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76187B1 - Traffic accident monitoring system - Google Patents

Traffic accident monitor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6187B1
KR101876187B1 KR1020180042557A KR20180042557A KR101876187B1 KR 101876187 B1 KR101876187 B1 KR 101876187B1 KR 1020180042557 A KR1020180042557 A KR 1020180042557A KR 20180042557 A KR20180042557 A KR 20180042557A KR 101876187 B1 KR101876187 B1 KR 101876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ident
sensing
information
monitoring device
traffic accid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25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봉수
김재곤
Original Assignee
융이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융이건설(주) filed Critical 융이건설(주)
Priority to KR1020180042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618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6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6187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교통사고 모니터링 시스템은, 도로 상에 배치된 중앙분리대의 상단부에 거치(setting)되고, 상기 중앙분리대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여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모니터링 장치; 및 상기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상기 센싱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교통사고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중앙분리대의 상단부 상에 배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중앙분리대의 양측면을 커버하는 충격 흡수 패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중앙분리대에 가해지는 압력 및 진동을 감지하여 센싱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싱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센싱 정보와, 상기 모니터링 장치에 부여된 식별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에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센싱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사고 발생 시각 및 사고 발생 지점을 판단한다.A traffic accident monitoring system includes a monitoring device set on an upper end of a median block disposed on a road and generating sensing information by sensing an impact applied to the median block; And a control server receiving the sensing information from the monitoring device and determining whether a traffic accident has occurred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Here, the monitoring device includes a body disposed on an upper end of the median separator, and an impact absorbing pa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dy and covering both sides of the median separator. The monitor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unit for sensing a pressure and a vibration applied to the median separator to generate a sensing signal;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sens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sensing signal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iven to the monitoring device to the outsid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control server determines whether or not an accident has occurred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and determines an accident occurrence time and an accident occurrence point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Description

교통사고 모니터링 시스템{TRAFFIC ACCIDENT MONITORING SYSTEM}{TRAFFIC ACCIDENT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도로의 중앙분리대에 장착되어 교통사고 등을 모니터링하고 관련 정보를 전파하는 교통사고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ffic accident monitoring system mounted on a median block of a road for monitoring traffic accidents and transmitting related information.

도로에는 운전자가 차선의 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운행 중인 차량이 차선을 침범하지 않도록 유도하고 안전 운행을 도모하기 위해 설치되는 시설물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중앙 분리대, 가드 레일, 델리네이터 모듈이 이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시야 확보가 어려운 구간, 운전자의 저속 운행을 요하는 구간, 사고 위험이 높은 곳 등에는 사고 발생 가능성을 줄이기 위한 시설물의 설치가 필수적이다.There are facilities installed on the roads so that the driver can accurately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lane, induce the traveling vehicle not to invade the lane, and provide safe driving. For example, a median, guardrail, and deliner module can perform this function. Especially, it is essential to install the facilities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accidents in areas where visibility is difficult due to environmental factors, areas requiring low speed operation of the driver, and places with high risk of accidents.

종래에는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이를 축전지에 저장하고 야간이나 짙은 안개로 인한 기상 악화시에는 조도 센서에 의해 자동적으로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이용, LED를 발광시키는 자체발광형 델리네이터 모듈이나 단순 평판 상에 반사지를 부착하여 주행 차량의 전조등에 의해 반사되는 빛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하는 반사형 델리네이터 모듈이 차선 유도를 위해 널리 사용되었다.Conventionally, solar energy is converted into electrical energy and stored in a storage battery. In case of deterioration due to nighttime or deep fog, a self-luminous type deliner module or simple flat panel A reflection type retractor module for guiding the driver's eyes using light reflected by the headlamp of the traveling vehicle is widely used for lane guidance.

최근에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 구축에 있어서 도로에 필수적으로 설치되는 모듈을 활용하여, 차량의 안전 운행을 보다 지능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시스템들이 개발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developed systems capable of more intelligently guiding the safe operation of a vehicle by utilizing modules installed on the road in building an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ITS).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제 2016-0031364호는 도로의 전방 주행 차량 정보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로의 중앙에 설치된 장치가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을 감지하여, 차량이 중앙에 설치된 장치에 가까워지면 알람을 출력함으로써, 전방에서 주행하는 차량이 중앙 분리대와의 안전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6-0031364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a forward running vehicle on the road, in which a device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road detects a vehicle running on the road, And outputting an alarm, thereby enabling a vehicle running on the front to maintain a safety distance from the center separator.

하지만 이러한 장치는 특정한 상황, 예를 들어 차량의 중앙 분리대 충돌을 방지하는 기능을 할 뿐, 차량 간 충돌 사고나 운전자가 위급한 상황에 놓인 경우 후방 차량에 전방 차량의 사고 사실을 알릴 수 없다.However, such a device is capable of preventing a specific situation, for example, a median collision of a vehicle, and can not notify a rear vehicle of an accident of a preceding vehicle when a collision between vehicles or a driver is in a critical situation.

고속도로와 같이 높은 속도로 운행되는 곳에서 전방 주행 차량이 급제동하거나 충돌 사고가 일어난 경우, 사고를 알지 못하고 속도를 유지하는 후방 주행 차량으로 인해 2차 추돌 사고가 일어나는 일이 빈번하다.When a forward driving vehicle is suddenly bumped or collided at a high speed such as a highway, a secondary collision accident frequently occurs due to a rearward driving vehicle that does not know an accident and maintains a speed.

따라서, 도로에 설치 가능한 모듈을 이용하여 전방의 비상 상황을 후방 운전자에게 효율적으로 알려줌으로써, 후방 운전자가 상황을 인지하고 상황에 맞게 감속하거나 우회 도로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system that allows the rear driver to recognize the situation and use the detour or the deceleration according to the situation by effectively informing the rear driver of the emergency situation on the front using the module that can be installed on the road.

한국공개특허 제 2016-0031364호(2016.03.22.공개) "도로의 전방 주행 차량 정보 제공시스템"Korean Laid-open Patent No. 2016-0031364 (published on March 22, 2016) " 한국공개특허 제2017-0123006호(2017.11.07.공개) "전방 사고 알림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7-0123006 (published on Jul. 11, 2017) "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교통 사고 상황을 신속하게 전파할 수 있는 교통사고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ffic accident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quickly propagating a traffic accident situation.

상기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교통사고 모니터링 시스템은, 도로 상에 배치된 중앙분리대의 상단부에 거치(setting)되고, 상기 중앙분리대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여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모니터링 장치; 및 상기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상기 센싱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교통사고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중앙분리대의 상단부 상에 배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중앙분리대의 양측면을 커버하는 충격 흡수 패드를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중앙분리대에 가해지는 압력 및 진동을 감지하여 센싱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센싱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센싱 정보와, 상기 모니터링 장치에 부여된 식별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에 송신하는 통신부; 상기 몸체 내에 구비되고, 상기 모니터링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 배치되어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상기 전원공급부에 제공하거나, 상기 중앙분리대와 상기 충격 흡수 패드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충격에 의한 압력 또는 진동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상기 전원공급부에 제공하는 자가발전부를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센싱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사고 발생 시각 및 사고 발생 지점을 판단 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traffic accident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detect an impact applied to the center separator, A monitoring device for generating a monitoring signal; And a control server for receiving the sensing information from the monitoring device and determining whether a traffic accident has occurred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The monitoring device may include a body disposed on an upper end of the median separator and an impact absorbing pa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dy to cover both sides of the median separator. The monitoring device includes: a sensor unit for sensing a pressure and a vibration applied to the median separator to generate a sensing signal;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sens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sensing signal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signed to the monitoring device to the outsid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power supply unit provided in the body and supplying power to the monitoring device; And a solar battery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for converting solar energy into electric energy and providing the electric energy to the power supply unit or disposed between the center separator and the impact absorbing pad to convert pressure or vibration caused by the impact into electric energy, And may include a self-power generating unit for providing power to the power supply unit. The control server may determine whether an accident has occurred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and may determine an accident occurrence time and an accident occurrence point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중앙분리대에 대한 상기 충격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청색 또는 황색으로 발광하고,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충격이 감지된 경우 적색으로 발광하는 경고 표시부를 더 포함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nitor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warning indicator which emits blue or yellow light when the impact to the median separator is not sensed through the sensor unit, and emits red when the impact is sensed through the sensor unit, As shown in FIG.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센서부는, 상기 중앙분리대에 가해지는 상기 압력에 기초하여 제1 센싱 신호를 생성하는 압력 센서와, 상기 중앙분리대의 상기 진동을 감지하여 제2 센싱 신호를 생성하는 진동 센서와, 초음파 또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상기 중앙분리대에 인접한 차량을 감지하여 제3 센싱 신호를 생성하는 근접 센서를 포함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제1 센싱 신호의 크기와, 상기 모니터링 장치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인접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압력 신호의 크기에 기초하여 사고 차량의 피해 정도를 나타내는 제1 사고 규모를 판단하며, 상기 제3 센싱 신호의 시간에 따른 변화 및 상기 인접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차량 감지 신호의 시간에 따른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중앙분리대에 인접하여 특정 시간동안 이동하지 않는 사고 피해 차량의 대수 또는 사고 피해 차량의 규모를 나타내는 제2 사고 규모를 판단 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nsor unit includes a pressure sensor that generates a first sensing signal based o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median separator, a vibration sensor that detects the vibration of the median pad and generates a second sensing signal, And a proximity sensor for sensing a vehicle adjacent to the median block using an ultrasonic wave or a laser to generate a third sensing signal. In this case, the control server calculates a first incident magnitude indicating the degree of damage of the accident vehicle based on the magnitude of the first sensing signal and the magnitude of the pressure signal provided from the adjacent monitoring apparatus disposed adjacent to the monitoring apparatus Based on a change in the third sensing signal over time and a change in time of the vehicle detection signal provided from the adjacent monitoring devic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scale of the second accident indicating the scale of the accident-damaged vehicle.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통신부는, 근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을 검색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근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하고 상기 모니터링 장치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모니터링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센싱 정보를 메시지로 전송하며, 상기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된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제서버에 전송되고,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된 메시지의 전송 시각에 기초하여 상기 사고 발생 시각을 판단하며,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사고 발생 지점을 판단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searches for a user terminal using a local area communication technique, the user terminal is located adjacent to the monitoring device using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communication unit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Wherein the control server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nitoring device and the sensing information as a message and the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And determines an accident occurrence point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message.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모니터링 장치의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중앙분리대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에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사고 정보를 표시하는 경고 표시 장치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경고 표시 장치는, 상기 경고 표시 장치를 이동시키는 이동 모듈; 상기 이동 모듈의 구동 시간에 기초하여 이동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이동 거리에 기초하여 사고 정보를 생성하는 본체 모듈과, 판 형상을 가지며 일면에만 상기 사고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모듈을 포함 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onitor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warning display device mounted on the main body of the monitoring device or the guide rail formed on the median bar, and displaying accident information while moving along the guide rail . Wherein the warning display device comprises: a movement module for moving the warning display device; A body module for calculating a travel distance based on the drive time of the travel module and generating accident information based on the travel distance, and a display module having a plate shape and displaying the accident information only on one sid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교통사고 모니터링 시스템은, 영상 데이터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압력 신호, 근접 신호 등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며, 압력 신호의 크기에 기초하여 충돌 사고 발생 여부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pressure signal, a proximity signal, and the like, which are relatively small in size compared to image data or the like in real time, and quickly detects whether a collision has occurred based on the magnitude of the pressure signal .

또한, 교통사고 모니터링 시스템은, 경고 표시부(또는, 경고 표시 장치)를 통해 교통사고 발생 상황을 후방의 차량 운전자에게 알림으로써, 2차 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system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the secondary accident by informing the driver of the rear side of the traffic accident occurrence situation through the warning display section (or the warning display device).

나아가, 교통사고 모니티렁 시스템은, 사고 발생 지점으로부터 일정 범위의 모니터링 장치들에 의해 감지된 압력 신호들과, 차량 감지 신호들에 기초하여 충돌 사고 차량의 제1 피해 규모 뿐만 아니라, 사고 피해 차량들의 제2 피해 규모를 파악/추정하고, 이에 대응하는 사고 처리 자원(예를 들어, 응급차 등)을 결정하여 신속하게 지원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system is capable of detecting not only the first damage scale of the collided vehicle based on the pressure signals sensed by the monitoring devices of a certain range from the accident occurrence point and the vehicle detection signals, It is possible to grasp and estimate the second damage scale, determine the corresponding incident processing resource (for example, an ambulance, etc.) and quickly support i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교통사고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교통사고 모니터링 시스템에 포함된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교통사고 모니터링 시스템에 포함된 관제서버에서 교통사고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1의 교통사고 모니터링 시스템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에 포함된 경고 표시부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raffic accident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traffic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 included in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system of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 of FIG.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rmining a traffic accident in a control server included in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system of FIG. 1;
5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system of FIG.
6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warning display unit included in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 of FIG.
FIG. 7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 of FIG. 2. FIG.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explanations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교통사고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raffic accident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교통사고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110), 중계기(120) 및 관제서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system 100 may include a traffic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 110, a relay 120, and a control server 130.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110)는 도로(또는, 고속도로)의 중앙분리대(MS)(또는, 가드 레일)에 장착되고, 차량 등이 중앙분리대(MS)에 출동하는 충돌 사고 발생시, 충격을 흡수하여 사고 차량의 운전자 등을 보호하며, 충돌 사고 발생시 감지된 센싱 정보(또는, 모니터링 정보)를 중계기(또는, 관제서버,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 110 is mounted on a median (MS) (or guardrail) of a road (or a highway), and when a collision occurs in which a vehicle or the like is dispatched to the median (Or monitoring information) detected at the time of occurrence of a collision can be transmitted to a repeater (or a control server, a user terminal).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110)는 상호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110)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es 11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es 110 may be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11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 11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2 and FIG.

중계기(120)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110)와 연결되고,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110)로부터 제공되는 센싱 정보를 관제서버(130)에 전송할 수 있다. 중계기(120)는 관제서버(130)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중계기(120)는 기 구축된 시스템(예를 들어, 과속 단속 카메라)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 있다.The repeater 120 may be connected to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 11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may transmit the sensing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 110 to the control server 130. The repeater 120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server 130 in a wired manner and the repeater 120 may be included in a built-in system (for example, a overspeed camera).

관제서버(130)는 중계기(120)를 통해 전송된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충돌사고(또는, 교통사고)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충돌사고의 규모를 추정할 수 있다. 관제서버(130)는 센싱 정보(예를 들어, 센싱 정보와 함께 전송된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110)의 식별 정보)와 배치 정보(예를 들어,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110) 각각의 배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고 발생 지점을 판단할 수 있다. 관제서버(130)는 충돌사고 발생 사실을 유관기관(예를 들어, 도로 교통부, 안전관리시스템(예를 들어, 119안전신고센터) 등), 관련 사용자들(예를 들어, 사고 발생 지점으로부터 특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운전자)에게 직/간접적으로 전파할 수 있다.The control server 130 can determine whether a collision accident (or a traffic accident) has occurred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relay 120, and estimate the magnitude of the collision accident. The control server 130 receives sensing information (for examp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 110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sensing information) and placement information (for example, placement information of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 11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point of occurrence of the accident. The control server 130 notifies the occurrence of a collision to a related authority (for example, a road traffic department, a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example, 119 safety report center) A driver located within a certain distance).

이하에서는,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110)의 구성과, 관제서버(130)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 110 and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server 130 will be sequentially described.

도 2는 도 1의 교통사고 모니터링 시스템에 포함된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traffic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 included in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system of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 of FIG.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110)는 본체(210) 및 충격 흡수 패드(220)(또는, 충격흡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10)는 직사각형 형태로 구현되고, 중앙분리대(MS)의 상면(또는, 상단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체(210)는 도 3에 도시된 통신부(310), 경고 표시부(330), 전원부(240) 및 제어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first to FIG. 2,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 110 may include a main body 210 and an impact absorbing pad 220 (or a shock absorbing unit). The body 210 is realiz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can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r upper end) of the median separator MS. The main body 21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310, a warning display unit 330, a power supply unit 240, and a control unit 350 shown in FIG.

충격 흡수 패드(220)는 본체(210)로부터 아래 방향(또는, 하방)으로 연장된 지지 패드들 상에(즉, 지지 패드들의 측면 상에) 배치되어, 중앙분리대의 양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충격 흡수 패드(220)는 판상의 플락스틱, 우레탄 등의 재질로 구현되며, 중앙분리대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The shock absorbing pads 220 may be disposed on support pads extending downward (or downward) from the body 210 (i.e., on the sides of the support pads) to cover both sides of the median separator. The impact absorbing pad 220 is formed of a plate-shaped flockstick, urethane or the like, and can absorb a shock applied to the median separator.

도 2에 도시된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110)의 형상에 따라,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110)는 중앙분리대(MS)에(또는, 중앙분리대(MS)의 상단부에) 거치(setting)될 수 있다. 또한,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110)의 하측 단부(즉, 지지 패드의 단부) 등이 볼트 등에 의해 중앙분리대에 고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 110 shown in Fig. 2,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 110 can be set on the median MS (or on the upper end of the median MS) . Further, the lower end of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 110 (i.e., the end of the support pad) or the like can be fixed to the median separator by bolts or the like.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110)의 기능과 관련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110)는 통신부(310), 센서부(320), 경고 표시부(330), 전원부(340) 및 제어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2 and 3,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 11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310, a sensor unit 320, a warning display unit 330, a power source unit 340 And a control unit 350. [0033]

통신부(310)는 중계기(120)(또는, 관제 서버(130), 사용자 단말 등)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는 후술하는 센싱부(320)에서 생성된 센싱 정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정보와, 모니터링 장치에 부여된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110)의 본체(210) 내부에 구비되고,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310 forms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relay 120 (or the control server 130, a user terminal, and the like) and can transmit data. Here, the data may include monitoring information including sensing information generated by a sensing unit 320 described l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signed to the monitoring device, and the like. The communication unit 310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210 of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 110 and can transmit data through an antenna (not shown).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310)는 저전력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310)는 로라(long range; LoRa)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중계기(120), 관제서버(130) 등과 데이터 통신하거나, 저전력블루투스(BLE)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사고 차량의 운전자/동승자가 소지한 단말)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310 may utilize a low power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310 may communicate data with the relay 120, the control server 130, or the like using a long range (LoRa) communication technology, or may transmit data using a low power Bluetooth (BLE) For example, a terminal carried by a driver / passenger of an accident vehicle).

센서부(320)는 중앙분리대(MS)에 가해지는 압력 또는 진동을 감지하여 센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320)는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110)에 인접한 차량(또는, 객체)을 감지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320 may generate a sensing signal by sensing pressure or vibration applied to the center separator MS. In addition, the sensor unit 320 may sense a vehicle (or an object) adjacent to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 110. [

실시예들에서, 센서부(320)는 압력 센서, 진동 센서 및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In embodiments, the sensor portion 320 may include a pressure sensor, a vibration sensor, and a proximity sensor.

압력 센서는 중앙분리대(MS)에 가해지는 압력에 기초하여 제1 센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센서는 일반적인 압력 센서로 구현되며, 지지패드와 충격 흡수 패드(2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센서는 도 2에 도시된 제2 센서(SEN2) 및 제4 센서(SEN4)로 구현되고, 제2 센서(SEN2) 및 제4 센서(SEN4)는 중앙분리대(MS)를 기준으로 각각 배치된 방향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또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The pressure sensor can generate the first sensing signal based o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median separator MS. For example, the pressure sensor may be implemented as a general pressure sensor, and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pad and the impact absorbing pad 220. For example, the pressure sensor is implemented with the second sensor SEN2 and the fourth sensor SEN4 shown in Fig. 2, and the second sensor SEN2 and the fourth sensor SEN4 are implemented with the median (MS) (Or pressure) exerted from directions respectively arranged in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진동 센서는 중앙분리대(MS)의 진동을 감지하여 제2 센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센서는 본체(210) 내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 있다.The vibration sensor can detect the vibration of the center separator MS and generate the second sensing signal. For example, a vibration sensor may be included in the body 210 and implemented.

근접 센서는 초음파 또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중앙분리대(MS)에 인접하는 차량을 감지하여 제3 센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접 센서는 일반적인 초음파 근접 센서로 구현되고, 도 2에 도시된 제1 센서(SEN1) 및 제3 센서(SEN3)로 구현되며, 중앙분리대(MS)를 기준으로 각각 배치된 방향에 위치하는 차량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근접 센서는 근접 센서의 성능(예를 들어, 탐지 거리/영역)을 고려하여, 복수의 근접 센서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서(SEN1)는 수평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 제1 내지 제3 센서 모듈들(SEN1a, SEN1b, SEN1c)를 포함하고, 제1 내지 제3 센서 모듈들(SEN1a, SEN1b, SEN1c)은 상호 다른 영역들에서 차량을 감지할 수 있다.The proximity sensor can generate a third sensing signal by sensing a vehicle adjacent to the center MS using ultrasonic waves or a laser. For example, the proximity sensor is implemented by a general ultrasonic proximity sensor and is implemented with the first sensor SEN1 and the third sensor SEN3 shown in Fig. 2, It can detect the vehicle that is located. In addition, the proximity sensor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ximity sensor modules, taking into account the performance of the proximity sensor (e.g., detection distance / area). For example, the first sensor SEN1 includes first through third sensor modules SEN1a, SEN1b, and SEN1c sequentially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first through third sensor modules SEN1a, SEN1b, SEN1c) can sense the vehicle in different areas.

한편, 센서부(320)에서 생성된 센싱 정보(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 센신 신호들)은 관제서버(130)에서 교통사고 발생 여부 및 교통사고의 발생 규모를 산출/추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Meanwhile, the sensing information (e.g., the first to third sensing signals) generated by the sensor unit 320 may be used in the control server 130 to calculate / estimate the occurrence of the traffic accident and the magnitude of the occurrence of the traffic accident .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경고 표시부(330)는 다양한 문자, 도형, 화살표 또는 그림, 또는 색광(예를 들어, 청색광, 황색광, 적색광)을 표시하여, 후방에서 접근하는 차량의 사용자에게 교통사고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warning display unit 330 may display various characters, figures, arrows or pictures, or color lights (e.g., blue light, yellow light, red light) to provide traffic accident related information to a user of the vehicle approaching from behind .

일 실시예에서, 경고 표시부(330)는 청색광, 황색광, 적색광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발광 장치(예를 들어, 램프)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고 표시부(330)는 도 2에 도시된 제1 경고등(WL1) 또는 제2 경고들(WL2)으로 구현되고, 외부(예를 들어, 관제서버(130))로부터 제공되는 발광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청색광, 황색광, 적색광 중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경고등의 색상은 교통사고의 존재여부와 교통사고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방에 교통사고가 없는 경우에는 청색 또는 황색으로 발광하고, 전방에 교통사고가 있는 경우에는 적색으로 발광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청색광은 전방 2KM 이내에 교통사고가 없는 안전한 상태를 나타내고, 황색광은 전방 2KM 전방에 교통사고가 있는 주의 상태를 나타내며, 적색광은 전방 1KM 전방에 교통사고가 있는 경고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arning indicator 330 may be implemented as a light emitting device (e.g., a lamp) that displays at least one of blue light, yellow light, and red light. For example, the warning indicator 330 may be implemented as the first warning light WL1 or the second warnings WL2 shown in FIG. 2 and may be implemented as a light emission control (not shown) provided from an external (for example, the control server 130) Based on the signal, one of blue light, yellow light, and red light can be displayed. Here, the color of the warning light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existence of a traffic accident and the distance to the traffic accident. For example, when there is no traffic accident ahead, the color of the warning light is emitted in blue or yellow, Can emit red light. For example, the blue light indicates a safe state without traffic accident within 2KM ahead, the yellow light indicates a state of caution in front of 2KM ahead, and the red light indicates a warning state in front of 1KM ahead of traffic accident have.

한편, 도 2에 도시된 제1 경고등(WL1)과 제2 경고등(WL2)은 상호 다른 방향으로 빛을 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센서들(SEN1, SEN2)과 제1 경고등(WL1)은 연동하며, 제1 및 제2 센서들(SEN1, SEN2)에서 감지된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교통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1 램프(WL1)를 통해 광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교통사고가 발생한 차선 측에서 후방에서 접근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반대 차선의 운전자에게 불필요한 주의 정보가 제공되는 것(또는, 주의 정보에 의해 혼선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3 및 제4 센서들(SEN3, SNE4)가 제2 경고들(WL2)은 연동하며, 해당 차선의 교통사고를 감지하며, 해당 차선의 차량 운전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warning light WL1 and the second warning light WL2 shown in FIG. 2 can emit light in mutually different directions.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SEN1 and SEN2 and the first warning light WL1 are interlocked, and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sensed by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SEN1 and SEN2,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light is generated, light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first lamp WL1.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information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approaching from the rear in the lane where the traffic accident occurred, and to prevent unnecessary warning information from being provided to the driver in the opposite lane (or to cause confusion due to the warning information) . Similarly, the second alarms WL2 are interlocked with the third and fourth sensors SEN3 and SNE4, detect a traffic accident of the corresponding lane, and provide information to the vehicle driver of the corresponding lane.

한편, 경고 표시부(330)는 경고음을 생성/출력하는 경고음 출력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경고 표시부(330)는 빛과 함께 소리를 발생시킴으로써, 운전자들이 교통사고 발생 사실을 보다 신속하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the warning display unit 330 may further include a warning sound output module for generating / outputting a warning sound. That is, the warning display unit 330 generates sound with light, thereby enabling drivers to recognize the occurrence of a traffic accident more quickly.

실시예들에서, 경고 표시부(330)는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110)에 형성된 별도의 가이드 레일(또는,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110)가 경고 표시부(330)를 포함하는 대신, 차량 운전자가 경고 표시부(330)를 휴대할 수 있으며, 교통사고 발생시, 차량 운전자가 경고 표시부(330)를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110)(또는, 중앙분리대)에 장착하고 후방으로(즉, 교통사고 발생한 차선의 주행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이동시켜, 운전자들에게 교통사고 사실을 시각적으로 알릴 수 있다. 경고 표시부(330)가 이동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In the embodiments, the warning display unit 330 may move along a separate guide rail (or guide groove) formed in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 110. For example, instead of including the warning display unit 330,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 110 can carry the warning display unit 330, and when a traffic accident occurs, the vehicle driver can display the warning display unit 330 It is mounted on the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 110 (or a median) and moved rearward (that is, rearward with respect to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lane in which a traffic accident occurred), thereby visually informing drivers of the traffic accident.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warning display unit 330 is moved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전원부(340)는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110)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생성하여 제공/공급할 수 있다. 전원부(340)는 전원공급부와 자가발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는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110)의 본체(210)에 구비되고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110)에 전원을 공급하며, 일반적인 전력 컨버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자가발전부는 본체(210)의 상부면에 배치되어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전원공급부에 제공하거나,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110)의 지지 패드와 충격 흡수 패드 사이에 배치되어 충격에 의한 압력 또는 진동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전원공급부에 제공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340 may generate and supply / supply power necessary for driving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 110. [ The power supply unit 340 may include a power supply unit and a self-power generation unit. The power supply unit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210 of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 110 and supplies power to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 110, and may be implemented by a general power converter or the like. The self-power generating unit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210 to convert solar energy into electric energy and provide the power to the power supply unit. Alternatively, the self-power generating uni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pad of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 110 and the impact- The vibration can be converted into electric energy and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unit.

제어부(350)는 통신부(310), 센서부(320), 경고 표시부(330) 및 전원부(340)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고, 이들간의 데이터 전송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50)는 센서부(320)에서 생성된 센싱 정보를 통신부(310)로 하여금 외부에 전송하도록 하며, 센싱 정보 또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발광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경고 표시부(3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50 controls operations of the communication unit 310, the sensor unit 320, the warning display unit 330, and the power supply unit 340, and can control data transfer between them.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350 may cause the communication unit 310 to transmit the sensin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ensor unit 320 to the outside, and may display the warning display unit 330 on the basis of the sensing information or the externally provided emission control signal. Can be controlled.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350)는 센서부(320)에서 생성된 센싱 정보(또는, 모니터링 정보)에 기초하여 교통사고 발생 여부를 1차적으로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경고 표시부(3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싱 정보에 포함된 압력(즉, 충격에 의한 압력)의 크기가 기준 압력보다 큰 경우, 제어부(350)는 교통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경고 표시부(330)(예를 들어, 해당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110)의 경고 표시부(330) 및 인접한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들의 경고 표시부)가 동작하도록 발광 제어 신호를 생성/전파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망 장애 등이 발생하더라도, 교통사고 사실이 보다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전파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50 primarily determines whether a traffic accident has occurred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or the monitorin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ensor unit 320, and displays a warning on the warning display unit 330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Can be controlled. For example, when the magnitude of the pressure included in the first sensing information (i.e., the pressure due to the impact)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pressure, the controller 350 determines that a traffic accident has occurred, The alarm display unit 330 of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 110 and the alarm display unit of adjacent traffic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es) operate. In this case, even if a communication network failure occurs, the fact of a traffic accident can be spread more quickly and stably.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110)는 구조상 충격 흡수 패드(220)를 통해 충돌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여 차량/사용자를 보호하고 중앙분리대(MS)의 파손을 방지하며, 센서부(320)를 통해 중앙분리대에 가해지는 충격(예를 들어, 압력, 진동)과 중앙분리대에 인접하여 정지한 차량(예를 들어, 사고 차량)을 감지하고, 교통 사고 발생 여부에 기초하여 교통사고 정보(또는, 경고/주의 정보, 예를 들어, 황색광)를 표시함으로써, 2차 사고 발생 등을 예방할 수 있다.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 110 is structurally designed to protect the vehicle / user by mitigating the impact caused by the collision through the impact absorbing pad 220 and to prevent damage to the center separator MS (For example, pressure and vibration) applied to the median separator through the sensor unit 320 and a vehicle (for example, an accident vehicle) stopped adjacent to the median separator, (Or warning / attention information, for example, yellow light) is displayed on the basis of the traffic accident information (e.g.

도 4는 도 1의 교통사고 모니터링 시스템에 포함된 관제서버에서 교통사고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rmining a traffic accident in a control server included in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system of FIG. 1;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관제서버(130)(또는, 교통사고 판단 방법)은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110)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획득 할 수 있다(S410).Referring to FIGS. 1 and 4, the control server 130 (or a traffic accident determination method) may receive / acquire sensing information from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 110 (S410).

여기서, 센싱 정보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센서부(320)의 압력 센서를 통해 감지된 압력을 나타내는 제1 센싱 신호와, 진동 센서를 통해 감지된 진동을 나타내는 제2 센싱 신호와, 근접 센서를 통해 감지된 차량(예를 들어, 중앙분리대(MS)에 인접한 차량, 객체)를 나타내는 제3 센싱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2 and 3, the sensing information includes a first sensing signal indicative of the pressure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of the sensor unit 320, a second sensed signal indicative of the sensed vibration through the vibration sensor, Sensing signal, and a third sensing signal indicative of the vehicle sensed through the proximity sensor (e.g., vehicle, object adjacent to the median (MS)).

관제서버(130)는 주기적으로 제1 센싱 신호(또는, 압력)의 크기가 기준 압력(또는, 기준 압력값)보다 큰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20). 제1 센싱 신호의 크기가 기준 압력보다 큰 경우, 관제서버(130)는 교통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server 130 may periodically determine whether the magnitude of the first sensing signal (or pressure) is greater than a reference pressure (or a reference pressure value) (S420). When the size of the first sensing signal is larger than the reference pressure, the control server 130 can determine that a traffic accident has occurred.

교통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관제서버(130)는 해당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110)와 인접하여 위치하는(또는, 해당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110)를 기준으로 특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인접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110)의 압력 신호(즉, 제1 센싱 신호에 대응하는 압력 신호)를 검색할 수 있다(S430).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traffic accident has occurred, the control server 130 determines whether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device 110 is located adjacent to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device 110 (or located within a specific distance based on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device 110) (I.e., the pressur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nsing signal) of the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 110 (S430).

차량이 중앙분리대(또는, 해당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110))에 충돌하고 바로 튕겨나갈 수도 있으나, 차량이 중앙분리대에 충돌한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vehicle may collide with the median separator (or the corresponding traffic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 110) and may immediately be thrown out, but the vehicle can move with the median collision.

관제서버(130)는 인접한 제1 센싱 신호(또는, 압력 신호)에 기초하여 사고 차량(또는, 충돌 차량)의 피해 정도를 나타내는 제1 사고 규모를 판단할 수 있다(S440). The control server 130 may determine a first accident scale indicating the degree of damage of the accident vehicle (or the collision vehicle) based on the adjacent first sensing signal (or pressure signal) (S440).

예를 들어, 제1 센싱 신호가 제1 기준 신호보다 큰 경우, 관제서버(130)는 제1 사고 규모를 대/중/소 중에서 "소"로 판단하되, 인접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들의 압력 신호(또는, 제1 압력 신호)도 제1 기준 신호보다 큰 경우, 제1 사고 규모의 등급을 "소"에서 "중"으로 변경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센싱 신호가 제2 기준 신호보다 큰 경우, 관제서버(130)는 제1 사고 규모를 "중"으로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sensing signal is larger than the first reference signal, the control server 130 determines that the first incident scale is "small" in the middle / middle / small, Or the first pressure signal) is larger than the first reference signal, the degree of the first accident scale can be changed from "small" to "middle". In another example, when the second sensing signal is larger than the second reference signal, the control server 130 may determine that the first incident magnitude is "medium ".

이후, 관제서버(130)는 해당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110) 및 인접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들에서 감지된 차량 감지 신호들의 변화에 기초하여 제2 사고 규모를 판단할 수 있다(S450).Thereafter, the control server 130 may determine the second incident size based on the change of the vehicle detection signals detected by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 110 and the adjacent traffic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es (S450).

참고로,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110)의 근접 센서를 통해 지속적으로 주행 차량이 감지될 수 있으나, 주행 차량의 이동에 따라 주행 차량에 의한 제3 센싱 신호는 지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사고 차량의 경우, 사고 수습이 이루어지기 전까지 일정시간 동안 정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고 차량에 의한 제3 센싱 신호는 일정시간 이상 동안 특정 값으로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110)가 근접 센서를 통해 1대의 승용 차량 또는 5m 구간의 객체를 감지할 수 있는 경우, 3개의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들에 의해 사고 차량들이 감지되는 경우, 제2 사고 규모는 3대 또는 15m 로 추정될 수 있고, 5개의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들에 의해 사고 차량들이 감지되는 경우, 제2 사고 규모는 5대 또는 25m 로 추정될 수 있다. 제2 사고 규모에 대응하는 사고 처리 차량 등이 현장에 신속하게 배치될 수 있다.For reference, although the traveling vehicle can be continuously detected through the proximity sensor of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 110, the third sensing signal by the traveling vehicle can be continu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traveling vehicle. In contrast, in the case of an accident vehicl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tate where the vehicle is stopped for a predetermined time before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so that the third sensing signal by the accident vehicle can be maintained at a specific value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For example, when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 110 can detect one passenger vehicle or an object of a 5 m section through the proximity sensor, when the accident vehicles are detected by the thre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devices, The accident size can be estimated as 3 or 15m, and when the accident vehicles are detected by the fiv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devices, the second accident scale can be estimated as 5 or 25m. An accident handling vehicle or the lik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ccident scale can be quickly disposed on the spot.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관제서버(130)는 센싱 정보 중 제1 센싱 신호(또는, 압력 신호)에 기초하여 충돌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되, 인접한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들로부터 획득한 제1 센싱 신호들(또는, 압력 신호들)에 기초하여 사고 차량의 피해 정도를 나타내는 제1 사고 규모를 판단하며, 인접한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들로부터 획득한 제3 센싱 신호들(또는, 차량 감지 신호들)에 기초하여 사고 피해 차량의 피해 규모를 나타내는 제2 사고 규모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사고 규모들에 기초하여 사고 처리를 위한 지원 차량들(예를 들어, 견인차, 응급차 등)의 지원 규모가 결정되고, 신속한 사고 처리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the control server 130 determines whether or not a collision has occurred based on the first sensing signal (or the pressure signal) of the sensing information, (Or pressure sensing signals) obtained from adjacent traffic accident monitoring devices, based on the sensed signals (or pressure signal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scale of the second accident indicating the scale of damage of the accident-damaged vehicle.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accident scales, the support scale of the support vehicles (e.g., tow vehicle, ambulance, etc.) for accident handling can be determined and rapid accident handling support can be achieved.

도 5는 도 1의 교통사고 모니터링 시스템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system of FIG.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교통사고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5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5,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system 100 may further include a user terminal 510.

사용자 단말(510)은 사고 차량의 운전자 및 동승자가 소지한 단말로서,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11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범위 이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110)의 통신거리를 고려하여 5m 이내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The user terminal 510 can be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 range from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 110 as a terminal carried by the driver and the passenger of the accident vehicle. For example, it may be a terminal of a user located within 5 m in consideration of the communication distance of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 110.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모니터링 장치(110)는 장거리 무선 통신 기술 및/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라 통신과 같은 장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는 경우, 모니터링 장치(110)는 센싱 정보(또는, 모니터링 정보)를 중계기(120)(및 유선통신망)을 통해 관제서버(130)에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BLE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는 경우, 모니터링 장치(110)는 센싱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 단말(510)에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510)은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교통 사고 정보를 관제 서버(13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510)은 3G, LTE 등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the monitoring device 110 may utilize long-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 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example, when using a long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such as Laura communication, the monitoring device 110 may provide sensing information (or monitor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erver 130 through the repeater 120 (and wired communication network) . The monitoring device 110 provides at least a portion of the sensing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510 and the user terminal 510 responds to the user ' And provide accident information to the control server 130. Here, the user terminal 510 can transmit data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 such as 3G, LTE, and the like.

예를 들어, 중앙분리대(MS)(또는,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110))에 대한 충격이 발생한 경우,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100)는 인근(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 거리인 5m 이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510)을 검색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510)은 동일한 통신 기능이 활성화된 단말일 수 있다. 최근에는 통신 기능을 탑재한 차량(예를들어, 블루링크 기술)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로, 사용자 단말(510)은 차량에 장착된 통신 단말일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510)이 검색되는 경우,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110)는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110)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ID)와 충격 정보(예를 들어, 압력/진동의 크기)를,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510)에 문자 메시지/팝업 메시지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110)는 감지된 차고 차량의 수/규모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 단말(5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510)은 사용자의 입력 정보(예를 들어, 사고 정보의 전송에 동의하는, "예"에 대한 터치 입력, 또는, 정보 전송에 대한 비동의 신호의 특정 시간 내 미입력)에 응답하여, 교통사고 정보(즉, 식별 정보, 충격 정보 등을 포함하는 사고 정보)를 관제서버(13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관제서버(130)는 교통사고 정보가 사용자 단말(510)/관제서버(130)에 전송된 시점에 기초하여 사고 시점/시각을 결정/판단하고,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110)의 식별정보(ID)와 배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고 지점을 파악하며, 사고 규모 정보(즉, 압력/진동의 크기, 사고 차량의 대수 또는 사고 차량이 감지되는 범위)에 기초하여 사고 규모를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제 서버(130)는 압력/진동의 크기 및 범위에 기초하여 교통사고의 규모를 대/중/소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관제서버(130)는 교통사고 정보와 함께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유관 기관(예를 들어, 119안전신고센터)에 제공하고, 유관 기관에서는 사용자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사고 상황/규모 등을 파악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n impact on the median separator MS (or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 110) occurs,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 100 is located at a nearby location (for example, within a Bluetooth communication distance of 5 m) The user terminal 510 can search the user terminal 510. Here, the user terminal 510 may be a terminal for which the same communication function is activated.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vehicles (for example, blue link technology)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function is also increasing, and the user terminal 510 may be a communication terminal mounted on a vehicle. When the user terminal 510 is searched,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device 110 detec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ID) and impact information (for example, pressure / vibration size) of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device 110 , As illustrated in FIG. 5, in the form of a text message / pop-up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510. In addition,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 110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on the number / size of the detected garage vehicles to the user terminal 510. Then, the user terminal 510 responds to the input information of the user (for example, a touch input for "Yes ", which agrees to transmission of the accident information, or a non- , And can transmit traffic accident information (i.e., accident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mpact information, and the like) to the control server 130.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server 130 determines / determines an accident time / time based on the time when the traffic acciden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510 / the control server 130, (Eg, the size of the pressure / vibration, the number of accident vehicles, or the range in which an accident vehicle is detected) based on the accident information (ID) and the placement information. For example, the control server 130 can classify the magnitude of traffic accidents as large / medium / small based on the magnitude and range of pressure / vibration. The control server 130 provides the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together with the traffic accident information to the relevant organization (for example, the 119 safety report center), and the related organization can use the user terminal information to more accurately identify the accident situation / .

도 5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교통사고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일반적으로 모니터링 장치(110)로부터 생성된 센싱 정보(또는, 모니터링 정보)를 중계기(120)를 통해 관제서버(130)에 제공하되, 우회적으로 센싱 정보를 사용자 단말(510)(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 기능이 활성화된 사고 차량의 사용자 단말/차량 단말)에 제공하며, 사용자의 동의(또는, 비동의에 대한 미입력)에 기초하여 사고 정보를 사용자 단말(510)로부터 관제서버(130)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모니터링 장치(110)와 중계기(120)간의 통신망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교통사고 정보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파할 수 있다.5,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transmits sensing information (or monitoring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monitoring device 110 to the relay device 120 through the relay device 120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 vehicle terminal of the accident vehicle in which the Bluetooth communication function is activated) by providing the sens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erver 130, The user terminal 510 can send the accident information to the control server 130 based on the user's intention to enter the agreement. Therefore, even if a communication network failure occurs between the monitoring apparatus 110 and the relay apparatus 120, the traffic accident information can be propagated more quickly and accurately.

도 6은 도 3의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에 포함된 경고 표시부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warning display unit included in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 of FIG.

도 2,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경고 표시부(600)(또는, 경고 표시 장치)는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110)(또는,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110)의 본체(210), 중앙 분리대(MS)))에 형성된 가이드 홈(G1, G2) 및/또는 가이드 레일(G3, G4)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고 표시부(600)는 사고 발생한 주행차선을 기준으로 후방(즉, 역주행방향)으로 중앙분리대(MS)를 따라 이동하면서, 사고 발생 정보, 주의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2, 3, and 6, the warning display unit 600 (or the warning display unit) includes a traffic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 110 (or a main body 210 of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 110, G2, and / or guide rails G3, G4 formed on the guide rails (MS)). For example, the warning display unit 600 can display accident occurrence information, atten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while moving along the median remotely (MS) in the backward direction (that is, in the backward direction) on the basis of the accidental driving lane.

먼저, 경고 표시부(600)는 본체 모듈(610), 연결 모듈(620) 및 표시 모듈(630)을 포함할 수 있다.First, the warning display unit 600 may include a body module 610, a connection module 620, and a display module 630.

본체 모듈(610)은 외부(예를 들어, 유무선 조정기)로부터 이동 제어 신호를 통신 모듈과, 경고 표시부(600)가 이동한 거리를 산출하는 이동 거리 산출 모듈과, 경고 표시부(600)를 이동시키는 이동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모듈은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가이드 홈(G1, G2)/가이드 레일(G3, G4)에 장착되어 회전 구동력에 따라 회전하는 롤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리 산출 모듈은 모터의 구동시간/회전수, 또는 롤러의 회전수 등에 기초하여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산출된 거리는 표시 모듈(630)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The main body module 610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a movement distance calculation module for calculating the distance traveled by the warning display portion 600, and a movement distance calculation module for moving the warning display portion 600 from the outside (for example, And a movement module. For example, the moving module may include a motor for generating a rotational driving force, and a roller mounted on the guide grooves G1 and G2 / guide rails G3 and G4 and rotating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For example, the distance calculating module can calculate the distance based on the driving time / number of rotations of the motor,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roller, and the like. The calculated distance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module 630. [

연결 모듈(620)은 본체 모듈(610)과 표시 모듈(630)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모듈(620)은 본체 모듈(610) 및/또는 표시 모듈(630)과 회동/접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표시 모듈(630)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 및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The connection module 620 is disposed between the main body module 610 and the display module 630 and can connect them. For example, the connection module 620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module 610 and / or the display module 630 in a rotatable / foldable manner, and can transmit power and information necessary for driving the display module 630.

표시 모듈(630)은 일 면에 문자, 그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모듈(630)은 사고 발생 정보를 표시하되, 본체 모듈(610)(또는, 거리 산출 모듈)에서 산출된 이동 거리 정보에 따라 거리 표시 부분(예를 들어, 00 M)를 변화시킬 수 있다. 표시 모듈(630)은 바람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그물(mesh) 형태의 표면을 가질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630 can display characters, pictures, and the like on one sid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the display module 630 displays the accident occurrence information, and displays the accident occurrence information on the basis of the distance display portion (e.g., For example, 00 M). Display module 630 may have a mesh-like surface to reduce wind resistance.

한편,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110)의 본체(210)(또는, 중앙분리대(MS)의 상부 구조물)은 가이드 홈(G1, G2) 및/또는 가이드 레일(G3, G4)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이드 홈(G1)은 본체(210)의 상부면 일측 또는 양측에 오목한 홈 형태로 형성되고, 홈은 본체(210)의 길이 방향(또는,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110)들이 배치되는 방향, 중앙분리대의 연장 방향, 주행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전원부(340)(또는, 자가발전부로서, 태양광패널)과 중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가이드 홈(G1)은 본체(210)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가이드 홈(G2)은, 제1 가이드 홈(G1)과 유사하고, 본체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3 및 제4 가이드 레일들(G3, G4)이 제1 및 제2 가이드 홈들(G1, G2) 대신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3 및 제4 가이드 레일들(G3, G4)은 홈 대신 볼록하게 돌출된 레일들로 구현될 수 있다.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110)가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 있고, 홈의 경우의 이물질 등이 쌓일 우려가 있으므로,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110)의 본체(210)(또는, 중앙분리대(MS))는 제2 가이드 홈(G2)과 같이 측면에 형성되거나, 제3 및 제4 가이드 레일들(G3, G4)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가이드 홈들(G1, G2) 및 제3 및 제4 가이드 레일들(G3, G4)는 직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볼록 부분, 오목 부분은 예각 또는 둔각을 가질 수 있으며, 경고 표시부(600)가 장착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공지된 형상들이 적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main body 210 (or the upper structure of the center separator MS) of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 110 may include guide grooves G1 and G2 and / or guide rails G3 and G4. For example, the first guide groove G1 is formed in a concave groove shape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210, and the groove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210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enter separator, and the running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guide groove G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210 in order to prevent the power supply portion 340 (or the solar power panel as the self-generating portion) from being overlapped with the first guide groove G1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 In another example, the second guide groove G2 is similar to the first guide groove G1 and can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For example, the third and fourth guide rails G3 and G4 may be formed in place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grooves G1 and G2, and the third and fourth guide rails G3 and G4 may be formed. G4 may be implemented as convexly protruding rails instead of grooves. The main body 210 of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 110 (or the median separator MS) may not be used because the vehicle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 110 is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It may be preferable to form the guide groove G2 on the side surface or to include the third and fourth guide rails G3 and G4. Although the first and second guide grooves G1 and G2 and the third and fourth guide rails G3 and G4 have a rectangular sectional shap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convex portion, the concave portion may have an acute angle or an obtuse angle, and known shapes can be applied if the warning display portion 600 can be mounted.

경고 표시부(600)는 제1 및 제2 가이드 홈들(G1, G2) 및 제3 및 제4 가이드 레일들(G3, G4) 중 하나 또는 2개에 장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고 표시부(600)는 제1 및 제2 가이드 홈들(G1, G2)(또는, 가이드 레일들)에 장착될 수 있다. 도로의 주행 차선, 반대 차선 모두에서 교통 사고들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다른 경고 표시부들이 상호 다른 방향으로 이동해야 하므로, 경고 표시부(600)는 해당 차선에 인접하는 방향으로 장착되고, 해당 차선에만 교통사고 정보/주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경고 표시부(600)는 주행 차선에 인접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 홈들(G1, G2)에 장착되어, 주행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동거리만큼 전방에 발생한 사고정보를 후방의 운전자들에게 제공하며, 반대 차선에 인접하는 제3 및 제4 가이드 레일들(G3, G4)에는 다른 경고 표시부가 장착되어, 반대 차선에서의 운전자들에게만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warning display unit 600 may be mounted on one or both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grooves G1 and G2 and the third and fourth guide rails G3 and G4. 6, the warning indicator 600 may be mounted on the first and second guide grooves G1 and G2 (or guide rails). A traffic accident may occur in both the driving lane and the opposite lane of the road. In this case, since the other warning display units must move in different directions, the warning display unit 600 is mounted in a direction adjacent to the lane, And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incident / attention information. That is, the warning display unit 600 is mounted on the first and second guide grooves G1 and G2 adjacent to the driving lane and move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riving direction, And the third and fourth guide rails G3 and G4 adjacent to the opposite lane are equipped with different warning indicators so that they can provide relevant information only to drivers in the opposite lane.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경고 표시부(600)는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110)의 본체(210)(또는, 중앙분리대(MS)의 상부 구조물)에 형성된 가이드 홈 및/또는 가이드 레일에 장착되어, 주행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후방의 운전자들에게 교통사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경고 표시부(600)는 교통사고 정보에 이동 거리 정보를 반영하여 표시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교통사고 정보를 다른 운전자들에게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경고 표시부(600)는 별도의 경고 표시 장치로 구현되고, 삼각대와 같이 차량 운전자들이 차량에 휴대하면서, 교통사고 발생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경고 표시부(600)는 유무선 제어 방식을 통해 사용자가 그 이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정확한 거리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삼각대 설치가 가지는 위험성 등을 제거할 수 있다.6, the warning display unit 600 is mounted on a guide groove and / or a guide rail formed in the main body 210 (or the upper structure of the center separator MS) of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 110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traffic accident information to the rear drivers while moving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traveling direction. In addition, the warning display unit 600 can display more accurate traffic accident information to other drivers by reflecting the moving distance information in the traffic accident information. The warning display 6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warning display device, and may be used when a vehicle accident occurs while the vehicle driver is carrying a vehicle such as a tripod. Particularly, the warning display unit 600 can control the movement of the user through the wired / wireless control system and can provide accurate distance information, thereby eliminating the risk of the tripod installation.

도 7은 도 2의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7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 of FIG. 2. FIG.

도 1,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도 7에 도시된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700)는 중앙분리대(MS)를 따라 차량의 주행 방향 또는 주행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교통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1, 2 and 7,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 700 shown in FIG. 7 can monitor a traffic situation while moving along a median (MS) in a running direction or a run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도 상에서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700)는 중앙분리대(MS)로부터 특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중앙분리대(MS)에 장착되고, 이동부(710a, 710b, 710c) 및 검사부(7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7,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 700 is mounted on the median separator MS, spaced apart from the median separator MS by a specific distance, and includes the moving units 710a, 710b, and 710c, (720).

이동부(710a, 710b, 710c)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이동 모듈로 구현되고, 중앙분리대(MS)의 상부, 측면 등에 형성된 가이드 홈들 및/또는 가이드 레일들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moving units 710a, 710b, and 710c are implemented with the moving modul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and may be movably coupled to the guide grooves and / or guide rails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ike of the center separator MS.

이동부(710a, 710b, 710c)(또는,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700))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이동 제어 신호(예를 들어, 관제서버(130)로부터 제공되는 이동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The moving units 710a, 710b and 710c (or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 700) operate based on a movement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outside (for example, a movement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control server 130) .

검사부(720)는 중앙분리대(MS)의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분리대(MS)가 콘크리트로 구성된 경우, 검사부(720)는 일반적인 시미트 해머, 초음파 기술 등을 이용하여 중앙분리대(MS)에 손상을 일으키지 않고, 중앙분리대의 강도나 결함, 균열 등을 검사할 수 있다.The examining unit 720 can check the state of the median separator MS. For example, when the median separator MS is made of concrete, the examiner 720 can detect the strength, defects, and cracks of the median separator without damaging the median separator MS by using a general shim hammer or ultrasonic technique. And so on.

결함, 균열 등을 가지는 중앙분리대(MS)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 중앙분리대(MS)의 파편, 충돌 차량 등이 반대 차선으로 넘어가면서 사고 규모가 커질 수 있으며, 일반적인 검사 장비를 이용하여 중앙분리대(MS)에 대한 검사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예를 들어, 주행차선을 막고 검사를 진행해야 한다).If an impact is applied to a median (MS) that has defects, cracks, etc., fragments of a median (MS), a collision vehicle, etc. may be crossed to the opposite lane and the scale of the accident may increase. MS) is not easy to test (for example, the lane should be blocked and the test should be conducted).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700)는 이동부(710a, 710b, 710c)를 이용하여 중앙분리대(MS)를 따라 이동하면서 충돌사고 발생시 또는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700)의 주행 불가시(예를 들어, 중앙분리대(MS)에 충돌한 차량이 존재하는 경우) 관련 정보를 감지하여 관제서버(13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700)는 검사하는 검사부(720)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등으로 구성된 중앙분리대(MS)의 구조적 결함 등을 비파괴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중앙분리대(MS)에 대한 안전성 확보를 통해 교통사고 규모가 확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7,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 700 moves along the center separator MS using the moving units 710a, 710b, and 710c, and when a collision occurs, or when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 700 (For example, when there is a vehicle that has collided with the median MS), and provide the detected information to the control server 130. In addition, the traffic accident monitoring apparatus 700 can perform a nondestructive inspection on structural defects of a median (MS) constructed of concrete or the like by using an inspection unit 720 to be inspec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pread of the traffic accidents by securing the safety for the median (MS).

본 발명은 교통사고 모니터링 시스템, 교통사고 알림 시스템,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등에 적용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traffic accident monitoring system, a traffic accident notification system, a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the lik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var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0: 교통사고 모니터링 시스템
110: 교통사고 모니터링 장치
120: 중계기
130: 관제서버
210: 본체
220: 충격 흡수 패드
310: 통신부
320: 센서부
330: 경고 표시부
340: 전원부
350: 제어부
510: 사용자 단말
600: 경고 표시부
710a, 710b, 710c: 이동부
720: 검사부
100: Traffic accident monitoring system
110: Traffic accident monitoring device
120: repeater
130: control server
210:
220: Shock absorption pad
310:
320:
330: Warning indicator
340:
350:
510: User terminal
600: Warning indicator
710a, 710b, 710c:
720:

Claims (5)

도로 상에 배치된 중앙분리대의 상단부에 거치(setting)되고, 상기 중앙분리대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여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모니터링 장치; 및
상기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상기 센싱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교통사고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중앙분리대의 상단부 상에 배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중앙분리대의 양측면을 커버하는 충격 흡수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중앙분리대에 가해지는 압력 및 진동을 감지하여 센싱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센싱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센싱 정보와, 상기 모니터링 장치에 부여된 식별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에 송신하는 통신부;
상기 몸체 내에 구비되고, 상기 모니터링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 배치되어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상기 전원공급부에 제공하거나, 상기 중앙분리대와 상기 충격 흡수 패드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충격에 의한 압력 또는 진동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상기 전원공급부에 제공하는 자가발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센싱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사고 발생 시각 및 사고 발생 지점을 판단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중앙분리대에 가해지는 상기 압력에 기초하여 제1 센싱 신호를 생성하는 압력 센서와, 상기 중앙분리대의 상기 진동을 감지하여 제2 센싱 신호를 생성하는 진동 센서와, 초음파 또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상기 중앙분리대에 인접한 차량을 감지하여 제3 센싱 신호를 생성하는 근접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제1 센싱 신호의 크기와, 상기 모니터링 장치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인접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압력 신호의 크기에 기초하여 사고 차량의 피해 정도를 나타내는 제1 사고 규모를 판단하며, 상기 제3 센싱 신호의 시간에 따른 변화 및 상기 인접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차량 감지 신호의 시간에 따른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중앙분리대에 인접하여 특정 시간동안 이동하지 않는 사고 피해 차량의 대수 또는 사고 피해 차량의 규모를 나타내는 제2 사고 규모를 판단하고,
상기 통신부는, 근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을 검색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근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하고 상기 모니터링 장치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모니터링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센싱 정보를 메시지로 전송하며,
상기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된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제서버에 전송되며,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된 메시지의 전송 시각에 기초하여 상기 사고 발생 시각을 판단하며,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사고 발생 지점을 판단하고,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모니터링 장치의 상기 몸체 또는 상기 중앙분리대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에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사고 정보를 표시하는 경고 표시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고 표시 장치는,
상기 경고 표시 장치를 이동시키는 이동 모듈;
상기 이동 모듈의 구동 시간에 기초하여 이동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이동 거리에 기초하여 사고 정보를 생성하는 본체 모듈과,
판 형상을 가지며 일면에만 상기 사고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모듈을 포함하는 교통사고 모니터링 시스템.
A monitoring device set on an upper end of a median separator disposed on a road and sensing an impact applied to the median separator to generate sensing information; And
And a control server for receiving the sensing information from the monitoring device and determining whether a traffic accident has occurred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The monitoring device includes a body disposed on an upper end of the median separator and an impact absorbing pa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dy to cover both sides of the median separator,
The monitoring device includes:
A sensor unit for sensing a pressure and a vibration applied to the median separator and generating a sensing signal;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sens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sensing signal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signed to the monitoring device to the outsid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power supply unit provided in the body and supplying power to the monitoring device; And
And a control unit which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to convert solar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and supply the power to the power supply unit or to convert the pressure or vibration caused by the impact into electrical energy, And a self-power generating section for supplying the power to the supplying section,
Wherein the control server determines whether or not an accident has occurred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and determines an accident occurrence time and an accident occurrence point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sensor unit includes a pressure sensor that generates a first sensing signal based o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median separator, a vibration sensor that senses the vibration of the median pad to generate a second sensing signal, And a proximity sensor for sensing a vehicle adjacent to the median block to generate a third sensing signal,
The control server determines a first incident magnitude indicating a degree of damage of an accident vehicle based on a magnitude of the first sensing signal and a magnitude of a pressure signal provided from an adjacent monitoring apparatus disposed adjacent to the monitoring apparatus, The number of the accident-damaged vehicles or the accident-damaged vehicle that does not move for a specific time adjacent to the median block based on a change with time of the third sensing signal and a change with time of the vehicle detection signal provided from the adjacent monitoring device The second accident scale indicating the scale of the accident,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searches for a user terminal using a local area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user terminal being located adjacent to the monitoring apparatus using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technology,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nitoring device and the sensing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as a message,
The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The control server judges the time of occurrence of an accident based on a transmission time of a message provided through the user terminal, determines an accident occurrence point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message,
The monitor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warning display device mounted on the guide rail formed on the body or the median bar of the monitoring device and displaying accident information while moving along the guide rail,
The warning display device includes:
A movement module for moving the warning display device;
A main module for calculating a moving distance based on the driving time of the moving module and generating accident information based on the moving distance;
And a display module for displaying the accident information on one side on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중앙분리대에 대한 상기 충격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청색 또는 황색으로 발광하고,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충격이 감지된 경우 적색으로 발광하는 경고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교통사고 모니터링 시스템.
2. The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And a warning display unit emitting light in blue or yellow when the impact to the median separator is not sensed through the sensor unit and emitting red light when the impact is sensed through the sensor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042557A 2018-04-12 2018-04-12 Traffic accident monitoring system Active KR1018761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557A KR101876187B1 (en) 2018-04-12 2018-04-12 Traffic accident monitor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557A KR101876187B1 (en) 2018-04-12 2018-04-12 Traffic accident monitor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6187B1 true KR101876187B1 (en) 2018-08-02

Family

ID=63251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2557A Active KR101876187B1 (en) 2018-04-12 2018-04-12 Traffic accident monitor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618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41809A (en) * 2021-11-30 2022-03-25 上海树库智能科技有限公司 Intelligent life safety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2194A (en) * 2005-03-23 2006-09-27 영 성 이 Road median accident prevention facility
KR20130067152A (en) * 2011-12-13 2013-06-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ensor node device,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collision information using them
KR20160031364A (en) 2014-09-12 2016-03-22 (주)지에스티 front traveling car infomation providing system
KR20170123006A (en) 2016-04-28 2017-11-07 주식회사 태원 Alarm system for informing front acciden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2194A (en) * 2005-03-23 2006-09-27 영 성 이 Road median accident prevention facility
KR20130067152A (en) * 2011-12-13 2013-06-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ensor node device,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collision information using them
KR20160031364A (en) 2014-09-12 2016-03-22 (주)지에스티 front traveling car infomation providing system
KR20170123006A (en) 2016-04-28 2017-11-07 주식회사 태원 Alarm system for informing front acciden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41809A (en) * 2021-11-30 2022-03-25 上海树库智能科技有限公司 Intelligent life safety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09765B1 (en) A train traffic situation display system
CN112258894A (en) Active safety collision avoidance system and method for highway construction work
KR101147447B1 (en) Traffic service system of road construction and method thereof
CN101419749B (en) Low-visibility road traffic guiding method
KR101889957B1 (en) Emergency notification and alarm device
CA2796846C (en) Object proximity warning system and method
KR102138493B1 (en) control system for sign device of road defensive driving
JP2020111223A (en) Vehicle control device and vehicle control method
KR101871842B1 (en) Road Incident Notification System
KR102138492B1 (en) sign device of road defensive driving
KR102216785B1 (en) Driving control method for autonomous vehicle
KR101876187B1 (en) Traffic accident monitoring system
CN104933894A (en) Traffic density sensitivity selector
CN103802863A (en) High-speed railway vehicle tailgating-prevention alarming method and device
KR101770986B1 (en) Wireless lightning warning systems in the event of accidents
KR20080000147U (en) Vehicle anti-collision device on building structure
ITUD20010205A1 (en) TRAFFIC MONITORING APPARATUS
JP2023170749A (en) monitoring device
JP3128402U (en) Passing vehicle detection / alarm generator and driver's license test vehicle detection / alarm generator
KR102382119B1 (en) System of avoiding dangerous situations for self driving cars
JP2008262446A (en) Driving assistance device
CN203094106U (en) Rear-end collision-resistant alarm device for high-speed railway train
GB2332320A (en) Vehicle approach warning system
JP2003154937A (en) Abnormality monitoring system, and abnormality monitoring signal or abnormality monitoring alarm signal
CN112116789A (en) Alarm device and alarm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7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7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7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