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448B1 -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for Big Data Based Commodity Investment Recommendation Algorithm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 Google Patents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for Big Data Based Commodity Investment Recommendation Algorithm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75448B1 KR101975448B1 KR1020180094966A KR20180094966A KR101975448B1 KR 101975448 B1 KR101975448 B1 KR 101975448B1 KR 1020180094966 A KR1020180094966 A KR 1020180094966A KR 20180094966 A KR20180094966 A KR 20180094966A KR 101975448 B1 KR101975448 B1 KR 1019754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lue
- product
- element data
- profit
- calcula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echnology Law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빅데이터 기반 상품 투자 추천 알고리즘을 평가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동산, 주식상품, 펀드, 채권 등 공통 계열의 상품들에 대한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적중률 알고리즘에 따라 구동되는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다수의 상품 중 투자가치가 높은 상품을 추천하는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evaluating a big data-based commodity investment recommendation algorith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big data for commodities of common series such as real estate, And a system for recommending a commodity having a high investment value among a plurality of commodities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driven according to a hit ratio algorithm.
부동산, 주식상품, 펀드, 채권, 로또, 스포츠 토토 등 예측 및 투자가 가능한 상품 중 미래 수익이 유망한 상품을 선별하기 위한 다양한 분석 기법들이 제안되고 있다.A variety of analytical techniques have been proposed to select promising future products, such as real estate, stocks, funds, bonds, lotto, and sports Toto, that can be predicted and invested.
예를 들어, 종래 부동산 가격을 추정하거나 결정하는 데 있어서 선형 회귀 모형과 같은 모수 모형(parametric model)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모수 모형은 자료의 정규성, 설명 변수의 독립성, 가격 함수의 선형성(linearity)과 같은 엄격한 가정이 많아 추정 가격의 신뢰성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부동산 가격은 모수 모형만에 의해서 결정될 수 없는 다양한 비선형적 요소들이 있으나 기존의 모형으로서는 이를 반영할 수 없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토지 면적이 증가할수록 거래 단가는 체감하는 경향이 있으나 모수 모형에서는 선형성 가정으로 인해 이러한 특징을 반영할 수 없었다. 또한, 부동산 가격은 그 물리적 위치에 따라 편차가 크게 나타나는데, 이를 공간적 종속성(spatial dependence)이라 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부동산 가격 형성의 특징, 즉 물리적 위치나 거리에 대한 요소를 반영하지 못하여 부동산 가격의 추정에 있어서 정확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었다.For example, a parametric model such as a linear regression model was used to estimate or determine the value of conventional real estate.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liability of the estimated price is limited because there are many assumptions such as the regularity of the data, the independence of the explanatory variables, and the linearity of the price function. Real estate prices have various nonlinear factors that can not be determined only by the parameter model, but they can not be reflected in the existing models. For example, the trading unit price tends to decrease as the land area increases, but in the parameter model, this feature can not be reflected due to the linearity assumption. In addition, the price of real estate varies widely depending on its physical location, which is called spatial dependence. In the past, the characteristics of real estate price formation, that is, the factors of physical location and distance, were not reflected in the estimation of real estate prices.
이와 같이, 부동산, 주식상품, 펀드, 채권, 로또, 스포츠 토토 등의 상품의 미래 가치를 예측하는 시스템은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평가 시스템을 필요로 하지만, 그러한 평가 시스템을 함께 구비하는 투자 추천 시스템은 많지 않다.Thus, a system for predicting the future value of a commodity such as a real estate, a stock commodity, a fund, a bond, a lottery, or a sports Toto requires an evaluation system for verifying the effect. However, There are not many.
나아가, 상품의 미래 가치를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데이터가 미래 가치 판단에 실제 어떠한 영향력을 가지고, 영향력의 크기는 얼마나 되는지 평가되어야 상품별 미래 가치 판단 시 요소데이터별로 적정한 비중을 반영할 수 있음이 자명하지만, 이러한 기준을 가지는 시스템은 부족한 실정이다. Furthermore, it is obvious that the element data necessary for judging the future value of the product has an actual influence on the judgment of the future value and the magnitude of the influence, , Systems with these standards are in short supply.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부동산, 주식상품, 펀드, 채권 등 공통 계열의 상품들에 대한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적중률 알고리즘에 따라 구동되는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다수의 상품 중 투자가치가 높은 상품을 추천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onstruct big data for commodities of common series such as real estate, stock, And a system for recommending a product having a high investment value among a plurality of product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is drive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빅데이터 기반 상품 투자 추천 알고리즘을 평가하는 시스템은, 상품 별로 요소데이터들의 평가값을 산출하는 요소평가부와; 상기 상품 별로 각 요소데이터에 가중치를 적용한 후 상기 각 요소데이터를 합산하는 것으로 합산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합산점수가 큰 순서대로 상기 상품의 예상수익순위를 설정하는 예상순위 산출부와; 상기 상품 별 실제 수익 순위와 상기 예상수익순위를 이용하여 상기 예상수익순위의 적중률을 산출하는 적중률 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ystem for evaluating a Big Data-based Product Investment Recommendation Algorith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n element evaluation unit for calculating an evaluation value of element data for each product; An expected ranking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 sum score by summing up the respective element data after applying weights to the respective element data for each of the goods and setting an estimated profit ranking of the goods in order of the sum of the sum scores; And a hit rate calculating unit for calculating a hit rate of the estimated profit ranking using the actual profit rank and the estimated profit rank for each product.
또한, 상기 적중률 연산부는 상품 별로 상기 예상수익순위에서 상기 상품 별 실제 수익 순위를 차감하여 차이값을 도출하고, 상기 상품들의 차이값을 합한 실제합산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hit rate calculation unit may calculate a difference value by subtracting the real profit order for each product from the expected profit rank for each product, and calculate an actual sum value of the difference values of the goods.
또한, 상기 적중률 연산부는 상품 별로 차이값이 가장 큰 경우를 가정하여 산출된 최악예상합산값과 상기 실제합산값을 이용하여 상기 예상수익순위의 적중률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hit rate calculation unit may calculate the hit rate of the estimated profit ranking using the worst-case estimated sum value and the actual sum value calculat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difference value is greatest for each product.
또한, 상기 최악예상합산값(BEV, Bad expected value)은 상기 차이값의 개수(상품의 개수)(n)를Also, the worst expected value BEV is the number of the difference values (number of products) (n)
에 대입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nd calculating the value by substituting.
또한, 상기 적중률이 가장 높은 경우의 상기 요소데이터 별 가중치를 도출하는 가중치 연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weight computing unit for deriving a weight for each element data when the hit rate is the highest.
또한, 상기 가중치 연산부는 상기 요소데이터 별로 기 설정된 범위의 수를 가중치로 설정하며 상기 요소데이터 별 최적 가중치를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weight calculator may set the number of the predetermined range for each element data as a weight, and search for the optimal weight for each element data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또한, 선택된 요소데이터에 적용되는 가중치를 상기 기 설정된 범위의 수 중에서 가장 큰 값 또는 가장 작은 값으로 치환하고, 변화되는 적중률의 정도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요소데이터의 영향력을 분석하는 영향력 시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n influence testing unit for replacing the weight applied to the selected element data with the largest or smallest value among the predetermined number of ranges and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selected element data using the degree of the changed hit ratio .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빅데이터 기반 상품 투자 추천 알고리즘을 평가하는 방법은, (a) 요소평가부가 상품 별로 요소데이터들의 평가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b) 예상순위 산출부가 상기 상품 별로 각 요소데이터를 가중치를 적용한 후 합산하는 것으로 합산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합산점수가 큰 순서대로 상기 상품의 예상수익순위를 설정하는 단계와; (c) 적중률 연산부가 상기 상품 별 실제 수익 순위와 상기 예상수익순위를 이용하여 상기 예상수익순위의 적중률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evaluating a Big Data-based Product Investment Recommendation Algorith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 (b) calculating an aggregate score by adding a weight to each element data for each of the products, and calculating an estimated profit order of the goods in the order of the aggregate score; (c) calculating a hit ratio of the expected profit rank by using the actual profit ranking and the estimated profit rank for each product.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품 별로 상기 예상수익순위에서 상기 상품 별 실제 수익 순위를 차감하여 차이값을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상품들의 차이값을 합한 실제합산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품 별로 차이값이 가장 큰 경우를 가정하여 최악예상합산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실제합산값과 상기 최악예상합산값을 이용하여 상기 예상수익순위의 적중률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tep (c) may further include deriving a difference value by subtracting the real profit order for each product from the estimated profit rank for each product; Calculating an actual sum value of the sum of the difference values of the goods; Calculating a worst case estimated value on the assumption that the difference value is the largest for each product; And calculating a hit rate of the expected profit rank using the actual sum value and the worst expected sum value.
또한, 상기 최악예상합산값(BEV, Bad expected value)은 상기 차이값의 개수(상품의 개수)(n)를Also, the worst expected value BEV is the number of the difference values (number of products) (n)
에 대입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nd calculating the value by substituting.
본 발명에 의한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빅데이터 기반 상품 투자 추천 알고리즘을 평가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According to the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the Big Data-based Product Investment Recommendation Algorithm us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다수의 상품 중 수익이 높을 것으로 기대되는 상품을 순서대로 표시하므로 투자 시 보다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First, since the products that are expected to have a high profit among the plurality of products are displayed in order, a higher profit rate can be expected in the investment.
둘째, 적중률 산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최적의 가중치를 탐색하므로 상품의 분류나 세분류의 차이에 대응되는 최상의 예상수익순위를 도출할 수 있게 된다.Second, by searching the optimal weight using the hit rate calculation algorithm, it is possible to derive the best estimated profit rank correspon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goods or the difference of classification.
셋째, 본원발명의 부동산 평가 적용 시, 요소데이터로 이용할 수 있는 수요에너지, 전세에너지 위치값 등 신규한 지표를 제안하고, 신규 지표가 적중률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함으로써 예상수익순위의 신뢰성을 극대화 하였다.Third, when real estate apprais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new reliability indexes such as demand energy and charter energy position value which can be used as element data are proposed and the influence of the new index on the hit ratio is maximiz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빅데이터 기반 상품 투자 추천 알고리즘을 평가하는 시스템(투자 추천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빅데이터 기반 상품 투자 추천 알고리즘을 평가하는 시스템에서 상품 별 요소데이터와, 예상수익순위, 실제수익률, 적중률이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을 부동산 평가에 활용한 실시예에 있어서, 1999년-2020년 기간, 서울지역과 경기지역의 수요에너지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을 부동산 평가에 활용한 실시예에 있어서, 1999년-2018년 기간, 서울지역의 매매지수 및 전세지수와, 전세에너지를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을 부동산 평가에 활용한 실시예에 있어서, 부동산 별 요소데이터와, 예상수익순위, 실제수익률, 적중률이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빅데이터 기반 상품 투자 추천 알고리즘을 평가하는 방법의 순서도.
도 7은 S110 단계의 세부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S114 단계의 세부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자 추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도출된 예상수익순위 중 상위 순위(상위 30위)에 투자한 경우, 2년 후 실제 수익률과 전체평균 수익률 및 전세가율70%이상 아파트의 수익률을 비교한 그래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investment recommendation system) for evaluating a big data-based commodity investment recommendation algorith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elementary item data, an estimated profit rank, an actual return rate, and a hit ratio are displayed in a system for evaluating a big data-based product investment recommendation algorith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graph showing the demand energy of the Seoul area and the Gyeonggi area during the period from 1999 to 2020 in the embodiment utilizing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 estate evaluation.
FIG. 4 is a graph showing a trading index, a rent index, and charter energy in the Seoul area for the period from 1999 to 2018 in the embodiment where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property evaluation.
FIG.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element data for each real estate, an estimated profit rank, an actual return rate, and a hit ratio are displayed in an embodiment utilizing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 estate evaluation.
6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evaluating a Big Data-based Product Investment Recommendation Algorith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showing a detailed procedure of step S110.
8 is a flowchart showing a detailed procedure of step S114.
FIG. 9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al rate of return and the average average rate of return and the rate of rent of 70% or more after 2 years, when the investment is made in the top ranking (top 30) among the estimated profit rankings derived using the investment recommendation algorith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raph comparing the yields of apartments.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빅데이터 기반 상품 투자 추천 알고리즘을 평가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A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a Big Data-based Product Investment Recommendation Algorith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Also,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빅데이터 기반 상품 투자 추천 알고리즘을 평가하는 시스템 및 방법은 어느 한 컴퓨터 장치 또는 분산된 컴퓨팅 시스템에 주요 구성 또는 기능이 포함되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The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the Big Data-based Product Investment Recommendation Algorith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including a major component or function in any computer device or distributed computing syste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빅데이터 기반 상품 투자 추천 알고리즘을 평가하는 시스템 및 방법은 상품의 예상수익순위를 산출하는 투자 추천 시스템(100) 내에 포함된 것으로 상기 예상수익순위의 적중률을 평가한다.A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a Big Data-based Product Investment Recommendation Algorith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cluded in an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빅데이터 기반 상품 투자 추천 알고리즘을 평가하는 시스템은 상품 별로 요소데이터들의 평가값을 산출하는 요소평가부(110)와, 상기 상품 별로 각 요소데이터의 평가값에 가중치를 적용한 후 합산하는 것으로 합산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합산점수가 큰 순서대로 상기 상품의 예상수익순위를 설정하는 예상순위 산출부(120)와, 상기 상품 별 실제 수익 순위와 상기 예상수익순위를 이용하여 상기 예상수익순위의 적중률을 산출하는 적중률 연산부(130)를 포함한다.1 and 2, a system for evaluating a Big Data-based Product Investment Recommendation Algorith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상품은 부동산, 주식상품, 펀드, 채권 등 매매의 대상이 될 수 있는 유형 및 무형의 모든 재산이나, 로또, 스포츠 토토 등 같이 예측이 필요한 상품을 포함한다.Commodities include all types and intangible assets that can be subject to sale, such as real estate, stocks, funds, bonds, etc., or goods that need to be predicted, such as lotto or sports toto.
상품의 명칭과 각 상품의 특징을 이루는 요소데이터는 입력부(160)를 통해 시스템에 입력된다.Element data constituting the name of the commod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mmodity are inputted to the system through the
입력된 상품의 요소데이터는 저장부(180)에 저장된다. 요소데이터는 상품별로 수십년 동안 누적된 매매가격 등 방대한 데이터가 포함되므로, 요소데이터는 상품과 관련된 빅데이터(Big data)라 볼 수 있다.The element data of the input goods is stored in the
또한, 상품 별 요소데이터의 평가값과 예상수익순위, 실제수익률 및 적중률과 같은 정보는 표시부(170)를 이용하여 출력될 수 있다. 표시부(170)는 모니터, 프린터 등 공지된 정보 출력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information such as the estimated value of the elementary data for each product, the estimated profit rank, the actual profit rate, and the hit rate can be output using the
투자 추천 시스템(100)은 하나의 공통 계열 상품을 대상으로 예상수익순위를 연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공통 계열이란, 예를 들어, 특정 지역내에 위치한 아파트(부동산), 동일 업종에 해당되는 주식상품, 유사 상품을 투자하는 펀드 등이 될 수 있다.The
상품 별 예상수익순위의 적중률을 산출하는 적중률 연산부(130)는 방대한 데이터의 신속한 분석을 위해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The hit
아래는 투자 추천 시스템(100)이 부동산 분야에 적용된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원발명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us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부동산(상품)은 토지, 주택(아파트) 등과 같이 부동산의 범주이며, 매매가 가능한 대상을 포함한다.Real estate (commodity) is a category of real estate such as land, house (apartment), etc., and includes objects that can be traded.
각 부동산은 세부적으로 요소데이터를 포함한다. 요소데이터에는 아파트 단지의 평형, 전세가율, 투자갭(매매가와 전세가의 차이), 연식(오픈 또는 입주 연도), 세대수, 6개월간 매매가 상승률, 1년간 전세가 상승률 등이 포함될 수 있다.Each property contains element data in detail. The factor data may include the equilibrium of apartment complexes, the rent rate, the investment gap (difference between the selling price and the rent price), the yearly (open or inaugurated year), the number of households, the 6 month price increase rate,
요소데이터에는 수요에너지가 포함될 수 있다. 수요에너지는 어느 한 지역의 아파트 세대수의 공급량이 적정한지 판단할 수 있는 지표가 된다. 수요에너지는 수요량과 공급량 차의 누적합으로서, 공급량이 많으면 수요에너지의 값이 감소하고, 공급량 적으면 수요에너지의 값이 증가한다. 이때, 상기 수요량은 인구수와 가구생애주기의 곱으로 계산된다. 상기 가구생애주기의 값은 0.5%가 될 수 있는데, 이 값은 통상 1년에 적정 수요량으로 계산되는 수치이다. 수요량을 윌 별로 계산하기를 원하면 이 값을 12로 나누면 된다. 공급량은 부동산(주택)이 해당 지역에 준공되어 입주가 가능한 시기로 계산된다.Element data can include demand energy. Demand energy is an indicator of the adequacy of the supply of apartment households in an area. The demand energy is a cumulative sum of the demand quantity and the supply quantity difference. If the supply quantity is large, the value of the demand energy decreases. When the supply quantity is small, the value of the demand energy increases. At this time, the demand amount is calculated as the product of the population number and the household life cycle. The value of the household life cycle may be 0.5%, which is normally calculated as the demand in a year. If you want to calculate demand by Will, you can divide this value by 12. The supply amount is calculated as the time when the real estate (housing) is completed in the area and can be moved.
도 3(a)는 서울지역의 수요에너지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 그래프는 1998년부터 매월 수요량과 공급량 차의 누적합으로 계산된 수요에너지의 흐름을 보여준다. 2005년부터 2016년까지 공급량이 부족하여 계속 수요에너지가 증가되었으나, 2016년부터 공급량이 크게 증가하면서 수요에너지가 제자리를 유지하는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3 (a) is a graph showing the demand energy in the Seoul area. This graph shows the demand energy flow, which is calculated as the cumulative sum of monthly demand and supply differentials since 1998. Demand energy has continued to increase due to shortage of supply from 2005 to 2016, but demand has remained in place due to a large increase in supply from 2016.
도 3(b)는 경기도지역의 수요에너지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경기도지역은 2005년부터 공급 부족으로 수요에너지가 2016년 말까지 상승했지만, 이후 공급량이 증가하면서 2020년 정도까지 하락하고 있다. 하지만 2020년 이후에는 추가 공급량의 부재로 다시 수요에너지가 상승하고 있다. 이때, 2020년의 수요에너지는 2013년 5월 정도 수준이라는 것도 알 수 있다.3 (b) is a graph showing demand energy in the Gyeonggi-do area. In Gyeonggi Province, the supply of energy has increased from the year 2005 to the end of 2016 due to supply shortage. However, after 2020, demand energy is rising again due to lack of additional supply. At this time, it can be seen that the demand energy of 2020 is about the level of May 2013.
수요에너지는 높을수록 공급량이 부족함을 의미하므로 매매가의 상승 가능성이 높아지고, 낮을수록 공급량이 충분함을 의미하므로 매매가의 상승 가능성이 낮아진다.The higher the demand energy, the lower the supply amount. Therefore, the higher the possibility of the increase of the selling price, and the lower the supply amount, the lower the possibility of the increase of the selling price.
수요에너지는 수도권 외 지역에서 부동산의 평가 시 수도권 부동산 보다 상대적으로 적중률에 높은 영향력을 보여준다. 따라서, 수요에너지는 수도권 외 지역 부동산 평가 시 상대적으로 더 중요한 요소데이터로 볼 수 있다.Demand energy has a relatively higher impact on hit rate than real estate in the metropolitan area when evaluating real estate outside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refore, demand energy can be regarded as relatively more important factor data when evaluating real estate outside the Seoul metropolitan area.
수요에너지는 시·도 단위의 지역뿐만 아니라 하위단위인 구·시 단위에서도 적용 가능하다.Demand energy can be applied not only to cities and provinces but also to sub-cities.
수요에너지는 현재 위치 값뿐만 아니라, 상승률(기울기)도 중요한 척도로 이용될 수 있다. 수요에너지의 현재 위치 값 또는 상승률에 가중치를 가장 큰 값으로 적용한 후 연산된 적중률은 표 1과 같다.Demand energy can be used as an important measure as well as the current position value and the rate of increase (slope). Table 1 shows the calculated hit ratios after applying the weight to the current position value or rate of increase of the demand energy.
또한, 요소데이터에는 전세에너지 위치값이 포함될 수 있다. 도 4(a)는 서울의 매매지수 및 전세지수의 흐름이고, (b)는 서울의 전세상승분과 매매상승분의 차를 누적합으로 산출한 전세에너지 위치값의 그래프이다.In addition, the element data may include a value of the energetic energy position. FIG. 4 (a) is a graph of a trading index and a lease index of Seoul, and FIG. 4 (b) is a graph of a lean energy position value obtained by cumulatively calculating a difference between a lease increase and a sales increase in Seoul.
전세에너지 위치값은 전세가 상승과 매매가 상승 차의 누적합 흐름이다. 또한, 전세에너지 현위치는 전세에너지 위치값의 최대값 대비 현재 위치의 수준을 의미한다. 전세에너지 현위치는 수학식으로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The charter energy location value is a cumulative sum flow of rise in the price of a house and rise in a sale price. In addition, the charter energy current position means the level of the current position relative to the maximum value of the energetic energy position value. The location of the charter energy present can be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수학식 1] [Equation 1]
는 현재 전세에너지, 는 최대 전세에너지, 는 최저 전세에너지이다. Currently, charter energy, The maximum charter energy, Is the lowest charter energy.
실수요는 미래 가치상승의 고려 없이 거주 목적으로 매입 혹은 전세 형태로 거주하는 수요이다. 반면, 가수요는 실거주 목적 외 미래 가치 상승을 목적으로 투자하는 매입형태이다. 전세로 거주하는 전세수요, 가수요 및 실수요는 서로 줄다리기를 하는 양상으로 나타난다.Real demand is a demand for residential purchase or rental housing without consideration of future value increases. On the other hand, the purchase price is a type of purchase that invests for the purpose of raising future value beyond the actual residence purpose. The demand for rent, the demand for rent, and the demand for rent, which reside in the premises, appear as a tendency to tug each other.
가수요와 실수요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전세에너지의 그래프이다. 서울은 전세에너지가 상승하는 실수요장 후, 전세에너지를 하락 및 방전하면서 상승장을 이끌다가, 전세에너지가 너무 많이 하락하는 시점에 매매지수도 하락하는 패턴을 보이고 있다. 반면, 철저하게 실수요 위주로만 흐름을 보이고 있는 수도권 외 지방 시장에서는 전세에너지가 0이하로 떨어졌다가 올라오는 경우가 드문 편이다. It is the graph of the energetic energy to visually show the demand and the actual demand. Seoul is showing signs of a downward trend when charter energy is rising, leading to a surge as charter energy declines and discharges, and when too much charter energy falls. On the other hand, in cities outside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hich is mainly focused on actual demand, it is uncommon for charter energy to drop below zero.
전세에너지 위치값은 수도권 지역에서 부동산의 평가 시 수도권 외 부동산 보다 상대적으로 적중률에 높은 영향력을 보여준다. 따라서, 전세에너지 위치값은 수도권 지역 부동산 평가 시에만 요소데이터에 포함될 수 있다.The value of lease energy location has a relatively high impact on the hit rate in real estate evaluation in the metropolitan area than the real estate outside the metropolitan area. Therefore, the lean energy location value can be included in the element data only in the real estate evaluation in the metropolitan area.
전세에너지에 가중치를 가장 큰 값으로 적용한 후 연산된 적중률은 표 2와 같다.Table 2 shows the calculated hit ratios after applying the largest weight to the energies.
적중률(%)Of the energetic energy location value
Hit ratio (%)
전세에너지의 가중치가 클 때 수요에너지보다 더 높은 적중률이 나타나므로 부동산 평가 시 전세에너지 위치값이 수요에너지보다 더 중요한 항목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예상수익순위 도출 시 전세에너지 위치값은 수요에너지보다 더 큰 가중치가 부여된다.As the weighted energy of charter energy is higher, the rate of hit is higher than that of demanded energy. Therefore, the value of charter energy is more important than demand energy. Therefore, when deriving the expected profit rank, the value of the charter energy position is weighted more than the demand energy.
또한, 요소데이터에는 부동산의 지역 상승 가능성을 측정하는 데이터로서 가구증가율, 전세가율, 미분양, 준공 후 미분양, 작년 대비 거래량, 2년 후 주변 입주물량 등이 포함된다. In addition, the factor data includes the household growth rate, the rental rate, unsold housing units, the unsold pre-construction units, the volume of transactions compared with the previous year, and the amount of nearby residential units after two years.
가구증가율은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지역구의 연도별 가구수를 이용하여 지역의 가구수가 작년비 얼마나 증가했는지를 구한 것이다.The growth rate of households is obtained by using the number of households in the districts provided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o find out how much the number of households in the area increased in the previous year.
전세가율은 현재 매매시세 대비 전세시세의 비율이다. 아파트별로 평균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의 비율이며, 그 수치를 동 단위의 평균값, 지역(구·시 단위)의 평균값으로 구한 것이다.The rent rate is the ratio of the current market price to the current market price. It is the ratio of the average selling price to the charter price for each apartment, and the figure is obtained by the average value of the unit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area (city and city).
한편, 전세가율의 동네위치는 지역 평균 전세가율에서 어느 한 부동산이 어느 정도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지를 나타낸다. 이때, 지역은 읍·면·동 단위를 의미한다. 전세가율 동네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수학식은 아래와 같다.On the other hand, the neighborhood position of the rent rate shows the position of which one real estate occupies in the regional average rent rate. At this time, the area means eup, myeon, and dong. The formula for calculating the rental rate neighborhood location is as follows.
[수학식 2] &Quot; (2) "
는 현재 부동산의 전세가율, 는 지역 최대 전세가율, 는 지역 최저 전세가율이다. 일반적으로 시·구 단위의 지역은 전세가율은 높을수록 유리하다. The current rate of rent, The largest local charter rate, Is the lowest minimum lease rate in the region. Generally, the higher the rent rate, the more favorable the area in city and district.
미분양 및 준공 후 미분양은 국토교통부 통계누리에서 제공되는 데이터이다.Unsold apartments and unsold units after completion are data provided by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작년 대비 거래량은 지역의 작년 동일 월 대비 거래량 증가율이다. The volume of transactions compared to last year is the increase rate of transaction volume compared to the same month of last year.
2년 후 주변 입주물량은 지역과 주변에 인접한 시·구 단위의 지역에서 2년 후 전세 만기가 되는 시점에 입주물량이 얼마나 되는지를 의미한다. After two years, the amount of the moving-in area means the amount of the moving-in area at the time of the expiration of the two-year period in the city and district area adjacent to the area and the surrounding area.
가구증가율, 전세가율, 미분양, 준공 후 미분양, 작년 대비 거래량, 2년 후 주변 입주물량 중 어느 하나에 가중치를 100으로 두어 적중률을 연산한 결과는 [표 3] 및 [표 4]와 같다.[Table 3] and [Table 4] show the results of calculating the hit rate by setting the weight to 100 for any one of the household growth rate, the rental rate, the unsold housing unit, the unsold housing unit after completion,
적중률(%)Unsold
Hit ratio (%)
적중률(%)After completion of unsold housing
Hit ratio (%)
적중률(%)Charter rate
Hit ratio (%)
전세가율이 다른 요소데이터보다 전체적으로 적중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은 다른 시기에 비해 낮은 것으로도 나타났으나, 2010년 및 2011년도에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rent rate is higher than other factor data. 2015 was also lower than other periods, but it was very high in 2010 and 2011.
예상순위 산출부(120)는 부동산 별로 각 요소데이터의 평가값에 가중치를 적용한 후, 가중치가 적용된 평가값들을 합산하는 것으로 합산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합산점수가 큰 순서대로 상기 부동산의 예상수익순위를 설정한다.The estimated ranking
[표 5]는 각 요소데이터의 평가값에 기 설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는 가중치를 적용함에 있어서, 가중치 연산부(140)가 지정된 상품의 모든 연도의 요소데이터에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는 가중치를 요소데이터별로 구한 후 적중률을 연산하였다. 이것은 지정된 상품군을 대상으로 최적의 가중치 세트를 적용하면 훌륭한 적중률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Table 5] In applying the weights included in the predetermined range to the evaluation values of the element data, the
영향력 시험부(150)는 적중률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각 요소데이터가 얼마나 영향력이 있는지를 수치화하여 보여준다.The
또한, 가중치 연산부(140)를 이용하여 각 요소데이터의 가중치 경우의 수를 모두 연산하는 것으로 최고 적중률을 도출할 수 있는 최적의 가중치 세트를 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품의 과거 요소데이터의 패턴과 가중치를 이용할 때 현재 상승 가능성이 높은 지역이나 부동산을 예측 할 수 있는 도구로 사용할 수 있다.Also, by calculating the number of weight cases of each element data using the
상품은 다수의 요소데이터를 포함하며, 각 요소데이터별로 가중치가 설정된다. 따라서, 가중치 세트는 요소데이터 수에 대응되는 수의 가중치 그룹을 의미한다. A product includes a plurality of element data, and a weight is set for each element data. Therefore, the weight set means a weight group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element data.
세부적으로, 지역 내에서 상승 가능성이 높은 부동산을 판단하는 요소데이터에는 해당 아파트단지 평형, 전세가율, 투자갭(매매가와 전세가의 차이), 연식(오픈 또는 입주 연도), 세대수, 6개월간 매매가 상승률, 1년간 전세가 상승률이 포함된다.In detail, the factor data for judging the real estate that is likely to rise in the region includes the equilibrium of the apartment complex, the rent rate, the investment gap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lling price and the rent price), the yearly (open or in- Includes one-year growth rate.
도 5를 참조하면, 요소평가부(110)는 부동산 별 요소데이터를 평가하여 평가값을 산출한 후 테이블 형식으로 나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평가값은 요소데이터 별로 기 설정된 연산방법을 통해 산출되는 값이 된다.The evaluation value is a value calculated by a predetermined calculation method for each element data.
최적의 가중치 세트는 최고 적중률을 도출할 수 있는 값으로서, 가중치 연산부(140)가 탐색한다.The optimal weight set is a value that can derive the highest hit ratio, and the
예상순위 산출부(120)는 합산점수를 수학식4와 같은 방법으로 연산할 수 있다.The
[수학식 4] &Quot; (4) "
예상수익순위는 상품의 수 만큼 합산점수가 큰 순서대로 설정된다.The expected revenue rank is set in the order of the number of products and the sum of the scores in ascending order.
실제 수익률은 예상순위 산출부(120)가 예상수익순위를 설정한 시점의 상품 가격과, 일정 시간이 지난 후의 상품 가격을 이용하여 산출된다. 일정 시간이 지난 후는 1일 내지 10년 중 임의로 선택되거나, 향후 상품의 가격을 산출할 수 있는 시점, 또는 그 이후가 될 수 있다. 적중률 연산부(130)는 상품에 실제 수익률이 높은 순서로 순위를 설정한다. 실제 수익률은 과거 예상수익순위를 설정한 시점부터 평가시점까지의 가격변동율이 될 수 있으나, 아파트 단지와 같이 가구별 크기가 상이하여 하나의 아파트 단지 내에 다양한 가격 분포가 형성되는 등 변수가 있는 경우에는 가격이 상승한 가구의 합계와 같은 데이터도 실제 수익률에 적용될 수 있다.The actual rate of return is calculated using the price of the commodity at the time when the estimated ranking
적중률 연산부(130)는 예상수익순위와 실제 수익 순위를 비교하여 적중률을 산출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적중률 연산부(130)는 상품 별로 예상수익순위에서 상품 별 실제 수익 순위를 차감하여 차이값을 도출하고, 상품들의 차이값을 합한 실제합산값을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차이값은 절대값으로 표시된다. [표 6] 및 [표 7]은 상품의 수가 100개인 경우 차이값과 합산값의 산출 예 이다. [표 6]은 실제 수익 순위와 예상수익순위가 완벽하게 동일한 경우이고, [표 7]은 실제 수익 순위와 예상수익순위가 완전히 상이한 경우이다.The hit
[표 6]을 참고하면, 실제 수익 순위와 예상수익순위가 완벽하게 동일하면 합산값은 0이 된다.[Table 6], if the actual profit order and the expected profit order are perfectly the same, the sum value becomes zero.
[표 7]을 참고하면, 실제 수익 순위와 예상수익순위가 완전히 상이하여 차이값이 최대로 나오는 경우, 합산값은 5000이 된다.[Table 7],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profit order and the expected profit order is completely different, the sum value is 5000.
차이값은 절대값으로 표시되며, 차이값이 클수록 실제 수익 순위와 예상수익순위가 상이함을 나타낸다.The difference value is expressed as an absolute value, and the larger the difference value, the different the actual profit order and the expected profit order.
차이값과 합산값의 최대 값은 상품의 수에 의해 결정된다.The difference value and the maximum value of the sum value are determined by the number of goods.
적중률 연산부(130)는 상품 별로 차이값이 가장 큰 경우를 가정하여 산출된 최악예상합산값과 실제합산값을 이용하여 예상수익순위의 적중률을 산출한다.The hit
최악예상합산값(BEV, Bad expected value)은 차이값의 개수(상품의 개수)(n)를 [수학식 5]에 대입하여 산출된다.(BEV, Bad expected value) is calculated by substituting the number of difference values (number of goods) (n) into Equation (5).
[수학식 5] &Quot; (5) "
적중률(HR, Hit ratio)은 최악예상합산값(BEV)과 실제합산값이 [수학식 6]에 대입되어 산출된다. 이때, n은 상품의 개수, 은 실제 수익 순위, a는 상품의 요소데이터의 개수, 는 요소데이터별 평가값, 는 요소데이터별 가중치이다.The hit ratio (HR, Hit ratio) is calculated by substituting the worst-case expected summation value (BEV) and the actual summation value into [Equation (6)]. Here, n is the number of items, Is the actual revenue rank, a is the number of element data of the product, Is an evaluation value for each element data, Is a weight for each element data.
[수학식 6] &Quot; (6) "
[표 8]은 상품의 개수가 100개이고, 예상수익순위가 1위인 상품이 실제 수익률 순위에서 100위이며, 예상수익순위 2위 내지 100위가 실제 수익률 순위와 1의 차이를 가지는 가상의 제1경우에서의 합산값이다.[Table 8] shows that the number of products is 100, the product with the first rank in the estimated profit rank is the 100th in the actual return ranking, the second in the estimated profit ranking is the first The sum of the values in the case.
제1경우를 [수학식 6]에 대입하면, 적중률은 96.04%이다.Substituting the first case into (6), the hit ratio is 96.04%.
[표 9]는 상품의 수가 100개이고, 예상수익순위가 1위, 2위인 상품이 실제 수익률 순위에서 각각 100위, 99위이며, 예상수익순위 3위 내지 100위가 실제 수익률 순위와 2의 차이를 가지는 가상의 제2경우에서의 합산값이다.[Table 9] shows that the number of commodities is 100, the commodities with the first and second rank of expected profit are the 100th and 99th in the actual profitability rankings, respectively, In the second virtual case.
제2경우를 [수학식 6]에 대입하면, 적중률은 92.2%이다.Substituting the second case into (6), the hit ratio is 92.2%.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중률이 가장 높은 경우(최고 적중률)의 요소데이터 별 가중치를 도출하는 가중치 연산부(140)를 더 포함한다.Meanwhile,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구체적으로, 가중치 연산부(140)는 요소데이터 별로 기 설정된 범위의 값을 가중치로 설정한다. 특히, 가중치 세트에 포함된 가중치들의 합은 항상 기준값과 동일한 것을 조건으로 한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범위가 0 내지 100이고, 요소데이터가 5개이며, 기준값이 100인 경우, 요소데이터1의 가중치는 10, 요소데이터2의 가중치는 20, 요소데이터3의 가중치는 30, 요소데이터4의 가중치는 15, 요소데이터5의 가중치는 25가 되어 5개 가중치의 총 합이 항상 기준값과 동일하게 설정된다.Specifically, the
최고 적중률이 도출되는 최적의 가중치 세트를 탐색하기 위해, 시스템에 레퍼런스 데이터가 입력되고, 가중치 연산부(140)가 레퍼런스 데이터를 대상으로 가중치 세트를 설정하며, 예상순위 산출부(120)가 예상수익순위를 설정하고, 적중률 연산부(130)가 실제 수익 순위와 대비하여 적중률을 산출하는 과정이 반복될 수 있다.The reference data is input to the system, the
레퍼런스 데이터란, 해당 상품의 과거 요소데이터 정보, 유사 상품의 요소데이터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상품의 과거 요소데이터 정보는 A아파트 내지 Z아파트의 2018년 예상수익순위를 산출하기 위해, 해당 아파트의 2000년 내지 2017년의 요소데이터가 될 수 있다. 또한, 유사 상품의 요소데이터 정보는 코스닥에 신규 상장된 A회사의 예상수익순위를 산출하기 위해 종래 코스닥에 상장된 상태이며 업종 및 규모가 유사한 B회사의 요소데이터가 될 수 있다.The reference data may be past element data information of a product, element data information of a similar product,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past element data information of the product may be the element data of 2000 to 2017 of the corresponding apartment in order to calculate the expected profit rank of 2018 of A apartment or Z apartment. The element data of similar goods can be element data of Company B, which is listed on the KOSDAQ and which is similar to the business type and size in order to calculate the expected profit ranking of Company A newly listed on KOSDAQ.
요소데이터가 많을수록, 기 설정된 범위가 광범위 할수록 도출되는 최고 적중률은 높아질 수 있지만, 가중치 세트 내 가중치들의 조합 경우의 수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즉, 유의미한 최적의 가중치 세트 탐색은 상당한 연산 시간을 필요로 하므로 자동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적의 가중치 세트를 탐색하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가중치 연산부(140)에는 인공지능에 의한 연산 기능이 포함된다.The greater the element data, the wider the predetermined range, the higher the highest hit rate, but also the exponential increase in the combination of weights in the weight set. That is, it is desirable that a meaningful optimal weight set search is performed automatically since it requires a considerable computation time. In order to shorten the time for searching for an optimum weight set, the
최고 적중률()은 레퍼런스 데이터가 존재하는 모든 연도 개수(r), 상품의 개수(n), 상품의 요소데이터의 개수(a), 기 설정된 범위 및 기준값을 만족하는 가중치 세트의 경우의 수(M), 레퍼런스 데이터의 요소데이터별 가중치()를 [수학식 7]에 대입하여 산출할 수 있다.Highest hit rate ( (N), the number of element data (a) of the product, the number of cases (M) in the case of the weight set satisfying the preset range and the reference value, the reference number Weight of element data by data ( ) Can be substituted into [Equation (7)].
[수학식 7]&Quot; (7) "
최고 적중률()이 산출될 때의 요소데이터별 가중치()들이 최적의 가중치 세트가 된다.Highest hit rate ( ) Is weighted by element data ( ) Are the optimal set of weights.
요소데이터는 상품의 분류, 즉 부동산인 경우와, 주식종목인 경우, 펀드 상품인 경우 상이하지만, 상품의 세분류, 예를 들어, 분류가 부동산인 경우, 수도권 지역과 수도권 외 지역, 시·도 단위와 읍·면·동 단위의 세분류 차이에 따라서도 요소데이터의 종류 또는 영향력이 상이하다. 따라서, 최적의 가중치 세트는 상품의 분류 및 세분류에 따라 서로 상이하다. 가중치 연산부(140)는 각 상황에 따라 최적의 가중치 세트를 탐색한다.The element data is a classification of a product, that is, a real estate, a stock item, and a fund product. However, when the classification of a product is real estate, for example, And the type and influence of factor data differ depending on the subdivision difference between eup, myeon, and dong. Thus, the optimal set of weights differ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and subdivision of the product. Th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선택된 요소데이터에 적용되는 가중치를 기 설정된 범위의 수 중에서 가장 큰 값 또는 가장 작은 값으로 치환하고, 변화되는 적중률의 정도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요소데이터의 영향력을 분석하는 영향력 시험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ight applied to the selected element data is replaced with the largest or smallest value among the predetermined range of numbers, and the influence of the selected element data is analyzed using the degree of the changed hit ratio And an
요소데이터의 영향력을 검토하기 위해 선택된 요소데이터에 임의로 최고 또는 최저 가중치를 부여하면, 산출된 적중률은 최고 적중률과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데, 영향력 시험부(150)는 이 차이 정도를 분석하여 선택된 요소데이터의 영향력을 나타낸다.If the highest or lowest weight is arbitrarily given to the selected element data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element data, the calculated hit ratio differs from the highest hit ratio. The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기반 상품 투자 추천 알고리즘의 최적의 가중치 세트를 탐색하는 방법을 설명한다.Next, a method for searching an optimal weight set of a Big Data-based Product Investment Recommendation algorith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6을 참고하면, 빅데이터 기반 상품 투자 추천 방법은 가중치 연산부(140)가 상품에 대응되는 레퍼런스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요소데이터의 가중치 경우의 수를 모두 연산하는 것으로 최고 적중률이 도출되는 최적의 가중치 세트를 산출하는 단계(S110)와, 입력부(160)가 상품 별 요소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S120)와, 요소평가부(110)가 상품 별로 요소데이터들의 평가값을 산출하는 단계(S140)와, 예상순위 산출부(120)가 상기 상품 별로 각 요소데이터에 최적의 가중치를 적용한 후 합산하는 것으로 합산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합산점수가 큰 순서대로 상기 상품의 예상수익순위를 설정하는 단계(S160)와; 표시부(170)가 상품별로 상기 예상수익순위를 표시하는 단계(S18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in the method of recommending a big data-based commodity investment, the
S110 단계의 최고 적중률을 산출하기 위한 연산식은 [수학식 7]과 같다.The calculation formula for calculating the highest hit rate in step S110 is as shown in equation (7).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S110 단계는 입력부(160)가 상품에 대응되는 레퍼런스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S110)와, 가중치 연산부(140)가 요소데이터 별로 기 설정된 범위 내의 값을 가중치로 설정하는 단계(S112)와, 적중률 연산부(130)가 레퍼런스 데이터에 포함된 요소데이터 및 상기 가중치를 이용하여 산출된 예상수익순위와 상품 별 실제 수익 순위를 이용하여 상기 예상수익순위의 적중률을 산출하는 단계(S114)를 포함한다.7, in operation S110, the
가중치 연산부(140)는 S114 단계에서 산출된 적중률이 최고 적중률인지 판단한다(S116). 만약, S114 단계에서 산출된 적중률이 최고 적중률이면, 가중치 연산부(140)가 최고 적중률을 산출하는데 이용된 가중치 세트를 최적의 가중치 세트로 결정(S118)한다. 하지만, S114 단계에서 산출된 적중률이 최고 적중률이 아닌 경우(S116), S112 단계로 이동되어 가중치 연산부(140)가 상이한 가중치 세트를 설정하게 된다.The
S114 단계의 적중률을 산출하기 위한 연산식은 [수학식 6]과 같다.The calculation formula for calculating the hit rate in step S114 is as shown in equation (6).
도 8을 참조하면, S114 단계는 요소평가부(110)가 상품 별로 레퍼런스 데이터에 기반한 요소데이터들의 평가값을 산출하는 단계(S1141)와, 예상순위 산출부(120)가 상기 상품 별로 각 요소데이터에 가중치 적용 후 합산하는 것으로 합산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합산점수가 큰 순서대로 상기 상품의 예상수익순위를 설정하는 단계(S1142)와, 적중률 연산부(130)가 상기 상품 별 실제 수익 순위와 상기 예상수익순위를 이용하여 상기 예상수익순위의 적중률을 산출하는 단계(S1144 내지 S1148)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8, in operation S114, the
적중률 연산부(130)가 상기 상품 별 실제 수익 순위와 상기 예상수익순위를 이용하여 상기 예상수익순위의 적중률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품 별로 예상수익순위에서 상품 별 실제 수익 순위를 차감하여 차이값을 도출하는 단계(S1144)와, 상품들의 차이값을 합한 실제합산값을 산출하는 단계(S1145)와, 상품 별로 차이값이 가장 큰 경우를 가정하여 최악예상합산값을 산출하는 단계(S1146)와, 상기 실제합산값과 상기 최악예상합산값을 이용하여 상기 예상수익순위의 적중률을 산출하는 단계(S1148)를 포함한다.The step of calculating the hit rate of the estimated profit rank by using the hit
S1146 단계에서 산출되는 최악예상합산값은 차이값의 개수(n)를 [수학식 5]에 대입하여 산출된다.The worst-case estimated sum value calculated in step S1146 is calculated by substituting the number (n) of difference values into the equation (5).
[시뮬레이션][simul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자 추천 알고리즘을 부동산(아파트) 분야에 적용하였을 때의 수익률을 연산하였다.The yield rate when the investment recommendation algorith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real estate (apartment) field is calculated.
투자 추천 알고리즘의 수익률과 대비되는 정보는 전체평균 수익률과, 전세가율70%이상 아파트의 수익률을 이용하였다.The information of the investment recommendation algorithm is compared with the average average return rate and the return rate of apartments over 70%.
다수의 요소데이터 및 최적의 가중치 세트를 이용하여 아파트별로 10년 기간 동안 1개월 단위로 예상수익순위를 도출하고, 2년 후 실제 수익 순위를 비교함으로써 최고 적중률을 산출하였다. 산출된 최고 적중률의 결과는 [표 10]과 같다.Using the multiple component data and the optimal weight set, we derive the expected revenue rank for each apartment for a period of 10 years and calculate the highest hit rate by comparing the actual profit rank two years later. The results of the calculated maximum hit ratio are shown in [Table 10].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자 추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도출된 예상수익순위 중 상위 순위(상위 30위)에 투자한 경우의 2년 후 실제 수익률과 전체평균 수익률 및 전세가율70%이상 아파트의 수익률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그래프에 나타난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자 추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구입할 아파트를 선택하면 투자 수익률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FIG. 9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al rate of return and the average average rate of return after a two-year period in the case of investing in the top ranking (the top thirty rank) among the estimated profit rankings derived using an investment recommendation algorith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graph comparing the yield of apartments. As shown in the graph, it can be seen that the ROI can be greatly improved by selecting an apartment to purchase using the investment recommendation algorith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itably modified and applied in the same manner. Therefore, the above description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fined by the limitations of the following claims.
100 : 투자 추천 시스템 110 : 요소평가부
120 : 예상순위 산출부 130 : 적중률 연산부
140 : 가중치 연산부 150 : 영향력 시험부
160 : 입력부 170 : 표시부
180 : 저장부100: Investment recommendation system 110: Element evaluation unit
120: Estimation Rank Calculation Unit 130:
140: weight calculation unit 150: influence test unit
160: input unit 170: display unit
180:
Claims (10)
상기 상품 별로 각 요소데이터의 평가값에 가중치를 적용한 후 합산하는 것으로 합산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합산점수가 큰 순서대로 상기 상품의 예상수익순위를 설정하는 예상순위 산출부;
상기 상품 별 실제 수익 순위와 상기 예상수익순위를 이용하여 상기 예상수익순위의 적중률을 산출하는 적중률 연산부; 및
상기 적중률이 가장 높은 경우의 가중치 세트를 도출하는 가중치 연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중치 연산부는 상기 요소데이터 별로 기 설정된 범위의 수를 가중치로 설정하며, 최고 적중률이 도출되는 최적의 가중치 세트를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탐색하고,
선택된 요소데이터에 적용되는 가중치를 상기 기 설정된 범위의 수 중에서 가장 큰 값 또는 가장 작은 값으로 치환하고, 변화되는 적중률의 정도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요소데이터의 영향력을 분석하는 영향력 시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투자 추천 알고리즘을 평가하는 시스템.An element evaluation unit for calculating an evaluation value of element data for each product;
A prediction ranking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 sum score by applying weights to the evaluation values of the respective element data for each of the products and summing them and setting an estimated profit ranking of the products in the order of the sum of the scores;
A hit rate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 hit rate of the estimated profit ranking using the actual profit rank of each product and the estimated profit rank; And
And a weight calculation unit for deriving a weight set when the hit ratio is the highest,
The weight computing unit sets the number of predetermined ranges for each element data as a weight, searches for an optimum weight set from which the highest hit ratio is derive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n influence testing unit for replacing the weight applied to the selected element data with the largest or smallest value among the predetermined number of ranges and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selected element data using the degree of the changed hit ratio A system for evaluating a commodity investment recommendation algorithm.
상기 적중률 연산부는 상품 별로 상기 예상수익순위에서 상기 상품 별 실제 수익 순위를 차감하여 차이값을 도출하고, 상기 상품들의 차이값을 합한 실제합산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투자 추천 알고리즘을 평가하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it rate calculation unit derives a difference value by subtracting the real profit order for each product from the expected profit rank for each product and calculates an actual sum value obtained by summing the difference values of the goods system.
상기 적중률 연산부는 상품 별로 차이값이 가장 큰 경우를 가정하여 산출된 최악예상합산값과 상기 실제합산값을 이용하여 상기 예상수익순위의 적중률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투자 추천 알고리즘을 평가하는 시스템.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hit rate calculation unit calculates a hit rate of the expected profit rank by using the worst case estimated value and the actual sum value calculat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difference value is the greatest for each product, .
(b) 예상순위 산출부가 상기 상품 별로 각 요소데이터의 평가값에 가중치를 적용한 후 합산하는 것으로 합산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합산점수가 큰 순서대로 상기 상품의 예상수익순위를 설정하는 단계;
(c) 적중률 연산부가 상기 상품 별 실제 수익 순위와 상기 예상수익순위를 이용하여 상기 예상수익순위의 적중률을 산출하는 단계;
가중치 연산부가 상기 요소데이터 별로 기 설정된 범위의 수를 가중치로 설정하며, 최고 적중률이 도출되는 최적의 가중치 세트를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탐색하는 단계; 및
영향력 시험부가 선택된 요소데이터에 적용되는 가중치를 상기 기 설정된 범위의 수 중에서 가장 큰 값 또는 가장 작은 값으로 치환하고, 변화되는 적중률의 정도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요소데이터의 영향력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투자 추천 알고리즘을 평가하는 방법.(a) calculating an evaluation value of element data for each element evaluation apposition item;
(b) calculating an aggregate score by applying a weight to an evaluation value of each element data for each of the products, by summing up the aggregate scores, and setting an estimated profit ranking of the goods in descending order of the aggregate score;
(c) calculating a hit rate of the estimated profit rank by using the actual profit rank and the estimated profit rank by the product;
The weight computing unit sets the number of predetermined ranges for each of the element data as a weight and searching for an optimum weight set from which the highest hit rate is derive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Replacing the weight applied to the element data selected by the influence test section with the largest value or the smallest value among the number of the predetermined ranges and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selected element data using the degree of the changed hit ratio Lt; RTI ID = 0.0 > a < / RTI > product investment recommendation algorithm.
상품 별로 상기 예상수익순위에서 상기 상품 별 실제 수익 순위를 차감하여 차이값을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상품들의 차이값을 합한 실제합산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품 별로 차이값이 가장 큰 경우를 가정하여 최악예상합산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실제합산값과 상기 최악예상합산값을 이용하여 상기 예상수익순위의 적중률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투자 추천 알고리즘을 평가하는 방법.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tep (c)
Deriving a difference value by subtracting the actual profit order for each product from the expected profit rank for each product;
Calculating an actual sum value of the sum of the difference values of the goods;
Calculating a worst case estimated value on the assumption that the difference value is the largest for each product;
And calculating a hit rate of the expected profit ranking using the actual sum value and the worst estimated sum valu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4966A KR101975448B1 (en) | 2018-08-14 | 2018-08-14 |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for Big Data Based Commodity Investment Recommendation Algorithm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4966A KR101975448B1 (en) | 2018-08-14 | 2018-08-14 |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for Big Data Based Commodity Investment Recommendation Algorithm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75448B1 true KR101975448B1 (en) | 2019-05-08 |
Family
ID=66580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94966A Expired - Fee Related KR101975448B1 (en) | 2018-08-14 | 2018-08-14 |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for Big Data Based Commodity Investment Recommendation Algorithm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75448B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03029A (en) | 2019-07-01 | 2021-01-11 | 유한책임회사 블루바이저시스템즈 |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iapause assets based on machine-learning |
KR20210009872A (en) * | 2019-07-18 | 2021-01-27 | 이효성 | A method of predicting a lotto lottery winning numbe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 system for thereof |
KR20210017957A (en) * | 2019-08-05 | 2021-02-17 | 주식회사 인터리핀 | P2p loan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through relationship banking based on machine learning |
KR20210024755A (en) * | 2019-08-26 | 2021-03-08 | 주식회사 한국복권데이터 | Lottery purchase suppor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WO2021117928A1 (en) * | 2019-12-11 | 2021-06-17 | 주식회사 집펀드 | Method and server for recommending customized real estate information by using consumer choice model |
KR20220166038A (en) * | 2021-06-09 | 2022-12-16 | 주식회사 데이터노우즈 | Method and system for real estate transaction information prediction based on deep learning graph network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10714B1 (en) * | 2000-10-06 | 2003-12-18 | 김태혁 | financial engineering based financial assets price forecasting system |
KR101794027B1 (en) | 2015-11-27 | 2017-11-06 | 맹준영 | Automated valuation system and method of property price based on an ensemble learning technique |
-
2018
- 2018-08-14 KR KR1020180094966A patent/KR10197544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10714B1 (en) * | 2000-10-06 | 2003-12-18 | 김태혁 | financial engineering based financial assets price forecasting system |
KR101794027B1 (en) | 2015-11-27 | 2017-11-06 | 맹준영 | Automated valuation system and method of property price based on an ensemble learning technique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03029A (en) | 2019-07-01 | 2021-01-11 | 유한책임회사 블루바이저시스템즈 |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iapause assets based on machine-learning |
KR20210009872A (en) * | 2019-07-18 | 2021-01-27 | 이효성 | A method of predicting a lotto lottery winning numbe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 system for thereof |
KR102306385B1 (en) * | 2019-07-18 | 2021-09-30 | 이효성 | A method of predicting a lotto lottery winning numbe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 system for thereof |
KR20210017957A (en) * | 2019-08-05 | 2021-02-17 | 주식회사 인터리핀 | P2p loan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through relationship banking based on machine learning |
KR102321437B1 (en) * | 2019-08-05 | 2021-11-03 | 주식회사 인터리핀 | P2p loan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through relationship banking based on machine learning |
KR20210024755A (en) * | 2019-08-26 | 2021-03-08 | 주식회사 한국복권데이터 | Lottery purchase suppor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KR102234068B1 (en) * | 2019-08-26 | 2021-04-01 | 주식회사 한국복권데이터 | Lottery purchase suppor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WO2021117928A1 (en) * | 2019-12-11 | 2021-06-17 | 주식회사 집펀드 | Method and server for recommending customized real estate information by using consumer choice model |
KR20220166038A (en) * | 2021-06-09 | 2022-12-16 | 주식회사 데이터노우즈 | Method and system for real estate transaction information prediction based on deep learning graph network |
KR102658012B1 (en) * | 2021-06-09 | 2024-04-17 | 주식회사 데이터노우즈 | Method and system for real estate transaction information prediction based on deep learning graph network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75448B1 (en) |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for Big Data Based Commodity Investment Recommendation Algorithm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 |
Seifert et al. | A review of trade credit literature: Opportunities for research in operations | |
KR100771718B1 (en) | Computer-implemented inference methods, portfolio rating systems, and computers to infer the evaluation of credit scores | |
US8577791B2 (en) |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modeling and pricing loan products | |
KR100766148B1 (en) | Computer-implemented methods for selecting the minimum variance assumptions for asset valuation, portfolio valuation systems and computers | |
US20040153330A1 (en) |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future collateral risk quality of real estate | |
KR100746107B1 (en) | Technical properties of asset portfolios Correlation methods, correlation systems, and correlation computers | |
US20140316857A1 (en) | Housing price estimator | |
KR20200023669A (en) | System for Recommending Investment of Big data based Real estate | |
US8249970B1 (en) | Sensitivity/elasticity-based asset evaluation and screening | |
KR20010102452A (en) | Methods and systems for finding value and reducing risk | |
CN101151635A (en) | System for searching and solving for insurance products | |
AU2013205293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Evaluating Property Valuations | |
Grundy et al. | Stock market volatility in a heterogeneous information economy | |
Aldalou et al. | Financial performance evaluation of food and drink index using fuzzy MCDM approach | |
KR102217886B1 (en) | Exploration System and Method of Optimal Weight of Big Data-based Commodity Investment Recommendation Algorith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 |
CA2773327A1 (en) | Price sensitivity scores | |
Mercer et al. | Recurrent competitive bidding | |
Kim Lum | Property price indices in the Commonwealth: Construction methodologies and problems | |
CN118052583A (en) | Vegetable commodity replenishment and pricing method combining nonlinear target programming with ARIMA algorithm | |
Kotova | Th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basis of startups valuation | |
Laporta et al. | Unionization and profitability in the Canadian manufacturing sector | |
Wang et al. | Sensitivity analysis of decision making under dependent uncertainties using copulas | |
Bouadam et al. | Relationship between inventory management and profitability: evidence from selected manufacturing firms in Sétif | |
Isa et al. | A Stochastic Approach for Determining Profit Rate of Islamic Financing Produc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2043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2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