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35082B1 - Control method of mobile terminal and air-conditioner system - Google Patents

Control method of mobile terminal and air-conditioner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5082B1
KR102135082B1 KR1020180012972A KR20180012972A KR102135082B1 KR 102135082 B1 KR102135082 B1 KR 102135082B1 KR 1020180012972 A KR1020180012972 A KR 1020180012972A KR 20180012972 A KR20180012972 A KR 20180012972A KR 102135082 B1 KR102135082 B1 KR 102135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ignal
units
mobile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9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93390A (en
Inventor
박철민
양진혁
이권형
이학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2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5082B1/en
Publication of KR20190093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33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082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M1/7253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통신 범위 설정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통신 범위 설정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 세기를 가지는 무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출력된 무선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복수의 유닛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응답 신호를 송신한 복수의 유닛이 응답 신호의 신호 세기에 따라 정렬하여 표시되는 탐색 결과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탐색 결과 화면에 표시되는 복수의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유닛이 선택되면, 선택된 유닛이 포함되는 그룹에 대한 모니터링(monitoring)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eiving a communication range setting input, outputting a wireless signal having a signal strength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mmunication range setting input, and corresponding to the output wireless signal. Receiving a response signal from a plurality of units included in the air conditioner system, displaying a search result screen in which the plurality of units that have transmitted the response signal are displayed according to the signal strength of the response signal, and Whe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units displayed on the screen is selected, the method may include displaying a monitoring screen for the group including the selected unit.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Control method of mobile terminal and air-conditioner system}Control method of mobile terminal and air-conditioner system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내 유닛 간에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고 이동 단말기로 유닛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 air conditioner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a mobile device capable of wirelessly communicating between units in the air conditioner system and monitoring the status of units with the mobile terminal. A terminal, an air conditioner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for.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함으로서 인간에게 더욱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되어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The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to provide a more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to human beings by discharging cold and warm air into the room to create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adjusting the indoor temperature, and purifying the indoor air. In general, an air conditioner includes an indoor unit installed inside a heat exchanger, and an outdoor unit configured with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to supply refrigerant to the indoor unit.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된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된 실외기로 분리되어 제어되며, 실외기 및 실내기가 냉매배관으로 연결되어, 실외기의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냉매가 냉매배관을 통해 실내기의 열교환기로 공급되고, 실내기의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냉매는 다시 냉매배관을 통해 실외기의 압축기로 유입된다. 그에 따라 실내기는 냉매를 이용한 열교환을 통해 냉온의 공기를 실내로 토출한다. The air conditioner is separated and controlled by an indoor unit composed of a heat exchanger and an outdoor unit composed of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and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are connected to a refrigerant pipe, so that the refrigerant compressed from the compressor of the outdoor unit is supplied to the heat exchanger of the indoor unit through the refrigerant pipe. The refrigerant exchanged in the heat exchanger of the indoor unit flows back into the compressor of the outdoor unit through the refrigerant pipe. Accordingly, the indoor unit discharges cold and hot air into the room through heat exchange using a refrigerant.

공기조화기 시스템 내 유닛들은, 건물단위 또는 소그룹 단위로 상호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통해 각 유닛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다. Units in the air conditioner system are interconnected in units of buildings or small groups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and to monitor and control the status of each unit through the transmitted and received data.

일례로,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각 유닛이 통신선으로 연결되는 유선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실내기는 실외기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실외기가 실내기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기로 실내기의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As an example, the air conditioner system may use a wired communication method in which each unit is connected by a communication line. In general, the indoor unit is configured to transmit data to the out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receives data of the indoor unit to transmit data of the indoor unit to the controller.

또 다른 예로 종래 기술(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3486호)은, 공기조화기 운전상태 데이터를 유선통신으로 노트북 등 장비와 연결하여 전달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수신함으로써 편리하게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prior art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123486) uses wireless communication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connecting the air conditioner operation status data to equipment such as a laptop through wired communication. By doing so,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is conveniently monitored.

종래 기술(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3486호)은, 실외기 및, 실외기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존재하는 단말이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여, 실외기 및 실내기의 운전상태 데이터를 단말로 전송하고 있다.In the prior art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123486), an outdoor unit and a terminal existing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utdoor unit communicate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o transmit operation status data of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to the terminal.

이러한 통신 구조들에서는 실내기가 제어기가 직접 통신하지 못하고 실외기를 반드시 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내기 데이터가 필요한 경우에도, 실외기를 거치는 단계적 통신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처리 속도가 늦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these communication structure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ndoor unit cannot directly communicate with the controller and must pass through the outdoor unit. For example, even when one indoor unit data is requir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rocessing speed is slow because it is necessary to perform stepwise communication through the outdoor unit.

또한, 종래 기술(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3486호)은, 실외기에 별도 무선 통신 모듈을 추가 장착할 필요가 있고, 실외기와 실내기 간의 통신은 여전히 유선 통신으로 수행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prior art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123486), there is a need to additionally mount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o the outdoor uni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is still performed by wired communication.

또한, 실외기와 단말 간의 와이파이(Wifi) 통신으로, 동일층이나 단거리 이내에서만 원활한 통신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i-Fi (Wifi) communication between the outdoor unit and the terminal has a problem in that smooth communication is possible only on the same floor or within a short distance.

특히, 실외기가 건물의 지하에 설치되거나 옥상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인 설치 환경에서, 실외기와 실내기 간의 거리로 인하여 무선으로 통신하는데에 어려움이 있으며, 건물 내의 장애물로 인하여 신호가 감쇄되는 등, 신호의 품질이 저하되고 그에 따라 통신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particular, in an installation environment in which an outdoor unit is installed in the basement of a building or installed on a roof, it is difficult to communicate wirelessly due to the distance between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and signal quality is reduced due to an obstacle in the building.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tability of the communication was lowered.

최근에는 무선으로 유닛 간에 통신하는 시도가 증가하는 추세로, 실내기. 실외기, 제어기 등 각 유닛뿐만 아니라, 이동 단말기 등 다른 기기와도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Recently,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trend in attempts to communicate wirelessly between units, indoor units. The number of cases in which a wireless network is configured not only with each unit such as an outdoor unit or a controller but also with other devices such as a mobile terminal is increasing.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기기들은, 사용자 및 기기의 위치에 제약받지 않고, 기기들의 정보를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Devices connected by wireless communication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heck and control information of devices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he location of the user and the devices.

따라서,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설치 환경에 적합한 무선 통신 방안이 요구된다.Therefore,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itable for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of the air conditioner system is required.

실내기, 실외기 등 공기조화기 시스템 내 각 유닛들이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 통신 환경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고, 이동 단말기는 하나 이상의 유닛과 무선 통신하여, 유닛의 동작 상태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configure a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in which each unit in an air conditioner system such as an indoor unit or an outdoor unit communicates wirelessly. 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system includes a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can wirelessly communicate with one or more units to monitor the operation status of the unit.

하지만,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무선 통신을 적용하면 이동 단말기의 통신 반경 안에 다수의 유닛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when wireless communication is applied to the air conditioner system, a plurality of units may exist within a communication radius of the mobile terminal.

설치, 보수 작업 또는 사용 중에 특정 유닛을 찾아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다수의 유닛 중 특정 유닛이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 파악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In the case of a situation in which a specific unit needs to be found during installation, maintenance work, or use, it may take considerable time to determine where a specific unit is located among a plurality of units connected by wireless communication.

따라서, 무선 통신 가능한 통신 반경 안에 존재하는 복수의 유닛 중 특정 유닛을 빠르고 정확하게 찾을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Accordingly, a method for quickly and accurately finding a specific unit among a plurality of units existing within a communication radius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is required.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유닛 중 특정 유닛을 빠르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an air conditioner system, and a control method capable of quickly and accurately identifying a specific unit among a plurality of units.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통신 환경에서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탐색된 유닛 정보를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an air conditioner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hich allows a user to conveniently check and control unit information searched through a mobile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본 발명의 목적은, 고품질의 무선 통신 환경을 구현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system and a control method capable of realizing a high quality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통신 범위 설정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 세기를 가지는 무선 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대한 응답 신호의 신호 세기에 따라 정렬하여 표시되는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유닛을 쉽게 찾을 수 있다.To achieve the above or other object, the mobile terminal and the air conditioner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 a wireless signal having a signal strength corresponding to a communication range setting input, and according to the signal strength of the response signal By providing the user with sorted and displayed results, the user can easily find a specific unit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특정 유닛이 피드백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특정 유닛을 육안으로 확인하게 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r other object, the mobile terminal and the air conditioner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rolling a specific unit to perform a feedback operation based on a user input, the user directly visually identifies the specific unit I can do it.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통신 범위 설정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통신 범위 설정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 세기를 가지는 무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출력된 무선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복수의 유닛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응답 신호를 송신한 복수의 유닛이 응답 신호의 신호 세기에 따라 정렬하여 표시되는 탐색 결과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탐색 결과 화면에 표시되는 복수의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유닛이 선택되면, 선택된 유닛이 포함되는 그룹에 대한 모니터링(monitoring)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o achieve the above or other object, a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eiving a communication range setting input and outputting a wireless signal having a signal strength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mmunication range setting input. , Receiving a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utput wireless signal from a plurality of units included in the air conditioner system, a search result screen displayed by sorting the plurality of units transmitting the response signal according to the signal strength of the response signal Displaying, and i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units displayed on the search result screen is selected, may include the step of displaying a monitoring screen for the group containing the selected unit.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이동 단말기가 수신한 통신 범위 설정 입력에 기초하여, 수신된 통신 범위 설정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 세기를 가지는 무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복수의 유닛 중 무선 신호를 수신한 유닛들이 출력된 무선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이동 단말기가 응답 신호를 송신한 유닛들이 응답 신호의 신호 세기에 따라 정렬하여 표시되는 탐색 결과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탐색 결과 화면에 표시되는 유닛들 중 어느 하나의 유닛이 선택되면, 이동 단말기가 선택된 유닛이 포함되는 그룹에 대한 모니터링(monitoring)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o achieve the above or other object, a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er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a communication range setting input received by a mobile terminal, has a signal strength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mmunication range setting input Outputting a radio signal, transmitting a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utputted radio signal to the mobile terminal by units receiving a radio signal among a plurality of units included in the air conditioner system, and the mobile terminal transmitting the response signal Displaying the search result screen displayed by sorting the units according to the signal strength of the response signal, and when any one of the units displayed on the search result screen is selected, the mobile terminal is assigned to a group including the selected unit. It may include the step of displaying a monitoring screen (monitoring) for.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복수의 유닛 중 특정 유닛을 빠르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accurately identify a specific unit among a plurality of units included in the air conditioner system.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가 편리하게 탐색된 유닛 정보를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conveniently check and control the searched unit information,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설치환경에 관계없이 각 유닛 및 이동 단말기가 직접 무선 통신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system capable of direct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each unit and a mobile terminal regardless of an installation environment.

한편, 그 외의 다양한 효과는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것이다.Meanwhile, various other effects will be disclosed directly or implicitly in a detailed descrip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이 건물에 설치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통신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유닛의 제어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제어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의 제어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의 제어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의 제어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탐색 결과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4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n air condition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building.
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condition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referred to in the description of communication of the air condition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configuration of a unit of an air condition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configuration of an indo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configuration of an outdo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trol configur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mplified internal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referred to in the description of the air condition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trol configur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arch result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and 15 are views illustrating a monitoring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In the drawings, in order to clearly and brief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ion of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is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or extremely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simply by considering the ease of writing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o not impart a particularly important meaning or role in itself. Therefore, the "module" and the "unit" may be used interchangeably.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제1, 제2 등의 용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요소들은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이러한 용어들은 한 요소를 다른 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된다.Furth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이 건물에 설치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n air condition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building.

도 1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실외기(10), 실내기(20), 제어기(5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air conditioner system may include an outdoor unit 10, an indoor unit 20, and a controller 50.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실내기 및 실외기 이외에도, 환기장치, 공기청정장치, 가습장치, 히터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규모에 따라 칠러, 공조유닛, 냉각탑 등의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각 유닛이 상호 연결되어 실내기 및 실외기의 동작에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건물 내, 이동장치, 보안장치, 경보장치 등과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the air conditioner system may include a ventilation device, an air cleaning device, a humidifying device, a heater, etc., and may further include units such as a chiller, an air conditioning unit, and a cooling tower depending on the scale. In the air conditioner system, each unit is interconnected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system may operate in connection with a building, a mobile device, a security device, and an alarm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원격에서 유닛들의 동작 상태 등을 모니터링(monitoring)하고, 제어할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emote control device capable of remotely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status of units.

원격제어장치는, 무선 통신 모듈(120)을 포함하여, 다른 유닛들과 서브 기가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고, 다른 유닛들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device, includ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can communicate with other units using a sub-giga band frequency and monitor other units.

여기서, 원격제어장치는, 하나 이상의 유닛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기(50), 유/무선 리모컨(60), 이동 단말기(200) 등일 수 있다.Here, the remote control device may be a controller 50 that can control one or more units, a wired/wireless remote controller 60, a mobile terminal 200, and the like.

제어기(50)는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실내기(20) 및 실외기(10)의 동작을 제어하고, 그에 대응하는 실내기 및 실외기의 동작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저장하며, 모니터링 화면을 통해 동작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기(50)는 실내기(20)에 대한 운전설정, 잠금설정, 스케줄제어, 그룹제어, 전력사용에 대한 피크제어, 디멘드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5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20 and the outdoor unit 10 in response to an input user command, periodically receives and stores data on the operation status of the indoor unit and outdoor unit corresponding thereto, and stores a monitoring screen. You can output the operation status through. The controller 50 may perform operation setting, lock setting, schedule control, group control, peak control for power use, demand control, etc. for the indoor unit 20.

실외기(10)는 각각 실내기(20)에 냉매배관으로 연결되어, 실내기(20)로 냉매를 공급한다. 또한, 실외기(10)는 복수의 실내기(20)와 주기적으로 통신하여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실내기로부터 변경되는 운전설정에 따라 동작을 변경한다. The outdoor units 10 are connected to the indoor units 20 by refrigerant pipes, respectively, and supply the refrigerant to the indoor units 20. Further, the outdoor unit 10 periodically communicates with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20 to transmit and receive mutual data, and changes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setting changed from the indoor unit.

실내기(20)는 실외기(10)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전자팽창밸브(미도시), 냉매의 열교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미도시), 실내공기가 실내열교환기로 유입되도록 하고,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로 노출되도록 하는 실내기 팬(미도시), 다수의 센서(미도시), 실내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door unit 20 is an electronic expansion valve (not shown) that expands the refrigerant supplied from the outdoor unit 10, an indoor heat exchanger (not shown) for heat exchange of refrigerant, and allows indoor air to flow into the indoor heat exchanger, and the heat exchanged air is It may include an indoor unit fan (not shown) to be exposed to the room, a plurality of sensors (not shown), and control means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또한, 실내기(20)는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미도시)를 포함하고, 토출구에는 토출구를 여닫고,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풍향조절수단(미도시)이 구비된다. 실내기는 실내기 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흡입되는 공기 및 토출되는 공기를 제어하며, 풍량을 조절한다. 실내기(20)는 실내기의 운전상태 및 설정정보가 표시되는 출력부 및 설정 데이터 입력을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실내기(20)는 공기조화기 운전에 대한 설정정보를 연결되는 리모컨(미도시)으로 전송하여 리모컨을 통해 출력하고,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door unit 20 includes a discharge port (not shown) for discharging heat-exchanged air, and the discharge port is provided with a wind direction control means (not shown) that opens and closes the discharge port and controls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The indoor unit controls the intake air and the discharge air by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indoor unit fan, and controls the air volume. The indoor unit 20 may further include an output unit for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us and setting information of the indoor unit and an input unit for inputting setting data. At this time, the indoor unit 20 may transmit the setting information for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to a connected remote controller (not shown) to output it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and receive data.

리모컨(미도시)은 실내기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실내기로 사용자명령을 입력하고, 실내기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리모컨은 실내기와의 연결방식에 따라 실내기로 사용자 명령을 전송하고, 실내기의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 일방향 통신을 수행하거나, 실내기와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remote controller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by wire or wireless communication, inputs a user command to the indoor unit, and receives and outputs data of the indoor unit. Depending on the connection method with the indoor unit, the remote controller may transmit a user command to the indoor unit, perform one-way communication that does not receive data from the indoor unit, or perform bidirectional communication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and from the indoor unit.

실외기(10)는 연결된 실내기(2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또는 제어기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냉방모드 또는 난방모드로 동작하며, 연결된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한다.The outdoor unit 10 operates in a cooling mode or a heating mode in response to data received from the connected indoor unit 20 or a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ler, and supplies refrigerant to the connected indoor unit.

복수의 실외기가 연결되는 경우, 각 실외기는 복수의 실내기에 연결될 수 있고, 또한, 분배기를 통해 복수의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할 수 있다. When a plurality of outdoor units are connected, each outdoor unit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indoor units, and may also supply refrigerant to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through a distributor.

실외기(10)는 냉매를 압축하여 고압의 기체 냉매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기, 냉매로부터 기체 냉매와 액체냉매를 분리하여 기화되지 않은 액체냉매가 압축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어큐뮬레이터, 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 중 오일을 회수하는 오일회수기, 외기와의 열교환에 의하여 냉매를 응축하거나 증발되도록 하는 실외열교환기, 실외열교환기의 열교환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실외 열교환기로 공기를 유입하고 열교환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실외기 팬, 실외기의 운전모드에 따라 냉매의 유로를 변경하는 사방밸브, 압력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센서, 온도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 실외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다른 유닛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10)는 그 외 다수의 센서, 밸브, 과냉각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그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하기로 한다.The outdoor unit 10 is at least one compressor that compresses a refrigerant and discharges a high-pressure gas refrigerant, an accumulator that separates a gas refrigerant and a liquid refrigerant from the refrigerant and prevents unvaporized liquid refrigerant from flowing into the compressor,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Oil recoverer that recovers oil among refrigerants, outdoor heat exchanger that condenses or evaporates refrigerant by heat exchange with outside air, and air 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to facilitate heat exchange between the outdoor heat exchanger and heat exchanged air to the outside. The fan of the outdoor unit that discharges, the four-way valve that changes the flow path of the refrigerant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of the outdoor unit, at least one pressure sensor that measures pressure, at least one temperature sensor that measures temperature,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outdoor unit and communicates with other units. It may include a control configuration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The outdoor unit 1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other sensors, valves, and a supercooler, bu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또한,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다른 공기조화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제어기를 통해 외부의 서비스센터, 관리서버, 데이터베이스 등에 접속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외부의 단말과 통신할 수 있다. 단말은 공기조화기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의 유닛에 접속하여 제2의 제어기로써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system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other air conditioners through a network connection such as the Internet. The air conditioner can connect to an external service center, management server, database, etc. through a controller, and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terminal connected through a network. The terminal may monitor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system as a second controller by connecting to at least one unit of the air conditioner system.

또한, 실외기(10), 실내기(20), 제어기(50) 등은 상호간에 소정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 직접 무선 통신할 수 있고, 실외기(10), 실내기(20), 제어기(50) 등은 소정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 이동 단말기 등과 직접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자유롭게 각 유닛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각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door unit 10, the indoor unit 20, the controller 50, etc. can directly and wireless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a predetermine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outdoor unit 10, the indoor unit 20, the controller 50, etc. It is possible to directly wirelessly communicate with a mobile terminal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ly, the user can freely monitor the state of each unit and control each unit through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상호간에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의 실내기(2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외기(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door units 20 and at least one outdoor unit 10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condition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복수의 실내기(20), 복수의 실외기(10), 제어기(50)가 무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in the air condition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indoor units 20, a plurality of outdoor units 10, and a controller 50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실외기(10)는 복수의 실내기(20)와 냉매배관(P1, P2, P3)으로 각각 연결되고, 무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The outdoor unit 10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indoor units 20 and refrigerant pipes P1, P2, and P3, respectively, and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실외기(10)는 복수의 실내기(20)와 주기적으로 통신하여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실내기로부터 변경되는 운전설정에 따라 동작을 변경한다. 복수의 실외기(10)와 복수의 실내기(20)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outdoor unit 10 periodically communicates with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20 to transmit and receive mutual data, and changes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setting changed from the indoor unit. The plurality of outdoor units 10 and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20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실내기(20)는 실외기(10)와 통신할 뿐 아니라, 제어기(50)와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The indoor unit 20 may communicate not only with the outdoor unit 10 but also with the controller 50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제1 실외기(10)는 제1 내지 제3 실내기(21 내지 23)와 제1 냉매배관(P1)으로 연결되고, 제2 실외기(12)는 제4 내지 제6 실내기(23 내지 26)와 제2 냉매배관(P2)으로 연결되며, 제3 실외기(13)는 제7 내지 제9 실내기(27 내지 29)와 제3 냉매배관(P3)으로 연결된다. 설명의 편의상 각 실외기에 3대의 실내기가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는 일예일뿐 도시된, 실내기의 수 또는 실내기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The first outdoor unit 10 is connected to the first to third indoor units 21 to 23 and the first refrigerant pipe P1, and the second outdoor unit 12 is provided to the fourth to sixth indoor units 23 to 26. 2 is connected to the refrigerant pipe (P2), the third outdoor unit 13 is connected to the seventh to ninth indoor units (27 to 29) and the third refrigerant pipe (P3).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ree indoor units are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to each outdoor unit,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o the number of indoor units or the type of indoor units shown.

제1 실외기(11)가 동작함에 따라 제1 실외기(10)로부터 제1 내지 제3 실내기로 냉매가 공급되고, 제2 실외기(12)의 동작에 의해 제4 내지 제6 실내기(23 내지 26)로 제2 냉매배관(P2)을 통해 냉매가 공급되며, 제3 실외기(13)로부터 제7 내지 제9 실내기(27 내지 29)로 제3 냉매배관(P3)을 통해 냉매가 공급된다. As the first outdoor unit 11 operates, refrigerant is supplied from the first outdoor unit 10 to the first to third indoor units, and the fourth to sixth indoor units 23 to 26 are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outdoor unit 12. The refrigerant is supplied through the second refrigerant pipe (P2), and the refrigerant is supplied through the third refrigerant pipe (P3) from the third outdoor unit (13) to the seventh to ninth indoor units (27 to 29).

공기조화기는 실외기를 기준으로 그룹이 설정될 수 있고, 각 그룹은 상이한 채널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실내기는 실외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바탕으로 열교환을 수행하여 냉, 온의 공기를 토출하므로, 냉매배관으로 연결되는 실내기와 실외기는 하나의 그룹(group)으로 설정될 수 있다. A group of air conditioners may be set based on the outdoor unit, and each group may communicate using different channels. Since the indoor unit performs heat exchange based on the refrigerant supplied from the outdoor unit and discharges cold and hot air,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connected to the refrigerant pipe may be set as one group.

예를 들어, 제1 실외기(11)는 제1 냉매배관(P1)으로 연결되는 제1 내지 제3 실내기(21 내지 23)와 제1 그룹을 형성하고, 제2 실외기(12)는 제2 냉매배관(P2)으로 연결되는 제4 내지 제6 실내기(24 내지 26)와 제2 그룹을 형성하며, 제3 실외기(13)는 제3 냉매배관(P3)으로 연결되는 제7 내지 제9 실내기(27 내지 29)와 제3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실외기와 제어기 또한, 설치 위치에 따라 그룹을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냉매배관에 의한 연결상태는 실외기와 실내기를 운전하여 실외기의 냉매공급에 따른 실내기의 온도변화 여부를 바탕으로 구분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outdoor unit 11 forms a first group with the first to third indoor units 21 to 23 connected to the first refrigerant pipe P1, and the second outdoor unit 12 is the second refrigerant. The fourth to sixth indoor units 24 to 26 connected to the pipe P2 form a second group, and the third outdoor unit 13 connects to the seventh to ninth indoor units connected to the third refrigerant pipe P3 ( 27 to 29) and a third group. The outdoor unit and the controller can also set a group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nection state by the refrigerant piping may be classified based on whether the indoor unit temperature changes according to the refrigerant supply of the outdoor unit by operating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한편, 적어도 동일 그룹에 포함되는 유닛들 상호간에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기가 주파수 대역 내에서 다른 통신 채널이 설정된 그룹 별로 할당될 수 있다. 즉, 각 그룹 별로, 다른 통신 채널을 사용하여 통신함으로써, 간선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between units included in at least the same group. In addition, the sub-giga may be allocated for each group in which different communication channels are set in the frequency band. That is, by communicating using different communication channels for each group, the trunk line phenomenon can be prevented.

한편, 제어기(50)는 그룹에 관계없이 실내기(20) 또는 실외기(10)와 통신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ler 50 can communicate with the indoor unit 20 or the outdoor unit 10 regardless of the group.

제어기(50)는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복수의 실내기(20) 및 실외기(10)의 동작을 제어하고, 그에 대응하는 복수의 실내기 및 실외기의 동작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저장하며, 모니터링 화면을 통해 동작상태를 출력한다. The controller 5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20 and the outdoor units 10 in response to an input user command, and periodically receives and stores data on the operation states of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and outdoor units corresponding thereto. , Output the operation status through the monitoring screen.

제어기(50)는 복수의 실내기(20)에 연결되어 실내기에 대한 운전설정, 잠금설정, 스케줄제어, 그룹제어, 전력사용에 대한 피크제어, 디멘드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50)는 실외기와 통신하여 실외기를 제어하고 실외기의 동작을 모니터링한다. The controller 50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indoor units 20 to perform operation setting, lock setting, schedule control, group control, peak control for power use, demand control, and the like for the indoor unit. In addition, the controller 50 communicates with the outdoor unit to control the outdoor unit and monitor the operation of the outdoor unit.

제어기(50)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상호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외부의 소정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제어기와도 연결될 수 있다. When a plurality of controllers 50 are provided, data may be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mutual wireless communication, and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controller through a predetermined external network.

제어기 및 복수의 유닛이 무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데 있어서, 제어기와 각 유닛에는 통신을 위한 주소가 저장된다. 각 주소는 실외기와, 제어기에 의해 할당될 수 있다. When a controller and a plurality of units transmit and receive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 address for communication is stored in the controller and each unit. Each address can be assigned by an outdoor unit and a controller.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외기는 냉매배관으로 연결되는 실내기와 그룹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실외기를 동일한 그룹에 포함되는 실내기에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실외기를 중심으로 그룹이 설정되더라도 모든 실외기 및 모든 실내기와 통신한다. 그에 따라 제어기는 그룹단위의 통신을 위한 주소 이외에 중앙제어용 주소를 복수의 유닛에 할당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어기는 별도의 주소 할당 없이, 실외기와 실내기에 할당된 주소를 중앙제어용 주소로써 사용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outdoor unit may set an indoor unit and a group connected to a refrigerant pipe. In this case, an address may be assigned to the indoor units included in the same group. In addition, even if a group is set around an outdoor unit, it communicates with all outdoor units and all indoor units. Accordingly, the controller can allocate an address for central control to a plurality of units in addition to the address for group-level communication. In some cases, the controller may use the address assigned to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as a central control address without assigning a separate address.

한편, 실외기(10), 실내기(20), 제어기(50) 등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각 유닛은 이동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할 수 있다.Meanwhile, each unit of the air conditioner system such as the outdoor unit 10, the indoor unit 20, and the controller 50 may wirelessly communicate with the mobile terminal 200.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실외기(10), 실내기(20), 제어기(50) 등의 전자 기기(유닛)와 시스템 내 전자 기기의 상태를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in the air condition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e of electronic devices (units) such as the outdoor unit 10, the indoor unit 20, and the controller 50 and the electronic devices in the system are confirmed. And it may include a mobile terminal 200 that can be controlled.

이동 단말기(200)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하고,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상태를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200 has an application for controlling the air conditioner system, and can check and control the state of the air conditioner system through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이동 단말기(200)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을 위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탑재된 스마트 폰(200a), 노트북 PC(200b), 태블릿 PC(200c)등을 예로 들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200 may include, for example, a smart phone 200a, a notebook PC 200b, and a tablet PC 200c equipped with an application for an air conditioner system.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통신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으로, 도 3의 (a)는 유선통신을 이용한 유닛 간의 통신을 도시한 도이고 도 3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한 유닛 간의 통신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3 is a view for reference to the description of the communication of the air condition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a) is a diagram showing the communication between units using a wired communication and Figure 3 (b ) Is a diagram referred to for describing communication between units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의 (a)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통신선으로 복수의 유닛이 연결된다. 복수의 유닛은 통신선의 연결에 한계가 있으므로 상호 일대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통신선의 연결 형태에 따라 단계적으로 연결된다. Referring to Figure 3 (a), the air conditioner system is a plurality of units are connected by a communication line. Since the plurality of units have a limitation in connection of communication lines, they are not connected one-to-one to each other, but are connected step by step according to the connection type of the communication lines.

복수의 실내기는 하나의 실외기에 통신선으로 연결되고, 실외기는 제어기와 연결된다. 복수의 실외기가 구비되는 경우, 냉매배관의 연결상태를 기준으로 복수의 실내기가 실외기로 연결된다. 복수의 실외기는 제어기와 연결된다. A plurality of indoor units are connected to a single outdoor unit by a communication line, and the outdoor units are connected to a controller. When a plurality of outdoor units are provided, a plurality of indoor units are connected to the outdoor unit based on the connection state of the refrigerant pipe. A plurality of outdoor units ar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실내기를 실외기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실외기는 실외기 데이터와 수신된 실내기 데이터를 제어기로 전송한다. 제어기는 실외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내기의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The indoor unit transmits data to the out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transmits the outdoor unit data and the received indoor unit data to the controller. The controller can check the operation status of the indoor unit based on data received from the outdoor unit.

제어기가 실내기에 제어명령을 전달하는 경우, 제어기는 해당 실내기가 연결된 실외기로 제어명령을 전송하고, 실외기는 수신된 제어명령을 해당 실내기로 전송한다. When the controller transmits a control command to the indoor unit, the controller sends a control command to the outdoor unit to which the corresponding indoor unit is connected, and the outdoor unit transmits the received control command to the indoor unit.

이와 같이, 유선 통신의 경우, 복수의 유닛의 일대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가 통신선의 연결상태에 따라 단계적으로 전송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wired communication, data is transmitted step by step according to the connection state of the communication line, rather than being connected one to one of a plurality of units.

그에 따라 실내기의 데이터가 직접적으로 전송되지 못하므로 데이터 전송에 시간 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실외기는 실외기 데이터가 아닌 다른 유닛의 데이터를 처리해야하므로, 그에 따른 부하가 증가한다. 또한, 하나의 실외기에서 복수의 실내기의 데이터를 처리해야하므로, 연결된 실내기의 수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Accordingly, since the data of the indoor unit cannot be directly transmitted, a time delay occurs in data transmission. In addition, since the outdoor unit has to process data of other units than the outdoor unit data, the load increases accordingly. In addition, since data of a plurality of indoor units must be processed in one outdoor unit, it takes a lot of time to transmit data according to the number of connected indoor units.

또한, 이동 단말기(200)를 통하여 유닛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경우에도, 실내기의 데이터가 직접적으로 전송되지 못하므로, 제어기(50) 등을 경유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200)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각 유닛과 자유롭게 통신하지 못하고, 특정 유닛으로부터는 해당 정보만 수신하거나, 전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상위의 제어기(50)와 통신해야 한다는 한계가 있다. In addition, even when monitoring the status of units through the mobile terminal 200, since the data of the indoor unit is not directly transmitted, data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via the controller 50 or the like. Therefore, the mobile terminal 200 cannot freely communicate with each unit of the air conditioner system, and there is a limitation that it must communicate with the upper level controller 50 in order to receive only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from a specific unit or obtain the entire information. have.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기(10), 실내기(20), 제어기(50), 이동 단말기(200)는 상호 무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3(b), the outdoor unit 10, the indoor unit 20, the controller 50, and the mobile terminal 200 transmit and receive data by mutual wireless communication.

제어기(50) 및/또는 이동 단말기(200)는, 실외기(10)와 실내기(20)로 각각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고, 실외기(10)와 실내기(20)로부터 각각 수신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각 유닛의 동작상태를 판단하고, 이상을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50 and/or the mobile terminal 200 may request data from the outdoor unit 10 and the indoor unit 20, respectively, and each unit is based on data received from the outdoor unit 10 and the indoor unit 20, respectivel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operating state of, and to determine the abnormality.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냉매의 유동을 고려하여 실외기와 실내기간에 그룹을 설정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실외기와 실내기간의 통신채널 이외에도, 제어기, 실외기, 실내기를 포함하는 통신채널이 별도로 설정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t has been described to set a group in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period in consideration of the flow of the refrigerant, but in addition to the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period, a communication channel including a controller, an outdoor unit, and an indoor unit may be separately set.

제어기(50) 및/또는 이동 단말기(200)는 실내기(2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내기(20)가 설치되는 실내공간의 상태(온도 또는 습도)에 따라 실내기(20)의 운전설정을 변경할 수 있고, 운전설정 변경에 따른 데이터를 실내기로 직접 전송한다. 이때, 실내기는 운전설정이 변경되면 해당 데이터를 실외기로 전송하고, 그에 따라 실외기 또한 운전을 변경하게 된다. The controller 50 and/or the mobile terminal 200 sets the operation setting of the indoor unit 20 according to the state (temperature or humidity) of the indoor space in which the indoor unit 20 is installed based on data received from the indoor unit 20. It can be changed, and the data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operation setting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indoor unit. At this time, when the operation setting of the indoor unit is changed, the corresponding data is transmitted to the outdoor unit, and accordingly, the outdoor unit also changes operation.

제어기(50)는 실내기(20)가 지정된 시간에 설정된 운전을 수행하도록 스케줄이 설정된 경우, 실내기 및 실내기와 연결된 실외기로 각각 운전명령을 전송할 수 있고, 실내기는 그에 대한 응답을 제어기(50)로 전송하고, 소정시간 간격으로 동작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한다. If the schedule is set so that the indoor unit 20 performs the set operation at a designated time, the controller 50 may transmit a driving command to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respectively, and the indoor unit transmits a response to the controller 50 Then, data on the operating state is transmitt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실내기(20)는 구비되는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 또는 제어기(5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운전을 설정하고 실외기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The indoor unit 20 sets driving and transmits data to the outdoor unit in response to data input through an input unit provided or data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50.

실외기(10)는 수신되는 실내기의 데이터와, 복수의 실내기의 동작 상태에 따른 부하를 산출하여 압축기를 제어한다. The outdoor unit 10 controls the compressor by calculating the received indoor unit data and loads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s of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실외기(10)와 실내기(20)는 소정시간 간격으로 제어기(50)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고장 또는 이상 발생 시 주기에 관계없이 제어기(50)로 고장 또는 이상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The outdoor unit 10 and the indoor unit 20 may transmit data to the controller 50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to the controller 50 regardless of the period when a failure or abnormality occur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유닛의 제어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블록도이다.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configuration of a unit of an air condition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내의 유닛(10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실내기 유닛, 실외기 유닛, 제어기, 무선 센서 중 하나일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unit 100 in an air conditioner system.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ne of an indoor unit, an outdoor unit, a controller, and a wireless sensor of an air conditioner system.

도 4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유닛(100)은, 구동부(140), 센싱부(170), 출력부(160), 입력부(150), 저장부(130), 및,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4, the unit 100 of the air conditioner system, the driving unit 140, the sensing unit 170, the output unit 160, the input unit 150, the storage unit 130, and the overall operation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110 to control.

또한, 유닛(100)은 무선 통신 모듈(120)을 구비하거나 무선 통신 모듈(120)과 연결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20)은 유닛에 내장되거나, 또는 유닛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nit 100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or be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be built in the unit or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unit.

이는 각 유닛(100)에 공통으로 포함되는 구성으로, 제품의 특성에 따라 별도의 구성이 추가될 수 있다. This is a configuration commonly included in each unit 100, and a separate configuration may be added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예를 들어, 실내기(20)는 풍향조절수단으로 베인 등이 구비되고, 실내기 팬, 복수의 밸브를 포함함에 따라 실내기 팬 구동부, 밸브제어부, 풍향제어부 등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door unit 20 may be provided with a vane or the like as a wind direction control means, and an indoor unit fan driving unit, a valve control unit, a wind direction control unit, or the like may be provided as it includes an indoor unit fan and a plurality of valves.

한편, 실외기(10)는 압축기, 실외기 팬, 복수의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실외기의 구동부는 압축기 구동부, 실외기 팬 구동부, 밸브제어부로 구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outdoor unit 10 may include a compressor, an outdoor unit fan, and a plurality of valves. Accordingly, the driving unit of the outdoor unit may be divided into a compressor driving unit, an outdoor unit fan driving unit, and a valve control unit.

한편, 유닛의 종류에 따라 센싱부(170)에 포함되는 센서의 종류 및 그 수, 설치 위치는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type and number of sensors included in the sensing unit 170 and the installation location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unit.

저장부(130)에는, 유닛(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 다른 유닛과 통신하기 위한 주소 또는 그룹설정에 대한 통신데이터, 외부로부터 송수신되는 데이터, 동작 중 발생하거나 또는 감지되는 동작데이터가 저장된다. 저장부(130)는 유닛의 기능별 실행프로그램, 동작 제어를 위한 데이터,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The storage unit 130 includes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unit 100, communication data for address or group setting for communicating with other units,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from outside, and operation data generated or sensed during operation. Is stored. The storage unit 130 stores a function-specific execution program, data for operation control, and data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저장부(13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30 may be various storage devices such as ROM, RAM, EPROM, flash drive, hard drive, etc. in hardware.

입력부(150)는 버튼, 스위치, 터치입력수단과 같은 입력수단을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입력부(150)는 입력수단의 조작에 대응하여 사용자 명령 또는 소정의 데이터가 입력되면, 입력되는 데이터에 제어부(110)로 인가한다. 실외기에는 전원키, 시운전키, 주소 설정키가 구비될 수 있고, 실내기에는 전원키, 메뉴입력키, 운전설정키, 온도조절키, 풍량키, 잠금키 등이 구비될 수 있다. The input unit 150 includes at least one input means such as a button, a switch, and a touch input means. When the user command or predetermined data is input in response to the manipulation of the input means, the input unit 150 applies the input data to the control unit 110. The outdoor unit may be provided with a power key, a commissioning key, an address setting key, and an indoor unit may be provided with a power key, a menu input key, an operation setting key, a temperature control key, an air volume key, a lock key, and the like.

출력부(160)는 점등 또는 점멸제어되는 램프, 소정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구비하는 오디오 출력부 및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유닛의 동작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램프는 점등 여부, 점등색상, 점멸 여부에 따라 유닛이 동작중인지 여부를 출력하고, 스피커는 소정의 경고음, 효과음을 출력하여 동작상태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는 유닛의 제어를 위한 메뉴화면을 출력하고, 유닛의 운전설정 또는 동작상태를, 문자, 숫자,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구성된 안내 메시지 또는 경고를 출력할 수 있다. The output unit 160 may output an operating state of the unit, including at least one of a lamp that is controlled to be lit or flashing, an audio output unit having a speaker outputting a predetermined sound, and a display. The lamp outputs whether the unit is operating according to whether it is lit, whether it is lit or not, and the speaker outputs an operation state by outputting a predetermined warning sound and an effect sound. The display may output a menu screen for controlling the unit, and output a guide message or warning consisting of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f letters, numbers, and images of the unit's operation setting or operation status.

센싱부(170)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70)는 압력센서, 온도센서, 가스센서, 습도센서, 유량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17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nsors. The sensing unit 170 may include a pressure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 gas sensor, a humidity sensor, and a flow sensor.

예를 들어 온도센서는 복수로 구비되어, 실내온도, 실외온도, 실내열교환기온도, 실외열교환기온도, 배관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10)로 입력한다. 압력센서는 냉매배관의 입출입구에 각각 설치되어, 유입되는 냉매의 압력과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을 각각 측정하여 제어부(110)로 입력한다. 압력센서는 냉매배관뿐 아니라, 수관에도 설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are provided to detect the indoor temperature, the outdoor temperature, the indoor heat exchanger temperature, the outdoor heat exchanger temperature, and the pipe temperature, and input them to the controller 110. Pressure sensors are respectively installed at the inlet and outlet of the refrigerant pipe to measure the pressure of the incoming refrigerant and the pressure of the discharged refrigerant, respectively, and input them to the control unit 110. The pressure sensor can be installed in the water pipe as well as the refrigerant pipe.

구동부(140)는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따라 제어대상으로 동작 전원을 공급하고 그 구동을 제어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외기의 경우, 구동부(140)는 압축기, 실외기 팬, 및 밸브를 각각 제어하는 압축기구동부, 실외기 팬구동부, 밸브제어부가 각각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140)는 압축기, 실외기 팬, 밸브 등에 각각에 구비되는 모터로 동작 전원을 인가하여 모터가 동작함에 따라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The driving unit 140 supplies the operating power to the control target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 unit 110 and controls the driving.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outdoor unit, the driving unit 140 may be separately provided with a compressor, an outdoor unit fan, and a compressor driving unit for controlling the valve, an outdoor unit fan driving unit, and a valve control unit, respectively. The driving unit 140 applies operating power to a motor provided in each of a compressor, an outdoor fan, a valve, and the like to perform a designated operation as the motor operates.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제어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블록도로, 유닛(100)이 실내기(100a)인 경우를 예시한다.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configuration of an indo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unit 100 is an indoor unit 100a.

도 5는, 유닛(100)이 실내기(100a)인 경우, 도 4의 구동부(140)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도 4와 동일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FIG. 5 illustrates an example of the driving unit 140 of FIG. 4 when the unit 100 is the indoor unit 100a, and the description of the same parts as in FIG. 4 will be omitted below.

도 5를 참조하면, 실내기(100a)는, 베인 구동부(141a), 팬 구동부(142a), 실내기 팬(142b), 하나 이상의 베인(141b)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indoor unit 100a may include a vane driving unit 141a, a fan driving unit 142a, an indoor unit fan 142b, and one or more vanes 141b.

실내기 팬(142b)은 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된 냉온의 공기를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토출한다The indoor unit fan 142b discharges cold and hot air exchanged by the heat exchanger to the room through the discharge port.

팬 구동부(142a)는 실내기 팬(142b)을 동작시키는 모터의 구동을 제어한다. 팬 구동부(142a)는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실내기 팬(142b)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실내기 팬(142b)이 설정된 속도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The fan driving unit 142a controls driving of a motor that operates the indoor unit fan 142b. The fan driving unit 142a controls on/off of the indoor unit fan 142b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10, and controls the indoor unit fan 142b to operate at a set speed.

베인 구동부(141a)는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하나 이상의 토출구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베인(141b)의 개폐를 제어한다. 또한, 베인 구동부(141a)는 베인(141b) 각각에 대하여 개도각을 제어하여, 토출되는 풍향을 변경한다. 베인(141b)은 베인 구동부(141a)에 의해 개도각이 가변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변경한다. 이때, 각 토출구에는 좌우 방향의 풍향을 조절하기 위한 루버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vane driving unit 141a controls opening and closing of one or more vanes 141b provided in one or more discharge ports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10. In addition, the vane driving unit 141a controls the opening angle with respect to each vane 141b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d wind. The vane 141b changes the opening angle by the vane driving unit 141a to change the wind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At this time, each outlet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louver for adjusting the wind direc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베인(141b)은 각각 0도 내지 90도 각도의 범위 내에서 개도각이 설정될 수 있으며, 설정에 따라 단계별로 개도각이 변경될 수 있다. Each vane 141b may have an opening angle within a range of 0 to 90 degrees, and the opening angle may be changed step by step according to the setting.

베인 구동부(141a)는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따라 각 베인(141b)의 개도각을 단계별로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다. The vane driving unit 141a may be set by changing the opening angle of each vane 141b step by step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from the control unit 110.

예를 들어, 베인 구동부(141a)는 15도 단위로 15 내지 75도의 범위 내에서 5단계로 베인의 개도각을 제어할 수 있다. 베인(141b)의 개도각은 설정에 따라 3단계 내지 9단계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베인 구동부(141a)는 스윙모드 설정 시, 단계구분 없이 15도 내지 75도 범위 내에서 베인의 개도각을 연속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vane driving unit 141a may control the opening angle of the vane in 5 steps within a range of 15 to 75 degrees in 15 degree units. The opening angle of the vane 141b may be set in 3 to 9 steps depending on the setting. In addition, when setting the swing mode, the vane driving unit 141a may continuously change the opening angle of the vane within a range of 15 degrees to 75 degrees without step separa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의 제어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블록도로, 유닛(100)이 실외기(100b)인 경우를 예시한다.6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configuration of an outdo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unit 100 is the outdoor unit 100b.

도 6은, 유닛(100)이 실외기(100b)인 경우, 도 4의 구동부(140)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도 4와 동일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FIG. 6 illustrates an example of the driving unit 140 of FIG. 4 when the unit 100 is the outdoor unit 100b, and description of the same parts as in FIG. 4 will be omitted below.

도 6을 참조하면, 실외기(100b)는, 압축기 구동부(143a), 압축기(143b), 실외기 팬(144b), 팬 구동부(144a), 밸브 제어부(145a), 밸브(145b)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outdoor unit 100b may include a compressor driving unit 143a, a compressor 143b, an outdoor unit fan 144b, a fan driving unit 144a, a valve control unit 145a, and a valve 145b. .

실외기 팬(144b)은 팬의 회전동작을 통해 실외열교환기로 실외공기를 공급하고, 열교환된 냉온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실외열교환기는 냉방운전시 응축기로 동작하고, 난방운전시 증발기로 동작함에 따라, 실외기 팬(144b)은 실외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냉기 또는 온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The outdoor unit fan 144b supplies outdoor air 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through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fan, and allows the heat-exchanged cold and hot air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s the outdoor heat exchanger operates as a condenser during cooling operation and as an evaporator during heating operation, the outdoor unit fan 144b may discharge cold or warm heat exchanged from the outdoor heat exchanger to the outside.

팬 구동부(144a)는 실외기 팬(144b)에 구비되는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실외기 팬의 회전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팬 구동부(144a)는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실외기 팬(144b)이 설정된 회전속도로 동작하거나 또는 동작 정지하도록 할 수 있다. 팬 구동부(144a)는 실외기 팬(144b)에 구비되는 모터의 형태에 따라 동작신호를 인가하여, 실외기 팬(144b)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The fan driving unit 144a may control driving of a motor provided in the outdoor unit fan 144b, thereby controlling a rotation operation of the outdoor unit fan. The fan driving unit 144a may cause the outdoor unit fan 144b to operate at a set rotational speed or stop operating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10. The fan driving unit 144a may control the rotational speed of the outdoor unit fan 144b by applying an oper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type of motor provided in the outdoor unit fan 144b.

밸브 제어부(145a)는 실외기 내에 구비되는 복수의 밸브(145b)에 대하여 개폐 여부 또는 개방 정도를 조절하여, 냉매의 유량 또는 냉매의 유동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밸브(145b)는 각각 상이한 위치에 복수로 존재하므로, 밸브 구동부 또한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밸브는 사방밸브, 팽창밸브, 핫가스밸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valve control unit 145a may control whether to open or close the plurality of valves 145b provided in the outdoor unit, or to control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or the flow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Since a plurality of valves 145b are present at different positions, a plurality of valve drivers may also be provided. The valve may include a four-way valve, an expansion valve, and a hot gas valve.

압축기(143b)는 유입되는 냉매를 압축하여 토출함으로써, 실외기로부터 실내기로 냉매가 순환되도록 할 수 있다. 압축기(143b)는 저온저압의 기체냉매가 유입되면, 이를 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기체냉매를 토출할 수 있다.The compressor 143b compresses and discharges the incoming refrigerant, thereby allowing the refrigerant to circulate from the outdoor unit to the indoor unit. When the low-temperature low-pressure gas refrigerant flows in, the compressor 143b may compress it to discharge the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gas refrigerant.

압축기 구동부(143a)는 압축기(143b)에 구비되는 모터로 공급되는 동작 전원을 제어하고, 그에 따라 압축기의 운전주파수를 제어한다. 압축기 구동부(143a)는 압축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인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mpressor driving unit 143a controls the operating power supplied to the motor provided in the compressor 143b, and accordingly controls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compressor. The compressor driving unit 143a may include an inverter that controls driving of the compressor.

도 4 내지도 6을 참조하면, 각 유닛은, 무선 통신 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다.4 to 6, each unit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무선 통신 모듈(12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며,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따라 다른 유닛과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20)은 제어기, 실외기, 실내기 간에 지정된 무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수신되는 데이터를 제어부로 인가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supports at least one or mor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and may communicate with other units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 unit 110.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in a designate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a controller, an outdoor unit, and an indoor unit, and apply the received data to the control unit.

무선 통신 모듈(120)은, 유닛 간의 통신을 위한 주소를 설정하고,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변환 및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20)은 유닛의 동작을 시작하면, 무선 통신을 통해 동일한 주파수 대역의 유닛을 탐색하고, 연결을 확인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20)은 초기 동작 시 임시주소를 할당하거나 수신되는 임시주소를 설정하여,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120)은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주소 설정을 수행하는 경우, 제어부(110)로 제품번호를 요청하여 제품번호를 바탕으로 주소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품번호는 유닛의 고유번호, 시리얼번호, 맥어드레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set an address for communication between units, convert data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and process signals. When the operation of the unit starts,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search for units of the same frequency ban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check a connec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communicate by assigning a temporary address during initial operation or setting a received temporary address.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set the address based on the product number by requesting the product number from the control unit 110 when performing address setting in response to a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 unit 110. In this case, the product number may be a unit's unique number, serial number, or Mac address.

제어부(110)는 입력부(150) 및 출력부(160)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제어하고, 저장부(130)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관리하며, 통신부(200)를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연결부(120)를 통한 통신부(200)의 연결상태 및 통신상태를 감지하고, 에러를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10 controls data input and output through the input unit 150 and the output unit 160, manages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and control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00. have. The control unit 110 may detect a connection state and a communication state of the communication unit 200 through the connection unit 120 and determine an error.

제어부(110)는 다른 유닛으로부터의 요청 또는 설정된 운전설정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구동부(140)로 인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구동부(140)는 연결되는 구성, 예를 들어 압축기, 실외기 팬, 밸브, 실내기 팬, 풍향조절수단 등이 각각 동작하도록 한다. The control unit 110 may generate a control command to operate according to a request from another unit or a set operation setting, and apply it to the driving unit 140. Accordingly, the drive unit 140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for example, a compressor, an outdoor unit fan, a valve, an indoor unit fan, a wind direction control means, and the like, respectively.

또한, 제어부(110)는 유닛이 동작중인 상태에서, 센싱부(170)의 복수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동작상태를 판단하고, 이상을 판단하여 에러를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10 may output an error by determining an operation state in response to data input from a plurality of sensors of the sensing unit 170 and determining an abnormality while the unit is operating.

무선 통신 모듈(120)은, 유닛(100) 내부에 구비되거나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통해 유닛(100)과 연결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20)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유닛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송출하고, 수신되는 데이터를 유닛으로 인가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be provided inside the unit 100 or connected to the unit 100 through an interface (not show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receive and transmit data of the unit through an interface, and apply the received data to the unit.

바람직하게는 무선 통신 모듈(120)은 건물 내 벽면, 바닥면, 장애물 등에도 통신 가능하도록 서브 기가(Sub-GHz)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서브 기가 대역의 주파수는 투과 및 회전 특성이 우수하여 벽체나 층간 장애물에 대한 감쇠 영향이 적다. 따라서, 벽체로 구획되는 건물에 다수의 유닛이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통신용으로 사용하기에 효과적이다. Preferab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communicate wirelessly using frequencies in a sub-GHz band to enable communication with walls, floors, and obstacles in a building. The frequency of the sub-giga band has excellent transmission and rotation characteristics, so there is little attenuation effect on obstacles between walls and floors. Therefore, it is effective for use for communication of an air conditioner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units are disposed in a building partitioned by a wall.

한편, 무선 통신 모듈(120)은, 서브 기가 대역 중, 700MHz 대역 내지 900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120)은, 802.15.4g 표준(SUN), 802.11ah 표준(와이파이 해일로(HaLow))에 따라 통신할 수 있다.Meanwhi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use frequencies in a 700 MHz band to 900 MHz band among sub-giga bands.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communicate according to the 802.15.4g standard (SUN) and the 802.11ah standard (WiFi HaLow).

또한, 무선 통신 모듈(120)은 서브 기가 대역 중, 소출력 무선국용으로 활용 가능한 비면허 대역인 400MHz 대역, 900MHz 대역 중 어느 하나의 대역을 사용하여 통신한다. 무선 통신 모듈(120)은 지역 또는 나라에 따라 상이한 규정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400MHZ와 900MHZ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communicates using any one of the 400 MHz band and the 900 MHz band, which are unlicensed bands that can be used for small output radio stations in the sub-giga b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selectively use frequencies in the 400MHZ and 900MHZ bands in response to different regulations according to regions or countries.

무선 통신 모듈(120)은, 층간 통신 및 안테나 길이를 고려하여, 앞서 개시된 주파수 대역 중 900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더욱 바람직하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is more preferable to communicate using a frequency band of 900 MHz among the previously disclosed frequency bands in consideration of interlayer communication and antenna length.

실시예에 따라서는, 무선 통신 모듈(120)은 근거리 통신방식인 지그비, 블루투스, NFC 등의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further include communication modules such as ZigBee, Bluetooth, NFC, which are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s.

무선 통신 모듈(120)은 복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실외기 및 다른 실내기와의 통신, 리모컨과의 통신, 제어기와의 통신 시 각각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통신모듈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20)은, 통신 대상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통신방식을 변경함으로써, 대상에 따라, 각각 상이한 통신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includes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and may communicate through the same or different communication modules during communication with an outdoor unit and other indoor units, communication with a remote controller, and communication with a controller.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can communicate with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s depending on the target by selectively changing the communication method in correspondence with the communication target.

무선 통신 모듈(120)은 실내기와의 통신, 제어기와의 통신에 있어서 상이한 채널을 사용하는 경우, 각각 통신하고자 하는 대상에 따라 채널을 설정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When different channels are used for communication with the indoor unit and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ler,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set and transmit/receive data by setting a channel according to an object to communicate with.

대한민국의 전파법 규정에 따르면, 400MHz 또는 900MHz의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데이터 전송용 특정 소출력무선국용 무선설비를 위해, 424.7MHz 내지 424.95MHz 의 21개 채널, 447.8625MHz 내지 447.9875MHz 11개 채널, 그리고, RFID/USN 등의 무선설비를 위한 917 내지 923.5MHz 32개 채널이 존재하므로, 이러한 채널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ovisions of the Radio Law of the Republic of Korea, for a frequency band of 400MHz or 900MHz, 21 channels of 424.7MHz to 424.95MHz, 11 channels of 447.8625MHz to 447.9875MHz, and RFID Since there are 32 channels of 917 to 923.5 MHz for wireless facilities such as /USN,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using these channels.

국가별 비면허 주파수 대역을 살펴보면, 북미, 남미지역은, 902 내지 928MHz(FCC Part 15.247)이고, 유럽은 433MHz, 915MHz, 863 내지 868MHz(ETSIEN300220), 일본 920 내지 928MHz(ARIB STD-T108), 중국 920MHz, 한국 424 내지 447MHz, 917 내지 923.5MHz(KC), 인도는 865 내지 867MHz(G.S.R 564(E))이고, 호주 433, 915MHZ, 남아프리카 433MHz, 전세계 공통으로 2.4GHz와, 5.725GHz 이 사용 가능하다. Looking at unlicensed frequency bands by country, North America and South America are 902 to 928 MHz (FCC Part 15.247), Europe is 433 MHz, 915 MHz, 863 to 868 MHz (ETSIEN300220), Japan 920 to 928 MHz (ARIB STD-T108), China 920 MHz , Korea 424 to 447MHz, 917 to 923.5MHz (KC), India 865 to 867MHz (GSR 564(E)), Australia 433, 915MHZ, South Africa 433MHz, 2.4GHz and 5.725GHz in common worldwide.

또한, 북미 및 남미지역은, 902 내지 928MHz이고, 유럽은 863 내지 868MHz, 일본 920 내지 928MHz, 한국 917 내지 923.5MHz, 인도는 865 내지 867MHz 전세계 공통으로 2.4GHz와, 5.725GHz을 이용하는 경우 전송속도 50kbps 이상으로 통신이 가능하다.In addition, in North America and South America, 902 to 928 MHz, Europe from 863 to 868 MHz, Japan from 920 to 928 MHz, Korea from 917 to 923.5 MHz, India from 865 to 867 MHz, common worldwide 2.4GHz and 5.725GHz, transmission speed 50kbps With the above, communication is possible.

건물에는 층간 벽, 가구 등의 장애물이 존재하므로, 건물 내의 장애물을 통과하면서 일정거리 이상 신호가 도달할 수 있는 주파수대역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Since there are obstacles such as floor walls and furniture in the building, it is necessary to use a frequency band that can reach a signal over a certain distance while passing through the obstacle in the building.

서브 기가 대역 중, ISM대역(100MHz, 200MHz, 400MHz, 900MHz)의 경우 건물내 투과 특성이 우수하여 층간 통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전송 주파수의 대역에 따라 안테나의 길이가 결정되는데, 100MHz, 200MHz 대역의 경우, 안테나가 상당히 길어지므로 설치에 제약이 발생하게 된다. Among the sub-giga bands, the ISM band (100MHz, 200MHz, 400MHz, 900MHz)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mmunicate between floors due to excellent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in the building. However, the length of the antenna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band of the transmission frequency. In the case of the 100 MHz and 200 MHz bands, since the antenna is significantly long, installation limitations occur.

또한, 400MHz 대역도, 900MHz의 주파수 대역보다 안테나 길이가 길어진다.In addition, the 400MHz band also has a longer antenna length than the 900MHz frequency band.

따라서, 무선 통신 모듈(120)은, 층간 통신 및 안테나 길이를 고려하여, 앞서 개시된 주파수 대역 중 900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communicates using a frequency band of 900 MHz among the previously disclosed frequency bands in consideration of inter-layer communication and antenna length.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복수의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실외기 및 복수의 실내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units. For example, the air conditioner system may include one or more outdoor units and a plurality of indoor units.

또한,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유닛들은 상호 간에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nits included in the air conditioner system can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한편, 실외기가 지하, 옥상, 야외 등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설치 환경을 고려하면, 기존 와이파이(WiFi), 직비(Zigbee) 등의 단거리 무선 통신으로는 유닛 간의 원할한 무선 통신을 구현할 수 없다.On the other hand, considering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of the air conditioner system in which the outdoor unit is disposed in the basement, rooftop, outdoor, etc., it is impossible to implement smooth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units by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Wi-Fi or Zigbee. .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서브 기가(Sub GHz) 대역의 장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가정/빌딩 등 다양한 환경에서 유닛 간의 직접/간접 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air condition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mplement direct/indirect communication between units in various environments such as home/building through long-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in a sub-giga band.

또한,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설치 환경을 고려하면, 통신 품질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장애물에 대한 통신 신뢰성 및 물체, 사람 이동, 건물 구조 변경 등 주변 환경 변화에도 강인한 신뢰성을 갖는 무선 통신 변조기법을 확인하고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In addition, considering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of the air conditioner system, in order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communication quality, it is confirme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ation technique having robust reliability against changes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uch as obstacles and object, person movement, and building structure changes. And apply.

또한, 제한된 무선 주파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한 지역 내에 많은 대수의 유닛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기존 장거리 유선 통신 대비 통신속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efficiently use limited radio frequency resources and install a large number of units in an area,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communication speed compared to the existing long-distance wired communica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저비용으로 더욱 쉽게 설치 가능하고, 장소에 제약 없이 자유롭게 실내에서 모니터링 및 불량진단이 가능하며, 건물 내 벽과 층을 통과할 수 있는 무선통신의 최적 솔루션이 적용된 건물 내 유닛 간 통신을 위한 장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제안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more easily at a low cost, and can be monitored and diagnosed in the room freely without restrictions in place, and between units in a building to which an optimal solu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that can pass through walls and floors in a building is applied. We propose a long-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communication.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복수의 유닛은, 상기 복수의 유닛 간에 서브 기가(Sub GHz) 대역의 주파수로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a plurality of units included in the air condition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that wirelessly communicates between the plurality of units at a frequency in a sub gigahertz (Sub GHz) band. Ca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의 제어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블록도이다. 7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trol configur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모듈(120)은, 안테나(720), 송신부(740), 수신부(730), 프로세서(710), 인터페이스(75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include an antenna 720, a transmitter 740, a receiver 730, a processor 710, and an interface 750.

프로세서(710)는, 무선 통신 모듈(1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71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또한, 프로세서(710)는, 송신부(740)를 제어하여, 안테나(720)를 통하여 소정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710 may control the transmitter 740 to output a predetermined signal through the antenna 720.

또한, 프로세서(710)는, 수신부(730)를 제어하여, 안테나(720)를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710 may control the receiver 730 to process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720.

안테나(720)는 인쇄회로기판(PCB)에 안테나 패턴(pattern)이 형성된 PCB 안테나일 수 있다. PCB 안테나는, 다른 방식보다 설계 자유도가 높고, 그라운드 소스(Groud source)량을 조절하여 방사패턴이 일정한 장점이 있다. The antenna 720 may be a PCB antenna having an antenna pattern form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PCB). The PCB antenna has a higher design freedom than other methods, and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radiation pattern is constant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ground sources.

한편, 송신부(740)는, 소정 신호를 부호화하는 부호화부(741), 및, 상기 부호화부(741)에서 부호화된 신호를 다중반송파를 이용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에 따라 변조하는 변조부(742)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transmitter 740, the encoder 741 for encoding a predetermined signal, an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using the signal encoded by the encoder 741 in multiple carriers A modulator 742 for modulating accordingly may be included.

한편, 안테나(720)는 변조부(742)에서 변조된 신호에 기초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Meanwhile, the antenna 720 may output a signal based on the signal modulated by the modulator 742.

소정 신호는 이진 신호로서 부호화부(741)로 입력된다. 상기 부호화부(741)는 입력 신호를 부호화하여 부호화된 데이터 열들을 출력할 수 있다. The predetermined signal is input to the encoder 741 as a binary signal. The encoder 741 may encode input signals and output encoded data streams.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OFDM)은, 다중 반송파 변조(Multi Carrier Modulation) 방식으로, 고속의 데이터 전송에 유리하고 다중 경로(multi path) 손실에도 강인한 장점이 있다.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is a multi-carrier modulation (Multi Carrier Modulation) method, which is advantageous for high-speed data transmission and has a strong advantage in multi-path loss.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OFDM)은, 고속의 송신 신호를 수백개 이상의 직교(Orthogonal)하는 협대역 부 반송파(Subcarrier)로 변조시켜 다중화하는 방식이다.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is a method of multiplexing a high-speed transmission signal by modulating it with hundreds or more of orthogonal narrow-band subcarriers.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OFDM)은, 변조 및 다중화를 같이 수행하는 전송 기법으로, 단일 입력의 고속의 원천 데이터 열을, 다중의 반송파에 분할하여 실어 전송한다는 측면에서 다중 반송파 변조 기술이며, 다중의 채널로 동시에 전송한다는 측면에서 다중화 기술이다.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is a transmission technique that performs modulation and multiplexing together, and is a multi-carrier modulation technique in terms of dividing and transmitting a high-speed source data stream of a single input onto multiple carriers. This is a multiplexing technique in terms of simultaneous transmission on a channel.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OFDM)은, 고속 전송률을 가지는 데이터 열(data stream)을 낮은 전송률을 가지는 많은 수의 데이터 열로 나누고, 이들을 다수의 반송파를 사용하여 동시에 전송하는 것이다. The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method divides a data stream having a high data rate into a large number of data streams having a low data rate, and transmits them simultaneously using multiple carriers.

상기 다수의 반송파 사이에 직교성(orthogonality)이 존재하기 때문에, 반송파의 주파수 성분은 상호 중첩되어도 수신단에서의 검출이 가능하다. Since orthogonality exists between the multiple carriers, the frequency components of the carriers can be detected at the receiving end even if they overlap each other.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OFDM)은, 산란 반사파에 취약한 고속 데이터를 반사파에 강한 저속 데이터들로 병렬 전송하는 구조로, 각각의 부 반송파들을 선택적 스케쥴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is a structure in which high-speed data, which is vulnerable to scattered reflected waves, is transmitted in parallel with low-speed data that is strong against reflected waves, and has the advantage of selectively scheduling each subcarrier.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송신부(740)는, 상기 변조된 신호를 다중화하는 다중화부(7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송신부(740)는, 상기 다중화된 신호를 병렬 신호로 변환하는 직병렬 변환부(Serial to Parallel converter,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송신부(740)는 다중화부(743)와 직병렬 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ransmitter 740 may further include a multiplexer 743 for multiplexing the modulated signal. Alternatively, the transmitter 740 may further include a serial to parallel converter (not shown) that converts the multiplexed signal into a parallel signal. Alternatively, the transmitter 740 may further include a multiplexer 743 and a serial/parallel converter.

직병렬 변환부는, 직렬로 입력되는 심벌(Symbol) 열을 병렬로 변환할 수 있다.The serial-to-parallel conversion unit may convert the symbol strings input in series in parallel.

예를 들어, 고속 전송률을 가지는 데이터 열은, 직병렬 변환부를 통해 다수의 낮은 전송률의 데이터 열로 변환되고, 상기 병렬로 변환된 다수의 데이터 열은 상호 직교성을 가지는 부 반송파에 실어져서 전송될 수 있다. For example, a data sequence having a high-speed transmission rate is converted into a plurality of low-transfer-rate data streams through a serial-to-parallel converter, and the plurality of data strings converted in parallel can be transmitted on a subcarrier having orthogonality to each other. .

송신부(740)는, 송신 신호 처리부(7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신호 처리부(745)는 OFDM 변조된 신호를 주파수 천이를 통해 부 반송파에 실어, 안테나(720)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The transmission unit 740 may further include a transmission signal processing unit 745. The transmission signal processing unit 745 may load the OFDM modulated signal on a subcarrier through frequency shift and transmit it through the antenna 720.

한편, 수신부(730)는, 상기 안테나(72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상기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으로 복조하는 복조부(733), 및, 상기 복조부(733)에서 복조된 신호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부(734)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ceiver 730, a demodulator 733 for demodulating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antenna 720 in the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method, and a demodulator for decoding the demodulated signal in the demodulator 733 734.

수신부(730)는, 수신 신호 처리부(7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신호 처리부(731)는 안테나(720)로부터 전달받은 반송파를 주파수 천이하여 다수의 특성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The reception unit 730 may further include a reception signal processing unit 731. The reception signal processing unit 731 may frequency-shift the carrier wave received from the antenna 720 to extract a plurality of characteristic information.

실시예에 따라서, 수신부(730)는, 병직렬 변환부(Parallel to Serial converter,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병직렬 변환부에서 변환된 병렬 신호는 상기 복조부(733)로 전달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eceiving unit 730 may further include a parallel to serial converter (not shown), and the parallel signals converted by the parallel to serial converter may be transmitted to the demodulator 733. Can.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송신부(740)는, 상기 변조된 신호를 역 고속 푸리에 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하는 역 고속 푸리에 변환부(744)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수신부(730)는, 상기 안테나(72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하는 푸리에 변환부(7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ransmitter 740 may further include an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744) to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the modulated signal, and the receiver 730 ) May further include a Fourier transform unit 732 that performs a Fast Fourier Transform (FFT) on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antenna 720.

변조 후, 역 고속 푸리에 변환된 신호는 안테나(720)를 통하여 송신될 수 있고, 안테나(720)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는 고속 푸리에 변환된 후에 복조될 수 있다. After modulation, the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ed signal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antenna 720, and 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720 may be demodulated after the fast Fourier transform.

이에 따라, 변조부(742)와 복조부(733)의 효율적인 디지털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주파수 선택적 감쇄(frequency-selective fading)현상을 보이는 채널에 대해서 주파수 영역에서 신호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채널을 단순히 평탄 감쇄(flat-fading)로 변환하여 신호처리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ly, an efficient digital implementation of the modulator 742 and the demodulator 733 is possible. In addition, by performing signal processing in the frequency domain for a channel showing a frequency-selective fading phenomenon, the channel can be simply converted to flat-fading to facilitate signal processing.

실시예에 따라서는, 무선 통신 모듈(120)은, 안테나(720)와 송신부(740) 또는 수신부(730) 간을 연결하는 스위칭 소자인 듀플렉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듀플렉서는, 방식에 따라 시간 또는 주파수를 분리하는 소자로, 안테나(720)를 송신부(740) 측에 연결시키거나, 수신부(730) 측에 연결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further include a duplexer (not shown) that is a switching element connecting the antenna 720 and the transmitter 740 or the receiver 730. The duplexer is an element that separates time or frequency according to a method, and may connect the antenna 720 to the transmitter 740 side or the receiver 730 sid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120)은, 주파수는 Sub 1GHz 주파수 중 통신속도가 기존 유선 통신(9.6kbps)보다 빠르고, 장거리(Open space 1km) 통신이 가능한 주파수인 700Mhz 내지 900Mhz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equency of the sub 1GHz frequency, the communication speed is faster than the existing wired communication (9.6kbps), a long-distance (Open space 1km) communication frequency is 700Mhz to It can communicate using signals in the 900Mhz frequency band.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120)은, 층간 통신 및 안테나 길이를 고려하여, 900Mhz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mmunicate using signals in the 900Mhz frequency band in consideration of interlayer communication and antenna length.

안테나(720)는 전송 주파수에 따라 그 길이가 설정되고, 길이는 설치환경을 고려하여 설정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천장형 실내기의 경우, 안테나의 길이가 너무 긴 경우, 천장의 내부 공간의 크기에 따라 설치 가능 여부가 좌우될 수 있다. The length of the antenna 720 is set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frequency, and the length needs to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ceiling-type indoor unit, if the length of the antenna is too long, whether or not it can be installed may depend on the size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ceiling.

안테나(720)는, 전송 주파수가 작을수록 안테나 길이가 길어지므로,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 중, 안테나의 길이를 고려하여 주파수가 설정되어야 한다. The antenna 720, the smaller the transmission frequency, the longer the antenna length. Therefore, among the usable frequency bands, the frequency must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length of the antenna.

바람직하게는 안테나 길이는 전송 주파수의 λ/2 또는 λ/4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 주파수가 447MHz인 경우, 파장이 0.67m이므로, λ/2를 연산하면, 안테나의 길이는 34cm, λ/4의 경우 17cm가 된다. 900MHz 대역의 경우, 안테나 길이는 λ/2의 경우 약 17cm, λ/4의 경우 약 8.5cm가 될 수 있다. 전송 주파수가 2.4GHZ인 경우, 파장은 0.12m이므로, 안테나의 길이는 λ/2의 경우 0.06m, λ/4의 경우 0.03m가 된다. Preferably, the antenna length may be λ/2 or λ/4 of the transmission frequency. For example, when the transmission frequency is 447 MHz, since the wavelength is 0.67 m, when λ/2 is calculated, the length of the antenna is 34 cm and in the case of λ/4, it is 17 cm. In the 900 MHz band, the antenna length may be about 17 cm for λ/2 and about 8.5 cm for λ/4. If the transmission frequency is 2.4GHZ, the wavelength is 0.12m, so the length of the antenna is 0.06m for λ/2 and 0.03m for λ/4.

안테나의 길이를 고려할 때, 2.4GHz 대역의 신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겠으나, 건물 내 무선 네트워크를 위해 2.4GHz ISM 대역을 이용한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기술의 경우, 2.4GHZ 대역의 전파는 바닥, 창문, 벽, 파티션 등 장애물들에 의해 반사 또는 회절되는 경향이 강하고, 건물 내 도달 거리의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When considering the length of the antenna, it is preferable to use a signal in the 2.4 GHz band, but in the case of Wi-Fi or Bluetooth technology using the 2.4 GHz ISM band for a wireless network in a building, the radio waves in the 2.4 GHz band are used for floors, windows, wall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endency to be reflected or diffracted by obstacles such as partitions is strong, and there is a limit to the reach distance in the building.

또한, 2.4GHz 대역은 별도의 주파수 사용 허가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려는 무선기기가 증가하고 있어, 기기 간의 간섭이 문제가 되고 있는 상황이다. In addition, since the 2.4 GHz band does not require a separate frequency use permit, the number of wireless devices to use it is increasing, and interference between devices is a problem.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120)은, 900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안테나(720)의 길이는, 900MHz 대역 전송 주파수의 λ/2 또는 λ/4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equency of the 900MHz band, the length of the antenna 720,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λ/2 or λ/4 of the transmission frequency of the 900MHz band Do.

실시예에 따라서, 안테나(720)는, 유닛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안테나(720)는 돌출되거나 외부에 부착되지 않고, 실외기, 실내기의 본체 케이스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ntenna 72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unit. For example, the antenna 720 may not be protruded or attached to the outside, and may be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case of the outdoor unit or the indoor unit.

특히, 실내기 유닛에 포함되는 안테나는 실내기의 본체 케이스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되거나 외부에 부착된 안테나가 실내 인테리어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고, 심미감을 높일 수 있다.In particular, the antenna included in the indoor unit may be disposed inside the body case of the indoor unit. Accordingly, the protruding or externally attached antenna can be prevented from negatively affecting the interior of the room, and the aesthetic sense can be increased.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복수의 유닛이 상호 무선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유닛은, 적어도 2이상의 층에 분산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외기는 건물 옥상에 배치되고, 실내기는 건물 내부의 임의의 층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실내기들도 여러 층에 분산 배치될 수 있다. In the air conditioner system, a plurality of units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by mutual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units may be dispersedly disposed in at least two or more layers. For example, the outdoor unit may be placed on the roof of the building, and the indoor unit may be placed on any floor inside the building. Also, a plurality of indoor units may be distributedly disposed on multiple floors.

이에 따라, 복수의 유닛은 단일 층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층에 각각 설치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건물 내에는 층간 구조물, 벽, 가구 등의 장애물이 존재하므로, 건물 내의 장애물을 통과하면서 일정거리 이상 신호가 도달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Accordingly, a plurality of units are not installed on a single layer, but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a plurality of layers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Since there are obstacles such as interlayer structures, walls, and furniture in the building, it is necessary to use a frequency band that can reach a signal over a certain distance while passing through the obstacle in the building.

안테나(720)는 서브기가 대역의 700MHz 대역 내지 900MHz 대역 중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안테나는 그 형태가 변경될 수 있다. The antenna 720 may be selectively used according to a frequency band used among 700 MHz to 900 MHz of the sub-giga band. The shape of the antenna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band used.

안테나(720)는, 송신부(74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공기 중으로 송출하고, 공기 중의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부(730)로 인가할 수 있다. The antenna 720 may transmit a signal output from the transmitter 740 into the air, receive a signal of a designated frequency band in the air, and apply the signal to the receiver 730.

송신부(740)와 수신부(730)는, 프로세서(710)의 제어명령에 따라 송출하고자 하는 신호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송신부(7405)는 출력임피던스, 즉 안테나(720)의 임피던스가 설정값을 갖도록 제어함으로써 신호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송신부(740)와 수신부(730)는, 안테나(720)를 통해 송출 및 수신할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맞춰 임피던스를 조절할 수 있다. 임피던스 매칭은 가장 널리 알려진 50Ω 매칭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The transmitter 740 and the receiver 730 may control the output of a signal to be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of the processor 710. The transmitter 7405 can control the output of the signal by controlling the output impedance, that is, the impedance of the antenna 720 to have a set value. The transmitter 740 and the receiver 730 may adjust impedance according to a frequency band of a signal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720. For impedance matching, the most popular 50Ω matching method can be used.

실시예에 따라서, 안테나(720)는, 다중 입출력(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안테나일 수 있고, 각각의 안테나를 통해 데이터를 병렬로 전송함으로써 전송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ntenna 720 may be a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antenna, and may increase transmission capacity by transmitting data in parallel through each antenna.

송신부(740)와 수신부(730)는, MIMO를 지원하는 통신모듈로, 연결되는 복수의 안테나를 통해 다중의 입출력이 가능하다. 송신부(740)는 복수의 안테나를 통해 데이터를 여러 경로로 전송하고, 수신부(730)에서 각각의 경로로 수신된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The transmitter 740 and the receiver 730 are communication modules supporting MIMO, and multiple inputs and outputs are possible through a plurality of connected antennas. The transmitter 740 may transmit data through a plurality of antennas through multiple paths, and the receiver 730 may detect signals received through each path.

MIMO는 공간 다중화, 공간 다이버시티(space diversity), 빔포밍(beam forming)이 가능한 안테나 시스템이다.MIMO is an antenna system capable of spatial multiplexing, space diversity, and beam forming.

공간 다중화는 다수의 송신안테나를 통해 여러 개의 정보를 전송하여 전송속도를 향상시키는 기술이고, 공간 다이버시티(space diversity)는, 다수의 송신 안테나로 동일한 정보를 여러번 전송하여 오류를 제어하는 기술이며, 빔포밍은 원하는 방향으로 전파를 송출하여 간섭을 감소시키는 기술이다. Spatial multiplexing is a technique for improving transmission speed by transmitting multiple pieces of information through multiple transmitting antennas, and space diversity is a technique for controlling errors by transmitting the same information multiple times through multiple transmitting antennas. Beamforming is a technique that reduces interference by transmitting radio waves in a desired direction.

무선 통신 모듈(120)는, MIMO를 통해,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고 수신함에 따라 건물 등에 분산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유닛 간에 상호 통신하게 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through MIMO, may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using a plurality of antennas to allow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a plurality of units distributed in a building or the like.

프로세서(710)는, 인터페이스(750)를 통해 인가된 유닛(100)의 데이터가 설정된 출력으로,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송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710)는, 안테나(720)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유닛으로 인가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710)는 사용되는 통신방식에 따라 데이터가 지정된 형태로 변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processor 710 may control the data of the unit 100 applied through the interface 750 to be transmitted as a signal of a designated frequency band as a set output. Further, the processor 710 may process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720 and apply it to the unit. Also, the processor 710 may control data to be converted into a designated form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method used.

인터페이스(750)는 유닛(100)과 통신부(120)를 연결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120)은 인터페이스(750)를 통하여, 유닛(100)의 제어부(110)와 연결될 수 있고, 무선 통신 모듈(12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The interface 750 connects the unit 100 and the communication unit 120.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10 of the unit 100 through the interface 75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operat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0. have.

종래의, 유선 통신의 경우, 복수의 유닛의 일대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통신선의 연결상태에 따라 복수의 유닛이 계층적으로 연결된다. In the case of conventional wired communication, a plurality of units are hierarchically connected according to a connection state of a communication line, rather than being connected one to one of a plurality of units.

그에 따라, 실내기의 데이터가 제어기 또는 원격제어장치로 직접적으로 전송되지 못하므로 데이터 전송에 시간 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Accordingly, since the data of the indoor unit is not directly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or the remote control device, a time delay occurs in data transmission.

또한, 실외기의 처리 부하가 증가하고, 연결된 실내기의 수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한계가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ing load of the outdoor unit increases, and there is a limitation that it takes a lot of time to transmit data according to the number of connected indoor units.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유닛들은, 상호 간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units included in the air condition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유닛들은, 서브 기가 대역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상호 간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Preferably, the units included in the air condition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using a frequency band of a sub-giga band.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유닛들은, 서브 기가 대역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상호 간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모듈(120)을 포함하고, 무선 통신 모듈(120)은, 방사 패턴 관리가 용이하고, 게인(gain) 확보에 유리한 PCB 안테나를 포함하고, 다채널에서 채널 간 간섭이 적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변조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units included in the air condition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using a frequency band of a sub-giga band, wireless The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use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modulation scheme that is easy to manage radiation patterns, includes a PCB antenna advantageous for securing gain, and has less inter-channel interference in multiple channels.

종래 2.4Ghz, 5Ghz 대역은 약 30m 이내의 실내 단거리용으로, 두꺼운 벽을 통과하지 못하거나 얇은 벽이라도 신호 세기가 급격히 저하하는 단점이 있었다. The conventional 2.4Ghz and 5Ghz bands are for indoor short distances within about 30m, an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signal strength rapidly decreases even though a thin wall cannot pass or a thin wall.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기가 대역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유선 통신 속도 약 9.6 Kbps 대비, 약 150 Kbps 로서 15배 이상 빠른 속도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층간 장애물이 존재해도 통신이 가능하다.Howe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the frequency band of the sub-giga band, it is possible to perform communication at a speed 15 times faster than the wired communication speed of about 9.6 Kbps and about 150 Kbps. , Communication is possible even if there is an obstacle between floors.

또한, 통신선 및 통신선을 연결하는 작업 과정을 제거할 수 있어, 설치비 및 설치 시간이 줄어, 전체 비용의 절감이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communication line and the communication line, reducing the installation cost and installation tim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verall cost.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이다.8 is a simplified internal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200)는, 무선 통신부(210), A/V(Audio/Video) 입력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싱부(240), 출력부(250), 메모리(260), 인터페이스부(270), 제어부(280), 및 전원 공급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mobile terminal 2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an audio/video (A/V) input unit 220, a user input unit 230, a sensing unit 240, and an output unit 250, It may include a memory 260, an interface unit 270, a control unit 280, and a power supply unit 290.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는, 복수의 전자 기기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300)은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하거나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榻? 무선 통신 모듈(120)과 동일한 내부 구성을 가질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0 in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0 i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7 or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10?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have the same internal configuration.

실시예에 따라서, 무선 통신 모듈(300)은 무선 통신부(210)의 일 블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0 may be configured as a block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공기조화기 시스템 내의 각 유닛(100)과 서브 기가 대역으로 무선 통신하는 경우에, 서브 기가 대역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300)을 이용할 수 있다. 모든 범용의 이동 단말기(200)가 서브 기가 대역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300)을 내장한 체 출시되는 것은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으므로, 전용 무선 통신 모듈(300)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wireless communication is performed in the sub-giga band with each unit 100 in the air conditioner system,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0 supporting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sub-giga band may be used. Since it is difficult to release all general-purpose mobile terminals 200 with a built-in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0 supporting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sub-giga band, it is preferable to connect and use the dedicate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0. Do.

이 경우에, 무선 통신 모듈(300)은 인터페이스부(270)를 통하여 연결되거나, 무선 통신부(210)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0 may be connect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270 or may be connect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한편, 무선 통신부(210)는, 방송수신 모듈(211), 이동통신 모듈(213), 무선 인터넷 모듈(215), 근거리 통신 모듈(217), 및 GPS 모듈(2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ption module 2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213, a wireless Internet module 215,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217, and a GPS module 219.

방송수신 모듈(2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211 may receive at least one of a broadcast signal and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At this time,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 terrestrial channel, and the like.

방송수신 모듈(2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2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and/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21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260.

이동통신 모듈(2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213 transmits and receives wireless signals to and from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Here,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transmission/reception of text/multimedia messages.

무선 인터넷 모듈(2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215)은 이동 단말기(2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인터넷 모듈(215)은, 와이파이(WiFi) 기반의 무선 통신 또는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기반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215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215 may be built in or external to the mobile terminal 200. For example,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215 may perform Wi-Fi-based wireless communication or Wi-Fi Direct-based wireless communication.

근거리 통신 모듈(217)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217 is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by using at least one of Wi-Fi (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technology, it can support short-range communication.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217)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200)와 다른 이동 단말기(2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200)와 다른 이동 단말기,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217 may be provided between the mobile terminal 2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 mobile terminal 200 and another mobile terminal 200 through the wireless area networks, or the mobile terminal 200. ) And other mobile terminals, or a network where an external server is located, may support wireless communication.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2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The Global Position System (GPS) module 219 may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GPS satellites.

한편, 무선 통신부(210)는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서버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Meanwhi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may exchange data with a server using one or more communication modules.

무선 통신부(210)는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205)를 포함할 수 있고,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may include an antenna 205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may include an antenna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in addition to an antenna for calls.

A/V(Audio/Video) 입력부(2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221)와 마이크(2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A/V (Audio/Video) input unit 2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which may include a camera 221 and a microphone 223.

사용자 입력부(2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이를 위해,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디스플레이부(2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230 generates key input data input by the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o this end, the user input unit 230 may be configured with a key pad, a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pressure/blackout), and the like. In particular, when the touch pad forms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the display unit 251, it may be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센싱부(240)는 이동 단말기(2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2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The sensing unit 240 detects the current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200, such as the open/closed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200,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or the presence or absence of user contact,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Sensing signals can be generated.

센싱부(240)는, 감지 센서(241), 압력 센서(243), 및 모션 센서(2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센서(245)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중력 센서 등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200)의 움직임이나 위치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특히,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각도)을 감지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240 may include a sensing sensor 241, a pressure sensor 243, a motion sensor 245, and the like. The motion sensor 245 may detect the movement or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using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 sensor, a gravity sensor, or the like. In particular, the gyro sensor is a sensor that measures angular velocity, and can detect a direction (angle) that has been turned relative to a reference direction.

출력부(250)는 디스플레이부(251), 음향출력 모듈(253), 알람부(255), 및 햅틱(haptic) 모듈(257)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250 may include a display unit 251, an audio output module 253, an alarm unit 255, and a haptic module 257.

디스플레이부(251)는 이동 단말기(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The display unit 251 displays and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200.

한편, 디스플레이부(2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display unit 251 and the touch pad ar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in a mutual layer structure, the display unit 251 may be used as an input device capable of inputting information by a user's touch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음향출력 모듈(253)은 무선 통신부(2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2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2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module 253 outputs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or stored in the memory 260. The sound output module 253 may include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알람부(255)는 이동 단말기(2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The alarm unit 255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in the mobile terminal 200. For example, a signal may be output in the form of vibration. .

햅틱 모듈(2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2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The haptic module 257 generates various tactile effects that the user can feel. A typical example of the tactile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257 is a vibration effect.

메모리(260)는 제어부(2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memory 26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80, and provide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or output data (eg,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a video, etc.). You can also do

인터페이스부(270)는 이동 단말기(2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부(2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2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이동 단말기(2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270 serves as an interface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200. The interface unit 270 may receive data from the external device or receive power and transmit it to each component inside the mobile terminal 200, and allow data inside the mobile terminal 200 to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

제어부(2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이동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2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281)은 제어부(2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2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28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by general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part.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perform related control and processing for voice calls, data communications, video calls, and the like. Also, the controller 280 may include a multimedia playback module 281 for multimedia playback. The multimedia playback module 281 may be configured with hardware in the control unit 280, or may be configured with software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280.

전원 공급부(290)는, 제어부(2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29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80 and supplies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한편, 도 8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2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이동 단말기(2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lock diagram of the mobile terminal 200 shown in Figure 8 is a block diagram fo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of the block diagram may be integrated, added, or omitted depending on the specifi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that is actually implemented.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That is, two or more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components as necessary. In addition, the function performed in each block i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ific operation or device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9 is a view referred to in the description of the air condition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실내기(20), 실외기(10), 리모컨(60), 무선 센서(80), 및, 이동 단말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the air condition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door unit 20, an outdoor unit 10, a remote controller 60, a wireless sensor 80, and a mobile terminal 200 Can be.

또한,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제어기, 환기장치, 제상장치, 가습장치, 히터, 와 같은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unit such as a controller, a ventilation device, a defrosting device, a humidifying device, and a heater.

리모컨(60)은 실내기(20) 또는 실외기(1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60 may be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20 or the outdoor unit 10 by wire and transmit a control signal, but more preferably, it may communicate wirelessly.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이동 단말기(200) 및 제어기(도 1의 50 참조)는 실내기(20), 실외기(10) 등 유닛들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각 유닛들을 제어할 수 있다.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the mobile terminal 200 and the controller (see 50 in FIG. 1) are wirelessly connected to units such as the indoor unit 20 and the outdoor unit 10 to control each unit. have.

실내기(20)와 실외기(10)는, 이동 단말기(200) 또는 제어기(50)로부터 데이터 정보를 요청받은 경우, 요청받은 데이터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실내기(20)와 실외기(10)는 이동 단말기(200) 또는 제어기(50)의 요청의 내용에 따라서, 송신하는 데이터 정보의 내용을 달리하여 전송할 수 있다. The indoor unit 20 and the outdoor unit 10 may transmit the requested data information when data information is requested from the mobile terminal 200 or the controller 50. The indoor unit 20 and the outdoor unit 10 may transmit different content of data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request of the mobile terminal 200 or the controller 50.

실내기(20)와 실외기(10)는 이동 단말기(200) 및 제어기(5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실내기(20)와 실외기(10)는 이동 단말기(200) 또는 제어기(5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신호를 수신완료했음을 이동 단말기(200) 또는 제어기(50)에 보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이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이 채택하는 통신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indoor unit 20 and the outdoor unit 10 receive control signals from the mobile terminal 200 and the controller 50. When the indoor unit 20 and the outdoor unit 10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the mobile terminal 200 or the controller 50, it may report to the mobile terminal 200 or the controller 50 that the control signal is successfully received.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communication method adopted by the air conditioner system.

실내기(20)와 실외기(10)는 제어신호를 수신한 경우, 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실내기(20)와 실외기(10)는 이동 단말기(200) 또는 제어기(50)로부터 운전상태를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하는 저장주기 또는 저장기간을 수신할 수 있다. 실내기(20)와 실외기(10)는 주기적 또는 오류가 발생한 경우, 데이터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When the indoor unit 20 and the outdoor unit 10 receive a control signal, they may perform an operation corresponding thereto. The indoor unit 20 and the outdoor unit 10 may receive a storage period or a storage period for storing a data signal including a driving state from the mobile terminal 200 or the controller 50. The indoor unit 20 and the outdoor unit 10 may store data information when a periodic or error occurs.

실내기(20)와 실외기(10)는 오류가 발생한 경우, 최근에 저장한 데이터 정보의 저장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실내기(20)와 실외기(10)는 데이터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기(20)와 실외기(10)는 주기적으로 데이터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오류가 발생한 경우, 최근에 저장한 데이터 정보를 다른 정보와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The indoor unit 20 and the outdoor unit 10 may extend the storage period of recently stored data information when an error occurs. The indoor unit 20 and the outdoor unit 10 may include a storage medium that stores data information. For example, the indoor unit 20 and the outdoor unit 10 may periodically store data information, and when an error occurs, the recently stored data information may be stored separately from other inform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데이터 정보는 실내기(20) 또는 실외기(10)의 동작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정보는 공기온도, 응축온도, 증발온도, 토출온도, 열교환기 온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실내기(20) 또는 실외기(10)의 동작에 관련되는 광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information may include an operating state of the indoor unit 20 or the outdoor unit 10. For example, the data information may include air temperature, condensation temperature, evaporation temperature, discharge temperature, heat exchanger temperature,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broadly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20 or the outdoor unit 10. Information may be included.

실내기(20) 또는 실외기(10)는 운전상태를 포함하는 데이터 정보를 이동 단말기(200) 또는 제어기(50)에 송신할 수 있다. 실내기(20) 또는 실외기(10)는 온/오프 여부 또는 운전상태가 변화되는 경우, 또는 오류가 발생한 경우, 이를 이동 단말기(200) 또는 제어기(50)에 송신할 수 있다. 실내기(20) 또는 실외기(10)는 이벤트 발생시 또는 일정한 주기에 따라서 이동 단말기(200) 또는 제어기(50)와 통신할 수 있다.The indoor unit 20 or the outdoor unit 10 may transmit data information including a driving state to the mobile terminal 200 or the controller 50. The indoor unit 20 or the outdoor unit 10 may transmit it to the mobile terminal 200 or the controller 50 when the on/off or the driving state changes, or when an error occurs. The indoor unit 20 or the outdoor unit 10 may communicate with the mobile terminal 200 or the controller 50 when an event occurs or according to a certain period.

이동 단말기(200) 또는 제어기(50)는 각 유닛에 대한 고장 진단이 가능한 상세 사이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200 or the controller 50 may receive detailed cycle data capable of diagnosing a failure for each unit in real time and display it on the screen.

이동 단말기(200) 또는 제어기(50)는 데이터 정보를 수치 등의 문자로 표시하는 경우, 실내기(20)의 데이터 정보, 실외기(10)의 데이터 정보, 실내기(20)와 실외기(10) 등을 연결하는 배관의 밸브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mobile terminal 200 or the controller 50 displays data information by characters such as numerical values, the data information of the indoor unit 20, the data information of the outdoor unit 10, the indoor unit 20 and the outdoor unit 10, etc.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valve information of the pipe to be connected.

실시예에 따라서는, 이동 단말기(200) 또는 제어기(50)는 상기 밸브정보를 표시하는 경우, 밸브의 열림 또는 닫힘을 색상 또는 그림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200) 또는 제어기(50)는 밸브가 열린 경우 파란색, 밸브가 닫힌 경우 회색으로 표시하거나, 밸브의 열림 또는 닫힘의 형태를 그림으로 표시할 수 있으나, 그 색상 또는 그림의 종류에 한정하지는 아니한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when the mobile terminal 200 or the controller 50 displays the valve information,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valve may be displayed in color or picture.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200 or the controller 50 may display blue when the valve is open, gray when the valve is closed, or open or close the valve as a picture, but the color or picture It is not limited to the kind.

이동 단말기(200) 또는 제어기(50)가 데이터 정보를 시계열적인 영상으로 표시하는 경우, 표시하고자 하는 실외기(10) 또는 실내기(20)를 선택할 수 있다. When the mobile terminal 200 or the controller 50 displays data information as a time series image, the outdoor unit 10 or the indoor unit 20 to be displayed can be selected.

이동 단말기(200) 또는 제어기(50)는 복수의 실외기(10) 중 표시하고자 하는 실외기(10)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실외기(10)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실내기(20) 중 확인할 실내기(20)를 선택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200 or the controller 50 selects the indoor unit 20 to be checked among one or more indoor units 20 connected to the selected outdoor unit 10 when selecting the outdoor unit 10 to be displayed among the plurality of outdoor units 10. You can choose.

실외기(10) 및 실내기(20)를 선택한 경우, 이동 단말기(200) 또는 제어기(50)는 선택된 실내기(20)의 운전상태 및 선택된 실외기(10)와 선택된 실내기(20)의 연결상태를 포함하는 데이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연결상태는 배관의 연결상태, 배관 내부의 흐름, 밸브의 온오프(on/off)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아니한다.When the outdoor unit 10 and the indoor unit 20 are selected, the mobile terminal 200 or the controller 50 includes a driving status of the selected indoor unit 20 and a connection status between the selected outdoor unit 10 and the selected indoor unit 20. Data information can be received. The connection state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the connection state of the pipe, the flow inside the pipe, and on/off of the valve.

이동 단말기(200) 또는 제어기(50)는 선택된 실외기(10) 및 실내기(20)의 동작상태를 그림의 변화 또는 색상의 변화 등으로 시계열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 또는 제어기(50)는 선택된 실외기(10)와 실내기(20)를 연결하는 배관상태 또는 밸브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200 or the controller 50 may display the operation states of the selected outdoor unit 10 and indoor unit 20 in time series, such as a change in picture or a change in color. The mobile terminal 200 or the controller 50 may display a pipe state or a valve state connecting the selected outdoor unit 10 and the indoor unit 20.

이동 단말기(200) 또는 제어기(50)는 실시간으로 실내기(20) 또는 실외기(10)의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 또는 제어기(50)는 실시간으로 실내기(20) 또는 실외기(10)의 동작상태를 확인하는 경우, 실시간으로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200 or the controller 50 can check the operation status of the indoor unit 20 or the outdoor unit 10 in real time. When checking the operating status of the indoor unit 20 or the outdoor unit 10 in real time, the mobile terminal 200 or the controller 50 may receive data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display the received data information.

무선 센서(80)는, 공기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공기 상태에 대응하는 공기 상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The wireless sensor 80 may detect the air condition and transmit air condi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air condition.

공기 상태는, 온도, 습도, 기압, 먼지의 양, 이산화탄소의 양, 및 산소의 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센서(80)는, 온도, 습도, 기압, 먼지의 양, 이산화탄소의 양, 및 산소의 양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 may be a concept including at least one of temperature, humidity, air pressure, amount of dust, amount of carbon dioxide, and amount of oxygen. Accordingly, the wireless sensor 80 can measure at least one of temperature, humidity, air pressure, amount of dust, amount of carbon dioxide, and amount of oxygen.

공기 상태 데이터는, 온도, 습도, 기압, 먼지의 양, 이산화탄소의 양, 및 산소의 양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 data may include data for at least one of temperature, humidity, air pressure, amount of dust, amount of carbon dioxide, and amount of oxygen.

무선 센서(80)는, 공기 상태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브로드캐스트 방식은, 수신 대상을 특정하지 않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일 수 있다. 무선 센서(80)는, 수신 대상을 특정하지 않고 공기 상태 데이터를 특정 통신망에 전송함으로써, 데이터의 수신 대상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에너지, 동작, 및 부품을 절약할 수 있다. The wireless sensor 80 may transmit air condition data in a broadcast method. The broadcast method may be a method of transmitting data without specifying a reception target. The wireless sensor 80 can save energy, operation, and components required to set the data receiving target by transmitting air condition data to a specific communication network without specifying the receiving target.

무선 센서(80)가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는 공기 상태 데이터는, 실외기(100) 또는 실내기(200)로 전달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 data broadcast by the wireless sensor 80 may be transmitted to the outdoor unit 100 or the indoor unit 200.

또한, 무선 센서(80)가 브로드캐스팅하는 공기 상태 데이터는, 제어기(50) 또는 이동 단말기(200)로 전달될 수 있다.Also, the air condition data broadcast by the wireless sensor 80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50 or the mobile terminal 200.

실시예에 따라서, 무선 센서(80)도 상술한 무선 통신 모듈(120)을 동일하게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wireless sensor 80 may also includ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described above.

무선 센서(80)는, 무선 통신 모듈(120)을 을 포함하여, 복수의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유닛으로 센싱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The wireless sensor 80 may transmit sensing data to at least one unit of a plurality of units, includ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또는, 상기 복수의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유닛으로 센싱 데이터를 송신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센서(80)는, 소정 신호를 부호화하는 부호화부, 상기 부호화부에서 부호화된 신호를 다중반송파를 이용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에 따라 변조하는 변조부, 인쇄회로기판(PCB)에 안테나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변조된 신호에 기초한 신호를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Alternatively, at least one wireless sensor 80 that transmits sensing data to at least one unit of the plurality of units includes: an encoding unit for encoding a predetermined signal,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 signals encoded by the encoding unit using multiple carriers A modulator for modulating according to a method, an antenna pattern is form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PCB), and may include one or more antennas for outputting a signal based on the modulated signal.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센서(80)는, 무선 통신 모듈(120)에서 수신부(73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센싱 데이터의 송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at is, the wireless sensor 8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the transmission function of sensing data by including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receiver 730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실내기(20) 또는 실외기(10)는, 수신되는 공기 상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합한 공기 조화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The indoor unit 20 or the outdoor unit 10 may perform suitable air conditioning operation based on the received air condition data.

실내기(20) 또는 실외기(10)는, 제어기(50) 또는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The indoor unit 20 or the outdoor unit 10 may operat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50 or the mobile terminal 200.

도 9와 같이, 공기조화기 시스템 내의 유닛들을 무선으로 연결하면, 유선으로 연결하는 경우에 비해, 설치비용과 설치시간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shown in FIG. 9, when the units in the air conditioner system are wirelessly connect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installation cost and installation time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a wired connection.

또한, 어느 하나의 유닛의 정보 확인, 제어를 위해, 제어기(50) 등 특정 유닛을 거치지 않고, 바로 제어 대상 유닛과 통신하여 제어할 수 있으므로, 통신 시간, 사용 편의성 측면에서도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check and control information of any one unit, the controller 50 can directly communicate with and control the control unit without going through a specific unit such as the controller 50, and thus has advantages in terms of communication time and ease of us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유닛들은, 서브 기가 대역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상호 간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120)은, 방사 패턴 관리가 용이하고, 게인(gain) 확보에 유리한 PCB 안테나를 포함하며, 다채널에서 채널 간 간섭이 적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변조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Units included in the air condition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using a frequency band of a sub-giga band.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can use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modulation scheme that facilitates radiation pattern management, includes a PCB antenna advantageous for securing gain, and has less inter-channel interference in multiple channels. have.

이에 따라, 실외기가 건물의 지하에 설치되거나 옥상에 설치되고, 유닛들이 분산 배치되어, 유닛들 사이에 층, 벽 등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이 일반적인 공기조화기 시스템 설치 환경에서도, 유닛들 상호 간에 무선 통신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outdoor unit is installed in the basement of the building or installed on the roof, the units are distributed, and there are obstacles such as floors and walls between the units. Can be performed smoothly.

한편, 고층 건물, 넒은 면적의 건물, 기타 설치 환경에 따라서, 무선 통신이 원할하게 수행되지 않는 무선 통신 음영 지역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무선 통신 음영 지역 해소를 위해서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재전송할 수 있는 중계기(repeater) 설치가 필요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high-rise buildings, large-area buildings, and other installation environments, wireless communication shaded areas where wireless communication is not smoothly performed may occur. In this case, it may be necessary to install a repeater capable of retransmitting the received radio signal in order to resolve the wireless communication shadow area.

따라서, 무선 통신 환경에서 중계기 필요 여부를 판단하고, 필요시 중계기를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a repeater is need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efficiently installing the repeater if necessary.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복수의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유닛에는 실외기, 실내기 등이 해당될 수 있다.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the air condition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units, and the plurality of units may include outdoor units, indoor units, and the like.

한편, 실외기와 실내기들은 냉매배관으로 연결될 수 있고, 냉매배관으로 연결된 실외기와 실내기들은 그룹으로 설정될 수 있다.Meanwhile, the outdoor units and the indoor units may be connected by a refrigerant pipe, and the outdoor units and indoor units connected by a refrigerant pipe may be set as a group.

또한, 동일 그룹으로 설정된 유닛들을 상호 간에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Also, units set in the same group can be wirelessly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즉, 동일 그룹 내 실외기-실내기 간에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실내기-실내기 간에도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at is, wireless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between the outdoor unit and indoor unit in the same group, and wireless communication can also be performed between the indoor unit and indoor unit.

예를 들어, 소정 실외기와 2 이상의 실내기가 냉매배관으로 연결되며, 소정 실외기와 냉매배관으로 연결된 실내기들은,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되고, 유닛 상호 간에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For example, a predetermined outdoor unit and two or more indoor units are connected to the refrigerant pipe, and the indoor units connected to the predetermined outdoor unit and the refrigerant pipe are set as one group and can communicate wirelessly with each other.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의 제어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블록도이다.10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trol configur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닛은, 상기 복수의 유닛 간에 서브 기가(Sub GHz) 대역의 주파수로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at wirelessly communicates between the plurality of units at a frequency of a sub gigahertz (Sub GHz) band.

예를 들어, 실외기와 실내기는 각각 서브 기가(Sub GHz) 대역의 주파수로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may each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that wirelessly communicates at a frequency in a sub GHz band.

도 10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모듈(120)은, 프로세서(810), 레귤레이터(831, 832), 송수신부(820), 포트(841, 842), 메인 커넥터(850), 신호 변환부(860), 표시부(87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includes a processor 810, a regulator 831, 832, a transceiver 820, ports 841, 842, a main connector 850, and a signal converter 860 ), and a display unit 870.

또한, 무선 통신 모듈(120)은, 서브 기가(Sub GHz) 대역의 주파수로 무선 통신하는 안테나(821)를 포함할 수 있고, 서브 기가(Sub GHz) 대역 안테나(821)는 PCB 타입 안테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include an antenna 821 for wireless communication at a frequency in the sub gigahertz (Sub GHz) band, and the sub gigahertz (Sub GHz) band antenna 821 may be a PCB type antenna. have.

또한, 실내기 유닛, 실외기 유닛 등에 연결된 무선 통신 모듈(120)들은, 상호 간에는 서브 기가 대역의 주파수로 통신하고, 작업자의 모니터링을 위한 이동 단말기와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 근거리 무선 통신, 메인 커넥터(850)를 통한 유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120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the outdoor unit, etc.,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t a frequency of a sub-giga band, and the mobile terminal for operator monitor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Wi-Fi, main connector 850 ) Can support wired communication.

무선 통신 모듈(120)은 메인 커넥터(850)를 통하여 유닛(100)과 연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이동 단말기(200) 또는 유닛(100)과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무선 통신 모듈(120)은, 2.4 기가(GHz) 대역의 주파수로 무선 통신하는 안테나(8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not only be connected to the unit 100 through the main connector 850, but also may be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200 or the unit 100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and Wi-Fi. In this cas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include an antenna 822 that wirelessly communicates at a frequency in the 2.4 gigahertz (GHz) band.

이에 따라, 무선 통신 모듈(120)은 실내기 유닛, 실외기 유닛,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등 이동 단말기와 연동할 수 있도록 유선,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provide a wired and wireless interface to interwork with a mobile terminal such as an indoor unit unit, an outdoor unit unit, a smart phone or a laptop.

즉, 무선 통신 모듈(120)의 범용성을 확보하고, 전용 기기 뿐만 아니라, 범용의 이동 단말기 등과도 연결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모듈(120)을 구성할 수 있다.That is,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to secure the versatility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and to connect not only a dedicated device but also a general-purpose mobile terminal.

실시예에 따라서는, 무선 통신 모듈(120)은 안테나 연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further include an antenna connection unit (not shown).

한편, 도 10의 프로세서(810)는 도 7의 프로세서(710)에 대응하고, 도 10의 송수신부(820)는 도 7의 수신부(730) 및 송신부(740)에 대응하며, 도 10의 안테나(821)는 도 7의 안테나(720)에 대응하고, 도 10의 메인 커넥터(850)는 도 7의 인너페이스(750)에 대응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or 810 of FIG. 10 corresponds to the processor 710 of FIG. 7, and the transceiver 820 of FIG. 10 corresponds to the receiver 730 and the transmitter 740 of FIG. 7, and the antenna of FIG. 10 821 corresponds to the antenna 720 of FIG. 7, and the main connector 850 of FIG. 10 may correspond to the inner interface 750 of FIG. 7.

이하에서는 도 7과 중복되지 않는 부분을 중심으로 무선 통신 모듈(120)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지만, 도 10에서 예시된 실시예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art that does not overlap with FIG. 7, but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10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a part of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have.

프로세서(810)는 무선 통신 모듈(1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81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메인 커넥터(850)는, 유닛(100)과 무선 통신 모듈(120)을 연결할 수 있다. 메인 커넥터(850)는 유닛(100)에 구비되는 송수신 포트에 결합되는 연결단자일 수 있다. 메인 커넥터(850)는 무선 통신 모듈(120)이 동작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데 필요한 전압 및 통신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The main connector 850 may connect the unit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The main connector 850 may be a connection terminal coupled to a transmission/reception port provided in the unit 100. The main connector 850 may operat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to input and output voltages and communication signals necessary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예를 들어, 메인 커넥터(850)는 유닛(100)으로부터 입력되는 유아트(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기)) 통신 신호를 신호 변환부(860)로 전달할 수 있다. 신호 변환부(860)를 거친 유아트 통신 신호는 프로세서(810)로 전달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main connector 850 may transmit a UART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communication signal input from the unit 100 to the signal converter 860. The Yuat communication signal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ignal converter 860 may be transmitted to the processor 810.

이에 따라, 메인 커넥터(850)는, 유닛(100)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프로세서(810)로 전달하고, 프로세서(810)의 신호를 유닛의 제어부(110)로 전달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main connector 850 may transmit a signal applied from the unit 100 to the processor 810 and a signal from the processor 810 to the controller 110 of the unit.

무선 통신 모듈(120)은, 메인 커넥터(850)를 통하여, 실내기 또는 실외기 유닛(100)의 메인 보드와 연결됨으로써, 유닛(100) 내부에서 유닛(100)의 제어부(110)와 연결되고 동작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is connected to the main board of the indoor unit or the outdoor unit 100 through the main connector 850, thereby being connected to and operating with the control unit 110 of the unit 100 inside the unit 100. Can.

이에 따라, 소정 유닛(100)의 무선 통신 모듈(12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소정 무선 신호를 다른 유닛(100)의 무선 통신 모듈(120)로 송신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of the predetermined unit 100 may transmit a predetermined wireless signal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of the other unit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0.

또한, 무선 통신 모듈(120)은, 수신되는 무선 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유닛(100)의 제어부(110)로 전달할 수 있다.Als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transmit data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wireless signal to the control unit 110 of the unit 100.

한편, 메인 커넥터(850)는 유닛(10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제1 레귤레이터(831) 또는 상기 제2 레귤레이터(832)로 공급할 수 있다.Meanwhile, the main connector 850 may supply the voltage supplied from the unit 100 to the first regulator 831 or the second regulator 832.

예를 들어, 메인 커넥터(850)는, 실내기로부터 12V 전압이 공급되는 12V 전압핀, 실외기로부터 5V 전압이 공급되는 5V 전압핀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ain connector 850 may include a 12V voltage pin supplied with a 12V voltage from an indoor unit and a 5V voltage pin supplied with a 5V voltage from an outdoor unit.

이에 따라, 메인 커넥터(850)는, 실외기, 실내기와 모두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main connector 850 may be used in connection with both outdoor units and indoor units.

또한, 메인 커넥터(850)는, 송신(Tx)핀, 수신(Rx)핀, 송수신을 전환하는 셀렉트(select)핀, 그라운드(GND)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connector 850 may further include a transmit (Tx) pin, a receive (Rx) pin, a select pin for switch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a ground (GND) pin.

레귤레이터(831, 832)는 실내기 및 실외기에서 인가되는 전압을 무선 통신 모듈(120)의 동작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The regulators 831 and 832 may convert voltages applied from indoor units and outdoor units to operating power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상기 무선 통신 모듈(120)은, 상기 실내기로부터 공급되는 제1 전압을 상기 제1 전압보다 낮은 제2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 레귤레이터(831), 및, 상기 제2 전압을 상기 무선 통신 모듈(120)의 동작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프로세서(810)로 공급하는 제2 레귤레이터(8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includes a first regulator 831 that converts a first voltage supplied from the indoor unit to a second voltage lower than the first voltage, and the second voltage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 and a second regulator 832 supplied to the processor 810.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120)이 실내기와 연결되는 경우에, 제1 레귤레이터(831)는 실내기로부터 공급되는 12V 전압을 5V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 제2 레귤레이터(832)는 제1 레귤레이터(831)에서 변환된 5V 전압을 3.3V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프로세서(810)로 공급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is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the first regulator 831 may convert the 12V voltage supplied from the indoor unit into a 5V voltage. The second regulator 832 may convert the 5V voltage converted by the first regulator 831 into a 3.3V voltage and supply it to the processor 810.

상기 제2 레귤레이터(832)는, 상기 실외기로부터 제2 전압을 공급받고, 상기 제2 전압을 상기 무선 통신 모듈(120)의 동작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프로세서(810)로 공급할 수 있다.The second regulator 832 may receive a second voltage from the outdoor unit, convert the second voltage into an operating voltag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and supply the second voltage to the processor 810.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120)이 실외기와 연결되는 경우에, 제2 레귤레이터(832)는 실외기로부터 공급되는 5V 전압을 3.3V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프로세서(810)로 공급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is connected to an outdoor unit, the second regulator 832 may convert the 5V voltage supplied from the outdoor unit into a 3.3V voltage and supply it to the processor 810.

제1 레귤레이터(831)는 메인 커넥터(850)를 통해 유닛(100)으로부터 인가되는 동작 전원의 전압을 12V에서 5V로 변환하고, 제2 레귤레이터(832)는 인가되는 5V를 3.3V로 변환할 수 있다. The first regulator 831 can convert the voltage of the operating power applied from the unit 100 from the 12V to 5V through the main connector 850, and the second regulator 832 can convert the applied 5V to 3.3V. have.

제1 레귤레이터(831)는, 메인 커넥터(850)에 연결되고, 제2 레귤레이터(832)와 연결되어, 12V의 동작 전원의 전압이 5V로 변환되면, 제2 레귤레이터(832)로 입력할 수 있다. The first regulator 831 is connected to the main connector 850, is connected to the second regulator 832, and when the voltage of the 12V operating power is converted to 5V, it can be input to the second regulator 832. .

제2 레귤레이터(832)는 제1 레귤레이터(831)로부터 입력되는 5V의 전압을 3.3V로 변환하여 프로세서(810)로 공급할 수 있다. 제2 레귤레이터(832)는 메인 커넥터(850)와 연결되어, 메인 커넥터(850)로부터 입력되는 5V의 전압을 3.3V로 변환하여 프로세서(810)로 공급할 수 있다. The second regulator 832 may convert a voltage of 5V input from the first regulator 831 to 3.3V and supply it to the processor 810. The second regulator 832 is connected to the main connector 850 and converts a voltage of 5V input from the main connector 850 to 3.3V to supply it to the processor 810.

실내기는 12V의 동작 전원을 무선 통신 모듈(120)로 인가하고, 실외기는 5V의 동작 전원을 무선 통신 모듈(120)로 인가할 수 있다. The indoor unit may apply the operating power of 12V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and the outdoor unit may apply the operating power of 5V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실내기로부터 공급되는 동작 전원은, 상기 메인 커넥터(850)를 통해 입력되고, 레귤레이터들(831, 832)을 통해 12V에서 3.3V로 단계적으로 변환되어, 프로세서(810)로 공급될 수 있다. The operating power supplied from the indoor unit may be input through the main connector 850, and converted stepwise from 12V to 3.3V through the regulators 831 and 832, and supplied to the processor 810.

실외기로부터 입력되는 동작 전원은, 5V로, 상기 메인 커넥터(850)를 통해 입력되고, 제2 레귤레이터(832)에 의해 5V에서 3.3V로 변환되어, 프로세서(810)로 공급될 수 있다. The operation power input from the outdoor unit is 5V, input through the main connector 850, converted from 5V to 3.3V by the second regulator 832, and supplied to the processor 810.

그에 따라 공급되는 동작 전원에 의해 무선 통신 모듈(120)이 동작할 수 있다. 한편,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복수의 유닛 중 12V 또는 5V 이외의 전압으로 신호를 인가하는 유닛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동작 전원의 전압을 변환할 레귤레이터가 추가 또는 대체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be operated by the supplied operating power.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a unit for applying a signal with a voltage other than 12V or 5V among a plurality of units included in the air conditioner system, a regulator for converting the voltage of the corresponding operating power supply may be added or replaced.

신호 변환부(860)는 메인 커넥터(85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전압을 변환하여 프로세서(810)로 인가할 수 있다. 신호 변환부(860)는 5V를 하이(high) 레벨, 0V를 로우(low) 레벨로 사용하는 유아트 신호를 3.3V를 하이 레벨로 변환하여 프로세서(810)로 입력할 수 있다. The signal converter 860 may convert the voltage of the signal input from the main connector 850 and apply it to the processor 810. The signal converter 860 may convert an U-signal signal using 5V as a high level and 0V as a low level to 3.3V to a high level and input it to the processor 810.

실시예에 따라서, 신호 변환부(860)는, 3V를 하이 레벨로 가지는 신호를 프로세서(810)로부터 입력받아, 5V를 하이 레벨로 가지는 신호로 변환하여, 메인 커넥터(850)로 전달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ignal converter 860 may receive a signal having a high level of 3V from the processor 810, convert it to a signal having a high level of 5V, and transfer the signal to the main connector 850.

또한, 신호 변환부(860)는, 입력되는 유아트(UART) 통신 신호를 반전시켜 출력할 수 있다.Also, the signal conversion unit 860 may invert and output the input UART communication signal.

상기 프로세서(810)는, 신호 변환부(860)와 연결되어, 통신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The processor 810 is connected to the signal converter 860 to input and output communication signals.

한편, 무선 통신 모듈(120)의 프로세서(810)와 유닛(100)의 제어부(110)는 유아트 통신에 따른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ocessor 810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and the control unit 110 of the unit 100 may input and output data according to the Yourt communication.

표시부(870)는 무선 통신 모듈(120)의 동작상태, 네트워크 연결상태, 데이터의 송수신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표시부(870)는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LED)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870 may output an operation stat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a network connection state, and a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To this end, the display unit 870 may include one or more light emitting diodes (LEDs).

제1 포트(841)는 프로그램의 업데이트 또는 무선 통신 모듈(120)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연결단자이고, 제2 포트(842)는 무선 통신 모듈(120)에 탑재되는 프로그램의 디버깅을 위한 연결단자이다. The first port 841 is a connection terminal used to transmit a program update or data store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to the outside, and the second port 842 is a debugging of a program mounte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It is a connector for.

안테나(821)는 서브기가 대역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 안테나(821)는 송수신부(8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공기 중으로 송출하고, 공기 중의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여 송수신부(820)로 인가할 수 있다. The antenna 821 may use a subgiga band frequency band. The antenna 821 may transmit a signal output from the transmission/reception unit 820 into the air, receive a signal of a designated frequency band in the air, and apply the signal to the transmission/reception unit 820.

실시예에 따라서, 안테나(821)와 송수신부(820)를 연결하는 안테나 연결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n antenna connection unit connecting the antenna 821 and the transmission/reception unit 820 may be further provided.

송수신부(820)는 프로세서(810)의 제어명령에 따라 송출하고자 하는 신호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송수신부(820)는 출력임피던스, 즉 안테나(821)의 임피던스가 설정값을 가지도록 제어함으로써 신호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송수신부(820)는 안테나(821)를 통해 송수신할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맞춰 임피던스를 조절할 수 있다. The transceiver 820 may control the output of a signal to be transmitted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processor 810. The transceiver 820 may adjust the output of the signal by controlling the output impedance, that is, the impedance of the antenna 821 to have a set value. The transceiver 820 may adjust the impedance according to the frequency band of the signal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821.

프로세서(810)는 통신설정에 따라 송수신부(820), 레귤레이터(831, 832), 신호 변환부(860) 및 표시부(870)의 동작을 제어하여, 메인 커넥터(850)를 통해 인가된 유닛(100)의 데이터가 설정된 출력으로,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송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 또한, 프로세서(810)는 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유닛(100)으로 인가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10)는 사용되는 통신방식에 따라 데이터가 지정된 형태로 변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processor 81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ransmission/reception unit 820, the regulators 831, 832, the signal conversion unit 860, and the display unit 870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setting, and the unit applied through the main connector 850 ( 100) can be controlled to be transmitted as a signal of a specified frequency band as a set output. Further, the processor 810 may process the received data and apply it to the unit 100. Further, the processor 810 may control data to be converted into a designated form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method used.

프로세서(810)는 연결되는 네트워크의 통신상태를 확인하고, 통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표시부(870)를 통해 출력하고, 통신에 이상이 있는 경우, 그에 따른 경고가 표시부(87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10)는 통신 이상에 대하여 메인 커넥터(850)를 통해 유닛으로 전송할 수 있다. The processor 810 checks the communication state of the network to be connected, determines whether communication is possible, outputs it through the display unit 870, and if there is an error in communication, controls the warning to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870 can do. In addition, the processor 810 may transmit a communication error to the unit through the main connector 850.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는, 사용자의 통신 범위 설정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1110).Referring to FIG. 11, the mobile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a user's communication range setting input (S1110 ).

이동 단말기(200)는, 애플리케이션 실행시 또는 이동 단말기(200)에 연결된 무선 통신 모듈(300)에 전원이 인가되면, 디스플레이부(251)를 통하여 공기조화기 시스템과 관련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200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screen related to the air conditioner system through the display unit 251 when an application is executed or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0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200. have.

사용자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 포함되는 유닛 탐색 명령에 대응하는 메뉴 항목을 선택하거나 음성 명령으로 유닛 탐색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유닛 탐색 명령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화면을 조작하여 사용자는 통신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The user may select a menu item corresponding to the unit search command included in the user interface screen or input a unit search command with a voice command. By operating the screen displayed in response to the unit search command, the user can set a communication range.

또는, 이동 단말기(200)에 연결된 무선 통신 모듈(300)에 전원이 인가되면, 디스플레이부(251)를 통하여 공기조화기 시스템과 관련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0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200, a user interface screen related to the air conditioner system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251.

한편, 최초의 통신 범위 설정이 이루어진 이후에, 사용자가 통신 범위 설정을 변경할 때까지, 이동 단말기(200)는, 기설정된 통신 범위에 따라, 소정 유닛을 탐색하거나 소정 유닛과 통신 연결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initial communication range setting is made, until the user changes the communication range setting, the mobile terminal 200 may search for a predetermined unit or communicate with a predetermined unit according to a preset communication range.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200)에 연결된 무선 통신 모듈(300)에 전원이 인가되면, 이동 단말기(200)는 무선 통신 모듈(300)을 통하여 기설정된 통신 범위에 따라, 소정 유닛을 탐색하거나 소정 유닛과 통신 연결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0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200, the mobile terminal 200 searches for a predetermined unit or determines a predetermined uni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rang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0. Can communicate with the unit.

한편, 이동 단말기(200)는 무선 통신 모듈(300)을 통하여 기설정된 통신 범위에 따라, 소정 유닛을 탐색하는 네트워크 스캔을 수행할 수 있다(S1120).Meanwhile, the mobile terminal 200 may perform a network scan to search for a predetermined uni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rang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0 (S1120).

네트워크 스캔 과정(S1120)은, 이동 단말기(200)가 무선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과, 유닛(100)이 응답하는 과정, 및 탐색 결과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The network scan process (S1120) may include a process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200 outputs a wireless signal, a process in which the unit 100 responds, and a process of displaying a search result screen.

이동 단말기(200)는 연결된 무선 통신 모듈(300)을 통하여 상기 수신된 통신 범위 설정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 세기를 가지는 무선 신호를 출력하고,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복수의 유닛으로부터 상기 출력된 무선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200 outputs a wireless signal having a signal strength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mmunication range setting input through the connecte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0, and the wireless output from a plurality of units included in the air conditioner system A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ignal can be received.

이동 단말기(200)에 근거리 통신 모듈(217) 또는 인터페이스부(270)를 통하여 연결된 무선 통신 모듈(300)이, 상기 무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0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200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217 or the interface unit 270 may output the wireless signal.

이 경우에, 무선 통신 모듈(300)은, 서브 기가(Sub GHz) 대역의 주파수로 상기 무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0 may output the wireless signal at a frequency in a sub gigahertz (Sub GHz) band.

또한, 도 7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무선 통신 모듈(300)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에 따라 변조된 무신 신호를, 인쇄회로기판(PCB)에 안테나 패턴(pattern)이 형성된 PCB 타입 안테나로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and the lik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0 transmits an antenna signal modulated according to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to an antenna pattern on a printed circuit board (PCB). ) Can be output to the formed PCB type antenna.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300)은 상기 무선 신호를 통신 범위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 세기를 가지는 무선 신호를 기설정된 소정 횟수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함으로써, 무선 신호의 송신 횟수를 줄일 수 있고, 무선 신호를 동일 범위에 대해서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0 may reduce the number of times the wireless signal is transmitted by broadcast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 wireless signal having a signal strength corresponding to the input of the communication range. , Wireless signals can be output for the same range.

한편,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한 복수의 유닛이 상기 응답 신호의 신호 세기에 따라 정렬하여 표시되는 탐색 결과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Meanwhile, the mobile terminal 200 may display a search result screen in which a plurality of units that have transmitted the response signal are sort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signal strength of the response signal.

본 발명은 층간 통신에 유리한 서브 기가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무선 통신 환경을 구현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of an air conditioner system using a frequency of a sub-giga band, which is advantageous for inter-layer communication.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이 설치된 건물의 특정 위치에서, 특정 유닛을 찾기 위한 네트워크 스캔을 수행하면 통신 가능 범위 안에 모든 기기가 검색되어 다수의 기기가 결과로 표시된다. 표시된 기기의 숫자가 많을수록 작업자는 특정 유닛을 찾는데 어려움이 있다.Therefore, when a network scan is performed to find a specific unit at a specific location in a building where the air condition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ll devices are searched for within a communication range and a plurality of devices are displayed as a result. The greater the number of devices displayed, the more difficult it is for the operator to find a specific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을 반영하여 통신 범위 설정을 조정함으로써, 네트워크 스캔 범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스캔 결과를 수신된 응답 신호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정렬하여 표시함으로써, 작업자 및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에 가까운 기기를 더 쉽게 찾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network scan range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by adjusting a communication range setting by reflecting a user input. In addition, by sorting and displaying the scan result based on the signal strength of the received response signal, it is easier to find a device close to the location of the operator and the mobile terminal 200.

한편, 상기 탐색 결과 화면에 표시되는 복수의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유닛이 선택되면(S1150), 선택된 유닛이 포함되는 그룹에 대한 모니터링(monitoring) 화면을 표시되면서 모니터링이 시작될 수 있다(S1160).Meanwhile, when any one of a plurality of units displayed on the search result screen is selected (S1150), monitoring may be started while a monitoring screen for a group including the selected unit is displayed (S1160).

상기 선택된 유닛은, 상기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실내기 유닛 또는 실외기 유닛일 수 있다.The selected unit may be an indoor unit unit or an outdoor unit included in the air conditioner system.

특히, 특정 실내기 유닛이 선택되면, 자동으로, 선택된 실내기 유닛과 냉매배관으로 연결된 실외기 유닛이 선택되도록 설정함으로써, 연동하여 동작하는 실내기 유닛과 실외기 유닛의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a specific indoor unit is selected, by automatically setting an outdoor unit connected to the selected indoor unit and refrigerant pipe to be selected,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information of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that operate in conjunction.

또한, 특정 실내기 유닛이 선택되면, 자동으로, 선택된 실내기 유닛이 포함되는 그룹이 선택되도록 설정함으로써, 선택된 유닛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실외기 유닛과 다른 실내기 유닛의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specific indoor unit is selected, by automatically setting a group including the selected indoor unit,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the information of the outdoor unit and other indoor unit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selected unit.

또한, 특정 실외기 유닛이 선택되면, 자동으로, 선택된 실외기 유닛이 포함되는 그룹이 선택되도록 설정함으로써, 선택된 유닛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실내기 유닛의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specific outdoor unit is selected, by automatically setting a group including the selected outdoor unit,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information of the indoor unit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selected unit.

실외기 유닛과 실내기 유닛은 냉매배관으로 연결되며, 유닛들을 그룹으로 설정되어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유닛만 모니터링하는 것보다 해당 유닛과 동일 그룹에 포함되는 유닛들의 정보도 확인하는 것이 특정 유닛 및 전체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상태를 파악하는데 효과적이다.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are connected by a refrigerant pipe, and the units can be set and controlled as a group. Therefore, it is effective to check the status of a specific unit and the entire air conditioner system by checking information of the unit and the units included in the same group rather than monitoring only a specific unit.

상기 모니터링 화면은, 상기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유닛 중 하나 이상의 유닛에 대한 개별정보와 상기 그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nitoring screen may include individual information on one or more units among a plurality of units included in the group and information on the group.

이에 따라, 특정 유닛을 쉽게 선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유닛이 소속된 그룹에 대한 정보도 쉽게 파악할 수 있다.Accordingly, not only can a specific unit be easily selected, but also information about a group to which the unit belongs can be grasped easily.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 시스템 모니터링에 관한 것으로, 기존 작업자가 실외기 위치로 이동하여 실외기에 직접 연결하고 모니터링하던 방식을 개선하여, 서브 기가 대역의 무선 통신을 적용하여 작업자 위치에 상관없이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증대시킨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ir conditioner system monitoring, and improves a method in which an existing worker moves to an outdoor unit position and directly connects to and monitors the outdoor unit, so that sub-giga band wireless communication can be applied to monitor regardless of the worker position. It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convenienc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서브 기가 대역의 무선 통신으로 비용을 납부해야 하는 인터넷 망에 독립적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시스템을 모니터링할 수 있어, 할 수 있어, 관리 비용 측면에서도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n independent network and monitor the system in an Internet network in which sub-giga bands are required to pay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us, there is an advantage in terms of management cost.

한편, 상기 탐색 결과 화면에 표시되는 복수의 유닛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확인 입력이 수신되면,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확인 입력이 수신된 유닛으로 상기 확인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1130).Meanwhile, when a confirmation input for any one of a plurality of units displayed on the search result screen is received, the mobile terminal 200 may transmit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firmation input to the unit where the confirmation input is received. (S11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닛은, 상기 확인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기설정된 피드백(feedback)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작업자는 육안으로 ㅎ해당 유닛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1150).Th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pon receiving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firmation input, can perform a predetermined feedback (feedback) operation, the operator can visually check whether it is the corresponding unit (S1150) ).

예를 들어, 실외기 유닛은, 88 세그먼트 디스플레이에 소정 문자, 숫자를 표시할 수 있고, 실내기 유닛은, 소정 램프가 점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outdoor unit may display predetermined letters and numbers on an 88-segment display, and a predetermined lamp may flash on the indoor unit.

이에 따라, 작업자는 건물에 배치된 다수의 유닛(100) 중 특정 유닛을 빠르고 간편하게 찾을 수 있다.Accordingly, the operator can quickly and easily find a specific unit among the plurality of units 100 disposed in the building.

또한, 작업자는 유닛 제어(1130) 후 피드백 동작을 육안으로 확인하고(1140), 원하는 유닛이 맞다면 최종적으로 유닛을 선택할 수 있다(S1150).In addition, the operator can visually check the feedback operation after the unit control 1130 (1140), and finally select the unit if the desired unit is correct (S1150).

한편, 작업자는 유닛 제어(1130) 후 피드백 동작을 육안으로 확인하고(S1140), 원하는 유닛이 아니라면, 다른 유닛으로 확인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송신하여(S1130) 원하는 유닛을 찾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or can visually confirm the feedback operation after the unit control 1130 (S1140), and if it is not a desired unit, transmit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firmation input to another unit (S1130) to find the desired unit.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탐색 결과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arch result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탐색 결과 화면(1200)은, 통신 범위 설정 영역(1210)과 탐색 결과 영역(1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탐색 결과 화면(1200)은, 디스플레이부(25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the search result screen 12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range setting area 1210 and a search result area 1220. The search result screen 1200 may be display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display unit 251.

사용자는, 통신 범위 설정 영역(1210)의 통신 범위 설정 항목(1211)을 조작하여, 스캔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The user can set the scan range by operating the communication range setting item 1211 in the communication range setting area 1210.

통신 범위 설정 항목(1211)은, 주변 유닛을 탐색하기 위한 스캔 범위를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 끝은 신호 세기를 0으로 지정하고, 우측 끝은 스캔 범위를 10으로 범위를 지정할 수 있다. 여기서, 예시된 '0'과 '10' 수치는 상대적인 값으로, 각각 무선 통신 모듈(300)이 출력하는 신호의 최소값과 최대값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세기가 '5'로 설정된다면, 무선 통신 모듈(300)이 네트워크 스캔 시 사용하도록 설정된 최대 신호 세기의 50% 수준의 신호 세기를 가지는 신호를 출력하게 될 것이다. The communication range setting item 1211 can specify a scan range for searching for a peripheral unit. For example, the left end may designate a signal strength as 0, and the right end may designate a scan range as 10. Here, the illustrated '0' and '10' values are relative values, and may correspond to minimum and maximum values of signals output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0, respectively. For example, if the signal strength is set to '5',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0 will output a signal having a signal strength of 50% of the maximum signal strength set for use in network scanning.

실시예에 따라서, 통신 범위 설정 항목(1211) 조작에 따라 설정되는 신호 세기(1212)가 통신 범위 설정 영역(1210)에 더 표시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signal strength 1212 se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range setting item 1211 may be further displayed on the communication range setting area 1210.

도 12는 신호 세기가 '7'로 지정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12 shows an example in which signal strength is designated as '7'.

만약, 신호 세기가 '7'로 지정되면, 무선 통신 모듈(300)이 네트워크 스캔 시 사용하도록 설정된 최대 신호 세기의 70% 수준의 신호 세기를 가지는 신호를 출력하게 될 것이다. If the signal strength is designated as '7',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0 will output a signal having a signal strength of 70% of the maximum signal strength set for use in network scanning.

따라서, 사용자는 자유롭게 스캔 범위를 지정할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can freely specify the scan range.

탐색 결과 화면(1200)은, 이동 단말기(200)에서 응답 신호가 수신된 유닛들에 대응하는 항목들(1221, 1222, 1223, 1224)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항목들(1221, 1222, 1223, 1224)은, 각 유닛의 명칭 정보, 맥 어드레스 또는 기타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arch result screen 1200 may include items 1221, 1222, 1223, and 1224 corresponding to units for which a response signal has bee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200. Each of the items 1221, 1222, 1223, and 1224 may include name information of each unit, MAC address, or oth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탐색 결과 영역(1220)에는 이동 단말기(200)에서 응답 신호가 수신된 유닛들에 대응하는 항목들(1221, 1222, 1223, 1224)이 표시될 수 있다. 유닛들을 기준으로 하면, 이동 단말기(200)로 응답 신호를 송신한 유닛들에 대응하는 항목들(1221, 1222, 1223, 1224)이 탐색 결과 영역(1220)에 표시될 수 있다. Items 1221, 1222, 1223, and 1224 corresponding to units for which a response signal has bee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200 may be displayed in the search result area 1220. Based on units, items 1221, 1222, 1223, and 1224 corresponding to units that have transmitted a response signal to the mobile terminal 200 may be displayed in the search result area 1220.

바람직하게는, 상기 응답 신호가 수신된 유닛들에 대응하는 항목들(1221, 1222, 1223, 1224)은, 상기 응답 신호의 신호 세기가 가장 큰 유닛에 대응하는 항목(1221)부터 상기 응답 신호의 신호 세기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렬되어 표시될 수 있다.Preferably, the items 1221, 1222, 1223, and 1224 corresponding to the units for which the response signal has been received are from the item 1221 corresponding to the unit having the largest signal strength of the response signal. The signals may be sequentially displayed in order of signal intensity.

신호 세기가 클수록 이동 단말기(200)에 가까운 곳에 유닛이 있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탐색 결과 화면(1200)에 포함되는 항목들(1221, 1222, 1223, 1224)은 신호 세기 순서로 정렬되어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reater the signal strength, the more likely it is that the unit is close to the mobile terminal 200.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display the items 1221, 1222, 1223, and 1224 included in the search result screen 1200 in order of signal strength.

한편, 각 항목들(1221, 1222, 1223, 1224)은, 연결 확인 메뉴 항목(1221a, 1222a, 1223a, 1224a)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each of the items 1221, 1222, 1223, and 1224 may include connection confirmation menu items 1221a, 1222a, 1223a, and 1224a.

실시예에 따라서는, 각 항목들(1221, 1222, 1223, 1224)은, 신호 세기 항목들(1221b, 1222b, 1223b, 1224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신호 세기 항목들(1221b, 1222b, 1223b, 1224b)을 확인하여, 해당 유닛이 송신한 응답 신호의 신호 세기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each of the items 1221, 1222, 1223, and 1224 may further include signal strength items 1221b, 1222b, 1223b, and 1224b. The user can intuitively check the signal strength of the response signal transmitted by the corresponding unit by checking the signal strength items 1221b, 1222b, 1223b, and 1224b.

한편, 사용자는 탐색 결과 화면(1200)을 보고, 항목들(1221, 1222, 1223, 1224)에 대응하는 연결 확인 메뉴 항목(1221a, 1222a, 1223a, 1224a)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찾기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Meanwhile, the user looks at the search result screen 1200 and selects one of the connection confirmation menu items 1221a, 1222a, 1223a, and 1224a corresponding to the items 1221, 1222, 1223, and 1224, and executes a search command. You can type.

많은 경우에 사용자는 신호 세기가 가장 큰 제1 항목(1221)에 대응하는 연결 확인 메뉴 항목(1221a)을 선택하여, 해당 유닛을 찾을 수 있다.In many cases, the user may select the connection confirmation menu item 1221a corresponding to the first item 1221 having the largest signal strength to find the corresponding unit.

연결 확인 메뉴 항목(1221a)이 선택되면, 제어부(280)의 제어에 따라 무선 통신 모듈(300)은 제1 항목(1221)에 대응하는 유닛으로 확인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제1 항목(1221)에 대응하는 유닛은 피드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connection confirmation menu item 1221a is selec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80,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0 may transmit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firmation input to the unit corresponding to the first item 1221, and the first The unit corresponding to item 1221 may perform a feedback oper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유닛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rrors can be prevented by visually confirming the position of a specific unit.

한편, 탐색 결과 화면(1200)은, 사용자가 유닛을 선택할 수 있는 확인 항목(1230)과 취소할 수 있는 취소 항목(1240)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arch result screen 1200 may include a confirmation item 1230 in which the user can select a unit and a cancellation item 1240 in which a user can cancel.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200)는, 디스플레이부(251)를 통하여 공기조화기 시스템과 관련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S1310).Referring to FIG. 13, the mobile terminal 200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screen related to the air conditioner system through the display unit 251 (S1310).

예를 들어, 도 12에서 예시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탐색 결과 항목 등이 빠진 화면이 디스플레이부(251)에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user interface screen illustrated in FIG. 12, a screen in which a search result item is omitted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51.

사용자는 통신 범위 설정 항목(1211)을 조작하여 이동 단말기(200)로 통신 범위 설정을 입력할 수 있다(S1320). The user may input the communication range setting to the mobile terminal 200 by operating the communication range setting item 1211 (S1320).

, 수신한 통신 범위 설정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통신 범위 설정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 세기를 가지는 무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1330)., Based on the received communication range setting input, a wireless signal having a signal strength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mmunication range setting input may be output (S1330 ).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무선 신호를 통신 범위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 세기를 가지는 무선 신호를 기설정된 소정 횟수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함으로써, 무선 신호의 송신 횟수를 줄일 수 있고, 무선 신호를 동일 범위에 대해서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obile terminal 200 may reduce the number of times the radio signal is transmitted by broadcast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 radio signal having a signal strength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range input. , Wireless signals can be output for the same range.

무선 통신을 사용하는 유닛의 탐색은 불특정 유닛에 대해서 수행될 수 있으므로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use a broadcasting method since the search for a unit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for an unspecified unit.

상기 이동 단말기(200)에 근거리 통신 모듈(217) 또는 인터페이스부(270)를 통하여 연결된 무선 통신 모듈(300)이, 상기 무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0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200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217 or the interface unit 270 may output the wireless signal.

이 경우에, 무선 통신 모듈(300)은, 서브 기가(Sub GHz) 대역의 주파수로 상기 무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0 may output the wireless signal at a frequency in a sub gigahertz (Sub GHz) band.

또한, 도 7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무선 통신 모듈(300)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에 따라 변조된 무신 신호를, 인쇄회로기판(PCB)에 안테나 패턴(pattern)이 형성된 PCB 타입 안테나로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and the lik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0 transmits an antenna signal modulated according to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to an antenna pattern on a printed circuit board (PCB). ) Can be output to the formed PCB type antenna.

한편,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복수의 유닛(100) 중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한 유닛들은, 상기 출력된 무선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기(200)로 송신할 수 있다(S1335).Meanwhile, among the plurality of units 100 included in the air conditioner system, units that have received the wireless signal may transmit a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utput wireless signal to the mobile terminal 200 (S1335). .

실시예에 따라서, 유닛(100)의 무선 통신 모듈(120)은 응답 신호를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of the unit 100 may output a response signal in a broadcasting manner.

상기 응답 신호는 상기 복수의 유닛(1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sponse signal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units 100.

또한, 상기 수신된 통신 범위 설정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 세기를 가지는 무선 신호는 복수의 유닛(100)에 대한 탐색 신호일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유닛(100)에 구비되는 무선 통신 모듈(120)에 대한 탐색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응답 신호는 상기 복수의 유닛에 구비되는 무선 통신 모듈(12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signal having a signal strength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mmunication range setting input may be a search signal for a plurality of units 100, and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units 100 It may be a search signal. The response signal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units.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제어부(280)는, 상기 무선 통신 모듈(300)로, 복수의 유닛(100)에 대한 탐색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소정 시간 경과 후, 탐색 결과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80 of the mobile terminal 200 transmits a signal requesting a search for a plurality of units 100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0, and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 signal requesting a search result Can send.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한 유닛들이 상기 응답 신호의 신호 세기에 따라 정렬하여 표시되는 탐색 결과 화면을 디스플레이부(251)에 표시할 수 있다(S1340).The mobile terminal 200 may display a search result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51 in which units that have transmitted the response signal are displayed according to the signal strength of the response signal (S1340).

제어부(2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51)가 상기 응답 신호가 수신된 유닛들에 대한 탐색 결과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80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251 to display a search result screen for units for which the response signal has been received.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응답 신호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응답 신호가 수신된 유닛들에 대응하는 항목들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80 may control to display items corresponding to units in which the response signal is received, based on the signal strength of the response signal.

여기서, 상기 응답 신호가 수신된 유닛들에 대응하는 항목들은, 상기 응답 신호의 신호 세기가 가장 큰 유닛에 대응하는 항목부터 상기 응답 신호의 신호 세기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렬되어 표시될 수 있다.Here, items corresponding to the units for which the response signal has been received may be sequentially displayed in order from the item corresponding to the unit having the largest signal strength of the response signal according to the signal strength order of the response signal.

예를 들어, 탐색 결과 화면은 도 12에서 예시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search result screen may be the user interface screen illustrated in FIG. 12.

상기 탐색 결과 화면에 표시되는 복수의 유닛(100)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확인 입력이 수신되면(S1350), 상기 이동 단말기(200)가 상기 확인 입력이 수신된 유닛(100)으로 상기 확인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확인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한 유닛이 기설정된 피드백(feedback)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1360).When a confirmation input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units 100 displayed on the search result screen is received (S1350), the mobile terminal 200 corresponds to the confirmation input to the unit 100 where the confirmation input is received. The signal is transmitted, and the unit receiving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firmation input may perform a predetermined feedback operation (S1360).

여기서, 상기 확인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는, 유닛 별로 설정된 피드백(feedback) 동작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신호일 수 있다.Here,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firmation input may be a signal requesting to perform a feedback operation set for each unit.

예를 들어, 유닛(100)의 출력부(160)가 램프(lamp)를 구비하는 경우에, 상기 설정된 피드백 동작은, 상기 램프가 켜지는 동작일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output unit 160 of the unit 100 includes a lamp, the set feedback operation may be an operation in which the lamp is turned on.

또한, 출력부(160)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경우에, 상기 설정된 피드백 동작은, 상기 디스플레이가 소정 영상을 표시하는 동작일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output unit 160 includes a display, the set feedback operation may be an operation in which the display displays a predetermined image.

또한, 출력부(160)가 오디오 출력부를 구비하는 경우에, 상기 설정된 피드백 동작은, 상기 오디오 출력부가 소정 음향을 출력하는 동작일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output unit 160 includes an audio output unit, the set feedback operation may be an operation in which the audio output unit outputs a predetermined sound.

또는, 제어부(110)는, 설정된 피드백(feedback)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동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110 may control the driving unit 140 to perform a set feedback operation.

예를 들어, 전자 기기(100)가 실내기인 경우에, 실내기가 구비하는 LED 램프가 점등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an indoor unit, the LED lamp included in the indoor unit may be turned on.

또는, 전자 기기(100)가 실외기인 경우에, 실외기가 구비하는 7세그먼트 디스플레이가 점멸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an outdoor unit, the 7-segment display provided by the outdoor unit may blink.

이에 따라, 한 건물에 배치된 다수의 유닛(100) 중 특정 유닛을 빠르고 간편하게 찾을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easily find a specific unit among the plurality of units 100 disposed in one building.

한편, 상기 탐색 결과 화면에 표시되는 유닛들 중 어느 하나의 유닛이 선택되면(S1370), 상기 이동 단말기(200)가 선택된 유닛이 포함되는 그룹에 대한 모니터링(monitoring)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S1380).Meanwhile, when one of the units displayed on the search result screen is selected (S1370), the mobile terminal 200 may display a monitoring screen for the group including the selected unit (S1380). ).

여기서, 상기 선택된 유닛은, 상기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실내기 유닛 또는 실외기 유닛일 수 있다.Here, the selected unit may be an indoor unit unit or an outdoor unit included in the air conditioner system.

한편, 상기 모니터링 화면은, 상기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유닛 중 하나 이상의 유닛에 대한 개별정보와 상기 그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monitoring screen may include individual information on one or more units among a plurality of units included in the group and information on the group.

도 14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14 and 15 are views illustrating a monitoring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모니터링 화면에는 소정 유닛에 대한 개별정보와 유닛이 포함되는 그룹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고, 모니터링 화면에서 선택되는 항목에 대한 상세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The monitoring screen may display individual information on a certain unit and information on a group including the unit, and detailed information on an item selected on the monitoring screen may be displayed.

도 14와 도 15를 참조하면, 모니터링 화면은, 기본 정보 영역(1410), 탭 메뉴 영역(1420), 상세 정보 영역(1430), 설정 메뉴 영역(1440)을 포함할 수 있다.14 and 15, the monitoring screen may include a basic information area 1410, a tab menu area 1420, a detailed information area 1430, and a setting menu area 1440.

기본 정보 영역(1410)에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의 운전 정보, 제품 정보, 동작 상태 정보, 단위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In the basic information area 1410, operation information, product information,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and unit information of the air conditioner system and the monitoring application may be displayed.

운전 정보는, 실외기 운전 모드, 실외기 에러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The driving information may provide an outdoor unit driving mode, outdoor unit error information, and the like.

제품 정보는, 연결된 제품 모델, 메인보드 제품 버전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oduct information may provide a connected product model, motherboard product version information, and the like.

동작 상태는, 데이터 저장상태, 데이터 수신상태 등의 무선 통신 관련 동작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The operation state may provide an operation state related to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a data storage state and a data reception state.

단위 정보는, 모니터링 데이터의 단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unit information may provide unit information of monitoring data.

사용자는 탭 메뉴 영역(1420)에서 소정 탭을 선택하여,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The user can check the detailed information by selecting a predetermined tab in the tab menu area 1420.

예를 들어, 도 14와 같이, 제1 탭(1421)이 선택되면, 공기 조화기 시스템의 기본적인 실외기 정보를 보여줄 수 있다. 여기서 표시되는 실외기 정보는, 탐색 결과 화면을 통하여 선택된 유닛이 포함되는 그룹의 실외기 정보일 수 있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14, when the first tab 1421 is selected, basic outdoor unit information of the air conditioner system may be displayed. The outdoor unit information displayed here may be outdoor unit information of a group including a unit selected through a search result screen.

도 14를 참조하면, 제1 탭(1421)이 선택되면, 상세 정보 영역(1430)에는, 현재 고압, 현재 저압, 현재 SH(과열도), 현재 SCSH(과냉과열도), 가중평균실내온도, 압축비, 현재 SC(과냉도) 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when the first tab 1421 is selected, in the detailed information area 1430, a current high pressure, a current low pressure, a current SH (superheat), a current SCSH (supercooling superheat), a weighted average indoor temperature, The compression ratio, current SC (supercooling) information, and the like may be displayed.

또한, 도 15와 같이, 제2 탭(1422)이 선택되면, 공기 조화기 시스템의 기본적인 실내기 정보를 보여줄 수 있다. 여기서 표시되는 실내기 정보는, 탐색 결과 화면을 통하여 선택된 유닛이 포함되는 그룹의 실내기 정보일 수 있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15, when the second tab 1422 is selected, basic indoor unit information of the air conditioner system may be displayed. The indoor unit information displayed here may be indoor group information of a group including a unit selected through a search result screen.

제2 탭(1422)이 선택되면, 상세 정보 영역(1430)에는, 소정 그룹에 포함되는 실내기들의 용량, 운전모드, 풍량, EEV 등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When the second tab 1422 is selected, information such as the capacity, driving mode, air volume, and EEV of indoor units included in a predetermined group may be displayed in the detailed information area 1430.

또한, 상세 정보 영역(1430)에는, 소정 그룹에 포함되는 실내기 용량, 실내기 운전 모드, 실내기 바람 세기, 실내기 타입 정보, 실내기 EEV, 통신율, 실내 공기 온도, 실내 배관 입구 온도, 실내 배관 출구 온도, 실내기 에러번호 등이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tailed information area 1430 includes indoor unit capacity, indoor unit driving mode, indoor unit wind strength, indoor unit type information, indoor unit EEV, communication rate, indoor air temperature, indoor pipe inlet temperature, and indoor pipe outlet temperature included in a predetermined group, An indoor unit error number may be displayed.

사용자는 상세 정보 영역(1430)에 표시된 실내기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개별 실내기에 대한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The user can select one of the indoor units displayed in the detailed information area 1430 and check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individual indoor units.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복수의 유닛 중 특정 유닛을 빠르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accurately identify a specific unit among a plurality of units included in the air conditioner system.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가 편리하게 탐색된 유닛 정보를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conveniently check and control the searched unit information,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설치환경에 관계없이 각 유닛 및 이동 단말기가 직접 무선 통신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system capable of direct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each unit and a mobile terminal regardless of an installation environment.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유닛), 무선 통신 모듈, 이동 단말기 및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electronic device (unit),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e mobile terminal, and the air condition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bove embodiments have various modifications. All or part of each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to be configur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유닛), 무선 통신 모듈, 이동 단말기 및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Meanwhile,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unit),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 mobile terminal, and an air condition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code that can be read by a processor on a record carrier readable recording medium. Do.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are stored. Examples of the recording medium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etc., and include those implemented in the form of carrier waves such as transmission through the Internet. . In addition,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so that the processor-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In addition,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idea or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실외기
20: 실내기
50: 제어기
100: 전자 기기(유닛)
120, 300: 무선 통신 모듈
200: 이동 단말기
10: outdoor unit
20: indoor unit
50: controller
100: electronic device (unit)
120, 300: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00: mobile terminal

Claims (15)

통신 범위 설정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통신 범위 설정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 세기를 가지는 무선 신호를 통신 모듈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포함되고, 서로 구분되는 복수의 공조 공간에 각각 위치하는 복수의 유닛으로부터 상기 출력된 무선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한 복수의 유닛이 상기 응답 신호의 신호 세기에 따라 정렬하여 표시되는 탐색 결과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탐색 결과 화면에 표시되는 복수의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유닛이 선택되면, 선택된 유닛이 포함되는 그룹에 대한 모니터링(monitoring)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모듈은,
다중반송파를 이용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에 따라 변조된 신호를 출력하고,
수신된 신호를 상기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으로 복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Receiving a communication range setting input;
Outputting a wireless signal having a signal strength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mmunication range setting input through a communication module;
Receiving a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utput radio signal from a plurality of units included in an air conditioner system and located in a plurality of air conditioning spaces separated from each other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Displaying a search result screen displayed by arranging the plurality of units transmitting the response signal according to the signal strength of the response signal; And,
Includes; i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units displayed on the search result screen is selected, displaying a monitoring screen for the group containing the selected unit;
The communication module,
Outputs a signal modulated according to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using a multicarrier,
A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ived signal is demodulated by the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 결과 화면에 표시되는 복수의 유닛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확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확인 입력이 수신된 유닛으로 상기 확인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nd transmitting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firmation input to the unit where the confirmation input is received, when a confirmation input to any one of a plurality of units displayed on the search result screen is received.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신호를 소정 횟수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of outputting the wireless signal, the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less signal is broadcast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700Mhz 내지 900Mhz 대역의 주파수로 상기 무선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communication module, the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the radio signal at a frequency of 700Mhz to 900Mhz ban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인쇄회로기판(PCB)에 안테나 패턴(pattern)이 형성된 PCB 타입 안테나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communication module, the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 to a printed circuit board (PCB) antenna pattern (pattern) is formed in a PCB type antenn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유닛은, 상기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실내기 유닛 또는 실외기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elected unit is a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indoor unit or outdoor unit included in the air conditioner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화면은, 상기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유닛 중 하나 이상의 유닛에 대한 개별정보와 상기 그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monitoring screen, the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individual information for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units included in the group and information for the group.
이동 단말기가 수신한 통신 범위 설정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통신 범위 설정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 세기를 가지는 무선 신호를 제1 통신 모듈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포함되고, 서로 구분되는 복수의 공조 공간에 각각 위치하는 복수의 유닛 중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한 유닛들이 상기 출력된 무선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제2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한 유닛들이 상기 응답 신호의 신호 세기에 따라 정렬하여 표시되는 탐색 결과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탐색 결과 화면에 표시되는 유닛들 중 어느 하나의 유닛이 선택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선택된 유닛이 포함되는 그룹에 대한 모니터링(monitoring)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통신 모듈은,
다중반송파를 이용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에 따라 변조된 신호를 출력하고,
수신된 신호를 상기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으로 복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Outputting, through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a wireless signal having a signal strength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mmunication range setting input based on the communication range setting input received by the mobile terminal;
Among the plurality of units included in the air conditioner system and located in a plurality of air-conditioning spaces tha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units receiving the radio signals move the response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output radio signals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Transmitting to a terminal;
Displaying, by the mobile terminal, a search result screen in which units that have transmitted the response signal are sort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signal strength of the response signal; And,
Includes; when any one of the units displayed on the search result screen is selected, the mobile terminal displays a monitoring screen for the group containing the selected unit;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modules,
Outputs a signal modulated according to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using a multicarrier,
A method of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ived signal is demodulated by the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metho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 결과 화면에 표시되는 복수의 유닛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확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확인 입력이 수신된 유닛으로 상기 확인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When the confirmation input for any one of a plurality of units displayed on the search result screen is received, the mobile terminal transmit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firmation input to the unit where the confirmation input is received; Method of control of the harmonizer system.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한 유닛이 기설정된 피드백(feedback) 동작을 수행하도록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And a step of receiving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firmation input to perform a predetermined feedback opera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신호를 소정 횟수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step of outputting the radio signal is a method of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radio signal is broadcast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통신 모듈은,
700Mhz 내지 900Mhz 대역의 주파수로 상기 무선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modules,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the radio signal at a frequency of 700Mhz to 900Mhz ban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통신 모듈은,
인쇄회로기판(PCB)에 안테나 패턴(pattern)이 형성된 PCB 타입 안테나를 통하여, 상기 무선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modules,
A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e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less signal is output through a PCB type antenna having an antenna pattern form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PCB).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유닛은, 상기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실내기 유닛 또는 실외기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selected unit is a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indoor unit or outdoor unit included in the air conditioner system.
KR1020180012972A 2018-02-01 2018-02-01 Control method of mobile terminal and air-conditioner system Active KR1021350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972A KR102135082B1 (en) 2018-02-01 2018-02-01 Control method of mobile terminal and air-conditione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972A KR102135082B1 (en) 2018-02-01 2018-02-01 Control method of mobile terminal and air-conditioner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390A KR20190093390A (en) 2019-08-09
KR102135082B1 true KR102135082B1 (en) 2020-07-17

Family

ID=67613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972A Active KR102135082B1 (en) 2018-02-01 2018-02-01 Control method of mobile terminal and air-conditioner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508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0494B1 (en) * 2021-09-01 2022-11-28 주식회사 제이티 IoT management hub apparatus for construction sites
KR102561424B1 (en) * 2022-10-27 2023-08-01 문선영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using a complex device controlled by clusteri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164B1 (en) * 2007-12-18 2014-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its wireless device display method
KR101721878B1 (en) * 2010-11-30 2017-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A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390A (en) 2019-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1549B1 (en) Air conditioner system
KR102058048B1 (en) Control method of air-conditioner system
KR102137464B1 (en) Air conditioner system
US10760811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system
US10852024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system
US20180266719A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KR102366020B1 (en) Air-conditioner
KR102135082B1 (en) Control method of mobile terminal and air-conditioner system
KR102157546B1 (en) Air-conditioner system
KR102056170B1 (en) Control method of air-conditioner system
KR102393603B1 (en) Air-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000070B1 (en) Control method of air-conditioner system
KR102733244B1 (en) Air conditioner
KR102043064B1 (en) Control method of air-conditioner system
KR102043065B1 (en) Control method of air-conditioner system
KR102000069B1 (en) Control method of air-conditioner system
KR20200079585A (en) Control method of air-conditioner system
KR101976426B1 (en) Control method of air-conditioner system
KR102169277B1 (en) Air-conditioner system
KR102063634B1 (en) Control method of air-conditioner system
KR102411200B1 (en) Air-conditioner
KR102000071B1 (en) Air conditioner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4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7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7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