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2494B1 - System for internet of things smart device monitoring in a vessel using communication network - Google Patents
System for internet of things smart device monitoring in a vessel using communication networ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32494B1 KR101932494B1 KR1020170156530A KR20170156530A KR101932494B1 KR 101932494 B1 KR101932494 B1 KR 101932494B1 KR 1020170156530 A KR1020170156530 A KR 1020170156530A KR 20170156530 A KR20170156530 A KR 20170156530A KR 101932494 B1 KR101932494 B1 KR 1019324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identification information
- information
- iot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통신망을 이용한 선박내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스마트 단말의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선박은 대단위의 화물이나 승객을 해상에서 수송하거나 어업을 위해 사용되는 운송수단으로, 선체 내부에 기관실 및 선원실 등이 마련되어 있다.Generally, a ship is a means of transport for transporting large quantities of cargo or passengers by sea or for fishing, and includes an engine room and crew room inside the hull.
한편, 해상에서의 선박 충돌 사고는 졸음, 음주 같은 운항자의 과실 또는 기상 악화 등 여러 가지 원인이 있으며, 바다 특성상 선박이 좌초되면 인명피해가 극심하다.On the other hand, there are many causes such as sleeping, drunkenness, malfunction or weather deterioration of the ship collision accident on the sea, and when the ship is strand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a, the damage is extremely severe.
또한, 조선해양 분야에 있어서 안전문제는 선박 또는 해양플랜트의 건조 중 사고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므로, 진수 이후 운항 중 또는 선박 수리 중의 사고 대책도 필요하다.In addition, safety issues in the shipbuilding and marine sector are not limited to accidents during the construction of ships or offshore plants.
해외에서는 딥워터 호라이즌(Deepwater Horizon)호 기름 유출사고와 같은 초대형 사고가 일어난 바 있고, 국내에서는 세월호 참사와 같은 대형 사고가 있었다. 이후에도 크고 작은 선박사고는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으며, 최근에도 스텔라 데이지(Stella Daisy)호 침몰사고와 같은 일이 발생하였다.Deepwater Horizon overseas oil spill events such as oil spill accidents have occurred overseas, and there have been major accidents such as seowall disasters in Korea. Since then, accidents of small and large vessels have been continuing, and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incidents such as the sinking of Stella Daisy.
따라서, 선박 진수 이후의 선원/승선자 안전 및 화물의 관리를 위한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융합 기술 및 서비스 개발이 반드시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convergence technologies and services for ship / passenger safety and cargo management after the launch of the ship.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내의 선원, 승선자 또는 화물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장착된 IoT 스마트 단말로부터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를 무선으로 외부의 단말, 서버 또는 수색용 스캐너에 전송하여 관리자 또는 구조자가 정확하고 신속하게 각 객체의 단말위치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미리 저장된 지도 정보와 함께 시각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선박 사고 발생 시 신속하고 정확하게 선원 또는 승선자들을 구조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통신망을 이용한 선박내 IoT 스마트 단말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oT smart terminal equipped with at least one object of a ship, Server or search scanner to visually display the map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on the display screen so that an administrator or a rescuer can accurately and quickly monitor the position of each object terminal, And to provide a monitoring system of the IoT smart terminal in the ship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that minimizes the damage of the person by rescuing the shipboard persons.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선박내의 선원, 승선자 또는 화물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장착되며,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를 무선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IoT 스마트 단말; 상기 선박의 내부에 설치되며, 각 IoT 스마트 단말로부터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IoT 스마트 단말의 접속인증 승인여부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외부로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를 전송하는 IoT 게이트웨이 장치; 및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IoT 게이트웨이 장치와 서로 연결되며,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IoT 게이트웨이 장치로부터 전송된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IoT 스마트 단말별로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함과 아울러 각 객체의 단말위치를 미리 저장된 해당 선박의 배치도에 매칭(matching)하여 관리자가 정확하게 각 객체의 단말위치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중앙관제서버를 포함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선박내 IoT 스마트 단말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t least one object, such as a ship, ship or cargo, IoT smart terminal; The IoT smart terminal is provided inside the ship and receives uniqu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bject from each IoT smart terminal. Based on the receive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each IoT smart terminal receives each object An IoT gateway device for transmitting uniqu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an IoT gateway device connected to the IoT gateway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receiving uniqu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bject transmitted from the IoT gateway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The terminal posi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is stored in a database (DB), and the terminal position of each object is matched to the previously stored vessel layout map so that the manager can accurately monitor the terminal position of each object. And to provide a monitoring system of the in-vessel IoT smart terminal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a central control server for visually displaying the IoT smart terminal.
여기서, 상기 IoT 스마트 단말이 선원에 장착될 경우, 해당 선원의 손목에 착용하는 선원용 스마트 밴드형 단말로 이루어지며, 상기 선원용 스마트 밴드형 단말은, 해당 선원의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비된 밴드형 단말 본체부; 상기 밴드형 단말 본체부의 내부 또는 일측에 구비되며, 해당 선원의 생체신호 정보를 수집하는 생체정보수집부; 상기 밴드형 단말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선박내의 근거리 무선 신호 또는 GPS 위성의 위치정보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의 밴드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밴드위치 정보획득부; 상기 밴드형 단말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IoT 게이트웨이 장치를 통해 외부의 단말 또는 상기 중앙관제서버로부터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표시하는 밴드형 단말 디스플레이부; 상기 밴드형 단말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생체정보수집부로부터 수집된 해당 선원의 생체신호 정보와 상기 밴드위치 정보획득부로부터 획득된 현재의 밴드위치 정보를 상기 IoT 게이트웨이 장치로 무선 전송하는 밴드형 단말 무선통신부; 상기 밴드형 단말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밴드형 단말 무선통신부를 통해 외부의 단말 또는 상기 중앙관제서버로부터 문자 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상기 밴드형 단말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생체정보수집부로부터 수집된 해당 선원의 생체신호 정보 및 상기 밴드위치 정보획득부로부터 획득된 현재의 밴드위치 정보와 함께 기 설정된 고유한 단말식별정보가 상기 밴드형 단말 무선통신부 및 상기 IoT 게이트웨이 장치를 통해 외부의 단말 또는 상기 중앙관제서버에 주기적으로 무선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밴드형 단말 제어부; 및 상기 밴드형 단말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생체정보수집부, 상기 밴드위치 정보획득부, 상기 밴드형 단말 디스플레이부, 상기 밴드형 단말 무선통신부, 및 상기 밴드형 단말 제어부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밴드형 단말 전원공급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Here, the smart band terminal for a source for worn on the wrist of the corresponding source when the IoT smart terminal is mounted on a sour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mart band terminal for the source includes a band Type terminal body portion; A biometric information collecting unit provided inside or on one side of the band-shaped terminal main body and collecting biometric signal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source; A band position information acquiring unit that is provided in the band-shaped terminal body unit and receives at least one of a short range wireless signal in the ship or a GPS satellite position information signal to obtain current band position information; A band-type terminal display uni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and-shaped terminal body unit for displaying a text message received from an external terminal or the central control server through the IoT gateway apparatus; A band that is provided inside the band-shaped terminal main unit and transmits the bio-signal information of the source of the relevant source collected from the bio-information collecting unit and the current band posi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band posi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to the IoT gateway device, Type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 terminal for receiving a text message from an external terminal or the central control server through the band-type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text message on the band-type terminal display unit, The bio-signal information of the relevant source and the current band posi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band posi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are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band-type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IoT gateway apparatus, A band type terminal control unit for periodically controlling the terminal to be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terminal or the central control server; And a power supply unit provided in the band-shaped terminal bod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bio-information collecting unit, the band-position-information obtaining unit, the band-type terminal display unit, the band-type terminal radio communication unit, The terminal-type terminal power supply unit.
바람직하게, 상기 생체정보수집부는, 해당 선원의 심박 수를 측정하기 위한 심박측정 센서와, 해당 선원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체온측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biometric information collecting unit may include a heart rate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the heart rate of the source, and a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source.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상기 IoT 게이트웨이 장치를 통해 각 선원의 손목에 착용된 선원용 스마트 밴드형 단말로부터 각 선원의 생체신호 정보 및 현재의 밴드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분석하여 각 선원별 이동경로를 추정함과 아울러 개인별 건강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entral control server provides uniqu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biometric signal information of each source and current band position information from a source smart-band terminal worn on the wrist of each source through the IoT gateway device Analyze the data, estimate the movement route for each crew, and monitor the individual health status in real time.
바람직하게, 상기 IoT 스마트 단말이 승선자에 장착될 경우, 해당 승선자의 옷에 부착하거나 목걸이 형태의 승선자용 스마트 태그형 단말로 이루어질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IoT smart terminal is mounted on a boarding passenger, the IoT smart terminal may be attached to clothes of the boarding passenger or may be a smart tag type terminal for a passenger in the form of a necklace.
바람직하게, 상기 승선자용 스마트 태그형 단말은, 해당 승선자의 옷에 부착하거나 목걸이 형태로 착용 가능하도록 구비된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본체부; 상기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선박내의 근거리 무선 신호 또는 GPS 위성의 위치정보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의 승선자 태그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승선자 태그위치 정보획득부; 상기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IoT 게이트웨이 장치를 통해 외부의 단말 또는 상기 중앙관제서버로부터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표시하는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디스플레이부; 상기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긴급 상황 시 응급 버튼의 누름동작에 따라 긴급 호출신호를 발생하는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긴급 신호발생부; 상기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승선자 태그위치 정보획득부로부터 획득된 현재의 승선자 태그위치 정보를 외부의 단말 또는 상기 IoT 게이트웨이 장치로 무선 전송하는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무선통신부; 상기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무선통신부를 통해 외부의 단말 또는 상기 중앙관제서버로부터 문자 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상기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승선자 태그위치 정보획득부로부터 획득된 현재의 승선자 태그위치 정보와 함께 기 설정된 고유한 단말식별정보가 상기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무선통신부 및 상기 IoT 게이트웨이 장치를 통해 외부의 단말 또는 상기 중앙관제서버로 무선 전송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긴급 신호발생부로부터 발생된 긴급 호출신호를 제공받아 미리 저장된 긴급 호출메시지와 함께 현재의 승선자 태그위치 정보 및 고유한 단말식별정보가 외부의 단말 또는 상기 중앙관제서버에 주기적으로 무선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제어부; 및 상기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승선자 태그위치 정보획득부, 상기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디스플레이부, 상기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긴급 신호발생부, 상기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무선통신부, 및 상기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제어부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전원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mart tag type terminal for a passenger includes a tagged terminal body for a passenger, the tagged terminal body being attached to clothes of the passenger or being worn in the form of a necklace; Acquiring boarder tag location information which is provided inside the tag type terminal body unit for the passenger and receives at least one of the local wireless signal in the ship or the GPS satellite position information signal to acquire the current boarder tag location information part; A tag type terminal display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ag type terminal body unit for the passenger and displaying a text message received from an external terminal or the central control server through the IoT gateway apparatus; A tag type terminal emergency signal generator for a passeng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tag type terminal body for the passenger, for generating an emergency call signal in response to a pressing operation of the emergency button in an emergency situation; A tag type terminal for a passenger, which is provided inside the tag type terminal body unit for the passenger and wirelessly transmits the current passenger tag position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passenger tag posi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to an external terminal or the IoT gateway device, A communication unit; And a text message is received from an external terminal or the central control server through the tag-type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he passenger, so as to be displayed on the tag-type terminal display unit for the passenger And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eviously set together with the current passenger tag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passenger tag loc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unit through the tagged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he passenger and the external terminal or the terminal through the IoT gateway apparatus The emergency call signal generated by the tagged terminal emergency signal generator for the passenger, and transmits the emergency call message including the current passenger tag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uniqu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periodically sent to an external terminal or the central control server Aboard Edition tagged type terminal control section for controlling to transfer; A tag type terminal display unit for the passenger, a tag type terminal emergency signal generator for the passenger, a tag type terminal wireless tag for the passenger, And a tag type terminal power supply unit for a passenger to supply power necessary for the tagged terminal control unit for the passenger.
바람직하게, 상기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자이로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해당 승선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승선자 움직임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passenger movement detecting unit provided in the tagged terminal body for the passenger and detecting movement of the passenger using at least one of a gyro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바람직하게, 상기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제어부는, 상기 승선자 움직임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해당 승선자의 움직임 감지정보를 제공받아 이와 함께 현재의 승선자 태그위치 정보 및 고유한 단말식별정보가 상기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무선통신부 및 상기 IoT 게이트웨이 장치를 통해 외부의 단말 또는 상기 중앙관제서버로 무선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Preferably, the tagged terminal control unit for the passenger is provided with the motion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passenger sensed by the passenger motion detection unit, and together with the current passenger tag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uniqu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yp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IOT gateway apparatus to an external terminal or the central control server.
바람직하게, 상기 IoT 스마트 단말이 화물 또는 구명보트에 장착될 경우, 해당 화물 또는 구명보트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형태의 화물용 스마트 태그형 단말로 이루어질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IoT smart terminal is mounted on a cargo or lifeboat, it may be a cargo smart tag type terminal for freight detachably mounted on one side of the cargo or lifeboat.
바람직하게, 상기 화물용 스마트 태그형 단말은, 해당 화물 또는 구명보트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비된 화물용 태그형 단말 본체부; 상기 화물용 태그형 단말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선박내의 근거리 무선 신호 또는 GPS 위성의 위치정보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의 화물 태그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화물 태그위치 정보획득부; 상기 화물용 태그형 단말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긴급 상황 시 응급 버튼의 누름동작에 따라 긴급 호출신호를 발생하는 화물용 태그형 단말 긴급 신호발생부; 상기 화물용 태그형 단말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화물 태그위치 정보획득부로부터 획득된 현재의 화물 태그위치 정보를 외부의 단말 또는 상기 IoT 게이트웨이 장치로 무선 전송하는 화물용 태그형 단말 무선통신부; 상기 화물용 태그형 단말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화물 태그위치 정보획득부로부터 획득된 현재의 화물 태그위치 정보와 함께 기 설정된 고유한 단말식별정보가 상기 화물용 태그형 단말 무선통신부 및 상기 IoT 게이트웨이 장치를 통해 외부의 단말 또는 상기 중앙관제서버로 무선 전송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화물용 태그형 단말 긴급 신호발생부로부터 발생된 긴급 호출신호를 제공받아 미리 저장된 긴급 호출메시지와 함께 현재의 화물 태그위치 정보 및 고유한 단말식별정보가 외부의 단말 또는 상기 중앙관제서버에 주기적으로 무선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화물용 태그형 단말 제어부; 및 상기 화물용 태그형 단말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화물 태그위치 정보획득부, 상기 화물용 태그형 단말 긴급 신호발생부, 상기 화물용 태그형 단말 무선통신부, 및 상기 화물용 태그형 단말 제어부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화물용 태그형 단말 전원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argo smart tag type terminal includes: a tag type terminal body for freight detachably mounted on one side of the cargo or lifeboat; A cargo tag posi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which is provided inside the tag type terminal body for the cargo and receives at least one of a short range wireless signal in the ship or a GPS satellite position information signal to obtain current cargo tag position information; A tag-type terminal emergency signal generato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tag-type terminal main body for the cargo and for generating an emergency call signal in response to a pressing operation of the emergency button in an emergency; A tag type terminal radio communication unit for cargo, which is provided inside the tag type terminal body for cargo and carries the current cargo tag posi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cargo tag posi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to an external terminal or the IoT gateway device by radio; Wherein the cargo tag location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cargo tag loc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is stored in the tag type terminal radio unit of the cargo and the IoT And transmits the emergency call message generated by the tag-type terminal emergency signal generating unit for the cargo to the external terminal or the central control server through the gateway apparatus, A cargo tag type termina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uniqu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be wirelessly transmitted periodically to an external terminal or the central control server; A cargo tag loc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a cargo tag terminal emergency signal generator, a cargo tag terminal radio communication unit, and a cargo tag terminal control unit, which are provided in the tag type terminal body unit for cargo, And a tag type terminal power supply for cargo that supplies necessary power for the cargo.
바람직하게, 상기 화물용 태그형 단말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IoT 게이트웨이 장치를 통해 외부의 단말 또는 상기 중앙관제서버로부터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표시하는 화물용 태그형 단말 디스플레이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The RFID tag may further include a tag type terminal display uni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tag type terminal body for the cargo and displaying a text message received from an external terminal or the central control server through the IoT gateway apparatus.
바람직하게, 상기 화물용 태그형 단말 제어부는, 상기 화물용 태그형 단말 무선통신부를 통해 외부의 단말 또는 상기 중앙관제서버로부터 문자 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상기 화물용 태그형 단말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Preferably, the tag-type terminal control unit for cargo receives a text message from an external terminal or the central control server via the tag-type terminal radio communication unit for cargo,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text message on the tag- .
바람직하게, 상기 IoT 스마트 단말은, 저전력 장거리 통신(Low Power Wide Area Network, LPWAN)을 이용하여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를 실시간으로 무선 전송할 수 있다.Preferably, the IoT smart terminal wirelessly transmits uniqu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bject in real time using a low power wide area network (LPWAN).
바람직하게, 상기 IoT 게이트웨이 장치는, 해당 선박내의 환경을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 조도 센서, 습도 센서, 및 가스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 측정 센서를 더 구비하고, 각 환경 측정 센서로부터 측정된 환경 정보데이터를 수집하여 외부의 단말 또는 상기 중앙관제서버에 주기적으로 무선 전송할 수 있다.Preferably, the IoT gateway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environmental measurement sensor for measuring the environment in the ship, the ambient temperature sensor, the ambient light sensor, the humidity sensor, and the gas sensor, Data can be collected and periodically wirelessly transmitted to an external terminal or the central control server.
바람직하게, 상기 IoT 게이트웨이 장치는, 상기 선박내에 위치된 각 IoT 스마트 단말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각 IoT 스마트 단말로부터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 및 객체식별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도록 연결시켜주는 IoT 스마트 단말 연결모듈; 상기 IoT 스마트 단말 연결모듈로부터 수신되는 각 IoT 스마트 단말에 대한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 및 객체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암호화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각 IoT 스마트 단말에 대한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 및 객체식별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를 저장 및 전송하는 데이터 처리모듈; 및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로부터 암호화되어 전송된 각 IoT 스마트 단말에 대한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 및 객체식별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를 제공받아 상기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단말 또는 상기 중앙관제서버로 전송될 수 있도록 연결시켜주는 응용서비스 연결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IoT gateway device is wirelessly connected to each IoT smart terminal located in the ship so that it can receive uniqu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bject from each IoT smart terminal IoT smart terminal connection module for connection; The IoT smart terminal connection module receives uniqu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bject for each IoT smart terminal received from the IoT smart terminal connection module and encrypts the receive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data processing module for storing and transmitting a decryption key capable of decrypting uniqu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erminal position information of an object; And a decryption key capable of decrypting uniqu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bject for each IoT smart terminal encrypted and transmitted from the data processing module, Or an application service connection module for connecting the application service connection module to be connected to the central control server.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은, 상기 IoT 스마트 단말 연결모듈로부터 수신되는 각 IoT 스마트 단말에 대한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 및 객체식별정보를 각 IoT 스마트 단말에 대한 정보데이터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비트율로 인코딩된 채널을 통해 메타데이터를 부여하고 이를 암호화하여 상기 응용서비스 연결모듈로 전송할 수 있다.Preferably, the data processing module transmits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unique to each IoT smart terminal received from the IoT smart terminal connection module to the IoT smart terminal, The metadata can be given through a channel encoded with different bit rates according to the type and size of the application service, and the metadata can be encrypted and transmitted to the application service connection module.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의 제어에 따라 각 IoT 스마트 단말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와 대응되는 각 객체의 고유한 객체식별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단말/객체식별정보 DB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a terminal /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for storing and managing 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unique to each object corresponding to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unique to each IoT smart terminal under the control of the data processing module, .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은, 상기 IoT 스마트 단말 연결모듈로부터 수신되는 각 IoT 스마트 단말에 대한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 및 객체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상기 단말/객체식별정보 DB에 미리 저장된 각 IoT 스마트 단말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와 대응되는 각 객체의 고유한 객체식별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 상기 IoT 스마트 단말 연결모듈로부터 수신되는 각 IoT 스마트 단말에 대한 정보데이터를 데이터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채널별로 분리한 후, 서로 다른 비트율을 갖도록 병렬로 인코딩된 각 채널을 통해 메타데이터를 부여하고 이를 암호화하여 상기 응용서비스 연결모듈로 전송할 수 있다.Preferably, the data processing module receives uniqu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bject for each IoT smart terminal received from the IoT smart terminal connection module, The information about the IoT smart terminals received from the IoT smart terminal connection module is compared with the uniqu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object corresponding to the uniqu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IoT smart terminal stored in advance in the information DB, May be divided into channels according to the type and size of data, and metadata may be assigned through each channel encoded in parallel so as to have different bit rates, and the metadata may be encrypted and transmitted to the application service connection module.
바람직하게, 상기 단말/객체식별정보 DB에 접근하는 쿼리를 감시하고, 불법적인 DB 접근에 대하여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DB 접근제어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DB access control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DB access control module for monitoring a query for accessing the terminal /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and for blocking an illegal DB access.
바람직하게, 상기 DB 접근제어모듈은, 상기 단말/객체식별정보 DB에 접근하는 쿼리 정보를 감시하는 DB 접근감시부; 상기 DB 접근감시부로부터 감시된 쿼리 정보를 분석하여 데이터 접근명령어들을 확인한 후, 상기 확인된 데이터 접근명령어들과 별도의 블랙리스트 DB에 미리 저장된 불법적인 접근명령어의 일치여부에 따라 해당 쿼리에 대한 해당 단말/객체식별정보 DB의 데이터 접근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DB 접근차단부; 및 상기 DB 접근감시부 및 상기 DB 접근차단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DB 접근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DB access control module includes: a DB access monitoring unit for monitoring query information for accessing the terminal /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The DB access monitoring unit analyzes the query information monitored by the DB access monitoring unit to check the data access commands and checks whether or not the data access commands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query are stored in the black list DB, A DB access blocking unit for allowing or blocking data access of the terminal /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And a DB access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DB access monitoring unit and the DB access blocking unit.
바람직하게, 상기 DB 접근차단부는, 상기 블랙리스트 DB에 상기 확인된 데이터 접근명령어와 일치하는 불법적인 데이터 접근명령어가 존재할 경우, 상기 DB 접근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해당 데이터 접근명령어에 대응되는 쿼리에 미리 설정된 특정코드를 부여하고, 상기 특정코드가 부여된 쿼리를 삭제함과 아울러 해당 접근 사용자 정보와 접근 IP 주소정보를 상기 블랙리스트 DB에 저장하여 블랙리스트 정보가 업데이트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re is an unauthorized data access command matching the identified data access command in the black list DB, the DB access blocking unit controls the access to the data corresponding to the data access comman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DB access control unit The set specific code is given, the query to which the specific code is assigned is deleted, and the access user information and the access IP address information are stored in the blacklist DB so that the blacklist information is updated.
바람직하게, 상기 블랙리스트 DB에 미리 저장된 불법적인 데이터 접근명령어는, 불법적인 데이터 생성 명령어, 불법적인 데이터 수정 명령어, 및 불법적인 데이터 삭제 명령어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명령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Preferably, the illegal data access command stored in advance in the blacklist DB may be a command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an illegal data creation command, an illegal data modification command, and an illegal data deletion command.
바람직하게, 상기 DB 접근제어부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 또는 서버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고유식별정보와 함께 상기 단말/객체식별정보 DB 접근 요청을 위한 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분석하여 사용자 고유식별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사용자 고유식별정보와 별도의 사용자정보 DB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고유식별정보의 일치여부에 따라 별도의 사용권한 DB에 미리 저장된 해당 사용자 고유식별정보의 사용자 접근권한 레벨에 대응되는 특정 액세스 키를 해당 사용자 단말 또는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Preferably, the DB access control unit receives a message for requesting access to the terminal /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together with use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user terminal or a server, analyzes the received message to extract use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specific access key corresponding to a user access right level of the corresponding use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in a separate license DB according to whether the extracted use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dentical to the use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a separate user information DB To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or server.
바람직하게, 상기 DB 접근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서버로부터 전송된 특정 액세스 키와 함께 상기 단말/객체식별정보 DB에 저장된 데이터 접근을 위한 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분석하여 특정 액세스 키를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특정 액세스 키와 상기 사용권한 DB에 미리 저장된 특정 액세스 키의 일치여부에 따라 상기 단말/객체식별정보 DB의 데이터 접근이 허용 또는 차단되도록 상기 DB 접근차단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Preferably, the DB access control unit receives a message for accessing data stored in the terminal /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together with the specific access key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or the server, analyzes the received message to extract a specific access key,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B access blocking unit such that data access of the terminal /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is permitted or blocked according to whether the extracted specific access key matches a specific access key previously stored in the DB.
바람직하게, 상기 DB 접근제어부는, 상기 사용권한 DB에 상기 추출된 특정 액세스 키와 일치하는 특정 액세스 키가 존재할 경우, 해당 특정 액세스 키에 부여된 사용자 접근권한 레벨에 따라 상기 단말/객체식별정보 DB에 저장된 데이터 접근이 허용되도록 상기 DB 접근차단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Preferably, the DB access control unit, when there is a specific access key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specific access key in the usage right DB, searches the terminal /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according to a level of the user access right given to the specific access key The DB access blocking unit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B access blocking unit such that data accesses stored in the DB access blocking unit are allowed.
바람직하게, 상기 DB 접근제어부는, 해당 특정 액세스 키에 부여된 사용자 접근권한 레벨에 따라 상기 단말/객체식별정보 DB에 저장된 데이터 접근을 허용한 후 데이터 액세스 결과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데이터 액세스 결과정보와 별도의 보안정책 DB에 미리 저장된 불법적인 데이터 액세스 결과정보의 일치여부에 따라 해당 특정 액세스 키에 의한 해당 단말/객체식별정보 DB의 데이터 재접근이 허용 또는 차단되도록 상기 DB 접근차단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Preferably, the DB access control unit permits data access stored in the terminal /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according to a level of a user access right given to the specific access key, and then checks data access result information in real time, In accordance with whether the data access result information and the illegitimate data access result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in the security policy database match with each other or not, The operation of the subordinate can be controlled.
바람직하게, 상기 DB 접근제어부는, 상기 보안정책 DB에 상기 확인된 데이터 액세스 결과정보와 일치하는 불법적인 데이터 액세스 결과정보가 존재할 경우, 상기 확인된 데이터 액세스 결과정보에 해당하는 단말/객체식별정보 DB의 데이터를 삭제한 후, 별도의 백업 단말/객체식별정보 DB를 이용하여 상기 삭제된 단말/객체식별정보 DB의 데이터를 불법적인 데이터 액세스 이전의 데이터로 복원함과 아울러 해당 특정 액세스 키에 의한 해당 단말/객체식별정보 DB의 데이터 재접근이 차단되도록 별도의 사용자정보 DB에 저장된 해당 특정 액세스 키에 대응되는 사용자 고유식별정보의 사용자 접근권한 레벨을 삭제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re is illegal data access result information matching the confirmed data access result information in the security policy DB, the DB access control unit may include a terminal /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corresponding to the confirmed data access result information,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to restore the data of the deleted terminal /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to the data before the illegal data access, and to delete the data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specific access key It is possible to delete a user access right level of the use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ccess key stored in the separate user information DB so that the data re-access of the terminal /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is blocked.
바람직하게, 상기 보안정책 DB에 미리 저장된 불법적인 데이터 액세스 결과정보는, 불법적인 데이터 생성, 불법적인 데이터 수정, 및 불법적인 데이터 삭제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데이터 액세스 결과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illegal data access result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in the security policy DB may be data access resul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illegal data generation, illegal data modification, and illegal data deletion.
바람직하게, 상기 DB 접근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서버를 통해 해당 사용자 고유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관리자에 의해 부여된 상기 단말/객체식별정보 DB에 대한 사용자 접근권한 레벨과 함께 상기 사용자정보 DB에 사용자 고유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Preferably, the DB access control unit receives the user'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terminal or the server, and based on the received user specif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for each user'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DB.
바람직하게, 상기 DB 접근제어부는, 상기 단말/객체식별정보 DB에 대한 사용자 접근권한 레벨에 따라 상기 단말/객체식별정보 DB에 접근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액세스 키를 사용자 접근권한 레벨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Preferably, the DB access control unit includes at least one specific access key accessible to the terminal /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according to one level of user access right to the terminal /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And can be controlled to be stored.
바람직하게, 상기 DB 접근제어부는, 상기 단말/객체식별정보 DB에 저장된 데이터를 별도의 백업 단말/객체식별정보 DB에 주기적으로 백업 저장되도록 관리할 수 있다.Preferably, the DB access control unit may manage data stored in the terminal /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to be backed up periodically in a separate backup terminal /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은, 상기 암호화된 각 IoT 스마트 단말에 대한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 및 객체식별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를 별도의 단말/객체식별정보 DB에 각 IoT 스마트 단말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Preferably, the data processing module further comprises a decryption key capable of decrypting the uniqu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bject for each encrypted IoT smart terminal, DBs can be controlled to be stored and managed in a database (DB) for each IoT smart terminal in the DB.
바람직하게, 상기 응용서비스 연결모듈은,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과 연동하여 외부의 클라이언트 단말의 요청에 응답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상기 단말/객체식별정보 DB에 저장되는 각 IoT 스마트 단말에 대한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 및 객체식별정보를 실시간으로 등록, 검색 및 식별하여 해당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Preferably, the application service connection module provides a cloud computing service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an external client terminal in cooperation with the data processing module, and the I / It is possible to register, search and identify real-tim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bject with respect to the smart terminal, and to provide the client member login cloud web service to be displayed on the corresponding display screen.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은, 상기 암호화된 각 IoT 스마트 단말에 대한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 및 객체식별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상기 응용서비스 연결모듈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Preferably, the data processing module further comprises a decryption key for decrypting the uniqu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bject for each encrypted IoT smart terminal, through the application service connection module To be transmitted to the client terminal.
바람직하게, 상기 응용서비스 연결모듈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상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객체식별정보 DB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각 IoT 스마트 단말에 대한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 및 객체식별정보를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등록, 검색 및 식별하여 해당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Preferably, the application service connection module transmits the client member login information to the client terminal through the client terminal, using the transmitted decryption key together with the corresponding client member login information, to decrypt each of the objects for each IoT smart terminal encrypted and stored in the terminal / It is possible to decode the uniqu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to register, search and identify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to provide the client member login cloud web service to be displayed on the corresponding display screen.
바람직하게, 상기 응용서비스 연결모듈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상기 단말/객체식별정보 DB에 저장된 각 IoT 스마트 단말에 대한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 및 객체식별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Preferably, the application service connection module decodes the uniqu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bject for each IoT smart terminal stored in the terminal /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through the client terminal You can provide a cloud web service to download the decryption key.
바람직하게, 상기 응용서비스 연결모듈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상기 단말/객체식별정보 DB에 저장되는 각 IoT 스마트 단말에 대한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 및 객체식별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를 실시간 등록, 검색 및 식별하여 해당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관련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Preferably, the application service connection module decrypts the uniqu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bject for each IoT smart terminal stored in the terminal /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through the client terminal A cloud-based web service can be provided so that a gateway-related cloud application that can register, search, and identify a decryption key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in real time can be downloaded.
바람직하게, 상기 응용서비스 연결모듈은, 상기 암호화된 각 IoT 스마트 단말에 대한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 및 객체식별정보가 외부의 클라이언트 단말의 요청에 응답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부의 클라우드 서버에 주기적으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Preferably, the application service connection module includes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unique to each IoT smart terminal, together with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IoT smart terminals,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an external client terminal. The service can be provided to be periodically transmitted to an external cloud server provided.
바람직하게, 각 IoT 스마트 단말에 대한 고유한 단말식별정보는, IoT 스마트 단말의 이름, IoT 스마트 단말의 비밀번호, IoT 스마트 단말의 일련번호, IoT 스마트 단말의 종류, IoT 스마트 단말의 제조회사, IoT 스마트 단말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IoT 스마트 단말의 고유 IP(Internet Protocol) 주소, IoT 스마트 단말의 모델 및 IoT 스마트 단말의 버전, IoT 스마트 단말의 비밀키 또는 PKI 기반의 개인키에 의해 생성된 IoT 스마트 단말의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uniqu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IoT smart terminal includes at least one of a name of the IoT smart terminal, a password of the IoT smart terminal, a serial number of the IoT smart terminal, a type of the IoT smart terminal, a manufacturer of the IoT smart terminal, (IP) address of the IoT smart terminal, a model of the IoT smart terminal, a version of the IoT smart terminal, a secret key of the IoT smart terminal, or a PKI-based private key And at least one of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smart terminal.
바람직하게, 각 IoT 스마트 단말에 대한 고유한 객체식별정보는, 객체의 이름, 객체의 비밀번호, 객체의 주민번호, 객체의 전화번호, 객체의 주소, 객체의 생체특징정보, 객체의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객체의 OTP(One Time Password), 객체의 공인 인증서 정보, 객체의 일련번호, 객체의 종류, 객체의 제조회사, 객체의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unique to each IoT smart terminal includes at least one of a name of an object, a password of an object, a resident number of the object, a telephone number of the object, an address of the object, biometric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object, (OTP) of the object, authorized certificate information of the object, serial number of the object, kind of the object, manufacturer of the object,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상기 IoT 게이트웨이 장치에 구비된 각 환경 측정 센서로부터 수집 및 전송된 해당 선박내의 환경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환경 측정 센서별로 환경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함과 아울러 관리자가 해당 선박내의 환경을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entral control server receives environment information data in the corresponding vessel collected and transmitted from each environmental measurement sensor provided in the IOT gateway apparatus, and based on the environment information, environmental information is DB And visually display on the display screen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 monitor the environment in the ship in real time.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상기 통신망 및 상기 IoT 게이트웨이 장치를 통해 각 IoT 스마트 단말로부터 전송된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 및 객체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객체의 관계를 분석하여 각 객체의 이동경로 추정 및 머문 시간을 계산함과 아울러 각 객체의 이동 패턴과 공간별 특성을 반영하여 온톨로지 기반의 상황인지 모델링을 통해 상황을 추론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entral control server receives uniqu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bject transmitted from each IoT smart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IoT gateway device, ,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rvice for inferring the situation through ontology-based context-aware modeling by calculating movement path estimation and stay time of each object, reflecting the movement pattern of each object and characteristics of each space.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상기 통신망 및 상기 IoT 게이트웨이 장치를 통해 각 IoT 스마트 단말로부터 전송된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선박내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미리 저장된 해상의 위치정보를 미리 저장된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맵(Map)과 매칭하여 관리자가 정확하게 각 객체의 단말위치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entral control server receives uniqu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bject transmitted from each IoT smart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IoT gateway device, Th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pre-stored maritime position information are matched with a previously stored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map so that the manager can visually display on the display screen so that the terminal position of each object can be accurately monitored.
바람직하게, 상기 선박의 조난 시 해당 선박의 조난자를 구조하기 위한 이동수단에 장착되며, 각 IoT 스마트 단말 또는 상기 IoT 게이트웨이 장치로부터 무선 전송된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 또는 생체신호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객체의 단말위치 또는 생체신호를 미리 저장된 지도에 매칭하여 구조자가 정확하고 간편하게 각 객체의 단말위치 또는 생체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수색용 스캐너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oT smart terminal or the IoT gatew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terminal position information or bio-signal information of each object wirelessly transmitted from each IoT smart terminal or the IoT gateway device, The terminal position or the bio-signal of each object is matched to a pre-stored map based on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search is displayed visually on the display screen so that the resident can accurately and easily monitor the terminal position or bio- And may further include a scanne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통신망을 이용한 선박내 IoT 스마트 단말의 모니터링 시스템에 따르면, 선박내의 선원, 승선자 또는 화물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장착된 IoT 스마트 단말로부터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를 무선으로 외부의 단말, 서버 또는 수색용 스캐너에 전송하여 관리자 또는 구조자가 정확하고 신속하게 각 객체의 단말위치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미리 저장된 지도 정보와 함께 시각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선박 사고 발생 시 신속하고 정확하게 선원 또는 승선자들을 구조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monitoring system of the in-vessel IoT smart terminal us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erminal position information of each object can be transmitted from the IoT smart terminal mounted on at least one of the source, To the external terminal, the server or the search scanner so that the manager or the rescuer can visually display the map information pre-stored on the display screen so that the manager or the rescuer can accurately and quickly monitor the terminal position of each object, And it is advantageous to minimize the damage of the person by rescuing the crew or the passengers accurate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한 선박내 IoT 스마트 단말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IoT 스마트 단말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IoT 스마트 단말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IoT 스마트 단말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IoT 게이트웨이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IoT 게이트웨이 장치의 DB 접근제어모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사용자 단말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nitoring system of an IoT smart terminal in a ship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oT smart terminal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IoT smart terminal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IoT smart terminal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OT gatew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FIG.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B access control module of an IOT gatew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FIG.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user terminal and / or a client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describing in detail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which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Also, in certain cases, there may be a term selected arbitrarily by the applicant, in which case the meaning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not on the name of a simple term, but on the entir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 including " an elem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the terms " part, " " module, " and the lik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units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follow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Each block of the accompanying block diagrams and combinations of steps of the flowcharts may be perform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execution engines), which may be stored in a general-purpose computer, special purpose computer, or other processor of a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apparatus The instructions that are executed through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will generate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r flowchart of the block diagram.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stored in a computer usable or computer readable memory capable of directing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apparatus to implement the functionality in a particular manner so that the computer usable or computer readable memory It is also possible for the instructions stored in the block diagram to produce an article of manufacture containing instruction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r flowchart of the flowchart.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loaded onto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o that a series of operating steps may be perform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create a computer-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instructions that perform the data processing equipment are capable of providing the steps for execut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and at each step of the flowchart.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Also, each block or step may represent a portion of a module, segment, or code that includes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the specified logical functions, and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It should be noted that functions may occur out of order. For example, two successive blocks or steps may actually be perform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and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blocks or steps ar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of the function as nee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한 선박내 IoT 스마트 단말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IoT 스마트 단말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IoT 스마트 단말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IoT 스마트 단말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IoT 게이트웨이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IoT 게이트웨이 장치의 DB 접근제어모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사용자 단말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FIG. 1 is an overall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nitoring system of an IoT smart terminal in a ship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IoT smart terminal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IoT smart terminal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lock diagram of a IoT smart terminal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oT gatew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block diagram of a IoT gatew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B access contro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한 선박내 IoT 스마트 단말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크게 적어도 하나의 IoT 스마트 단말(100-1 내지 100-N), IoT 게이트웨이 장치(200), 및 중앙관제서버(30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한 선박내 IoT 스마트 단말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수색용 스캐너(400), 클라우드 서버(500)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한 선박내 IoT 스마트 단말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1 to 7, the IoT smart terminal monitoring system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IoT smart terminal 100-1 to 100-N, (200), a central control server (300),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IoT smart terminal monitoring system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한 선박내 IoT 스마트 단말의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of the monitoring system of the in-vessel IoT smart terminal us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각 IoT 스마트 단말(100-1 내지 100-N)은 선박내의 선원, 승선자 또는 화물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장착되어 있으며,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 및/또는 객체식별정보를 무선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Each of the IoT smart terminals 100-1 to 100-N is mounted on at least one object of a ship, a ship or a cargo in the ship. In addition to terminal position information of each object, unique I / And performs wireless transmission of information.
일 예로, 각 IoT 스마트 단말(100-1 내지 100-N)이 선원에 장착될 경우, 해당 선원의 손목에 착용하는 선원용 스마트 밴드형 단말(100a)로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when each of the IoT smart terminals 100-1 to 100-N is mounted on a crew, it may be formed of a crew
즉, 선원용 스마트 밴드형 단말(100a)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밴드형 단말 본체부(110a), 생체정보수집부(120a), 밴드위치 정보획득부(130a), 밴드형 단말 디스플레이부(140a), 밴드형 단말 무선통신부(150a), 밴드형 단말 제어부(160a), 및 밴드형 단말 전원공급부(170a)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선원용 스마트 밴드형 단말(100a)은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2, the source smart-
여기서, 밴드형 단말 본체부(110a)는 통상의 휴대용 스마트 밴드(Smart band) 형태로서, 해당 선원의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비된 형태로 구현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band-shaped terminal
생체정보수집부(120a)는 밴드형 단말 본체부(110a)의 내부 또는 일측에 구비되어 있으며, 해당 선원의 생체신호 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biometric
이러한 생체정보수집부(120a)는 예컨대, 해당 선원의 심박 수를 측정하기 위한 심박측정 센서(120a-1)와, 해당 선원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체온측정 센서(120a-2) 등을 포함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해당 선원의 생체신호(예컨대, PPG, GSR, SKT, ECG 신호 등)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라면 어느 것이든 적용 가능하다.The
밴드위치 정보획득부(130a)는 밴드형 단말 본체부(110a)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선박내의 근거리 무선 신호 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의 위치정보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의 밴드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band position
이때, 상기 근거리 무선 신호는 예컨대, 비콘(beacon) 신호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UWB(Ultra Wideband)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또는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 등에서 발생하는 무선 신호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short-range wireless signal may be a beacon signal,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Bluetooth communication, ZigBee communication, UWB (Ultra Wideband) Identification (ID) communication, or infrared (IrDA) communication.
밴드형 단말 디스플레이부(140a)는 밴드형 단말 본체부(110a)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으며, IoT 게이트웨이 장치(200)를 통해 외부의 단말(예컨대, 후술하는 사용자 단말(20), 클라이언트 단말(30) 또는 수색용 스캐너(400) 등) 및/또는 외부의 서버(예컨대, 중앙관제서버(300) 또는 클라우드 서버(500) 등)로부터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band-type
예컨대, 밴드형 단말 디스플레이부(140a)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Light Emitting Diode, LE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표면 얼터네이트 라이팅(ALiS), 디지털 광원 처리(DLP), 실리콘 액정(LCoS), 표면 전도형 전자방출소자 디스플레이(SED), 전계방출 디스플레이(FED), 광유전성 액체 디스플레이(FLD), 양자점 디스플레이(QD-LED), 또는 유기발광 트랜지스터(OLET)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숫자, 문자 또는 도형 등을 디스플레이(Display)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band-type
밴드형 단말 무선통신부(150a)는 밴드형 단말 본체부(110a)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생체정보수집부(120a)로부터 수집된 해당 선원의 생체신호 정보와 밴드위치 정보획득부(130a)로부터 획득된 현재의 밴드위치 정보를 IoT 게이트웨이 장치(200)로 무선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band-type terminal
밴드형 단말 제어부(160a)는 선원용 스마트 밴드형 단말(100a)의 전체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바, 밴드형 단말 본체부(110a)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특히 밴드형 단말 무선통신부(150a)를 통해 외부의 단말(20, 30, 400) 및/또는 외부의 서버(300, 500)로부터 문자 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밴드형 단말 디스플레이부(140a)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band type
또한, 밴드형 단말 제어부(160a)는 생체정보수집부(120a)로부터 수집된 해당 선원의 생체신호 정보 및 밴드위치 정보획득부(130a)로부터 획득된 현재의 밴드위치 정보와 함께 기 설정된 고유한 단말식별정보가 밴드형 단말 무선통신부(150a) 및 IoT 게이트웨이 장치(200)를 통해 외부의 단말(20, 30, 400) 및/또는 외부의 서버(300, 500)에 주기적으로 무선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band-type
밴드형 단말 전원공급부(170a)는 밴드형 단말 본체부(110a)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전술한 각 부들 예컨대, 생체정보수집부(120a), 밴드위치 정보획득부(130a), 밴드형 단말 디스플레이부(140a), 밴드형 단말 무선통신부(150a), 및 밴드형 단말 제어부(160a)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충전 가능한 통상의 휴대용 배터리(Battery)로 구현됨이 바람직하다.The band-type terminal
다른 예로, 각 IoT 스마트 단말(100-1 내지 100-N)이 승선자에 장착될 경우, 해당 승선자의 옷에 부착하거나 목걸이 형태의 승선자용 스마트 태그형 단말(100b)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IoT smart terminals 100-1 to 100-N are mounted on the boarding passenger, they may be attached to the clothes of the boarding passenger or may be formed of a smart
즉, 승선자용 스마트 태그형 단말(100b)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본체부(110b), 승선자 태그위치 정보획득부(120b),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디스플레이부(130b),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긴급 신호발생부(140b),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무선통신부(150b),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제어부(160b), 및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전원공급부(170b)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따른 승선자용 스마트 태그형 단말(100b)은 승선자 움직임 감지부(180b)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승선자용 스마트 태그형 단말(100b)은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3, the Smart Tag terminal 100b for a passenger is mainly composed of a tagged
여기서,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본체부(110b)는 해당 승선자의 옷에 부착하거나 목걸이 형태로 착용 가능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해당 승선자의 신체 또는 물건 등에 휴대용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Here, the tag-
승선자 태그위치 정보획득부(120b)는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본체부(110b)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선박내의 근거리 무선 신호(바람직하게, 비콘(beacon) 신호 등) 또는 GPS 위성의 위치정보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의 승선자 태그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passenger tag location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디스플레이부(130b)는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본체부(110b)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으며, IoT 게이트웨이 장치(200)를 통해 외부의 단말(20, 30, 400) 및/또는 외부의 서버(300, 500)로부터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tag type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긴급 신호발생부(140b)는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본체부(110b)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으며, 긴급 상황 시 응급 버튼(B)의 누름동작에 따라 긴급 호출신호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tag type terminal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무선통신부(150b)는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본체부(110b)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승선자 태그위치 정보획득부(120b)로부터 획득된 현재의 승선자 태그위치 정보를 외부의 단말(20, 30, 400) 및/또는 IoT 게이트웨이 장치(200)로 무선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passenger tag type terminal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제어부(160b)는 승선자용 스마트 태그형 단말(100b)의 전체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바,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본체부(110b)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특히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무선통신부(150b)를 통해 외부의 단말(20, 30, 400) 및/또는 외부의 서버(300, 500)로부터 문자 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디스플레이부(130b)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tag type
또한,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제어부(160b)는 승선자 태그위치 정보획득부(120b)로부터 획득된 현재의 승선자 태그위치 정보와 함께 기 설정된 고유한 단말식별정보가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무선통신부(150b) 및 IoT 게이트웨이 장치(200)를 통해 외부의 단말(20, 30, 400) 및/또는 외부의 서버(300, 500)로 무선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passenger tag type
또한,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제어부(160b)는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긴급 신호발생부(140b)로부터 발생된 긴급 호출신호를 제공받아 미리 저장된 긴급 호출메시지와 함께 현재의 승선자 태그위치 정보 및 고유한 단말식별정보가 외부의 단말(20, 30, 400) 및/또는 외부의 서버(300, 500)에 주기적으로 무선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tagged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전원공급부(170b)는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본체부(110b)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전술한 각 부들 예컨대, 승선자 태그위치 정보획득부(120b),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디스플레이부(130b),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긴급 신호발생부(140b),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무선통신부(150b),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제어부(160b), 및 승선자 움직임 감지부(180b)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충전 가능한 통상의 휴대용 배터리(Battery)로 구현됨이 바람직하다.The tag type terminal
그리고, 승선자 움직임 감지부(180b)는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본체부(110b)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자이로 센서(Gyro Sensor) 또는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해당 승선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passenger's
이때,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제어부(160b)는 승선자 움직임 감지부(180b)로부터 감지된 해당 승선자의 움직임 감지정보를 제공받아 이와 함께 현재의 승선자 태그위치 정보 및 고유한 단말식별정보가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무선통신부(150b) 및 IoT 게이트웨이 장치(200)를 통해 외부의 단말(20, 30, 400) 및/또는 외부의 서버(300, 500)로 무선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agged
또 다른 예로, 각 IoT 스마트 단말(100-1 내지 100-N)이 화물 또는 구명보트(예컨대, 구명정 또는 구명벌 등)에 장착될 경우, 해당 화물 또는 구명보트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형태의 화물용 스마트 태그형 단말(100c)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each of the IoT smart terminals 100-1 to 100-N is mounted on a cargo or lifeboat (for example, a lifeboat or life jacket), the cargo or lifeboat is detachably mounted on one side of the lifeboat And a smart
즉, 화물용 스마트 태그형 단말(100c)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화물용 태그형 단말 본체부(110c), 화물 태그위치 정보획득부(120c), 화물용 태그형 단말 긴급 신호발생부(130c), 화물용 태그형 단말 무선통신부(140c), 화물용 태그형 단말 제어부(150c), 및 화물용 태그형 단말 전원공급부(160c)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따른 화물용 스마트 태그형 단말(100c)은 화물용 태그형 단말 디스플레이부(170c)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화물용 스마트 태그형 단말(100c)은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4, the cargo smart
여기서, 화물용 태그형 단말 본체부(110c)는 해당 화물 또는 구명보트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tagged
화물 태그위치 정보획득부(120c)는 화물용 태그형 단말 본체부(110c)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선박내의 근거리 무선 신호(바람직하게, 비콘(beacon) 신호 등) 또는 GPS 위성의 위치정보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의 화물 태그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argo tag position
화물용 태그형 단말 긴급 신호발생부(130c)는 화물용 태그형 단말 본체부(110c)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으며, 긴급 상황 시 응급 버튼(B)의 누름동작에 따라 긴급 호출신호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tag type terminal emergency signal generator for
화물용 태그형 단말 무선통신부(140c)는 화물용 태그형 단말 본체부(110c)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화물 태그위치 정보획득부(120c)로부터 획득된 현재의 화물 태그위치 정보를 외부의 단말(20, 30, 400) 및/또는 IoT 게이트웨이 장치(200)로 무선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argo tag type terminal
화물용 태그형 단말 제어부(150c)는 화물용 스마트 태그형 단말(100c)의 전체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바, 화물용 태그형 단말 본체부(110c)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특히 화물 태그위치 정보획득부(120c)로부터 획득된 현재의 화물 태그위치 정보와 함께 기 설정된 고유한 단말식별정보가 화물용 태그형 단말 무선통신부(140c) 및 IoT 게이트웨이 장치(200)를 통해 외부의 단말(20, 30, 400) 및/또는 외부의 서버(300, 500)로 무선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tag type terminal control unit for
또한, 화물용 태그형 단말 제어부(150c)는 화물용 태그형 단말 긴급 신호발생부(130c)로부터 발생된 긴급 호출신호를 제공받아 미리 저장된 긴급 호출메시지와 함께 현재의 화물 태그위치 정보 및 고유한 단말식별정보가 외부의 단말(20, 30, 400) 및/또는 외부의 서버(300, 500)에 주기적으로 무선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cargo
화물용 태그형 단말 전원공급부(160c)는 화물용 태그형 단말 본체부(110c)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전술한 각 부들 예컨대, 화물 태그위치 정보획득부(120c), 화물용 태그형 단말 긴급 신호발생부(130c), 화물용 태그형 단말 무선통신부(140c), 화물용 태그형 단말 제어부(150c), 및 화물용 태그형 단말 디스플레이부(170c)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화물용 태그형 단말 전원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tag-type
그리고, 화물용 태그형 단말 디스플레이부(170c)는 화물용 태그형 단말 본체부(110c)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으며, IoT 게이트웨이 장치(200)를 통해 외부의 단말(20, 30, 400) 및/또는 외부의 서버(300, 500)로부터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tag type
이때, 화물용 태그형 단말 제어부(150c)는 화물용 태그형 단말 무선통신부(140c)를 통해 외부의 단말(20, 30, 400) 및/또는 외부의 서버(300, 500)로부터 문자 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화물용 태그형 단말 디스플레이부(170c)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argo tag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각 IoT 스마트 단말(100-1 내지 100-N)은 예컨대, 저전력 장거리 통신(Low Power Wide Area Network, LPWAN)(바람직하게, 로라(LoRa : Long Range) 등)을 이용하여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를 IoT 게이트웨이 장치(200) 및/또는 후술하는 수색용 스캐너(400)에 실시간으로 무선 전송함이 바람직하다.Each of the IoT smart terminals 100-1 to 100-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nnected to each of the IoT smart terminals 100-1 to 100-N using, for example, a low power wide area network (LPWAN) (preferably, a LoRa It is preferable that the uniqu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is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그리고, IoT 게이트웨이 장치(200)는 선박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각 IoT 스마트 단말(100-1 내지 100-N)로부터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IoT 스마트 단말(100-1 내지 100-N)의 접속인증 승인여부에 따라 통신망(10)을 통해 외부 예컨대, 외부의 단말(20, 30, 400) 및/또는 외부의 서버(300, 500)로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또한, IoT 게이트웨이 장치(200)는 해당 선박내의 환경을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 조도 센서, 습도 센서, 및 가스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 측정 센서(S-1 내지 S-N)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각 환경 측정 센서(S-1 내지 S-N)로부터 측정된 환경 정보데이터를 수집하여 외부의 단말(20, 30, 400) 및/또는 외부의 서버(300, 500)에 주기적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무선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이러한 IoT 게이트웨이 장치(2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IoT 스마트 단말 연결모듈(210), 데이터 처리모듈(220), 및 응용서비스 연결모듈(23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IoT 게이트웨이 장치(200)는 단말/객체식별정보 DB(240), DB 접근제어모듈(250)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IoT 게이트웨이 장치(200)는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5 and 6, the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IoT 게이트웨이 장치(200)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of the
IoT 스마트 단말 연결모듈(210)은 선박내에 위치된 각 IoT 스마트 단말(100-1 내지 100-N)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각 IoT 스마트 단말(100-1 내지 100-N)로부터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 및/또는 객체식별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도록 연결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IoT smart
데이터 처리모듈(220)은 IoT 스마트 단말 연결모듈(210)로부터 수신되는 각 IoT 스마트 단말(100-1 내지 100-N)에 대한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 및/또는 객체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암호화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각 IoT 스마트 단말(100-1 내지 100-N)에 대한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 및/또는 객체식별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를 저장 및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또한, 데이터 처리모듈(220)은 IoT 스마트 단말 연결모듈(210)로부터 수신되는 각 IoT 스마트 단말(100-1 내지 100-N)에 대한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 및/또는 객체식별정보를 각 IoT 스마트 단말(100-1 내지 100-N)에 대한 정보데이터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비트율로 인코딩된 채널을 통해 메타데이터를 부여하고 이를 암호화하여 응용서비스 연결모듈(23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데이터 처리모듈(220)은 IoT 스마트 단말 연결모듈(210)로부터 수신되는 각 IoT 스마트 단말(100-1 내지 100-N)에 대한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 및/또는 객체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별도의 단말/객체식별정보 DB(240)에 미리 저장된 각 IoT 스마트 단말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와 대응되는 각 객체의 고유한 객체식별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 IoT 스마트 단말 연결모듈(210)로부터 수신되는 각 IoT 스마트 단말(100-1 내지 100-N)에 대한 정보데이터를 데이터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채널별로 분리한 후, 서로 다른 비트율을 갖도록 병렬로 인코딩된 각 채널을 통해 메타데이터를 부여하고 이를 암호화하여 응용서비스 연결모듈(21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데이터 처리모듈(220)은 상기 암호화된 각 IoT 스마트 단말(100-1 내지 100-N)에 대한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 및/또는 객체식별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를 별도의 단말/객체식별정보 DB(240)에 각 IoT 스마트 단말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데이터 처리모듈(220)은 상기 암호화된 각 IoT 스마트 단말(100-1 내지 100-N)에 대한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 및/또는 객체식별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응용서비스 연결모듈(230)을 통해 외부의 단말(예컨대, 후술하는 사용자 단말(20), 클라이언트 단말(30), 또는 수색용 스캐너(400) 등)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응용서비스 연결모듈(230)은 데이터 처리모듈(220)로부터 암호화되어 전송된 각 IoT 스마트 단말(100-1 내지 100-N)에 대한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 및/또는 객체식별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를 제공받아 통신망(10)을 통해 외부의 단말(20, 30, 400) 및/또는 외부의 서버(300, 500)로 전송될 수 있도록 연결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application
이때, 통신망(10)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와이파이(WiFi), 와이기그(WiGig),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등을 포함하는 차세대 무선 통신망일 수 있다.The
상기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 등을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하며, 응용서비스 연결모듈(200)이 외부의 단말(20, 30, 400) 및/또는 외부의 서버(300, 500)에 접속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인터넷은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일 수도 있고, 이외에도 유선 공중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망 일 수도 있다.The Internet includes a plurality of services such as HTTP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ile Transfer Protocol (FTP), Domain Name System (DNS),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MTP) Refers to a worldwide open computer network structure that provides a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 a Network File Service (NFS), and a Network Information Service (NIS), and the application
만약, 통신망(10)이 이동 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상기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이동 통신망은 예컨대, RNC(Radio Network Controll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5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 망일 수 있다. 이러한 통신망(10)은 응용서비스 연결모듈(230)과 외부의 단말(20, 30, 400) 및/또는 외부의 서버(300, 500)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If the
또한, 응용서비스 연결모듈(230)은 데이터 처리모듈(220)과 연동하여 외부의 단말(20, 30, 400)의 요청에 응답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며, 외부의 단말(20, 30, 400)을 통해 단말/객체식별정보 DB(240)에 저장되는 각 IoT 스마트 단말(100-1 내지 100-N)에 대한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 및/또는 객체식별정보를 실시간으로 등록, 검색 및 식별하여 해당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또한, 응용서비스 연결모듈(230)은 외부의 단말(20, 30, 400)을 통해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상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단말/객체식별정보 DB(240)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각 IoT 스마트 단말(100-1 내지 100-N)에 대한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 및/또는 객체식별정보를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등록, 검색 및 식별하여 해당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또한, 응용서비스 연결모듈(230)은 외부의 단말(20, 30, 400)을 통해 단말/객체식별정보 DB(240)에 저장된 각 IoT 스마트 단말(100-1 내지 100-N)에 대한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 및/또는 객체식별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를 다운로드(Download)받을 수 있도록 클라우드 웹서비스(Cloud Web Service)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lso, the application
또한, 응용서비스 연결모듈(230)은 외부의 단말(20, 30, 400)을 통해 단말/객체식별정보 DB(240)에 저장되는 각 IoT 스마트 단말(100-1 내지 100-N)에 대한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 및/또는 객체식별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를 실시간 등록, 검색 및 식별하여 해당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관련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또한, 응용서비스 연결모듈(230)은 상기 암호화된 각 IoT 스마트 단말(100-1 내지 100-N)에 대한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 및/또는 객체식별정보가 외부의 단말(20, 30, 400)의 요청에 응답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부의 서버(300, 500)에 주기적으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lso, the application
단말/객체식별정보 DB(240)는 데이터 처리모듈(220)의 제어에 따라 각 IoT 스마트 단말(100-1 내지 100-N)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와 대응되는 각 객체의 고유한 객체식별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Under the control of the
여기서, 각 IoT 스마트 단말(100-1 내지 100-N)에 대한 고유한 단말식별정보는 예컨대, IoT 스마트 단말의 이름, IoT 스마트 단말의 비밀번호, IoT 스마트 단말의 일련번호, IoT 스마트 단말의 종류, IoT 스마트 단말의 제조회사, IoT 스마트 단말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IoT 스마트 단말의 고유 IP(Internet Protocol) 주소, IoT 스마트 단말의 모델 및 IoT 스마트 단말의 버전, IoT 스마트 단말의 비밀키 또는 PKI 기반의 개인키에 의해 생성된 IoT 스마트 단말의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Here, the uniqu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of the IoT smart terminals 100-1 to 100-N includes, for example, the name of the IoT smart terminal, the password of the IoT smart terminal, the serial number of the IoT smart terminal, A manufacturer of the IoT smart terminal, a Media Access Control (MAC) address of the IoT smart terminal, a unique IP address of the IoT smart terminal, a model of the IoT smart terminal and a version of the IoT smart terminal, And at least one of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smart terminal generated by the PKI-based private key.
그리고, 각 IoT 스마트 단말(100-1 내지 100-N)에 대한 고유한 객체식별정보는 예컨대, 객체의 이름, 객체의 비밀번호, 객체의 주민번호, 객체의 전화번호, 객체의 주소, 객체의 생체특징정보, 객체의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객체의 OTP(One Time Password), 객체의 공인 인증서 정보, 객체의 일련번호, 객체의 종류, 객체의 제조회사, 객체의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The uniqu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IoT smart terminal 100-1 to 100-N includes, for example, an object name, an object password, a resident number of the object, a phone number of the object, an address of the object,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feature information, PKI (Public Key Infrastructure) of an object, OTP (One Time Password) of an object, authorized certificate information of an object, serial number of an object, kind of an object, .
그리고, DB 접근제어모듈(250)은 단말/객체식별정보 DB(240)에 접근하는 쿼리를 감시하고, 불법적인 DB 접근에 대하여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DB
이러한 DB 접근제어모듈(25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단말/객체식별정보 DB(240)에 접근하는 쿼리 정보를 감시하는 DB 접근감시부(251)와, DB 접근감시부(251)로부터 감시된 쿼리 정보를 분석하여 데이터 접근명령어들을 확인한 후, 상기 확인된 데이터 접근명령어들과 별도의 블랙리스트 DB(252)에 미리 저장된 불법적인 접근명령어의 일치여부에 따라 해당 쿼리에 대한 해당 단말/객체식별정보 DB(240)의 데이터 접근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DB 접근차단부(253)와, DB 접근감시부(251) 및 DB 접근차단부(253)의 동작을 제어하는 DB 접근제어부(254)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DB
여기서, DB 접근차단부(253)는 블랙리스트 DB(252)에 상기 확인된 데이터 접근명령어와 일치하는 불법적인 데이터 접근명령어가 존재할 경우, DB 접근제어부(254)의 제어에 따라 해당 데이터 접근명령어에 대응되는 쿼리에 미리 설정된 특정코드를 부여하고, 상기 특정코드가 부여된 쿼리를 삭제함과 아울러 해당 접근 사용자 정보와 접근 IP 주소정보를 블랙리스트 DB(252)에 저장하여 블랙리스트 정보가 업데이트 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f an unauthorized data access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data access command exists in the
한편, 블랙리스트 DB(252)에 미리 저장된 불법적인 데이터 접근명령어는 예컨대, 불법적인 데이터 생성 명령어, 불법적인 데이터 수정 명령어, 및 불법적인 데이터 삭제 명령어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명령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illegal data access command stored in advance in the
그리고, DB 접근제어부(254)는 외부의 단말(20, 30, 400) 및/또는 외부의 서버(300, 50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고유식별정보와 함께 단말/객체식별정보 DB(240) 접근 요청을 위한 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분석하여 사용자 고유식별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사용자 고유식별정보와 별도의 사용자정보 DB(255)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고유식별정보의 일치여부에 따라 별도의 사용권한 DB(256)에 미리 저장된 해당 사용자 고유식별정보의 사용자 접근권한 레벨에 대응되는 특정 액세스 키를 해당 외부의 단말(20, 30, 400) 및/또는 외부의 서버(300, 5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DB
또한, DB 접근제어부(254)는 외부의 단말(20, 30, 400) 및/또는 외부의 서버(300, 500)로부터 전송된 특정 액세스 키와 함께 단말/객체식별정보 DB(240)에 저장된 데이터 접근을 위한 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분석하여 특정 액세스 키를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특정 액세스 키와 사용권한 DB(256)에 미리 저장된 특정 액세스 키의 일치여부에 따라 단말/객체식별정보 DB(240)의 데이터 접근이 허용 또는 차단되도록 DB 접근차단부(253)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DB
또한, DB 접근제어부(254)는 사용권한 DB(256)에 상기 추출된 특정 액세스 키와 일치하는 특정 액세스 키가 존재할 경우, 해당 특정 액세스 키에 부여된 사용자 접근권한 레벨에 따라 단말/객체식별정보 DB(240)에 저장된 데이터 접근이 허용되도록 DB 접근차단부(253)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f there is a specific access key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specific access key in the
또한, DB 접근제어부(254)는 해당 특정 액세스 키에 부여된 사용자 접근권한 레벨에 따라 단말/객체식별정보 DB(240)에 저장된 데이터 접근을 허용한 후 데이터 액세스 결과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데이터 액세스 결과정보와 별도의 보안정책 DB(257)에 미리 저장된 불법적인 데이터 액세스 결과정보의 일치여부에 따라 해당 특정 액세스 키에 의한 해당 단말/객체식별정보 DB(240)의 데이터 재접근이 허용 또는 차단되도록 DB 접근차단부(253)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B
또한, DB 접근제어부(254)는 보안정책 DB(257)에 상기 확인된 데이터 액세스 결과정보와 일치하는 불법적인 데이터 액세스 결과정보가 존재할 경우, 상기 확인된 데이터 액세스 결과정보에 해당하는 단말/객체식별정보 DB(240)의 데이터를 삭제한 후, 별도의 백업 단말/객체식별정보 DB(258)를 이용하여 상기 삭제된 단말/객체식별정보 DB(240)의 데이터를 불법적인 데이터 액세스 이전의 데이터로 복원함과 아울러 해당 특정 액세스 키에 의한 해당 단말/객체식별정보 DB(240)의 데이터 재접근이 차단되도록 별도의 사용자정보 DB(255)에 저장된 해당 특정 액세스 키에 대응되는 사용자 고유식별정보의 사용자 접근권한 레벨을 삭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f there is illegal data access result information that matches the confirmed data access result information in the
한편, 보안정책 DB(257)에 미리 저장된 불법적인 데이터 액세스 결과정보는 예컨대, 불법적인 데이터 생성, 불법적인 데이터 수정, 및 불법적인 데이터 삭제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데이터 액세스 결과정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Meanwhile, illegal data access result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in the
또한, DB 접근제어부(254)는 외부의 단말(20, 30, 400) 및/또는 외부의 서버(300, 500)를 통해 해당 사용자 고유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관리자에 의해 부여된 단말/객체식별정보 DB(240)에 대한 사용자 접근권한 레벨과 함께 사용자정보 DB(255)에 사용자 고유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또한, DB 접근제어부(254)는 단말/객체식별정보 DB(240)에 대한 사용자 접근권한 레벨에 따라 단말/객체식별정보 DB(240)에 접근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액세스 키를 사용자 접근권한 레벨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DB
또한, DB 접근제어부(254)는 단말/객체식별정보 DB(240)에 저장된 데이터를 별도의 백업 단말/객체식별정보 DB(258)에 주기적으로 백업 저장되도록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중앙관제서버(300)는 통신망(10)을 통해 IoT 게이트웨이 장치(200)와 서로 연결되며, 통신망(10)을 통해 IoT 게이트웨이 장치(200)로부터 전송된 각 IoT 스마트 단말(100-1 내지 100-N)에 대한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IoT 스마트 단말별로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entral control server 300 is connected to the
또한, 중앙관제서버(300)는 각 IoT 스마트 단말(100-1 내지 100-N)에 대한 각 객체의 단말위치를 미리 저장된 해당 선박의 배치도에 매칭(matching)하여 관리자가 정확하게 각 객체의 단말위치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 server 300 matches the terminal position of each object with respect to each of the IoT smart terminals 100-1 to 100-N to a previously stored map of the corresponding ship, So that it can be visually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또한, 중앙관제서버(300)는 IoT 게이트웨이 장치(200)를 통해 각 선원의 손목에 착용된 선원용 스마트 밴드형 단말(100a)로부터 각 선원의 생체신호 정보 및 현재의 밴드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분석하여 각 선원별 이동경로를 추정함과 아울러 개인별 건강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 server 300 receives the biometric signal information of each source and the current band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source
또한, 중앙관제서버(300)는 IoT 게이트웨이 장치(200)에 구비된 각 환경 측정 센서(S-1 내지 S-N)로부터 수집 및 전송된 해당 선박내의 환경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환경 측정 센서별로 환경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함과 아울러 관리자가 해당 선박내의 환경을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 server 300 receives environment information data in the corresponding vessels collected and transmitted from the environmental measurement sensors S-1 to SN provided in the
또한, 중앙관제서버(300)는 통신망(10) 및 IoT 게이트웨이 장치(200)를 통해 각 IoT 스마트 단말(100-1 내지 100-N)로부터 전송된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 및/또는 객체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객체의 관계를 분석하여 각 객체의 이동경로 추정 및 머문 시간을 계산함과 아울러 각 객체의 이동 패턴과 공간별 특성을 반영하여 온톨로지 기반의 상황인지 모델링을 통해 상황을 추론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central control server 300 transmits the terminal position information of each object transmitted from each of the IoT smart terminals 100-1 to 100-N through the
또한, 중앙관제서버(300)는 통신망(10) 및 IoT 게이트웨이 장치(200)를 통해 각 IoT 스마트 단말(100-1 내지 100-N)로부터 전송된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선박내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미리 저장된 해상의 위치정보를 미리 저장된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맵(Map)과 매칭하여 관리자가 정확하게 각 객체의 단말위치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central control server 300 transmits the terminal position information of each object transmitted from each of the IoT smart terminals 100-1 to 100-N through the
그리고, 수색용 스캐너(400)는 선박의 조난 시 해당 선박의 조난자를 구조하기 위한 이동수단(예컨대, 헬기, 드론, 구조 선박 등)에 장착되며, 각 IoT 스마트 단말(100-1 내지 100-N) 및/또는 IoT 게이트웨이 장치(200)로부터 무선 전송된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 및/또는 생체신호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객체의 단말위치 및/또는 생체신호를 미리 저장된 지도(예컨대, 전자해도 등)에 매칭하여 구조자가 정확하고 간편하게 각 객체의 단말위치 및/또는 생체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외부의 단말(20, 30, 400) 중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은 무선 인터넷 또는 휴대 인터넷을 통하여 통신하는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 패드(Smart Pad) 또는 스마트 노트(Smart No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 단말 장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개인용 PC, 노트북 PC, 팜(Palm) PC, 모바일 게임기(Mobile play-station), 통신 기능이 있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태블릿 PC, 아이패드(iPad) 등 IoT 게이트웨이 장치(200) 및/또는 중앙관제서버(300)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모든 유무선 가전/통신 장치를 포괄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Meanwhile, the user terminal 20 and / or the client terminal 30 among the
이러한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모듈(21), A/V(Audio/Video) 입력모듈(22), 사용자 입력모듈(23), 센싱모듈(24), 출력모듈(25), 저장모듈(26), 인터페이스 모듈(27), 단말 제어모듈(28) 및 전원모듈(2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은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7, the user terminal 20 and / or the client terminal 30 includes a
이하,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of the user terminal 20 and / or the client terminal 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무선 통신모듈(21)은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과 IoT 게이트웨이 장치(200) 및/또는 중앙관제서버(300)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통신모듈(21)은 방송 수신 모듈(21a), 이동 통신 모듈(21b), 무선 인터넷 모듈(21c), 근거리 통신 모듈(21d) 및 위치 정보 모듈(21e)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방송 수신 모듈(21a)은 다양한 방송채널(예컨대, 위성채널, 지상파채널 등)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신호(예컨대, TV 방송신호, 라디오 방송신호, 데이터 방송신호 등) 및/또는 방송관련 정보를 수신한다.The
이동 통신 모듈(21b)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콜(call) 신호, 화상 통화 콜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무선 인터넷 모듈(21c)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로서,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컨대, WLAN(Wi-Fi), Wibro, Wimax, HSDPA, LT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근거리 통신 모듈(21d)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로서, 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UWB(Ultra Wideband)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또는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
위치 정보 모듈(21e)은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로서, GPS(Global Position System)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한편, 단말 제어모듈(28)의 제어에 따라 전술한 무선 통신모듈(21) 및/또는 유선 통신모듈(미도시)을 통해 저장모듈(26)에 저장된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IoT 게이트웨이 장치(200) 및/또는 중앙관제서버(30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IoT gateway device 200 (i. E., The I / O gateway device 200) is connected to the
A/V 입력모듈(22)은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모듈로서, 기본적으로 카메라부(22a)와 마이크부(22b)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부(22a)는 화상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마이크부(22b)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에 의해 외부의 음향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데이터로 처리한다.The A /
사용자 입력모듈(23)은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모듈로서, 특히 출력모듈(25)의 디스플레이부(25a)를 통해 표시되는 네트워크 감시 정보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신호를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예컨대, 사용자의 터치에 의하여 입력되는 터치 패널(정압/정전) 형식이거나 별도의 입력 장치(예컨대, 키 패드 돔 스위치,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를 이용하여 입력될 수 있다.The
센싱모듈(24)은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의 개폐 상태,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특정 부위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의 방위,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센싱 신호는 단말 제어모듈(28)에 전달되어, 단말 제어모듈(28)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기초가 될 수 있다.The
출력모듈(25)은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듈로서, 기본적으로 디스플레이부(25a), 음향출력부(25b), 알람부(25c) 및 햅틱부(25d)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부(25a)는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컨대,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이 통화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표시하고, 화상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및/또는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The
음향출력부(25b)는 예컨대, 콜 신호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모드, 방송수신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모듈(21)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모듈(26)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The
알람부(25c)는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콜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The
햅틱부(25d)는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부(25d)가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부(25d)가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 가능하다.The
저장모듈(26)은 단말 제어모듈(28)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The
또한, 저장모듈(26)은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선박 모니터링관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저장모듈(26)은 선박 모니터링관련 정보의 형성을 위한 소스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는 바, 선박 모니터링관련 데이터가 영상 및 소리로 구성된 형태로 이루질 수 있으며, 선박 모니터링에 대한 관련데이터 생성의 진행 과정 및 결과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러한 저장모듈(26)은 플래시 메모리 타입, 하드디스크 타입,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SRAM, 롬(ROM), EEPROM, PROM,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인터페이스 모듈(27)은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 모듈(27)은 외부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The
단말 제어모듈(28)은 통상적으로 사용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음성통화, 데이터통신, 화상통화, 각종 어플리케이션 실행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The
즉, 단말 제어모듈(28)은 저장모듈(26)에 저장된 선박 모니터링관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선박 모니터링관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 선박 모니터링관련 데이터의 생성을 요청하고 이에 대한 선박 모니터링관련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at is, the
또한, 단말 제어모듈(28)은 상기 선박 모니터링관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선박 모니터링관련 데이터의 생성 과정에서 영상, 음성 또는 음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조 요소들을 디스플레이부(25a) 및 다른 출력장치(예컨대, 음향출력부(25b), 알람부(25c), 햅틱부(25d)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또한, 단말 제어모듈(28)은 배터리부(29a)의 충전 전류와 충전 전압을 상시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값을 저장모듈(26)에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장모듈(26)은 모니터링 된 충전 전류와 충전 전압과 같은 배터리 충전상태정보뿐만 아니라 배터리 사양정보(제품 코드, 정격 등)도 함께 저장함이 바람직하다.The
전원모듈(29)은 단말 제어모듈(28)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모듈(29)은 내장되어 있는 배터리부(29a)의 전원을 각 구성요소들로 공급하여 동작하도록 하며, 충전단자(미도시)를 사용하여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다.The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단말 제어모듈(28)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Microprocesso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functions, a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In some cases, such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by the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저장모듈(26)에 저장되고, 단말 제어모듈(28)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a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procedures or functions may be implemented with separate software modules that perform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The software code may be implemented by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The software code may also be stored in the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한 선박내 IoT 스마트 단말의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onitoring system of the IoT smart terminal in the ship us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It is possible to carry out various modifications and the present invention also belongs to the present invention.
100-1 내지 100-N : IoT 스마트 단말,
200 : IoT 게이트웨이 장치,
210 : IoT 스마트 단말 연결모듈,
220 : 데이터 처리모듈,
230 : 응용서비스 연결모듈,
240 : 단말/객체식별정보 DB,
250 : DB 접근제어모듈,
300 : 중앙관제서버,
400 : 수색용 스캐너,
500 : 클라우드 서버100-1 to 100-N: IoT smart terminal,
200: IoT gateway device,
210: IoT smart terminal connection module,
220: Data processing module,
230: application service connection module,
240: terminal /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250: DB access control module,
300: central control server,
400: Scanning scanner,
500: Cloud server
Claims (23)
상기 선박의 내부에 설치되며, 각 IoT 스마트 단말로부터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IoT 스마트 단말의 접속인증 승인여부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외부로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를 전송하는 IoT 게이트웨이 장치; 및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IoT 게이트웨이 장치와 서로 연결되며,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IoT 게이트웨이 장치로부터 전송된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IoT 스마트 단말별로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함과 아울러 각 객체의 단말위치를 미리 저장된 해당 선박의 배치도에 매칭(matching)하여 관리자가 정확하게 각 객체의 단말위치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중앙관제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IoT 게이트웨이 장치는, 상기 선박내에 위치된 각 IoT 스마트 단말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각 IoT 스마트 단말로부터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 및 객체식별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도록 연결시켜주는 IoT 스마트 단말 연결모듈과, 상기 IoT 스마트 단말 연결모듈로부터 수신되는 각 IoT 스마트 단말에 대한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 및 객체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암호화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각 IoT 스마트 단말에 대한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 및 객체식별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를 저장 및 전송하는 데이터 처리모듈과,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로부터 암호화되어 전송된 각 IoT 스마트 단말에 대한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 및 객체식별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를 제공받아 상기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단말 또는 상기 중앙관제서버로 전송될 수 있도록 연결시켜주는 응용서비스 연결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선박내 IoT 스마트 단말의 모니터링 시스템.
At least one IoT smart terminal mounted on at least one object of a ship, a ship or a cargo in a ship and wirelessly transmitting uniqu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bject;
The IoT smart terminal is provided inside the ship and receives uniqu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bject from each IoT smart terminal. Based on the receive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each IoT smart terminal receives each object An IoT gateway device for transmitting uniqu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The IoT gateway device is connected to the IoT gateway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receives uniqu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bject transmitted from the IoT gateway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DB), stores and manages th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bject, and matches the terminal position of each object with a previously stored vessel layout map so that the manager can accurately monitor the terminal position of each object And a central control server for visually displaying,
The IoT gateway device is connected to each IoT smart terminal wirelessly connected to the ship so as to receive uniqu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bject from each IoT smart terminal IoT smart terminal connection module and uniqu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bject for each IoT smart terminal received from the IoT smart terminal connection module and encrypts the receive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data processing module for storing and transmitting a decryption key for decrypting uniqu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bject for each IoT smart terminal; In addition to th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bject for the IoT smart terminal, And an application service connection module for receiving a decryption key for decrypting 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connecting the decryption key to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terminal or the central control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IoT Smart terminal monitoring system.
상기 IoT 스마트 단말이 선원에 장착될 경우, 해당 선원의 손목에 착용하는 선원용 스마트 밴드형 단말로 이루어지며,
상기 선원용 스마트 밴드형 단말은, 해당 선원의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비된 밴드형 단말 본체부;
상기 밴드형 단말 본체부의 내부 또는 일측에 구비되며, 해당 선원의 생체신호 정보를 수집하는 생체정보수집부;
상기 밴드형 단말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선박내의 근거리 무선 신호 또는 GPS 위성의 위치정보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의 밴드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밴드위치 정보획득부;
상기 밴드형 단말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IoT 게이트웨이 장치를 통해 외부의 단말 또는 상기 중앙관제서버로부터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표시하는 밴드형 단말 디스플레이부;
상기 밴드형 단말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생체정보수집부로부터 수집된 해당 선원의 생체신호 정보와 상기 밴드위치 정보획득부로부터 획득된 현재의 밴드위치 정보를 상기 IoT 게이트웨이 장치로 무선 전송하는 밴드형 단말 무선통신부;
상기 밴드형 단말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밴드형 단말 무선통신부를 통해 외부의 단말 또는 상기 중앙관제서버로부터 문자 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상기 밴드형 단말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생체정보수집부로부터 수집된 해당 선원의 생체신호 정보 및 상기 밴드위치 정보획득부로부터 획득된 현재의 밴드위치 정보와 함께 기 설정된 고유한 단말식별정보가 상기 밴드형 단말 무선통신부 및 상기 IoT 게이트웨이 장치를 통해 외부의 단말 또는 상기 중앙관제서버에 주기적으로 무선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밴드형 단말 제어부; 및
상기 밴드형 단말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생체정보수집부, 상기 밴드위치 정보획득부, 상기 밴드형 단말 디스플레이부, 상기 밴드형 단말 무선통신부, 및 상기 밴드형 단말 제어부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밴드형 단말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선박내 IoT 스마트 단말의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mart band terminal for a source for wearing the IoT smart terminal on the wrist of the crew when the IoT smart terminal is mounted on the crew,
The smart band terminal for a seam source includes: a band-shaped terminal body unit provided to be worn on the wrist of the seam source;
A biometric information collecting unit provided inside or on one side of the band-shaped terminal main body and collecting biometric signal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source;
A band position information acquiring unit that is provided in the band-shaped terminal body unit and receives at least one of a short range wireless signal in the ship or a GPS satellite position information signal to obtain current band position information;
A band-type terminal display uni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and-shaped terminal body unit for displaying a text message received from an external terminal or the central control server through the IoT gateway apparatus;
A band that is provided inside the band-shaped terminal main unit and transmits the bio-signal information of the source of the relevant source collected from the bio-information collecting unit and the current band posi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band posi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to the IoT gateway device, Type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 terminal for receiving a text message from an external terminal or the central control server through the band-type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text message on the band-type terminal display unit, The bio-signal information of the relevant source and the current band posi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band posi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are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band-type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IoT gateway apparatus, A band type terminal control unit for periodically controlling the terminal to be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terminal or the central control server; And
A band type terminal display unit, a band type terminal radio communication unit, and a band type terminal control unit, which are provided in the band type terminal body unit and supply power necessary for the biometrics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e band posi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the band type terminal display unit, And a band type terminal power supply unit. The monitoring system of the IoT smart terminal in the ship us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생체정보수집부는, 해당 선원의 심박 수를 측정하기 위한 심박측정 센서와, 해당 선원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체온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선박내 IoT 스마트 단말의 모니터링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iometric information collecting unit includes a heart rate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a heart rate of the source and a body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a body temperature of the source.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상기 IoT 게이트웨이 장치를 통해 각 선원의 손목에 착용된 선원용 스마트 밴드형 단말로부터 각 선원의 생체신호 정보 및 현재의 밴드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분석하여 각 선원별 이동경로를 추정함과 아울러 개인별 건강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선박내 IoT 스마트 단말의 모니터링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entral control server receives uniqu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biometric signal information of each source and current band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source smart-band terminal worn on the wrist of each source through the IoT gateway device, Estimating a movement route for each source and monitoring the individual health status in real time. The monitoring system of the IoT smart terminal in a ship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IoT 스마트 단말이 승선자에 장착될 경우, 해당 승선자의 옷에 부착하거나 목걸이 형태의 승선자용 스마트 태그형 단말로 이루어지며,
상기 승선자용 스마트 태그형 단말은, 해당 승선자의 옷에 부착하거나 목걸이 형태로 착용 가능하도록 구비된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본체부;
상기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선박내의 근거리 무선 신호 또는 GPS 위성의 위치정보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의 승선자 태그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승선자 태그위치 정보획득부;
상기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IoT 게이트웨이 장치를 통해 외부의 단말 또는 상기 중앙관제서버로부터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표시하는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디스플레이부;
상기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긴급 상황 시 응급 버튼의 누름동작에 따라 긴급 호출신호를 발생하는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긴급 신호발생부;
상기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승선자 태그위치 정보획득부로부터 획득된 현재의 승선자 태그위치 정보를 외부의 단말 또는 상기 IoT 게이트웨이 장치로 무선 전송하는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무선통신부;
상기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무선통신부를 통해 외부의 단말 또는 상기 중앙관제서버로부터 문자 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상기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승선자 태그위치 정보획득부로부터 획득된 현재의 승선자 태그위치 정보와 함께 기 설정된 고유한 단말식별정보가 상기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무선통신부 및 상기 IoT 게이트웨이 장치를 통해 외부의 단말 또는 상기 중앙관제서버로 무선 전송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긴급 신호발생부로부터 발생된 긴급 호출신호를 제공받아 미리 저장된 긴급 호출메시지와 함께 현재의 승선자 태그위치 정보 및 고유한 단말식별정보가 외부의 단말 또는 상기 중앙관제서버에 주기적으로 무선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제어부; 및
상기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승선자 태그위치 정보획득부, 상기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디스플레이부, 상기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긴급 신호발생부, 상기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무선통신부, 및 상기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제어부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선박내 IoT 스마트 단말의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mart tag type terminal for a passenger in the form of a necklace when the IoT smart terminal is mounted on a boarding passenger,
The smart tag type terminal for a passenger includes a tag type terminal body for a passenger, the tag type terminal body being mounted on clothes of the passenger or being worn in the form of a necklace;
Acquiring boarder tag location information which is provided inside the tag type terminal body unit for the passenger and receives at least one of the local wireless signal in the ship or the GPS satellite position information signal to acquire the current boarder tag location information part;
A tag type terminal display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ag type terminal body unit for the passenger and displaying a text message received from an external terminal or the central control server through the IoT gateway apparatus;
A tag type terminal emergency signal generator for a passeng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tag type terminal body for the passenger, for generating an emergency call signal in response to a pressing operation of the emergency button in an emergency situation;
A tag type terminal for a passenger, which is provided inside the tag type terminal body unit for the passenger and wirelessly transmits the current passenger tag position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passenger tag posi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to an external terminal or the IoT gateway device, A communication unit;
And a text message is received from an external terminal or the central control server through the tag-type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he passenger, so as to be displayed on the tag-type terminal display unit for the passenger And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eviously set together with the current passenger tag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passenger tag loc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unit through the tagged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he passenger and the external terminal or the terminal through the IoT gateway apparatus The emergency call signal generated by the tagged terminal emergency signal generator for the passenger, and transmits the emergency call message including the current passenger tag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uniqu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periodically sent to an external terminal or the central control server Aboard Edition tagged type terminal control section for controlling to transfer; And
A tag type terminal display unit for the passenger, a tag type terminal emergency signal generator for the passenger, a tag type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he passenger, And a tag type terminal power supply unit for a passenger for supplying power necessary for the passenger tag type terminal control unit.
상기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자이로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해당 승선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승선자 움직임 감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제어부는, 상기 승선자 움직임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해당 승선자의 움직임 감지정보를 제공받아 이와 함께 현재의 승선자 태그위치 정보 및 고유한 단말식별정보가 상기 승선자용 태그형 단말 무선통신부 및 상기 IoT 게이트웨이 장치를 통해 외부의 단말 또는 상기 중앙관제서버로 무선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선박내 IoT 스마트 단말의 모니터링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passenger movement detecting unit provided inside the tag-type terminal main body for the passenger and detecting movement of the passenger using at least one of a gyro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The tagged terminal control unit for the passenger is provided with the motion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passenger sensed by the passenger motion detection unit and transmits the current passenger tag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uniqu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tagged terminal wirelessly for the passenger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IoT smart terminal to control the wireless transmission to an external terminal or the central control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IoT gateway device.
상기 IoT 스마트 단말이 화물 또는 구명보트에 장착될 경우, 해당 화물 또는 구명보트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형태의 화물용 스마트 태그형 단말로 이루어지며,
상기 화물용 스마트 태그형 단말은, 해당 화물 또는 구명보트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비된 화물용 태그형 단말 본체부;
상기 화물용 태그형 단말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선박내의 근거리 무선 신호 또는 GPS 위성의 위치정보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의 화물 태그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화물 태그위치 정보획득부;
상기 화물용 태그형 단말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긴급 상황 시 응급 버튼의 누름동작에 따라 긴급 호출신호를 발생하는 화물용 태그형 단말 긴급 신호발생부;
상기 화물용 태그형 단말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화물 태그위치 정보획득부로부터 획득된 현재의 화물 태그위치 정보를 외부의 단말 또는 상기 IoT 게이트웨이 장치로 무선 전송하는 화물용 태그형 단말 무선통신부;
상기 화물용 태그형 단말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화물 태그위치 정보획득부로부터 획득된 현재의 화물 태그위치 정보와 함께 기 설정된 고유한 단말식별정보가 상기 화물용 태그형 단말 무선통신부 및 상기 IoT 게이트웨이 장치를 통해 외부의 단말 또는 상기 중앙관제서버로 무선 전송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화물용 태그형 단말 긴급 신호발생부로부터 발생된 긴급 호출신호를 제공받아 미리 저장된 긴급 호출메시지와 함께 현재의 화물 태그위치 정보 및 고유한 단말식별정보가 외부의 단말 또는 상기 중앙관제서버에 주기적으로 무선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화물용 태그형 단말 제어부; 및
상기 화물용 태그형 단말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화물 태그위치 정보획득부, 상기 화물용 태그형 단말 긴급 신호발생부, 상기 화물용 태그형 단말 무선통신부, 및 상기 화물용 태그형 단말 제어부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화물용 태그형 단말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선박내 IoT 스마트 단말의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argo smart tag type terminal for freight detachably mounted on one side of the cargo or lifeboat when the IoT smart terminal is mounted on a cargo or lifeboat,
The smart tag type terminal for cargo includes a tag type terminal body for freight detachably mounted on one side of the cargo or lifeboat;
A cargo tag posi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which is provided inside the tag type terminal body for the cargo and receives at least one of a short range wireless signal in the ship or a GPS satellite position information signal to obtain current cargo tag position information;
A tag-type terminal emergency signal generato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tag-type terminal main body for the cargo and for generating an emergency call signal in response to a pressing operation of the emergency button in an emergency;
A tag type terminal radio communication unit for cargo, which is provided inside the tag type terminal body for cargo and carries the current cargo tag posi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cargo tag posi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to an external terminal or the IoT gateway device by radio;
Wherein the cargo tag location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cargo tag loc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is stored in the tag type terminal radio unit of the cargo and the IoT And transmits the emergency call message generated by the tag-type terminal emergency signal generating unit for the cargo to the external terminal or the central control server through the gateway apparatus, A cargo tag type termina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uniqu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be wirelessly transmitted periodically to an external terminal or the central control server; And
A cargo tag location information acquiring unit, a cargo tag terminal station emergency signal generator, a cargo tag terminal radio communication unit, and a cargo tag terminal control unit, which are provided inside the tag type terminal body for cargo, And a tag type terminal power supply for a cargo to supply necessary power to the IoT smart terminal.
상기 화물용 태그형 단말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IoT 게이트웨이 장치를 통해 외부의 단말 또는 상기 중앙관제서버로부터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표시하는 화물용 태그형 단말 디스플레이부가 더 포함되되,
상기 화물용 태그형 단말 제어부는, 상기 화물용 태그형 단말 무선통신부를 통해 외부의 단말 또는 상기 중앙관제서버로부터 문자 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상기 화물용 태그형 단말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선박내 IoT 스마트 단말의 모니터링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a tag type terminal display unit for a cargo for displaying a text message received from an external terminal or the central control server through the IoT gateway apparatus, the tag type terminal display unit being provided at one side of the tag type terminal body for cargo,
The tag-type terminal control unit for cargo may receive a text message from an external terminal or the central control server through the tag-type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cargo and control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text message on the tag- Monitoring System of IoT Smart Terminal in Ship using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IoT 스마트 단말은, 저전력 장거리 통신(Low Power Wide Area Network, LPWAN)을 이용하여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를 실시간으로 무선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선박내 IoT 스마트 단말의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oT smart terminal wirelessly transmits uniqu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bject in real time using a low power wide area network (LPWAN). Smart terminal monitoring system.
상기 IoT 게이트웨이 장치는, 해당 선박내의 환경을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 조도 센서, 습도 센서, 및 가스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 측정 센서를 더 구비하고, 각 환경 측정 센서로부터 측정된 환경 정보데이터를 수집하여 외부의 단말 또는 상기 중앙관제서버에 주기적으로 무선 전송하고,
상기 중앙관제서버 또는 외부의 단말은, 상기 IoT 게이트웨이 장치에 구비된 각 환경 측정 센서로부터 수집 및 전송된 해당 선박내의 환경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환경 측정 센서별로 환경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함과 아울러 관리자가 해당 선박내의 환경을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선박내 IoT 스마트 단말의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oT gateway device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environmental measurement sensor for measuring the environment in the ship, the ambient temperature sensor, the ambient light sensor, the humidity sensor, and the gas sensor, And periodically wirelessly transmitting to an external terminal or the central control server,
The central control server or the external terminal receives environment information data in the corresponding vessel collected and transmitted from each environmental measurement sensor provided in the IOT gateway apparatus, And monitoring the environment of the ship in real time. The monitoring system of the IoT smart terminal in the ship us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은, 상기 IoT 스마트 단말 연결모듈로부터 수신되는 각 IoT 스마트 단말에 대한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 및 객체식별정보를 각 IoT 스마트 단말에 대한 정보데이터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비트율로 인코딩된 채널을 통해 메타데이터를 부여하고 이를 암호화하여 상기 응용서비스 연결모듈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선박내 IoT 스마트 단말의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ata processing module may include terminal position information of each object for each IoT smart terminal received from the IoT smart terminal connection module and uniqu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IoT smart terminal, Wherein the meta data is transmitted through a channel encoded at a different bit rate according to a size, and the meta data is encrypted and transmitted to the application service connection module.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의 제어에 따라 각 IoT 스마트 단말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와 대응되는 각 객체의 고유한 객체식별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단말/객체식별정보 DB를 더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은, 상기 IoT 스마트 단말 연결모듈로부터 수신되는 각 IoT 스마트 단말에 대한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 및 객체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상기 단말/객체식별정보 DB에 미리 저장된 각 IoT 스마트 단말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와 대응되는 각 객체의 고유한 객체식별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 상기 IoT 스마트 단말 연결모듈로부터 수신되는 각 IoT 스마트 단말에 대한 정보데이터를 데이터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채널별로 분리한 후, 서로 다른 비트율을 갖도록 병렬로 인코딩된 각 채널을 통해 메타데이터를 부여하고 이를 암호화하여 상기 응용서비스 연결모듈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선박내 IoT 스마트 단말의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terminal /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for storing and managing database identification (DB) unique to each object corresponding to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unique to each IoT smart terminal under the control of the data processing module ,
The data processing module receives uniqu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bject for each IoT smart terminal received from the IoT smart terminal connection module and transmits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terminal / When the IoT smart terminal connection module compares the uniqu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IoT smart terminal stored in advance with the uniqu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corresponding object, And transmitting the encrypted metadata to the application service connection module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 / Smart terminal monitoring system.
상기 단말/객체식별정보 DB에 접근하는 쿼리를 감시하고, 불법적인 DB 접근에 대하여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DB 접근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DB 접근제어모듈은, 상기 단말/객체식별정보 DB에 접근하는 쿼리 정보를 감시하는 DB 접근감시부;
상기 DB 접근감시부로부터 감시된 쿼리 정보를 분석하여 데이터 접근명령어들을 확인한 후, 상기 확인된 데이터 접근명령어들과 별도의 블랙리스트 DB에 미리 저장된 불법적인 접근명령어의 일치여부에 따라 해당 쿼리에 대한 해당 단말/객체식별정보 DB의 데이터 접근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DB 접근차단부; 및
상기 DB 접근감시부 및 상기 DB 접근차단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DB 접근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DB 접근차단부는, 상기 블랙리스트 DB에 상기 확인된 데이터 접근명령어와 일치하는 불법적인 데이터 접근명령어가 존재할 경우,
상기 DB 접근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해당 데이터 접근명령어에 대응되는 쿼리에 미리 설정된 특정코드를 부여하고, 상기 특정코드가 부여된 쿼리를 삭제함과 아울러 해당 접근 사용자 정보와 접근 IP 주소정보를 상기 블랙리스트 DB에 저장하여 블랙리스트 정보가 업데이트 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블랙리스트 DB에 미리 저장된 불법적인 데이터 접근명령어는, 불법적인 데이터 생성 명령어, 불법적인 데이터 수정 명령어, 및 불법적인 데이터 삭제 명령어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명령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선박내 IoT 스마트 단말의 모니터링 시스템.
14. The method of claim 13,
Further comprising a DB access control module for monitoring a query for accessing the terminal /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and for blocking an illegal DB access,
Wherein the DB access control module comprises: a DB access monitoring unit for monitoring query information for accessing the terminal /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The DB access monitoring unit analyzes the query information monitored by the DB access monitoring unit to check the data access commands and checks whether or not the data access commands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query are stored in the black list DB, A DB access blocking unit for allowing or blocking data access of the terminal /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And
And a DB access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DB access monitoring unit and the DB access blocking unit,
If the illegal data access command matching the data access command is present in the black list DB,
In response to the control of the DB access control unit, assigns predetermined codes to the query corresponding to the data access command, deletes the query to which the specific code is assigned, and stores the access user information and the access IP address information in the blacklist DB And controls the blacklist information to be updated,
Wherein the illegal data access instruction stored in advance in the blacklist DB comprises at least one of an illegal data generation instruction, an illegal data modification instruction, and an illegal data deletion instruction. IoT Smart terminal monitoring system.
상기 DB 접근제어부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 또는 서버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고유식별정보와 함께 상기 단말/객체식별정보 DB 접근 요청을 위한 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분석하여 사용자 고유식별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사용자 고유식별정보와 별도의 사용자정보 DB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고유식별정보의 일치여부에 따라 별도의 사용권한 DB에 미리 저장된 해당 사용자 고유식별정보의 사용자 접근권한 레벨에 대응되는 특정 액세스 키를 해당 사용자 단말 또는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서버로부터 전송된 특정 액세스 키와 함께 상기 단말/객체식별정보 DB에 저장된 데이터 접근을 위한 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분석하여 특정 액세스 키를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특정 액세스 키와 상기 사용권한 DB에 미리 저장된 특정 액세스 키의 일치여부에 따라 상기 단말/객체식별정보 DB의 데이터 접근이 허용 또는 차단되도록 상기 DB 접근차단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사용권한 DB에 상기 추출된 특정 액세스 키와 일치하는 특정 액세스 키가 존재할 경우, 해당 특정 액세스 키에 부여된 사용자 접근권한 레벨에 따라 상기 단말/객체식별정보 DB에 저장된 데이터 접근이 허용되도록 상기 DB 접근차단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선박내 IoT 스마트 단말의 모니터링 시스템.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DB access control unit receives a message for requesting access to the terminal /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together with the use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user terminal or server, extracts use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received message, A specific access key corresponding to a user access right level of corresponding use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in a separate license DB in accordance with whether the use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a separate user information DB, Or < / RTI >
A message for accessing data stored in the terminal /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together with a specific access key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or server is analyzed and analyzed to extract a specific access key, and then the extracted specific access key and the usage right An operation of the DB access blocking unit is controlled so that data access of the terminal /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is permitted or blocked according to whether a specific access key previously stored in the DB is matched,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to allow access to data stored in the terminal /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according to a level of a user's access right granted to the specific access key when there is a specific access key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specific access key in the right DB, And the operation of the access blocking unit is controlled.
상기 DB 접근제어부는, 해당 특정 액세스 키에 부여된 사용자 접근권한 레벨에 따라 상기 단말/객체식별정보 DB에 저장된 데이터 접근을 허용한 후 데이터 액세스 결과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데이터 액세스 결과정보와 별도의 보안정책 DB에 미리 저장된 불법적인 데이터 액세스 결과정보의 일치여부에 따라 해당 특정 액세스 키에 의한 해당 단말/객체식별정보 DB의 데이터 재접근이 허용 또는 차단되도록 상기 DB 접근차단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보안정책 DB에 상기 확인된 데이터 액세스 결과정보와 일치하는 불법적인 데이터 액세스 결과정보가 존재할 경우, 상기 확인된 데이터 액세스 결과정보에 해당하는 단말/객체식별정보 DB의 데이터를 삭제한 후, 별도의 백업 단말/객체식별정보 DB를 이용하여 상기 삭제된 단말/객체식별정보 DB의 데이터를 불법적인 데이터 액세스 이전의 데이터로 복원함과 아울러 해당 특정 액세스 키에 의한 해당 단말/객체식별정보 DB의 데이터 재접근이 차단되도록 별도의 사용자정보 DB에 저장된 해당 특정 액세스 키에 대응되는 사용자 고유식별정보의 사용자 접근권한 레벨을 삭제하며,
상기 보안정책 DB에 미리 저장된 불법적인 데이터 액세스 결과정보는, 불법적인 데이터 생성, 불법적인 데이터 수정, 및 불법적인 데이터 삭제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데이터 액세스 결과정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선박내 IoT 스마트 단말의 모니터링 시스템.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DB access control unit permits access to data stored in the terminal /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according to a level of a user access right given to the specific access key, and then checks data access result information in real time, The operation of the DB access blocking unit such that the re-access of data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by the specific access key is permitted or block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illegal data access result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in the security policy database Control,
If the illegal data access result information matching the confirmed data access result information exists in the security policy DB, the data of the terminal /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corresponding to the confirmed data access result information is deleted,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to restore the data of the deleted terminal /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to data before illegal data access using the backup terminal /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and to restore the data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Deletes one level of the user's access right of the user'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ccess key stored in the separate user information DB so that access is blocked,
Wherein illegal data access result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in the security policy DB comprises data access resul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illegal data generation, illegal data modification, and illegal data deletion. My IoT Smart terminal monitoring system.
상기 DB 접근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서버를 통해 해당 사용자 고유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관리자에 의해 부여된 상기 단말/객체식별정보 DB에 대한 사용자 접근권한 레벨과 함께 상기 사용자정보 DB에 사용자 고유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단말/객체식별정보 DB에 대한 사용자 접근권한 레벨에 따라 상기 단말/객체식별정보 DB에 접근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액세스 키를 사용자 접근권한 레벨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단말/객체식별정보 DB에 저장된 데이터를 별도의 백업 단말/객체식별정보 DB에 주기적으로 백업 저장되도록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선박내 IoT 스마트 단말의 모니터링 시스템.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DB access control unit receives the user'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terminal or the server, and based on the DB access control unit, notifies the user information DB of the user access right to the user information DB (DB) for each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be stored,
Object ID information DB to be stored in a database (DB) for each level of user's access right according to one level of user access right to the terminal /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And the data stored in the terminal /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is managed to be backed up periodically in a separate backup terminal /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to monitor the IoT smart terminal in the ship us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은, 상기 암호화된 각 IoT 스마트 단말에 대한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 및 객체식별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를 별도의 단말/객체식별정보 DB에 각 IoT 스마트 단말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각 IoT 스마트 단말에 대한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 및 객체식별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상기 응용서비스 연결모듈을 통해 외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응용서비스 연결모듈은,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과 연동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요청에 응답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상기 단말/객체식별정보 DB에 저장되는 각 IoT 스마트 단말에 대한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 및 객체식별정보를 실시간으로 등록, 검색 및 식별하여 해당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상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객체식별정보 DB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각 IoT 스마트 단말에 대한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 및 객체식별정보를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등록, 검색 및 식별하여 해당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선박내 IoT 스마트 단말의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ata processing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decryption key for decrypting the uniqu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bject for each encrypted IoT smart terminal in a separate terminal /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DB) for each IoT smart terminal to be stored and managed. In addition to the terminal position information of each object for each of the encrypted IoT smart terminals, the terminal ID information and 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n be decoded Key to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client terminal through the application service connection module,
Wherein the application service connection module provides a cloud computing service in response to a request of the client terminal in cooperation with the data processing module and transmits the cloud computing service to each IoT smart terminal stored in the terminal / And provides the client member login cloud web service so that the uniqu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bject are registered, searched, and identified in real time and displayed on the corresponding display screen, Decrypts uniqu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bject for each IoT smart terminal encrypted and stored in the terminal /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using the transmitted decryption key, Register, search and identify in real time Member Login Open Client Web Services cloud networks within the vessel monitoring system using IoT smart terminal comprising providing a display so that the display screen.
상기 응용서비스 연결모듈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상기 단말/객체식별정보 DB에 저장된 각 IoT 스마트 단말에 대한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 및 객체식별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상기 단말/객체식별정보 DB에 저장되는 각 IoT 스마트 단말에 대한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 및 객체식별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를 실시간 등록, 검색 및 식별하여 해당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관련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선박내 IoT 스마트 단말의 모니터링 시스템.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application service connection module may decode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unique to each IoT smart terminal stored in the terminal /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together with th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bject through the client terminal, Provides cloud web services to download keys,
And a decryption key capable of decrypting uniqu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bject for each IoT smart terminal stored in the terminal /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through the client terminal, And providing the cloud web service so that the gateway-related cloud application that can be identifi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can be downloaded. The monitoring system of the IoT smart terminal in the ship us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응용서비스 연결모듈은, 상기 암호화된 각 IoT 스마트 단말에 대한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 및 객체식별정보가 외부의 클라이언트 단말의 요청에 응답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부의 클라우드 서버에 주기적으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고,
각 IoT 스마트 단말에 대한 고유한 단말식별정보는, IoT 스마트 단말의 이름, IoT 스마트 단말의 비밀번호, IoT 스마트 단말의 일련번호, IoT 스마트 단말의 종류, IoT 스마트 단말의 제조회사, IoT 스마트 단말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IoT 스마트 단말의 고유 IP(Internet Protocol) 주소, IoT 스마트 단말의 모델 및 IoT 스마트 단말의 버전, IoT 스마트 단말의 비밀키 또는 PKI 기반의 개인키에 의해 생성된 IoT 스마트 단말의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며,
각 IoT 스마트 단말에 대한 고유한 객체식별정보는, 객체의 이름, 객체의 비밀번호, 객체의 주민번호, 객체의 전화번호, 객체의 주소, 객체의 생체특징정보, 객체의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객체의 OTP(One Time Password), 객체의 공인 인증서 정보, 객체의 일련번호, 객체의 종류, 객체의 제조회사, 객체의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선박내 IoT 스마트 단말의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pplication service connection module may includ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unique to each IoT smart terminal, together with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IoT smart terminals,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an external client terminal, The service is periodically transmitted to the cloud server of the server,
The uniqu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IoT smart terminal includes the name of the IoT smart terminal, the password of the IoT smart terminal, the serial number of the IoT smart terminal, the type of the IoT smart terminal, the manufacturer of the IoT smart terminal, (IoT smart terminal), a public key of the IoT smart terminal, or a private key based on a PKI, based on the IoT smart terminal, the IoT smart terminal, the media access control (MAC) address, the unique IP address of the IoT smart terminal,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The uniqu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IoT smart terminal includes the name of the object, the password of the object, the resident number of the object, the telephone number of the object, the address of the object, biometric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object, PKI (Public Key Infrastructure) Wherein the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OTP (One Time Password) of the object, authorized certificate information of the object, serial number of the object, kind of the object, manufacturer of the object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IoT Smart terminal monitoring system.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상기 통신망 및 상기 IoT 게이트웨이 장치를 통해 각 IoT 스마트 단말로부터 전송된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 및 객체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객체의 관계를 분석하여 각 객체의 이동경로 추정 및 머문 시간을 계산함과 아울러 각 객체의 이동 패턴과 공간별 특성을 반영하여 온톨로지 기반의 상황인지 모델링을 통해 상황을 추론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선박내 IoT 스마트 단말의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entral control server receives uniqu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bject transmitted from each IoT smart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IoT smart terminal, Analyzing the movement path of each object, calculating the time of the moving path of each object, and estimating the situation through the ontology-based context aware modeling by reflecting the movement pattern of each object and the spatial characteristic of each object. Monitoring System of IoT Smart Terminal in Ship Using.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상기 통신망 및 상기 IoT 게이트웨이 장치를 통해 각 IoT 스마트 단말로부터 전송된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선박내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와 미리 저장된 해상의 위치정보를 미리 저장된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맵(Map)과 매칭하여 관리자가 정확하게 각 객체의 단말위치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선박내 IoT 스마트 단말의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entral control server receives uniqu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bject transmitted from each IoT smart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IoT gateway device and receives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object in the ship based on the receive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visually displays on the display screen so that the manager can accurately monitor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of each object by matching the previously store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ea with a previously stored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map (Map). Monitoring system of IoT smart terminal in ship.
상기 선박의 조난 시 해당 선박의 조난자를 구조하기 위한 이동수단에 장착되며, 각 IoT 스마트 단말 또는 상기 IoT 게이트웨이 장치로부터 무선 전송된 각 객체의 단말위치 정보 또는 생체신호 정보와 함께 고유한 단말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객체의 단말위치 또는 생체신호를 미리 저장된 지도에 매칭하여 구조자가 정확하고 간편하게 각 객체의 단말위치 또는 생체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수색용 스캐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선박내 IoT 스마트 단말의 모니터링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navigation device is mounted on a moving means for rescuing a victim of the ship when the ship is in a distress situation, and is provided with uniqu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erminal position information or bio-signal information of each object wirelessly transmitted from each IoT smart terminal or the IoT gateway device A search scanner for visually displaying the terminal position or bio signal of each object on a display screen so that the resident can accurately and easily monitor the terminal position or the bio-signal of each object by matching the terminal position or the bio- Monitoring system of the IoT smart terminal in a ship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6530A KR101932494B1 (en) | 2017-11-22 | 2017-11-22 | System for internet of things smart device monitoring in a vessel using communication network |
PCT/KR2017/013662 WO2019103212A1 (en) | 2017-11-22 | 2017-11-28 | Monitoring system for iot smart terminal in ship using communication networ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6530A KR101932494B1 (en) | 2017-11-22 | 2017-11-22 | System for internet of things smart device monitoring in a vessel using communication network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32494B1 true KR101932494B1 (en) | 2018-12-24 |
Family
ID=65010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56530A Active KR101932494B1 (en) | 2017-11-22 | 2017-11-22 | System for internet of things smart device monitoring in a vessel using communication network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932494B1 (en) |
WO (1) | WO2019103212A1 (en)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025335A (en) * | 2019-12-27 | 2020-04-17 | 陶广亚 | Material positioning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
CN111083676A (en) * | 2019-12-30 | 2020-04-28 | 深圳蓝奥声科技有限公司 | Wireless linkage monitoring method, device and system |
KR20210000966A (en) * | 2019-06-26 | 2021-01-07 | 곽권섭 | Remote vessel real time monitoring system with enhanced vessel tracking methodology using LPWA - IoT device via mobile telecom |
KR102200080B1 (en) * | 2019-08-14 | 2021-01-08 | 한국공항공사 | Failure in control communication equipment integrated alarm system and method thereof |
KR20210007610A (en) * | 2019-07-12 | 2021-01-20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Internet of things hub of ships |
WO2021040136A1 (en) * | 2019-08-30 | 2021-03-04 | (주)에프에스알엔티 | Smart monitoring and search scanning system and method using lpwan |
WO2021125377A1 (en) * | 2019-12-18 | 2021-06-24 | (주)에너캠프 | Portable energy storage system for relief system |
WO2022149918A1 (en) * | 2021-01-07 | 2022-07-14 | (주)지티에이컴 | Private internet of things system for detecting location of thing, and method for detecting location of thing using same |
CN114879994A (en) * | 2022-05-23 | 2022-08-09 | 新诺北斗航科信息技术(厦门)股份有限公司 | Online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burning of AIS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static information of ship |
KR20220159593A (en) * | 2021-05-26 | 2022-12-05 | 주식회사 이에스피 | Process schedule optim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change of the quay line |
WO2024147484A1 (en) * | 2023-01-02 | 2024-07-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WO2025048155A1 (en) * | 2023-08-25 | 2025-03-06 | 삼성전자 주식회사 |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719495B (en) * | 2019-06-06 | 2021-02-21 | 威力工業網絡股份有限公司 | Disaster short message coverage detection method and system |
CN111083693A (en) * | 2019-12-12 | 2020-04-28 | 泰斗微电子科技有限公司 | Positioning data processing method, positioning terminal and positioning server |
CN112383894A (en) * | 2020-11-13 | 2021-02-19 | 镇江赛尔尼柯自动化有限公司 | Centralized ship-shore data monitoring device |
CN113162673A (en) * | 2020-12-29 | 2021-07-23 | 蓝盾信息安全技术有限公司 | Fine control public informatization platform combined with marine intelligent gateway |
CN116405410A (en) * | 2023-05-06 | 2023-07-07 | 中国人民解放军国防科技大学 | A method, device, device and medium for network monitoring of simulation applications |
CN118411856B (en) * | 2024-07-03 | 2024-10-18 | 福建省计量科学研究院(福建省眼镜质量检验站) | Sea area safety early warning method for ship law enforcement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2430B1 (en) * | 2014-10-22 | 2016-03-10 | (주)케이웍스 | Emergency rescue managing system and method |
KR101608151B1 (en) * | 2014-10-20 | 2016-04-14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Iot life belt and system of ship disaster rescue using the same and method there of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0383B1 (en) * | 2012-06-13 | 2013-04-05 | 에이큐 주식회사 | Emergenc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nfc and method thereof |
KR20140078020A (en) * | 2012-12-14 | 2014-06-25 | (주) 지씨에스씨 | Realtime monitoring system of the sea circumstances using mobile network |
KR20160012535A (en) * | 2014-07-24 | 2016-02-03 | (주)보타바이오 | Passenger position mor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of the same |
KR101689349B1 (en) * | 2015-05-18 | 2016-12-26 |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 Logistics IoT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supporting bidirectional communication |
-
2017
- 2017-11-22 KR KR1020170156530A patent/KR101932494B1/en active Active
- 2017-11-28 WO PCT/KR2017/013662 patent/WO2019103212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8151B1 (en) * | 2014-10-20 | 2016-04-14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Iot life belt and system of ship disaster rescue using the same and method there of |
KR101602430B1 (en) * | 2014-10-22 | 2016-03-10 | (주)케이웍스 | Emergency rescue managing system and method |
Cited B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52899B1 (en) * | 2019-06-26 | 2021-05-17 | 곽권섭 | Remote vessel real time monitoring system with enhanced vessel tracking methodology using LPWA - IoT device via mobile telecom |
KR20210000966A (en) * | 2019-06-26 | 2021-01-07 | 곽권섭 | Remote vessel real time monitoring system with enhanced vessel tracking methodology using LPWA - IoT device via mobile telecom |
KR20210007610A (en) * | 2019-07-12 | 2021-01-20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Internet of things hub of ships |
KR102211429B1 (en) | 2019-07-12 | 2021-02-03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Internet of things hub of ships |
KR102200080B1 (en) * | 2019-08-14 | 2021-01-08 | 한국공항공사 | Failure in control communication equipment integrated alarm system and method thereof |
WO2021040136A1 (en) * | 2019-08-30 | 2021-03-04 | (주)에프에스알엔티 | Smart monitoring and search scanning system and method using lpwan |
WO2021125377A1 (en) * | 2019-12-18 | 2021-06-24 | (주)에너캠프 | Portable energy storage system for relief system |
CN111025335A (en) * | 2019-12-27 | 2020-04-17 | 陶广亚 | Material positioning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
CN111083676A (en) * | 2019-12-30 | 2020-04-28 | 深圳蓝奥声科技有限公司 | Wireless linkage monitoring method, device and system |
CN111083676B (en) * | 2019-12-30 | 2023-04-11 | 深圳蓝奥声科技有限公司 | Wireless linkage monitoring method, device and system |
WO2022149918A1 (en) * | 2021-01-07 | 2022-07-14 | (주)지티에이컴 | Private internet of things system for detecting location of thing, and method for detecting location of thing using same |
KR20220159593A (en) * | 2021-05-26 | 2022-12-05 | 주식회사 이에스피 | Process schedule optim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change of the quay line |
KR102558165B1 (en) | 2021-05-26 | 2023-07-21 | 주식회사 이에스피 | Process schedule optim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change of the quay line |
CN114879994A (en) * | 2022-05-23 | 2022-08-09 | 新诺北斗航科信息技术(厦门)股份有限公司 | Online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burning of AIS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static information of ship |
WO2024147484A1 (en) * | 2023-01-02 | 2024-07-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WO2025048155A1 (en) * | 2023-08-25 | 2025-03-06 | 삼성전자 주식회사 |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9103212A1 (en) | 2019-05-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32494B1 (en) | System for internet of things smart device monitoring in a vessel using communication network | |
US10834482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ing first responder technologies | |
US12184803B2 (en) | Unmanned aerial vehicle emergency dispatch and diagnostics data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 |
CA3073043C (en) | Method and device for responding to a query | |
US10332376B2 (en) | Workplace management system and wearable device therefor | |
US10496887B2 (en) |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ommunication device to provide alerts | |
US10866950B2 (en) | Method and system for modifying a search request corresponding to a person, object, or entity (POE) of interest | |
CN106471860B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1928519B1 (en) | Healthcare service system using security-enhanced residential gateway device | |
KR101933638B1 (en) | Wellness service system using security-enhanced residential gateway device | |
CN113408006B (en) | Monitoring data access method and device, indoor monitoring system and storage medium | |
WO2019093677A1 (en) | Three-dimensional based electronic navigational chart display system | |
KR102062702B1 (en) | Method for position determination of objects in a vessel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 |
US11397796B2 (en) |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ccess authorizations of devices | |
US11380099B2 (en) |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ommunication device to provide notifications of successful documentation of events | |
KR20220027039A (en) | Disaster evacuation control and management system based on digital twin | |
US20140176329A1 (en) | System for emergency rescue | |
EP3907985B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shoulder speaker microphone device with an integrated thermal imaging device | |
US20170098118A1 (en) | Face recognition using concealed mobile camera | |
US20170162032A1 (en) | Personal security | |
KR102240772B1 (en) | Watch type smart wearable device and monitor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 |
US11036742B2 (en) | Query result allocation based on cognitive load | |
AU2022366694A1 (en) | Electronic restraint device | |
Aysolal et al. | Real-time Soldier Health and Location Tracking System | |
US12079266B2 (en) | Image-assisted field verification of query respons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7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2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12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