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0225B1 - Method for preventing losing accessory and mobile device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eventing losing accessory and mobile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50225B1 KR101950225B1 KR1020120093487A KR20120093487A KR101950225B1 KR 101950225 B1 KR101950225 B1 KR 101950225B1 KR 1020120093487 A KR1020120093487 A KR 1020120093487A KR 20120093487 A KR20120093487 A KR 20120093487A KR 101950225 B1 KR101950225 B1 KR 1019502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rtable terminal
- accessory
- pen
- detached
- determining wheth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에서 분리된 액세서리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적용된 휴대 단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 분실 방지 방법은 액세서리가 휴대 단말로부터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액세서리가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분리된 경우, 상기 휴대 단말에 구비된 이동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한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이동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이동 거리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상기 분리된 액세서리의 분실 위험을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venting loss of an accessory separated from a portable terminal and a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method is applied. A method for preventing accessory lo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an accessory is detached from a portable terminal; Calculating a movement dist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ensing signal received from the movement sensor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accessory is separa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And guiding the user to the risk of losing the detached accessory if the calculated travel distance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 단말에서 분리된 액세서리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적용된 휴대 단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venting loss of an accessory separated from a portable terminal and a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method is applied.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의 제어부는 액세서리(예, 터치스크린을 터치하기 위한 펜)가 휴대 단말로부터 분리될 경우, 분리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검출한다. 또한 제어부는 무선통신부를 통해 액세서리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고, 액세서리와의 거리를 계산한다. 제어부는 계산된 거리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팝업, 소리 및 진동으로 사용자에게 액세서리가 분리되었음을 알려 주어 액세서리가 분실되지 않게 해준다.In general, the control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detect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accessory (e.g., a pen for touching the touch screen) is disconnec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The control unit also measures the strength of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accessory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calculates the distance to the accessory. The controller informs the user that the accessory has been disconnected by pop-up, sound, and vibration when the calculated distance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thereby preventing the accessory from being lost.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분실 방지 방식은 제어부와 액세서리 간의 무선 통신 기술이 필요한 기술이다. 따라서 종래 분실 방지 방식은 액세서리의 크기가 작으면 휴대 단말에 적용되지 못하고 액세서리에 무선 통신 기술과 관련된 부품을 추가함으로써 액세서리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loss prevention method is a technology that requires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between a controller and an accessory. Therefore, the conventional loss prevention method has been pointed out that accessory is complicated by adding parts related to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to accessories, which can not be applied to portable terminals if the size of the accessories is small.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이 액세서리와 무선 통신하지 않고서도 액세서리가 분실되지 않게 사용자에게 분실의 위험성을 알려주는 방법 및 이 방법이 적용된 휴대 단말을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informing a user of the risk of loss without losing an accessory without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accessory, and a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method is applied.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 분실 방지 방법은 액세서리가 휴대 단말로부터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액세서리가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분리된 경우, 상기 휴대 단말에 구비된 이동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한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이동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이동 거리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상기 분리된 액세서리의 분실 위험을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for preventing accessory lo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an accessory is detached from a portable terminal; Calculating a movement dist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ensing signal received from the movement sensor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accessory is separa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And guiding the user to the risk of losing the detached accessory if the calculated travel distance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은 액세서리의 분리 여부 및 휴대 단말의 움직임과 관련된 물리량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분리 안내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물리량과 관련된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이동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이동 거리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상기 분리된 액세서리의 분실 위험을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분실 위험을 안내하기 위한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패널을 포함한다.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for detecting a physical quantity related to separation of an accessory and movement of a portable terminal; When receiving the separation guidance signal from the sensor unit, calculates a movement dist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using a sensing signal related to the physical quantity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and when the calculated movement distance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 controller for guiding the user to the risk of loss of the accessory; And a display panel for displaying data for guiding the loss risk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 분실 방지 방법 및 휴대 단말에 따르면 본 발명은 휴대 단말이 액세서리와 무선 통신하지 않고서도 액세서리가 분실되지 않게 사용자에게 분실의 위험성을 알려주는 이점을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ethod of preventing loss of accessory and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dvantage that the portable terminal can inform the user of the risk of loss without losing accessory without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accessor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외관을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전기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분실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분실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분실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분실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분실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FIG. 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lectrical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eventing an accessory lo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eventing accessory los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eventing accessory los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eventing accessory los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eventing accessory los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휴대 단말은 터치스크린을 가지고,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PC 등과 같이 휴대 가능한 전자 기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액세서리는 휴대 단말로부터 분리가 가능한 휴대 단말의 부속품으로써 예컨대, 터치스크린에 터치를 위한 펜, 헤드폰, 키패드 등이 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ortable terminal mean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such a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tablet PC, and a notebook PC. In the present invention, an accessory is an accessory of a portable terminal detachable from a portable terminal, and may be, for example, a pen for touching on a touch screen, a headphone, a keypad, and the like.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휴대 단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아래 설명과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에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Hereinafter, an application execution method and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Also, the terms and words used herei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should be construed in a meaning and a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merely exemplar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be exhaus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to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 Moreover, some of the elem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외관을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전기적인 블록 구성도이다.FIG. 1 is an external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lectrical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100)은 터치스크린(110), 키입력부(120), 저장부(130), 무선통신부(140), 오디오 처리부(150), 스피커(SPK), 마이크(MIC), 센서부(160), 제어부(170) 및 스타일러스 펜(1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 and 2, a
터치스크린(110)은 터치패널(111) 및 표시패널(1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터치패널(111)은 표시패널(112)에 안착(place on the display unit)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패널(111)은 표시패널(112) 위에 위치하는 애드 온 타입(add-on type)이나 표시패널(112) 내에 삽입되는 온 셀 타입(on-cell type) 또는 인 셀 타입(in-cell type)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touch screen 110 includes a touch panel 111 and a display panel 112. The touch panel 111 may be placed on the display panel 112. Specifically, the touch panel 111 may include an add-on type located on the display panel 112, an on-cell type or an in-cell type inserted into the display panel 112, cell type).
터치패널(111)은 터치패널(111)에 대한 사용자의 제스처에 응답하여 아날로그 신호(예, 터치이벤트)를 발생하고, 아날로그 신호를 A/D 변환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제어부(170)는 전달된 터치이벤트로부터 사용자의 제스처를 검출한다. 제어부(170)는 검출된 사용자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구성들을 제어한다. 사용자 제스처는 터치(Touch)와 터치 제스처(Touch gesture)로 구분된다. 다시 터치 제스처는 탭(Tap), 드래그(Drag) 및 플릭(Flic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터치는 터치스크린에 접촉(contact)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하고, 터치제스처는 터치가 터치스크린에 접촉(touch-on)해서 터치 해제(touch-off)까지의 터치의 변화를 의미한다.The touch panel 111 generates an analog signal (e.g., a touch event) in response to a user's gesture with respect to the touch panel 111, A / D converts the analog signal, and transmits the analog signal to the controller 170. The controller 170 detects the user's gesture from the transmitted touch event. The control unit 170 controls the configurations in response to the detected user gesture. The user gesture is divided into a touch gesture and a touch gesture. The touch gesture may again include a tap, a drag, a flick, and the like. That is, the touch refers to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and the touch gesture refers to a change of the touch from touch-on to touch-off.
터치패널(111)은 손 제스처를 감지하는 손 터치패널(111a)과 펜 제스처를 감지하는 펜 터치패널(111b)를 포함하여 구성된 복합 터치패널일 수 있다. 여기서 손 터치패널(111a)은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type)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손 터치패널(111a)은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손 터치패널(111a)은 사용자의 손 제스처에 의해서만 터치이벤트를 발생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물체(예, 정전용량 변화를 가할 수 있는 전도성 재질의 물체)에 의해서도 터치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펜 터치패널(111b)은 전자 유도 방식(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펜 터치패널(111b)은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특수 제작된 터치용 스타일러스 펜(180)에 의해 터치이벤트를 생성한다.The touch panel 111 may be a composite touch panel including a hand touch panel 111a for sensing a hand gesture and a pen touch panel 111b for sensing a pen gesture. Here, the hand touch panel 111a may be configured as a capacitive type. Of course, the hand touch panel 111a may be formed of a resistive type, an infrared type, or an ultrasonic type. Also, the hand touch panel 111a does not generate a touch event only by the hand gesture of the user, but can generate the touch event also by another object (for example, a conductive material capable of applying a capacitance change). The pen touch panel 111b may be of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Accordingly, the pen touch panel 111b generates a touch event by a
표시패널(112)은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제어부(17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표시한다. 즉, 표시패널(112)은 휴대 단말(100)의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를 들면, 잠금 화면, 홈 화면, 환경 설정 화면, 어플리케이션(줄여서 '앱(App)') 실행 화면, 키패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잠금 화면은 표시패널(112)이 켜지면, 표시패널(112)에 표시되는 영상이다. 잠금 해제를 위한 사용자 제스처가 검출되면 제어부(170)는 표시되는 영상을 잠금 화면에서 홈 화면 또는 앱 실행 화면 등으로 전환(changing)할 수 있다. 홈 화면은 다수의 앱(예, 환경 설정, 브라우저, 통화, 메시지 등)에 각각 대응되는 다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영상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수의 앱 아이콘 중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예, 아이콘을 탭)된 경우, 제어부(170)는 해당 앱을 실행하고, 기본 화면을 표시패널(112)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앱 아이콘 중 하나와 관련된 터치의 움직임이 검출된 경우 제어부(170)는 해당 앱에서 터치의 움직임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고, 실행된 기능에 대응되는 화면을 표시패널(112)에 표시할 수 있다.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70, the display panel 112 converts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170 into analog signals and displays them. That is, the display panel 112 displays various screens such as a lock screen, a home screen, a configuration screen, an application (for short, 'App') execution screen according to the use of the
표시패널(112)은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상기 화면들 중에서 하나 예컨대, 앱 실행 화면을 배경(background)으로 표시하고 다른 하나 예컨대, 키패드를 전경(foreground)으로써 상기 배경에 오버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패널(112)은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다수의 화면을 서로 오버랩되지 않게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패널(112)은 상기 화면들 중 하나를 제 1 스크린 영역에 표시하고 다른 하나를 제 2 스크린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표시패널(112)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또는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ed Diode)로 구성될 수 있다.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70, the display panel 112 displays one of the screens, for example, an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s a background and overlaps and displays another screen such as a keypad as a foreground on the background . Furth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70, the display panel 112 can display a plurality of screens without overlapping each other. For example, the display panel 112 may display one of the screens in the first screen area and the other in the second screen area. The display panel 112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or an active 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MOLED).
키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키(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키들은 메뉴 불러오기 키, 화면 온/오프 키, 전원 온/오프 키 및 볼륨 조절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키입력부(120)는 사용자 설정 및 휴대 단말(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한 키 이벤트를 생성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키 이벤트는 전원 온/오프 이벤트, 볼륨 조절 이벤트, 화면 온/오프 이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이러한 키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한 구성들을 제어한다. 한편 키입력부(120)의 키(버튼)는 하드 키(hard key)라 하고 터치스크린(110)에 표시되는 키(버튼)는 소프트 키(soft key)로 지칭될 수 있다.The key input unit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keys (buttons) for receiving numeric or character information and setting various functions. These keys may include a menu retrieval key, a screen on / off key, a power on / off key, and a volume control key. The key input unit 120 generates a key event related to the user setting and the function control of the
저장부(130)는 제어부(170)의 보조기억장치(secondary memory unit)로써, 디스크, 램(RAM), 롬(ROM) 및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휴대 단말(100)에서 생성되거나 무선통신부(14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통해 외부장치(예, 서버,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등)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30 may be a secondary memory unit of the controller 170 and may include a disk, a RAM, a ROM, and a flash memory. The storage unit 13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server, a desktop PC, a tablet PC, or the like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or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not show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70. [ Or the like) can be stored.
저장부(130)는 부팅 프로그램 및 휴대 단말(100)의 운용을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30)는 본 발명에 따른 분실 방지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분실 방지 프로그램은 센서부(160)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액세서리(예컨대, 펜(180))의 분리 여부 및 휴대 단말(100)의 이동 여부를 결정하는 기능과, 액세서리가 분리된 상태로 휴대 단말(100)이 이동할 경우 센서부(160)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100)의 이동 거리를 산출하는 기능과, 산출된 이동 거리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액세서리의 분실 위험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기능 등을 포함한다.The storage unit 130 stores a boot program and an operating system (OS) for operating the
저장부(130)는 내재화 어플리케이션(embedded application) 및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3rd party application)을 포함한다. 내재화 어플리케이션은 휴대 단말(100)에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예컨대 내재화 어플리케이션은 브라우저(browser), 이메일(email), 인스턴트 메신저(instant messenger) 등이 될 수 있다.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은 주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온라인 마켓으로부터 휴대 단말(100)에 다운로드되어 설치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하며, 매우 다종다양하다. 이러한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은 설치 및 제거가 자유롭다. 휴대 단말(100)가 켜지면 먼저 부팅 프로그램이 제어부(170)의 주기억장치(예, RAM)로 로딩(loading)된다. 이러한 부팅 프로그램은 휴대 단말(100)가 동작할 수 있게 운영체제를 주기억장치로 로딩한다. 또한 운영체제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주기억장치로 로딩하여 실행한다. 이러한 부팅 및 로딩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널리 공지되어 있는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The storage unit 130 includes an embedded application and a third party application. The internalization application refers to an application that is basically installed in the
무선통신부(140)는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또는 데이터 통신을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무선통신부(14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주파수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저잡음 증폭 및 하강 변환하는 무선주파수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140)는 이동 통신 모듈(예컨대, 3세대(3-Generation) 이동통신모듈, 3.5(3.5-Generation)세대 이동통신모듈 또는 4(4-Generation)세대 이동통신모듈 등), 디지털 방송 모듈(예컨대, DMB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예, 와이파이(Wi-Fi)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performs voice communication, video communication, or data communic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70. [ For this purpos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may include a radio frequency transmitter for up-converting and amplifying the frequency of a transmitted signal, and a radio frequency receiver for performing low-noise amplification and down-conversion on the frequency of the received signal.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may b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for example, a 3-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 3.5-generation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 4-generation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module, (E.g., a DMB module) and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e.g., a Wi-Fi module, a bluetooth module).
오디오 처리부(150)는 스피커(SPK) 및 마이크(MIC)와 결합하여 음성 인식, 음성 녹음, 디지털 레코딩(recording) 및 통화 기능을 위한 오디오 신호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150)는 제어부(170)로부터 오디오 신호(예컨대, 분실 위험을 안내하기 위한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로 D/A 변환하고 증폭한 후 스피커(SPK)로 출력한다. 오디오 처리부(150)는 마이크(MIC)으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로 A/D 변환한 후 제어부(170)로 제공한다. 스피커(SPK)는 오디오 처리부(150)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음파(sound wave)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마이크(MIC)는 사람이나 기타 소리원(sound source)들로부터 전달된 음파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The audio processing unit 150 is coupled with a speaker SPK and a microphone MIC to perform input and output functions of audio signals for voice recognition, voice recording, digital recording, and call functions. The audio processing unit 150 receives an audio signal (for example, a voice signal for guiding the risk of loss) from the control unit 170, D / A-converts the received audio signal to analog, amplifies the analog signal, do. The audio processor 150 A / D-converts the audio signal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MIC) into a digital signal, and provides the audio signal to the controller 170. The speaker SPK converts an audio signal received from the audio processing unit 150 into a sound wave and outputs the sound wave. A microphone (MIC) converts sound waves from people or other sound sources into audio signals.
센서부(160)는 물리량이나 그 변화를 감지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부(160)는 휴대 단말(100)의 움직임과 관련된 물리량(예, 속도, 가속도, 고도)을 감지하고 감지된 물리량에 대응되는 감지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는 이동 감지 센서(161)와, 액세서리(예, 펜(180))가 휴대 단말(100)에서 분리될 경우 분리 안내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고 액세서리가 휴대 단말(100)에 결합될 경우 결합 안내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는 액세서리 탈착 감지 센서(162)를 포함한다. 이동 감지 센서(161)는 휴대 단말(100)의 움직임과 관련된 물리량을 감지하기 위해 예컨대,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고도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액세서리에 자석이 부착된 경우라면 액세서리 탈착 감지 센서(162)는 홀(hall) 센서를 포함한다. 즉 자석의 제 1 접점과 홀 센서의 제 2 접점이 떨어지면 액세서리 탈착 감지 센서(162)는 분리 안내 신호를 제어부(170)로 출력한다. 제 1 접점과 제 2 접점이 붙으면 액세서리 탈착 감지 센서(162)는 결합 안내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한다.The sensor unit 160 senses a physical quantity or its change.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unit 160 senses a physical quantity (e.g., speed, acceleration, altitude) related to the movement of the
제어부(170)는 휴대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 단말(100)의 내부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배터리에서 상기 구성들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예컨대 배터리에서 터치스크린(110)으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터치스크린(110)을 통해 영상 데이터가 표시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키입력부(120)의 화면 온/오프 버튼을 누르면 키입력부(120)는 화면 온 이벤트를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화면 온 이벤트에 응답하여 제어부(170)는 터치스크린(110)으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배터리를 제어한다. 배터리에서 터치스크린(110)으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면 영상 데이터는 터치스크린(110)을 통해 표시된다. 영상 데이터가 표시되는 중에 사용자가 키입력부(120)의 화면 온/오프 버튼을 누르면 키입력부(120)는 화면 오프 이벤트를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화면 오프 이벤트에 응답하여 제어부(170)는 터치스크린(110)으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미리 정해진 시간(예, 1분) 동안 터치스크린(110) 및 키입력부(120)로부터 이벤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터치스크린(110)으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The control unit 17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제어부(170)는 응용프로그램 및 운영체제를 저장하는 주기억장치와, 저장부(130)에 기록(write)할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고 저장부(130)로부터 읽어 온(read)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캐시메모리와, CPU(central processing unit)와, GPU(graphic processing uni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운영체제는 하드웨어와 프로그램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면서, CPU, GPU, 주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 등의 컴퓨터 자원을 관리한다. 즉, 운영체제는 휴대 단말(100)를 동작시키고 작업(task)의 순서를 정하며 CPU의 연산 및 GPU의 연산을 제어한다. 또한 운영체제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을 제어하는 기능과, 데이터와 파일의 저장을 관리하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 한편 주지된 바와 같이 CPU는 자료의 연산 및 비교와, 명령어의 해석 및 실행 등을 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핵심적인 제어 유닛이다. GPU는 CPU를 대신하여, 그래픽과 관련한 자료의 연산 및 비교와, 명령어의 해석 및 실행 등을 수행하는 그래픽 제어 유닛이다. CPU와 GPU은 각각, 두 개 이상의 독립 코어(예, 쿼드 코어(quad-core))가 단일 집적 회로로 이루어진 하나의 패키지(package)로 통합될 수 있다. 또한 CPU와 GPU는 하나의 칩으로 통합(SoC; System on Chip)된 것일 수 있다. 또한 CPU와 GPU는 멀티 레이어(multi layer)로 패키징(packaging)된 것일 수도 있다. 한편 CPU 및 GPU를 포함하는 구성은 AP(Application Processor)라고 지칭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70 includes a main memory for storing an application program and an operating system and a cache memory for temporarily storing data to be written to the storage unit 130 and temporarily storing data read from the storage unit 130. [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and the like. Here, the operating system acts as an interface between the hardware and the program, and manages computer resources such as CPU, GPU, main memory, and auxiliary memory. That is, the operating system operates the
제어부(170)의 본 발명과 관련된 특징적인 기능 즉, 액세서리의 분실 방지 기능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 characteristic function of the control unit 170 relat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a loss prevention function of the accessory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한편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100)은 GPS 모듈, NFC(Near Filed Communication) 모듈, 진동 모터, 카메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진동 모터는 분실의 위험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GPS 모듈은 휴대 단말(100)의 이동 거리를 산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100)은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들에서 특정 구성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분실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eventing an accessory lo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10에서 제어부(170)는 액세서리의 분리 여부를 결정한다. 예컨대, 제어부(170)는 센서부(160)로부터 분리 안내 신호를 수신한 경우 액세서리가 휴대 단말(100)로부터 분리된 것으로 결정한다. 여기서 분리 안내 신호는 해당 액세서리가 무엇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액세서리가 여럿일 경우 제어부(170)는 액세서리들 중 어떤 것이 휴대 단말(100)로부터 분리되었는지를 인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in
액세서리가 휴대 단말(100)로부터 분리된 경우 단계 320에서 제어부(170)는 휴대 단말(100)의 이동 여부를 결정한다. 예컨대, 제어부(170)는 센서부(160)로부터 가속도나 고도 등의 변화와 관련된 상태 변경 이벤트를 수신한 경우 휴대 단말(100)이 움직인 것으로 결정한다.If the accessory is detached from the
휴대 단말(100)이 움직인 경우 단계 330에서 제어부(170)는 휴대 단말(100)의 이동 거리를 산출한다. 예컨대 제어부(170)는 이동과 관련된 물리량을 센서부(160)로 요청하고 이에 응답하여 센서부(160)가 전송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액세서리가 분리된 시점부터 휴대 단말(100)이 이동한 거리를 센티미터 또는 걸음 등의 단위로 산출한다. If the
단계 340에서 제어부(170)는 액세서리의 결합 여부를 결정한다. 예컨대, 제어부(170)는 센서부(160)로부터 결합 안내 신호를 수신한 경우 액세서리가 휴대 단말(100)에 결합된 것으로 결정한다. 여기서 결합 안내 신호는 해당 액세서리가 무엇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어부(170)는 결합된 액세서리가 무엇인지를 인지할 수 있다.In
액세서리가 결합된 경우 액세서리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액세서리가 결합되지 않은 경우 단계 350에서 제어부(170)는 산출된 이동 거리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예, 5미터 또는 10걸음)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If the accessories are combined, the process to prevent loss of the accessories is terminated. If the accessory is not engaged, the control unit 170 at
산출된 이동 거리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프로세스는 단계 320으로 복귀된다. 산출된 이동 거리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단계 360에서 제어부(170)는 분실 위험을 사용자에게 알린다.If the calculated travel distance does not exceed the preset threshol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320. If the computed movement distance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e controller 170 notifies the user of the risk of loss at
예컨대, 터치스크린(110)은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분실 위험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팝업을 표시한다. 오디오 처리부(150)는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분실 위험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K)로 출력한다. 진동 모터는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진동한다.For exampl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70, the touch screen 110 displays a pop-up for informing the user of the risk of los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70, the audio processor 150 converts the audio signal for informing the user of the risk of loss to an analog signal and outputs the analog signal to the speaker SPK. The vibration motor vibrate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70. [
단계 370에서 제어부(170)는 액세서리의 결합 여부를 결정한다. 액세서리가 결합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70)는 분실 위험을 사용자에게 계속 알린다. 액세서리가 결합된 경우 제어부(170)는 분실 위험의 안내를 종료한다. 즉 사용자는 액세서리를 휴대 단말(100)에 결합시켜 분실 위험의 안내를 종료시킨다. 또는 사용자는 액세서리를 휴대 단말(100)에 결합시키지 않고 휴대 단말(100)을 조작하여(예컨대, 터치스크린(110)에 표시된 종료 버튼을 탭) 분실 위험의 안내를 종료시킬 수도 있다.In
이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70)는 액세서리가 분리된 채 휴대 단말(100)이 이동하게 된 경우 사용자에게 분리된 액세서리가 분실될 수 있음을 알려준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분실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분실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eventing accessory los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eventing accessory los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410에서 제어부(170)는 펜(180)의 분리 여부를 결정한다. 펜(180)이 휴대 단말(100)로부터 분리된 경우 단계 420에서 제어부(170)는 휴대 단말(100)의 이동 여부를 결정한다. 휴대 단말(100)이 움직인 경우 단계 430에서 제어부(170)는 휴대 단말(100)의 이동 거리를 산출한다.Referring to FIG. 4, in
단계 440에서 제어부(170)는 펜(180)이 터치스크린(110)에 터치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펜(180)이 터치스크린(110)에 터치됨에 따라 터치스크린(110)이 관련된 터치이벤트를 제어부(170)로 전송한 경우, 단계 450에서 제어부(170)는 단계 430에서 산출된 이동 거리를 초기 값(예, '0')으로 변경(즉, 초기화)한 후 단계 420으로 복귀한다. In
펜(180)이 터치스크린(110)에 터치되지 않은 경우 단계 460에서 제어부(170)는 펜(180)의 결합 여부를 결정한다. 액세서리가 결합되지 않은 경우 단계 470에서 제어부(170)는 산출된 이동 거리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예, 5미터 또는 10걸음)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산출된 이동 거리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단계 480에서 제어부(170)는 분실 위험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예컨대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분실 위험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팝업(510)을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10)을 제어한다. 산출된 이동 거리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70)는 단계 420으로 복귀한다. 휴대 단말(100)이 이동 중인 경우 제어부(170)는 다시 단계 430으로 진행하여 휴대 단말(100)의 이동 거리를 산출한다. 이때 산출된 이동 거리는 이전에 산출된 이동 거리(단계 450에 따라 초기값일 수도 있음)와 합산된 값이다.If the
이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70)는 액세서리와 휴대 단말(100) 사이에 상호작용이 없는 경우 사용자에게 분실의 위험성을 알려준다. 액세서리가 분리된 채 휴대 단말(100)이 이동하여도 액세서리와 휴대 단말(100) 사이에 상호작용이 있는 경우 액세서리는 분실된 게 아니다. 즉 사용자가 액세서리를 휴대하고 있는 것이다. 액세서리와 휴대 단말(100) 사이에 상호작용이 있는 경우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100)과 함께 펜(180)을 휴대한 것으로 인지하여 이동 거리를 초기화한다. 여기서 액세서리는 예시한 바와 같은 펜(180) 또는 휴대 단말(100)에서 분리 가능한 키패드 등이 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70 informs the user of the risk of loss if there is no interaction between the accessory and the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분실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eventing accessory los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610에서 제어부(170)는 펜(180)의 분리 여부를 결정한다. 펜(180)이 휴대 단말(100)로부터 분리된 경우 단계 620에서 제어부(170)는 화면 오프(OFF) 여부를 결정한다. 터치스크린(110)을 통해 영상 데이터가 표시되고 있는 경우(즉, 화면 온(ON)), 단계 630에서 제어부(170)는 펜(180)의 결합 여부를 결정한다. 펜(180)이 휴대 단말(100)에 결합된 경우 펜(180)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펜(180)이 휴대 단말(100)에 결합되지 않은 경우 프로세스는 단계 620으로 복귀된다.Referring to FIG. 6, in
화면 오프인 경우 단계 640에서 제어부(170)는 휴대 단말(100)의 이동 여부를 결정한다. 휴대 단말(100)이 움직인 경우 단계 650에서 제어부(170)는 휴대 단말(100)의 이동 거리를 산출한다. 단계 660에서 제어부(170)는 펜(180)의 결합 여부를 결정한다. 펜(180)이 휴대 단말(100)에 결합된 경우 펜(180)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펜(180)이 휴대 단말(100)에 결합되지 않은 경우 단계 670에서 제어부(170)는 산출된 이동 거리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예, 5미터 또는 10걸음)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산출된 이동 거리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프로세스는 단계 640으로 복귀된다. 산출된 이동 거리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단계 680에서 제어부(170)는 분실 위험을 사용자에게 알린다.If the screen is turned off, the controller 170 determines whether the
이상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70)는 액세서리가 휴대 단말(10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100)의 화면이 오프된 경우 사용자에게 분실의 위험성을 알려준다. 여기서 액세서리는 예시한 바와 같은 펜(180) 또는 휴대 단말(100)에서 분리 가능한 키패드 등이 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creen of the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분실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eventing accessory los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710에서 제어부(170)는 펜(180)의 분리 여부를 결정한다. 펜(180)이 휴대 단말(100)로부터 분리된 경우 단계 720에서 제어부(170)는 화면 오프(OFF) 여부를 결정한다. 화면 온(ON)인 경우 단계 730에서 제어부(170)는 펜(180)의 결합 여부를 결정한다. 펜(180)이 휴대 단말(100)에 결합된 경우 펜(180)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펜(180)이 휴대 단말(100)에 결합되지 않은 경우 프로세스는 단계 720으로 복귀된다.Referring to FIG. 7, in
화면 오프인 경우 단계 740에서 제어부(170)는 휴대 단말(100)의 이동 여부를 결정한다. 휴대 단말(100)이 움직인 경우 단계 750에서 제어부(170)는 휴대 단말(100)의 이동 거리를 산출한다. 단계 760에서 화면 온 여부를 결정한다. 화면 온인 경우 단계 770에서 제어부(170)는 단계 750에서 산출된 이동 거리를 '0'으로 초기화하고 단계 720으로 복귀한다. 화면 오프인 경우 단계 780에서 제어부(170)는 펜(180)의 결합 여부를 결정한다. 펜(180)이 휴대 단말(100)에 결합된 경우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펜(180)이 휴대 단말(100)에 결합되지 않은 경우 단계 790에서 제어부(170)는 산출된 이동 거리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예, 5미터 또는 10걸음)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산출된 이동 거리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단계 795에서 제어부(170)는 분실 위험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If the screen is turned off, the controller 170 determines whether th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 분실 방지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기록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와,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와,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와, 롬(ROM)과, 램(RAM)과,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method of preventing accessory lo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by a program command which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a program command, a data file, a data structure, and the like. The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In addition, a recording medium includes a magnetic medium such as a hard disk, a floppy disk and a magnetic tape, an optical medium such as a CD-ROM and a DVD, and a magnetic optical medium such as a floppy disk. A hard disk, a magneto-optical medium, a ROM, a RAM, a flash memory, and the like. The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generated by the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may be executed by the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A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 분실 방지 방법 및 휴대 단말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The method for preventing the loss of the access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ortable terminal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휴대 단말
110: 터치스크린
111: 터치패널
111a: 손 터치패널 111b: 펜 터치패널
112: 표시패널
120: 키입력부
130: 저장부
140: 무선통신부
150: 오디오 처리부
160: 센서부
161: 이동 감지 센서 162: 액세서리 탈착 감지 센서
170: 제어부100:
110: Touch screen
111: Touch panel
111a: Hand touch panel 111b: Pen touch panel
112: display panel
120: key input unit
130:
140:
150: Audio processor
160:
161: movement detection sensor 162: accessory removal detection sensor
170:
Claims (13)
상기 액세서리가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액세서리가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분리된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의 화면 오프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휴대 단말의 화면이 오프된 경우, 상기 휴대 단말에 구비된 이동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한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이동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이동 거리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상기 분리된 액세서리의 분실 위험을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분실 방지 방법.A method for preventing loss of an accessory i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n accessory,
Determining whether the accessory is detach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the portable terminal is turned off when the accessory is disconnec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and when the accessory is disconnec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Calculating a moving dist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nd guiding the user to the risk of losing the detached accessory if the calculated travel distance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상기 안내하는 단계는,
상기 분리된 액세서리와 상기 휴대 단말 사이에 상호 작용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분리된 액세서리와 상기 휴대 단말 사이에 상호 작용이 없고 상기 산출된 이동 거리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상기 분리된 액세서리의 분실 위험을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분실 방지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guiding comprises: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interaction between the detached accessory and the portable terminal, and if there is no interaction between the detached accessory and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calculated travel distance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And guiding the user to the risk of loss of the accessory.
상기 상호 작용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분리된 펜이 상기 휴대 단말의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분실 방지 방법.3. The method of claim 2,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said interaction,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pen separa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is touched to the touch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의 화면이 온된 경우 상기 산출된 이동 거리를 미리 설정된 초기 값으로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분실 방지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lculating step comprises:
And whe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is turned on, the calculated movement distance is initialized to a preset initial value.
상기 액세서리가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액세서리가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분리된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의 이동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액세서리와 상기 휴대 단말 사이에 상호 작용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서리와 상기 휴대 단말 사이에 상호 작용이 없고 상기 산출된 이동 거리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상기 액세서리의 분실 위험을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분실 방지 방법.A method for preventing loss of an accessory i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n accessory,
Determining whether the accessory is detach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Calculating a travel dist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accessory is detach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and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n interaction between the accessory and the portable terminal; And
And guiding the user to the risk of losing the accessory if there is no interaction between the accessory and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calculated travel distance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상기 상호 작용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분리된 펜이 상기 휴대 단말의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분실 방지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n interaction comprises: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pen separa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is touched to the touch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액세서리의 분리 여부 및 상기 휴대 단말의 움직임과 관련된 물리량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분리 안내 신호를 수신하면, 표시패널의 화면 오프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표시패널의 화면이 오프된 경우,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물리량과 관련된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이동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이동 거리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상기 분리된 액세서리의 분실 위험을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분실 위험을 안내하기 위한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1.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detachable accessory,
A sensor unit for detecting a physical quantity related to whether or not the accessory is detached and a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display panel is turned off by receiving a separation guiding signal from the sensor unit, and when a screen of the display panel is off, A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a travel distance and guiding the user to the risk of losing the separated accessory if the calculated travel distance exceeds a preset threshold value; And
And a display panel for displaying data for guiding the loss risk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리된 액세서리와 상기 휴대 단말 사이에 상호 작용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분리된 액세서리와 상기 휴대 단말 사이에 상호 작용이 없고 상기 산출된 이동 거리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상기 분리된 액세서리의 분실 위험을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interaction between the detached accessory and the portable terminal, and if there is no interaction between the detached accessory and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calculated travel distance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And notifies the user of the risk of loss of the accessory.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분리된 펜이 상기 표시패널을 포함한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Wherein the portabl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pen separa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is touched to the touch screen including the display panel.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 단말의 화면이 온된 경우 상기 산출된 이동 거리를 미리 설정된 초기 값으로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And initializes the calculated movement distance to a preset initial value when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turned on.
상기 펜의 분리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분리 안내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휴대 단말의 이동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펜과 상기 터치스크린 사이에 상호 작용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펜과 상기 터치스크린 사이에 상호 작용이 없고 상기 산출된 이동 거리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상기 펜의 분실 위험을 사용자에게 안내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A portab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nd a detachable touch pen,
A sensor unit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pen is detached; And
Upon receiving a separation guiding signal from the sensor unit, calculates a movement dist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n interaction between the pen and the touch screen, and if there is no interaction between the pen and the touch screen, And controlling the touch screen to guide the user of the risk of losing the pen if the moved distance exceeds a preset threshold valu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3487A KR101950225B1 (en) | 2012-08-27 | 2012-08-27 | Method for preventing losing accessory and mobile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3487A KR101950225B1 (en) | 2012-08-27 | 2012-08-27 | Method for preventing losing accessory and mobile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30359A KR20140030359A (en) | 2014-03-12 |
KR101950225B1 true KR101950225B1 (en) | 2019-04-26 |
Family
ID=50642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93487A Active KR101950225B1 (en) | 2012-08-27 | 2012-08-27 | Method for preventing losing accessory and mobile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5022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22234B1 (en) * | 2014-02-18 | 2014-07-28 | (주) 웰컴비즈 | Emergency situation notice device using biometric and GPS information |
CN105741462A (en) * | 2016-01-29 | 2016-07-06 | 努比亚技术有限公司 | Mobile phone anti-lost detection method and device |
KR102155668B1 (en) * | 2019-02-13 | 2020-09-14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Lost-and-found notification device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the occurrence of lost items in public transportation |
CN113799735A (en) * | 2020-06-12 | 2021-12-17 | 卓品智能科技无锡有限公司 | Vehicle-mounted terminal anti-disassembly detection method based on data statistics detectio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53215B1 (en) | 1999-11-30 | 2002-09-18 | 삼성전자 주식회사 | The missing prevention device of the mobile phone with blue_tooth and method thereof |
KR100594053B1 (en) | 1999-09-08 | 2006-06-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How to generate a warning sound when the phone is released from the wireless earphone in the mobile phone operating the Bluetooth wireless earphone |
JP2006209199A (en) * | 2005-01-25 | 2006-08-10 | Nec Viewtechnology Ltd | Projector apparatus and burglary preventing method |
US20110050447A1 (en) | 2010-08-30 | 2011-03-03 | Brian Tedesco | Charger Loss Prevention Adaptor |
JP2011154542A (en) | 2010-01-27 | 2011-08-11 | Fujitsu Ltd | Terminal device, equipment, system and method for message existence notification, and computer program |
JP2012226713A (en) | 2011-04-22 | 2012-11-15 | Sharp Corp | Information terminal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63242B2 (en) * | 1996-01-18 | 2001-05-08 | 富士通株式会社 | Anti-theft device and anti-theft method |
JP2900935B1 (en) * | 1998-03-27 | 1999-06-02 | 日本電気株式会社 | Mobile terminal misplacement prevention device |
KR101085746B1 (en) * | 2004-10-20 | 2011-11-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Portable wireless terminal with stylus antenna and its operation method |
KR20060057407A (en) * | 2004-11-23 | 2006-05-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Stylus pen on portable mobile terminal |
KR20100032081A (en) * | 2008-09-17 | 2010-03-25 | 재단법인 부산테크노파크 | Preventing method and apparatus of getting lost shoes |
KR101584058B1 (en) * | 2009-08-07 | 2016-01-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providing environment adapted to present situa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KR20120056465A (en) * | 2010-11-25 | 2012-06-04 | 삼성전기주식회사 | Apparatus for controlling touch panel |
-
2012
- 2012-08-27 KR KR1020120093487A patent/KR10195022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94053B1 (en) | 1999-09-08 | 2006-06-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How to generate a warning sound when the phone is released from the wireless earphone in the mobile phone operating the Bluetooth wireless earphone |
KR100353215B1 (en) | 1999-11-30 | 2002-09-18 | 삼성전자 주식회사 | The missing prevention device of the mobile phone with blue_tooth and method thereof |
JP2006209199A (en) * | 2005-01-25 | 2006-08-10 | Nec Viewtechnology Ltd | Projector apparatus and burglary preventing method |
JP2011154542A (en) | 2010-01-27 | 2011-08-11 | Fujitsu Ltd | Terminal device, equipment, system and method for message existence notification, and computer program |
US20110050447A1 (en) | 2010-08-30 | 2011-03-03 | Brian Tedesco | Charger Loss Prevention Adaptor |
JP2012226713A (en) | 2011-04-22 | 2012-11-15 | Sharp Corp | Information terminal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30359A (en) | 2014-03-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970461B2 (en) | Method for processing user-customized page and mobile device thereof | |
US9898139B2 (en) |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hovering input effect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2022288B1 (en) | Touch input method and mobile device | |
US10642408B2 (en) | Mobile terminal having an underwater mode | |
EP4425314A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hanged shortcut icon corresponding to a status thereof | |
KR20140026027A (en) | Method for running application and mobile device | |
KR20140076261A (en) |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pen | |
US20150026638A1 (en) |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external input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 |
KR101932086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camera and mobile device | |
US20140337720A1 (en) | Apparatus and method of executing function related to user input on screen | |
KR20140105689A (en) | Method for providing a feedback in response to user input and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 |
KR20140088446A (en) | Method for providing function of mouse and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 |
US20140281962A1 (en) | Mobile device of executing action in display unchecking mod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KR20140119546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 |
KR20140073258A (en) | Method for providing application information and mobile terminal | |
US20150128031A1 (en) | Contents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 |
KR20150002312A (en) | Page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 |
US10114496B2 (en) | Apparatus for measuring coordinat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140141089A (en) | Electronic device for executing application in response to pen input | |
KR101950225B1 (en) | Method for preventing losing accessory and mobile device | |
KR20150061420A (en) | Smart watch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KR20140074496A (en) | Login management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implementing the same | |
CN103677624A (en) | Method of processing touch input for mobile device | |
KR20140105354A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touch-sensitive user interface | |
KR102015349B1 (en) | Call switch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2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8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8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7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28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2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2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