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1039B1 - Appratus for laparoscpoic surgery - Google Patents
Appratus for laparoscpoic surger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81039B1 KR102081039B1 KR1020120042725A KR20120042725A KR102081039B1 KR 102081039 B1 KR102081039 B1 KR 102081039B1 KR 1020120042725 A KR1020120042725 A KR 1020120042725A KR 20120042725 A KR20120042725 A KR 20120042725A KR 102081039 B1 KR102081039 B1 KR 1020810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ip
- potential
- conductive
- switch
- conductive ro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7
- 238000002357 laparoscopic surgery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23597 hemostasi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50 laparotom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069 Ti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579 abdominal fa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40 bl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04 blood vesse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11 non-condu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0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means of electrically-heated probes
- A61B18/08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085—Forceps, sciss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17/295—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combined with cutting impl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607—Coagulation and cutting with the same instru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Otolaryng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수술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복강경 수술 장치가 제공된다. 복강경 수술 장치는 서로 다른 극성의 전위가 인가되는 제1 및 제2 그립을 포함하는 집게부, 상기 제1 및 상기 제2 그립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그립 제어부 및 상기 제1 그립 및 상기 제2 그립에 인가되는 전위의 극성을 결정하는 전위 스위치를 포함한다.Laparoscopic surgical devices are provided that can shorten the surgical time. The laparoscopic surgery apparatus includes a forceps unit including first and second grips to which potentials of different polarities are applied, a grip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grips, and the first grip and the second grips. A potential switch for determining the polarity of the applied potential.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강경 수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집게부에 전위가 인가되는 복강경 수술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paroscopic surgery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paroscopic surgery apparatus is applied to the forceps portion.
복강경 수술은 개복하지 않고, 내시경을 환부에 삽입하여 환부를 관찰하며 수술하는 것을 말한다. 복강경 수술을 위하여는 인체의 피부에 형성된 좁은 구멍을 통하여 환부에 근접하여, 환부를 절개, 지혈 또는 봉합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복강경 수술 장치가 필요하다.Laparoscopic surgery means surgery without laparotomy, by inserting an endoscope into the affected part to observe the affected part. For laparoscopic surgery, a laparoscopic surgery apparatus capable of performing an operation such as incision, hemostasis, or suture of the affected part through a narrow hole formed in the human skin is needed.
복강경 수술 장치는 일측 단부에 환부에 대한 절개, 지혈 또는 봉합 등의 수술을 시행하는 팁을 포함할 수 있다. 팁은 시술의 종류에 따라 집게 형상 또는 고리 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강경 수술 장치는 복수의 팁, 팁을 구동하는 손잡이 등을 포함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 구조나 형상 등은 한국특허등록공보 제10-1098199호, 한국특허등록공보 제10-1091412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환부에 대한 수술의 용이성을 위해 복강경 수술 장치의 팁에 전위를 인가할 수도 있다. 팁에 전위를 인가하는 방법은 단극의 전위를 인가하는 방법과 서로 다른 극성의 전위를 한 쌍의 팁에 각각 인가하는 방법이 있다. 팁에 단극의 전위를 인가하는 벙법은 환자의 피부에 대극판을 부착하고, 팁에 한 극의 전위만을 인가하여 환자의 신체 전체를 통하여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것이다. 서로 다른 극성의 전위를 한 쌍의 팁에 인가하는 방법은 상호 절연된 한 쌍의 팁에 서로 다른 전위를 인가하여 필요한 부분에만 전류를 흐르도록 하여, 환자의 신체에 적은 부담을 주며 시술을 하는 방법이다. The laparoscopic surgical device may include a tip for performing an operation such as incision, hemostasis, or suture on the affected part at one end. The tip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tong shape or ring shape according to the type of procedure.
Laparoscopic surgery apparatus may have a shape including a plurality of tips, handles for driving the tip, etc., the structure or shape thereof is disclosed in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098199,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91412 It is.
Dislocations may be applied to the tip of the laparoscopic surgery device for ease of surgery on the affected area. The method of applying a potential to a tip includes a method of applying a potential of a single pole and a method of applying a potential of different polarities to a pair of tips, respectively. The method of applying a unipolar potential to the tip is to attach a counterplate to the patient's skin and apply only one pole to the tip to allow current to flow through the entire body of the patient. The method of applying a potential of different polarities to a pair of tips is to apply a different potential to a pair of insulated tips so that a current flows only in a necessary part, thereby giving a small burden to the patient's body. to be.
삭제delete
그런데, 복강경 수술 장치의 팁에 전위를 인가하여 수술하는 경우, 수술부위의 극성을 띠고 있는 부유물이 반대 극성의 팁에 점착될 수 있다. 부유물이 팁에 점착되면 팁 간, 또는 팁과 대극판 사이의 저항이 상승하여 전류가 잘 흐르지 못하게 되며, 따라서 수술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수술 시간이 증가하면 환자의 안전이 심각하게 위협받을 수 있다.However, when the operation is applied by applying a potential to the tip of the laparoscopic surgery apparatus, the float having the polarity of the surgical site may be attached to the tip of the opposite polarity. If the float adheres to the tip, the resistance between the tips, or between the tip and the counterplate increases, preventing current from flowing well, thus increasing the time required for surgery. Increasing the time of operation can seriously threaten patient safety.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부유물 점착을 완화시킬 수 있는 복강경 수술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paroscopic surgical device that can alleviate the adhesion of the float.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강경 수술 장치는 서로 다른 극성의 전위가 인가되는 제1 및 제2 그립을 포함하는 집게부, 상기 제1 및 상기 제2 그립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그립 제어부 및 상기 제1 그립 및 상기 제2 그립에 인가되는 전위의 극성을 결정하는 전위 스위치를 포함한다.Laparoscopic surger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forceps, including the first and second grips to which the potential of different polarity is applied, the first and second grip And a potential switch configured to determine the polarity of the potential applied to the first grip and the second grip.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t least the following effects.
즉, 복강경 수술 장치에의 부유물 점착이 완화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복강경 수술의 수술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That is, float adhesion to the laparoscopic surgery apparatus can be alleviated, thereby reducing the surgical time of laparoscopic surgery.
또, 복강경 수술 시 환자의 안전을 개선할 수 있는 복강경 수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provide a laparoscopic surgical device that can improve the safety of the patient during laparoscopic surgery.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강경 수술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게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위 스위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side view of a laparoscopic surger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orce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otential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When an element or layer is referred to as "on" another element or layer, it includes any case where another element or layer is interposed over or in the middle of another element.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of cours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of course,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강경 수술 장치의 측면도이다.1 is a side view of a laparoscopic surger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복강경 수술 장치(1000)는 집게부(100), 그립 제어부(300) 및 전위 스위치(5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집게부(100)는 체내에 삽입되어 환부에 대한 시술을 할 수 있다. 집게부(100)는 집게 형상으로 형성되어 원하는 부위를 잡거나 놓을 수 있으며, 집게부(100)의 동작은 그립 제어부(300)의 조작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The
집게부(110)는 제1 그립(110) 및 제2 그립(120)을 포함한다. 제1 그립(110)과 제2 그립(120)은 그립 제어부(300)의 조작에 의하여 말단의 거리가 조절되어, 제1 그립(110)과 제2 그립(120) 사이에 원하는 부위를 잡거나 놓을 수 있다. 제1 그립(110) 및 제2 그립(120)은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어 전위가 인가되고,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제1 그립(110) 및 제2 그립(120)은 인체 내부에 삽입되므로, 위생을 고려하여 부식에 강한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그립(110) 및 제2 그립(120)은 티타늄 합금, 스테인레스스틸 등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제1 그립(110)과 제2 그립(120)는 서로 다른 극성의 전위가 인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그립(110)에는 (+)극의 전위가 인가되고, 제2 그립(120)에는 (-)극의 전위가 인가될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제1 그립(110)과 제2 그립(120)에 서로 다른 극성의 전위가 인가됨으로써, 집게부(100)는 지혈, 봉합 및 절개와 같은 수술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그립(110)과 제2 그립(120)에 서로 다른 극성의 전위가 인가되면, 제1 그립(110)과 제2 그립(120)에 의하여 파지된 환부에 전류가 흘러 환부가 소작된다. 소작된 환부의 조직은 파괴되며, 이를 통하여 복강경 수술 장치(1000)는 혈관의 출혈을 멈추게 하거나, 개복술시의 복부 지방 조직을 절개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A potential of different polarities may be applied to the
제1 그립(110)과 제2 그립(120)에 인가된 전위의 극성은 반전될 수 있다. 수술시 제1 그립(110) 및 제2 그립(120)에 서로 다른 극성의 전위가 인가되면, 극성을 띠고 있는 환부의 부유물이 반대 극성의 그립에 점착되어 제1 그립(110)과 제2 그립(120) 사이의 저항을 증가시켜 전류가 흐름을 방해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지혈, 봉합 또는 절개와 같은 수술을 수행할 수 없어 수술 시간이 길어진다. 제1 그립(110)과 제2 그립(120)에 인가되는 전위의 극성이 반전되면, 일측의 그립에 이끌려 점착되던 극성을 띤 부유물이 타측의 그립으로 끌려가게 되므로, 부유물의 집중적인 점착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부유물의 점착에 의한 제1 그립(110)과 제2 그립(120) 사이의 저항 증가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수술 시간을 감소시켜 환자의 안전을 개선할 수 있다.Polarities of the potentials applied to the
도 2를 참조하여 집게부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게부의 분해 사시도이다.With reference to Figure 2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forceps.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orce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집게부(100)는 제1 그립(110), 제2 그립(120) 절연체(130) 및 제1 체결핀(14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제1 그립(110)은 제1 체결홀(1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홀(111)에는 제1 체결핀(140)이 삽입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제1 그립(110)은 제2 그립(120) 및 절연체(130)와 체결될 수 있다. The
제1 그립(110)의 제2 그립(120)과 마주보는 면에는 연속적인 굴곡이 형성될 수 있다. 굴곡은 연속적인 톱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그립(120)에도 제1 그립(110)과 마주보는 면에 연속적인 굴곡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그립(110)과 제2 그립(120)에 형성된 굴곡들은 상호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집게부(100)는 미끄러짐을 방지하며 대상물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Continuous bending may be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제1 그립(110)은 후술할 도전 파이프(230)와 연결될 수 있으며, 도전 파이프(230)를 통하여 전위를 인가 받을 수 있다.The
제2 그립(120)은 제2 체결홀(121) 및 가이드홀(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체결홀(121)에는 제1 체결핀(140)이 삽입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제2 그립(120)은 제1 그립(110) 및 절연체(130)와 체결될 수 있다.The
가이드홀(122)은 제2 그립(120)의 연장 방항과 어긋난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의 홀일 수 있다. 가이드홀(122)에는 후술할 도전 로드(21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제4 체결홀(212)을 관통하는 제2 체결핀(213)이 삽입될 수 있다. 도전 로드(210)의 일측 단부에는 사이에 홈을 형성하는 브랜치들(211)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제4 체결홀(212)는 브랜치들(211)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그립(120)의 가이드홀(122)이 형성된 영역 중 적어도 일부는 브랜치들(211)에 의하여 형성된 홈에 삽입될 수 있다. 도전 로드(210)의 이동에 따라 제2 체결핀(213)이 가이드홀(122)에 삽입된 위치가 변경되며, 그에 따라 제2 그립(120)은 제2 체결홀(12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운동을 하게 된다. 즉, 도전 로드(210)의 이동에 따라 제1 그립(110)과 제2 그립(120)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제2 그립(120)은 고정되어 있고, 제1 그립(120)만이 회전운동을 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으나, 제1 그립 및 제2 그립 모두가 회전운동을 할 수도 있다. 또, 제1 그립 및 제2 그립은 회전 운동이 아니라 상하의 직선 운동을 통하여서도 상호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도 있다.The
절연체(130)는 제1 그립(110)과 제2 그립(120) 사이에 삽입되어 제1 그립(110)과 제2 그립(120)을 상호 절연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절연체(130)는 제1 그립(110)의 두 개의 제1 체결홀(121)이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그립(120)의 제2 체결홀(120)의 양측에 절연체(130)가 배치될 수 있다. 집게부(100)는 절연체(130)를 포함하여 제1 그립(110)과 제2 그립(120)에 서로 다른 극성의 전위가 인가되어, 제1 그립(110)의 집게부와 제2 그립(120)의 집게부가 접촉하거나, 제1 그립(110)과 제2 그립(120) 사이에 인체와 같은 도전성 물질이 배치되지 않으면 제1 그립(110)과 제2 그립(120)이 상호 절연되도록 할 수 있다.The
절연체는 제3 체결홀(131)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체결홀(131)에는 제1 체결핀(140)이 삽입되어 절연체(130)를 제1 그립(110) 및 제2 그립(120)과 결합시킬 수 있다.The insulator may include a third fastening hole 131. The
제1 체결핀(140)은 제1 내지 제3 체결홀(111, 121, 131)을 관통하여 삽입되어, 제1 그립(110), 제2 그립(120) 및 절연체(130)를 상호 체결시킬 수 있다. 제1 체결핀(140)은 제1 그립(110)과 제2 그립(120)을 상호 절연시키기 위하여 비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복강경 수술 장치(1000)는 지지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200)는 일측이 집게부(100)와 연결되고, 타측이 후술할 본체(800)와 연결되어 집게부(100)를 지지한다. 지지대(200)는 제1 그립(110) 및 제2 그립(120) 각각에 전위를 전달한다. 지지대(200)는 후술할 그립 제어부(300)의 조작에 따른 도전 로드(210)의 움직임을 통해 제1 그립(110)과 제2 그립(120)의 움직임을 제어한다.Referring back to FIG. 1, the
지지대(200)의 일부 영역은 인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인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인체에 지지대(200) 및 집게부(100)를 삽입하기 위하여 인체에 형성하는 구멍의 크기를 줄이기 위하여 지지대의 직경은 기구적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범위에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에에 의하면, 지지대의 직경은 10mm 이하일 수 있다.Some regions of the
도 3을 통하여 지지대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의 단면도이다. The suppor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지지대(200)는 도전 로드(210), 내부 절연체(220), 도전 파이프(230) 및 외부 절연체(2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도전 로드(210)는 일단이 제2 그립(120)과 연결되어 제2 그립(120)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도전 로드(210)는 후술할 그립 제어부(300)의 움직임에 따라 도전 로드(210)가 연장된 방향과 평행하게 움직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그립 제어부(300)가 제2 그립(120)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One end of the
도전 로드(210)는 일측 단부가 제2 그립(120)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후술할 제2 연결전극(920)에 연결되어 제2 연결전극(920)으로부터 인가된 전위를 제2 그립(120)에 전달할 수 있다. 도전 로드(210)는 전위를 전달하기 위하여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의하면, 도전 로드(210)는 제1 그립(110) 또는 제2 그립(120)과 동일할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One end of the
내부 절연체(220)는 도전 로드(210)와 도전 파이프(230) 사이에 배치되어, 도전 로드(210)와 도전 파이프(230)를 상호 절연시킨다. 내부 절연체(220)는 도전 로드(210)를 둘러싸는 원통형의 형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internal insulator 220 is disposed between the
도전 파이프(230)는 내부 절연체(220)의 외측에 배치된다. 도전 파이프(230)는 내부가 비어 있는 관의 형태일 수 있으며, 도전 파이프(230)는 내부에 도전 로드(210) 및 내부 절연체(230)를 수용할 수 있다. The
도전 파이프(230)는 일측이 제1 그립(110)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1 연결전극(910)에 연결되어 제1 연결전극(910)으로부터 인가된 전위를 제1 그립(110)에 전달할 수 있다. 도전 파이프(230)는 전위를 전달하기 위해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의하면, 도전 파이프(230)는 제1 그립(11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 의하면, 도전 파이프(230)는 제1 그립(110) 또는 제2 그립(120)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외부 절연체(240)는 도전 파이프(230)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외부 절연체(240)는 절연 물질로 형성되어, 도전 파이프(230)가 외부 물질과 접촉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The
도 3에서는 지지대(200)가 상호 절연된 도전 파이프(230) 및 도전 로드(210)를 포함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지지대(200)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몇몇 실시예에 의하면, 지지대(200)는 상호 절연된 두 개의 평행한 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몇몇 실시예에 의하면, 지지대(200)는 굴절이 가능할 수 있으며, 관절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Although FIG. 3 discloses that the
또한, 도 3에서는 도전 로드(210)에 의하여 제2 그립(120)에 전위가 인가되고, 제2 그립(120)의 움직임이 제어되는 것을 개시하고 있으나, 몇몇 실시예에 의하면, 도전 로드(210)는 제2 그립(120)의 움직임만을 제어하고, 별도의 도선을 통하여 제2 그립(120)에 전위가 인가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FIG. 3 discloses that a potential is applied to the
복강경 수술 장치(1000)는 제1 연결전극(910) 및 제2 연결전극(9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전극(910) 및 제2 연결전극(920)은 후술할 몸체(8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전극(910) 및 제2 연결전극(920)은 도전 파이프(230) 및 도전 로드(210)에 각각 연결되어, 도전 파이프(230) 및 도전 로드(210)에 전위를 인가한다. 제1 연결전극(910) 및 제2 연결전극(920) 각각은 도전 파이프(230) 및 도전 로드(210)와 접촉하는 영역에 스프링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전극(910) 및 제2 연결전극(920)은 스프링 구조를 포함함으로써, 지지대(200)가 회전운동을 하거나, 로드(210)가 병진운동을 하더라도, 도전 파이프(230) 및 도전 로드(210)와의 접촉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The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그립 제어부(300)는 집게부(100)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말하면, 레버 형상의 그립 제어부(300)를 당기거나 놓음으로써, 도전 로드(210)가 그에 상응하도록 병진운동을 하게 된다. 도전 로드(210)의 병진 운동에 따라 제2 그립(120)은 제2 체결홀(121)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운동을 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제1 그립(110)과 제2 그립(120)의 말단부의 간격이 제어된다. 그립 제어부(300)가 도전 로드(210)의 병진운동을 제어하는 것은 한국특허공개 제10-2007-0109994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개시된 내용은 본 명세서에 충분히 개시된 것처럼 원용되어 통합된다. 그 밖에 당업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방법으로 그립 제어부(300)는 도전 로드(210)의 병진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그립 제어부(300)가 레버 형상인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그립 제어부는 그 밖에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의하면, 그립 제어부는 전기적인 신호로 집게부(100)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장치일 수도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 the
전위 스위치(500)는 제1 그립(110) 및 제2 그립(120)에 인가되는 전위의 극성을 제어할 수 있다. 전위 스위치(500)는 제1 상태 및 제2 상태로 설정될 수 있으며, 전위 스위치(500)의 상태에 따라 제1 그립(110) 및 제2 그립(120)에 인가되는 전위의 극성이 달라진다. 전위 스위치(500)는 푸시-풀(push-pull) 타입의 스위치일 수 있으며, 그 밖에 슬라이딩 스위치(Sliding Switch) 등의 다양한 형태의 스위치일 수 있다. The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전위 스위치(500)의 동작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위 스위치(500)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The operation of the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전위 스위치(500)가 제1 상태인 경우 도 4와 같이 제1 연결전극(910)에는 (-) 전위가 인가되고, 제2 연결전극(920)에는 (+) 전위가 인가되도록 스위치(SW)는 배선을 연결한다. 따라서, 전위 스위치(500)가 제1 상태인 경우 제1 연결전극(910)에는 (-) 전위가 인가되고, 제1 연결전극(910)은 도전 파이프(230)에 (-) 전위를 인가하고, 도전 파이프(230)는 제1 그립(110)에 (-) 전위를 인가한다. 마찬가지로, 전위 스위치(500)가 제1 상태인 경우 제2 연결전극(920)에는 (+) 전위가 인가되고, 제2 연결전극(920)은 도전 로드(210)에 (+) 전위를 인가하고, 도전 로드(210)는 제2 그립(110)에 (+) 전위를 인가한다.4 and 5, when the
전위 스위치(500)가 제2 상태인 경우 도 5와 같이 제1 연결전극(910)에는 (+) 전위가 인가되고, 제2 연결전극(920)에는 (-) 전위가 인가되도록 스위치(SW)는 배선을 연결한다. 따라서, 전위 스위치(500)가 제2 상태인 경우 제1 연결전극(910)에는 (+) 전위가 인가되고, 제1 연결전극(910)은 도전 파이프(230)에 (+) 전위를 인가하고, 도전 파이프(230)는 제1 그립(110)에 (+) 전위를 인가한다. 마찬가지로, 전위 스위치(500)가 제1 상태인 경우 제2 연결전극(920)에는 (-) 전위가 인가되고, 제2 연결전극(920)은 도전 로드(210)에 (-) 전위를 인가하고, 도전 로드(210)는 제2 그립(110)에 (-) 전위를 인가한다.Whe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강경 수술 장치(1000)는 전위 스위치(500)를 조작하여 제1 그립(110) 및 제2 그립(120)에 인가되는 전위의 극성을 제어할 수 있어, 부유물의 점착에 의한 제1 그립(110)과 제2 그립(120) 사이의 저항 증가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수술 시간을 감소시켜 환자의 안전을 개선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복강경 수술 장치(1000)는 회전자(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자(400)는 지지대(200)와 연결되어, 지지대(200) 및 집게부(1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자(400)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회전자(400)는 굴곡진 표면을 가질 수 있다. 회전자(400)는 집게부(100)를 회전시켜 수술의 대상 물체를 다양한 각도에서 파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회전자(400)의 예시적인 구성은 한국특허공개 제10-2007-0109994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개시된 내용은 본 명세서에 충분히 개시된 것처럼 원용되어 통합된다. 그 밖에 당업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방식으로 회전자(400)는 구현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의하면, 회전자(400)는 생략될 수도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 the
복강경 수술 장치(1000)는 고정 스위치(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스위치(600)는 제1 상태 및 제2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고정 스위치(600)가 제1 상태로 설정되면, 그립 제어부(300)에 의해 집게부(100)의 움직임이 제어 가능하다. 고정 스위치(600)가 제2 상태로 설정되면, 그립 제어부(300)에 의해 집게부(100)가 제어되지 않으며, 집게부(100)는 제2 상태로 설정되는 때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복강경 수술 장치(1000)는 고정 스위치(600)를 통하여 집게부(100)의 파지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슬라이딩 스위치 타입의 고정 스위치(600)를 예시하고 있으나, 고정 스위치는 그 밖에 다양한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에에 의하면, 고정 스위치(600)는 생략될 수도 있다.
복강경 수술 장치(1000)는 전원 연결 단자(7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연결 단자(700)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전원 연결 단자(700)는 전위 스위치(500)와 연결되어 전위 스위치(500)에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 전위 및 (-) 전위를 전달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의하면, 복강경 수술 장치(1000)는 내부에 배터리와 같은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전원 연결 단자(700)는 생략될 수도 있다.The
복강경 수술 장치(1000)는 몸체(80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800)는 그립 제어부(300), 회전자(400), 전위 스위치(500), 고정 스위치(600) 및 전원 연결 단자(700)를 지지할 수 있다. 몸체(800) 내부에는 제1 연결 전극(910) 및 제2 연결 전극(920)이 배치될 수 있으며, 그 밖에 그립 제어부(300)의 조작을 도전 로드(210)으로 움직임으로 변환하기 위한 장치, 고정 스위치(600)의 조작에 의해 집게부(100)의 움직임을 허용하거나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 전위를 전달하기 위한 배선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몸체(800)는 사람의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laparoscopic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 can understand that.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집게부 110: 제1 그립
120: 제2 그립 130: 절연체
140: 제1 체결핀 200: 지지대
210: 도전 로드 220: 내부 절연체
230: 도전 파이프 240: 외부 절연체
300: 그립 제어부 400: 회전자
500: 전위 스위치 600: 고정 스위치
700: 전원 연결 단자 800: 몸체
910: 제1 연결 전극 920: 제2 연결 전극100: tongs 110: first grip
120: second grip 130: insulator
140: first fastening pin 200: support
210: conductive rod 220: internal insulator
230: conductive pipe 240: outer insulator
300: grip control unit 400: rotor
500: potential switch 600: fixed switch
700: power connection terminal 800: body
910: first connection electrode 920: second connection electrode
Claims (3)
상기 제1 및 제2 그립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그립 제어부; 및
상기 제1 그립 및 상기 제2 그립에 인가되는 전위의 극성을 결정하는 전위 스위치를 포함하되,
상기 전위 스위치의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그립에 제1 전위가 인가되고 상기 제2 그립에는 상기 제1 전위와 반대의 극성을 갖는 제2 전위가 인가되고,
상기 전위 스위치의 상기 제1 상태와 다른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그립에 상기 제2 전위가 인가되고 상기 제2 그립에는 상기 제1 전위가 인가되며,
상기 제1 그립 및 상기 제2 그립은 상기 전위 스위치의 상태에 따라 각각 상기 제1 전위 및 상기 제2 전위가 교번적으로 인가되는 복강경 수술 장치.Tongs including first and second grips to which potentials of different polarities are applied;
A grip controller for controlling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grips; And
A potential switch for determining a polarity of a potential applied to the first grip and the second grip,
In a first state of the potential switch, a first potential is applied to the first grip and a second potential having a polarity opposite to the first potential is applied to the second grip,
In a second state different from the first state of the potential switch, the second potential is applied to the first grip and the first potential is applied to the second grip,
The first and second grips are laparoscopic surgery apparatus, the first potential and the second potential are applied alternately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potential switch.
상기 집게부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집게부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제1 그립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전 로드;
상기 제2 그립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도전 로드를 내측에 수용하는 도전 파이프;
상기 도전 로드와 상기 도전 파이프 사이에 배치되어 상호 절연시키는 내부 절연체; 및
상기 도전 파이프 외측에 배치된 외부 절연체를 포함하는 복강경 수술 장치.According to claim 1,
One end is connected to the tongs further comprises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tongs,
The support is,
A conductive ro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grip;
A conductive pipe electrically connected with the second grip and receiving the conductive rod inside;
An internal insulator disposed between the conductive rod and the conductive pipe to insulate each other; And
Laparoscopic surgery apparatus comprising an outer insulator disposed outside the conductive pipe.
상기 도전 로드 및 상기 도전 파이프와 각각 접촉하여 전위를 인가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각각이 상기 도전 로드 및 상기 도전 파이프와 접촉하는 영역은 스프링으로 형성된 복강경 수술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in contact with the conductive rod and the conductive pipe to apply a potential, respectively,
Laparoscopic surgery apparatus is a region where each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contact the conductive rod and the conductive pipe is formed of a spr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42725A KR102081039B1 (en) | 2012-04-24 | 2012-04-24 | Appratus for laparoscpoic surger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42725A KR102081039B1 (en) | 2012-04-24 | 2012-04-24 | Appratus for laparoscpoic surger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19711A KR20130119711A (en) | 2013-11-01 |
KR102081039B1 true KR102081039B1 (en) | 2020-02-25 |
Family
ID=49850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42725A Active KR102081039B1 (en) | 2012-04-24 | 2012-04-24 | Appratus for laparoscpoic surger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8103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RU2827084C2 (en) * | 2020-04-14 | 2024-09-23 | Эрбе Электромедицин Гмбх | Device and method for coagulation and dissection of biological tissu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26083B1 (en) * | 2015-12-15 | 2017-04-11 | (주)선메딕스 | Device of tissue and blood vessel sealing and cutting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528167A (en) * | 1998-10-23 | 2002-09-03 | シャーウッド サーヴィシス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 Endoscope bipolar electrosurgical forceps |
JP2007098139A (en) * | 2005-09-30 | 2007-04-19 | Sherwood Services Ag | Inline vessel seal separator |
WO2011010148A2 (en) * | 2009-07-23 | 2011-01-27 | Asalus Medical Instruments Limited |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the reduction and removal of particles |
-
2012
- 2012-04-24 KR KR1020120042725A patent/KR10208103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528167A (en) * | 1998-10-23 | 2002-09-03 | シャーウッド サーヴィシス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 Endoscope bipolar electrosurgical forceps |
JP2007098139A (en) * | 2005-09-30 | 2007-04-19 | Sherwood Services Ag | Inline vessel seal separator |
WO2011010148A2 (en) * | 2009-07-23 | 2011-01-27 | Asalus Medical Instruments Limited |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the reduction and removal of particles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RU2827084C2 (en) * | 2020-04-14 | 2024-09-23 | Эрбе Электромедицин Гмбх | Device and method for coagulation and dissection of biological tissu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19711A (en) | 2013-11-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767349B2 (en) | Bipolar forceps for endoscopes | |
US10085788B2 (en) | Robotic toolkit | |
EP3082635B1 (en) | Electrosurgical end effectors | |
JP4845884B2 (en) | Electrosurgical instrument | |
US11350977B2 (en) | Modular electrosurgical device | |
US8961512B2 (en) | Electrosurgical instrument | |
US9526517B2 (en) | Probe, treatment device, and treatment system | |
US20180256241A1 (en) | Monopolar and bipolar electrosurgery device | |
CN113384306B (en) | bipolar electroprocessing device | |
WO2002045603A9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gastric ulcers | |
KR102446776B1 (en) | Simultaneous electrosurgical suture and amputation | |
CN106456201B (en) | forceps device and surgical system | |
CA2997873A1 (en) | Electrosurgery device | |
AU2025205050A1 (en) | Matter manipulator with conductive coating | |
KR102081039B1 (en) | Appratus for laparoscpoic surgery | |
JP2007319677A (en) | Endoscopic high-frequency therapeutic instrument | |
JP2007282847A (en) | Flexible bipolar forceps | |
US20220151653A1 (en) | Cap for endoscope | |
AU2023204020A1 (en) | Electrosurgical vessel sealer having opposed sealing surfaces with varying gap height | |
US20160206367A1 (en) | Electrosurgical instrument | |
KR20210000176A (en) | Surgical device for incision and ligation of target tissu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2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4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4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2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