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9679B1 - Terminal and method for performing memo function using touch pen - Google Patents
Terminal and method for performing memo function using touch pe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09679B1 KR102009679B1 KR1020120130587A KR20120130587A KR102009679B1 KR 102009679 B1 KR102009679 B1 KR 102009679B1 KR 1020120130587 A KR1020120130587 A KR 1020120130587A KR 20120130587 A KR20120130587 A KR 20120130587A KR 102009679 B1 KR102009679 B1 KR 1020096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mo
- input
- data
- schedule
- area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펜을 이용한 메모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일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다수의 일정 영역들이 포함된 일정 관리 화면을 표시하고, 다수의 일정 영역들 중 특정 일정 영역에 터치 펜에 의한 호버링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면 특정 일정 영역에 해당하는 메모 입력 화면을 표시한 후 메모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특정 일정 영역과 입력된 메모 데이터를 대응시켜 저장함으로써 사용자가 일정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면서 편리하게 메모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and a method for performing a memo function using a touch pen.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schedule management screen including a plurality of schedule regions when a schedule application is executed, and when a hovering event is generated by a touch pen in a specific schedule region among a plurality of schedule regions,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a specific schedule region. When the memo input is completed after the memo input screen is displayed, the memo function can be conveniently used by the user by using the schedule application by storing the memo data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schedule area.
Description
본 발명은 입력 장치를 이용한 메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 펜 또는 손가락에 의한 호버링 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에 메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and a method for performing a memo function using an inpu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rminal and a method for performing a memo function during execution of a specific application as a hovering event by a touch pen or a finger occurs. It is about.
휴대 단말기는 이동성을 기반으로 폭넓은 사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휴대 단말기 중에 이동하면서도 음성 통화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국민 대다수가 사용하고 있을 정도로 그 인기가 매우 높은 휴대 단말기이다. 한편 휴대 단말기는 이동통신 기능 지원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용자 기능 예를 들어 파일 재생 기능, 파일 검색 기능, 파일 편집 기능 등을 지원한다.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술한 다양한 기능을 운용할 수 있다. Portable terminals are widely used based on mobility. In particula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capable of making voice calls while moving among the portable terminals are very popular portable terminals used by the majority of the people. Meanwhile, the mobile terminal supports not only a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but also various user functions such as a file play function, a file search function, a file edit function, and the like. The user can operate the above-described various functions by using the portable terminal.
그런데 휴대 단말기의 경우 휴대의 용이성 지원을 위하여 그 크기가 제한되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영역의 크기는 일반 TV 모니터 등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특징이 있다. 이러한 작은 크기의 표시부를 기반으로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수행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이에 대응하여 종래에는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터치 이외에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터치 펜을 이용하여 입력 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사용자는 터치 펜을 이용하여 보다 세밀한 터치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펜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된 메뉴 아이콘을 선택하고, 선택된 메뉴 아이콘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이용할 수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 portable terminal, the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limited in order to support portability. As a result, the size of the display area displaying information is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a general TV monito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not easy to perform various user inputs based on such a small display. In response to this, conventionally, an input device is provided using a touch pen such as a stylus pen in addition to a touch of a user's finger. The user may use a finer touch or the like by using the touch pen. By using the touch pen, the user can select a menu ico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and drive and use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enu icon.
예를 들어,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입력 수단을 통해서 터치 스크린 상의 일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일정 관리 메뉴 아이콘의 선택이 있으면 선택된 일정 관리 메뉴 아이콘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고, 구동된 일정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하였다. 이때, 일정 어플리케이션 화면은 특정 달에 대응하는 다수의 날짜 영역을 포함한다. 이후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특정 날짜에 일정을 입력하기 위한 요청이 있으면 요청된 날짜에 대한 일정 입력 화면을 표시하고, 입력 수단을 통해서 일정 데이터의 입력이 완료되면 해당 날짜에 대해 입력된 일정을 저장하였다.For example, if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selects a schedule management menu icon for a schedule application on a touch screen through an input unit, the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drives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chedule management menu icon and displays the driven schedule application screen. In this case, the schedule application screen includes a plurality of date areas corresponding to a specific month. After that, when a request for inputting a schedule on a specific date is requested, the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displays a schedule input screen for the requested date, and when the input of the schedule data through the input means is completed, the portable terminal stores the input schedule for the corresponding date. .
상기와 같이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입력 수단을 통해서 일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고, 요청에 따라 특정 날짜에 대한 일정 입력 화면을 표시한 후 입력 완료된 일정 데이터를 저장하였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drives a schedule application through an input means, displays a schedule input screen for a specific date according to a request, and stores the input schedule data.
하지만, 종래에는 특정 날짜에 대한 필기와 같은 메모 데이터를 입력하고자 할 시 사용자가 메모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메모 데이터를 생성한 후 저장하고, 일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해당 날짜에 대한 일정 입력 화면에 메모 데이터를 첨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when a user wants to input memo data such as handwriting on a specific date, the user drives the memo application to generate memo data and stores the memo data. There was a hassle to attach.
또한 종래에는 사용자가 특정 날짜에 대한 메모 데이터를 입력하고자 할 시 휴대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 화면이 작아서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다수의 일정 영역이 작게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일정 영역 내에 메모 데이터를 입력하더라도 입력된 메모 데이터를 확인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In addition, conventionally, when a user wants to input memo data for a specific date, the touch screen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is small, so that a plurality of schedule area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re displayed small. There was a difficulty in checking the memo data.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터치 펜 또는 손가락과 같은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일정 어플리케이션 구동 시 특정 날짜에 대한 메모 데이터를 바로 생성 및 저장하기 위한 메모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 및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rminal and a method for performing a memo function for directly generating and storing memo data for a specific date when a certain application is driven using an input device such as a touch pen or a finger.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입력장치를 이용한 메모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의 상태를 인식하는 터치스크린 패널과, 일정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일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다수의 일정 영역들이 포함된 일정 관리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에 의해 상기 다수의 일정 영역들 중 특정 일정 영역에 상기 입력장치에 의한 호버링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특정 일정 영역에 해당하는 메모 입력 화면을 표시하며, 메모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특정 일정 영역과 입력된 메모 데이터를 대응시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erminal for performing a memo function using an input device, the touch screen panel recognizing a state of the input device, a storage unit storing data for a schedule application, and the schedule application. When the execution is performed, a schedule management screen including a plurality of schedule regions is displayed, and when a hovering event generated by the input device is detected in a specific schedule region among the plurality of schedule regions by the touch screen panel, the schedule management screen is displayed. A corresponding memo input screen is displayed, and when a memo input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stores the memo data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schedule area and stores the memo data.
또한, 본 발명은 입력장치를 이용한 메모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일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다수의 일정 영역들이 포함된 일정 관리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다수의 일정 영역들 중 특정 일정 영역에 상기 입력장치에 의한 호버링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특정 일정 영역에 해당하는 메모 입력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과, 메모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특정 일정 영역과 입력된 메모 데이터를 대응시켜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erforming a memo function using an input device, when a schedule application is executed, displaying a schedule management screen including a plurality of schedule areas, and in a specific schedule area of the plurality of schedule areas; Displaying a memo input scree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predetermined area when a hovering event is detected by the input device; and storing the memo data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certain area when the memo input is completed;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은 일정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일정 기록을 위한 기능을 사용할 시 사용자가 메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메모를 저장하고, 이를 일정에 첨부하는 번거로움 없이 특정 날짜에 대한 메모를 바로 입력 및 저장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when using a function for recording a schedule, such as a schedule application, the user can run the memo application to store the memo, and directly input and store the memo for a specific date without the hassle of attaching it to the schedule .
또한 본 발명은 일정 어플리케이션 화면 내 일정 영역의 크기에 대한 제약 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메모 데이터를 입력 및 저장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user can input and store the desired memo data without restriction on the size of a certain area in the schedule application scree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일정 어플리케이션 구동 중에 특정 일정 영역 내에 터치 펜에 의한 호버링 이벤트를 인식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일정 어플리케이션 구동 중에 휴대 단말기가 터치 펜을 이용하여 특정 날짜 영역에 대응하는 메모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일정 어플리케이션 구동 중에 휴대 단말기가 터치 펜을 이용하여 특정 날짜 영역에 대응하는 메모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하는 예시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4 and 5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ognizing a hovering event by a touch pen in a specific predetermined area while driving a certai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for a mobile terminal to input memo data corresponding to a specific date area by using a touch pen while driving a certai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10 are exemplary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for a mobile terminal to input memo data corresponding to a specific date area by using a touch pen while driving a certai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 exemplary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xemplary embodiment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members that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장치(100)는 서브통신 모듈(130), 커넥터(165), 및 이어폰 연결잭(167)과 같은 외부 장치 연결부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상기 장치(100)에 탈착되어 유선으로 연결 가능한 이어폰(Earphone), 외부 스피커(External speaker),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충전기, 크래들/도크(Cradle/Dock), DMB 안테나, 모바일 결제 관련 장치, 건강 관리 장치(혈당계 등), 게임기, 자동차 내비게이션 장치 등 다양한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장치"는 근거리 통신에 의하여 무선으로 상기 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는 블루투스 통신 장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장치와 같은 근거리 통신 장치, 및 WiFi Direct 통신 장치,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장치는 다른 장치,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데스크탑 PC, 및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도 1을 참조하면, 장치(100)는 표시부(190) 및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95)를 포함한다. 또한, 장치(100)는 제어부(110),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및 전원공급부(180), 펜 인식 패널(200)을 포함한다.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재생 모듈(142) 및 동영상재생 모듈(14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입/출력 모듈(160)은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및 키패드(1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입/출력 모듈(160)은 스타일러스 펜(168), 펜 탈착 인식 스위치(169)를 더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표시부(190) 및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95)가 각각 터치스크린 및 터치스크린 컨트롤러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 the
제어부(110)는 CPU(111),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12) 및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위한 기억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13)을 포함할 수 있다. CPU(111)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또는 쿼드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CPU(111), 롬(112) 및 램(113)은 내부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The
제어부(110)는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 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전원공급부(180), 터치스크린(190), 및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 펜 인식 패널(200)을 제어할 수 있다. The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어부(110)는 일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한 요청에 따라 일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고, 일정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터치 스크린(190) 상에 표시한다. 이때, 일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한 요청은 터치 스크린(190) 상에 표시된 일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메뉴 아이콘의 선택 입력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선택 입력은 스타일러스 펜(168) 또는 손가락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에 의한 터치 입력이 될 수 있다. 또한 일정 어플리케이션 화면은 다수의 일정 영역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다수의 일정 영역은 월(month)에 대응하는 날짜들, 주(week)에 대응하는 요일들, 일(day)에 대응하는 시간들에 대한 영역이 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제어부(110)는 펜 인식 패널(200)로부터 특정 일정 영역 내 메모 입력 요청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 영역에 호버링(Hovering) 이벤트가 인식되면 해당 일정 영역에 대한 메모 입력 화면을 표시한다. 이때, 인식 영역은 일정 영역 내에 메모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요청을 인식하거나 해당 일정 영역에 대응하여 저장된 메모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요청을 인식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또한 호버링 이벤트는 스타일러스 펜(168)이 펜 인식 패널(200)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여 스타일러스 펜(168)의 코일에 의한 자기장을 펜 인식 패널(200)의 일정 지점에 발생시키는 이벤트를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메모 입력 화면은 텍스트 또는 필기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 영역과 입력 데이터를 저장 또는 메모 입력을 취소하기 위한 아이콘을 포함한다. 메모 입력 화면은 터치스크린 상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미리 설정된 크기로 표시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위치는 터치 스크린 상의 어떠한 위치에도 가능하며, 미리 설정된 크기는 터치스크린 내에 텍스트 또는 필기를 입력하기 위한 어떠한 크기도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메모 입력 화면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서술한 내용으로 한정되지 않는다.When the hovering event is recognized in the recognition area for recognizing a memo input request in a specific area from the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일정 어플리케이션 구동 중에 특정 일정 영역 내에 스타일러스 펜에 의한 호버링 이벤트를 인식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예시도이다.4 and 5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ognizing a hovering event by a stylus pen in a specific predetermined area while driving a certai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어부(110)는 특정 날짜,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8일에 해당하는 날짜 영역의 메모 입력 요청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 영역(400) 내에 스타일러스 펜(168)에 의한 호버링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인식한다. 제어부(110)는 펜 인식 패널(200)으로부터 인식 영역(400) 내에 스타일러스 펜(168)의 코일에 의한 자기장이 발생됨을 나타내기 위한 정보가 전달되면 8일에 대한 메모 입력 화면을 터치 스크린(190) 상에 표시한다.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S. 4 and 5, the
다른 실시 예로, 제어부(110)는 8일에 날짜 영역에 호버링 이벤트가 발생하면 인식 영역(400)을 메모 실행을 위한 요청 영역(410)으로 변경하고, 스타일러스 펜(168)의 펜촉이 요청 영역(410) 내에 접촉되면 8일에 대한 메모 입력 화면을 터치 스크린(190) 상에 표시한다.As another embodiment, when the hovering event occurs in the date area on the 8th day, the
이후 제어부(110)는 메모 입력 화면 상에 메모 데이터 입력이 완료되면 입력된 메모 데이터를 특정 일정 영역에 대응시켜 저장부(175)에 저장한다. 이때 입력된 메모 데이터는 스타일러스 펜(168) 또는 손가락에 의해서 그려진 필기 데이터가 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입력된 필기 데이터를 필기체 인식을 통해서 인식하고, 인식된 데이터를 저장부(175)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입력된 필기 데이터 자체를 저장부(175)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메모 데이터 입력 후 저장 요청이 입력되면 메모 데이터 입력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Thereafter, when the memo data input is completed on the memo input screen, the
제어부(110)는 특정 일정 영역에 대응하여 해당 날짜의 메모 데이터가 저장된 것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특정 일정 영역 내에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인디케이터 표시를 위해 특정 일정 영역의 인식 영역 내 일부를 특정 색상으로 표시하거나 사각형, 원형, 삼각형, 별모양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인디케이터 표시는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서술한 내용으로 한정되지 않는다.The
이후 본 발명의 제어부(110)는 일정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표시된 인디케이터로부터 펜 터치가 감지되면 해당 인디케이터가 포함된 특정 일정 영역에 대응하는 메모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메모 표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제어부(110)는 일정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표시된 인디케이터 상에 호버링 이벤트가 감지되면 해당 인디케이터가 포함된 특정 일정 영역에 대응하는 메모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메모 표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 표시 화면은 메모 데이터를 표시하는 영역과 저장된 메모 데이터를 수정 및 삭제하기 위한 아이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날짜 영역에 대한 메모 표시 요청이 있으면 제어부(110)는 특정 날짜 영역에 대응하여 저장된 메모 데이터를 메모 표시 화면상에 표시한다. 이때, 저장된 메모 데이터가 필기체 인식을 통해서 인식된 데이터인 경우 제어부(110)는 인식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폰트 데이터를 메모 표시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저장된 메모 데이터가 필기 데이터 자체인 경우 제어부(110)는 필기 데이터 자체를 메모 표시 화면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Subsequently, when the pen touch is detected from the indicator displayed on the schedule application screen, the
이후 메모 데이터 수정 아이콘에 대한 펜 터치가 감지되면 제어부(110)는 메모 표시 화면을 메모 수정 화면으로 전환하고, 메모 데이터 수정이 완료되면 수정된 메모 데이터를 특정 일정 영역에 대응시켜 저장부(175)에 저장한다. 이때, 제어부(110)는 메모 표시 화면 상의 수정 아이콘에 대한 펜 터치가 감지되면 메모 데이터 수정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한다. 또한, 메모 수정 화면은 메모 데이터를 수정하기 위한 영역과 수정된 메모 데이터를 저장 또는 취소하기 위한 아이콘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a pen touch on the memo data correction icon is detected, the
이동통신 모듈(12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을 통해 장치(100)가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한다. 이동통신 모듈(120)은 장치(100)에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도시되지 않음), 스마트폰(도시되지 않음), 태블릿PC 또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The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랜 모듈(131)만 포함하거나, 근거리통신 모듈(132)만 포함하거나 또는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통신 모듈(132)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The
무선랜 모듈(13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도시되지 아니함)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IEEE802.11x)을 지원한다. 근거리통신 모듈(13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장치(100)와 화상형성장치(도시되지 아니함)사이에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장치(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The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통신 모듈(14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방송통신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해 방송국에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예, TV방송 신호, 라디오방송 신호 또는 데이터방송 신호) 및 방송부가 정보(예, EPS(Electric Program Guide) 또는 ESG(Electric Service Guide))를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재생 모듈(14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3, wma, ogg 또는 wa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동영상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eg, mpg, mp4, avi, mov, 또는 mk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The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을 제외하고 오디오재생 모듈(142)과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모듈(140)의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 있다. The
카메라 모듈(15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정지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카메라(151) 또는 제2 카메라(152)는 촬영에 필요한 광량을 제공하는 보조 광원(예, 플래시(도시되지 아니함))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51)는 상기 장치(100) 전면에 배치되고, 제2 카메라(152)는 상기 장치(1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달리 취한 방식으로, 제1 카메라(151)와 제2 카메라(152)는 인접(예, 제1 카메라(151)와 제2 카메라(152)의 간격이 1 cm 보다 크고, 8 cm 보다는 작은)하게 배치되어 3차원 정지이미지 또는 3차원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The
GPS 모듈(155)은 지구 궤도상에 있는 복수의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전파를 수신하고,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장치(100)까지 전파도달시간(Time of Arrival)을 이용하여 장치(10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The
입/출력 모듈(160)은 복수의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및 키패드(1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put /
버튼(161)은 상기 장치(100)의 하우징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잠금 버튼(도시되지 아니함), 볼륨버튼(도시되지 아니함), 메뉴 버튼, 홈 버튼, 돌아가기 버튼(back button) 및 검색 버튼(16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6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음성(voice) 또는 사운드(sound)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한다. The
스피커(163)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또는 카메라 모듈(150)의 다양한 신호(예, 무선신호, 방송신호, 디지털 오디오 파일, 디지털 동영상 파일 또는 사진 촬영 등)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장치(100)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장치(100)가 수행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사운드(예, 전화 통화에 대응되는 버튼 조작음, 또는 통화 연결음)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상기 장치(100)의 하우징의 적절한 위치 또는 위치들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The
진동모터(164)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드에 있는 장치(100)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음성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진동모터(164)가 동작한다. 상기 장치(100)의 하우징 내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모터(164)는 터치스크린(190) 상을 터치하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 및 터치스크린(190) 상에서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응답하여 동작할 수 있다. The
커넥터(165)는 상기 장치(100)와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또는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장치(10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장치(100)의 저장부(175)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100)는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전원을 입력받거나, 상기 전원소스를 이용하여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를 충전할 수 있다.The
키패드(166)는 장치(100)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장치(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터치스크린(190)에 표시되는 가상의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장치(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는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
이어폰 연결잭(Earphone Connecting Jack, 167)에는 이어폰(도시되지 아니함)이 삽입되어 상기 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다.An earphone (not shown) may be inserted into the
스타일러스 펜(168)은 장치(100) 내부에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상기 장치(100)로부터 인출 및 분리될 수 있다. The
스타일러스 펜(168)이 삽입되는 장치(100) 내부의 일 영역에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168)의 장착 및 분리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펜 탈착 인식 스위치(169)가 구비되어, 제어부(110)로 상기 스타일러스 펜(168)의 장착 및 분리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펜 탈착 인식 스위치(169)는 스타일러스 펜(168)이 삽입되는 일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스타일러스 펜(168)의 장착시 직·간접적으로 접촉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펜 탈착 인식 스위치(169)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168)과의 직·간접적으로 접촉에 기초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168)의 장착이나 분리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제어부(110)에 제공한다.One region inside the
이러한 스타일러스 펜(168)은 장치(100)의 펜 인식 패널(200)에 일정거리 이내로 접근하게 되면 스타일러스 펜(168) 내부의 코일에 의한 자기장을 펜 인식 패널(200)의 일정 지점에 발생시키는 호버링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장치(100)는 펜 인식 패널(200)에 형성되는 자기장 스캔 작업을 실시간 또는 일정 주기로 수행할 수 있다. When the
또한 스타일러스 펜(168)에 마련된 버튼(201)은 사용자에 의해서 눌려질 수 있으며, 버튼(201)이 눌려짐에 따라 특정 신호 값이 스타일러스 펜(168)에서 발생하여 펜 인식 패널(200)에 전달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버튼(201)의 인접된 영역에는 특정 커패시터나 추가 코일 또는 정전 유도에 변화를 줄 수 있는 특정 소자가 배치될 수 있고, 버튼 터치 또는 눌림에 따라 해당 소자가 상기 코일에 연결됨으로써 펜 인식 패널(200)에서 유도되는 전자기 유도 값을 변화시켜 스타일러스 펜(168)의 버튼 눌림을 인식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버튼(201)은 버튼 눌림에 해당하는 무선 신호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무선 신호를 장치(100)의 별도 영역에 마련된 수신기에 전달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장치(100)는 수신된 무선 신호에 따라 스타일러스 펜(168)의 버튼 눌림을 인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스타일러스 펜(168)은 펜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다수의 공진 주파수를 발생키시고, 펜 인식 패널(200)이 스타일러스 펜(168)에서 발생된 공진 주파수와 일치하는 펜 인식 패널(200) 상의 공진 주파수를 인식하여 펜 상태 즉, 터치 또는 호버링 등을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utton 201 provided in the
센서 모듈(170)은 장치(100)의 상태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모듈(170)은 사용자의 장치(100)에 대한 접근여부를 검출하는 근접센서, 장치(100) 주변의 빛의 양을 검출하는 조도센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장치(100)의 동작(예, 장치(100)의 회전, 장치(100)에 가해지는 가속도 또는 진동)을 검출하는 모션센서(도시되지 아니함), 지구 자기장을 이용해 방위(point of the compass)를 검출하는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 도시되지 아니함), 중력의 작용 방향을 검출하는 중력 센서(Gravity Sensor), 대기의 압력을 측정하여 고도를 검출하는 고도계(Altimeter)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센서모듈(170)의 센서는 장치(100)의 성능에 따라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저장부(175)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터치스크린(190)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장치(100) 또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저장부(175)는 일정 어플리케이션 및 메모 어플리케이션, 그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구성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75)는 일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하나 이상의 일정 영역에 대응하여 하나 이상의 메모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The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175), 제어부(110)내 롬(112), 램(113) 또는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도시되지 아니함)(예,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한다. 저장부는 비휘발성메모리, 휘발성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erm “storage unit” refers to a memory card (not shown) mounted in the
전원공급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장치(100)의 하우징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는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공급부(180)는 커넥터(165)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장치(10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80)는 무선 충전 기술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로부터 무선으로 입력되는 전원을 장치(100)로 공급할 수도 있다. The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촬영)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유저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전송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신체(예,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터치가능한 입력 수단(예, 스타일러스 펜)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터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90)은 적어도 하나의 터치 중에서, 하나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입력받을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입력되는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전송할 수 있다. The
나아가, 본 발명에서 터치는 터치스크린(190)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의 접촉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예, 터치스크린(190)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 검출가능한 간격이 1 mm 이하)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에서 검출가능한 간격은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특히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의 접촉에 의한 터치 이벤트와, 비접촉 상태로의 입력(예컨대, 호버링) 이벤트를 구분하여 검출 가능하도록, 상기 터치 이벤트와 호버링 이벤트에 의해 검출되는 값(예컨대, 전류값 등)이 다르게 출력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더 나아가, 터치스크린(190)은 호버링 이벤트가 발생되는 공간과 터치스크린(190) 사이의 거리에 따라, 검출되는 값(예컨대, 전류값 등)을 다르게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is not limited to the contact between the
터치스크린(190)은 예를 들어,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또는 초음파(acoustic wave)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한편,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터치스크린(190)에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예, X와 Y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제어부(110)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19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터치 이벤트 또는 호버링 이벤트에 응답하여 터치스크린(190)에 표시된 단축 아이콘(도시되지 아니함)이 선택되게 하거나 또는 단축 아이콘(도시되지 아니함)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95 converts an analog signal received from the
더 나아가,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터치스크린(190)을 통해 출력되는 값(예컨대, 전류값 등)을 검출하여 호버링 이벤트가 발생되는 공간과 터치스크린(190) 사이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거리 값을 디지털 신호(예컨대, Z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제공할 수 있다.Further,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95 may detect a value (eg, a current value) output through the
또한,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신체 및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에 의한 입력을 동시에 입력받을 수 있도록, 사용자의 신체 및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의 터치나 근접을 각각 감지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터치스크린 패널은 서로 다른 출력값을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에 제공하고,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터치스크린 패널에서 입력되는 값을 서로 다르게 인식하여, 터치스크린으로부터의 입력이 사용자의 신체에 의한 입력인지,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에 의한 입력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적어도 두 개의 터치스크린 패널은 터치 펜에 의한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이벤트 등과 같은 펜 상태를 인식하기 위한 펜 인식 패널(200)을 포함한다. 펜 인식 패널(200)은 특정 일정 영역 내에 스타일러스 펜(168)의해 발생된 호버링 이벤트를 감지하고, 감지된 호버링 이벤트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110)로 전달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t least two touch screen panels include a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장치(100)의 전면(100a) 중앙에는 터치스크린(190)이 배치된다. 상기 터치스크린(190)은 장치(100)의 전면(100a)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크게 형성된다. 도 2에서는, 상기 터치스크린(190)에 메인 홈 화면이 표시된 예를 나타낸다. 메인 홈 화면은 장치(100)의 전원을 켰을 때 상기 터치스크린(190) 상에 표시되는 첫 화면이다. 또한 상기 장치(100)가 여러 페이지의 서로 다른 홈 화면들을 갖고 있을 경우, 메인 홈 화면은 상기 여러 페이지의 홈 화면들 중 첫 번째 홈 화면일 수 있다. 홈 화면에는 자주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축 아이콘들(191-1, 191-2, 191-3), 메인메뉴 전환키(191-4), 시간, 날씨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메인메뉴 전환키(191-4)는 상기 터치스크린(190) 상에 메뉴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190)의 상단에는 배터리 충전상태, 수신신호의 세기, 현재 시각과 같은 장치(100)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바(Status Bar, 192)가 형성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상기 터치스크린(190)의 하부에는 홈 버튼(161a), 메뉴 버튼(161b), 및 뒤로 가기 버튼(161c)이 형성될 수 있다. A
홈 버튼(161a)은 터치스크린(190)에 메인 홈 화면(Main Home Screen)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190)에 상기 메인 홈 화면과 다른 홈 화면(Any Home Screen) 또는 메뉴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홈 키(161a)가 터치되면, 터치스크린(190)에 메인 홈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90) 상에서 어플리케이션들이 실행되는 도중 홈 버튼(191a)이 터치되면, 상기 터치스크린(190)상에는 도 2에 도시된 메인 홈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홈 버튼(161a)은 상기 터치스크린(190) 상에 최근에(recently) 사용된 어플리케이션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거나, 태스크 매니저(Task Manager)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The
메뉴 버튼(161b)은 터치스크린(190) 상에서 사용될 수 있는 연결 메뉴를 제공한다. 상기 연결 메뉴에는 위젯 추가 메뉴, 배경화면 변경 메뉴, 검색 메뉴, 편집 메뉴, 환경 설정 메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뒤로 가기 버튼(161c)은 현재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바로 이전에 실행되었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거나, 가장 최근에 사용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킬 수 있다.The
장치(100)의 전면(100a) 가장자리에는 제1 카메라(151)와 조도 센서(170a) 및 근접 센서(170b)가 배치될 수 있다. 장치(100)의 후면(100c)에는 제2 카메라(152), 플래시(flash, 153), 스피커(163)가 배치될 수 있다. The
장치(100)의 측면(100b)에는 예를 들어 전원/리셋 버튼(160a), 음량 버튼(161b), 방송 수신을 위한 지상파 DMB 안테나(141a), 하나 또는 복수의 마이크들(162)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DMB 안테나(141a)는 장치(100)에 고정되거나, 착탈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On the
또한, 장치(100)의 하단 측면에는 커넥터(165)가 형성된다. 커넥터(165)에는 다수의 전극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장치(100)의 상단 측면에는 이어폰 연결잭(167)이 형성될 수 있다. 이어폰 연결잭(167)에는 이어폰이 삽입될 수 있다.In addition, a
또한, 장치(100)의 하단 측면에는 스타일러스 펜(168)이 형성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168)은 장치(100) 내부에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상기 장치(100)로부터 인출 및 탈착될 수 있다. 이러한 스타일러스 펜(168)은 버튼(201)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a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일정 어플리케이션 구동 중에 휴대 단말기가 터치 펜을 이용하여 특정 날짜 영역에 대응하는 메모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for a mobile terminal to input memo data corresponding to a specific date area by using a touch pen while driving a certai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일정 영역이 특정 달에 대응하는 다수의 날짜 영역 중 어느 하나인 것을 예로 설명하도록 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that a certain region is any one of a plurality of date regions corresponding to a specific month.
600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일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이때, 제어부(110)는 스타일러스 펜(168) 또는 손가락과 같은 터치 입력 수단에 의해서 터치 스크린(190) 상에 표시된 일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메뉴 아이콘을 접촉하는 것이 인식되면 일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In
601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일정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하는데, 이러한 일정 어플리케이션 화면은 다수의 날짜 영역을 포함하는 특정 달에 대한 영역을 포함한다. In
602단계에서 제어부(110)는 특정 날짜 영역의 미리 설정된 인식 영역 내에 호버링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호버링 이벤트가 발생되면 603단계로 진행하고, 호버링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으면 602단계에서 특정 날짜 영역의 미리 설정된 인식 영역 내에 호버링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In
603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인식 영역을 메모 실행을 위한 요청 영역으로 변경한다. 이때, 제어부(110)는 요청 영역으로 변경됨을 알리기 위해 인식 영역을 미리 설정된 색상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여기서 요청 영역은 해당 날짜에 대한 메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요청을 인식하는 영역으로, 제어부(110)가 펜 인식 패널(200)을 통해서 요청 영역 내에 스타일러스 펜의 펜촉에 의한 접촉이 인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메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In
604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요청 영역 내에 펜 터치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펜 터치가 발생되면 605단계로 진행하고, 펜 터치가 발생되지 않으면 604단계에서 요청 영역 내에 펜 터치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In
605단계에서 제어부(110)는 특정 날짜 영역에 대응하는 메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특정 날짜의 일정에 메모를 추가하기 위해 특정 날짜 영역에 대응하는 메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메모 입력 화면을 표시한다. In
606단계에서 제어부(110)는 메모 데이터 입력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메모 데이터 입력이 완료되면 607단계로 진행하고, 메모 데이터 입력이 완료되지 않으면 606단계에서 메모 데이터 입력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In
607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입력된 메모 데이터를 특정 날짜 영역에 대응시켜 저장부(175)에 저장한다. 제어부(110)는 메모 데이터 입력 후 저장 요청이 입력되면 메모 데이터 입력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In
608단계에서 제어부(110)는 메모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메모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면 609단계로 진행하고, 메모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지 않으면 608단계에서 메모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In
609단계에서 제어부(110)는 특정 날짜 영역에 대응하여 해당 날짜의 메모 데이터가 저장된 것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특정 날짜 영역 내에 표시한다. In
본 발명의 제어부(110)는 일정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표시된 인디케이터로부터 펜 터치가 감지되면 해당 인디케이터가 포함된 특정 날짜 영역에 대응하는 메모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메모 표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When a pen touch is detected from the indicator displayed on the schedule application screen, the
이후 메모 데이터 수정 아이콘에 대한 펜 터치가 감지되면 제어부(110)는 메모 표시 화면을 메모 수정 화면으로 전환하고, 메모 데이터 수정이 완료되면 수정된 메모 데이터를 특정 날짜 영역에 대응시켜 저장부(175)에 저장한다. 이때, 제어부(110)는 메모 표시 화면 상의 수정 아이콘에 대한 펜 터치가 감지되면 메모 데이터 수정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한다. 또한, 메모 수정 화면은 메모 데이터를 수정하기 위한 영역과 수정된 메모 데이터를 저장 또는 취소하기 위한 아이콘들을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pen touch on the memo data correction icon is detected, the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일정 어플리케이션 구동 중에 휴대 단말기가 터치 펜을 이용하여 특정 날짜 영역에 대응하는 메모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하는 예시도이다.7 to 10 are exemplary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for a mobile terminal to input memo data corresponding to a specific date area by using a touch pen while driving a certai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서, 일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제어부(110)는 터치스크린(190) 상에 도면부호 도 7의 700과 같이 특정 달, 예를 들어, 1월에 대응하는 다수의 날짜 영역이 포함된 일정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한다.In FIG. 7, when the schedule application is executed, the
예를 들어, 1월 8일의 날짜 영역에 포함된 인식 영역 내에 스타일러스 펜에 의한 호버링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110)는 도면부호 701과 같이 1월 8일의 인식 영역을 메모 실행을 위한 요청 영역(711)으로 변경한다. 이때 요청 영역(711)은 메모 입력 요청을 위한 호버링 이벤트가 발생하는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영역이며, 미리 설정된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hovering event by the stylus pen occurs in the recognition area included in the date area of January 8, the
도 8에서, 요청 영역(711)으로부터 펜 터치가 인식되면 제어부(110)는 도 8의 도면부호 800과 같이 메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메모 어플리케이션 화면(801)을 일정 어플리케이션 화면 상에 표시한다.In FIG. 8, when a pen touch is recognized from the
메모 어플리케이션 화면(801) 내에 펜 터치가 인식되면 제어부(110)는 도면부호 810과 같이 메모 입력 화면(811)을 활성화시킨다. 이러한 메모 입력 화면(811)은 메모 입력을 위한 영역과 입력된 메모 데이터의 저장 및 취소를 위한 아이콘을 포함한다.When a pen touch is recognized in the
도 9에서, 스타일러스 펜에 의해 메모 입력 영역에 메모 데이터가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도면부호 900과 같이 입력된 메모 데이터 "Birthday Party"를 메모 입력 영역 상에 표시하고, 저장 아이콘에 대한 펜 터치가 감지되면 1월 8일의 날짜 영역에 대응하여 입력된 메모 데이터를 저장부(175)에 저장한다.In FIG. 9, when memo data is input to a memo input area by a stylus pen, the
제어부(110)는 도면부호 910과 같이 저장된 메모 데이터의 미리 보기 데이터(911)를 1월 8일 날짜 영역 상에 표시하고, 메모 데이터가 저장된 것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912)를 특정 날짜 영역 내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1월 8일 날짜 영역의 인식 영역 내 일부를 특정 색상으로 표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방법 이외에 다양한 방법으로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The
1월 8일 날짜 영역 상에 표시된 인디케이터로부터 펜 터치가 감지되면 제어부(110)는 도 10의 도면부호 1000과 같이 1월 8일 날짜 영역에 대응하여 저장된 메모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메모 표시 화면(1001)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메모 표시 화면(1001)은 메모 데이터를 표시하는 영역과 저장된 메모 데이터를 수정 및 삭제하기 위한 아이콘들을 포함할 수 있다. When a pen touch is detected from the indicator displayed on the January 8 date area, the
메모 데이터 수정 아이콘(1002)에 대한 펜 터치가 감지되면 제어부(110)는 메모 표시 화면(1001)을 도면부호 1010과 같이 메모 수정 화면(1011)으로 전환하고, 저장 아이콘(1012)에 대한 펜 터치가 감지되면 1월 8일의 날짜 영역에 대응하여 수정된 메모 데이터 "Birthday Party V"를 저장부(175)에 저장한다.When the pen touch on the memo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일정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일정 관리를 위한 기능을 사용할 시 사용자가 메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메모를 저장하고, 이를 일정에 첨부하는 번거로움 없이 특정 날짜에 대한 메모를 바로 입력 및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날짜 영역의 크기에 대한 제약 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메모 데이터를 입력 및 저장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 user to execute a memo application to store a memo when using a function for managing a schedule such as a schedule application, and directly input and store a memo for a specific date without the hassle of attaching it to a schedule. .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input and store desired memo data without restriction on the size of the date area.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메모 기능 수행 방법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It will be appreciated that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may be realized in the form of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Any such software may be, for example, volatile or nonvolatile storage, such as a storage device such as a ROM, whether or not removable or rewritable, or a memory such as, for example, a RAM, a memory chip, a device or an integrated circuit. Or, for example, CD or DVD, magnetic disk or magnetic tape and the like can be stored in a storage medium that is optically or magnetically recordable and simultaneously readable by a machine (eg computer). The method of performing the memo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a computer or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controller and a memory, wherein the memory is a machine suitable for storing a program or programs including instructions for implement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is is an example of a readable storage medium.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gram comprising code for implementing the apparatus or method described in any claim herein and a storage medium readable by a machine (such as a computer) storing such a program. In addition, such a program may be transferred electronically through any medium, such as a communication signal transmitted via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thereof as appropriate.
또한, 상기 메모 기능 수행 단말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메모 기능 수행 단말이 기설정된 컨텐츠 보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컨텐츠 보호 방법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메모 기능 수행 단말과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메모 기능 수행 단말의 요청 또는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상기 메모 기능 수행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mo function performing terminal may receive and store the program from a program providing apparatus connected by wire or wirelessly. The program providing apparatus includes a memory for storing a program including instructions for causing the memo function performing terminal to perform a preset content protection method, information necessary for a content protection method, and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memo function performing terminal.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and a control unit for automatically transmitting the program or the corresponding program to the memo function performing terminal request or the memo function performing terminal.
100: 장치
110: 제어부
120: 이동 통신 모듈
130: 서브 통신 모듈
140: 멀티미디어 모듈
150: 카메라 모듈
155: GSP 모듈
160: 입출력 모듈
170: 센서 모듈
175: 저장부
180: 전원 공급부
190: 터치 스크린
195: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
200: 펜 인식 패널100: device
110: control unit
120: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30: sub communication module
140: multimedia module
150: camera module
155: GSP Module
160: input / output module
170: sensor module
175: storage unit
180: power supply
190: touch screen
195: touch screen controller
200: pen recognition panel
Claims (26)
터치스크린 패널;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일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다수의 일정 영역들이 포함된 일정 관리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 상에 표시된 상기 다수의 일정 영역들 중 하나의 일정 영역으로부터 입력 장치에 의한 호버링 이벤트 발생이 확인되면, 상기 일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상기 일정 영역에 대응하는 메모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메모 입력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메모 입력 화면을 통해 상기 메모 데이터의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일정 영역과 상기 입력된 메모 데이터를 대응시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일정 영역 상에 상기 저장된 메모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도록 설정된 단말.In the terminal,
Touch screen panels;
Memory; And
A processor, wherein the processor,
When a schedule application is executed, a schedule management screen including a plurality of schedule regions is displayed.
Memo for receiving memo data corresponding to the certain area while the schedule application is executed when the occurrence of the hovering event by the input device is confirmed from one of the plurality of certain area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panel. Display the memo input screen of the application,
When the input of the memo data is completed through the memo input screen, the predetermined area and the input memo data are corresponded and stored in the memory.
And a terminal configured to display at least a part of the stored memo data on the predetermined area.
상기 일정 영역 내 메모 입력 요청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 영역으로부터 상기 호버링 이벤트 발생이 확인되면, 상기 일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상기 메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상기 일정 관리 화면 상에 상기 메모 입력 화면을 표시하도록 설정된 단말.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ocessor,
If the occurrence of the hovering event is confirmed from the recognition area for recognizing the memo input request in the schedule area, the memo application is executed while the schedule application is executed,
And a terminal configured to display the memo input screen on the schedule management screen.
상기 일정 영역 내 메모 입력 요청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 영역으로부터 상기 호버링 이벤트 발생이 확인되면, 상기 인식 영역을 상기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요청 영역으로 변경하고,
상기 요청 영역으로부터 상기 입력 장치에 의한 접촉이 확인되면, 상기 일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상기 메모 입력 화면을 표시하도록 설정된 단말.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ocessor,
When the occurrence of the hovering event is confirmed from a recognition area for recognizing a memo input request in the predetermined area, the recognition area is changed to a request area for executing the memo application,
And a terminal configured to display the memo input screen while the schedule application is executed when contact by the input device is confirmed from the request area.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 상의 상기 일정 영역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서 상기 입력 장치의 위치가 확인되면, 상기 호버링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확인하도록 설정된 단말.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ocessor,
And when the position of the input device is identifi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redetermined area on the touch screen panel, the terminal configured to confirm that the hovering event has occurred.
필기 데이터인 단말.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emo data,
Terminal that is handwritten data.
상기 메모 입력 화면 상에 상기 필기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필기 데이터를 필기체 인식을 통해서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데이터를 상기 일정 영역에 대응시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설정된 단말.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rocessor,
When the writing data is input on the memo input screen, the input writing data is recognized through handwriting recognition,
The terminal is configured to store the recognized data in the memory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area.
상기 메모 입력 화면 상에 상기 필기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필기 데이터 자체를 상기 일정 영역에 대응시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설정된 단말.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rocessor,
When the writing data is input on the memo input screen, the terminal is configured to store the input writing data itself in the memory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area.
상기 메모 데이터의 저장이 완료되면, 상기 일정 영역 상에, 상기 메모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도록 설정된 단말.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ocessor,
And when the storage of the memo data is completed, the terminal configured to display an indicator indicating that the memo data is stored on the predetermined area.
상기 표시된 인디케이터 상에 상기 입력 장치에 의한 접촉이 확인되면, 상기 일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상기 저장된 메모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상기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메모 입력 화면을 표시하도록 설정된 단말.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processor,
And a terminal configured to display the memo input screen of the memo application for displaying the stored memo data while the schedule application is executed when the contact by the input device is confirmed on the displayed indicator.
상기 메모 데이터를 표시하는 영역과, 상기 메모 데이터를 수정 또는 삭제하기 위한 아이콘들을 더 포함하는 단말.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memo input screen,
And an area for displaying the memo data and icons for modifying or deleting the memo data.
터치 펜 또는 손가락을 포함하는 단말.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put device,
Terminal comprising a touch pen or finger.
월(month)에 대응하는 날짜들, 주(week)에 대응하는 요일들, 일(day)에 대응하는 시간들에 대한 영역들을 포함하는 단말.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predetermined regions,
A terminal comprising areas for dates corresponding to a month, days of the week corresponding to a week, and times corresponding to a day.
일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다수의 일정 영역들이 포함된 일정 관리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
상기 다수의 일정 영역들 중 하나의 일정 영역으로부터 상기 입력 장치에 의한 호버링 이벤트 발생이 확인되면, 상기 일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상기 일정 영역에 대응하는 메모 데이터를 입력 받기 위한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메모 입력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
상기 메모 입력 화면을 통해 상기 메모 데이터의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일정 영역과 상기 입력된 메모 데이터를 대응시켜 저장하는 동작; 및
상기 일정 영역 상에 상기 저장된 메모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메모 기능 수행 방법.In the memo function performing method using the input device in the terminal,
Displaying a schedule management screen including a plurality of schedule regions when a schedule application is executed;
When the occurrence of the hovering event by the input device is confirmed from one of the plurality of schedule areas, a memo input screen of a memo application for receiving memo data corresponding to the schedule area while the schedule application is executed is displayed. Displaying;
When the input of the memo data is completed through the memo input screen, storing the memo data in correspondence with the predetermined area; And
And display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tored memo data on the predetermined area.
상기 일정 영역 내 메모 입력 요청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 영역으로부터 상기 호버링 이벤트 발생이 확인되면, 상기 일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상기 메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동작; 및
상기 일정 관리 화면 상에 상기 메모 입력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메모 기능 수행 방법.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displaying the memo input screen comprises:
Executing the memo application while the schedule application is executed when the occurrence of the hovering event is confirmed from a recognition area for recognizing a memo input request in the schedule area; And
And displaying the memo input screen on the schedule management screen.
상기 일정 영역 내 메모 입력 요청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 영역으로부터 상기 호버링 이벤트 발생이 확인되면, 상기 인식 영역을 상기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요청 영역으로 변경하는 동작;
상기 요청 영역으로부터 상기 입력 장치에 의한 접촉이 확인되면, 상기 일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상기 메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동작; 및
상기 일정 관리 화면 상에 상기 메모 입력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메모 기능 수행 방법.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displaying the memo input screen comprises:
Changing the recognition area to a request area for executing the memo application when occurrence of the hovering event is confirmed from a recognition area for recognizing a memo input request in the predetermined area;
Executing the memo application while the schedule application is executed when contact by the input device is confirmed from the request area; And
And displaying the memo input screen on the schedule management screen.
상기 일정 영역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서 상기 입력 장치의 위치가 확인되면, 상기 호버링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메모 기능 수행 방법.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displaying the memo input screen comprises:
And when the position of the input device is identifi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redetermined area, confirming that the hovering event has occurred.
필기 데이터인 메모 기능 수행 방법.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memo data,
How to perform the memo function which is handwritten data.
상기 메모 입력 화면 상에 상기 필기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필기 데이터를 필기체 인식을 통해서 인식하는 동작; 및
상기 인식된 데이터를 상기 일정 영역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메모 기능 수행 방법.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storing operation,
Recognizing the input writing data through handwriting recognition when the writing data is input on the memo input screen; And
And storing the recognized data in correspondence with the predetermined area.
상기 메모 입력 화면 상에 상기 필기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필기 데이터 자체를 상기 일정 영역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메모 기능 수행 방법.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storing operation,
And when the writing data is input on the memo input screen, storing the input writing data itself in correspondence with the predetermined area.
상기 메모 데이터의 저장이 완료되면, 상기 일정 영역 상에, 상기 메모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메모 기능 수행 방법.The method of claim 13,
And when the storing of the memo data is completed, displaying an indicator indicating that the memo data is stored on the predetermined area.
상기 표시된 인디케이터 상에 상기 입력 장치에 의한 접촉이 확인되면, 상기 일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상기 저장된 메모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상기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메모 입력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메모 기능 수행 방법.The method of claim 20,
And when the contact by the input device is confirmed on the displayed indicator, displaying the memo input screen of the memo application for displaying the stored memo data while the schedule application is executed. .
상기 메모 데이터를 표시하는 영역과, 상기 메모 데이터를 수정 또는 삭제하기 위한 아이콘들을 더 포함하는 메모 기능 수행 방법.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memo input screen,
And a region for displaying the memo data and icons for modifying or deleting the memo data.
터치 펜 또는 손가락을 포함하는 메모 기능 수행 방법.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input device,
How to perform a note function that includes a touch pen or finger.
월(month)에 대응하는 날짜들, 주(week)에 대응하는 요일들, 일(day)에 대응하는 시간들에 대한 영역들을 포함하는 메모 기능 수행 방법.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plurality of predetermined areas,
A method of performing a memo function, comprising areas for dates corresponding to a month, days of the week corresponding to a week, and times corresponding to a day.
상기 저장된 메모 데이터의 상기 적어도 일부가 표시된 상기 일정 영역으로부터 상기 입력 장치에 의한 접촉이 확인되면, 상기 메모 입력 화면 상에 상기 저장된 메모 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메모 입력 화면을 통해 상기 저장된 메모 데이터의 수정이 완료되면, 상기 저장된 메모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수정하여 상기 메모리에 업데이트하고,
상기 일정 영역 상에 상기 업데이트된 메모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도록 설정된 단말.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ocessor,
If the contact by the input device is confirmed from the predetermined area in which the at least part of the stored memo data is displayed, the memo input screen is displayed, and
When modification of the stored memo data is completed through the memo input screen, at least a part of the stored memo data is modified and updated in the memory.
The terminal is configured to display at least a portion of the updated memo data on the predetermined area.
상기 저장된 메모 데이터의 상기 적어도 일부가 표시된 상기 일정 영역으로부터 상기 입력 장치에 의한 접촉이 확인되면, 상기 메모 입력 화면 상에 상기 저장된 메모 데이터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메모 입력 화면을 통해 상기 저장된 메모 데이터의 수정이 완료되면, 상기 저장된 메모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수정하여 상기 단말의 메모리에 업데이트하는 동작; 및
상기 일정 영역 상에 상기 업데이트된 메모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메모 기능 수행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Displaying the stored memo data on the memo input screen when contact by the input device is confirmed from the predetermined area in which the at least part of the stored memo data is displayed;
When the modification of the stored memo data is completed through the memo input screen, modifying at least a part of the stored memo data and updating the memory in the terminal; And
And display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updated memo data on the predetermined area.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0587A KR102009679B1 (en) | 2012-11-16 | 2012-11-16 | Terminal and method for performing memo function using touch pe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0587A KR102009679B1 (en) | 2012-11-16 | 2012-11-16 | Terminal and method for performing memo function using touch pe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3337A KR20140063337A (en) | 2014-05-27 |
KR102009679B1 true KR102009679B1 (en) | 2019-08-13 |
Family
ID=50891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30587A Expired - Fee Related KR102009679B1 (en) | 2012-11-16 | 2012-11-16 | Terminal and method for performing memo function using touch pe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0967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59727B1 (en) * | 2018-07-27 | 2022-10-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mode using electronic pe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21842B1 (en) * | 1998-03-18 | 2002-02-01 | 포만 제프리 엘 | Recording unit for integrated electronic and paper-based scheduling |
KR101015291B1 (en) * | 2003-11-10 | 2011-02-16 |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 How to add user input with dynamically expanding input panel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00235734A1 (en) * | 2009-03-16 | 2010-09-16 | Bas Ording |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Editing on a Multifunction Device with a Touch Screen Display |
-
2012
- 2012-11-16 KR KR1020120130587A patent/KR10200967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21842B1 (en) * | 1998-03-18 | 2002-02-01 | 포만 제프리 엘 | Recording unit for integrated electronic and paper-based scheduling |
KR101015291B1 (en) * | 2003-11-10 | 2011-02-16 |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 How to add user input with dynamically expanding input pane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3337A (en) | 2014-05-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19246927B2 (en) |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hovering input effect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CN103870028B (en) | The user terminal and method of interaction are provided using pen | |
KR102051908B1 (en) | Mobile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 |
KR101990567B1 (en) | Mobile apparatus coupled with external inpu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140026177A (en) | Method for controlling scrolling and apparatus for the same | |
KR101815720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for vibration | |
US20150026638A1 (en) |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external input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 |
EP2753053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display box management | |
US9563357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key input | |
EP2778886A2 (en) | Mobile device of executing action in display unchecking mod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US10114496B2 (en) | Apparatus for measuring coordinat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140137629A (en) | Mobile terminal for detecting earphone connection and method therefor | |
KR102115727B1 (en) | Mobile apparatus providing hybrid-widget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140111089A (en) | Mobile apparatus having fuction of pre-action on object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140115656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 in a electronic device | |
US10101830B2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according to floating input | |
KR102009679B1 (en) | Terminal and method for performing memo function using touch pen | |
KR20140092106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user input on touch screen and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 |
KR102218507B1 (en) | Method for managing live box and apparatus for the same | |
KR20140026178A (en) | Method for controlling microphone usage permission of application and apparatus for the same | |
US20150067493A1 (en) | Method of modifying text input from user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 |
KR20150025655A (en) | Method for object display and device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L13-X000 | Limitation or reissue of ip righ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L10-L13-lim-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4080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4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