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22010B1 - Platform for totally maning a building and a facility based on iot,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Platform for totally maning a building and a facility based on iot,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2010B1
KR102022010B1 KR1020180025128A KR20180025128A KR102022010B1 KR 102022010 B1 KR102022010 B1 KR 102022010B1 KR 1020180025128 A KR1020180025128 A KR 1020180025128A KR 20180025128 A KR20180025128 A KR 20180025128A KR 102022010 B1 KR102022010 B1 KR 102022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ent
abnormal
sensor node
building
dat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51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도복환
Original Assignee
(주)디비넥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비넥스트 filed Critical (주)디비넥스트
Priority to KR1020180025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201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010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및 시설물 통합 관리 플랫폼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IOT(Internet Of Things)에 기반한 건물 및 시설물 통합 관리 플랫폼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건물 및 시설물 통합 관리 플랫폼 장치는 IOT 망을 통해 복수의 센서노드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및 상기 수집된 센싱 데이터를 세부 진단하는 세부 진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셍 데이터는 주제(Topic) 필드, 데이터(Data) 필드, 이벤트 코드(Event Code) 필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IOT 망에 속하는 복수의 센서노드를 활용하여 건물 및 시설물을 설비, 환경 등의 관점에서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ding and facilities integrated management platform device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ilding and facilities integrated management platform device and method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IOT). An IOT based building and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platform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ata collector for collecting sensing data from a plurality of sensor nodes through the IOT network; And a detailed diagnosis unit for detailed diagnosis of the collected sensing data, wherein the sensed data includes a topic field, a data field, and an event code field. The present invention can collectively manage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erms of facilities, environment, etc. by utilizing a plurality of sensor nodes belonging to the IOT network.

Description

IOT 기반 건물 및 시설물 통합 관리 플랫폼 장치 및 그 방법{PLATFORM FOR TOTALLY MANING A BUILDING AND A FACILITY BASED ON IOT, METHOD OF THE SAME}IOT-based building and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platform device and method thereof {PLATFORM FOR TOTALLY MANING A BUILDING AND A FACILITY BASED ON IOT,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건물 및 시설물 통합 관리 플랫폼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IOT(Internet Of Things)에 기반한 건물 및 시설물 통합 관리 플랫폼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ding and facilities integrated management platform device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ilding and facilities integrated management platform device and method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IOT).

건물관리는 건물 안의 공기 순환, 화재의 방지, 난방시설, 위생, 조명 등 전체 건물을 구성하고 있는 설비들을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건물 관리 업무를 맡은 사람을 건물관리인이라고 하며, 이들은 위탁이나 청부의 방식을 통해 건물 관리 업무를 맡게 된다. Building management means comprehensive management of the facilities that make up the entire building, including air circulation, fire prevention, heating, sanitation, and lighting. The person who takes charge of the building management is called the building manager, who takes charge of the building management by referral or contract.

건물관리인은 일별 건물 관리 업무 내용을 상세하게 기록한 표형식의 문서를 사용해 관리 항목을 확인하고 기록하는 형태로 건물 관리를 한다. The building manager shall manage the building in the form of identifying and recording the management items using tabular documents detailing the contents of the daily building management work.

건물 자동 관리 관련한 선행기술은 다음과 같다. Prior art related to automatic building management is as follows.

도 1을 참조하면, 한국등록특허 제1018298230000호는 냉난방설비, 환기설비 또는 전기설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에너지 사용정보를 검침하는 원격 검침부(350); 건물내외부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를 활용해 다수의 출입문을 왕래하는 사람들의 출입 여부, 잔존 인원정보, 실내 온도정보 및 실내 습도정보를 포함하는 실내환경정보를 수집하는 실내환경정보 수집부(300); 및 건물내 잔존 인원정보를 토대로 실내에 현재 머물고 있는 잔존인원을 확정하며, 잔존인원을 미리 설정된 룩업테이블에 대입하여 잔존인원 대비 그에 상응하는 실내 각각에 설치된 냉난방설비의 적정 냉난방 온도, 환기설비의 정적 환기 감도, 및 조명설비의 조명 감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 제어하는 건물관리 자동화 제어 서버(200);를 포함하는 건물관리자동화시스템을 개시한다. Referring to FIG. 1, Korean Patent No. 1018298230000 includes a remote meter 350 that reads energy usage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heating and cooling equipment, ventilation equipment, and electrical equipment; An indoor environmen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300) for collecting indoor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ing access status, remaining personnel information, indoor temperature information, and indoor humidity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door users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the building; And determine the number of people currently staying indoors based on the remaining personnel in the building, assigning the remaining people to a preset lookup table, and adjusting the appropriate cooling / heating temperature of the air-conditioning equipment installed in each room to the remaining ones, Disclosed is a building management automation system, including; a building management automation control server (200) for controlling and controlling at least one of ventilation sensitivity and lighting sensitivity of a lighting facility.

건물 통합 관리 시스템의 경우, 실시간 건물의 내부 상태를 관리하는 것도 중요하나 건물의 운행을 제공하는 시설물(공조시스템, 수도시스템 등)의 상태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 즉, 건물은 유지/보수/안전 등의 관점에서 통합관리 될 필요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298230000호는 다양한 센싱 데이터에 기반하여 건물을 관리하는 사항을 개시하고 있으나 그 관리 범위가 실내 환경 제어에 그친다. 즉, 건물을 통합 관리한다는 관점에서 한국등록특허 제1018298230000호가 제안하는 해결책은 매우 국소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In the case of the integrat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it is important to manage the internal condition of the building in real time, but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 status of the facilities (air conditioning system, water system, etc.) providing the operation of the building. In other words, the building needs to be integrated in terms of maintenance, repair, and safety. Korean Patent No. 1018298230000 discloses a matter of managing a building based on various sensing data, but its management scope is limited to indoor environment control. That is, the solution proposed by Korean Patent No. 1018298230000 is very local from the viewpoint of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building.

도 2를 참조하면, 한국등록특허 제1012336890000호는 웹 기반의 통합 건물 관리 서버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통합 건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를 통해 관리자 또는 임대인 인증을 위한 로그인 화면을 제공하고, 관리자 또는 임대인으로 인증된 경우 웹 사이트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관리 항목을 포함하는 관리 화면을 표시하고, 관리 화면을 통해 관리 항목에 대한 선택 신호 및 처리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대응되는 출력 화면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0), 임대 정보를 관리하는 임대 정보 관리부(121), 건물 내 시설물을 관리하는 시설물 관리부(122), 임대료, 관리비, 시설물 사용료 또는 인건비 중 적어도 하나를 관리하는 비용 관리부(123), 건물 내 출입을 관리하는 출입 관리부(124) 중 적어도 하나의 관리부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관리부에서 건물과 관련된 정보를 관리하는 통합 건물 관리 모듈(12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로 입력된 관리 항목 선택 신호에 따라 통합 건물 관리 모듈(120)에 포함되는 관리부 중 대응되는 관리부와 연결하여 처리 요청 신호를 전달하고 처리 요청 신호에 대응되는 출력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되, 임대 정보 관리부(121)는 건물에 대한 임대 현황 또는 임대료 정보를 부동산 중개 서버와 연동하여 제공하고, 시설물 관리부(122)는 건물 내 시설물의 상태를 센싱하는 다수의 센서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시설물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여 제공하고, 비용 관리부(123)는 금융 기관 서버와 연동하여 입출금 현황을 실시간 전송받아 비용 처리 현황을 제공하고, 출입 관리부(124)는 출입구에 설치된 보안 카드 또는 보안 카메라와 연동하여 출입 정보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 통합건물관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Referring to FIG. 2, Korean Patent No. 1012336890000 relates to a web-based integrated building management server and system, and provides a login screen for an administrator or a landlord authentication through a web site providing an integrated building management service. Or a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a management screen including at least one management item through a web site when the landlord is authenticated, and a corresponding output screen when a selection signal and a processing request signal for the management item are input through the management screen. (110), the rent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21 for managing the rental information, the facility management unit 122 for managing the facilities in the building, the cost management unit 123 for managing at least one of the rent, management fee, facility usage fee or labor costs, in the building At least one management unit including at least one management unit of the access management unit 124 for managing access; In the integrated building management module 120 for manag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building, and in response to the management item selection signal input to the user interface 110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unit of the management unit included in the integrated building management module 120 for processing And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o display the output screen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signal and to process the request signal. The rent information manager 121 provides the rent status or the rent information for the building in association with the real estate brokerage server, and the facility. The management unit 122 analyzes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a plurality of sensors for sensing the state of the facility in the building to determine and provide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facility, and the cost management unit 123 is linked with the financial institution server in real-time transmission and withdrawal status Receive and provide the status of cost processing, and the access management unit 124 is interlocked with the security card or security camera installed in the doorway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web-based integrat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by managing access information.

건물을 통합 관리하는 경우, 건물 내부에서 수집되는 센싱 데이터의 개수 및 종류는 매우 방대할 수 있다. 다만, 한국등록특허 제1012336890000호는 건물을 통합 관리는 범주는 넓으나, 센서 네트워크 상에서 그 방대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는 제시하고 있지 못하다. In the case of integrated management of buildings, the number and type of sensing data collected inside a building can be very large. However, Korean Patent No. 1012336890000 has a wide range of integrated management of a building, but does not suggest a method for processing the vast amount of data on a sensor network.

한국등록특허 제1018298230000호(공고일: 2018.02.19)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8298230000 (Notice: 2018.02.19) 한국등록특허 제1012336890000호(공고일: 2013.02.15)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2336890000 (Notice: 2013.02.15)

본 발명은 IOT에 기반하여 건물 및 시설물을 설비, 환경 등의 관점에서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통합 관리 플랫폼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grated management platform device and method that can integrally manage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erms of facilities, environments, and the like based on the IOT.

그리고, 본 발명은 방대한 센서를 수용하는 IOT 망에서 센싱 데이터를 원할하게 처리할 수 있는 통합 관리 플랫폼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grated management platform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smoothly processing sensing data in an IOT network that accommodates a large number of sensors.

또한, 본 발명은 센싱 데이터를 사용해 이상 징후를 예측하여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통합 관리 플랫폼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grated management platform device and method that can prevent an accident in advance by using the sensing data to predict abnormal symptom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건물 및 시설물 통합 관리 플랫폼 장치는 IOT 망을 통해 복수의 센서노드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및 상기 수집된 센싱 데이터를 세부 진단하는 세부 진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셍 데이터는 주제(Topic) 필드, 데이터(Data) 필드, 이벤트 코드(Event Code) 필드를 포함한다. An IOT based building and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platform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ata collector for collecting sensing data from a plurality of sensor nodes through the IOT network; And a detailed diagnosis unit for detailed diagnosis of the collected sensing data, wherein the sensed data includes a topic field, a data field, and an event code field.

여기서, 상기 이벤트 코드 필드는 상기 센서노드의 간이 진단 결과에 따른 정상 이벤트, 이상 징후 이벤트, 이상 이벤트, 긴급 이벤트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event code field may include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normal event, an abnormal symptom event, an abnormal event, or an emergency event according to a simple diagnosis result of the sensor node.

그리고,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센서노드로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이벤트 코드가 정상 이벤트를 지시하는 경우 제 1 주기에 따라 상기 센서노드에 센싱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이벤트 코드가 이상 징후 이벤트, 이상 이벤트 및 긴급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면 제 2 주기에 따라 상기 센서노드에 센싱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제 2 주기는 상기 제 1 주기 보다 빠를 수 있다. The data collector requests data from the sensor nod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eriod, and if the event code indicates a normal event, requests the sensing data from the sensor node according to a first period, and the event code is abnormal. When indicating at least one of a symptom event, an abnormal event, and an emergency event, sensing data may be requested to the sensor node according to a second period, and the second period may be faster than the first period.

또한, 상기 세부 진단부는 상기 이상 징후 이벤트에 대응한 센싱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누적하면서 상기 누적된 데이터를 사용해 세부 진단을 수행하며, 상기 세부 진단부는 상기 세부 진단을 통해 이상 징후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 이상 이벤트가 발생하기 전 기 설정된 시점에서 이상 이벤트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The detailed diagnosis unit continuously accumulates sens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abnormal symptom event and performs detailed diagnosis using the accumulated data, and the detailed diagnosis unit analyzes the abnormal symptom pattern through the detailed diagnosis and analyzes the result. An alarm can be provided if an abnormal event is expected to occur at a preset time before the abnormal event occurs.

또한, 상기 세부 진단부는 진단 항목 별 이상 징후 예측 엔진을 탑재할 수 있다. The detailed diagnosis unit may include an abnormal symptom prediction engine for each diagnostic item.

또한,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플랫폼 장치의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부는 설정자가 장비 종류, 설치 위치, 장비 관리 번호를 선택하면 그 정보를 만족하는 장비 관련 진단 항목 및 상기 진단 항목에 대응한 센서 주소 입력창을 제공할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etting unit that provides an interface for setting the platform device through the interface unit, wherein the setting unit selects a device type, an installation position, and a device management number to satisfy the information. A sensor address input window corresponding to the item may be provided.

또한, 이상 이벤트, 긴급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및 세부 진단 결과 이상 이벤트 발생이 예상되는 경우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운영자 단말기에 알람을 제공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larm unit may further include an alarm unit configured to provide an alarm to an operator terminal when one of an abnormal event, an emergency event occurs, and a detailed diagnosis result occurs when an abnormal event occurs.

또한, 상기 센서노드는 플러그 앤 플러그 타입으로 설치되는 센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nsor node may include a sensor module installed in a plug and plug type.

또한, 상기 센서노드는 센싱값이 기 설정된 제 1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정상 이벤트로 판정하고 기 설정된 제 2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이상징후 이벤트로 판단하고 기 설정된 제 3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이상 이벤트로 판단하고 기 설정된 제 4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긴급 이벤트로 판단하는 간이 진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or node may be determined to be a normal event when the sensing value falls within the preset first range, and may be determined to be an abnormal symptom event when it corresponds to the preset second range, and may be an abnormal event when it corresponds to the preset third range.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imple diagnosis unit that determines and determines that the emergency event corresponds to the preset fourth range.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IOT 기반 건물 및 시설물 통합 관리 방법은 데이터 수집부가 IOT 망을 통해 복수의 센서노드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및 세부 진단부가 상기 수집된 센싱 데이터를 세부 진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센셍 데이터는 주제(Topic) 필드, 데이터(Data) 필드, 이벤트 코드(Event Code) 필드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integrating and managing an IOT-based building and facilities, comprising: collecting, by a data collector, sensing data from a plurality of sensor nodes through an IOT network; And a detailed diagnosis unit for diagnosing the collected sensing data in detail, wherein the sensed data includes a topic field, a data field, and an event code field.

본 발명은 IOT 망에 속하는 복수의 센서노드를 활용하여 건물 및 시설물을 설비, 환경 등의 관점에서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collectively manage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erms of facilities, environment, etc. by utilizing a plurality of sensor nodes belonging to the IOT network.

그리고, 본 발명은 이상 이벤트 종류에 따라 센싱 데이터 수집 주기를 달리하는 것에 의해 방대한 센서를 수용하는 IOT 망에서 센싱 데이터를 원할하게 처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moothly process the sensing data in the IOT network that accommodates a large number of sensors by varying the sensing data collection cycle according to the abnormal event type.

또한, 본 발명은 이상 이벤트 발생 전이라도 이상 징후 이벤트에 대응한 센싱 데이터를 사용해 이상 징후를 예측하여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accident in advance by using the sens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abnormal symptom event even before the abnormal event occurs.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건물관리자동화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웹 기반 통합건물관리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건물 및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센서노드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3의 센서노드가 플랫폼 장치로 전송하는 패킷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5에서 Topic Field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서 Event Code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의 플랫폼 장치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9a 및 도 9b는 설정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다른 IOT 기반 건물 및 시설물 관리 방법에 대한 플로우차트이다.
1 shows a building management auto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shows a web-based integrat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OT based building and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sensor node of FIG. 3.
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acket transmitted by the sensor node of FIG. 3 to the platform device.
FIG. 6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topic field in FIG. 5.
FIG. 7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event code in FIG. 5.
8 illustrate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platform device of FIG. 3.
9A and 9B show examples of setting screens.
10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managing IOT-based buildings and facilitie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describing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ele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The term and / 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or any item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Should be.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건물 및 시설물 통합 관리 플랫폼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종래 주지된 사항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단히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건물 및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센서노드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3의 센서노드가 플랫폼 장치로 전송하는 패킷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5에서 Topic Field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서 Event Code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의 플랫폼 장치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9a 및 도 9b는 설정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다. Hereinafter, an IOT-based building and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platform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9. In order to mak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ear, the description of the well-known matter is omitted or simplified.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OT based building and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sensor node of FIG. 3. 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acket transmitted by the sensor node of FIG. 3 to the platform device. FIG. 6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topic field in FIG. 5. FIG. 7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event code in FIG. 5. 8 illustrate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platform device of FIG. 3. 9A and 9B show examples of setting screens.

도 3을 참조하면, IOT 기반 건물 및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은 관리 대상 공간(1)의 복수의 공간에 설치되는 복수의 센서노드(100), IOT 망(200), 플랫폼 장치(300), 통신망(400), 단말기(50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IOT-based building and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 nodes 100, IOT networks 200, platform devices 300, and communication network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spaces of a management target space 1. 400, the terminal 500 may be included.

관리 대상 공간(1)은 건축물 또는 시설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관리 대상 공간을 한정하지 않는다. The space to be managed 1 may be a building or a facility.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limit the space to be managed.

복수의 센서노드(100)는 적어도 2개의 그룹(G1, G2, G3)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센서노드 그룹(G1)은 건물의 공조, 수도 등과 같은 기반 시설을 이루는 장치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센서노드일 수 있다. 그리고, 제 2 센서노드 그룹(G2)은 건물 내 환경 상태(예를 들어, 온도, 습도 등과 같은 공기질)일 수 있다. 그리고, 제 3 센서 그룹(G3)은 건물 내 발생할 수 있는 사고(예를 들어, 화재)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센서 노드 일 수 있다. The plurality of sensor nodes 100 may be divided into at least two groups G1, G2, and G3. Here, the first sensor node group G1 may be a sensor node for monitoring a state of a device forming an infrastructure such as air conditioning and water supply of a building. The second sensor node group G2 may be an environmental condition (for example, air quality such as temperature or humidity) in the building. In addition, the third sensor group G3 may be a sensor node for monitoring an accident (for example, a fire) that may occur in a building.

IOT 망(200)은 현재 상용화된 표준 프로토콜에 따를 수 있다. 예를 들어, MQTT 표준이 IOT 망에 적용될 수 있다. MQTT 표준은 CoAP와 유사하게 모바일 기기나 낮은 대역폭의 소형 디바이스들에 최적화된 메시징 프로토콜이다. MQTT 표준은 느리고 품질이 낮은 네트워크에서도 메시지를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MQTT 표준은 프로토콜이 차지하는 여러 관점의 리소스가 최소화 되었으며 특히 저전력에 방점을 두었다. 가장 작은 메시지는 2byte까지 가능하다. MQTT 표준은 Publish/Subscribe 형태를 취하여 세 가지의 QoS(Quality of Service)레벨을 제공한다. MQTT 표준은 소형 디바이스에 최적화되고 저전력에 방점을 둔 표준으로 건물 내 매우 다양한 인자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센서로 적합할 수 있다. The IOT network 200 may be in accordance with current standard protocols. For example, the MQTT standard can be applied to IOT networks. The MQTT standard is a messaging protocol optimized for mobile devices or small devices with low bandwidth, similar to CoAP. The MQTT standard is designed to reliably send messages over slow, low-quality networks. The MQTT standard has minimized the resources of many aspects of the protocol, with a particular focus on low power. The smallest message can be up to 2 bytes. The MQTT standard takes the form of Publish / Subscribe and provides three Quality of Service (QoS) levels. The MQTT standard is optimized for small devices and focuses on low power, making it an ideal sensor for monitoring a wide variety of factors in buildings.

도 4를 참조하면, 센서노드(100)는 센서모듈(110), 설정부(120), 인터페이스부(130), 데이터수집부(140), 간이지단부(150), 통신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sensor node 100 includes a sensor module 110, a setting unit 120, an interface unit 130, a data collecting unit 140, a simple end 150, and a communication unit 160. can do.

센서모듈(110)은 센싱 인자를 센싱하고 센싱된 결과에 대한 전기적인 신호를 데이터수집부(140)에 제공할 수 있다. 센서모듈(110)은 센싱 인자에 따라 다양한 센서모듈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모듈(110)은 압력센서, 화재감지센서, 진동센서 등일 수 있다. 센서모듈(110)은 플러그 앤 플러그 타입으로 센서노드(100)에 장착될 수 있다. 센서모듈(110)은 센서노드(100)에 탑재될 때 센서모듈(110)의 식별정도, 전원타입, 센서인터페이스 타입, 센서 디바이스 드라이버 등의 설정 정보를 설정부(120)에 제공할 수 있다. 설정 정보를 수신한 설정부(120)는 센서모듈(110)과 호환이 가능하도록 센서노드(100)를 설정할 수 있다. 플러그 앤 플러그 타입의 센서노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03615호의 방식에 의할 수 있다. The sensor module 110 may sense a sensing factor and provide an electrical signal for the sensed result to the data collector 140. The sensor module 110 may select any one of various sensor modules according to a sensing factor. For example, the sensor module 110 may be a pressure sensor, a fire detection sensor, a vibration sensor, or the like. The sensor module 110 may be mounted on the sensor node 100 in a plug and plug type. When mounted on the sensor node 100, the sensor module 110 may provide the setting unit 120 with setting information such as an identification degree, a power supply type, a sensor interface type, a sensor device driver, and the like of the sensor module 110. The setting unit 120 receiving the setting information may set the sensor node 100 to be compatible with the sensor module 110. The sensor node of the plug and plug type may be based on the method of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03615.

인터페이스부(130)는 전원포트, 데이터포트 등을 가지며 다양한 센서모듈(110)이 탈착 가능하도록 포트를 구비할 수 있고, 센서노드(100)와 센서모듈(110) 간의 인터페이싱을 제공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130 may have a power port, a data port, and the like, and may include a port for detachable various sensor modules 110, and may provide an interface between the sensor node 100 and the sensor module 110.

데이터수집부(140)는 센서모듈(110)에 센싱데이터를 요청하고 이를 수신할 수 있다. The data collector 140 may request sensing data from the sensor module 110 and receive the data.

간이진단부(150)는 기 설정된 방식에 따라 센싱 데이터를 진단할 수 있다. 간이진단부(150)는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센싱값을 진단할 수 있다. 간이진단부(150)는 센싱값이 기 설정된 제 1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정상 이벤트로 판정하고 기 설정된 제 2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이상징후 이벤트로 판단하고 기 설정된 제 3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이상 이벤트로 판단하고 기 설정된 제 4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긴급 이벤트로 판단할 수 있다. 간이 진단부(150)는 이상 징후 판단 결과에 따라 플랫폼 장치(300)에 보내는 데이터를 달리할 수 있다. The simple diagnosis unit 150 may diagnose the sensing data according to a preset method. The simple diagnosis unit 150 may diagnose a sensing value according to a preset condition. The simple diagnosis unit 150 determines that the sensing value corresponds to a normal event when the sensing value falls within the preset first range, and determines that the abnormal symptom event occurs when the sensing value falls within the preset second rang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rresponding to the fourth range is set as an emergency event. The simple diagnosis unit 150 may change data sent to the platform device 300 according to the abnormal symptom determination result.

도 5를 참조하면, 센서노드(100)가 플랫폼 장치(300)에 보내는 센싱 데이터 패킷은 PublisherAddress, SubscriberAddress, 주제(Topic) 필드, 데이터(Data) 필드, 이벤트 코드(Event Code) 필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sensing data packet sent by the sensor node 100 to the platform device 300 may include a PublisherAddress, a SubscriberAddress, a Topic field, a Data field, an Event Code field, and the like. Can be.

PublisherAddress는 센서 노드의 주소이고, SubscriberAddress는 플랫폼 장치의 주소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Topic는 센싱 인자 식별정보이고 이 식별정보는 모니터링 대상 그룹 정보(예를 들어, 장치, 환경), 모니터링 대상(예를 들어, 펌프, 화재 등), 센싱 파라미터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Event Code는 정상, 이상 징후, 이상, 긴급 각각에 대한 식별코드일 수 있다. 통신부(160)는 플랫폼 장치(300)와 센서노드(100) 간의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PublisherAddress may be an address of a sensor node, and SubscriberAddress may be an address of a platform device. Referring to FIG. 6, Topic is sensing fac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monitoring target group information (eg, device, environment), monitoring target (eg, pump, fire, etc.), sensing parameters, and the like. It may include. Referring to FIG. 7, the event code may be an identification code for each of normal, abnormal signs, abnormalities, and emergency. The communicator 160 may provide communication between the platform device 300 and the sensor node 100.

플랫폼 장치(300)는 데이터 수집부(310), 세부진단부(320), 설정부(330), 인터페이스(340), 알람부(350), 통신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latform device 300 may include a data collector 310, a detailed diagnosis unit 320, a setting unit 330, an interface 340, an alarm unit 350, and a communication unit 360.

데이터 수집부(310)는 센서노드(100)에 데이터를 요청하고, 센서노드(200)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부(310)는 원칙적으로 제 1 주기에 따라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부(310)는 센싱 데이터 패킷에서 이벤트 코드에 의해 구분되는 이벤트가 정상 이벤트인 경우 제 1 주기에 따라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데이터 수집부(310)는 이벤트 코드에 의해 구분되는 이벤트가 이상징후 이벤트, 이상 이벤트, 긴급 이벤트인 경우 제 2 주기에 따라 센싱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주기는 제 1 주기 보다 빠른 주기일 수 있다. The data collector 310 may request data from the sensor node 100 and collect data provided by the sensor node 200. The data collector 310 may request data according to the first period in principle. The data collector 310 may request data according to the first period when the event classified by the event code in the sensing data packet is a normal event. In contrast, when the event classified by the event code is an abnormal symptom event, an abnormal event, or an emergency event, the data collector 310 may request sensing data according to a second cycle. Here, the second period may be a faster period than the first period.

세부 진단부(310)는 이상징후 이벤트, 이상 이벤트, 긴급 이벤트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누적하고 분석할 수 있다. 세부 진단부(310)는 누적되는 이상 징후 이벤트에 대응한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에 의해 이상 징후 패턴을 분석하고 이상 이벤트가 발생하기 전 기 설정된 시점에서 이상 이벤트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세부 진단부(310)는 진단 항목 별 이상 징후 예측 엔진을 탑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부 진단부(310)는 화재 징후 예측 알고리즘, 펌프 진동 이상 징후 예측 엔진 등을 탑재할 수 있다. 세부 진단부(310)는 이상징후 이벤트, 이상 이벤트, 긴급 이벤트가 종료된 것으로 판정되면 세부 진단을 중단할 수 있다. The detailed diagnosis unit 310 may continuously accumulate and analyze data corresponding to an abnormal symptom event, an abnormal event, or an emergency event. The detailed diagnosis unit 310 may analyze an abnormal symptom pattern by analyzing data corresponding to a cumulative abnormal symptom event and provide an alarm when an abnormal event is expected to occur at a predetermined time point before the abnormal event occurs. have. The detailed diagnosis unit 310 may mount an abnormal symptom prediction engine for each diagnostic item. For example, the detailed diagnosis unit 310 may include a fire sign prediction algorithm, a pump vibration abnormality sign prediction engine, and the like. The detailed diagnosis unit 310 may stop the detailed diagnos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bnormal symptom event, the abnormal event, and the emergency event are finished.

설정부(330)는 인터페이스부(340)를 통해 플랫폼 장치(300)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설정부(330)는 설정자가 장비 종류, 설치 위치, 장비 관리 번호를 선택하면 그 정보를 만족하는 장비 관련 진단 항목 및 진단 항목에 대응한 센서 주소 입력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설정자는 해당 진단 항목 별로 센서 어드레스(Publisher Address)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 간이하게 설정을 완료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설정자가 설정 위치 및 환경 관리 번호를 선택하면 설정부(330)는 진단 항목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설정자는 해당 진단 항목 별로 센서 어드레스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 설정이 완료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플랫폼 장치는 각각의 모니터링 대상 별 정보 및 세부 진단 항목 정보를 규격화하여 저장할 수 있고 시스템 설계자는 각각의 모니터링 대상 및 세부 진단 항목에 따라 센서를 설치할 수 있다. The setting unit 330 may provide an interface for setting the platform device 300 through the interface unit 340. Referring to FIG. 9A, when the setter selects a device type, an installation location, and a device management number, the setting unit 330 may provide a device-related diagnosis item and a sensor address input window corresponding to the diagnosis item that satisfy the information. . In this case, the setter may simply complete the setting by inputting a sensor address for each diagnostic item. Referring to FIG. 9B, when the setter selects a setting position and an environment management number, the setting unit 330 may provide a diagnostic item. In this case, the setting may be completed by inputting a sensor address for each diagnostic item. To this end, the platform device can standardize and store each monitoring target information and detailed diagnosis item information, and the system designer can install a sensor according to each monitoring target and detailed diagnosis item.

알람부(350)는 이상, 긴급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및 세부 진단 결과 이상 이벤트 발생이 예상되는 경우에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알람부(350)는 통신망(400)을 통해 운영자 단말기(500)로도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망(400)는 이동통신망, 인터넷 망 등일 수 있고, 운영자 단말기(500)는 테블릿 PC, 스마트폰 등일 수 있다. The alarm unit 350 may provide an alarm when an abnormality, an emergency event occurs, and when an abnormal event occurrence is expected as a detailed diagnosis result. In this case, the alarm unit 350 may also provide an alarm to the operator terminal 5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400. Here, the communication network 400 may be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 internet network, and the like, and the operator terminal 500 may be a tablet PC, a smartphone, or the like.

통신부(360)는 플랫폼 장치(300)와 센서노드(100) 간에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The communicator 360 may provide communication between the platform device 300 and the sensor node 100.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다른 IOT 기반 건물 및 시설물 관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다른 IOT 기반 건물 및 시설물 관리 방법에 대한 플로우차트이다. 아래의 사항에 의해 앞서 본 구성이 보다 명확해질 수 있다. Hereinafter, an IOT-based building and facility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10. 10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managing IOT-based buildings and facilitie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configuration can be made clearer by the following matters.

도 10을 참조하면, 센서 노드(100)가 센싱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S101). 그리고, 센서 노드(100)는 해당 센싱 데이터를 간이 진단할 수 있다(S102). Referring to FIG. 10, the sensor node 100 may acquire sensing data (S101). In addition, the sensor node 100 may easily diagnose the corresponding sensing data (S102).

그리고, 플랫폼 장치(300)가 센싱 데이터를 요청하면, 센서 노드(100)는 플랫폼 장치(300)로 센싱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103, S104). When the platform device 300 requests the sensing data, the sensor node 100 may transmit the sensing data to the platform device 300 (S103 and S104).

이때, 플랫폼 장치(300)는 Event Code 필드값을 사용해 이벤트의 종류를 판정할 수 있다(S105). S105에서 정상 이벤트 인 것으로 판정되면, 플랫폼 장치(300)는 기본 모드에서 센서 노드(100)에 센싱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S106). 이때, 플랫폼 장치(300)는 제 1 주기로 센싱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이와 달리, S105에서 이상 징후, 이상, 긴급 이벤트인 것으로 판정되면 플랫폼 장치(300)는 이상 징후, 이상, 긴급 이벤트에 대응한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누적하면서 누적된 데이터를 사용해 세부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S107). 플랫폼 장치(200)는 이상 징후, 이상, 긴급 이벤트의 종료 여부를 판단하고(S108) 이상 징후, 이상, 긴급 이벤트가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기본 모드로 복귀하고, 이상 징후, 이상, 긴급 이벤트 이벤트가 종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세부 진단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플랫폼 장치(200)는 이상 징후, 이상, 긴급 이벤트가 유지되는 동안 제 2 주기(제 1 주기 보다 빠른 주기)로 센싱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latform device 300 may determine the type of event using the Event Code field value (S105).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05 that the event is a normal event, the platform device 300 may request the sensing data from the sensor node 100 in the basic mode (S106). In this case, the platform device 300 may request sensing data at a first cycle. On the contrary, if it is determined in S105 that it is an abnormal symptom, abnormality, or emergency event, the platform device 300 may perform detailed diagnosis using the accumulated data while continuously accumulat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abnormal symptom, abnormality, or emergency event. (S107). The platform device 200 determines whether the abnormal signs, abnormalities, emergency events are terminated (S108),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bnormal signs, abnormalities, emergency events are terminated, the platform device 200 returns to the basic mode, and the abnormal signs, abnormalities, emergency event events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ot terminated, the detailed diagnostic mode can be maintained. In this case, the platform device 200 may request sensing data at a second period (a faster period than the first period) while the abnormal indication, the abnormality, and the emergency event are maintained.

S108에서 이상 징후, 이상, 긴급 이벤트가 종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이상 징후 예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09). S109에서 플랫폼 장치(300)는 누적되는 이상 징후 이벤트에 대응한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에 의해 이상 징후 패턴을 분석하고 이상 이벤트가 발생하기 전 기 설정된 시점에서 이상 이벤트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S109, S110).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08 that the abnormal symptoms, abnormalities, emergency events are not finished,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abnormal symptoms are expected (S109). In S109, the platform device 300 analyzes the sens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cumulative abnormal symptom event and analyzes the abnormal symptom pattern and provides an alarm when it is expected that the abnormal event will occur at a predetermined time point before the abnormal event occurs. (S109, S110).

S110에서 플랫폼 장치(200)는 알람을 제공함과 동시에 지속적으로 세부 진단을수행할 수 있다. S110에서 이상 징후가 예상되지 않는 경우라도 세부 진단은 이상 징후, 이상, 긴급 이벤트가 종료될 때까지 지속될 수 있다. In S110, the platform device 200 may continuously perform detailed diagnosis while providing an alarm. Even when no abnormal symptoms are expected in S110, detailed diagnosis may continue until the abnormal symptoms, abnormalities, and emergency events are completed.

상기 프로세스는 그 전부 또는 일부 그리고 순서를 달리하여 실시될 수 있다. The process may be implemented in whole or in part and in any order.

1: 관리 대상 공간
100: 센서 노드
200: IOT 망
300: 플랫폼 장치
400: 통신망
500: 단말기
1: Managed space
100: sensor node
200: IOT net
300: platform device
400: network
500: terminal

Claims (10)

IOT 망을 통해 복수의 센서노드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및
상기 수집된 센싱 데이터를 세부 진단하는 세부 진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 데이터는 주제(Topic) 필드, 데이터(Data) 필드, 이벤트 코드(Event Code)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코드 필드는 상기 센서노드의 간이 진단 결과에 따른 정상 이벤트, 이상 징후 이벤트, 이상 이벤트, 긴급 이벤트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센서노드로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이벤트 코드가 정상 이벤트를 지시하는 경우 제 1 주기에 따라 상기 센서노드에 센싱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이벤트 코드가 이상 징후 이벤트, 이상 이벤트 및 긴급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면 제 2 주기에 따라 상기 센서노드에 센싱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제 2 주기는 상기 제 1 주기 보다 빠르며,
상기 세부 진단부는 상기 이상 징후 이벤트에 대응한 센싱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누적하면서 상기 누적된 데이터를 사용해 세부 진단을 수행하며,
상기 세부 진단부는
상기 세부 진단을 통해 이상 징후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 이상 이벤트가 발생하기 전 기 설정된 시점에서 이상 이벤트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알람을 제공하고,
상기 세부 진단부는 진단 항목 별 이상 징후 예측 엔진을 탑재하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플랫폼 장치의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부는 설정자가 장비 종류, 설치 위치, 장비 관리 번호를 선택하면 그 정보를 만족하는 장비 관련 진단 항목 및 상기 진단 항목에 대응한 센서 주소 입력창을 제공하고,
이상 이벤트, 긴급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및 세부 진단 결과 이상 이벤트 발생이 예상되는 경우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운영자 단말기에 알람을 제공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노드는 플러그 앤 플러그 타입으로 설치되는 센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노드는 센싱값이 기 설정된 제 1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정상 이벤트로 판정하고 기 설정된 제 2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이상 징후 이벤트로 판단하고 기 설정된 제 3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이상 이벤트로 판단하고 기 설정된 제 4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긴급 이벤트로 판단하는 간이 진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 노드는 복수의 그룹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그룹은 건물의 공조 및 수도와 같은 기반 시설을 이루는 장치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센서 노드 그룹,
건물 내 환경 상태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센서 노드 그룹,
건물 내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센서 노드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센싱 데이터 상의 이벤트 코드는 상기 간이 진단부가 정상 이벤트, 이상 징후 이벤트, 이상 이벤트 및 긴급 이벤트 중 어느 하나로 판단한 결과를 식별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건물 및 시설물 통합 관리 플랫폼 장치.

A data collector configured to collect sensing data from a plurality of sensor nodes through an IOT network; And
Including a detailed diagnosis unit for diagnosing the collected sensing data in detail,
The sensing data includes a topic field, a data field, and an event code field.
The event code field includes information identifying a normal event, an abnormal symptom event, an abnormal event, or an emergency event according to a simple diagnosis result of the sensor node.
The data collector requests data to the sensor node at a predetermined cycle,
If the event code indicates a normal event, request sensing data from the sensor node according to a first period,
Requesting sensing data from the sensor node according to a second period when the event code indicates at least one of an abnormality sign event, an abnormal event, and an emergency event,
The second period is faster than the first period,
The detailed diagnosis unit continuously accumulates sens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abnormal symptom event and performs detailed diagnosis using the accumulated data.
The detailed diagnosis unit
Analyze the abnormal symptom pattern through the detailed diagnosis and provide an alarm when the abnormal event is expected to occur at a predetermined time point before the abnormal event occurs,
The detailed diagnosis unit is equipped with an abnormal symptom prediction engine for each diagnostic item,
Further comprising a setting unit for providing an interface for setting the platform device through the interface unit,
The setting unit provides a device-related diagnostic item that satisfies the information and a sensor address input window corresponding to the diagnosis item when the setter selects a device type, an installation location, and a device management number.
The alarm unit may further include an alarm unit configured to provide an alarm to an operator terminal when an abnormal event, an emergency event occurs, or a detailed diagnosis result corresponds to an abnormal event occurrence.
The sensor node includes a sensor module installed in a plug and plug type,
The sensor node determines that the sensing value is a normal event when the sensing value falls within the preset first range, determines that the sensor node is an abnormal symptom event when it falls within the preset second range, and determines that it is an abnormal event when it falls within the preset third range. If it falls within the preset fourth range further comprises a simple diagnosis unit for determining as an emergency event,
The sensor nod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groups,
The plurality of groups are sensor node groups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the devices forming the infrastructure, such as air conditioning and water supply of buildings,
Sensor node groups for monitoring environmental conditions in buildings,
Includes a group of sensor nodes to monitor possible accidents in the building,
The event code on the sensing data is IOT-based building and facilities integrated management platform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identifying the result of the simple diagnosis unit judges any one of the normal event, abnormal symptoms event, abnormal events and emergency event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025128A 2018-03-02 2018-03-02 Platform for totally maning a building and a facility based on iot, method of the same Expired - Fee Related KR1020220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128A KR102022010B1 (en) 2018-03-02 2018-03-02 Platform for totally maning a building and a facility based on iot,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128A KR102022010B1 (en) 2018-03-02 2018-03-02 Platform for totally maning a building and a facility based on iot, method of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2010B1 true KR102022010B1 (en) 2019-09-18

Family

ID=68070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5128A Expired - Fee Related KR102022010B1 (en) 2018-03-02 2018-03-02 Platform for totally maning a building and a facility based on iot, method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2010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077B1 (en) 2019-11-15 2020-09-1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acil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IOT
KR102511561B1 (en) 2022-12-22 2023-03-17 (주)삼오관리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expert dispatch servic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KR20230146834A (en) 2022-04-13 2023-10-20 연규문 A service platform for smart facility management
US12001245B2 (en) 2021-03-15 2024-06-04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products
KR102756280B1 (en) 2024-03-22 2025-01-21 주식회사 에프원 System for providing enviromental facility total platform servic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815B1 (en) * 2010-05-12 2012-03-23 한국시설안전공단 Method for analyzing sensor data of variety facilities using rule-engine
KR20120064414A (en) * 2010-12-09 2012-06-19 나상철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ly monitoring security event
KR101233689B1 (en) 2012-07-17 2013-02-15 (주)델타온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based on web
KR101726304B1 (en) * 2016-07-08 2017-04-12 한국유체기술(주) Water resources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the based internet of things
KR20170107121A (en) * 2016-03-14 2017-09-25 (주)다울 Safety supervision system for large scale facilities and safety supervision method thereof
KR101829823B1 (en) 2017-02-09 2018-02-19 한충열 Auto system for managing building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815B1 (en) * 2010-05-12 2012-03-23 한국시설안전공단 Method for analyzing sensor data of variety facilities using rule-engine
KR20120064414A (en) * 2010-12-09 2012-06-19 나상철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ly monitoring security event
KR101233689B1 (en) 2012-07-17 2013-02-15 (주)델타온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based on web
KR20170107121A (en) * 2016-03-14 2017-09-25 (주)다울 Safety supervision system for large scale facilities and safety supervision method thereof
KR101726304B1 (en) * 2016-07-08 2017-04-12 한국유체기술(주) Water resources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the based internet of things
KR101829823B1 (en) 2017-02-09 2018-02-19 한충열 Auto system for managing building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077B1 (en) 2019-11-15 2020-09-1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acil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IOT
US12001245B2 (en) 2021-03-15 2024-06-04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products
KR20230146834A (en) 2022-04-13 2023-10-20 연규문 A service platform for smart facility management
KR102511561B1 (en) 2022-12-22 2023-03-17 (주)삼오관리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expert dispatch servic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756280B1 (en) 2024-03-22 2025-01-21 주식회사 에프원 System for providing enviromental facility total platform ser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2010B1 (en) Platform for totally maning a building and a facility based on iot, method of the same
US11423429B1 (en) Determining status of building modifications using informatics sensor data
US1051012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dwelling maintenance analytics on insured property
CN108700324B (en) Long-distance management system
KR101812777B1 (en) System for monitoring district heating customer facility based on internet of things and improving efficiency
KR102122590B1 (en) Mobile terminal for integrat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ict and method thereof
KR102403189B1 (en)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KR101986838B1 (en)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MEASUREMENT DEEP-LEARNING AND CONTROL SENSOR BASED LoRa NETWORK
KR101727530B1 (en) Maintenance System for electric installation based on mobile app
AT516188B1 (en) Service and information system for buildings and procedures for this
KR102489069B1 (en) Big data .
US20190293316A1 (en) System and method of hvac health monitoring for connected homes
CN113791571A (en) Intelligent building equipment automatic control alarm device
CN116822964A (en) Fire-fighting equipm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Internet of things
CN118101426A (en) Monitoring and operation system based on IoT devices
KR102818563B1 (en) Building Management Method Using Smart Home System
KR100364917B1 (en) Real Time Measuring Management System And A Method Use Of Internet
KR100456405B1 (en)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a network and methods thereof
JP3738682B2 (en) Equipment abnormality detection system
KR102724308B1 (en) Authentication method using a Smart Home System Comprising a Household Terminal Capable of Mode Switching
KR102755804B1 (en) smart home service platform system and method
CN117078896A (en)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diagnostic system operation
JP2022169485A (en) Remote control solution server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internet of things device and 5g/lte wireless router
KR101058001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fter-sales service for network equipment
JP4658502B2 (en) Remote monitoring control system and server for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R19-X000 Request for party data change reject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9-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2091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2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