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10522B1 - Client terminal device for displaying the names of other users who are performing editing on the collaboration docu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Client terminal device for displaying the names of other users who are performing editing on the collaboration docu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0522B1
KR102010522B1 KR1020180064618A KR20180064618A KR102010522B1 KR 102010522 B1 KR102010522 B1 KR 102010522B1 KR 1020180064618 A KR1020180064618 A KR 1020180064618A KR 20180064618 A KR20180064618 A KR 20180064618A KR 102010522 B1 KR102010522 B1 KR 102010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user
name
editing
name ta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46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승기
경선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Priority to KR1020180064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052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0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0522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1Collaborative creation, e.g. joint development of products or services
    • G06F17/24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공동 편집 대상 문서 상에서 편집을 수행하고 있는 다른 유저의 이름 표시가 가능한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의 브라우저를 통해 공동 편집 대상이 되는 제1 문서가 표시된 이후 공동 편집 세션에 참가한 다른 유저인 제1 유저에 의해서 상기 제1 문서 상에 삽입되어 있는 특정 개체에 대한 편집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제1 유저에 대한 이름을 상기 특정 개체의 인접 지점에 표시함으로써,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다른 유저에 의해서 발생되는 편집 상황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A client terminal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a name of another user who is editing on a co-editing document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re disclo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a first document to be co-edited is displayed through a browser of a client terminal device, editing of a specific object inserted on the first document is generated by a first user who is another user who participated in the co-editing session. In this case, the name of the first user may be displayed at an adjacent point of the specific entity, so that the user of the client terminal apparatus can check the editing situation generated by another user at a glance.

Description

공동 편집 대상 문서 상에서 편집을 수행하고 있는 다른 유저의 이름 표시가 가능한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CLIENT TERMINAL DEVICE FOR DISPLAYING THE NAMES OF OTHER USERS WHO ARE PERFORMING EDITING ON THE COLLABORATION DOCU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Client terminal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the name of another user who is editing on the co-edited document and its operation method {CLIENT TERMINAL DEVICE FOR DISPLAYING THE NAMES OF OTHER USERS WHO ARE PERFORMING EDITING ON THE COLLABORATION DOCU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다수의 유저들이 문서를 공동으로 편집하는 공동 편집 환경에서 각 유저들에 대해 다른 유저의 편집 상황에 따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that can provid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diting situation of another user to each user in a co-editing environment in which a plurality of users co-edit a document.

최근, 컴퓨터나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등과 같은 전자 단말 장치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이러한 전자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문서를 열람, 작성,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종류의 전자 문서 관련 프로그램들이 출시되고 있다.Recently, as electronic terminal devices such as computers, smart phones, or tablet PCs are widely used, various kinds of electronic document related programs for reading, creating, and editing documents using such electronic terminal devices have been released.

이러한 전자 문서 관련 프로그램들로는 기본적인 문서의 작성, 편집 등을 지원하는 워드프로세서, 데이터의 입력, 산술연산, 데이터 관리를 보조하는 스프레드시트, 발표자의 발표를 보조하기 위한 프레젠테이션 프로그램들이 있다.These electronic document related programs include word processors that support the creation and editing of basic documents, data entry, arithmetic operations, spreadsheets to assist with data management, and presentation programs to assist presenters.

기존에는 사용자가 전자 단말 장치를 활용해서 문서를 열람, 작성, 편집하기 위해서는 전자 단말 장치에 직접 앞서 언급한 전자 문서 관련 프로그램들을 설치한 후 전자 문서 관련 프로그램들을 구동시켜 문서를 열람하거나 작성 및 편집해야 했었다.Conventionally, in order for a user to view, create, and edit a document by using an electronic terminal device, the user must install the aforementioned electronic document related programs directly on the electronic terminal device, and then run the electronic document related programs to view, create, and edit the document. did.

하지만, 최근에는 초고속 인터넷 환경이 구축되고, 언제 어디에서든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인터넷 환경이 구축됨에 따라, 원격지의 서버를 통해서, 클라이언트 단말인 전자 단말 장치에 전자 문서 관련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전자 단말 장치에 소정의 전자 문서 관련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언제 어디에서든지 문서를 열람, 작성,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웹 기반의 문서 편집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다.However, in recent years, as a high-speed Internet environment has been established, and a wireless Internet environment has been established to allow access to the Internet anytime, anywhere, by providing an electronic document related service to an electronic terminal device as a client terminal through a remote server, There is a web-based document editing service that allows a user to view, create, and edit a document anytime and anywhere even without installing a predetermined electronic document related program in an electronic terminal device.

이러한 웹 기반의 문서 편집 서비스는 다양한 클라이언트 단말들이 관리 서버에 접속한 후 브라우저를 통해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 기반의 문서를 열람한 후 해당 문서를 작성 및 편집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복수의 유저들이 문서를 공동으로 편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점에서 기업이나 단체 등에서 주로 활용되고 있다.The web-based document editing service supports various client terminals accessing the management server and viewing markup language-based documents through a browser to create and edit corresponding documents. It is mainly used by companies and organizations in that they can co-edit documents.

이렇게 웹을 기반으로 다수의 유저들 간의 문서의 공동 편집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관리 서버는 공동 편집 세션에 참가한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들로부터 각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발생하는 편집 명령들을 수신한 후 해당 편집 명령들을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들로 전달해 줌으로써, 공동 편집 세션에 참가한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들 상에서 표시되고 있는 문서가 항상 동일한 편집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원한다.The management server that supports the co-editing of documents among a plurality of users based on the web receives the edit commands generated at each client device from a plurality of client terminals participating in the co-editing session, and then edits the corresponding edit commands. By delivering to the client terminals, the document being displayed on the plurality of client terminals participating in the co-editing session is always maintained in the same edit state.

하나의 공동 편집 세션에 다수의 유저들이 참여하여 문서에 대한 공동 편집을 진행하는 환경에서는 공동 편집에 참여하고 있는 각 유저들이 문서 상에 존재하는 텍스트, 도형, 이미지, 표 등과 같은 다양한 개체에 대해 각자 편집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각 유저들은 다른 유저들이 문서의 어떤 개체에 대해서 편집을 수행하고 있는지 파악하기가 쉽지 않을 수 있다.In an environment where a large number of users participate in a co-editing session and co-edit a document, each user participating in the co-editing has a variety of objects, such as text, shapes, images, and tables. Editing is performed, and it may not be easy for each user to know which objects in the document are being edited by other users.

따라서, 다수의 유저들이 하나의 문서에 대해 공동 편집을 수행하는 환경에서, 문서 공동 편집 세션에 참가한 유저에 대해 다른 유저들의 문서에 대한 편집 상황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의 연구가 필요하다.Therefore, in an environment where multiple users co-edit a document, a study of a technology capable of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editing situation of documents of other users to a user who participated in a document co-editing session is needed. .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의 브라우저를 통해 공동 편집 대상이 되는 제1 문서가 표시된 이후 공동 편집 세션에 참가한 다른 유저인 제1 유저에 의해서 상기 제1 문서 상에 삽입되어 있는 특정 개체에 대한 편집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제1 유저에 대한 이름을 상기 특정 개체의 인접 지점에 표시함으로써,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다른 유저에 의해서 발생되는 편집 상황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a first document to be co-edited is displayed through a browser of a client terminal device, editing of a specific object inserted on the first document is generated by a first user who is another user who participated in the co-editing session. In this case, the name of the first user is displayed at an adjacent point of the specific entity, so that the user of the client terminal device can check the editing situation generated by another user at a glanc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동 편집 대상 문서 상에서 편집을 수행하고 있는 다른 유저의 이름 표시가 가능한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는 문서에 대한 공동 편집을 관리하는 관리 서버에 의해 제1 문서에 대한 공동 편집 세션이 생성된 후 사용자에 의해 상기 공동 편집 세션으로의 참가 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공동 편집 세션에 참가하기 위한 세션 참가 처리를 수행하는 세션 참가 처리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제1 문서를 구성하는 문서 데이터 - 상기 문서 데이터는 상기 제1 문서가 브라우저에 의해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 기반 문서로 렌더링되도록 구성된 모델 데이터임 - 를 수신하고, 상기 브라우저를 통해 상기 문서 데이터를 파싱(parsing)하여 상기 브라우저 상에 상기 제1 문서를 표시하는 문서 표시부, 상기 브라우저 상에 상기 제1 문서가 표시된 이후, 상기 제1 문서의 공동 편집을 위해 상기 공동 편집 세션에 참가하고 있는 복수의 유저들 중 상기 사용자를 제외한 다른 유저인 제1 유저에 의해 상기 제1 문서 상에 삽입되어 있는 제1 개체에 대한 편집이 수행됨에 따라,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유저에 대한 이름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1 유저의 이름이 삽입된 이름표 개체를 생성하는 이름표 개체 생성부 및 상기 이름표 개체가 생성되면, 상기 브라우저 상에서 표시되고 있는 상기 제1 문서에서 상기 제1 개체가 삽입되어 있는 지점을 기준으로 선정된(predetermined) 배치 지점 상에 상기 이름표 개체를 배치하여 표시하는 이름표 개체 표시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lient terminal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a name of another user who is performing editing on a co-editing target document may have a co-editing session for the first document by a management server managing co-editing of the document. A session joining processor configured to access the management server and perform a session joining process for joining the co-editing session if the user inputs a join command to the co-editing session after being generated, and the first document from the management server. Receive document data, wherein the document data is model data configured to be rendered by a browser into a Markup Language-based document, and parse the document data through the browser. A document display unit to display the first document on the browser After the first document is displayed on the bottom, the first document is displayed on the first document by a first user other than the user among the plurality of users who are participating in the co-editing session for the co-editing of the first document. As the editing of the first object inserted into the server is performed, when the name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is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a name tag object generating unit generating a name tag object into which the name of the first user is inserted; When the name tag object is generated, a name tag object display unit for arranging and displaying the name tag object on a predetermined placement point based on a point where the first object is inserted in the first document displayed on the browser. It includes.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동 편집 대상 문서 상에서 편집을 수행하고 있는 다른 유저의 이름 표시가 가능한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은 문서에 대한 공동 편집을 관리하는 관리 서버에 의해 제1 문서에 대한 공동 편집 세션이 생성된 후 사용자에 의해 상기 공동 편집 세션으로의 참가 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공동 편집 세션에 참가하기 위한 세션 참가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제1 문서를 구성하는 문서 데이터 - 상기 문서 데이터는 상기 제1 문서가 브라우저에 의해 마크업 언어 기반 문서로 렌더링되도록 구성된 모델 데이터임 - 를 수신하고, 상기 브라우저를 통해 상기 문서 데이터를 파싱하여 상기 브라우저 상에 상기 제1 문서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브라우저 상에 상기 제1 문서가 표시된 이후, 상기 제1 문서의 공동 편집을 위해 상기 공동 편집 세션에 참가하고 있는 복수의 유저들 중 상기 사용자를 제외한 다른 유저인 제1 유저에 의해 상기 제1 문서 상에 삽입되어 있는 제1 개체에 대한 편집이 수행됨에 따라,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유저에 대한 이름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1 유저의 이름이 삽입된 이름표 개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이름표 개체가 생성되면, 상기 브라우저 상에서 표시되고 있는 상기 제1 문서에서 상기 제1 개체가 삽입되어 있는 지점을 기준으로 선정된 배치 지점 상에 상기 이름표 개체를 배치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an operation method of a client terminal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a name of another user who is performing editing on a co-editing target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first document by a management server managing co-editing of a document. If a join command to the co-editing session is authorized by the user after the co-editing session is created, performing a session joining process for accessing the management server to join the co-editing session, from the management server; Receive document data constituting a first document, the document data being model data configured to be rendered by the browser as a markup language-based document, and parsing the document data via the browser to Displaying the first document on the browser; the first door on the browser After the book is displayed, a first entity inserted on the first document by a first user other than the user among the plurality of users participating in the co-editing session for the co-editing of the first document As editing is performed, when name information about the first user is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generating a name tag object into which the name of the first user is inserted, and when the name tag object is generated, on the browser Arranging and displaying the name tag object on a placement point selected based on a point at which the first object is inserted in the first document being displayed.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의 브라우저를 통해 공동 편집 대상이 되는 제1 문서가 표시된 이후 공동 편집 세션에 참가한 다른 유저인 제1 유저에 의해서 상기 제1 문서 상에 삽입되어 있는 특정 개체에 대한 편집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제1 유저에 대한 이름을 상기 특정 개체의 인접 지점에 표시함으로써,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다른 유저에 의해서 발생되는 편집 상황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a first document to be co-edited is displayed through a browser of a client terminal device, editing of a specific object inserted on the first document is generated by a first user who is another user who participated in the co-editing session. In this case, the name of the first user may be displayed at an adjacent point of the specific entity, so that the user of the client terminal apparatus can check the editing situation generated by another user at a gla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동 편집 대상 문서 상에서 편집을 수행하고 있는 다른 유저의 이름 표시가 가능한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동 편집 대상 문서 상에서 편집을 수행하고 있는 다른 유저의 이름 표시가 가능한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동 편집 대상 문서 상에서 편집을 수행하고 있는 다른 유저의 이름 표시가 가능한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client terminal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a name of another user who is performing editing on a co-editing target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a client terminal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a name of another user who is performing editing on a co-editing target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client terminal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a name of another user who is performing editing on a joint editing target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설명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으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descrip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describing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and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be us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has the same meaning as is commonly understood by someone who has i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동 편집 대상 문서 상에서 편집을 수행하고 있는 다른 유저의 이름 표시가 가능한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client terminal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a name of another user who is performing editing on a co-editing target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동 편집 대상 문서 상에서 편집을 수행하고 있는 다른 유저의 이름 표시가 가능한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110)는 세션 참가 처리부(111), 문서 표시부(112), 이름표 개체 생성부(113) 및 이름표 개체 표시부(114)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client terminal device 110 capable of displaying a name of another user who is performing editing on a co-editing target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ssion participation processor 111 and a document display unit 112. And a name tag object generating unit 113 and a name tag object displaying unit 114.

세션 참가 처리부(111)는 문서에 대한 공동 편집을 관리하는 관리 서버(130)에 의해 제1 문서에 대한 공동 편집 세션이 생성된 후 사용자에 의해 상기 공동 편집 세션으로의 참가 명령이 인가되면, 관리 서버(130)에 접속하여 상기 공동 편집 세션에 참가하기 위한 세션 참가 처리를 수행한다.The session joining processing unit 111 manages when a join command to the co-editing session is authorized by the user after a co-editing session for the first document is generated by the management server 130 managing co-editing of the document. The server 130 accesses the server 130 and performs a session join process for joining the co-editing session.

문서 표시부(112)는 관리 서버(130)로부터 상기 제1 문서를 구성하는 문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브라우저를 통해 상기 문서 데이터를 파싱(parsing)하여 상기 브라우저 상에 상기 제1 문서를 표시한다.The document display unit 112 receives document data constituting the first document from the management server 130, parses the document data through the browser, and displays the first document on the browser.

여기서, 상기 문서 데이터란 상기 제1 문서가 브라우저에 의해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 기반 문서로 렌더링되도록 구성된 모델 데이터를 의미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문서를 구성하는 텍스트, 개체, 서식 등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에 대한 모델 데이터로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포맷으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문서 데이터가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110)에 수신되면, 문서 표시부(112)는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110)에 탑재되어 있는 브라우저를 통해서, JSON 포맷으로 구성되어 있는 상기 문서 데이터를 파싱하여 상기 제1 문서에 대한 마크업 언어 코드를 생성한 후 상기 마크업 언어 코드를 기초로 문서 객체 모델(Document Object Model: DOM)을 생성하여 DOM을 기초로 상기 브라우저 상에서 상기 제1 문서를 렌더링하여 표시할 수 있다.Here, the document data refers to model data configured to render the first document as a Markup Language-based document by a browser, and specifically, text, an object, a format, etc. constituting the first document. Model data for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can be configured in the JavaScript Object Notation (JSON) format. In this case, when the document data is received by the client terminal device 110, the document display unit 112 parses the document data configured in the JSON format by using a browser mounted on the client terminal device 110. After generating a markup language code for a document, a document object model (DOM)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markup language code to render and display the first document on the browser based on the DOM. have.

이렇게, 상기 브라우저 상에 상기 제1 문서가 표시되면,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110)를 통해서 상기 브라우저 상에서 표시되고 있는 상기 제1 문서에 대해 다양한 편집 명령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브라우저 상에서 표시되고 있는 상기 제1 문서를 편집할 수 있고, 이때,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110)는 사용자에 의해서 인가되는 편집 명령을 관리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 서버(130)는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11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편집 명령을 상기 공동 편집 세션에 참가하고 있는 다른 유저들의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다른 유저들의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들이 각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의 브라우저 상에서 표시되고 있는 상기 제1 문서 상에 상기 편집 명령을 적용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As such, when the first document is displayed on the browser, the user applies the various editing commands to the first document being displayed on the browser through the client terminal device 110 to display the first document displayed on the browser. The first document may be edited, and in this case, the client terminal device 110 may transmit an editing command authorized by the user to the management server 130. 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130 transmits the editing command received from the client terminal device 110 to the client terminal device of other users participating in the co-editing session, whereby the client terminal devices of the other users are each client terminal device. And apply the editing command to the first document being displayed on the browser of.

만약,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110)의 상기 브라우저 상에 상기 제1 문서가 표시된 이후, 상기 공동 편집 세션에 참가하고 있는 복수의 유저들 중 상기 사용자를 제외한 다른 유저인 제1 유저에 의해 상기 제1 문서 상에 삽입되어 있는 제1 개체에 대한 편집이 수행됨에 따라 관리 서버(130)에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로부터 편집 명령이 수신되어, 관리 서버(130)가 상기 제1 유저에 의해 상기 제1 개체에 대한 편집이 수행되는 것으로 확인하게 되면, 관리 서버(130)는 상기 제1 유저에 의해서 발생한 상기 제1 개체에 대한 편집 명령을 상기 공동 편집 세션에 참가하고 있는 복수의 유저들 중 상기 제1 유저를 제외한 나머지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로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유저에 대한 이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복수의 유저들 중 상기 제1 유저를 제외한 나머지 유저들의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로 상기 제1 유저에 대한 이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If the first document is displayed on the browser of the client terminal device 110, the first document is selected by a first user other than the user among the plurality of users participating in the co-editing session. As editing of the first entity inserted into the image is performed, an editing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client terminal device of the first user by the management server 130, and the management server 130 is executed by the first user.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editing on the first entity is performed, the management server 130 may send the editing command for the first entity generated by the first user to the co-editing session. The name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is generated at the same time as transmitting to the remaining client terminal apparatuses except for the one user, and the first user of the plurality of users is generated. To the client terminal device of the user may transmit the rest except the name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이렇게, 상기 제1 유저에 의해 상기 제1 문서 상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제1 개체에 대한 편집이 수행됨에 따라 관리 서버(130)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110)로 상기 제1 유저에 대한 이름 정보가 수신되면, 이름표 개체 생성부(113)는 상기 제1 유저의 이름이 삽입된 이름표 개체를 생성한다.In this way, as the first user edits the first entity inserted on the first document, name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is transferr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130 to the client terminal device 110. When received, the name tag object generating unit 113 generates a name tag object into which the name of the first user is inserted.

여기서, 개체란 문서 상에 삽입 가능한 텍스트, 도형, 이미지, 표 등과 같은 편집 가능한 콘텐츠를 의미한다.Here, the object refers to editable content such as text, a figure, an image, a table, and the like, which can be inserted into a document.

그리고, 이름표 개체 표시부(114)는 상기 이름표 개체가 생성되면, 상기 브라우저 상에서 표시되고 있는 상기 제1 문서에서 상기 제1 개체가 삽입되어 있는 지점을 기준으로 선정된(predetermined) 배치 지점 상에 상기 이름표 개체를 배치하여 표시한다.In addition, when the name tag object is generated, the name tag object display unit 114 displays the name tag on a predetermined placement point based on a point where the first object is inserted in the first document displayed on the browser. Place and display objects.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그림과 같이, 상기 제1 문서 상에 원형 도형이라는 제1 개체(210)가 존재하고, 'Hong Gil Dong'이라는 이름을 갖는 상기 제1 유저에 의해서 제1 개체(210)에 편집이 수행된다고 한다면, 이름표 개체 생성부(113)는 'Hong Gil Dong'이라는 이름이 삽입된 이름표 개체(230)를 생성할 수 있고, 이름표 개체 표시부(114)는 이름표 개체(230)를 제1 개체(210)가 존재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선정된 배치 지점 상에 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a first entity 210 exists as a circular figure on the first document and the first entity 210 is named by the first user named 'Hong Gil Dong'. ), The name tag object generator 113 may generate a name tag object 230 in which the name 'Hong Gil Dong' is inserted, and the name tag object display unit 114 may generate the name tag object 230. The display may be arranged on a placement point selected based on a point where the first object 210 exists.

이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110)의 사용자는 상기 브라우저 상에서 표시되고 있는 상기 제1 문서에서 표시되는 이름표 개체(230)를 보고 제1 개체(210)에 'Hong Gil Dong'이라는 이름을 갖는 상기 제1 유저에 의해 편집이 수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user of the client terminal device 110 looks at the name tag object 230 displayed in the first document being displayed on the browser, and the first object 210 has the name 'Hong Gil Dong'. 1 You can see that editing is being performed by the user.

이때,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110)는 상기 제1 문서 상에 이름표 개체(230)를 표시함과 동시에 관리 서버(130)로부터 수신되는 제1 개체(210)에 대한 상기 제1 유저의 편집 명령을 수신해서 상기 브라우저 상에서 표시되고 있는 상기 제1 문서 상에서 제1 개체(210)에 대해 상기 제1 유저에 의해서 발생한 편집 명령을 적용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client terminal device 110 displays the name tag entity 230 on the first document and receives an editing command of the first user for the first entity 210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130. Thus, the editing command generated by the first user is applied to the first object 210 on the first document displayed on the brows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름표 개체 생성부(113)는 상기 이름표 개체의 생성을 위해 사각형 형상의 도형 개체를 생성한 후 상기 도형 개체 상에 상기 제1 유저의 이름을 삽입하여 사각형 형상을 갖는 상기 이름표 개체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ame tag object generating unit 113 generates a rectangular shape object for generating the name tag object and inserts the first user's name on the figure object to form a rectangular shape. The name tag object may be created.

이때, 이름표 개체 표시부(114)는 사각 영역 생성부(115), 좌표 확인부(116), 이름표 배치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name tag object display unit 114 may include a rectangular area generating unit 115, a coordinate checking unit 116, and a name tag placing unit 117.

사각 영역 생성부(115)는 상기 브라우저 상에서 표시되고 있는 상기 제1 문서 상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제1 개체에 대해 상기 제1 개체의 외곽 영역을 감싸는 가상의 사각 영역을 생성한다.The blind spot generation unit 115 generates a virtual blind spot surrounding an outer area of the first object with respect to the first object inserted in the first document displayed on the browser.

좌표 확인부(116)는 상기 가상의 사각 영역을 구성하는 4개의 꼭짓점들 중 선정된 제1 지점에 위치해 있는 제1 꼭짓점의 상기 제1 문서 상에서의 제1 좌표를 확인한다.The coordinate checking unit 116 verifies the first coordinates on the first document of the first vertex located at the selected first point among the four vertices constituting the virtual rectangular area.

이름표 배치부(117)는 사각형 형상을 갖는 상기 이름표 개체를 구성하는 4개의 꼭짓점들 중 선정된 제2 지점에 위치해 있는 제2 꼭짓점의 상기 제1 문서 상에서의 위치가 상기 제1 좌표가 되도록 상기 이름표 개체를 상기 제1 문서 상에 배치한다.The name tag arranging unit 117 may include the name tag so that the position on the first document of the second vertex located at the selected second point among the four vertices constituting the name tag entity having a rectangular shape becomes the first coordinate. Place the object on the first document.

관련해서, 도 2에 도시된 그림을 참조하여 이름표 개체 생성부(113)와 이름표 개체 표시부(114)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relation to this, operations of the name tag object generating unit 113 and the name tag object display unit 114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igure shown in FIG. 2.

우선, 이름표 개체 생성부(113)는 도 2에 도시된 그림과 같이, 사각형 형상의 도형 개체(230)를 생성한 후 도형 개체(230) 상에 상기 제1 유저의 이름인 'Hong Gil Dong'을 삽입하여 사각형 형상을 갖는 이름표 개체(230)를 생성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2, the name tag object generating unit 113 generates a rectangular shape object 230 and then displays the first user's name 'Hong Gil Dong' on the shape object 230. Insert the to create a name tag object 230 having a rectangular shape.

이때, 사각 영역 생성부(115)는 도 2에 도시된 그림과 같이, 상기 브라우저 상에서 표시되고 있는 상기 제1 문서 상에 삽입되어 있는 제1 개체(210)에 대해 제1 개체(210)의 외곽 영역을 감싸는 가상의 사각 영역(220)을 생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lind spot generating unit 115, as shown in FIG. 2, the outside of the first object 210 with respect to the first object 210 inserted in the first document displayed on the browser. A virtual rectangular area 220 surrounding the area may be generated.

그리고, 좌표 확인부(116)는 가상의 사각 영역(220)을 구성하는 4개의 꼭짓점들 중 선정된 제1 지점에 위치해 있는 제1 꼭짓점의 상기 제1 문서 상에서의 제1 좌표를 확인할 수 있다.The coordinate checking unit 116 may check first coordinates on the first document of the first vertex located at the selected first point among the four vertices constituting the virtual rectangular area 220.

여기서, 상기 선정된 제1 지점에 위치해 있는 제1 꼭짓점을 도면부호 240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가상의 사각 영역(220)을 구성하는 4개의 꼭짓점들 중 좌측 상단에 위치하는 꼭짓점(240)이라고 한다면, 좌표 확인부(116)는 제1 꼭짓점(240)의 상기 제1 문서 상에서의 제1 좌표를 확인할 수 있다.Here, if the first vertex located at the selected first point is a vertex 240 located at the upper left of the four vertices constituting the virtual rectangular area 220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240, The coordinate checking unit 116 may check first coordinates of the first vertex 240 on the first document.

이렇게, 제1 꼭짓점(240)의 상기 제1 문서 상에서의 상기 제1 좌표가 확인되면, 이름표 배치부(117)는 사각형 형상을 갖는 이름표 개체(230)를 구성하는 4개의 꼭짓점들 중 선정된 제2 지점에 위치해 있는 제2 꼭짓점의 상기 제1 문서 상에서의 위치가 상기 제1 좌표가 되도록 이름표 개체(230)를 상기 제1 문서 상에 배치할 수 있다.As such, when the first coordinates on the first document of the first vertex 240 are confirmed, the name tag arranging unit 117 selects the selected first of the four vertices constituting the name tag object 230 having a rectangular shape. The name tag object 230 may be placed on the first document such that the position of the second vertex located at two points on the first document becomes the first coordinate.

관련해서, 상기 선정된 제2 지점에 위치해 있는 상기 제2 꼭짓점이 이름표 개체(230)를 구성하는 4개의 꼭짓점들 중 좌측 하단에 위치하는 꼭짓점이라고 한다면, 이름표 배치부(117)는 도 2에 도시된 그림과 같이, 이름표 개체(230)의 제2 꼭짓점의 좌표가 제1 꼭짓점(240)에 대한 상기 제1 문서 상에서의 좌표인 상기 제1 좌표가 되도록 이름표 개체(230)를 상기 제1 문서 상에 배치할 수 있다.In this regard, if the second vertex located at the selected second point is a vertex located at the lower left of the four vertices constituting the name tag entity 230, the name tag placement unit 117 is shown in FIG. 2. As shown in the figure, the name tag object 230 is placed on the first document such that the coordinates of the second vertex of the name tag object 230 are the first coordinate that is the coordinate on the first document with respect to the first vertex 240. Can be placed 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름표 개체 생성부(113)는 대문자 추출부(118) 및 이니셜 삽입부(119)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ame tag object generating unit 113 may include an uppercase letter extraction unit 118 and the initial insertion unit 119.

대문자 추출부(118)는 상기 이름표 개체에 삽입될 상기 제1 유저의 이름이 영문자들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유저의 이름을 구성하는 영문자들의 개수가 선정된 제1 개수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1 유저의 이름을 구성하는 영문자들로부터 대문자의 영문자들을 추출한다.The capitalization extractor 118 confirms that the name of the first user to be inserted into the name tag object is composed of alphabetic characters, and the number of alphabetic characters constituting the name of the first user exceeds the selected first number. If it is, the uppercase alphabetic characters are extracted from the alphabetical characters constituting the first user's name.

이니셜 삽입부(119)는 상기 대문자의 영문자들이 추출되면, 상기 추출된 대문자의 영문자들의 개수가 선정된 제2 개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추출된 대문자의 영문자들의 개수가 상기 선정된 제2 개수를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추출된 대문자의 영문자들을 상기 제1 유저의 이름에 대한 이니셜로 확정하여 상기 이름표 개체 상에 상기 제1 유저의 이름 대신 상기 이니셜을 삽입한다.When the initial letter insertion unit 119 extracts the uppercase alphabetic characters, the initial insertion unit 119 checks whether the number of the uppercase alphabetic characters exceeds a selected second number, and the number of the uppercase alphabetic characters is selected. If it is confirmed that the number is not exceeded, the extracted uppercase alphabetic characters are determined as initials for the name of the first user, and the initials are inserted in place of the name of the first user on the name tag object.

이때, 이니셜 삽입부(119)는 상기 추출된 대문자의 영문자들의 개수가 상기 선정된 제2 개수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추출된 대문자의 영문자들 중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선정된 제3 개수(상기 선정된 제3 개수는 상기 선정된 제2 개수보다 작은 수임)의 대문자의 영문자들을 선택한 후 상기 선정된 제3 개수의 대문자의 영문자들을 상기 제1 유저의 이름에 대한 상기 이니셜로 확정하여 상기 이름표 개체 상에 상기 제1 유저의 이름 대신 상기 이니셜을 삽입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initial insertion unit 119 is determined that the number of the extracted uppercase alphabetic characters exceeds the selected second number, a third number selected from left to right among the extracted uppercase alphabetic characters Select the uppercase alphabetic letters (the number of the selected third number is smaller than the selected second number), and then determine the alphabetic letters of the selected third number of uppercase letters as the initials for the name of the first user. The initials may be inserted in place of the name of the first user on a name tag object.

관련해서, 도 2에 도시된 그림을 참조하여 대문자 추출부(118)와 이니셜 삽입부(119)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relation to this, operations of the capital letter extraction unit 118 and the initial insertion unit 119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 shown in FIG. 2.

우선, 상기 선정된 제1 개수가 '8개'라고 하면, 대문자 추출부(118)는 상기 제1 유저의 이름인 'Hong Gil Dong'을 구성하는 영문자들의 개수가 '8개'를 초과하기 때문에 상기 제1 유저의 이름인 'Hong Gil Dong'으로부터 대문자의 영문자들인 'HGD'을 추출할 수 있다.First, if the selected first number is '8', the capital letter extracting unit 118 may have a number of alphabetic characters constituting the first user's name 'Hong Gil Dong' since the number exceeds '8'. An uppercase alphabetic character 'HGD' may be extracted from the first user's name 'Hong Gil Dong'.

그러고 나서, 이니셜 삽입부(119)는 상기 대문자의 영문자들이 추출되면, 상기 추출된 대문자의 영문자들의 개수가 선정된 제2 개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추출된 대문자의 영문자들의 개수가 상기 선정된 제2 개수를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추출된 대문자의 영문자들을 상기 제1 유저의 이름에 대한 이니셜로 확정하여 이름표 개체(230) 상에 상기 제1 유저의 이름 대신 상기 이니셜을 삽입할 수 있다.Then, the initial insertion unit 119 checks whether the number of alphabetic letters of the uppercase letter is greater than the selected second number when the alphabetic letters of the uppercase letter are extracted, and the number of alphabetic letters of the uppercase letter extracted i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number of the selected second numbers does not exceed, the alphabetized letters of the extracted uppercase letters are determined as initials for the first user's name, and the initials are inserted on the name tag object 230 instead of the first user's name. can do.

관련해서, 상기 선정된 제2 개수가 '4개'라고 하는 경우, 'HGD'는 상기 선정된 제2 개수를 초과하지 않기 때문에 이니셜 삽입부(119)는 상기 추출된 대문자의 영문자들인 'HGD'를 상기 제1 유저의 이름에 대한 이니셜로 확정하여 이름표 개체(230) 상에 상기 제1 유저의 이름 대신 상기 이니셜인 'HGD'를 삽입할 수 있다.In this regard, when the selected second number is '4', since the 'HGD' does not exceed the selected second number, the initial insertion unit 119 may use 'HGD' which is the extracted capital letters. May be determined as an initial for the first user's name to insert the initial 'HGD' on the name tag entity 230 instead of the first user's name.

하지만, 대문자 추출부(118)에서 상기 제1 유저의 이름을 구성하는 대문자의 영문자들을 추출한 결과 'HGDAB'라고 하는 5개의 대문자의 영문자들이 추출되었다고 하는 경우, 'HGDAB'는 상기 선정된 제2 개수를 초과하기 때문에 이니셜 삽입부(119)는 'HGDAB' 중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선정된 제3 개수(상기 선정된 제3 개수는 상기 선정된 제2 개수보다 작은 수임)의 대문자의 영문자들을 선택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capital letters extracting unit 118 extracts the alphabet letters of the uppercase letters constituting the first user's name, it is determined that five alphabetic letters, such as 'HGDAB', are extracted. Since the initial insertion unit 119 may select the uppercase alphabetic letters of the third number selected from the left-to-right direction among the 'HGDAB' (the selected third number is smaller than the selected second number). have.

여기서, 상기 선정된 제3 개수를 '3개'라고 하는 경우, 이니셜 삽입부(119)는 'HGDAB'로부터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3개'의 대문자의 영문자들을 선택하여 'HGD'를 선택한 후 'HGD'를 상기 제1 유저의 이름에 대한 상기 이니셜로 확정하여 이름표 개체(230) 상에 상기 제1 유저의 이름 대신 상기 이니셜을 삽입할 수 있다.Here, when the selected third number is referred to as 'three', the initial insertion unit 119 selects 'HGD' by selecting alphabet letters of 'three' from left to right from 'HGDAB' and then selects 'HGD'. 'HGD' may be determined as the initial for the first user's name to insert the initial on the name tag entity 230 instead of the first user's nam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공동 편집 대상 문서 상에서 편집을 수행하고 있는 다른 유저의 이름 표시가 가능한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110)는 색상 테이블 유지부(120), 색상 정보 추출부(121) 및 이름표 개체 색상 변경 표시부(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ient terminal device 110 capable of displaying the name of another user who is editing on the co-editing target document includes a color table holding unit 120, a color information extracting unit 121, and a name tag. The object color change display unit 122 may be further included.

색상 테이블 유지부(120)는 미리 정해진 복수의 편집 명령들과 상기 복수의 편집 명령들 각각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서로 다른 색상 정보가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는 색상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한다.The color table maintaining unit 120 stores and maintains a color table in which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editing commands and predetermined different col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editing commands are recorded.

예컨대, 상기 색상 테이블에는 하기의 표 1과 같이 정보가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For example, information may be recorded in the color table as shown in Table 1 below.

복수의 편집 명령들Multiple editing commands 색상 정보Color information 이동move 빨간색Red 확대enlargement 초록색green 축소reduction 노란색yellow ...... ......

색상 정보 추출부(121)는 상기 브라우저 상에서 표시되고 있는 상기 제1 문서에 상기 이름표 개체가 삽입되어 표시된 이후 상기 제1 유저에 의해 상기 제1 개체 상에 적용되어야 하는 제1 편집 명령이 발생함에 따라, 관리 서버(130)로부터 상기 제1 편집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색상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제1 편집 명령에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는 제1 색상 정보를 추출한다.The color information extracting unit 121 generates a first editing command to be applied on the first object by the first user after the name tag object is inserted and displayed in the first document displayed on the browser. When the first editing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130, the first color information record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editing command is extracted with reference to the color table.

이름표 개체 색상 변경 표시부(122)는 상기 제1 문서 상에 삽입되어 표시되고 있는 상기 이름표 개체의 배경 색상을 상기 제1 색상 정보에 따른 색상으로 변경하여 표시한다.The name tag object color change display unit 122 changes the background color of the name tag object being inserted and displayed on the first document into a color according to the first color information.

관련해서, 도 2에 도시된 그림과 같이, 상기 제1 문서 상에 이름표 개체(230)가 표시된 이후, 상기 제1 유저에 의해 제1 개체(210) 상에 적용되어야 하는 제1 편집 명령으로 개체의 크기를 확대시키는 편집 명령이 발생함에 따라, 관리 서버(130)로부터 개체의 크기를 확대시키는 편집 명령이 수신되면, 색상 정보 추출부(121)는 상기 표 1과 같은 색상 테이블을 참조하여 '확대'라는 상기 제1 편집 명령에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는 제1 색상 정보로 '초록색'을 추출할 수 있다.In relation to this, as shown in FIG. 2, after the name tag object 230 is displayed on the first document, the object is a first editing command to be applied on the first object 210 by the first user. As an editing command to enlarge the size of the object occurs, when an editing command to enlarge the size of the object is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130, the color information extracting unit 121 refers to the color table as shown in Table 1 above to enlarge the size of the object. 'Green' may be extracted as first color information record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editing command.

그리고, 이름표 개체 색상 변경 표시부(122)는 상기 제1 문서 상에 삽입되어 표시되고 있는 이름표 개체(230)의 배경 색상을 상기 제1 색상 정보에 따른 색상인 '초록색'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ame tag object color change display unit 122 may change the background color of the name tag object 230 inserted and displayed on the first document into 'green', which is a color according to the first color information. .

이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110)의 사용자는 상기 제1 유저가 제1 개체(210) 상에 어떠한 편집 명령을 인가하고 있는지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user of the client terminal device 110 can intuitively check which editing command the first user applies to the first object 210.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동 편집 대상 문서 상에서 편집을 수행하고 있는 다른 유저의 이름 표시가 가능한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client terminal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a name of another user who is performing editing on a joint editing target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S310)에서는 문서에 대한 공동 편집을 관리하는 관리 서버에 의해 제1 문서에 대한 공동 편집 세션이 생성된 후 사용자에 의해 상기 공동 편집 세션으로의 참가 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공동 편집 세션에 참가하기 위한 세션 참가 처리를 수행한다.In step S310, if a co-editing session for the first document is created by the management server managing co-editing of the document and a user is authorized to join the co-editing session, the user accesses the management server. A session join process for joining the co-editing session is performed.

단계(S320)에서는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제1 문서를 구성하는 문서 데이터(상기 문서 데이터는 상기 제1 문서가 브라우저에 의해 마크업 언어 기반 문서로 렌더링되도록 구성된 모델 데이터임)를 수신하고, 상기 브라우저를 통해 상기 문서 데이터를 파싱하여 상기 브라우저 상에 상기 제1 문서를 표시한다.In step S320, document data constituting the first document is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the document data is model data configured to render the first document as a markup language-based document by the browser), and the browser The document data is parsed through to display the first document on the browser.

단계(S330)에서는 상기 브라우저 상에 상기 제1 문서가 표시된 이후, 상기 제1 문서의 공동 편집을 위해 상기 공동 편집 세션에 참가하고 있는 복수의 유저들 중 상기 사용자를 제외한 다른 유저인 제1 유저에 의해 상기 제1 문서 상에 삽입되어 있는 제1 개체에 대한 편집이 수행됨에 따라,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유저에 대한 이름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1 유저의 이름이 삽입된 이름표 개체를 생성한다.In operation S330, after the first document is displayed on the browser, a first user who is a user other than the user among the plurality of users who participate in the co-editing session for the co-editing of the first document. As editing of the first object inserted on the first document is performed by the user, when name information about the first user is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a name tag object into which the name of the first user is inserted is generated. do.

단계(S340)에서는 상기 이름표 개체가 생성되면, 상기 브라우저 상에서 표시되고 있는 상기 제1 문서에서 상기 제1 개체가 삽입되어 있는 지점을 기준으로 선정된 배치 지점 상에 상기 이름표 개체를 배치하여 표시한다.In operation S340, when the name tag object is generated, the name tag object is placed and displayed on a placement point selected based on a point where the first object is inserted in the first document displayed on the browser.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제1 문서의 공동 편집을 위해 상기 공동 편집 세션에 참가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유저들 중 상기 제1 유저에 의해 상기 제1 문서 상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제1 개체에 대한 편집이 수행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유저에 대한 이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복수의 유저들 중 상기 제1 유저를 제외한 나머지 유저들의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로 상기 제1 유저에 대한 이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At this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agement server is on the first document by the first user of the plurality of users participating in the co-editing session for the co-editing of the first document If it is confirmed that the editing of the inserted first object is performed, name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is generated to the client terminal device of the remaining users other than the first user of the plurality of users. Name information about the user can be transmitted.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330)에서는 사각형 형상의 도형 개체를 생성한 후 상기 도형 개체 상에 상기 제1 유저의 이름을 삽입하여 사각형 형상을 갖는 상기 이름표 개체를 생성할 수 있고, 단계(S340)에서는 상기 브라우저 상에서 표시되고 있는 상기 제1 문서 상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제1 개체에 대해 상기 제1 개체의 외곽 영역을 감싸는 가상의 사각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가상의 사각 영역을 구성하는 4개의 꼭짓점들 중 선정된 제1 지점에 위치해 있는 제1 꼭짓점의 상기 제1 문서 상에서의 제1 좌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사각형 형상을 갖는 상기 이름표 개체를 구성하는 4개의 꼭짓점들 중 선정된 제2 지점에 위치해 있는 제2 꼭짓점의 상기 제1 문서 상에서의 위치가 상기 제1 좌표가 되도록 상기 이름표 개체를 상기 제1 문서 상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peration S330, the name object may be generated having a rectangular shape by generating a rectangular shape object and inserting the first user's name on the figure object. In operation S340, a virtual blind area surrounding an outer area of the first object is genera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object inserted in the first document displayed on the browser. Identifying first coordinates on the first document of the first vertex located at the first selected point among the four vertices constituting the region, and among the four vertices constituting the name tag object having a rectangular shape; Placing the name tag object on the first document such that the position on the first document of the second vertex located at the second predetermined point becomes the first coordinate. It may comprise the step of placing.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330)에서는 상기 이름표 개체에 삽입될 상기 제1 유저의 이름이 영문자들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유저의 이름을 구성하는 영문자들의 개수가 선정된 제1 개수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1 유저의 이름을 구성하는 영문자들로부터 대문자의 영문자들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대문자의 영문자들이 추출되면, 상기 추출된 대문자의 영문자들의 개수가 선정된 제2 개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추출된 대문자의 영문자들의 개수가 상기 선정된 제2 개수를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추출된 대문자의 영문자들을 상기 제1 유저의 이름에 대한 이니셜로 확정하여 상기 이름표 개체 상에 상기 제1 유저의 이름 대신 상기 이니셜을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S330, the name of the first user to be inserted into the name tag object is composed of English letters, and the number of English letters constituting the name of the first user is selected. Extracting uppercase alphabetic characters from alphabetic characters constituting the first user's name and if the uppercase alphabetic characters are extracted, the number of extracted uppercase alphabetic characters is selected. If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number of the extracted second uppercase letters does not exceed the selected second numbe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number of the extracted second uppercase letters is set. The method may include determining initials and inserting the initials instead of the first user's name on the name tag entity.

이때, 상기 이니셜을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대문자의 영문자들의 개수가 상기 선정된 제2 개수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추출된 대문자의 영문자들 중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선정된 제3 개수(상기 선정된 제3 개수는 상기 선정된 제2 개수보다 작은 수임)의 대문자의 영문자들을 선택한 후 상기 선정된 제3 개수의 대문자의 영문자들을 상기 제1 유저의 이름에 대한 상기 이니셜로 확정하여 상기 이름표 개체 상에 상기 제1 유저의 이름 대신 상기 이니셜을 삽입할 수 있다.In this case, in the inserting of the initial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number of the extracted alphabet letters of the uppercase letters exceeds the selected second number, the third number selected from the left to the right direction among the extracted alphabet letters Select the uppercase alphabetic letters (the number of the selected third number is smaller than the selected second number), and then determine the alphabetic letters of the selected third number of uppercase letters as the initials for the name of the first user. The initials may be inserted in place of the name of the first user on a name tag object.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동 편집 대상 문서 상에서 편집을 수행하고 있는 다른 유저의 이름 표시가 가능한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은 미리 정해진 복수의 편집 명령들과 상기 복수의 편집 명령들 각각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서로 다른 색상 정보가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는 색상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하는 단계, 상기 브라우저 상에서 표시되고 있는 상기 제1 문서에 상기 이름표 개체가 삽입되어 표시된 이후 상기 제1 유저에 의해 상기 제1 개체 상에 적용되어야 하는 제1 편집 명령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제1 편집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색상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제1 편집 명령에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는 제1 색상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문서 상에 삽입되어 표시되고 있는 상기 이름표 개체의 배경 색상을 상기 제1 색상 정보에 따른 색상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operating a client terminal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a name of another user who is performing editing on the co-editing target document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editing commands and the plurality of editing commands. Storing and maintaining a color table corresponding to each of predetermined different col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wherein the name tag object is inserted and displayed in the first document displayed on the browser and then displayed by the first user. As a first editing command to be applied on the first entity occurs, when the first editing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a first record corresponding to the first editing command is recorded with reference to the color table. Extracting color information and the name inserted and displayed on the first document;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changing and displaying a background color of a table object as a color according to the first color information.

이상,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동 편집 대상 문서 상에서 편집을 수행하고 있는 다른 유저의 이름 표시가 가능한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동 편집 대상 문서 상에서 편집을 수행하고 있는 다른 유저의 이름 표시가 가능한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과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 공동 편집 대상 문서 상에서 편집을 수행하고 있는 다른 유저의 이름 표시가 가능한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110)의 동작에 대한 구성과 대응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above, the operation method of the client terminal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the name of another user who is editing on the co-editing target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Here, the operation method of the client terminal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the name of another user who is editing on the co-editing target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editing on the co-editing target docu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Since it may correspon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operation of the client terminal device 110 capable of displaying the name of another user performing, a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동 편집 대상 문서 상에서 편집을 수행하고 있는 다른 유저의 이름 표시가 가능한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An operation method of a client terminal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a name of another user who is performing editing on a co-edited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storage medium for execution by combining with a computer. Can b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동 편집 대상 문서 상에서 편집을 수행하고 있는 다른 유저의 이름 표시가 가능한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client terminal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the name of another user who is editing on the co-editing target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means. Can be written to a 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a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they may be of the kind well-known and available to those having skill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ic disks,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by the specific embodiment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is is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se descriptio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the things that are equivalent to or equivalent to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wi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10: 공동 편집 대상 문서 상에서 편집을 수행하고 있는 다른 유저의 이름 표시가 가능한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
111: 세션 참가 처리부 112: 문서 표시부
113: 이름표 개체 생성부 114: 이름표 개체 표시부
115: 사각 영역 생성부 116: 좌표 확인부
117: 이름표 배치부 118: 대문자 추출부
119: 이니셜 삽입부 120: 색상 테이블 유지부
121: 색상 정보 추출부 122: 이름표 개체 색상 변경 표시부
130: 관리 서버
110: Client terminal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the name of another user who is editing on the co-editing target document
111: session participation processor 112: document display unit
113: name tag object generating unit 114: name tag object display unit
115: rectangular area generating unit 116: coordinate check unit
117: name tag placement unit 118: capital letter extraction unit
119: initial insertion unit 120: color table holding unit
121: color information extraction unit 122: name tag object color change display unit
130: management server

Claims (12)

미리 정해진 복수의 편집 명령들과 상기 복수의 편집 명령들 각각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서로 다른 색상 정보가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는 색상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하는 색상 테이블 유지부;
문서에 대한 공동 편집을 관리하는 관리 서버에 의해 제1 문서에 대한 공동 편집 세션이 생성된 후 사용자에 의해 상기 공동 편집 세션으로의 참가 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공동 편집 세션에 참가하기 위한 세션 참가 처리를 수행하는 세션 참가 처리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제1 문서를 구성하는 문서 데이터 - 상기 문서 데이터는 상기 제1 문서가 브라우저에 의해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 기반 문서로 렌더링되도록 구성된 모델 데이터임 - 를 수신하고, 상기 브라우저를 통해 상기 문서 데이터를 파싱(parsing)하여 상기 브라우저 상에 상기 제1 문서를 표시하는 문서 표시부;
상기 브라우저 상에 상기 제1 문서가 표시된 이후, 상기 제1 문서의 공동 편집을 위해 상기 공동 편집 세션에 참가하고 있는 복수의 유저들 중 상기 사용자를 제외한 다른 유저인 제1 유저에 의해 상기 제1 문서 상에 삽입되어 있는 제1 개체에 대한 편집이 수행됨에 따라,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유저에 대한 이름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1 유저의 이름이 삽입된 이름표 개체를 생성하는 이름표 개체 생성부;
상기 이름표 개체가 생성되면, 상기 브라우저 상에서 표시되고 있는 상기 제1 문서에서 상기 제1 개체가 삽입되어 있는 지점을 기준으로 선정된(predetermined) 배치 지점 상에 상기 이름표 개체를 배치하여 표시하는 이름표 개체 표시부;
상기 브라우저 상에서 표시되고 있는 상기 제1 문서에 상기 이름표 개체가 삽입되어 표시된 이후 상기 제1 유저에 의해 상기 제1 개체 상에 적용되어야 하는 제1 편집 명령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제1 편집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색상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제1 편집 명령에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는 제1 색상 정보를 추출하는 색상 정보 추출부; 및
상기 제1 문서 상에 삽입되어 표시되고 있는 상기 이름표 개체의 배경 색상을 상기 제1 색상 정보에 따른 색상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이름표 개체 색상 변경 표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이름표 개체 생성부는
상기 이름표 개체에 삽입될 상기 제1 유저의 이름이 영문자들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유저의 이름을 구성하는 영문자들의 개수가 선정된 제1 개수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1 유저의 이름을 구성하는 영문자들로부터 대문자의 영문자들을 추출하는 대문자 추출부; 및
상기 대문자의 영문자들이 추출되면, 상기 추출된 대문자의 영문자들의 개수가 선정된 제2 개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추출된 대문자의 영문자들의 개수가 상기 선정된 제2 개수를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추출된 대문자의 영문자들을 상기 제1 유저의 이름에 대한 이니셜로 확정하여 상기 이름표 개체 상에 상기 제1 유저의 이름 대신 상기 이니셜을 삽입하는 이니셜 삽입부
를 포함하며,
상기 이니셜 삽입부는
상기 추출된 대문자의 영문자들의 개수가 상기 선정된 제2 개수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추출된 대문자의 영문자들 중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선정된 제3 개수(상기 선정된 제3 개수는 상기 선정된 제2 개수보다 작은 수임)의 대문자의 영문자들을 선택한 후 상기 선정된 제3 개수의 대문자의 영문자들을 상기 제1 유저의 이름에 대한 상기 이니셜로 확정하여 상기 이름표 개체 상에 상기 제1 유저의 이름 대신 상기 이니셜을 삽입하는 공동 편집 대상 문서 상에서 편집을 수행하고 있는 다른 유저의 이름 표시가 가능한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
A color table holding unit which stores and maintains a color table in which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editing commands and predetermined different col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editing commands are recorded correspondingly;
After a co-editing session for a first document is created by a management server managing co-editing of a document, and a user is authorized to join the co-editing session, the user accesses the management server and connects to the co-editing session. A session joining processor that performs session joining processing for joining;
Receive document data constituting the first document from the management server, the document data being model data configured to render the first document as a Markup Language based document by a browser; A document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the first document on the browser by parsing the document data through the browser;
After the first document is displayed on the browser, the first document by a first user other than the user among the plurality of users participating in the co-editing session for co-editing the first document. As editing of the first object inserted in the image is performed, when name information about the first user is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a name tag object generation unit generating a name tag object into which the name of the first user is inserted. ;
When the name tag object is generated, a name tag object display unit for arranging and displaying the name tag object on a predetermined placement point based on a point where the first object is inserted in the first document displayed on the browser. ;
After the name tag object is inserted and displayed in the first document being displayed on the browser, a first editing command to be applied on the first object is generated by the first user, thereby generating the first document from the management server. A color information extracting unit extracting first color information record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editing command by referring to the color table when an editing command is received; And
A name tag object color change display unit for changing the background color of the name tag object inserted and displayed on the first document into a color according to the first color information.
Including,
The name tag object generating unit
The first user, when the name of the first user to be inserted into the name tag object is composed of English characters and the number of English characters constituting the name of the first user exceeds the selected first number, Capital letter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the uppercase alphabetic characters from the alphabetic characters forming the name of; And
When the alphabetic letters of the capital letter are extracted, it is checked whether the number of alphabetic letters of the capitalized letter exceeds the selected second number, and the number of alphabetic letters of the extracted capital letters does not exceed the selected second number. When it is confirmed, the initial insertion unit inserting the initials instead of the first user's name on the name tag object by determining the extracted alphabetic characters as initials for the first user's name.
Including;
The initial insertion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number of the extracted uppercase alphabetic characters exceeds the selected second number, a third number selected from left to right directions among the extracted uppercase alphabetic characters (the selected third number is Select the uppercase alphabetic letters of the first number of uppercase alphabetic letters as the initials for the name of the first user, and select the first alphabetical letters of the first user on the name tag entity. A client terminal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a name of another user who is performing editing on a co-editing target document in which the initials are inserted instead of a n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제1 문서의 공동 편집을 위해 상기 공동 편집 세션에 참가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유저들 중 상기 제1 유저에 의해 상기 제1 문서 상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제1 개체에 대한 편집이 수행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유저에 대한 이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복수의 유저들 중 상기 제1 유저를 제외한 나머지 유저들의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로 상기 제1 유저에 대한 이름 정보를 전송하는 공동 편집 대상 문서 상에서 편집을 수행하고 있는 다른 유저의 이름 표시가 가능한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anagement server
Confirm that editing of the first entity inserted on the first document is performed by the first user among the plurality of users participating in the co-editing session for co-editing the first document. When the name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is generated and edited, the name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is transmitted to the client terminal device of the remaining users other than the first user. A client terminal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the name of another user runn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름표 개체 생성부는
사각형 형상의 도형 개체를 생성한 후 상기 도형 개체 상에 상기 제1 유저의 이름을 삽입하여 사각형 형상을 갖는 상기 이름표 개체를 생성하고,
상기 이름표 개체 표시부는
상기 브라우저 상에서 표시되고 있는 상기 제1 문서 상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제1 개체에 대해 상기 제1 개체의 외곽 영역을 감싸는 가상의 사각 영역을 생성하는 사각 영역 생성부;
상기 가상의 사각 영역을 구성하는 4개의 꼭짓점들 중 선정된 제1 지점에 위치해 있는 제1 꼭짓점의 상기 제1 문서 상에서의 제1 좌표를 확인하는 좌표 확인부; 및
사각형 형상을 갖는 상기 이름표 개체를 구성하는 4개의 꼭짓점들 중 선정된 제2 지점에 위치해 있는 제2 꼭짓점의 상기 제1 문서 상에서의 위치가 상기 제1 좌표가 되도록 상기 이름표 개체를 상기 제1 문서 상에 배치하는 이름표 배치부
를 포함하는 공동 편집 대상 문서 상에서 편집을 수행하고 있는 다른 유저의 이름 표시가 가능한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name tag object generating unit
After generating a rectangular shape object, and inserting the name of the first user on the figure object to generate the name tag object having a rectangular shape,
The name tag object display unit
A blind spot generation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virtual blind spot surrounding an outer area of the first object with respect to the first object inserted on the first document displayed on the browser;
A coordinate checking unit for checking a first coordinate on the first document of a first vertex located at a first selected point among four vertices constituting the virtual rectangular area; And
The name tag object is placed on the first document such that the position of the second vertex located at the selected second point among the four vertices constituting the name tag object having a rectangular shape is the first coordinate. Name tag placement to place in
The client terminal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a name of another user who is performing editing on the co-editing target document includ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색상 테이블 유지부가, 미리 정해진 복수의 편집 명령들과 상기 복수의 편집 명령들 각각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서로 다른 색상 정보가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는 색상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하는 단계;
세션 참가 처리부가, 문서에 대한 공동 편집을 관리하는 관리 서버에 의해 제1 문서에 대한 공동 편집 세션이 생성된 후 사용자에 의해 상기 공동 편집 세션으로의 참가 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공동 편집 세션에 참가하기 위한 세션 참가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문서 표시부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제1 문서를 구성하는 문서 데이터 - 상기 문서 데이터는 상기 제1 문서가 브라우저에 의해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 기반 문서로 렌더링되도록 구성된 모델 데이터임 - 를 수신하고, 상기 브라우저를 통해 상기 문서 데이터를 파싱(parsing)하여 상기 브라우저 상에 상기 제1 문서를 표시하는 단계;
이름표 개체 생성부가, 상기 브라우저 상에 상기 제1 문서가 표시된 이후, 상기 제1 문서의 공동 편집을 위해 상기 공동 편집 세션에 참가하고 있는 복수의 유저들 중 상기 사용자를 제외한 다른 유저인 제1 유저에 의해 상기 제1 문서 상에 삽입되어 있는 제1 개체에 대한 편집이 수행됨에 따라,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유저에 대한 이름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1 유저의 이름이 삽입된 이름표 개체를 생성하는 단계;
이름표 개체 표시부가, 상기 이름표 개체가 생성되면, 상기 브라우저 상에서 표시되고 있는 상기 제1 문서에서 상기 제1 개체가 삽입되어 있는 지점을 기준으로 선정된(predetermined) 배치 지점 상에 상기 이름표 개체를 배치하여 표시하는 단계;
색상 정보 추출부가, 상기 브라우저 상에서 표시되고 있는 상기 제1 문서에 상기 이름표 개체가 삽입되어 표시된 이후 상기 제1 유저에 의해 상기 제1 개체 상에 적용되어야 하는 제1 편집 명령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제1 편집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색상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제1 편집 명령에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는 제1 색상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이름표 개체 색상 변경 표시부가, 상기 제1 문서 상에 삽입되어 표시되고 있는 상기 이름표 개체의 배경 색상을 상기 제1 색상 정보에 따른 색상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이름표 개체를 생성하는 단계는
대문자 추출부가, 상기 이름표 개체에 삽입될 상기 제1 유저의 이름이 영문자들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유저의 이름을 구성하는 영문자들의 개수가 선정된 제1 개수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1 유저의 이름을 구성하는 영문자들로부터 대문자의 영문자들을 추출하는 단계; 및
이니셜 삽입부가, 상기 대문자의 영문자들이 추출되면, 상기 추출된 대문자의 영문자들의 개수가 선정된 제2 개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추출된 대문자의 영문자들의 개수가 상기 선정된 제2 개수를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추출된 대문자의 영문자들을 상기 제1 유저의 이름에 대한 이니셜로 확정하여 상기 이름표 개체 상에 상기 제1 유저의 이름 대신 상기 이니셜을 삽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이니셜을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대문자의 영문자들의 개수가 상기 선정된 제2 개수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추출된 대문자의 영문자들 중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선정된 제3 개수(상기 선정된 제3 개수는 상기 선정된 제2 개수보다 작은 수임)의 대문자의 영문자들을 선택한 후 상기 선정된 제3 개수의 대문자의 영문자들을 상기 제1 유저의 이름에 대한 상기 이니셜로 확정하여 상기 이름표 개체 상에 상기 제1 유저의 이름 대신 상기 이니셜을 삽입하는 공동 편집 대상 문서 상에서 편집을 수행하고 있는 다른 유저의 이름 표시가 가능한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
A color table holding unit storing and maintaining a color table in which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editing commands and predetermined different col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editing commands are recorded correspondingly;
If a session join processing unit is authorized by the user to join the co-editing session after the co-editing session for the first document is generated by the management server managing co-editing of the document, the session joining processor connects to the management server. Performing session participation processing to join the co-editing session;
A document display unit receives document data constituting the first document from the management server, the document data being model data configured to be rendered by the browser as a Markup Language based document; Displaying the first document on the browser by parsing the document data through the browser;
After the name tag object generation unit displays the first document on the browser, the name tag object generation unit may be configured to a first user who is a user other than the user among the plurality of users participating in the co-editing session for the co-editing of the first document. As editing of the first object inserted on the first document is performed by the user, when name information about the first user is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a name tag object into which the name of the first user is inserted is generated. Doing;
The name tag object display unit, when the name tag object is generated, places the name tag object on a predetermined placement point based on a point at which the first object is inserted in the first document displayed on the browser. Displaying;
As the color information extracting unit inserts and displays the name tag object in the first document being displayed on the browser, a first editing command to be applied on the first object by the first user is generated. If the first editing command is received from a server, extracting first color information record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editing command by referring to the color table; And
Displaying, by the name tag object color change display unit, changing the background color of the name tag object being inserted and displayed on the first document to a color according to the first color information;
Including,
Creating the name tag object
If the capitalization extracting unit is confirmed that the name of the first user to be inserted into the name tag object is composed of alphabetic characters, the number of alphabetic characters constituting the name of the first user exceeds the selected first number, Extracting uppercase alphabetic letters from alphabetical letters constituting the first user's name; And
When the initial insertion unit extracts the alphabet letters of the uppercase lette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number of alphabet letters of the extracted uppercase letter exceeds the selected second number, and the number of the alphabet letters of the extracted uppercase letter is determined as the selected second number. If not determined to exceed, initializing the extracted alphabetic letters as initials for the first user's name and inserting the initials instead of the first user's name on the name tag entity;
Including;
Inserting the initials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number of the extracted uppercase alphabetic characters exceeds the selected second number, a third number selected from left to right directions among the extracted uppercase alphabetic characters (the selected third number is Select the uppercase alphabetic letters of the first number of uppercase alphabetic letters as the initials for the name of the first user, and select the first alphabetical letters of the first user on the name tag entity. A method of operating a client terminal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a name of another user who is performing editing on a co-editing target document in which the initials are inserted instead of a nam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제1 문서의 공동 편집을 위해 상기 공동 편집 세션에 참가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유저들 중 상기 제1 유저에 의해 상기 제1 문서 상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제1 개체에 대한 편집이 수행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유저에 대한 이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복수의 유저들 중 상기 제1 유저를 제외한 나머지 유저들의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로 상기 제1 유저에 대한 이름 정보를 전송하는 공동 편집 대상 문서 상에서 편집을 수행하고 있는 다른 유저의 이름 표시가 가능한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management server
Confirm that editing of the first entity inserted on the first document is performed by the first user among the plurality of users participating in the co-editing session for co-editing the first document. When the name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is generated and edited, the name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is transmitted to the client terminal device of the remaining users other than the first user. A method of operating a client terminal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the name of another user who is perform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름표 개체를 생성하는 단계는
사각형 형상의 도형 개체를 생성한 후 상기 도형 개체 상에 상기 제1 유저의 이름을 삽입하여 사각형 형상을 갖는 상기 이름표 개체를 생성하고,
상기 이름표 개체를 배치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사각 영역 생성부가, 상기 브라우저 상에서 표시되고 있는 상기 제1 문서 상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제1 개체에 대해 상기 제1 개체의 외곽 영역을 감싸는 가상의 사각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
좌표 확인부가, 상기 가상의 사각 영역을 구성하는 4개의 꼭짓점들 중 선정된 제1 지점에 위치해 있는 제1 꼭짓점의 상기 제1 문서 상에서의 제1 좌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이름표 배치부가, 사각형 형상을 갖는 상기 이름표 개체를 구성하는 4개의 꼭짓점들 중 선정된 제2 지점에 위치해 있는 제2 꼭짓점의 상기 제1 문서 상에서의 위치가 상기 제1 좌표가 되도록 상기 이름표 개체를 상기 제1 문서 상에 배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공동 편집 대상 문서 상에서 편집을 수행하고 있는 다른 유저의 이름 표시가 가능한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Creating the name tag object
After generating a rectangular shape object, and inserting the name of the first user on the figure object to generate the name tag object having a rectangular shape,
Placing and displaying the name tag object
Generating a virtual blind area surrounding the outer area of the first object with respect to the first object inserted in the first document displayed on the browser;
Checking, by a coordinate checking unit, a first coordinate on the first document of a first vertex located at a first selected point among four vertices constituting the virtual rectangular area; And
The name tag arrangement may be configured to identify the name tag object such that the position of the second vertex located at the selected second point among the four vertices constituting the name tag object having a rectangular shape is the first coordinate. Placing on the first document
Operating method of the client terminal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the name of the other user performing the editing on the co-editing target document includ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6항, 제7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6, 7, or 8. 제6항, 제7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storage mediu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6, 7, or 8 in combination with a computer.
KR1020180064618A 2018-06-05 2018-06-05 Client terminal device for displaying the names of other users who are performing editing on the collaboration docu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ctive KR1020105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618A KR102010522B1 (en) 2018-06-05 2018-06-05 Client terminal device for displaying the names of other users who are performing editing on the collaboration docu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618A KR102010522B1 (en) 2018-06-05 2018-06-05 Client terminal device for displaying the names of other users who are performing editing on the collaboration docu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0522B1 true KR102010522B1 (en) 2019-08-13

Family

ID=67624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4618A Active KR102010522B1 (en) 2018-06-05 2018-06-05 Client terminal device for displaying the names of other users who are performing editing on the collaboration docu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0522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2450A (en) * 2020-01-16 2021-07-26 (주)코젠아이 Electronic research note deitor system that can be managed by product
CN114861611A (en) * 2022-05-11 2022-08-05 成都咕咕知识管家科技有限公司 A kind of hypertext collaborative editing method, device and equipment
KR20220141973A (en) 2021-04-14 2022-10-21 울산과학기술원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document progress in real ti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504B1 (en) * 2011-10-14 2012-06-25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Terminal device and document cooperation editing method of the terminal device
KR20170029020A (en) * 2007-11-09 2017-03-14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Collaborative authoring
KR101826625B1 (en) * 2016-08-04 2018-02-07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Document collaborative support apparatus supporting simultaneous editing of docu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9020A (en) * 2007-11-09 2017-03-14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Collaborative authoring
KR101159504B1 (en) * 2011-10-14 2012-06-25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Terminal device and document cooperation editing method of the terminal device
KR101826625B1 (en) * 2016-08-04 2018-02-07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Document collaborative support apparatus supporting simultaneous editing of docu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2450A (en) * 2020-01-16 2021-07-26 (주)코젠아이 Electronic research note deitor system that can be managed by product
KR102475389B1 (en) 2020-01-16 2022-12-07 (주)코젠아이 Electronic research note deitor system that can be managed by product
KR20220141973A (en) 2021-04-14 2022-10-21 울산과학기술원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document progress in real time
KR102563629B1 (en) * 2021-04-14 2023-08-07 울산과학기술원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document progress in real time
CN114861611A (en) * 2022-05-11 2022-08-05 成都咕咕知识管家科技有限公司 A kind of hypertext collaborative editing method, device and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6477B1 (en) Document collaboration apparatus for supporting simultaneous style editing of object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9870484B2 (en) Document redaction
KR102010522B1 (en) Client terminal device for displaying the names of other users who are performing editing on the collaboration docu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75425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erifying simultaneous edit configuration for markup language based document
CN112513922B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mpanion enhancements to books via learning insert advertisements using a publishing platform
KR102087280B1 (en) Server for editing electronic document based on message including edit command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10060808A (en) Document editing device to check whether the font applied to the document is a supported fo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797573B1 (en) Web based spreadsheets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CN105940370A (en) Providing print view of document for editing in web-based application
KR102087274B1 (en) Web electric document editing apparatus for rendering objec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168324B1 (en) Electronic terminal device capable of changing the state of each object in a web-based document creation environment associated with a document editing serv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809460B1 (en) Client terminal device capable of pasting external content to a web document according to a style attribute supported by the web document editing too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013620B1 (en) Web based document editing server for changing template of web based docu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087247B1 (en) Web electric document editing apparatus for rendering drawing objec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Sato et al. Exploratory analysis of collaborative web accessibility improvement
KR102053079B1 (en) Electronic document editing apparatus capable of displaying caption-based reference object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045748B1 (en) Hmd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a vr-based presentation docu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758098B1 (en) Electronic terminal apparatus for copying to keep the shape of the character in the pdf document and method for copying to keep the shape of the character in the pdf document of the electronic terminal apparatus
KR101991297B1 (en) Web-based document editing support apparatus for customizing document editing interfa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010553B1 (en) Client terminal apparatus capable of propagating an edit command based on a block chain in a document collaborative editing environ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150199322A1 (en) Operating Method of Terminal for Proofreading Electronic Document
KR101965722B1 (en) Apparatus for ensuring editing reliability in respect of web document according to whether to edit single or edit simultaneously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215576B1 (en) Document editing server that enables co-editing of web-based documents based on object identifier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10050156A (en) Font verification server to verify whether the font applied to a document is authorized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857999B1 (en) Terminal device supporting the creation of a presentation document capable of guiding the document correc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8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8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7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