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41497B1 -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using wireless communications and voice signal processing system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using wireless communications and voice signal processing system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1497B1
KR102141497B1 KR1020180088721A KR20180088721A KR102141497B1 KR 102141497 B1 KR102141497 B1 KR 102141497B1 KR 1020180088721 A KR1020180088721 A KR 1020180088721A KR 20180088721 A KR20180088721 A KR 20180088721A KR 102141497 B1 KR102141497 B1 KR 102141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one
voice signal
tone signals
vo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7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13480A (en
Inventor
조종찬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8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1497B1/en
Publication of KR20200013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34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497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08Multichannel audio signal coding or decoding using interchannel correlation to reduce redundancy, e.g. joint-stereo, intensity-coding or matrix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017Lossless audio signal coding; Perfect reconstruction of coded audio signal by transmission of coding err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predictive techniques
    • G10L19/16Vocoder architecture
    • G10L19/18Vocoders using multiple modes
    • G10L19/24Variable rate codecs, e.g. for generating different qualities using a scalable representation such as hierarchical encoding or layered en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무선 통신을 이용한 송/수신 장치 및 그들을 이용한 음성신호 처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음성이 중복되거나 음성이 탈락하는 현상을 해결하도록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미리 설정된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생성하고, 순차적으로 생성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음성신호를 동기화시키며, 음성신호의 순서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음성신호로부터 원래 외부로부터 수신한 음성신호를 음성중복 또는 음성탈락 없이 복원할 수 있다. Disclosed is a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voice signal processing system us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sequentially generates a plurality of tone signals corresponding to a preset frequency band according to a preset time to solve the phenomenon of overlapping or dropping of voice appearing in the process of processing a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outside, sequentially Synchronizes a plurality of tone signals generated with the voice signal, and restores a voice signal originally received from the outside from the voice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including the sequence information of the voice signal without overlapping or dropping the voice. Can.

Description

무선 통신을 이용한 송/수신 장치 및 그들을 이용한 음성신호 처리 시스템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USING WIRELESS COMMUNICATIONS AND VOICE SIGNAL PROCESSING SYSTEM USING THE SAME}Transmitting/receiving devic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voice signal processing system using them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USING WIRELESS COMMUNICATIONS AND VOICE SIGNAL PROCESSING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을 이용한 송/수신 장치 및 그들을 이용한 음성신호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수신한 다수의 음성신호들로부터 최적의 음질을 선택하는 송/수신 장치 및 그들을 이용한 음성신호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voice signal processing system using them.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for selecting an optimal sound quality from a plurality of voice signals receive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voice signal processing system using them.

일반적으로 전장 상황을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은 전술용 무전기(수신장치)의 음성을 녹음하여 사용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다수의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아날로그 무전기의 음성을 모니터링 및 녹음하는 보안관제 시스템에도 적용이 가능하다.In general, the system for monitoring the battlefield situation consists of a system that records and uses the voice of a tactical radio (receiving device). Such a system can also be applied to a security control system that monitors and records the voice of an analog radio that is received through multiple channels.

이 때 전술용 무전기의 음성을 녹음하는 경우 전파환경 및 기지국 위치에 따라 다수의 전술용 무전기(수신장치)는 송신 무전기로부터 동일한 음성을 수신하고, 다수의 전술용 무전기(수신장치)는 수신된 음성을 전장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통제본부로 전송하고, 통제본부에서는 다수의 전술용 무전기(수신장치)로부터 전송 받은 음성들로부터 최적의 음질 선택하도록 전송 받은 신호를 처리한다.In this case, when recording the voice of the tactical radio, a plurality of tactical radios (receiving devices) receive the same voice from the transmitting radio, and a plurality of tactical radios (receiving devices) depending on the radio wave environment and the location of the base st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center that monitors the battlefield situation, and the control center processes the signal transmitted to select the optimal sound quality from the voices received from multiple tactical radios (receiving devices).

종래에는 음성신호 처리 방법으로 다수의 채널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음성 선택 알고리즘(예를 들어 영교차율(Zero Cross Rate, ZCR))을 이용하여 최적의 음성을 선택하지만, 현재 적용하고 있는 음성 선택 알고리즘은 수신되는 음성의 시작 타이밍을 알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음성 선택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경우 복수 개의 전술용 무전기가 탑재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음성신호들을 동일한 시간 조건에서 비교할 수 없으므로, 음질 선택/전환 시 음성이 중복되거나 또는 음성이 탈락하는 현상이 나타나는 문제가 존재한다.In the related art, an optimal voice is selected by using a voice selection algorithm (for example, zero cross rate (ZCR)) for voice input through multiple channels as a voice signal processing method, but the voice selection algorithm currently applied Has a problem in that the start timing of the received voice is unknown. Therefore, when the conventional voice selection algorithm is used, voice signals received from a base station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tactical radios cannot be compared under the same time condition, resulting in overlapping voices or voice dropouts when selecting/switching sound quality. The problem exists.

따라서, 음질 선택/전환 시 음성이 중복되거나 또는 음성이 탈락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복원할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technology capable of restoring a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outside by preventing a phenomenon in which the voice overlaps or the voice is dropped out when selecting/switching sound quality.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복원하는 과정에서 음성이 중복되거나 음성이 탈락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생성하고, 순차적으로 생성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외부로부터 수신한 음성신호를 동기화시켜 음성신호 및 음성신호의 순서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함께 송/수신하여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송/수신 장치 및 그들을 이용한 음성신호 처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sequentially generates a plurality of tone signals to prevent the voice from being duplicated or the voice dropping in the process of restoring the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outside, and sequentially receives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and the outside from the outsid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a voice signal by synchronizing the voice signal and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cluding sequence information of the voice signal and the voice signal, and a voice signal processing system using the sam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한 송신 장치 는 외부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음성신호 수신부;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생성하는 톤 신호 생성부; 상기 수신된 음성신호를 상기 생성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시키는 신호 동기화부; 및 상기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음성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A transmission apparatus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voice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voice signal from the outside; A tone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plurality of tone signals corresponding to a preset frequency band; A signal synchronization unit synchronizing the received voice signal with the generated plurality of tone signals; And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voice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바람직하게, 상기 톤 신호 생성부는 상기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순차적으로 생성하고, 상기 신호 동기화부는 상기 순차적으로 생성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상기 수신된 음성신호를 동기화시킬 수 있다.Preferably, the tone signal generation unit sequentially generates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according to a preset time interval, and the signal synchronization unit synchronizes the sequentially generated plurality of tone signals and the received voice signal. .

바람직하게, 상기 톤 신호 생성부는 첫 번째에 해당하는 제1 톤 신호부터 미리 설정된 N 번째에 해당하는 제N 톤 신호(N은 2 이상인 자연수)까지 순차적으로 생성하고, 상기 신호 동기화부는 상기 수신된 음성신호를 상기 음성신호가 수신되는 시간에 대응하는 상기 순차적으로 생성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 중 M 번째(1≤M≤N, M은 자연수)에 생성된 제M 톤 신호와 동기화시킬 수 있다.Preferably, the tone signal generation unit sequentially generates from the first ton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 the Nth ton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reset Nth (N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2), and the signal synchronization unit receives the received voice. The signal may be synchronized with the Mth tone signal generated in the Mth (1≤M≤N, M is a natural number) among the sequentially generated plurality of tone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time at which the voice signal is received.

바람직하게, 상기 톤 신호 생성부는 상기 N 번째 톤 신호를 생성한 후에 다시 상기 제1 톤 신호부터 다시 상기 제N 톤 신호까지 생성하는 것을 반복할 수 있다.Preferably, after generating the N-th tone signal, the tone signal generation unit may repeat generating the first tone signal to the N-th tone signal agai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한 수신 장치는 송신 장치에서 생성된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음성신호를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음성신호로부터 상기 음성신호를 추출하는 음성신호 추출부; 및 상기 수신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음성신호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검출하는 톤 신호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receiving devic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relessly communicates a voice signal synchronized with a plurality of tone signals corresponding to a preset frequency band generated by the transmitting device. A receiving apparatus for receiving using, comprising: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voice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A voice signal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the voice signal from a voice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received plurality of tone signals; And a tone signal detector configured to detect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from a voice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received plurality of tone signals.

바람직하게, 상기 추출된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에 해당하는 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신호 변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성신호와 동기화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생성된 상기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상기 음성신호가 동기화되어 상기 음성정보의 순서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톤 신호 검출부는 상기 음성신호의 순서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디지털 신호에 해당하는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Preferably, a voice signal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extracted voice signal into data corresponding to a digital signal;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tone signals synchronized with the voice signal is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he tone signals and the voice signal are synchronized to include sequence information of the voice information, and the tone signal detection unit detects a plurality of tone signals including sequence information of the voice signal, and detects the detected tone signals. It can be converted into data corresponding to digital signals.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로 변환된 음성신호 및 상기 음성신호의 순서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합성하는 데이터 합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a data synthesizer for synthesizing a plurality of tone signals including the voice signal converted to the data and the sequence information of the voice signal may further include a.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첫 번째에 해당하는 제1 톤 신호부터 미리 설정된 N 번째에 해당하는 제N 톤 신호(N은 2 이상인 자연수)까지 순차적으로 생성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이고, 상기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음성신호는 상기 송신 장치에 상기 음성신호가 수신되는 시간에 대응하는 시간에 생성된 제M 톤 신호(1≤M≤N, M은 자연수)와 동기화된 음성신호일 수 있다.Preferably,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are sequentially generated from a first ton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 a Nth ton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reset Nth (N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2) according to a preset time interval. The tone signals, and the voice signals synchronized with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include the Mth tone signal (1≤M≤N, M is a natural number) generated at a time corresponding to the time at which the voice signal is received by the transmitting device. It may be a synchronized voice signal.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신호 처리 시스템은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외부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동기화시켜 상기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음성신호를 복수 개의 수신 장치들로 송신하는 송신 장치;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음성신호를 각각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음성신호로부터 상기 음성신호를 추출하며, 상기 수신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음성신호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검출하여 상기 추출된 음성신호와 상기 검출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음성신호 처리 장치로 각각 전송하는 복수 개의 수신 장치들; 및 상기 복수 개의 수신 장치들로부터 각각 전송 받은 상기 추출된 음성신호와 상기 검출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조합하여 상기 음성신호를 복원하는 음성신호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A voice signal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generates a plurality of tone signals corresponding to a preset frequency band,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generated and received from the outside A transmitting device that synchronizes a voice signal and transmits a voice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to a plurality of receiving devices; Each of the voice signals synchronized with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is received from the transmitting device, the voice signals are extracted from the voice signals synchronized with the received plurality of tone signals, and the received plurality of tone signals A plurality of receiving devices for detecting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from the synchronized voice signal and transmitting the extracted voice signal and the detected plurality of tone signals to a voice signal processing device, respectively; And a voice signal processing device that restores the voice signal by combining the extracted voice signal and the detected tone signals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receiving devices, respectively.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생성된 순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수신 장치들은 상기 추출된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에 해당하는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음성신호의 순서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검출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디지털 신호에 해당하는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로 변환된 음성신호 및 음성신호의 순서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합성하고, 상기 합성된 데이터를 각각 상기 음성신호 처리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Preferably,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includes sequence information generated according to a preset time interval, and the plurality of receiving devices convert the extracted voice signal into data corresponding to a digital signal, and the sequence of the voice signal Converting the detected plurality of tone signals including information into data corresponding to a digital signal, synthesizing a plurality of tone signals including the voice signal converted into the data and sequence information of the voice signal, and synthesizing the synthesized data. Each can be transmitted to the audio signal processing device.

바람직하게, 상기 음성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수신 장치들에서 각각 전송된 합성된 데이터들을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수신된 합성된 데이터들 각각을 상기 음성신호와 상기 음성신호의 순서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톤 신호들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및 상기 수신된 복수 개의 합성된 데이터들로부터 각각 변환된 음성신호와 상기 음성신호의 순서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조합하여 상기 음성신호를 복원하는 음성신호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au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dat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synthesized data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receiving devices, respectively; A data converter converting each of the received synthesized data into a plurality of tone signals including the voice signal and sequence information of the voice signal; And a voice signal processor configured to restore the voice signal by combining a voice signal converted from the received plurality of synthesized data and a plurality of tone signals including sequence information of the voice signal.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 개의 수신 장치들 각각은 상기 추출된 음성신호 및 상기 검출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광 신호로 변경하여 광케이블을 통해 상기 음성신호 처리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음성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광케이블을 통해 상기 복수 개의 수신 장치들로부터 전송된 광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광 신호를 상기 추출된 음성신호 및 상기 검출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음성신호 및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조합하여 상기 음성신호를 복원할 수 있다.Preferably, each of the plurality of receiving devices converts the extracted voice signal and the detected plurality of tone signals into optical signals and transmits them to the voice signal processing device through an optical cable, and the voice signal processing device is the optical cable Receives the optical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receiving devices through, converts the received optical signals into the extracted voice signal and the detected plurality of tone signals, the converted voice signal and a plurality of tones The signals can be combined to restore the voice signal.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첫 번째에 해당하는 제1 톤 신호부터 미리 설정된 N 번째에 해당하는 제N 톤 신호(N은 2 이상인 자연수)까지 순차적으로 생성된 톤 신호들이고, 상기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음성신호는 상기 송신 장치에서 상기 음성신호가 수신되는 시간에 대응하는 시간에 생성된 상기 제M 톤 신호(1≤M≤N, M은 자연수)와 동기화된 음성신호일 수 있다.Preferably,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are sequentially generated from a first ton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 a Nth ton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reset Nth (N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2) according to a preset time interval. The voice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is synchronized with the Mth tone signal (1≤M≤N, M is a natural number) generated at a time corresponding to the time at which the voice signal is received at the transmitting device. It may be a voice signal.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아날로그 변/복조 형태의 무전기에서도 음성신호와 음성신호의 순서정보를 같이 수신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채널을 통해 수신 받은 음성신호를 복원하도록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경우 음성신호가 탈락되거나 또는 음성신호가 중복되는 등의 오류를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음성을 처리하는 기능을 향상시켜 최적의 음성을 복원하여 녹음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n the case of an analog modulation/demodulation type radio, the voice signal and the sequence information of the voice signal can be received at the same time, so when processing the voice signal to restore the voice signal received through multiple channels It is possible to improve errors such as dropping signals or overlapping voice signal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function of processing a voice and restore and record the optimal voic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신호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한 송신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의 주파수 테이블을 나타낸 것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신호와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동기화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한 수신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톤 신호와 음성신호가 동기화된 신호에서 음성신호를 추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톤 신호 검출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신호 처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신호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신호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oice signal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ransmission apparatus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B shows a frequency table of a plurality of tone sig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C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synchronizing a plurality of tone signals with a voice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ceiving devic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extracting a voice signal from a signal in which a tone signal and a voice signal are synchroniz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the internal structure of a tone signal de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u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B is a view for explaining a voice signal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transmitting a signal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receiving a signal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oice signal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clarifi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allow the pub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general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hold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sed as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specifically defined.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본 명세서에서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 identification code (for example, a, b, c, etc.) in each step is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is clearly in context. Unless a specific order is specified, it may occur differently from the specified order.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In this specification, expressions such as “have”, “can have”, “include” or “can include” indicate the existence of a corresponding feature (eg, a component such as a numerical value, function, operation, or part). Indicates,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f additional features.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구조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 unit' as used herein refers to hardware components such as software or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or ASIC, and'~ unit' performs certain roles. However,'~bu'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The'~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may be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Thus, as an example,'~ unit' refers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attributes, and procedures. ,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s, data structures and variables. The functions provided within components and'~uni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units',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unit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한 송/수신 장치 및 그들을 이용한 음성신호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관련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신호 처리 시스템은, 다양한 전투체계에서 BMS(Battle Management System)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단말 장치간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을 이용하여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시스템이다. 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voice signal processing system using th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voice signal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processing a voice signal using communication that wirelessly transmits and receives data between terminal devices for data transmission of a BMS (Battle Management System) in various battle syste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신호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oice signal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신호 처리 시스템(10)은 송신 장치(100), 복수 개의 수신 장치들(201, 202, 203) 및 음성신호 처리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1, the voice signal process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mitting device 100, a plurality of receiving devices (201, 202, 203) and a voice signal processing device 300 can do.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외부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동기화시켜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음성신호를 복수 개의 수신 장치들(201, 202, 203)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100)에 대해서는 도 2a 내지 도 2c를 함께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plurality of tone signals corresponding to a preset frequency band, and synchronizes the generated plurality of tone signals with a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outside to generate a plurality of tone signals It is possible to transmit a voice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field to a plurality of receiving devices (201, 202, 203). The transmiss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A to 2C together.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는 무전기일 수 있거나 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무전기가 탑재된 전차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모든 장치일 수 있다.The trans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walkie-talkie or a vehicle equipped with a walkie-talkie capable of transmitting an analog signal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can be any device that can transmi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 개의 수신 장치들(201, 202, 203)은 송신 장치로부터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음성신호를 각각 수신하고, 수신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음성신호로부터 음성신호를 추출 및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검출하여 추출된 음성신호 및 검출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음성신호 처리 장치(300)로 각각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 개의 수신 장치들(201, 202, 203) 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The plurality of receiving devices 201, 202, and 20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receive voice signals synchronized with a plurality of tone signals from a transmitting device, and voice synchronized with the received plurality of tone signals The voice signal may be extracted from the signal and a plurality of tone signals may be detected to transmit the extracted voice signal and the detected plurality of tone signals to the voic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300, respectively. A plurality of receiving devices 201, 202, and 20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together.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는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무전기일 수 있거나 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송신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장치가 탑재된 기지국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recei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radio receiving from a transmitting device or a base station equipped with a device capable of receiving a signal from a transmitting devic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신호 처리 장치(300)는 복수 개의 수신 장치들로부터 각각 전송 받은 추출된 음성신호 및 검출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조합하여 음성신호를 복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신호 처리 장치(300)에 대해서는 도 6a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The voic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store a voice signal by combining the extracted voice signal and a plurality of detected tone signals respectively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receiving devices. The voic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A to 6B.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2A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한 송신 장치(100)는 음성신호 수신부(120), 톤 신호 생성부(110), 신호 동기화부(130), 변조부(140) 및 송신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2a, the transmission apparatus 100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oice signal receiving unit 120, a tone signal generating unit 110, a signal synchronization unit 130, a modulation unit 140 ) And the transmitter 15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신호 수신부(120)는 외부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톤 신호 생성부(110)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The voice signal receiving unit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a voice signal from the outside, and the tone signal generating unit 110 may generate a plurality of tone signals corresponding to a preset frequency ban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은 무선 주파수가 동일한 경우 혼성을 방지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신호들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은 바람직하게 가청음 대역을 벗어난 67Hz~250Hz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톤 신호를 생성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도 2b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ignals corresponding to a preset frequency band to prevent hybridization when the radio frequencies are the same, and the preset frequency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udible It may be 67 Hz to 250 Hz out of ban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 detailed method of generating a tone signa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B.

본 명세서에서 가청음 대역은 일반적인 사람의 음성 대역으로 약 300Hz~4kHz를 나타낸다.In this specification, the audible sound band is about 300 Hz to 4 kHz as a general human voice band.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의 주파수 테이블을 나타낸 것이다.2B shows a frequency table of a plurality of tone sig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 개의 톤 신호들 각각은 서로 다른 주파수(단위: Hz)(110a)에 해당하는 신호일 수 있으며,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의 주파수 테이블은 각각의 톤 신호가 몇 번째인지와 해당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톤 신호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223번 째 톤 신호는 146.2Hz의 주파수에 해당하는 신호이며 0DF의 식별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다. 223번 째 톤 신호와 225번 째 톤 신호 사이에 해당하는 224번 째 톤 신호(100b)가 이미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여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의 주파수 테이블에서 삭제된 경우로 상술한 예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의 주파수 테이블에 나타난 주파수 역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2B, each of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signal corresponding to a different frequency (unit: Hz) 110a, and the frequency tables of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are each tone It may indicate the number of signals and identification data for identifying a tone signal having a corresponding frequency band. For example, the 223rd tone signal is a signal corresponding to a frequency of 146.2 Hz, and may indicate identification data of 0DF. The above-described example is a case where the 224th tone signal 100b corresponding to the 223rd tone signal and the 225th tone signal is deleted from the frequency table of a plurality of tone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frequency band already used. It is only an example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hereto. The frequencies shown in the frequency tables of a plurality of tone signals are also example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따라서, 상술한 방법에 의해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은 서로 다른 미리 설정된 주파수에 해당하는 신호들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may be signals corresponding to different preset frequencies.

다시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톤 신호 생성부(110)는 상술한 방법에 의해 서로 다른 미리 설정된 주파수에 해당하는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순차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2A, the tone signal generation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quentially generates a plurality of tone signals corresponding to different preset frequencies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according to a preset time interval. can do.

구체적으로, 톤 신호 생성부(110)는 첫 번째에 해당하는 제1 톤 신호부터 미리 설정된 N 번째에 해당하는 제N 톤 신호(N은 2 이상인 자연수)까지 순차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톤 신호 생성부(110)는 N 번째에 해당하는 제N 톤 신호까지 순차적으로 생성한 후 다시 제1 톤 신호부터 제N 톤 신호까지 생성할 수 있으며, 또 다시 제N 톤 신호까지 생성하면 또 다시 제1 톤 신호부터 제N 톤 신호를 음성신호와 동기화시켜 송신부(150)에서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음성신호를 송신하기 전까지 반복하여 생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one signal generator 110 may sequentially generate the first ton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 the Nth ton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reset Nth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In addition, the tone signal generator 1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equentially generate the N-th ton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N-th and then generate the first tone signal to the N-th tone signal again. When the N-th tone signal is generated again, the first tone signal is synchronized with the N-th tone signal to the voice signal to be repeatedly generated until the transmission unit 150 transmits a voice signal synchronized with a plurality of tone signals. Ca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송신 장치(100)는 무전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무전기로 구현되는 경우 무전기에서 송신하기 위한 송신 버튼에 해당하는 PTT가 ON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PTT가 ON 되는 경우, 톤 신호 생성부(110)는 첫 번째의 톤 신호를 발생시키고, 미리 설정된 시간(t) 동안 대기한다. 바람직하게, 상술한 미리 설정된 시간(t)은 500ms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미리 설정된 시간(t) 동안 대기한 후 첫 번째 톤 신호 발생을 종료하여 제1 톤 신호를 생성하고, 톤 신호 생성부(110)는 두 번째의 톤 신호를 발생시켜 상술한 과정을 반복한다.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톤 신호 생성부(110)는 N 번째(N은 자연수)의 톤 신호를 발생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t) 동안 대기한 후 N번째 톤 신호 발생을 종료하여 제N 톤 신호를 생성하고, N 번째가 미리 설정된 값에 해당하는 판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tting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as a radio, and when implemented as a radio, the PTT corresponding to a transmission button for transmitting in the radio may be turned on. When PTT is turned 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ne signal generator 110 generates the first tone signal and waits for a preset time t. Preferably, the preset time t may be 500 m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fter waiting for a preset time (t), the first tone signal generation is terminated to generate a first tone signal, and the tone signal generation unit 110 generates a second tone signal and repeats the above process. While repeating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tone signal generation unit 110 generates an N-th (N is a natural number) tone signal, waits for a preset time (t), ends the N-th tone signal generation, and ends the N-th tone signal. It is determined that the Nth corresponds to a preset value.

판단 결과, N 번째가 미리 설정된 값에 해당하는 경우 톤 신호 생성부(110)는 다시 첫 번째에 해당하는 제1 톤 신호를 생성하고 제N 톤 신호를 생성할 때까지 상술한 과정을 반복한다. As a result of determination, when the N-th corresponds to a preset value, the tone signal generator 110 generates the first ton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repeats the above process until the N-th tone signal is generated.

판단 결과, N 번째가 미리 설정된 값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톤 신호 생성부(110)는 제N+1 톤 신호를 생성하고, 마찬가지로 N+1이 미리 설정된 값에 해당하는지 판단하여 상술한 과정을 반복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N-th does not correspond to a preset value, the tone signal generator 110 generates a N+1 tone signal, and similarly determines whether N+1 corresponds to a preset value and repeats the above process do.

예를 들면, 미리 설정된 값이 250개인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톤 신호 생성부(110)가 1~250번째 톤 신호를 생성하고, 250번째 톤 신호를 생성한 후 다시 1번째 톤 신호를 미리 설정된 시간(t)만큼 대기하면서 생성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단, 상술한 예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if the preset value is 250, the tone signal generator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the 1st to 250th tone signals, generates the 250th tone signal, and then generates the 1st tone signal again. Repeat the process of generating while waiting for a predetermined time t. However, the above-described example is only an example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hereto.

상술한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톤 신호 생성부(110)는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생성하는 과정을 반복하며 신호 동기화부(130)가 생성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음성신호를 동기화시키다가 PTT가 OFF 되는 경우 송신부(150)가 생성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음성신호를 송신하면서 톤 신호 생성부(110)는 톤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종료한다.The tone signal generation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peats the process of generating a plurality of tone signals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and the signal synchronization unit 130 generates a plurality of tone signals and voice signals. When synchronizing and PTT is turned off, the tone signal generator 110 ends generating a tone signal while the transmitter 150 transmits a voice signal synchronized with a plurality of generated tone signals.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호 동기화부(130)는 음성신호 수신부(120)에서 수신한 음성신호를 톤 신호 생성부(110)에서 생성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 동기화부(130)는 상술한 톤 신호 생성부(110)에서 순차적으로 생성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음성신호 수신부에서 수신된 음성신호를 동기화시킬 수 있으며, 톤 신호 생성부(110)에서 첫 번째에 해당하는 제1 톤 신호부터 미리 설정된 N 번째에 해당하는 제N 톤 신호까지 순차적으로 생성하는 경우 신호 동기화부(130)는 수신된 음성신호를 음성신호가 수신되는 시간에 대응하는 순차적으로 생성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 중 M 번째(1≤M≤N, M은 자연수)에 생성된 제M 톤 신호와 동기화시킬 수 있다.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음성신호를 동기화시키는 방법은 도 2c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 signal synchronization unit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ynchronize the voice signal received by the voice signal reception unit 120 with a plurality of tone signals generated by the tone signal generation unit 110. Specifically, the signal synchronization unit 130 may synchronize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sequentially generated by the tone signal generation unit 110 and the voice signal received by the voice signal reception unit, and the tone signal generation unit 110 ) Sequentially generating from the first ton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 the Nth ton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reset Nth, the signal synchronization unit 130 corresponds to the time at which the voice signal is received. It may be synchronized with the M-th tone signal generated in the M-th (1≤M≤N, M is a natural number) among a plurality of tone signals sequentially generated. A method of synchronizing a voice signal with a plurality of tone signal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C together.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신호와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동기화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2C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synchronizing a plurality of tone signals with a voice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음성신호(131)를 나타낸 것이다.Specifically, FIG. 2C shows a voice signal 131 synchronized with a plurality of tone sig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c를 참조하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 개의 톤 신호들(111) 및 음성신호(121)는 동기화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톤 신호들(111)은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시간(t) 동안 대기하면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리 설정된 시간(t)는 500ms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ure 2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111 and the voice signal 121 may be synchronized, and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111 may be previously set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generated while waiting for a set time (t). The preset time 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500 m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복수 개의 톤 신호들(111)은 미리 설정된 개수에 해당하는 N번째에 해당하는 제N 톤 신호까지 생성될 수 있으며, 제N 톤 신호가 생성되면, 다시 순서정보가 첫번째부터 N번째까지에 해당하는 N개의 톤 신호를 순서대로 생성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111 may be generated up to the N-th ton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N-th number corresponding to a preset number, and when the N-th tone signal is generated, the sequence information again corresponds to the first to N-th order. N tone signals can be generated in sequence.

구체적으로, 도 2c에서는 N의 값이 250에 해당하여 톤 신호 생성부(110)가 순서대로 첫 번째부터 250 번째까지 톤 신호를 생성하여 제1 집합(131a)에 해당하는 250개의 톤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으며, 제1 집합(131a)에 해당하는 250개의 톤 신호들을 생성한 후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서 제2 집합(131b)에 해당하는 250개의 톤 신호들을 반복하여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술한 미리 설정된 시간(t)이 500ms일 경우 톤 신호 생성부(110)는 총 125s 동안 250개의 톤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단, 상술한 예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Specifically, in FIG. 2C, since the value of N corresponds to 250, the tone signal generation unit 110 sequentially generates the first to 250th tone signals to generate 250 tone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t 131a. After generating 250 tone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t 131a, it is possible to go back to the beginning and repeatedly generate 250 tone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et 131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bove-described preset time t is 500 ms, the tone signal generator 110 may generate 250 tone signals for a total of 125 s. However, the above-described example is only an example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hereto.

신호 동기화부(130)는 도 2c에서 제1 집합(131a)에 포함된 3번째 톤 신호와 음성신호에 해당하는 ‘가’를 동기화시킨 것을 나타내며, 따라서 음성신호 ‘가’는 제1 집합(131a)에 해당하면서 3 번째 순서에 해당하는 순서정보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 집합(131b)에 포함된 3번째 톤 신호에 해당하는 음성신호는 ‘사’로 신호 동기화부(130)는 제2 집합(131b)에 포함된 3번째 톤 신호와 음성신호에 해당하는 ‘사’를 동기화시킨 것으로 음성신호 ‘사’는 제2 집합(131b)에 해당하면서 3번째 순서에 해당하는 순서정보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단, 상술한 바에서 제1 집합(131a)에 해당하면서 3번째 순서에 해당하는 순서정보를 포함하는 음성신호와 제2 집합(131b)에 해당하면서 3번째 순서에 해당하는 순서정보를 포함하는 음성신호가 다른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상술한 예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음성신호일 수도 있다.The signal synchronization unit 130 indicates that the third tone signal included in the first set 131a and the'A' corresponding to the voice signal are synchronized in FIG. 2C, and thus the voice signal'A' is the first set 131a ) And may include ord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hird order. On the other hand, the voic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hird tone signal included in the second set 131b is a'four', and the signal synchronization unit 130 corresponds to the third tone signal and voice signal included in the second set 131b. The'sa', which is synchronized, may include the sequen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hird order while the voice signal'sa' corresponds to the second set 131b.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voic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t 131a and the ord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hird order and the voic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et 131b and the ord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hird order Although the signals illustrate different things, the above-described examples are merely example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the same voice signals.

마찬가지로, 제1 집합(131a)에 포함된 5번째 톤 신호와 동기화된 음성신호는 ‘나’를, 제2 집합(131b)에 포함된 5번째 톤 신호와 동기화된 음성신호는 ‘아’일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의해 신호 동기화부(130)는 음성신호(121)는 복수 개의 톤 신호들(111)과 동기화시킬 수 있다.Similarly, the voice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fifth tone signal included in the first set 131a may be'I', and the voice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fifth tone signal included in the second set 131b may be'ah'. have.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the signal synchronization unit 130 may synchronize the voice signal 121 with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111.

다시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조부(140)는 상술한 방법에 의해 음성신호의 순서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음성신호를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송신하도록 기 설정된 변조 방식을 기반으로 변조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A again, the modulator 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wireless communication to synchronize a voice signal synchronized with a plurality of tone signals including sequence information of a voice signal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Modulation may be performed based on a modulation scheme preset to be transmitt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부(150)는 상술한 방법에 의해 기 설정된 변조 방식을 기반으로 변조된 음성신호의 순서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음성신호를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수신 장치(200) 각각으로 송신할 수 있다.The transmitter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wireless communication of a voice signal synchronized with a plurality of tone signals including sequence information of a voice signal modulated based on a preset modulation metho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It can be transmit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receiving devices 200.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부(150)는 신호 동기화부(130)에서 생성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음성신호를 복수 개의 수신 장치(201, 202, 203) 각각으로 송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mitter 15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rality of receiving devices (201, 202, 203) each of the voice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generated by the signal synchronization unit 130 I can send it.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100)는 상술한 방법으로 생성된 음성신호의 순서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음성신호 또는 기 설정된 변조 방식을 기반으로 변조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음성신호를 복수 개의 수신 장치(201, 202, 203)로 각각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수신 장치(200)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면 3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Therefore,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dulated based on a voice signal synchronized with a plurality of tone signals generat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or a preset modulation scheme. The voice signals synchronized with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may be transmitted to the plurality of receiving devices 201, 202, and 203, respectively. The above-described receiving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FIG. 3 to be described later.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한 수신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ceiving devic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한 수신 장치(200)는 수신부(210), 음성신호 추출부(220), 음성신호 변환부(230), 톤 신호 검출부(240), 데이터 합성부(250) 및 데이터 송신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reception device 200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ption unit 210, an audio signal extraction unit 220, an audio signal conversion unit 230, and a tone signal detection unit 240 ), a data synthesis unit 250 and a data transmission unit 26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210)는 도 2에서 설명하였던 송신 장치(100)로부터 순차적으로 발생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음성신호가 동기화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receiver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a signal in which a plurality of tone signals and voice signals sequentially generated from the transmitting device 100 described in FIG. 2 are synchroniz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술한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첫 번째에 해당하는 제1 톤 신호부터 미리 설정된 N 번째에 해당하는 제N 톤 신호(N은 2 이상인 자연수)까지 순차적으로 생성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일 수 있으며,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음성신호는 도 2에서 설명하였던 송신 장치(100)에 음성신호가 수신되는 시간에 대응하는 시간에 생성된 제M 톤 신호(1≤M≤N, M은 자연수)와 동기화된 음성신호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described above may range from a first ton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 a Nth ton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reset Nth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according to a preset time interval.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may be sequentially generated, and the voice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may be the Mth tone generated at a time corresponding to the time at which the voice signal is received by the transmitting device 100 described in FIG. 2. It may be a voice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signal (1≤M≤N, M is a natural number).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200)는 복조부(도면에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송신 장치(100)로부터 순차적으로 발생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음성신호가 동기화된 신호가 변조된 경우 변조된 동기화된 신호를 미리 설정된 복조 방식을 기반으로 복조할 수 있다.The receiving devic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emodulator (not shown in the drawing), and a plurality of tone signals and voice signals sequentially generated from the transmitting device 100 may be provided. When the synchronized signal is modulated, the modulated synchronized signal may be demodulated based on a preset demodulation metho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음성신호 추출부(220)는 수신부(210)에서 수신한 순차적으로 발생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음성신호가 동기화된 신호로부터 음성신호만을 추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oice signal extracting unit 220 may extract only a voice signal from a signal in which a plurality of tone signals and voice signals sequentially generated by the receiver 210 are synchroniz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신호 추출부(220)는 필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신호 추출부(220)는 입력신호의 주파수 성분중에서 차단주파수(cut-off frequency)보다 높은 주파수 성분만을 통과시키고, 그보다 낮은 주파수 성분은 차단시키는 고역 통과 필터(high pass filter, HPF)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역 통과 필터의 차단 주파수는 통과대역 및 저지대역을 구분 짓는 경계주파수로 500Hz일 수 있으나, 상술한 예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voice signal extracting unit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as a filter, and preferably, the voice signal extracting unit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utoff frequency among frequency components of an input signal ( It can be implemented with a high pass filter (HPF) that passes only the frequency components higher than the cut-off frequency) and blocks the lower frequency components. Preferably, the cut-off frequency of the high-pass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500 Hz as a boundary frequency separating the passband and the stopband, but the above example is an example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도 4(a)는 톤 신호(240a)와 음성신호(220a)가 동기화된 신호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200)에 포함된 음성신호 추출부(220)는 도 4(a)에 나타난 톤 신호(240a)와 음성신호(220a)가 동기화된 신호에서 음성신호(220a)만을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기화된 신호에서 음성신호(220a)의 주파수가 톤 신호(240a)의 주파수보다 고주파수에 해당하므로, 음성신호 추출부는 고역 통과 필터로 구현되어 동기화된 신호에서 음성신호(220a)만을 추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역 통과 필터의 차단 주파수는 500Hz일 수 있다. 따라서, 도 4(b)는 상술한 음성신호 추출부(220)에 의해 추출된 음성신호(220a)만을 나타내는 도면이다.Referring to FIG. 4 together, FIG. 4(a) is a diagram showing a signal in which the tone signal 240a and the voice signal 220a are synchronized, and the voice included in the reception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extraction unit 220 may extract only the voice signal 220a from the signal in which the tone signal 240a and the voice signal 220a shown in FIG. 4A are synchronized. Specifically, in the synchronized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requency of the voice signal 220a corresponds to a higher frequency than the frequency of the tone signal 240a, the voice signal extraction unit is implemented with a high pass filter to synchronize the signal. Only the audio signal 220a can be extracted. Preferably, the cutoff frequency of the high-pass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500 Hz. Therefore, FIG. 4(b) is a diagram showing only the audio signal 220a extracted by the audio signal extraction unit 220 described above.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신호 변환부(230)는 상술한 방법에 의해 추출된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에 해당하는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데이터는 음성신호와 같은 아날로그 신호와 구별하여 디지털 형태로 변환시킨 정보를 나타낸다.Referring back to FIG. 3, the voice signal converter 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vert the voice signal extract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into data corresponding to a digital signal. In this specification, data represents information converted into a digital form by distinguishing it from an analog signal such as a voice signal.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신호 변환부(230)는 펄스 부호 변조(Pulse Code Modulation, PCM) 방법을 이용하여 음성신호 추출부에서 추출된 아날로그 신호에 해당하는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에 해당하는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신호 변환부(230)는 음성신호 추출부(220)에서 추출된 음성신호의 진폭의 크기를 균일한 주기로 측정하여 이산 신호로 표본화시키고, 표본화된 이산 신호에서 측정된 진폭의 크기를 올리기 또는 버리기를 이용하여 양자화시키고, 양자화된 진폭의 크기를 ‘0’과 ‘1’로 이루어진 바이너리 코드로 변환시킴으로써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에 해당하는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단, 상술한 예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voice signal conversion unit 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a digital signal corresponding to an analog signal extracted from the voice signal extraction unit using a pulse code modulation (PCM) method. Can be converted to data. Specifically, the speech signal converter 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amplitude of the amplitude of the speech signal extracted by the speech signal extractor 220 at regular intervals, samples it into discrete signals, and samples the discrete The audio signal can be converted into data corresponding to a digital signal by quantizing it by raising or discarding the amplitude of the measured amplitude from the signal, and converting the magnitude of the quantized amplitude into binary code consisting of '0' and '1'. have. However, the above-described example is only an example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톤 신호 검출부(240)는 수신부(210)에서 수신한 순차적으로 발생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음성신호가 동기화된 신호로부터 복수 개의 톤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The tone signal detection unit 2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ct a plurality of tone signals from signals sequentially synchronized with a plurality of tone signals received from the reception unit 210 and a voice signal.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톤 신호 검출부(240)는 동일한 무선 주파수의 혼선을 방지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RF(Radio Frequency)에서 검출할 수 있다.The tone signal detection unit 2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ct a plurality of tone signals using a preset frequency band in radio frequency (RF) to prevent crosstalk of the same radio frequency.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톤 신호 검출부(241)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톤 신호 검출부(241)는 외부 제어를 통해 톤 검출 필터 값을 변경하여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 내에서 톤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술한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은 67Hz~250Hz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5 together, FIG. 5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tone signal detection unit 24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ne signal detection unit 241 changes the tone detection filter value through external control. The tone signal can be detected within a preset frequency band. Preferably, the above-described preset frequency band may be 67 Hz to 250 Hz, but is not limited thereto.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신호와 동기화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생성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음성신호가 동기화되어 음성정보의 순서정보를 포함하므로, 톤 신호 검출부(240)는 음성신호의 순서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톤 신호 검출부(240)는 검출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디지털 신호에 해당하는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음성신호의 순서정보가 포함된 정보들이 디지털 신호에 해당하는 데이터로 변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gain, a plurality of tone signals synchronized with a voice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ynchronizes a plurality of tone signals generated according to a preset time interval and a voice signal to obtain sequence information of voice information. Since it is included, the tone signal detection unit 240 can detect a plurality of tone signals including sequence information of the voice signal. In addition, the tone signal detector 24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vert a plurality of detected tone signals into data corresponding to a digital signal, in which case information including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voice signal is included. It can be converted into data corresponding to a digital signal.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합성부(250)는 음성신호 변환부(230)에서 데이터로 변환된 음성신호와 톤 신호 검출부(240)에서 데이터로 변환된 음성신호의 순서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합성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ata synthesizing unit 2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equence information of a voice signal converted into data by the voice signal conversion unit 230 and a voice signal converted into data by the tone signal detection unit 240. A plurality of tone signals can be synthesiz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송신부(260)는 상술한 방법에 의해 합성된 합성 데이터를 음성신호 처리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The data transmission unit 2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transmit the synthesized data synthesiz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to the au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200)는 추출된 음성신호 및 검출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광 신호로 변경하는 광신호 변경부(도면에 미도시) 및 변경된 광 신호를 광케이블로 통하여 음성신호 처리 장치로 송신하기 위한 광신호 송신부(도면에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케이블은 수신 장치(200)와 후술하는 음성신호 처리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200)에 포함된 광신호 변경부는 데이터 합성부에서 합성된 데이터를 광 신호로 변경하고, 광신호 송신부가 변경된 광 신호를 광 케이블로 통하여 음성신호 처리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The receiv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ptical signal changing unit (not shown in the figure) and the changed optical signal to an optical cable to convert the extracted voice signal and the detected plurality of tone signals into an optical signal. It may further include an optical signal transmitting unit (not shown in the drawing) for transmitting to the au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The optical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the reception device 200 and the audio signal processing device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he optical signal changing unit included in the receiving devic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the data synthesized by the data synthesizing unit into an optical signal, and the optical signal transmitting unit changes the optical signal through an optical cable. It can be transmitted to an audio signal processing device.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신호 처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6A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u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신호 처리 장치(300)는 데이터 수신부(310), 데이터 변환부(320) 및 음성신호 처리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A, the voic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ata receiving unit 310, a data conversion unit 320, and a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33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부(310)는 도 3에서 설명한 수신 장치에서 전송된 합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2a를 참조하여 함께 설명하면 송신 장치가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외부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동기화시켜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음성신호를 복수 개의 수신 장치들로 송신하고, 복수 개의 수신 장치들은 송신 장치로부터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음성신호를 각각 수신하고, 수신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음성신호로부터 음성신호를 추출 및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검출하여 추출된 음성신호 및 검출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음성신호 처리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data receiving unit 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the composite data transmitted from the receiving device described in FIG. 3.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S. 1 and 2A together, the transmitting apparatus generates a plurality of tone signals corresponding to a preset frequency band, and synchronizes the generated plurality of tone signals with the voice signals received from the outside to generate a plurality of tone signals. The voice signals synchronized with the tone signals are transmitted to a plurality of receiving devices, and the plurality of receiving devices respectively receive voice signals synchronized with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from the transmitting device, and are synchronized with the received plurality of tone signals. The voice signal may be extracted from the extracted voice signal and a plurality of tone signals may be detected to transmit the extracted voice signal and the detected plurality of tone signals to the voic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300.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생성된 순서 정보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수신 장치들은 추출된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에 해당하는 데이터로 변환하고, 음성신호의 순서정보를 포함하는 검출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디지털 신호에 해당하는 데이터로 변환하여 데이터로 변환된 음성신호 및 음성신호의 순서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합성하고, 합성된 데이터들 각각을 상기 음성신호 처리 장치(300)에 포함된 데이터 수신부(31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부(310)는 유선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합성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rder information generated according to a preset time interval, and the plurality of receiving devices convert the extracted voice signal into data corresponding to the digital signal, Converts a plurality of detected tone signals including the sequence information of the voice signal into data corresponding to the digital signal, synthesizes the voice signal converted into the data and a plurality of tone signals including the sequence information of the voice signal, and synthesized data Each of these may be transmitted to the data receiving unit 310 included in the voic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300. The data receiving unit 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the synthesized data using a wired communication metho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 개의 수신 장치들 각각은 추출된 음성신호 및 검출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광 신호로 변경하고, 변경된 광 신호를 광케이블로 통하여 음성신호 처리 장치6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신호 처리 장치(300)는 광케이블을 통하여 광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광 신호를 전기신호로 변경할 수 있는 광 수신부(도면에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receiving devic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the extracted voice signal and the detected plurality of tone signals into an optical signal and transmits the changed optical signal to the voice signal processing device 6 through an optical cable. Can. Therefore, the au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an optical signal through an optical cable and include an optical receiving unit (not shown in the figure) capable of changing the received optical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can do.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변환부(320)는 데이터 수신부(310)에서 수신한 합성된 데이터들 각각을 음성신호와 음성신호의 순서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톤 신호들로 변환할 수 있다.The data converter 3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vert each of the synthesized data received from the data receiver 310 into a plurality of tone signals including a voice signal and sequence information of the voice signal. .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신호 처리부(330)는 데이터 변환부(320)에서 복수 개의 합성된 데이터들로부터 각각 변환된 음성신호와 음성신호의 순서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조합하여 음성신호를 복원할 수 있다.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은 도 6b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3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bines a plurality of tone signals each including a voice signal and sequence information of the voice signal converted from the plurality of synthesized data by the data conversion unit 320. The audio signal can be restored. The method of processing the audio signa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B together.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신호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6B is a view for explaining a voice signal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 개의 톤 신호들(111)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t)에 따라 첫 번째에 해당하는 제1 톤 신호부터 미리 설정된 250 번째에 해당하는 제250 톤 신호까지 순차적으로 생성된 톤 신호들일 수 있으며 제1 집합에 제1 톤 신호부터 제250 톤 신호까지 포함되며, 제1 집합에 포함된 제250 톤 신호가 생성된 이후 다시 제1 톤 신호부터 생성되며 제2 집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Referring to FIG. 6B,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1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250th preset from the first ton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according to a preset time interval t The tone signals may be sequentially generated up to the 250 tone signal, and may be included from the first tone signal to the 250 tone signal in the first set, and again from the first tone signal after the 250 tone signal included in the first set is generated. Generated and can be represented as a second set.

또한 도 6b에서 데이터 변환부(320)가 제1 수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합성 데이터를 변환하여 변환된 음성신호의 순서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제1 음성신호(201a)와 데이터 변환부(320)가 제2 수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합성 데이터를 변환하여 변환된 음성신호의 순서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제2 음성신호(202a)는 서로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b에는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제1 음성신호(201a)의 일부가 누락되어 복원하지 못한 부분과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제2 음성신호(202a) 의 일부가 누락되어 복원하지 못한 부분이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신호 처리부(330)는 일부가 누락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제1 음성신호(201a)와 일부가 누락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제2 음성신호(202a)를 조합하여 송신 장치가 외부로부터 수신한 음성신호(121)를 복원할 수 있다.In addition, in FIG. 6B, the data converter 320 converts the synthesized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receiving device to synchronize the first voice signal 201a and data synchronized with a plurality of tone signals including sequence information of the converted voice signal. The converter 320 converts the synthesized data received from the second receiving device, and confirms that the second voice signal 202a synchronized with a plurality of tone signals including sequence information of the converted voice signal is different. . In FIG. 6B, a part of the first voice signal 201a synchronized with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is missing and cannot be restored, and a part of the second voice signal 202a synchronized with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is missing and is not restored. The failed part is shown. The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33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voice signal 201a synchronized with a plurality of tone signals with partial omission and a second voice synchronized with a plurality of tone signals with partial omission. The signal 202a may be combined to restore the voice signal 121 received by the transmitting device from the outside.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제1 음성신호(201a)의 일부가 누락되어 있지만, 누락되지 않은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제1 음성신호(201a)의 나머지 음성신호들은 순차적으로 생성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되어 순서정보가 포함된 음성신호들이며, 마찬가지로 누락되지 않은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제2 음성신호(202a)의 나머지 음성신호들도 순차적으로 생성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되어 순서정보가 포함된 음성신호들로, 음성신호 처리부(330)는 누락되지 않은 음성신호들 및 음성신호들의 순서정보를 토대로 조합하여 송신 장치가 외부로부터 수신한 음성신호(121)를 복원할 수 있다.Specifically, a part of the first voice signal 201a synchronized with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is missing, but the remaining voice signals of the first voice signal 201a synchronized with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that are not missing are sequentially A plurality of tone signals that are synchronized with the generated plurality of tone signals and include sequence information. Similarly, the remaining voice signals of the second voice signal 202a synchronized with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that are not missing are also sequentially generated. Voice signals that are synchronized with tone signals and contain sequence information, and the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330 combines voice signals that are not missing and sequence information of the voice signals to obtain a voice signal 121 received from the transmitting device from the outside. ) Can be restored.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음성신호 처리 장치를 이용한 음성신호 처리 시스템은 송신 장치가 외부로부터 수신한 음성신호를 음성이 중복되거나 음성이 탈락하는 현상 없이 복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라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경우 음질 선택 또는 음질 전환시 음성이 중복되거나 음성이 탈락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최적의 음성을 선택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voice signal processing system using the transmitting apparatus, the receiving apparatus, and the voic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restores the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outside by the transmitting apparatus without overlapping or dropping of voice. can do. Therefore, when processing a voice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ound quality is selected or when the sound quality is switched, the phenomenon of overlapping voices or dropping of the voice can be prevented, and the optimum voice can be selecte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transmitting a signal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한 수신 장치는 톤 신호 생성부, 음성신호 수신부, 신호 동기화부 및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a reception devic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one signal generation unit, a voice signal reception unit, a signal synchronization unit, and a transmission unit.

톤 신호 생성부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생성한다(S71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은 바람직하게 67Hz~250Hz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tone signal generator generates a plurality of tone signals corresponding to a preset frequency band (S710). The preset frequency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eferably be 67 Hz to 250 Hz,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톤 신호 생성부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순차적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첫 번째에 해당하는 제1 톤 신호부터 미리 설정된 N 번째에 해당하는 제N 톤 신호(N은 2 이상인 자연수)까지 순차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톤 신호 생성부는 N 번째에 해당하는 제N 톤 신호까지 순차적으로 생성한 후 다시 제1 톤 신호부터 제N 톤 신호까지 생성할 수 있으며, 또 다시 제N 톤 신호까지 생성하면 또 다시 제1 톤 신호부터 제N 톤 신호를 음성신호와 동기화시켜 송신하기 전까지 반복하여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생성하는 방법은 도 2a 내지 도 2c에서 전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tone signal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equentially generate a plurality of tone signals corresponding to a preset frequency band according to a preset time interval, and specifically, from the first ton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e N-th ton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t N-th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may be sequentially generated. In addition, the tone signal gen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equentially generate the N-th ton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N-th, and then generate the first tone signal to the N-th tone signal again. When the N tone signal is generated, the first tone signal can be repeatedly generated until the N tone signal is synchronized with the voice signal and transmitted. Since 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generating a plurality of tone signals is described in FIGS. 2A to 2C,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음성신호 수신부는 외부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고(S720), 신호 동기화부는 수신된 음성신호를 생성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시킨다(S73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호 동기화부는 톤 신호 생성부에서 순차적으로 생성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음성신호 수신부에서 수신된 음성신호를 동기화시킬 수 있으며, 톤 신호 생성부에서 첫 번째에 해당하는 제1 톤 신호부터 미리 설정된 N 번째에 해당하는 제N 톤 신호까지 순차적으로 생성하는 경우 신호 동기화부는 수신된 음성신호를 음성신호가 수신되는 시간에 대응하는 순차적으로 생성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 중 M 번째(1≤M≤N, M은 자연수)에 생성된 제M 톤 신호와 동기화시킬 수 있다.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음성신호를 동기화시키는 방법은 전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voice signal receiving unit receives a voice signal from the outside (S720), and the signal synchronization unit synchronizes the received voice signal with a plurality of generated tone signals (S730). The signal synchroniz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ynchronize a plurality of tone signals sequentially generated by the tone signal generation unit and the voice signal received by the voice signal reception unit, and corresponds to the first in the tone signal generation unit. When sequentially generating from the first tone signal to the N-th ton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reset N-th, the signal synchronization unit may generate the received voice signal from among a plurality of tone signals sequentially generated corresponding to the time at which the voice signal is received. It can be synchronized with the Mth tone signal generated in the first (1≤M≤N, M is a natural number). Since a method of synchronizing a plurality of tone signals and a voice signal has been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송신부는 신호 동기화부에서 생성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음성신호를 복수 개의 수신 장치 각각으로 송신한다(S7470).The transmitting unit transmits a voice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generated by the signal synchronizing unit to each of the plurality of receiving devices (S7470).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는 변조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변조부는 상술한 방법에 의해 음성신호의 순서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음성신호를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송신하도록 기 설정된 변조 방식을 기반으로 변조할 수 있고, 송신부는 변조부에서 변조된 변조된 음성신호의 순서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음성신호를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수신 장치 각각으로 송신할 수 있다.The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odulator, and the modulator may wirelessly communicate a voice signal synchronized with a plurality of tone signals including sequence information of the voice signal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Modulation may be performed based on a preset modulation scheme for transmission, and the transmission unit may perform a plurality of voice signals synchronized with a plurality of tone signals including sequence information of modulated voice signals modulated by the modulation unit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Can be transmitted to each of the receiving device.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receiving a signal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한 수신 장치는 수신부, 음성신호 추출부, 음성신호 변환부, 톤 신호 검출부, 데이터 합성부 및 데이터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a reception apparatus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eception unit, an audio signal extraction unit, an audio signal conversion unit, a tone signal detection unit, a data synthesis unit and a data transmission unit.

수신부는 송신 장치에서 생성된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음성신호를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수신한다(S810).The receiving unit receives a voice signal synchronized with a plurality of tone signals corresponding to a preset frequency band generated by the transmitting devic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S81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술한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첫 번째에 해당하는 제1 톤 신호부터 미리 설정된 N 번째에 해당하는 제N 톤 신호(N은 2 이상인 자연수)까지 순차적으로 생성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일 수 있으며,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음성신호는 도 2에서 설명하였던 송신 장치(100)에 음성신호가 수신되는 시간에 대응하는 시간에 생성된 제M 톤 신호(1≤M≤N, M은 자연수)와 동기화된 음성신호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described above may range from a first ton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 a Nth ton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reset Nth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according to a preset time interval.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may be sequentially generated, and the voice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may be the Mth tone generated at a time corresponding to the time at which the voice signal is received by the transmitting device 100 described in FIG. 2. It may be a voice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signal (1≤M≤N, M is a natural number).

음성신호 추출부는 수신부에서 수신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음성신호로부터 음성신호를 추출한다(S82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신호 추출부는 필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신호 추출부는 고역 통과 필터(high pass filter, HPF)로 구현될 수 있다. 음성신호를 추출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전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voice signal extracting unit extracts a voice signal from a voice signal synchronized with a plurality of tone signals received from the receiver (S820). The voice signal extra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as a filter, and preferably, the audio signal extra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high pass filter (HPF). The detailed method of extracting the audio signal has been described above,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신호 변환부는 상술한 방법에 의해 추출된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에 해당하는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The audio signal conv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vert the audio signal extract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into data corresponding to a digital signal.

톤 신호 검출부는 수신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음성신호로부터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검출한다(S830).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톤 신호 검출부는 음성신호의 순서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톤 신호 검출부는 검출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디지털 신호에 해당하는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음성신호의 순서정보가 포함된 정보들이 디지털 신호에 해당하는 데이터로 변환될 수 있다.The tone signal detection unit detects a plurality of tone signals from a voice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received plurality of tone signals (S830). Specifically, the tone signal det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ct a plurality of tone signals including sequence information of a voice signal. In addition, the tone signal detection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vert a plurality of detected tone signals into data corresponding to a digital signal. In this case, information including order information of a voic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digital signal. It can be converted into corresponding data.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합성부는 음성신호 변환부에서 데이터로 변환된 음성신호와 톤 신호 검출부에서 데이터로 변환된 음성신호의 순서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합성할 수 있고, 데이터 송신부는 합성된 합성 데이터를 음성신호 처리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The data synthesiz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ynthesize a plurality of tone signals including sequence information of a voice signal converted into data by the voice signal converter and a voice signal converted into data by the tone signal detector. The transmitter may transmit the synthesized synthesized data to a voice signal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는 추출된 음성신호 및 검출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광 신호로 변경하는 광신호 변경부 및 변경된 광 신호를 광케이블로 통하여 음성신호 처리 장치로 송신하기 위한 광신호 송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케이블은 수신 장치와 후술하는 음성신호 처리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에 포함된 광신호 변경부는 데이터 합성부에서 합성된 데이터를 광 신호로 변경하고, 광신호 송신부가 변경된 광 신호를 광 케이블로 통하여 음성신호 처리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The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transmitting an optical signal changing unit for changing the extracted audio signal and a plurality of detected tone signals to an optical signal and the changed optical signal to the au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through an optical cable. It may further include an optical signal transmitter. The optical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a receiving device and a voice signal processing devic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optical signal changing unit included in the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the data synthesized by the data synthesizing unit into an optical signal, and processes the audio signal through the optical cable through which the optical signal transmitting unit is changed. You can send it to the device.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신호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oice signal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신호 처리 시스템은 송신 장치, 복수 개의 수신 장치들 및 음성신호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송신 장치는 톤 신호 생성부, 음성신호 수신부, 신호 동기화부 및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 개의 수신 장치들 각각은 수신부, 음성신호 추출부, 음성신호 변환부, 톤 신호 검출부, 데이터 합성부 및 데이터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음성신호 처리 장치는 데이터 수신부, 데이터 변환부 및 음성신호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a voice signal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ransmitting device, a plurality of receiving devices, and a voice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the transmitting device includes a tone signal generator, a voice signal receiver, It may include a signal synchronization unit and a transmission unit, each of the plurality of reception devices may include a reception unit, a voice signal extraction unit, a voice signal conversion unit, a tone signal detection unit, a data synthesis unit and a data transmission unit, the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May include a data receiving unit, a data conversion unit, and an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송신 장치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외부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동기화시켜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음성신호를 복수 개의 수신 장치들로 송신한다(S910). 상술한 무선 통신을 이용한 송신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하였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The transmitting device generates a plurality of tone signals corresponding to a preset frequency band, and synchronizes the generated plurality of tone signals with a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outside to receive a plurality of tone signals synchronized with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It is transmitted to (S910). Sinc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transmission metho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it will be omitted.

복수 개의 수신 장치들은 송신 장치로부터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음성신호를 각각 수신하고, 수신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음성신호로부터 음성신호를 추출 및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검출하여 추출된 음성신호 및 검출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음성신호 처리 장치로 각각 전송한다(S920). 상술한 무선 통신을 이용한 수신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하였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The plurality of receiving devices respectively receive voice signals synchronized with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from the transmitting device, extract voice signals from the voice signals synchronized with the received plurality of tone signals, and detect and extract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The voice signal and the detected plurality of tone signals are respectively transmitted to the voic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S920). Sinc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receiving metho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it will be omitted.

음성신호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수신 장치들로부터 각각 전송 받은 추출된 음성신호 및 검출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조합하여 음성신호를 복원한다(S930).The voic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restores the voice signal by combining the extracted voice signal and the detected plurality of tone signals respectively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receiving devices (S930).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생성된 순서 정보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수신 장치들은 추출된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에 해당하는 데이터로 변환하고, 음성신호의 순서정보를 포함하는 검출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디지털 신호에 해당하는 데이터로 변환하여 데이터로 변환된 음성신호 및 음성신호의 순서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합성하고, 합성된 데이터들 각각을 상기 음성신호 처리 장치에 포함된 데이터 수신부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부는 유선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합성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rder information generated according to a preset time interval, and the plurality of receiving devices convert the extracted voice signal into data corresponding to the digital signal, Converts a plurality of detected tone signals including the sequence information of the voice signal into data corresponding to the digital signal, synthesizes the voice signal converted into the data and a plurality of tone signals including the sequence information of the voice signal, and synthesized data Each of these may be transmitted to a data receiving unit included in the au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The data recei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the synthesized data using a wired communication metho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변환부는 데이터 수신부에서 수신한 합성된 데이터들 각각을 음성신호와 음성신호의 순서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톤 신호들로 변환할 수 있다.The data convers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vert each of the synthesized data received by the data reception unit into a plurality of tone signals including a voice signal and sequence information of the voice signal.

상술한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첫 번째에 해당하는 제1 톤 신호부터 미리 설정된 N 번째에 해당하는 제N 톤 신호(N은 2 이상인 자연수)까지 순차적으로 생성된 톤 신호들일 수 있고,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음성신호는 송신 장치에서 음성신호가 수신되는 시간에 대응하는 시간에 생성된 상기 제M 톤 신호(1≤M≤N, M은 자연수)와 동기화된 음성신호일 수 있다.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described above may be tone signals sequentially generated from the first ton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 the Nth ton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reset Nth (N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2) according to a preset time interval. The voice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may be a voice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Mth tone signal (1≤M≤N, where M is a natural number) generated at a time corresponding to a time at which the voice signal is received at the transmitting device. Ca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신호 처리부는 데이터 변환부에서 복수 개의 합성된 데이터들로부터 각각 변환된 음성신호와 음성신호의 순서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조합하여 음성신호를 복원할 수 있다. 음성신호를 복원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전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store a voice signal by combining a voice signal converted from a plurality of synthesized data in the data conversion unit and a plurality of tone signals including sequence information of the voice signal. have. Since the detailed method of restoring the audio signal has been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아날로그 변/복조 형태의 무전기에서 음성과 음성의 순서정보를 같이 받을 수 있으므로, 다수의 채널을 통해 수신 받은 음성에 대한 음성을 선택하는 경우 음성이 탈락되거나, 음성이 중복되는 현상과 같은 오류가 개선될 수 있다. 따라서, 무전기에서 송신된 음성을 선택하는 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voice/voice sequence information can be received from an analog modulation/demodulation radio, voice is dropped when selecting voices for voices received through multiple channels. Errors such as overlapping voice may be improved. Therefore, the function of selecting the voice transmitted from the radio can be improv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USB 메모리, CD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기록 매체로서는 자기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Even if al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as on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and operated. In addition, although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by one independent hardware, a part or all of the components are selectively combined to perform a part or all of functions combined in one or a plurality of hardware. It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having a. In addition, such a computer program is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omputer Readable Media) such as a USB memory, CD disk, flash memory, etc., and read and executed by a computer, thereby implemen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rding medium of the computer program may include a magnetic recording medium, a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the lik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spirit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음성신호 처리 시스템
100: 송신 장치
200: 수신 장치
300: 음성신호 처리 장치
10: audio signal processing system
100: transmitting device
200: receiving device
300: audio signal processing device

Claims (13)

외부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음성신호 수신부;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순차적으로 생성하는 톤 신호 생성부;
상기 수신된 음성신호를 상기 순차적으로 생성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시키는 신호 동기화부; 및
상기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음성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톤 신호 생성부는 첫 번째에 해당하는 제1 톤 신호부터 미리 설정된 N 번째에 해당하는 제N 톤 신호(N은 2 이상인 자연수)까지 순차적으로 생성하여 제1 집합을 생성하고,
다시 첫 번째에 해당하는 제1 톤 신호부터 미리 설정된 N 번째에 해당하는 제N 톤 신호(N은 2 이상인 자연수)까지 순차적으로 생성하여 제2 집합을 생성하고,
상기 신호 동기화부는 상기 수신된 음성신호를 상기 제1 집합에서 상기 음성신호가 수신되는 시간에 대응하는 상기 순차적으로 생성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 중 기 설정된 순서에 해당하는 신호인 M 번째(1≤M≤N, M은 자연수)에 생성된 제M 톤 신호와 동기화시키고, 상기 제2 집합에서 상기 음성신호가 수신되는 시간에 대응하는 상기 순차적으로 생성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 중 기 설정된 순서에 해당하는 신호인 L 번째(1≤L≤N, L 자연수)에 생성된 제L 톤 신호와 동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송신 장치.
A voice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voice signal from the outside;
A tone signal generator sequentially generating a plurality of tone signals corresponding to a preset frequency band according to a preset time interval;
A signal synchronization unit synchronizing the received voice signal with the sequentially generated plurality of tone signals; And
Includes;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voice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The tone signal generator sequentially generates a first set from the first ton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 the Nth ton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reset Nth (N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2),
The second set is generated by sequentially generating from the first ton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 the Nth ton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reset Nth (N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2),
The signal synchronization unit is the M-th (1≤M) which is a signal corresponding to a preset order among the sequentially generated plurality of tone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time at which the voice signal is received in the first set. ≤N, M is a natural number) and is synchronized with the Mth tone signal generated, and corresponds to a preset order among the sequentially generated plurality of tone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time at which the voice signal is received in the second set. A transmission devic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ignal is synchronized with the Lth tone signal generated in the Lth (1≤L≤N, L natural number) sig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톤 신호 생성부는 상기 N 번째 톤 신호를 생성한 후에 다시 상기 제1 톤 신호부터 다시 상기 제N 톤 신호까지 생성하는 것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송신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one signal generation unit after generating the N-th tone signal, the transmission apparatus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repeating the generation of the first tone signal to the N-th tone signal again.
송신 장치에서 생성된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음성신호를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음성신호로부터 상기 음성신호를 추출하는 음성신호 추출부;
상기 수신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음성신호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검출하는 톤 신호 검출부; 및
상기 추출된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에 해당하는 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신호 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첫 번째에 해당하는 제1 톤 신호부터 미리 설정된 N 번째에 해당하는 제N 톤 신호(N은 2 이상인 자연수)까지 순차적으로 생성되어 제1 집합을 형성하고, 다시 첫 번째에 해당하는 제1 톤 신호부터 미리 설정된 N 번째에 해당하는 제N 톤 신호(N은 2 이상인 자연수)까지 순차적으로 생성되어 제2 집합을 형성하며,
상기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음성신호는 상기 제1 집합에서 상기 순차적으로 생성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 중 상기 송신 장치에 상기 음성신호가 수신되는 시간에 대응하는 순서에 해당하는 신호인 M 번째(1≤M≤N, M은 자연수)에 생성된 제M 톤 신호와 동기화된 음성신호와 상기 제2 집합에서 상기 순차적으로 생성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 중 상기 송신 장치에 상기 음성신호가 수신되는 시간에 대응하는 순서에 해당하는 신호인 L 번째(1≤L≤N, L 자연수)에 생성된 제L 톤 신호와 동기화된 음성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수신 장치.
In the receiving device for receiving a voice signal synchronized with a plurality of tone signals corresponding to a preset frequency band generated by the transmitting devic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a voice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A voice signal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the voice signal from a voice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received plurality of tone signals;
A tone signal detection unit detecting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from a voice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received plurality of tone signals; And
Includes; a voice signal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extracted voice signal to data corresponding to the digital signal,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are sequentially generated from the first ton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 the Nth ton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reset Nth (N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2) according to a preset time interval to form a first set. Then, from the first ton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 the N-th ton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reset N-th (N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2) is sequentially generated to form a second set,
The voice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is a M th that is a signal corresponding to an order corresponding to a time when the voice signal is received by the transmitting device among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sequentially generated in the first set. (1≤M≤N, M is a natural number) of the voice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M-th tone signal generated and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sequentially generated in the second set, the voice signal is received by the transmitting device And a voice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L-th tone signal generated in the L-th (1≤L≤N, L natural number), which is a signal corresponding to a sequence corresponding to tim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신호와 동기화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생성된 상기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상기 음성신호가 동기화되어 상기 음성신호의 순서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톤 신호 검출부는 상기 음성신호의 순서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디지털 신호에 해당하는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수신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tone signals synchronized with the voice signal include sequence information of the voice signals by synchronizing the tone signals with the tone signals generated according to a preset time interval,
The tone signal detection unit detects a plurality of tone signals including sequence information of the voice signal, and converts the detected plurality of tone signals into data corresponding to a digital sign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로 변환된 음성신호 및 상기 음성신호의 순서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합성하는 데이터 합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수신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And a data synthesizing unit for synthesizing a plurality of tone signals including the voice signal converted into the data and the sequence information of the voice signal.
삭제delete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외부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동기화시켜 상기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음성신호를 복수 개의 수신 장치들로 송신하는 송신 장치;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음성신호를 각각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음성신호로부터 상기 음성신호를 추출하며, 상기 수신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음성신호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검출하여 상기 추출된 음성신호와 상기 검출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음성신호 처리 장치로 각각 전송하는 복수 개의 수신 장치들; 및
상기 복수 개의 수신 장치들로부터 각각 전송 받은 상기 추출된 음성신호와 상기 검출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조합하여 상기 음성신호를 복원하는 음성신호 처리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음성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수신 장치들에서 각각 전송된 합성된 데이터들을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수신된 합성된 데이터들 각각을 상기 음성신호와 상기 음성신호의 순서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톤 신호들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및
상기 수신된 복수 개의 합성된 데이터들로부터 각각 변환된 음성신호와 상기 음성신호의 순서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조합하여 상기 음성신호를 복원하는 음성신호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첫 번째에 해당하는 제1 톤 신호부터 미리 설정된 N 번째에 해당하는 제N 톤 신호(N은 2 이상인 자연수)까지 순차적으로 생성되어 제1 집합을 형성하고, 다시 첫 번째에 해당하는 제1 톤 신호부터 미리 설정된 N 번째에 해당하는 제N 톤 신호(N은 2 이상인 자연수)까지 순차적으로 생성되어 제2 집합을 형성하며,
상기 복수 개의 톤 신호들과 동기화된 음성신호는 상기 제1 집합에서 상기 순차적으로 생성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 중 상기 송신 장치에 상기 음성신호가 수신되는 시간에 대응하는 순서에 해당하는 신호인 M 번째(1≤M≤N, M은 자연수)에 생성된 제M 톤 신호와 동기화된 음성신호와 상기 제2 집합에서 상기 순차적으로 생성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 중 상기 송신 장치에 상기 음성신호가 수신되는 시간에 대응하는 순서에 해당하는 신호인 L 번째(1≤L≤N, L 자연수)에 생성된 제L 톤 신호와 동기화된 음성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신호 처리 시스템.
A plurality of tone signals corresponding to a preset frequency band are generated, and the generated plurality of tone signals are synchronized with the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outside to synchronize the voice signals synchronized with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Transmission device for transmitting to;
Each of the voice signals synchronized with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is received from the transmitting device, the voice signals are extracted from the voice signals synchronized with the received plurality of tone signals, and the received plurality of tone signals A plurality of receiving devices for detecting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from the synchronized voice signal and transmitting the extracted voice signal and the detected plurality of tone signals to a voice signal processing device, respectively; And
It includes; a voic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restoring the voice signal by combining the extracted voice signal receiv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receiving devices and the detected plurality of tone signals;
The audio signal processing device,
A data receiving unit receiving the synthesized data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receiving devices, respectively;
A data converter converting each of the received synthesized data into a plurality of tone signals including the voice signal and sequence information of the voice signal; And
It includes; a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for restoring the voice signal by combining a voice signal converted from each of the received plurality of synthesized data and a plurality of tone signals including sequence information of the voice signal;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are sequentially generated from the first ton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 the Nth ton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reset Nth (N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2) according to a preset time interval to form a first set. Then, from the first ton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 the N-th ton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reset N-th (N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2) is sequentially generated to form a second set,
The voice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is a M th that is a signal corresponding to an order corresponding to a time when the voice signal is received by the transmitting device among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sequentially generated in the first set. (1≤M≤N, M is a natural number) of the voice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M-th tone signal generated and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sequentially generated in the second set, the voice signal is received by the transmitting device And a voice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L-th tone signal generated in the L-th (1≤L≤N, L natural number), which is a signal corresponding to a sequence corresponding to tim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생성된 순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수신 장치들은,
상기 추출된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에 해당하는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음성신호의 순서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검출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디지털 신호에 해당하는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로 변환된 음성신호 및 음성신호의 순서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합성하고, 상기 합성된 데이터를 각각 상기 음성신호 처리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신호 처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The plurality of tone signals includes order information generated according to a preset time interval,
The plurality of receiving devices,
The converted audio signal is converted into data corresponding to a digital signal, and the detected plurality of tone signals including sequence information of the audio signal are converted into data corresponding to a digital signal, and the converted audio signal is converted into the data. A voice signal processing system characterized by synthesizing a plurality of tone signals including sequence information of a voice signal, and transmitting the synthesized data to the voic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respectively.
삭제delet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수신 장치들 각각은 상기 추출된 음성신호 및 상기 검출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광 신호로 변경하여 광케이블을 통해 상기 음성신호 처리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음성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광케이블을 통해 상기 복수 개의 수신 장치들로부터 전송된 광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광 신호를 상기 추출된 음성신호 및 상기 검출된 복수 개의 톤 신호들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음성신호 및 복수 개의 톤 신호들을 조합하여 상기 음성신호를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신호 처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Each of the plurality of receiving devices converts the extracted voice signal and the detected plurality of tone signals into optical signals and transmits them to the voice signal processing device through an optical cable,
The au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receives an optic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receiving devices through the optical cable, converts the received optical signal into the extracted audio signal and the detected plurality of tone signals, and the A voice signal processing system characterized by restoring the voice signal by combining the converted voice signal and a plurality of tone signals.
삭제delete
KR1020180088721A 2018-07-30 2018-07-30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using wireless communications and voice signal processing system using the same Active KR1021414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721A KR102141497B1 (en) 2018-07-30 2018-07-30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using wireless communications and voice signal processing system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721A KR102141497B1 (en) 2018-07-30 2018-07-30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using wireless communications and voice signal processing system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480A KR20200013480A (en) 2020-02-07
KR102141497B1 true KR102141497B1 (en) 2020-08-05

Family

ID=69570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721A Active KR102141497B1 (en) 2018-07-30 2018-07-30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using wireless communications and voice signal processing system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1497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7086B1 (en) * 2011-04-04 2012-09-28 리 위페이 Method and apparatus for minimizing signal interference among wireless microphon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93338B1 (en) * 1997-05-19 2002-12-10 Airbiquity Inc. Multichannel in-band signaling for data communications over digital wireless telecommunications networks
EP1273190B1 (en) * 2000-03-21 2010-05-19 Airbiquity, Inc. Voiceband modem for data communications over digital wireless networks
KR102081336B1 (en) * 2013-06-17 2020-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Audio System, Audio Device and Method for Channel Mapping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7086B1 (en) * 2011-04-04 2012-09-28 리 위페이 Method and apparatus for minimizing signal interference among wireless micropho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480A (en) 202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89529A (en) Communications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information
US3852530A (en) Single stage power amplifiers for multiple signal channels
JPH0591063A (en) Audio signal transmitter
KR102141497B1 (en)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using wireless communications and voice signal processing system using the same
GB2287624A (en) Audio signal processing circuits
JPS61245749A (en) Pcm signal transmission system for catv
US20040146034A1 (en) Audio and data multiplexed wireless audio system
JPS5829673B2 (en) kongotsushinseigiyohouhououoyobi souchi
KR102571351B1 (en) Modulation device, controlling method of the modulation device and vehicle
JPS5837735B2 (en) Pulse Henchyou Houshiki
EP0411948B1 (en) Audio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KR200169265Y1 (en) A wireless receive and transmit means, and music players having functions of Automatic scan and Multiple Channel Access
CN203289631U (en) Au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US20030215024A1 (en) Modulation apparatus, modulation method, modulated wave receiving apparatus, and modulation system
JP2000514610A (en) Storage and playback method and apparatus
JPH07154322A (en) Individual receiving method for voice broadcasting
US200501170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wireless transmission of audio and video information
JPWO2007063895A1 (en)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wireless receiver, wireless microphone system, control transmission method in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control reception method in wireless receiver, and control transmission method in wireless microphone system
JPS6077540A (en) digital mobile radio equipment
JP586576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receiver
JPS6333409Y2 (en)
JPH099364A (en) Digital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CN103873115A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0199012B1 (en) Digital transmitting device for radio headphone
JPH06188849A (en) Multiplex transmit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7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7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