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55958B1 - Smart support device - Google Patents

Smart suppor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5958B1
KR102155958B1 KR1020190039869A KR20190039869A KR102155958B1 KR 102155958 B1 KR102155958 B1 KR 102155958B1 KR 1020190039869 A KR1020190039869 A KR 1020190039869A KR 20190039869 A KR20190039869 A KR 20190039869A KR 102155958 B1 KR102155958 B1 KR 102155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support device
image
control signal
camer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98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현
박성우
공수지
Original Assignee
김성현
박성우
공수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현, 박성우, 공수지 filed Critical 김성현
Priority to KR1020190039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5958B1/en
Priority to PCT/KR2020/003977 priority patent/WO2020204433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958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F16M11/32Undercarriages for supports with three or more telescoping legs
    • F16M11/34Members limiting spreading of legs, e.g. "umbrella le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Details Of Cameras Including Film Mechanis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support device, a remote control device for the smart support device, and a remote control method for the smart support device. A smart support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motor having a rotary shaft rotating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a second motor having a body rotating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first motor, and having a rotary shaft rotating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wherein the direction of the rotary shaft is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of the rotary shaft of the first motor; a holding part which fixes a camera and is adjusted in an angle according to the driving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and a control signal generating part which generates the control signal to enable the rotary shaft of each of the first motor or the second motor to rotate based on an identification code and an interrupt signal. Therefore, a user can adjust a desired photographing angle even from a long distance.

Description

스마트 지지 장치{SMART SUPPORT DEVICE}Smart support device {SMART SUPPORT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 지지 장치, 스마트 지지 장치를 위한 원격 제어 장치 및 스마트 지지 장치를 위한 원격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원거리에서도 원하는 영상 촬영 구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지지 장치, 스마트 지지 장치를 위한 원격 제어 장치 및 스마트 지지 장치를 위한 원격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support device, a remote control device for a smart support device, and a remote control method for a smart suppor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a smart support device that enables a user to adjust a desired image shooting composition even from a distance, a smart support device. It relates to a remote control device for a support device and a remote control method for a smart support device.

일반적으로 사진을 촬영할 때 자신이 직접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는 행위를 셀프 카메라(self camera)라고 한다. 이는 사진을 촬영하는 촬영자가 가지고 있는 카메라 혹은 카메라 기능을 가진 휴대폰 또는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촬영수단을 이용해 카메라 렌즈의 방향을 촬영자를 향하게 하여 촬영자 스스로를 촬영하는 것으로, 영어 표현으로는 셀피(selfie)라고 한다.In general, the act of taking a picture of yourself when taking a picture is called a self camera. This is to take the photographer himself by pointing the camera lens toward the photographer using a camera owned by the photographer who takes a picture, or using a photographing means such as a mobile phone or portable terminal with a camera function.In English, it is called a selfie. do.

셀프 카메라는 고화질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폰이 널리 보급되면서 렌즈를 통해 촬영되는 촬영자의 모습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촬영자 본인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해졌고, 촬영자 본인을 촬영한 결과물을 SNS를 통해 사람들과 공유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셀프 카메라를 촬영하고 있다.As mobile phones equipped with high-definition cameras have become widespread, it has become possible to take a picture of the photographer by checking the image of the photographer being photographed through the lens in real time, and sharing the result of taking the photographer himself through SNS People are taking selfies.

셀프 카메라를 촬영하는 방법으로는 촬영자 본인의 팔을 이용해 카메라와의 거리를 만들고 카메라의 렌즈가 촬영자 본인을 향하게 하여 촬영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촬영자와 카메라 렌즈 간의 거리가 팔 길이 이상을 확보하지 못한다는 단점으로 인해 넓은 화각의 피사체를 셀프 카메라로 촬영하는 데 불편함을 주었다.As a method of taking a selfie camera, there is a method of making a distance from the camera using the photographer's own arm and pointing the camera lens toward the photographer himself, but this does not ensure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photographer and the camera lens is more than arm length. Due to the shortcomings, it was inconvenient to take a subject with a wide angle of view with a selfie camera.

종래에는, 보다 넓은 화각의 피사체를 셀프 카메라로 촬영하기 위해 셀프 카메라용 스틱이 개발되어 시중에 판매되고 있으나, 카메라의 촬영 구도에 변화를 주기 위해서는 촬영자가 직접 수동으로 카메라를 조절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Conventionally, a self-camera stick has been developed and sold on the market in order to shoot a subject with a wider field of view with a self-camera,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hotographer must manually adjust the camera to change the shooting composition of the camera. .

또한 종래에는, 보다 넓은 화각의 피사체를 셀프 카메라로 촬영하기 위해 카메라를 거치할 수 있는 삼각대가 시중에 판매되고 있으나, 카메라의 촬영 구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촬영자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삼각대까지의 거리를 촬영자가 직접 이동하여 카메라를 조절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conventionally, a tripod that can mount a camera to take a picture of a subject with a wider angle of view with a self-camera is on the market. However, in order to adjust the composition of the camera, the photographer can adjust the distance to a tripod far from the photograph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amera must be adjusted by moving directly.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종래에 셀프 카메라용 스틱과 삼각대는 카메라가 거치되는 부위에 회전부를 만들어 모터를 삽입하고,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해 원거리에서도 카메라의 촬영 구도를 조절 가능하나, 촬영자와 카메라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 수록 촬영자가 카메라의 촬영 구도를 확인하기 어려운 상태로 셀프 카메라를 촬영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overcom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conventional self-camera sticks and tripods make a rotating part in the part where the camera is mounted, insert a motor, and adjust the shooting composition of the camera from a distance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ere is a problem that as the distance of the camera increases, the photographer must take a self-portrait in a state where it is difficult to check the photographic composition of the camera.

(특허문헌 1) KR10-2008-0107160(Patent Document 1) KR10-2008-0107160

(특허문헌 2) KR10-2016-0019481(Patent Document 2) KR10-2016-0019481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식별코드와 인터럽트 신호에 기초하여 카메라 거치부의 각도를 원격으로 조절할 수 있는 스마트 지지 장치, 스마트 지지 장치를 위한 원격 제어 장치 및 스마트 지지 장치를 위한 원격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smart support device capable of remotely adjusting the angle of a camera mount based on an identification code and an interrupt signal, a remote control device for the smart support device, and a remote control device for the smart support device. It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터들에 전원공급을 하기 위한 내부 배선과 모터 구동에 따른 회전 동작을 고려한 스마트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support device in consideration of an internal wiring for supplying power to motors and a rotational operation according to motor driv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메라의 구도를 촬영 전에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원격으로 거치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스마트 지지 장치, 스마트 지지 장치를 위한 원격 제어 장치 및 스마트 지지 장치를 위한 원격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support device capable of remotely adjusting the angle of the mount while checking the composition of the camera in real time before shoot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the smart support device, and a remote control method for the smart support device. have.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 and other obj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스마트 지지 장치는, 제어 신호에 따라 회전축이 회전하는 제1모터와, 제1모터의 구동에 따라 몸체가 회전되며 제어 신호에 따라 회전축이 회전하되 회전축의 방향이 제1모터의 회전축의 방향과는 다른 제2모터와, 카메라를 고정하며 제1모터 및 제2모터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에 따라 각도가 조절되는 거치부와, 식별코드와 인터럽트 신호에 기초하여 제1모터 또는 제2모터 각각의 회전축이 회전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신호 생성부를 포함한다.The smart support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first motor whose rotation shaft rotate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and a body rotates according to driving of the first motor, and the rotation shaft rotates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 second motor in which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is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motor, a mounting part that fixes the camera and adjusts the angle according to the driving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and an identification code and an interrupt signal And a control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to rotate the rotation axis of each of the first motor or the second motor.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스마트 지지 장치를 위한 원격 제어 장치는, 기설정된 모양을 가지는 복수 개의 버튼 이미지들을 생성하고, 복수 개의 버튼 이미지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한 식별코드를 버튼 이미지별로 부여하는 버튼 이미지 생성부와, 기설정된 모양을 가지는 셔터 이미지를 생성하고, 식별코드를 셔터 이미지에 부여하는 셔터 이미지 생성부와, 카메라의 작동에 따라 획득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화면상에 표시하고, 복수 개의 버튼 이미지들과, 셔터 이미지를 화면상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며, 버튼 이미지들과 셔터 이미지에 각각 대응되는 화면상의 영역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받을 수 있는 터치 가능한 디스플레이와, 셔터 이미지와 버튼 이미지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터치 입력에 따른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여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셔터 이미지 또는 버튼 이미지의 식별코드와 인터럽트 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인터럽트 신호 출력부와, 인터럽트 신호의 출력에 대응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받는 이미지 데이터 수신부를 포함한다.A remote control device for a smart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button image that generates a plurality of button images having a preset shape, and assigns an identification code for distinguishing the plurality of button images from each other. A shutter image generator that generates a shutter image having a buwa, a preset shape, and assigns an identification code to the shutter image, and an image obtained by the operation of the camera on the screen in real time, and a plurality of button images And, a touchable display that displays a shutter image by overlaying it on the screen, and receives a touch input from a user for an area on the scree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button images and the shutter image, and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shutter image and button image When there is a touch input of, an interrupt signal output unit that generates an interrupt signal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and outputs an identification code and an interrupt signal of a shutter image or button image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respectively, and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output of the interrupt signal. It includes an image dat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data.

본 발명의 또 다른면에 따른 스마트 지지 장치를 위한 원격 제어 방법은, 제어 신호에 따라 회전축이 회전하는 제1모터와, 제1모터의 구동에 따라 몸체가 회전되며 제어 신호에 따라 회전축이 회전하되 회전축의 방향이 제1모터의 회전축의 방향과는 다른 제2모터와, 카메라를 고정하며 제1모터 및 제2모터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에 따라 각도가 조절되는 거치부와, 식별코드와 인터럽트 신호에 기초하여 제1모터 또는 제2모터 각각의 회전축이 회전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지지 장치를 위한 원격 제어 방법으로서, 이미지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코드가 부여된, 셔터 이미지와 복수 개의 버튼 이미지들을 각각 생성하는 단계와,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과 셔터 이미지와 복수 개의 버튼 이미지들을 터치 가능한 디스플레이의 화면상에 오버레이되게 표시하는 단계와, 터치 가능한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셔터 이미지 및 복수 개의 버튼 이미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터치 입력에 따른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고 식별코드와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식별코드와 인터럽트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제어 신호에 따라 제1모터와 제2모터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remote control method for a smart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otor whose rotation shaft rotate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and a body rotates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first motor, and the rotation shaft rotates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 second motor in which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is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motor, a mounting part that fixes the camera and adjusts the angle according to the driving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and an identification code and an interrupt signal As a remote control method for a smart support device comprising a control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to rotate the rotation axis of each of the first motor or the second motor on the basis of, the shutter is given an identification code for distinguishing the image Generating an image and a plurality of button images, respectively, displaying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a shutter image, and a plurality of button images to be overlaid on the screen of the touchable display, and the shutter image on the touchable display screen When there is a user's touch input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image of the plurality of button images, generating an interrupt signal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and outputting an identification code and an interrupt signal, and control based on the identification code and the interrupt signal And generating a signal, and driving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사용자와 떨어져 있는 카메라에 촬영되는 촬영 구도를 스마트 지지 장치를 위한 원격 제어 장치의 화면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스마트 지지 장치를 위한 원격 제어 장치를 조작하여 카메라가 거치되는 스마트 지지 장치의 거치부를 원격으로 조작할 수 있어 사용자가 떨어져 있는 카메라의 촬영 구도를 조작하기 위해 직접 카메라가 있는 위치까지 가지 않아도 되므로, 촬영시간을 단축하고 사용자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expect the following effects. The shooting composition taken by a camera away from the user can be checked in real time on the scree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for the smart support device. By operating the remote control device for the smart support device, the holder of the smart support device on which the camera is mounted can be remotely operated, so that the user does not have to go directly to the location of the camera to manipulate the shooting composition of the camera away from the camera. It can shorten time and reduce user fatigue.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지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지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지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지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획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스마트 지지 장치를 위한 원격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지지 장치를 위한 원격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mart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smart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smart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mart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acquisi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touchable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a smart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 chart showing a remote control method for a smart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e person,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On the other hand,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xemplary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마트 지지 장치, 스마트 지지 장치를 위한 원격 제어 장치, 영상 획득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smart support device, a remote control device for a smart support device, and an image acquisition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1 내지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마트 지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지지 장치를 위한 원격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지지 장치를 위한 원격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영상 획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1 to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smart support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a smart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a smart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image acquisi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지지 장치(10)는 지지부(110), 길이조절부(120), 연결부(130), 고정부(140), 제1모터(150), 제1회전부(160), 제2모터(170), 제2회전부(180), 거치부(190) 및 제어 신호 생성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mart support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part 110, a length adjustment part 120, a connection part 130, a fixing part 140, a first motor 150, a first rotation part 160 ), a second motor 170, a second rotating part 180, a mounting part 190, and a control signal generating part 100.

지지부(1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한다.The support part 110 has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지지부(110)의 수용공간에는 배터리(113)가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The battery 113 may be provid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support part 110.

배터리(113)는 제1모터(150)와 제2모터(170) 및 제어 신호 생성부(100)의 작동을 위한 전원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The battery 113 may provide power for operating the first motor 150 and the second motor 170 and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100.

지지부(110)의 하부에는 지지다리가 연결된다.A support leg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part 110.

지지다리(112)는 지지부(110)를 지지한다.The support leg 112 supports the support part 110.

지지다리(112)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각각의 일단이 지지부(110)의 하부에 내외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re may be a plurality of support legs 112, and each end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part 110 inward and outward.

지지다리(112)는 복수 개의 지지다리 단위체가 다단으로 연결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The support leg 112 may have a length adjustable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support leg units in multiple stages.

지지다리(112)가 내측으로 회전되어 서로 밀착되면 지지다리(112)를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다.When the support legs 112 are rotated inward and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support legs 112 may be used as a handle.

길이조절부(120)는 다단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길이조절봉으로 이루어져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length adjustment unit 120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length adjustment rods connected in multiple stages to enable length adjustment.

연결부(130)는 길이조절부(120)와 고정부(140)를 연결한다. The connection part 130 connects the length adjustment part 120 and the fixing part 140.

길이조절부(120)의 길이가 조절되면 지지부(110)와 연결부(130) 간의 거리가 조절되는 것일 수 있다. When the length of the length adjustment unit 120 is adjusted,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unit 110 and the connection unit 130 may be adjusted.

연결부(130)는 길이조절부(120)의 상부에 구비되며, 연결나사(132)와 제1접촉단자(133)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ng part 130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length adjusting part 120 and may include a connecting screw 132 and a first contact terminal 133.

연결나사(132)는 연결부(130)의 상부 중심에 단부가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The connection screw 132 may be provided with an end protruding from the upper center of the connection part 130.

제1접촉단자(133)는 배터리(113)의 전원단자와 전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first contact terminal 133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of the battery 113 through an electric wire.

제1접촉단자(133)는 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연결부(130)의 상부 일측에 노출되게 구비된다.The first contact terminal 133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is provided to be exposed on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on part 130.

고정부(140)는 연결부(130)와 제1회전부(160)의 사이에 구비되어, 제1모터(150)를 내부에 수용하고 고정하도록 한다. 고정부(14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한 것일 수 있다.The fixing part 140 is provided between the connection part 130 and the first rotating part 160 to accommodate and fix the first motor 150 therein. The fixing part 14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and may have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고정부(140)는 나사홀(142)과 제2접촉단자(143)와 제1축관통홀(144)과 전선관통홀(145)를 포함한다.The fixing part 140 includes a screw hole 142, a second contact terminal 143, a first shaft through hole 144 and a wire through hole 145.

고정부(140)의 하부 일측에는 나사홀(142)이 형성되며, 나사홀(142)에 연결나사(132)가 결합되면 고정부(140)는 연결부(130)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A screw hole 142 is formed at a lower side of the fixing part 140, and when the connection screw 132 is coupled to the screw hole 142, the fixing part 140 may be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ion part 130.

고정부(140)의 상부 일측에는 제1축관통홀(144)이 형성된다. A first shaft through hole 144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part 140.

제1모터(150)의 회전축 일단은 제1축관통홀(144)을 통해 고정부(140)의 밖으로 노출되는 것일 수 있다.One end of the rotation shaft of the first motor 15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xing part 140 through the first shaft through hole 144.

제1모터(150)는 고정부(14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모터(150)는 브래킷(146)에 의해 고정부(14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The first motor 150 may be provided inside the fixing part 140, and the first motor 150 may be fixed inside the fixing part 140 by a bracket 146.

제1모터(150)의 회전축의 일단은 제1회전부(160)와 연결되어 제1모터(150)가 구동되면 제1회전부(160)가 회전되는 것일 수 있다. One end of the rotation shaft of the first motor 15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 unit 160 to rotate the first rotation unit 160 when the first motor 150 is driven.

제2접촉단자(143)는 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고정부(140)의 하부면 일측에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접촉단자(143)는 연결부(130)의 제1접촉단자(133)와 전기적으로 접촉된다.The second contact terminal 143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may be formed to be exposed to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part 140. The second contact terminal 143 is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first contact terminal 133 of the connection part 130.

제1모터(150) 및 제2모터(170)는 제2접촉단자(14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113)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The first motor 150 and the second motor 17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tact terminal 143 to receive power from the battery 113.

전선관통홀(145)은 고정부(140)의 상부 타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선관통홀(145)을 통해 제2접촉단자(143)에 연결된 전선이 통과될 수 있다.The wire through hole 145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fixing part 140, and a wire connected to the second contact terminal 143 may pass through the wire through hole 145.

전선관통홀(145)은 제1회전부(160)의 회전 반경에 대응되게 고정부(140)의 상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면적으로 곡률을 가지도록 관통될 수 있다.The wire through hole 145 may be penetrated so as to have a curvature in a predetermined area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bove the fixing part 140 to correspond to the rotation radius of the first rotating part 160.

제1회전부(160)는 고정부(140) 상부에 형성되며, 제2축관통홀(16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rotating part 160 is formed on the fixing part 140 and may include a second shaft through hole 162.

제1회전부(160)는 고정부(140)와 제2회전부(180)의 사이에 구비되어 제2회전부(18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The first rotation unit 16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xing unit 140 and the second rotation unit 180 to rotatably support the second rotation unit 180.

제1모터(150)의 회전축은 제1회전부(160)와 연결되며, 제1회전부(160)는 제1모터(150)의 작동에 따라 회전된다. The rotation shaft of the first motor 150 is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 unit 160, and the first rotation unit 160 rotat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motor 150.

제1회전부(160)의 내부에는 제2모터(170)가 브래킷(163)에 의해 고정된다.Inside the first rotating part 160, the second motor 170 is fixed by the bracket 163.

제2모터(170)의 회전축 일단은 제2축관통홀(162)을 통해 제1회전부(160)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 일 수 있다.One end of the rotation shaft of the second motor 17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rotation unit 160 through the second shaft through hole 162.

제2모터(170)의 회전축의 방향은 제1모터(150)의 회전축의 방향과 다르게 형성된다.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second motor 170 is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motor 150.

제2회전부(180)는 제1회전부(160)의 회전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거치부(190)를 회전할 수 있도록 제1회전부(160)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2모터(170)의 회전축 일단은 제2회전부(180)의 내부 일측에 연결되어, 제2모터(170)가 구동되면 제2회전부(180)가 회전되는 것일 수 있다.The second rotation unit 180 may be formed outside the first rotation unit 160 to rotate the mounting unit 190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rotation unit 160, and the second motor 170 One end of the rotation shaft of may be connected to an inner side of the second rotation unit 180, and when the second motor 170 is driven, the second rotation unit 180 may be rotated.

거치부(190)는 카메라(310) 또는 카메라(310)를 포함하는 영상 획득 장치(30)가 거치될 수 있다.The mounting unit 190 may be mounted with a camera 310 or an image acquisition device 30 including a camera 310.

거치부(190)는 일측에 영상 획득 장치(30)를 거치할 수 있고, 타측이 제2회전부(180)에 연결되어 지지된다.The mounting unit 190 may mount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30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and supported by the second rotating unit 180.

거치부(190)는 제1모터(150) 및 제2모터(170)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에 따라 각도가 조절된다.The mounting part 190 is angled according to the driving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motor 150 and the second motor 170.

거치부(190)는 제1회전부(160)에는 고정되지 않으나 회전 범위가 제1회전부(160)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The mounting part 190 is not fixed to the first rotating part 160, but the rotation range may be limited by the first rotating part 160.

즉, 제1모터(150)의 구동에 따라 제1회전부(160), 제2모터(170), 제2회전부(180), 거치부(190)가 함께 제1모터(150)의 회전축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하게 되며, 제2모터(170)의 구동에 따라 거치부(190)가 제2회전부(180)의 회전축 회전 방향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That is,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first motor 150, the first rotation unit 160, the second motor 170, the second rotation unit 180, and the mounting unit 190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motor 150 It rotates along the direction, and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second motor 170, the mounting unit 190 ro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second rotation unit 180.

제1모터(150)와 제2모터(170)는 제어 신호 생성부(100)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되는 것일 수 있으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1모터(150)의 회전축이 회전됨에 따라, 제1회전부(160)와 제2회전부(180), 거치부(190)가 제1모터(150)의 회전축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될 수 있다.The first motor 150 and the second motor 170 may be driven based on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100, and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motor 150 rotates based on the control signal. Accordingly, the first rotation unit 160, the second rotation unit 180, and the mounting unit 190 may be rotated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motor 150.

또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2모터(170)의 회전축이 회전됨에 따라, 제2회전부(180)와 거치부(190)가 제2모터(170)의 회전축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rotation axis of the second motor 170 is rotated based on the control signal, the second rotation unit 180 and the mounting unit 190 may be rotated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second motor 170. have.

제어 신호 생성부(100)는 제1회전부(160) 또는 제2회전부(18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되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10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or separated from the first rotating unit 160 or the second rotating unit 180.

제어 신호 생성부(100)는 후술하는 스마트 지지 장치를 위한 원격 제어 장치(20)로부터 식별코드와 인터럽트 신호를 제공받아 제1모터(150) 또는 제2모터(170)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The control signal generator 100 receives an identification code and an interrupt signal from a remote control device 20 for a smart support device to be described later,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driving the first motor 150 or the second motor 170. It can be something to create.

제1모터(150)와 제2모터(170)는 제어 신호 생성부(100)가 생성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작동될 수 있다.The first motor 150 and the second motor 170 may be operated based on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100.

스마트 지지 장치(10)에는 원격 제어 장치(20)와 외부의 모바일기기가 무선 인터넷이 가능하도록 와이파이 신호를 송출하는 와이파이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The smart support device 10 may be provided with a remote control device 20 and a Wi-Fi module that transmits Wi-Fi signals so that an external mobile device enables wireless Interne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지지 장치를 위한 원격 제어 장치(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지지 장치(10)를 원격으로 제어하며 카메라가 셔터 동작되도록 하여 카메라 촬영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지지 장치를 위한 원격 제어 장치(20)는 버튼 이미지 생성부(210), 셔터 이미지 생성부(220), 터치 가능한 디스플레이(230), 인터럽트 신호 출력부(240), 이미지 데이터 수신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device 20 for a smart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motely controls the smart support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llows the camera to be operated with a shutter so that an image according to the camera photographing is performed. Acquire the data. The remote control device 20 for a smart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tton image generator 210, a shutter image generator 220, a touchable display 230, and an interrupt signal output unit 240. , It may include an image data receiving unit 250.

버튼 이미지 생성부(210)는 기설정된 모양을 가지는 복수 개의 버튼 이미지들(211, 212, 213, 214)을 생성하고, 복수 개의 버튼 이미지들(211, 212, 213, 214)을 서로 구별하기 위한 식별코드를 버튼 이미지 별로 부여할 수 있다.The button image generator 210 generates a plurality of button images 211, 212, 213, 214 having a preset shape, and distinguishes the plurality of button images 211, 212, 213, 214 from each other. Identification codes can be assigned for each button image.

셔터 이미지 생성부(220)는 기설정된 모양을 가지는 셔터 이미지(221)를 생성하고, 식별코드를 셔터 이미지(221)에 부여할 수 있다터치 가능한 디스플레이(230)는 후술하는 영상 획득 장치(30)로부터 받은 영상을 화면상에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The shutter image generator 220 may generate a shutter image 221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may assign an identification code to the shutter image 221. The touchable display 230 is an image acquisition device 30 to be described later. You can display the video received from the screen in real time.

터치 가능한 디스플레이(230)는 버튼 이미지 생성부(210)가 생성한 복수 개의 버튼 이미지들(211, 212, 213, 214)을 화면상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하고, 셔터 이미지 생성부(220)가 생성한 셔터 이미지(221)를 화면상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한다.The touchable display 230 displays a plurality of button images 211, 212, 213, and 214 generated by the button image generating unit 210 by overlaying them on the screen, and the shutter image generating unit 220 The shutter image 221 is overlaid on the screen and displayed.

터치 가능한 디스플레이(230)는 복수 개의 버튼 이미지들(211, 212, 213, 214)과 셔터 이미지(221) 각각에 대응되는 화면상의 영역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받을 수 있다.The touchable display 230 may receive a touch input from a user for an area on the scree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button images 211, 212, 213, and 214 and the shutter image 221.

인터럽트 신호 출력부(240)는 셔터 이미지(221)와 복수 개의 버튼 이미지들(211, 212, 213, 214)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터치 입력에 따른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고,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셔터 이미지(221) 또는 복수 개의 버튼 이미지들(211, 212, 213, 214)의 식별코드와 인터럽트 신호를 각각 출력한다.When there is a user's touch input corresponding to the shutter image 221 and the plurality of button images 211, 212, 213, 214, the interrupt signal output unit 240 generates an interrupt signal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and The shutter image 221 corresponding to the input or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plurality of button images 211, 212, 213, 214 and an interrupt signal are respectively output.

이미지 데이터 수신부(250)는 후술하는 영상 획득 장치(30)로부터 인터럽트 신호의 출력에 대응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받을 수 있다.The image data receiver 250 may receiv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an output of an interrupt signal from an image acquisition device 30 to be described lat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획득 장치(3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지지 장치를 위한 원격 제어 장치(20)에 카메라 촬영에 따른 영상을 제공하며, 원격 제어 장치(20)로부터 인터럽트 신호를 제공받아 카메라가 셔터 동작함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를 원격 제어 장치(20)로 전송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획득 장치(30)는 카메라(310), 영상 제공부(320), 인터럽트 신호 입력부(330), 이미지 데이터 생성부(340), 이미지 데이터 전송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acquisition device 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age according to camera shooting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 for a smart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mote control device 20 ) To transmit th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shutter operation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 by receiving an interrupt signal.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mera 310, an image providing unit 320, an interrupt signal input unit 330, an image data generation unit 340, and an image data transmission unit 350. It may include.

카메라(310)는 영상 촬영이 가능하고, 셔터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셔터의 작동에 따라 셔터가 작동한 시점의 이미지를 저장 할 수 있는 촬영 가능한 기기일 수 있다.The camera 310 may be an image capturing device capable of capturing an image, has a shutter function, and can store an image at a time when the shutter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shutter operation.

영상 제공부(320)는 카메라(310)가 촬영하는 영상을 획득하고(S101), 획득한 영상을 전술한 스마트 지지 장치를 위한 원격 제어 장치(20)에 제공할 수 있다.The image providing unit 320 may acquire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310 (S101), and provide the acquired image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 for the above-described smart support device.

인터럽트 신호 입력부(330)는 스마트 지지 장치를 위한 원격 제어 장치(20)의 인터럽트 신호 출력부(240)가 출력한 셔터 이미지의 식별코드와 인터럽트 신호를 입력받는다The interrupt signal input unit 330 receives an identification code and an interrupt signal of the shutter image output from the interrupt signal output unit 240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 for a smart support device.

카메라(310)는 셔터 이미지의 식별코드와 인터럽트 신호에 기초하여 셔터를 작동한다. The camera 310 operates the shutter based on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shutter image and the interrupt signal.

이미지 데이터 생성부(340)는 카메라(310)의 셔터가 작동하는 시점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한다.The image data generation unit 340 generates image data by acquiring an image at a time when the shutter of the camera 310 is operated.

이미지 데이터 전송부(350)는 전술한 스마트 지지 장치를 위한 원격 제어 장치(20)에 이미지 데이터 생성부(340)가 생성한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한다.The image data transmission unit 350 transmits the image data generated by the image data generation unit 340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 for the aforementioned smart support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지지 장치를 위한 원격 제어 방법을 도8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A remote control method for a smart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8.

영상 획득 장치(30)의 영상 제공부(320)는 카메라(310)가 촬영하는 영상을 획득하고(S101), 전술한 스마트 지지 장치를 위한 원격 제어 장치(20)에 영상을 제공한다.The image providing unit 320 of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30 acquires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310 (S101) and provides the image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 for the above-described smart support device.

버튼 이미지 생성부(210)는 기설정된 모양을 가지는 복수 개의 버튼 이미지들(211, 212, 213, 214)을 생성하고, 복수 개의 버튼 이미지들(211, 212, 213, 214)을 서로 구별하기 위한 식별코드를 버튼 이미지 별로 부여할 수 있다(S102).The button image generator 210 generates a plurality of button images 211, 212, 213, 214 having a preset shape, and distinguishes the plurality of button images 211, 212, 213, 214 from each other. The identification code may be assigned for each button image (S102).

여기서, 버튼 이미지 생성부(210)는 기설정된 모양의 제1버튼 이미지(211)를 생성하고, 식별코드를 부여할 수 있다(S102). 또한, 버튼 이미지 생성부(210)는 기설정된 모양의 제2버튼 이미지(212)를 생성하고, 식별코드를 부여할 수 있다(S102). 또한, 버튼 이미지 생성부(210)는 기설정된 모양의 제3버튼 이미지(213)를 생성하고, 식별코드를 부여 할 수 있다(S102). 또한, 버튼 이미지 생성부(210)는 기설정된 모양의 제4버튼 이미지(214)를 생성하고, 식별코드를 부여할 수 있다(S102).Here, the button image generation unit 210 may generate the first button image 211 having a preset shape and give an identification code (S102). In addition, the button image generation unit 210 may generate a second button image 212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give an identification code (S102). In addition, the button image generation unit 210 may generate a third button image 213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give an identification code (S102). In addition, the button image generation unit 210 may generate a fourth button image 214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give an identification code (S102).

셔터 이미지 생성부(220)는 기설정된 모양을 가지는 셔터 이미지(221)를 생성하고, 식별코드를 셔터 이미지(221)에 부여한다(S102).The shutter image generator 220 generates a shutter image 221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gives an identification code to the shutter image 221 (S102).

터치 가능한 디스플레이(230)는 영상 획득 장치(30)로부터 받은 영상을 화면상에 실시간으로 표시한다(S103).The touchable display 230 displays the image received from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30 on the screen in real time (S103).

터치 가능한 디스플레이(230)는 버튼 이미지 생성부(210)가 생성한 복수 개의 버튼 이미지들(211, 212, 213, 214)을 화면상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하고, 셔터 이미지 생성부(220)가 생성한 셔터 이미지(221)를 화면상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한다(S103).The touchable display 230 displays a plurality of button images 211, 212, 213, and 214 generated by the button image generating unit 210 by overlaying them on the screen, and the shutter image generating unit 220 The shutter image 221 is overlaid on the screen and displayed (S103).

터치 가능한 디스플레이(230)는 복수 개의 버튼 이미지들(211, 212, 213, 214)과 셔터 이미지(221) 각각에 대응되는 화면상의 영역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받을 수 있다.The touchable display 230 may receive a touch input from a user for an area on the scree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button images 211, 212, 213, and 214 and the shutter image 221.

인터럽트 신호 출력부(240)는 셔터 이미지(221)와 복수 개의 버튼 이미지들(211, 212, 213, 214)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터치 입력에 따른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고,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셔터 이미지(221) 또는 복수 개의 버튼 이미지들(211, 212, 213, 214)의 식별코드와 인터럽트 신호를 각각 출력한다(S104).When there is a user's touch input corresponding to the shutter image 221 and the plurality of button images 211, 212, 213, 214, the interrupt signal output unit 240 generates an interrupt signal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and The shutter image 221 corresponding to the input or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plurality of button images 211, 212, 213, and 214 and an interrupt signal are respectively output (S104).

인터럽트 신호 출력부(240)는 터치 가능한 디스플레이(230)의 화면에 표시된 제1버튼 이미지(211)에 대응되는 화면상의 영역에 대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터치 입력에 따른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고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버튼 이미지의 식별코드와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104).The interrupt signal output unit 240 generates an interrupt signal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when there is a user's touch input for an area on th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first button image 211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ouchable display 230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button image corresponding to the input and an interrupt signal may be output (S104).

인터럽트 신호 출력부(240)는 터치 가능한 디스플레이(230)의 화면에 표시된 제2버튼 이미지(212)에 대응되는 화면상의 영역에 대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터치 입력에 따른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고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버튼 이미지의 식별코드와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104).The interrupt signal output unit 240 generates an interrupt signal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when there is a user's touch input for an area on th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button image 212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ouchable display 230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button image corresponding to the input and an interrupt signal may be output (S104).

인터럽트 신호 출력부(240)는 터치 가능한 디스플레이(230)의 화면에 표시된 제3버튼 이미지(213)에 대응되는 화면상의 영역에 대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터치 입력에 따른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고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버튼 이미지의 식별코드와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104).The interrupt signal output unit 240 generates an interrupt signal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when there is a user's touch input for an area on th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third button image 213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ouchable display 230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button image corresponding to the input and an interrupt signal may be output (S104).

인터럽트 신호 출력부(240)는 터치 가능한 디스플레이(230)의 화면에 표시된 제4버튼 이미지(214)에 대응되는 화면상의 영역에 대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터치 입력에 따른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고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버튼 이미지의 식별코드와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104).The interrupt signal output unit 240 generates an interrupt signal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when there is a user's touch input for an area on th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fourth button image 214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ouchable display 230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button image corresponding to the input and an interrupt signal may be output (S104).

인터럽트 신호 출력부(240)는 터치 가능한 디스플레이(230)의 화면에 표시된 셔터 이미지(221)에 대응되는 화면상의 영역에 대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터치 입력에 따른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고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버튼 이미지의 식별코드와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104).The interrupt signal output unit 240 generates an interrupt signal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when there is a user's touch input for an area on th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shutter image 221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ouchable display 230 and responds to the touch input.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corresponding button image and an interrupt signal may be output (S104).

제어 신호 생성부(100)는 스마트 지지 장치를 위한 원격 제어 장치(20)로부터 식별코드와 인터럽트 신호를 제공받아 제1모터(150) 또는 제2모터(170)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S105).The control signal generator 100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driving the first motor 150 or the second motor 170 by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code and the interrupt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20 for the smart support device. (S105).

제어 신호 생성부(100)는 제1버튼 이미지(211)의 터치에 대응되어 출력된 식별코드와 인터럽트 신호에 기초하여 제1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제2버튼 이미지(212)의 터치에 대응되어 출력된 식별코드와 인터럽트 신호에 기초하여 제2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제3버튼 이미지(213)의 터치에 대응되어 출력된 식별코드와 인터럽트 신호에 기초하여 제3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제4버튼 이미지(214)의 터치에 대응되어 출력된 식별코드와 인터럽트 신호에 기초하여 제4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105).The control signal generator 100 generates a first control signal based on an identification code and an interrupt signal output in response to the touch of the first button image 211, and corresponds to the touch of the second button image 212 Generates a second control signal based on the output identification code and interrupt signal, generates a third control signal based on the identification code and the interrupt signal output in response to the touch of the third button image 213, and A fourth control signal may be generated based on an identification code and an interrupt signal output in response to a touch of the button image 214 (S105).

제1모터(150)와 제2모터(170)는 제어 신호 생성부(100)가 생성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작동될 수 있다(S106).The first motor 150 and the second motor 170 may be operated based on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100 (S106).

여기서, 제1모터(150)는 제1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회전축이 정방향으로 회전되거나, 제2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회전축이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S106). 또한, 제2모터(170)는 제3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회전축이 정방향으로 회전되거나, 제4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회전축이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S106).Here, in the first motor 150, the rotation shaft may be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based on the first control signal, or the rotation axis may be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based on the second control signal (S106). In addition, the second motor 170 may rotate the rotation shaft in a forward direction based on the third control signal, or may rotate the rotation shaft in the reverse direction based on the fourth control signal (S106).

인터럽트 신호 입력부(330)는 스마트 지지 장치를 위한 원격 제어 장치(20)의 인터럽트 신호 출력부(240)가 출력한 식별코드와 인터럽트 신호를 입력받는다.The interrupt signal input unit 330 receives an identification code and an interrupt signal output from the interrupt signal output unit 240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 for a smart support device.

셔터 이미지의 식별코드와 인터럽트 신호에 기초하여 카메라(310)가 셔터 작동되도록 한다(S107). The shutter is operated based on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shutter image and the interrupt signal (S107).

이미지 데이터 생성부(340)는 카메라(310)의 셔터가 작동하는 시점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한다(S108).The image data generation unit 340 acquires an image at the time when the shutter of the camera 310 is operated and generates image data (S108).

이미지 데이터 전송부(350)는 전술한 스마트 지지 장치를 위한 원격 제어 장치(20)에 이미지 데이터 생성부(340)가 생성한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한다.The image data transmission unit 350 transmits the image data generated by the image data generation unit 340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 for the aforementioned smart support device.

이미지 데이터 수신부(250)는 영상 획득 장치(30)로부터 인터럽트 신호의 출력에 대응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받을 수 있다(S109). 이미지 데이터는 터치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통해 화면으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The image data receiver 250 may receiv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output of the interrupt signal from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30 (S109). Image data may be displayed on a screen through a touchable display.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스마트 지지 장치,
100: 제어 신호 생성부, 110: 지지부, 112: 지지다리, 113: 배터리
120: 길이조절부, 130: 연결부, 132: 연결나사, 133: 제1접촉단자
140: 고정부, 142: 나사홀, 143: 제2접촉단자, 144: 제1축관통홀,
145: 전선관통홀, 146: 브래킷
150: 제1모터, 160: 제1회전부, 162: 제2축관통홀, 163: 브래킷,
170: 제2모터, 180: 제2회전부, 190: 거치부,
20: 스마트 지지 장치를 위한 원격 제어 장치,
210: 버튼 이미지 생성부, 211: 제1버튼 이미지, 212: 제2버튼 이미지, 213: 제3버튼 이미지, 214: 제4버튼 이미지, 215: 옵션버튼 이미지들,
220: 셔터 이미지 생성부, 221: 셔터 이미지, 230: 터치 가능한 디스플레이, 240: 인터럽트 신호 출력부, 250: 이미지 데이터 수신부,
30: 영상 획득 장치,
310: 카메라, 320: 영상 제공부, 330: 인터럽트 신호 입력부, 340: 이미지 데이터 생성부, 350: 이미지 데이터 전송부.
10: smart support device,
100: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110: support, 112: support leg, 113: battery
120: length adjustment part, 130: connection part, 132: connection screw, 133: first contact terminal
140: fixed part, 142: screw hole, 143: second contact terminal, 144: first shaft through hole,
145: wire through hole, 146: bracket
150: first motor, 160: first rotating part, 162: second shaft through hole, 163: bracket,
170: second motor, 180: second rotating portion, 190: mounting portion,
20: remote control device for smart support device,
210: button image generation unit, 211: first button image, 212: second button image, 213: third button image, 214: fourth button image, 215: option button images,
220: shutter image generation unit, 221: shutter image, 230: touchable display, 240: interrupt signal output unit, 250: image data receiving unit,
30: image acquisition device,
310: camera, 320: image providing unit, 330: interrupt signal input unit, 340: image data generation unit, 350: image data transmission unit.

Claims (7)

제어 신호에 따라 회전축이 회전하는 제1모터; 상기 제1모터의 구동에 따라 몸체가 회전되며, 제어 신호에 따라 회전축이 회전하되 회전축의 방향이 상기 제1모터의 회전축의 방향과는 다른 제2모터; 카메라를 고정하며 상기 제1모터 및 상기 제2모터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에 따라 각도가 조절되는 거치부; 및 식별코드와 인터럽트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모터 또는 상기 제2모터 각각의 회전축이 회전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모터를 내부에 수용하고 고정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모터의 회전축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1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제1회전부; 상기 제2모터의 회전축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2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며 거치부를 지지하는 제2회전부; 및 상기 고정부 하부에 형성되며, 상부에 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제1접촉단자를 구비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의 하부면 일측에는 상기 제1접촉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제2접촉단자가 구비되고 상부에는 전선관통홀이 구비되며,
상기 전선관통홀을 통해 상기 제2접촉단자에 연결된 전선이 통과되는 것이고,
상기 전선관통홀은 상기 제1회전부의 회전 반경에 대응되게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면적으로 곡률을 가지도록 관통되는 것
인 스마트 지지 장치.
A first motor whose rotation shaft rotate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A second motor whose body is rotated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first motor, and the rotation axis is rotate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but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motor; A mounting portion fixing a camera and adjusting an angle according to driving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And a control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rotating the rotation shaft of each of the first motor or the second motor based on the identification code and the interrupt signal; and
A fixing part accommodating and fixing the first motor therein; A first rotation part formed on the fixing part a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otation shaft of the first motor to rotate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first motor; A second rotating par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otating shaft of the second motor, rotating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second motor, and supporting the mounting part; And a connection part formed below the fixing part and having a first contact terminal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thereon,
A second contact terminal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terminal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part, and a wire through hole is provided at the top thereof,
The wire connected to the second contact terminal passes through the wire through hole,
The wire through hole is penetrated so as to have a curvature in a predetermined area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part to correspond to the turning radius of the first rotating part
Smart support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내부에 배터리를 구비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접촉단자는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모터 및 상기 제2모터는 상기 제2접촉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
인 스마트 지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having a battery therein,
The first contact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tact terminal to receive power from the battery
Smart suppor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터의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회전부와 상기 제2회전부와 상기 거치부가 상기 제1모터의 회전축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되는 것
인 스마트 지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s the rotating shaft of the first motor rotates, the first rotating part, the second rotating part, and the mounting part are rotated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of the first motor.
Smart support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039869A 2019-04-05 2019-04-05 Smart support device Expired - Fee Related KR1021559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869A KR102155958B1 (en) 2019-04-05 2019-04-05 Smart support device
PCT/KR2020/003977 WO2020204433A1 (en) 2019-04-05 2020-03-24 Smart support device, remote control device for smart support device, and remote control method for smart suppor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869A KR102155958B1 (en) 2019-04-05 2019-04-05 Smart support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5958B1 true KR102155958B1 (en) 2020-09-14

Family

ID=72471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9869A Expired - Fee Related KR102155958B1 (en) 2019-04-05 2019-04-05 Smart support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55958B1 (en)
WO (1) WO2020204433A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85689A (en) * 2021-09-06 2021-11-23 中土集团福州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Civil engineering is range unit for data acquisition
CN113739030A (en) * 2021-09-15 2021-12-03 江苏迪赛司自动化工程有限公司 Monitoring device for building intelligent engineering
KR20230055813A (en) * 2021-10-19 2023-04-26 주식회사 코뱃 Apparatus for mounting of electronic devices with variable shape
KR102722067B1 (en) * 2023-11-02 2024-10-25 (주)케이아이오티 Portable counting apparatu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rip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78846A (en) * 2022-01-06 2022-04-05 魏伟 Intelligent monitoring and early warning device for Internet of things traffic electromechanical equipm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6676A (en) * 2005-09-14 2008-07-16 점프탭, 인크. Delivering content to mobile communications equipment
KR20080107160A (en) 2007-06-05 2008-12-10 삼성전자주식회사 Remote control device, display device and remote control method
KR20090098043A (en) * 2008-03-13 2009-09-17 이상덕 Subject tracking imaging camera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124422A (en) * 2012-05-04 2013-11-13 (주)컨벡스 Panning and tilting apparatus and wireless control system with the same for photographing
KR20160019481A (en) 2016-02-01 2016-02-19 이기영 The stick with servo moter for smartphone selfie
KR20170004925A (en) * 2016-12-23 2017-01-11 (주)아이티버스 Stick for taking a self picture
KR20180024752A (en) * 2016-08-31 2018-03-08 (주)아이티버스 Stick for taking a self picture
KR20190036323A (en) * 2017-09-27 2019-04-04 이충열 Gimbal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6676A (en) * 2005-09-14 2008-07-16 점프탭, 인크. Delivering content to mobile communications equipment
KR20080107160A (en) 2007-06-05 2008-12-10 삼성전자주식회사 Remote control device, display device and remote control method
KR20090098043A (en) * 2008-03-13 2009-09-17 이상덕 Subject tracking imaging camera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124422A (en) * 2012-05-04 2013-11-13 (주)컨벡스 Panning and tilting apparatus and wireless control system with the same for photographing
KR20160019481A (en) 2016-02-01 2016-02-19 이기영 The stick with servo moter for smartphone selfie
KR20180024752A (en) * 2016-08-31 2018-03-08 (주)아이티버스 Stick for taking a self picture
KR20170004925A (en) * 2016-12-23 2017-01-11 (주)아이티버스 Stick for taking a self picture
KR20190036323A (en) * 2017-09-27 2019-04-04 이충열 Gimbal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85689A (en) * 2021-09-06 2021-11-23 中土集团福州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Civil engineering is range unit for data acquisition
CN113739030A (en) * 2021-09-15 2021-12-03 江苏迪赛司自动化工程有限公司 Monitoring device for building intelligent engineering
KR20230055813A (en) * 2021-10-19 2023-04-26 주식회사 코뱃 Apparatus for mounting of electronic devices with variable shape
KR102577989B1 (en) * 2021-10-19 2023-09-13 주식회사 코뱃 Apparatus for mounting of electronic devices with variable shape
KR102722067B1 (en) * 2023-11-02 2024-10-25 (주)케이아이오티 Portable counting apparatu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rip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04433A1 (en) 2020-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5958B1 (en) Smart support device
US9458963B1 (en) 360-degree gimbal system
DK2944078T3 (en) Wireless camcorder
US8422875B2 (en) Remote view and controller for a camera
WO2021012855A1 (en) Panoramic image generating system and panoramic image generating method
WO2018233330A1 (en) Pan-tilt and camera assembly having same
CN105025222A (en) A shoot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CN110933297B (en) Photographing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intelligent photographing system, storage medium and system
JP2004193860A (en) Electronics
KR101082798B1 (en) A Photographing System For Self Camera
KR101814714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camera in smart phone
CN105301872A (en) Camera reflector
US20090309964A1 (en) Portable viewing device
US20120026282A1 (en) Camera
US10274811B2 (en) Edge light device for photography system
CN110035220A (en) Apparatus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photography
CN1302152A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with camera
KR101322481B1 (en) Apparatus for determining camera position
JP2011019094A (en) Mobile terminal with camera, camera device, and photographing direction correction method
KR20210060792A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3D rotating video using turntable and cradle for terminal
KR20180085569A (en) Supporter for mobile device
CN111835947A (en) Camera device, camera system and storage medium
JP2000002927A (en) Automatic universal head, supporting structure thereof and photographing system
JP2004007296A (en) Camera photography system and camera photographing device
JP2016019092A (en) Information processor,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23090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30909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