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96029B1 - Method for designing network service descriptor in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system, managing the network function descriptor and system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for designing network service descriptor in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system, managing the network function descriptor and system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6029B1
KR101996029B1 KR1020180161525A KR20180161525A KR101996029B1 KR 101996029 B1 KR101996029 B1 KR 101996029B1 KR 1020180161525 A KR1020180161525 A KR 1020180161525A KR 20180161525 A KR20180161525 A KR 20180161525A KR 101996029 B1 KR101996029 B1 KR 101996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service
descriptor
network
basic
output spa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15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문국
김동을
이용승
배병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비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비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비젠
Priority to KR1020180161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602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029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2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4Configuration by using pre-existing information, e.g. using templates or copying from other elements
    • H04L41/0846Configuration by using pre-existing information, e.g. using templates or copying from other elements based on copy from other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93Assignment of logical groups to network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4Network analysis or design
    • H04L41/145Network analysis or design involving simulating, designing, planning or modelling of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05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FV: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 서비스 디스크립터(NSD: Network Service Descriptor)를 설계하는 방법 및 설계된 네트워크 서비스 디스크립터를 관리하는 방법을 개시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method of designing a network service descriptor (NSD) and a method of managing a designed network service descriptor in a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NFV) system.

Description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 서비스 디스크립터를 설계하는 방법, 네트워크 서비스 디스크립터를 관리하는 방법 및 그 방법들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Method for designing network service descriptor in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system, managing the network function descriptor and system thereof}TECHNICAL FIELD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system, a method for designing a network service descriptor, a method for managing a network service descriptor, and a system for implementing the methods. thereof}

본 발명은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 서비스 디스크립터를 설계하는 방법, 네트워크 서비스 디스크립터를 관리하는 방법 및 그 방법들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시스템에 있어서, 복잡한 네트워크 서비스의 정보모델을 효과적으로 설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esigning a network service descriptor in a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system, a method for managing a network service descriptor, and a system for implementing the methods. More particularly, in a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supporting efficient design of an information model of a service and a syste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FV: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는 5세대 이동통신(5G moblie communication)의 기반이 되는 요소기술(component technology)로써 현재 활발한 연구 개발이 진행 중인 기술이다. 최근 ETSI(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의 NFV ISG(NFV Industry Specification Group)를 통해 표준화가 주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IFA Working Group에서 MANO 아키텍처 내/외부 컴포넌트 간의 API 및 정보 모델에 대한 표준화가 추진되었다. 지난 Release 2 발표에 포함된 IFA 014 표준에는 NFV MANO 도메인에서 Network Service를 정의하기 위한 NS Descriptor(NSD) 데이터 모델이 정의되었다.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NFV) is a component technology that is the basis of 5G mobile communication (5G mobile communication), and is under active research and development. In particular, IFA Working Group has promoted standardization of APIs and information models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components of the MANO architecture through the NFV Industry Specification Group (ETSI) of the 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 (ETSI). . The IFA 014 standard, which was included in the previous Release 2 release, defines the NS Descriptor (NSD) data model for defining the Network Service in the NFV MANO domain.

네트워크 서비스 디스크립터는 기본적으로 네트워크 서비스를 구성하는 요소인 PNF, VNF, Nested NS에 대한 정보와 기본 요소간 네트워크를 정의하는 버츄얼 링크와 네트워크 서비스(NS) 단위의 서비스 연결점인 서비스 엑세스 포인트를 포함한다. 또한, 기본 요소들의 배포 형상을 프로파일로 정의하고, 그 프로파일의 조합을 통해 다양한 운용 환경 및 상황에 따른 배포 옵션 및 슬라이스 네트워크를 정의하는 디플로이먼트 플레이버(Deployment Flavor)와 가상 네트워크 기능 포워딩 그래프(VNFFG: Virtual Network Function Forwarding Graph) 정보 모델이 존재한다.The network service descriptor basically includes information on PNF, VNF, and Nested NS, which constitute the network service, and a virtual link that defines the network between the basic elements and a service access point, which is a service connection point of the network service (NS) unit. The Deployment Flavor and the Virtual Network Function Forwarding Graph (VNFFG), which define distribution shapes of basic elements as profiles and define distribution options and slice networks according to various operating environments and situations through combination of the profiles, : Virtual Network Function Forwarding Graph) information model exists.

즉, ETSI IFA 014 표준의 NSD 데이터 모델은 기존 하나의 배포 형상 정의 방식에서 벗어나, 다수의 배포 형상을 정의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이를 통해, 운용자는 다양한 운용 조건 및 환경에 따라 다수의 배포 형상을 정의하고, 각 형상 간 천이 정책을 사전에 설계함으로써 실 운용 환경 변화에 자동화된 제어를 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다.In other words, the NSD data model of the ETSI IFA 014 standard is designed to define a number of distribution shapes, out of the existing one. Through this, operators can define a number of distribution shapes according to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and environments, and design a transition policy between each shape to provide a basis for automated control of actual operating environment changes.

최근의 NFV 시스템은 네트워크 자동화를 위해서 설계단계의 역할과 업무 복잡도가 증가하였으며, Design Artifact인 NSD를 설계하고 그 자체에 대한 라이프사이클 관리를 수행하는 Design-Time역할과, Design Artifact를 이용하여 실제 서비스를 운용하는 Run-Time역할로 기능이 분리되었다. Recently, the NFV system has increased the role of design stage and complexity of work for network automation. Design-time role for designing NSD which is design artifact and performing life cycle management itself, and real- Function as a run-time role that manages the system.

하지만, 대부분의 Opensoruce Project(Opensoruce MANO; OSM, Open Baton, ONAP 등)에서는 실제 NFV 운용을 실현하기 위한 런타임(Run-Time)기능 연구개발에 주로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디자인 타임(Design-Time)기능에 대한 솔루션은 큰 성과가 없는 상태이다. 특히, NFVO(NFV Ochestrator)에 해당하는 Open Baton 및 OSM의 경우, 플레이버(Flavor) 정보 모델에 대한 기능이 없거나 미약하며 NSD를 텍스트 편집(Text Editing)을 통해 작성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However, most of the Opensoruce Projects (OSM, Open Baton, ONAP, etc.) focus mainly o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run-time functions to realize actual NFV operation. The solution is not doing much.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Open Baton and the OSM corresponding to the NFVO (NFV Ochestrator), there is no function for the flavor information model, and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NSD should be created through the text editing.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80791호 (2018.07.13 공개)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80791 (published on July 13, 2018)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85187호 (2018.07.26 공개)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85187 (published on July 26, 2018) 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84430호 (2018.07.25 공개)3.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84430 (published on July 25, 2018) 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81965호 (2018.07.18 공개)4.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81965 (published on July 18, 201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최근 발행된 ETSI GS NFV-IFA014 표준에는 네트워크 서비스의 배포 형상을 컨테이너화 하여 하나의 모델에 표현하고 각 배포 형상에 따른 운용 정책을 정의하도록 되어있어서, 편의성/효율성이 떨어지고 다양한 사용자 오류를 야기시키는 기존의 설계방식을 탈피하기 위해서, 사용자 친화적인 GUI기반 NSD 설계 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TSI GS NFV-IFA014 standard, in which a distribution form of a network service is represented in a single model and an operation policy is defined according to each distribution form, Friendly GUI-based NSD design methodology and a syste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in order to avoid the existing design method that causes various user errors.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FV: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시스템과 API 서비스를 통해 마이크로서비스아키텍쳐(MSA)를 구성하는 시스템이, 네트워크 서비스 디스크립터(NSD: Network Service Descriptor)를 설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단말로부터 네트워크 서비스의 기본 요소(basic component)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기본 요소를 기본요소출력공간에 배치시키는 요소배치단계; 상기 사용자단말을 통해서 상기 배치된 기본 요소 중에 어느 하나에 대한 입력이 수신된 후, 미리 설정된 관계도출력공간에 대한 입력이 후속적으로 수신되면, 상기 관계도출력공간에 상기 기본요소를 복사하여 배치시키는 기본요소복사배치단계; 상기 관계도출력공간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기본 요소가 배치되면, 상기 배치된 기본 요소들간의 연결관계를 트리구조로 변환하여 트리출력공간에 출력시키는 요소트리출력단계;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관계도출력공간에 위치하고 있는 각각의 기본 요소들에 대한 특성값을 수신하여 플레이버(flavor)를 구성하는 입력값수신단계; 및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플레이버를 조합한 결과를, 가상 네트워크 기능 포워딩 그래프(VNFFG: Virtual Network Function Forwarding Graph)를 정의하는 그래프정의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figuring a micro-service architecture (MSA) through a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NFV) system and an API service, A method for designing a network service descriptor (NSD), comprising: receiving a basic component of a network service from a user terminal and arranging the received basic component in a basic element output space; If an input to a predetermined relationship diagram is subsequently received after an input to any one of the arranged basic elements is received via the user terminal, Basic element copying batching step; A element tree output step of conver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arranged basic elements into a tree structure and outputting the tree structure to the tree output space when at least two basic elements are arranged in the relation output space; An input value receiving step of receiving a property value for each elementary element located in the relation space output space from the user terminal to form a flavor; And a graph defining step of defining a virtual network function forwarding graph (VNFFG) as a result of combining at least two flavors.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네트워크 서비스 디스크립터(NSD: Network Service Descriptor)를 설계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단말로부터 네트워크 서비스의 기본 요소(basic component)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기본 요소를 기본요소출력공간에 배치시키는 요소배치부; 상기 사용자단말을 통해서 상기 배치된 기본 요소 중에 어느 하나에 대한 입력이 수신된 후, 미리 설정된 관계도출력공간에 대한 입력이 후속적으로 수신되면, 상기 관계도출력공간에 상기 기본요소를 복사하여 배치시키는 기본요소복사배치부; 상기 관계도출력공간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기본 요소가 배치되면, 상기 배치된 기본 요소들간의 연결관계를 트리구조로 변환하여 트리출력공간에 출력시키는 요소트리출력부;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관계도출력공간에 위치하고 있는 각각의 기본 요소들에 대한 특성값을 수신하여 플레이버(flavor)를 구성하는 입력값수신부; 및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플레이버를 조합한 결과를 기초로, 가상 네트워크 기능 포워딩 그래프(VNFFG: Virtual Network Function Forwarding Graph)를 정의하는 그래프정의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ystem for designing a network service descriptor (NSD), the system including a basic component of a network service from a user terminal An element placement unit that receives the basic elements and places the received basic elements in a basic element output space; If an input to a predetermined relationship diagram is subsequently received after an input to any one of the arranged basic elements is received via the user terminal, A basic element copy arrangement part; A element tree output unit for converting a connection relation between the arranged basic elements into a tree structure and outputting the tree structure to the tree output space when at least two basic elements are arranged in the relation output space; An input value receiver for receiving a characteristic value of each basic element located in the relation space output space from the user terminal and configuring a flavor; And a graph defining step of defining a virtual network function forwarding graph (VNFFG) based on a result of combining at least two flavors.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본 발명에 따른 설계관리시스템은 독립적인 웹 응용프로그램으로써, 네트워크 서비스를 NFV MANO 환경이 아닌 제3의 환경에서 편집하고, 표준 규격에 맞는 설계 결과물을 파일 형태로 내려 받아 OSS 혹은 NFVO에서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다.The desig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dependent web application program. It can edit the network service in a third environment other than the NFV MANO environment, download the design results according to the standard specification in a file form, and freely utilize the OSS or NFVO hav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설계시스템은, 사용자가 하나의 NFV 도메인에서 동작하는 네트워크 서비스를 설계하는 경우, 상용 혹은 오픈소스 NFVO에 통합(Integration)되어, 그 시스템의 NSD 데이터 모델 편집 및 설계에 활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sig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tegrated into a commercial or open source NFVO when designing a network service operating in one NFV domain, and can be utilized for editing and designing an NSD data model of the system have.

본 발명은, 표준 모델과 대상 시스템의 모델간 매핑을 통해 간편한 방식으로 통합가능하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론에 따라 GUI기반 편집도구를 통해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다중 배포형상 및 천이 정책의 정의가 가능하며 Design-Time 기능에 대한 솔루션으로 동작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tegrated in a simple manner through mapping between the standard model and the model of the target system. Through this, according to the methodology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fine multiple distribution shapes and transition policies for a network service through a GUI-based editing tool and to operate as a solution to a design-time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이 구현되는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시스템의 일 예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이 구현되는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NSD설계관리시스템(300)의 일 예의 블록도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제1시스템에 의해 사용자단말에 출력되는 NSD설계화면의 일 예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설명한 NSD설계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텍스트 에디터를 이용하여 NSD를 설계하는 화면의 일 예이다.
도 7은 도 5와 같은 NSD 설계화면을 통해서 설계된 NSD를 타 시스템(클라이언트 or NFVO)에게 API 형태로 서비스하고 관련 연동 규격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NSD를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서비스 디스크립터를 설계하는 방법의 일 예의 흐름도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example of a network functional virtualization system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overall system in which a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3 is a diagrammatic representation of a block diagram of an example of an NSD design management system 300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NSD design screen output to the user terminal by the first system.
FIG. 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NSD design screen illustrated in FIG.
6 is an example of a screen for designing an NSD using a text editor.
FIG.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NSD designed through the NSD design screen shown in FIG. 5 and serving as an API to another system (client or NFVO) and related interworking standards.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aging an NSD design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diagrammatic representation of a flow diagram of an example of a method for designing a network service descripto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and a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이하의 실시 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terms first, second, and the like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element, not the limitative meaning.

이하의 실시 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In the following examples,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을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inclusive or possessed mean that a feature or element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s present, and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are added in advance.

어떤 실시 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If certain embodiments are otherwise feasible, the particular process sequence may be performed differently from the sequence described. For example, two processes that are described in succession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and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of the order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이 구현되는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시스템의 일 예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example of a network functional virtualization system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구현되는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시스템(10)은 VNF(110), NFVI(130), MANO(150)을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network functional virtualization system 10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cludes a VNF 110, an NFVI 130, and a MANO 150.

VNF(Virtual Network Function)(110)는 네트워크 장비 기능을 담당하는 모듈로서, L4, Security 등을 포함한다.A VNF (Virtual Network Function) 110 is a module for performing network equipment functions, and includes L4, Security, and the like.

NFVI(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Infrastructure)(130)는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인프라스트럭쳐로서, 하이퍼바이저(Hypervisor)인 KVM(Kernel-based Virtual Machine)(131)과 Hardware Resource(133)으로 구성된다.The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Infrastructure (NFVI) 130 is a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infrastructure, which is composed of a Kernel-based Virtual Machine (KVM) 131 and a Hardware Resource 133, which are hypervisors.

MANO(Management and Orchestration)는 네트워크 기능을 관리하는 구성으로서, 많은 장비의 VNFM(153)을 서비스 수준에서 관리하기 위한 NFVO(NFV Orchestrator)(151), VNF를 관리하는 VNFM(VNF Manager)(153), 가상지원관리자인 VIM(Virtual Infra Manager)(155)을 포함한다.Management and Orchestration (MANO) manages network functions. The management and orchestration (MANO) 151 includes an NFVO (NFVO Orchestrator) 151 for managing the VNFM 153 of many devices at the service level, a VNFM (VNF Manager) 153 for managing the VNF, And a Virtual Infra Manager (VIM) 155, which is a virtual support manager.

본 발명이 구현되는 대상인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시스템(10)은 종래에 알려진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시스템(10)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각 모듈이 수행하는 기능은 공지된 방식을 따르는 것으로 본다.The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system 10, which is an object o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performs the same functions as the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system 10 known in the art, so that the functions performed by the respective modules are considered to follow a known metho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이 구현되는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overall system in which a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도 2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시스템(10)을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은 모델드리븐데이터스토어(Model-Driven Data Store)(200), OSS(230), NFVOs(250), NSD Artifact Repository(270), NSD설계관리시스템(300)을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2, the overall system including the network functional virtualization system 10 includes a model-driven data store 200, an OSS 230, NFVOs 250, an NSD Artifact Repository 270, , And an NSD design management system (300).

먼저, 모델드리븐데이터스토어(200)는 ETSI NFV-IFA014 표준을 통해서 NFV환경에서 네트워크 서비스를 다양한 형상으로 정의하고, 각 형상간 천이 정책(transfer policy)을 사전에 설계하여, 자동화된 네트워크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으로서, 도 1에서 설명한 네트워크기능가상화시스템(10) 및 API Service Module(210)을 포함한다. First, the model-driven data store 200 defines the network service in various forms in the NFV environment through the ETSI NFV-IFA014 standard, and designs the transfer policy between each shape in advance, thereby enabling automated network control Which includes the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system 10 and the API Service Module 210 described in FIG.

네트워크기능가상화시스템(10)은 도 1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네트워크장비를 소프트웨어로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모듈들을 모두 포함하는 시스템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네트워크기능가상화시스템(10)은 기설치된 소프트웨어의 버전관리(version management), 라이프사이클관리(Lifecycle management), 모듈간 연결관리(connection management), 서브스크립션관리(subscription management), 안내메시지관리(Notification management) 등을 수행하는 모듈을 포함한다.The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system 10 is a system including all the modules necessary for implementing the network equipment as software as described in FIG. Although not shown in FIG. 2, the network functional virtualization system 10 may include version management of installed software, lifecycle management, connection management between modules, subscription management, notification management, and the like.

API Service Module(210)은 네트워크기능가상화시스템(10)이 OSS(230), NFVOs(250)와 네트워크 제어를 통합하여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API Service Module 210 functions to allow the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system 10 to integrate network control with the OSS 230 and NFVOs 250.

OSS(230)와 NFVOs(250)는 API Service Module(210)를 통해서 REST API(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I)를 구성하여 네트워크기능가상화시스템(10)의 HTTP URI로 정의된 리소스에 대한 명령을 HTTP Method로 정의한다. 이때, OSS(230) 및 NFVOs(250)에 의해 정의되는 리소스의 내용은 json, xml, yaml 등의 다양한 표현언어로 정의될 수 있다.The OSS 230 and the NFVOs 250 configure a REST API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I) through the API Service Module 210 to convert a command for a resource defined as an HTTP URI of the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system 10 into an HTTP Method define. At this time, the contents of resources defined by the OSS 230 and the NFVOs 250 can be defined in various expression languages such as json, xml, yaml, and the like.

NSD Artifact Repository(270)는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되는 네트워크 서비스 디스크립터를 저장하는 저장소 기능을 수행한다.The NSD Artifact Repository 270 performs a storage function for storing a network service descriptor design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SD설계관리시스템(300)은 네트워크서비스디스크립터(NSD)를 설계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NSD를 설계하는 제1시스템(301)과 기설계된 NSD를 관리하는 제2시스템(3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시스템(301) 및 제2시스템(302)는 API Service Module(210)를 통해서 REST API를 구성하여 네트워크기능가상화시스템(10)에서 NSD를 설계하고 관리할 수 있다. 즉, NSD설계관리시스템(300)은 네트워크기능가상화시스템(10)과 API service를 통해 MSA(MicroService Architecture)를 구성하는 방식을 통해 동작할 수 있다.The NSD design management system 300 includes a first system 301 for designing and managing a network service descriptor (NSD) and designing an NSD and a second system 302 for managing the designed NSD . The first system 301 and the second system 302 can design and manage the NSD in the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system 10 by configuring the REST API through the API Service Module 210. [ That is, the NSD design management system 300 can operate through the network functional virtualization system 10 and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MSA (MicroService Architecture) through the API service.

제1시스템(301) 및 제2시스템(302)은 물리적인 장치가 될 수 있고, 실시 예에 따라서, 웹 어플리케이션(web application)형태의 논리적인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1시스템(301) 및 제2시스템(302)이 웹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제1시스템(301) 및 제2시스템(302)의 기능을 수행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거나, 그 웹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하드웨어 장치가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The first system 301 and the second system 302 may be physical devices and may be implemented as a logical device in the form of a web application, depending on the embodiment. When the first system 301 and the second system 302 ar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web application, a web application that performs the functions of the first system 301 and the second system 302 is installed, It is obvious that the hardware device to be driven is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NSD설계관리시스템(300)의 일 예의 블록도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matic representation of a block diagram of an example of an NSD design management system 300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NSD설계관리시스템(300)은 제1시스템(301) 및 제2시스템(302)을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NSD설계관리시스템(300)은 웹 어플리케이션형태로 구현되어, 사용자의 단말에 출력되는 화면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달라지도록 제어하는 논리적인 장치나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단말에 설치되어 있는 NSD설계관리시스템 또는 사용자단말에 설치되어 있는 웹브라우저로 접근가능한 NSD설계관리시스템의 주소를 통해서 NSD설계관리시스템(300)을 이용하여 NSD를 설계, 관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it can be seen that the NSD design management system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ystem 301 and a second system 302. The NSD design management system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web application, and may be implemented as a logical device or system that controls a screen output to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 user's input. The user can design and manage the NSD using the NSD design management system 300 through the address of the NSD design management system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or the address of the NSD design management system accessible to the web browser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

이하에서, 특별한 한정이 없는 한 "기본 요소"는 네트워크 서비스를 구성하는 기본 요소(basic component)인 것으로 본다.In the following, "basic element" is regarded as a basic component constituting a network service unless otherwise specified.

제1시스템(301)은 NSD를 설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위지위그(WYSIWYG)형태의 설계도구로서, 요소배치부(310), 기본요소복사배치부(330), 요소트리출력부(350), 입력값수신부(370) 및 그래프정의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system 301 is a WYSIWYG type design tool that performs the function of designing the NSD. The first system 301 includes an element placement unit 310, a basic element copy placement unit 330, a element tree output unit 350, An input value receiving unit 370 and a graph defining unit 390.

요소배치부(310)는 사용자단말로부터 네트워크 서비스의 기본 요소를 수신하고, 그 기본 요소를 기본요소출력공간에 배치시킨다. 기본 요소는 네트워크 서비스를 구성하는 일 단위로서, VNF, PNF, Nested NS 등을 의미하고, 사용자단말을 통해 화면으로 출력될 때에는 스텐실(stencil)형태로 출력되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자유롭게 이동가능하고 복사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element arrangement unit 310 receives a basic element of the network service from the user terminal and arranges the basic element in the basic element output space. The basic element is a unit for configuring the network service and means VNF, PNF, Nested NS, etc. When outputting to the screen through the user terminal, the basic element is outputted in stencil form and can be freely moved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user And can be implemented in a form that can be copied.

기본 요소에는 공통 요소로서 SAP, Virtual Link가 디폴트(default)로 포함되어 있다. 기본요소출력공간은 네트워크 서비스의 기본 요소를 모아놓는 공간으로서, 사용자단말의 화면을 통해 출력될 때에는 다수의 스텐실 형태의 기본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는 일정한 크기의 영역으로 출력된다. 그 외에 기본요소출력공간에 대해서는 도 4에서 후술하기로 한다.The basic elements include SAP, Virtual Link as the common elements by default. The basic element output space is a space for collecting the basic elements of the network service. When outputting through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the basic element output space is output as a fixed size area including a plurality of stencil basic elements. In addition, the basic element output space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기본요소복사배치부(330)는 사용자단말을 통해서 기본요소출력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기본 요소 중에 어느 하나에 대한 입력이 수신된 후, 미리 설정된 관계도출력공간에 대한 입력이 후속적으로 수신되면, 관계도출력공간에 기본 요소를 복사하여 배치시킨다. 사용자는 사용자단말의 입력장치(하드버튼입력 또는 터치스크린입력)을 통해서 기본요소출력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기본 요소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 입력을 가하여, 관계도출력공간에 옮길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관게도출력공간에 기본 요소가 배치되더라도, 배치된 기본 요소는 기본요소출력공간에 배치된 기본 요소의 복사본(copy)이므로, 기본요소출력공간에 정의되어 있는 기본 요소가 삭제되거나 수정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사용자단말을 통해서 특정한 입력을 가함으로써, 기본요소배치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기본 요소들을 관계도출력공간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관계도출력공간에는 기본 요소들이 복수개 배치됨에 따라서, 기본 요소들간의 관계도(correlation diagram)가 형성된다.The basic element copy placement unit 33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an input to one of the basic elements arranged in the basic element output space is received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an input to a predetermined relationship output space is subsequently received, Relational diagrams copy and place the basic elements in the output space. The user can input an input to any one of the basic elements arranged in the basic element output space through the input device (hard button input or touch screen input) of the user terminal so as to transfer the relationship to the output space, , The underlying element that is placed is the copy of the base element placed in the base element output space so that the base element defined in the base element output space is not deleted or modified . The user can move the basic elements arranged in the basic element arrangement space to the relation degree output space by applying a specific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since a plurality of basic elements are arranged in the relation output degree space, A correlation diagram is formed.

관계도출력공간은 본 발명에 의해 설계되는 네트워크 서비스 디스크립터를 구성하는 단위인 플레이버(flavor)의 배포 형상을 미리 설계할 수 있는 공간(영역)으로서, 플레이버별로 별도의 관계도출력공간이 대응될 수 있다. 플레이버에 대해서는 입력값수신부(370)와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The relationship diagram output space is a space (area) in which a distribution shape of a flavor, which is a unit constituting a network service descriptor designed b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signed in advance, and an output space can be corresponded to each flavor have. The flavor will be described later together with the input value receiving unit 370. [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기본요소출력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기본요소를 관계도출력공간에 배치하고 연결관계를 설정하는 것만으로 네트워크 서비스 디스크립터를 설계할 수 있어서, 종전의 텍스트(text) 위주로 네트워크 서비스 디스크립터를 설계할 때보다 더 높은 편의성을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계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되어 설계된 네트워크 서비스에 포함될 가능성이 있는 다양한 사용자 오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design the network service descriptor by arranging the basic elements arranged in the basic element output space in the relation diagram output space and establish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so that the network service descriptor Not only does it provide greater convenience than when designing descriptors, but it also increases the efficiency of design work, preventing various user errors that may be included in a designed network service.

요소트리출력부(350)는 관계도출력공간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기본 요소가 배치되면, 배치된 기본 요소들간의 연결관계를 트리구조로 변환하여 트리출력공간에 출력시킨다. The element tree output unit 350 transforms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arranged basic elements into a tree structure and outputs the tree structure to the tree output space when at least two basic elements are arranged in the relation output view space.

요소트리출력부(350)는 기본요소복사배치부(330)에 의해서 관계도출력공간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기본 요소가 배치되고, 각 기본요소들간의 연결이 성립되면, 그 성립된 연결을 기초로 하여 기본요소들간의 연결관계를 트리구조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관계도출력공간에 기본 요소 1에 기본 요소 2와 기본 요소 3이 연결되고, 기본 요소 2에 기본 요소 4가 연결되도록 각각의 기본요소가 배치된다면, 요소트리출력부(350)는 관계도출력공간에 배치된 기본 요소 및 기본 요소들간의 연결을 감지하여, 기본 요소 1을 베이스(base)로 하고, 기본 요소 2와 기본 요소 3을 브랜치(branch)로 하고, 기본 요소 4를 기본 요소 2의 하위 브랜치(lower branch)로 하는 트리 구조를 생성하여, 그 트리구조가 트리출력공간에 출력되도록 배치한다.When at least two basic elements are arranged in the relation diagram output space by the basic element copy arrangement unit 330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basic elements is established, the element tree output unit 350 outputs, based on the established connection And transforms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basic elements into a tree structure. For example, if each elementary element is arranged such that the elementary element 2 and the elementary element 3 are connected to the elementary element 1 and the elementary element 4 is connected to the elementary element 2, the elementary tree output unit 350 outpu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sic element and the basic elements placed in the output space is detected, and the basic element 1 is used as a base, the basic element 2 and the basic element 3 are used as a branch, A lower branch of the element 2 is generated, and the tree structure is arranged so as to be output to the tree output space.

트리 구조는 기본 요소의 수가 많아져서 기본 요소와 기본 요소들간의 연결관계가 복잡해질 경우, 사용자가 관계도출력공간에 존재하는 기본 요소들간의 연결관계만으로 네트워크 서비스를 직관적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에 있어서, 이를 보조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능할 수 있고, 트리 구조의 특성에 따라서 사용자로 하여금 기본 요소들간의 상하위구조가 직관적으로 파악되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number of basic elements is increased and the connection relation between the basic element and the basic element is complicated,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grasp the network service intuitively only by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basic elements existing in the output space , It can function as a means for assisting it, and the effect of allowing the user to intuitively grasp the hierarchical structure between basic elemen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ee structure can be expected.

선택적 일 실시 예로서, 트리출력공간은 단순히 기본요소배치공간에서 관계도출력공간으로 이동된 기본 요소들간의 연결관계를 트리형태로 출력할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플레이버의 조합의 결과로서 정의되는 가상 네트워크 기능 포워딩 그래프(VNFFG)를 구성하는 모든 요소를 트리 구조로 표현할 수도 있다.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tree output space may be configured not only to output the connection relationships between basic elements moved from the basic element arrangement space to the relation output space in the form of a tree, All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function forwarding graph (VNFFG) may be represented by a tree structure.

입력값수신부(370)는 사용자단말로부터 관계도출력공간에 위치하고 있는 각각의 기본요소들에 대한 특성값을 수신하여, 디플로이먼트 플레이버(deployment flavor, 이하 "플레이버")를 구성한다. 플레이버는 네트워크 서비스 디스크립터를 구성하는 일 단위로서, 독립적으로 특정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유닛(unit) 또는 모듈(module)로 정의될 수 있다. 관계도출력공간에 배치되는 기본 요소들은 특성값이 입력되고 기본 요소들간에 배선(wiring)이 완료되면, 관계도출력공간의 기본 요소들간의 연결관계에 대한 형상은 그 관계도출력공간에 대응되는 플레이버의 배포 형상이 되고, 그 단위별로 다른 플레이버와 조합(combination)될 수 있다.The input value receiving unit 370 receives property values of the respective basic elements located in the relationship diagram output space from the user terminal and constitutes a deployment flavor (hereinafter, "flavor"). A flavor is a unit for configuring a network service descriptor, and can be defined as a unit or a module capable of independently performing a specific function. Relationships The basic elements that are placed in the output space are input into the property values, and when the wiring is completed between the basic elements, the shape of the relationship relationship between the basic elements of the output space corresponds to the output space It becomes a distribution shape of the flavor and can be combined with other flavors according to the units.

사용자는 사용자단말에 입력을 가해서, 기본 요소에 대한 특성정보를 입력, 갱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사용자단말을 통해서 특정한 정보를 입력하면, 입력값수신부(370)는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값을 기본 요소의 특성값에 반영되도록 제어한다. The user can input and update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basic element by inputting to the user terminal. More specifically, when the user inputs specific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terminal, the input value receiving unit 370 controls the input value input by the user to be reflected in the characteristic value of the basic element.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값이 기본 요소의 특성값에 반영되는 일 예로서, VNF, PNF, Nested NS에 대한 플레이버 및 인스턴스생성레벨에 대한 정보, 버츄얼링크(virtual link)에 대한 대역폭(bandwidth), 지연시간(delay), IPv4 GW, DHCP, 서브넷정보와 같은 네트워크설정(network configuration), SAP에 대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정보 등이 있다.As an example in which the input value input by the user is reflected in the property value of the basic element, information on the flavor and instance generation level for VNF, PNF, Nested NS, bandwidth for virtual link, Network configuration such as time delay, IPv4 GW, DHCP, subnet information, and network interface information for SAP.

기본 요소의 특성값은 사용자 단말에 의해서 선택된 기본 요소의 속성 정보나 요구사항으로 정의될 수 있다. 각 플레이버에는 다수의 인스턴스생성레벨이 정의될 수 있고, 후술하는 그래프정의부(390)는 각 인스턴스생성레벨(Instantiation Level)에 해당하는 기본 요소의 프로파일 매핑(profile mapping)을 통해서 배포 형상을 정의하게 된다.The property value of the basic element can be defined as the attribute information or requirement of the basic element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A plurality of instance creation levels can be defined for each flavor, and a graph defining unit 390 described later defines distribution shapes through profile mapping of elementary elements corresponding to each instantiation level do.

그래프정의부(390)는 입력값수신부(370)에 의해 수신된 특성값 및 설정값을 기초로 가상네트워크기능 포워딩 그래프(VNFFG: Virtual Network Function Forwarding Graph)를 정의한다. 그래프정의부(390)는 기본 요소들의 각 플레이버별로 대응되어 있는 관계도출력공간에서 개별 슬라이스에 포함될 정보들을 선택하여 그룹화하는 방식을 통해서 VNFFG를 정의하고, 그래프정의부(390)에 의해 정의된 VNFFG는 네트워크 서비스를 표현하는 NSD(네트워크 서비스 디스크립터)로서 기능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그래프정의부(390)가 정의하는 VNFFG는 복수의 관계도출력공간에 각각 존재하는 플레이버들의 배포 형상을 계층적으로 누적시켜서 그룹화시킨 대상을 의미한다. 즉, VNFFG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플레이버를 조합한 결과를 기초로 정의될 수 있다.The graph defining unit 390 defines a Virtual Network Function Forwarding Graph (VNFFG) based on the property value and the setting value received by the input value receiving unit 370. The graph defining unit 390 defines VNFFG by a method of selecting information to be included in individual slices in the output space and grouping them in correspondence with each flavor of basic elements, and defines a VNFFG defined by the graph defining unit 390 Function as an NSD (network service descriptor) representing the network service. More specifically, the VNFFG defined by the graph defining unit 390 means an object obtained by hierarchically accumulating distributions of the flavors of the plurality of relations existing in the output space and grouping them. That is, VNFFG can be defined based on a result of combining at least two flavors.

선택적 일 실시 예로서, 그래프정의부(390)는 VNFFG에 대한 상황별 천이정책(transfer policy)를 추가로 정의할 수 있다. 그래프정의부(390)는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된 정보 또는 플레이버별로 미리 설정된 기능정보를 기초로 하여, 정의된 VNFFG가 어떠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인지 용도적인 관점에서 정의할 수 있다. VNFFG에 추가로 정의되는 천이정책에는 VNFFG의 조건에 맞는 플레이버 및 인스턴스생성레벨(Instantiation Level) 등이 포함된다.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graph defining unit 390 may further define a context-based transfer policy for VNFFG. The graph defining unit 390 can define,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or the function information previously set for each flavor, from the viewpoint of what network service the defined VNFFG is intended to use. Transition policies defined in addition to VNFFG include flavors and instantiation levels that meet the conditions of VNFFG.

전술한 제1시스템(301)이 수행하는 NSD설계기능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효율적인 설명을 위해서, 도 4와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A further description of the NSD design functions performed by the first system 301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4 for efficient illustration.

이어서, 제2시스템(302)는 제1시스템(301)과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연결되어서, 제1시스템(301)에 의해 설계된 설계 산출물(NSD)에 대한 통합적인 관리를 위해서, 네트워크기능가상화시스템(10)과 연동하여 기설정된 표준 규격에 따른 라이프사이클 관리기능을 수행한다. 기설정된 표준 규격의 일 예로서, IFA013이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서, 제2시스템(302)은 다른 표준 규격에 따라서 관리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The second system 302 may then be physically or log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system 301 to provide a network functional virtualization system (" virtualization ")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design outcomes (NSD) 10) to perform a life cycle management func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tandard. As an example of the predetermined standard, there is IFA 013, but it is obvious that the second system 302 can perform the management function according to other standard specificatio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선택적 일 실시 예로서, 제2시스템(302)은 제1시스템(301)의 그래프정의부(390)에서 정의된 VNFFG에 따른 네트워크 서비스 디스크립터가, 연동중인 NFVO에 의해서 라이프사이클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라이프사이클이 변경되면, 네트워크 서비스 디스크립터에 따른 네트워크서비스가 온보딩(on-boarding)되기 전의 등록정보에 대응하여, 라이프사이클이 변경된 것을 사용자단말에 통보할 수도 있다.As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second system 302 may detect whether the network service descriptor according to VNFFG defined in the graph defining unit 390 of the first system 301 is changed by the NFVO in the interworking state When the lifecycle is changed, the lifecycle may be notified to the user terminal in response to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before the network service according to the network service descriptor is on-boarded.

전술한 제2시스템(302)이 수행하는 NSD관리기능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효율적인 설명을 위해서 도 8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A further description of the NSD management functions performed by the second system 302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8 for an efficient description.

선택적 일 실시 예로서, 제1시스템(301) 및 제2시스템(302)을 포함하는 NSD설계관리시스템(300)은 WEB-WAS-DB 구조를 갖는 시스템일 수 있다. NSD설계관리시스템(300)은 WEB-WAS-DB 구조를 갖는 시스템이므로, NSD설계관리시스템(300)에 접속하는 모든 사용자단말에 공통적인 정적 데이터를 제공하는 웹 서버(Web Server)의 기능을 포함할뿐만 아니라, 사용자단말의 요청중에서 특정한 로직을 수행하여 결과값을 반환해야 하는 작업은 그 작업명령을 구성하는 다양한 시스템언어(개발언어)를 읽어내는 WAS(Web Application Server)기능을 포함한다. 이 과정에서 WAS는 필요시 SQL(Structured Query Language)를 활용하여, 데이터베이스서버(DB서버)에 접근하게 되고, 사용자단말의 요청에 따른 데이터에 대한 로직을 수행한 결과값을 다시 사용자단말에 전달하게 된다.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NSD design management system 300 including the first system 301 and the second system 302 may be a system having a WEB-WAS-DB structure. Since the NSD design management system 300 is a system having a WEB-WAS-DB structure, it includes a function of a Web server that provides static data common to all user terminals connected to the NSD design management system 300 (WAS) function for reading out various system languages (development languages) constituting the task command, as well as an operation for performing a specific logic among the requests of the user terminal and returning the result value. In this process, the WAS accesses the database server (DB server) using SQL (Structured Query Language) when necessary. The WAS transmits the result of the logic to the data requested by the user terminal to the user terminal do.

즉, NSD설계관리시스템(300)을 3 티어 아키텍처(3-tier architecture)로 구성함에 따라서, 사용자단말의 요청에 대해 더 향상된 결과값을 제공할 수 있다. 제1시스템(301)에 의해 설계된 NSD는 WAS-DB에 저장되어 버전컨트롤 기능을 제공하여, 설계물에 대한 변경 추적이나 버전 관리를 자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종래기술과 구별되는 본 발명을 통한 NSD의 라이프사이클 관리의 특징은, 설계 단계에 불과하여 아직 온보딩(on-boarding)되지 않은 미완성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상태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이다. NSD의 상태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OSS(operations support system)(230)관점에서 온보딩되기 이전의 NSD 상태를 다양하고 효율적으로 정의해서 관리해야 하며, 이에 대해서는 도 8에서 후술하기로 한다.That is, by configuring the NSD design management system 300 as a 3-tier architecture, a more improved result value can be provided for the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The NSD designed by the first system 301 may be stored in the WAS-DB to provide a version control function to perform change tracking or version management on the design itself. The feature of life cycle management of the NSD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distinguished from the prior art is that the state management can be performed for an unfinished network service which is only a design stage and has not yet been on-boarded. In order to effectively manage the state of the NSD, the state of the NSD before being on-boarded from the operations support system (OSS) 230 should be defined variously and efficiently, and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도 4는 제1시스템에 의해 사용자단말에 출력되는 NSD설계화면의 일 예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NSD design screen output to the user terminal by the first system.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단말에 출력되는 NSD설계화면(400)은 기본요소출력공간(410), 관계도출력공간(430), 트리출력공간(450) 및 특성정보표시공간(470)을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는 제1시스템(301)에 의해 구현되는 화면으로서,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고, 도 3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4, the NSD design screen 400 output to the user terminal includes a basic element output space 410, a relation diagram output space 430, a tree output space 450, and a characteristic information display space 470 . FIG. 4 is a screen implemented by the first system 301,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3, and a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that described in FIG. 3 will be omitted.

먼저, 기본요소출력공간(410)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기본 요소가 배치되어 출력된다. 기본 요소는 스텐실(stencil)형태로 기본요소출력공간(410)에 배치되어 출력될 수 있음을 이미 설명한 바 있으며, 도 4의 기본요소출력공간(410)에는 6개의 기본 요소만이 배치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기본 요소의 수를 특정한 수로 제한하지 않으므로, 실시 예에 따라서, 기본요소출력공간(410)에 배치되는 기본 요소의 수는 6개보다 더 적거나 더 많을 수도 있다.First, at least two basic elements are arranged and output in the basic element output space 410. The basic elements can be arranged and output in the basic element output space 410 in a stencil form. In the basic element output space 410 shown in FIG. 4, only six basic elements are arranged, The number of elementary elements placed in the elementary element output space 410 may be smaller or larger than six, as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limit the number of elementary elements to a specific number.

관계도출력공간(430)은 사용자단말에 입력된 특정한 입력에 따라서, 기본요소출력공간(410)에 배치되어 있던 기본 요소가 관계도출력공간(430)으로 복사배치되는 경우에 생성되는 기본 요소와 기본 요소간의 연결관계를 출력한다. 여기서, 사용자단말에 입력된 특정한 입력이라함은 전술한 입력값수신부(370)가 수신한 정보 중에서 관계도출력공간(430)에 대응되는 정보라는 것은 자명하다. 관계도출력공간(430)에 배치되는 기본 요소는 각각 노드(node)를 구성하며, 사용자단말로부터 입력되는 특성값에 따라서 그 특징이 결정될 수 있다. 관계도출력공간(430)에 배치되는 기본 요소의 특성값은 후술하는 특성정보표시공간(470)의 공란에 입력된 경우에만 유효하게 기본 요소에 대응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도 4의 관계도출력공간(430)은 플레이버 1에 대한 관계도출력공간(430)으로서 관계도출력공간(430)은 각각의 플레이버마다 하나씩 존재한다.The relationship diagram output space 430 includes basic elements generated when the basic elements arranged in the basic element output space 410 are copied and arranged in the relation diagram output space 430 according to a specific input inputted to the user terminal Outputs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basic elements. Here, it is obvious that the specific input inputted to the user terminal i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lation diagram output space 430 among th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input value receiver 370 described above. The elementary elements arranged in the relationship diagram output space 430 constitute a node, and their characteristics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characteristic values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The characteristic values of the elementary elements arranged in the relationship diagram output space 430 can be effectively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elementary elements only when they are input in the blank space of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display space 470 described later. Relational diagram of FIG. 4 The output space 430 is a relation to the flavor 1, and the output space 430 is one of the relationship output view 430, one for each flavor.

트리출력공간(450)는 관계도출력공간(430)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기본 요소가 배치되고, 기본 요소들간의 연결관계가 성립되었을 경우에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기본 요소들간의 상하위관계를 트리구조로 출력하는 공간으로서, 사용자는 트리출력공간(450)에 출력되는 트리구조를 참조하여, 설계되는 네트워크 서비스의 잠재적 오류를 직관적으로 파악하기 용이하다는 점은 이미 설명한 바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트리출력공간(450)은 관계도출력공간(430)에 배치된 기본 요소들간의 연결관계를 기초로, NF라는 기본 요소의 하위 기본 요소로서 VNF-A 및 VNF-B가 정의되어 있다는 것을 파악하여 출력하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tree output space 450 is a tree structure in which at least two basic elements are arranged in the relation diagram output space 430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sic elements inevitably generated when the basic elements are connected is established as a tree structure As a space for outputting, it has been already described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grasp the potential error of the designed network service by referring to the tree structure output to the tree output space 450. Referring to FIG. 4, for example, the tree output space 450 may include VNF-A and VNF as sub-base elements of a basic element called NF, based on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basic elements disposed in the relationship diagram output space 430 -B is defined, and outputs it.

특성정보표시공간(470)은 입력값수신부(370)에 수신된 정보가 입력되는 공간으로서, 기본 요소의 특성정보(properties)가 특성정보표시공간(470)을 통해 입력되어 저장된 후에는, 각각의 기본 요소에 대해서 재입력을 가함으로써, 기본 요소마다 대응되어 저장된 특성정보를 사용자가 가시적으로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서, 수정할 수도 있다. 특성정보표시공간(470)에는 기본 요소의 특성값뿐만 아니라, 기본 요소와 기본 요소간의 연결관계에 대한 설정값(예를 들어, 네트워크 상황별 천이정책)에 대해서도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display space 470 is a space into which the received information is inputted to the input value receiver 370. After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basic element is inputted through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display space 470 and stored, By re-inputting the basic element, the user can visually confirm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stored corresponding to each elementary element, and modify it as necessary. In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display space 470, the same function is performed not only for the characteristic value of the basic element but also for a setting value (for example, a transition policy for each network situation) of the connection relation between the basic element and the basic element.

도 5는 도 4에서 설명한 NSD설계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NSD design screen illustrated in FIG.

도 5는, 도 4를 통해 설명한 기본요소출력공간(410), 관계도출력공간(430), 트리출력공간(450) 및 특성정보표시공간(470)을 보다 더 구체적으로 개시하고 있다. 5 more specifically discloses the basic element output space 410, the relation diagram output space 430, the tree output space 450, and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display space 47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특히, 도 5를 참조하면, 특성정보표시공간을 통해서 입력된 기본 요소의 특성값 및 기본 요소들간의 연결관계의 설정값들이 관계도출력공간에 반영되어 다양한 값(6 내지 21)으로 반영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용자는 관계도출력공간을 통해 출력되는 관계도를 트리출력공간에 출력되는 트리를 보조지표로 하여 직관적으로 이해하면서 네트워크 서비스 디스크립터를 설계할 수 있게 되어, 설계의 효율성이 증대됨으로써, 오류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정보를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다.5, characteristic values of basic elements input through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display space and set values of connection relations between basic elements are reflected in the relationship diagram output space and reflected in various values (6 to 21) . The user can design the network service descriptor while intuitively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diagram outputted through the output space as a supplementary index to the tree output in the tree output space,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design, It is possible to quickly detect possible information.

도 6은 텍스트 에디터를 이용하여 NSD를 설계하는 화면의 일 예이다.6 is an example of a screen for designing an NSD using a text editor.

도 6과 같이 텍스트 에디터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서비스 디스크립터를 설계할 경우에는 직관적인 분석이 어려워서, NSD를 설계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정보를 신속하게 감지할 수 없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도 5와 같이 NSD 설계화면을 구현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사용자의 NSD 설계작업의 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6, when designing a network service descriptor using a text editor, intuitive analysis is difficult. Therefore, it is not possible to quickly detect information that may cause an error in the process of designing an NSD. However, As the NSD design screen can be implemented as shown in FIG. 5, the efficiency of the user's NSD design work can be maximized.

도 7은 도 5와 같은 NSD 설계화면을 통해서 설계된 NSD를 타 시스템(클라이언트 or NFVO)에게 API 형태로 서비스하고 관련 연동 규격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NSD designed through the NSD design screen shown in FIG. 5 and serving as an API to another system (client or NFVO) and related interworking standards.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해서 설계되는 NSD가 종래의 NSD와 유사하게 텍스트로 구현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NSD 설계에 대한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기반의 설계도구를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although the NSD designed b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text similar to the conventional NSD,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based design Tool that you can use.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NSD를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aging an NSD design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3에 따른 NSD설계관리시스템(300)의 제2시스템(302)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고, 도 3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FIG. 8 can be implemented by the second system 302 of the NSD design management system 300 according to FIG. 3, 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Hereinafter, It will be omitted.

제1시스템(301)에 의해 NSD가 설계되고 나면, 제2시스템(302)은 설계된 NSD의 라이프사이클을 관리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설계 단계의 미완성 저작물(NSD)에 대한 상태관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OSS관점으로 온보딩(on-boarding) 되기 이전의 NSD의 상태를 적어도 두 가지 이상으로 정의하여 관리할 수 있다.Once the NSD is designed by the first system 301, the second system 302 manages the life cycle of the designed NS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state management for an unfinished work (NSD) at the design stage, and to define and manage at least two states of the NSD before on-boarding from the OSS perspective have.

제2시스템(302)은 제1상태로서, Working(810)을 정의하고, Working(810)을 설계된 NSD에 따른 네트워크 서비스의 설계가 진행 중인 임시 저장상태로 간주한다. The second system 302 defines the Working 810 as the first state and considers the Working 810 to be a temporary storage state in which the design of the network service according to the designed NSD is in progress.

제2시스템(302)은 제2상태로서, Under review(830)를 정의하고, Under review(830)를 표준모델에 따른 유효성(validation)체크 및 NSD에 따른 네트워크 서비스의 운용적합성에 대해서 검증을 수행하는 상태로 간주할 수 있다.The second system 302 defines under review 830 as the second state and validates the validity of the network service according to the NSD according to the standard model by performing under review 830 It can be regarded as a state in which

제2시스템(302)은 제3상태로서, Confirmed(850)를 정의하고, Confirmed(850)를 설계된 NSD에 따른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검증이 완료되어, NFVO에 온보딩되기 직전의 상태로 간주할 수 있다.The second system 302 defines the Confirmed 850 as the third state and can regard the Confirmed 850 as a state just before being verified for the network service according to the designed NSD to be on-board the NFVO have.

제2시스템(302)은 제4상태로서, Deployed(870)를 정의하고, Deployed(870)를 설계된 NSD에 따른 네트워크 서비스가 NFVO에 온보딩(on-boarding)된 상태로 간주할 수 있다.The second system 302 may define a Deployed 870 as a fourth state and may regard Deployed 870 as being on-boarded to the NFVO according to the designed NSD.

제2시스템(302)은 제5상태로서, Archived(890)를 정의하고, Archived(890)를 유지보수를 위해서 제1시스템(301)에서 설계된 NSD에 따른 네트워크 서비스를 보관하는 상태로 간주할 수 있다.The second system 302 may define Archived 890 as a fifth state and may regard Archived 890 as a state of keeping network services according to the NSD designed in the first system 301 for maintenance have.

제2시스템(302)은 네트워크 서비스가 설계되는 과정에서 편집(Edit)되거나, Under review(830)에서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거나, Confirmed(850)에서 업데이트된 내용이 있을 경우, 설계된 NSD의 라이프사이클을 Working(810)로 간주하여 관리한다.If the second system 302 is edited during the course of designing the network service, is determined to be invalid in the under review 830, or updated in the Confirmed 850, the second system 302 determines the lifecycle of the designed NSD Is regarded as a working (810) and managed.

제2시스템(302)은 설계된 NSD에 따른 네트워크 서비스의 설계가 완료되고 나면(done), 설계된 NSD의 라이프사이클을 Under review(830)로 간주하여 관리한다.After the design of the network service according to the designed NSD is completed, the second system 302 regards the life cycle of the designed NSD as under review (830) and manages it.

제2시스템(302)은 설계된 NSD에 따른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검증이 완료되거나(valid), 설계된 NSD에 따른 네트워크 서비스가 NFVO에 온보딩(on-boarding)되었다가 드랍되거나(drop), 유지보수가 완료된 경우(unarchive), 설계된 NSD의 라이프사이클을 Confirmed(850)로 간주하여 관리한다.The second system 302 may verify that the network service according to the designed NSD has been completed or that the network service according to the designed NSD has been on-boarded and dropped on the NFVO, When unarchive, the life cycle of the designed NSD is regarded as Confirmed (850) and managed.

제2시스템(302)은 설계된 NSD에 따른 네트워크 서비스가 NFVO에 온보딩(on-boarding)된 후에 미리 설정된 시간내에 드랍(drop)되지 않으면, 설계된 NSD의 라이프사이클을 Deployed(870)로 간주하여 관리한다.The second system 302 regards the designed life cycle of the NSD as Deployed 870 if the network service according to the designed NSD is not dropped within a preset time after on-boarding the NFVO do.

제2시스템(302)은 설계된 NSD에 따른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검증이 완료되어, NFVO에 온보딩되기 직전의 상태에서, NSD에 따른 네트워크 서비스의 유지보수가 필요하여 NFVO에 온보딩되지 않고 보관되는 경우, 설계된 NSD의 라이프사이클을 Archived(890)로 간주하여 관리한다.If the second system 302 has been verified for the network service according to the designed NSD and is maintained on the NFVO before being on-boarded, maintenance of the network service according to the NSD is required and is not on-board the NFVO , And manages the designed NSD life cycle as Archived (890).

전술한 것과 같이, 제2시스템(302)은 제1시스템(301)에 의해 NSD가 설계되고 난 후, 설계된 NSD가 NFVO에 온보딩되기 전과 후의 라이프사이클을 정의하고 관리할 수 있고, NSD의 라이프사이클이 기존 상태와 다른 상태로 변경되면, 변경된 사실을 사용자단말에 통보하여, 사용자가 기설계된 NSD의 라이프사이클의 변경사실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system 302 can define and manage the life cycle before and after the designed NSD is on-boarded to the NFVO after the NSD is designed by the first system 301, When the cycle is changed to a stat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state, the fact that the cycle has changed is notified to the user terminal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fact that the life cycle of the designed NSD is changed.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서비스 디스크립터를 설계하는 방법의 일 예의 흐름도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9 is a diagrammatic representation of a flow diagram of an example of a method for designing a network service descripto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3에 따른 NSD설계관리시스템(3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도 3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FIG. 9 can be implemented by the NSD design management system 300 according to FIG. 3, and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3, and a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that described in FIG. 3 will be omitted.

먼저, 요소배치부(310)는 사용자단말로부터 네트워크 서비스의 기본 요소를 수신하고, 수신된 기본 요소를 수신하고, 기본 요소를 기본요소출력공간에 배치시킨다(S910). 단계 S910에서, 기본 요소는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된다고 기재되어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서, 기설정되어 있는 기본 요소는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되지 않더라도 기본요소출력공간에 미리 배치되어 있을 수 있고, 사용자단말이 아닌 사용자단말에 대한 입력에 의해 특정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던 기본 요소가 제1시스템(301)에 전달되어 기본요소출력공간에 배치되는 과정을 따를 수도 있다.First, the element arrangement unit 310 receives a basic element of the network service from the user terminal, receives the received basic element, and arranges the basic element in the basic element output space (S910). Although it is described in step S910 that the basic element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predetermined basic element may be previously arranged in the elementary element output space even if not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 basic element stored in a specific database by an input to a user terminal may be transferred to the first system 301 and placed in a basic element output space.

기본요소복사배치부(330)는 입력된 기본요소를 관계도출력공간에 복사하는 방식으로 배치한다(S920). 보다 구체적으로, 기본요소복사배치부(330)는 사용자단말을 통해서 기본요소출력공간에 배치된 기본 요소 중에 어느 하나에 대한 입력이 수신된 후, 미리 설정된 관계도출력공간에 대한 입력이 후속적으로 수신되면, 관계도출력공간에 기본 요소를 복사하여 배치시키게 된다.The basic element copy placement unit 330 arranges the input basic elements in such a manner as to copy the input basic elements to the relationship diagram output space (S920). More specifically, after the input to any one of the basic elements arranged in the basic element output space is received via the user terminal, the basic element copy placement unit 330 outputs the input to the preset relation degree output space successively Once received, the relationship is also copied and placed in the output space.

요소트리출력부(350)는 관계도출력공간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기본 요소가 배치되면, 배치된 기본 요소들간의 연결관계를 트리구조로 변환하여 트리출력공간에 출력시킨다(S930).When at least two basic elements are arranged in the relation space output space 350, the element tree output unit 350 converts the connection relations between the arranged basic elements into a tree structure and outputs the tree structure to the tree output space (S930).

입력값수신부(370)는 사용자단말로부터 관계도출력공간에 위치하고 있는 각각의 기본요소들에 대한 특성값 및 기본요소들간의 연결관계에 대한 설정값을 수신한다(S940).In operation S940, the input value receiving unit 370 receives the property values of the respective basic elements located in the relation diagram output space from the user terminal and the setting values for the connection relations between the basic elements.

그래프정의부(390)는 단계 S940에서 수신된 특성값 및 설정값을 기초로 가상네트워크기능포워딩그래프(VNFFG)를 정의한다(S950). 단계 S950의 확장적인 실시 예로서, 설계된 NSD는 제2시스템(302)에 의해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상태를 갖는 라이프사이클이 정의되고, 관리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8에서 이미 설명한 바 있다.The graph defining unit 390 defines a virtual network function forwarding graph VNFFG based on the property value and the setting value received in step S940 (S950). As an expansive embodiment of step S950, the designed NSD can be defined and managed by the second system 302 with at least two states, which has already been described in FIG.

본 발명에 따른 설계관리시스템은 독립적인 웹 응용프로그램으로써, 네트워크 서비스를 NFV MANO 환경이 아닌 제3의 환경에서 편집하고, 표준 규격에 맞는 설계 결과물을 파일 형태로 내려 받아 OSS 혹은 NFVO에서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다.The desig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dependent web application program. It can edit the network service in a third environment other than the NFV MANO environment, download the design results according to the standard specification in a file form, and freely utilize the OSS or NFVO hav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설계시스템은, 사용자가 하나의 NFV 도메인에서 동작하는 네트워크 서비스를 설계하는 경우, 상용 혹은 오픈소스 NFVO에 통합(Integration)되어, 그 시스템의 NSD 데이터 모델 편집 및 설계에 활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sig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tegrated into a commercial or open source NFVO when designing a network service operating in one NFV domain, and can be utilized for editing and designing an NSD data model of the system have.

본 발명은 표준 모델과 대상 시스템의 모델간 매핑을 통해 간편한 방식으로 통합가능하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론에 따라 GUI기반 편집도구를 통해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다중 배포형상 및 천이 정책의 정의가 가능하며 Design-Time 기능에 대한 솔루션으로 동작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tegrated in a simple manner through mapping between the standard model and the model of the target system. Through this, according to the methodology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fine multiple distribution shapes and transition policies for a network service through a GUI-based editing tool and to operate as a solution to a design-time function.

본 발명에 따른 관리시스템은, 다수의 NFVO를 통합 관리하는 OSS 환경에서 NSD를 설계하고 배포하는 경우, 본 발명의 GUI 도구 및 관리도구를 따라 NSD 설계 지원에 활용될 수 있으며, 설계 단계에서 다양한 상태 관리를 통해 정규화된 설계 프로세스 및 설계물에 대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Th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for NSD design support according to the GUI tool and management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designing and distributing an NSD in an OSS environment in which a plurality of NFVOs are integratedly managed, Management can perform the normalized design process and management of the design.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컴퓨터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embodied in the form of a computer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on various components on a computer, and the computer program can be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At this time, the medium may be a magnetic medium such as a hard disk, a floppy disk and a magnetic tape, an optical recording medium such as CD-ROM and DVD, a magneto-optical medium such as a floptical disk, , A RAM, a flash memory, and the like, which are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mputer program may be designed and configured specifically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field. Examples of computer programs may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may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The specific act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by way of exampl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any way. For brevity of description, descriptions of conventional electronic configurations, control systems, software, and other functional aspects of such systems may be omitted. Also, the connections or connecting members of the lines betwee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figures are illustrative of functional connections and / 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s, which may be replaced or additionally provided by a variety of functional connections, physical Connection, or circuit connections. Also, unless explicitly mentioned, such as " essential ", " importantly ", etc., it may not be a necessary component for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The use of the terms " above " and similar indication words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icularly in the claims) may refer to both singular and plural.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range is described, it includes the invention to which the individual values belonging to the above range are applied (unless there is contradiction thereto), and each individual value constituting the above range i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 same. Finally, the steps may be performed in any suitable order, unless explicitly stated or contrary to the description of the steps constit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order of description of the above steps. The use of all examples or exemplary language (e.g., etc.) in this inventio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invention in detail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a limitation on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not. It will also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ombinations, and alterations may be made depending on design criteria and factor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or equivalents thereof.

Claims (15)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FV: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시스템과 API 서비스를 통해 마이크로서비스아키텍쳐(MSA)를 구성하는 시스템이, 네트워크 서비스 디스크립터(NSD: Network Service Descriptor)를 설계,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단말로부터 네트워크 서비스의 기본 요소(basic component)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기본 요소를 기본요소출력공간에 배치시키는 요소배치단계;
상기 사용자단말을 통해서 상기 배치된 기본 요소 중에 어느 하나에 대한 입력이 수신된 후, 미리 설정된 관계도출력공간에 대한 입력이 후속적으로 수신되면, 상기 관계도출력공간에 상기 기본요소를 복사하여 배치시키는 기본요소복사배치단계;
상기 관계도출력공간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기본 요소가 배치되면, 상기 배치된 기본 요소들간의 연결관계를 트리구조로 변환하여 트리출력공간에 출력시키는 요소트리출력단계;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관계도출력공간에 위치하고 있는 각각의 기본 요소들에 대한 특성값을 수신하여 플레이버(flavor)를 구성하는 입력값수신단계;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플레이버를 조합한 결과를 기초로 하여, 가상 네트워크 기능 포워딩 그래프(VNFFG: Virtual Network Function Forwarding Graph)를 정의하는 그래프정의단계;
상기 정의된 가상 네트워크 기능 포워딩 그래프에 따른 네트워크 서비스 디스크립터가, 연동 중인 NFVO에 의해서 라이프사이클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변경감지단계; 및
상기 라이프사이클이 변경되면, 상기 디스크립터에 따른 네트워크 서비스가 온보딩(on-boarding)되기 전의 등록정보에 대응하여, 온보딩되기전의 네트워크 서비스 디스크립터의 라이프사이클이 적어도 다섯 가지 중 하나로 변경된 것을 상기 사용자단말에 통보하는 변경정보통보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그래프정의단계는,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된 정보 또는 플레이버별로 미리 설정된 기능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정의된 가상 네트워크 기능 포워딩 그래프(VNFFG)에 의해 제공되는 네트워크 서비스의 종류를 추가로 정의하고,
상기 변경감지단계 및 상기 변경정보통보단계는,
상기 요소배치단계, 상기 기본요소복사배치단계, 상기 요소트리출력단계, 상기 입력값수신단계 및 상기 그래프정의단계를 수행하는 제1시스템과 서로 다른 제2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 서비스 디스크립터를 설계, 관리하는 방법.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esigning and managing a network service descriptor (NSD) by a system constituting a micro service architecture (MSA) through a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NFV) system and an API service,
An element placement step of receiving a basic component of a network service from a user terminal and arranging the received basic element in a basic element output space;
If an input to a predetermined relationship diagram is subsequently received after an input to any one of the arranged basic elements is received via the user terminal, Basic element copying batching step;
A element tree output step of conver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arranged basic elements into a tree structure and outputting the tree structure to the tree output space when at least two basic elements are arranged in the relation output space;
An input value receiving step of receiving a property value for each elementary element located in the relation space output space from the user terminal to form a flavor;
A graph defining step of defining a virtual network function forwarding graph (VNFFG) based on a result of combining at least two flavors;
A change detection step of detecting whether the network service descriptor according to the defined virtual network function forwarding graph defines whether the life cycle is changed by the NFVO in the interworking; And
The lifecycle of the network service descriptor before on-boarding is changed to one of at least five, in response to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before the on-boarding of the network service according to the descriptor, A change information notification step of notifying the change information,
The graph defining step may include:
Further defining a type of a network service provided by the defined virtual network function forwarding graph (VNFFG) based 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or function information preset for each flavor,
Wherein the change detection step and the change information notification step comprise:
Wherein the second system is implemented by a second system different from the first system performing the element placement step, the basic element copy placement step, the element tree output step, the input value reception step, and the graph definition step. A method for designing and managing a network service descriptor in a virtualizat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정의단계는,
상기 정의된 VNFFG에 대한 상황별 천이정책(transfer policy)을 추가로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 서비스 디스크립터를 설계, 관리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raph defining step may include:
And defining a context-based transfer policy for the defined VNFFG in the network functional virtualizat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값수신단계는,
상기 플레이버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인스턴스생성레벨이 정의되고,
상기 관계도출력공간은,
플레이버별로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 서비스 디스크립터를 설계, 관리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put value receiving step comprises:
At least two instance generation levels are defined in the flavor,
The relationship diagram output space comprises:
Wherein the network service descriptor includes at least one address corresponding to each flav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요소는
VNF, PNF, Nested NS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 서비스 디스크립터를 설계, 관리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sic element
VNF, PNF, and Nested NS in the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WEB-WAS-DB 구조를 갖는 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 서비스 디스크립터를 설계, 관리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comprises:
WEB-WAS-DB structure in a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프사이클은,
상기 디스크립터에 따른 네트워크 서비스의 설계가 진행 중인 제1상태;
표준모델에 따른 유효성체크 및 상기 디스크립터에 따른 네트워크 서비스의 운용적합성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제2상태;
상기 디스크립터에 따른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검증이 완료되어 NFVO에 온보딩되기 직전인 제3상태;
상기 디스크립터에 따른 네트워크 서비스가 NFVO에 온보딩된 제4상태; 및
유지보수를 위해서 상기 디스크립터에 따른 네트워크 서비스를 보관하는 제5상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서비스 디스크립터를 설계, 관리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fe cycle includes:
A first state in which a design of a network service according to the descriptor is in progress;
A second state for performing a validity check according to a standard model and a verification of an operational suitability of a network service according to the descriptor;
A third state immediately before the verification of the network service according to the descriptor is completed and the NFVO is on-boarding;
A fourth state in which a network service according to the descriptor is on-board the NFVO; And
And a fifth state for maintaining a network service according to the descriptor for maintenance.
제1항 내지 제5항,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nd 7.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FV: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시스템과 API 서비스를 통해 마이크로서비스아키텍쳐(MSA)를 구성하는 방식으로, 네트워크 서비스 디스크립터(NSD: Network Service Descriptor)를 설계, 관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제1시스템 및 제2시스템을 포함하고,
네트워크 서비스 디스크립터를 설계하는 제1시스템은,
사용자단말로부터 네트워크 서비스의 기본 요소(basic component)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기본 요소를 기본요소출력공간에 배치시키는 요소배치부;
상기 사용자단말을 통해서 상기 배치된 기본 요소 중에 어느 하나에 대한 입력이 수신된 후, 미리 설정된 관계도출력공간에 대한 입력이 후속적으로 수신되면, 상기 관계도출력공간에 상기 기본요소를 복사하여 배치시키는 기본요소복사배치부;
상기 관계도출력공간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기본 요소가 배치되면, 상기 배치된 기본 요소들간의 연결관계를 트리구조로 변환하여 트리출력공간에 출력시키는 요소트리출력부;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관계도출력공간에 위치하고 있는 각각의 기본 요소들에 대한 특성값을 수신하여 플레이버(flavor)를 구성하는 입력값수신부; 및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플레이버를 조합한 결과를 기초로, 가상 네트워크 기능 포워딩 그래프(VNFFG: Virtual Network Function Forwarding Graph)를 정의하는 그래프정의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래프정의부는,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된 정보 또는 플레이버별로 미리 설정된 기능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정의된 가상 네트워크 기능 포워딩 그래프(VNFFG)에 의해 제공되는 네트워크 서비스의 종류를 추가로 정의하고,
상기 설계된 네트워크 서비스 디스크립터를 관리하는 제2시스템은,
상기 정의된 가상 네트워크 기능 포워딩 그래프에 따른 네트워크 서비스 디스크립터가, 연동 중인 NFVO에 의해서 라이프사이클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라이프사이클이 변경되면, 상기 디스크립터에 따른 네트워크 서비스가 온보딩(on-boarding)되기 전의 등록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라이프사이클의 변경된 것을 상기 사용자단말에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 서비스 디스크립터를 설계, 관리하는 시스템.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designing and managing a network service descriptor (NSD) by configuring a micro service architecture (MSA) through a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NFV) system and an API service,
The system comprising a first system and a second system,
A first system for designing a network service descriptor comprises:
An element arrangement unit for receiving a basic component of a network service from a user terminal and arranging the received basic element in a basic element output space;
If an input to a predetermined relationship diagram is subsequently received after an input to any one of the arranged basic elements is received via the user terminal, A basic element copy arrangement part;
A element tree output unit for converting a connection relation between the arranged basic elements into a tree structure and outputting the tree structure to the tree output space when at least two basic elements are arranged in the relation output space;
An input value receiver for receiving a characteristic value of each basic element located in the relation space output space from the user terminal and configuring a flavor; And
And a graph defining unit that defines a virtual network function forwarding graph (VNFFG) based on a result of combining at least two flavors,
Wherein the graph defining unit comprises:
Further defining a type of a network service provided by the defined virtual network function forwarding graph (VNFFG) based 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or function information preset for each flavor,
A second system for managing the designed network service descriptor,
The network service descriptor according to the defined virtual network function forwarding graph detects whether the lifecycle is changed by the NFVO in the interworking mode,
Wherein the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system notifies the user terminal of a change in the life cycle in response to registration information before the network service is on-boarded according to the descriptor when the life cycle is changed. A system for designing and managing network service descriptor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정의부는,
상기 정의된 VNFFG에 대한 상황별 천이정책(transfer policy)을 추가로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 서비스 디스크립터를 설계, 관리하는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graph defining unit comprises:
Wherein a transfer policy for a context for the defined VNFFG is additionally defined in the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system.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값수신부는,
상기 플레이버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인스턴스생성레벨이 정의되고,
상기 관계도출력공간은,
플레이버별로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 서비스 디스크립터를 설계, 관리하는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input value receiver comprises:
At least two instance generation levels are defined in the flavor,
The relationship diagram output space comprises:
Wherein the network service descriptor is present in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addresses of the plurality of user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요소는,
VNF, PNF, Nested NS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서비스 디스크립터를 설계, 관리하는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basic element comprises:
VNF, PNF, and Nested NS of the network service descripto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WEB-WAS-DB 구조를 갖는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서비스 디스크립터를 설계, 관리하는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ystem comprises:
WEB-WAS-DB structure. ≪ / RTI >
삭제delet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프사이클은,
상기 디스크립터에 따른 네트워크 서비스의 설계가 진행 중인 제1상태;
표준모델에 따른 유효성체크 및 상기 디스크립터에 따른 네트워크 서비스의 운용적합성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제2상태;
상기 디스크립터에 따른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검증이 완료되어 NFVO에 온보딩되기 직전인 제3상태;
상기 디스크립터에 따른 네트워크 서비스가 NFVO에 온보딩된 제4상태; 및
유지보수를 위해서 상기 디스크립터에 따른 네트워크 서비스를 보관하는 제5상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서비스 디스크립터를 설계, 관리하는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life cycle includes:
A first state in which a design of a network service according to the descriptor is in progress;
A second state for performing a validity check according to a standard model and a verification of an operational suitability of a network service according to the descriptor;
A third state immediately before the verification of the network service according to the descriptor is completed and the NFVO is on-boarding;
A fourth state in which a network service according to the descriptor is on-board the NFVO; And
And a fifth state for storing a network service according to the descriptor for maintenance.
KR1020180161525A 2018-12-14 2018-12-14 Method for designing network service descriptor in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system, managing the network function descriptor and system thereof Active KR1019960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525A KR101996029B1 (en) 2018-12-14 2018-12-14 Method for designing network service descriptor in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system, managing the network function descriptor and syste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525A KR101996029B1 (en) 2018-12-14 2018-12-14 Method for designing network service descriptor in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system, managing the network function descriptor and system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6029B1 true KR101996029B1 (en) 2019-07-04

Family

ID=67259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1525A Active KR101996029B1 (en) 2018-12-14 2018-12-14 Method for designing network service descriptor in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system, managing the network function descriptor and system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602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5799A (en) * 2021-01-21 2022-07-28 엘에스일렉트릭(주) Method for Providing of User Interface for Designing of Data Model
KR102585115B1 (en) 2022-11-28 2023-10-06 주식회사 모비젠 system for orchestrating federation of multi-operator public/private 5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thereo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65073A2 (en) * 2003-03-06 2004-10-06 Microsoft Corporation Architecture for distributed computing system and automated design, deployment, and management of distributed applications
KR20180080791A (en) 2017-01-05 2018-07-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automatically configuring virtualized network function, and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management and orchestration for the same
KR20180081965A (en) 2017-01-09 2018-07-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do for providing network service
KR20180084430A (en) 2017-01-17 2018-07-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assigning ip automatically for distribute storage system in large-scale torus network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80085187A (en) 2017-01-18 2018-07-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extending and reducing volume for distributed file system based on torus network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65073A2 (en) * 2003-03-06 2004-10-06 Microsoft Corporation Architecture for distributed computing system and automated design, deployment, and management of distributed applications
KR20180080791A (en) 2017-01-05 2018-07-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automatically configuring virtualized network function, and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management and orchestration for the same
KR20180081965A (en) 2017-01-09 2018-07-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do for providing network service
KR20180084430A (en) 2017-01-17 2018-07-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assigning ip automatically for distribute storage system in large-scale torus network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80085187A (en) 2017-01-18 2018-07-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extending and reducing volume for distributed file system based on torus network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TSI GS NFV-MAN 001 V1.1.1(2014-12)* *
RIFT.ware 5.3.1 Online Help(2018.07.17.)* *
S. Salsano et al., ‘RDCL 3D, a Model Agnostic Web Framework for the Design and Composition of NFV Services’, IEEE NFV-SDN 2017*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5799A (en) * 2021-01-21 2022-07-28 엘에스일렉트릭(주) Method for Providing of User Interface for Designing of Data Model
KR102482526B1 (en) * 2021-01-21 2022-12-28 엘에스일렉트릭(주) Method for Providing of User Interface for Designing of Data Model
KR102585115B1 (en) 2022-11-28 2023-10-06 주식회사 모비젠 system for orchestrating federation of multi-operator public/private 5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5808B2 (en) Software defined network controller
Suryotrisongko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backend application for public complaint systems using microservice spring boot
US10397064B2 (en) System and method for custom graph generation
US9672140B1 (en) Processing special requests at dedicated application containers
US200602068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component based applications
JP7453426B2 (en) Network management systems, methods, devices and electronic equipment
CN105630488A (en) Docker container technology-based continuous integration realizing method
CN110806873B (en) Target control determination metho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4064024A (en) Method, apparatus, device, storage medium, and program product for developing micro-application
CN111930290B (en) Resource deployment method and device
CN108804399B (en) Form verification method and device
CN109117152B (en) Service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CN110162464A (en) Mcok test method and system, electronic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KR101996029B1 (en) Method for designing network service descriptor in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system, managing the network function descriptor and system thereof
US20080216050A1 (e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a Resource Implemented in a Computer Network
US20140173634A1 (en) Method and integration component for integrating osgi environments into a service-oriented architecture
US20230421489A1 (en) Discovery and routing service for a cloud infrastructure
CN114356462B (en) A visual inspec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medium based on flowchart
CN114564854A (en) Operation method and equipment of data node supporting FMEA bidirectional relationship tree
CN115756829A (en) Online editing algorithm device deployment method
US8533616B2 (en) Time support for service adaptation
CN114168820A (en) Model-driven data service visualization arrangement method and system
CN112418796A (en) Sub-process node activa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3157462A (en) Data management method, device, equipment,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and system
Turenne et al. A tool chain for generating the description files of highly available softwa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1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6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6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