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2966B1 - Backhau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Backhau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52966B1 KR102052966B1 KR1020140109152A KR20140109152A KR102052966B1 KR 102052966 B1 KR102052966 B1 KR 102052966B1 KR 1020140109152 A KR1020140109152 A KR 1020140109152A KR 20140109152 A KR20140109152 A KR 20140109152A KR 102052966 B1 KR102052966 B1 KR 1020529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munication packet
- backhaul
- path information
- base station
- l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6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2
- 238000005538 encap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0
- 230000005641 tunne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4—Backbone network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04W28/065—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using assembly or disassembly of packe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34—Modification of an existing rou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의 기지국장치를 활용하여 기지국 및 코어망 간의 백홀을 무선방식으로 구현하면서도, 무선방식으로 백홀을 구현함에 따라 예상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백홀시스템 및 백홀시스템의 제어 방법과, 백홀에이전트장치 및 백홀에이전트장치의 동작 방법과, 백홀단말장치 및 백홀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while implementing a backhaul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core network in a wireless manner by using a base station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he control of the backhaul system and backhaul system that can prevent the problems expected by implementing the backhaul in a wireless manner A method, a method of operating a backhaul agent and a backhaul agent, and a method of operating a backhaul terminal device and a backhaul terminal device are proposed.
Description
본 발명은 백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지국 및 코어망 간의 백홀을 무선방식으로 구현하기 위한 백홀시스템 및 백홀시스템의 제어 방법과, 백홀에이전트장치 및 백홀에이전트장치의 동작 방법과, 백홀단말장치 및 백홀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ckhaul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controlling a backhaul system and a backhaul system to wirelessly implement a backhaul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core network, a method of operating a backhaul agent and a backhaul agent, and a backhaul terminal. It relates to a method of operation of the device and the backhaul terminal device.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기지국 및 단말 간에는 무선으로 통신하지만, 기지국 및 코어망 간의 연결인 백홀은 표준에서 반드시 유선 또는 무선을 사용하도록 정해져 있지 않으며 이는 이동통신 망을 구현하는 사업자가 선택할 수 있는 구현 이슈이다.Although backhaul, which is a connection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terminal for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s wirelessly connected in a standard, it is not necessarily required to use wired or wireless in a standard, and this is an implementation issue that can be selected by an operator implement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그러나, 대개의 경우 기지국의 백홀은, 안정적인 통신패킷 전송이 가능한 유선방식으로 구현되며, 일부 지역에서만 mmWave기반의 무선방식으로 구현되고 있다.However, in most cases, the backhaul of the base station is implemented in a wired manner that enables stable communication packet transmission, and is implemented in a mmWave-based wireless system only in some regions.
무선방식으로 구현된 기존의 mmWave 기반 무선 백홀의 경우는,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이동통신 망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주파수를 사용하는데, 고주파수 사용으로 인해 전파의 직진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송신기(예 : 기지국)와 수신기(예 : 코어망 장비) 사이에 장애물이 없는 line of sight (LOS) 환경에서만 사용이 가능한 제약, 또한 거리에 따른 전파의 감쇄 즉 path loss가 높기 때문에 유효 전송거리가 수백m~2km 정도에 그치는 한계, 우천 시 강수 감쇄로 심한 성능 열화 발생 등의 단점이 있다, Conventional mmWave-based wireless backhaul implemented in a wireless manner uses a relatively high frequency compared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Long Term Evolution (LTE). The effective transmission distance is several hundred m ~ 2km due to the limitation that can be used only in the line of sight (LOS) environment where there is no obstacle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receiver (e.g. core network equipment) and the attenuation of the radio wave according to the distance. There are disadvantages such as limit of accuracy and severe performance deterioration due to precipitation attenuation in rainy weather.
따라서, 현재는 유선방식으로 백홀을 구현하기 힘든 일부 지역, 예컨대 오지나 도서 지역 등에서만, 전술과 같은 단점에도 불구하고 mmWave기반 무선 백홀을 구현(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at present, in some regions where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a backhaul in a wired manner, for example, in remote areas or island regions, mmWave-based wireless backhaul is implemented (used) despite the aforementioned disadvantages.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전술의 기존 mmWave 기반 무선 백홀이 갖는 단점을 모두 개선하면서도 기지국 및 코어망 간의 백홀을 무선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method for implementing a backhaul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core network in a wireless manner while improving all the disadvantages of the aforementioned mmWave-based wireless backhaul.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기지국 및 코어망 간의 백홀을 무선방식으로 구현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wirelessly implement a backhaul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core network.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백홀시스템은, 통신패킷에 제1경로정보를 삽입하여 제1통신패킷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1통신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제1통신패킷을 생성한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용 경로정보를 상기 제1통신패킷에 삽입하여 기지국장치로 송신하는 백홀단말; 및 상기 백홀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1통신패킷에 제2경로정보를 삽입하여 제2통신패킷을 생성하는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 상기 제2통신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제2통신패킷에서 상기 제2경로정보 및 상기 식별용 경로정보를 삭제하고 상기 제1통신패킷을 코어망으로 제공하여, 상기 코어망에서는 상기 제1통신패킷에서 상기 제1경로정보 만 삭제하면 되도록 하는 백홀에이전트를 포함한다.A backhaul system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receiving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from at least one device for inserting the first path information in the communication packet to generate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A backhaul terminal which inserts identification path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device that has generated a first communication packet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and transmits it to the base station apparatus; And receiving the second communication packet from the base station apparatus for generating a second communication packet by inserting second path information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received from the backhaul terminal, and receiving the second path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packet. And a backhaul agent that deletes the information and the path information for identification and provides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to the core network so that only the first path information is delet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별용 경로정보에는, 상기 디바이스의 주소정보 또는 상기 백홀단말에서 상기 디바이스에 할당하는 고유식별자가 포함될 수 있다.Preferably, the identification path information may include address information of the device or a unique identifier assigned to the device by the backhaul terminal.
바람직하게는, 상기 백홀에이전트는, 상기 식별용 경로정보 내 상기 디바이스의 주소정보 또는 상기 고유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디바이스의 통신패킷 전송경로를 구분할 수 있다.Preferably, the backhaul agent may classify a communication packet transmission path of the device based on the device address information or the unique identifier in the identification path inform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백홀에이전트장치는, 통신패킷에 제1경로정보를 삽입하여 생성된 제1통신패킷을 수신한 기지국장치로부터, 상기 제1통신패킷에 제2경로정보를 삽입하여 생성한 제2통신패킷을 수신하는 패킷수신부; 및 상기 제2통신패킷에서 상기 제2경로정보를 삭제한 후 코어망으로 제공하여, 상기 코어망에서는 상기 제1경로정보 만 삭제하면 되도록 하는 코어기능부를 포함한다.A backhaul agent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he base station device receiving a first communication packet generated by inserting the first path information in the communication packet, the second communication packet to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A packet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a second communication packet generated by inserting path information; And a core function unit for deleting the second path information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packet and providing the second path information to a core network so that only the first path information needs to be deleted from the core network.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통신패킷에는, 상기 제1통신패킷에 상기 제2경로정보가 삽입되기 이전에, 상기 제1통신패킷을 생성한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용 경로정보가 기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Preferably, before the second path information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identification path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device that generated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communication packet. Can be.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별용 경로정보에는, 상기 디바이스의 주소정보 또는 상기 디바이스에 할당하는 고유식별자가 포함될 수 있다.Preferably, the identification path information may include address information of the device or a unique identifier assigned to the device.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어기능부에 의해 상기 제2통신패킷에서 상기 제2경로정보가 삭제되면, 상기 식별용 경로정보를 삭제하여 상기 제1통신패킷을 상기 코어망으로 제공하는 게이트웨이기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when the second path information is deleted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packet by the core function unit, the gateway function unit further provides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to the core network by deleting the identification path information. can do.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어기능부는, 상기 식별용 경로정보 내 상기 디바이스의 주소정보 또는 상기 고유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디바이스의 통신패킷 전송경로를 구분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ore function unit may classify a communication packet transmission path of the device based on address information of the device or the unique identifier in the identification path inform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백홀단말장치는, 통신패킷에 제1경로정보를 삽입하여 제1통신패킷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1통신패킷을 수신하는 패킷수신부; 상기 제1통신패킷을 생성한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용 경로정보를 상기 제1통신패킷에 삽입하는 게이트웨이기능부; 및 상기 식별용 경로정보를 삽입한 제1통신패킷을 기지국장치로 송신하는 모뎀부를 포함한다.A backhaul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acket for receiving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from at least one device for generating a first communication packet by inserting the first path information in the communication packet; Receiving unit; A gateway function unit inserting identification path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device that has generated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And a modem unit transmitting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into which the identification path information is inserted, to the base station apparatus.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별용 경로정보에는, 상기 디바이스의 통신패킷 전송경로를 구분하는데 기초가 되는, 상기 디바이스의 주소정보 또는 상기 백홀단말에서 상기 디바이스에 할당하는 고유식별자가 포함될 수 있다.Preferably, the identification path information may include address information of the device or a unique identifier assigned to the device in the backhaul terminal, which is used to distinguish the communication packet transmission path of the de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백홀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백홀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통신패킷에 제1경로정보를 삽입하여 생성한 제1통신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백홀단말이, 상기 제1통신패킷을 생성한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용 경로정보를 상기 제1통신패킷에 삽입하여 기지국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장치가, 상기 백홀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1통신패킷에 제2경로정보를 삽입하여 제2통신패킷을 생성하는 단계; 백홀에이전트가,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 상기 제2통신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제2통신패킷에서 상기 제2경로정보 및 상기 식별용 경로정보를 삭제하고 상기 제1통신패킷을 코어망으로 제공하여, 상기 코어망에서는 상기 제1통신패킷에서 상기 제1경로정보 만 삭제하면 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 method of controlling a backhaul system according to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backhaul terminal receives a first communication packet generated by inserting first path information into a communication packet from at least one device. ; The backhaul terminal inserting identification path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device that has generated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base station apparatus; Generating, by the base station apparatus, a second communication packet by inserting second path information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received from the backhaul terminal; When the backhaul agent receives the second communication packet from the base station apparatus, the backhaul agent deletes the second path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path information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packet and provides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to the core network. The core network includes the step of deleting only the first path information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관점에 따른 백홀에이전트장치의 동작 방법은, 통신패킷에 제1경로정보를 삽입하여 생성된 제1통신패킷을 수신한 기지국장치로부터, 상기 제1통신패킷에 제2경로정보를 삽입하여 생성한 제2통신패킷을 수신하는 패킷수신단계; 및 상기 제2통신패킷에서 상기 제2경로정보를 삭제한 후 코어망으로 제공하여, 상기 코어망에서는 상기 제1경로정보 만 삭제하면 되도록 하는 패킷전송단계를 포함한다.In accordance with a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 backhaul agent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first communication packet generated by inserting first path information into a communication packet; A packet receiving step of receiving a second communication packet generated by inserting second path information into the second communication packet; And transmitting the packet to the core network after deleting the second path information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packet so that only the first path information is deleted from the core network.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통신패킷에는, 상기 제1통신패킷에 상기 제2경로정보가 삽입되기 이전에, 상기 제1통신패킷을 생성한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용 경로정보가 기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Preferably, before the second path information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identification path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device that generated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communication packet. Can be.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킷전송단계는, 상기 제2통신패킷에서 상기 제2경로정보 및 상기 식별용 경로정보를 삭제하여, 상기 제1통신패킷을 상기 코어망으로 제공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packet transmission step may provide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to the core network by deleting the second path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path information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packet.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별용 경로정보에는, 상기 디바이스의 주소정보 또는 상기 디바이스에 할당하는 고유식별자가 포함되며, 상기 식별용 경로정보 내 상기 디바이스의 주소정보 또는 상기 고유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디바이스의 통신패킷 전송경로를 구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identification route information includes address information of the device or a unique identifier assigned to the device, and based on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device or the unique identifier in the identification route informa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identifying a communication packet transmission path.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6 관점에 따른 백홀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통신패킷에 제1경로정보를 삽입하여 제1통신패킷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1통신패킷을 수신하는 패킷수신단계; 상기 제1통신패킷을 생성한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용 경로정보를 상기 제1통신패킷에 삽입하는 경로정보삽입단계; 및 상기 식별용 경로정보를 삽입한 제1통신패킷을 기지국장치로 송신하는 패킷송신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 backhaul terminal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inserting the first path information into a communication packet to generate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from at least one device; Receiving packet receiving step; A path information insertion step of inserting identification path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device that has generated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And a packet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into which the identification path information is inserted, to the base station apparatus.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별용 경로정보에는, 상기 디바이스의 통신패킷 전송경로를 구분하는데 기초가 되는, 상기 디바이스의 주소정보 또는 상기 백홀단말에서 상기 디바이스에 할당하는 고유식별자가 포함될 수 있다.Preferably, the identification path information may include address information of the device or a unique identifier assigned to the device in the backhaul terminal, which is used to distinguish the communication packet transmission path of the device.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백홀시스템 및 백홀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이동통신의 기지국장치를 활용하여 기지국 및 코어망 간의 백홀을 무선방식으로 구현하면서도, 무선방식으로 백홀을 구현함에 따라 예상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backhaul system and the backhau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implementing the backhaul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core network in a wireless manner by using the base station apparatu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he problem expected by implementing the backhaul in a wireless manner Deduce effects that can be prevented beforehan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백홀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백홀에이전트 및 백홀단말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백홀에이전트 및 백홀단말로 구현되는 백홀시스템의 구조를 예로서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백홀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업링크/다운링크 기준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백홀에이전트(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백홀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backhaul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a backhaul agent and a backhaul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backhaul system implemented by a backhaul agent and a backhaul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4 and 5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backhaul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an uplink / downlink basis.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backhaul agent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backhaul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백홀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ackhaul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백홀시스템은, 기지국 및 코어망 간의 백홀을 무선방식으로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이다.As shown in FIG. 1, the backhau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wirelessly implementing a backhaul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core network.
즉, 본 발명의 백홀시스템은, 기존의 mmWave 기반 무선 백홀이 갖는 단점을 모두 개선하면서 기지국 및 코어망 간의 백홀을 무선방식으로 구현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비교적 저주파수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기반의 기지국장치(400)를 활용함으로써, line of sight (LOS) 제약, 짧은 유효 전송거리 한계, 우천 시 심한 성능 열화 등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기지국 및 코어망 간의 백홀을 무선방식으로 구현하고자 한다.That is, the backhau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implement a backhaul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core network in a wireless manner while all of the disadvantages of the existing mmWave-based wireless backhaul, and for this purpose, a base station apparatus based on a mobile communication using a relatively low frequency ( By using 400, we will implement a wireless backhaul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core network, which can be free from line of sight (LOS) constraints, short effective transmission distance limits, and severe performance degradation in rainy weather.
헌데, 송수신기간 독립적인 전송 방식을 사용하는 mmWave 기반 무선 백홀이 아니라 일반 이동통신의 기지국장치(40)를 활용하여 기지국 및 코어망 간의 백홀을 무선방식으로 구현한다면, 단말과 기지국 간의 통신 시 반드시 상응하는 코어망 장비가 존재하여야 하므로, 업링크의 경우 기지국의 백홀신호가 코어망으로 올라가기 이전에 수차례(최소 2회)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되기 때문에 코어망 단에서 디-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De-encapsulation) 수차례(최소 2회) 반복해야 하고, 다운링크의 경우 업링크와는 역으로 기지국의 백홀신호가 코어망으로부터 내려가기 이전에 코어망 단에서 인캡슐레이션을 수차례 반복해야 한다.However, if the backhaul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core network is implemented in a wireless manner using the
이처럼, 코어망 단에서 인캡슐레이션/디-인캡슐레이션을 수차례 반복하게 되면, 백홀신호가 수차례 인캡슐레이션/디-인캡슐레이션 반복되는 과정에서 코어망 내 장비(예 : SGW(24), PGW(26))를 수차례 왕복하게 되어 장거리 전송의 추가 레이턴시(Latency)가 발생하게 되고, 코어망 내 장비(예 : SGW(24), PGW(26))의 처리용량도 늘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예상된다. As such, if the encapsulation / de-encapsulation is repeated several times in the core network stage, the equipment in the core network (eg, SGW (24) is repeated in the process of repeating the encapsulation / de-encapsulation several times. , PGW (26)) several round trips, resulting in additional latency of long-distance transmission, and increases the processing capacity of equipment (eg SGW (24), PGW (26)) in the core network This is expected.
따라서, 본 발명의 백홀시스템은, 백홀에이전트(100)를 채택함으로써, 기지국장치(40)를 활용하여 기지국 및 코어망 간의 백홀을 무선방식으로 구현하면서도, 코어망 단의 인캡슐레이션/디-인캡슐레이션 반복 처리 문제를 예방하고자 한다.Therefore, the backhau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dopting the
이에,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백홀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us, the backhaul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본 발명의 백홀시스템을 통해 백홀신호 즉 통신패킷을 전송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50)는, LTE기지국(1, 예 : LTE매크로기지국, LTE소형기지국)일 수 있고, 3G기지국(2)일 수도 있고, WiFi AP(3)와 같이 기지국이 아닌 일반 통신장치일 수도 있다.First, at least one
여기서, 본 발명의 경우는, 기지국 및 코어망 간의 백홀을 무선방식으로 구현하기 위한 것이므로, 백홀단말(200)에 연결된 디바이스로서 LTE기지국(1) 및 3G기지국(2)을 중심으로 언급하여 설명하겠다.Her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lement a backhaul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core network in a wireless mann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그리고,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업링크/다운링크의 통신패킷 전송경로 중에서, 업링크의 통신패킷 전송경로를 중심으로 언급하여 설명하겠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communication packet transmission path of the uplink / downlink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ommunication packet transmission path of the uplink.
LTE기지국(1) 및 3G기지국(2)는, 자신에 무선 접속된 단말로부터 업링크신호를 수신하면, 업링크신호에 따른 통신패킷에 터널링을 수행하게 된다.When the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LTE기지국(1) 및 3G기지국(2) 중에서 LTE기지국(1)을 언급하여 설명하겠다.Hereinafter, for the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즉, LTE기지국(1)은, 단말의 업링크신호에 따른 통신패킷에, 해당 단말과 관련하여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호(세션)이 연결된 LTE 코어망(20) 내 망 장비 예컨대 SGW(24)로 통신패킷을 보내기 위한 제1경로정보를 삽입(인캡슐레이션)하기 위한 터널링을 통해, 제1통신패킷을 생성하게 된다.That is, the
기지국장치(40)는, LTE기지국(1)에서 생성한 제1통신패킷 즉 LTE기지국(1)의 백홀신호(업링크)가 수신되면, 제1통신패킷에 제2경로정보를 삽입하여 제2통신패킷을 생성한다.When the
이러한 기지국장치(40)는, LTE기지국으로서 LTE매크로기지국 또는 LTE소형기지국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LTE매크로기지국 즉 LTE eNB로 언급하여 설명하겠다.The
즉, LTE eNB(40)는, LTE기지국(1)에서 생성한 제1통신패킷 즉 LTE기지국(1)의 백홀신호(업링크)를 수신하면, 수신한 제1통신패킷에 본 발명의 백홀에이전트(100)로 보내기 위한 제2경로정보를 삽입(인캡슐레이션)하기 위한 터널링을 통해, 제2통신패킷을 생성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그리고, LTE eNB(40)는, 전술과 같이 생성한 제2통신패킷을, 제2경로정보에 따라서 본 발명의 백홀에이전트(100)로 제공하게 된다.Th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망(10)은, MME(22), SGW(24) 및 PGW(26) 등으로 구성된 LTE 코어망(20), RNC(32), SGSN(34) 및 GGSN(36) 등으로 구성된 3G 코어망(30)을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따라서, 본 발명의 백홀에이전트(100)는, LTE 코어망(20) 및 3G 코어망(30) 각각에서 지원하는 통신방식(예 : IP통신, E1회선)을 통해 해당 코어망과 연동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변환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the
이러한 백홀에이전트(100)는, 전술과 같이 LTE eNB(40)로부터 LTE기지국(1)의 백홀신호 즉 제1통신패킷에 제2경로정보를 삽입(인캡슐레이션)하여 생성된 제2통신패킷을 수신하면, 제2통신패킷에서 제2경로정보를 삭제한 후 코어망(10) 즉 LTE 코어망(20)으로 제공한다.The
보다 구체적으로는, 백홀에이전트(100)는, LTE eNB(40)로부터 수신되는 제2통신패킷에서 제2경로정보를 삭제(디-인캡슐레이션)하고, 이에 따라 얻게되는 제1통신패킷 다시 말해 LTE기지국(1)의 백홀신호를 LTE 코어망(20)으로 제공하여, LTE 코어망(20)에서는 제1경로정보 만 삭제(디-인캡슐레이션)한 후 단말의 업링크신호에 따른 통신패킷을 외부망(5)으로 내보낼 수 있도록 한다. More specifically, the
즉,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백홀시스템은, LTE eNB(40)을 활용하여 LTE기지국(1) 및 LTE 코어망(20) 간의 백홀신호(업링크)를 전송하면서도, LTE 코어망(20) 단에서 디-인캡슐레이션을 수차례 반복하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backhaul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the
물론,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백홀시스템에 따르면, 전술의 업링크의 통신패킷 전송경로와는 역으로 처리되는 다운링크의 통신패킷 전송경로에 대해서도, LTE 코어망(20) 단에서 인캡슐레이션을 수차례 반복하는 일이 없도록 할 것이다.Of course, according to the backhaul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wnlink communication packet transmission path which is processed inversely to the above-described communication packet transmission path of the uplink is also received at the LTE core network 20 stage. We will avoid repeated encapsulations several times.
이처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백홀시스템은, 기지국장치(40)을 활용하여 기지국 및 코어망 간의 백홀을 무선방식으로 구현하면서도, 백홀에이전트(100) 단에서 업링크의 경우 제2경로정보 삭제 즉 터널링 해제를 수행하고 다운링크의 경우 기지국장치(40) 즉 LTE eNB(40)로의 제2경로정보 삽입 즉 터널링을 수행함으로써, 코어망 단의 인캡슐레이션/디-인캡슐레이션 반복 처리 문제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ackhaul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the
한편, 기지국장치(40) 즉 LTE eNB(40)를 활용하여 기지국 및 코어망 간의 백홀을 무선방식으로 구현한다면, 디바이스 즉 기지국 별로 통신패킷의 전송경로가 구분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따라서, 본 발명의 백홀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홀단말(200)을 더 채택하고 백홀에이전트(100) 및 백홀단말(200)에 기지국 별로 통신패킷의 전송경로를 구분하기 위한 기능을 탑재함으로써, 그 문제점을 예방하고자 한다. Accordingly, the backhau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employs a
이하에서는, 백홀단말(200)을 더 채택하여 구성되는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백홀시스템을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backhaul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by further adopting the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업링크/다운링크의 통신패킷 전송경로 중에서, 업링크의 통신패킷 전송경로를 중심으로 언급하여 설명하겠다.At this tim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communication packet transmission path of the uplink / downlink,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ommunication packet transmission path of the uplink.
본 발명의 백홀단말(200)은, 자신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50)로부터의 백홀신호(업링크)를, 무선방식 즉 LTE 무선방식을 통해 기지국장치(40) 즉 LTE eNB(40)로 송신한다. The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50)는, LTE기지국(1, 예 : LTE매크로기지국, LTE소형기지국)일 수 있고, 3G기지국(2)일 수도 있고, WiFi AP(3)와 같이 기지국이 아닌 일반 통신장치일 수도 있다.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at least one
따라서, 백홀단말(200)은,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50) 각각에서 지원하는 통신방식(예 : IP통신, E1회선)을 통해 해당 디바이스와 연결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변환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그리고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백홀단말(200)에 연결된 디바이스로서 LTE기지국(1) 및 3G기지국(2)을 중심으로 언급하여 설명하며, 특히 LTE기지국(1)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In the following,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즉, LTE기지국(1)는, 단말의 업링크신호에 따른 통신패킷에, 해당 단말과 관련하여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호(세션)이 연결된 LTE 코어망(20) 내 망 장비 예컨대 SGW(24)로 통신패킷을 보내기 위한 제1경로정보를 삽입(인캡슐레이션)하기 위한 터널링을 통해, 제1통신패킷을 생성하게 된다.That is, the
백홀단말(200)은, LTE기지국(1)으로부터 제1통신패킷 즉 LTE기지국(1)의 백홀신호를 수신하면, 제1통신패킷을 생성한 디바이스 즉 LTE기지국(1)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용 경로정보를 제1통신패킷에 삽입하여, LTE 무선방식을 통해 LTE eNB(40)로 송신한다. When the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백홀단말(200)에 의해 식별용 경로정보가 삽입(인캡슐레이션)된 이후의 제1통신패킷을, 제1통신패킷'로 언급하여 설명하겠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after the identification path information is inserted (encapsulated) by the
이때, 백홀단말(200)이 포함시키는 식별용 경로정보에는, 해당 디바이스 즉 LTE기지국(1)의 주소정보(IP), 또는 백홀단말(200)에서 해당 디바이스 즉 LTE기지국(1)에 할당하는 고유식별자(예 : Flag)가 포함된다.In this case, the identification path information included in the
LTE eNB(40)는, 백홀단말(200)로부터 업링크신호 즉 LTE기지국(1)의 제1통신패킷'을 수신하면, 수신한 제1통신패킷'에 본 발명의 백홀에이전트(100)로 보내기 위한 제2경로정보를 삽입(인캡슐레이션)하기 위한 터널링을 통해, 제2통신패킷을 생성하게 된다.When the
그리고, LTE eNB(40)는, 전술과 같이 생성한 제2통신패킷을, 제2경로정보에 따라서 본 발명의 백홀에이전트(100)로 제공하게 된다.The
백홀에이전트(100)는, 전술과 같이 LTE eNB(40)로부터 제1통신패킷'에 제2경로정보를 삽입(인캡슐레이션)하여 생성된 제2통신패킷을 수신하면, 제2통신패킷에서 제2경로정보를 삭제(디-인캡슐레이션)한다.When the
백홀에이전트(100)는, 제2통신패킷에서 제2경로정보를 삭제한 후 식별용 경로정보 역시 삭제(디-인캡슐레이션)하여 얻은 제1통신패킷, 즉 LTE기지국(1)의 백홀신호(제1경로정보+통신패킷)를 LTE 코어망(20)으로 제공할 것이다. The
이때, 앞서 백홀단말(200)이 제1통신패킷에 삽입(인캡슐레이션)한 식별용 경로정보에 LTE기지국(1)의 주소정보(IP)가 포함된 실시예라면, 백홀에이전트(100)는, 제2통신패킷에서 제2경로정보를 삭제하여 얻은 제1통신패킷'의 식별용 경로정보에서, 해당 디바이스의 주소정보 즉 LTE기지국(1)의 주소정보(IP)를 확인하고 이를 기초로 LTE기지국(1)의 통신패킷 전송경로를 구분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if the embodiment includes the address information (IP) of the
한편, 앞서 백홀단말(200)이 제1통신패킷에 삽입(인캡슐레이션)한 식별용 경로정보에 고유식별자(예 : Flag)가 포함된 실시예라면, 백홀에이전트(100)는, 제2통신패킷에서 제2경로정보를 삭제하여 얻은 제1통신패킷'의 식별용 경로정보에서, 해당 디바이스의 즉 LTE기지국(1)의 고유식별자(예 : Flag)를 확인하고 이를 기초로 LTE기지국(1)의 통신패킷 전송경로를 구분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embodiment includes a unique identifier (eg, a flag) in the identification path information that the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백홀시스템은, LTE eNB(40)을 활용하여 LTE기지국(1) 및 LTE 코어망(20) 간의 백홀신호(업링크)를 전송하면서도, 백홀에이전트(100) 및 백홀단말(200)에 탑재된 디바이스(기지국) 별 통신패킷 전송경로 구분을 위한 기능을 통해서 LTE기지국(1)의 통신패킷 전송경로를 구분할 수 있다.That is, the backhaul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the
물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백홀시스템에 따르면, 전술의 업링크의 통신패킷 전송경로와는 역으로 처리되는 다운링크의 통신패킷 전송경로에 대해서도, 백홀에이전트(100) 및 백홀단말(200)에 탑재된 디바이스(기지국) 별 통신패킷 전송경로 구분을 위한 기능을 통해서 LTE기지국(1)으로의 다운링크 통신패킷 전송경로를 구분할 수 있다.Of course, according to the backhaul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여기서, 통신패킷 전송경로를 구분하기 위해, 고유식별자(예 : Flag)를 이용하는 실시예의 경우, 백홀단말(200)이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별로 별도의 고유식별자(예 : Flag)하고 관리하는 새로운 체계를 구축해야 하므로, 디바이스의 주소정보(IP)를 이용하는 실시예가 보다 효율적일 것으로 판단된다.Here, in an embodiment of using a unique identifier (eg, a flag) to distinguish a communication packet transmission path, the
따라서, 이하에서는, 통신패킷 전송경로를 구분하기 위해, 디바이스의 주소정보(IP)를 이용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언급하여 설명하겠다.Therefore, hereinafter,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using the address information (IP) of the device to distinguish the communication packet transmission path.
이처럼,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백홀시스템은, 기지국장치(40) 즉 LTE eNB(40)를 활용하여 기지국 및 코어망 간의 백홀을 무선방식으로 구현하면서도, 무선방식으로 백홀을 구현함에 따라 우려되는 문제점들, 예컨대 코어망 단의 인캡슐레이션/디-인캡슐레이션 반복 처리 문제, 디바이스(기지국) 별로 통신패킷 전송경로를 구분할 수 없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ackhaul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the backhaul wirelessly while using the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LTE eNB(40)에 백홀단말(200)이 아닌 일반적인 LTE단말(60)이 접속되어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 a general LTE terminal 60 may be connected to the
이에, 본 발명의 백홀시스템에서는, 백홀에이전트(100)에서 LTE eNB(40)를 통한 백홀단말(200) 및 LTE단말(60)을 분리 인지함으로써, LTE eNB(40)에 접속된 일반적인 LTE단말(60)의 경우, 백홀에이전트(100) 단에서의 터널링 해제를 수행하는 일 없이 없도록, 기존과 같이 LTE 코어망(20)으로 연결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n the backhau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여기서, 백홀에이전트(100)에서 LTE eNB(40)를 통한 백홀단말(200) 및 LTE eNB(40)를 통한 LTE단말(60)를 분리 인지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할 수 있다. Here, the method of separating and recognizing the
예를 들면, LTE eNB(40)는 자신의 트래픽(백홀단말(200), LTE단말(60))을 모두 백홀에이전트(100)으로 제공하며, 백홀에이전트(100)에서는 백홀단말(200)의 고유값(예 : IMSI값)를 기 보유한 상태로 LTE eNB(40)로부터의 트래픽을 분석함으로써, 백홀단말(200)의 트래픽이 아닌 트래픽 즉 LTE단말(60)의 트래픽에 대해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처리 없이 LTE 코어망(20)으로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백홀에이전트(100) 및 백홀단말(200)의 기능 및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 2, the functions and specific configurations of the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업링크의 통신패킷 전송경로(a) 및 다운링크의 통신패킷 전송경로(b) 중에서, 업링크의 통신패킷 전송경로(a)를 중심으로 언급하여 설명하겠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uplink communication packet transmission path (a) of the uplink communication packet transmission path (a) and the downlink communication packet transmission path (b).
그리고,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백홀단말(200)에 연결되는 디바이스로서 LTE기지국(1) 및 3G기지국(2)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In FIG. 2, the
즉, LTE기지국(1)은, 단말의 업링크신호에 따른 통신패킷에, 해당 단말과 관련하여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호(세션)이 연결된 LTE 코어망(20) 내 망 장비 예컨대 SGW(24)로 보내기 위한 제1경로정보를 삽입(인캡슐레이션)하기 위한 터널링을 통해, 제1통신패킷을 생성하게 된다.That is, the
또한, 3G기지국(2)은, 단말의 업링크신호에 따른 통신패킷에, 해당 단말과 관련하여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호(세션)이 연결된 3G 코어망(30) 내 망 장비 예컨대 RNC(32)로 보내기 위한 제1경로정보를 삽입(인캡슐레이션)하기 위한 터널링을 통해, 제1통신패킷을 생성하게 된다.In addition, the
이후, LTE기지국(1) 및 3G기지국(2)는, 단말의 업링크신호에 따른 통신패킷에 제1경로정보를 삽입하기 위한 터널링을 통해 생성한 제1통신패킷을, 백홀신호로서 백홀단말(200)로 제공한다.Thereafter,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백홀단말(200)은, 패킷수신부(210, 이하 패킷송수신부라 함), 게이트웨이기능부(230) 및 모뎀부(24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2, the
패킷송수신부(210)는, 백홀단말(200)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50) 즉 LTE기지국(1) 또는 3G기지국(2)로부터 전술과 같이 제1경로정보가 삽입된 제1통신패킷, 즉 백홀신호를 수신한다.The packet transmission /
이때, LTE기지국(1)의 경우 IP통신을 통해 백홀신호를 백홀단말(200)에 제공할 것이고, 3G기지국(2)의 경우 E1회선을 통해 백홀신호를 백홀단말(200)에 제공할 것이다.In this case, the
따라서, 본 발명의 백홀단말(200)은, LTE기지국(1) 및 3G기지국(2) 각각에서 지원하는 통신방식(예 : IP통신, E1회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변환기능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변환부(22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the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변환부(220)는, 백홀단말(200)에 연결된 3G기지국(2)에 부여한 가상의 IP를 기초로, 업링크 시 패킷송수신부(210)에서 E1회선을 통해 수신되는 3G기지국(20)의 백홀신호 즉 제1통신패킷을 3G기지국(2)에 부여한 IP기반의 제1통신패킷으로 변환하고, 다운링크 시 3G기지국(20)의 백홀신호 즉 IP기반의 제1통신패킷을 E1회선 기반의 제1통신패킷으로 변환하여 패킷송수신부(210)로 송신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게이트웨이기능부(230)는, 디바이스(기지국) 별로 통신패킷의 전송경로를 구분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부이다.The
이러한 게이트웨이기능부(230)는, 제1통신패킷을 생성한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용 경로정보를 제1통신패킷에 삽입한다.The
즉, 게이트웨이기능부(230)는, 패킷송수신부(210)를 통해 LTE기지국(1)의 백홀신호 즉 제1통신패킷이 수신된 경우라면, LTE기지국(1)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용 경로정보를 LTE기지국(1)의 제1통신패킷에 삽입할 것이다.That is, the
물론, 게이트웨이기능부(230)는, 패킷송수신부(210)를 통해 3G기지국(2)의 백홀신호 즉 제1통신패킷이 수신된 경우라면, 3G기지국(2)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용 경로정보를 인터페이스변환부(220)에서 IP기반으로 변환된 3G기지국(2)의 제1통신패킷에 삽입할 것이다.Of course, the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LTE기지국(1)의 백홀신호 즉 제1통신패킷이 수신된 경우로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will be assumed that the backhaul signal of the
이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LTE기지국(1)으로부터 수신한 제1통신패킷 즉 LTE기지국(1)의 백홀신호는, 단말로부터의 통신패킷이 페이로드에 실리고, SGW(24)의 IP를 목적지주소(DIP)로 지정하고 LTE기지국(1)의 주소정보(IP)를 소스주소(SIP)로 지정하는 제1경로정보가 헤더로서 삽입된 형태일 것이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2,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received from the
이에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게이트웨이기능부(230)는, 전술과 같은 형태로 수신된 LTE기지국(1)의 백홀신호 즉 제1통신패킷에, LTE기지국(1)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용 경로정보를 삽입(인캡슐레이션)하는 터널링을 수행하게 된다. More specifically, the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게이트웨이기능부(230)에서 제1통신패킷에 식별용 경로정보를 삽입(인캡슐레이션)한 이후의 제1통신패킷을, 제1통신패킷'로 언급하여 설명하겠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after inserting (encapsulating) identification path information in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by the
이때, LTE기지국(1)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용 경로정보는, LTE기지국(1)의 주소정보(IP)를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identification route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예를 들면, LTE기지국(1)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용 경로정보는, 백홀단말(200) 내 게이트웨이기능부(230)와 대응하여 후술할 백홀에이전트(100) 내에 구성된 게이트웨이기능부(130)의 주소정보(IP)를 목적지주소(DIP)로 지정하고, 백홀단말(200)의 주소정보(IP)를 소스주소(SIP)로 지정하며, LTE기지국(1)의 주소정보(IP)를 터널링ID(TEID)로 지정하는 헤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identification path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모뎀부(240)는, 전술과 같이 게이트웨이기능부(230)에서 식별용 경로정보가 삽입된 제1통신패킷'을 기지국장치(40)으로 송신한다.The
다시 말해, 모뎀부(240)는, LTE기지국(1)의 제1통신패킷'을 LTE 무선신호로 처리하여 LTE 무선방식을 통해 기지국장치(40) 즉 LTE eNB(40)로 송신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백홀단말(200)은, 자신에 연결된 디바이스 예컨대 LTE기지국(1)의 백홀신호 즉 제1통신패킷에 식별용 경로정보를 삽입(인캡슐레이션)하여 LTE 무선방식을 통해 LTE eNB(40)로 송신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기지국장치(40) 즉 LTE eNB(40)는, 백홀단말(200)로부터 업링크신호 즉 LTE기지국(1)의 제1통신패킷'을 수신하면, 수신한 제1통신패킷'에 제2경로를 삽입하여 제2통신패킷을 생성한다.When the
즉, LTE eNB(40)는, 백홀단말(200)로부터 업링크신호 즉 LTE기지국(1)의 제1통신패킷'을 수신하면, LTE기지국(1)의 제1통신패킷'에 해당 백홀단말(200)과 관련하여 호(세션)이 연결된 망 장비 예컨대 후술할 백홀에이전트(100)의 코어기능부(120) 내 SGW(124)로 보내기 위한 제2경로정보를 삽입(인캡슐레이션)하기 위한 터널링을 통해, 제2통신패킷을 생성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이때, 제2통신패킷은, 백홀단말(200)로부터의 제1통신패킷'가 페이로드에 실리고, SGW(124)의 IP를 목적지주소(DIP)로 지정하고 LTE eNB(40)의 주소정보(IP)를 소스주소(SIP)로 지정하는 제2경로정보가 헤더로서 삽입된 형태일 것이다.In this case, in the second communication packet,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from the
LTE eNB(40)는, 전술과 같이 생성한 제2통신패킷을, 제2경로정보에 따라서 본 발명의 백홀에이전트(100)로 제공하게 된다.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백홀에이전트(100)는, 패킷수신부(110, 이하 패킷송수신부라 함), 코어기능부(130) 및 게이트웨이기능부(13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더불어, 따라서, 본 발명의 백홀에이전트(100)는, LTE 코어망(20) 및 3G 코어망(30) 각각에서 지원하는 통신방식(예 : IP통신, E1회선)을 통해 해당 코어망과 연동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변환기능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변환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변환부(140)는, 전술의 백홀단말(200) 내 대응되는 구성인 인터페이스변환부(220)에서 3G기지국(2)에 부여한 가상의 IP를 기초로, 업링크 시 3G기지국(20)의 백홀신호 즉 IP기반의 제1통신패킷을 E1회선 기반의 제1통신패킷으로 변환하여 3G 코어망(30)으로 송신하고, 다운링크 시 패킷송수신부(140)에서 E1회선을 통해 수신되는 3G기지국(20)의 제1통신패킷을 IP기반의 제1통신패킷으로 변환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패킷송수신부(110)은, 기지국장치(40) 즉 LTE eNB(40)로부터, 전술과 같은 LTE기지국(1)의 제2통신패킷을 수신한다.The packet transmission /
코어기능부(120)는, 수신한 LTE기지국(1)의 제2통신패킷에서 제2경로정보를 삭제한다. The core function unit 120 deletes the second path information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packet of the received
이러한 코어기능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LTE 코어망(20)에서 경로정보의 인캡슐레이션/디-인캡슐레이션 관련 기능을 수행하는 장비 즉 MME(22), SGW(24) 및 PGW(26)과 대응되는 장비들 즉 MME(122), SGW(124) 및 PGW(126)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core function unit 120 is a device that performs encapsulation / de-encapsulation related functions of route information in the LTE core network 20, that is, an MME 22 or an SGW ( 24) and the devices corresponding to the PGW 26, that is, the MME 122, the SGW 124, and the
이에,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코어기능부(120) 특히 SGW(124)는 수신한 LTE기지국(1)의 제2통신패킷을 2경로정보에 따라 코어기능부(120) 특히 SGW(124)로 제공하고, PGW(126)는 제2통신패킷에서 제2경로정보를 삭제(디-인캡슐레이션)하고 얻어지는 제1통신패킷'의 식별용 경로정보에 따라 게이트웨이기능부(130)로 제공한다.In more detail, the core function unit 120, in particular, the SGW 124 sends the received second communication packet of the
게이트웨이기능부(130)는, 디바이스(기지국) 별로 통신패킷의 전송경로를 구분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부이다.The
이러한 게이트웨이기능부(130)는, 코어기능부(120)에 의해 LTE기지국(1)의 제2통신패킷에서 제2경로정보가 삭제된 후 제1통신패킷'이 얻어지면, 제1통신패킷'에서 식별용 경로정보를 삭제(디-인캡슐레이션)하고 이에 따라 얻어지는 제1통신패킷 즉 LTE기지국(1)의 백홀신호(제1경로정보+통신패킷)를 LTE 코어망(20) 즉 제1통신패킷의 제1경로정보에 따른 SGW(24)로 제공한다.The
이때, 코어기능부(120)는, 제2통신패킷에서 제2경로정보를 삭제하여 얻은 제1통신패킷'의 별용 경로정보 보다 구체적으로 터널링ID(TEID)에서, 디바이스의 주소정보 즉 LTE기지국(1)의 주소정보(IP)를 확인하고 이를 기초로 LTE기지국(1)의 통신패킷 전송경로를 구분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core function unit 120, in the tunneling ID (TEID), more specifically the route information (ID) of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obtained by deleting the second path information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packet, the LTE base station ( Checking the address information (IP) of 1) and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the communication packet transmission path of the LTE base station (1).
이에, LTE 코어망(20)에서는 백홀에이전트(100)로부터 제공되는 제1통신패킷 즉 LTE기지국(1)의 백홀신호(제1경로정보+통신패킷)에서 제1경로정보 만 삭제(디-인캡슐레이션)한 후 단말의 업링크신호에 따른 통신패킷을 외부망(5)으로 내보낼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LTE core network 20 deletes only the first path information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provided from the
따라서,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백홀시스템의 경우, 업링크의 통신패킷 전송경로(a)에서는, 백홀단말(200)에 수신되는 디바이스(예 : LTE기지국(1))로부터의 백홀신호(제1통신패킷)와 동일한 제1통신패킷이, 백홀에이전트(100) 단에서 LTE 코어망(20)으로 전송될 수 있다.Therefore, as can be seen in Figure 2, in the backhaul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uplink communication packet transmission path (a), a device (for example, LTE base station ( The same first communication packet as the backhaul signal (first communication packet) from 1)) may be transmitted from the
물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백홀시스템에 따르면, 다운링크의 통신패킷 전송경로(b)가 전술의 업링크의 통신패킷 전송경로(a)와는 역으로 처리될 것이 자명하며, 그에 대해서는 후술의 도 5에서 설명하도록 하겠다.Of course, according to the backhaul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pparent that the downlink communication packet transmission path (b) will be processed inversely to the aforementioned uplink communication packet transmission path (a). It will be described later in Figure 5.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백홀시스템의 경우, 다운링크의 통신패킷 전송경로(b)에서는, LTE 코어망(20)으로부터 백홀에이전트(100)로 수신되는 제1통신패킷과 동일한 백홀신호(제1통신패킷)가, 백홀단말(200) 단에 해당 디바이스(예 : LTE기지국(1))로 전송될 수 있다.In conclusion, in the backhaul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ownlink communication packet transmission path (b), the same as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received from the LTE core network 20 to the
한편, 도 1 및 도 2에서는, 하나의 백홀에이전트(100) 및 백홀단말(200)을 채택하여 본 발명의 백홀시스템을 구현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을 위한 가장 간략한 구현 방식일 뿐이다.Meanwhile, in FIG. 1 and FIG. 2, one
이와 달리, 본 발명의 백홀시스템은, 다수의 백홀에이전트#1,#2...#N과 백홀단말#1,#2...#N을 채택하여 케스케이드(cascade)형으로 중첩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은, 다수의 백홀에이전트#1,#2...#N과 백홀단말#1,#2...#N을 채택하여 중첩 구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백홀시스템의 일 예를 보여주고 있다.In contrast, the backhau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cascading by adopting a plurality of
이처럼, 백홀단말#1에 연결되는 디바이스 즉 LTE기지국을, 또 다른 백홀단말#2를 위한 통신패킷 전송경로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백홀단말#1,#2...#N을 중첩 구현하고, 이와 대응되도록 백홀단말#1,#2...#N을 중첩 구현한 개수 만큼 백홀에이전트#1,#2...#N를 중첩 구현함으로써, 본 발명의 백홀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As such,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백홀시스템은, 기지국장치(40) 즉 LTE eNB(40)를 활용하여 기지국 및 코어망 간의 백홀을 무선방식으로 구현하면서도, 무선방식으로 백홀을 구현함에 따라 우려되는 문제점들, 예컨대 코어망 단의 인캡슐레이션/디-인캡슐레이션 반복 처리 문제, 디바이스(기지국) 별로 통신패킷 전송경로를 구분할 수 없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ackhaul system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the backhaul wirelessly while using the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전술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백홀시스템의 제어 방법과 백홀에이전트 및 백홀단말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하겠다.Hereinafter, a method of controlling a backhaul system and a method of operating a backhaul agent and a backhaul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second embodiment of the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Here, for the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S. 1 to 3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orresponding reference numerals.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백홀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업링크의 통신패킷 전송경로(a)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First, referring to FIG. 4, a control method of a backhaul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communication packet transmission path (a) of an uplink.
백홀단말(200)에 연결되는 디바이스로서 LTE기지국(1)를 언급하여 설명하면, LTE기지국(1)은, 단말의 업링크신호에 따른 통신패킷에, 해당 단말과 관련하여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호(세션)이 연결된 LTE 코어망(20) 내 망 장비 예컨대 SGW(24)로 보내기 위한 제1경로정보를 삽입(인캡슐레이션)하기 위한 터널링을 통해, 제1통신패킷을 생성하게 된다(S10).Referring to the
이후, LTE기지국(1)은, 생성한 제1통신패킷을 백홀신호로서 백홀단말(200)로 제공한다(S20).Thereafter, the
백홀단말(200)은, LTE기지국(1)으로부터 제1통신패킷 즉 LTE기지국(1)의 백홀신호를 수신하면, 제1통신패킷을 생성한 LTE기지국(1)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용 경로정보를 제1통신패킷에 삽입(인캡슐레이션)하기 위한 터널링을 통해 제1통신패킷'을 생성하고(S30), 제1통신패킷'을 LTE 무선방식을 통해 LTE eNB(40)로 송신한다(S40). When the
LTE eNB(40)는, 백홀단말(200)로부터 업링크신호 즉 LTE기지국(1)의 제1통신패킷'을 수신하면, 수신한 제1통신패킷'에 본 발명의 백홀에이전트(100)로 보내기 위한 제2경로정보를 삽입(인캡슐레이션)하기 위한 터널링을 통해, 제2통신패킷을 생성하게 된다(S50).When the
그리고, LTE eNB(40)는, 전술과 같이 생성한 제2통신패킷을, 제2경로정보에 따라서 본 발명의 백홀에이전트(100)로 제공하게 된다(S60).The
백홀에이전트(100)는, 전술과 같이 LTE eNB(40)로부터 제1통신패킷'에 제2경로정보를 삽입(인캡슐레이션)하여 생성된 제2통신패킷을 수신하면, 제2통신패킷에서 제2경로정보를 삭제(디-인캡슐레이션)한다(S70).When the
그리고, 백홀에이전트(100)는, 제2통신패킷에서 제2경로정보를 삭제하여 얻은 제1통신패킷'에서 식별용 경로정보 역시 삭제(디-인캡슐레이션)하여 제1통신패킷을 얻을 수 있다(S73).In addition, the
이때, 백홀에이전트(100)는, 제2통신패킷에서 제2경로정보를 삭제하여 얻은 제1통신패킷'의 식별용 경로정보에서 확인되는 해당 디바이스의 주소정보 즉 LTE기지국(1)의 주소정보(IP)를 기초로, 디바이스 즉 LTE기지국(1)의 통신패킷 전송경로를 구분할 수 있게 된다(S76).At this time, the
아울러, 백홀에이전트(100)는, 제2통신패킷에서 제2경로정보 및 식별용 경로정보를 삭제(디-인캡슐레이션)하여 얻은 제1통신패킷 즉 LTE기지국(1)의 백홀신호를 코어망(10) 보다 구체적으로 LTE 코어망(20)으로 제공할 것이다(S80). In addition, the
코어망(10) 보다 구체적으로 LTE 코어망(20)에서는, 백홀에이전트(100)로부터 제공되는 제1통신패킷 즉 LTE기지국(1)의 백홀신호(제1경로정보+통신패킷)에서 제1경로정보 만 삭제(디-인캡슐레이션)한 후(S90) 단말의 업링크신호에 따른 통신패킷을 외부망(5)으로 내보낼 수 있게 된다(S100).
따라서, 업링크의 통신패킷 전송경로(a)에서는, S20단계의 백홀단말(200)에 수신되는 디바이스 즉 LTE기지국(1)로부터의 백홀신호(제1통신패킷)와, S80단계의 백홀에이전트(100) 단에서 LTE 코어망(20)으로 전송하는 LTE기지국(1)의 제1통신패킷이 서로 동일하게 된다.Accordingly, in the uplink communication packet transmission path (a), the device received at the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백홀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다운링크의 통신패킷 전송경로(b)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 5, the control method of the backhaul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communication packet transmission path b of the downlink.
이때, 전술의 도 4를 참조한 설명과 대응되도록, 백홀단말(200)에 연결되는 디바이스로서 LTE기지국(1)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In this case, the
외부망(5)으로부터 통신패킷이 수신되면(S110), 코어망(10) 보다 구체적으로 LTE 코어망(20)에서는 통신패킷에 LTE기지국(1)로 보내기 위한 제1경로정보를 삽입(인캡슐레이션)하기 위한 터널링을 통해, 제1통신패킷을 생성하게 된다(S120).When the communication packet is received from the external network 5 (S110), more specifically in the
여기서, 코어망(10) 보다 구체적으로 LTE 코어망(20)의 각 장비 및 백홀에이전트(100)에서는, 전술의 도 4에서 확인한 LTE기지국(1)에 대한 업링크의 통신패킷 전송경로(a)를 토대로, 백홀에이전트(100)를 LTE기지국(1)으로 인지하고 있음이 자명하다.Here, in more detail, each equipment and
따라서, LTE 코어망(20)은, 생성한 제1통신패킷 즉 LTE기지국(1)의 백홀신호를 백홀에이전트(100)로 제공한다(S130).Therefore, the LTE core network 20 provides the generated back communication signal, that is, the backhaul signal of the
이때, 백홀에이전트(100)는, LTE 코어망(20)으로부터 제1통신패킷 즉 LTE기지국(1)의 백홀신호를 수신하면, 제1통신패킷에서 확인되는 해당 디바이스의 주소정보 즉 LTE기지국(1)의 주소정보(IP)를 기초로, 디바이스 즉 LTE기지국(1)의 통신패킷 전송경로를 구분할 수 있다(S140).At this time, when the
이에, 백홀에이전트(100)는, LTE기지국(1)의 백홀신호 즉 제1통신패킷에, LTE기지국(1)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용 경로정보 즉 LTE기지국(1)의 주소정보(IP)가 포함된 식별용 경로정보를 삽입(인캡슐레이션)하고(S143), LTE eNB(40)로 보내기 위한 제2경로정보를 삽입(인캡슐레이션)하기 위한 터널링을 통해, 제2통신패킷을 생성하게 된다(S146).Accordingly, the
그리고, 백홀에이전트(100)는, 전술과 같이 생성한 제2통신패킷을, 제2경로정보에 따라서 LTE eNB(40)로 제공하게 된다(S150).The
LTE eNB(40)는, 전술과 같이 백홀에이전트(100)로부터 제2통신패킷을 수신하면, 제2통신패킷에서 제2경로정보를 삭제(디-인캡슐레이션)한다(S160).When the
그리고, LTE eNB(40)는, 제2통신패킷에서 제2경로정보를 삭제하여 얻은 제1통신패킷'을, 식별용 경로정보에 따라서 백홀단말(200)로 LTE 무선 송신한다(S170).In addition, the
백홀단말(200)은, LTE eNB(40)로부터 수신되는 제1통신패킷'에서 식별용 경로정보를 삭제(디-인캡슐레이션)하여 제1통신패킷 즉 LTE기지국(1)의 백홀신호를 얻을 수 있다(S180).The
이에, 백홀단말(200)은, 식별용 경로정보를 삭제(디-인캡슐레이션)하여 얻은 제1통신패킷 즉 LTE기지국(1)의 백홀신호를, 제1통신패킷의 목적지주소(DIP : LTE기지국(1)의 주소정보(IP))에 따른 해당 LTE기지국(1)로 전송할 것이다(S190).Accordingly, the
이에, LTE기지국(1)는, 백홀단말(200)로부터 수신되는 제1통신패킷 즉 LTE기지국(1)의 백홀신호(제1경로정보+통신패킷)에서 제1경로정보를 삭제(디-인캡슐레이션)한 후(S200), 통신패킷을 해당 단말로의 다운링크신호로서 송신할 것이다(S205).Accordingly, the
따라서, 다운링크의 통신패킷 전송경로(b)에서는, S130단계의 LTE 코어망(20)으로부터 백홀에이전트(100) 단에 수신되는 LTE기지국(1)의 제1통신패킷과, S190단계의 백홀단말(200)에서 해당 디바이스 즉 LTE기지국(1)로 제공하는 LTE기지국(1)의 백홀신호(제1통신패킷)가, 서로 동일하게 된다.Accordingly, in the downlink communication packet transmission path (b),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of the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백홀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 6, a method of operating a backhaul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에 따른 백홀단말(200)의 동작 방법은, 백홀단말(200)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50) 예컨대 LTE기지국(1)으로부터 LTE기지국(1)의 백홀신호(업링크) 즉 제1통신패킷이 수신된 경우라면(S300 Yes), LTE기지국(1)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용 경로정보를 LTE기지국(1)의 제1통신패킷에 삽입할 것이다(S310).The method of operating the
이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LTE기지국(1)으로부터 수신한 제1통신패킷 즉 LTE기지국(1)의 백홀신호는, 단말로부터의 통신패킷이 페이로드에 실리고, SGW(24)의 IP를 목적지주소(DIP)로 지정하고 LTE기지국(1)의 주소정보(IP)를 소스주소(SIP)로 지정하는 제1경로정보가 헤더로서 삽입된 형태일 것이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2,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received from the
이에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백홀단말(200)의 동작 방법은, 전술과 같은 형태로 수신된 LTE기지국(1)의 백홀신호 즉 제1통신패킷에, LTE기지국(1)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용 경로정보를 삽입(인캡슐레이션)하는 터널링을 수행하게 된다. In more detail, the operation method of the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S310단계에서 제1통신패킷에 식별용 경로정보를 삽입(인캡슐레이션)한 이후의 제1통신패킷을, 제1통신패킷'로 연급하여 설명하겠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after inserting (encapsulating) the identification path information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in step S310 will be described as an 'first communication packet'.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백홀단말(200)의 동작 방법은, 전술과 같이 식별용 경로정보가 삽입된 제1통신패킷'을 LTE 무선신호로 처리하여 LTE 무선방식을 통해 기지국장치(40) 즉 LTE eNB(40)로 송신한다(S320).In addition, i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백홀단말(200)의 동작 방법은, LTE eNB(40)로부터 LTE기지국(1)의 제1통신패킷'이 수신된 경우라면(S330 Yes), 제1통신패킷'에서 식별용 경로정보를 삭제(디-인캡슐레이션)하여, 제1통신패킷 즉 LTE기지국(1)의 백홀신호(다운링크)를 얻을 수 있다(S340).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method of the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백홀단말(200)의 동작 방법은, 식별용 경로정보를 삭제(디-인캡슐레이션)하여 얻은 제1통신패킷 즉 LTE기지국(1)의 백홀신호를, 제1통신패킷의 목적지주소(DIP : LTE기지국(1)의 주소정보(IP))에 따른 해당 LTE기지국(1)로 전송할 것이다(S350).Accordingly, i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백홀단말(200)의 동작 방법은, 동작 종료되지 않는 한(S360 No), 자신에 연결된 디바이스 예컨대 LTE기지국(1)의 백홀신호 즉 제1통신패킷에 식별용 경로정보를 삽입(인캡슐레이션)하여 LTE 무선방식을 통해 LTE eNB(40)로 송신하고, 수신되는 LTE기지국(1)의 제1통신패킷'에서 식별용 경로정보를 삭제(디- 인캡슐레이션)하여 해당 디바이스 즉 LTE eNB(40)로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백홀에이전트(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 7, a method of operating the backhaul ag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에 따른 백홀에이전트(100)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장치(40) 즉 LTE eNB(40)로부터, LTE기지국(1)의 제2통신패킷이 수신되는 경우(S400 Yes), 제2통신패킷에서 제2경로정보를 삭제(디-인캡슐레이션)한다(S410). I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백홀에이전트(100)의 동작 방법은, S410단계의 제2통신패킷에서 제2경로정보가 삭제된 후 제1통신패킷'이 얻어지면, 제1통신패킷'에서 식별용 경로정보를 삭제(디-인캡슐레이션)한다(S420).In addition, i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백홀에이전트(100)의 동작 방법은, S410단계에서 얻어지는 제1통신패킷'의 식별용 경로정보에서 확인되는 디바이스의 주소정보 즉 LTE기지국(1)의 주소정보(IP)를 기초로, 디바이스 즉 LTE기지국(1)의 통신패킷 전송경로를 구분할 수 있게 된다(S430).At this time, the operation method of the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백홀에이전트(100)의 동작 방법은, S420단계에서 얻어지는 제1통신패킷 즉 LTE기지국(1)의 백홀신호(업링크)를 LTE 코어망(20) 즉 제1통신패킷의 제1경로정보에 따른 SGW(24)로 제공한다(S440).In additio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이에, LTE 코어망(20)에서는 백홀에이전트(100)로부터 제공되는 제1통신패킷 즉 LTE기지국(1)의 백홀신호에서 제1경로정보 만 삭제(디-인캡슐레이션)한 후 단말의 업링크신호에 따른 통신패킷을 외부망(5)으로 내보낼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n the LTE core network 20,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provided from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백홀에이전트(100)의 동작 방법은, 코어망(10) 예컨대 LTE 코어망(20)으로부터 LTE기지국(1)의 제1통신패킷이 수신된 경우라면(S450 Yes), 제1통신패킷에서 확인되는 해당 디바이스의 주소정보 즉 LTE기지국(1)의 주소정보(IP)를 기초로, 디바이스 즉 LTE기지국(1)의 통신패킷 전송경로를 구분할 수 있다(S460).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method of the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백홀에이전트(100)의 동작 방법은, LTE기지국(1)의 백홀신호 즉 제1통신패킷에, LTE기지국(1)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용 경로정보 즉 LTE기지국(1)의 주소정보(IP)가 포함된 식별용 경로정보를 삽입(인캡슐레이션)하고(S470), LTE eNB(40)로 보내기 위한 제2경로정보를 삽입(인캡슐레이션)하기 위한 터널링을 통해 제2통신패킷을 생성하게 된다(S480).In additio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백홀에이전트(100)의 동작 방법은, 전술과 같이 생성한 제2통신패킷을, 제2경로정보에 따라서 LTE eNB(40)로 제공하게 된다(S490).The method for operating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백홀에이전트(100)의 동작 방법은, 동작 종료되지 않는 한(S500 No), 전술의 S400로 진입 이후 단계들을 수행할 것이다.As such, the method of operating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백홀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기지국장치(40) 즉 LTE eNB(40)를 활용하여 기지국 및 코어망 간의 백홀을 무선방식으로 구현하면서도, 무선방식으로 백홀을 구현함에 따라 우려되는 문제점들, 예컨대 코어망 단의 인캡슐레이션/디-인캡슐레이션 반복 처리 문제, 디바이스(기지국) 별로 통신패킷 전송경로를 구분할 수 없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backhaul system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홀시스템의 제어 방법, 백홀에이전트장치의 동작 방법, 백홀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control method of the backhaul system, the operation method of the backhaul agent apparatus, and the operation method of the backhaul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means to be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Can be.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a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y may be of the kind well-known and available to those having skill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Examples of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ic disks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code, such as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Anyone skilled in the art will hav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or changes are possible.
본 발명에 따른 백홀시스템 및 백홀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이동통신의 기지국장치를 활용하여 기지국 및 코어망 간의 백홀을 무선방식으로 구현하면서도, 무선방식으로 백홀을 구현함에 따라 예상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backhaul system and the backhau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implementing the backhaul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core network in a wireless manner by using the base station apparatu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he problem expected by implementing the backhaul in a wireless manner As it can be prevented, it is not only the use of related technology but the possibility of marketing or sales of the applied device as well as the use of the related technology is sufficient and practically obvious, so that the industrial availability is It is an invention.
100 : 백홀에이전트
110 : 패킷(송)수신부 120 : 코어기능부
130 : 게이트웨이기능부 140 : 인터페이스변환부
200 : 백홀단말
210 : 패킷(송)수신부 220 : 인터페이스변환부
230 : 게이트웨이기능부 240 : 모뎀부100: backhaul agent
110: packet (transmission) receiver 120: core function
130: gateway function unit 140: interface conversion unit
200: backhaul terminal
210: packet (transmitter) receiving unit 220: interface conversion unit
230: gateway function unit 240: modem unit
Claims (16)
상기 백홀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1통신패킷에 제2경로정보를 삽입하여 제2통신패킷을 생성하는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 상기 제2통신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제2통신패킷에서 상기 제2경로정보 및 상기 식별용 경로정보를 삭제하고 상기 제1통신패킷을 코어망으로 제공하여, 상기 코어망에서는 상기 제1통신패킷에서 상기 제1경로정보 만 삭제하면 되도록 하는 백홀에이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홀시스템.Receiving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from at least one device to insert the first path information in the communication packet to generate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and the identification path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device that generated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A backhaul terminal inserted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and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apparatus; And
When receiving the second communication packet from the base station apparatus for generating a second communication packet by inserting second path information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received from the backhaul terminal, the second path information in the second communication packet. And a backhaul agent that deletes the identification path information and provides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to a core network so that only the first path information is delet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Backhaul system.
상기 식별용 경로정보에는,
상기 디바이스의 주소정보 또는 상기 백홀단말에서 상기 디바이스에 할당하는 고유식별자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홀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In the identification route information,
And a unique identifier assigned to the device by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device or the backhaul terminal.
상기 백홀에이전트는,
상기 식별용 경로정보 내 상기 디바이스의 주소정보 또는 상기 고유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디바이스의 통신패킷 전송경로를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홀시스템.The method of claim 2,
The backhaul agent,
And a communication packet transmission path of the device based on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device or the unique identifier in the identification path information.
상기 제2통신패킷에서 상기 제2경로정보를 삭제한 후 코어망으로 제공하여, 상기 코어망에서는 상기 제1경로정보 만 삭제하면 되도록 하는 코어기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홀에이전트장치.A packet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a second communication packet generated by inserting second path information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from the base station apparatus receiving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generated by inserting the first path information into the communication packet; And
And a core function unit which deletes the second path information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packet and provides the core network to the core network so that only the first path information is deleted.
상기 제2통신패킷에는, 상기 제1통신패킷에 상기 제2경로정보가 삽입되기 이전에, 상기 제1통신패킷을 생성한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용 경로정보가 기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홀에이전트장치.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In the second communication packet, before the second path information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identification path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device that generated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is pre-inserted. Backhaul Agent Device.
상기 식별용 경로정보에는,
상기 디바이스의 주소정보 또는 상기 디바이스에 할당하는 고유식별자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홀에이전트장치.The method of claim 5,
In the identification route information,
And a unique identifier assigned to the device or address information of the device.
상기 코어기능부에 의해 상기 제2통신패킷에서 상기 제2경로정보가 삭제되면, 상기 식별용 경로정보를 삭제하여 상기 제1통신패킷을 상기 코어망으로 제공하는 게이트웨이기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홀에이전트장치.The method of claim 5,
And deleting the second path information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packet by the core function unit, deleting the identification path information and providing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to the core network. Backhaul agent.
상기 제1통신패킷을 생성한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용 경로정보를 상기 제1통신패킷에 삽입하는 게이트웨이기능부; 및
상기 식별용 경로정보를 삽입한 제1통신패킷을 기지국장치로 송신하는 모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홀단말장치.A packet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from at least one device inserting first path information into the communication packet to generate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A gateway function unit inserting identification path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device that has generated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And
And a modem unit for transmitting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into which the identification path information is inserted, to the base station apparatus.
상기 식별용 경로정보에는,
상기 디바이스의 통신패킷 전송경로를 구분하는데 기초가 되는, 상기 디바이스의 주소정보 또는 상기 백홀단말에서 상기 디바이스에 할당하는 고유식별자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홀단말장치.The method of claim 8,
In the identification route information,
And a unique identifier assigned to the device by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device or the backhaul terminal, which is used to distinguish a communication packet transmission path of the device.
상기 백홀단말이, 상기 제1통신패킷을 생성한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용 경로정보를 상기 제1통신패킷에 삽입하여 기지국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장치가, 상기 백홀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1통신패킷에 제2경로정보를 삽입하여 제2통신패킷을 생성하는 단계;
백홀에이전트가,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 상기 제2통신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제2통신패킷에서 상기 제2경로정보 및 상기 식별용 경로정보를 삭제하고 상기 제1통신패킷을 코어망으로 제공하여, 상기 코어망에서는 상기 제1통신패킷에서 상기 제1경로정보 만 삭제하면 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홀시스템의 제어 방법.Receiving, by the backhaul terminal, a first communication packet generated by inserting first path information into the communication packet from at least one device;
The backhaul terminal inserting identification path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device that has generated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base station apparatus;
Generating, by the base station apparatus, a second communication packet by inserting second path information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received from the backhaul terminal;
When the backhaul agent receives the second communication packet from the base station apparatus, the backhaul agent deletes the second path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path information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packet and provides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to the core network. The core network control method of the backhaul system comprising the step of deleting only the first path information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상기 제2통신패킷에서 상기 제2경로정보를 삭제한 후 코어망으로 제공하여, 상기 코어망에서는 상기 제1경로정보 만 삭제하면 되도록 하는 패킷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홀에이전트장치의 동작 방법.A packet receiving step of receiving a second communication packet generated by inserting second path information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from a base station apparatus receiving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generated by inserting first path information into the communication packet; And
And transmitting the packet to the core network after deleting the second path information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packet so that only the first path information is deleted in the core network. Way.
상기 제2통신패킷에는, 상기 제1통신패킷에 상기 제2경로정보가 삽입되기 이전에, 상기 제1통신패킷을 생성한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용 경로정보가 기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홀에이전트장치의 동작 방법.The method of claim 11,
In the second communication packet, before the second path information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identification path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device that generated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is pre-inserted. Operation method of backhaul agent device.
상기 패킷전송단계는,
상기 제2통신패킷에서 상기 제2경로정보 및 상기 식별용 경로정보를 삭제하여, 상기 제1통신패킷을 상기 코어망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홀에이전트장치의 동작 방법.The method of claim 12,
The packet transmission step,
And deleting the second path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path information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packet to provide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to the core network.
상기 식별용 경로정보에는, 상기 디바이스의 주소정보 또는 상기 디바이스에 할당하는 고유식별자가 포함되며,
상기 식별용 경로정보 내 상기 디바이스의 주소정보 또는 상기 고유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디바이스의 통신패킷 전송경로를 구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홀에이전트장치의 동작 방법.The method of claim 12,
The identification path information includes address information of the device or a unique identifier assigned to the device.
And classifying a communication packet transmission path of the device based on the address information or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device in the identification path information.
상기 제1통신패킷을 생성한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용 경로정보를 상기 제1통신패킷에 삽입하는 경로정보삽입단계; 및
상기 식별용 경로정보를 삽입한 제1통신패킷을 기지국장치로 송신하는 패킷송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홀단말장치의 동작 방법.A packet receiving step of receiving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from at least one device inserting first path information into the communication packet to generate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A path information insertion step of inserting identification path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device that has generated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And
And a packet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a first communication packet into which the identification path information is inserted, to a base station apparatus.
상기 식별용 경로정보에는,
상기 디바이스의 통신패킷 전송경로를 구분하는데 기초가 되는, 상기 디바이스의 주소정보 또는 상기 백홀단말에서 상기 디바이스에 할당하는 고유식별자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홀단말장치의 동작 방법.The method of claim 15,
In the identification route information,
And a unique identifier assigned to the device by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device or the backhaul terminal, which is used to distinguish a communication packet transmission path of the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09152A KR102052966B1 (en) | 2014-08-21 | 2014-08-21 | Backhau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09152A KR102052966B1 (en) | 2014-08-21 | 2014-08-21 | Backhau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23206A KR20160023206A (en) | 2016-03-03 |
KR102052966B1 true KR102052966B1 (en) | 2019-12-06 |
Family
ID=55535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09152A Active KR102052966B1 (en) | 2014-08-21 | 2014-08-21 | Backhau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52966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40036776A1 (en) | 2012-08-03 | 2014-02-06 | Futurewei Technologies, Inc. |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relay packet gateway relocation for path optimization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SG10201509642XA (en) * | 2010-11-24 | 2015-12-30 | Elta Systems Ltd | Architecture and methods for traffic management by tunneling in moving hierarchical cellular networks |
US8509787B2 (en) * | 2011-07-07 | 2013-08-13 | Cygnus Broadband, Inc. | Communications base station with decision function for distributing traffic across multiple backhauls |
-
2014
- 2014-08-21 KR KR1020140109152A patent/KR10205296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40036776A1 (en) | 2012-08-03 | 2014-02-06 | Futurewei Technologies, Inc. |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relay packet gateway relocation for path optimiza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23206A (en) | 2016-03-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714707B2 (en) | Relay transmission method | |
EP4195776A2 (en) |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 |
JP6682018B2 (en) | System and method for data transfer in a communication system | |
CN109792788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mission involving tunne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
US9380510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GTP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CN110475267A (en) | A kind of configuration method,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 |
JP6731488B2 (en) | Relay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 |
CN1855863B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transmitting frame in wireless mesh network | |
US9219537B2 (en) |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in relay communication network | |
CN104040987A (en) | User plane data transmission method, mobility management network element, evolved node b and system | |
TW201735715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 transmission and relay terminal equipment | |
CN103155621A (en) | Relay station and relay method for relaying communications between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s | |
KR20120100872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ip spoofing detectng in mobile environment using gtp | |
CN111586602A (en) | Method and device for policy management | |
CN110636551A (en) | Method and device for avoiding message fragmentation | |
CN108432212B (en) | Communic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based on 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 (SCTP) | |
WO2022082655A1 (en) | Relay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 |
CN106453204A (en) | Data mess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 |
JP6953584B2 (en) | Relay transmission method and equipment | |
KR102052966B1 (en) | Backhau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9973350B2 (en) | Method for network sharing of multiple network operators and network sharing management proxy device using the same | |
KR102145943B1 (en) | Backhaul system and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applied to the same | |
WO2014179960A1 (en) | Method and device for network configuration | |
CN106162743A (en) |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 |
US11147113B2 (en) | Gateway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2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11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8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0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