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2189B1 - Media deposit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thereof - Google Patents
Media deposit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32189B1 KR101932189B1 KR1020160086652A KR20160086652A KR101932189B1 KR 101932189 B1 KR101932189 B1 KR 101932189B1 KR 1020160086652 A KR1020160086652 A KR 1020160086652A KR 20160086652 A KR20160086652 A KR 20160086652A KR 101932189 B1 KR101932189 B1 KR 1019321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dium
- guide
- unit
- bar
- pres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2—Depositing operations within ATMs
-
- G07D11/0018—
-
- G07D11/0021—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4—Inlet or outlet port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입금장치는 매체가 이송되기 전에 일시적으로 적치되는 가이드부, 및 가이드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가이드부에 적치된 매체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유닛을 포함한다.The medium deposi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uide portion temporarily placed before the medium is conveyed and a pressing unit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guide portion and selectively pressurizing the medium mounted on the guide portion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Description
본 발명은 매체 입금장치 및 금융기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um depositing apparatus and a financial apparatus.
일반적으로 입금장치 또는 계수기를 사용할 시, 금융업무를 하고 있는 곳에서 매체의 수량을 센 후, 입금을 하곤 한다. In general, when using a deposit device or a counter, the amount of the medium is counted in the place where the financial business is performed, and then the deposit is made.
사용자나 고객은 계수기에 표시된 카운터 값을 신뢰하게 되는데, 계수기는 지폐의 수량만을 나타내는 카운터 값을 기기가 작동하는 동안에만 보여주기 때문에 차후 발생할지도 모르는 사용자나 고객의 실수, 기기오류, 매체가 분리가 되지 않은채로 입금장치에 매체가 인입되는 문제점 등이 발생하였다.The user or the customer trusts the counter value displayed on the counter. Since the counter only displays the counter value indicating the quantity of the bill only during the operation of the device, it is possible that the mistake of the user or the custom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edium is drawn into the depositing apparatus while it is not being used.
이는, 금융업무의 투명성을 해치고, 나아가서는 사용자나 고객에게 불안감을 조성해 신용의 손상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This hurts the transparency of financial services and, furthermore, creates anxiety for users and customers, thereby damaging credit.
따라서, 매체를 입금할 시, 매체의 분리가 잘되어, 낱장씩 매체가 입금부에 인입되는 장치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when depositing the medium,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device in which the medium is separated well and the medium is introduced into the deposit unit one by on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매체가 들뜸현상에 의하여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적층식으로 복수개 놓여지는 매체를 가압하여, 입금부로 매체를 이송시킴으로써, 낱장으로 매체가 입금부로 이송될 수 있는 매체 입금장치 및 금융기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lurality of media placed in a stacked manner is pressed to transfer a medium to a deposit unit, And to provide a medium depositing apparatus and a financial instrument which can be transferred to a depositing se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일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매체의 이송을 위해 금융기기에 구비되는 매체 입금장치는 매체가 이송되기 전에 일시적으로 적치되는 가이드부 및 가이드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가이드부에 적치된 매체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유닛은, 가이드부의 상측에서 매체의 이송방향에 수직하게 수평으로 배치되어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회전바와, 회전바가 소정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회전하게 회전바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 및 탄성부재에 의해 회전바가 탄성적으로 회전함에 따라 회전바를 축으로 가이드부를 향해 회동하여, 가이드부에 적치된 매체를 가압하는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유닛은, 덮개가 가이드부에서 이격되어 매체의 적치를 방해하지 않는 제1 위치와, 덮개가 가이드부에 인접하여 가이드부에 적치된 매체를 가압하는 제2 위치의 사이에서 회동할 수 있다. 덮개는, 회전바에 일단이 연결되고, 회전바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타단이 연장되는 지지부 및 지지부의 타단에 연결되고, 제2 위치에서 가이드부를 바라보게 형성되어 매체를 가압하는 가압면을 구비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에 의한 복원력보다 크도록 구성되며, 덮개를 제1 위치에 고정하는 걸림유닛을 더 포함하며, 걸림유닛은, 가이드부의 상측에 구비된 고정부 및 고정부에 결합되되, 가압부의 말단에 구비된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입금장치는 가이드부에 매설되어 일부가 가이드부에 적치된 매체를 향해 노출되고, 매체와 접촉하여 회전에 의해 매체를 낱장씩 매체의 이송로로 반송하는 롤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덮개의 가압부는 제2 위치에서 롤러부에 대응되게 위치하여, 가이드부에 적치된 매체를 가압면을 통해 롤러부를 향해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a medium depositing apparatus provided in a financial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uide unit temporarily mounted on a medium before the medium is conveyed, and a conveying unit provided on the guide unit for conveying the medium placed on the guide unit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nd may include a pressurizing unit that selectively pressurizes. The pressing unit includes a rotating bar arranged horizontally perpendicularly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medium at the upper side of the guide unit and rotating in place, an elastic member for giving a restoring force to the rotating bar so that the rotating bar elastically rotate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a lid which rotates the rotary bar toward the guide portion as the bar rotates in a sexual manner and presses the medium placed on the guide portion. The pressing unit can pivot between a first position in which the lid is spaced apart from the guide portion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mounting of the medium and a second position in which the lid abuts against the guide portion and is pressed against the guide. The lid is connected to the rotary bar at one end and to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at its other end extending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rotary bar and at the second position so as to face the guide, . And a locking unit that is configured to be larger than a restoring force by the elastic member and fix the lid at the first position, wherein the locking unit is coupled to the fixing portion and the fixing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guide portion, As shown in FIG.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dia depositing apparatus, comprising: a plurality of rollers which are embedded in a guide portion and partially exposed to a medium mounted on a guide portion, And the like. The pressing portion of the cover may b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roller portion at the second position and configured to press the medium placed on the guide portion toward the roller portion through the pressing surface.
또 다른 예에서, 덮개의 가압부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해 가압부를 관통하게 형성되는 파지홈을 포함하는 매체 입금장치. In another example, the pressing portion of the cover includes a holding groove formed to penetrate the pressing portion for holding the user.
삭제delete
또 다른 예에서, 걸림부는 가압부의 일단에 자성부가 구비된 제1 걸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yet another example, the latch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first latching portion having a magnetic portion at one end of the pressing portion.
또 다른 예에서, 고정부는 가이드부의 상측에 자성부가 구비된 제1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의 자성부는 제1 걸림부가 제1 위치에 고정되도록 탄성부재에 의한 복원력보다 큰 인력에 의하여 제1 걸림부의 자성부를 끌어당기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fixing portion may include a first fixing portion having a magnetic por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guide portion. The magnetic portion of the first fixing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pull the magnetic portion of the first locking portion by a force larger than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so that the first locking portion is fixed at the first position.
삭제delete
또 다른 예에서, 걸림부는 가압부의 말단에 복원성 재질이 구비된 제2 걸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yet another example, the latch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latching portion having a resilient material at an end of the pressing portion.
또 다른 예에서, 고정부는 가이드부의 상측에 바가 구비된 제2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걸림부가 제1 위치에 위치할 경우, 제2 걸림부는 바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제2 걸림부가 제2 위치로 이동할 경우, 바를 감싸는 제2 걸림부의 구속이 해제되어, 복원력에 의하여 제2 걸림부는 본래의 상태로 복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금융기기는 입금이나 계수를 위해 매체가 인입되는 인입부, 인입부에 인입된 매체를 보관하는 매체보관유닛, 매체가 인입되기 전에 일시적으로 적치되는 가이드부, 가이드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가이드부에 적치된 매체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유닛은, 가이드부의 상측에서 매체의 이송방향에 수직하게 수평으로 배치되어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회전바와, 회전바가 소정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회전하게 회전바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 및 탄성부재에 의해 회전바가 탄성적으로 회전함에 따라 회전바를 축으로 가이드부를 향해 회동하여, 가이드부에 적치된 매체를 가압하는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유닛은, 덮개가 가이드부에서 이격되어 매체의 적치를 방해하지 않는 제1 위치와, 덮개가 가이드부에 인접하여 가이드부에 적치된 매체를 가압하는 제2 위치의 사이에서 회동할 수 있다. 덮개는, 회전바에 일단이 연결되고, 회전바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타단이 연장되는 지지부 및 지지부의 타단에 연결되고, 제2 위치에서 가이드부를 바라보게 형성되어 매체를 가압하는 가압면을 구비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에 의한 복원력보다 크도록 구성되며, 덮개를 제1 위치에 고정하는 걸림유닛을 더 포함하며, 걸림유닛은, 가이드부의 상측에 구비된 고정부 및 고정부에 결합되되, 가압부의 말단에 구비된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fixing portion may include a second fixing portion having a bar on the upper side of the guide portion. When the second latching portion is located at the first position, the second latching portion is formed to surround the bar. When the second latching portion moves to the second position, the restraint of the second latching portion surrounding the bar is released, The latching portion can be configured to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In another example, a financial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nancial instrument comprising: an inlet for receiving a medium for depositing or counting, a medium storage unit for storing a medium drawn into the inlet, a guide portion temporarily secured before the medium is drawn, And a pressing unit which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guide portion and selectively presses the medium mounted on the guide portion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The pressing unit includes a rotating bar arranged horizontally perpendicularly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medium at the upper side of the guide unit and rotating in place, an elastic member for giving a restoring force to the rotating bar so that the rotating bar elastically rotate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a lid which rotates the rotary bar toward the guide portion as the bar rotates in a sexual manner and presses the medium placed on the guide portion. The pressing unit can pivot between a first position in which the lid is spaced apart from the guide portion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mounting of the medium and a second position in which the lid abuts against the guide portion and is pressed against the guide. The lid is connected to the rotary bar at one end and to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at its other end extending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rotary bar and at the second position so as to face the guide, . And a locking unit that is configured to be larger than a restoring force by the elastic member and fix the lid at the first position, wherein the locking unit is coupled to the fixing portion and the fixing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guide portion, As shown in FIG.
삭제delet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매체 입금장치 및 금융기기를 이용하면, 적층식으로 복수개 놓여지는 매체를 가압부가 가압함으로써, 매체간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아, 들뜨지 않으며, 이송부 작동에 의하여 매체는 낱장씩 분리되어, 이송로로 이송됨으로써, 기기 작동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By using the medium depositing device and the financial instrum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dium to be laid in a plurality of stacked layers is pressed by the pressurizing portion, so that a gap is not generated between the mediums, By separating the sheets one by one and conveying them to the conveying path, the quality of operation of the apparatus can be improved.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를 간략적으로 보여주는 간략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체 입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가압유닛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한 것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다.
도 7은 걸림유닛의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간략도이다.
도 8은 도 7의 다른 실시예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implified diagram illustrating a financial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financial instr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edium deposi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of Figure 3;
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pressing unit of Fig. 3 moving in the first direction; Fig.
Fig. 6 is a side view of Fig. 5. Fig.
Fig. 7 is a simplified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latching unit. Fig.
Fig. 8 is another embodiment of Fig. 7. Fig.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difference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conclusi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Quo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는 일 예로 지폐, 증권, 지로, 동전, 상품권 등과 같은 다양한 매체를 입수하여 입금 처리, 지로 수납, 상품권 교환 등과 같은 처리 및/또는 출금 처리, 지로 방출, 상품권 방출 등과 같은 처리와 같은 매체 처리를 수행하는 금융 업무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금융기기의 예로는 현금 방출기 (CD: Cash Dispenser), 현금 입출금기 (Cash Recycling Device) 등과 같은 금융자동화기기 (ATM: Automatic Teller Machine) 등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금융기기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FIS (Financial Information System)와 같이 금융 업무를 자동화하는 장치가 될 수도 있다. The financi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financial device that obtains various media such as banknotes, securities, bills, coins, vouchers, etc. to process and process transactions such as deposit processing, And the like, and performs a financial task to perform the media processing such as the processing such as the release. Examples of such financial instruments may include an automatic teller machine (ATM) such as a cash dispenser (CD), a cash recycling machine, and the like. However, the financial instrumen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and may be a device for automating financial business such as FIS (Financial Information System).
이하에서는 금융기기가 금융기관 텔러 전용 자동현금관리기(TCR)인 것으로 가정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가정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금융자동화기기에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financial instrument is a TCR for a financial institution teller. However, this assumption i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inancial automation equipment.
금융기기는 일 예로 지폐, 증권, 지로, 동전, 상품권 등과 같은 다양한 매체를 입수하여 입금 처리, 지로 수납, 상품권 교환 등과 같은 처리 및/또는 출금 처리, 지로 방출, 상품권 방출 등과 같은 처리와 같은 매체 처리를 수행하는 금융 업무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금융기기의 예로는 현금 방출기(CD: Cash Dispenser), 현금 입출금기(Cash Recycling Device) 등과 같은 금융자동화기기(ATM: Automatic Teller Machine) 등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금융기기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FIS(Financial Information System)와 같이 금융 업무를 자동화하는 장치가 될 수도 있다.Financial instruments are various media such as banknotes, securities, bills, coins, vouchers, etc., which are processed and processed such as deposit processing, paper storage, voucher exchange and / And the like. Examples of such a financial instrument may be an automatic teller machine (ATM) such as a cash dispenser (CD), a cash recycling machine, or the like. However, the financial instrumen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and may be a device for automating financial business such as FIS (Financial Informat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금융기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간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금융기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금융기기는 매체를 처리하기 위한 매체처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financi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financi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1 and 2, a financial instrument may include a media processing apparatus for processing media.
금융기기(1)는, 고객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고객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inancial instrument (1) may further include a customer information obtaining section for obtaining customer information.
고객정보 획득부는, 통장의 입출이 가능하도록 하고 통장을 인식하기 위한 통장 처리 모듈(6)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고객정보 획득부는, 카드의 입출이 가능하고 카드를 인식하기 위한 카드 처리 모듈(7)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ustomer information obtaining section may include a passbook processing module (6) for enabling the entry and exit of the passbook and recognizing the passbook. Alternatively, the customer information obtaining section may include a
본 실시 예에서 고객정보 획득부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근거리 통신, RFID 태그 또는 USB에 기록된 정보를 획득하거나 지문 등과 같은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고객 정보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is embodiment,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type of the customer information obtaining unit, and it is also possible to acquire th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the RFID tag or the USB, or obtain the customer information by using the biometric information such as the fingerprint.
금융기기(1)는,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메뉴와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고,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 받을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금융기기(1)는 매체처리장치 및 금융기기의 고객정보 획득부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8) 등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매체처리장치를 제어하는 매체처리장치 제어부와, 금융기기를 제어하는 금융기기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매체처리장치는 상부 모듈과, 하부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모듈은 하부 모듈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하부 모듈에 움직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상부 모듈과 하부 모듈이 연결되지 않고 다만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media processing apparatus may include an upper module and a lower module. The upper module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lower module or may be movably connected to the lower module.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upper module and the lower module are not connected but just kept in contact with each other.
매체처리장치는, 매체의 입금을 위한 인입부(2) 및 출금을 위한 출금부(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dia processing apparatus may include an
인입부(2) 및 출금부(3)는 고객에 의해 접근 가능한 매체 수납공간을 포함할 수 있고, 매체 수납공간은 셔텨(Shutter) 및/또는 커버(cover) 등과 같은 가림부재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으며, 때로는 개폐되지 않고 개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매체 수납공간 측에는 가압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인입부(2) 및 출금부(3)는 예를 들어 지폐, 수표 및 상품권과 같은, 다수 종류의 매체가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는 공통 입출부 역할을 할 수 있다. 매체는 낱장 또는 번들 단위로 입출부에 투입될 수 있다. 또한, 매체가 낱장 또는 번들 단위로 입출부로 방출될 수 있다. The
또는, 인입부(2) 및 출금부(3)는 매체가 인입되는 인입 공간과 매체가 인출되는 인출 공간이 구분될 수 있다. 인입부(2) 및 출금부(3)는 독립적인 매체 인입 모듈과 매체 인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lead-in
매체처리장치는, 감별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감별 모듈은 매체의 입금 거래 과정, 출금 거래 과정 등에서 매체의 권종, 두께, 금액 등을 식별하거나, 불량 매체를 판별할 수 있다. The medium process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iscrimination module. The discrimination module can identify the denomination, the thickness, the amount of the denomination of the medium or the defective medium in the process of the deposit transaction of the medium and the process of the withdrawal transaction.
매체처리장치는, 매체를 일시적으로 집적하기 위한 일시 집적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시 집적 모듈은 고객이 매체를 금융기기에 입금하고자 하는 경우, 인입부(2)를 통하여 수납된 매체를 일시적으로 집적할 수 있다. The medium process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temporary integration module for temporarily integrating the medium. The temporary accumulation module can temporarily accumulate the media received through the
일시 집적 모듈에 집적된 매체는 고객이 매체 수납을 최종적으로 결정한 때에 매체보관유닛(5)으로 이송될 수 있다. The medium integrated in the temporary integration module can be transferred to the
매체처리장치는, 매체를 보관하기 위한 매체보관유닛(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입부(2)에 입금된 매체는 연결 경로를 통해 매체보관유닛(5)으로 안내될 수 있다. 매체보관유닛(5)은 복수개의 매체를 저장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카세트(4)를 구비할 수 있으며, 카세트(4)는 1개의 집적 공간을 가지는 1단의 카세트일 수도 있고, 2개의 집적 공간을 가지는 2단의 카세트일 수도 있다. The medium process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다수의 매체보관유닛(5)은 하나 이상의 지폐 보관 모듈과, 하나 이상의 수표 보관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지폐 보관 모듈 및 수표 보관 모듈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다른 예로서, 매체보관유닛(5)은 지폐 보관 모듈 만 또는 수표 보관 모듈 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다수의 매체보관유닛(5)은 상품권, 유가증권, 티켓 등을 보관하는 보관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수표 보관 모듈이 상품권, 유가증권, 티켓 등을 보관하는 보관 모듈로 대체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매체처리장치는, 매체를 보충하거나 회수하기 위한 보충회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충회수 모듈에는 매체보관유닛(5)에 보충할 매체 및 매체보관유닛(5)으로부터 회수된 매체 중 하나 이상의 매체가 보관될 수 있다. The media process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replenishment recovery module for replenishing or recovering the medium. The replenishment recovery module may store the medium to be supplemented in the
매체처리장치는, 회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수 모듈에는, 매체의 입금 거래 과정, 매체의 출금 거래 과정, 매체의 보충 과정 및 매체의 회수 과정 중 하나 이상의 과정에서 불량 매체인 것으로 판단된 매체를 회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media process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ollection module. The recovery module may be configured to recover a medium that is determined to be a defective medium in at least one of the process of depositing the medium, the process of withdrawing the medium, the process of supplementing the medium, and the recovery process of the medium.
또한, 매체처리장치는, 금융기기에 수표 입/출금 기능이 포함 될 경우 매체 입금부(2)로부터 이송된 입금 수표가 회수되는 입금 수표 회수 공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입금 수표는 금융기기를 운용하는 은행에서 발행된 자행 수표와 다른 은행으로부터 발행된 타행 수표가 구분되어 회수될 수 있다. 입금 수표 회수 공간은 회수 모듈과 별도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회수 모듈 내에 구획된 공간에 구분되어 집적될 수도 있다. 회수 모듈 및/또는 수표 회수 공간은 계원 또는 관리자 등이 도어를 개방시켜 회수 모듈 및/또는 수표 회수 공간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금융기기의 최후측에 위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edia process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eposit check collection space in which the deposit check transferred from the
또한, 인입부(2) 측에는 매체 입금장치를 포함한다. 매체 입금장치는 인입부(2)로 매체가 인입되기 전에 일시적으로 적치되는 가이드부와, 가이드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가이드부에 적치된 매체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후술할 덮개유닛을 포함한다. Incidentally,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체 입금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체 입금장치(100)는 가이드부(10)와 가압유닛(50)을 포함한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edium deposi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ide view of FIG. As shown in Figs. 3 to 4, the
먼저, 가이드부(10)에 대해 살펴본다. 가이드부(10)는 매체가 입금되기 전에 일시적으로 매체가 적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치된 매체를 지지하도록 가이드부(10)의 수직방향에 안내부(13)가 포함될 수 있다. 적치된 매체의 장변을 안내부(13)가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가이드부(10)의 측면에는 보호부(1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보호부(14)는 적치된 매체의 단변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호부(14)는 매체의 길이에 따라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보호부(14)는 매체의 길이에 따라, 매체의 양 단변을 가이드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호부(14)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일단에 구비된 보호부는 고정형태, 타단에 구비된 보호부는 매체의 길이에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First, the
복수개 적치된 매체를 이송로(16)로 인입시키기 위하여, 가이드부(10)의 하측에는 롤러부(20)가 구비될 수 있다. A
롤러부(20)는 픽업롤러 일 수 있으며, 롤러부(20)는 가이드부(10)에 매설되어 일부가 가이드부(10)에 적치된 매체를 향해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롤러부(20)와 근접거리에는 분리부(19)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분리부(19)는 가이드부(10)에 집적된 매체 다발의 최 하측의 매체를 매체 다발로부터 낱장단위로 분리하기 위하여, 피드롤러(17), 게이트 롤러(18)를 포함할 수 있다.The
롤러부(20)에 의해 분리된 매체를 이송로(16)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롤러부(20)의 측면에는 피드롤러(17)가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롤러부(20)에 의해 분리되어 이송되는 매체가 2매 이상일 경우, 매체를 1매씩 이송시키도록 매체에 마찰력을 부가하기 위하여, 피드 롤러(17)와 대향되게 게이트 롤러(18)가 구비될 수 있다. A
게이트 롤러(18)는 정지동작을 수행하거나, 피드롤러(17)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여 매체를 낱장으로 분리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분리부(19) 및 롤러부(20)는 매체를 낱장씩 분리하여, 매체를 이송로(16)로 인입시켜, 매체를 저장하거나 계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다음으로 가압유닛(50)에 대하여 살펴본다. 가압유닛(50)은 안내부(13)에 구비되어 가이드부(10)에 적치된 매체를 롤러부(20)측으로 가압하도록 상측에서 하측으로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Next, the
가압유닛(50)은 회전바(40), 탄성부재(41), 덮개(3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바(40)는 안내부(13)의 상측에 구비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전바(40)는 매체가 입금 혹은 계수되기 위하여, 이송되는 이송로(16)에 수직하게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회전바(40)에 후술할 덮개가 구비되어, 회전바(40)의 축을 중심으로 덮개(30)가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ressurizing
회전바(40)의 회전에 의하여, 덮개(30)는 가이드부(10)로부터 이격되어 매체의 적치를 방해하지 않는 제1 위치와, 덮개(30)가 가이드부(10)에 인접하여 가이드부(10)에 적치된 매체를 가압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회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회전바(40)가 제1 위치, 제2 위치 방향으로 탄성력있게 회전하기 위하여, 회전바(40)에 탄성부재(41)가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41)는 회전바(40)에 복원력을 부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회전바(40)에 구비된 덮개가 (제1 위치) 상향으로 들어 올려질 경우, 회전바(40)의 일측에 구비된 탄성부재(41)의 탄성력에 의하여, 덮개는 원래 위치(제2 위치)에 있던, 하향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41)는 덮개(30)가 적치된 매체를 롤러부(20) 측을 향해 가압력을 부여할 수 있게 상측에서 하측으로 회동하도록 회전바(40)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41)의 탄성력에 의하여 회전바(40)는 유격 없이 부드럽게 회동하며, 복원력에 의하여 제 자리로 복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일예로, 가압유닛(50)은 안내부(13)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매체가 많을 경우, 사용자는 가압유닛(50)을 안내부(13)로부터 분리하여, 손으로 매체를 가압하여, 매체를 이송로(16)로 이송시키는 구성도 가능하다. For example, the pressurizing
또한, 안내부(13)에 매체의 집적 높이를 감지하는 감지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감지부는 기설정된 위치까지, 즉 복수개 적층된 매체가 일정 높이까지 적층될 경우, 제1 위치에 위치한 가압유닛(50)의 록킹을 해제하여, 가압유닛(50)을 제2 위치 쪽으로 회전시켜, 가압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다음으로 덮개(30)에 대하여 살펴본다. 덮개(30)는 지지부(31)와, 가압부(36)를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지지부(31)의 일단은 회전바(40)와 연결될 수 있으며, 회전바(4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타단이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일단으로부터 타단은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31)의 형태는 ㄴ자 형상일 수 있다. One end of the
지지부(31)의 타단에는 가압부(36)가 구비될 수 있다. 가압부(36)는 적치된 매체를 향하여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덮개(3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의 기준으로, 가압부(36)는 가이드부(10)를 바라보게 형성될 수 있다.The
가이드부(10)와 마주하는 가압부(36)의 바닥측에는 매체를 가압하는 가압면(33)이 구비될 수 있다. 가압면(33)은 가이드부(10)의 상측에 적치된 매체와 접촉하여, 상기 적치된 매체를 전술한 롤러부(20) 방향으로 가압시킬 수 있다.On the bottom side of the
일예로, 가압부(36)는 제2 위치에서 롤러부(20)에 대응되게 위치하여, 적치된 매체의 상측은 가압면(33)이 가압하고, 매체의 하단은 롤러부(20)의 회전에 의하여 매체를 낱장으로 분리하여, 이송로(16)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가압유닛(50)이 가압동작을 수행할 시, 복수개의 매체의 상측에는 가압면(33)이 가압하고, 하측에는 롤러부(20)와 접촉되어, 복수개의 매체는 마찰에 의하여 이송로(16)로 매체가 낱장씩 이송될 수 있다.When the
매체가 소량으로 집적될 경우시, 매체와 롤러부(20)의 마찰력을 작아지지 않게 하기 위하여, 가압유닛(50)이 하향방향으로 이동하여, 매체와 롤러부(20)사이의 마찰력을 높게 형성하여, 매체를 낱장씩 분리가 쉽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일예로, 가이드부(10)의 일측에는 센서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센서부(미도시)는 매체가 가이드부(10)에 놓아졌는지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센서부(미도시)는 물체 감지센서일 수 있으며, 매체가 감지되면 매체는 이송로(16)로 인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반대로, 매체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가이드부(10) 상에 매체가 없음을 인지하여, 분리 동작을 멈추거나 알람을 송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매체가 없거나, 기설정된 수량의 매체가 없을 경우, 센서부(미도시)는 알람을 송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a sensor unit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도 5는 도 3의 가압유닛이 제1방향으로 이동한 것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다. 이하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Fig. 5 is a front view of the pressurizing unit of Fig. 3 in a first direction, and Fig. 6 is a side view of Fig. 5. Fig. In the follow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nd redundant explanations are omitted.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가압유닛(50)이 제2 위치에 있을 경우, 가압유닛(50)이 복수개의 매체를 가압하게 되어, 복수개의 매체는 들뜸 현상이 없이 가이드부(10)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Fig. When the
여기에서의 제2 위치라 함은 매체를 가압하는 상태일 수 있으며, 제1 위치는 제2 위치와 반대로, 매체를 가압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Here, the second position may be a state of pressing the medium, and the first position may be a state in which the medium is not pressed, as opposed to the second position.
매체가 가이드부(10) 상에 위치할 경우, 롤러부(20)의 회전에 의하여 매체가 들뜸 현상이 일어날 수 있으나, 매체의 상측에서 가압면(33)이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매체는 롤러부(20)와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롤러부(20)와의 마찰력에 의하여, 매체는 한장씩 분리되어, 이송로(16)쪽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medium is positioned on the
매체가 모두 이송로(16)로 이송될 경우, 가압유닛(50)은 제1 위치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후, 가이드부(10)에 매체가 적재될 경우, 복수개의 매체가 분리되어 이송되고, 이 때, 투입된 매체가 적어 롤러부(20)에 의해 매체가 잘 분리되지 않을 경우, 제1 위치에 고정된 가압유닛(50)은 록킹을 해제하여, 적은 매수의 매체를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medium is all conveyed to the conveying
매체가 이송로(16)로 모두 이송되어, 새로운 매체를 다시 이송시킬 경우시, 도 3에 도시된 덮개(30)의 위치인 제2 위치에서, 도 5에 도시된 제1 위치로 회전할 수 있다. When the medium is completely transported to the
가압부(36)의 일측에는 가압부 조작을 용이하도록 하는 파지홈(53)이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가 가압유닛(50)을 제1 위치로 이동시킬 경우, 파지홈(53)에 손가락을 끼워 일정이상의 힘을 가하여, 덮개를 들어올릴 수 있게 관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덮개를 들어올릴 경우, 회전바(40)와 덮개는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회전할 수 있다. A gripping groove (53) for facilitating the operation of the pressing portion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pressing portion (36). For example, when the user moves the
덮개를 제1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안내부(13)측에는 가압부(36)를 고정하도록 걸림유닛(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걸림유닛(60)에 의하여, 가압부(36)는 안내부(13)에 고정되어, 덮개(30)가 제2 위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걸림유닛(60)은 자성체, 후크, 스냅 결합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In order to fix the lid to the first position, the
도 7은 본 발명의 걸림유닛의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간략도이다.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operation of the latch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In the follow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nd redundant explanations are omitted.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걸림유닛(60)은 제1 고정부(61)와 제1 걸림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걸림부(63)는 가압부(36)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고정부(61)는 안내부(13)에 구비되어, 제1 걸림부(63)가 제1 고정부(61)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engaging
일예로, 제1 걸림부(63)는 가압부(36)의 끝단에 자성부(72)가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제1 고정부(61)는, 제1 걸림부(63)의 자성부(72)를 끌어당기도록 자성부(71)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고정부(61)의 자성부(71)는 제1 걸림부(63)가 제1 위치에 고정되도록 탄성부재(41)에 의한 복원력보다 큰 자력으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engaging
일예로, 파지홈(53)에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운 후, 덮개(30)을 제1 위치에 놓을 경우, 제1 고정부(61)와 제1 걸림부(63)는 인력에 의하여 서로 당기도록 구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puts the finger on the
이때, 안내부(13)에 구비된 자성부(71)는 가압부(36)에 구비된 자성부(72)와 접촉됨으로써, 인력에 의하여, 안내부(13)에 덮개(30)가 고정될 수 있다. 이는, 가압작용을 마친 덮개(30)를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회전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the
이후, 덮개(30)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일정 힘을 가하여, 덮개(30)를 제2 위치 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제1 고정부(61)에 구속된 제1 걸림부(63)는 구속이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reafter, when the
도 8은 도 7의 다른 실시예이다. 이하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Fig. 8 is another embodiment of Fig. 7. Fig. In the follow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nd redundant explanations are omitted.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걸림유닛(60)은 제2 고정부(62)와, 제2 걸림부(6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걸림부(64)는 가압부(36)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고정부(62)는 안내부(13)에 구비되어, 제2 걸림부(64)가 제2 고정부(62)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engaging
일예로, 제2 걸림부(64)는 가압부(36)의 말단에 복원성 재질이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복원성 재질의 형상은 후크(74)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제2 고정부(62)는 안내부(13)의 상측에 바(76)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걸림부(64)는 바(76)를 감싸는 후크(74) 형태로 형성되어, 제2 고정부(62)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후크(74)의 내측면이 바(76)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제2 걸림부(64)는 제2 고정부(62)에 고정되어, 덮개(30)가 제1 위치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fixing part (62) may be provided with a bar (76) on the upper side of the guide part (13). The
또한, 사용자는 일정 힘을 가하여, 제1 위치에 있던 덮개(30)를 제2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바(76)를 감쌌던 제2 걸림부(64)의 구속이 해제됨과 동시에, 복원성 재질에 의하여 제2 걸림부(64)는 탄성에 의하여, 본래의 상태로 복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apply a constant force to move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one or more of them. Furthermore, the terms "comprises", "comprising", or "having" described above mean that a component can be implanted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stated, Bu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금융기기 10: 가이드부
13: 안내부 14: 보호부
17: 피드롤러 18: 게이트 롤러
19: 분리부 20: 롤러부
16: 이송로 30: 덮개
31: 지지부 33: 가압면
36: 가압부 40: 회전바
41: 탄성부재 50: 가압유닛
53: 파지홈 61: 제1 고정부
62: 제2 고정부 63: 제1 걸림부
64: 제2 걸림부 100: 매체 입금장치1: financial instrument 10: guide section
13: guide part 14: protection part
17: Feed roller 18: Gate roller
19: separating section 20: roller section
16: Feed path 30: Cover
31: Support part 33:
36: pressing part 40: rotating bar
41: elastic member 50: pressure unit
53: gripping groove 61: first fixing portion
62: second fixing portion 63: first fastening portion
64: second latching part 100: medium depositing device
Claims (12)
상기 매체가 이송되기 전에 일시적으로 적치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부에 적치된 매체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가이드부의 상측에서 상기 매체의 이송방향에 수직하게 수평으로 배치되어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회전바;
상기 회전바가 소정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회전하게 상기 회전바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회전바가 탄성적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바를 축으로 상기 가이드부를 향해 회동하여, 상기 가이드부에 적치된 매체를 가압하는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덮개가 상기 가이드부에서 이격되어 상기 매체의 적치를 방해하지 않는 제1 위치와, 상기 덮개가 상기 가이드부에 인접하여 상기 가이드부에 적치된 매체를 가압하는 제2 위치의 사이에서 회동하며,
상기 덮개는,
상기 회전바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회전바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타단이 연장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상기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가이드부를 바라보게 형성되어 상기 매체를 가압하는 가압면을 구비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를 상기 제1 위치에 고정하는 걸림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걸림유닛은, 상기 가이드부의 상측에 구비되되, 자성부가 구비된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에 결합되되, 상기 가압부의 말단에 구비되며, 자성부를 구비한 제1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부의 상기 자성부는, 상기 제1 걸림부가 상기 제1 위치에 고정되도록 상기 탄성부재에 의한 복원력보다 큰 인력에 의하여 상기 제1 걸림부의 상기 자성부를 끌어당기는 매체 입금장치.A medium depositing apparatus provided in a financial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medium,
A guide portion temporarily abutted before the medium is transported; And
And a pressing unit provided on the guide unit to selectively press the medium mounted on the guide unit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The pressure unit includes:
A rotating bar disposed horizontally perpendicularly to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medium above the guide and rotating in place;
An elastic member that applies a restoring force to the rotary bar so that the rotary bar elastically rotate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And a lid rotatably supported by the elastic bar to elastically rotate the rotary bar toward the guide part to press the medium mounted on the guide part, A first position in which the cover is spaced apart from the guide portion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mounting of the medium and a second position in which the cover presses the medium mounted on the guide portion adjacent to the guide portion,
Wherein the cover comprises:
A suppor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rotation bar and the other end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rotation bar; And
And a pressing portion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and having a pressing surface formed to face the guide portion at the second position and press the medium,
And a locking unit for fixing the cover in the first position,
Wherein the engaging unit comprises: a first fixing part provided on the guide part and having a magnetic part; And
And a first engaging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provided at an end of the pressing portion and having a magnetic portion,
Wherein the magnetic portion of the first fixing portion pulls the magnetic portion of the first locking portion by attraction force larger than a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so that the first locking portion is fixed to the first position.
상기 가이드부에 매설되어 일부가 상기 가이드부에 적치된 매체를 향해 노출되고, 상기 매체와 접촉하여 회전에 의해 상기 매체를 낱장씩 상기 매체의 이송로로 반송하는 롤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의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롤러부에 대응되게 위치하여, 상기 가이드부에 적치된 매체를 상기 가압면을 통해 상기 롤러부를 향해 가압하는 매체 입금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oller portion embedded in the guide portion and partially exposed to the medium mounted on the guide portion and conveying the medium one by one to the conveying path of the medium by rotation in contact with the medium,
Wherein the pressing portion of the cover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roller portion at the second position so as to press the medium placed on the guide portion toward the roller portion through the pressing surface.
상기 덮개의 상기 가압부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해 상기 가압부를 관통하게 형성되는 파지홈을 포함하는 매체 입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ssing portion of the cover includes a holding groove formed to penetrate the pressing portion for holding the user.
상기 매체가 이송되기 전에 일시적으로 적치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부에 적치된 매체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가이드부의 상측에서 상기 매체의 이송방향에 수직하게 수평으로 배치되어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회전바;
상기 회전바가 소정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회전하게 상기 회전바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회전바가 탄성적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바를 축으로 상기 가이드부를 향해 회동하여, 상기 가이드부에 적치된 매체를 가압하는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덮개가 상기 가이드부에서 이격되어 상기 매체의 적치를 방해하지 않는 제1 위치와, 상기 덮개가 상기 가이드부에 인접하여 상기 가이드부에 적치된 매체를 가압하는 제2 위치의 사이에서 회동하며,
상기 덮개는,
상기 회전바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회전바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타단이 연장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상기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가이드부를 바라보게 형성되어 상기 매체를 가압하는 가압면을 구비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를 상기 제1 위치에 고정하는 걸림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걸림유닛은, 상기 가이드부의 상측에 바가 구비된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에 결합되되, 상기 가압부의 말단에 복원성 재질이 구비된 제2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걸림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바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 걸림부가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할 경우, 상기 바를 감싸는 상기 제2 걸림부의 구속이 해제되어, 상기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제2 걸림부는 본래의 상태로 복원되는 매체 입금장치.
A medium depositing apparatus provided in a financial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medium,
A guide portion temporarily abutted before the medium is transported; And
And a pressing unit provided on the guide unit to selectively press the medium mounted on the guide unit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The pressure unit includes:
A rotating bar disposed horizontally perpendicularly to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medium above the guide and rotating in place;
An elastic member that applies a restoring force to the rotary bar so that the rotary bar elastically rotate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And a lid rotatably supported by the elastic bar to elastically rotate the rotary bar toward the guide part to press the medium mounted on the guide part, A first position in which the cover is spaced apart from the guide portion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mounting of the medium and a second position in which the cover presses the medium mounted on the guide portion adjacent to the guide portion,
Wherein the cover comprises:
A suppor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rotation bar and the other end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rotation bar; And
And a pressing portion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and having a pressing surface formed to face the guide portion at the second position and press the medium,
And a locking unit for fixing the cover in the first position,
Wherein the engaging unit comprises: a second fixing part having a bar on an upper side of the guide part; And
And a second latching portion coupled to the second latching portion and having a resilient material at an end of the latching portion,
Wherein when the second latching part is located at the first position, the second latching part is formed to surround the bar, and when the second latching part is moved to the second position, the restraint of the second latching part,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by the restoring force.
상기 인입부에 인입된 매체를 보관하는 매체보관유닛;
상기 매체가 인입되기 전에 일시적으로 적치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부에 적치된 매체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가이드부의 상측에서 상기 매체의 이송방향에 수직하게 수평으로 배치되어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회전바;
상기 회전바가 소정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회전하게 상기 회전바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회전바가 탄성적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바를 축으로 상기 가이드부를 향해 회동하여, 상기 가이드부에 적치된 매체를 가압하는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덮개가 상기 가이드부에서 이격되어 상기 매체의 적치를 방해하지 않는 제1 위치와, 상기 덮개가 상기 가이드부에 인접하여 상기 가이드부에 적치된 매체를 가압하는 제2 위치의 사이에서 회동하며,
상기 덮개는,
상기 회전바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회전바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타단이 연장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상기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가이드부를 바라보게 형성되어 상기 매체를 가압하는 가압면을 구비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를 상기 제1 위치에 고정하는 걸림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걸림유닛은, 상기 가이드부의 상측에 구비되되, 자성부가 구비된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에 결합되되, 상기 가압부의 말단에 구비되며, 자성부를 구비한 제1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부의 상기 자성부는, 상기 제1 걸림부가 상기 제1 위치에 고정되도록 상기 탄성부재에 의한 복원력보다 큰 인력에 의하여 상기 제1 걸림부의 상기 자성부를 끌어당기는 금융기기.
An inlet through which the medium is drawn in for depositing or counting;
A medium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medium drawn into the inlet unit;
A guide part temporarily fixed before the medium is drawn in; And
A pressing unit provided on the guide unit to selectively press the medium placed on the guide unit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 RTI >
The pressure unit includes:
A rotating bar disposed horizontally perpendicularly to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medium above the guide and rotating in place;
An elastic member that applies a restoring force to the rotary bar so that the rotary bar elastically rotate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And a lid rotatably supported by the elastic bar to elastically rotate the rotary bar toward the guide part to press the medium mounted on the guide part, A first position in which the cover is spaced apart from the guide portion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mounting of the medium and a second position in which the cover presses the medium mounted on the guide portion adjacent to the guide portion,
Wherein the cover comprises:
A suppor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rotation bar and the other end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rotation bar; And
And a pressing portion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and having a pressing surface formed to face the guide portion at the second position and press the medium,
And a locking unit for fixing the cover in the first position,
Wherein the engaging unit comprises: a first fixing part provided on the guide part and having a magnetic part; And
And a first engaging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provided at an end of the pressing portion and having a magnetic portion,
Wherein the magnetic portion of the first fixing portion pulls the magnetic portion of the first locking portion by a pulling force larger than a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so that the first locking portion is fixed to the first position.
상기 인입부에 인입된 매체를 보관하는 매체보관유닛;
상기 매체가 인입되기 전에 일시적으로 적치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부에 적치된 매체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가이드부의 상측에서 상기 매체의 이송방향에 수직하게 수평으로 배치되어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회전바;
상기 회전바가 소정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회전하게 상기 회전바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회전바가 탄성적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바를 축으로 상기 가이드부를 향해 회동하여, 상기 가이드부에 적치된 매체를 가압하는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덮개가 상기 가이드부에서 이격되어 상기 매체의 적치를 방해하지 않는 제1 위치와, 상기 덮개가 상기 가이드부에 인접하여 상기 가이드부에 적치된 매체를 가압하는 제2 위치의 사이에서 회동하며,
상기 덮개는,
상기 회전바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회전바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타단이 연장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상기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가이드부를 바라보게 형성되어 상기 매체를 가압하는 가압면을 구비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를 상기 제1 위치에 고정하는 걸림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걸림유닛은, 상기 가이드부의 상측에 바가 구비된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에 결합되되, 상기 가압부의 말단에 복원성 재질이 구비된 제2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걸림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바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 걸림부가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할 경우, 상기 바를 감싸는 상기 제2 걸림부의 구속이 해제되어, 상기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제2 걸림부는 본래의 상태로 복원되는 금융기기.An inlet through which the medium is drawn in for depositing or counting;
A medium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medium drawn into the inlet unit;
A guide part temporarily fixed before the medium is drawn in; And
A pressing unit provided on the guide unit to selectively press the medium placed on the guide unit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 RTI >
The pressure unit includes:
A rotating bar disposed horizontally perpendicularly to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medium above the guide and rotating in place;
An elastic member that applies a restoring force to the rotary bar so that the rotary bar elastically rotate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And a lid rotatably supported by the elastic bar to elastically rotate the rotary bar toward the guide part to press the medium mounted on the guide part, A first position in which the cover is spaced apart from the guide portion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mounting of the medium and a second position in which the cover presses the medium mounted on the guide portion adjacent to the guide portion,
Wherein the cover comprises:
A suppor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rotation bar and the other end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rotation bar; And
And a pressing portion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and having a pressing surface formed to face the guide portion at the second position and press the medium,
And a locking unit for fixing the cover in the first position,
Wherein the engaging unit comprises: a second fixing part having a bar on an upper side of the guide part; And
And a second latching portion coupled to the second latching portion and having a resilient material at an end of the latching portion,
Wherein when the second latching part is located at the first position, the second latching part is formed to surround the bar, and when the second latching part is moved to the second position, the restraint of the second latching part, And the second latching portion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by the restoring for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6652A KR101932189B1 (en) | 2016-07-08 | 2016-07-08 | Media deposit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6652A KR101932189B1 (en) | 2016-07-08 | 2016-07-08 | Media deposit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6058A KR20180006058A (en) | 2018-01-17 |
KR101932189B1 true KR101932189B1 (en) | 2018-12-26 |
Family
ID=61025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86652A Expired - Fee Related KR101932189B1 (en) | 2016-07-08 | 2016-07-08 | Media deposit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32189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037146A (en) * | 2006-08-02 | 2008-02-21 | Calsonic Kansei Corp | Lid element opening/closing mechanism |
JP4723003B2 (en) * | 2007-02-08 | 2011-07-13 | グローリー株式会社 | Paper sheet holding device |
KR101335054B1 (en) * | 2007-02-05 | 2013-11-29 |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 The media dispenser |
-
2016
- 2016-07-08 KR KR1020160086652A patent/KR10193218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037146A (en) * | 2006-08-02 | 2008-02-21 | Calsonic Kansei Corp | Lid element opening/closing mechanism |
KR101335054B1 (en) * | 2007-02-05 | 2013-11-29 |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 The media dispenser |
JP4723003B2 (en) * | 2007-02-08 | 2011-07-13 | グローリー株式会社 | Paper sheet hold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6058A (en) | 2018-01-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382169C (en) | Automated transaction machine with transport path verification | |
KR101458450B1 (en) | Banknote depositing and dispensing apparatus | |
JP5267351B2 (en) |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machine | |
JP5292761B2 (en) | Bill separation and accumulation mechanism | |
JP5365344B2 (en) | Automatic transaction equipment | |
JP5583534B2 (en) | Automatic transaction equipment | |
JP2010277365A (en) | Automatic transaction device | |
CN106251473B (en) | Finance device and medium piling apparatus | |
KR101965857B1 (en) | Media separat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130051724A (en) | Medium cassette and financial device | |
KR101932189B1 (en) | Media deposit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thereof | |
KR101775779B1 (en) | Medium process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 |
JP7424215B2 (en) | Media processing equipment and cash handling equipment | |
KR101598299B1 (en) | unit of receiving and dispensing money for automated teller machine and automated teller machine having the same | |
WO2015040901A1 (en) | Medium dispensing device and medium transaction device | |
KR101834498B1 (en) | Media process apparatus and financial apparatus thereof | |
KR101880453B1 (en) | Financial device | |
KR100722876B1 (en) | Cash recovery method of withdrawal device of automatic teller machine | |
KR101799393B1 (en) | Media process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thereof | |
KR101672597B1 (en) | Medium process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 |
KR20190021593A (en) | Media process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thereof | |
KR101892478B1 (en) | Financial device, Medium handling apparatus and Medium separating and stacking apparatus | |
KR101618960B1 (en) | Medium handl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 |
KR101815385B1 (en) | Medium stacking apparatus, financia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KR20070031764A (en) | Withdrawal method and device of automatic teller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R19-X000 | Request for party data change reject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9-oth-X000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R19-X000 | Request for party data change reject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9-oth-X000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1121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1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