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78368B1 - Coupl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upl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8368B1
KR102078368B1 KR1020130068182A KR20130068182A KR102078368B1 KR 102078368 B1 KR102078368 B1 KR 102078368B1 KR 1020130068182 A KR1020130068182 A KR 1020130068182A KR 20130068182 A KR20130068182 A KR 20130068182A KR 102078368 B1 KR102078368 B1 KR 102078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fixing device
door
outer door
inner do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81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45718A (en
Inventor
임지현
김진동
김현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8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368B1/en
Publication of KR20140145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57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368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5Secondary clo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1French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저장실에 돌출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부에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해제되는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을 감싸는 제1홀더와 상기 가이드부의 타측을 감싸는 제2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장치가 가압되면, 상기 제1홀더는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2홀더는 회동가능하고, 상기 고정 장치는 냉장고의 외부 도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내부 도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ing device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xing device selectively coupled to or released from a guide part provided to protrude into a storage compartment of a refrigerator, the fixing device including a first holder surrounding one side of the guide part and a second holder surrounding the other side of the guide part. When the device is pressurized, the first holder is movable, the second holder is rotatable, and the fixing device is provided on an inner door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door of the refrigerator. .

Description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Coupl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Fixing device and refrigerator including same {Coupl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도어가 내부 도어와 별도로 회전될 때에 내부 도어를 본체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고정 장치 및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ing device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xing device and a refrigerator capable of stably fixing the inner door to the main body when the outer door is rotated separately from the inner door.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냉동 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토출하여 고내의 온도를 저하시켜 음식물 등을 냉동시키거나 냉장 보관하는 장치이다.In general, a refrigerator is a device for freezing or refrigerating food or the like by discharging cold air generated by a refrigeration cycle including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valve, an evaporator, and lowering the temperature in the refrigerator.

냉장고는 음식물 또는 음료를 얼려서 보관하는 냉동실과, 상기 음식물 또는 음료를 저온에서 보관하는 냉장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The refrigerator generally includes a freezer compartment for freezing food or beverage and a cold compartment for storing the food or beverage at low temperature.

이러한 냉장고는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부에 배치된 탑마운트 타입(Top Mount Type)과, 냉동실이 냉장실의 하부에 배치된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과, 냉동실과 냉장실이 격벽에 의해 좌측과 우측으로 구획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 Type)으로 나눌 수 있다.Such refrigerators include a top mount type in which a freezer compartment is disposed above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 bottom freezer type in which the freezer compartment is disposed below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a freezer compartment and a refrigerator compartment to the left and right sides by a partition wall. It can be divided into the divided side by side type.

냉장고는 상기 냉동 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 열교환하면서 발생되는 냉기를 이용하여 냉동실 또는 냉장실과 같은 저장실을 냉각시킨다. 따라서, 냉장고의 저장실 내부는 보통 외부보다 낮은 온도로 유지된다.The refrigerator cools a storage compartment such as a freezing compartment or a refrigerating compartment by using cold air generated while exchanging heat with the refrigerant circulating in the freezing cycle. Therefore, the insi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of the refrigerator is usually maintained at a lower temperature than the outside.

냉동실과 냉장실은 냉장고 본체를 이루는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어 각각 냉동실도어와 냉장실도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냉동실도어와 냉장실도어는 전면이 개구된 냉동실과 냉장실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각 도어에는 저장실 내부의 밀폐를 위해 개스킷이 마련된다.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re provided in a cabinet constituting the refrigerator body and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by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respectively.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are rotatably mount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having an open front, and each door is provided with a gasket for sealing the insi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최근에는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고 도어를 자주 개폐함에 따른 냉기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캐비닛과 냉장실도어 또는 냉동실도어의 사이에 보조 도어를 설치하고, 보조 도어에 저장용기를 설치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Recently, in order to meet various consumer demands and to prevent cold air loss due to frequent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 technology for installing an auxiliary door between the cabinet and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or the freezing chamber door and installing a storage container on the auxiliary door has been developed. have.

그런데, 상기 냉동실 또는 냉장실 도어와 상기 보조도어에는 각각의 개스킷이 각각 구비되므로, 보조도어 없이 개스킷이 하나만 구비되는 경우에 비해 상기 2개의 개스킷을 통한 냉기 손실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each gasket is provided in each of the freezer compartment or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and the auxiliary door, there is a problem in that cold air loss through the two gaskets is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only one gasket is provided without the auxiliary door.

또한, 상기 개스킷이 접촉하는 부위인 본체의 전면과 냉장실 또는 냉동실 도어 전면에는 내외부의 온도차에 의해 이슬이 맺히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두 부위에 히터를 내장하여 가열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이슬 맺힘을 방지하기 위한 히터가 2개가 필요하므로 그만큼 소비전력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30111호를 참조하면, 도어의 외부에 구비된 버튼에 의해 도어를 냉장실 또는 냉동실에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기 위한 고정 장치를 게시할 뿐, 별도로 보조 도어와 냉장실 또는 냉동실을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구성을 문제삼지 않았다.In addition, dew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which is the contact area of the gasket, and the front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or the freezing chamber door due to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gasket. In this case, since two heaters are required to prevent dew condensation, power consumption increases. In addition, referring to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3-0030111, it discloses a fixing device for coupling or detaching a door to a refrigerating compartment or a freezing compartment by a button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door. The configuration of joining or separating the freezer did not matt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외부 도어가 내부 도어과 별도로 회전될 때에 내부 도어를 본체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xing device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that can stably fix the inner door to the body when the outer door is rotated separately from the inner door.

또한 본 발명은 내부 도어과 외부 도어를 함께 회전시킬 때에, 내부 도어과 외부 도어가 작은 힘으로도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fixing device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so that the inner door and the outer door can be rotated with a small force when the inner door and the outer door are rotated togeth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저장실이 구비되는 저장실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제1힌지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외부 도어; 제2힌지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내부 도어; 상기 저장실에 돌출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부; 및 상기 내부 도어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와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되는 고정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을 감싸는 제1홀더와 상기 가이드부의 타측을 감싸는 제2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장치가 눌려지면, 상기 제1홀더는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2홀더는 회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storage compartment provided with a storage compartment; An outer door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by a first hinge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n inner door rotatably coupled by a second hinge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 guide part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storage compartment; And a fixing device provided in the inner door and selectively coupled or decoupled with the guide part, wherein the fixing device comprises: a first holder surrounding one side of the guide part and a second holder surrounding the other side of the guide part; Includes, and when the fixing device is pressed, the first holder is movable and the second holder is rotatable.

특히 상기 고정 장치가 제1위치까지 가압되면 상기 제1홀더는 고정되고, 상기 제2홀더는 회동가능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fixing device is pressed to the first position, the first holder may be fixed, and the second holder may be rotatable.

한편 상기 고정 장치가 제2위치까지 가압되면 상기 제1홀더가 이동가능한 것이 가능하다.Meanwhile, when the fixing device is pressed to the second position, the first holder may be movable.

그리고 상기 고정 장치가 상기 제2위치까지 가압되면 상기 제1홀더는 상기 가이드부를 향해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는 상이한 것이 가능하다.When the fixing device is pressed to the second position, the first holder may be moved toward the guide portion, and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may be different.

나아가 상기 제1위치보다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고정 장치가 많이 가압되는 것이 가능하다.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press the fixing device more in the second position than in the first position.

물론 상기 고정 장치가 상기 가이드부와 결합되면 상기 내부 도어는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 장치가 상기 가이드부와 결합되지 않으면 상기 내부 도어는 상기 본체에 대해 회전가능할 수 있다.Of course, when the fixing device is coupled to the guide part, the inner door is fixed to the body, and when the fixing device is not coupled to the guide part, the inner door may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body.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홀더 및 상기 제2홀더에 의해서 감싸지는 가이드 핀과, 상기 제2홀더가 접촉해서 회전되도록 안내하는 완곡면이 형성된 가이드 벽을 포함할 수 있다.The guide part may include a guide pin wrapped by the first holder and the second holder, and a guide wall having a curved surface for guiding the second holder to rotate in contact.

특히 상기 고정 장치는 일정 영역에서 상기 제2홀더가 상기 가이드 핀을 감싸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제1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fixing device may include a first elastic member elastically supporting the second holder to rotate in a direction surrounding the guide pin in a predetermined region.

한편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제2홀더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스톱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x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for selectively limiting the rotation of the second holder.

그리고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스톱퍼가 상기 제2홀더를 향해서 회전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제2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device may include a second elastic member elastically supporting the stopper to rotate toward the second holder.

한편 상기 제2홀더는 상기 스톱퍼에 맞물려서 걸리는 걸림편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holder can be provided with a engaging piece that is engaged by engaging the stopper.

또한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제1홀더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가이드 후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guide hook for selectively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holder.

물론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외부 도어에 의해 제1위치까지 가압되면, 상기 제2홀더의 회동이 가능하게 하고, 상기 외부 도어에 의해 제2위치까지 가압되면, 상기 제1홀더의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푸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Of course, the fixing device, when pressed to the first position by the outer door, allows the second holder to rotate, and when pressed to the second position by the outer door, the first holder can be moved. It may further include a push unit.

이때 상기 푸쉬부는, 상기 외부 도어에 접촉해서 선택적으로 가압되는 가압편과, 상기 가압편에서 연장되고, 상기 내부 도어를 관통하는 연결편과, 상기 연결편에 결합되어 상기 스톱퍼를 회동시키는 힘을 전달하는 전달편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ush unit, a pressure piece that is selectively pressed in contact with the outer door, a connection piece extending from the pressure piece, penetrating the inner door, and coupled to the connection piece to transmit a force to rotate the stopper May include a section.

또한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저장실에 돌출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부에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해제되는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을 감싸는 제1홀더와 상기 가이드부의 타측을 감싸는 제2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장치가 가압되면, 상기 제1홀더는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2홀더는 회동가능하고, 상기 고정 장치는 냉장고의 외부 도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내부 도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xing device that is selectively coupled or released to the guide portion provided to protrude in the storage compartment of the refrigerator, including a first holder surrounding one side of the guide portion and a second holder surrounding the other side of the guide portion, When the fixing device is pressed, the first holder is movable, the second holder is rotatable, and the fixing device is provided on an inner door rotatably coupled to an outer door of the refrigerator. do.

이때 상기 고정 장치가 제1위치까지 가압되면 상기 제1홀더는 고정되고, 상기 제2홀더는 회동가능한 것이 가능하다.At this time, when the fixing device is pressed to the first position, the first holder may be fixed, and the second holder may be rotatable.

한편 상기 고정 장치가 제2위치까지 가압되면 상기 제1홀더가 이동가능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fixing device is pressed to the second position, the first holder may be movable.

나아가 상기 외부 도어에 의해 제1위치까지 가압되면 상기 제2홀더의 회동이 가능하게 하고, 상기 외부 도어에 의해 제2위치까지 가압되면 상기 제1홀더의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푸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when the pressure is pushed to the first position by the outer door, the second holder may be rotated, and when the pressure is pushed to the second position by the outer door, the pusher may further include a push part to enable the movement of the first holder. have.

물론 상기 제2홀더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스톱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Of course, it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for selectively limiting the rotation of the second holder.

또한 본 발명은 저장실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제1힌지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외부 도어; 제2힌지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내부 도어; 상기 외부 도어와 상기 내부 도어를 결합 또는 결합 해제하는 래치; 및 상기 본체와 상기 내부 도어를 결합 또는 결합 해제하는 고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도어가 상기 저장실을 밀폐하면서, 상기 외부 도어가 상기 고정 장치를 제1위치까지 누르면,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내부 도어와 상기 본체의 결합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in body provided with a storage compartment; An outer door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by a first hinge; An inner door rotatably coupled by a second hinge; A latch for engaging or disengaging the outer door and the inner door; And a fixing device for engaging or releasing the main body and the inner door, wherein the outer door presses the fixing device to a first position while the outer door seals the storage compartment. Provided is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o release the door and the body is coupled.

특히 상기 외부 도어가 상기 고정 장치를 제2위치까지 누르면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내부 도어가 상기 본체에 대해 멀어지도록 상기 본체를 밀어내는 것이 가능하고, 이때 상기 제1위치보다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고정 장치가 많이 눌려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outer door presses the fixing device to the second position, the fixing device can push the main body so that the inner door is away from the main body, wherein the fixing is performed at the second position rather than the first position. This may mean that the device is pressed a lot.

한편 상기 래치에 의해서 상기 내부 도어와 상기 외부 도어의 결합이 해제되면, 상기 고정 장치에 의해 상기 내부 도어와 상기 본체가 결합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inner door and the outer door are uncoupled by the latch, the inner door and the main body may be coupled by the fixing device.

그리고 상기 외부 도어가 상기 고정 장치를 누르는 것이 해제되면, 상기 고정 장치에 의해 상기 내부 도어와 상기 본체가 결합될 수 있다.When the external door is released from pressing the fixing device, the inner door and the main body may be coupled by the fixing device.

물론 상기 래치에 의해서 상기 외부 도어와 상기 내부 도어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도어가 상기 본체에 대해 회전되면,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내부 도어와 상기 본체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Of course, when the outer door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outer door and the inner door are coupled by the latch, the fixing device may release the coupling of the inner door and the main body.

상기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의하면, 저장실을 개폐하기 위해서 하나의 외부 도어만을 구비하기 때문에 2개의 가스켓을 사용함으로 인해서 발생되는 냉기손실과 히터에 의한 소비전력이 감소해서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다.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since only one external door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the cold air loss generated by using two gaskets and the power consumption by the heater are reduced, thereby improving energy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 도어와 외부 도어를 개별 또는 함께 동작시킬 수 있어서, 저장실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door and the outer door can be operated individually or together, thereby improving the user's access to the storage compartm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 도어에 거치된 식품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도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improve the user's access to food mounted on the inner doo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 도어를 제외한 외부 도어만을 동작시킬 때에 내부 도어가 본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해서, 내부 도어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내부 도어가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동작을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door can be fixed to the main body when operating only the outer door except for the inner door, thereby preventing the inner door from rotating arbitrarily. That is, the inner door can be prevented from operating undesired by the use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 도어와 외부 도어를 함께 회전시킬 때에, 내부 도어과 외부 도어를 본체로부터 멀어지도록 하는 힘을 제공받을 수 있어서, 내부 도어과 외부 도어를 함께 개방할 때에 보다 작은 힘이 소요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rotating the inner door and the outer door together, the force can be provided to move the inner door and the outer door away from the main body, a smaller force is required when opening the inner door and the outer door togeth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서 외부 도어가 저장실을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서 외부 도어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서 외부 도어와 내부 도어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내부 도어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체결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홀더와 조작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홀더와 체결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전달 부재와 증폭 부재의 연결 부위의 단면도.
도 9는 버튼 부재와 증폭 부재의 연결 부위의 단면도.
도 10은 홀더와 체결부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3에서 'A'부분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도 12는 고정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12의 좌측면도.
도 14는 도 12의 우측면도.
도 15는 도 12의 분해 사시도.
도 16은 도 1의 상태에서 가이드부와 고정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도 2의 상태에서 가이드부와 고정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도 3의 상태에서 가이드부와 고정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다양한 냉장고의 타입을 도시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다양한 냉장고의 타입을 도시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다양한 냉장고의 타입을 도시한 도면.
도 22는 도 16과 다른 형태의 고정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도 22와 다른 형태의 고정 장치를 도시한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uter door closed the storage compartment in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uter door is rotated in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uter door and the inner door rotated in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n interior door;
5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astening portion.
6 is a view showing a holder and an operation unit;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er and the fastening portion are coupled.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ion portion of a delivery member and an amplification member.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ion portion of a button member and an amplification member.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er and the coupling unit are released.
FIG. 11 is a detail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3.
12 shows a fixing device.
FIG. 13 is a left side view of FIG. 12; FIG.
14 is a right side view of FIG. 12.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2.
16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guide unit and the fixing device in the state of FIG.
17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guide unit and the fixing device in the state of FIG.
18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guide unit and the fixing device in the state of FIG.
19 illustrates various types of refrigerator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20 illustrates various types of refrigerator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FIG. 21 is a view illustrating various types of refrigerator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FIG.
22 is a view showing a fixing device of another form than FIG.
FIG. 23 is a view showing a fixing device of another form than FIG. 22. FIG.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specifically realize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In this process, the size or shap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ddition, terms that are specifically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서 외부 도어가 저장실을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uter door closed the storage compartment in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1 is as follows.

냉장고의 본체(10)에는 외부 도어(20)가 설치된다. 상기 외부 도어(20)는 냉장실 또는 냉동실을 개방하는 도어인 것이 가능하다.The outer door 20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 of the refrigerator. The outer door 20 may be a door that opens a refrigerating compartment or a freezing compartment.

상기 외부 도어(20)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물이나 얼음을 공급받을 수 있는 디스펜서(30)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외부 도어(20)를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디스펜서(30)를 통해서 얼음 또는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One side of the outer door 20 may be provided with a dispenser 30 that allows the user to receive water or ice. The user may receive ice or water through the dispenser 30 without opening the outer door 20.

상기 외부 도어(20)에는 사용자가 손을 파지해서 상기 외부 도어(20)를 회동시킬 수 있는 손잡이부(22)가 설치된다. 상기 손잡이부(22)에 사용자가 손을 파지해서 상기 외부 도어(20)를 회동시켜 저장실을 개방할 수 있다.The outer door 20 is provided with a handle portion 22 that allows the user to grip the hand to rotate the outer door 20. The user can hold the hand on the handle 22 to rotate the outer door 20 to open the storage compartment.

나아가 상기 손잡이부(22)에는 사용자가 가압할 수 있는 버튼(652)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버튼(652)을 가압해서 냉장고의 외부 도어 개방 등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버튼(652)은 추후에 설명할 래치를 구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Further, the handle portion 22 may be provided with a button 652 that the user can press. The user may also implement various functions such as opening the outer door of the refrigerator by pressing the button 652. In this case, the button 652 may drive a latch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손잡이부(22)의 일측에는 상기 외부 도어(20) 내부로 연결될 수 있도록 버튼 부재 하우징(654)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버튼 부재 하우징(654)은 상기 버튼(652)에 의해서 발생되는 변위가 상기 외부 도어(20) 내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내부에 푸쉬 바가 내장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handle portion 22 may be provided with a button member housing 654 to be connected to the outer door (20). The button member housing 654 may have a push bar embedded therein so that the displacement generated by the button 652 may be transferred into the outer door 20.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서 외부 도어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uter door is rotated in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2 is as follows.

도 2에서는 상기 외부 도어(20)만 회동된 상태이고, 상기 외부 도어(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내부 도어(100)는 상기 저장실(2) 내에 수용된 상태이다.In FIG. 2, only the outer door 20 is rotated, and the inner door 100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door 20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2.

상기 본체(10)의 내측에는 냉동실 또는 냉장실에 해당되고 식품이 저장될 수 있는 저장실(2)이 구비된다. 상기 저장실(2)을 개폐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외부 도어(20)를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Inside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storage compartment 2, which corresponds to a freezer compartment or a refrigerating compartment, in which food can be stored. In order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2, the user can rotate the outer door 20.

상기 본체(10)에 대해서 상기 외부 도어(20)는 제1힌지(40)를 통해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힌지(40)는 상기 본체(10)의 측면 일 단에 설치되고, 상기 외부 도어(20)의 측면 일 단에 설치되어서, 상기 외부 도어(20)는 상기 본체(10)에 대해서 회동될 수 있다.The outer door 20 is pivotally coupled to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first hinge 40. The first hinge 40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side of the outer door 20, so that the outer door 20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 Can be.

상기 외부 도어(20)의 내측에는 상기 본체(10)에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가스켓(26)이 구비된다. 상기 가스켓(26)은 상기 외부 도어(20)의 외주면을 따라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가스켓(26)은 상기 외부 도어(20)의 사각 형상을 따라 전체적으로 사각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외부 도어(20)가 상기 본체(10)를 향해서 회전되어 상기 저장실(2)이 밀폐되면, 상기 가스켓(26)은 상기 본체(10)에 접촉하게 되어 상기 저장실(2)이 최종적으로 밀폐될 수 있다.The inner side of the outer door 20 is provided with a gasket 26 for selectively contacting the main body 10. The gasket 26 is provid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door 20. Therefore, the gasket 26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as a whole along the rectangular shape of the outer door 20. When the outer door 20 is rotated toward the main body 10 and the storage compartment 2 is sealed, the gasket 26 comes into contact with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storage compartment 2 may be finally sealed. Can be.

상기 외부 도어(20)의 내측에는 식품이 보관되는 저장부(24)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외부 도어(20)를 개방한 후에, 사용자가 상기 저장부(24)에 접근해서, 상기 외부 도어(20)의 내측에 설치된 저장부(24)에 식품을 보관하거나 보관된 식품을 꺼낼 수 있다.A storage unit 24 for storing food may be installed inside the outer door 20. That is, after the user opens the outer door 20 as shown in FIG. 2, the user approaches the storage part 24 and stores food in the storage part 24 installed inside the outer door 20. Can be taken out or stored food.

상기 외부 도어(20)에는 상기 내부 도어(100)가 제2힌지(200)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힌지(200)는 상기 외부 도어(20)에서 상기 제1힌지(40)가 설치된 부분에 치우치도록 설치되지만, 상기 제1힌지(40)와는 별도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2힌지(200)의 회전축은 상기 외부 도어(2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The inner door 10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door 20 by a second hinge 200. The second hinge 200 is installed to be biased in a portion in which the first hinge 40 is installed in the outer door 20, but is rotated about a rotation axis separate from the first hinge 40. At this time, the rotation shaft of the second hinge 20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outer door 20.

즉 상기 제1힌지(40)와 상기 제2힌지(200)는 서로 연결되는 구조가 없이 상기 외부 도어(20)에 함께 결합된다.That is, the first hinge 40 and the second hinge 200 are coupled together to the outer door 20 without a structure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래치(600)의 일부는 상기 외부 도어(20)에 설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내부 도어(100)에 설치된다. 상기 래치(600)는 상기 내부 도어(100)와 상기 외부 도어(20)를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다.A part of the latch 600 is installed in the outer door 20, and a part of the latch 600 is installed in the inner door 100. The latch 600 may selectively couple or disengage the inner door 100 and the outer door 20.

상기 래치(600)의 일부 중 상기 내부 도어(100)에 설치되는 부분은 체결부(610)이다. 그리고 상기 래치(600)의 일부 중 상기 외부 도어(20)에 설치되는 부분은 상기 체결부(610)에 결합되는 홀더(630)와, 상기 체결부(610)를 동작시켜 상기 체결부(610)와 상기 홀더(630)의 결합을 해제하는 조작부(640)이다.A part of the latch 600 that is installed in the inner door 100 is a fastening part 610. A portion of the latch 600 installed in the outer door 20 may include a holder 630 coupled to the fastening portion 610 and the fastening portion 610 to operate the fastening portion 610. And operation unit 640 for releasing the coupling of the holder 630.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부(22)에 마련된 버튼(652)의 조작 여부에 따라 상기 내부 도어(100)와 상기 외부 도어(20)가 함께 회전될 지, 또는 상기 외부 도어(20)만 회전될 지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부(22)를 조작해서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내부 도어(100)가 상기 저장실(2)에 수용되어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외부 도어(20)만을 회전시킬 수 있다.The user may select whether the inner door 100 and the outer door 20 are rotated together or only the outer door 20 is rotated according to whether the button 652 provided in the handle part 22 is operated. Can be. That is, the user may operate the handle 22 to allow the inner door 100 to be received and fix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2 as shown in FIG. 2, and to rotate only the outer door 20.

한편 상기 홀더(630)와 상기 버튼 부재(650)는 상기 가스켓(26)에 의해 구분되는 내측 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가스켓(26)은 전체적으로 상기 외부 도어(20)의 외주면과 유사한 사각 형상을 이루면서 배치될 수 있는데, 상기 래치(600)의 일부는 그 사각 형상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holder 630 and the button member 650 are disposed in an inner space separated by the gasket 26. The gasket 26 may be disposed to form a quadrangular shape similar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door 20 as a whole, and a part of the latch 600 may be disposed inside the quadrangular shape.

또한 상기 홀더(630)와 상기 버튼 부재(650)는 상기 가스켓(26)을 기준으로 상기 저장실(2)을 이루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래치(600)는 상기 외부 도어(20)가 상기 저장실(2)을 밀폐하는 경우에, 상기 가스켓(26)에 의해서 구분되는 상기 저장실(2)을 이루는 공간에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래치(600)는 냉기가 공급되는 상기 저장실(2)에 위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lder 630 and the button member 650 may be disposed in an area forming the storage compartment 2 with respect to the gasket 26. That is, when the outer door 20 seals the storage compartment 2, the latch 600 is disposed in a space forming the storage compartment 2 separated by the gasket 26. Therefore, the latch 600 may be locat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2 to which cold air is supplied.

마찬가지로 상기 체결부(610)는 상기 내부 도어(100)에 설치되지만, 상기 체결부(610)도 상기 가스켓(26)에 의해 구분되는 내측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가스켓(26)을 기준으로 상기 저장실(2)을 이루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Similarly, the fastening part 610 is installed in the inner door 100, but the fastening part 610 is also disposed in an inner space divided by the gasket 26, and the storage compartment is based on the gasket 26. (2) may be disposed in the area.

한편 상기 래치(600)는 상기 제2힌지(200)가 설치되는 위치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 도어(100)는 상기 외부 도어(20)에 대해서 상기 제2힌지(200)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는데, 상기 래치(600)의 위치는 상기 제2힌지(200)에 의한 회전 중심의 외곽에 배치된다. 상기 래치(600)가 회전 중심인 상기 제2힌지(200)로부터 멀리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내부 도어(100)과 상기 외부 도어(20)의 결합을 상대적으로 작은 힘으로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Meanwhile, the latch 600 may be disposed opposite to the position where the second hinge 200 is installed. That is, the inner door 100 may be rotated by the second hinge 200 with respect to the outer door 20, and the position of the latch 600 may be rotated by the second hinge 200. It is placed outside. Since the latch 600 is located far from the second hinge 200 which is the rotation center, the coupling of the inner door 100 and the outer door 20 can be stably maintained even with a relatively small force.

한편 상기 내부 도어(100)의 상측에는 상기 내부 도어(100)를 상기 본체(10)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 장치(500)가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the upper side of the inner door 100 is provided with a fixing device 500 for fixing the inner door 100 to the main body 10.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서 외부 도어와 내부 도어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uter door and the inner door rotated in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3 is as follows.

도 3에서는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내부 도어(100)가 함께 회전되어서 상기 저장실(2)이 개방된 상태이다.In FIG. 3, the outer door 20 and the inner door 100 are rotated together to open the storage compartment 2.

상기 내부 도어(100)에는 복수 개의 저장부(52)이 설치되어서, 사용자는 상기 저장부(52)에 식품을 저장하거나, 상기 저장부(52)에 저장된 식품을 꺼낼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저장부(52)은 서로 높이를 다르게 해서 설치되어서, 상기 내부 도어(100)에는 복수 개의 저장부(52)이 마련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storage units 52 are installed in the inner door 100 so that a user may store food in the storage unit 52 or take out food stored in the storage unit 52. The plurality of storage units 52 may be installed to have different heights from each other, such that the plurality of storage units 52 may be provided in the inner door 100.

한편 사용자는 상기 내부 도어(100)에 설치된 저장부(52)를 이용하기 위해서, 상기 내부 도어(1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내부 도어(100)가 회전되고 상기 저장실(2)로부터 꺼내져서 사용자가 상기 저장부(52)에 접근할 수 있다.Meanwhile, the user may rotate the inner door 100 to use the storage unit 52 installed in the inner door 100. The inner door 100 is rotated and removed from the storage compartment 2 so that a user can access the storage 52.

상기 내부 도어(100)가 상기 외부 도어(20)에 접촉한 상태에서도 상기 가스켓(26)은 상기 내부 도어(100)와 접촉하지 않는다. 즉 상기 가스켓(26)이 상기 외부 도어(20)에 설치된 위치는 상기 내부 도어(100)의 외주면보다 크게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가스켓(26)과 상기 내부 도어(100)과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The gasket 26 does not contact the inner door 100 even when the inner door 100 contacts the outer door 20. That is, since the position of the gasket 26 installed in the outer door 20 is larger tha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door 100, no interference occurs between the gasket 26 and the inner door 100. .

따라서 상기 외부 도어(20)가 상기 저장실(2)을 밀폐한 상태에서도, 상기 내부 도어(100)와 상기 가스켓(26)의 사이에는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가스켓(26)은 상기 본체(10)에 접촉할 수 있다.Therefore, even when the outer door 20 seals the storage compartment 2, no contact is made between the inner door 100 and the gasket 26, and the gasket 26 is the main body 10. ) Can be contacted.

즉 도 1에서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가스켓(26)을 사이에 두고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본체(10)가 마주보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저장실(2)은 상기 가스켓(26)과 상기 외부 도어(20)에 의해서 외부로부터 밀폐될 수 있다.That is, in the same state as in FIG. 1, since the outer door 20 and the main body 10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gasket 26 interposed therebetween, the storage compartment 2 is connected to the gasket 26 and the outside. The door 20 may be sealed from the outside.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내부 도어(100)를 위한 가스켓을 구비하지 않고, 상기 외부 도어(20)를 위한 가스켓(26) 만을 구비한다. 즉 상기 외부 도어(20)에만 가스켓(26)을 설치하더라도 상기 저장실(2)은 충분히 밀폐될 수 있기 때문에, 다수의 가스켓의 설치로 인한 냉기 손실이나 히팅을 위한 에너지 낭비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gasket 26 for the outer door 20 is provided without the gasket for the inner door 100. That is, even if the gasket 26 is installed only in the outer door 20, the storage compartment 2 may be sufficiently sealed, so that cold air loss or energy waste for heating due to the installation of a plurality of gaskets does not occur.

한편 상기 저장실(2) 내에는 식품이 거치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선반(4)이 높이를 달리해서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storage compartment 2, a plurality of shelves 4 on which food can be placed may be arranged at different heights.

또한 상기 저장실(2) 내에는 슬라이딩되어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서랍(6)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서랍(6)은 상기 외부 도어(20) 또는 상기 내부 도어(100)의 회동으로 인해서 상기 저장실(2)이 개방되더라도, 상기 서랍(6) 내에 수용된 식품이 일정 수준으로 밀폐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torage compartment 2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rawers 6 that can be slid into or out of the storage compartment 2. The drawer 6 allows the food contained in the drawer 6 to be sealed to a certain level even when the storage compartment 2 is opened due to the rotation of the outer door 20 or the inner door 100.

상기 내부 도어(100)에는 상기 내부 도어(100)가 상기 본체(1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고정 장치(500)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 장치(500)는 상기 본체(10)의 내측, 즉 상기 저장실(2)의 상면에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사용자는 편의에 따라 상기 외부 도어(20) 만을 회전시키거나,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내부 도어(100)을 함께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inner door 100 is provided with a fixing device 500 to selectively couple the inner door 100 to the main body 10. The fixing device 500 has a structure to be fix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compartment (2). For convenience, the user may rotate only the outer door 20 or rotate the outer door 20 and the inner door 100 together.

즉 상기 고정 장치(500)에 의해서 상기 내부 도어(100)과 상기 본체(10)가 고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외부 도어(20)만이 회동된다. 반면에 상기 내부 도어(100)과 상기 본체(10)가 고정되지 않으면, 상기 내부 도어(100)과 상기 외부 도어(20)가 함께 회전되어서 상기 저장실(2)이 개방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inner door 100 and the main body 10 are fixed by the fixing device 500, only the outer door 20 is rota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ner door 100 and the main body 10 are not fixed, the inner door 100 and the outer door 20 may be rotated together to open the storage compartment 2.

도 3에서 'A'라고 부분의 상기 본체(10) 내측에는 도 15에서 설명할 가이드부가 구비된다. 가이드부에 대해서는 도 15에서 자세히 설명한다.A guide part to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5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of the portion 'A' in FIG. The guide un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5.

도 4는 내부 도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다만 도 4에서는 상기 체결부만을 상기 내부 도어로부터 분해해서 도시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4 shows an interior door. 4, only the fastening part is disassembled and shown from the inner door. A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4 is as follows.

상기 내부 도어(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110), 상기 바디(110)에 결합되는 커버(13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130)는 상기 바디(110)의 개구부를 마감해서 상기 바디(110)의 내부 중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The inner door 100 includes a body 110 forming an appearance and a cover 130 coupled to the body 110. The cover 130 closes the opening of the body 110 so that some of the inside of the body 11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바디(110)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내부 도어(100)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부가 마련된다. 상기 보강부는 상기 제2힌지(200)와 직접 결합되어, 상기 제2힌지(200)와 상기 내부 도어(100)가 결합되는 부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바디(110)와 상기 커버(130)는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플라스틱 등의 소재를 사출에 의해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에 상기 보강부는 스틸, 알루미늄 등의 다른 재질로 구성해서, 상기 바디(110)과 상기 커버(130) 보다 강한 재질로 제작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힌지(200)를 상대적으로 강도가 강한 구성요소에 결합시켜, 상기 내부 도어(1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An inner space of the body 110 is provided with a reinforcing part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inner door 100. The reinforcement part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second hinge 200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portion where the second hinge 200 and the inner door 100 are coupled to each other. Since the body 110 and the cover 130 are portions exposed to the user,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material such as plastic by injection. On the other hand, the reinforcement part may be made of another material such as steel, aluminum, and the like,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stronger than the body 110 and the cover 130.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hinge 200 may be coupled to a relatively strong component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inner door 100.

또한 상기 보강부는 상기 내부 도어(100) 내측의 강도를 보강해서, 상기 내부 도어(100)에 거치되는 식품의 하중에 의해서 상기 내부 도어(10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part may reinforce the strength inside the inner door 100 to prevent the inner door 100 from being deformed by the load of the food placed on the inner door 100.

상기 보강부는 상기 내부 도어(100)의 외측이 아닌 내측에 수용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많은 공간을 점유하지 않아 상기 내부 도어(100)의 형상으로 인해서 상기 저장실(2) 내에 사공간의 체적을 줄일 수 있다.Since the reinforcing part is installed to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side of the inner door 100 instead of the outer side, the reinforcing part does not occupy much space, thereby reducing the volume of the dead space in the storage compartment 2 due to the shape of the inner door 100. have.

한편 상기 커버(130)에는 상기 래치(60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래치(600) 중에 상기 내부 도어(100)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는 상기 체결부(610)와 상기 체결부(610)의 전방을 마감하는 커버(612)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latch 600 may be mounted on the cover 130. In this case, the components installed in the inner door 100 of the latch 600 may include a fastening part 610 and a cover 612 closing the front of the fastening part 610.

상기 체결부(610)와 상기 커버(612)는 상기 외부 도어(20)에 접촉가능하도록 상기 내부 도어(100)에 설치된다. The fastening part 610 and the cover 612 are installed in the inner door 100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door 20.

상기 바디(110)의 상측에는 상기 고정 장치(5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장치(500)는 상기 저장실(2)의 내측 상면과 선택적으로 접촉되어서 상기 내부 도어(100)가 상기 저장실(2)에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The fixing device 500 may be installed above the body 110. The fixing device 500 is selectively in contact with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compartment 2 to allow the inner door 100 to be selectively fixed to the storage compartment 2.

상기 제2힌지(200)는 상기 외부 도어(20)에 결합되는 회전축(20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06)은 상기 외부 도어(2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서, 상기 회전축(206)을 중심으로 상기 내부 도어(100)가 회전할 수 있다.The second hinge 200 may include a rotation shaft 206 coupled to the outer door 20. The rotating shaft 206 is rotatably fixed to the outer door 20, so that the inner door 100 may rotate about the rotating shaft 206.

한편 상기 제2힌지(200)는 상기 내부 도어(10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전체가 두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상기 제2힌지(200)는 상기 내부 도어(100)과 상기 외부 도어(20)에 설치되는 위치만을 달리할 뿐, 전체적인 형상은 동일하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hinge 20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inner door 100, respectively, may be made up of two. Each of the second hinges 200 differs only in positions installed in the inner door 100 and the outer door 20, and the overall shape is the same.

도 5는 체결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5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astening portion. A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5 is as follows.

상기 체결부(610)는 상기 내부 도어(100)에 구비되는 조작부(640)에서 가압될 수 있는 누름편(620), 상기 누름편(620)에 가해진 힘을 회전력으로 변환해서 전달하는 구동편(624), 상기 구동편(624)에 의해서 회전되는 후크(628)를 포함할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610 is a pressing piece 620 that can be pressed by the operation unit 640 provided in the inner door 100, a driving piece for converting the force applied to the pressing piece 620 by converting the rotational force ( 624, a hook 628 rotated by the driving piece 624.

상기 누름편(620)은 상기 내부 도어(100)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외부 도어(20)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상기 조작부(640)와 접촉할 수 있다. The pressing piece 620 is dispos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inner door 100. Accordingly, the control panel 640 may be in contact with the operation unit 640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outer door 20.

상기 구동편(624)은 상기 누름편(620)에 가해지는 수평 방향의 직선 형태의 힘을 회전 방향의 힘으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구동편(624)은 다양한 캠과 스프링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구동편(624)의 구체적인 구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당업자가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는 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The driving piece 624 may convert a linear for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pplied to the pressing piece 620 into a force in the rotation direction. The driving piece 624 may be implemented by a combination of various cams and springs.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riving piece 624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only a degree that can be easily configu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후크(628)는 일측이 개구된 형태로, 전체적으로 'ㄷ'자의 형상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The hook 628 has an open shape on one side thereof, and may form a 'c' shape as a whole. And it is provided to enable rotation around the axis of rotation.

상기 구동편(624)에서 상기 후크(628)에 힘을 가하지 않으면, 상기 후크(628)의 개구된 부분은 하방을 향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구동편(624)이 상기 후크(628)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ㄷ'자의 개구된 부분이 상기 외부 도어(20)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If no force is applied to the hook 628 in the drive piece 624, the opened portion of the hook 628 may face downward. On the other hand, when the driving piece 624 rotates the hook 628, the opening portion of the letter 'c' may be disposed to face the outer door 20.

한편 상기 체결부(610)의 일측에는 상기 커버(612)가 설치된다. 상기 커버(612)는 상기 체결부(610)의 내부 구성이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ver 612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fastening part 610. The cover 612 may prevent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fastening part 610 from being exposed to the user.

또한 상기 커버(612)는 상기 후크(628)와 상기 누름편(620)만이 노출되도록 해서, 상기 체결부(610)가 상기 조작부(640)에 접촉에 의해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over 612 exposes only the hook 628 and the pressing piece 620 so that the fastening portion 610 can be driven by contact with the operation portion 640.

도 6은 홀더와 조작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해서 설명한다.6 is a view showing a holder and an operation unit. A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6 is as follows.

도 6은 상기 외부 도어(20)에 매립되도록 설치된 상기 조작부(640)가 용이하게 도시되도록 표현하기 위해서, 상기 외부 도어(20)는 생략했다.In FIG. 6, the outer door 20 is omitted in order to easily illustrate the operation unit 640 installed to be embedded in the outer door 20.

상기 조작부(640)는 사용자가 눌러서 변위를 발생시키는 버튼 부재(650)와, 상기 버튼 부재(650)에 의해서 발생된 변위를 증폭하는 증폭 부재(660)와, 상기 증폭 부재(660)에 의해서 발생되는 변위를 상기 체결부(610)에 전달하는 전달 부재(680)를 포함한다.The operation unit 640 may be generated by a button member 650 that a user presses to generate a displacement, an amplifying member 660 that amplifies the displacement generated by the button member 650, and the amplifying member 660. And a transmission member 680 which transmits the displacement to the fastening part 610.

상기 버튼 부재(650)는 상기 손잡이부(22)의 후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 부재(650)는 도 6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손잡이부(22)의 전방에 사용자에게 노출되도록 마련된 상기 버튼(652)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버튼 부재 하우징(654)은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는 부분이다.The button member 650 may be disposed to face the rear of the handle portion 22. Also, although not shown in FIG. 6, the button member 650 may include the button 652 provided to be exposed to a user in front of the handle part 22. For reference, the button member housing 654 is a portion that can be exposed to the user.

상기 버튼 부재(650)의 일단에는 상기 증폭 부재(660)가 상기 버튼 부재(650)에 연결되는 방식으로 구비되고, 상기 증폭 부재(660)의 일단에는 상기 전달 부재(680)에 연결되는 방식으로 구비된다. One end of the button member 650 is provided in such a manner that the amplifying member 660 is connected to the button member 650, and one end of the amplifying member 660 is connected to the delivery member 680. It is provided.

상기 전달 부재(680)의 일단에는 상기 외부 도어(20)의 내측에 노출되도록 마련된 해제 핀(690)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해제 핀(690)의 노출된 길이에 따라 상기 누름편(620)을 가압할 수 있다. One end of the transfer member 680 is provided with a release pin 690 provided to be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outer door 20. Specifically, the pressing piece 620 may be pressurized according to the exposed length of the release pin 690.

상기 전달 부재(680)와 상기 증폭 부재(660)는 상기 외부 도어(20)의 내측에 매립된 구성요소이기 때문에, 상기 해제 핀(690)을 제외하고는 사용자에게 전혀 노출되지 않는 구성요소이다. Since the transmitting member 680 and the amplifying member 660 are components embedded inside the outer door 20, the transmitting member 680 and the amplifying member 660 are not exposed to the user except the release pin 690.

한편 상기 해제 핀(690)은 상기 가스켓(26)에 의해서 구획되는 공간 중 상기 저장실(2)로 구분되는 공간에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해제 핀(690)을 통해서 상기 저장실(2)에 수용된 냉기가 이동될 수 있지만, 상기 전달 부재(680) 및 상기 증폭 부재(660)는 일직선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서로 높이 차이를 갖는 다단의 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이동 경로가 복잡해져서 냉기가 이동되기가 어렵다. 따라서 상기 저장실(2)의 냉기 유출에 따른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release pin 690 is provided to be exposed to the space divided by the storage compartment 2 of the space partitioned by the gasket (26). Therefore, although the cold air accommodat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2 may be moved through the release pin 690, the transmission member 680 and the amplification member 660 are not formed in a straight line, but have a multi-stage height difference. Because of the shape, the movement path is complicated, so the cold air is difficult to move. Therefore, the problem caused by the cold air outflow of the storage compartment 2 can be prevented.

상기 증폭 부재(660)에 인접하게 홀더(630)가 구비된다. 상기 홀더(630)는 상기 조작부(640)와 달리 상기 외부 도어(20)에서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A holder 630 is provided adjacent to the amplifying member 660. Unlike the manipulation unit 640, the holder 630 is disposed to be exposed from the outer door 20.

상기 홀더(630)에는 중앙에 홀더공(632)이 형성되어서, 상기 홀더공(632)으로 상기 후크(628)의 개구된 부분이 삽입되어, 상기 체결부(610)와 상기 홀더(630)가 체결될 수 있다. A holder hole 63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holder 630, and an opening portion of the hook 628 is inserted into the holder hole 632, so that the fastening part 610 and the holder 630 are inserted into the holder hole 632. Can be fastened.

도 7은 홀더와 체결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해서 설명한다.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er and the fastening portion are coupled. A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7 is as follows.

상기 버튼 부재(650)는 상기 손잡이부(22)의 전방에 설치되는 버튼(652), 상기 버튼(652)에 연결되는 푸쉬 바(6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쉬 바(656)는 상기 버튼(652)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상기 푸쉬 바(656)가 이동되면 상기 증폭 부재(660)에 상기 버튼(652)의 변위가 전달될 수 있다. The button member 650 may include a button 652 installed in front of the handle part 22 and a push bar 656 connected to the button 652. The push bar 656 may move along the button 652, and when the push bar 656 moves, the displacement of the button 652 may be transmitted to the amplifying member 660.

상기 푸쉬 바(656)는 상기 버튼 부재 하우징(654)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버튼 부재 하우징(654)은 상기 외부 도어(20)에서 노출되도록 마련되어서, 상기 손잡이부(22)와 상기 외부 도어(20)를 연결할 수 있다. The push bar 656 may be received in the button member housing 654. The button member housing 654 is provided to be exposed from the outer door 20 to connect the handle 22 and the outer door 20.

도 7을 기준으로 상기 버튼(652)이 좌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버튼(652)이 이동된 거리 만큼 상기 푸쉬 바(656)도 좌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푸쉬 바(656)의 변위가 발생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when the button 652 is moved to the left, the push bar 656 may also be moved to the left by the distance the button 652 is moved. Therefore, displacement of the push bar 656 may occur.

상기 증폭 부재(660)는 외관을 형성하는 증폭 부재 하우징(662)과, 회전축(666)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동 바(664)와, 상기 회동 바(664)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회동 바(664)의 회동에 따라 이동되는 링크 바(668)를 포함할 수 있다.The amplifying member 660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amplifying member housing 662 forming an external appearance, a rotating bar 664 rotated about the rotating shaft 666, and the rotating bar 664, and the rotating bar ( It may include a link bar 668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664.

상기 증폭 부재 하우징(662)은 상기 회동 바(664)가 회동될 수 있는 궤적 만큼 빈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폭 부재 하우징(662)은 상기 푸쉬 바(656)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The amplifying member housing 662 may include an empty space as much as a trajectory through which the pivoting bar 664 may be rotated. The amplifying member housing 662 may receive a portion of the push bar 656.

상기 푸쉬 바(656)는 상기 회동 바(664)를 가압해서, 상기 회동 바(664)를 회동시킬 수 있다. 상기 회동 바(664)는 상기 회전축(666)을 중심으로 회전되는데, 상기 푸쉬 바(656)는 상기 회전축(666)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부분을 가압하고, 상기 회동 바(664)의 끝단을 가압하지는 않는다. 반면에 상기 링크 바(668)는 상기 회동 바(664)의 끝단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The push bar 656 may press the rotation bar 664 to rotate the rotation bar 664. The rotation bar 664 is rotated about the rotation shaft 666, the push bar 656 pressurizes a portion away from the rotation shaft 666, and does not press the end of the rotation bar 664 Do not. On the other hand, the link bar 668 is disposed adjacent to the end of the pivot bar 664.

상기 푸쉬 바(656)가 상기 회동 바(664)를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회동 바(664)는 강체이기 때문에, 상기 회전축(666)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푸쉬 바(656)의 의해서 이동되는 거리 보다 상기 링크 바(668)의 이동 거리는 증가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회동 바(664)가 상기 회전축(666)을 중심으로 회전될 때에 변화되는 각도가 동일하더라도, 회전축(666)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원호가 증가될 수 있기 때문이다. When the push bar 656 moves the pivot bar 664, the pivot bar 664 is rotated about the rotation shaft 666 because the pivot bar 664 is a rigid body. Therefore,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link bar 668 may be increased than the distance moved by the push bar 656. This is because the circular arc may increase as the distance from the rotation shaft 666 increases even if the angle changed when the rotation bar 664 is rotated about the rotation shaft 666 is the same.

상기 전달 부재(68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전달 부재 하우징(682)과 상기 누름편(620)을 가압할 수 있는 해제 핀(690)을 포함한다.The transfer member 680 includes a transfer member housing 682 forming an appearance and a release pin 690 capable of pressing the press piece 620.

상기 전달 부재 하우징(682)은 상기 링크 바(668)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상기 링크 바(668)는 상기 해제 핀(690)을 이동시켜서 상기 해제 핀(690)이 상기 외부 도어(20)로부터 노출되는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다.The transfer member housing 682 may be provided to receive a portion of the link bar 668, wherein the link bar 668 moves the release pin 690 such that the release pin 690 moves to the outer door. The length exposed from 20 can be changed.

상기 해제 핀(690)은 상기 링크 바(668)에 접촉되는 제1편(692)과, 상기 외부 도어(2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체결부(610)를 가압하는 제2편(696)과, 상기 제1편(692)과 상기 제2편(696)을 연결하는 연결편(69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제 핀(690)은 상기 제1편(692)과 상기 제2편(696)이 상기 연결편(694)에 대해서 절곡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해제 핀(690)은 전체적으로 'ㄷ'자의 형상을 이룰 수 있다.The release pin 690 is a first piece 692 in contact with the link bar 668 and a second piece 696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uter door 20 to press the fastening part 610. And, it may include a connecting piece (694) for connecting the first piece (692) and the second piece (696). The release pin 690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first piece 692 and the second piece 696 are bent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piece 694. Accordingly, the release pin 690 may form a 'c' shape as a whole.

상기 제1편(692)의 일측에는 스프링(684)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프링(684)은 상기 링크 바(668)가 배치되는 부분의 반대편에 마련되어, 상기 제1편(692)을 상기 링크 바(668)를 향해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링크 바(668)에 의해서 상기 해제 핀(690)에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상기 스프링(684)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제1편(692)은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에 상기 링크 바(668)에 의해서 상기 해제 핀(690)이 우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스프링(684)은 압축될 수 있다.A spring 684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irst piece 692. In this case, the spring 684 may be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ortion where the link bar 668 is disposed, and may move the first piece 692 toward the link bar 668. That is, if a force is not applied to the release pin 690 by the link bar 668, the first piece 692 may be moved to the right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684. On the other hand, when the release pin 690 is moved to the right by the link bar 668, the spring 684 may be compressed.

도 8은 전달 부재와 증폭 부재의 연결 부위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해서 설명한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delivery member and the amplification member. A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8 is as follows.

상기 링크 바(668)의 일부는 상기 전달 부재 하우징(682)에 수용되도록 설치된다. A portion of the link bar 668 is installed to be received in the transfer member housing 682.

이때 상기 전달 부재 하우징(682)에는 관통공(686)이 형성되어, 상기 링크 바(668)가 관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In this case, a through hole 686 is formed in the transmission member housing 682, and the link bar 668 may be provided therethrough.

상기 관통공(686)에는 상기 전달 부재 하우징(682)의 내측으로 소정 길이 만큼 돌출된 제1돌출편(688)이 마련된다. 상기 제1돌출편(688)은 소정 길이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링크 바(668)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The through hole 686 is provided with a first protruding piece 688 protru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into the delivery member housing 682. Since the first protrusion 688 has a predetermined length, the movement of the link bar 668 may be guided.

한편 상기 제1돌출편(688)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링크 바(668)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돌출편(688)이 상기 제1편(692)에 의해서 우측 방향으로 가압되는 경우에 상기 제1편(692)과 상기 제1돌출편(688)이 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protrusion 688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link bar 668. In addition, when the first protrusion piece 688 is pressed in the right direction by the first piece 692, the first piece 692 and the first protrusion piece 688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제1편(692)의 일측이 상기 제1돌출편(688)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전달 부재 하우징(682)은 상기 증폭 부재 하우징(662)과 연통되지 않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전달 부재 하우징(682)으로 인입된 냉기가 상기 증폭 부재 하우징(662)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When one side of the first piece 692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protrusion piece 688, the transfer member housing 682 is formed so as not to communicate with the amplification member housing 662, the transfer member housing ( Cold air introduced into 682 may be prevented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amplifying member housing 662.

도 9는 버튼 부재와 증폭 부재의 연결 부위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 9를 참조해서 설명한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button member and the amplification member. A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9 is as follows.

상기 푸쉬 바(656)의 일부는 상기 증폭 부재 하우징(662)에 수용되도록 설치된다. A portion of the push bar 656 is installed to be received in the amplifying member housing 662.

이때 상기 증폭 부재 하우징(662)에는 연통공(668)이 형성되어서, 상기 푸쉬 바(656)가 관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this case, a communication hole 668 is formed in the amplifying member housing 662, and the push bar 656 may be provided therethrough.

상기 연통공(668)에는 상기 증폭 부재 하우징(662)의 내측으로 소정 길이 만큼 돌출된 제2돌출편(670)이 마련된다. 상기 제2돌출편(670)은 소정 길이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푸쉬 바(656)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hole 668 is provided with a second protruding piece 670 protru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into the amplifying member housing 662. Since the second protrusion 670 has a predetermined length, the movement of the push bar 656 may be guided.

한편 상기 제2돌출편(670)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제2돌출편(670)이 상기 회동 바(664)에 의해서 우측 방향으로 가압되는 경우에 상기 회동 바(664)와 상기 제2돌출편(670)이 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protrusion piece 670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when the second protrusion piece 670 is pressed in the right direction by the rotation bar 664, the rotation bar 664 and the second protrusion Piece 670 may be arranged to be in close contact.

상기 회동 바(664)의 일측이 상기 제2돌출편(670)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증폭 부재 하우징(662)은 상기 버튼 부재 하우징(654)과 연통되지 않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증폭 부재 하우징(662)으로 인입될 수 있는 냉기가 상기 버튼 부재 하우징(654)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When one side of the rotation bar 664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protrusion piece 670, the amplifying member housing 662 is formed so as not to communicate with the button member housing 654, the amplifying member housing 662 Cold air, which may be introduced into the air, may be prevented from being moved to the button member housing 654.

이하 상술한 냉장고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우선 사용자가 도 1에 도시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First, a case in which the user maintains the state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버튼(652)을 가압하지 않는다. As shown in FIG. 7, the user does not press the button 652.

상기 제2편(696)이 상기 누름편(620)을 가압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후크(628)는 회전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후크(628)의 개구된 부분은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후크(628)는 상기 홀더공(632)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후크(628)와 상기 홀더(630)의 결합이 유지될 수 있다.Since the second piece 696 does not press the pressing piece 620, the hook 628 remains unrotated, and the open portion of the hook 628 is disposed downward. Therefore, since the hook 628 maintains the inserted state in the holder hole 632, the coupling between the hook 628 and the holder 630 may be maintained.

결론적으로 상기 내부 도어(100)과 상기 외부 도어(20)는 상기 래치(600)에 의해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conclusion, the inner door 100 and the outer door 20 may be maintained in a coupled state by the latch 600.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래치(600)는 상기 가스켓(26)을 기준으로 상기 저장실(2)이 배치되는 영역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래치(600)를 통해서 상기 저장실(2)의 냉기가 상기 외부 도어(20), 즉 상기 버튼(652)을 통해서 배출될 수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atch 600 is located in an area in which the storage compartment 2 is disposed based on the gasket 26. Accordingly, the cool air of the storage compartment 2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outer door 20, that is, the button 652 through the latch 600.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제1편(692)는 상기 제1돌출편(688)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회동 바(664)는 상기 제2돌출편(67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상기 전달 부재 하우징(682), 상기 증폭 부재 하우징(662) 및 상기 버튼 부재 하우징(654)이 서로 연통되지 않도록 밀폐된 구조를 유지하기 때문에, 냉기가 이동될 수 있는 경로를 차단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this, as shown in FIG. 8, the first piece 692 maintains a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protrusion piece 688, and as shown in FIG. 9, the pivoting bar 664 has the second protrusion piece. The state in close contact with 670 is maintained. That is, since the transmission member housing 682, the amplification member housing 662, and the button member housing 654 maintain a closed structure so as not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 path through which cold air may move may be blocked.

한편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내부 도어(100)을 함께 회전시키기를 원하는 경우에도 상기 버튼(652)을 가압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술한 방식과 동일하게 작용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3, the user does not press the button 652 even when the user wants to rotate the outer door 20 and the inner door 100 together. Therefore, the same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도 1 및 도 3과 같은 사용방식에서는 상기 래치(600)에 의해서 상기 내부 도어(100)과 상기 외부 도어(20)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내부 도어(100)이 상기 제1힌지(40)에 의해서 상기 본체(10)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1 and 3, since the inner door 100 and the outer door 20 are held together by the latch 600, the outer door 20 and the inner door ( 100 may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 by the first hinge 40.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내부 도어(100)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내부 도어(100)이 상기 외부 도어(20)와 별도로 회전되지는 않는다. Since the outer door 20 and the inner door 100 are coupled, the inner door 100 is not rotated separately from the outer door 20.

도 10은 홀더와 체결부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0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10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between the holder and the fastening part is released. A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10 is as follows.

도 2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내부 도어(100)을 제외하고 상기 외부 도어(20)만을 개방하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버튼(652)을 가압한다.When the user wants to open only the outer door 20 except for the inner door 100 as shown in FIG. 2, the button 652 is pressed as shown in FIG. 10.

상기 버튼(652)이 가압되면 도 10을 기준으로 상기 버튼(652)이 좌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푸쉬 바(656)도 상기 버튼(652)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된다. When the button 652 is pressed, the button 652 is moved to the left based on FIG. 10, and the push bar 656 is also moved to the left along the button 652.

상기 푸쉬 바(656)의 일단은 상기 회동 바(664)를 가압하고, 상기 회동 바(664)는 상기 회전축(666)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링크 바(668)를 이동시킨다. 상기 회동 바(664)의 회전축(666)으로부터 상기 푸쉬 바(656)보다 상기 링크 바(668)가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링크 바(668)의 변위는 상기 푸쉬 바(656)의 변위 보다 증폭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push bar 656 pressurizes the rotation bar 664, and the rotation bar 664 is rotated about the rotation shaft 666 to move the link bar 668. Since the link bar 668 is farther from the rotation bar 666 of the pivot bar 664 than the push bar 656, the displacement of the link bar 668 may be amplified more than the displacement of the push bar 656. Can be.

예를 들어, 사용자가 1mm만큼 상기 버튼(652)을 이동시키면, 상기 푸쉬 바(656)는 1mm만큼 이동하지만 상기 링크 바(668)는 1.5 또는 2mm만큼 이동될 수 있다. 증폭되는 비율에 대해서는 상기 푸쉬 바(656)와 상기 링크 바(668)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서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user moves the button 652 by 1 mm, the push bar 656 moves by 1 mm, but the link bar 668 may be moved by 1.5 or 2 mm. The amplification ratio can be variously changed by changing the installation positions of the push bar 656 and the link bar 668.

상기 링크 바(668)가 이동되면, 상기 링크 바(668)는 상기 제1편(692)을 가압해서 상기 스프링(684)이 압축될 수 있다. 상기 제1편(692), 상기 연결편(694) 및 상기 제2편(696)은 함께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제1편(692)의 이동 만큼 상기 제2편(696)이 이동될 수 있다. When the link bar 668 is moved, the link bar 668 may press the first piece 692 to compress the spring 684. Since the first piece 692, the connecting piece 694, and the second piece 696 move together, the second piece 696 may move as much as the first piece 692 moves.

상기 제2편(696)은 좌측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제2편(696)이 상기 외부 도어(20)의 외측으로 노출된 길이가 증가된다. 따라서 상기 제2편(696)은 상기 누름편(620)을 가압할 수 있다. Since the second piece 696 is moved to the left side, the length of the second piece 696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uter door 20 is increased. Therefore, the second piece 696 may press the pressing piece 620.

상기 누름편(620)은 상기 구동편(624)을 가압해서, 상기 후크(628)를 회전시키고, 상기 후크(628)의 개구된 부분이 상기 외부 도어(20)를 향하도록 회전된다.The pressing piece 620 presses the driving piece 624 to rotate the hook 628, and the open portion of the hook 628 is rotated to face the outer door 20.

따라서 상기 후크(628)와 상기 홀더(630)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내부 도어(100)과 상기 외부 도어(20) 사이에 결합이 해제된다.Therefore, the coupling between the hook 628 and the holder 630 is released, the coupling between the inner door 100 and the outer door 20 is released.

상기 외부 도어(20)는 상기 제1힌지(40)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반면에, 상기 내부 도어(100)은 상기 저장실(2)에 그대로 머물 수 있다. The outer door 20 is rotated about the first hinge 40, while the inner door 100 may remain in the storage compartment 2 as it is.

한편 사용자가 상기 내부 도어(100)을 회전시키기를 원하면 상기 외부 도어(20)의 회전과는 무관하게 상기 내부 도어(100)을 상기 제2힌지(200)에 대해서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래치(600)가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내부 도어(100)의 결합을 해제하면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내부 도어(100)은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Meanwhile, if the user wants to rotate the inner door 100, the inner door 100 may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hinge 200 regardless of the rotation of the outer door 20. That is, when the latch 600 releases the coupling between the outer door 20 and the inner door 100, the outer door 20 and the inner door 100 may be independently rotated.

도 11은 도 3에서 'A'부분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FIG. 11 is a view illustrating detail 'A' in FIG. 3. A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11 is as follows.

상기 본체(10)의 상측에는 상기 저장실(2)에 돌출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부(12)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12)는 상기 본체(10)의 상측에서 하방을 향해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A guide part 12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storage compartment 2 is installed above the main body 10. In this case, the guide part 12 may be provid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

상기 가이드부(12)는 원통형 형태로 돌출된 가이드 핀(16)과, 만곡된 형상을 갖는 완곡면(15)이 형성된 가이드 벽(14)을 포함할 수 있다.The guide part 12 may include a guide pin 16 protruding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guide wall 14 having a curved surface 15 having a curved shape.

상기 가이드 핀(16)은 원형 단면을 갖는 원통 형태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소정 크기의 반경을 가지기 때문에 일정 수준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 장치(500)에 접촉되면서 상기 고정 장치(500)에 결합될 수 있다.The guide pin 16 is formed to protrude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has a radius of a predetermined size, thereby ensuring a certain level of strength. Therefore, it may be coupled to the fixing device 500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fixing device 500.

상기 가이드 벽(14)은 일 면에 형성된 상기 완곡면(15)을 통해서 상기 고정 장치(500)의 일부 구성요소의 동작을 안내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 장치(500)의 일부 구성요소가 상기 완곡면(15)에 접촉하면서 이동될 수 있다.The guide wall 14 may guide the operation of some of the components of the fixing device 500 through the curved surface 15 formed on one surface. That is, some components of the fixing device 500 may be moved while contacting the curved surface 15.

상기 가이드 핀(16)과 상기 가이드 벽(14)은 소정 간격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 핀(16)과 상기 가이드 벽(14)의 사이에는 상기 고정 장치(500)의 일부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 있다. The guide pin 16 and the guide wall 14 may be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some components of the fixing device 5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guide pin 16 and the guide wall 14. Can be arranged.

도 12는 고정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의 좌측면도이고, 도 14는 도 12의 우측면도이며, 도 15는 도 12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12 is a view showing a fixing device, FIG. 13 is a left side view of FIG. 12, FIG. 14 is a right side view of FIG. 12, and FIG.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2. A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S. 12 to 15 is as follows.

상기 고정 장치(500)는 상기 가이드부(12)에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장치(500)는 상기 내부 도어(100)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고정 장치(500)의 위치는 상기 가이드부(12)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fixing device 500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or released from the guide part 12. In addition, the fixing device 500 may be provided above the inner door 100. This is to allow the position of the fixing device 500 to contact the guide portion 12.

상기 고정 장치(500)는 상기 가이드부(12)의 일측을 감싸는 제1홀더(510)와 상기 가이드부(12)의 타측을 감싸는 제2홀더(52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홀더(510)는 상기 가이드 핀(16)의 일측을 감싸고, 상기 제2홀더(520)는 상기 가이드 핀(16)의 타측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fixing device 500 may include a first holder 510 surrounding one side of the guide part 12 and a second holder 520 surrounding the other side of the guide part 12. More specifically, the first holder 510 may surround one side of the guide pin 16, and the second holder 520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other side of the guide pin 16.

상기 고정 장치(500)는 상기 커버(130)에 설치되는 제1하우징(502)과 상기 바디(110)에 설치되는 제2하우징(504)을 포함한다.The fixing device 500 includes a first housing 502 installed on the cover 130 and a second housing 504 installed on the body 110.

상기 제2하우징(504)에는 상기 제1홀더(510)와 상기 제2홀더(520)가 설치된다. The first housing 510 and the second holder 520 are installed in the second housing 504.

상기 제1홀더(510)는 상기 제2하우징(504)에 선택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고정 장치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1홀더(510)는 상기 제2하우징(504)에 대해서 직선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The first holder 510 is installed to be selectively moved to the second housing 504. That is,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fixing device, the first holder 510 may be movable in a linea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housing 504.

한편 상기 제2하우징(504)에는 제1베이스(570)와 제2베이스(580)가 마련된다. 상기 제1베이스(570)와 상기 제2베이스(580)는 서로 맞물려서, 상기 제1홀더(510)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이동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The second housing 504 is provided with a first base 570 and a second base 580. The first base 570 and the second base 580 may be engaged with each other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first holder 510 or to guide the movement path.

상기 제1홀더(510)와는 달리, 상기 제1베이스(570)와 상기 제2베이스(580)는 상기 제2하우징(504)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Unlike the first holder 510, the first base 570 and the second base 580 are installed to be fixed to the second housing 504.

상기 제1베이스(570)에는 상기 제1홀더(510)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가이드 후크(574)가 안착되는 안착홈(572)이 형성된다. The first base 570 is provided with a seating groove 572 in which a guide hook 574 is mounted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first holder 510 or to allow the movement.

상기 가이드 후크(574)는 상기 안착홈(572) 내에서 회전이 되는 회전축(57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후크(574)는 상기 회전축(576)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홀더(510)를 향해서 돌출되도록 마련된 돌출편(578)을 포함한다. 상기 돌출편(578)이 상기 제1홀더(510)에 걸려있게 되면, 상기 제1홀더(510)는 이동될 수 없고, 상기 돌출편(578)이 상기 제1홀더(510)에 걸려있지 않게 되면, 상기 제1홀더(510)는 직선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편(578)은 상기 제1홀더(510)에 마련된 안착턱(518)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홀더(51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The guide hook 574 may include a rotation shaft 576 which is rotated in the seating groove 572. In addition, the guide hook 574 extend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576, and includes a protruding piece 578 provided to protrude toward the first holder 510. When the protruding piece 578 is caught by the first holder 510, the first holder 510 cannot be moved and the protruding piece 578 is not caught by the first holder 510. In this case, the first holder 510 may be moved in a linear direction. That is, the protruding piece 578 may be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seating jaw 518 provided in the first holder 510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first holder 510.

상기 제2베이스(580)는 상기 제1베이스(570)의 상측에 마련되어서, 상기 제1홀더(510)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 홈(582)이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 홈(582)는 소정 길이를 갖는 직선 방향의 긴 구멍을 갖도록 형성되고,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The second base 580 is provided above the first base 570, and a guide groove 582 is provided to guide the movement path of the first holder 510. The guide grooves 582 are formed to have long holes in a linear direction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plurality of guide grooves 582 may be provided.

상기 제1홀더(510)는 상기 가이드 홈(582)에 수용되어서, 상기 제1홀더(510)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 필러(516)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필러(516)는 상기 가이드 홈(582)의 내측에 수용되도록 소정 길이를 갖도록 길게 연장된다.The first holder 510 is accommodated in the guide groove 582, so that a guide pillar 516 for guiding a movement path of the first holder 510 is formed. The guide pillar 516 extends long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to be accommodated inside the guide groove 582.

한편 상기 가이드 필러(516)에는 제3탄성 부재(541)가 마련되어서, 상기 제1홀더(510)의 이동을 제한하는 외력이 사라지게 되면, 상기 제1홀더(510)가 상기 제2베이스(580)로부터 멀어지도록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 후크(574)의 돌출편(578)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3탄성 부재(541)에 의해서 상기 제1홀더(510)의 이동 가능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guide pillar 516 is provided with a third elastic member 541, the external force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holder 510 disappears, the first holder 510 is the second base 580 Elastic restoring force can be provided away from That is, whether or not the first holder 510 is movable may be determined by the third elastic member 541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rotruding piece 578 of the guide hook 574.

상기 제1홀더(510)에는 상기 가이드 핀(16)에 실질적으로 접촉하는 제1안착면(5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안착면(512)에는 상기 가이드 핀(16)에 잦은 접촉으로 파손 또는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A first seating surface 512 may be formed in the first holder 510 to substantially contact the guide pin 16. The first seating surface 512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shock so that damage or impact is not applied due to frequent contact with the guide pin 16.

반면 상기 제2홀더(520)는 상기 제2하우징(504)에 선택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holder 520 is installed to be selectively rotated in the second housing 504.

상기 제2홀더(520)는 상기 제2하우징(504)에 형성된 중공(506)을 관통하는 회전축(524)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축(524)은 상기 중공(506)을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524)의 하단에는 상기 제2홀더(520)가 상기 중공(506)에서 탈거되지 않도록 제2홀더 고정편(522)이 구비된다. The second holder 520 may be provided with a rotation shaft 524 penetrating the hollow 506 formed in the second housing 504. That is, the rotating shaft 524 is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hollow 506, and the second holder fixing piece 522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rotating shaft 524 so that the second holder 520 is not removed from the hollow 506. ) Is provided.

상기 회전축(524)의 일단과 상기 제2홀더 고정편(522)의 일단은 상기 중공(506)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되어서, 상기 중공(506)으로 상기 제2홀더 고정편(522)나 상기 회전축(524)의 일단이 빠져나가지 못하고, 상기 제2홀더(520)가 고정될 수 있다.One end of the rotation shaft 524 and one end of the second holder fixing piece 522 is formed larger than the cross section of the hollow 506, so that the second holder fixing piece 522 or the rotating shaft is the hollow 506. One end of 524 may not come out, and the second holder 520 may be fixed.

한편 상기 제2홀더(520)는 상기 중공(506), 즉 상기 회전축(524)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econd holder 520 may be rotated about the hollow 506, that is, the rotation shaft 524.

상기 제2홀더 고정편(522)에는 일정 영역에서 상기 제2홀더(520)가 상기 가이드 핀(16)을 감싸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제1탄성 부재(530)가 설치된다. 상기 제2홀더 고정편(522)은 상기 제2홀더(520)에 결합되는 구성요소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상기 제2홀더(520)의 일부로 설명할 수 있다. The second holder fixing piece 522 is provided with a first elastic member 530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second holder 520 to rotate in a direction surrounding the guide pin 16 in a predetermined region. Since the second holder fixing piece 522 is a component coupled to the second holder 520, the second holder fixing piece 522 may be described as a part of the second holder 520.

상기 제1탄성 부재(530)의 일단(534)은 상기 제2홀더 고정편(522)에 고정되고, 상기 제1탄성 부재(530)의 타단(532)는 상기 제2하우징(504)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2홀더 고정편(522)과 상기 제2홀더(520)는 일체를 이루면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탄성 부재(530)는 상기 제2홀더(520)의 동작을 한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탄성 부재(530)는 상기 제2홀더(5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One end 534 of the first elastic member 530 is fixed to the second holder fixing piece 522, and the other end 532 of the first elastic member 530 is fixed to the second housing 504. do. In this case, the second holder fixing piece 522 and the second holder 520 may be integrally operated. Accordingly, the first elastic member 530 may limit the operation of the second holder 520. More specifically, the first elastic member 530 may apply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second holder 520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상기 제1탄성 부재(530)는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탄성 부재(530)는 상기 제2홀더(520)가 일정 범위까지 회전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홀더(520)를 회전되기 전의 상태로 돌아가도록 가압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홀더(520)가 해당 범위를 넘어서도록 회전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탄성 부재(530)는 상기 제2홀더(520)에 원래 상태로 돌아가도록 하는 힘을 가할 수는 없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탄성 부재(530)는 상기 제2홀더(520)가 일정 각도까지 회전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홀더(5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복원력을 가하지만, 상기 제2홀더(520)가 일정 각도를 넘어서도록 회전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홀더(520)에 복원력을 가하지 못할 수 있다.The first elastic member 530 may be formed of a torsion spring. That is, the first elastic member 530 may press the second holder 520 to return to the state before the rota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second holder 520 is rotated to a predetermined range. However,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holder 520 is rotated to exceed the corresponding range, the first elastic member 530 may not apply a force to return the second holder 520 to its original state. More specifically, the first elastic member 530 applies a restoring force so that the second holder 520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when the second holder 520 is rotated to a predetermined angle, but the second holder ( In a state in which the 520 is rotated to exceed a certain angle, the restoring force may not be applied to the second holder 520.

상기 제2홀더(520)의 일단에는 상기 제2홀더(520)가 회전되지 못하고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편(526)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편(526)은 이후에 설명할 스톱퍼(560)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걸림편(526)은 상기 제2홀더(520)의 통상적인 두께보다 하방을 향해서 연장될 수 있다.A hook piece 526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holder 520 so that the second holder 520 can be selectively fixed without being rotated. The locking piece 526 may be fixed by a stopper 560 to be described later. The locking piece 526 may extend downward than the normal thickness of the second holder 520.

상기 제2홀더(520)에는 상기 가이드 핀(16)에 실질적으로 접촉하는 제2안착면(5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안착면(521)에는 상기 가이드 핀(16)에 잦은 접촉으로 파손 또는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A second seating surface 521 may be formed in the second holder 520 to substantially contact the guide pin 16. The second seating surface 521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shock so that damage or impact is not applied due to frequent contact with the guide pin 16.

상기 제2하우징(504)에는 상기 걸림편(526)을 맞물려서, 상기 제2홀더(520)가 회전되지 못하도록 지지하는 스톱퍼(560)가 구비된다. 상기 스톱퍼(560)는 상기 제2홀더(520)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The second housing 504 is provided with a stopper 560 that engages the locking piece 526 to support the second holder 520 so as not to rotate. The stopper 560 may selectively limit the rotation of the second holder 520.

상기 스톱퍼(560)의 일단에는 상기 걸림편(526)에 맞물릴 수 있도록 고리와 같은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One end of the stopper 560 may be formed to have a ring-like shape to be engaged with the locking piece 526.

상기 스톱퍼(560)에는 상기 스톱퍼(560)가 상기 제2홀더(520)를 향해서 회전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제2탄성 부재(540)가 설치된다. 상기 제2탄성 부재(540)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opper 560 is provided with a second elastic member 540 to elastically support the stopper 560 to rotate toward the second holder 520. The second elastic member 540 may include a torsion spring.

상기 스톱퍼(560)는 상기 제2하우징(504)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제2탄성 부재(540)에 의해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stopper 560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the second housing 504, and may be rotated counterclockwise by the second elastic member 540.

상기 제2탄성 부재(540)의 일단은 상기 스톱퍼(560)에 고정되고, 상기 제2탄성 부재(540)의 타단(542)은 상기 제2하우징(504)에 고정될 수 있다.One end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540 may be fixed to the stopper 560, and the other end 542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540 may be fixed to the second housing 504.

한편 상기 고정 장치(500)는 상기 제1하우징(502)과 상기 제2하우징(504)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푸쉬부(550)를 포함한다. Meanwhile, the fixing device 500 includes a push part 550 disposed to penetrate the first housing 502 and the second housing 504.

상기 푸쉬부(550)는 상기 외부 도어(20)에 접촉해서 선택적으로 가압되는 가압편(552)과, 상기 가압편(552)에서 연장되고 상기 내부 도어(100)을 관통하는 연결편(554)과, 상기 연결편(554)에 결합되어 상기 스톱퍼(560)를 회동시키는 힘을 전달하는 전달편(556)을 포함할 수 있다.The push unit 550 may include a pressing piece 552 that is selectively pressed in contact with the outer door 20, a connection piece 554 extending from the pressing piece 552 and penetrating the inner door 100. It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ion piece 554 may include a transmission piece 556 for transmitting a force for rotating the stopper 560.

즉 상기 가압편(552)은 상기 제1하우징(502)의 외측으로 일부가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압편(552)은 상기 외부 도어(20)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상기 외부 도어(20)와 접촉에 따른 가압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결편(554)보다 큰 단면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That is, the pressing piece 552 is provided so that a portion of the pressing piece 552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housing 502. At this time, the pressing piece 552 may have a larger cross section than the connecting piece 554 so as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outer door 20, thereby increasing the pressing area in contact with the outer door 20. Do.

상기 연결편(554)은 상기 내부 도어(100)에 일부가 수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압편(552)에서 가해지는 힘을 상기 전달편(556)에 전달할 수 있다.The connecting piece 554 may be formed to receive a portion of the inner door 100, and may transmit a force applied from the pressing piece 552 to the transfer piece 556.

상기 연결편(554)과 상기 전달편(556)은 스크류 결합 등을 통해서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connecting piece 554 and the transfer piece 556 can be fixed through a screw coupling or the like.

상기 푸쉬부(550)는 상기 제1하우징(502) 및 상기 제2하우징(504)에 대해서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The push unit 550 may be moved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first housing 502 and the second housing 504.

상기 전달편(556)에는 소정 각도록 경사진 제1경사면(558)이 형성되고, 상기 스톱퍼(560)에는 상기 제1경사면(558)에 맞닿는 제2경사면(562)이 형성될 수 있다. A first inclined surface 558 inclined to a predetermined angle may be formed in the transfer piece 556,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562 in contact with the first inclined surface 558 may be formed in the stopper 560.

상기 전달편(556)이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경사면(558)과 상기 제2경사면(562)의 접촉되는 면적이 달라지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스톱퍼(560)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힘이 가해질 수 있다.As the transfer piece 556 is moved,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irst inclined surface 558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562 is changed, and accordingly, a force is applied so that the stopper 560 rotates counterclockwise. Can be applied.

상기 제1경사면(558)은 상기 전달편(556)의 측면에 배치되는 상기 스톱퍼(560)에 형성된 상기 제2경사면(562)에 선택적으로 접촉이 가능하도록 상기 전달편(556)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inclined surface 558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transfer piece 556 to selectively contact the second inclined surface 562 formed on the stopper 560 disposed on the side of the transfer piece 556. Can be.

반면에 상기 전달편(556)은 상기 제1홀더(510)에 접촉할 수 있는 걸림턱(558)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559)은 소정 단차를 갖도록 마련되어서, 상기 걸림턱(558)이 상기 가이드 후크(574)의 일단을 밀어 올리게 되면 상기 가이드 후크(574)가 회전축(576)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돌출편(578)이 하강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걸림턱(558)이 상기 가이드 후크(574)의 일단을 밀어 올리지 못하면, 상기 가이드 후크(574)가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돌출편(578)은 상승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ransmission piece 556 is formed with a locking step 558 that can contact the first holder 510. The locking jaw 559 is provided to have a predetermined step so that when the locking jaw 558 pushes up one end of the guide hook 574, the guide hook 574 is rotated about the rotation shaft 576 to The protruding piece 578 may descend. On the other hand, if the catching jaw 558 does not push up one end of the guide hook 574, the guide hook 574 is not rotated, the protruding piece 578 can maintain a raised state.

도 16은 도 1의 상태에서 가이드부와 고정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a)는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6 (b)는 도 16 (a)의 B-B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 16을 참조해서 설명한다.16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guide unit and the fixing device in the state of FIG. (A) is a figure seen from the top, FIG. 16 (b) is sectional drawing of B-B of FIG. 16 (a). A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16 is as follows.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외부 도어(20)가 상기 저장실(2)을 밀폐하는 경우에는 상기 내부 도어(100)은 도 2에서와 같은 위치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내부 도어(100)은 상기 외부 도어(20)에 완전히 가려져 도 1의 상태에서는 도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내부 도어(100)과 상기 외부 도어(20)는 서로 맞닿아 있는 상태이다.As shown in FIG. 1, when the outer door 20 seals the storage compartment 2, the inner door 100 is disposed at the same position as in FIG. 2. In this case, the inner door 100 is completely hidden by the outer door 20 and is not shown in the state of FIG. 1. In addition, the inner door 100 and the outer door 2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따라서 상기 가압편(552)은 상기 외부 도어(20)에 의해서 가압되어 눌려진 상태이다. 상기 가압편(552)이 눌려지기 때문에 상기 스톱퍼(560)는 외력에 의해서 반 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 만큼 회전된 상태이다. 이때 상기 가압편(552)은 상기 외부 도어(20)에 의해서 제1위치까지 눌려져 있는 상태이다. 상기 제1위치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눌려지지 않은 상태와 도 18에서와 같이 제2위치까지 눌린 상태에 비교해서 중간 정도의 위치까지 눌린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sing piece 552 is pressed by the outer door 20. Since the pressing piece 552 is pressed, the stopper 560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by an external force. At this time, the pressing piece 552 is pressed to the first position by the outer door 20. The first position may mean a state in which the first position is pressed to an intermediate position as compared with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position is not pressed as shown in FIG. 17 and the state pressed in the second position as shown in FIG. 18.

상기 스톱퍼(560)는 상기 걸림편(526)에 맞물리지 못하고, 상기 제2홀더(520)는 작은 외력에 의해서도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즉 상기 고정 장치(500)에 상기 외부 도어(20)에 의한 외력이 가해진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제2홀더(520)는 회전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stopper 560 does not engage the locking piece 526, and the second holder 520 maintains a state in which the second holder 520 can be rotated counterclockwise even by a small external force. That is, since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fixing device 500 by the external door 20, the second holder 520 may maintain a state in which rotation is possible.

따라서 상기 고정 장치(500)는 상기 가이드부(12)에 결합이 해제된 상태를 이룬다. 그러나 이 상태에서는 상기 내부 도어(100)가 상기 본체(10)에 고정된 상태는 아니지만, 상기 외부 도어(20)가 상기 내부 도어(100)에 맞닿아 있고 상기 외부 도어(20)가 상기 내부 도어(100)의 이동을 막기 때문에 상기 내부 도어(100)는 회전될 수 없는 상태이다.Therefore, the fixing device 500 is in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to the guide portion 12 is released. However, in this state, the inner door 100 is not fixed to the main body 10, but the outer door 20 abuts the inner door 100 and the outer door 20 is the inner door. Since the inner door 100 is prevented from moving, the inner door 100 cannot be rotated.

한편 도 16 (b)에서와 같이, 상기 가압편(552)이 상기 외부 도어(20)에 의해서 눌려진 상태이지만, 상기 걸림턱(559)이 상기 가이드 후크(574)에 접촉해서 상기 가이드 후크(574)를 회전시킬 수 있을 정도까지 이동되지는 않은 상태이다. 즉 상기 가이드 후크(574)의 상기 돌출편(578)은 상기 안착턱(518)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상기 제1홀더(510)는 이동되지 못하고 정지된 상태이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6B, the pressing piece 552 is pressed by the outer door 20, but the locking jaw 559 contacts the guide hook 574 to guide the hook 574. ) Is not moved enough to rotate. That is, since the protrusion 578 of the guide hook 574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jaw 518 is maintained, the first holder 510 is not moved and is stopped.

상기 제1위치는 상기 스톱퍼(560)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반면에, 상기 제1홀더(510)는 이동이 불가한 상태로 유지하는 상태까지 상기 전달편(556)이 가압되어 눌려진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The first position means that the stopper 560 is rotatable, while the first holder 510 is pressed and pressed to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holder 510 is kept in a non-movable state. can do.

도 17은 도 2의 상태에서 가이드부와 고정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 (a)는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7 (b)는 도 17 (a)의 B-B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 17을 참조해서 설명한다.17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guide unit and the fixing device in the state of FIG. (A) is a figure seen from the top, FIG. 17 (b) is sectional drawing of B-B of FIG. 17 (a). A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17 is as follows.

한편 사용자가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내부 도어(100)의 전방을 통해서 상기 내부 도어(100)에 접근하거나, 상기 외부 도어(20) 내측에 저장된 식품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상기 외부 도어(20)만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 도어(100)는 상기 본체(1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Meanwhile, in order to access the inner door 100 through the front of the inner door 100 or to access the food stored inside the outer door 20 as shown in FIG. 2, only the outer door 20 is provided. Can be rotated. At this time, the inner door 100 is maintained in a fixed state to the main body 10.

사용자가 상기 내부 도어(100)는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외부 도어(20)만을 회전시키면, 도 16에서와 같이 상기 외부 도어(20)가 상기 가압편(552)을 누르던 힘이 제거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술한 래치(600)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래치(600)의 작동 방식에 대해서는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When the user rotates only the outer door 20 while the inner door 100 is stopped, the force that the outer door 20 presses the pressing piece 552 is removed as shown in FIG. 16. In this case, the user may use the latch 600 described above. Details of the operation of the latch 600 will be omitted.

상기 외부 도어(20)만 회전하게 되면 상기 가압편(552)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기 때문에, 상기 스톱퍼(560)의 상기 제2탄성 부재(54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어 상기 제2탄성 부재(540)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스톱퍼(560)는 반 시계 방향으로, 즉 상기 제2홀더(520)를 향해서 회전되게 된다. When only the outer door 20 is rotated, the force applied to the pressing piece 552 is removed, so that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second elastic member 540 of the stopper 560 is removed, thereby eliminating the second elasticity. The stopper 56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that is, toward the second holder 520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member 540.

이때 상기 전달편(556)의 상기 제1경사면(558)과 상기 스톱퍼(560)의 상기 제2경사면(562)이 서로 맞닿도록 배치되면서, 상기 스톱퍼(560)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전달편(556)은 하방으로 이동된다. 즉 상기 스톱퍼(560)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2경사면(562)은 상기 제1경사면(558)을 하방으로 밀게되고, 결국엔 상기 푸쉬부(550)가 하방으로 이동된다. In this case, the first inclined surface 558 of the transfer piece 556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562 of the stopper 560 are disposed to abut each other, and as the stopper 560 is rotat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transfer piece 556 is moved downward. That is, when the stopper 560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second inclined surface 562 pushes the first inclined surface 558 downward, and eventually the push part 550 is moved downward.

따라서 상기 가압편(552)은 도 17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내부 도어(10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이 커지게 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sing piece 552 may be moved downward based on FIG. 17 so that the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inner door 100 may be increased.

또한 상기 스톱퍼(560)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었기 때문에, 상기 스톱퍼(560)는 상기 걸림편(526)에 맞물린다. 따라서 상기 스톱퍼(560)와 상기 걸림편(526)이 걸리도록 배치되어서, 상기 스톱퍼(560)에 의해서 상기 제2홀더(520)가 회전이 제한된다.In addition, because the stopper 56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the stopper 560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iece 526. Therefore, the stopper 560 and the locking piece 526 are disposed to be caught, and the rotation of the second holder 520 is limited by the stopper 560.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외부 도어(20)만을 개방한 경우에는 상기 제2홀더(520)는 회전되지 못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상기 제1홀더(510)와 상기 제2홀더(520)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 핀(16)이 감싸지도록 배치된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내부 도어(100)은 상기 본체(10)에 고정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user opens only the outer door 20, the second holder 520 is not rotated and remains fixed. That is, the inner door 100 may be fixed to the main body 10 because the guide pin 16 is fixed by the first holder 510 and the second holder 520. have.

결론적으로 도 16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래치(600)에 의해서 상기 외부 도어(20)만을 회전시킨 경우에는 상기 고정 장치(500)가 상기 내부 도어(100)를 상기 본체(10)에 결합시키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내부 도어(100)는 상기 외부 도어(20)가 회동되는 상태에서 상기 본체(10)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conclusion, when the user rotates only the outer door 20 by the latch 600 in the state of FIG. 16, the fixing device 500 couples the inner door 100 to the main body 10. Is placed. In this way, the inner door 100 may maintain the state coupled to the main body 10 in a state in which the outer door 20 is rotated.

도 17에서는 즉 상기 가압편(552)을 누르던 힘이 제거된 상태이다. 따라서 도 17 (b)에서 도시된 것처럼, 상기 걸림턱(559)는 우측으로 후퇴하게 되어서, 상기 돌출편(578)은 상기 안착턱(518)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1홀더(510)는 도 16에서 도시된 상태와 동일하게 이동이 불가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In FIG. 17, that is, the force that pressed the pressing piece 552 is removed. Therefore, as illustrated in FIG. 17B, the locking jaw 559 is retracted to the right, so that the protruding piece 578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jaw 518. The first holder 510 is maintained in a fixed state such that it cannot be moved in the same manner as shown in FIG. 16.

즉 도 17의 상태에서는 상기 제1홀더(510)와 상기 제2홀더(520)는 이동 또는 회전이 불가하도록 고정된 상태이다. That is, in the state of FIG. 17, the first holder 510 and the second holder 520 are fixed to prevent movement or rotation.

도 18은 도 3의 상태에서 가이드부와 고정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 (a)는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8 (b)는 도 18 (a)의 B-B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 18을 참조해서 설명한다.18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guide unit and the fixing device in the state of FIG. (A) is a figure seen from the top, FIG. 18 (b) is sectional drawing of B-B of FIG. 18 (a). A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18 is as follows.

사용자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내부 도어(100)와 상기 외부 도어(20)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서 사용자는 상기 저장실(2)에 접근할 수 있다.The user can rotate the inner door 100 and the outer door 20 at the same time as shown in FIG. In this way, the user can access the storage compartment 2.

이때 도 16에서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내부 도어(100)가 함께 회전되게 된다. At this time, in the state shown in Figure 16, the outer door 20 and the inner door 100 is rotated together.

특히 사용자는 도 16의 상태에서 상기 외부 도어(20)를 상기 내부 도어(100)에 인접하도록 상기 외부 도어(20)를 밀게 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외부 도어(20)를 당기는 방식이 아니라 상기 내부 도어(100)를 향해서 미는 방식(내부 도어(100)을 외부 도어(2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시키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에 의해서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내부 도어(100)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the user pushes the outer door 20 so that the outer door 20 is adjacent to the inner door 100 in the state of FIG. 16. That is, not by the user pulling the outer door 20, but by pushing toward the inner door 100 (which may mean a method of moving the inner door 100 closer to the outer door 20). The outer door 20 and the inner door 100 may be rotated at the same time.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내부 도어(100)가 함께 동작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래치(600)를 앞에서 설명한 방식에 따라 조작할 수 있다. 상기 래치(600)의 동작 방식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In order for the outer door 20 and the inner door 100 to work together, the user may operate the latch 600 according to the aforementioned method. The operation of the latch 600 will be omitted.

도 16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외부 도어(20)를 상기 내부 도어(100)측으로 밀게 되면, 상기 외부 도어(20)는 상기 가압편(552)을 추가적으로 가압해서, 상기 가압편(552)은 제2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압편(552)은 도 16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1위치보다, 도 18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2위치까지 가압되게 되면, 상기 제1홀더(510)가 상기 가이드 핀(16)을 밀어내는 힘을 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편(552)은 상기 제1위치보다 상기 제2위치에서 더 많이 가압되어, 눌려지게 된다.When the user pushes the outer door 20 toward the inner door 100 in the state of FIG. 16, the outer door 20 further pressurizes the pressing piece 552, and the pressing piece 552 is removed. It can be moved to two positions. That is, when the pressing piece 552 is pressed to the second position as shown in FIG. 18, rather than the first position as shown in FIG. 16, the first holder 510 opens the guide pin 16. It can exert a pushing force. At this time, the pressing piece 552 is pressed more in the second position than the first position, it is pressed.

도 18 (b)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전달편(556)에 형성된 상기 걸림턱(559)이 상기 가이드 후크(574)의 일단을 상승시키면, 상기 가이드 후크(574)의 회전축(576)을 중심으로 상기 돌출편(578)이 하강하게 되어, 상기 돌출편(578)은 상기 안착턱(518)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As shown in FIG. 18B, when the locking jaw 559 formed on the transmission piece 556 raises one end of the guide hook 574, the rotation shaft 576 of the guide hook 574 is centered. As a result, the protruding piece 578 is lowered, and the protruding piece 578 is separated from the seating jaw 518.

따라서 상기 제1홀더(510)는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3탄성 부재(51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제1홀더(510)는 상기 가이드 핀(16)을 향해서 이동되면서, 상기 가이드 핀(16)을 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 도어(100)가 회전될 때에 보조적인 힘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보다 쉽게 상기 내부 도어(100)와 상기 외부 도어(20)를 함께 회전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first holder 510 is movable, the first holder 510 is moved toward the guide pin 16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third elastic member 514, the guide pin 16 Push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uxiliary force when the inner door 100 is rotated, the user can more easily rotate the inner door 100 and the outer door 20 together.

도 16의 상태에서 상기 고정 장치(500)는 상기 내부 도어(100)와 상기 본체(10)를 고정하지 않은 상태이다. 즉 상기 제2홀더(520)는 상기 스톱퍼(560)에 맞물려 있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제2홀더(520)는 상기 제1탄성 부재(530)의 탄성 복원력을 극복할 정도의 작은 힘만 가하면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In the state of FIG. 16, the fixing device 500 does not fix the inner door 100 and the main body 10. That is, since the second holder 520 is not engaged with the stopper 560, the second holder 520 is counterclockwise by applying a small force enough to overcome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530. Direction can be rotated.

이때 상기 가이드 핀(16)은 상기 본체(10)에 일체를 이루면서 정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제2홀더(520)는 상기 외부 도어(20)와 내부 도어(100)가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홀더(520)는 상기 가이드 핀(16)에 접촉해서 상기 가이드 핀(16)에 의해서 의해서 반 시계 방향으로 충분히 회전되게 된다. 특히 상기 제2홀더(520)가 충분히 회전되면 상기 제2홀더(520)는 상기 가이드 핀(16)에 더 이상 접촉하지 못한다.At this time, since the guide pin 16 is stationary while being integral with the main body 10, the second holder 520 is half as the outer door 20 and the inner door 100 are moved downward. Can be rotated clockwise. At this time, the second holder 520 is in contact with the guide pin 16 is sufficiently rotated by the guide pin 16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particular, when the second holder 520 is sufficiently rotated, the second holder 520 may no longer contact the guide pin 16.

즉 상기 고정 장치(500)는 상기 가이드 핀(16)에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내부 도어(100)와 상기 외부 도어(20)를 상기 본체(10)에 대해서 회전시켜, 상기 저장실(2)에 저장된 식품에 접근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fixing device 500 is not fixed to the guide pin 16, the user rotates the inner door 100 and the outer door 20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storage compartment 2 is closed. Food stored in the can be accessed.

상기 푸쉬바(550), 즉 상기 가압편(552)이 상기 제2위치까지 가압되면, 상기 제1홀더(510)는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2홀더(520)는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즉 상기 푸쉬바(550)또는 상기 가압편(552)이 상기 제2위치까지 가압되면 상기 제1홀더(510)와 상기 제2홀더(520)는 운동할 수 있지만, 반면에 상기 푸쉬바(550) 또는 상기 가압편(552)이 상기 제1위치까지 가압되면 상기 제1홀더(510)의 운동은 제한되지만, 상기 제2홀더(520)는 회전운동을 할 수 있다. When the push bar 550, that is, the pressing piece 552 is pressed to the second position, the first holder 510 is movable, and the second holder 520 is rotatably disposed. That is, when the push bar 550 or the pressing piece 552 is pressed to the second position, the first holder 510 and the second holder 520 may move, whereas the push bar 550 When the pressing piece 552 is pressed to the first position, the movement of the first holder 510 is limited, but the second holder 520 may rotate.

사용자가 상기 저장실(2)에 보관된 식품을 꺼내거나, 상기 저장실(2)에 식품을 넣은 후에는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내부 도어(100)를 도 1에 도시된 형태로 회전시켜야 한다. After the user takes out the food stor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2 or puts the food in the storage compartment 2, the outer door 20 and the inner door 100 should be rotated in the form shown in FIG. 1. .

이때 상기 제2홀더(520)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왜냐하면 상기 제1탄성 부재(530)는 상기 제2홀더(520)가 일정 영역 이상 회전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홀더(520)에 탄성 복원력을 가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상기 제1탄성 부재(530)가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제2홀더(520)는 반 시계 방향을 회전되어 정지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holder 520 is maintained in a state that is rotated counterclockwise. This is because the first elastic member 530 does not apply elastic restoring force to the second holder 520 when the second holder 520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rea or more. Since the first elastic member 530 does not provide elastic restoring force, the second holder 520 is stopped by rotating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사용자가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내부 도어(100)를 상기 저장실(2)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제2홀더(520)가 상기 가이드 벽(14)에 구비된 상기 완곡면(15)에 맞닿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내부 도어(100)을 상측으로 점점 회전시키게 됨에 따라 상기 제2홀더(520)는 상기 완곡면(15)의 다른 부분에 연속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상기 제2홀더(520)는 상기 완곡면(15)에 접촉함에 따라, 상기 제2홀더(52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서, 도 16에 도시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When the user rotates the outer door 20 and the inner door 100 to the storage compartment 2, the second holder 520 is provided on the curved surface 15 provided in the guide wall 14. It comes in contact. At this time, as the user gradually rotates the inner door 100 upward, the second holder 520 continuously contacts another portion of the curved surface 15. As the second holder 520 is in contact with the curved surface 15, the second holder 520 is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so that the second holder 520 is disposed in the form shown in FIG. 16.

특히 상기 제2홀더(520)가 상기 완곡면(15)에 소정 시간 동안 접촉해서, 일정 각도 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1탄성 부재(5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제2홀더(520)는 시계 방향으로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다. In particular, when the second holder 520 is in contact with the curved surface 15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rotates clockwise by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the second holder 520 is caus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530. ) Can be easily rotated clockwise.

물론 도 18의 상태에서는 상기 제1탄성 부재(530)의 탄성 지지력을 극복할 수 있을 정도의 힘을 가하면 상기 제2홀더(520)는 회전될 수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고정 장치(500)는 상기 가이드부(12)에 결합이 해제된 상태일 수 있다.Of course, in the state of FIG. 18, since the second holder 520 is rotated when a force sufficient to overcome the elastic support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530 is rotated, the fixing device 500 is Coupling to the guide portion 12 may be in a released state.

마찬가지로, 상기 외부 도어(20)가 상기 가압편(552)을 가압하기 때문에 상기 가압편(552)은 도 18 (b)를 기준으로 점점 우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턱(559)은 점점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어서, 상기 걸림턱(559)와 상기 가이드 후크(574)는 접촉하지 못하고, 상기 가이드 후크(574)는 도 16의 형태로 회전되어서 상기 돌출편(578)은 상기 안착턱(518)에 수용된다. 따라서 상기 제1홀더(510)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Similarly, since the outer door 20 presses the pressing piece 552, the pressing piece 552 is gradually moved to the right side with reference to FIG. 18 (b). Therefore, the locking jaw 559 is gradually moved to the right side, the locking jaw 559 and the guide hook 574 is not in contact, the guide hook 574 is rotated in the form of Figure 16 the projection piece 578 is accommodated in the seating jaw 518. Therefore, the first holder 510 is maintained in a fixed state.

상술한 본 발명은 도 19에 도시된 냉장고의 다양한 타입에 적용 가능하다. 한편 도 19에는 도시되지 않지만 상기 본체(10)에는 식품이 저장되는 저장실이 구비된다.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applicable to various types of refrigerators shown in FIG. 19.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Figure 19,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storage compartment for storing food.

즉 도 19(a)에 도시된 냉장고는 식품이 저장되는 저장부(52)가 상기 내부 도어(100)에 구비되는 형태이다. 상기 저장부(52)는 선반 또는 바스켓의 형태를 가져서, 내측에 식품이 안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외부 도어(20) 개방 시에 사용자가 상기 내부 도어(100)의 저장부(52)의 적어도 일부에 접근가능하다. 또한 상기 내부 도어(100)의 적어도 일부면 또는 상기 내부 도어(100)를 개방해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접근할 수 있다.That is, in the refrigerator illustrated in FIG. 19A, the storage unit 52 in which food is stored is provided in the inner door 100. The storage unit 52 has the form of a shelf or a basket, it is possible to seat the food inside. At this time, when the outer door 20 is opened, a user may access at least a part of the storage 52 of the inner door 100. 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inner door 100 or the inner door 100 may be opened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0.

도 19(b)에 도시된 냉장고는 식품이 저장되는 저장부(24)가 외부 도어(20)에 구비되는 형태이다. 이때 상기 외부 도어(20) 개방 시에 상기 내부 도어(100)의 적어도 일부에 접근가능하다. 또한 상기 내부 도어(100)의 적어도 일부면을 통하거나 상기 내부 도어(100)를 개방하는 경우에 본체(10)의 내부에 접근할 수 있다. In the refrigerator illustrated in FIG. 19B, a storage unit 24 for storing food is provided in the outer door 20. At this time, at least a part of the inner door 100 is accessible when the outer door 20 is opened. 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may be approached through at least a part surface of the inner door 100 or when the inner door 100 is opened.

도 19(c)에 도시된 냉장고는 식품이 저장되는 저장부(52, 24)는 상기 내부 도어(100)와 상기 외부 도어(20)에 모두 구비되는 형태이다. 이때 상기 외부 도어(20) 개방 시에 상기 외부 도어(20)에 설치된 저장부(24) 또는 상기 내부 도어(100)에 구비된 저장부(52)에 접근 가능하다. 또한 상기 내부 도어(100)의 적어도 일부면을 통하거나 상기 내부 도어(100)를 개방하는 경우에 본체(10)의 내부에 접근할 수 있다. In the refrigerator illustrated in FIG. 19C, the storage units 52 and 24 in which food is stored are provided in both the inner door 100 and the outer door 20. At this time, when the outer door 20 is opened, the storage part 24 installed in the outer door 20 or the storage part 52 provided in the inner door 100 is accessible. 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may be approached through at least a part surface of the inner door 100 or when the inner door 100 is opened.

상술한 본 발명은 도 20에 도시된 냉장고의 다양한 타입에 적용 가능하다. 한편 도 20에는 본체, 내부 도어, 외부 도어를 서로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각각의 도어를 상기 본체에 대해서 개방할 수 있는 다양한 예를 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applicable to various types of refrigerators shown in FIG. 20. Meanwhile, FIG. 20 illustrates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in which the main body, the inner door, and the outer door may be fixed to each other, and various examples in which each door may be open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are disclosed.

이하 설명할 제1결합 부재(A), 제2결합 부재(B), 제3결합 부재(C)는 두 개의 부재를 결합시키는 결합도에 무관하게 사용자의 행위(즉 버튼을 누르는 행위 등)에 의해서 결합 또는 결합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는 형태의 고정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고정 장치에 의해서는 두 개의 부재의 결합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제1결합 부재(A), 제2결합 부재(B), 제3결합 부재(C)는 결합도를 해제시킬 수 있는 힘보다 큰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 결합 또는 결합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는 형태의 부재(즉 돌기 등을 이용한 끼움 결합 등이 가능함)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coupling member (A), the second coupling member (B), and the third coupling member (C),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may be used for the user's actions (ie, pressing a button, etc.) regardless of the degree of coupling between the two members. It may include a fixing device of the type that can be engaged or released by engagement. In other words, the fastening device can change the engagement of the two members. In contrast, the first coupling member (A), the second coupling member (B), the third coupling member (C) may be engaged or released when a force greater than a force capable of releasing the coupling degree is applied. It may include a member of the form (that is, fitting and the like using protrusions and the like).

도 20(a)는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내부 도어(100)를 서로 결합 또는 해제시키기 위해서 제1결합 부재(A)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결합 부재(A)는 후크 또는 홀더 등의 부품을 이용하는 고정 장치이거나 가스켓의 자력에 의해서 결합이 이루어지거나, 끼움 돌기의 결합에 의해서 고정되는 등의 다양한 형태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1결합 부재(A)가 고정 장치라면 사용자의 누르는 등의 특정 행위를 통해서 결합 또는 해제를 선택할 수 있게 마련되고, 상기 제1결합 부재(A)가 고정 장치가 아니라면 해당 결합도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결합이 해제될 수 있는 특성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결합 부재(A)는 앞에서 설명한 래치를 포함할 수 있다.FIG. 20A illustrates a first coupling member A for coupling or releasing the outer door 20 and the inner door 100 from each other. At this time, the first coupling member (A) may have a variety of forms, such as a fixing device using a component such as a hook or a holder, or the coupling is made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gasket, or fixed by the coupling of the fitting projection. In this case, if the first coupling member A is a fixing device, the coupling or release may be selected through a specific action such as pressing by a user. When this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have the property that the bond can be released. The first coupling member A may include the latch described above.

한편 상기 내부 도어(100)와 상기 본체(10)를 서로 결합 또는 해제시키기 위해서 제2결합 부재(B)가 구비된다. 상기 제2결합 부재(B)는 상술한 상기 제1결합 부재(A)의 다양한 형태 중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Meanwhile, a second coupling member B is provided to couple or release the inner door 100 and the main body 10 to each other. The second coupling member B may be formed of one of various forms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A described above.

도 20(a)의 형태에서 상기 외부 도어(20)를 상기 내부 도어(100)로부터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2결합 부재(B)에 의해서 상기 내부 도어(100)는 상기 본체(10)와 결합시키고, 상기 제1결합 부재(A)를 해제해서 상기 외부 도어(20)만을 회전시킬 수 있다. In the form of FIG. 20A, the outer door 20 may be rotated from the inner door 100. That is, the inner door 100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10 by the second coupling member B, and the first coupling member A may be released to rotate only the outer door 20.

이때 상기 제1결합 부재(A)의 결합도가 상기 제2결합 부재(B)의 결합도보다 작은 상태에서, 사용자 등이 상기 외부 도어(20)를 당기는 동작 등을 행해서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내부 도어(100)를 분리하고 상기 외부 도어(20)만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의 힘이 상기 제1결합 부재(A)를 결합도보다는 크고, 상기 제2결합 부재(B)의 결합도보다는 작은 경우에, 상기 제2결합 부재(B)는 그대로 두고 상기 제1결합 부재(A)만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degree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A is smaller than the coupling degree of the second coupling member B, a user or the like pulls the external door 20 to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external door 20.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and the inner door 100 and to rotate only the outer door 20. That is, when the user's force is greater than the coupling degree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A, and smaller than the coupling degree of the second coupling member B, the first coupling member B is left as it is. Only the member A can be released.

이와 달리 도 20(a)의 형태에서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내부 도어(100)를 함께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1결합 부재(A)에 의해서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내부 도어(100)의 결합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2결합 부재(B)를 해제해서 상기 내부 도어(100)와 상기 외부 도어(20)를 상기 본체(10)에 대해서 회전시킬 수 있다.In contrast, in the form of FIG. 20A, the outer door 20 and the inner door 100 may be rotated together. In other words, the second coupling member (B) is released by maintaining the coupling of the outer door (20) and the inner door (100) by the first coupling member (A) and the inner door (100) and The outer door 20 may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

이때 상기 제1결합 부재(A)의 결합도가 상기 제2결합 부재(B)의 결합도보다 크고, 사용자 등이 상기 외부 도어(20) 또는 상기 내부 도어(100)를 당기는 동작 등을 행해서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내부 도어(100)를 함께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상기 외부 도어(20)를 당기는 상태에서 상기 제1결합 부재(A)는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내부 도어(100)의 결합을 유지하고, 상기 제2결합 부재(B)는 상기 내부 도어(100)와 상기 본체(10)의 결합을 해제하도록 사용자가 상기 외부 도어(20) 또는 상기 내부 도어(100)에 힘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coupling degree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A is greater than that of the second coupling member B, and a user or the like pulls the outer door 20 or the inner door 100 to perform the operation. It is possible to rotate the outer door 20 and the inner door 100 together.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pulls the outer door 20, the first coupling member A maintains the coupling between the outer door 20 and the inner door 100, and the second coupling member B is It is possible for a user to apply force to the outer door 20 or the inner door 100 to release the coupling between the inner door 100 and the main body 10.

물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제1결합 부재(A)는 체결을 유지하고, 상기 제2결합 부재(B)는 체결을 해제하도록 조작되는 것도 가능하다.Of course, the first coupling member A may be fastened by the user's operation, and the second coupling member B may be operated to release the fastening.

도 20(b)는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내부 도어(100)을 서로 결합 또는 해제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1결합 부재(A)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본체(10)를 서로 결합 또는 해제시키기 위해서 제3결합 부재(C)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결합 부재(C)도 상술한 상기 제1결합 부재(A)의 다양한 형태 중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FIG. 20 (b) is provided with the first coupling member A to couple or release the outer door 20 and the inner door 100 to each other. Meanwhile, a third coupling member C may be provided to couple or release the outer door 20 and the main body 10 to each other. At this time, the third coupling member (C) can also be made of one of the various forms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A) described above.

도 20(b)의 형태에서 상기 외부 도어(20)를 상기 내부 도어(100)로부터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결합 부재(A)와 상기 제2결합 부재(B)가 모두 해제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외부 도어(20)만을 당기는 등의 행위를 통해서 상기 외부 도어(20)만을 회전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결합 부재(A)와 상기 제2결합 부재(B)는 사용자의 행위에 의해서 결합이 해제된 상태로 변경되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에 사용자가 상기 외부 도어(20)를 당길 때에 상기 제1결합 부재(A)와 상기 제2결합 부재(B)의 결합도 보다 큰 힘을 가해서 상기 외부 도어(20)가 상기 본체(10) 및 상기 내부 도어(100)로부터 분리되어 사용자가 상기 외부 도어(20)만을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form of FIG. 20B, the outer door 20 may be rotated from the inner door 100. At this time, both the first coupling member A and the second coupling member B may be released. In addition, the user may rotate only the outer door 20 by pulling only the outer door 20. In particular, the first coupling member A and the second coupling member B may be changed to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is released by the user's ac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pulls the outer door 20, the outer door 20 is applied to the main body 10 by applying a force greater than that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A and the second coupling member B. And separated from the inner door 100 i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rotate only the outer door (20).

반면에 도 20(b)의 형태에서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내부 도어(100)를 함께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결합 부재(A)가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내부 도어(100)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3결합 부재(C)는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본체(10)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외부 도어(20) 또는 상기 내부 도어(100)를 당기는 행위 등을 통해서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내부 도어(100)를 함께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행위를 통해서 상기 제1결합 부재(A)는 결합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3결합 부재(C)는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사용자가 상기 외부 도어(20) 또는 상기 내부 도어(100)에 가하는 힘이, 상기 제1결합 부재(A)의 결합도는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3결합 부재(C)의 결합도를 해제시킬 수 있는 정도의 힘인 경우에도 상술한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form of FIG. 20 (b), the outer door 20 and the inner door 100 may be rotated together.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upling member A couples the outer door 20 and the inner door 100, the third coupling member C is connected to the outer door 20 and the main body 10. You can break the association. In addition, the user may rotate the outer door 20 and the inner door 100 together by pulling the outer door 20 or the inner door 100. In this case, the third coupling member C may release the coupling while the first coupling member A maintains the coupling through the user's action. On the contrary, the force applied by the user to the outer door 20 or the inner door 100 maintains the degree of engagement of the third engagement member C while the engagement degree of the first engagement member A is maintained. Even in the case of a force that can be released, the above-described situation may occur.

도 20(c)는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본체(10)를 서로 결합 또는 해제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3결합 부재(C)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내부 도어(100)와 상기 본체(10)를 서로 결합 또는 해제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2결합 부재(B)를 구비한다. 즉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내부 도어(100)는 각각 상기 본체(10)에 독립적으로 결합 또는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20 (c) is provided with the third coupling member (C) for engaging or releasing the outer door 20 and the main body 10 with each other. In addition, the inner door 100 and the main body 10 are provided with the second coupling member (B) to engage or release from each other. That is, the outer door 20 and the inner door 100 may be independently coupled or released from the body 10, respectively.

도 20(c)의 형태에서 상기 외부 도어(20)를 상기 내부 도어(100)로부터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결합 부재(B)가 상기 내부 도어(100)와 상기 본체(10)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3결합 부재(C)의 체결이 해제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외부 도어(20)를 당기는 등의 행위를 통해서 상기 외부 도어(20)를 상기 내부 도어(100)로부터 분리시켜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상기 제2결합 부재(B)의 결합도보다 작고, 상기 제3결합 부재(C)의 결합도보다 큰 힘을 상기 외부 도어(20)에 가해서 상기 외부 도어(20)만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특정 행위를 통해서 상기 제2결합 부재(B)는 결합을 유지하고, 상기 제3결합 부재(C)는 결합을 해제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form of FIG. 20C, the outer door 20 may be rotated from the inner door 100. In this case, the coupling of the third coupling member C may be released while the second coupling member B is coupled to the inner door 100 and the main body 10. In addition, the user may rotate the outer door 20 by separating the outer door 20 from the inner door 100 by pulling the outer door 20. In this case, the user rotates only the outer door 20 by applying a force to the outer door 20 that is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coupling member B and greater than that of the third coupling member C. It is possible to let. Of course, the second coupling member B may maintain the coupling and the third coupling member C may release the coupling through a specific action.

도 20(c)의 형태에서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내부 도어(100)를 상기 본체(10)로부터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결합 부재(B)는 상기 본체(10)와 상기 내부 도어(100)의 결합을 해제하고, 상기 제3결합 부재(C)는 상기 본체(10)와 상기 외부 도어(20)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 부재(B)와 상기 제3결합 부재(C)가 모두 본체(10)로부터 해제된 후에 사용자는 상기 내부 도어(100) 또는 상기 외부 도어(20)를 당기는 등의 행위를 통해서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내부 도어(100)를 함께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제2결합 부재(B)의 결합도와 상기 제3결합 부재(C)의 결합도보다 큰 힘을 가해서, 상기 제2결합 부재(B)와 상기 제3결합 부재(C)의 결합은 모두 해제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는 달리 사용자의 특정 행위나 조작을 통해서 상기 제2결합 부재(B)와 상기 제3결합 부재(C)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form of FIG. 20C, the outer door 20 and the inner door 100 may be rotated from the main body 10. In this case, the second coupling member B releases the coupling between the main body 10 and the inner door 100, and the third coupling member C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and the outer door 20. You can break the association. After both the second coupling member B and the third coupling member C are released from the main body 10, the user pulls the inner door 100 or the outer door 20 through the act of pulling the inner door 100 or the outer door 20. The outer door 20 and the inner door 100 may be rotated together. At this time, the user applies a force greater than that of the second coupling member (B) and the degree of coupling of the third coupling member (C), thereby coupling the second coupling member (B) and the third coupling member (C). Can all be released. Alternatively, the coupling between the second coupling member B and the third coupling member C may be released through a specific action or manipulation of the user.

상술한 본 발명은 도 21에 도시된 냉장고의 다양한 타입에 적용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applicable to various types of refrigerators shown in FIG. 21.

도 2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도어(20)에 상기 가스켓(26)이 설치되어, 상기 외부 도어(20)가 상기 본체(10)를 밀폐하게 되면 상기 외부 도어(20)가 상기 본체(10)를 마주 보는 부분에만 상기 가스켓(26)이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가스켓(26)은 상기 외부 도어(20)에 의해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된 저장실을 밀폐하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1A, when the gasket 26 is installed in the outer door 20 and the outer door 20 seals the main body 10, the outer door 20 is closed. It is possible that the gasket 26 is disposed only at a portion facing the main body 10. In this case, the gasket 26 may seal the storage compartment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by the outer door 20.

한편 도 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도어(20)에 설치된 상기 가스켓(26)에 의해서 상기 외부 도어(20)가 상기 본체(10)를 밀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도어(100)와 상기 본체(10)의 사이에도 가스켓과 같은 실링 부재(27)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링 부재(27)는 상기 내부 도어(100)의 외주면을 둘러싸서 상기 실링 부재(27)와 상기 내부 도어(100)에 의해서 상기 본체(10)에 구비된 저장실이 일정 수준으로 밀폐되는 것도 가능하다. As illustrated in FIG. 21B, the outer door 20 may seal the main body 10 by the gasket 26 installed in the outer door 20. In addition, a sealing member 27 such as a gasket may be provided between the inner door 100 and the main body 10. In this case, the sealing member 27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door 100 so that the storage chamber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is sealed to a predetermined level by the sealing member 27 and the inner door 100. It is possible.

도 2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도어(20)에 설치된 상기 가스켓(26)에 의해서 상기 외부 도어(20)가 상기 본체(10)를 밀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도어(100)와 상기 외부 도어(20)의 사이에도 가스켓과 같은 실링 부재(27)가 구비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21C, the outer door 20 may seal the main body 10 by the gasket 26 installed in the outer door 20. In addition, a sealing member 27 such as a gasket may be provided between the inner door 100 and the outer door 20.

도 21(b)와 도 21(c)에 도시된 형태는 도 21(a)에 도시된 형태에서 실링 부재(27)가 추가로 구비되는 형태이다.21 (b) and 21 (c) have a form in which the sealing member 27 is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form shown in FIG. 21 (a).

도 22는 도 16과 다른 형태의 고정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2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FIG. 22 is a view showing a fixing device of another form than FIG. 16. A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22 is as follows.

도 22는 도 16과 유사하지만, 상기 푸쉬부(550)에서 상기 가압편(552)이 상기 외부 도어(2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FIG. 22 is similar to FIG. 16, except that the pressing piece 552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uter door 20 in the push part 550.

즉 사용자는 상기 외부 도어(20)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가압편(552)을 누르는 행위를 통해서 상기 고정 장치를 조작할 수 있다. 상기 가압편(552)과 상기 외부 도어(20)의 사이에는 상기 가압편(552)과 상기 외부 도어(20)의 사이 간격을 통해서 냉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고무 재질의 패킹 등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That is, the user may operate the fixing device by pressing the pressing piece 552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uter door 20. Rubber packing or the like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pressing piece 552 and the outer door 20 so that cold air does not leak through a gap between the pressing piece 552 and the outer door 20. .

도 22의 다른 부분은 도 16과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하게 작동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Since the other parts of FIG. 22 are the same as those of FIG.

도 23은 도 22와 다른 형태의 고정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2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FIG. 23 is a view showing a fixing device of another form than FIG. 22. A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23 is as follows.

도 23은 도 22와 유사하지만, 상기 제2하우징(504)이 상기 내부 도어(100)가 아닌 상기 외부 도어(20)에 고정되는 형태이다. 따라서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외부 도어(100)과 상기 본체(10)을 결합 또는 결합 해제할 수 있는 형태이다. 이러한 형태는 상술한 제3결합 부재(C)를 구체적인 예가 될 수 있다.FIG. 23 is similar to FIG. 22, but the second housing 504 is fixed to the outer door 20 instead of the inner door 100. Therefore, the fixing device is a form that can couple or release the outer door 100 and the main body 10. This form may be a specific example of the third coupling member (C) described above.

즉 사용자가 상기 가압편(552)을 누르게 되면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본체(10)의 결합이 해제된다. 반면에 상기 가압편(552)을 누르지 않으면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본체(10)는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user presses the pressing piece 552, the coupling between the outer door 20 and the main body 10 is released. On the other hand, if the pressing piece 552 is not pressed, the outer door 20 and the main body 10 may remain in a coupled state.

도 23의 다른 부분은 도 16과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하게 작동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Since other parts of FIG. 23 are the same as those of FIG.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s can be seen in the appended claim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본체 12: 가이드부
16: 가이드 핀 20: 외부 도어
26: 가스켓 40: 제1힌지
50: 프레임 52: 저장부
100: 내부 도어 110: 바디
130: 커버 200: 제2힌지
500: 고정 장치 510: 제1홀더
520: 제2홀더 526: 걸림편
560: 스톱퍼 574: 가이드 후크
600: 래치
10: main body 12: guide part
16: guide pin 20: outer door
26: gasket 40: first hinge
50: frame 52: storage unit
100: inner door 110: body
130: cover 200: second hinge
500: fixing device 510: first holder
520: second holder 526: locking piece
560: stopper 574: guide hook
600: latch

Claims (28)

저장실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제1힌지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외부 도어;
제2힌지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내부 도어;
상기 저장실에 돌출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부; 및
상기 내부 도어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와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되는 고정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을 감싸는 제1홀더와 상기 가이드부의 타측을 감싸는 제2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장치가 상기 외부 도어와 이격되면, 상기 제1홀더와 제2홀더는 고정되며,
상기 외부 도어에 의해 상기 고정 장치가 눌려지면, 상기 제1홀더는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2홀더는 회동가능하며,
상기 제1홀더가 이동가능한 상기 고정 장치가 눌려진 위치와 상기 제2홀더가 회동가능한 상기 고정 장치가 눌려진 위치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 main body provided with a storage compartment;
An outer door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by a first hinge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n inner door rotatably coupled by a second hinge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 guide part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storage compartment; And
A fixing device provided in the inner door and selectively coupled or decoupled with the guide part;
The fixing device includes a first holder surrounding one side of the guide portion and a second holder surrounding the other side of the guide portion.
When the fixing device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door, the first holder and the second holder are fixed,
When the fixing device is pressed by the outer door, the first holder is movable and the second holder is rotatable.
And a position at which the fixing device capable of moving the first holder is pressed and a position at which the fixing device capable of rotating the second holder are pressed are differ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가 제1위치까지 눌려지면 상기 제1홀더는 고정되고, 상기 제2홀더는 회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And when the fixing device is pressed to the first position, the first holder is fixed and the second holder is rotatab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가 제2위치까지 눌려지면 상기 제1홀더가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first holder is movable when the fixing device is pressed to the second posi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가 상기 제2위치까지 눌려지면 상기 제1홀더는 상기 가이드부를 향해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first holder is moved toward the guide part when the fixing device is pressed to the second position.
삭제dele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보다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고정 장치가 많이 눌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fixing device is pressed more in the second position than in the first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가 상기 가이드부와 결합되면 상기 내부 도어는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 장치가 상기 가이드부와 결합되지 않으면 상기 내부 도어는 상기 본체에 대해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fixing device is coupled to the guide portion, the inner door is fixed to the main body,
And the inner door is rotatable relative to the main body when the fixing device is not coupled to the guide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홀더 및 상기 제2홀더에 의해서 감싸지는 가이드 핀과,
상기 제2홀더가 접촉해서 회전되도록 안내하는 완곡면이 형성된 가이드 벽을 포함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The guide unit,
A guide pin wrapped by the first holder and the second holder;
And a guide wall having a curved surface for guiding the second holder to rotate in contact with the second hold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는 일정 영역에서 상기 제2홀더가 상기 가이드 핀을 감싸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제1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8,
The fixing apparatus includes a first elastic member elastically supporting the second holder to rotate in a direction surrounding the guide pin in a predetermined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제2홀더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스톱퍼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The fix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stopper for selectively limiting rotation of the second hold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스톱퍼가 상기 제2홀더를 향해서 회전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제2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0,
And the fixing device includes a second elastic member elastically supporting the stopper to rotate toward the second hold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홀더는 상기 스톱퍼에 맞물려서 걸리는 걸림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0,
And the second holder has a catching piece engaged with the stopp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제1홀더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가이드 후크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The fix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guide hook for selectively restricting movement of the first hold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외부 도어에 의해 제1위치까지 눌려지면, 상기 제2홀더의 회동이 가능하게 하고,
상기 외부 도어에 의해 제2위치까지 눌려지면, 상기 제1홀더의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푸쉬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xing device,
When pressed to the first position by the outer door, it is possible to rotate the second holder,
And a push unit configured to move the first holder when the second door is pressed to the second positio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부는,
상기 외부 도어에 접촉해서 선택적으로 눌려지는 가압편과,
상기 가압편에서 연장되고, 상기 내부 도어를 관통하는 연결편과,
상기 연결편에 결합되어 상기 스톱퍼를 회동시키는 힘을 전달하는 전달편을 포함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4,
The push unit,
A pressing piece which is selectively pressed in contact with the outer door,
A connecting piece extending from the pressing piece and penetrating the inner door;
And a transfer piece coupled to the connection piece to transmit a force for rotating the stopp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도어에 장착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본체에 접촉해서 상기 저장실을 밀폐하는 가스켓;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And a gasket mounted to the outer door and selectively contacting the main body to seal the storage compartment.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도어가 상기 저장실을 밀폐하면 상기 내부 도어는 상기 저장실에 수용되고, 상기 가스켓은 상기 본체에 접촉되어 상기 저장실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6,
And the inner door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when the outer door seals the storage compartment, and the gasket contacts the main body to seal the storage compartment.
냉장고의 저장실에 돌출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부에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되는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을 감싸는 제1홀더와 상기 가이드부의 타측을 감싸는 제2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장치는 냉장고의 외부 도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내부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 장치가 상기 외부 도어와 이격되면, 상기 제1홀더와 제2홀더는 고정되며,
상기 외부 도어에 의해 상기 고정 장치가 눌려지면, 상기 제1홀더는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2홀더는 회동가능하고,
상기 제1홀더가 이동가능한 상기 고정 장치가 눌려진 위치와 상기 제2홀더가 회동가능한 상기 고정 장치가 눌려진 위치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In the fixing device that is selectively coupled to or released from the guide portion provided to protrude into the storage compartment of the refrigerator,
A first holder surrounding one side of the guide part and a second holder surrounding the other side of the guide part;
The fixing device is provided in the inner door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door of the refrigerator,
When the fixing device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door, the first holder and the second holder are fixed,
When the fixing device is pressed by the outer door, the first holder is movable and the second holder is rotatable.
And the position at which the fixing device capable of moving the first holder is pressed and the position at which the fixing device capable of rotating the second holder are pressed are different.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가 제1위치까지 눌려지면 상기 제1홀더는 고정되고, 상기 제2홀더는 회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8,
And the first holder is fixed when the fixing device is pressed to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holder is rotatable.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가 제2위치까지 눌려지면 상기 제1홀더가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9,
And the first holder is movable when the fixing device is pressed to the second position.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도어에 의해 제1위치까지 눌려지면 상기 제2홀더의 회동이 가능하게 하고, 상기 외부 도어에 의해 제2위치까지 눌려지면 상기 제1홀더의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푸쉬부를 더 포함하는 고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8,
Fix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push to enable the rotation of the second holder when pressed to the first position by the outer door, the movement of the first holder when pressed to the second position by the outer door.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홀더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스톱퍼를 더 포함하는 고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8,
And a stopper for selectively limiting rotation of the second holder.
저장실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제1힌지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외부 도어;
제2힌지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내부 도어;
상기 외부 도어와 상기 내부 도어를 결합 또는 결합 해제하는 래치; 및
상기 본체와 상기 내부 도어를 결합 또는 결합 해제하는 고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도어가 상기 저장실을 밀폐하면서, 상기 외부 도어가 상기 고정 장치를 제1위치까지 누르면,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내부 도어와 상기 본체의 결합을 해제하며,
상기 외부 도어가 상기 고정 장치를 제2위치까지 누르면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내부 도어가 상기 본체에 대해 멀어지도록 상기 본체를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 main body provided with a storage compartment;
An outer door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by a first hinge;
An inner door rotatably coupled by a second hinge;
A latch for engaging or disengaging the outer door and the inner door; And
And a fixing device for coupling or disengaging the body and the inner door.
While the outer door seals the storage compartment, when the outer door presses the fixing device to the first position, the fixing device releases the coupling between the inner door and the main body,
And when the outer door pushes the fixing device to the second position, the fixing device pushes the main body to move the inner door away from the main body.
삭제delete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보다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고정 장치가 많이 눌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And the fixing device is pressed more in the second position than in the first position.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에 의해서 상기 내부 도어와 상기 외부 도어의 결합이 해제되면, 상기 고정 장치에 의해 상기 내부 도어와 상기 본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And when the coupling between the inner door and the outer door is released by the latch, the inner door and the main body are coupled by the fixing device.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도어가 상기 고정 장치를 누르는 것이 해제되면, 상기 고정 장치에 의해 상기 내부 도어와 상기 본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And when the external door releases the pressing of the fixing device, the inner door and the main body are coupled by the fixing device.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에 의해서 상기 외부 도어와 상기 내부 도어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도어가 상기 본체에 대해 회전되면,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내부 도어와 상기 본체의 결합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And the fixing device releases the coupling between the inner door and the main body when the outer door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while the outer door and the inner door are coupled by the latch.
KR1020130068182A 2013-06-14 2013-06-14 Coupl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Active KR1020783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182A KR102078368B1 (en) 2013-06-14 2013-06-14 Coupl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182A KR102078368B1 (en) 2013-06-14 2013-06-14 Coupl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718A KR20140145718A (en) 2014-12-24
KR102078368B1 true KR102078368B1 (en) 2020-02-17

Family

ID=52675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8182A Active KR102078368B1 (en) 2013-06-14 2013-06-14 Coupl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836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78697B2 (en) 2017-08-28 2021-08-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Home appliance
CN111664640B (en) * 2019-03-05 2022-11-11 Bsh家用电器有限公司 Domestic refrigeration appliance with door device comprising a cov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0156B1 (en) * 2008-11-13 2010-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lap door locking device on the bus
KR101861368B1 (en) * 2011-09-16 2018-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130053318A (en) * 2011-11-15 2013-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A latch device of sheet metal material and a refrigerator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718A (en) 201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6132B1 (en) Refrigerator
US8857865B2 (en) Latch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2245371B1 (en) Fixing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2229980B1 (en) Refrigerator
KR102078368B1 (en) Coupl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2078369B1 (en) Coupl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2206239B1 (en) Coupl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0534136B1 (en) Refrigerator
KR101952679B1 (en) A refrigerator comprising a sub-storage chamber
KR101956034B1 (en) A refrigerator comprising a storage container
KR101988307B1 (en) Refrigerator
KR20200120053A (en) Refrigerator
KR20130087324A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1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6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6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2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