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2610B1 -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12610B1 KR102112610B1 KR1020130083119A KR20130083119A KR102112610B1 KR 102112610 B1 KR102112610 B1 KR 102112610B1 KR 1020130083119 A KR1020130083119 A KR 1020130083119A KR 20130083119 A KR20130083119 A KR 20130083119A KR 102112610 B1 KR102112610 B1 KR 1021126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core network
- communication
- direct connection
- identifi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단말의 장치 간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통신) 및 지원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장치 간 통신 방법은 D2D 통신에 사용되는 상기 단말 또는 단말 사용자의 근접 서비스 식별자(Proximity Service ID; ProSe ID)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ProSe ID를 이용하여 표현(expression)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표현을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 코어 망을 통해 다른 단말로부터 장치 간 직접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직접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직접 연결 허용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ProSe ID를 이용하여 상기 다른 단말과 장치 간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편리하게 장치 간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s to a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D2D communication) and a support method and device of a terminal, wherein the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uses the terminal or the terminal user used for D2D communication. Obtaining a proximity service identifier (Proximity Service ID; ProSe ID), generating an expression using the ProSe ID, broadcasting the generated expression, between devices from other terminals through a core network The method may include receiving a direct connection request message, transmitting a direct connection allowance message for the direct connection request message, and perform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other terminal and the device using the ProSe I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may be conveniently performed.
Description
본 명세서의 적어도 일부의 실시 예는 무선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 기반한 장치 간 통신(Device-to-Device communication; D2D통신)에 관한 것이다. At least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 to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D2D communication) based on a wireless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D2D통신은 단말이 인접한 단말과의 통신을 할 때 셀룰러 망(네트워크)을 이용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하는 방식으로서, 각 D2D용 단말은 자신의 정보를 상대 다른 단말들에게 알리기 위해 자신의 정보을 알린다. 이 때 단말이 자신의 정보를 상대 다른 단말들에게 알리기 위해 사용하는 자신의 정보는 예를 들어 상기 단말의 식별자 또는 단말 사용자의 식별자(이하 Proximity Service ID, ProSe ID 혹은 D2D ID)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인접 단말들로부터 수신하는 표현(expression)을 통해서 상대 단말들에 대한 정보를 습득하고 이 정보로부터 관심있는 상대 단말을 발견하는 경우 D2D 통신을 시도한다.D2D communication is a method of directly communicating data without using a cellular network (network) when a terminal communicates with an adjacent terminal. Each D2D terminal uses its own information to inform other terminals of its own information. Inform. In this case, the own information used by the terminal to inform other terminals of its own information may include, for example, the identifier of the terminal or the identifier of the terminal us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oximity Service ID, ProSe ID or D2D ID). . On the other hand, the terminal acquires information about the counterpart terminals through an expression received from neighboring terminals and attempts D2D communication when it finds the counterpart terminal of interest from this information.
한편, 통신 사업자들은 자신이 사용하고 있지 않는 허가 주파수 대역 혹은 셀룰러 망 등에서 할당되지 않고 있는 무선자원들을 활용해서 D2D통신을 제공하여 이익을 창출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따라서, 셀룰러 망을 기반으로 하여 D2D 통신을 제공하고 D2D서비스를 제어하려고 하는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communication providers are attempting to generate profit by providing D2D communication by utilizing radio resources that are not allocated in a licensed frequency band or a cellular network that they are not using. Accordingly, a method for providing D2D communication and controlling a D2D service based on a cellular network is being sought.
따라서, 셀룰러 망에서의 해당 단말의 페이징 등 제어를 하기 위하여 D2D 통신에서 사용되는 단말의 식별자 또는 단말 사용자의 식별자 (예를 들어 ProSe ID)로부터 셀룰러 망에서 할당받은 식별자(예를 들어 GUTI; Globally Unique Temporary UE Identity)를 알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Therefore, in order to control paging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in the cellular network, an identifier assigned in the cellular network from the identifier of the terminal used in D2D communication or the identifier of the terminal user (for example, ProSe ID) (for example, GUTI; Globally Unique) Temporary UE Identity) is needed.
본 명세서의 적어도 일부의 실시 예는 효과적으로 장치 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 간 통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at least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provide a device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between devices that can effectively perform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장치 간 통신 방법은 D2D 통신에 사용되는 상기 단말 또는 단말 사용자의 근접 서비스 식별자(Proximity Service ID; ProSe ID)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ProSe ID를 이용하여 표현(expression)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표현을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 코어 망을 통해 다른 단말로부터 장치 간 직접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직접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직접 연결 허용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단말과 장치 간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obtaining a Proximity Service ID (ProSe ID) of the terminal or a terminal user used for D2D communication, and expression using the ProSe ID Generating, broadcasting the generated expression, receiving a direct connection request message between devices from another terminal through a core network, transmitting a direct connection allowance message for the direct connection request message, and It may include the step of perform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other terminal and the device.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단말의 장치 간 통신 방법은, 다른 단말이 브로드캐스트하는 표현(expression)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표현으로부터 상기 다른 단말 또는 단말 사용자의 근접 서비스 식별자(Proximity Service ID; ProSe ID)를 획득하는 단계, 코어 망을 통해 상기 다른 단말에게 장치 간 직접 연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직접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직접 연결 허용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ProSe ID를 이용하여 상기 다른 단말과 장치 간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devices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receiving an expression broadcast by another terminal, and a proximity service ID (Proximity Service ID) of the other terminal or terminal user from the expression ID), transmitting a direct connection request message between devices to the other terminal through the core network, receiving a direct connection allowance message for the direct connection request message, and using the ProSe ID It may include the step of perform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device.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통신 엔터티의 장치 간 통신 지원 방법은, 제1 단말로부터 제2 단말에 대한 연결을 요청하는 직접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에게 페이징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이 연결 상태가 된 뒤, 상기 직접 연결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2 단말에게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직접 연결 메시지에 대한 직접 연결 허용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직접 연결 허용 메시지를 상기 제1 단말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method for supporting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of a communication ent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receiving a direct connection request message requesting a connection to a second terminal from a first terminal, and transmitting paging to the second terminal , After the second terminal is connected, transmitting the direct connection request message to the second terminal, receiving a direct connection allowance message for the direct connection message from the second terminal and the direct connection And transmitting an allowance message to the first terminal.
본 명세서의 적어도 일부의 실시 예에 따르면 효과적으로 장치 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may be effectively performed.
도 1은 EPC 망을 기반으로 한 D2D 통신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Expression의 구성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D2D 통신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D2D 통신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ProSe ID 전달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ProSe ID 전달 과정의 순서도이다.1 is a structural diagram of D2D communication based on an EPC network.
2 is a block diagram of Expre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3A and 3B are flowcharts of a D2D communic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4A and 4B are flowcharts of a D2D communication proces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5 is a flowchart of a ProSe ID delivery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6 is a flowchart of a ProSe ID delivery proces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셀룰러 망의 한 예로 EPC(Evolved Packet Core)망 즉 LTE 망의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명세서의 실시 예들은 LTE망 외의 무선 데이터 통신망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t this time,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although an example of an EPC (Evolved Packet Core) network, that is, an LTE network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cellular network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applied to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other than the LTE network.
본 명세서는 사용자 단말기(UE: User Equipment, 이하 'UE' 단말)이 근거리에 있는 다른 상대 단말을 발견하여 상기 단말과 D2D 통신을 하기 위해 셀룰러 망을 통해서 상기 상대 단말을 페이징하여 데이터 커넥션(connection)을 맺어서 D2D통신을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는 상기 단말이 상기 상대 단말을 셀룰러 망을 통해서 찾기 위해 단말이 방송하는 자신의 표현(이하 expression)을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는 상기 단말이 상기 상대 단말과 D2D통신을 하기 위해서 셀룰러 망을 통해서 페이징하거나 혹은 상기 상대 단말과 데이터 커넥션을 맺으려고 시도하는 경우 D2D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포함하여 권한(Authorization)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는 D2D통신에서 사용하는 자신의 식별자(Proximity Service ID, ProSe ID 혹은 D2D ID)를 셀룰러 망에 전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In this specification, a user terminal (UE: User Equipm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UE' terminal) discovers another terminal in the short distance and paging the counterpart terminal through a cellular network to perform D2D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to establish a data connection. It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D2D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the terminal's own express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expression) broadcast by the terminal in order to find the counterpart terminal through a cellular network. In additio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control authorization, including whether D2D communication is possible when the terminal attempts to establish a data connection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or a cellular network in order to perform D2D communication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It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In addition, this specifica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its own identifier (Proximity Service ID, ProSe ID or D2D ID) used in D2D communication to a cellular network.
이하 기술될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서는 EPC 망을 기반으로 하여 D2D통신을 하는 방안에 대해서 기술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EPC 망이 주로 예시되지만, 셀룰러 기반 네트워크의 다른 종류 코어가 EPC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o be described below, a method of performing D2D communication based on an EPC network will be described. Although EPC networks are mainly exemplified in this specification, other types of cores of cellular-based networks may take over the role of EPCs.
도 1은 EPC 망을 기반으로 한 D2D 통신의 구조도이다. Evolved Packet Core 1(EPC1)(103)은 홈 가입자 서버(Home Subscriber Server; HSS)(105),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S-GW)(106),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acket Data Network Gateway; PDN-GW; P-GW)(107) 및 이동성 관리 엔터티(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104)를 포함한다. UE1(101)은 eNB1(evolved Node B 1; 기지국 1)(102)를 통해 EPC1(103)과 연결된다. EPC2(114)은 HSS(111), S-GW(112), P-GW(113) 및 MME(110)를 포함한다. UE2(109)은 eNB2(109)를 통해 EPC2(114)과 연결된다. 두 MME(104, 110)는 서로 연결(116)되거나, 두 EPC(103, 114)가 동일한 하나의 MME를 공유할 수도 있다.1 is a structural diagram of D2D communication based on an EPC network. Evolved Packet Core 1 (EPC1) 103 includes a Home Subscriber Server (HSS) 105, a Serving Gateway (S-GW) 106, and a Packet Data Network Gateway (PDN). -GW; P-GW) 107 a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104. UE1 101 is connected to
UE1(101)과 UE2(108)는 각각 EPC1(103)과 EPC2(114)에 접속되어 있는 단말이다. UE1(101)과 UE2(108)는 모두 D2D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각 단말은 그 단말 자신에 상응하는 expression을 인접 단말들이 수신할 (들을) 수 있도록 discovery 채널을 통해서 방송한다. 여기서는 UE1(101)이 자신의 expression(118)을 방송한다. UE1 101 and UE2 108 are terminals connected to
방송되는 expression(118)을 수신한 단말 UE2(108)은 expression(118)을 통해서 UE1(101)의 ProSe ID(혹은 기타 식별자)를 알아낸다. UE2(108)가 UE1(101)과 D2D통신을 하기 원하는 경우, UE1(101)을 셀룰러 망에서 찾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UE2(108)는 eNB2(109)를 통해서(117) EPC2(114)에 ProSe ID등 UE1(101)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여 UE1(101)을 검색한다. 이러한 검색 요청은 EPC2(114)를 통해 EPC1(103)에게 전달될 수 있다. EPC1(103)은 UE1(101)에 대한 EPC1(103) 내의 식별자를 찾아낸다. EPC1(103)은 eNB1(102)를 통해서(115) UE1(101)에게 UE2(108)로부터 D2D 통신 요청이 왔음을 알린다. UE1(101)이 D2D 통신을 허락하면, 그러한 허락에 관한 통지가 다시 UE2(108)에게 전달되어 UE1(101)과 UE2(108)간의 D2D 데이터 커넥션 컨텍스트 등이 수립된다. 이에 기반하여 UE2(108)은 UE1(101)과 D2D RRC 설정(configuration)(119)을 수행한 후 D2D데이터 통신(120)을 한다.
The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expression의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expre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이 D2D통신에 대해서 허가를 받아서 D2D통신을 위해 discovery 채널을 통해서 도 2와 같은 구성의 expression을 생성하여 방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terminal receives permission for D2D communication and may generate and broadcast an expression of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2 through a discovery channel for D2D communication.
도 2를 참조하면 expression은 식별정보 필드(201), EPC 정보 필드(202) 및 사용자 선호 필드(20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expression includes an
단말은 자신에게 할당된 ProSe ID와 D2D통신 서비스 사용에 대한 인증을 얻을 때 받은 인증키(Auth key)와 다른 단말들에게도(공공에게) 공개된 정보 등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값으로 ProSe ID정보를 담고 있는 식별 정보 필드(201)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은 또한 상기 단말이 접속해 있는 EPC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EPC 정보 필드(202)와 UE 사용자의 선호도 혹은 상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선호 필드(203)를 생성할 수 있다. Expression은 상술한 필드들(201, 202, 20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terminal contains ProSe ID information as a value created by using the ProSe ID assigned to it and the authentication key received when obtaining authentication for the use of D2D communication service and information disclosed to other terminals (to the public). The
상기 식별 정보 필드(201)는 ProSe ID에 대한 보안을 위해서 해쉬 함수를 이용해서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expression을 수신한 단말은 자신의 친구 리스트에 있는 ProSe ID에 대해서 동일한 방식으로 해시함수를 이용해 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수신된 식별 정보와 동일한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ProSe ID가 상기 단말이 수신한 expression을 보낸 상대 단말의 ProSe ID이다. The
한편, 상기 단말이 접속해 있는 EPC망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EPC 정보 필드(202)는 상기 단말이 접속되어 있는 그룹 또는 망 장비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PC 정보 필드(202)는 ECGI(E-UTRAN Cell Global Identifier), TAI(Tracking Area Identity), GUMMEI(Globally Unique MME Identity) 또는 중 적어도 하나 이상,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혹은 EPC 정보 필드(202)는 상기 식별자들 중 어느 한 식별자의 일부분만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들어, PLMN ID(Public land mobile network identifier) 만 포함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반면에, EPC 정보 필드(202)는 상기 단말이 접속되어 있는 그룹 또는 망 장비의 식별자 대신, 상기 단말이 접속되어 있는 EPC 망으로부터 할당 받은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EPC 정보 필드(202)는 ECGI 및 CRNTI(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EPC 정보 필드(202)는 S-TMSI(SAE 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ty), GUTI(Globally Unique Temporary UE Identity) 및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혹은 EPC 정보 필드(202)는 상기 식별자들 중 어느 한 식별자의 일부분만 포함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단말이 접속해 있는 EPC 망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EPC 정보 필드(202)와 사용자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사용자 선호 필드(203)는 보안을 위하여 인증 과정 등을 통해서 공유된 암호 키를 사용하여 암호화 될 수도 있다. 인증 과정은 후술하는 도 3a의 356 단계 또는 도 4a의 456 단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또한, 상기 단말이 접속해 있는 EPC 망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EPC 정보 필드(202)가 단말이 접속되어 있는 EPC 망으로부터 할당 받은 단말 식별자를 포함하는 경우 보안을 위한 다른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EPC 망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EPC 정보 필드(202) 중에서 단말이 접속되어 있는 그룹 또는 망 장비의 식별자를 제외한 단말의 식별자에 해당하는 부분(예를 들어, GUTI에서 GUMMEI부분을 제외한 M-TMSI부분)는 암호화 되거나 인증코드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암호화 과정, 또는 인증코드 생성을 위해 단말이 EPC 망에 접속하기 위해 단말과 EPC 망 사이에 공유된 암호키 (예를 들어서 NAS security key등)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암호화된 정보 또는 인증코드를 이용하면, EPC 정보 필드(202)에 포함된 내용에 대한 보안 또는 무결성이 체크할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또한,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단말이 EPC 망에 접속하여 D2D 통신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받고 상기 실시 예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Expression을 생성하고 상대 단말로부터 수신한 Expression을 참조하여 상대 단말의 ProSe ID를 알아내고, 또한 ProSe ID에 해당하는 상대 단말의 셀룰러 망의 식별자를 획득하여 상기 상대 단말과의 관계에서 셀룰러 망을 통하여 페이징 및 데이터 커넥션을 맺는 과정에 대해서 기술하도록 한다. In additio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inal accesses the EPC network, authenticates the D2D communication service, generates an expression as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 and refers to the expression received from the opposite terminal, and the ProSe of the opposite terminal The process of establishing paging and data connection through the cellular network in a relationship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by obtaining the ID and obtaining the identifier of the cellular network of the counterpart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ProSe ID will be described.
도 3a 및 도 3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D2D 통신 과정의 순서도이다. 이하, 도 3a 및 도 3b를 통틀어 도 3이라고 칭한다. 도 3의 실시 예는 Expression의 EPC 정보 필드(202)가 그룹 또는 망 장비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경우에 관한 것이다. 3A and 3B are flowcharts of a D2D communic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Hereinafter, FIG. 3A and FIG. 3B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FIG. 3. The embodiment of FIG. 3 relates to a case where the
단말 UE1(320)과 단말 UE2(330)이 각각 EPC1(300)과 EPC2(350)에 접속하고 Prose 인증과정을 거쳐서 Expression을 생성하는 과정은 두 단말(320, 330)이 동일한 과정을 따르므로, UE2(330)의 절차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Since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expression through the process of the terminal authentication by the
단계 352에서 상기 UE2(330)은 EPC2(350)에 접속하기 위하여 어태치 요청(Attach Request) 메시지를 eNB2(340)을 통해서 EPC2망(350)에 송신한다. 상기 어태치 요청 메시지는 상기 단말(330)이 D2D 통신을 지원함을 지시하는 Prose 성능 지시자(Capability Indication)를 포함한다. In
단계 353에서 EPC2(350)의 MME가 HSS로부터 받은 가입정보(subscription information)에 기반하여 상기 UE2(33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MME는 HSS로부터 ProSe_ID2(UE2(330)의 D2D 식별자)를 함께 수신하여 EPC2(350) 내에서의 식별자와 ProSe_ID2의 매핑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핑정보는 MME외의 다른 망 장비에서 저장 및 관리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MME 등 EPC2 망에서 상기 매핑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후술한다. In
상기 단계 353에서 인증이 성공한 경우 단계 354에서 EPC2(350)는 어태치 허용(attach accept) 메시지를 단말 UE2(330)에게 송신한다. 상기 어태치 허용 메시지는 가입정보에 기반하여 D2D 통신에 대해 인증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ProSe 허가 통보(Permission Notification)을 포함한다. 상기 어태치 허용 메시지를 수신한 UE2(330)은 단계 355에서 어태치 완료(Attach complete) 메지시를 EPC2(350)에게 송신한다. 단계 355의 동작에 따라 UE2(330)의 망 진입 절차가 완료된다. UE2(330)은 단계 356에서 D2D 통신을 위한 설정을 하거나 D2D 통신서비스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If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in
그리고, 상기 도 2를 참조한 실시 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UE2(330)는 단계 358에서 Expression을 생성한다. 상기 D2D 통신 서비스에 대한 인증 과정에서 UE2(330)은 UE2(330)이 Expression을 생성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인증키(Auth key)를 수신할 수 있고, 또한 단말 UE2(330)은 Expression의 일부를 암호화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암호키 혹은 상기 암호키를 생성하기 위한 상위 암호키를 수신할 수도 있다. Then, as mentioned in the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FIG. 2,
단계 351에서 UE1(320)은 EPC1(300) 망에 진입한다. 단계 351의 절차는 단계 352 내지 단계 356의 절차에 상응하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UE1(320)은 단계 357에서 자신의 D2D 식별자인 ProSe_ID1와 EPC 정보(EPC info_UE1)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Expression을 생성한다. UE1(320)은 단계 359에서 생성된 expression을 방송하기 시작한다.In
단계 360에서 상기 UE2(330)은 UE1(320)이 방송하는 Expression을 수신하여, 수신된 Expression으로부터 Prose_ID1을 획득한다. 즉 해당 expression의 송신자 단말의 D2D 식별자가 Prose_ID1임을 확인할 수 있다. UE2(330)는 수신한 expression으로부터 해당 단말(320)에 대한 EPC1(300)에서의 접속된 장비의 식별자, 예를 들어 GUMMEI를 획득하고, ProSe_ID2를 이용하는 단말과 D2D 통신을 하기로 결정한다. In
상기 단말 UE2(330)은 ProSe_ID2를 이용하는 단말의 EPC내에서의 식별자를 아직 알지 못한다. 따라서, ProSe_ID2 사용자와의 D2D 커넥션을 만들기 위하여 단계 361에서 UE2(330)은 eNB2(340)을 통하여 EPC2(350)에게 직접 연결 셋업 요청(Direct Connection Setup Request) 메시지을 보낸다. 상기 직접 연결 셋업 요청 메시지는 상기 UE2(330)이 획득한 정보, 즉, ProSe_ID1, EPC info_UE1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신의 ProSe_ID2와 EPC info_UE2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단계 362에서 상기 EPC2(350)의 MME가 EPC info_UE1의 정보를 이용하여 ProSe_ID1의 단말과 자신의 망에 있는 ProSe_ID2 단말 간의 D2D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사업자 간의 서비스 협약(Service Agreement) 등, 혹은 기타 조건을 기반으로 체크할 수도 있다. The
D2D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 단계 363에서 EPC2(350)는 상기 직접 연결 셋업 요청 메시지를 EPC info_UE1의 정보에 따라 EPC1(300)에게 포워딩한다. 단계 364에서 EPC1(300)는 상기 전달된 직접 연결 셋업 요청 메시지(363)에 포함되어있는 ProSe_ID1과 EPC info_UE1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ProSe_ID1에 매핑되는 EPC1(300)에서의 단말 식별자를 찾아낸다. 예를 들어, 상기 검색 과정은 EPC1(300)의 MME가 수행할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that D2D communication is possible, in
또한, EPC1(300)은 상기 획득된 ProSE_ID1에 해당하는 EPC1(300)에서의 단말 식별자를 기반으로 해당 단말 즉, UE1(320)이 D2D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단말 UE1(320)이 유휴 모드에 있는 것으로 파악되는 경우 단계 365에서 EPC1(300)의 MME는 eNB1(310)에게 페이징 요청(Paging request)을 송신한다. 상기 eNB1(310)는 단계 366에서 UE1(320)에게 페이징을 송신한다. 이어 단계 367에서 상기 UE1(320)은 연결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과정을 수행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이어서, EPC1(300)은 단계 368 과 369에서 연결 모드에 있는 상기 UE1(320)에게 eNB1(310)을 통해서 상기 수신했던 직접 연결 셋업 요청 메시지를 전달한다.Subsequently, the
상기 단계 368에서 EPC1(300)은 eNB1(310)에게 직접 연결 셋업을 요청을 알리는 S1-AP 메시지를 보내고, 상기 S1-AP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eNB1(310)는 직접 연결 셋업을 위한 리소스 할당 정보 등을 준비한다. 상기 단계 368, 369의 S1-AP 메시지와 RRC 재설정(reconfiguration) 메시지는 직접 연결 셋업 요청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In
EPC1(300)은 상기 직접 연결 셋업 요청 메시지 대신 MME가 별도로 생성한 ProSe_ID2 및 EPC info_UE2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UE1(320)에게 전달할 수도 있다. 상기 직접 연결 셋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UE1(320)은 단계 370에서 ProSe_ID2의 단말로부터의 D2D 통신 요청을 수락한다. 그에 따라 UE1(320)은 단계 371과 372에서 D2D 통신 요청에 대한 수락 메시지, 즉 직접 연결 셋업 허용(Direct Connection Setup Accept) 메시지를 eNB1(310)을 통해서 EPC1(300)에게 전달한다. The
상기 단계 371에서 RRC 재설정(reconfiguration) 메시지를 받은 상기 eNB1(310)는 준비된 직접 연결 셋업을 위한 리소스 할당 정보 등을 상대 단말 UE2(330)이 접속하고 있는 eNB2(340)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단계 372의 S1-AP 메시지와 단계 373 및 단계 374의 과정을 이용할 수 있다. 혹은 변형 예에 따르면 eNB1(310)는 준비된 직접 연결 셋업을 위한 리소스 할당 정보 등을 상대 eNB2(340)에게 직접 전달할 수도 있다. In
단계 373에서 EPC1(300)은 직접 연결 셋업 허용 메시지를 EPC2(350)에게 전달한다. 단계 374와 375에서 EPC2(350)는 UE2(330)에게 직접 연결 셋업 허용 메시지를 전달한다. In
상기 단계 374에서 EPC2(350)은 eNB2(340)에게 직접 연결 셋업을 요청을 알리는 S1-AP 메시지를 보내고, 상기 S1-AP 메시지는 직접 연결 셋업을 위한 리소스 할당 정보 등을 포함한다. In
상기 단계 374, 단계 375의 S1-AP 메시지와 RRC 재설정(reconfiguration) 메시지는 직접 연결 셋업 허용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1-AP message and the RRC reconfiguration message of
이후에, 상기 eNB1(310)과 eNB2(340)가 할당하는 리소스를 이용하여 직접 연결무선 베어러(D2D radio bearer)를 셋업하는 과정을 거친다. 예를 들어, 단계 376에서 상기 UE2(330)은 상기 UE1(320)과의 사이에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connection)을 맺기(establish) 위하여 직접 RRC 연결 요청(Direct RRC connection Request) 메시지를 직접 UE1(320)에게 전달한다. 단계 377에서 UE1(320)은 직접 RRC 연결 셋업(Direct RRC connection setup) 메시지를 UE2(330)에게 송신한다. 단계 378에서 UE2(330)은 직접 RRC 연결 완료(Direct RRC connection complete) 메시지를 UE1(320)에게 송신한다. 그에 따라 무선(Radio) 베어러가 생성된다. 단계 379에서 UE1(320)과 UE2(330)는 상기 무선 베어러를 통해 D2D통신을 수행한다.Thereafter, a process of setting up a direct connection radio bearer (D2D radio bearer) is performed using resources allocated by the
도 4a 및 도 4b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D2D 통신 과정의 순서도이다. 이하, 도 4a 및 도 4b를 통틀어 도 4라고 칭한다. 도 4의 실시 예는 특히 Expression의 EPC 정보 필드(202)가 EPC로부터 할당받은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경우에 관한 것이다. 4A and 4B are flowcharts of a D2D communication proces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Hereinafter, FIGS. 4A and 4B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FIG. 4. The embodiment of FIG. 4 particularly relates to a case where the
단말 UE1(420)과 단말 UE2(430)이 각각 EPC1(400)과 EPC2(450)에 접속하고 Prose 인증과정을 거쳐서 Expression을 생성하는 과정은 두 단말(420, 430)이 동일한 과정을 따르므로, UE2(430)의 절차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Since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expression after the
단계 452에서 상기 UE2(430)은 EPC2(450)에 접속하기 위하여 어태치 요청 메시지를 eNB2(440)을 통해서 EPC2망(450)에게 송신한다. 상기 어태치 요청 메시지는 상기 단말(430)이 D2D통신을 지원함을 지시하는 Prose 성능 지시자(Capability Indication)을 포함한다. In
단계 453에서 EPC2(450)의 MME가 HSS로부터 받은 가입정보(subscription information)에 기반하여 상기 UE2(43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MME는 HSS로부터 ProSe_ID2(UE2(430)의 D2D 식별자)를 함께 수신하여 EPC2에서의 식별자와 ProSe_ID2의 매핑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핑정보는 MME외의 다른 망 장비에서 저장 및 관리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MME등 EPC2망에서 상기 매핑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후술한다. In
상기 단계 453에서 인증이 성공한 경우 단계 454에서 어태치 허용 메시지를 단말 UE2(430)에게 송신한다. 상기 어태치 허용 메시지는 가입정보에 기반하여 D2D 통신에 대해 인증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ProSe 허가 통보(Permission Notification)을 포함한다. 상기 어태치 허용 메시지를 수신한 UE2(430)은 단계 455에서 어태치 완료 메시지를 EPC2(450)에게 송신한다. 단계 455의 동작에 따라 UE2(430)의 망 진입 절차가 완료된다. 단계 456에서 UE2(430)은 D2D 통신을 위한 설정을 하거나 D2D 통신서비스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If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in
그리고, 단계 458에서 UE2(430)는 상기 도 2를 참조한 실시 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Expression을 생성한다. 방송하기 시작한다. 상기 D2D 통신 서비스에 대한 인증 과정에서 UE2(430)는 UE2(430)이 Expression을 생성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인증키(Auth key)를 수신할 수 있고, 또한 UE2(430)는 Expression의 일부를 암호화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암호키 혹은 상기 암호키를 생성하기 위한 상위 암호키를 수신할 수도 있다.Then, in
단계 451에서 UE1(420)은 EPC1(400) 망에 진입한다. 단계 451의 절차는 단계 452 내지 단계 456의 절차에 상응하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단계 457에서 UE1(420)는 자신의 D2D 식별자인 ProSe_ID1와 EPC info_UE1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Expression을 생성한다. 단계 459에서 UE1(420)는 생성된 expression을 방송하기 시작한다.In
단계 460에서 상기 UE2(430)은 UE1(420)이 방송하는 Expression을 수신하여, 수신된 Expression으로부터 Prose_ID1을 획득한다. 즉 해당 expression의 송신자 단말의 D2D 식별자가 Prose_ID1임을 확인할 수 있다. UE2(430)는 수신한 expression으로부터 해당 단말(320)에 대한 EPC1(400)으로부터 할당받은 단말 식별자(EPC ID_UE1) 예를 들어 GUTI를 획득하고, ProSe_ID2를 이용하는 단말과 D2D통신을 하기로 결정한다. In
상기 UE2(430)은 ProSe_ID2를 이용하는 단말과의 D2D 커넥션을 만들기 위하여 단계 461에서 eNB2(440)을 통하여 EPC2(450)에게 직접 연결 셋업 요청 메시지를 보낸다. 상기 직접 연결 셋업 요청 메시지는 상기 UE2(430)이 획득한 정보 즉, ProSe_ID1, EPC ID_UE1를 포함하고, 또한 자신의 ProSe_ID2와 EPC ID_UE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462에서 상기 EPC2(450)의 MME가 EPC ID_UE1의 정보를 이용하여 ProSe_ID1의 단말과 자신의 망에 있는 ProSe_ID2 단말간의 D2D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사업자 간의 서비스 협약(Service Agreement) 등을 기반으로 체크할 수도 있다. The
D2D 통신이 가능 하다고 판단한 경우, 단계 463에서 EPC2(450)는 상기 직접 연결 셋업 요청 메시지를 EPC ID_UE1의 정보에 따라 EPC1(400)에게 포워딩한다. 단계 464에서 EPC1(400)는 상기 전달된 직접 연결 셋업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어있는 EPC ID_UE1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단말, 즉, UE1(420)의 D2D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체크할 수도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D2D communication is possible, in
상기 UE1(420)이 유휴 모드에 있는 것으로 파악되는 경우 단계 465에서 EPC1(400)의 MME는 eNB1(410)에게 페이징 요청을 송신한다. 상기 eNB1(410)는 단계 466에서 UE1(320)에게 페이징을 송신한다. 단계 467에서 상기 단말 UE1(420)은 연결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과정(467)을 수행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이어서, EPC1(400)은 단계 468과 단계 469에서 연결 모드에 있는 상기 UE1(420)에게 eNB1(410)을 통해서 상기 수신했던 직접 연결 셋업 요청 메시지를 전달한다.Subsequently, the
상기 단계 468에서 EPC1(400)은 eNB1(410)에게 직접 연결 셋업 요청을 알리는 S1-AP 메시지를 보내고, 상기 S1-AP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eNB1(410)는 직접 연결 셋업을 위한 리소스 할당 정보 등을 준비한다. 상기 단계 468, 단계 469의 S1-AP 메시지와 RRC 재설정(reconfiguration) 메시지는 직접 연결 셋업 요청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In
EPC1(400)은 상기 직접 연결 셋업 요청 메시지 대신 MME가 별도로 생성한 ProSe_ID2 및 EPC ID_UE2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UE1(420)에게 전달할 수도 있다. 상기 직접 연결 셋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UE1(420)은 단계 470에서 ProSe_ID2의 단말로부터의 D2D 통신 요청을 수락한다. 그에 따라 UE1(420)은 단계 471과 472에서 D2D 통신 요청에 대한 수락 메시지, 즉 직접 연결 셋업 허용 메시지를 EPC1(400)에게 전달한다. The
상기 단계 471에서 RRC 재설정(reconfiguration) 메시지를 받은 상기 eNB1(410)는 준비된 직접 연결 셋업을 위한 리소스 할당 정보 등을 상대 단말 UE2(430)이 접속하고 있는 eNB2(440)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단계 472의 S1-AP 메시지와 단계 473 및 단계 474의 과정을 이용할 수 있다. 혹은 변형 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471에서 RRC 재설정(reconfiguration) 메시지를 받은 상기 eNB1(410)는 준비된 직접 연결 셋업을 위한 리소스 할당 정보 등을 상대 eNB2(440)에게 직접 전달할 수도 있다. In
단계 473에서 EPC1(400)은 직접 연결 셋업 허용 메시지를 EPC2(450)에게 전달한다. 상기 단계 474에서 EPC2(450)은 eNB2(440)에게 직접 연결 셋업 요청을 알리는 S1-AP 메시지를 보내고, 상기 S1-AP 메시지는 직접 연결 셋업을 위한 리소스 할당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n
상기 단계 474, 단계 475의 S1-AP 메시지와 RRC 재설정(reconfiguration) 메시지는 직접 연결 셋업 허용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1-AP message of
단계 474와 475에서 EPC2(450)는 UE2(430)에게 직접 연결 셋업 허용 메시지를 전달한다. 상기 단계 474에서 EPC2(450)은 eNB2(440)에게 직접 연결 셋업 요청을 알리는 S1-AP 메시지를 보내고, 상기 S1-AP 메시지는 직접 연결 셋업을 위한 리소스 할당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다. In
상기 단계 474, 단계 475의 S1-AP 메시지와 RRC 재설정(reconfiguration) 메시지는 직접 연결 셋업 허용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1-AP message of
이후에, 상기 eNB1(410)과 eNB2(440)가 할당하는 리소스를 이용하여 직접 연결무선베어러(D2D radio bearer)를 셋업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단계 476에서 상기 UE2(430)은 상기 UE1(420)과의 사이에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을 맺기(establish) 위하여 직접 RRC 연결 요청(Direct RRC connection Request)메시지를 직접 UE1(420)에게 전달한다. 단계 477에서 UE1(420)은 직접 RRC 연결 셋업(Direct RRC connection setup)메시지를 UE2(430)에게 송신한다. 단계 478에서 UE2(430)은 직접 RRC 연결 완료(Direct RRC connection complete)메시지를 UE1(420)에게 송신한다. 그에 따라 무선(Radio) 베어러가 생성된다. 단계 479에서 UE1(420)과 UE2(430)는 상기 무선 베어러를 통해 D2D통신을 수행한다.
Thereafter, a process of setting up a direct connection radio bearer using a resource allocated by the
또한,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ProSe ID를 EPC망의 ProSe ID와 EPC 망에서 할당받은 인식자의 매핑을 담당하는 EPC 장비(예를 들면 MME)에게 전송하는 과정에 대해 다루기로 한다.In additio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 process of transmitting a ProSe ID to an EPC device (for example, MME) in charge of mapping the ProSe ID of the EPC network to an identifier allocated from the EPC network will be described.
단말에 대한 상기 ProSe ID 정보는 도 3과 단계 353과 도 4의 단계 453에 기술된 바와 같이 망 진입 과정에서 MME가 HSS에게 위치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단말에 대한 가입정보를 받아오는 과정에서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HSS에 이미 저장되어있는 ProSe ID가 매핑을 담당하는 EPC 장비(예를 들면 MME)에게 할당되는 방법으로 전송될 수 있다. The ProSe ID information for the terminal will be transmitted in the process of updating location information to the HSS and receiving subscription information for the terminal in the process of entering the network as described in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ProSe ID 전달 과정의 순서도이다. UE(500)와 EPC(520) 사이에 eNB(510)가 위치한다. EPC(520)는 예를 들어 MME, S-GW, P-GW, HSS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521에서 단말(500)은 EPC망에 접속한다. 단계 522에서 Prose 설정(configuration) 및 Prose 인증(authorization)이 수행된다. 이 때 단말(500)은 ProSe ID를 획득한다. 단말(500)은 단계 523에서 별도의 NAS(Network Access Stratum) 메시지, 즉 ProSeID 등록 요청(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를 EPC(520)에게 송신한다. ProSeID 등록 요청 메시지는 상기 획득한 ProSe ID를 포함한다. EPC(520)는 단계 524에서 ProSeID 등록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ProseID 등록 완료 메시지를 UE(500)에게 송신한다. ProseID 등록 완료 메시지는 상기 ProSe ID를 포함한다. EPC(520)는 전달받은 ProSe ID와 상기 UE(500)가 EPC(520)로부터 할당받은 식별자의 매핑을 담당하는 EPC 장비(예를 들면 MME)에게 상기 ProSe ID를 전달하고, 상기 장비는 전달받은 ProSe ID와 EPC(520)로부터 상기 UE(500)가 할당받은 식별자와의 매핑관계를 저장한다. 즉, 상기 UE(500)의 ProSe ID 및 상기 UE(500)가 상기 EPC(520)로부터 할당받은 식별자를 서로 연결시켜 저장한다.5 is a flowchart of a ProSe ID delivery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도 6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ProSe ID 전달 과정의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of a ProSe ID delivery proces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UE(600)와 EPC(620) 사이에 eNB(610)가 위치한다. EPC(620)는 예를 들어 MME, S-GW, P-GW, HSS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621에서 단말(600)이 EPC(620)에게 어태치 요청(Attatch Request) 메시지를 송신한다. 어태치 요청 메시지는 ProSe 성능 지시자를 포함한다. 단계 622에서 EPC(620)는 UE(600)에게 어태치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는 어태치 허용(attach accept) 메시지를 송신한다. 단계 632에서 UE(600)는 자신이 유효한 ProSe_ID를 보유하고 있는지 판단한다. 단계 624에서 UE(600)는 EPC(620)에게 어태치 완료(complete) 메시지를 송신한다. 만약 UE(600)가 이미 유효한 ProSe_ID를 보유하고 있다면, UE(600)는 어태치 완료(attach complete)메시지에 상기 보유하고 있는 유효한 ProSe_ID를 포함시킨다. ProSe_ID는 EPC(620)의 ProSe_ID와 EPC망으로부터 할당받은 인식자의 매핑을 담당하는 EPC 장비(예를 들면 MME)에게 전달된다. 단계 625에서 상기 장비는 전달받은 ProSe ID와 EPC망에서 할당받은 인식자와의 매핑관계를 저장한다. 즉, 상기 UE(500)의 ProSe ID 및 상기 UE(500)가 상기 EPC(520)로부터 할당받은 식별자를 서로 연결시켜 저장한다.
The
본 명세서의 실시 예들에 사용되는 장치들, 즉, 단말, eNB 및 EPC의 구성 엔터티들, 예를 들어 MME, S-GW, P-GW 및 HSS는 각각 통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eNB 및 EPC의 구성 엔터티들의 통신부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단말, eNB 및 EPC의 구성 엔터티들의 제어부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라 동작하도록 각 장치를 제어한다.Device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at is, configuration entities of the terminal, the eNB and the EPC, for example, MME, S-GW, P-GW and HSS, respectively,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and a control unit.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configuration entities of the terminal, the eNB and the EPC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to perform an operation 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control unit of the configuration entities of the terminal, the eNB and the EPC controls each device to operate 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Claims (14)
D2D 통신에 사용되는, 상기 제1 단말 또는 상기 제1 단말의 사용자의 근접 서비스 식별자(Proximity Service ID; ProSe ID)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ProSe ID 및 상기 제1 단말에 대한 제1 코어 네트워크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표현(expression)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ProSe ID 및 상기 제1 코어 네트워크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표현을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
상기 제1 코어 네트워크 및 제2 단말에 대한 제2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장치 간 직접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장치 간 직접 연결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코어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직접 연결 허용 메시지를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과 장치 간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어 네트워크의 식별자는, 상기 제 2 단말이 상기 장치 간 직접 연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해 상기 제1 코어 네트워크를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In the method of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communication) of the first terminal,
Obtaining a proximity service identifier (Proximity Service ID; ProSe ID) of the first terminal or a user of the first terminal, used for D2D communication;
Generating an expression using the ProSe ID and an identifier of a first core network for the first terminal;
Broadcasting the representation including the ProSe ID and an identifier of the first core network;
Receiving a direct connection request message between devices from the second terminal through the second core network for the first core network and the second terminal;
Transmitting a direct connection permission message to the second terminal through the first core network and the second core network in response to the direct connection request message between the devices; And
And perform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second terminal and the device,
The identifier of the first core network, the second terminal is used to identify the first core network to transmit a direct connection request message between the devices.
The communication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xpression further comprises an identifier assigned by the first terminal to the first core network.
제1 단말이 브로드캐스트하는 표현(expression)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표현으로부터 상기 제1 단말 또는 상기 제1 단말의 사용자의 근접 서비스 식별자(Proximity Service ID; ProSe ID), 및 상기 제1 단말에 대한 제1 코어 네트워크의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코어 네트워크의 상기 식별자에 기반하여 장치 간 직접 연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해 상기 제1 코어 네트워크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코어 네트워크 및 제2 단말에 대한 제2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단말로 상기 장치 간 직접 연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장치 간 직접 연결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코어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직접 연결 허용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ProSe ID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단말과 장치 간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In the method of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communication) of the second terminal,
Receiving an expression broadcast by the first terminal;
Obtaining a proximity service identifier (Proximity Service ID) of the first terminal or a user of the first terminal from the expression, and an identifier of a first core network for the first terminal;
Identifying the first core network to transmit a direct connection request message between devices based on the identifier of the first core network;
Transmitting a direct connection request message between the devices to the first terminal through the second core network for the first core network and the second terminal;
Receiving a direct connection permission message from the first terminal through the first core network and the second core network in response to the direct connection request message between the devices; And
And perform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device using the ProSe ID.
The communication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expression further comprises an identifier assigned by the first terminal to the first core network.
The communication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expression further comprises an identifier of an entity storing a mapping relationship between a ProSe ID of the first terminal and an identifier assigned by the first terminal to the first core network.
상기 제1 코어 네트워크와 관련된 제1 단말 및 제2 코어 네트워크와 관련된 제2 단말 간 연결을 요청하는 장치 간 직접 연결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2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이 연결 상태가 된 뒤, 상기 장치 간 직접 연결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1 단말에게 전달하는 단계;
상기 장치 간 직접 연결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직접 연결 허용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직접 연결 허용 메시지를 상기 제2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단말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의 근접 서비스 식별자(Proximity Service ID; ProSe ID) 및 상기 제1 코어 네트워크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표현(expression)이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2 단말로 전송되고,
상기 제1 코어 네트워크의 식별자는, 상기 제 2 단말이 상기 장치 간 직접 연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해 상기 제 1 코어 네트워크를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지원 방법.
A method for support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D2D communication) of a communication entity in a first core network,
Receiving a direct connection request message between devices requesting a connection between a first terminal associated with the first core network and a second terminal associated with the second core network through the second core network;
Transmitting the direct connection request message between the devices to the first terminal after the first terminal is connected;
Receiving a direct connection permission message from the first terminal in response to a direct connection request message between the devices; And
And transmitting the direct connection permission message to the second terminal through the second core network,
The proximity service identifier (Proximity Service ID) of the first terminal and an expression including the identifier of the first core network are transmitted from the first terminal to the second terminal,
The identifier of the first core network, the second terminal is a communication suppor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used to identify the first core network to send a direct connection request message between the devices.
송수신부; 및
D2D 통신에 사용되는, 상기 제1 단말 또는 상기 제1 단말의 사용자의 근접 서비스 식별자(Proximity Service ID; ProSe ID)를 획득하고, 상기 ProSe ID 및 상기 제1 단말에 대한 제1 코어 네트워크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표현(expression)을 생성하고, 상기 ProSe ID 및 상기 제1 코어 네트워크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표현을 브로드캐스트하고, 상기 제1 코어 네트워크 및 제2 단말에 대한 제2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장치 간 직접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장치 간 직접 연결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코어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직접 연결 허용 메시지를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제2 단말과 장치 간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어 네트워크의 식별자는, 상기 제 2 단말이 상기 장치 간 직접 연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해 상기 제 1 코어 네트워크를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In the first terminal to perform a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communication),
Transceiver; And
Acquiring a Proximity Service ID (ProSe ID) of the first terminal or a user of the first terminal, used for D2D communication, obtains the ProSe ID and the identifier of the first core network for the first terminal To generate an expression, broadcast the expression including the ProSe ID and the identifier of the first core network, and transmit the expression through the second core network to the first core network and the second terminal. 2 receives a direct connection request message between devices from the terminal, transmits a direct connection allowance message to the second terminal through the first core network and the second core network in response to the direct connection request message between the devices, and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second terminal and the device,
The identifier of the first core network, the first termina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terminal is used to identify the first core network to transmit a direct connection request message between the devices.
The first terminal of claim 8, wherein the expression further includes an identifier assigned by the first terminal to the first core network.
The first terminal of claim 8, wherein the expression further comprises an identifier of an entity storing a mapping relationship between the ProSe ID and an identifier assigned by the first terminal to the first core network.
송수신부; 및
제1 단말이 브로드캐스트하는 표현(expression)을 수신하고, 상기 표현으로부터 상기 제1 단말 또는 상기 제1 단말의 사용자의 근접 서비스 식별자(Proximity Service ID; ProSe ID), 및 상기 제1 단말에 대한 제1 코어 네트워크의 식별자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코어 네트워크의 상기 식별자에 기반하여 장치 간 직접 연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해 상기 제1 코어 네트워크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코어 네트워크 및 제2 단말에 대한 제2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단말로 상기 장치 간 직접 연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장치 간 직접 연결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코어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직접 연결 허용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ProSe ID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단말과 장치 간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단말.
In the second terminal to perform a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communication),
Transceiver; And
A first terminal receives an expression that is broadcast, and from the expression, a proximity service identifier (Proximity Service ID; ProSe ID) of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or the first terminal, and a first terminal for the first terminal Acquire the identifier of the first core network, identify the first core network to transmit a direct connection request message between devices based on the identifier of the first core network, for the first core network and the second terminal A direct connection request message between the devices is transmitted to the first terminal through a second core network, and from the first terminal through the first core network and the second core network in response to the direct connection request message between the devices.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receives a direct connection allowance message and performs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device using the ProSe ID A second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terminal of claim 11, wherein the expression further comprises an identifier assigned by the first terminal to the first core network.
The second terminal of claim 11, wherein the expression further comprises an identifier of an entity storing a mapping relationship between a ProSe ID of the first terminal and an identifier assigned by the first terminal to the first core network.
송수신부; 및
상기 제1 코어 네트워크와 관련된 제1 단말 및 제2 코어 네트워크와 관련된 제2 단말 간 연결을 요청하는 장치 간 직접 연결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2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제1 단말이 연결 상태가 된 뒤, 상기 장치 간 직접 연결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1 단말에게 전달하고, 상기 장치 간 직접 연결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직접 연결 허용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직접 연결 허용 메시지를 상기 제2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단말에게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의 근접 서비스 식별자(Proximity Service ID; ProSe ID) 및 상기 제1 코어 네트워크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표현(expression)이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2 단말로 전송되고,
상기 제1 코어 네트워크의 식별자는, 상기 제 2 단말이 상기 장치 간 직접 연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해 상기 제 1 코어 네트워크를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엔터티.
A communication entity belonging to the first core network and supporting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of a communication entity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communication),
Transceiver; And
A direct connection request message between devices requesting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associated with the first core network and the second terminal associated with the second core network is received through the second core network, and the first terminal is connected After that, the direct connection request message between the devices is transmitted to the first terminal, and a direct connection permission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in response to the direct connection request message between the devices, and the direct connection permission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first terminal.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o the second terminal through a two-core network,
The proximity service identifier (Proximity Service ID) of the first terminal and an expression including the identifier of the first core network are transmitted from the first terminal to the second terminal,
The identifier of the first core network, the communication ent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terminal is used to identify the first core network to transmit a direct connection request message between the devices.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4/166,745 US9713182B2 (en) | 2013-01-28 | 2014-01-28 |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
PCT/KR2014/000795 WO2014116083A1 (en) | 2013-01-28 | 2014-01-28 |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
CN201480005898.XA CN104956763B (en) | 2013-01-28 | 2014-01-28 |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
EP14152831.5A EP2768272B1 (en) | 2013-01-28 | 2014-01-28 |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09353 | 2013-01-28 | ||
KR20130009353 | 2013-01-2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96955A KR20140096955A (en) | 2014-08-06 |
KR102112610B1 true KR102112610B1 (en) | 2020-05-19 |
Family
ID=51744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83119A Expired - Fee Related KR102112610B1 (en) | 2013-01-28 | 2013-07-15 |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112610B1 (en) |
CN (1) | CN104956763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46111B1 (en) | 2013-03-29 | 2019-11-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
KR102176921B1 (en) | 2014-05-16 | 2020-11-11 | 삼성전자 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ce continuity to mobile |
EP3248425B1 (en) | 2015-01-21 | 2022-01-1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ystem and method of d2d discovery message transmission |
CN106612489A (en) * | 2015-10-26 | 2017-05-03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A finding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proximity-based service |
JP2020010073A (en) * | 2016-11-07 | 2020-01-16 | シャープ株式会社 | Terminal, core network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
EP3659386B1 (en) * | 2017-07-25 | 2022-05-25 | Nokia Technologies Oy | Method and device for device-to-device (d2d) communicatio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00009675A1 (en) | 2008-07-14 | 2010-01-14 | Nokia Corporation | Setup of device-to-device connection |
US20110098043A1 (en) * | 2009-10-23 | 2011-04-28 | Nokia Corporation |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acilitating device-to-device connection establishment |
US20110317569A1 (en) | 2010-06-23 | 2011-12-29 | Nokia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to-Device Network Coordination |
US20120159167A1 (en) | 2010-12-16 | 2012-06-2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per m2m device between service provider and mobile network operator |
US20130016657A1 (en) | 2011-07-15 | 2013-01-17 | Ahmad Muhanna | Dynamic enablement of m2m services over 3gpp access networks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671880B2 (en) * | 2001-07-18 | 2005-07-13 | ソニー株式会社 |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EXPANSION DEVICE, AND PROGRAM |
KR101033430B1 (en) * | 2006-01-11 | 2011-05-09 |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transmitting, and / or using beacon signals in a wireless terminal |
CN102857901A (en) * | 2012-09-12 | 2013-01-02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Device discovery method, device discovery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discovering processing device |
-
2013
- 2013-07-15 KR KR1020130083119A patent/KR10211261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4
- 2014-01-28 CN CN201480005898.XA patent/CN104956763B/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00009675A1 (en) | 2008-07-14 | 2010-01-14 | Nokia Corporation | Setup of device-to-device connection |
US20110098043A1 (en) * | 2009-10-23 | 2011-04-28 | Nokia Corporation |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acilitating device-to-device connection establishment |
US20110317569A1 (en) | 2010-06-23 | 2011-12-29 | Nokia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to-Device Network Coordination |
US20120159167A1 (en) | 2010-12-16 | 2012-06-2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per m2m device between service provider and mobile network operator |
US20130016657A1 (en) | 2011-07-15 | 2013-01-17 | Ahmad Muhanna | Dynamic enablement of m2m services over 3gpp access networks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3GPP TR 22.803 V12.0.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4956763B (en) | 2019-08-06 |
KR20140096955A (en) | 2014-08-06 |
CN104956763A (en) | 2015-09-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713182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 |
CN104604298B (en) | Discovery and Operation of Hybrid Wireless WAN and WLAN | |
KR102212819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2d resources | |
US9713183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initial entry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CN103209412B (en) | Apparatus for establishing is to the method, apparatus and system of equipment connection | |
KR102294659B1 (en) | Method for supporting ue access control | |
CN103096290B (en) | Apparatus for establishing is to the methods, devices and systems of equipment connection | |
KR102046111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 |
US20140237125A1 (en) |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establishing device-to-device connection | |
KR102112610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 |
US20140130137A1 (en) | Method of device-to-device discovery and apparatus thereof | |
CN104812069A (en) | Position management method of terminal, paging method, device and terminal | |
KR102444040B1 (en) | Method and device for data transmission in vehicle internet system | |
CN102932765A (en) | Method and equipment for acquiring capability information | |
KR102233595B1 (en) | Method and device for proximity discovery among ues | |
CN107409437B (en) | A kind of DCN processing method of PLMN, UE and DCN service node | |
KR20130093953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s | |
CN105848083A (en) | Method, terminal and system for realizing communication | |
CN104113821A (en) | Discovery method among user equipment, discovery system among user equipment, and device | |
US20240357623A1 (en) | Broadcast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 |
US20180097807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initial access procedure based on authent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CN105101154B (en) | A kind of device-to-device authorization message configuration method, device and network element device | |
CN104980912B (en) | Method and device for notification and update of ProSe temporary identification | |
WO2015135269A1 (en) | Service discovery and authentication method, device, terminal, system, and computer storage medium | |
CN104982085B (en) | A paging method, device and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3051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3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