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18853B1 - 게임 리플레이 영상 생성 시스템 - Google Patents

게임 리플레이 영상 생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8853B1
KR101918853B1 KR1020170081911A KR20170081911A KR101918853B1 KR 101918853 B1 KR101918853 B1 KR 101918853B1 KR 1020170081911 A KR1020170081911 A KR 1020170081911A KR 20170081911 A KR20170081911 A KR 20170081911A KR 101918853 B1 KR101918853 B1 KR 101918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game replay
sound
information
interes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1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수
김태우
이동활
Original Assignee
민코넷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코넷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민코넷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1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8853B1/ko
Priority to US16/020,963 priority patent/US1052534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8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885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5Providing additional services to players
    • A63F13/86Watching games played by other p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63F13/49Saving the game status; Pausing or ending the game
    • A63F13/497Partially or entirely replaying previous game a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using 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or gyr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2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using sensors worn by the player, e.g. for measuring heart beat or leg activit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2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spects of the displayed game scene
    • A63F13/525Changing parameters of virtual camera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2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spects of the displayed game scene
    • A63F13/525Changing parameters of virtual cameras
    • A63F13/5255Changing parameters of virtual cameras according to dedicated instructions from a player, e.g. using a secondary joystick to rotate the camera around a player's charact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2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spects of the displayed game scene
    • A63F13/525Changing parameters of virtual cameras
    • A63F13/5258Changing parameters of virtual cameras by dynamically adapting the position of the virtual camera to keep a game object or game character in its viewing frustum, e.g. for tracking a character or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3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by the player, e.g. authoring using a level edi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6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1/00Game accessories of general use, e.g. score counters, boxes
    • A63F11/0074Game concepts, rules or strategies
    • A63F2011/0097Watching television being part of the game, e.g. using the television broadcasting of a sporting ev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5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details of game servers
    • A63F2300/57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details of game servers details of game services offered to the player
    • A63F2300/577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details of game servers details of game services offered to the player for watching a game played by other p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60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 A63F2300/63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for controlling the execution of the game in time
    • A63F2300/634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for controlling the execution of the game in time for replaying partially or entirely the game actions since the beginning of the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82Virtual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게임 리플레이 영상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게임 플레이 상황을 레코딩하여 VR 영상의 형태로 게임 리플레이 영상을 재생 단말에서 시청할 수 있도록 게임 리플레이 영상을 제공하는 게임 리플레이 영상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게임 리플레이 영상 생성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게임 동영상의 주요 장면을 시청하기 용이하도록 유도하는 형태로 VR 동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VR 동영상 시청의 동기와 흥미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게임 리플레이 영상 생성 시스템{System for Generating Game Replay Video}
본 발명은 게임 리플레이 영상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게임 플레이 상황을 레코딩하여 VR 영상 또는 360도 영상의 형태로 게임 리플레이 영상을 재생 단말에서 시청할 수 있도록 게임 리플레이 영상을 제공하는 게임 리플레이 영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게임 사용자들이 증가하면서 게임을 플레이 영상을 인터넷이나 방송을 통해 시청하는 사용자들도 증가하고 있다.
게임 플레이 영상을 리플레이하여 감상하는 방법은 다양한 경로가 있을 수 있다. 단순히 게임 플레이어가 자신의 게임 상황을 녹화하여 자신의 단말기에서 감상할 수도 있고, 유튜브와 같은 서버에 업로드하여 타인이 감상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케이블 방송이나 인터넷 방송으로 게임 플레이 상황을 실시간으로 중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게임 리플레이를 VR 또는 360도 형태의 동영상으로 제공하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 또한 게임 자체가 VR 환경에서 작동하는 게임이면 이와 같은 게임 플레이 상황을 레코딩하여 VR 또는 360도 형태의 리플레이 동영상을 제공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VR 형태의 동영상은 사용자가 재생 단말기를 조작하여 특정 방향을 지향하도록 함으로써 해당 방향의 장면이 재생 단말의 표시 장치에 표시되도록 작동한다. VR 또는 360도 형태의 동영상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임의의 방향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게임의 중요한 장면이나 서비스 제공자의 필요에 의해 사용자에게 노출시킬 필요가 있는 장면을 사용자가 시청할 수 없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통상 VR 영상 또는 360도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는 시청 시간의 대부분을 전방 90도 이내의 범위를 지향하면서 시청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용자가 VR 동영상의 시청을 시작하는 경우 어느 방향을 지향해야 할지를 몰라 중요한 장면을 놓치거나 VR 동영상에 대한 흥미가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VR 동영상에 사용자가 재생 단말기를 조작하여 지향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향을 유도할 수 있는 요소가 포함된 형태로 VR 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레코딩된 게임 동영상에 사용자의 시청을 유도할 수 있는 요소를 포함시켜 사용자의 VR 동영상의 시청을 도울 수 있는 게임 리플레이 영상 생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게임 리플레이 영상 생성 시스템은, 게임 리플레이 영상에 등장할 게임 객체들의 각각의 식별번호에 대응하는 형상 데이터가 게임 객체 정보로서 저장되는 게임 객체 저장부; 게임 플레이 중에 상기 게임 객체들의 가상 공간 내에서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움직임 데이터가 게임 리플레이 정보로서 저장되는 게임 리플레이 정보 저장부; 상기 게임 리플레이 영상에 추가되어 가상 공간 내의 지정 위치에서 원근감과 방향성을 가진 스페이셜 오디오(Spatial Audio)의 형태로 소리를 발생시키는 사운드 객체들이 저장되는 사운드 객체 저장부; 상기 게임 리플레이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게임 리플레이 정보를 편집하여 상기 사운드 객체 저장부에 저장된 사운드 객체를 상기 가상 공간에 배치하는 정보를 추가하는 게임 리플레이 정보 편집부; 및 상기 게임 리플레이 정보 편집부에 의해 편집된 상기 게임 리플레이 정보와 상기 게임 객체 저장부에 저장된 게임 객체 정보와 상기 사운드 객체 저장부에 저장된 사운드 객체들을 연동하여 VR 동영상과 360도 동영상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상기 게임 리플레이 영상을 실시간으로 생성하고 상기 게임 리플레이 영상을 재생 단말의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리플레이 영상 생성부;를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게임 리플레이 영상 생성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게임 동영상의 주요 장면을 시청하기 용이하도록 유도하는 형태로 VR 동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VR 동영상 시청의 동기와 흥미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 리플레이 영상 생성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게임 리플레이 영상 생성 시스템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 리플레이 영상 생성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게임 리플레이 영상 생성 시스템은 게임 객체 저장부(100)와 게임 리플레이 정보 저장부(200)와 사운드 객체 저장부(300)와 관심 요소 저장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VR 장치를 이용하여 게임 영상을 리플레이함에 있어서, 게임 영상에 스페이셜 오디오(Spatial Audio)와 같은 사운드 객체를 게임 리플레이 영상에 포함시킴으로써 사용자가 가상 공간 내에 특정 지점이나 방향을 지향하여 게임 리플레이 영상을 시청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유니티3D(Unity3D) 또는 언리얼(Unreal)과 같이 가상 공간에 출현하는 사물, 인물, 배경 등의 객체의 움직임을 정의하는 방법으로 개발되는 게임의 플레이 상황을 레코딩하여 리플레이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본 발명은 게임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으로 게임 플레이 상황을 레코딩하여 HMD(Head Mounted Display)와 같은 VR 표시장치 또는 360 VR 표시장치나 모바일 기기, 개인용 컴퓨터의 표시 장치를 통해 게임 리플레이 영상을 시청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가상 공간 내의 특정 객체를 지향하여 시청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게임 객체 저장부(100)에는 게임 객체 정보가 저장된다. 게임 객체 정보는 게임 리플레이 영상에 등장할 게임 객체들의 각각의 식별번호에 대응하는 형상 데이터이다. 각각의 게임에 등장하는 게임 속의 캐릭터, 아이템, 무기, 소품 등이 개임 객체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게임은 360 VR 단말기에서 플레이할 수 있도록 개발된 것일 수도 있고 개인용 컴퓨터나 모바일 기기와 같은 단말기에서 플레이되는 게임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객체를 기반으로 개발되어 플레이되는 게임의 영상을 레코딩한 후 사운드 객체를 추가하여 재생 단말기에서 리플레이할 때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게임 리플레이 정보 저장부(200)에는 게임 리플레이 정보가 저장된다. 게임 리플레이 정보는 게임 플레이 중에 게임 객체들의 가상 공간 내에서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움직임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게임 리플레이 정보는 사용자가 게임 단말기를 이용하여 게임을 플레이하는 동안에 게임에 등장하는 게임 객체들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가상 공간 내에서의 움직임을 수치 데이터로 저장한 것이다. 통상적으로는 게임 플레이어가 게임을 플레이하는 동안에 게임 단말기에 설치된 레코딩 기능을 활성화시켜서 실시간으로 각각의 게임 객체들의 3차원 공간에서의 좌표와 방향 등의 수치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으로 게임 리플레이 정보가 수집된다. 이와 같은 게임 리플레이 정보를 앞서 설명한 게임 객체 정보와 연동하여 렌더링하면 게임 플레이어의 게임 플레이 상황을 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종래에 시간의 흐름에 따른 이미지 프레임을 수집하여 연결하는 방법으로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과 달리 레코딩 데이터의 크기를 비약적으로 줄이면서 다양한 화질로 게임 플레이 상황을 리플레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리플레이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가상의 카메라의 위치와 방향을 게임의 가상 공간 내에서 조절하는 방법으로 게임 플레이어의 시점과는 다른 다양한 시점에서 게임 플레이 상황을 리플레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게임 리플레이 영상 생성 시스템의 경우 게임 리플레이 정보는 게임 객체들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움직임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게임 플레이 상황을 촬영하는 가상의 카메라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움직임 데이터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상 카메라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움직임 데이터는 기본적으로 게임 플레이어의 시점과 시선에 의해 정의되는 움직임이지만, 필요에 따라서 게임 플레이어의 시점과는 다른 위치와 방향 및 경로로 편집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게임 리플레이 정보에 포함되는 가상 카메라의 움직임 데이터는 가상 카메라의 좌표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가상 카메라의 방향까지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인 게임 리플레이 정보를 이용하여 게임 플레이 상황을 재생할 때 게임 리플레이 정보에 포함된 가상 카메라의 움직임 데이터는 경우에 따라서는 일부만 사용될 수도 있고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VR 영상이나 360도 영상이 재생되는 재생 단말기의 특성상 가상 카메라의 위치와 경로만 정의되면, 사용자는 재생 단말기를 조작하여 해당 가상 카메라의 위치에서 임의의 방향의 게임 플레이 상황을 리플레이 영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게임 리플레이 정보에 가상 카메라의 방향에 대한 정보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사용자는 기본으로 지정된 가상 카메라의 위치에서 재생 단말기를 조작하여 임의의 방향을 선택하여 게임 플레이 상황을 시청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재생 단말기를 조작하여 가상 카메라의 방향뿐만 아니라 위치도 조작하면서 게임 리플레이 영상을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운드 객체 저장부(300)에는 사운드 객체들이 저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운드 객체는 스페이셜 오디오(Spatial Audio)의 형태로 구성된다. 스페이셜 오디오는 가상 공간 내의 지정 위치에서 원근감과 방향을 가지는 효과음, 광고, 음악, OST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가 재생 단말을 이용하여 사운드 객체가 포함된 게임 리플레이 영상을 시청할 때, 사용자의 가상 공간 내의 위치가 사운드 객체에 근접하면 음량이 커지고 멀어지면 음량이 감소한다. 또한, 재생 단말에 스테레오 헤드 셋 또는 스테레오 스피커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사운드 객체와 가까운 방향의 소리가 더 크게 들리게 함으로써 가상 공간 내에서 사운드 객체에 방향성을 부여할 수 있다. 사운드 객체는 사용자가 재생 단말을 이용하여 게임 리플레이 영상을 시청할 때에 사용자의 주의를 끄는 역할을 한다. 즉, 사용자가 VR 또는 360도 형태의 게임 리플레이 영상을 시청할 때에 사용자는 임의의 방향을 지향하여 게임 리플레이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데, 적절한 위치에 배치된 사운드 객체가 사용자의 주의를 끎으로써 사용자가 특정 방향을 지향하여 게임 리플레이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관심 요소 저장부(400)에는 관심 요소 객체의 정보가 관심 요소 객체 정보로서 저장된다. 관심 요소 객체는 가상 공간 내의 지정 위치에서 시청자의 관심을 유도하도록 시작적으로 표시되는 객체이다. 관심 요소 객체는 게임 리플레이 영상에 추가되어 그 게임 리플레이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주의를 끌 수 있도록 구성된다. 광고판, 주크박스, 장난감, 게임 아이템 등의 다양한 형태의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객체가 관심 요소 객체가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사운드 객체와 관심 요소 객체가 각각 관심 지점(POI; Point of Interest)로서 사용자의 시선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사운드 객체는 청각적으로 관심 지점의 역할을 하고 관심 요소 객체는 시각적으로 관심 지점의 역할을 한다.
게임 리플레이 정보 편집부(500)는 게임 리플레이 정보 저장부(200)에 저장된 게임 리플레이 정보를 편집하여 사운드 객체와 관심 요소 객체를 각각 게임의 가상 공간에 추가로 배치된 게임 리플레이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게임 리플레이 정보 편집부(500)는 사운드 객체들과 각각 인접하는 위치(바람직하게는 사운드 객체와 동일한 위치)에 관심 요소 객체가 배치되도록 게임 리플레이 정보를 편집한다.
게임 리플레이 정보 편집부(500)는 가상 공간의 임의의 위치에 각각의 사운드 객체 및 관심 요소 객체를 배치하도록 게임 리플레이 정보를 편집할 수도 있고, 일정한 규칙에 따라 사운드 객체 및 관심 요소 객체를 배치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게임 리플레이 정보 편집부(500)가 미리 정해진 위치 데이터를 입력 받아 각 사운드 객체 및 관심 요소 객체의 식별 번호에 대응하는 위치의 가상 공간에 사운드 객체 및 관심 요소 객체를 배치하도록 게임 리플레이 정보를 편집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게임 리플레이 정보 편집부(500)는, 재생 단말을 이용하여 게임 리플레이 영상을 시청하게 될 사용자가 재생 단말을 이용하여 지향하게 될 가상 카메라의 가상 공간 내에서의 움직임과 방향을 유도하는 경로를 따라 사운드 객체 및 관심 요소 객체를 배치하도록 게임 리플레이 정보를 편집한다.
리플레이 영상 생성부(600)는 게임 리플레이 정보 편집부(500)에 의해 생성된 게임 리플레이 정보를 이용하여 VR 또는 360도 동영상 형태의 게임 리플레이 영상을 실시간으로 생성하고 이를 재생 단말의 표시장치에 표시한다. 리플레이 영상 생성부(600)는 게임 객체 저장부(100)에 저장된 게임 객체 정보와, 사운드 객체 저장부(300)에 저장된 사운드 객체와, 관심 요소 저장부(400)에 저장된 관심 요소 객체를 연동하여 게임 리플레이 영상을 실시간으로 생성한다.
리플레이 영상 생성부(600)는, 구 형태의 스크린에 표시할 수 있는 360 VR 형태의 게임 리플레이 영상을 생성하여 재생 단말이 표시하는 방향의 시야(Field of View)에 해당하는 부분만 재생 단말의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방법으로 게임 리플레이 영상을 재생할 수도 있고, 재생 단말이 지향하는 방향(가상 공간의 가상 카메라가 지향하는 방향)에 해당하는 부분의 이미지 프레임을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연속적으로 재생 단말의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방법으로 게임 리플레이 영상을 재생할 수도 있다. 재생 단말이 가상 공간 내에서의 가상 카메라의 방향뿐만 아니라 가상 카메라의 위치까지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경우에는, 리플레이 영상 생성부(600)는 재생 단말에 의해 결정되는 위치와 방향에 따른 가상 카메라의 시점(Point of View)와 시야(Field of View)에 따라 실시간으로 게임 리플레이 영상을 생성하여 재생 단말의 표시장치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재생 단말을 이용하여 게임 리플레이 영상을 시청하다가 사운드 객체가 출현하는 경우 본능적으로 사운드 객체의 위치를 지향하도록 재생 단말을 조작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운드 객체는 원근감과 방향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사용자는 사운드 객체가 더욱 잘 들리는 위치와 방향으로 재생 단말을 조작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운드 객체는 효과음, 광고, 음악, OST 등이 될 수 있으므로, 그 자체가 음성 광고의 수단이 될 수도 있고 관심 요소 객체로 사용자를 유도하는 수단이 될 수도 있다. 사운드 객체가 음성 광고이거나 음악인 경우에 사용자가 해당 사운드 객체와 인접하는 위치의 가상 공간으로 이동하면 음성 광고를 청취할 수도 있고 음악을 계속하여 들을 수도 있다. 광고주 또는 광고 판매자의 입장에서는 사용자의 가상 공간 내에서의 위치가 사운드 객체에 대해 기준 거리 이내에 있거나 그 기준 거리 이내에 머문 시간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광고의 효과를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게임의 중요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지점에 사운드 객체를 배치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용이하게 게임 리플레이 영상의 주요 장면을 시청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사운드 객체와 인접하는 위치 또는 사운드 객체와 동일한 위치에 시각적으로 작동하는 관심 요소 객체를 배치함으로써, 청각적으로 사용자를 유도한 후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특정 영상, 이미지 등의 시각적 객체를 노출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관심 요소 객체는 광고판이 될 수도 있고 게임 아이템이 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재생 단말을 통해서 조작할 수 있는 게임 객체 자체가 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사운드 객체에 의한 청각적 자극에 의해 사운드 객체의 위치를 지향하거나 해당 위치로 근접하게 되고, 그 위치에 배치되어 시각적으로 노출되는 관심 요소 객체에 관심을 갖게 될 수 있다. 관심 요소 객체가 광고물이 경우 사용자가 관심이 있다면 해당 광고물을 특정 시간 이상 지향하여 광고물을 관찰할 수 있다. 이 경우 광고물로서의 관심 요소 객체가 가상 카메라의 시야에 특정 시간 이상 머물게 된다. 관심 요소 객체가 게임 아이템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해당 게임 아이템을 취득하여 다음에 게임을 플레이할 때에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관심 요소 객체가 조작할 수 있는 작동 가능한 객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재생 단말을 조작하여 명령을 입력함으로써 곡을 선택해서 들을 수 있는 주크박스 형태의 관심 요소 객체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게임 리플레이 영상 생성 시스템은 사운드 객체와 관심 요소 객체를 이용함으로써 VR 영상이나 360도 영상의 형태로 제공되는 게임 리플레이 영상에서 임의의 방향 중에 사용자가 지향하여 시청하는 것이 서비스 제공자에게 필요한 방향으로 사용자의 재생 단말 조작을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노출 확인부(700)는 리플레이 정보 편집부(500)에 의해 추가된 사운드 객체와 관심 요소 객체가 실제 재생 단말을 통해 사용자에게 노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노출 확인부(700)는 게임 리플레이 영상을 추출하는 가상 카메라의 시점(Point of View)이 사운드 객체와 기준 거리 이내에 기준 시간 이상 머물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사운드 객체가 사용자에게 노출되었는지 판단한다.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내에 기준 시간 이상 가상 카메라와 사운드 객체가 머물렀다면 사운드 객체의 소리가 사용자에게 청각적으로 노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기준 거리와 기준 시간은 서비스 제공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노출 확인부(700)는 사운드 객체에 대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관심 요소 객체가 사용자가에게 시각적으로 노출되었는지 여부도 확인할 수 있다.
노출 확인부(700)는 게임 리플레이 영상을 추출하는 가상 카메라의 시점이 관심 요소 객체 또는 그 관심 요소 객체와 대응하는 사운드 객체와 기준 거리 이내에 위치하고 가상 카메라의 시야(Field of View)에 관심 요소 객체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관심 요소 객체가 사용자에게 노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노출 확인부(700)는 위 기준에 추가적으로 관심 요소 객체가 가상 카메라의 시야에 기준 시간 이상 머물렀는지 여부까지 반영하여 관심 요소 객체가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노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노출 확인부(700)는 가상 카메라의 위치와 관심 요소 객체 사이의 거리가 기준 범위 이내인 경우에만 관심 요소 객체가 사용자에게 노출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관심 요소 객체가 가상 카메라에 너무 가깝거나 멀어서 사용자에게 유효한 정도로 노출되지 않는 경우는 배제하는 효과가 있다.
위와 같이 사운드 객체와 관심 요소 객체를 이용하여 노출 확인부(700)에 의해 시청각적 객체가 사용자에게 노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그 데이터를 누적함으로써 게임 리플레이 영상에 광고를 적용하는 데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가 게임 리플레이 정보에 사운드 객체 또는 관심 요소 객체의 형태로 광고를 추가할 때에 실질적으로 해당 광고가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빈도를 파악하여 광고를 판매하거나 광고비를 과금하는 데에 합리적인 근거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하고 도시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앞에서 노출 확인부(700)를 구비하는 구성의 게임 리플레이 영상 생성 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노출 확인부(700)를 구비하지 않는 형태의 게임 리플레이 영상 생성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사운드 객체 또는 관심 요소 객체의 노출 여부는 확인하지 않고 사용자가 사운드 객체 또는 관심 요소 객체를 지향하도록 함으로써 특정 방향을 지향하도록 사용자의 재생 단말 조작을 유도하는 용도로만 본 발명이 사용된다.
또한, 앞에서 사운드 객체와 관심 요소 객체를 모두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관심 요소 객체를 이용하지 않는 형태의 게임 리플레이 영상 생성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게임 리플레이 영상 생성 시스템의 경우 관심 요소 저장부를 구비하지 않고 리플레이 정보 편집부도 관심 요소 객체를 게임 리플레이 정보에 반영하지 않는다.
또한, 노출 확인부가 사운드 객체 또는 관심 요소 객체가 사용자에게 노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은 앞에서 설명한 방법들을 다양하게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앞에서 설명한 방법 이외에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100: 게임 객체 저장부 200: 게임 리플레이 정보 저장부
300: 사운드 객체 저장부 400: 관심 요소 저장부
500: 리플레이 정보 편집부 600: 리플레이 영상 생성부
700: 노출 확인부

Claims (9)

  1. 게임 리플레이 영상에 등장할 게임 객체들의 각각의 식별번호에 대응하는 형상 데이터가 게임 객체 정보로서 저장되는 게임 객체 저장부;
    게임 플레이 중에 상기 게임 객체들의 가상 공간 내에서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움직임 데이터가 게임 리플레이 정보로서 저장되는 게임 리플레이 정보 저장부;
    상기 게임 리플레이 영상에 추가되어 가상 공간 내의 지정 위치에서 원근감과 방향성을 가진 스페이셜 오디오(Spatial Audio)의 형태로 소리를 발생시키는 사운드 객체들이 저장되는 사운드 객체 저장부;
    상기 게임 리플레이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게임 리플레이 정보를 편집하여 상기 사운드 객체 저장부에 저장된 사운드 객체를 상기 가상 공간에 배치하는 정보를 추가하는 게임 리플레이 정보 편집부; 및
    상기 게임 리플레이 정보 편집부에 의해 편집된 상기 게임 리플레이 정보와 상기 게임 객체 저장부에 저장된 게임 객체 정보와 상기 사운드 객체 저장부에 저장된 사운드 객체들을 연동하여 VR 동영상과 360도 동영상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상기 게임 리플레이 영상을 실시간으로 생성하고 상기 게임 리플레이 영상을 재생 단말의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리플레이 영상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재생 단말의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상기 게임 리플레이 영상을 추출하는 가상 카메라의 시점(Point of View)이 상기 사운드 객체와 기준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상기 사운드 객체가 사용자에게 노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노출 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게임 리플레이 영상 생성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리플레이 정보 편집부는, 상기 리플레이 영상 생성부에서 상기 게임 리플레이 영상을 생성하게 될 가상 카메라의 상기 가상 공간 내에서의 움직임과 방향을 유도하는 경로를 따라 상기 사운드 객체를 상기 가상 공간에 배치하도록 상기 게임 리플레이 정보를 편집하는 게임 리플레이 영상 생성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리플레이 영상에 추가되어 가상 공간 내의 지정 위치에서 시청자의 관심을 유도하도록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관심 요소 객체의 정보가 관심 요소 객체 정보로서 저장되는 관심 요소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게임 리플레이 정보 편집부는, 상기 사운드 객체들과 각각 인접하는 위치에 상기 관심 요소 저장부에 저장된 관심 요소 객체가 배치되도록 상기 게임 리플레이 정보를 편집하고,
    상기 리플레이 영상 생성부는, 상기 관심 요소 저장부에 저장된 관심 요소 객체 정보를 추가로 연동하여 상기 게임 리플레이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재생 단말의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게임 리플레이 영상 생성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 확인부는, 상기 가상 카메라의 시점이 상기 사운드 객체를 중심으로 상기 기준 거리 이내에 기준 시간 이상 머무는 경우 상기 사운드 객체가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게임 리플레이 영상 생성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 확인부는, 상기 재생 단말의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상기 게임 리플레이 영상을 추출하는 상기 가상 카메라의 시점(Point of View)이 상기 사운드 객체와 기준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지 여부와 상기 가상 카메라의 시야(Field of View)에 상기 관심 요소 객체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상기 관심 요소 객체가 사용자에게 노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게임 리플레이 영상 생성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 확인부는, 상기 가상 카메라의 시야에 상기 관심 요소 객체가 기준 시간 이상 머무는 경우 상기 관심 요소 객체가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게임 리플레이 영상 생성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리플레이 정보 편집부는, 상기 재생 단말의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게임리플레이 영상을 촬영하는 가상 카메라의 움직임을 유도하기 위한 경로를 따라서 상기 사운드 객체들이 배열되도록 상기 게임 리플레이 정보를 편집하는 게임 리플레이 영상 생성 시스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객체 저장부에 저장되는 사운드 객체들은 효과음, 광고, 음악 중의 어느 하나인 게임 리플레이 영상 생성 시스템.
KR1020170081911A 2017-06-28 2017-06-28 게임 리플레이 영상 생성 시스템 Active KR101918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911A KR101918853B1 (ko) 2017-06-28 2017-06-28 게임 리플레이 영상 생성 시스템
US16/020,963 US10525348B2 (en) 2017-06-28 2018-06-27 System for generating game replay vide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911A KR101918853B1 (ko) 2017-06-28 2017-06-28 게임 리플레이 영상 생성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8853B1 true KR101918853B1 (ko) 2018-11-15

Family

ID=64363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1911A Active KR101918853B1 (ko) 2017-06-28 2017-06-28 게임 리플레이 영상 생성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525348B2 (ko)
KR (1) KR1019188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2412B1 (ko) * 2019-06-25 2020-12-16 주식회사 소울엑스 3d 가상공간에 실시간 영상을 합성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
KR102572970B1 (ko) * 2022-11-09 2023-08-31 주식회사 이엘파크 메타버스플랫폼에서 이벤트 발생시점을 확인 가능토록 하는 자동로깅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25464A (ja) * 2020-07-29 2022-02-10 株式会社AniCast RM アニメーション制作システム
WO2024054612A1 (en) * 2022-09-08 2024-03-14 Roblox Corporation Interactive digital advertising within virtual experienc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55935A (ja) * 2015-09-16 2017-03-23 株式会社カプコン 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システム
KR101739220B1 (ko) * 2016-02-04 2017-05-24 민코넷주식회사 게임 플레이 상황에 대한 특수 영상 생성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2009948A1 (en) * 1990-11-30 1992-06-11 Vpl Research, Inc. Improved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virtual worlds
US5553864A (en) * 1992-05-22 1996-09-10 Sitrick; David H. User image integration into audiovisual presentation system and methodology
US5748199A (en) * 1995-12-20 1998-05-05 Synthonic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a two dimensional motion picture into a three dimensional motion picture
US6040841A (en) * 1996-08-02 2000-03-21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virtual cinematography
US7241219B2 (en) * 1997-03-12 2007-07-10 Walker Digital,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ntertainment content at a gaming device
JPH10334275A (ja) * 1997-05-29 1998-12-18 Canon Inc 仮想現実方法及び装置並びに記憶媒体
US10360685B2 (en) * 2007-05-24 2019-07-23 Pillar Vision Corporation Stereoscopic image capture with performance outcome prediction in sporting environments
JP3609779B2 (ja) * 2001-12-26 2005-01-12 株式会社東芝 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媒体
US7751628B1 (en) * 2001-12-26 2010-07-06 Reisman Richard R Method and apparatus for progressively deleting media objects from storage
US20050134945A1 (en) * 2003-12-17 2005-06-23 Canon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Australia Pty. Ltd. 3D view for digital photograph management
CA2577487A1 (en) * 2004-08-23 2006-03-02 Gamecaster, Inc. Apparatus, methods and systems for viewing and manipulating a virtual environment
US20070088709A1 (en) * 2005-10-03 2007-04-19 Bech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s for Intergrating Data Into a Network Planning Tool
JP5177735B2 (ja) * 2006-12-01 2013-04-10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装置
US20090237564A1 (en) * 2008-03-18 2009-09-24 Invism, Inc. Interactive immersive virtual reality and simulation
US20130278631A1 (en) * 2010-02-28 2013-10-24 Osterhout Group, Inc. 3d positioning of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US8401343B2 (en) * 2011-03-27 2013-03-19 Edwin Braun System and method for defining an augmented reality character in computer generated virtual reality using coded stickers
US9155964B2 (en) * 2011-09-14 2015-10-13 Steelseries Aps Apparatus for adapting virtual gaming with real world information
US20130178257A1 (en) * 2012-01-06 2013-07-11 Augaroo,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ng with virtual objects in augmented realities
KR102098058B1 (ko) * 2013-06-07 2020-04-07 삼성전자 주식회사 뷰 모드에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21857B1 (ko) * 2013-07-23 2019-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파노라마 촬영방법
US20150032766A1 (en) * 2013-07-29 2015-01-29 Eric A. Greenbaum System and methods for the presentation of media in a virtual environment
US9615177B2 (en) * 2014-03-06 2017-04-04 Sphere Optics Company, Llc Wireless immersive experience capture and viewing
US9677840B2 (en) * 2014-03-14 2017-06-13 Lineweight Llc Augmented reality simulator
US9911454B2 (en) * 2014-05-29 2018-03-06 Jaunt Inc. Camera array including camera modules
KR20160137924A (ko) 2016-11-17 2016-12-02 민코넷주식회사 객체 상태 저장 방식 게임 동영상 녹화 및 재생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55935A (ja) * 2015-09-16 2017-03-23 株式会社カプコン 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システム
KR101739220B1 (ko) * 2016-02-04 2017-05-24 민코넷주식회사 게임 플레이 상황에 대한 특수 영상 생성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2412B1 (ko) * 2019-06-25 2020-12-16 주식회사 소울엑스 3d 가상공간에 실시간 영상을 합성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
KR102572970B1 (ko) * 2022-11-09 2023-08-31 주식회사 이엘파크 메타버스플랫폼에서 이벤트 발생시점을 확인 가능토록 하는 자동로깅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525348B2 (en) 2020-01-07
US20190001221A1 (en) 2019-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9308B2 (en) Overly non-video content on a mobile device
US10984594B2 (en) Creation and use of virtual places
US9762817B2 (en) Overlay non-video content on a mobile device
KR101918853B1 (ko) 게임 리플레이 영상 생성 시스템
JP7325209B2 (ja) サーバシステム、プレイデータコミュニティ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US20080268961A1 (en) Method of creating video in a virtual world and method of distributing and using same
Fearghail et al. Director’s cut-analysis of aspects of interactive storytelling for vr films
JP2018506205A (ja) バーチャルリアリティコンテンツの制御
US20160071546A1 (en) Method of Active-View Movie Technology for Creating and Playing Multi-Stream Video Files
WO2015100116A1 (en) Automated video production system
US2024020305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ance in a virtual reality environment
CN113395540A (zh) 虚拟演播系统、虚拟演播实现方法、装置及设备、介质
US20250056101A1 (en) Video creation system, video creation device, and video creation program
WO2022004103A1 (ja) 演出効果制御方法、端末装置の動作方法、演出効果制御システムおよび端末装置
JP2021006894A (ja) 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コンテンツ作成装置、教育端末、コンテンツ配信プログラム、および教育プログラム
Kasuya et al. LiVRation: Remote VR live platform with interactive 3D audio-visual service
CN110933515A (zh) 一种基于vr技术的全景视频播放控制方法
JP2017005371A (ja) 共演映像演出装置および共演映像演出システム
KR101644496B1 (ko) 게임 동영상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KR20160114481A (ko) 객체 상태 저장 방식 게임 동영상 녹화 및 재생 방법
KR20160137924A (ko) 객체 상태 저장 방식 게임 동영상 녹화 및 재생 방법
KR101856632B1 (ko) 화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한 자막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101915400B1 (ko) 360 게임 리플레이 동영상의 광고 노출 확률 계산 시스템
JP6766228B1 (ja) 遠隔教育システム
Holm et al. User experience study of 360 music videos on computer monitor and virtual reality gogg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7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