이스케이스(111)에 상하로 개구된 음향배출공(119)을 지향하도록 기기안착홈(115)의 측부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기기스피커(23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에 의해 진동하면서 음향을 증폭시킴으로써, 상기 울림챔버(140)를 이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증폭되는 음향이 선명해지도록 할 수 있다.Sixth, at a position facing the
일곱째, 상기 울림관(150)은 타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증가하는 나팔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각 울림관(150)은 일측부위가 상하로 중첩되게 배치되며 타측부위는 상향 절곡되게 형성됨으로써, 증폭된 음향을 사용자 방향으로 전파되도록 하여 보다 풍부한 음향의 음향을 청취할 수 있다.Seventh, the
여덟째, 상기 기기안착홈(115) 내에서 안착된 외부기기(200)의 기기스피커(230)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측방으로 개구된 음향유입공(118)이 형성되고, 납작한 판형상으로 이루어진 울림판(160)은 상기 베이스케이스(111) 내에서 기기안착홈(115)의 측부 위치에 수평 배치되며 상기 기기스피커(23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에 의해 진동하면서 음향을 증폭시키고, 상기 베이스케이스(111) 상에서 울림판(160)과 상하로 대향하는 위치에는 음향배출공(119)이 상하로 개구되어 형성된됨으로써, 울림관(150)과 마찬가지로 울림챔버(140)를 이용하는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선명한 증폭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Eighth, a
아홉째, 상기 울림판(160)은,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음향의 저음영역을 증폭하기 위한 확장부(161) 및, 상기 확장부(161)의 일측으로부터 뾰족하게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음향의 고음영역을 증폭하기 위한 협소부(162)를 포함함으로써, 음향의 저음영역과 고음영역에 대한 증폭효율을 증대시키고 음감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Ninth, th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트북형 모니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부가 폰안착홈 내부에 형성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드전환버튼을 통해 터치패드와 외부기기의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이용가능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울림챔버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울림관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울림판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평단면도 및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notebook-type monitor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n interface unit is formed inside a phone seating groov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one of a touch pad and a display of an external device can be selectively used through a mode change butt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sonant cham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oollim tub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are a side cross-sectional view, a top cross-sectional view, and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ound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트북형 모니터 장치(100)는 영상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외부기기(200)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대화면의 영상 출력과 키보드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로서, 상기 외부기기(200)로는 스마트폰, 테블릿, 노트북, 외부메모리(SD카드 및 외장하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 밖에 화면출력을 위한 영상출력신호를 저장하거나 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전자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A notebook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트북형 모니터 장치(100)는 케이스부(110) 및 인터페이스부(12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a notebook-
먼저, 케이스부(110)는 영상출력 기능과 키보드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수평배치되며 쿼티(Qwerty) 입력방식의 키보드(112)가 상부면에 장착된 베이스케이스(111) 및, 하단 변부가 상기 베이스케이스(111)의 후방측 변부에 접철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영상출력신호를 화면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14)가 장착된 회동케이스(113)를 포함한다.First, the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114)는 통상의 스마트폰이나 테블릿보다 상대적으로 큰 화면면적(예를 들면 10인치 내지 17인치)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케이스(111)와 회동케이스(113)는 통상의 노트북 외형과 같이 상호 대응되는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힌지축을 중심으로 베이스케이스(111)에 대하여 회동케이스(113)가 회동하면 상호 정합되면서 맞대어지도록 접철된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더불어,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케이스부(110)에는 디스플레이(114) 및 키보드(112)에 구동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부가 마련되는데, 이러한 전원부는 배터리로 이루어지거나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구동전원의 형태로 변환하는 컨버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a power supply unit for providing driving power to the
상기 인터페이스부(120)는 외부기기(200)와 케이스부(110)를 상호 연결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 수단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114) 및 키보드(112)와 연결되도록 케이스부(110)의 일측에 장착되며 케이블(240)을 통해 외부기기(200)와 접속되어 외부기기(20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출력신호를 디스플레이(114)로 전달하고 키보드(112)로부터 입력되는 자판입력신호를 외부기기(200)로 전달한다.The
여기서, 상기 인터페이스부(120)는 외부기기(200)의 기기커넥터(250)에 접속가능한 형태를 갖는 접속포트의 형태를 가지는데, 예를 들어 USB포트, HDMI포트, LAN포트, 5핀, 8핀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 밖에 외부기기(200)와 접속가능한 다양한 통신규격을 갖는 접속포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또한, 도면에는 인터페이스부(120)가 베이스케이스(111)의 측방에 하나가 배치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베이스케이스(111)의 전방측, 후방측의 측면에 배치되거나 필요시 회동케이스(113)에 배치되어도 동일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복수 개가 함께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각 인터페이스부(120)는 서로 다른 통신규격으로 이루어져 서로 다른 기종의 외부기기(200)를 접속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rawing illustrates that one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14)와 키보드(112)를 포함한 케이스부(110)가 일체로 이루어진 노트북 형태로 구비되어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외부기기(200)를 접속시키는 것만으로 대화면의 영상출력과 키보드 입력이 가능하여 외부기기(200)의 활용성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한편, 상기 인터페이스부(120)는 케이블(240)을 없이 외부기기(200)가 직결되어 접속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Meanwhile, the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케이스(111)의 상부면사에서 키보드(112)의 일측에는 외부기기(20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하향 오목하게 함몰되어 외부기기(200)가 삽입되는 기기안착홈(115)이 형성된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2, a device in which the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20)는 디스플레이(114) 및 키보드(112)와 연결되도록 기기안착홈(115) 내에 장착되며 외부기기(200)의 기기커넥터(250)가 접속되어 외부기기(20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114)로 전달하고 키보드(112)로부터 입력되는 자판입력신호를 외부기기(200)로 전달한다.In addition, the
이러한 직결 접속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외부기기(200)를 인터페이스부(120)에 접속시키기 위한 케이블(240)이 불필요하며 외부기기(200)를 보다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다.By having such a direct connection structure, the
한편, 상기 베이스케이스(111)의 상부면에는 신체일부(예를 들면,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펜(300) 등의 터치수단의 접촉에 따라 패드입력신호를 출력하는 터치패드(116)가 더 장착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120)는 터치패드(116)와 연결되어 터치패드(116)로부터 입력되는 패드입력신호를 외부기기(200)로 전달함으로써, 마우스를 휴대할 필요가 없고 마우스의 배치공간이 불필요하여 협소한 영역에서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여기서,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테블릿 등의 외부기기(200)는 디스플레이(220)가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터치스크린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220)를 이용하여 터치패드(116)를 대신하는 입력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Here, in general, in the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케이스(111)의 상부면 상에서 키보드(112)는 전방측에 폭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기기안착홈(115)과 터치패드(116)는 후방측에 폭방향 양측으로 각각 이격배치된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3, on the upper surface of the
또한, 외부기기(200)에는 앱기능부(210)가 구비되는데 상기 앱기능부(210)는 외부기기(200)에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설치되어 외부기기(200)의 디스플레이(220)으로부터 입력되는 터치입력신호에 따라 외부기기(200)를 구동제어한다.In addition, the
더불어, 상기 베이스케이스(111)에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터치패드(116)의 패드입력신호와 디스플레이(220)의 터치입력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에 의해서만 외부기기(200)가 구동되도록 하는 모드전환버튼(117)이 더 장착된다.In addition, the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스타일러스펜(300)과 디스플레이(220)를 활용하여 정교한 입력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스타일러스펜(300)이 불필요한 경우 터치패드(116)를 활용한 조작이 가능하다.Accordingly, a sophisticated input signal can be output using the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트북형 모니터 장치(100)는 케이스부(110)에 내장스피커(미도시)가 장착되어 외부기기(200)로부터 영상출력신호와 함께 입력되는 음향출력신호를 음향출력할 수 있으며, 외부기기(200)에 기본적으로 장착된 기기스피커(230)의 스피커 음향을 증폭시킴으로써 상기 내장스피커 없이도 풍부한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notebook-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기안착홈(115) 내에서 안착된 외부기기(200)의 기기스피커(230)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측방으로 개구된 음향유입공(118)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케이스(111) 내에서 기기안착홈(115)의 측부 위치에 배치되는 울림챔버(140)는 상기 음향유입공(118)과 대응되는 위치에 음향관통공(141)이 형성되어 상기 기기스피커(23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에 의해 진동하면서 음향을 증폭시킨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4, a
또한, 울림챔버(140)의 상부에는 증폭된 음향을 배출하기 위한 울림공(142)이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케이스(111) 상에서 울림챔버(140)와 상하로 대향하는 위치에는 음향배출공(119)이 상하로 개구되어 형성됨으로써, 무전력으로 외부기기(200)의 음향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으며 스피커 및 음향증폭회로가 불필요하여 제조비용을 감축할 수 있다.In addition, a sounding
더불어, 상기 울림챔버(1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부(110)의 내부에 장착되되 케이스부(110)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음향에 따른 진동이 케이스부(110)로 일부 전달되어 음향효율이 감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기안착홈(115) 내에서 안착된 외부기기(200)의 기기스피커(230)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측방으로 개구된 음향유입공(118)이 형성되고, 복수 개의 울림관(150)은 상기 베이스케이스(111) 내에서 일측은 음향유입공(118)을 지향하고 타측은 베이스케이스(111)에 상하로 개구된 음향배출공(119)을 지향하도록 기기안착홈(115)의 측부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기기스피커(23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에 의해 진동하면서 음향을 증폭시킴으로써, 상기 울림챔버(140)를 이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증폭되는 음향이 보다 선명해지도록 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 5, a
또한,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울림관(150)은 타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증가하는 나팔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각 울림관(150)은 일측부위가 상하로 중첩되어 배치되며 타측부위는 상향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케이스(111) 상에서 상기 울림관(150)의 타측부위와 상하로 대향하는 위치에는 음향배출공(119)이 상하로 개구되어 형성됨으로써, 증폭된 음향을 사용자 방향으로 전파되도록 하여 보다 풍부한 음향의 음향을 청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그리고,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베이스케이스(111) 내에서 음향유입공(118)과 측방으로 대향하는 위치에는 베이스케이스(111)와 구별되도록 독립된 내부공간이 마련된 확산방지챔버(155)가 구비되고 음향유입공(118)과 측방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음향유입공(151)이 형성되어 음향이 확산방지챔버(155)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며, 이 확산방지챔버(155) 내에 상기 울림관(150)이 배치됨으로써, 음향유입공(118)을 통해 유입되는 음향이 베이스케이스(111)의 내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음향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the drawing, a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기안착홈(115) 내에서 안착된 외부기기(200)의 기기스피커(230)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측방으로 개구된 음향유입공(118)이 형성되고, 납작한 판형상으로 이루어진 울림판(160)은, 상기 베이스케이스(111) 내에서 기기안착홈(115)의 측부 위치에 수평 배치되며 상기 기기스피커(23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에 의해 진동하면서 음향을 증폭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a
더블어, 상기 베이스케이스(111) 상에서 상기 울림판(160)과 상하로 대향하는 위치에는 음향배출공(119)이 상하로 개구되어 형성됨으로써, 울림관(150)과 마찬가지로 울림챔버(140)를 이용하는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선명한 증폭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Double, the
그리고,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울림판(160)은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음향의 저음영역을 증폭하기 위한 확장부(161) 및, 상기 확장부(161)의 일측으로부터 뾰족하게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음향의 고음영역을 증폭하기 위한 협소부(162)를 포함함으로써, 음향의 저음영역과 고음영역에 대한 증폭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s. 6 to 8, the sounding
그리고,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베이스케이스(111) 내에서 음향유입공(118)과 측방으로 대향하는 위치에는 베이스케이스(111)와 구별되도록 독립된 내부공간이 마련된 확산방지챔버(165)가 구비되고 이 확산방지챔버(165)에는 음향유입공(118)과 측방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음향유입공(163)이 형성되어 음향이 확산방지챔버(165)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며, 이 확산방지챔버(165) 내에 상기 울림판(160)이 배치됨으로써, 음향유입공(118)을 통해 유입되는 음향이 베이스케이스(111)의 내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음향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the drawing, a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obvious to those of knowledge.
100...노트북형 모니터 장치
110...케이스부 111...베이스케이스
112...키보드 113...회동케이스
114,220...디스플레이 116...터치패드
117...모드전환버튼 118...음향유입공
119..음향배출공 120...인터페이스부
140...울림챔버 150...울림관
160...울림판 200...외부기기100...laptop monitor device
110...
112...
114,220...display 116...touchpad
117...
119..
140...
160... soundboard 200... external device
Claims (7)
상기 기기안착홈(115) 내에서 안착된 외부기기(200)의 기기스피커(230)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측방으로 개구된 음향유입공(118)이 형성되고, 납작한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케이스(111) 내에서 기기안착홈(115)의 측부 위치에 수평 배치되며 상기 기기스피커(23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에 의해 진동하면서 음향을 증폭시키는 울림판(16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케이스(111) 상에서 울림판(160)과 상하로 대향하는 위치에는 음향배출공(119)이 상하로 개구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형 모니터 장치.
In a notebook type monitor device that is selectively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200 that provides an image output signal to enable a large screen image output and a keyboard input, a Qwerty input type keyboard 112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keyboard At one side of 112, the base case 111 is recessed downwardly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device 200 so that the device seating groove 115 into which the external device 200 is inserted is formed, and the lower edge is the base case. A case unit 110 including a rotating case 113 which is foldably mounted on the rear side of 111 and equipped with a display 114 for displaying the image output signal on a screen; And an image output signal that is mounted in the device mounting groove 115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display 114 and the keyboard 112 and is connected to the device connector 250 of the external device 200 to be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200. Including; and an interface unit 120 for transmitting to the display 114 and transmitting the keyboard input signal input from the keyboard 112 to the external device 200,
A sound inlet hole 118 opened to the side is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device speaker 230 of the external device 200 seated in the device mounting groove 115, and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and the base case ( 111) is horizontally disposed at a side position of the device seating groove 115 and vibrates by the sound output from the device speaker 230 and amplifies sound while a sounding plate 160; ) On the sound plate 160 and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facing each other, the sound discharge hole 119 is formed by opening up and down.
상기 베이스케이스(111)의 상부면에는 터치수단의 접촉에 따라 패드입력신호를 출력하는 터치패드(116)가 더 장착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120)는 터치패드(116)와 연결되어 터치패드(116)로부터 입력되는 패드입력신호를 외부기기(200)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형 모니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touch pad 116 that outputs a pad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contact of the touch means is further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case 111,
The interface unit 120 is connected to the touch pad 116 and transmits a pad input signal input from the touch pad 116 to the external device 200.
상기 베이스케이스(111)의 상부면 상에서 상기 키보드(112)는 전방측에 폭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기기안착홈(115)과 터치패드(116)는 후방측에 폭방향 양측으로 각각 이격배치되며,
상기 외부기기(200)에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설치되어 터치입력방식을 갖는 외부기기(200)의 디스플레이(220)로부터 입력되는 터치입력신호에 따라 외부기기(200)를 구동제어하는 앱기능부(2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케이스(111)에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터치패드(116)의 패드입력신호와 디스플레이(220)의 터치입력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에 의해서만 외부기기(200)가 구동되도록 하는 모드전환버튼(117)이 더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형 모니터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case 111, the keyboard 112 is disposed to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at the front side, and the device seating groove 115 and the touch pad 116 are disposed at the rea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pp function unit 210 that is installed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on the external device 200 and drives and controls the external device 200 according to a touch input signal input from the display 220 of the external device 200 having a touch input method. ); further includes,
On the base case 111, a mode change button for driving the external device 200 only by one of a pad input signal of the touch pad 116 and a touch input signal of the display 220 according to a user manipulation ( 117) notebook type monit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urther mount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3978A KR102179039B1 (en) | 2020-05-28 | 2020-05-28 | Notebook type monitor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3978A KR102179039B1 (en) | 2020-05-28 | 2020-05-28 | Notebook type monitor apparatu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79039B1 true KR102179039B1 (en) | 2020-11-16 |
Family
ID=73680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63978A Active KR102179039B1 (en) | 2020-05-28 | 2020-05-28 | Notebook type monitor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79039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63412A (en) * | 2010-12-07 | 2012-06-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Docking station having structure for increasing loudness and for improving quality of sound |
US20130162515A1 (en) * | 2011-12-22 | 2013-06-27 | Research In Motion Limited | Method for changing device modes of an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a docking station and an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for same |
KR20150057645A (en) * | 2013-11-20 | 2015-05-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apparatus, dock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
KR20160065471A (en) * | 2014-12-01 | 2016-06-09 | 조수용 | Pillow having resonance speaker functions |
KR101632269B1 (en) | 2015-01-19 | 2016-06-21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Frequency And Intensity Modulation Laser Absorption Spectroscopy Apparatus and The Measuring Method Of The Same |
-
2020
- 2020-05-28 KR KR1020200063978A patent/KR10217903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63412A (en) * | 2010-12-07 | 2012-06-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Docking station having structure for increasing loudness and for improving quality of sound |
US20130162515A1 (en) * | 2011-12-22 | 2013-06-27 | Research In Motion Limited | Method for changing device modes of an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a docking station and an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for same |
KR20150057645A (en) * | 2013-11-20 | 2015-05-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apparatus, dock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
KR20160065471A (en) * | 2014-12-01 | 2016-06-09 | 조수용 | Pillow having resonance speaker functions |
KR101632269B1 (en) | 2015-01-19 | 2016-06-21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Frequency And Intensity Modulation Laser Absorption Spectroscopy Apparatus and The Measuring Method Of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8551636B (en) | A speaker control method and mobile terminal | |
TWI594128B (en) | Intelligent platform with an exchangeable intelligent core | |
KR101204535B1 (en) |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sensory information to devices and peripherals | |
CN108390972B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JP5931297B2 (en) | Connecting parts for earphone plug, earphone socket and terminal | |
US20130326104A1 (en) | Methodology for using smartphone and mobile computer in a mobile compute environment | |
US20040056843A1 (en) | Flat-type computer with keyboard | |
US6694391B2 (en) | Combination computer mouse and telephony handset | |
US20100295794A1 (en) | Two Sided Slate Device | |
US20040193764A1 (en) | PC card with standalone functionality | |
KR20130024615A (en) | Mobile terminal for connection with external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TW201447537A (en) | Electronic device | |
WO2018024238A1 (en) | Projection tablet computer | |
CN110597478A (en) | A kind of audio output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 |
KR102179039B1 (en) | Notebook type monitor apparatus | |
US20050265565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 |
TW201314461A (en) | Integrated expansion device | |
CN207833386U (en) | computer device | |
TWM242782U (en) | Assembled device of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 |
WO2014030466A1 (en) | Table | |
US11163331B2 (en) | Keyboard mode | |
CN206741356U (en) | Portable computer main frame | |
US20140018127A1 (en) | Method and appendage for retrofitting a mobile phone to use same for navigating a computer environment | |
US7227535B1 (en) | Keyboard and display for a computer | |
CN202815679U (en) | Intelligent speech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P16-X000 | Ip right document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
|
Q16-X000 |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