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26281B1 - System for detecting fire using smart fire detector based on IoT and the smart fire detector - Google Patents

System for detecting fire using smart fire detector based on IoT and the smart fire det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6281B1
KR102126281B1 KR1020190068077A KR20190068077A KR102126281B1 KR 102126281 B1 KR102126281 B1 KR 102126281B1 KR 1020190068077 A KR1020190068077 A KR 1020190068077A KR 20190068077 A KR20190068077 A KR 20190068077A KR 102126281 B1 KR102126281 B1 KR 102126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beacon
data
location
detec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80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태성
한민우
Original Assignee
한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민우 filed Critical 한민우
Priority to KR1020190068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628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281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08B21/14Toxic ga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위치 기반 기술을 융합한 화재 안전관리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화재 발생 시 화재감지와 건물 내 인원을 동시에 모니터링 하여 골든타임 내에 응급대피 및 최초 발화점에 대한 화재진압이 가능한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 중의 유해가스를 감지 및 온도를 감지하여 화재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재감지센서; 비콘을 내장하며, 피구조자가 착용 또는 패용하는 비콘단말로부터 비콘데이터를 획득하는 비콘스캔부; 상기 화재감지센서가 감지한 화재데이터와 상기 비콘스캔부가 획득한 비콘데이터를 결합하여 외부의 관제부로 유선 및 무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전송하는 유무선송신부; 상기 화재감지기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비콘스캔부에게 비콘 스캔 명령을 인가하여 상기 비콘단말을 스캔하도록 하고, 상기 화재감지센서에게 가스 및 온도를 계측하도록 하며, 스캔된 상기 비콘데이터 및 계측된 가스 및 온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화재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유무선송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 및 이를 이용하여 최적의 대피로를 제공하고,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는 화재 발화지점 및 화재진행 상황을 제공하는 화재감지시스템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e safety management service platform that incorporates indoor location-based technology to monitor fire detection and personnel in a building at the same time in the event of a fire, enabling IoT evacuation and fire suppression for the first ignition point in golden time. A detector and a fire detection system using the same, comprising: a fire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harmful gases in the air and detects temperature to generate fire data; A beacon scanning unit having a beacon and acquiring beacon data from a beacon terminal worn or worn by a rescuer; A wired/wireless transmission unit that combines the fire data detected by the fire detection sensor and the beacon data obtained by the beacon scanning unit and transmits it to at least one of wired and wireless to an external control unit; A power supply unit supplying operating power to the fire detector; And a beacon scan command applied to the beacon scanning unit to scan the beacon terminal, to measure the gas and temperature to the fire detection sensor, and fire data including the scanned beacon data and the measured gas and temperature data.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through the wired/wireless transmission unit; an Internet of Things-based smart fire detector, and an optimal evacuation route using the same. Provide the fire detection system provided.

Description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System for detecting fire using smart fire detector based on IoT and the smart fire detector}System for detecting fire using smart fire detector based on IoT and the smart fire detector

본 발명은 화재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내 위치 기반 기술을 융합한 화재 안전관리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화재 발생 시 화재감지와 건물 내 인원을 동시에 모니터링 하여 골든타임 내에 응급대피 및 최초 발화점에 대한 화재진압이 가능한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detector and a fire detection system using the same, and in particular, by providing a fire safety management service platform incorporating indoor location-based technologies, fire detection and personnel in a building are simultaneously monitored to provide emergency evacuation within golden time. It relates to a smart fire detector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capable of extinguishing a fire at the first ignition point and a fire detection system using the same.

화재는 일순간에 모든 것을 앗아가는 큰 재앙이다. 화재가 발생하면 불과 함께 사라지는 경제적 손실과 더불어 복구하는데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 Fire is a great disaster that takes everything away in an instant. In addition to the economic loss that goes away with fire in the event of a fire, recovery is costly and time consuming.

특히, 화재는 경제적 손실뿐만 아니라 무엇과도 바꿀 수 없고 영원히 복구도 할 수 없는 인명피해를 낳게 한다. In particular, fires not only result in economic losses, but also human lives that cannot be changed for anything and cannot be restored forever.

최근에 연속적으로 발생되는 화재참사(제천, 밀양 등)를 살펴보면, 화재 방지 시설이 잘 갖춰진 곳이라 할지라도 조금만 방심하면 순간적으로 큰 화재로 이어질 수 있다. 초기의 작은 화재가 큰 화재로 번지는 사고의 중심에는 건물 내 화재발생 시 이를 제어해야 할 컨트롤 타워가 부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If you look at the recent fire events (Jecheon, Miryang, etc.) that occur continuously, even a place with good fire protection facilities can lead to a big fire in a moment if you are a little vigilant. This is because there is no control tower in the center of the accident where the initial small fire spreads into a large fire to control the fire in the building.

따라서 화재가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에 힘쓰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지만 어쩔 수 없이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최단 시간 내에 화재의 발화점 및 발생원인을 파악하여 신속한 화재 진압과 더불어 인명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Therefore, it is most important to try to prevent fire, but in the event of a fire,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ignition point and the cause of the fire within the shortest time to quickly extinguish the fire and minimize human damage.

기존의 선행기술문헌을 살펴보면,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971623호(선행기술1)는 고층건물의 재난 자동 경보 및 피난 유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재난, 재해 등과 같은 비상상황 발생 시 자동으로 경보를 발령하고 피난을 유도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1은 건물의 구획마다 재난, 재해 등을 감지하는 센서부의 신호를 받아 중계기를 통하여 중앙서버로 전달하고, 중앙서버에서 그룹마다 경보 데이터를 구성하여 중계기를 통하여 전달하면, 각 위치별 스피커는 음성으로 경보를 알리고, 각 피난 유도등은 대피방향을 표시하고, 문자메시지를 휴대폰을 통하여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Looking at the existing prior art document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71623 (Prior Art 1) relates to an automatic disaster warning and evacuation guidance device for high-rise buildings, and automatically alerts whe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disaster or disaster occurs. An apparatus for issuing and inducing evacuation is disclosed. Prior art 1 receives the signal from the sensor unit that detects disasters, disasters, etc. in each building section and delivers it to the central server through the repeater. The alarm is notified by voice, and each evacuation guidance lamp is configured to indicate the evacuation direction and to deliver text messages through a mobile phone.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1은 사용자의 휴대폰으로 화재 문자 메시지만을 전송하기 때문에 화재가 발생한 긴급한 상황에서 건물의 내부를 잘 모르는 사람에게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고, 건물에 상주하는 사람이라 할지라도 긴급한 상황에서 자신의 사무실 이외에 다른 사무실의 호수까지 정확하게 판단할 수는 없기 때문에 문자만으로 안전한 비상구나 대피장소로 피신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prior art 1 only transmits a fire text message to the user's mobile phone, it does not help anyone who is not familiar with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in an emergency situation in which a fire occurs, and even a person who resides in the building can use hi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evacuate to a safe emergency exit or evacuation site using only text because it cannot accurately judge the lakes of other offices.

한편,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40887호(선행기술2)는 기존 소방감지기를 활용한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스마트 화재감지 안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소방감지기를 활용하여 소방 알림 시 등록 연락처로 해당 소방감지기에 등록된 해당 위치, 비상구 위치, 진입위치(대피방향) 등이 포함된 도면이나 웹이미지를 SMS 문자 또는 어플의 푸쉬 기능으로 전송하여 빠른 시간에 대피 및 구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IoT 스마트 화재감지 안내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9-0040887 (Advanced Technology 2) relates to the Internet of Things (IoT) smart fire detection guidance system using the existing fire detection sensor, and utilizes the existing fire detection sensor. When a fire is notified, a drawing or web image containing the location, emergency exit location, entry location (evacuation direction), etc. registered in the fire detector as a registered contact information is sent to the SMS text or the push function of the application so that evacuation and rescue is possible in a short time. An IoT smart fire detection guidance system has been disclosed.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2 또한 화재 발생 지역에 있는 인원에게 피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일 뿐, 발생된 화재를 적극적으로 진압하고 인명을 구호해야 하는 입장에서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 prior art 2 also only provides information necessary for evacuation to personnel in the fire-prone area,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helpful at all in terms of actively suppressing fire and saving lives.

따라서 건물 내 정확한 화재현황을 파악함으로써 골든타임 시간 안에 건물 내 인원을 긴급 대피시키고 미처 대피하지 못한 인명의 신속구조를 수행할 수 있는 관제 시스템이 절실히 필요하다. Therefore, it is desperately necessary to have a control system capable of urgently evacuating personnel in the building and performing rapid rescue of humans who have not been evacuated by grasping the exact fire situation in the building.

KR 10-0971623 B1 (2010.07.15.)KR 10-0971623 B1 (2010.07.15.) KR 10-2019-0040887 A (2019.04.19.)KR 10-2019-0040887 A (2019.04.19.)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기존의 화재 자동경보장치, 피난 유도장치, 소방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IoT 스마트 화재 감지 및 안내 시스템이 지닌 한계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화재감지뿐만 아니라 화재 발화지점 및 화재 발생지역 내 피난 대상인원을 동시에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재에 의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도록 새로운 기술을 갖춘 화재감지기 및 화재감지시스템을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 puts emphasis on solving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he existing automatic fire alarm system, evacuation guidance system, fire detection sensor, and IoT smart fire detection and guidance system using the above-mentioned comprehensively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mentioned matters. 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develop a fire detector and fire detection system equipped with new technologies so that the fire ignition point and the number of evacuees in the area where the fire occurred can be quickly identified at the same time, thereby minimizing human and property damage caused by fire.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as a result of continual research through intensive efforts.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열(온도) 및 연기에 의한 화재감지와 비콘(Beacon)에 의한 인원확인이 동시에 가능한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and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oT-based smart fire detector capable of simultaneously detecting fire by heat (temperature) and smoke and personnel by beacon.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실내위치기반 기술에 의한 건물 내 화재 자동관제가 가능한 실시간 운영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technical problem and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fire detector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and a fire detection system using the same, which can build a real-time operating platform capable of automatic control of fire in buildings by indoor location-based technology. It is.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스마트 화재감지기로부터 전달되는 실시간 화재정보를 수집하여 빅데이터 분석에 따른 모니터링 및 안전 대피로를 안내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technical problem and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real-time Internet-based smart fire detectors that can collect real-time fire information from smart fire detectors and guide monitoring and safety evacuation routes according to big data analysis. It is to provide a fire detection system.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technical problems and object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and objective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and objective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는, 건물 내에 설치되며, 가스 및 온도를 계측하여 화재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화재감지기에 있어서, 공기중의 유해가스를 감지 및 온도를 감지하여 화재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재감지센서; 비콘을 내장하며, 피구조자가 착용 또는 패용하는 비콘단말로부터 비콘데이터를 획득하는 비콘스캔부; 상기 화재감지센서가 감지한 화재데이터와 상기 비콘스캔부가 획득한 비콘데이터를 결합하여 외부의 관제부로 유선 및 무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전송하는 유무선송신부; 상기 화재감지기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비콘스캔부에게 비콘 스캔 명령을 인가하여 상기 비콘단말을 스캔하도록 하고, 상기 화재감지센서에게 가스 및 온도를 계측하도록 하며, 스캔된 상기 비콘데이터 및 계측된 가스 및 온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화재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유무선송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mart fire detector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building, and measures a gas and temperature in a fire detector to determine whether a fire has occurred. A fire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and generates fire data; A beacon scanning unit having a beacon and acquiring beacon data from a beacon terminal worn or worn by a rescuer; A wired/wireless transmission unit that combines the fire data detected by the fire detection sensor and the beacon data obtained by the beacon scanning unit and transmits it to at least one of wired and wireless to an external control unit; A power supply unit supplying operating power to the fire detector; And a beacon scan command applied to the beacon scanning unit to scan the beacon terminal, to measure the gas and temperature to the fire detection sensor, and fire data including the scanned beacon data and the measured gas and temperature data.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through the wired and wireless transmission unit.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하며, 상기 전원공급부가 비정상일 때 상기 화재감지기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구비함으로써 화재로 인한 정상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시에도 정상적인 화재감지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in the smart fire detector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is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for charging, and when the power supply unit is abnormal, a battery for supplying operating power to the fire detector; It is desirable to perform a normal fire detection operation even when normal power is not suppli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에 있어서, 상기 화재데이터로부터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판단하면 화재발생을 경보하는 부저 및 LE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smart fire detector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fire has occurred from the fire data, 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buzzer and an LED that alerts the fire.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은, 비콘을 내장하며, 피구조자가 착용 또는 패용하는 비콘단말; 건물 내에 설치되며, 가스 및 온도를 계측하여 화재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비콘단말을 스캔하여 건물 내 피구조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복수개의 화재감지기; 상기 화재감지기로부터 수신한 패킷에 포함되어 있는 화재데이터 및 비콘데이터로부터 화재발생 일시와 장소, 화재진행상황 및 피구조자의 인원과 위치, 동선을 모니터링하며, 상기 화재데이터 및 비콘데이터를 빅데이터 분석하여 상기 피구조자에게 대피로 정보를 제공하는 관제부; 및 상기 관제부로부터 화재경보 문자를 수신하고, 상기 관제부에서 제공하는 상기 대피로 정보를 수신하는 화재발생화재경보수신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fire detection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based smart fire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beacon, a beacon terminal worn or worn by a rescuer; A plurality of fire detectors installed in a building, measuring gas and temperature to determine whether a fire has occurred, and scanning the beacon terminal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rescued person in the building; From the fire data and beacon data contained in the packet received from the fire detector, monitor the date and place of fire, the progress of the fire, the number and location of the rescued, and the traffic, and analyze the fire data and beacon data by analyzing the big data A control unit providing information on evacuation to the rescuer; And a fire-generating fire alarm repair terminal receiving the fire alarm text from the control unit and receiving the evacuation rout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control unit.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콘단말은, 상기 피구조자의 신체에 패용할 수 있으며 비콘이 내장되어 있는 네임텍, 사원증, 방문증,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밴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e fire detection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based smart fire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con terminal can be worn on the body of the rescued person and has a beacon with a built-in name tag, employee ID card, visitor ID card, worn on the body. It can be any of the bands you ca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제부는, 상기 화재감지기로부터 수신한 패킷에 포함되어 있는 화재데이터 및 비콘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화재발생 일시와 장소, 화재진행상황 및 피구조자의 인원과 위치, 동선을 긴급출동기관과 공유함으로써 더욱 신속한 화재진압 및 구조가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fire detection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based smart fire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is provided with a database for storing fire data and beacon data included in the packet received from the fire detector, the fire Rapid fire suppression and rescue is possible by sharing the date and place of occurrence, the fire progress, the number and location of the rescued people, and the traffic routes with the emergency dispatch agenc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제부가 모니터링하는 피구조자의 인원과 위치 및 동선은, 피구조자별 실시간 위치표시, 위치별 피구조자 인원수 표시, 피구조자의 상세정보 표시 및 피구조자별 시간에 따른 위치의 연속보기를 통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fire detection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based smart fire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and location of the rescuers monitored by the control unit and the movement line, real-time location display for each rescuer, display of the number of rescuers for each location, avoidanc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provided through the detailed information display of the rescuer and the continuous view of the position according to the time of each rescuer.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화재감지뿐만 아니라 화재 발화지점 및 화재 발생지역 내 피난 대상인원(피구조자)을 동시에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어 화재에 의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minimizing damage to human life and property caused by fire, as it is possible to quickly identify not only the fire detection but also the fire ignition point and the evacuation target person (the rescuer) at the same time.

또한, 본 발명은 열(온도) 및 연기에 의해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와 비콘스캔부에 의한 인원확인이 동시에 이루어짐으로써 골든타임 내 피구조자의 안전한 응급대피 및 화재 발화점 정보를 통해 효과적인 화재진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e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a fire by heat (temperature) and smoke, and personnel confirmation by the beacon scan unit is performed at the same time. This has the possible effect.

또한, 본 발명은 실내 위치 기반 기술을 융합한 건물 내 화재 자동관제가 가능한 실시간 화재 안전관리 서비스 플랫폼을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easily constructing a real-time fire safety management service platform capable of automatic fire control in a building incorporating indoor location-based technology.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의 내부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이 화재감지를 자동으로 모니터링하는 실시간 화재관리 화면의 일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이 건물 내 화재발생 시 자동으로 전송하는 화재경보 문자 화면의 일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이 화재진행 상황 및 위험지역 내 인원의 대피동선을 제공하는 모니터링 화면 및 최적대피로 안내 화면의 일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의 인원별 실시간 위치관리 화면의 일 예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의 위치별 인원관리 화면의 일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의 인원별 동선관리 화면의 일 예시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 패킷 포맷의 일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제어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의 최적경로 생성 흐름도.
1A and 1B are conceptual diagrams of a fire detection system using an IoT-based smart fire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n IoT-based smart fire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of a real-time fire management screen in which the fire detection system using the IoT-based smart fire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monitors fire detection;
4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fire alarm text screen that a fire detection system using an IoT-based smart fire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transmits when a fire occurs in a building;
5 is an exemplary view of a monitoring screen and an optimal evacuation guidance screen in which the fire detection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based smart fire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evacuation lines for fire progress and personnel in a hazardous area;
6 is an exemplary view of a real-time location management screen for each person of a fire detection system using an IoT-based smart fire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is an exemplary view of the personnel management screen for each location of the fire detection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based smart fire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emplary view of a moving line management screen for each person of a fire detection system using an IoT-based smart fire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A to 10C are exemplary diagrams of data packet formats transmitted and received in an IoT-based smart fire detector and a fire detection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ontrol flow diagram performed in the fire detection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based smart fire det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low diagram of creating an optimal path of a fire detection system using the IoT-based smart fire det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에 대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n IoT-based smart fire detector and a fire detection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낸다. 하기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dentical elements in the figures indicat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rever possib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specific specific matters are shown, which are provided to help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all modification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An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Here, the attached drawings are exaggerated or simplified for a convenience and clarity of descrip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technology, and it is revealed that each component does not exactly match the actual size.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en an elem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ies of field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excluded in advance.

아울러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부"의 용어에 대한 의미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 또는 모듈 형태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and the meaning of the term "part" Means a unit or module type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dictionary used in general,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hould be interpreted as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anings commonly used or commonly recognized in the art. And,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to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Combinations of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and each step of the flowchart may be perform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mounted on a processor of a general purpose computer, special purpos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o that instructions executed through a processor of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may be used in each block or flowchart of the block diagram. In each step, means are created to perform the functions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는 화재의 열(온도) 및 연기에 의한 실내상태(공기질)를 감지센서를 통하여 분석함과 아울러 비콘스캔부를 이용하여 건물 내 인원수 및 이동경로 파악이 동시에 가능하고, 무선통신기능에 의하여 관련 정보를 수집 및 전달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The smart fire detector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the heat (temperature) of the fire and the indoor state (air quality) by smoke through a sensor, and can simultaneously identify the number of people in the building and the movement path using the beacon scanning unit. And, there is a feature that can collect and transmit related information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은 화재감지 시 신속한 발화지점 파악 및 건물 내 인원파악을 통한 긴급상황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건물 내 긴급 대피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스마트폰으로 알려줄 수 있는 실내위치기반 기술에 의한 건물 내 화재 자동관제가 가능한 실시간 운영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smart fire detector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ire detection system using the same can quickly detect the fire point when detecting fire and monitor the emergency situation through grasping the personnel in the building, and monitor the emergency evacuation situation in the building in real time. It has a feature that enables the construction of a real-time operating platform capable of automatic control of fire in buildings by indoor location-based technology that can be informed by a smartphone.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은 건물 내 스마트 화재감지기 정보수집을 통해 실시간으로 번져나가는 화재현황을 빅데이터 분석에 의하여 모니터링하고, 화재발생 시 사망원인이 가장 큰 연기에 의한 질식사에 대비하기 위하여 스마트 화재감지기의 공기질 센서분석에 따른 건물 내 안전 대피로를 안내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Internet of Things-based smart fire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ire detection system using the same monitor real-time spreading fire conditions through the collection of smart fire detector information in a building by analyzing big data and cause death in the event of a fire. In order to prepare for the suffocation by the biggest smoke, it has a feature that can guide the safety evacuation route in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air quality sensor of the smart fire detector.

먼저,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의 개념도로서,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무실이나 건물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시, 사무실이나 건물 내에 설치된 다수의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200)가 이를 감지함과 아울러 사무실이나 건물 내에 있는 인원이 착용 또는 패용하고 있는 비콘단말(100)을 스캔하여 구조해야 할 피구조자 현황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비콘데이터를 수신하고, 감지한 화재데이터 및 스캔한 비콘데이터를 관제부(300)로 전송한다. 화재감지기(200)는 관제부(300)에 데이터를 전송할 시, 중계기를 통한 근거리 무선통신 또는 이더넷(Ethernet)을 통한 TCP/IP 방식 또는 HTTP Json 방식으로 실시간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First, FIGS. 1A and 1B are conceptual views of a fire detection system using an IoT-based smart fire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A and 1B, when a fire occurs in an office or building, an office In addition, a number of IoT-based smart fire detectors 200 installed in a building detect this, and include information on the rescued persons to be rescued by scanning the beacon terminal 100 worn or worn by personnel in the office or building. The received beacon data is received, and the detected fire data and scanned beacon data ar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300. When transmitting data to the control unit 300, the fire detector 200 may perform data communication in real time by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a repeater or a TCP/IP method through Ethernet or an HTTP Json method.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기(200)로부터 화재데이터 및 비콘데이터를 수신한 관제부(300)의 운영서버(310)는 이를 DB(320)에 저장 및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화재감지 일시와 장소 및 구조되어야 할 피구조자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모니터링함과 아울러 피구조자의 스마트폰, 소방소의 통신단말 및 119구조대의 통신단말 등을 포함하는 화재경보수신단말(400)에 자동 통보함으로써 골든타임 내 피구조자의 안전한 응급대피 및 화재 발화점 정보를 통해 효과적인 화재진압이 가능하다. 한편, 더욱 신속한 화재진화 및 피구조자의 구조를 위하여 관제부(300)는 긴급출동기관과 모니터링 시스템을 공유할 수 있다. The operation server 310 of the control unit 300 that receives the fire data and the beacon data from the fire detecto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it in the DB 320 and analyzes the fire date and time and place and structure through big data analysis Generated information to be rescued, monitored this, and automatically notified to the fire alarm new terminal 400 including the rescuer's smartphone, the fire station's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119 rescue team's communication terminal. Effective fire suppression is possible through the user's safe emergency evacuation and fire ignition point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for faster fire extinguishing and rescue of the rescued, the control unit 300 may share the monitoring system with the emergency dispatcher.

상기 비콘단말(100)은 신체에 패용할 수 있으며 비콘이 내장되어 있는 네임텍, 사원증, 방문증,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밴드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공공기관이나 회사를 방문하기 위하여 임의의 건물에 들어서는 사람은 해당 공공기관이나 회사의 직원인 경우에는 비콘이 내장된 사원증이나 네임텍을 소지 또는 패용할 수 있고, 방문객인 경우에는 안내데스크와 같은 접수대에서 비콘이 내장된 방문증을 받아 소지할 수 있으며, 개인적으로 비콘을 내장한 밴드나 기타 비콘단말을 소지할 수 있다. 또한, 찜질방과 같은 장소에서는 사용자들이 각각 밴드형태로 소지하는 사물함 키가 비콘이 내장된 비콘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비콘단말(100)은 비콘이 내장되어 있고, 비콘이 활성화되어 있는 장치를 가리킨다.The beacon terminal 100 may be worn on the body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name tag, employee ID card, visit card, and a band that can be worn on the body. As an example, a person who enters an arbitrary building to visit a public institution or company may possess or use an employee ID card or name tag with a beacon in the case of an employee of the public institution or company, or an information desk in the case of a visitor. At the reception desk, you can receive a visitor card with a beacon built in, and you can personally carry a band or other beacon terminal with a beacon. In addition, in places such as a jjimjilbang, the key of the locker that each user has in the form of a band may be a beacon terminal with a beacon. Here, the beacon terminal 100 refers to a device in which a beacon is embedded and the beacon is activated.

상기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200)는 사무실이나 건물에 일정한 규칙에 따라 설치되는 장치로서, 화재 발생 시 열 및 연기에 의하여 변화되는 온도와 공기중 일산화탄소(CO)의 농도를 감지하는 센서와 비콘단말(100)로부터 비콘데이터를 스캔할 수 있는 비콘스캐너를 내장하고, 센서로부터 감지된 화재데이터 및 비콘단말(100)로부터 스캔한 비콘데이터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제부(300)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기(200)는 5-10초마다 화재감지 및 비콘단말(100)을 스캔할 수 있다.The IoT-based smart fire detector 200 is a device that is installed in an office or building according to certain rules. When a fire occurs, a sensor and a beacon that detects the temperature changed by heat and smoke and the concentration of carbon monoxide (CO) in the air. A beacon scanner capable of scanning beacon data from the terminal 100 is built in, and fire data detected from the sensor and beacon data scanned from the beacon terminal 100 ar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300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fire detecto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scan the fire detection and beacon terminal 100 every 5-10 seconds.

상기 관제부(300)는 크게 운영서버(310)와 DB(320)로 구성될 수 있으며, 관리자에게 관리상황을 모니터링하는 콘솔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운영서버(310)는 화재감지기(200)로부터 수신한 화재데이터 및 비콘데이터를 DB(320)에 저장함과 아울러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화재가 발생한 시각 및 위치를 파악하고, 지속적으로 전달되는 화재감지기(200)로부터의 화재데이터 분석을 통해 화재 발화지점과 진행상황을 파악할 수 있으며, 비콘데이터 분석을 통해 건물 내 피구조자의 인원수, 위치 및 이동상황을 파악하고, 화재 발화지점 및 진행상황과 피구조자의 현재위치에 근거하여 피구조자에게 개별적으로 최적의 대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300 may be largely composed of an operation server 310 and a DB 320, and may further include a console to monitor the management status to the administrator. The operation server 310 stores the fire data and beacon data received from the fire detector 200 in the DB 320, and also detects the time and location of the fire through big data analysis, and continuously delivers the fire detector ( The fire ignition point and progress can be identified through the analysis of fire data from 200), and the number, location, and movement of the rescuers in the building can be identified through the beacon data analysis, and the fire ignition point, progress, and rescue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information to the evacuee individually and optimally.

피구조자에게 최적의 대피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은 최초 화재 경보 문자를 발송할 시 화재정보 및 최적의 대피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URL을 제공할 수 있으며, 화재발생 구역 내에 위치하고 있는 피구조자는 로그인 없이 화재정보 및 대피로 정보에 접근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고, 최초 화재 경보 문자 발송 후, 주기적으로 화재정보 및 대피로 정보를 푸쉬 알림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The way to provide the best evacuation information to the rescuers can provide the URL to access the fire information and the optimum evacuation information when the first fire alarm text is sent, and the rescuers located in the fire zone are logged in It can be implemented to access and check the fire information and evacuation information without it, or after the initial fire alarm text is sent, the fire information and evacuation information can be provided periodically as a push notification.

화재 경보 알람, 화재 발화지점 및 진행상황과 피구조자에게 개별적으로 제공하는 최적 대피로 정보는 하기에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The fire alarm alarm, fire ignition point and progress and optimum evacuation information individually provided to the rescue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below.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의 내부 블록구성도로서, 화재감지기(200)는 MCU로 구현되는 제어부(210)와, 공기중의 일산화탄소 등 유해가스를 감지하는 제1센서 및 온도를 감지하는 제2센서를 적어도 포함하는 화재감지센서(220)와, 비콘단말(100)로부터 비콘데이터를 획득하는 비콘스캔부(230)와, 상기 화재감지센서(220)가 감지한 화재데이터와 상기 비콘스캔부(230)가 획득한 비콘데이터를 상기 운영서버(310)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는 유무선송신부(240)와, 화재감지기(200)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5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화재감지기(200)는 화재 발생 시 전원공급이 차단될 우려가 있으므로 배터리(260)를 내장하여, 정상상태에서는 전원공급부(250)를 통해 동작전원을 공급받고 배터리(260)를 충전하며, 전원공급부(250)가 비정상일 때 배터리(260)를 통해 동작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2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n IoT-based smart fire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e detector 200 includes a control unit 210 implemented as an MCU and a first sensor for detecting harmful gases such as carbon monoxide in the air, and Fire detection sensor 220 including at least a second sensor for sensing temperature, a beacon scanning unit 230 for obtaining beacon data from beacon terminal 100, and fire data sensed by the fire detection sensor 220 And the beacon scanning unit 230, the wired or wireless transmission unit 240 for transmitting the beacon data obtained by the wired or wireless to the operation server 310, and the power supply unit 250 for supplying operating power to the fire detector 200 It includes. In addition, the fire detector 200 has a built-in battery 260 because there is a fear that the power supply may be cut off in the event of a fire, in normal state, the operating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250 and the battery 260 is charged. , When the power supply unit 250 is abnormal, operating power may be supplied through the battery 260.

상기 제어부(210)는 비콘스캔부(230)에게 비콘 스캔 명령을 인가하고, 화재감지센서(220)에게 가스 및 온도를 계측하도록 하며, 스캔된 비콘데이터 및 계측된 가스 및 온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화재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유무선송신부(240)를 통해 운영서버(310)로 전송한다. The control unit 210 applies a beacon scan command to the beacon scan unit 230, causes the fire detection sensor 220 to measure gas and temperature, and fires including the scanned beacon data and the measured gas and temperature data. It receives the data and transmits it to the operation server 310 through the wired/wireless transmitter 24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감지기(200)는 가스센서 및 온도센서 이외에 추가로 요구되는 특정 센서들을 부가하기 위한 확장포트들이 구비된 인터페이스부(2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재데이터로부터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판단하면 즉각 부저 또는 LED를 통해 화재발생을 경보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2, the fire detector 200 may further include an interface unit 270 having expansion ports for adding specific sensors additionally required in addition to the gas sensor and the temperature sensor.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fire has occurred from the fire data, a fire may be immediately alerted through a buzzer or an LED.

상기 비콘스캔부(230)는 비콘의 호스트 기능을 포함하며, 다수의 비콘단말(100)로부터 비콘데이터를 스캔할 수 있다. The beacon scanning unit 230 includes a beacon host function, and can scan beacon data from a plurality of beacon terminals 100.

상기 화재감지센서(220)는 일산화탄소 농도를 500ppm까지 감지할 수 있는 가스센서와 150도까지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한계치 이상의 일산화탄소 농도 또는 온도가 감지되면 제어부(210)에 계측치를 전송하는 것과 별도로 즉각 부저 또는 LED를 통해 화재발생을 경보할 수 있다.The fire detection sensor 220 may include a gas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up to 500ppm and a temperature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 temperature up to 150 degrees, and if a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or temperature above a preset limit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In addition to transmitting the measurement value to 210, a fire can be immediately alerted through a buzzer or LED.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 패킷포맷의 일 예시도로서, 도 10a는 화재감지센서(220)가 제어부(210)에 전송하는 센싱 데이터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b는 비콘스캔부(230)가 비콘단말(100)로부터 획득한 스캔 데이터 포맷의 일례이며, 도 10c는 제어부(210)가 유무선송신부(240)를 통해 운영서버(310)에 비콘데이터 및 화재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데이터 패킷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10A to 10C are exemplary diagrams of data packet formats transmitted and received in the IoT-based smart fire detector and the fir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A shows the fire detection sensor 220 transmitting to the controller 210 10B is an example of a scan data format obtained by the beacon scanning unit 230 from the beacon terminal 100, and FIG. 10C is a control unit 210 through a wired/wireless transmission unit 240. It shows an example of a data packet format used to transmit beacon data and fire data to the operation server 310.

도 10a 내지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감지센서(220)는 계측한 온도와 가스농도에 대한 데이터 필드 및 화재 발생 여부를 표시하는 필드를 포함한 센싱 데이터 포맷으로 화재데이터를 제어부(210)로 전송한다. 한편, 제어부(210)는 비콘스캔부(230)로 하여금 비콘단말(100)을 스캔하여 비콘단말의 식별코드와 배터리 잔량을 나타내는 데이터 및 신호세기 데이터 필드로 구성된 스캔 데이터를 수신한다.10A to 10C, the fire detection sensor 220 transmits fire data to the control unit 210 in a sensing data format including a field indicating whether a fire occurs or a data field for measured temperature and gas concentration. send. Meanwhile, the control unit 210 scans the beacon terminal 100 by the beacon scanning unit 230 and receives scan data consisting of a data indicating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beacon terminal and the remaining battery power and a signal strength data field.

일 예시로,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200)는 도 10a에 도시된 화재감지센서(220)의 센싱 데이터와 도 10b에 도시된 비콘단말(100)의 스캔 데이터를 도 10c에 도시된 하나의 패킷으로 구성하여 운영서버(310)로 전송한다. 도 10c에 도시된 일 예시에서 보인 바와 같이, 화재감지기(200)는 10개의 비콘단말(100)로부터 스캔된 비콘 데이터를 한꺼번에 모아서 송신한다. 도 10a에 도시된 센싱 데이터 포맷의 비콘 카운트(Beacon Count) 필드는 감지되는 비콘단말(100)의 개수를 표시하는 것으로, 도 10b의 스캔 데이터를 전송한 비콘단말(100)의 개수와 일치하는 것으로 스캔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IoT-based smart fire detecto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sensing data of the fire detection sensor 220 shown in FIG. 10A and the scan data of the beacon terminal 100 shown in FIG. 10B in FIG. 10C. It is composed of one packet shown and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310. 10C, the fire detector 200 collects and transmits beacon data scanned from ten beacon terminals 100 at a time. The beacon count field of the sensing data format shown in FIG. 10A indicates the number of beacon terminals 100 that are detected, and matches the number of beacon terminals 100 that transmit the scan data of FIG. 10B. It can be us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scan data.

도 10c의 화재감지 패킷은 TCP/IP 또는 HTTP프로토콜의 JSON 방식으로 운영서버(310)로 전송되어 빅데이터 분석에 사용되며, DB(320)에 저장된다.The fire detection packet of FIG. 10c is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310 in the JSON method of TCP/IP or HTTP protocol, and is used for big data analysis, and is stored in the DB 320.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이 화재감지를 자동으로 모니터링하는 실시간 화재관리 화면의 일 예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기(200)에서 수신한 화재데이터 및 비콘데이터 분석 결과, 화재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운영서버(310)는 모니터링 화면에 화재감지시간 및 화재위치를 텍스트로 표시하는 알림창을 표시하며, 최초 화재가 감지된 즉, 화재 발화지점을 평면도 상에 표시하여 관리자가 화재 발생 위치를 직관적으로 빠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에서 화재는 최초로 회의실의 일측에서 발생하였음을 표시하고 있다. FIG. 3 is an exemplary view of a real-time fire management screen in which the fire detection system using the IoT-based smart fire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monitors fire detection, and fire data received from the fire detecto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eacon data analysis results,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fire has occurred, the operation server 310 displays a notification window displaying the fire detection time and the fire location in text on the monitoring screen, that is, the first fire is detected, that is, the fire ignition point. It is displayed on the floor plan so that the manager can intuitively and quickly recognize the location of the fire. In FIG. 3, it is indicated that the fire first occurred on one side of the conference room.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이 건물 내 화재발생 시 화재경보수신단말(400)로 자동으로 전송하는 화재경보 문자 화면의 일 예시도로서, 건물 내에 있는 사람들의 스마트폰 및 화재 발생 시 공조키로 사전 연동이 되어있는 긴급출동기관의 단말을 포함하는 화재경보수신단말(400)에게 운영서버(310)가 제공하는 정보이다. 화재경보 문자에는 화재감지시간 및 화재감지위치 정보가 포함된다. 도 4에서는 화재감지위치가 회의실이라고 짧게 표시되었으나, 화재감지기(200)는 회의실에도 다수개 설치될 수 있으므로, 화재를 최초로 감지한 화재감지기(200)의 맥주소(MAC Adress)를 실제 회의실을 분획한 어느 한 구역의 위치를 회의실 안쪽 우측 구석과 같이 더 상세히 표시할 수도 있다.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fire alarm text screen in which a fire detection system using an Internet of Things-based smart fire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transmits to a fire alarm new terminal 400 when a fire occurs in a building, people in a building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operation server 310 to the fire alarm repair terminal 400, which includes the terminal of the emergency dispatcher, which is pre-linked with the air conditioning key in the event of a smartphone and fire. The fire alarm text includes fire detection time and fire detection location information. In FIG. 4, the location of the fire detection is briefly indicated as a meeting room, but since the fire detector 200 may be installed in a number of meeting rooms, the actual meeting room is fractionated from the MAC address of the fire detector 200 that detects the fire for the first time. The location of any one zone may be displayed in more detail, such as in the right corner of the inside of the conference room.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이 화재진행 상황 및 위험지역 내 인원의 대피동선을 제공하는 모니터링 화면 및 최적대피로 안내 화면의 일 예시도로서, 분획된 구역마다 화재감지기(200)가 설치되어 있다. FIG. 5 is an exemplary view of a monitoring screen and an optimal evacuation guidance screen in which a fire detection system using an Internet of Things-based smart fire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evacuation routes of personnel in a fire progress situation and a dangerous area, and is divided into zones Each fire detector 200 is installed.

도 5의 (a)는 최초에 회의실의 상부 좌측 첫 번째 구역(화재 발화지점)에서 화재(적색점)가 감지된 후 휴게실, 창고 작업실로 화재가 진행된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b)는 화재진행 상황에 따라 경우의 수를 산출하는 재귀함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피구조자의 현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최적의 대피 경로(청색점)를 표시한 화면이다. 도 5의 화면은 운영서버(310)가 화재경보수신단말(400)에게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도 있으나, 피구조자가 도 4의 화재경보 문자를 클릭함으로써 운영서버(310)에 접속하여 수시로 확인할 수도 있다. 한편, 별도의 앱을 통해 화재진행 상황과 피구조자 자신의 현재위치 및 현 위치에서의 최적의 대피로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FIG. 5(a) shows that a fire (red point) was detected in the first area (fire ignition point) of the upper left of the meeting room, and then the fire proceeded to the break room and warehouse work room, and (b) the fire progress situation. This is a screen that displays the optimal evacuation route (blue dot) closest to the rescuer's current location using a recursive function algorithm that calculates the number of cases in accordance with. The screen of FIG. 5 may be periodically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server 310 to the fire alarm new terminal 400, but the rescued person may access the operation server 310 by clicking the fire alarm text of FIG. 4 and check it from time to time. On the other hand, through a separate app, the fire progress and the rescuer's own and current evacuation information can be checked.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제어흐름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의 최적경로 생성 흐름도로서, 화재 발생 시 운영서버(310)에서 생성하여 피구조자의 화재경보수신단말(400)로 제공하는 최적경로를 산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11 is a control flow diagram performed in the fire detection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based smart fire det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flowchart of generating an optimal path of the fire detection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based smart fire det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shows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optimal path generated by the operation server 310 in the event of a fire, and provided to the new fire alarm repair terminal 400 of the rescued person.

먼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의 운영서버(310)는 화재감지기(200)로부터 도 10c의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하고(501), 수신한 패킷 내에 화재알람 필드를 확인하여 화재발생이 확인되면(503), 화재가 감지된 좌표값(x,y)을 확인하고, 해당 좌표(x,y)를 지도어레이(Array)에 표시한다(505). 지도어레이는 지도로 나타낸 모니터링 구역을 좌표화한 것으로, 모니터링 구역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화재감지기(200)의 개별 위치가 하나의 좌표(x,y)가 된다. 또한, 각각의 좌표는 최초 각각의 상태에 따라 구분되는 표시값이 설정되는데, 예를 들어, 초기화(0), 화재(1), 피구조자(2), 출입구 또는 비상구(3), 대피로(4), 최적로 진행표시(5) 등으로 구분하여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first to FIG. 11, the operation server 310 of the fire detection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based smart fire det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data packet of FIG. 10c from the fire detector 200 and stores it in the database 320. (501), when a fire is confirmed by checking the fire alarm field in the received packet (503), the coordinate value (x,y) where the fire is detected is checked, and the coordinate (x,y) is mapped to the map array (Array). ) (505). The map array is a coordinated monitoring area indicated by a map, and individual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fire detectors 200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monitoring area become one coordinate (x,y). In addition, each coordinate is initially set to a display value that is classified according to each state, for example, initialization (0), fire (1), rescuer (2), exit or emergency exit (3), evacuation route ( 4), can be optimally divided into progress indicators (5) and the like.

이어, 운영서버(301)는 별도의 화재어레이에 화재가 발생한 좌표(x,y)를 저장하고(507), 피구조자의 위치를 확인하여 지도어레이에 피구조자의 좌표를 표시(509) 및 해당 좌표를 저장한다(511). 이어 운영서버(310)는 저장된 화재 발생위치 및 피구조자의 위치를 참조하여 피구조자 위치에서 최적경로를 산출하는 최적로 재귀함수를 실행하고, 최적로 재귀함수가 생성한 최적경로를 모니터링 화면과 긴급출동기관 및 피구조자의 화재경보수신단말(400)로 제공한다(515).Subsequently, the operation server 301 stores the coordinates (x,y) in which the fire occurred in a separate fire array (507), checks the location of the rescued person, and displays the coordinates of the rescued person on the map array (509) The coordinates are stored (511). Subsequently, the operation server 310 executes an optimal recursive function that calculates an optimal path from the rescuer's location by referring to the stored fire occurrence location and the location of the rescuer, and monitors the optimal path generated by the optimal recursive function and the emergency screen. It is provided to the fire alarm repair terminal 400 of the dispatching organization and the rescued (515).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의 최적경로 생성과정을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최적로 재귀함수는 피구조자의 현 위치에서 좌/우/전/후 순서로 실행된다(601). Referring to FIG. 12, the optimal path generation process of the fire detection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based smart fire det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xecuted in the order of left/right/front/back from the rescuer's current location. It becomes (601).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의 최적경로 생성 흐름도로서, 화재 발생 시 운영서버(310)에서 생성하여 피구조자의 화재경보수신단말(400)로 제공하는 최적경로를 산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12 is an optimal path generation flow chart of the fire detection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based smart fire det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generated by the operation server 310 in the event of a fire and is provided to the rescuer's fire maintenance new terminal 400 It shows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route.

일 실시 예로, 최적로 재귀함수는 왼쪽방향(x-1, y)에 대하여 상기 601단계의 실행하면서 먼저 좌표(x,y)가 기 설정된 지도어레이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하고(603), 지도어레이 범위를 벗어나면 진행방향이 대피로가 맞는지 판단한다(605).In one embodiment, optimally, the recursive function executes step 601 for the left direction (x-1, y), and first determines whether the coordinates (x,y) are outside the preset range of the map array (603). If it is out of rang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evacuation route is correct (605).

최적로 재귀함수가 실행되는 좌표가 지도어레이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진행한 방향이 좌표구분 표시값에 따라 대피로(4)가 맞으면, 해당 좌표를 경로어레이에 저장하고(607), 해당 좌표의 구분 표시값을 최적로 진행표시(5)로 변경한 후 지도어레이 좌표에 최적로 진행표시를 표시한다.If the direction in which the optimal recursive function is executed does not deviate from the range of the map array and the evacuation route (4) is correct according to the coordinate division display value, the coordinates are stored in the route array (607), and the division of the coordinates is displayed. After changing the value to the optimal progress indication (5), the optimal progress indication is displayed in the map array coordinates.

이어, 최적로 재귀함수 실행결과 출입구에 도착하면(611), 피구조자의 위치에서 출입구에 이르는 최적경로를 최적로어레이에 저장하고(613), 또 다른 최적경로를 생성하기 위하여 피구조자의 원위치로 복귀 및 최적로 진행표시(5)로 변경된 지도어레이 좌표를 대피로(4)로 복귀시킨 후 최적로 재귀함수(x+1, y)를 순차적으로 실행한다.Subsequently, when the optimal recursive function execution result arrives at the doorway (611), the optimal path from the rescuer's location to the doorway is stored in the optimal array (613), and to the rescuer's original position to create another optimal path. After returning and returning the map array coordinates changed to the optimal progress display 5 to the evacuation route 4, optimally recursive functions (x+1, y) are sequentially executed.

한편, 운영서버(310)는 615단계의 수행 후 모든 출입구를 찾았다고 판단되면(617), 최적로 재귀함수의 실행을 종료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all the entrances have been found (617) after the operation 615 is performed, the operation server 310 optimally ends the execution of the recursive func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의 인원별 실시간 위치관리 화면의 일 예시도로서, 비콘단말(100)을 휴대한 피구조자의 위치(GMAC)와 이를 감지한 화재감지기(200)의 위치(MAC), 피구조자의 인덱스(M_IX), 피구조자의 성명(MName), 피구조자 관련 정보(Memo) 및 소속(SCODE)를 표시하며, 모니터링 운영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해당 피구조자가 있는 위치를 우측의 상면도 상에 표시한다. 이에 따라, 운영자는 피구조자들의 현 위치를 개별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6 is an exemplary view of a real-time location management screen for each person of a fire detection system using an IoT-based smart fire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cting the location of the rescuer carrying the beacon terminal 100 (GMAC) and this It displays the location (MAC) of the fire detector 200, the index of the rescued person (M_IX), the name of the rescued person (MName), information about the rescued person (Memo) and belonging (SCODE), and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monitoring operator. The location of the rescued person is indicated on the top view on the right. Accordingly, the operator can individually identify the current positions of the rescued persons.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의 위치별 인원관리 화면의 일 예시도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내의 어느 위치에 몇 명의 피구조자가 위치하고 있고 위치한 피구조자의 상세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의 상면도 상에서 해당 위치를 선택하면 해당 위치에 있는 피구조자의 상세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7 and 8 is an exemplary view of the personnel management screen for each location of the fire detection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based smart fire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self-located and located rescuer, and as shown in FIG. 8, selecting the corresponding position on the left top view can monitor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rescued person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의 인원별 동선관리 화면의 일 예시도로서, 화재가 발생한 건물 내에 있는 피구조자의 리스트에서 선택된 피구조자의 시간별(시, 분, 초 단위) 동선을 도면상에 표시하여 주며, 시간 연속보기 버튼을 클릭하면 선택된 피구조자의 동선이 시간에 따라 차례로 도면상에 표시되거나 위치가 누적되어 표시됨으로써, 피구조자들이 이동한 경로를 상세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재가 번져서 사물인터넷 기기들이 동작을 멈추더라도 피구조자들의 현재 위치를 최대한 근접하여 추정할 수 있다.9 is an exemplary view of a traffic management screen for each person of a fire detection system using an Internet of Things-based smart fire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hour (hour, minute) of a rescued person selected from a list of rescuers in a fire-fighting building (In seconds, the copper wire is displayed on the drawing.) If you click the time continual view button, the copper wires of the selected rescued objects are displayed on the drawing in order or accumulate positions according to time. Can be monitored. Accordingly, even if the IoT devices stop operating due to the fir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rescued people can be estimated as close as possibl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은 화재감지뿐만 아니라 화재 발화지점 및 화재 발생지역 내 피난 대상인원(피구조자)을 동시에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어 화재에 의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mart fire detector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ire detection system using the same can quickly identify the fire ignition point and the evacuation target person (the evacuee) at the same time as well as fire detection. It can minimize human and property damage.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은 열(온도) 및 연기에 의해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와 비콘에 의한 인원확인이 동시에 이루어짐으로써 골든타임 내 피구조자의 안전한 응급대피 및 화재 발화점 정보를 통해 효과적인 화재진압이 가능하다.In particular, the smart fire detector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ire detection system using the same are a fire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a fire by heat (temperature) and smoke, and personnel confirmation by a beacon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rescuers within the Golden Time Effective fire suppression is possible through safe emergency evacuation and fire ignition point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은 실내 위치 기반 기술을 융합한 건물 내 화재 자동관제가 가능한 실시간 화재 안전관리 서비스 플랫폼을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mart fire detector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ire detection system using the same can easily construct a real-time fire safety management service platform capable of automatic fire control in a building incorporating indoor location-based technology.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첨부된 도면에 의해 참조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been specifical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referred to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by the scope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100: 비콘단말 200: 화재감지기
210: 제어부 220: 화재감지센서
230: 비콘스캔부 240: 유무선송신부
250: 전원공급부 260: 배터리
270: 인터페이스부 300: 관제부
310: 운영서버 320: 데이터베이스(DB)
400: 화재경보수신단말
100: beacon terminal 200: fire detector
210: control unit 220: fire detection sensor
230: beacon scanning unit 240: wired and wireless transmission unit
250: power supply 260: battery
270: interface unit 300: control unit
310: Operation server 320: Database (DB)
400: fire alarm new terminal

Claims (7)

건물 내부에 설치되며, 가스 및 온도를 계측하여 화재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화재감지기로서,
공기중의 유해가스를 감지 및 온도를 감지하여 화재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재감지센서;
피구조자가 착용 또는 패용하는 비콘이 내장된 비콘단말로부터 비콘데이터를 획득하는 비콘스캔부;
상기 화재감지센서가 감지한 화재데이터와 상기 비콘스캔부가 획득한 비콘데이터를 결합하여 외부의 관제부로 유선 및 무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전송하는 유무선송신부;
상기 화재감지기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비콘스캔부에게 비콘 스캔 명령을 인가하여 상기 비콘단말을 스캔하도록 하고, 상기 화재감지센서에게 가스 및 온도를 계측하도록 하며, 스캔된 상기 비콘데이터 및 계측된 가스 및 온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화재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유무선송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화재감지기는, 맥주소(MAC Adress)를 상기 건물 내부를 분획한 어느 한 구역의 위치에 대응하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
It is installed inside the building and measures the gas and temperature to determine whether a fire has occurred.
A fire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harmful gases in the air and detects temperature to generate fire data;
A beacon scanning unit for acquiring beacon data from a beacon terminal having a beacon built in or worn by a rescuer;
A wired/wireless transmission unit that combines the fire data detected by the fire detection sensor and the beacon data obtained by the beacon scanning unit and transmits it to at least one of wired and wireless to an external control unit;
A power supply unit supplying operating power to the fire detector; And
A beacon scan command is applied to the beacon scan unit to scan the beacon terminal, the fire detection sensor measures gas and temperature, and fire data including the scanned beacon data and the measured gas and temperature data.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through the wired and wireless transmission unit;
The fire detector, the Internet of Things-based smart fire detector, characterized in that to set in response to the location of a certain area that has fractionated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MAC Adres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하며, 상기 전원공급부가 비정상일 때 상기 화재감지기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
According to claim 1,
And a battery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supply and charges the battery and supplies operating power to the fire sensor when the power supply is abnorm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데이터로부터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판단하면 화재발생을 경보하는 부저 및 LE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
According to claim 1,
If it is determined that a fire has occurred from the fire data, the IoT-based smart fire detector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of a buzzer and an LED that alerts the fire.
비콘을 내장하며, 피구조자가 착용 또는 패용하는 비콘단말;
건물 내부에 설치되되, 맥주소(MAC Adress)를 상기 건물 내부를 분획한 어느 한 구역의 위치에 대응하여 설정하며, 가스 및 온도를 계측하여 화재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비콘단말을 스캔하여 건물 내 피구조자의 위치를 상기 분획한 구역 단위로 파악하는 복수개의 화재감지기;
상기 화재감지기로부터 수신한 패킷에 포함되어 있는 화재데이터 및 비콘데이터로부터 화재발생 일시와 장소, 화재진행상황 및 피구조자의 인원과 위치, 동선을 모니터링하며, 상기 화재데이터 및 비콘데이터를 빅데이터 분석하고 최적로 재귀함수에 따라 최적경로를 산출하여 상기 피구조자에게 대피로 정보를 제공하는 관제부; 및
상기 관제부로부터 화재경보 문자를 수신하고, 상기 관제부에서 제공하는 상기 대피로 정보를 수신하는 화재발생화재경보수신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A beacon terminal incorporating a beacon and worn or worn by a rescuer;
Installed inside the building, a beer address (MAC address) is set in correspondence to the location of a section where the building is divided, gas and temperature are measured to determine whether a fire has occurred, and the beacon terminal is scanned to build the building. A plurality of fire detectors for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rescued person in units of the divided zones;
From the fire data and beacon data contained in the packet received from the fire detector, monitor the date and place of the fire, the fire progress, the number and location of the rescued, and the traffic, analyze the fire data and beacon data and analyze the big data A control unit that calculates an optimal path according to an optimal recursive function and provides evacuation information to the rescuer; And
Fire detection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based smart fire detector, including; fire alarm repair and receiving terminal receiving the fire alarm text from the control unit, and receiving the evacuation rout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control unit.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단말은,
상기 피구조자의 신체에 패용할 수 있으며 비콘이 내장되어 있는 네임텍, 사원증, 방문증,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밴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The beacon terminal of claim 4,
A fire detection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based smart fire det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one of a band that can be worn on the body of the rescuer and has a beacon built in, such as a name tag, employee ID card, visit card, and a band that can be worn on the body.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부는,
상기 화재감지기로부터 수신한 패킷에 포함되어 있는 화재데이터 및 비콘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화재발생 일시와 장소, 화재진행상황 및 피구조자의 인원과 위치, 동선을 긴급출동기관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trol unit,
It has a database for storing the fire data and beacon data contained in the packet received from the fire detector,
A fire detection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based smart fire det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date and place of the fire, the progress of the fire, the number and location of the rescued people, and the traffic routes are shared with the emergency dispatch agency.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부가 모니터링하는 피구조자의 인원과 위치 및 동선은,
피구조자별 실시간 위치표시, 위치별 피구조자 인원수 표시, 피구조자의 상세정보 표시 및 피구조자별 시간에 따른 위치의 연속보기를 통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The number, location, and movement of the rescued persons monitored by the control unit,
Real-time location display for each rescuer, display of the number of rescuers by location, display of detailed information of the rescuers, and continuous detection of the location by time of the rescuers. .
KR1020190068077A 2019-06-10 2019-06-10 System for detecting fire using smart fire detector based on IoT and the smart fire detector Active KR1021262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077A KR102126281B1 (en) 2019-06-10 2019-06-10 System for detecting fire using smart fire detector based on IoT and the smart fire det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077A KR102126281B1 (en) 2019-06-10 2019-06-10 System for detecting fire using smart fire detector based on IoT and the smart fire dete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6281B1 true KR102126281B1 (en) 2020-06-25

Family

ID=71400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8077A Active KR102126281B1 (en) 2019-06-10 2019-06-10 System for detecting fire using smart fire detector based on IoT and the smart fire det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6281B1 (en)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5989B1 (en) 2021-01-18 2021-07-13 (주)전원테크 Fire prediction system that can predict the fire and the expected direction of fire
KR102360564B1 (en) 2021-10-01 2022-02-10 주식회사 리벤츠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OCIAL AND PUBLIC SECURITY NETWORK SERVICE BASE ON IoT
KR102369691B1 (en) 2021-07-19 2022-03-04 주식회사 동도이엔씨 Firefighting facility management system for apartment houses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KR20220029341A (en) * 2020-08-31 2022-03-08 주식회사 에녹커뮤니케이션 Internet Of Things-based multi-use facility evacuation guidance system
CN114255555A (en) * 2020-09-23 2022-03-29 深圳富桂精密工业有限公司 Fire escape guiding method, server and storage medium
KR20220075851A (en) 2020-11-30 2022-06-08 (주)아이오티뉴테크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between terminals and access point based on LoR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CN114783123A (en) * 2022-03-10 2022-07-22 朱志明 An intelligent fire fighting system
CN114796934A (en) * 2022-01-21 2022-07-29 国网山东省电力公司济南供电公司 Edge calculation fire extinguishing terminal based on Internet of things
KR20220120788A (en) * 2021-02-23 2022-08-31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re shutter control system
KR20220131072A (en) * 2021-03-19 2022-09-27 박영심 Small cell-based firefighting guidance service system and method
KR102711023B1 (en) 2023-12-15 2024-09-27 (주)삼우전기컨설턴트 Early suppression firefighting system for apartment complexes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KR20250042007A (en) 2023-09-19 2025-03-26 동의과학대학교산학협력단 Smart fire detection response system with evacuation guidance function based on fire progress analysis and its control method
CN120110579A (en) * 2025-05-08 2025-06-06 成都西亿达电子科技有限公司 An emergency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for natural disaster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623B1 (en) 2010-03-19 2010-07-21 (주)동남티디에스 Device for automatic disaster warning and evacuation guide of high building
KR101950093B1 (en) * 2017-07-21 2019-02-19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Fire disaster early warning system using beacon
KR20190040887A (en) 2017-10-11 2019-04-19 박영진 IoT Smart Fire Detection Guide System Using Existing Fire Detec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623B1 (en) 2010-03-19 2010-07-21 (주)동남티디에스 Device for automatic disaster warning and evacuation guide of high building
KR101950093B1 (en) * 2017-07-21 2019-02-19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Fire disaster early warning system using beacon
KR20190040887A (en) 2017-10-11 2019-04-19 박영진 IoT Smart Fire Detection Guide System Using Existing Fire Detector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8171B1 (en) * 2020-08-31 2023-03-09 주식회사 지성이엔지 Internet Of Things-based multi-use facility evacuation guidance system
KR20220029341A (en) * 2020-08-31 2022-03-08 주식회사 에녹커뮤니케이션 Internet Of Things-based multi-use facility evacuation guidance system
CN114255555A (en) * 2020-09-23 2022-03-29 深圳富桂精密工业有限公司 Fire escape guiding method, server and storage medium
KR20220075851A (en) 2020-11-30 2022-06-08 (주)아이오티뉴테크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between terminals and access point based on LoR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KR102275989B1 (en) 2021-01-18 2021-07-13 (주)전원테크 Fire prediction system that can predict the fire and the expected direction of fire
KR20220120788A (en) * 2021-02-23 2022-08-31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re shutter control system
KR102532639B1 (en) * 2021-02-23 2023-05-15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re shutter control system
KR20220131072A (en) * 2021-03-19 2022-09-27 박영심 Small cell-based firefighting guidance service system and method
KR102667866B1 (en) * 2021-03-19 2024-05-21 박영심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mall cell-based fire guidance services
KR102369691B1 (en) 2021-07-19 2022-03-04 주식회사 동도이엔씨 Firefighting facility management system for apartment houses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KR102360564B1 (en) 2021-10-01 2022-02-10 주식회사 리벤츠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OCIAL AND PUBLIC SECURITY NETWORK SERVICE BASE ON IoT
CN114796934A (en) * 2022-01-21 2022-07-29 国网山东省电力公司济南供电公司 Edge calculation fire extinguishing terminal based on Internet of things
CN114783123A (en) * 2022-03-10 2022-07-22 朱志明 An intelligent fire fighting system
CN114783123B (en) * 2022-03-10 2024-05-07 朱志明 An intelligent fire fighting system
KR20250042007A (en) 2023-09-19 2025-03-26 동의과학대학교산학협력단 Smart fire detection response system with evacuation guidance function based on fire progress analysis and its control method
KR102711023B1 (en) 2023-12-15 2024-09-27 (주)삼우전기컨설턴트 Early suppression firefighting system for apartment complexes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CN120110579A (en) * 2025-05-08 2025-06-06 成都西亿达电子科技有限公司 An emergency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for natural disaste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6281B1 (en) System for detecting fire using smart fire detector based on IoT and the smart fire detector
US7259656B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safe exit routes during an emergency condition
US8818713B2 (en) System and apparatus providing localized evacuation guidance
US10861311B2 (en) Method for monitoring personal protection equipment compliance
US20120047083A1 (en) Fire Situation Awareness And Evacuation Support
KR101755533B1 (en) Safe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KR102518678B1 (en) Digital twin evacuation platform that provides safe evacuation route information in case of fire or disaster through digital twin
KR101725802B1 (en) ICT based intelligence type shunting incitement system and Method of The Same
KR20170106665A (en) An intelligence type emergency shunting incitement method and system of the same
KR101444395B1 (en) Method and system of automatic intelligent control that can cope with emergency
NO317973B1 (en) Fire alarm and fire alarm system
EP2905760A2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 tagged headcount accounting
JP7530473B2 (en) Disaster situation assessment system
TWI442345B (en) Intelligent fire escape system
KR102081712B1 (en) Disaster safety integration system
CN111915823A (en) Fire extinguishing system, server and mobile terminal equipment
KR102424174B1 (en) System for controlling evacuation route guidance with smart direction indicator light using beacon
KR100637708B1 (en) Real-time firefighting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and firefighting information provision terminal
TWI774404B (en) Fire escape guidance and search and rescue assistance system, and information application method based on improving fire survival rate
KR102266545B1 (en) Central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for detecting dangerous substances
KR20220109631A (en) Fire escape route guidance system based on fire simulation and IoT sensor fusion
JP2005115797A (en) Fire alarm equipment
TWI494901B (en) Intelligent disaster prevention and guiding device and rescue system
KR102266482B1 (en) Fire detector and fire detec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US20240393766A1 (en) Event system integration for event respon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8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24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006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6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6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code: PG17011E01I

Patent event date: 20210316

Comment text: Request for Publication of Correction

Publication date: 2021032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