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73696B1 - User terminal apparatus and user activity prediction method - Google Patents

User terminal apparatus and user activity prediction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3696B1
KR102073696B1 KR1020130052625A KR20130052625A KR102073696B1 KR 102073696 B1 KR102073696 B1 KR 102073696B1 KR 1020130052625 A KR1020130052625 A KR 1020130052625A KR 20130052625 A KR20130052625 A KR 20130052625A KR 102073696 B1 KR102073696 B1 KR 102073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lace
activity
interest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26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33069A (en
Inventor
날린 챠쿠
이동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2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3696B1/en
Publication of KR20140133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30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696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5/00Computing arrangements using knowledge-based models
    • G06N5/04Inference or reasoning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사용자 단말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활동을 수집하는 사용자 활동 수집부와, 상기 사용자 활동이 수집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위치 정보 검출부와, 상기 수집된 사용자 활동 및 상기 검출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관심 장소 후보(Place of Interest)를 선정하는 관심 장소 후보 판단부와, 기 저장된 사용자 활동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선정된 관심 장소 후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의도를 분석하는 사용자 의도 분석부를 포함한다.Initiate a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activity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user activity, a location informat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when the user activity is collected, the collected user activity and the A place of interest candidate determination unit that selects a place of interest based on the detect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at least one user intention of the selected place of interest candidate based on previously stored user activity information; It includes a user intention analysis unit to analyze.

Description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활동 예측 방법{USER TERMINAL APPARATUS AND USER ACTIVITY PREDICTION METHOD}User terminal and user activity prediction metho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USER ACTIVITY PREDICTION METHOD}

본 발명은 위치 기반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사용자 관심 장소를 판단하고 관심 장소를 방문하는 사용자 의도를 예측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활동 예측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based ser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user terminal and a user activity prediction method for determining a user's place of interest and predicting a user's intention to visit the place of interest.

위치 기반 서비스(Location-based Service)란 이동통신망이나 위성항법장치(GPS) 등을 통해 얻은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을 의미한다. 휴대폰 속에 기지국이나 위성항법장치(GPS)와 연결되는 칩을 부착해 위치추적 서비스, 공공안전 서비스, 위치기반정보 서비스 등 위치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Location-based service refers to a service system that provides various services to a user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 satellite navigation system (GPS). It is a technology that provides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location, such as location tracking service, public safety service, loc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 by attaching a chip connected to a base station or a satellite navigation device (GPS) in a mobile phone.

위치 기반 서비스에는 이동통신 기지국을 이용하는 셀 방식과 위성항법장치를 활용한 GPS 방식이 있다. 셀 방식은 2000년을 전후해 개발·보급되기 시작한 방식으로, 위치의 오차 범위가 수㎞까지 날 수 있어 정확한 위치를 찾기 어려운 반면 중계기 등을 이용하기 때문에 건물 안이나 지하 등의 위치도 찾을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GPS 방식은 위성에서 보내는 위치정보를 휴대폰에 내장된 칩이 읽어 기지국에 알려주는 방식이다. 위치의 오차 범위가 좁아 비교적 정확하게 위치를 알 수 있다. 그러나 위성 신호의 특성으로 인해 반사·굴절이 잘 되는 고층 건물이나 실내에서는 사용이 힘든 단점이 있다. 또한, 와이파이 같은 근거리 통신 기술이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도 등장하고 있다. 이들 위치 기반 서비스는, 날씨 서비스, 교통정보 서비스, 생활정보 서비스, 텔레매틱스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로 구현되어 제공되고 있다. Location-based services include a cell typ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d a GPS method using a satellite navigation system. The cell system began to be developed and distributed around 2000. The location error range can be up to several kilometers, so it is difficult to find the exact location. It is an advantage. The GPS method is a method in which the chip embedded in the mobile phone reads the location information sent from the satellite and informs the base station. Since the error range of the position is narrow, the position can be known relatively accurately. Howev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satellite signals, it is difficult to use in high-rise buildings or indoors where reflection and refraction are good. In addition, location-based services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Wi-Fi are also emerging. These location-based services are implemented by various services such as weather service, traffic information service, life information service, and telematics service.

최근에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관심(interest) 장소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기술들은 관심 장소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관심 장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의 능동적인 행위를 필요로 하는 문제를 갖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자신이 좋아하는 음식점을 방문하였을 때, 자신의 사용자 단말에 음식점을 방문하였음을 알리는 입력(보통 체크인(Check-in)으로 불린다.)을 수행함으로써, 관심 장소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행위는 사용자에게 번거로움을 느끼게 하고, 결국 서비스 이용 빈도를 낮추게 되므로 사용자의 정확한 의사 예측을 어렵게 만든다. Recently, a technology for extracting information on a place of interest of a user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and providing a personalized service based on the information has emerged. However, the technologies developed to date have a problem that requires the active action of the user to provide the place of interest information in order to collect the place of interest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a user visits a favorite restaurant, the user provides information of a place of interest by performing an input (usually called a check-in) indicating that the user has visited the restaurant. . This behavior makes the user feel cumbersome, and in turn, lowers the frequency of service use, making it difficult for the user to make accurate predictions.

또한, 일반적으로 모바일 장치가 제공하는 위치 정보 검출 기능은 정밀하지 못해서 여러 상점들이 모여 있는 장소에서 각 상점까지 식별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하나의 장소는 여러 지점(Venue)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어느 장소를 방문하는 사용자의 의도는 복수의 경우의 수를 갖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놀이 공원을 방문한 사용자는 음식을 먹고 싶을 수 있지만, 기념품을 구입하고 싶을 수도 있을 것이다. 기존의 서비스는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능동적인 입력을 통해 직접 자신의 목적지 내지 의도를 직접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Also, in general, the location information detection function provided by the mobile device is not so precise that it is difficult to identify each store from a place where several stores are gathered. Thus, one place may include several points, so the intention of the user to visit a place may have a number of cases. For example, a user who visits an amusement park may want to eat, but may want to purchase a souvenir. In the existing service, in this case, the user has to inconvenience inputting his destination or intention directly through active input.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관심 장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의 능동적인 행위 없이도 사용자의 일상적인 사용자 단말 사용만으로도 사용자 관심 장소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분석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활동 예측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nalyze the user's intention by judging the user's place of interest only by the user's daily use of the user terminal without active action of the user to provide the place of interest information To provide a user terminal and a user activity prediction method that can b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활동을 수집하는 사용자 활동 수집부와, 상기 사용자 활동이 수집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위치 정보 검출부와, 상기 수집된 사용자 활동 및 상기 검출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관심 장소 후보(Place of Interest)를 선정하는 관심 장소 후보 판단부와, 기 저장된 사용자 활동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선정된 관심 장소 후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의도를 분석하는 사용자 의도 분석부를 포함한다.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user activity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user activity,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when the user activity is collected; A place of interest candidate determiner configured to select a place of interest based on the collected user activity and the detect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selected place of interest candidate based on previously stored user activity information; It includes a user intention analysis unit for analyzing at least one user intention for.

이때, 상기 사용자 활동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며, 카메라 촬영, 동영상 재생, 음악 재생, 특정 목적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기능 설정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 activity may be a user input for executing a specific func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may be at least one of camera shooting, video playback, music playback, application execution for a specific purpose, and function setting of the user terminal.

상기 관심 정보 후보 판단부는, 상기 수집된 사용자 활동 및 상기 검출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활동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사용자 활동 정보에 기초하여 관심 장소 후보(Place of Interest)를 선정할 수 있다.The interest information candidate determiner generates user activity information based on the collected user activity and the detect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selects a place of interest based on the generated user activity information. can do.

이때, 상기 생성된 사용자 활동 정보는, 아이디(ID), 타임스탬프(Timestamp), 제목(Title), 애플리케이션 패키지 이름(Package Name), 이벤트(Event), 타입(Type), 지속기간(Duration), 매타 데이터(Meta), 위도(latitude), 경도(longitude), 주소(address) 및 위치 소스(location sour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generated user activity information may include an ID, a timestamp, a title, an application package name, an event, a type, a duration,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metadata, latitude, longitude, address, and location source.

또한, 상기 관심 장소 후보 판단부는, 집 또는 사무실을 기준으로 상기 관심 장소 후보를 판단할 수 있다. The interested place candidate determiner may determine the interested place candidate based on a home or an office.

또한, 상기 관심 장소 후보는 적어도 하나의 지점(Venue)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lace of interest candidate may include at least one point.

또한, 상기 사용자 의도 분석부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위치 지식 서비스(location-knowledge service)를 더 고려하여 상기 선정된 관심 장소 후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의도를 분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intention analyzer may analyze at least one user intention of the selected place of interest candidate by further considering a location-knowledge service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또한, 상기 사용자 의도 분석부는, 상기 선정된 관심 장소 후보에 대해 복수의 사용자 의도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복수의 사용자 의도는 각각 다른 가중치를 갖을 수 있다. The user intention analyzer may analyze a plurality of user intentions with respect to the selected place of interest candidate, and the analyzed plurality of user intentions may have different weights.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현재 시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활동을 예측하는 사용자 활동 예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user activity predictor that predicts an activity of the user based on at least one of a current time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이때, 상기 사용자 활동 예측부는, 예측이 필요한 사용자 활동이 짧은 시간 후에 이루어지는 유형의 활동인 경우, 현재 시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활동을 예측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user activity predictor may predict the activity of the user based on the current time and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when the user activity requiring prediction is a type of activity that occurs after a short tim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활동 예측 방법은, 사용자 활동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활동이 수집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사용자 활동 및 상기 검출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관심 장소 후보(Place of Interest)를 선정하는 단계, 기 저장된 사용자 활동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선정된 관심 장소 후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의도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ccordance with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edicting user activity, the method comprising: collecting user activity, dete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when the user activity is collected, and collecting the user activity Selecting a place of interest based on an activity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tected user terminal; analyzing at least one user intention of the selected place of interest candidate based on previously stored user activity information; Steps.

이때, 상기 사용자 활동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며, 카메라 촬영, 동영상 재생, 음악 재생, 특정 목적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기능 설정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 activity may be a user input for executing a specific func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may be at least one of camera shooting, video playback, music playback, application execution for a specific purpose, and function setting of the user terminal.

또한, 상기 관심 정보 후보를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집된 사용자 활동 및 상기 검출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활동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사용자 활동 정보에 기초하여 관심 장소 후보(Place of Interest)를 선정할 수 있다.The selecting of the interest information candidate may generate user activity information based on the collected user activity and the detect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place a place of interest candidate based on the generated user activity information. of Interest).

이때, 상기 생성된 사용자 활동 정보는, 아이디(ID), 타임스탬프(Timestamp), 제목(Title), 애플리케이션 패키지 이름(Package Name), 이벤트(Event), 타입(Type), 지속기간(Duration), 매타 데이터(Meta), 위도(latitude), 경도(longitude), 주소(address) 및 위치 소스(location sour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generated user activity information may include an ID, a timestamp, a title, an application package name, an event, a type, a duration,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metadata, latitude, longitude, address, and location source.

또한, 상기 관심 정보 후보를 선정하는 단계는, 집 또는 사무실을 기준으로 상기 관심 장소 후보를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The selecting of the interest information candidate may include determining the interested place candidate based on a home or an office.

또한, 상기 관심 장소 후보는 적어도 하나의 지점(Venue)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ace of interest candidate may include at least one point.

또한, 상기 사용자 의도를 분석하는 단계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위치 지식 서비스(location-knowledge service)를 더 고려하여 상기 선정된 관심 장소 후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의도를 분석할 수 있다. The analyzing of the user intention may further analyze at least one user intention of the selected place of interest candidate by further considering a location-knowledge service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또한, 상기 사용자 의도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선정된 관심 장소 후보에 대해 복수의 사용자 의도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복수의 사용자 의도는 각각 다른 가중치를 갖을 수 있다.The analyzing of the user intention may include analyzing a plurality of user intentions with respect to the selected place of interest candidate, and the analyzed plurality of user intentions may have different weights.

또한, 상기 사용자 활동 예측 방법은, 현재 시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 활동을 예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activity predict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predicting user activity based on at least one of a current time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이때, 상기 사용자 활동을 예측하는 단계는, 예측이 필요한 사용자 활동이 짧은 시간 후에 이루어지는 유형의 활동인 경우, 현재 시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활동을 예측하는 것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estimating of the user activity may include predicting the activity of the user based on a current time an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when the user activity requiring prediction is a type of activity that occurs after a short tim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관심 장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의 능동적인 행위 없이도 사용자의 일상적인 사용자 단말 사용만으로도 사용자 관심 장소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분석할 수 있고, 이러한 사용자 의도를 기반으로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ay analyze a user's intention by determining a user's point of interest without using the user's daily user terminal without active action of providing the user's place of interest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ersonalized service based on the user intention.

도 1은 사용자의 이동 궤적을 맵 상에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사용자 활동 정보의 항목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집과 사무실을 검출하는 알고리즘의 흐름도,
도 5는 적어도 하나의 지점들로 구성된 관심 장소 후보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부가 정보를 고려하여 사용자 의도를 판단하는 과정을 도시한 모식도,
도 7은 가중치가 포함된 사용자 의도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하나의 관심 장소에 포함되는 서로 다른 가중치를 갖는 복수의 사용자 의도를 도시한 개념도,
도 9는 미래의 어느 시점에 대한 사용자 예측 상황을 도시한 모식도,
도 10은 사용자 의도의 강약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1 및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활동 예측 방법의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s movement trajectory on a map;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an item of user activity information;
4 is a flowchart of an algorithm for detecting a home and an office;
5 illustrates a place of interest candidate composed of at least one point;
6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rmining user intention in considerat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user intention including weights;
8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lurality of user intentions having different weights included in one place of interest;
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user prediction situation at some point in the future;
10 is a graph showing strength and weakness of user intention, and
11 and 12 are flowcharts of a user activity prediction metho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사용자의 이동 궤적을 맵 상에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s movement trajectory on a map,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본 발명에 따른 라이프 로그를 이용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는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하여 특정 위치에 대한 사용자의 의도를 판단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서비스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지리적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특정 위치를 방문한 의도를 판단한다. The location-based service using the life lo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rvice by determining a user's location to determine a user's intention for a specific location. The service determines the intention of the user visiting a specific location by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possessed by the user.

도 1은 사용자의 이동 궤적을 맵 상에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예에서 사용자가 집(1)에 있는 경우 사용자는 아침식사를 하거나 수면을 취하거나 TV 시청을 할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사무실(2)을 방문하면, 사용자의 의도는 업무를 하거나 회의를 하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일상 생활에서 사용자는 일과를 끝낸 일정 시간 이후에는 집에서 휴식을 취하고 수면을 취할 것이 명백하다. 또한, 식사시간이나 주말을 제외하고 사용자는 사무실에서 업무를 하거나 회의를 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즉, 사용자가 집이나 사무실에 있는 시간과 그 때의 사용자의 의도는 비교적 명백하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s movement trajectory on a map. In the example of FIG. 1, if the user is at home 1 the user will have breakfast, sleep or watch TV. Then, when the user visits the office 2, the user's intention can be regarded as for working or meeting. And in everyday life, it is obvious that the user will rest at home and sleep after a certain time after finishing work. Also, except at mealtimes and weekends, users are very likely to work or meet in the office. In other words, the time the user is at home or in the office and the user's intention at that time is relatively obvious.

반면, 그 외의 시간과 그 때 사용자가 방문하는 장소는 상대적으로 가변적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점심시간에 사무실에서 동쪽 50미터 거리에 위치한 일식집에서 식사를 할 수도 있지만, 사무실에서 남쪽 100미터 거리에 위치한 분식점을 들르거나, 다른 방향에 위치한 체육관을 찾을 수도 있다. 따라서, 라이프 로그를 이용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는 집이나 사무실처럼 사용자의 의도가 비교적 명백한 장소 외의 장소를 방문하는 경우 사용자의 의도를 예측하는 것에 초점을 둔다. 즉, 사용자가 전형적인 장소가 아닌 장소를 방문하는 경우 그 장소와 시간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분석한다. 분석된 의도는 미래에 비슷한 조건에서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정밀하게 예측하는데 이용된다. 이러한 예측을 통해 비교적 높은 정확도로 사용자에게 개인화된(customized)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처럼 사용자가 특정 의도를 갖고 방문하는 것으로 고려되는 장소를 관심 장소(POI : Place of Interest)라고 정의한다. On the other hand, other times and places that users visit at that time are relatively variable. For example, a user may have a lunch at a Japanese restaurant located 50 meters east of the office, but may stop by a snack bar 100 meters south of the office, or find a gym located in the other direction. Thus, location-based services using lifelogs focus on predicting a user's intention when visiting a place other than a place where the user's intention is relatively apparent, such as a home or an office. That is, when a user visits a place that is not typical, the user's intention is analyzed by analyzing information about the place and time. The analyzed intent is used to precisely predict the user's behavior patterns in similar conditions in the future. Through these predictions, it is intended to provide customized mobile services to users with relatively high accuracy. As such, a place considered to be visited by a user with a specific intention is defined as a place of interest (POI).

이하에서는 상술한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100)의 구성과 기능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for realizing the above-described service will be described.

도 2를 참조하면,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활동 수집부(110), 위치 정보 검출부(120), 관심 장소 후보 판단부(130), 사용자 의도 분석부(14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u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function includes a user activity collector 110, a location information detector 120, and a place of interest candidate determiner 130. , The user intention analyzer 140.

사용자 활동 수집부(110)는 사용자 활동을 수집하는 구성이다. 사용자 활동이란,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사용자 단말(100)의 특정 기능을 동작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SNS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거나,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게임 제어 입력을 하는 경우, 카메라를 촬영하거나, 동영상, 음악을 재생시키는 등으로 사용자 단말(100)이 동작하도록 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사용자 활동은 이처럼 특정 기능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는 경우뿐 아니라, 특정 기능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상황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행하는 경우를 포괄한다. 즉, 사용자가 특정 기능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상황에서 사용자 터치 입력, 드래그 입력, 핀치 아웃/인 입력, 키패드 입력, 사용자 단말(100)의 움직임 입력, 근접 입력, 호버링(hovering) 입력, 버튼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경우를 포함한다.The user activity collector 110 is a component for collecting user activity. User activity means that a user actively operates a specific func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a user executes an SNS application or a game control input by executing a game application,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operated by photographing a camera or playing a video or music. have. User activities encompass not only the case of activating a specific function or application, but also the case where user input is performed in a situation in which a specific function or application is activated. That is, the user inputs a user touch input, drag input, pinch out / in input, keypad input, movement input of the user terminal 100, proximity input, hovering input, and button input while a specific function or application is activated. Includes performing at least on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관심 장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의 능동적인 행위 없이도 사용자의 일상적인 사용자 단말 사용 행위만으로도 사용자 관심 장소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분석할 수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analyze the user's intention by determining the user's place of interest with only the user's daily use of the user terminal without the active action of the user to provide the place of interest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위치 정보 검출부(120)는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검출한다. 위치 정보 검출부(120)는, 지피에스(Global Positioning System : GPS)기술, 셀 통신 기술 및 와이파이 같은 근거리 통신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검출한다. 위치 정보 검출부(120)는 지속적으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검출할 수도 있으나, 사용자 활동이 있는 경우에만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배터리 소모를 줄이므로 절전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다른 작업과 동시에 수행되는 빈도가 상대적으로 적으므로 사용자 단말(100)의 시스템 부하를 예방하여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detector 120 detect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The location information detector 120 detect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using at least one of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technology, a cell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a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such as Wi-Fi. The location information detector 120 may continuously detect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but may detect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only when there is user activity. In the latter case, since the battery consump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can be reduced, a power saving effect can be expected, and since the frequency of being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other tasks is relatively small, the system load of the user terminal 100 can be prevented to maintain stable performance. .

도 3은 사용자 활동 정보의 항목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items of user activity information.

사용자 활동 수집부(110)가 사용자 활동을 수집하고, 위치 정보 검출부(120)가 사용자 활동이 수집되는 경우의 위치 정보를 검출한 결과, 도 3과 같은 사용자 활동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부(150)에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 활동(30)이 있는 경우 각 사용자 활동(30)에 대한 사용자 활동 정보(31)가 저장된다. 사용자 활동 정보(31)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의 항목을 갖는다. 사용자 활동 정보(31)는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다양한 데이터 타입으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활동 정보(31)는 사용자 단말(100) 또는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user activity collecting unit 110 collecting user activity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detecting unit 120 detects the location information when the user activity is collected, the user activity information is generated as shown in FIG. Can be stored in That is, when there is a user activity 30 as shown in FIG. 3, user activity information 31 for each user activity 30 is stored. The user activity information 31 has a plurality of items as shown in FIG. The user activity information 31 may be stored in various data types including text data. In addition, the user activity information 31 may be stored in the user terminal 100 or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각 항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이디(ID)는 사용자 단말(100)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나타내는 항목이고, 타임스탬프(Timestamp)는 사용자 활동이 있는 시간정보를 나타내는 항목이고, 제목(Title)은 사용자 활동의 제목을 나타내는 항목이다. 또한, 패키지 이름(Package Name)은 사용자 활동이 수행되는데 이용된 애플리케이션의 패키지 이름을 나타내는 항목이고, 이벤트(Event)는 인스톨되거나 삭제되거나 업데이트된 활동을 나타내는 항목이고, 타입(Type)은 콘텐츠나 애플리케이션의 타입을 나타내는 항목이고, 지속기간(Duration)은 사용자 활동이 지속적으로 수행된 시간을 나타내는 항목이고, 매타 데이터(Meta)는 사용자 활동과 관련된 정보를 나타내는 항목이고, 위도(latitude), 경도(longitude), 주소(address)는 GPS 값과 지오 해시 코드(geo-hash code)을 나타내는 항목이며, 위치 소스(location source)는 위치 정보를 검출한 수단을 나타내는 항목으로, GPS, 와이파이, 셀 타워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Each item is explained as follows. ID is an item indicating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user terminal 100, a timestamp is an item indicating time information with user activity, and a title is an item indicating a title of user activity. . In addition, a package name is an item representing a package name of an application used to perform a user activity, an event is an item representing an installed, deleted, or updated activity, and a type is a content or an application. The item indicates the type of, the duration is the item indicating the time when the user activity is continuously performed, the meta data (Meta) is the item indicating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 activity, latitude, longitude ), An address is an item representing a GPS value and a geo-hash code, and a location source is an item representing a means for detecting location information. Can be one.

한편, 사용자 활동 정보(31)의 데이터 량이 많은 경우 데이터 처리 속도 지연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필수 사용자 활동 정보(32)만을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100)에서 데이터 처리가 이루어지고 사용자 활동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에 저장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성능 보장을 위해 필수 사용자 활동 정보(32)만을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사용자 활동 정보(31)가 많을수록 사용자의 의도에 대한 예측의 정확성이 높아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 활동 정보(31)와 필수 사용자 활동 정보(32) 중 어느 것을 사용할지는 예측의 효율성과 정확성 사이에서 트레이드 오프(trade-off)로 해결할 사항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mount of data of the user activity information 31 is larg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data processing speed delay occurs. 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to store only the essential user activity information 32. When data processing is performed in the user terminal 100 and user activity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user terminal 100, only essential user activity information 32 may be stored to ensure performance of the user terminal 100. However, the more the user activity information 31, the higher the accuracy of the prediction of the user's intention, so which of the user activity information 31 and the required user activity information 32 is traded off between the efficiency and accuracy of the prediction. (trade-off)

관심 장소 후보 판단부(130)는 상기와 같이 생성된 사용자 활동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관심 장소(POI) 후보를 판단하는 구성이다. The interested place candidate determiner 130 is configured to determine a POI candidate of the user based on the user activity information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전술한 사용자 활동 정보(31, 32)는 1차적으로 관심 장소 후보가 된다. 그 다음으로 관심 장소 후보 판단부(130)는 집이나 사무실처럼 사용자의 의도가 비교적 명백한 장소인지를 판단한다. 사용자가 수면을 취하는 등으로 인해 사용자 활동이 최소인 기간은 관심 장소 판단의 대상이 아니므로 그 외의 시간에 대해서 상기 판단이 이루어져야 한다. 도 4는 이러한 정책에 따라 사용자의 의도가 비교적 명백한 장소와 유의미한 사용자 활동이 없는 시간을 배제하는 알고리즘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 사용자의 집이나 사무실은 사용자가 방문하는 의도가 비교적 명백한 장소이므로, 관심 장소는 그 외의 장소에서 설정된다. The above-described user activity information 31, 32 is primarily a place of interest candidate. Next, the interested place candidate determining unit 130 determines whether the user's intention is relatively obvious, such as a home or an office. The period of minimum user activity due to the user sleeping is not the object of interest determination, so the above judgment must be made for other times. 4 shows a flow diagram of an algorithm that excludes a place where a user's intention is relatively clear and time without significant user activity in accordance with this policy.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ince the user's home or office is a place where the intention of the user is relatively obvious, the place of interest is set at other places.

도 4는 집과 사무실을 검출하는 간단한 알고리즘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알고리즘은 사용자 활동의 세트에 대해 고려한다(S410). 그리고, 타임 카운터(TC)를 통해 사용자 활동이 가장 적은 구간을 식별하는데(S420) 이 구간을 집 또는 사무실에 위치하는 구간으로 간주한다. 주말에는 주로 집이나 사무실에 있을 것이므로 주중의 시간에 대해서 고려한다(S430). 그리고, 주간 근로자와 야간 근로자를 구별할 수도 있다(S425). 일과시간에서 집이나 사무실에서 보내는 시간은 사용자 의도의 분석이나 사용자 활동 예측이 필요 없는 명백한 구간이므로 배제한다(S435). 그리고, 낮은 정확도의 지오 해시 함수로 사용자 활동이나 소요되는 날짜 등을 계산하여 집 후보들과 사무실 후보들을 선정한다(S447~S457). 그리고, 최종적으로 집 또는 사무실에 대해 레이블을 설정한다(S470, S475, S480). 4 shows a flow diagram of a simple algorithm for detecting a home and an office. The algorithm considers a set of user activities (S410). In addition, the section having the least user activity is identified through the time counter TC (S420). The section is regarded as a section located at home or office. Weekends will be mainly at home or office, so consider the time of the week (S430). In addition, day workers and night workers may be distinguished (S425). The time spent at home or in the office is excluded because it is a clear section that does not require analysis of user intention or user activity prediction (S435). Then, the candidates and the office candidates are selected by calculating a user activity or a required date with a low-precision geohash function (S447 to S457). Finally, labels are set for homes or offices (S470, S475, S480).

그런데, 현실적으로 위치 정보 검출부(120)는 사용자 단말(100)의 정확한 위치를 검출하는데는 한계를 갖는다. 특히, 가까운 장소에 여러 상점이 모여 있는 경우처럼 성격이 서로 다른 복수의 목적지가 모여 있는 경우 사용자가 실제로 방문한 목적지가 어디인지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빌딩에서 서로 다른 목적지들이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하는 경우 지피에스 모듈로 정확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검출하는데 한계를 갖을 수 있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하나의 관심 장소 후보는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일반적으로는 복수의 목적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목적지를 관심 장소와 구별하기 위해 지점(Venue)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However, in reality, the location information detector 120 has a limit in detecting the exac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In particular, when a plurality of destinations having different personalities are gathered, such as when multiple shops are gathered in a nearby place, it may be difficult for a user to determine where the actual destination is visited. For example, when different destinations are located on different floors in one building, the GPS module may have a limit in detecting the exac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Thus, typically one point of interest candidate may include at least one destination (generally a plurality of destinations).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Venue is used to distinguish the destination from the place of interest.

도 5는 적어도 하나의 지점들로 구성된 관심 장소 후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5 illustrates a place of interest candidate composed of at least one point. FIG.

도 5를 참조하면, 라이프 로그는 기록을 시작한 첫째 날에 사용자가 관심 장소 후보 1(POI 1)에서 사무실로 이동하였으며, 관심 장소 후보 1(POI 1)은 지피에스로 위치 정보가 감지되고 하나의 지점을 포함함을 기록하고 있다. 반면, 둘째 날에 사용자는 관심 장소 후보 2(POI 2)로 이동하였고, 관심 장소 후보 2(POI 2)은 와이 파이로 위치 정보가 감지되었고 두 개의 지점을 포함함을 알 수 있다. 유사하게 관심 장소 후보 3(POI 3)은 세 개의 지점을 포함하고, 관심 장소 후보 4(POI 4)는 여섯 개의 지점을 포함하며, 관심 장소 후보 5(POI 5)는 두 개의 지점을 포함함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life log is moved from the place of interest candidate 1 (POI 1) to the office on the first day of recording, and the place of interest candidate 1 (POI 1) is GPS,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is detected and one point It includes recording. On the other hand, on the second day, the user moves to POI 2, and POI 2 may detect that Wi-Fi location information is detected and includes two points. Similarly, place of interest candidate 3 (POI 3) contains three points, place of interest candidate 4 (POI 4) contains six points, and place of interest candidate 5 (POI 5) contains two points. Able to know.

사용자 의도 분석부(140)는, 사용자 의도 데이터 베이스를 갱신하기 위해 사용자의 의도를 분석하는 구성이다. 사용자 의도 분석부(140)는, 사용자 의도를 정밀하게 판단하기 위해 부가 정보를 고려할 수 있다. 부가 정보란, 사용자 활동으로부터 수집된 사용자 활동 정보(31) 외의 정보로서, 사용자의 의도를 판단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의미한다. The user intention analyzer 140 is a component that analyzes the intention of the user in order to update the user intention database. The user intention analyzer 140 may consider additional information to accurately determine the user intention. The additional information is information other than the user activity information 31 collected from the user activity and means information useful for determining the intention of the user.

예를 들어, 집이나 사무실로부터의 거리 정보, 특정 지점에 대한 체크인 정보, 사용자 리뷰나 코멘트 정보, 레스토랑에 대한 가격과 같은 장소 특성 정보, 별점(rating) 정보, 지점의 성격을 분류한 카테고리 정보, 날씨 정보, 시간 정보, 구매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특히, 관심 장소의 지점은 기 설정된 방식에 따라 분류된 카테고리에 매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활동 정보(31)에 따라 사용자가 방문한 지점이 레스토랑인 경우 음식 카테고리로 매칭될 수 있다. For example, distance information from a home or office, check-in information for a specific point, user review or comment information, place property information such as a price for a restaurant, rating information, category information categorizing the nature of the branch, It may be at least one of weather information, time information, and purchase information. In particular, the point of interest may be matched to a category classified according to a preset manner. For example, when the user visited the restaurant according to the user activity information 31, the food category may be matched with the food category.

이러한 부가 정보는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받는 위치 지식 서비스(location-knowledge service)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의도 분석부(140)는, 부가 정보를 고려하여 좀더 정밀하게 사용자 의도를 판단한다. 하나의 관심 장소에 대해서는 복수의 사용자 의도가 존재할 수 있다.Such additional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a location-knowledge service provided from an external device. The user intention analyzer 140 determines the user intention more precisely in consideration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There may be multiple user intents for one point of interest.

도 6은 부가 정보를 고려하여 사용자 의도를 판단하는 과정을 도시한 모식도이다.6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rmining user intention in considerat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어느 위치에서 사용자 활동이 수집되면(S610), 관심 장소 후보를 결정한다(S620). 그리고, 제공되는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S630) 사용자의 의도를 분석한다(S640). 분석된 사용자 의도는 데이터 베이스(60)를 갱신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when user activity is collected at a certain location (S610), a place of interest candidate is determined (S620). The user's intention is analyzed using the provided additional information (S630). The analyzed user intent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updating the database 60.

그런데, 동일한 조건에서 발생 빈도를 달리하는 복수의 유사한 사용자 의도가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유사한 사용자 의도 각각은 서로 다른 가중치가 주어질 수 있다. 도 7은 이러한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즉, 도 7은 가중치가 포함된 사용자 의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However, there may be a plurality of similar user intentions that vary in frequency of occurrence under the same conditions. In this case, each of the plurality of similar user intentions may be given a different weight. 7 is a diagram illustrating such a situation. That is,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intention including weights.

도 7의 그래프는 사용자가 집이나 사무실 외의 장소(관심 장소)에 있는 경우 사용자 의도가 분석됨을 나타내고 있다. 분석은 일주일 간격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도 7의 그래프에서 표시 순서대로 M은 월요일, T는 화요일, W는 수요일, T는 목요일, F는 금요일, 연속되는 S는 각각 토요일, 일요일을 나타내고 있다.The graph of FIG. 7 shows that the user's intention is analyzed when the user is at a place outside the home or office (place of interest). The analysis is done weekly. In the graph shown in Fig. 7, M represents Monday, T represents Tuesday, W represents Wednesday, T represents Thursday, F represents Friday, and subsequent S represents Saturday and Sunday.

토요일(S)에 사용자가 관심 장소에 있었던 경우, 사용자 의도(ik)은 놀이(FUN)의 가중치는 0.87, 식사(FOOD)의 가중치는 0.11로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동일한 관심 장소인 에버랜드 관광단지(Everland Resort)에서 식사보다는 놀이(FUN)에 의사가 더 많았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저장된 사용자 의도 데이터 베이스(70)에 따라 미래에 동일하거나 유사한 조건에서 사용자의 활동은 놀이로 예측될 것이다.When the user was at the place of interest on Saturday S, the user intention ik is indicated by the weight of the play FUN as 0.87 and the weight of the meal FOOD as 0.11. Therefore, the user may know that there are more doctors in FUN than meals in Everland Resort, which is the same place of interest. According to the user intention database 70 thus stored, the user's activity will be predicted as play in the same or similar conditions in the future.

또한, 전술한 것처럼 하나의 장소에 대해 복수의 사용자 의도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관심 장소는 서로 다른 가중치를 갖는 복수의 사용자 의도를 갖을 수 있다. 도 8은 하나의 관심 장소(80)에 포함되는 서로 다른 가중치를 갖는 복수의 사용자 의도(81, 82, 83)를 도시한 모식도를 나타내고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re may be a plurality of user intentions for one place, one place of interest may have a plurality of user intentions having different weights. FIG.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lurality of user intentions 81, 82, and 83 having different weights included in one place of interest 80.

지금까지 설명한 방법에 따라 사용자 의도 데이터 베이스가 생성되면, 이렇게 생성된 사용자 의도 데이터 베이스는 사용자의 활동을 예측하는데 사용된다. 즉,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예측된 미래 사용자 활동의 정보를 제공한다. 데이터 베이스는 외부 서버에 저장되어 사용자 단말(100)에서 참조할 수도 있고, 사용자 단말(100) 스스로 데이터 베이스를 저장할 수도 있다. When the user intention database is created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so far, the user intention database generated in this way is used to predict the activity of the user. That is, the user terminal 100 provides the information of the predicted future user activity using the database. The database may be stored in an external server for reference by the user terminal 100, or the user terminal 100 may store the database itself.

사용자 단말(100) 스스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관리하는 경우 전술한 저장부(150)는 이러한 데이터 베이스를 저장한다. 데이터 베이스의 종류는 제한이 없다. 즉, 계층형 데이터 베이스(HDB : Hierarchical Database),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RDB : Relational Database), 객체지향형 데이터 베이스(OODB : Object-Oriented Databas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외부 서버가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있는 경우 상기 유형의 데이터 베이스 외에 네트워크형 데이터 베이스(NDB : Network Database)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When the user terminal 100 constructs and manages a database by itself, the aforementioned storage unit 150 stores the database. There is no limit to the type of database. That is, it may be one of a hierarchical database (HDB), a relational database (RDB), and an object-oriented database (OODB). If an external server is constructing a database, it may be implemented as a network type database (NDB) in addition to the above type of databas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미래 시점의 사용자 활동을 예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00)은 구축된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여 현재 시간 및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활동을 예측하는 사용자 활동 예측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u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a function of predicting user activity at a future time point. That is, the user terminal 100 further includes a user activity predictor (not shown) that predicts an activity of the user based on at least one of a current time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with reference to the constructed database. can do.

즉, 사용자 활동 예측부는 사용자 활동을 시간 기준으로 예측되거나 사용자 단말(100)이 위치한 장소 기준으로 예측될 수 있다. 또는 시간과 장소를 모두 고려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 단위로 라이프 로그가 기록되어 사용자 의도 데이터 베이스가 구축된 경우라면, 다음 주 화요일의 특정 시간에 대한 사용자 활동이 예측될 수 있을 것이다.That is, the user activity predictor may predict the user activity on a time basis or on the basis of a place where the user terminal 100 is located. Or consider both time and place. For example, if a life log was recorded on a weekly basis to build a user intention database, user activity for a particular time of next Tuesday may be predicted.

기본적인 실시 예로 사용자 활동의 예측에는 시간이 고려될 수 있다. 도 9는 미래의 어느 시점에 대한 사용자 예측 상황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미래 시점에서 어느 사례(90)가 존재하는 경우 그에 따라 사용자 의도가 분류되며, 각 사용자 의도(91, 92)는 가중치를 갖는다. In a basic embodiment, time may be taken into account for prediction of user activity. 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user prediction situation for a certain time in the future. If any case 90 exists at a future point in time, the user intent is classified accordingly, with each user intent 91, 92 being weighted.

가중치는 사용자 의도의 정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어느 관심 장소가 복수의 사용자 의도를 갖고, 각 사용자 의도 사이의 가중치 편차가 큰 경우라면, 그 관심 장소에 대한 사용자 의도는 비교적 명확한 것이 된다. 이러한 경우 관심 장소는 강한(strong) 사용자 의도를 갖고 있다고 표현한다. 반면, 어느 관심 장소가 복수의 사용자 의도를 갖고, 각 사용자 의도 사이의 가중치 편차가 작은 경우는 관심 장소는 약한(weak) 사용자 의도를 갖고 있다고 판단된다. The weight indicates the degree of user intention. Therefore, if a place of interest has a plurality of user intentions, and the weight deviation between each user intention is large, the user intention for that place of interest becomes relatively clear. In this case, the place of interest is expressed as having strong user intention. On the other hand, when a place of interest has a plurality of user intentions and the weight deviation between each user intention is small, it is determined that the place of interest has a weak user intention.

도 10은 사용자 의도의 강약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10의 왼쪽 그래프에서 사용자 활동을 기록한 결과 4번째 관심 장소에서 강한 사용자 의도가 분석되었다. 오른쪽 그래프는 미래의 사용자 활동을 예측하는 그래프를 나타낸다. 강한 사용자 의도를 갖는 관심 장소는 사용자 의도를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게 되는 것이므로, 사용자 활동의 예측 정확성도 높아진다. 10 shows a graph showing strength and weakness of user intent. As a result of recording user activity in the left graph of FIG. 10, strong user intention was analyzed at the fourth place of interest. The graph on the right shows a graph that predicts future user activity. Since a point of interest with a strong user intention is to be able to predict the user intention relatively accurately, the prediction accuracy of the user activity is also increased.

다만, 사용자 활동은 성격에 따라서 예측되는 시간이 차이가 있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식사는 일반적으로 짧은 시간 후에 이루어지는 사용자의 행위인 반면, 여행이나 트랙킹은 장시간이 지난 후에 이루어질 수 있는 사용자의 행위인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러한 사용자 활동의 성격에 따라 사용자 의도를 단기간 의도, 중기간 의도, 장기간 의도로 구분할 수 있다. However, there is a case where the estimated time varies depending on the nature of user activity. For example, meals are generally a user's behavior after a short time, while travel or tracking is a user's behavior that can occur after a long time.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user activity, the user intention can be classified into short-term intention, medium-term intention, and long-term intention.

단기간 의도의 경우 현재 시점에서 짧은 시간이 지난 후에 일어나는 사용자의 활동을 예측해야 하므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수행된다. 사용자가 과거에 현재 위치에서 매우 멀리 떨어져 있는 식당을 자주 이용했다고 하더라도 현재 시간에서 한 시간 뒤의 식사는 현재 위치에 가까운 식당에서 하길 원할 것이다. 반면, 중기간이나 장기간 의도의 경우 현재 시점에서 긴 시간이 지난 후에 일어나는 사용자의 활동을 예측해야 하므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고려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여행을 가기 훨씬 전에 여행 계획을 세우게 되고, 여행일에 가까워진다고 해서 출발지를 고려해서 여행지를 다시 수정하지는 않을 것이다.In the case of short-term intention, since the user's activity occurring after a short time passes from the current point in time, it is per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Even if a user frequently used a restaurant that is very far from the current location in the past, they would want to eat one hour after the current time at the restaurant close to the current loca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medium-term or long-term intention, the us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s not considered because the user's activity that occurs after a long time from the current time point must be predicted. For example, a user will typically plan a trip well before the trip, and the closer to the travel date, the user will not modify the destination again in consideration of the origin.

이상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의 구성과 기능을 설명하였다. 전술한 사용자 단말(100)은 다양한 모바일 장치로 구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태블릿 PC, 스마트 워치, PMP, MP3 플레이어, PDA, 셀 폰, 랩탑 컴퓨터, 기타 이동성 있는 단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 가능하다.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user terminal 100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mobile devices. For example, it can be implemented with at least one of a smart phone, a tablet PC, a smart watch, a PMP, an MP3 player, a PDA, a cell phone, a laptop computer, and other mobile terminal devices.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일반적인 전자 계산 장치가 갖는 구성을 포함한다. 즉, 충분한 제어 및 연산 능력을 갖는 CPU, 캐쉬 메모리, 램 메모리, 하드 디스크나 블루레이 디스크와 같은 대용량 보조 기억 장치, 터치 스크린과 같은 입출력 장치, 근거리 통신 모듈, HDMI를 포함하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모듈, 데이터 버스 등 하드웨어 구성을 포함하며, 전술한 사용자 활동 수집부, 위치 정보 검출부, 관심 장소 후보 파단부, 사용자 의도 분석부, 사용자 활동 예측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운영체제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includes a configuration that a general electronic computing device has. That is, various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including CPU, cache memory, RAM memory, large capacity auxiliary storage device such as hard disk or Blu-ray disk, input / output device such as touch screen,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HDMI having sufficient control and arithmetic capability, It includes a hardware configuration such as a data bus, and includes an application, a framework, and an operating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the functions of the above-described user activity collecting unit, location information detecting unit, point of interest candidate breaking unit, user intention analyzing unit, and user activity predicting unit. .

또한, 전술한 사용자 단말(100)의 구성 및 동작은 사용자 단말(미도시)과 서버(미도시)로 구성된 시스템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각 구성의 기능은 사용자 단말(미도시)와 서버(미도시)가 분담하여 수행하고, 양 자 간에 다양한 통신 수단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described above may be performed in a system consisting of a user terminal (not shown) and a server (not shown). In this case, the functions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may be shared by the user terminal (not shown) and the server (not shown), and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various communication means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활동 예측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predicting user activity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도 11 및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활동 예측 방법의 흐름도이다. 11 and 12 are flowcharts of a user activity prediction metho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활동 예측 방법은, 사용자 활동을 수집하는 단계(S1110), 상기 사용자 활동이 수집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S1120), 상기 수집된 사용자 활동 및 상기 검출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관심 장소 후보(Place of Interest)를 선정하는 단계(S1130), 기 저장된 사용자 활동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선정된 관심 장소 후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의도를 분석하는 단계(S11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1, in the method of predicting user acti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collecting user activity (S1110), detecting user location information when the user activity is collected (S1120), Selecting a place of interest candidate based on the collected user activity and the detect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S1130), based on previously stored user activity information, at least the selected place of interest candidate; Analyzing one user intention (S1140).

이때, 상기 사용자 활동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며, 카메라 촬영, 동영상 재생, 음악 재생, 특정 목적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기능 설정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 activity may be a user input for executing a specific func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may be at least one of camera shooting, video playback, music playback, application execution for a specific purpose, and function setting of the user terminal.

또한, 상기 관심 정보 후보를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집된 사용자 활동 및 상기 검출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활동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사용자 활동 정보에 기초하여 관심 장소 후보(Place of Interest)를 선정할 수 있다.The selecting of the interest information candidate may generate user activity information based on the collected user activity and the detect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place a place of interest candidate based on the generated user activity information. of Interest).

이때, 상기 생성된 사용자 활동 정보는, 아이디(ID), 타임스탬프(Timestamp), 제목(Title), 애플리케이션 패키지 이름(Package Name), 이벤트(Event), 타입(Type), 지속기간(Duration), 매타 데이터(Meta), 위도(latitude), 경도(longitude), 주소(address) 및 위치 소스(location sour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generated user activity information may include an ID, a timestamp, a title, an application package name, an event, a type, a duration,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metadata, latitude, longitude, address, and location source.

또한, 상기 관심 정보 후보를 선정하는 단계는, 집 또는 사무실을 기준으로 상기 관심 장소 후보를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The selecting of the interest information candidate may include determining the interested place candidate based on a home or an office.

또한, 상기 관심 장소 후보는 적어도 하나의 지점(Venue)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ace of interest candidate may include at least one point.

또한, 상기 사용자 의도를 분석하는 단계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위치 지식 서비스(location-knowledge service)를 더 고려하여 상기 선정된 관심 장소 후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의도를 분석할 수 있다. The analyzing of the user intention may further analyze at least one user intention of the selected place of interest candidate by further considering a location-knowledge service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또한, 상기 사용자 의도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선정된 관심 장소 후보에 대해 복수의 사용자 의도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복수의 사용자 의도는 각각 다른 가중치를 갖을 수 있다.The analyzing of the user intention may include analyzing a plurality of user intentions with respect to the selected place of interest candidate, and the analyzed plurality of user intentions may have different weights.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활동 예측 방법은, 사용자 활동을 수집하는 단계(S1210),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S1220), 관심 장소 후보(Place of Interest)를 선정하는 단계(S1230), 기 저장된 사용자 활동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선정된 관심 장소 후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의도를 분석하는 단계(S1240)를 포함하고, 현재 시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 활동을 예측하는 단계(S1250)를 포함한다. 이때, S1210~S1240은 전술한 S1110~S1140 단계에 대응된다.Referring to FIG. 12, in the method of predicting user activity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collecting user activity (S1210), dete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S1220), and a place of interest candidate (Place of) Selecting Interest (S1230), analyzing at least one user intention for the selected interest place candidate based on previously stored user activity information (S1240), the current time and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Predicting user activity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S1250). At this time, S1210 to S1240 correspond to the above-described steps S1110 to S1140.

이때, 상기 사용자 활동을 예측하는 단계(S1250)는, 예측이 필요한 사용자 활동이 짧은 시간 후에 이루어지는 유형의 활동인 경우, 현재 시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활동을 예측하는 것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ep of predicting the user activity (S1250), when the user activity that needs to be predicted is a type of activity that occurs after a short time, to predict the activity of the user based on the current time and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Can be.

한편, 전술한 사용자 활동 예측 방법은 컴퓨터 상에서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기록 매체에 프로그램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이 가능하며, 전자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될 수 있다. Meanwhile, the above-described user activity prediction method may be stored in the form of a program in a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readable on a computer. Here, the non-transitory readable medium refers to a medium that can store data semi-permanently and can be read by an electronic device, not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time such as a register or a cache. For example, it may be a CD, a DVD, a hard disk, a Blu-ray disk, a USB, a memory card, a ROM, or the like.

또한, 전술한 사용자 활동 예측 방법은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형태로 하드웨어 IC칩에 내장되어 제공될 수 있고, 전술한 사용자 단말 (100)의 구성으로 포함되거나, 사용자 단말과 서버로 구성된 시스템의 구성으로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user activity prediction method may be provided embedded in a hardware IC chip in the form of embedded software, may be included in the configur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described above, or may be included in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consisting of a user terminal and a server. .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t is usually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사용자 단말
110 : 사용자 활동 수집부 120 : 위치 정보 검출부
130 : 관심 장소 후보 판단부 140 : 사용자 의도 분석부
150 : 저장부
100: user terminal
110: user activity collection unit 120: location information detection unit
130: interest place candidate determination unit 140: user intention analysis unit
150: storage unit

Claims (20)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사용자 활동을 수집하는 사용자 활동 수집부;
상기 사용자 활동이 수집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위치 정보 검출부;
상기 수집된 사용자 활동 및 상기 검출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관심 장소 후보(Place of Interest)를 선정하는 관심 장소 후보 판단부; 및
기 저장된 사용자 활동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선정된 관심 장소 후보에 대한 사용자 의도를 분석하는 사용자 의도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의도 분석부는,
상기 선정된 관심 장소 후보에 대해 복수의 사용자 의도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복수의 사용자 의도는 각각 다른 가중치를 갖는 사용자 단말.
In the user terminal,
A user activity collecting unit collecting user activity;
A location information detector for dete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when the user activity is collected;
A place of interest candidate determiner configured to select a place of interest based on the collected user activity and the detect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And a user intention analyzer configured to analyze user intention of the selected candidate for interest place based on previously stored user activity information.
The user intention analysis unit,
Analyze a plurality of user intentions for the selected places of interest candidates,
The analyzed plurality of user intentions each have a different weigh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활동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며, 카메라 촬영, 동영상 재생, 음악 재생, 특정 목적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기능 설정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The method of claim 1,
The user activity is a user input for executing a specific function of the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camera shooting, video playback, music playback, application execution of a specific purpose and the function setting of the user terminal.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장소 후보 판단부는,
상기 수집된 사용자 활동 및 상기 검출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활동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사용자 활동 정보에 기초하여 관심 장소 후보(Place of Interest)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The method of claim 1,
The interested place candidate determination unit,
The user terminal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user activity information based on the collected user activity and the detect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select a place of interest based on the generated user activity information.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사용자 활동 정보는,
아이디(ID), 타임스탬프(Timestamp), 제목(Title), 애플리케이션 패키지 이름(Package Name), 이벤트(Event), 타입(Type), 지속기간(Duration), 매타 데이터(Meta), 위도(latitude), 경도(longitude), 주소(address) 및 위치 소스(location sour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The method of claim 3,
The generated user activity information is
ID, Timestamp, Title, Application Package Name, Event, Type, Duration, Meta, Latitude And at least one of a longitude, an address, and a location sour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장소 후보 판단부는,
집 또는 사무실을 기준으로 상기 관심 장소 후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The method of claim 1,
The interested place candidate determination unit,
The us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rmining the candidate for the place of interest based on the home or off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장소 후보는 적어도 하나의 지점(Venu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The method of claim 1,
The place of interest candidate is a us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point (Ven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의도 분석부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위치 지식 서비스(location-knowledge service)를 더 고려하여 상기 선정된 관심 장소 후보에 대한 사용자 의도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The method of claim 1,
The user intention analysis unit, the us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analyzing the user intention for the selected place of interest candidate further considering the location-knowledge service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현재 시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활동을 예측하는 사용자 활동 예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The method of claim 1,
And a user activity predictor for predicting an activity of a user based on at least one of a current time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활동 예측부는,
예측이 필요한 사용자 활동이 짧은 시간 후에 이루어지는 유형의 활동인 경우, 현재 시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활동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The method of claim 9,
The user activity prediction unit,
If the user activity that requires prediction is a type of activity that occurs after a short time, the user terminal, wherein the activity of the user is predicted based on the current time an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활동 예측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활동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활동이 수집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사용자 활동 및 상기 검출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관심 장소 후보(Place of Interest)를 선정하는 단계; 및
기 저장된 사용자 활동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선정된 관심 장소 후보에 대한 사용자 의도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의도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선정된 관심 장소 후보에 대해 복수의 사용자 의도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복수의 사용자 의도는 각각 다른 가중치를 갖는 사용자 활동 예측 방법.
In the user activity prediction method of the user terminal,
Collecting user activity;
Dete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when the user activity is collected;
Selecting a place of interest based on the collected user activity and the detect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Analyzing a user's intention of the selected place of interest candidate based on previously stored user activity information;
Analyzing the user intention,
Analyze a plurality of user intentions for the selected places of interest candidates,
And analyzing the plurality of user intentions having different weight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활동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며, 카메라 촬영, 동영상 재생, 음악 재생, 특정 목적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기능 설정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활동 예측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user activity may be a user input for executing a specific func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user activity may include at least one of camera shooting, video playback, music playback, application execution for a specific purpose, and function setting of the user terminal. Forecast metho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장소 후보를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집된 사용자 활동 및 상기 검출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활동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사용자 활동 정보에 기초하여 관심 장소 후보(Place of Interest)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활동 예측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selecting a place of interest candidate may include:
User activity information is generated based on the collected user activity and the detect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a place of interest is selected based on the generated user activity information. Forecast metho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사용자 활동 정보는,
아이디(ID), 타임스탬프(Timestamp), 제목(Title), 애플리케이션 패키지 이름(Package Name), 이벤트(Event), 타입(Type), 지속기간(Duration), 매타 데이터(Meta), 위도(latitude), 경도(longitude), 주소(address) 및 위치 소스(location sour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활동 예측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The generated user activity information is
ID, Timestamp, Title, Application Package Name, Event, Type, Duration, Meta, Latitude And at least one of a longitude, an address, and a location sour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장소 후보를 선정하는 단계는,
집 또는 사무실을 기준으로 상기 관심 장소 후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활동 예측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selecting a place of interest candidate may include:
And determining the candidate for the place of interest based on a home or an off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장소 후보는 적어도 하나의 지점(Venu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활동 예측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place of interest candidate comprises at least one point (Venu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의도를 분석하는 단계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위치 지식 서비스(location-knowledge service)를 더 고려하여 상기 선정된 관심 장소 후보에 대한 사용자 의도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활동 예측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Analyzing the user intention,
And analyzing a user's intention of the selected candidate for the place of interest by further considering a location-knowledge service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삭제delete 제11항에 있어서,
현재 시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 활동을 예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활동 예측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Predicting user activity based on at least one of a current time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활동을 예측하는 단계는,
예측이 필요한 사용자 활동이 짧은 시간 후에 이루어지는 유형의 활동인 경우, 현재 시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활동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활동 예측 방법.
The method of claim 19,
Predicting the user activity,
If the user activity that requires prediction is a type of activity that occurs after a short time, the user activity predi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current time and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KR1020130052625A 2013-05-09 2013-05-09 User terminal apparatus and user activity prediction method Active KR1020736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625A KR102073696B1 (en) 2013-05-09 2013-05-09 User terminal apparatus and user activity predic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625A KR102073696B1 (en) 2013-05-09 2013-05-09 User terminal apparatus and user activity prediction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069A KR20140133069A (en) 2014-11-19
KR102073696B1 true KR102073696B1 (en) 2020-02-06

Family

ID=52453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2625A Active KR102073696B1 (en) 2013-05-09 2013-05-09 User terminal apparatus and user activity prediction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369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47358B2 (en) 2020-07-24 2023-05-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using movement inform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or feature inform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11101B4 (en) * 2015-06-17 2025-02-06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Speech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speech recognition system with a mobile unit and an external server
KR101718146B1 (en) * 2016-01-11 2017-03-20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user visits a place
KR102529190B1 (en) 2018-05-25 2023-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for determinig loc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776199B1 (en) 2018-12-19 2025-03-07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for tracking activity of user and method for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71881A1 (en) * 2009-09-18 2011-03-24 Microsoft Corporation Mining life pattern based on location history
US20110276565A1 (en) * 2010-05-04 2011-11-10 Microsoft Corporation Collaborative Location and Activity Recommendation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95699B (en) * 2011-10-07 2019-03-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media location-based sharing &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71881A1 (en) * 2009-09-18 2011-03-24 Microsoft Corporation Mining life pattern based on location history
US20110276565A1 (en) * 2010-05-04 2011-11-10 Microsoft Corporation Collaborative Location and Activity Recommendatio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47358B2 (en) 2020-07-24 2023-05-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using movement inform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or feature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069A (en) 2014-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073249B2 (en) Provision of computer resources based on location history
US9769634B2 (en) Providing personalized content based on historical interaction with a mobile device
CN106462627B (en) Analyzing semantic places and related data from multiple location data reports
KR10139926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mmending application in mobile device
AU2019201682B2 (en) Adaptive logistics platform for generating and updating schedules u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US9123259B2 (en) Discovering functional groups of an area
TW201502475A (en) Prediction engine
KR102073696B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user activity prediction method
Fan et al. SmarTrAC: A smartphone solution for context-aware travel and activity capturing
CN104704863A (en) User behavior modeling for intelligent mobile companions
CN104395780A (en) Weather forecast based on expected location
CN110148013B (en) User label distribution predic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EP307066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population flow estimation device,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opulation flow estimation method
Malmi et al. Checking in or checked in: comparing large-scale manual and automatic location disclosure patterns
US11639857B2 (en) Objective generation of a point of interest score based on quantities of user stops
EP3070617A1 (en) Attribute determination device, communication terminal, attribute determination method, and program
US20160371662A1 (en) Adaptive merchant site sampling linked to payment transactions
US11138615B1 (en) Location-based place attribute prediction
KR20150014294A (en)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based on schedule, user terminal apparatus, server, and service providing system based on schedule
US20240185276A1 (en) Estimation system, estimation method and program
JP2019128921A (en) Determination program, determination device, and determination method
US20170169025A1 (en) Estimating Geographic Entity Capacity
Kraft et al. Operationalizing the use of sensor data in mobile crowdsensing: a systematic review and practical guidelines
Tran et al. Automatic identification of points of interest in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data: A spatial temporal approach
Tang Geospatial multimedia data for situation recogn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5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5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4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30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1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1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