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4351B1 - Light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Light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34351B1 KR102034351B1 KR1020170141228A KR20170141228A KR102034351B1 KR 102034351 B1 KR102034351 B1 KR 102034351B1 KR 1020170141228 A KR1020170141228 A KR 1020170141228A KR 20170141228 A KR20170141228 A KR 20170141228A KR 102034351 B1 KR102034351 B1 KR 1020343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bile terminal
- lighting unit
- lighting
- short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6—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 arrangements
- H05B47/196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 arrangements using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
- H05B37/0227—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 H04M1/72533—
-
- H05B37/0218—
-
- H05B37/0272—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
- Y02B20/44—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가 조명유닛에 기준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조명유닛이 자동으로 점등하거나, 상기 조명유닛의 점등 여부를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ing system and a control method for detecting a user having a terminal approaching a lighting unit within a reference distance to automatically turn on the lighting unit or to control whether the lighting unit is turned on. will be.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가 조명유닛에 기준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조명유닛이 자동으로 점등하거나, 상기 조명유닛의 점등 여부를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ing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ghting system and control to detect the user having a terminal approaching the lighting unit within a reference distance to automatically turn on the lighting unit or to control whether the lighting unit is turned on. It is about a method.
도로 또는 지하도 등에는 가로등과 같은 조명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어 야간에 보행자 또는 운전자의 보행 또는 차량 주행을 가능하게 한다.The road or underpass is equipped with a lighting system such as a street lamp to allow pedestrians or drivers to walk or drive the vehicle at night.
그러나, 종래 조명 시스템은 사람이 지나가지 않거나, 자동차가 통과하지 않더라도 계속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여 전기에너지를 낭비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lighting system has a problem of wasting electric energy by maintaining a steady state even if a person does not pass or the vehicle does not pass.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야간에만 조명 시스템이 작동하게 하거나, 조명 시스템에 센서 등을 부가하여, 보행자 등을 감지하여 선택적으로 점등되는 가로등 등의 조명 시스템이 소개되었다.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lighting systems such as street lamps that selectively turn on by detecting pedestrians and the like have been introduced by allowing the lighting system to operate only at night or by adding sensors to the lighting system.
센서 방식의 조명 시스템은 보행자 등이 가로등 등의 조명 시스템의 센서의 감지범위에 도달하기 전까지 가로등 주변 상황을 확인 또는 식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The sensor-based lighting system ha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check or identify the situation around the streetlight until the pedestrian lamp reaches the detection range of the sensor of the lighting system such as the street lamp.
한편, 일반적인 최근의 모바일 단말기는 3G, LTE 등의 통신기능과 GPS를 구비하여, 무선 인터넷 통신과 사용자 위치 식별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cent mobile terminal has a communication function such as 3G, LTE and the like, it can be equipped with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and user location identification function.
더 나아가, 최근의 모바일 단말기는 블루투스, 지그비 또는 와이파이 통신 모듈이 구비되어 3G, LTE 등의 사업자 통신망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경우가 많다.Furthermore, recent mobile terminals are equipped with a Bluetooth, ZigBee, or Wi-Fi communication module to enable direct local area communication without using a carrier network such as 3G and LTE.
이와 같은 모바일 단말기와 조명 시스템을 연동하여 사용자의 불안감 또는 불편함을 최소화하면서도 조명 시스템을 통해 소비되는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은 아직 소개된 바가 없다.There is no technology that can minimize the power consumption through the lighting system while minimizing the user's anxiety or inconvenience by interlocking the mobile terminal and the lighting system.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가 조명 시스템의 기준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조명 시스템을 구성하는 조명유닛이 자동으로 점등되거나, 조명유닛의 점등 여부를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불안감 또는 불편함을 최소화하면서도 조명 시스템을 통해 소비되는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possessing a mobile terminal approaches within a reference distance of the lighting system, the lighting unit constituting the lighting system is automatically turned on, or the user can control whether the lighting unit is turned on, thereby causing anxiety or inconvenience of the us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ghting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apable of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while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본 발명은 광원을 구비한 복수의 조명유닛이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하여 연결(페어링) 될 수 있는 조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ing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lighting units having a light source can be connected (paired) in communication with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는 서버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조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ing system that can be controlled by a server that can communicate with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광원을 구비한 복수의 조명유닛에 모바일 단말기가 기준거리 이내로 접근한 것을 감지하면 조명유닛의 광원이 자동으로 점등되고, 기준거리보다 이격되면 자동으로 소등될 수 있는 조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ing system that can be automatically turned off when the light source of the lighting unit is automatically turned on when the mobile terminal approaches a plurality of lighting units having a light source within a reference distance, and is separated from the reference distance. The task to be solved.
본 발명은 광원을 구비한 복수의 조명유닛에 모바일 단말기가 기준거리 이내로 접근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조명유닛이 모바일 단말기로 점등되거나 소등되는 것이 제어될 수 있는 조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ing system that can be controlled that the lighting unit is turned on or off by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mobile terminal approaches a plurality of lighting units having a light source within a reference distance. Shall be.
본 발명은 조명유닛에 모바일 단말기가 기준거리 이내로 접근하더라도 조도가 기준값 이상이면 조명유닛이 점등되는 것을 방지하여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조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to provide a lighting system that can save energy by preventing the lighting unit is turned on if the illuminance is more than the reference value even when the mobile terminal approaches the lighting unit within the reference distance.
본 발명은 서버가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정보 및 복수의 조명유닛의 상태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조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server provides a lighting system that can sto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and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lighting units.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조도센서 및 근거리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을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와, 적어도 하나의 광원,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하기 위한 제1통신모듈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유닛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조도센서에서 감지된 조도 정보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모듈을 통해 전송된 제어신호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t least one having a mobile terminal having an illumination sensor and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at least one light source,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It includes the above lighting unit, the lighting unit provides a light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trolled by the illumina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illumination sensor of the mobile terminal or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mobile terminal.
이 경우, 각각의 상기 조명유닛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기준거리 이내로 진입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조명유닛의 제1통신모듈이 상호 통신연결되면 상기 광원을 점등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each of the lighting unit may turn on the light source when the mobile terminal enters within a reference distance and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lighting uni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각각의 상기 조명유닛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기준거리 밖으로 멀어져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조명유닛의 제1통신모듈이 상호 통신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광원을 소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each of the lighting unit is the mobile terminal away from the reference distance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of the lighting unit is released from the mutual light source, Can be turned off
여기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조도센서에서 감지된 조도가 미리 결정된 크기의 조도보다 크거나, 상기 조명유닛의 이동통신모듈에서 수신된 조도 정보가 미리 결정된 크기의 조도보다 큰 경우 상기 조명유닛은 상기 광원을 점등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Here, when the illuminance detected by the illuminance sensor of the mobile terminal is greater than illuminance of a predetermined size, or the illuminan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lighting unit is greater than illuminance of a predetermined size, the illumination unit generates the light sour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llumination system characterized by not lighting.
이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기준거리 이내로 진입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조명유닛의 제1통신모듈이 상호 통신연결되면, 상기 조명유닛의 광원을 점등하기 위한 제어신호 발생을 위한 제어 아이콘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obile terminal is a control icon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turning on the light source of the lighting unit when the mobile terminal enters within a reference distance and the mobile terminal and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of the lighting uni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terminal.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조도센서에서 감지된 조도가 미리 결정된 크기의 조도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 아이콘은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illuminance detected by the illuminance sensor of the mobile terminal is greater than the illuminance of a predetermined size, the control icon may provide a light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not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mobile terminal.
여기서, 상기 조명유닛은 노상(路上)에 설치되는 가로등 또는 복도에 설치되는 복도등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 소지자가 노상 또는 복도를 따라 이동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근거리통신이 연결된 기준거리 내의 복수 개의 조명유닛이 함께 점등된 상태가 될 수 있다.Here, the lighting unit is any one of a street lamp or a corridor installed in the corridor, and when the mobile terminal holder moves along the road or corridor, a plurality of lighting units within a reference distance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Lighting units may be turned on together.
그리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 소지자가 노상 또는 복도를 따라 이동하면, 이동방향을 따라 기준거리 내로 접근하여 통신 연결되는 소등 상태의 조명유닛이 점등하고,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을 따라 기준거리 밖으로 벗어나 통신 통신연결이 해제되는 점등 상태의 조명유닛은 소등될 수 있다.Then, when the mobile terminal holder moves along the road or corridor, the lighting unit of the light-off stat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within the reference distance along the moving direction is turned on, and out of the reference distance along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movement direction, communication communication connection The lighting unit of the lighting state is released can be turned off.
여기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이동통신망과 통신 가능한 이동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조명유닛은 상기 이동통신망과 통신 가능한 제2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조명 시스템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조명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신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 또는 상기 조명유닛의 위치정보 또는 상태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이동통신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 서버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 및 이동경로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기준거리 내에서 상호 통신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조명유닛 중 소등된 조명유닛을 점등하기 위한 점등 제어신호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may includ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lighting unit further includes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lighting system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lighting unit. And a mobile communication server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ny one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collect location information or status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or the lighting unit,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er includes a location and a movement path of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Collecting information including a, and the lighting control signal for lighting the lights out of the lighting unit which is determined not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in the reference distance and the mobile terminal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또한, 상기 기준거리 내에서 상호 통신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기준은 복수 개의 점등된 가로등 또는 복도등 사이에 소등된 가로등 또는 복도등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riterion for determining that the communication is not connected to each other within the reference distance may be based on whether there is a lighted off street light or corridor light between a plurality of lit street light or corridor light.
이 경우, 상기 이동통신 서버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 및 이동경로를 정보를 수집하며, 기준거리 밖의 점등된 가로등 또는 복도등을 소등하기 위한 소등 제어신호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er collects information on the location and the movement path of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and transmits an unlit control signal for turning off a lit street light or corridor outside the reference distance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도센서가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기준거리 내에서 근거리통신모듈에 의한 근거리통신이 가능한 복수 개의 조명유닛을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 측정단계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조명유닛의 근거리통신의 연결을 감지하는 통신연결 감지단계와, 상기 조도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조도가 미리 결정된 범위이고, 상기 통신연결 감지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적어도 하나의 조명유닛이 통신연결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조명유닛을 제어하는 조명유닛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rol method of a lighting system including a mobile terminal having an illumination sensor and a plurality of lighting units capable of short-range communication by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within a reference distance with the mobile terminal. In one embodiment, an illuminance measuring step of measuring illuminance through the mobile terminal, a communication connection detecting step of detecting a connection between short-range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lighting unit, and illuminance measured in the illuminance measuring step are predetermined ranges. The control method of the lighting system may include a lighting unit control step of controlling the lighting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t least one lighting unit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in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detecting step.
이 경우, 상기 조명유닛 제어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근거리통신으로 전송된 조도 정보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전송된 제어 신호에서 의하여 상기 조명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ighting unit control step may control the lighting unit by the illumin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to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or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그리고, 상기 조명유닛 제어단계는 조도가 미리 결정된 조도 이하인 경우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근거리통신으로 점등 제어신호가 전송된 경우, 상기 조명유닛을 점등 제어할 수 있다.The lighting unit control may control lighting of the lighting unit when the illuminanc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illuminance or when a lighting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이 경우, 상기 조명유닛 제어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 연결된 복수 개의 조명유닛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ighting unit control step may simultaneously control a plurality of lighting units communicated with the mobile terminal.
또한,, 상기 조명유닛 제어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 소지자가 이동하면, 이동 방향으로 근거리통신이 연결되는 소등 상태의 조명유닛을 점등하고,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기준거리 밖으로 벗어나는 근거리통신이 해제되는 점등 상태의 조명유닛을 소등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obile unit holder moves, the lighting unit control step lights up the lighting unit in the unlit state that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is connected in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which is out of the reference distance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moving direction is released. The lighting unit in the state can be turned off.
이 경우, 상기 조명 시스템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조명유닛 중 적어도 하나와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신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 또는 상기 조명유닛의 위치정보 또는 상태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이동통신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유닛 제어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 서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 및 이동경로를 정보를 수집하며, 기준거리 내에서 근거리통신이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조명유닛을 점등하기 위한 점등 제어신호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ighting system further comprises a mobile communication server for communicating with at least one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lighting unit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collect location information or status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or the lighting unit; In the lighting unit control step,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er collects information on the location and movement path of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and moves a lighting control signal for lighting the lighting unit determined to be not connected to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in a reference distance. It can be transmit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또한,, 상기 기준거리 내에서 근거리통신이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기준은 복수 개의 점등된 가로등 또는 복도등 사이에 소등된 가로등 또는 복도등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riterion for determining that short-range communication is not connected within the reference distance may be based on whether there is a lighted off street light or a corridor light between a plurality of lit street lights or corridor lights.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가 조명 시스템의 기준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조명 시스템을 구성하는 조명유닛이 자동으로 점등되거나, 조명유닛의 점등 여부를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불안감 또는 불편함을 최소화하면서도 조명 시스템을 통해 소비되는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possessing a mobile terminal approaches within a reference distance of the lighting system, the lighting unit constituting the lighting system is automatically turned on, or the user can control whether the lighting unit is turned on, thereby causing anxiety or inconvenience of the user. It minimizes power consumption while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본 발명은 보행자 및 운전자의 이동이 없을 때에는 전기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save electrical energy when there is no movement of pedestrians and drivers.
본 발명은 보행자 및 운전자가 이동할 경우 일정 거리에 도달할 때부터 조명유닛을 미리 점등하여 불안감을 최소화하며 운전자 및 보행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edestrian and the driver move, the lighting unit is turned on in advance to reach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by minimizing anxiety and securing the view of the driver and the pedestrian.
본 발명은 보행자 및 운전자가 귀가할 때 자동으로 실내등이 켜져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maximize the convenience of the interior light is automatically turned on when the pedestrian and the driver returns home.
본 발명은 광원을 구비한 복수의 조명유닛이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하여 연결(페어링) 되거나,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는 서버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조명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lighting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lighting units having a light source can be connected (paired) by communicating with a mobile terminal or controlled by a server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광원을 구비한 복수의 조명유닛에 모바일 단말기가 기준거리 이내로 접근한 것을 감지하면 조명유닛의 광원이 자동으로 점등되고, 기준거리보다 이격되면 자동으로 소등될 수 있는 조명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lighting system that can automatically turn off when the light source of the lighting unit is automatically turned on, when the mobile terminal approaches a plurality of lighting units having a light source within a reference distance,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reference distance. have.
본 발명은 광원을 구비한 복수의 조명유닛에 모바일 단말기가 기준거리 이내로 접근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조명유닛이 모바일 단말기로 점등되거나 소등되는 것이 제어될 수 있는 조명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lighting system that can be controlled that the lighting unit is turned on or off by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mobile terminal approaches a plurality of lighting units having a light source within a reference distance.
본 발명은 조명유닛에 모바일 단말기가 기준거리 이내로 접근하더라도 조도가 기준값 이상이면 조명유닛이 점등되는 것을 방지하여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조명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lighting system that can save energy by preventing the lighting unit is turned on if the illuminance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even if the mobile terminal approaches the lighting unit within the reference distance.
본 발명은 서버가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정보 및 복수의 조명유닛의 상태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조명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lighting system that the server can sto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and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lighting units.
도 1은 본 발명 조명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 조명 시스템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 조명 시스템의 조명유닛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4는 모바일 단말기와 조명유닛이 페어링 되어 통신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5는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조명유닛을 제어하는 버튼이 나타난 각종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 조명 시스템이 설치된 도로상에서, 조명 시스템이 작동하는 태양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 조명 시스템이 설치된 주택에서, 조명 시스템이 작동하는 태양을 도시한다.
도 8은 모바일 단말기가 서버를 통해 조명유닛과 페어링되어 통신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 조명 시스템의 제어방법의 일실시예 도시한다.1 shows the structure of the ligh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2 illustrates a struct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ligh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the structure of the lighting unit of the ligh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that the mobile terminal and the lighting unit are paired to communicate.
5 illustrates various embodiments in which a button for controlling a lighting unit is displayed on a screen of a mobile terminal.
6 shows an aspect in which a lighting system operates, on a road on which the ligh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 7 shows a sun in which a lighting system operates, in a house in which the ligh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8 shows that the mobile terminal is paired with the lighting unit and communicates with the server.
Figure 9 shows one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the ligh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may be made thorough and complete, and to fully convey the spiri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Lik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 조명 시스템(1)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1, the structure of the
본 발명 조명 시스템(1)은 조도센서(230) 및 근거리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201)을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200)와, 적어도 하나의 광원(320),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하기 위한 제1통신모듈(301)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조명유닛(300)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의 조도센서(230)에서 감지된 조도 정보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모듈(201)을 통해 전송된 제어신호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즉, 상기 조명유닛(300)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와 통신연결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를 통해 원격으로 제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That is, the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는 휴대폰,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등 외부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제어신호를 송부할 수 있는 제어부를 구비한다면 어떠한 구성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The
상기 근거리통신모듈(201)과 상기 제1통신모듈(301)은 일정 반경 또는 기준거리에 접근하면 서로 연결 가능하게 구비되는 통신모듈로 구비된다면 어떠한 구조 및 형태, 종류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예를들어,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또는 지그비(Zigbee) 통신모듈일 수 있다.The short
상기 기준거리(L)는 상기 보행자나 운전자가 통행하는 데 충분한 시야를 밝힐 수 있는 거리일 수 있으며, 근거리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의 통신 가능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The reference distance (L) may be a distance for illuminating a sufficient view for the pedestrian or driver to pass, and may mean a communication distance of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상기 근거리통신모듈(201)과 상기 제1통신모듈(301)은 기준거리에 위치하면 상호 인식 및 접속(Pairing) 또는 통신연결될 수 있고, 상기 통신이 연결되었는지 여부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의 화면(220)에 표시될 수 있다.When the local
한편, 상기 조명유닛(300)은 상기 모바일단말기(200)를 통해 근거리통신에 의하여 제어될 수도 있지만,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와 3G, LTE 등 이동통신망(IP NETWORK)으로 통신 연결되는 이동통신 서버(100)를 통해서도 제어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이동통신 서버(100)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와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신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에 조명유닛(300)의 상태정보나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조명유닛(300)과도 상기 이동통신망 또는 전선망을 통해 상기 조명유닛(300)의 위치정보, 상태정보를 수집하거나,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에서 제어신호를 수령하여 상기 조명유닛(300)을 직접 제어할 수도 있다.The
상기 이동통신 서버(100)는 상기 모바일단말기(200)와 상기 조명유닛(300)이 근거리 통신 연결되지 않거나, 상기 조명유닛(300)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의 제어신호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이를 보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If the
일반적으로 모바일 단말기(200)는 상기 이동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이동통신모듈(202)을 구비하는 경우가 많고, 상기 조명유닛(300)은 상기 이동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제2통신모듈(30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통신모듈(302)은 와이파이 등이 가능한 AP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In general, the
도 2와 도 3은 상기 단말기(200)와 상기 조명유닛(300)이 기본적인 구조를 도시한다.2 and 3 show the basic structure of the terminal 200 and the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기(200)는 상기 무선통신모듈(201)과 상기 근거리통신모듈(202)을 포함하고, 외부의 조도를 측정할 수 있는 조도센서(230)와, 상기 단말기(200)에 제어명령을 입력 명령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terminal 200 includes the
한편, 상기 단말기(200)는 상기 단말기(200)의 상태 및 상기 단말기(200)가 접속한 이동통신 서버(100)나 조명유닛(300)의 상태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220)와, 상기 구성들을 제어하는 단말제어부(M)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erminal 200 is a
상기 표시부(220)는 터치패널로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될 수 있다. The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조명유닛(300)는 빛을 발산하는 광원(320)과, 상기 제1통신모듈(301), 상기 제2통신모듈(302)을 포함할 수 있고, 외부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3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상기 광원(320)는 일반적인 전구로 구비되거나, LED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조명유닛(300)에 복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The
상기 조명유닛(300)는 상기 제1통신모듈(301)이나 상기 제2통신모듈(302)에서 입력된 제어명령이나, 상기 조도센서(330)에서 입력된 정보를 통해 상기 광원(300)을 제어할 수 있는 조명제어부(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조명제어부(340)는 상기 통신모듈과 조도센서(330)를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조명유닛(300)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의 조도센서에서 감지된 조도 정보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모듈을 통해 전송된 제어신호에 의하여 제어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 4, an embodiment in which the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조명유닛(300)은 각각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가 기준거리(L) 이내로 진입하여 상기 조명유닛(300)의 제1통신모듈(301)과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의 근거리통신모듈(201)이 상호 통신연결되면 상기 광원(320)을 점등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반대로, 상기 조명유닛(300)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가 기준거리(L) 밖으로 멀어져 상기 조명유닛의 제1통신모듈과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근거리통신모듈의 통신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광원을 소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On the contrary, when the
즉, 상기 조명유닛(300)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의 소지자가 기준거리(L)이내로 접근하면 자동으로 점등되거나 소등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이때, 상기 기준거리(L)는 상기 근거리통신모듈과 상기 제1통신모듈이 근거리 통신 연결될 수 있는 거리일 수 있다. 상기 모바일단말기(200)의 소지자가 상기 조명유닛(300)의 적외선 감지센서 등의 감지 거리보다 먼 거리에 있다고 하더라도 상기 기준거리(L) 이내에 있으면 상기 조명유닛(300)는 점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ference distance (L) may be a distance that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can be connected to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Even if the holder of the
이로써, 상기 모바일단말기(200)의 소지자가 상기 조명유닛(300) 바로 앞에 도달하지 않아도 미리 상기 조명유닛(300)이 점등되므로, 상기 모바일단말기(200)의 소지자의 시야가 확보하여 심리적 불안감을 최소화할 수 있고 방법기능이 강화될 수 있고, 모바일단말기 소지자가 상기 기준거리를 벗어나면 자동으로 소등되므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Thus, the
한편, 상기 모바일단말기(200)의 소지자는 상기 조명유닛(300)과 상기 모바일단말기(200)가 근거리 통신연결되더라도 상기 조명유닛(300)이 점등이 선택적으로 수행되도록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older of the
구체적으로, 상기 모바일단말기(200)의 소지자는 통신연결된 조명유닛(300)의 점등 및 소등 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holder of the
도 5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로 상기 조명유닛(300)의 점등/소등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아이콘(A)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FIG. 5 illustrates various embodiments of a control icon A capable of controlling the on / off of the
따라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가 기준거리(L) 이내로 진입하여 상기 조명유닛(300)의 제1통신모듈(301)과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의 근거리통신모듈(201)이 상호 통신연결되면, 상기 조명유닛(300)의 광원(320)을 점등하기 위한 제어신호 발생을 위한 제어 아이콘(A)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230)에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상기 모바일단말기(200)가 상기 조명유닛(300)과 근거리 통신 연결되면, 상기 모바일단말기(200)의 제어부가 이를 인식하여 상기 조명유닛(300)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아이콘(A)을 디스플레이부(230)에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또한, 상기 모바일단말기(200)가 상기 조명유닛(300)과 근거리 통신 연결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조도 정보에 의하여 제어아이콘(A)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고, 그 상태에서 제어아이콘(A)를 터치하는 경우, 통신 연결 시도 및 통신 연결 후 점등 제어신호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even when the
한편, 상기 조명유닛(300)이 상기 모바일단말기(200)와 근거리 통신 연결되면, 상기 조명유닛(300)이 고유의 IP 또는 인식주소와, 접근가능신호를 상기 모바일단말기(200)에 송부하여 상기 모바일단말기(2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도록 준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바일단말기(200)의 제어부는 상기 신호를 인지하여 기설정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통해 상기 제어아이콘(A)을 디스플레이부(230)에 표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어느 경우이든, 상기 제어아이콘(A)이 단말기 소지자에 의해 터치 입력(또는 슬라이드 터치)되면, 상기 모바일단말기(200)는 상기 조명유닛의 점등 제어신호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조명유닛(300)에 송신할 수 있고, 상기 조명유닛(300)의 제어부(340)는 상기 광원(320)을 제어할 수 있다.In any case, when the control icon A is touch input (or slide touch) by the terminal holder, the
도 5(a),(c),(e)는 모바일 단말기(200)의 초기상태로서 상기 조명유닛(300)과 통신연결되지 않았을 때 상태이다. 이 중 도 5(a),(c)는 잠금상태가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e)는 상기 단말기(200)의 잠금상태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5 (a), (c), (e) is an initial state of the
즉, 상기 모바일단말기(200)가 잠금상태가 해제된 경우는 물론, 상기 모바일단말기(200)가 잠금상태가 되어 있는 경우에도 상기 제어아이콘(A)은 화면 또는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될 수 있다. That is, the control icon A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r the
이로써, 소지자가 상기 광원(320)을 점등하거나 소등하기 위하여 상기 잠금상태를 번거롭게 해제할 필요가 없어 소지자의 편의성 및 안전성이 극대화 될 수 있다. As a result, the holder does not need to release the lock state in order to turn on or off the
도 5(b),(d),(f)는 상기 제어아이콘(A)이 화면(220)에 등장한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5B, 5D, and 5F illustrate various embodiments in which the control icon A appears on the
도 5(b)와 같이 상기 제어아이콘(A)은 화면(220)이 가압되면 입력되는 스위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소지자가 용이하고 쉽게 상기 조명유닛(300)의 광원(320)을 점등/ 소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s shown in FIG. 5B, the control icon A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witch input when the
한편, 도 5(d)와 같이 상기 제어아이콘(A)이 슬라이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임의로 상기 제어아이콘(A)이 가압되는 경우에는 상기 조명유닛(300)의 상기 광원(320)이 점등/소등되지 않으므로 소지자의 확실한 의사를 반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5 (d) the control icon (A) may be configured in a slide form. The embodiment has an advantage that when the control icon (A) is arbitrarily pressed, the
도 5(f)와 같이 상기 제어아이콘(A)는 잠금화면에서도 등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아이콘(A)은 패턴, 자판 등이 등장하는 부분이 아닌 여유 공간에 등장하여 소지자가 잠금을 해제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f), the control icon A may appear on the lock screen. At this time, the control icon (A) may appear in a free space rather than a portion in which a pattern, a keyboard, and the like appear, and may not prevent the holder from releasing the lock.
한편, 상기 모바일단말기(200)가 상기 조명유닛(300)의 기준거리(L) 이내에 있다고 하더라도, 낮과 같이 밝거나 시야가 확보된 경우에는 상기 조명유닛(300)이 점등할 필요가 없다.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나아가, 시야가 확보된 상태에서 상기 조명유닛(300)이 지속적으로 점등하거나, 소등한다면 전기에너지가 낭비될 뿐만 아니라 상기 조명유닛(300)의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다.Furthermore, if the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의 조도센서(230)에서 감지된 조도가 미리 결정된 크기의 조도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 아이콘(A)은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To prevent this, when the illuminance detected by the
조도센서(230)의 감지된 조도가 미리 결정된 크기보다 큰 경우에는 충분한 시야가 확보된 상황이므로 상기 제어아이콘(A)이 표시되는 것이 차단되어 원천적으로 소지자가 상기 조명유닛(300)을 점등시키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If the detected illuminance of the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에서 상기 제어아이콘(A)이 등장하였다고 하더라도, 상기 조도값이 미리 결정된 크기의 조도값보다 크다면 바로 화면(220)에서 사라질 수 있다. In addition, even if the control icon (A) appeared in the
나아가, 상기 조명유닛(300)은 자체적으로 조도 센서를 구비할 수 있고, 자체적인 조도 센서에서 측정된 조도가 미리 결정된 조도 이하라도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연결이 안된 경우에는 점등되지 않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조명유닛(300)은 상기 모바일단말기(200)이나 이동통신 서버(100)에서 전송된 조도값이나, 자체 조도센서(330)에서 측정된 조도값이 상기 미리결정된 크기의 조도보다 크다면 상기 광원(320)이 점등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도 6은 상기 조명유닛(300)이 노상(路上)에 설치되는 가로등으로 복수개 구비된 것을 도시한다. 상기 조명유닛(300)은 실내에 설치되는 경우 복도등 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6 shows that the
본 발명 조명유닛(300)이 복수개로서 노상에 배치된 경우에, 조명 시스템(1)을 활용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When the
상기 조명유닛(300)는 노상(路上)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되는 가로등 또는 복도등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조명유닛(300)는 상기 단말기(200)가 상기 노상을 따라 이동하면 순차적으로 점등하고 소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예를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명유닛(300)는 노상을 따라 제1조명유닛(301), 제2조명유닛(302), 제3조명유닛(303), 제4조명유닛(304), 제5조명유닛(305)를 포함할 수 있고, 모바일 단말기(200)를 소지한 보행자나 운행자는 상기 제1조명유닛(301)에서 상기 제5조명유닛(305)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the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는 제1조명유닛(301)와 상기 제2조명유닛(302)의 기준거리(L) 이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3 내지 제5조명유닛(303~305)는 기준거리(L) 밖에 위치하는 상황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a), the
이때, 상기 제1조명유닛(301)와 상기 제2조명유닛(302)는 자동으로 점등되거나,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에서 제어신호가 전송되면 점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도센서(230)로 감지된 조도값은 기준값 이하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도 6(b)와 도 6(c)를 참조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를 소지한 보행자나 운전자는 보행 또는 주행하는 것을 가정하면, 상기 제1조명유닛(301)의 광원(320)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 상기 기준거리(l) 이내에 있을 때 까지 점등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가 상기 기준거리(l)를 벗어나면 자동으로 소등된다. 6 (b) and 6 (c), assuming that a pedestrian or driver carrying the
또한, 상기 제3조명유닛(303)의 광원(320)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가 상기 기준거리(l) 이내에 진입하면 점등된다.In addition, the
도 6(d)를 참조하면, 상기 보행자나 운전자가 이동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는 제4조명유닛(304)의 기준거리(L)로 내에서 통신연결되고, 상기 제4조명유닛(304)는 점등되며, 상기 제2조명유닛(302)의 기준거리(L)에서 이탈되어 통신연결이 해제되어 상기 제2조명유닛(302)는 소등된다.Referring to FIG. 6 (d), when the pedestrian or the driver moves, the
이로써, 보행자나 운전자의 전방으로 순차적으로 상기 조명유닛(300)이 점등되고, 후방으로 순차적으로 소등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즉, 본 발명 조명 시스템(1)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 소지자가 노상 또는 복도를 따라 이동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근거리통신이 연결된 기준거리 내의 복수 개의 조명유닛(300)이 함께 점등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 소지자가 노상 또는 복도를 따라 이동하면, 이동 방향으로 기준거리 내로 접근하여 근거리통신이 연결되는 소등 상태의 조명유닛(300)이 점등하고,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기준거리 밖으로 벗어나는 근거리통신이 해제되는 점등 상태의 조명유닛(300)이 소등될 수 있다.That is, in the
복수 개의 모바일단말기 소지자의 이동방향으로 복수 개의 조명유닛이 함께 점등되도록 하여 모바일단말기 소지자의 시야 확보를 통해 불안감을 최소화하며 보행 또는 주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A plurality of lighting units are turned on together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mobile terminal holders, thereby minimizing anxiety and enabling walking or driving by securing a view of the mobile terminal holder.
도 7은 상기 조명유닛(300)이 실내등인 시스템을 도시한다.7 shows a system in which the
상기 조명유닛(300)은 건물 내에 배치되는 실내등을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 소지자가 상기 건물로 이동하여 기준거리(L) 이내로 접근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에 근거리통신이 연결된 기준거리 내의 조명유닛(300)이 점등될 수 있다. The
즉, 도 7(a)와 같이, 주택에서 기준거리(L)이외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가 위치하였다가, 도 7(b)와 같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가 상기 기준거리(L)이내로 진입하면 상기 주택의 조명유닛(300)는 전부 점등되거나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의 입력수단(A)의 입력에 의해 점등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7 (a), the
이로써, 보행자가 주택에 진입하지 않더라도 실내에 배치된 조명유닛(300)이 점등되어 안전하게 주택으로 진입할 수 있다.Thus, even if the pedestrian does not enter the house, the
한편, 전술한 바와 달리, 본 발명 조명 시스템(1)에서 상기 광원(300)이 점등되면 상기 점등된 광원을 구비한 조명유닛(300)과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가 기준거리 이상으로 이격 되더라도 상기 광원은 기준 시간동안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unlike the above, when the
이로써, 보행자 및 운전자의 안전을 더욱 보호할 수 있고, 뒤따라오는 보행자 및 운전자에게도 일정 시야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further protect the safety of the pedestrian and the driver, and to provide constant visibility information to the following pedestrian and the driver.
도 8은 이동통신 서버(100)를 통하여 상기 모바일단말기(200)가 상기 조명유닛(300)을 제어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8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도 8를 참조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는 무선통신모듈(202)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서버(100)에 위치정보를 실시간마다 또는 일정시간 마다 전송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예를들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가 상기 조명유닛(300)보다 기준거리(L) 이상으로 이격되어 있으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는 상기 이동통신 서버(100)에 제1위치정보(I)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 서버(100)는 상기 조명유닛(300)에 제2통신모듈(302)을 통해 제1위치정보(I)를 전달할 수도 있고, 상기 조명유닛(300)에 위치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대기할 수도 있다.For example, if the
한편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가 상기 조명유닛(300)에서 기준거리(L) 이내로 접근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는 상기 이동통신 서버(100)에 제2위치정보(II)를 전송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상기 이동통신 서버(100)는 상기 제2위처정보(II)를 수신하여 상기 조명유닛(300)에 상기 제2위치정보(II)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서버(100)는 상기 위치정보(II)를 통해 상기 단말기(200)가 상기 조명유닛(300)의 기준거리(L) 이내에 진입했다고 판단할 수도 있고, 상기 조명유닛(300)에 그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The
이때, 상기 조명유닛(300)는 상기 제2위치정보(II)가 수신되면, 상기 제2위치정보(II)가 상기 기준거리(L) 이내인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II is received, the
상기 제2위치정보(II)가 기준거리(L)이내인 경우에는 상기 광원(320)을 자동으로 점등하거나, 상기 광원(320)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서버(100)를 통해 상기 단말기(200)에 전달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II is within the reference distance L, the
이로써,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와 상기 조명유닛(300)이 근거리 통신방식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이 어렵거나, 기술적 요인에 의해 상기 근거리 통신방식으로는 충분한 기준거리(L)를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상기 조명유닛(300)는 상기 단말기(200)가 기준거리(L)에 진입하면 상기 광원(320)을 점등하거나, 상기 단말기(200)에 의해 점등이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ly, even when the
또한, 상기 이동통신 서버(100)는 상기 단말기(200)의 개수,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의 위치정보 및 상기 조명유닛(300)의 점등정보, 점등 빈도 등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IOT기술에 접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통신 이동통신 서버(100)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 사용자의 위치 및 이동경로를 정보를 수집하며, 기준거리(L) 내에서 근거리통신이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조명유닛(300) 중 소등된 조명유닛(300)을 점등하기 위한 점등 제어신호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obile communication
상기 기준거리(L) 내에서 근거리통신이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기준은 복수 개의 점등된 가로등 또는 복도등 사이에 소등된 가로등 또는 복도등이 존재하는지 여부일 수 있다.The criterion for determining that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is not connected within the reference distance L may be whether there is a lighted off street light or a corridor light between a plurality of lit street lights or corridor lights.
상기 이동통신 이동통신 서버(100)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 사용자의 위치 및 이동경로를 정보를 수집하며, 기준거리 밖의 점등된 가로등 또는 복도등을 소등하기 위한 소등 제어신호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The
도 9는 본 발명 조명 시스템(1)의 제어방법을 도시한다.9 shows a control method of the
본 발명 조명 시스템(1)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를 통해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 측정단계(A1)과,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 및 상기 조명유닛(300)의 근거리통신의 연결을 감지하는 통신연결 감지단계(A2)와, 상기 조도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조도가 미리 결정된 범위이고, 상기 통신연결 감지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와 적어도 하나의 조명유닛이 통신연결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조명유닛(300)을 제어하는 조명유닛 제어단계(A3)을 수행할 수 있다. The
상기 조명유닛 제어단계(A3)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에서 근거리통신으로 전송된 조도 정보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에서 전송된 제어 신호에서 의하여 상기 조명유닛(300)을 제어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The lighting unit control step (A3) means controlling the
상기 조명유닛 제어단계(A3)에서 조도가 미리 결정된 조도 이하인 경우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근거리통신으로 점등 제어신호가 전송된 경우, 상기 조명유닛(300)을 점등(A3-1)할 수 있다. In the lighting unit control step A3, when the illuminanc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illuminance or when a lighting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the
이때, 상기 조명유닛 제어단계(A3)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와 통신 연결된 복수 개의 조명유닛(300)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ighting unit control step A3 may simultaneously control a plurality of
상기 조명유닛 제어단계(A3)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 소지자가 이동하면, 이동 방향으로 근거리통신이 연결되는 소등 상태의 조명유닛(300)을 점등(A3-1)하고,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기준거리 밖으로 벗어나는 근거리통신이 해제되는 점등 상태의 조명유닛(300)을 소등(A3-2)할 수 있다. When the holder of the
나아가, 상기 조명유닛 제어단계(A3)에서 조명유닛(300)이 점등(A3-1)된 경우에 조도값이 미리 결정된 값을 넘어가거나, 통신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조명유닛(300)을 소등(A3-2) 할 수 있다. Furthermore, when the
상기 조명 시스템(1)은 상기 조명유닛 제어단계(S3)에서 상기 이동통신 이동통신 서버(100)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 사용자의 위치 및 이동경로를 정보를 수집하여, 기준거리 내에서 근거리통신이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조명유닛(300)을 점등하기 위한 점등 제어신호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The
이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서버(100)는 상기 조명유닛(300)의 점등/소등 제어를 보완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Through this, the
상기 이동통신 서버(100)는 상기 기준거리 내에서 근거리통신이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기준은 복수 개의 점등된 가로등 또는 복도등 사이에 소등된 가로등 또는 복도등이 존재하는지 여부일 수 있다. The criterion that the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set forth below. Could be done. Therefore, it should be seen that all modifications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basically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시스템
100 : 서버
200 : 단말기
300 : 조명유닛 1: system
100: server
200: terminal
300: lighting unit
Claims (19)
적어도 하나의 광원,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하기 위한 제1통신모듈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유닛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조도센서에서 감지된 조도 정보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모듈을 통해 전송된 제어신호에 의하여 제어되며,
상기 조명유닛은 각각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기준거리 이내로 진입하여 상기 조명유닛의 제1통신모듈과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근거리통신모듈이 상호 통신연결되면 상기 광원을 점등하거나 상기 조명유닛의 광원을 점등하기 위한 제어신호 발생을 위한 제어 아이콘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조명유닛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기준거리 밖으로 멀어져 상기 조명유닛의 제1통신모듈과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근거리통신모듈의 통신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광원을 소등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조도센서에서 감지된 조도가 미리 결정된 크기의 조도보다 큰 경우 상기 조명유닛은 상기 광원을 점등하지 않거나 상기 제어 아이콘은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지 않고
상기 제어 아이콘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잠금 상태인 경우에도 디스플레이부의 잠금화면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A mobile terminal having an illuminance sensor and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And,
And at least one lighting unit having at least one light source and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The lighting unit is controlled by the illumina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illumination sensor of the mobile terminal or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mobile terminal,
The light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turn on the light source or to turn on the light source of the lighting unit when the mobile terminal enters within a reference distance and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of the lighting unit and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mobile terminal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 control icon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is displayed on a display unit of the mobile terminal;
The lighting unit turns off the light sourc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separated from the reference distance and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of the lighting unit and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mobile terminal is released.
If the illuminance detected by the illuminance sensor of the mobile terminal is greater than the illuminance of a predetermined size, the lighting unit does not turn on the light source or the control icon is no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terminal.
And when the control ic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terminal, the lighting system is displayed on the lock screen of the display unit even when the mobile terminal is locked.
상기 조명유닛은 노상(路上)에 설치되는 가로등 또는 복도에 설치되는 복도등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 소지자가 노상 또는 복도를 따라 이동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근거리통신이 연결된 기준거리 내의 복수 개의 조명유닛이 함께 점등되거나, 복수 개의 상기 조명유닛의 광원을 점등하기 위한 제어신호 발생을 위한 제어 아이콘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The lighting unit is any one of a street lamp or a corridor installed in the corridor, and when the mobile terminal holder moves along the street or corridor, a plurality of lights within a reference distance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a control icon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lighting a unit or lighting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of the lighting unit, on a display unit of the mobile terminal.
상기 모바일 단말기 소지자가 노상 또는 복도를 따라 이동하면,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기준거리 밖으로 벗어나는 근거리통신이 해제되는 점등 상태의 조명유닛이 소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mobile terminal holder moves along the road or corridor, the lighting unit is turned off in the lighting unit in whic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which is out of the reference distance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moving direction is released.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이동통신망과 통신 가능한 이동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유닛은 상기 이동통신망과 통신 가능한 제2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조명 시스템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조명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신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 또는 상기 조명유닛의 위치정보 또는 상태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이동통신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 서버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 및 이동경로를 정보를 수집하며, 기준거리 내에서 근거리통신이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조명유닛 중 소등된 조명유닛을 점등하기 위한 점등 제어신호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The mobile terminal further comprises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lighting un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lighting system further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server for communicating with at least one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lighting unit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collect location information or status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or the lighting unit.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er collects information on the location and the movement path of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turn on a lighting control signal for lighting the lights out of the lighting unit is determined that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is not connected within the reference distance Light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rough the transmission.
상기 기준거리 내에서 근거리통신이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기준은 복수 개의 점등된 조명유닛 사이에 소등된 조명유닛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d a criterion for determining that short-range communication is not connected within the reference distance is based on whether there is a light unit that is extinguished between a plurality of lighted lighting units.
상기 이동통신 서버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 및 이동경로를 정보를 수집하며, 기준거리 밖의 통신연결이 해재된 점등된 조명유닛을 소등하기 위한 소등 제어신호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점등된 조명유닛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er collects information on the location and the movement path of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and transmits an unlit control signal for turning off the lit lighting unit that is disconnected from the communication distance outside the reference distance to the lit lighting unit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Light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 측정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조명유닛의 근거리통신의 연결을 감지하는 통신연결 감지단계;
상기 조도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조도가 미리 결정된 범위이고, 상기 통신연결 감지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적어도 하나의 조명유닛이 통신연결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조명유닛을 제어하는 조명유닛 제어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유닛 제어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조명유닛과 근거리 통신연결되면 광원을 점등하거나 상기 조명유닛의 광원을 점등하기 위한 제어신호 발생을 위한 제어 아이콘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조명유닛의 근거리 통신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광원을 소등 제어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조도센서에서 감지된 조도가 미리 결정된 크기의 조도보다 큰 경우 상기 조명유닛은 상기 광원을 점등하지 않거나 상기 제어 아이콘은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하며,
상기 조명유닛 제어단계가 제어 아이콘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잠금 상태인 경우에도 디스플레이부의 잠금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의 제어방법.
In a control method of a lighting system including a mobile terminal having an illumination sensor and a plurality of lighting units capable of short-range communication by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within a reference distance with the mobile terminal,
An illuminance measuring step of measuring illuminance through the mobile terminal;
A communication connection detecting step of detecting a connection between short-range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lighting unit;
And a lighting unit control step of controlling the lighting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lluminance measured in the illuminance measuring step is a predetermined range and the at least one lighting unit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in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detecting step. ,
In the lighting unit control step,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short-range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lighting unit, a control icon for turning on a light source 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lighting the light source of the lighting uni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lighting unit is released, the light source is turned off and controlled.
When the illuminance detected by the illuminance sensor of the mobile terminal is larger than the illuminance of a predetermined size, the lighting unit does not turn on the light source or controls the control icon not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terminal.
And when the lighting unit control step displays the control icon on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terminal, even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a locked stat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1228A KR102034351B1 (en) | 2017-10-27 | 2017-10-27 | Light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1228A KR102034351B1 (en) | 2017-10-27 | 2017-10-27 | Light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47385A KR20190047385A (en) | 2019-05-08 |
KR102034351B1 true KR102034351B1 (en) | 2019-11-08 |
Family
ID=66580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41228A Expired - Fee Related KR102034351B1 (en) | 2017-10-27 | 2017-10-27 | Light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34351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37563A (en) | 2022-09-15 | 2024-03-22 | 박영현 | Security light system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16146B1 (en) * | 2021-12-08 | 2024-10-11 | (주)와이제이네트웍 | smart security lamp unit |
KR102748345B1 (en) * | 2022-09-29 | 2024-12-31 | (주)제이지파워넷 | Service System for Controlling Traffic Safety using Mobile Phone |
KR102640111B1 (en) * | 2023-08-07 | 2024-02-23 | (주)알트온 | Street light control system based on pedestrian movement path tracking using smartphon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00209B1 (en) * | 2016-02-04 | 2017-01-26 | (주)이노비드 |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controlling street lighting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6186B1 (en) | 2010-08-16 | 2013-02-22 | 주식회사 신우테크 | System for controlling streetlight and remote controller thereof |
KR20150042023A (en) * | 2013-10-10 | 2015-04-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Lamp control system |
KR102640837B1 (en) * | 2016-03-24 | 2024-02-27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Lighting apparatus and lighting control method of the same |
-
2017
- 2017-10-27 KR KR1020170141228A patent/KR10203435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00209B1 (en) * | 2016-02-04 | 2017-01-26 | (주)이노비드 |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controlling street lighting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37563A (en) | 2022-09-15 | 2024-03-22 | 박영현 | Security light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47385A (en) | 2019-05-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34351B1 (en) | Light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 |
US8901846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zoned illumination | |
US9131547B2 (en) | Illumination device and illumination system | |
KR101059612B1 (en) | Fire emergency indication guidance system with LED emergency exit indicator using low power wireless sensor | |
KR101206042B1 (en) | In both directions to detect motion detection sensor | |
JP6655810B2 (en) | Lighting control system and lighting control device used therein | |
KR20090108979A (en) | Ubiquitous street light with environmental sensor | |
KR20130093385A (en) | Streetligh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150095226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Lighting Control by Group based on Wireless network | |
US10728987B1 (en) | Distributed occupancy-tracking lighting control system | |
US10634299B2 (en) | Motion sensor based lighting fixture operation | |
CN104272877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bugging a node of a network | |
KR101429123B1 (en) | sensor node, safety system of crossroad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20150068052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Lighting Control by Group based on Wireless network | |
KR20170010198A (en) | System for controlling street light | |
KR101361715B1 (en) | System capable of controlling security light | |
KR100986273B1 (en) | Energy Saving Lighting Control System | |
KR20130030925A (en) | Led lighting device group control dimming system with visible light wireless communication | |
KR101182728B1 (en) | Control system for tunnel light | |
KR101640895B1 (en) | Control method of street light | |
KR102340722B1 (en) | Control method of street light | |
KR101673799B1 (en) | Underground parking multiple illumination system | |
JP2002289370A (en) | Lighting system | |
KR101637564B1 (en) | Light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KR101692217B1 (en) | How to control the street ligh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AMND | Amendment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
|
AMND | Amendment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X0901 | Re-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2-rex-PX0901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X0701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4101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41015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