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25616B1 -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multi_tasking in wireless terminal - Google Patents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multi_tasking in wireless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5616B1
KR102025616B1 KR1020180141805A KR20180141805A KR102025616B1 KR 102025616 B1 KR102025616 B1 KR 102025616B1 KR 1020180141805 A KR1020180141805 A KR 1020180141805A KR 20180141805 A KR20180141805 A KR 20180141805A KR 102025616 B1 KR102025616 B1 KR 102025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application
executed
portable terminal
backgroun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18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26421A (en
Inventor
전한경
성주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1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5616B1/en
Publication of KR20180126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64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5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5616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멀티태스킹 수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기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멀티태스킹 수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휴대단말기가, 다른 장치들과 무선으로 통신하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된 데이터의 처리를 제어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트랜시버; 터치 화면; 및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고 상기 트랜시버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제어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제1 어플리케이션과 제2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며,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제1 이미지와 상기 제1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에 중첩되면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제2 이미지를 표시하며, 상기 제1 이미지에 대한 드래그 터치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multitasking of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multitasking of a portable terminal which can conveniently control an application running in the portable terminal.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transceiver including a transmitter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other devices, transmitting data, a receiver for receiving data, and a data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processing of the transmitted and received data; Touch screen; And controlling applications executed in the background of the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n application executed in the background and using the transceiver, identifying first and second applications executed in the background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identifying the first application.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isplay a second image indicating the second application while overlap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image and the first image, and to control the first application based on a drag touch input to the first image. Characterized in that.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멀티태스킹 수행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MULTI_TASKING IN WIRELESS TERMINAL}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multitasking of mobile terminals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MULTI_TASKING IN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멀티태스킹 수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기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멀티태스킹 수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multitasking of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multitasking of a portable terminal which can conveniently control an application running in the portable terminal.

휴대단말기에서 소프트웨어 플랫폼은 여전히 단일태스킹 환경을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단일태스킹 환경을 가지는 휴대단말기가 스마트 폰 시장에서 사용되기는 어렵다. In mobile handsets, software platforms still use a single tasking environment in general. However, it is difficult to use a mobile terminal having such a single tasking environment in the smart phone market.

현재 멀티태스킹이 가능한 휴대단말기가 스마트 폰 시장에서 주요 트랜드로 소개되고 있으며, 또한 휴대단말기에서 단일태스킹 플랫폼을 멀티태스킹 플랫폼으로 전환하고 있다. 따라서 많은 사용자가 자신의 휴대단말기에서 멀티태스킹을 수행하는 것은 어렵지 않게 되었다. Currently, multi-tasking handheld terminals are being introduced as a major trend in the smartphone market, and mobile handsets are also turning single tasking platforms into multitasking platforms. Therefore, it is not difficult for many users to perform multitasking on their mobile terminals.

멀티태스킹 환경의 사용에 대한 편의를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고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들 간의 전환을 쉽게 할 수 있는 적절한 인터페이스가 필요하게 되었다.In order to maximize the ease of use of a multitasking environment, an appropriate interface is required that can inform the user and facilitate switching between running applications.

현재 화면에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일시정지 상태로 전환할 경우, 화면상에서 사라지기만 할 뿐,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 상태로 진입되었는지 아니면 종료되었는지 사용자는 인지하기가 어렵다.When the application currently running on the screen is changed to the paused state, it simply disappears on the screen, and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recognize whether the application enters the background state or terminates.

또한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휴대단말기의 OS 난 플랫폼 별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목록확인을 위한 키 입력 또는 소정단계의 작동방식을 거치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목록에서 최근 사용한 프로그램이 함께 표시됨에 따라 어떤 어플리케이션이 현재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지 확인하기 어려운 불편함이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check the list of applications running in the background, there may be a difference depending on the OS or platform of the mobile terminal, but there is an inconvenience of having to go through a key input or a predetermined step of operation for checking the list of applications running in the background. . In addition, as recently used programs are displayed together in the list of applications running in the background, it is inconvenient to check which application is currently running in the backgroun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들을 편리하고 직관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멀티태스킹 수행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multitasking of a portable terminal which can conveniently and intuitively control applications running in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가, 다른 장치들과 무선으로 통신하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된 데이터의 처리를 제어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트랜시버; 터치 화면; 및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고 상기 트랜시버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제어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제1 어플리케이션과 제2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며,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제1 이미지와 상기 제1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에 중첩되면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제2 이미지를 표시하며, 상기 제1 이미지에 대한 드래그 터치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ortable terminal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transceiver comprising a transceiver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other devices, transmitting data, a receiver for receiving data, and a data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processing of the transmitted and received data; Touch screen; And controlling applications executed in the background of the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n application executed in the background and using the transceiver, identifying first and second applications executed in the background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identifying the first application.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isplay a second image indicating the second application while overlap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image and the first image, and to control the first application based on a drag touch input to the first image.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의 멀티태스킹 수행 방법은,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고 트랜시버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제어하는 과정; 상기 휴대단말기의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제1 어플리케이션과 제2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는 과정;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제1 이미지와 상기 제1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에 중첩되면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제2 이미지를 표시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이미지에 대한 드래그 터치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ulti-tasking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ocess of controlling the applications running in the background of the mobile terminal including an application running in the background and using the transceiver; Identifying a first application and a second application executed in the background of the portable terminal; Displaying a first image representing the first application and a second image representing the second application while overlap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image; And controlling the first application based on a drag touch input for the first image.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멀티태스킹 수행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휴대단말기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들을 편리하고 직관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performing multitasking of a mobile terminal, and thus has an effect of conveniently and intuitively controlling applications running in the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도.
도 2a 내지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들을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a 내지 3f는 도 2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to 2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pplications running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to 3F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s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in the figures represent the same numerals wherever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RF부(123)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부(123)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데이터처리부(120)는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 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125)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RF unit 123 performs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RF unit 123 includes an RF transmitter for upconverting and amplifying a frequency of a transmitted signal, and an RF receiver for low noise amplifying and downconverting a received signal. The data processor 120 includes a transmitter for encoding and modulating the transmitted signal and a receiver for demodulating and decoding the received signal. That is, the data processor 120 may be configured of a modem and a codec. The codec includes a data codec for processing packet data and an audio codec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such as voice. The audio processor 125 plays a function of reproducing a received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audio codec of the data processor 120 or transmitting a transmission audio signal generated from a microphone to the audio codec of the data processor 120.

키 입력부(1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들을 구비한다.The key input unit 127 includes keys for inputting numeric and character information and function keys for setting various functions.

메모리(1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들을 제어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130 may be composed of program memory and data memories. The program memory may store programs for controlling a genera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programs for controlling applications running i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data memory temporarily stores data generat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programs.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ontroller 110 controls a genera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수납이미지에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를 수납 및 배치하여 표시하고, 특정 제스처를 통한 상기 특정이미지의 제어를 통해,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10 stores and arranges at least one specific image representing at least one application running in the background on the application storage image, and controls the specific image through a specific gesture. Through the at least one application running in the background is controlled.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에서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할 때, 또는 특정 제스처가 발생되거나 특정키가 입력될 때, 상기 표시부(160)의 특정영역에 상기 백그라운드로 실행 중인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가 수납된 상기 어플리케이션 수납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특정영역은 상기 표시부(160) 화면의 하단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수납이미지는 파일 철 이미지로,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는 파일이미지로 표시되어, 파일들이 파일 철에 정리되어 있는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re is at least one application running in the background in the mobile terminal, or when a specific gesture is generated or a specific key is input, the display unit 160 is specified The application may be controlled to display an application accommodation image in which at least one specific image representing at least one application running in the background is stored in an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pecific area may be the bottom of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60. 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lication storing image is a file file image, and at least one specific image representing at least one application running in the background is displayed as a file image, so that the files are arranged in the file file. Can be displayed.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현재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상기 표시부(160)의 화면에 터치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수납이미지가 표시된 하측방향의 드래그가 발생될 때,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특정이미지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수납이미지로 수납되는 효과를 표시하면서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일시 정지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하측방향의 드래그가 상기 표시부의 화면에 미리 설정된 기준선을 지날 때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특정이미지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수납이미지로 수납되는 효과를 표시하고, 상기 하측방향의 드래그가 상기 표시부의 화면에 미리 설정된 기준선을 지나지 않을 때 원 상태로 복귀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ouch and the downward drag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60 running the particular application is displayed, the specific application is generated, Control to pause the specific application while displaying the effect that the specific image represented by the application storage image.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10 displays an effect of receiving a specific image representing the specific application as the application storing image when the downward drag passes a preset reference line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and the downward drag is performed. The control unit returns to the original state when the reference line does not pass through the preset reference line.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현재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상기 표시부의 화면에 터치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수납이미지가 표시된 하측방향의 드래그 발생 이후, 좌측 또는 우측방향의 드래그가 발생될 때,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특정이미지를 화면 밖으로 사라지거나 또는 상기 특정이미지가 구겨지는 효과를 표시하면서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하측방향의 드래그가 상기 표시부의 화면에 미리 설정된 기준선을 지난 후 좌측 또는 우측방향의 드래그가 발생될 때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특정이미지가 화면 밖으로 사라지거나 또는 상기 특정이미지가 구겨지는 효과를 표시하고, 상기 하측방향의 드래그가 상기 기준선을 지나지 않고 좌측 또는 우측방향의 드래그가 발생될 때 원 상태로 복귀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drag occurs in the lower direction in which the touch and the application storage image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currently executing a specific application, the drag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may be generated. When the specific image representing the specific application disappears from the screen or displays the effect of the specific image being crumpled, the specific application is controlled to terminate.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10, when the drag in the downward direction passes the preset reference line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when a drag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occurs, the specific image representing the specific application disappears or out of the screen The image is displayed to be wrinkled, and the downward drag does not cross the reference line and controls to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when a drag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occurs.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 수납이미지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수납 이미지에 수납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에 터치 및 좌측 또는 우측방향의 드래그가 발생될 때, 상기 드래그가 발생되는 동안 상기 백그라운드로 실행 중인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를 상기 드래그 방향으로 순서적으로 확장하면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일시정지 되기 전의 마지막 화면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를 알 수 있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이름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ouch and the drag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occurs in the application storage image or at least one specific image stored in the application storage image, the drag occurs While at least one specific image representing at least one application running in the background is sequentially expanded in the drag direction to display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of the application may include the name of the application that can know the last screen or the type of the application before the application is paused.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 수납이미지에 터치 및 좌측 또는 우측방향의 드래그가 발생되는 동안,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특정이미지에 대해 상기 어플리케이션 수납이미지가 표시된 반대방향의 드래그가 발생되면, 상기 특정이미지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수납이미지에서 인출되는 효과를 표시하면서 상기 특정이미지에 대응되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재 시작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수납이미지가 표시된 반대방향의 드래그가 상기 표시부(160)의 화면에 미리 설정된 기준선을 지날 때 상기 특정이미지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수납이미지에서 인출되는 효과를 표시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수납이미지가 표시된 반대방향의 드래그가 상기 표시부(160)의 화면에 미리 설정된 기준선을 지나지 않을 때 원 상태로 복귀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touch and the drag of the left or right direction is generated in the application storage image,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which the application storage image is displayed for a specific image representing the application When the drag is generated, the specific image is controlled to restart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image while displaying the effect that the specific image is withdrawn from the application storing image.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10 displays an effect that the specific image is drawn from the application storage image when the drag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which the application storage image is displayed passes a preset reference line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60, and the application When the drag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which the stored image is displayed does not pass through the preset reference line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60, the control returns to the original state.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 수납이미지에 터치 및 좌측 또는 우측방향의 드래그가 발생되는 동안, 특정이미지에 대해 좌측 또는 우측방향의 드래그가 발생되면, 상기 특정이미지가 화면 밖으로 사라지거나 상기 특정이미지가 구겨지는 효과를 표시하면서 상기 특정이미지에 대응되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 drag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for a specific image, while the touch and drag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is generated in the application storage image, the specific image Controls to terminate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image while displaying an effect of disappearing from the screen or crumpling the specific image.

카메라부(140)는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 또는 CMOS센서라 가정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The camera unit 140 captures image data, and includes a camera sensor that converts the photographed optical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 signal processor that converts the analog image signal captured by the camera sensor into digital data. Herein, it is assumed that the camera sensor is a CCD or CMOS sensor, and the signal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by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In addition, the camera sensor and the signal processor may be integrally implemented or may be separately implemented.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부(160)에 표시하기 위한 ISP(Image Signal Processing)를 수행하며, 상기 ISP는 감마교정, 인터폴레이션, 공간적 변화, 이미지 효과, 이미지 스케일, AWB, AE,AF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상기 표시부(16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영상코덱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코덱은 JPEG 코덱, MPEG4 코덱, 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한다고 가정하며,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여 표시되는 화면크기에 따라 온 스크린 표시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or 150 performs an image signal processing (ISP) for displaying an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unit 140 on the display unit 160, and the ISP performs gamma correction, interpolation, spatial variation, image effect, and the like. Performs functions such as Image Scale, AWB, AE, and AF. Therefore, the image processor 150 processes the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unit 140 in units of frames, and outputs the fram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size of the display unit 160. In addition, the image processing unit 150 includes an image codec and performs a function of compressing the frame image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60 in a set manner or restoring the compressed frame image data to the original frame image data. . The image codec may be a JPEG codec, an MPEG4 codec, a wavelet codec, or the like. It is assumed that the image processor 150 has an On Screen Display (OSD) function, and may output on-screen display data according to a screen size display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상기 표시부(160)는 상기 영상처리부(15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60)는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160)은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표시부(160)에는 상기 키 입력부(127)와 같은 키들을 표시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60 displays an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or 150 on a screen, and displays user data output from the controller 110.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160 may use an LCD.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160 may include an LCD controller, a memory capable of storing image data, and an LCD display device. In this case, when the LCD is implemented using a touch screen method, the LCD may operate as an input unit, and the display unit 160 may display the same keys as the key input unit 127.

또한 상기 표시부(16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를 수납하여 배치한 어플리케이션 수납이미지를 표시한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60 displays an application accommodating image in which at least one specific image representing at least one application running in the background is stored and disp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들을 제어하는 동작을 도 2 내지 3을 통해 상세히 살펴본다. The operation of controlling the applications running in the portable termina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도 2a 내지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실행중 인 어플리케이션들을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3a - 도 3f는 도 2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를 파일이미지로, 상기 파일이미지를 수납하는 어플리케이션 수납이미지를 파일 철 이미지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어플리케이션 수납이미지를 나타내는 파일 철 이미지가 표시부 화면의 하단부분에 표시되는 것을 예로 설명한다.2A to 2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pplications running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A to 3F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FIG.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specific image representing at least one application running in the background is described as a file image, and an application accommodating image containing the file image is described as a file file image.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that the file image showing the application storage image is display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unit scree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상기 도 2a 내지 2b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적어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160)의 화면에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파일 이미지를 수납하여 배치한 파일 철 이미지를 상기 도 3a와 같이, 상기 표시부(160)의 화면 하단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202단계를 진행한다. 2A to 2B, if there is at least one application executed in the background in the mobile terminal, the controller 110 detects it in step 201 and at least runs the backgroun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60. In operation 202, a file consolidation image in which at least one file image representing one application is stored and disposed is displayed on the bottom of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60 as illustrated in FIG. 3A.

상기 도 3a에서는 상기 표시부(160)의 화면 하단에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파일이미지(301)가 수납 및 정리된 파일 철 이미지(300)를 표시하고 있다.In FIG. 3A, at least one file image 301 representing at least one application running in the background is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60 to store and organize the file file image 300.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특정 제스처가 발생되거나 또는 특정키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제어부(110)는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160) 화면의 하단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일이미지들을 수납한 파일 철 이미지를 표시하는 상기 202단계를 진행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specific gesture is generated or a specific key is input by the user, the controller 110 detects this and displays a file file containing the at least one file image at the bottom of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60. Step 202 may be performed.

또한 상기 표시부(160)의 화면 하단에 상기 파일 철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안,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특정 제스처나 상기 특정 키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파일 철 이미지 표시를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while displaying the file image on the bottom of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60, if there is no application running in the background, or if the specific gesture or the specific key input occurs, the control unit 110 is the file The iron image display can be removed.

상기 202단계에서 상기 표시부(160)의 화면에는 현재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일 수 있거나 또는 대기모드상태일 수 있다.  In operation 202,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60 may be currently executing a specific application or may be in a standby mode.

상기 202단계에서 상기 표시부(160)의 화면에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 일 때, 상기 화면에 터치 및 상기 파일 철 이미지가 표시되는 화면의 하단방향으로 드래그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드래그의 해제를 대기한다. 상기 화면의 하단방향으로 발생되고 있는 드래그가 해제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드래그가 상기 표시부의 화면에 미리 설정된 기준선을 지났는지 판단한다.When a specific application is running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60 in step 202, if a drag occurs in a lower direction of a screen on which the touch and the file iron image are displayed on the screen, the controller 110 performs step 203. Detects this and waits for the release of the drag. When the drag generat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screen is released, the controller 110 detects this in step 204 and determines whether the drag has passed a reference line preset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상기 화면의 하단방향으로 발생되고 있는 드래그가 상기 기준선을 지나서 해제되었으면, 상기 제어부(110)는 2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도 3b와 같이, 상기 표시부(160)의 화면에서 실행 중인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파일이미지가 상기 파일 철 이미지로 수납되는 효과를 표시하면서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일시 정지하여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하는 206단계를 진행한다.If the drag generated toward the bottom of the screen is released past the reference line, the controller 110 detects this in step 205 and indicates a specific application running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60 as shown in FIG. 3B. Step 206 is performed in which the specific application is paused and the application is executed in the background while displaying the effect of the file image being stored as the file image.

상기 도 3b와 같이, 상기 화면의 특정부분에 터치 이후 터치를 유지하면서 상기 화면의 하단방향으로 발생되는 드래그가 기준선(A)을 지나서 해제되면, 상기 표시부(160)의 화면에서 실행 중이었던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파일이미지(302)는 상기 파일 철 이미지(300)로 수납되는 효과 표시와 함께 일시정지 된다. As shown in FIG. 3B, when the drag generat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screen is released beyond the reference line A while maintaining a touch after touching a specific portion of the screen, the specific application that is being execut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60 is executed. The file image 302 indicating the pause is paused along with the effect display received in the file iron image 300.

그러나, 상기 화면의 하단방향으로 발생되고 있는 드래그가 상기 기준선을 지나지 않고 해제되었으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2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원 상태로 복귀하여 상기 특정어플리케이션을 상기 표시부(160)의 화면에 표시하는 상기 202단계를 진행한다. However, if the drag generat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screen is released without passing through the reference line, the controller 110 detects this in step 205 and returns to the original state to display the specific application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60. Proceed to step 202 to display.

그리고, 상기 202단계에서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상기 표시부(160)의 화면에 터치 및 상기 파일 철 이미지가 표시되는 화면의 하단방향으로 드래그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하측방향의 드래그가 상기 표시부(160)의 화면에 미리 설정된 기준선을 지났는지 판단한다.In addition, when a drag occurs in a direction toward the bottom of a screen on which the touch and the file file image ar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60 in which the specific application is executed in step 202, the controller 110 detects this in step 207.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rag in the downward direction has passed a preset reference line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60.

상기 드래그가 상기 기준선을 지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8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다음 제스처를 대기한다. 상기 기준선을 지난 상기 하측방향의 드래그가 좌측 또는 우측방향의 드래그로 발생된 후 터치가 해제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9단계 및 21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도 3c와 같이, 상기 표시부(160)의 화면에서 실행 중이던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파일이미지가 화면 밖으로 사라지거나 또는 상기 파일이미지가 구겨지는 효과를 표시하면서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211단계를 진행한다.If the drag passes the reference line, the controller 110 detects this in step 208 and waits for the next gesture. If the touch is released after the downward drag past the reference line is generated by dragging the left or right direction, the controller 110 detects it in steps 209 and 210 and displays the display unit 160 as shown in FIG. 3C. In step 211, the file image indicating the specific application that is running on the screen) disappears off the screen or the file image is wrinkled.

상기 도 3c와 같이, 현재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는 화면의 특정부분이 터치되고, 상기 터치를 유지하면서 발생되는 하측방향의 드래그가 기준선(A)을 지난 후, 좌측 또는 우측방향의 드래그로 발행 된 이후 터치가 해제되면,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파일이미지(302)가 화면 밖으로 사라지는 효과를 표시하면서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302)을 종료한다.As shown in FIG. 3C, after a specific part of the screen currently executing a specific application is touched and a downward drag generated while maintaining the touch passes a reference line A, a left or right drag is issued. When the touch is released, the specific application 302 is terminated while displaying the effect that the file image 302 representing the specific application disappears off the screen.

또는 상기 202단계에서 상기 표시부(160)의 화면에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 일 때 또는 상기 표시부(160)의 화면이 대기모드일 때, 상기 화면의 하단에 표시 중인 파일 철 이미지 또는 파일 이미지에 터치 후 좌측 또는 우측방향의 드래그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1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도 3d와 같이, 해당 방향의 드래그 동작동안 상기 파일 철 이미지에 수납된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파일이미지를 순서적으로 확장하면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표시하는 213단계를 진행한다.Alternatively, when a specific application is running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60 or whe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60 is in the standby mode in step 202, after touching the file iron image or the file image displayed on the bottom of the screen If a drag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occurs, the controller 110 detects this in step 212, and at least one application executed in the background stored in the file file image during the drag operation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as shown in FIG. 3D. In step 213,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is displayed while sequentially expanding at least one file image indicating the.

상기 도 3d에서와 같이, 상기 화면의 하단에 표시 중인 파일 철 이미지(3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파일 이미지(301)에 우측방향의 드래그가 발생되면, 상기 파일철 이미지에 수납된 적어도 파일이미지가 순서적으로 하나씩 돌출되어 확장되면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정보 즉,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일시정지 되기 전의 마지막 화면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이름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인지할 수 있는 미리보기를 수행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D, when a drag in the right direction occurs to the file file image 300 or the at least one file image 301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at least file images stored in the file image are in order. As the books protrude one by one, the information of the application, that is, the last screen before the application is paused or the name of the application can be displayed. Therefore, the user may perform a preview for recognizing at least one application running in the background.

상기 파일 철 이미지에 수납된 적어도 하나의 파일이미지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일시 정지되는 순서대로 수납되어 표시된다. 따라서 상기 파일 철 이미지 또는 적어도 하나의 파일 이미지에 대해 우측방향의 드래그가 발생되면, 일시 정지되어 수납이 오래된 어플리케이션부터 순서대로 확장되어 표시되고, 상기 파일 철 이미지 또는 적어도 하나의 파일 이미지에 대해 좌측방향의 드래그가 발생되면, 일시 정지되어 수납된 최근 어플리케이션부터 순서대로 확장되어 표시될 수 있다. At least one file image stored in the file file image is stored and displayed in the order in which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is paused. Therefore, when a drag in the right direction is generated for the file file image or at least one file image, the file is paused to be extended and displayed in order from an old application, and the file file image or at least one file image is left-oriented. When drag is generated, it may be extended and displayed in order from the latest application that is paused and received.

상기 213단계에서 상기 해당 방향의 드래그 발생동안 상기 파일 철 이미지에 수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일이미지를 순서적으로 확장하면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표시하는 동안, 해당 파일이미지에 대해 상측방향의 드래그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1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터치해제를 대기한다.In step 213, while th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is displayed while sequentially expanding the at least one file image stored in the file binding image during the dragging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an upward drag occurs to the file image. In step 214, the controller 110 detects this and waits for the touch release.

상기 드래그 발생의 해제 따른 터치가 해제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1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상측방향의 드래그가 상기 표시부(160)의 화면에 미리 설정된 기준선을 지났는지 판단한다. 상기 상측방향의 드래그가 상기 기준선을 지났으면 상기 제어부(110)는 216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도 3e와 같이, 상기 파일 철 이미지에서 상측방향의 드래그를 통해 선택된 파일 이미지가 인출되는 효과를 표시하면서 상기 선택된 파일이미지에 대응되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표시부(160)의 화면에 표시하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재시작하는 217단계를 진행한다.When the touch according to the release of the drag generation is released, the controller 110 detects this in step 215 and determines whether the upward drag has passed a preset reference line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60. If the drag in the upward direction has passed the reference line, the controller 110 detects this in step 216 and displays the effect of drawing the selected file image by dragging upward from the file binding image as shown in FIG. 3E. In operation 217, the application is restarted while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file image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60.

상기 도 3e에서는, 상기 좌측방향의 드래그 발생동안 상기 파일 철 이미지(300)에 수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일이미지를 순서적으로 확장하면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표시하는 동안,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파일 이미지(301B)에 대해 상측방향의 드래그가 발생되고, 상기 상측방향의 드래그가 기준선(A)을 지나면, 상기 파일이미지(301B)가 상기 파일 철 이미지에서 인출되는 효과를 표시하면서, 상기 파일이미지(301B)에 대응되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표시부(160)의 화면에 표시하면서 재시작 된다.In FIG. 3E, the file image representing the application is displayed while the information of the application is displayed while the at least one file image stored in the file binding image 300 is sequentially expanded during the dragging in the left direction. A drag in an up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301B is generated, and when the upward drag passes a reference line A, the file image 301B is displayed while displaying the effect of the file image 301B being drawn out of the file consolidation image.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gram is restarted while displaying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60.

또는 상기 상측방향의 드래그가 상기 기준선을 지나지 않고 터치가 해제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216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원 상태로 복귀하여, 해당방향의 드래그 발생동안 상기 파일 철 이미지에 수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일이미지를 순서적으로 확장하면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표시하는 상기 212단계를 진행한다.Or when the touch is released without the upward drag passing through the reference line, the control unit 110 detects it in step 216 and returns to the original state. In step 212, th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is displayed while the at least one file image is sequentially expanded.

상기 213단계에서 상기 해당 방향의 드래그 발생동안 상기 파일 철 이미지에 수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일이미지를 순서적으로 확장하면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표시하는 동안, 해당 파일이미지에 대해 좌측 또는 우측방향의 드래그가 발생 후 해제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18단계 - 21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도 3f와 같이, 좌측 또는 우측방향의 드래그를 통해 선택된 파일이미지가 화면 밖으로 사라지거나 또는 상기 파일이미지가 구겨지는 효과를 표시하면서 상기 선택된 파일이미지에 대응되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220단계를 진행한다.In step 213, while displaying th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while sequentially expanding the at least one file image stored in the file binding image during the dragging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dragging the file image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When is generated and released, the control unit 110 detects this in steps 218 to 219 and the selected file image disappears out of the screen or the file image is wrinkled as shown in FIG. 3F by dragging left or right. In step 220, the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file image is terminated while displaying the effect.

상기 도 3f에서는, 상기 좌측방향의 드래그 발생동안 상기 파일 철 이미지(300)에 수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일이미지를 순서적으로 확장하면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표시하는 동안,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파일 이미지(301B)에 대해 우측방향의 드래그가 발생되면, 상기 파일이미지(301B)가 화면 밖으로 사라지거나 상기 파일이미지(301B)가 구겨지는 효과를 표시하면서, 상기 파일이미지(301B)에 대응되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종료한다.In FIG. 3F, the file image representing the application is displayed while th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is displayed while the at least one file image stored in the file binding image 300 is sequentially expanded during the dragging in the left direction. When dragging to the right side with respect to 301B occurs,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file image 301B is terminated while displaying the effect that the file image 301B disappears from the screen or the file image 301B is wrinkled. do.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휴대 단말기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ecific embodiment such as a mobile terminal has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 of claims and claims.

110: 제어부, 130:메모리, 160:표시부 110: control unit, 130: memory, 160: display unit

Claims (12)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트랜시버;
터치 스크린;
상기 터치 스크린 및 상기 트랜시버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시에,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휴대 단말기의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제1 어플리케이션과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며,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제1 이미지와 상기 제1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에 중첩되면서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제2 이미지를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제1 위치에 표시하며,
상기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가 표시되는 동안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이미지에 대한 드래그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이미지를 이동시키며,
상기 제1 위치로부터 떨어진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 기준 선을 벗어난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제2 위치에서 상기 드래그 터치 입력의 해제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며,
상기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가 표시되는 동안 제2 방향으로의 드래그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휴대단말기.
In a mobile terminal,
Transceiver;
touch screen;
At least one processor coupled to the touch screen and the transceiver; And
At least one memory coupled to the processor,
The at least one memory, when executed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the portable terminal,
Identify a first application and a second application that are executed in the background of the portable terminal,
Displaying a first image representing the first application executed in the background and a second image representing the second application executed in the background while overlap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image at a first position of the touch screen; ,
While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re displayed, the first image i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in response to a drag touch input for the first image in a first direction,
In response to the release of the drag touch input at a second position of the touch screen deviating from a reference line in the touch screen away from the first position, the first application is terminated;
And storing instructions for moving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in the second direction in response to a drag touch input in a second direction while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re display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명령어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시에,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1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에 중첩되면서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상기 제2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
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stored instructions are executed by the portable terminal when executed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In response to a touch input for displaying a list of applications to be executed in the background, the first image representing the first application and the second application to be executed in the background while overlap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image. And display the second im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2 방향에 수직인, 휴대 단말기.
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direction is perpendicular to the second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명령어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시에,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제1 이미지에 대한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백그라운드 상태에서 포어그라운드 실행 상태로 변경하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
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stored instructions are executed by the portable terminal when executed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And change an execution state of the first application from a background state to a foreground execution state in response to a touch input to the first im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명령어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시에,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기준 선 사이에 위치한 제3 위치에서의 상기 제1 이미지에 대한 드래그 터치 입력의 해제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이미지를 상기 제1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
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stored instructions are executed by the portable terminal when executed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And returning the first image to the first position in response to the release of the drag touch input for the first image at a third position located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reference 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명령어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시에,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드래그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2 이미지를 포함하는 이미지들의 리스트를 이동시켜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리스트의 제3 이미지를 점진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를 이동시키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
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stored instructions are executed by the portable terminal when executed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The first image by gradually displaying a third image of the list in the second direction by moving the list of images including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in response to the drag touch input in the second direction; And move the second image.
명령들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것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휴대 단말기의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제1 어플리케이션과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동작;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제1 이미지와 상기 제1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에 중첩되면서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제2 이미지를 상기 휴대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의 제1 위치에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가 표시되는 동안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이미지에 대한 드래그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이미지를 이동시키는 동작;
상기 제1 위치로부터 떨어진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 기준 선을 벗어난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제2 위치에서 상기 드래그 터치 입력의 해제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가 표시되는 동안 제2 방향으로의 드래그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포함하는, 저장 매체.
A storage medium storing instructions, wherein the instructions are configured to cause the at least one processor to perform at least one operation when executed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wherein the at least one operation comprises:
Identifying a first application and a second application running in the background of the portable terminal;
A first image of the touch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the first image representing the first application executed in the background and a second image representing the second application executed in the background while overlap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image; Displaying on;
Moving the first image from the first position in response to a drag touch input for the first image in a first direction while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re displayed;
Terminating the first application in response to the release of the drag touch input at a second position of the touch screen that is out of a reference line in the touch screen away from the first position; And
And moving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in the second direction in response to a drag touch input in a second direction while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re display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1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에 중첩되면서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상기 제2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저장 매체.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In response to a touch input for displaying a list of applications to be executed in the background, the first image representing the first application and the second application to be executed in the background while overlap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image. And displaying the second imag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2 방향에 수직인, 저장 매체.
8. The storage medium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direction is perpendicular to the second direc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에 대한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백그라운드 상태에서 포어그라운드 실행 상태로 변경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저장 매체.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d in response to a touch input to the first image, changing an execution state of the first application from a background state to a foreground execution sta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기준 선 사이에 위치한 제3 위치에서의 상기 제1 이미지에 대한 드래그 터치 입력의 해제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이미지를 상기 제1 위치로 복귀시키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저장 매체.
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returning the first image to the first position in response to the release of the drag touch input for the first image at the third position located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reference line. The storage medium further comprising.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드래그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2 이미지를 포함하는 이미지들의 리스트를 이동시켜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리스트의 제3 이미지를 점진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를 이동시키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저장 매체.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image by gradually displaying a third image of the list in the second direction by moving the list of images including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in response to the drag touch input in the second direction; And moving the second image.
KR1020180141805A 2018-11-16 2018-11-16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multi_tasking in wireless terminal Active KR1020256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805A KR102025616B1 (en) 2018-11-16 2018-11-16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multi_tasking in wireless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805A KR102025616B1 (en) 2018-11-16 2018-11-16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multi_tasking in wireless terminal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1107A Division KR101921276B1 (en) 2012-02-03 2012-02-03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multi_tasking in wireless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6421A KR20180126421A (en) 2018-11-27
KR102025616B1 true KR102025616B1 (en) 2019-09-27

Family

ID=64603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1805A Active KR102025616B1 (en) 2018-11-16 2018-11-16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multi_tasking in wireless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5616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74172A1 (en) 1993-06-11 2003-09-18 Conrad Thomas J. Computer system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including drawer-like windows
US20040104929A1 (en) 2002-12-02 2004-06-03 Tatung Co., Ltd. Method of establishing a customized webpage desktop
US20090293062A1 (en) 2008-05-20 2009-11-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Dynamically Freeing Computer Resourc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74172A1 (en) 1993-06-11 2003-09-18 Conrad Thomas J. Computer system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including drawer-like windows
US20040104929A1 (en) 2002-12-02 2004-06-03 Tatung Co., Ltd. Method of establishing a customized webpage desktop
US20090293062A1 (en) 2008-05-20 2009-11-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Dynamically Freeing Computer Resour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6421A (en) 2018-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90060A (en)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multi_tasking in wireless terminal
CN106970754A (en) The method and device of screenshotss processing
KR2011009354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multitasking
KR20150144547A (en) Video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140096070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image display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KR10063020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multitasking of a mobile terminal
WO2015106556A1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television applications
US20140092141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image display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KR20120130466A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ata of external device in wireless terminal
KR20130071908A (en) Device and method for editing screen in wireless terminal
KR101763426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CN102402570B (en) Data management device and recording medium
KR102025616B1 (en)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multi_tasking in wireless terminal
US9448838B2 (en) Method for recording user input tasks for controlling a terminal
KR20120053430A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mage effect in wireless terminal
US9477439B2 (en) Device and method for terminating music reproduction in a wireless terminal
KR100557091B1 (en) How to configure wallpaper on your mobile device
KR100663513B1 (en) How to control external device through mobile terminal
KR102070079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KR100678261B1 (en) How to perform multitasking on your mobile device
KR101163228B1 (en) Mobile terminal with camera function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thereof
KR101939820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KR100689526B1 (en) How to Retrieve Data from a Mobile Terminal
KR100689415B1 (en) External device control method of mobile terminal
KR20080018332A (en) Information list display method of 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8-div-PA0107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6-div-PA010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