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64039B1 - System for providing solution of justice on martial arts sports and analyzing bigdata using augmented reality, and Drive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viding solution of justice on martial arts sports and analyzing bigdata using augmented reality, and Drive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4039B1
KR101864039B1 KR1020160153793A KR20160153793A KR101864039B1 KR 101864039 B1 KR101864039 B1 KR 101864039B1 KR 1020160153793 A KR1020160153793 A KR 1020160153793A KR 20160153793 A KR20160153793 A KR 20160153793A KR 101864039 B1 KR101864039 B1 KR 101864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ugmented reality
gain
target player
targ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37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56055A (en
Inventor
정두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시드
Priority to KR1020160153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039B1/en
Publication of KR20180056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60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039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7Stream processing in response to a playback request from an end-user, e.g. for trick-play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강 현실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격투기 스포츠의 공정심사 솔루션 제공용 빅데이터 분석처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은 격투기 스포츠에 참가해 경기를 치루는 제 1 대상선수와 제 2 대상선수 간의 실제 경기 상황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며, 촬영된 실황 동영상을 증강현실 전용 컨텐츠의 3차원 증강현실 화면 창에 띄우고, 3차원 증강현실 화면 창에 나타난 득점 보드 판을 향한 가상 터치 동작을 인지해 제1 대상선수의 제 1 득실율 정보와 제 2 대상선수의 제 2 득실율 정보를 각각 기록 및 임시저장하며, 실황 동영상 또는 제 1, 2 득실율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과 기연결된 방송국 서버에 전달해 TV 수신기의 화면을 통해 실황 동영상 또는 제 1, 2 득실율 정보가 실시간으로 보이도록 정보 제공함으로써, 격투기 스포츠에 증강 현실 기술을 접목시켜 경기의 심사를 보다 공정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gmented reality technique, and a big data analysis processing system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for providing a process examination solution of a combat sports using an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 first object athlete participating in a fighting sport, 2 virtual reality scene is displayed in real time, the taken live video is displayed on the 3D augmented reality screen window o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and the virtual touch operation toward the score board displayed on the 3D augmented reality screen window is recognized And records the first and second gain / loss ratio information of the first target player and the second gain / loss ratio information of the second target player, respectively, and transmits live video or first and second gain ratio information to the wired / By providing information such as live video or first and second gain ratio information in real time on the screen of the TV receiver, By combining the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make the competition examination more fair and accurate.

Figure 112016112588118-pat00001
Figure 112016112588118-pat00001

Description

증강현실을 이용한 격투기 스포츠의 공정심사 솔루션 제공용 빅데이터 분석처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System for providing solution of justice on martial arts sports and analyzing bigdata using augmented reality, and Drive Method of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g data analysis processing system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for providing a process review solution of a combat sports using an augmented reality,

본 발명은 증강 현실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증강현실을 이용한 격투기 스포츠의 공정심사 솔루션 제공용 빅데이터 분석처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ugmented reality techniqu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ig data analysis processing system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for providing a process examination solution of a fighting sport using an augmented reality.

일반적으로 증강 현실 장치는 미리 고안된 형태의 마커를 특정 물체의 표면에 부착하고,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캡쳐하여 부착된 마커를 인식하는 절차를 거쳐 이루어진다. Generally, an augmented reality apparatus is made by attaching a marker of a designed shape to a surface of a specific object, capturing an image from the camera, and recognizing the attached marker.

최근 증강 현실 기술을 다양한 분야에 접목시키기 위한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Recently, attempts have been made to integrate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nto various fields.

예를 들어 가상현실 헤드셋에 의한 광시야각 완전 몰입형 디스플레이 환경과 이펙트 효과를 제공하여 현실과 같은 체험감을 구현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한 오감형 익스트림 스포츠 체험을 제공하는 기술이나, 사용자의 신체 동작을 추적하여 콘텐츠화된 가상 스포츠 체험 화면에 오버랩 시켜 출력하는 가상 스포츠 체험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 그것이다.For example, there is a technology that provides an interactive five-sensory extreme sports experience that can provide a realistic experience by providing a wide viewing angle and a fully immersive display environment and effect effect by a virtual reality headset, And outputting the virtual sporting experience screen overlapped with the virtual sports experience screen.

한편, 이 같은 증강 현실 기술을 끊임없이 신체를 움직이는 운동선수에게 직접 적용하기 위한 기술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re is also a study on techniques for directly applying such augmented reality techniques to athletes who move the body constantly.

그러나 축구장이나 야구장 같은 대형 시설물 내에서 관전하게 되는 스포츠 경기의 경우에는 운동선수에게 마커를 부착하더라도 이를 인식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다. However, in the case of a sports game that is watched in a large facility such as a soccer field or a baseball field, it is practically difficult to recognize even if a marker is attached to an athlete.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일 예로 운동 선수 및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스포츠 현장의 각종 정보를 증강 현실을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스포츠 경기를 보다 현실감 있게 관전케 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To overcome this problem, for example, a technique has been proposed in which a variety of sports field information is provided in real time through augmented reality on the basis of location information of athletes and portable terminals, thereby realizing watching sports games more realistically.

또한, 증강 현실 기술을 스포츠라는 분야에 접목시키는 기술로, 스포츠 평가를 위해 정량적인 분석을 목적으로 비디오 영상 기록을 분석하여 후처리 분석 방법으로 자체를 분석하거나, 모션 캡쳐 시스템을 활용하여 정확한 신체의 움직임을 분석하는 사례가 있다. In addition, it is a technique to integrate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nto the field of sports. It analyzes the video image record for the purpose of quantitative analysis for sports evaluation, analyzes itself by post processing analysis method, There is an example of analyzing movement.

그러나, 이 같은 경우에는 실행-분석-피드백-재실행 등의 일련의 순차적인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피드백이 쉽지 않다. However, in such a case feedback is difficult because it takes a lot of time in a series of sequential processes such as execution-analysis-feedback-replay.

일정한 기구물을 활용하여 자세를 훈련하거나, 실제 경기를 하는 경우, 다양한 신체 조건을 반영하지 않고 절대적인 3차원 궤적만을 반복하는 경우에는 충분한 평가가 이루어지는 데에 한계가 있다. In the case of training a posture using a certain structure, or in case of playing a real game, if an absolute three-dimensional trajectory is repeated without reflecting various body conditions, sufficient evaluation can not be performed.

(등록특허공보 1) 10-1556721(Patent Registration No. 1) 10-1556721 (공개특허공보 2) 10-2012-0075565(Patent Document 2) 10-2012-0075565 (공개특허공보 3) 10-2013-0098770(Patent Document 3) 10-2013-0098770 (공개특허공보 4) 10-1998-0004114(Patent Document 4) 10-1998-0004114

본 발명은 이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제 1 목적은 격투기 스포츠에 증강 현실 기술을 접목시킴으로써 경기의 심사를 보다 공정하고 정확하게 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nd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fair competition more accurate and accurate by incorporat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nto a martial arts sport.

또한, 제 2 목적은 격투기 스포츠 경기에 참여한 선수들 각각에 대해 승률, 주특기, 주특기로 획득한 점수의 비중과 같은 경기력 향상을 위한 심층 분석 정보를 생성함에 있다. The second purpose is to generate in-depth analysis information for the athletes who participated in the fighting sports games, such as the odds, the peculiarities,

또한, 제 3 목적은 격투기 스포츠 경기에 참여한 선수들의 경기에 대한 득실율 정보를 심층 분석하여 실점율을 줄일 수 있는 대책 마련 정보를 제공하며, 대책 마련 정보 중 맞춤식 재교육용 격투기 동영상, 실점한 장면포착 동영상 또는 격투기 교본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격투기 스포츠 선수의 기량을 향상시키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the third purpose is to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on the measures to reduce the rate of loss by analyzing the information on the gender ratio of the players participating in the fighting sports games, and to provide customized re-education martial arts videos, Video or martial arts textbooks to provide augmented reality content that can help improve martial arts athletes' skills.

뿐만 아니라 제 4 목적은 각 선수의 프로필, 주특기, 승률, 득점율 및 실점율을 세부검토하여 차 후에 경기를 치룰 상대 선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경기 준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the fourth goal is to provide augmented reality contents that can help the preparation of a game by providing detailed information on each player's profile, special skill, odds ratio, have.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격투기 스포츠의 공정심사 솔루션 제공용 빅데이터 분석처리 시스템은 격투기 스포츠에 참가해 경기를 치루는 제 1 대상선수와 제 2 대상선수 간의 실제 경기 상황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며, 상기 촬영된 실황 동영상을 증강현실 전용 컨텐츠의 3차원 증강현실 화면창에 띄우고, 상기 3차원 증강현실 화면창에 나타난 득점 보드판을 향한 가상 터치 동작을 인지해 가상터치 신호를 생성시키는 터치인식 센서를 구동시키며, 상기 가상터치 신호의 생성으로 빅데이터화된 상기 제1 대상선수의 제 1 득실율 정보와 제 2 대상선수의 제 2 득실율 정보를 각각 기록 및 임시저장하는 증강현실용 영상표시 단말기; 및 증강현실용 영상표시 단말기로부터 입수된 상기 실황 동영상 또는 상기 제 1, 2 득실율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과 기연결된 방송국 서버에 전달해 TV 수신기의 화면을 통해 상기 실황 동영상 또는 상기 제 1, 2 득실율 정보가 실시간으로 보이도록 정보 제공하며, 상기 제 1, 2 득실율 정보가 일/주/월/년별로 누적됨에 따라 축적된 제 1, 2 빅데이터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 1, 2 대상선수마다 각기 달리 통계 분석된 제 1, 2 경기력 향상 심층분석 정보를 상기 제 1, 2 대상선수가 소지한 제 1, 2 스마트 통신 단말기에 각각 전달해 주거나 혹은, 제 1, 2 스마트 통신 단말기가 사전 허여해 준 제 3 스마트 통신 단말기에 한해 상기 제 1, 2 경기력 향상 심층분석 정보를 유상 혹은 무상으로 정보 제공해 주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That is, the big data analysis processing system for providing the process examination solution of the fighting sports using the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realizing the real game situa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arget players, And a touch for generating a virtual touch signal by recognizing a virtual touch operation toward a score board board displayed on the 3D augmented reality screen window, An image display for an augmented reality which records and temporarily stores first gain ratio information of the first target player and second gain ratio information of the second target player which are big data formed by generation of the virtual touch signal, terminal; And the first or second gain rat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augmented reality video display terminal to the broadcasting server connected to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s the live video or the first and second gain ratio information Information on the first and second target players based on the accumulated first and second big data information as the first and second gain ratio information are accumulated for each day / week / month / year, The first and second smart performance improvement in-depth analysis information that are otherwise statistically analyzed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and second smart communication terminals respectively possessed by the first and second target players, 3 smart communication terminal, a management server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first and second performance improvement in-depth analysis information, free or in charge.

한편, 증강현실용 영상표시 단말기와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격투기 스포츠의 공정심사 솔루션 제공용 빅데이터 분석처리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그 구동방법은 증강현실용 영상표시 단말기가 격투기 스포츠에 참가해 경기를 치루는 제 1 대상선수와 제 2 대상선수 간의 실제 경기 상황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며, 상기 촬영된 실황 동영상을 증강현실 전용 컨텐츠의 3차원 증강현실 화면창에 띄우는 단계; 상기 증강현실용 영상표시 단말기가 상기 3차원 증강현실 화면창에 나타난 득점 보드판을 향한 가상 터치 동작을 인지해 가상터치 신호를 생성시키는 터치인식 센서를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증강현실용 영상표시 단말기가 상기 가상터치 신호의 생성으로 빅데이터화된 상기 제 1 대상선수의 제 1 득실율 정보와 제 2 대상선수의 제 2 득실율 정보를 각각 기록 및 임시저장하는 단계; 관리 서버가 증강현실용 영상표시 단말기로부터 입수된 상기 실황 동영상 또는 상기 제 1, 2 득실율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과 기연결된 방송국 서버에 전달해 TV 수신기의 화면을 통해 상기 실황 동영상 또는 상기 제 1, 2 득실율 정보가 실시간으로 보이도록 정보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 1, 2 득실율 정보가 일/주/월/년별로 누적됨에 따라 축적된 제 1, 2 빅데이터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 1, 2 대상선수마다 각기 달리 통계 분석된 제 1, 2 경기력 향상 심층분석 정보를 상기 제 1, 2 대상선수가 소지한 제 1, 2 스마트 통신 단말기에 각각 전달해 주거나 혹은, 제 1, 2 스마트 통신 단말기가 사전 허여해 준 제 3 스마트 통신 단말기에 한해 상기 제 1, 2 경기력 향상 심층분석 정보를 유상 혹은 무상으로 정보 제공해 주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for driving the large data analysis processing system for providing a process examination solution of a combat sports using an augmented reality including a video display terminal for augmented reality and a management server includes the steps of: Capturing a live game situation between a first target player and a second target player in real time and displaying the captured live video on a 3D augmented reality screen window of content dedicated to augmented reality; Driving a touch recognition sensor for recognizing a virtual touch operation toward a scoreboard board displayed on the 3D enhanced real-time screen window to generate a virtual touch signal; Recording and temporarily storing first gain ratio information of the first target player and second gain ratio information of the second target player, each of which has been converted into big data by generation of the virtual touch signal, by the image display terminal for augmented reality; The management server transmits the live video or the first and second gain rat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augmented reality video display terminal to a broadcasting server connected to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s the live video or the first, Providing rate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the management server performs statistical analysis for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target players on the basis of the accumulated first and second big data information as the first and second gain ratio information are accumulated for each day / week / month / The second smart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the first and second performance improvement in-depth analysis information to the first and second smart communication terminals respectively possessed by the first and second target players,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first and second playing power improvement in-depth analysis information in a free or charged fashion.

본 발명에 의하면, 격투기 스포츠에 증강 현실 기술을 접목시킴으로써 경기의 심사를 보다 공정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다는 제 1 효과가 도출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ugmented reality technique is applied to the fighting sports, so that the first effect that the examination of the competition can be performed more fairly and accurately is derived.

또한,다양한 격투기 스포츠 경기에 참여한 선수들 각각에 대해 승률, 주특기, 주특기로 획득한 점수의 비중과 같은 경기력 향상을 위한 심층 분석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선수들이 자신이 참가한 경기 진행을 이해하고 향후 훈련의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 2 효과가 도출된다. In addition, for each athlete participating in a variety of martial arts sports games, it is possible to create in-depth analysis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athletic performance such as the odds, the peculiarity, The second effect is that it can be utilized as data.

또한, 격투기 스포츠 경기에 참여한 선수들의 경기에 대한 득실율 정보를 심층 분석하여 실점율을 줄일 수 있는 대책 마련 정보를 제공하며, 대책 마련 정보 중 맞춤식 재교육용 격투기 동영상, 실점한 장면포착 동영상 또는 격투기 교본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격투기 스포츠 선수의 기량을 향상시키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제 3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formation on the measures to reduce the odds ratio can be provided by in-depth analysis of the odds ratio information on the competitions of the athletes participating in the martial arts sports games. Also, customized re-education martial arts videos, By providing the data, there is a third effect that can help improve the martial arts athlete's skills.

뿐만 아니라 경기에 참가하는 각 선수의 프로필, 주특기, 승률, 득점율 및 실점율을 세부검토하여 차 후에 경기를 치룰 상대 선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경기 준비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제 4 효과가 도출된다. In addition, the fourth effect is that it provides information on the opponent to play after the car by examining the profile, the special skill, the odds, the odds, the scorecard, and the odds of each player participating in the game in detail .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격투기 스포츠의 공정심사 솔루션 제공용 빅데이터 분석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용 영상표시 단말기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격투기 스포츠의 공정심사 솔루션 제공용 빅데이터 분석처리 시스템의 그 구동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big data analysis processing system for providing a process review solution of a fight sports using an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n augmented reality image display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showing a driving method of a big data analysis processing system for providing a process examination solution of a fight sports using an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It is note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 sense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to mean, or be interpreted in an excessively reduced sense.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In addition, when a technical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rroneous technical term that does not accurately express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echnical terms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the gener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ccording to a predefined or prior context,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excessively reduced.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Furthermore, the singular expression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comprising" or "comprising" and the like should not be construed as encompassing various elements or various steps of the invention,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or similar element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It is to be noted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facilitat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격투기 스포츠의 공정심사 솔루션 제공용 빅데이터 분석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big data analysis processing system for providing a process review solution of a fight sports using an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강현실을 이용한 격투기 스포츠의 공정심사 솔루션 제공용 빅데이터 분석처리 시스템은 증강현실용 영상표시 단말기(10)와, 관리 서버(2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a big data analysis processing system for providing a process examination solution of a combat sports using an augmented reality includes an augmented reality image display terminal 10 and a management server 20.

증강현실용 영상표시 단말기(10)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 ; Head mounted Display)이다. The augmented reality image display terminal 10 is a head mounted display (HMD).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 ; Head mounted Display)란 안경처럼 머리에 쓰고 대형 영상을 즐길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다. 휴대하면서 영상물을 대형 화면으로 즐기거나 수술이나 진단에 사용하는 의료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차세대 영상표시 장치이다. A head mounted display (HMD) is an image display device that allows you to enjoy a large image on your head like a pair of glasses. It is a next-generation video display device that can be used for medical devices used for surgery or diagnosis, while enjoying video on a large screen while being portable.

또한 증강현실용 영상표시 단말기(10)는 광시야각 완전몰입형(Full-Immersion) 디스플레이 환경을 제공하여 실감형 사용자 체험을 극대화할 수 있는 가상현실 헤드셋(VR Headset)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Also, the augmented reality image display terminal 10 may be implemented as a VR headset capable of maximizing a realistic user experience by providing a full-immersion display environment with a wide viewing angl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증강현실용 영상표시 단말기(10)는 격투기 스포츠에 참가해 경기를 치루는 제 1 대상선수와 제 2 대상선수 간의 실제 경기상황을 실시간으로 촬영한다. In one embodiment, the augmented reality image display terminal 10 captures real-world situations between first and second target players participating in a fighting sport.

그리고 촬영된 경기 실황 동영상을 증강현실 전용 컨텐츠의 3차원 증강현실 화면 창에 띄운다. Then, the photographed live-action video is displayed on the 3D augmented reality window o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증강현실용 영상표시 단말기(10)를 착용한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3차원 증강현실 화면 창에 나타난 득점 보드판을 향한 가상터치 동작을 인지하여 가상터치 신호를 생성시키는 터치인식 센서를 구동시킨다. A touch recognition sensor for recognizing a virtual touch operation toward a score board board displayed on a 3D enhanced real time screen window and generating a virtual touch signal is driven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wearer wearing the augmented reality image display terminal 10.

터치 인식 센서는 증강현실용 영상표시 단말기(10)를 착용한 사용자의 팔동작, 손가락 동작과 같은 모션을 감지하여 움직임에 따른 다양한 가상 터치 신호를 생성시킨다.The touch recognition sensor senses motion such as arm motion and finger motion of a user wearing the augmented reality image display terminal 10 to generate various virtual touch signals according to the motion.

그리고 가상 터치 신호의 생성으로 빅데이터로 가시화된 제1 대상 선수의 제 1 득실율 정보와 제 2 대상선수의 제 2 득실율 정보를 각각 기록 및 임시 저장한다. Then, the first and second gain-rate information of the first target player visualized as the big data by the generation of the virtual touch signal and the second gain-rate information of the second target player are respectively recorded and temporarily stored.

증강현실용 영상표시 단말기(10)는 가시화된 득실율 정보를 경기 영상 및 선수 이미지 영상에 오버랩(overlap)하여 3차원 증강현실 화면 창에 표시한다. The augmented reality image display terminal 10 overlaps the visualized result information with the competition image and the augmented image to display the result on the 3D augmented reality window.

관리 서버(20)는 유무선 통신망으로 통해 격투기 스포츠 참가 선수들이나 관계자가 소지하는 다수의 스마트 통신 단말기들(25)과, TV수신기(35)를 통해 방송을 송출하는 방송국 서버(30)와 통신을 수행한다. The management server 20 communicates with a plurality of smart communication terminals 25 owned by athletes participating in Martial Arts Sports or a participant or a broadcasting station server 30 transmitting broadcasting through a TV receiver 35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do.

방송국 서버(30)는 인터넷 방송 서버 및 다양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Social Network Services) 서버를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The broadcasting station server 30 is interpreted to include an Internet broadcasting server and various social network services (SNS) servers.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방송국 서버(30)는 증강현실용 영상표시 단말기(10)로부터 입수된 경기 실황 동영상 또는 제 1, 2 득실율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과 기 연결된 방송국 서버에 전달한다. In one embodiment, the broadcasting station server 30 transmits the live play video or the first and second gai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augmented reality video display terminal 10 to a broadcasting server connected to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이에 따라 TV 수신기(35)의 화면을 통해 경기 실황 동영상 또는 제 1, 2 득실율 정보가 실시간으로 보이도록 정보 제공한다. Accordingly, information on the live performance moving picture or the first and second gain ratio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V receiver 35 in real time.

이때, 복수의 증강현실용 영상표시 단말기(10)들 중 해당 TV 시청자가 취사 선택한 하나의 단말기에서 촬영된 영상을 화면 출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display an image photographed by one TV among the plurality of augmented reality image display terminals 10 selected by the TV viewer.

또는 분할된 화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증강현실용 영상표시 단말기(10)에서 촬영된 복수의 영상을 화면출력 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Or a plurality of images photographed by the at least one augmented reality image display terminal 10 on a divided screen.

즉, 시청자가 수동적으로 방송국에서 송출하는 장면만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된 영상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심사관의 평가 점수를 해당 심사관의 시야에서 촬영한 화면과 함께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여 경기 판정의 공정성을 높일 수 있다. That is, it is possible to select and check one of the images photographed at various angles actively, instead of only checking the scene manually transmitted from the broadcasting station by the viewe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heck the evaluation score of the examiner together with the screen shot in the field of view of the examiner, thereby raising the fairness of the competition judgment.

또한, 관리 서버(20)는 제 1, 2 득실율 정보가 일/주/월/년 별로 누적됨에 따라 축적된 제 1, 2 빅데이터 정보를 근거로 제 1, 2 대상선수마다 각기 달리 통계 분석된 제 1, 2 경기력 향상 심층분석 정보를 제 1, 2 대상선수가 소지한 제 1,2 스마트 통신 단말기(25)에 전달해준다. 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20 performs statistical analysis for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target players based on the accumulated first and second big data information as the first and second gain ratio information are accumulated for each day / week / month / And transmits the first and second performance improvement in-depth analysis information to the first and second smart communication terminals 25 possessed by the first and second target players.

추가적으로 제 1, 2 스마트 통신 단말기가 사전 허여해 준 제 3 스마트 통신 단말기에 한해 제 1, 2 경기력 향상 심층분석 정보를 유상 혹은 무상으로 정보 제공해준다. In addition, for the third smart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by the first and second smart communication terminals, the first and second performance improvement in-depth analysis information is provided free or in charge.

제 3 스마트 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감독이나 코치, 트레이너, 가족과 같은 경기 관계자가 소지한 단말이다. 나아가 팬클럽에 가입된 팬 혹은 유상으로 해당 선수의 경기력 정보를 조회하고자 하는 팬이나 경쟁 선수들에게 더 제공될 수도 있다. The user of the third smart communication terminal is a terminal carried by a sports person such as a boss, a coach, a trainer, or a family member. Further, fans or competitors who are interested in inquiring about the performance information of the athlete as a fan or a member of the fan club may be further provided.

보다 상세하게 제 3 스마트 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제 1, 2 경기력 향상 심층분석 정보를 유상 혹은 무상으로 온라인 신청하여 관리 서버(20)의 승인 하에 다운로드 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user of the third smart communication terminal can apply the online analysis of the first and second performance improvement in-depth analysis information, free or in charge, and download it with the approval of the management server 20.

이때 제 1, 2 경기력 향상 심층분석 정보 내 각각 기록된 제 1, 2 대상선수의 프로필 및 주특기, 승률, 득점율, 실점율을 세부 검토하여 제 1 대상선수와 경기를 차후에 치룰 제 1 상대선수 리스트 정보를 생성시켜서 제 1 스마트 통신 단말기에 제공하거나, 제 2 대상 선수와 경기를 차후에 치룰 제 2 상대선수 리스트 정보를 생성시켜 제 2 스마트 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profiles of the first and second target players recorded in the first and second performance improvement in-depth analysis information, the details of the peculiarity, the odds ratio, the scoring ratio, and the failure rate are examined in detail to determine the first relative player list information To the first smart communication terminal, or to generate the second opposing player list information to be used later with the second target player and provide the second opposing player list information to the second smart communication terminal.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용 영상표시 단말기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n augmented reality image display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증강현실용 영상표시 단말기는 실시간 촬영부(100), 디스플레이부(110), 통신부(120), 가상 터치 신호 생성부(130), 득실율 정보 생성부(140), 순간 이미지 전달부(150)를 포함한다. As shown, the augmented reality image display terminal includes a real-time photographing unit 100, a display unit 110, a communication unit 120, a virtual touch signal generating unit 130, a gain-rat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40, (150).

실시간 촬영부(100)는 3D 센싱 카메라 모듈 또는 VR 카메라 모듈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VR 카메라 모듈은 원거리에서 배경을 촬영하기 위한 배경 영상 카메라부와, 객체를 근접 촬영하기 위한 근접영상 카메라부를 포함한다. The real-time photographing unit 100 includes a 3D sensing camera module or a VR camera module. In one embodiment, the VR camera module includes a background image camera section for capturing a background at a remote location and a proximity image camera section for capturing an object close-up.

배경 영상 카메라부는 원거리에서 주위의 영상을 파노라마 형태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배경 영상 촬영수단으로, 360도 회전하면서 주위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주위의 영상을 특정시간별로 촬영한다.The background image camera unit is a background image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the surrounding image in a panorama form at a long distance. The background image camera unit is configured to photograph the surrounding image while rotating 360 degrees.

근접영상 카메라부는 객체를 근접 촬영하여 객체의 영상을 얻어내기 위한 수단으로, 배경 영상 카메라부와 동일하게 360도 회전할 뿐만 아니라, 상하의 틸트 각도 조절이 가능한 PTZ(Pan/Tilt/Zoom) 카메라로 구성된다. The proximity image camera unit is a means for acquiring an image of an object by taking an object close-up. It is composed of a PTZ (Pan / Tilt / Zoom) camera which not only rotates 360 degrees like the background image camera unit but also can control the tilt angle of up and down do.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실시간 촬영부(100)는 증강현실용 영상표시 단말기의 착용자의 움짐임에 따라 착용자 시야에서 격투기 경기 실황을 3D 영상으로 촬영한다. In one embodiment, the real-time photographing unit 100 photographs a game-playing real-life in a 3D image of a wearer's field of view in accordance with the wearer of the image display terminal for augmented reality.

디스플레이부(110)는 실시간 촬영부(100)를 통해 촬영된 실시간 경기 실황 동영상을 증강현실 전용 컨텐츠의 3차원 증강현실 화면창에 띄우고, 3차원 증강현실 화면창에 나타난 득점 보드판을 더 시각적으로 출력한다. The display unit 110 displays the real-time game live-action video shot through the real-time shooting unit 100 on the 3D augmented reality screen window of the augmented reality-dedicated content, further visually outputs the score board board displayed on the 3D augmented reality screen window do.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110)는 증강현실 전용 컨텐츠에 의해 격투기 스포츠에 포함되는 무에타이, 가라데, 킥복싱, 태권도, 복싱 및 유도 중 선택된 하나와 1:1 매칭되는 가상 배경(Virtual Screen)을 호출해 3차원 증강현실 화면 창에 띄어 노출시켜 보여준다. 따라서 보다 현실감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display unit 110 displays a virtual screen (1: 1) matching with a selected one of Muay Thai, Karate, Kickboxing, Taekwondo, It will be displayed on the 3D augmented reality window.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of enhancing the sense of reality.

통신부(120)는 관리 서버(20)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다양한 유무선 통신 모듈을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The communication unit 120 communicates with the management server 20 and is interpreted to include various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가상 터치 신호 생성부(130)는 증강현실용 영상표시 단말기(10)를 착용한 착용자의 팔이나 손가락 움직임을 감지하여 그 움직임에 대응되는 가상 터치 신호를 생성한다. The virtual touch signal generator 130 senses the arm or finger movement of the wearer wearing the augmented reality image display terminal 10 and generates a virtual touch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예를 들어 스크롤 하는 움직임을 감지하여 화면을 슬라이드 방식으로 넘기거나, 손가락이 움직이는 위치를 감지하여 가상 키보드 상에서 입력하는 자판을 인식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detect a scrolling movement, to pass a screen in a slide manner, or to detect a position where a finger is moved to recognize a keyboard to be input on a virtual keyboard.

또한 디스플레이 화면상에서 일부를 클릭하거나 선택하면 확대 출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And may be enlarged and displayed by clicking or selecting a portion on the display screen.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상 터치 신호 생성부(130)는 화면상에 득점버튼 및 실점버튼이 표시된 위치에서 손가락이나 손목의 움직임에 의해 가상 터치 신호가 생성되면, 득점버튼 혹은 실점버튼 입력 횟수를 카운팅할 수 있도록 득점 혹은 실점에 대한 식별 정보를 갖는 가상 터치 신호를 생성한다. In one embodiment, the virtual touch signal generator 130 counts the number of times the virtual touch signal is input when the virtual touch signal is generated by the movement of the finger or the wrist at the position where the score button and the execution point button are displayed on the screen A virtual touch signal ha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a score or an actual point is generated.

득실율 정보 생성부(140)는 제 1 대상선수가 제 2 대상선수에게 가격(加擊)한 순간을 포착하여 가상 터치 신호를 생성시킨 제 1 득점버튼 입력횟수와, 제 1 대상 선수가 제 2 대상선수에 가격(加擊)당한 순간을 포착하여 가상 터치 신호를 생성시킨 제 1 실점버튼 입력횟수를 실시간으로 기록하여 빅데이터화한다.The rate-of-error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40 generates the rate-of-view information by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the first target player has hit the second target player to generate a virtual touch signal, Captures the moment that the player has been hit and records the number of times of input of the first end point button that has generated the virtual touch signal in real time to make big data.

그리고 제 1 득점버튼 입력횟수 대비 제 1 실점버튼 입력횟수를 백분율로 환산한 제 1 득실율 정보를 자동 연산하여 화면 표출시킨다. Then, the first gain factor information obtained by converting the number of times of input of the first earphone button to the number of times of input of the first gain factor button is converted to a percentage, and the first gain factor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calculat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이때 제 1 득실율 정보를 3차원 증강현실 화면 창에서 제 1 대상 선수 이미지에 오버랩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gain ratio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so as to overlap the first target player image in the 3D enhanced real-screen window.

또한, 제 2 대상 선수가 제 1 대상선수에게 가격한 순간을 포착하여 가상 터치 신호를 생성시킨 제 2 득점버튼 입력횟수와, 제 2 대상 선수가 제 1 대상선수에게 가격당한 순간을 포착하여 가상 터치 신호를 생성시킨 제 2 실점버튼 입력횟수를 실시간으로 기록하여 빅데이터화한다.In addition, the number of times of input of the second point-of-interest button that the second target player captures the moment the price is paid to the first target player to generate the virtual touch signal and the moment when the second target player is priced to the first target player are captured, The number of times of input of the second runner button that generated the signal is recorded in real time to be converted into big data.

그리고 제 2 입력버튼 입력횟수 대비 제 2 실점버튼 입력횟수를 백분율로 환산한 제 2 득실율 정보를 자동 연산하여 화면에 표출시킨다. The second gain factor information, which is converted into the percentage of the number of times of input of the second input button compared to the number of inputs of the second input button, is automatically calculat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이때 제 2 득실율 정보를 3차원 증강현실 화면 창에서 제 2 대상 선수 이미지에 오버랩 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gain ratio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so as to overlap the second target player image in the 3D enhanced real-screen window.

순간 이미지 전달부(150)는 가상 터치 신호 생성부(130)에서 가상 터치 신호가 생성된 현 시점을 자동 캐치한다. 그리고 가상 터치 신호와 경기 실황 동영상 중 가상 터치 신호가 생성된 현 시점과 시차적으로 일치하는 순간 동영상 이미지를 관리 서버에 전달한다. The instantaneous image transfer unit 150 automatically captures the current time at which the virtual touch signal is generated in the virtual touch signal generation unit 130. [ And transmits the instantaneous moving image, which is temporally coincident with the current time at which the virtual touch signal is generated among the virtual touch signal and the running live video, to the management server.

따라서, 득점버튼 혹은 실점버튼의 입력이 있는 찰나의 경기 상황에 대한 순간 이미지를 함께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heck the instantaneous image of the competition situation at the time of the input of the score button or the runner button together.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 서버(20)는 통신부(200), 득실율 정보 산출부(210), 동영상 및 득실율 정보 제공부(220), 분석 정보 제공부(230), 학습 동영상 제공부(240), 및 경쟁 후보 선수 정보 제공부(250)를 포함한다. 3, the management server 2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200, a gain / loss ratio information calculation unit 210, a moving image / gain ratio information providing unit 220, an analysis information providing unit 230, (240), and a competition candidate athlete information providing unit (250).

통신부(20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증강현실용 영상표시 단말기(10), 및 스마트 통신 단말기들(25), 및 방송국 서버(30)와 통신 가능하다. The communication unit 200 includes various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and i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augmented reality video display terminal 10, the smart communication terminals 25, and the broadcasting station server 30.

득실율 정보 산출부(210)는 보다 구체적으로 경기력 분석부(212), 이미지 분석부(214) 및 심층 분석부(216)를 포함한다. More specifically, the gain rate information calculating unit 210 includes a performance analyzing unit 212, an image analyzing unit 214, and a depth analyzing unit 216.

경기력 분석부(212)는 증강현실용 영상표시 단말기(10)로부터 입수된 실황 동영상 또는 제 1, 2 득실율 정보에 따라 제 1 대상선수와 제 2 대상선수 각각에 대한 경기력에 대한 정보를 분석한다. The performance analyzing unit 212 analyzes the information on the performance for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target players in accordance with the live video or the first and second gain ratio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augmented reality video display terminal 10 .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경기력 분석부(212)는 증강현실용 영상표시 단말기(10)로부터 입수된 제 1, 2 득실율 정보가 일/주/월/년 별로 누적됨에 따라 축적된 제 1, 2 빅데이터 정보를 근거로 제 1, 2 대상선수마다 각기 달리 통계 분석된 제 1, 2 경기력 향상 심층분석 정보를 파악한다. In one embodiment, the performance analyzing unit 212 analyzes the cumulative first and second big-rat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augmented reality video display terminal 10 as accumulated for each day / week / month / year, Based on the data information, the 1st and 2nd performance improvement in-depth analysis information that is statistically analyzed for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target players is grasped.

예를 들어 경기력 분석부(212)는 최근 일주일 혹은 한달 동안 제1 대상선수에 대한 제 1 득실율 수치가 상승하는지 하강하는지를 파악하고, 그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승 폭 혹은 하강 폭 정도를 더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근 1주 혹은 1달 동안 선수의 경기력 변화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For example, the performance analyzing unit 212 may grasp whether the first goal rate for the first target player has increased or decreased during the last week or month, and may further grasp the degree of increase or decrease based on the amount of change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change of the athlete's performance during the last one week or one month.

이미지 분석부(214)는 증강현실용 영상표시 단말기(10)로부터 전달받은 순간 동영상 미지를 근거로 이미지 분석을 실시한다. The image analysis unit 214 performs an image analysis based on the instantaneous moving image received from the augmented reality image display terminal 10.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미지 분석부(214)는 순간 동영상 이미지를 근거로 제 1 대상선수가 제 2 대상선수에게 가격한 이미지 수 대비 제 2 대상선수에게 가격당한 이미지 수를 백분율로 산출한 제 1' 득실율 정보 및 제 2 대상선수가 제 1 대상선수에 가격한 이미지 대비 제 1 대상선수에게 가격당한 이미지를 백분율로 산출한 제 2' 득실율 정보를 생성시킨다. In one embodiment, the image analyzing unit 214 calculates the number of images that the first target player has priced with respect to the number of images priced by the second target athlete based on the instantaneous moving image, Rate information and a second 'gain-ratio information' that is a percentage of the image of the first target player compared to the image of the second target player who has priced the first target player.

그리고 득실율 정보 산출부(210)는 증강현실용 영상표시 단말기(10)로부터 입수된 제 1 득실율 정보와 이미지 분석부(214)에서 분석된 제 1' 득실율 정보 간을 각각 대비해, 제 1 득실율 정보가 제 1' 득실율 정보와 오차범위 +5% 내지 -5% 내 속하면 제 1 득실율 정보를 자동으로 채택한다.The gain-ratio information calculator 210 calculates the gain-ratio information from the first-gain-rat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augmented reality display terminal 10 and the first gain-ratio information analyzed by the image analyzer 214, And automatically adopts the first gain ratio information when the gain ratio information falls within the range of the first gain ratio information and the error range + 5% to -5%.

그리고, 제 1 득실율 정보가 제 1' 득실율 정보와 오차범위 +10% 내지 -10%를 벗어나면 제 1' 득실율 정보를 자동 채택한다. When the first gain ratio information is out of the first gain ratio information and the error range + 10% to -10%, the first gain ratio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adopted.

또한, 득실율 정보 산출부(210)는 증강현실용 영상표시 단말기(10)로부터 입수된 제 2 득실율 정보와 제 2' 득실율 정보 간을 각각 대비해, 제 2 득실율 정보가 제 2' 득실율 정보와 오차범위 +5% 내지 -5% 내 속하면 제 2 득실율 정보를 자동 채택하고, 제 2 득실율 정보가 제 2' 득실율 정보와 오차범위 +10% 내지 -10%를 벗어나면 제 2' 득실율 정보를 자동 채택한다.In addition, the gain-rate information calculator 210 may compare the second gain-gain-rat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augmented reality video display terminal 10 with the second gain-gain-rate information, and the second gain- If the second rate of gain information is within the range of + 5% to -5% of the rate information and the error rate, the second rate of gain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adopted. If the second rate of gain information is outside the error rate range of + 10% Second "gain ratio information.

즉, 득실율 정보 산출부(210)는 증강현실용 영상표시 단말기(10)로부터 입수된 제 1 득실율 정보 및 제 2 득실율 정보와 캡쳐된 동영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산출된 제 1' 득실율 정보 및 제 2'득실율 정보 중 오차 범위에 따라 보다 정확도가 높은 데이터를 선택하여 제 1 대상선수 및 제 2 대상선수에 대한 득실율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That is, the gain-rate information calculator 210 calculates first-gain-rate information, which is obtained by analyzing the first-gain-rate information and the second-gain-rat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augmented reality video display terminal 10 and the captured moving- And more accurate data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error range of the second 'gain ratio information to calculate the gain ratio information for the first target player and the second target player.

이에 따라 제 1 대상선수 및 제 2 대상선수에 대한 득실율 정보의 정확도를 더 높일 수 있다. Accordingly, the accuracy of the rate information for the first target player and the second target player can be further improved.

심층 분석부(216)는 격투기 스포츠에서 치뤄지는 다수의 경기를 통해 이기거나 진 제 1 대상선수 혹은 제 2 대상선수를 대상으로 한 승률, 격투기 기술 중 제 1 대상선수 혹은 제 2 대상선수가 많이 사용한 주특기, 다수의 경기에서 득점한 점수 중 주특기를 사용해서 획득한 점수를 백분율로 환산한 득점율, 다수의 경기에서 실점한 점수 대비 취약 부위에서 주로 실점한 점수를 백분율로 환산한 실점율을 포함하는 제 1, 2 경기력 향상 심층분석 정보를 생성시킨다. The in-depth analysis unit 216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first or second target player of the odds or combat skills based on the first match or the second match of the first match or the second match of the matc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percentage of points scored in multiple competitions, the score obtained by converting the score obtained by using the special skill into a percentage, and the percentage of points scored in percentage 1, 2 Improves the performance. Generates in-depth analysis information.

즉, 특정 선수와의 경기에서 많이 사용하는 기술, 그 기술을 이용해서 획득한 점수의 비중을 분석한다. 그에 따라 각각의 경기마다 상대 선수에 따라 진행되는 경기의 흐름을 쉽게 파악할 수 있고, 경쟁 대상인 상대 선수의 강점이나 약점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같은 심층 분석 정보는 향후 경기를 위한 전략을 짜는데 도움이 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we analyze the weight of the skills that are used in a game with a certain player and the score obtained using the techniqu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asily grasp the flow of the game according to the opponent in each game, and it is possible to grasp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opponent to be competed. Such in-depth analysis information can be used as a resource to help shape strategies for future games.

동영상 및 득실율 정보 제공부(220)는 증강현실용 영상표시 단말기(10)로부터 입수된 실황 동영상 또는 제 1, 2득실율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과 기연결된 방송국 서버(30)에 전달한다. 따라서 TV 수신기의 화면을 통해 경기 실황 동영상 또는 제 1, 2 대상선수 각각에 대한 제 1, 2 득실율 정보가 실시간으로 보이도록 정보 제공할 수 있다. The video and infancy rate information providing unit 220 transmits live video or first and second rat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augmented reality video terminal 10 to the broadcasting server 30 connected to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refore,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hrough the screen of the TV receiver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rate information of the live game moving image or the first and second target players are displayed in real time.

이때, 방송국 서버(30)는 인터넷 방송 서버 및 다양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Social Network Services) 서버를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At this time, the broadcasting station server 30 is interpreted to include an Internet broadcasting server and various social network services (SNS) servers.

분석 정보 제공부(230)는 통계 분석된 제 1, 2 경기력 향상 심층분석 정보를 제 1, 2 대상선수가 소지한 제 1, 2 스마트 통신단말기에 각각 전달해준다. The analysis information providing unit 230 delivers the statistically analyzed first and second performance improvement in-depth analysis information to the first and second smart communication terminals having the first and second target players, respectively.

또는 제 1, 2 스마트 통신 단말기가 사전 허여해 준 제 3 스마트 통신 단말기에 한해 제 1, 2 경기력 향상 심층분석 정보를 유상 혹은 무상으로 정보제공 한다. Or the third smart communication terminal pre-granted by the first or second smart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ation on the first or second performance improvement in-depth analysis information is paid or free of charge.

학습 동영상 제공부(240)는 제 1, 2 경기력 향상 심층분석 정보 내에 통계 분석된 실점율을 줄일 수 있는 대책 마련 정보를 제공한다. 즉, 심층 분석 정보에 따라 파악되는 상대 선수에 대한 약점이나 강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대책 마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learning video providing unit 240 provides information on preparing countermeasures to reduce the statistical analysis result rate in the first and second performance improvement in-depth analysis information. That is, information on weaknesses or strengths of the opponent player, which is grasped according to the in-depth analysis information, is provided to provide countermeasure preparation information.

또한, 제공되는 대책 마련 정보 중 맞춤식 재교육용 격투기 동영상, 실점한 장면 포착 동영상 또는 격투기 교본 자료를 제 1, 2 스마트 통신 단말기(25)로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smart communication terminals 25 provide customized re-education martial arts videos, scene capture scenes, or combat textbook data among the provided countermeasure preparation information.

이때 학습 동영상 제공부(240)는 경기 분석 정보나 동영상을 무상으로 제공하거나 유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earning video providing unit 240 may provide the competition analysis information or the moving image free of charge or may provide it as a fee.

경쟁 후보 선수 정보 제공부(250)는 심층 분석부(216)에서 분석된 제 1, 2 경기력 향상 심층 분석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2 경기력 향상 심층분석 정보 내 각각 기록된 제 1, 2 대상선수의 프로필 및 주특기, 승률, 득점율, 실점율을 세부 검토한다. The competitor candidate athlete information providing unit 250 uses the first and second athletic performance improvement in-depth analysis information analyzed by the in-depth analysis unit 216 to calculate the first and second performance augmented in- Review the profile of the athlete, the peculiarity, the odds, the score, and the run-in rate.

그리고 제 1 대상선수와 경기를 차후에 치룰 제 1 상대선수 리스트 정보를 생성시켜, 제 1 대상 선수가 소지하는 제1 스마트 통신 단말기에 제공하거나, 제 2 대상선수와 경기를 차후에 치룰 제 2 상대선수 리스트 정보를 생성시켜 제 2 대상선수가 소지하는 제 2 스마트 통신 단말기에 제공해준다. Then, the first target player list information to be played later with the first target player is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first smart communication terminal possessed by the first target player, or the second target player list is provided to the second target player Information to the second smart communication terminal possessed by the second target player.

경쟁 후보 선수 정보 제공부(250)는 상대 선수 리스트 정보를 유상 혹은 무상으로 스마트 통신 단말기들(25)로 제공할 수 있다. 이는 향후 대진표를 작성할 때나 선수 훈련 과정에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e competitive candidate athlete information providing unit 250 may provide the opponent's player list information to the smart communication terminals 25 in a free or charged fashion. This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preparing future scorecards or training of players.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격투기 스포츠의 공정심사 솔루션 제공용 빅데이터 분석처리 시스템의 그 구동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4 is a flowchart showing a driving method of a big data analysis processing system for providing a process examination solution of a fight sports using an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격투기 스포츠의 공정심사 솔루션 제공용 빅 데이터 분석처리 시스템은 증강현실용 영상표시 단말기와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The big data analysis processing system for providing the process examination solution of the fighting sports using the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the augmented reality image display terminal and the management server.

먼저, 증강현실용 영상표시 단말기가 격투기 스포츠에 참가해 경기를 치루는 제 1 대상선수와 제 2 대상선수 간의 실제 경기 상황을 실시간으로 촬영한다. First, the augmented reality image display terminal captures real-world situation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arget players participating in the fighting sport.

그리고, 촬영된 실황 동영상을 증강현실 전용 컨텐츠의 3차원 증강현실 화면창에 띄운다(S400).Then, the photographed live-action video is displayed on the 3D augmented reality screen window o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S400).

이 후에, 증강현실용 영상표시 단말기가 3차원 증강현실 화면 창에 나타난 득점 보드 판을 향한 가상 터치 동작을 인지해(S410) 가상 터치 신호를 생성시키는 터치인식 센서를 구동시킨다(S420).After that, the augmented reality image display terminal recognizes the virtual touch operation toward the scoreboard displayed on the 3D augmented reality screen window (S410) and drives the touch recognition sensor that generates the virtual touch signal (S420).

증강현실용 영상표시 단말기는 해당 단말을 착용한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3차원 증강현실 화면 창에 나타난 득점 보드 판을 향한 가상 터치 동작을 인지하여 가상터치 신호를 생성시키는 터치인식 센서를 구동시킨다. The augmented reality image display terminal drives a touch recognition sensor that recognizes a virtual touch operation toward a scoreboard board displayed on a 3D ARP screen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wearer wearing the terminal, and generates a virtual touch signal.

터치 인식 센서는 증강현실용 영상표시 단말기를 착용한 사용자의 팔 동작, 손가락 동작과 같은 모션을 감지하여 움직임에 따른 다양한 가상 터치 신호를 생성시킨다.The touch recognition sensor senses motions such as arm motion and finger motion of a user wearing the augmented reality image display terminal, and generates various virtual touch signals according to the motion.

이 후에, 증강현실용 영상표시 단말기가 가상 터치 신호의 생성으로 빅데이터화 된 제 1 대상선수의 제 1 득실율 정보와 제 2 대상선수의 제 2 득실율 정보를 각각 기록 및 임시 저장한다(S430). After that, the augmented reality video display terminal records and temporarily stores the first and second gain rate inform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target players, respectively, which have been converted into the big data by the generation of the virtual touch signal (S430) .

그리고 관리 서버가 증강현실용 영상표시 단말기로부터 입수된 경기 실황 동영상 또는 제 1, 2 득실율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과 기 연결된 방송국 서버에 전달한다(S440). 그리고 TV 수신기의 화면을 통해 경기 실황 동영상 또는 제 1, 2 득실율 정보가 실시간으로 보이도록 정보 제공한다. In step S440, the management server transmits the live live video or the first and second live r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ugmented reality video display terminal to the broadcasting server connected to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information of the live running video or the first and second rate information is displayed in real time on the screen of the TV receiver.

또한, 관리 서버는 제 1, 2 득실율 정보가 일/주/월/년 별로 누적됨에 따라 축적된 제 1, 2 빅데이터 정보를 근거로 제 1, 2 대상선수마다 각가 달리 통계분석 된 제 1, 2 경기력 향상 심층분석 정보를 제1, 2 대상선수가 소지한 제1, 2 스마트 통신 단말기에 각각 전달해 준다(S450). 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may store the first and second big data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target data, which are statistically analyzed for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target players based on accumulated first and second gain ratio information for each day / week / month / (Step S450), and transmits the in-depth improvement analysis information to the first and second smart communication terminals having the first and second target players, respectively.

혹은 제 1, 2 스마트 통신 단말기가 사전 허여해 준 제 3 스마트 통신 단말기에 한해 제 1, 2 경기력 향상 심층분석 정보를 유상 혹은 무상으로 정보 제공해준다. Or the third smart communication terminal pre-granted by the first or second smart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ation on the first or second performance improvement in-depth analysis information is paid or free of charge.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 증강현실용 영상표시 단말기 20: 관리서버
25: 스마트 통신 단말기 30: 방송국 서버
35: TV 수신기 100: 실시간 촬영부
110: 디스플레이부 120: 통신부
130: 가상터치 신호 생성부 140: 득실율 정보 생성부
150: 순간 이미지 전달부 200: 통신부
210: 득실율 정보 산출부 212: 경기력 분석부
214: 이미지 분석부 216: 심층 분석부
220: 동영상 및 득실율 정보 제공부 230: 분석정보 제공부
240: 학습 동영상 제공부 250: 경쟁 후보선수 정보 제공부
10: image display terminal for augmented reality 20: management server
25: smart communication terminal 30: broadcasting station server
35: TV receiver 100: Real-time shooting section
110: display unit 120: communication unit
130: Virtual touch signal generation unit 140: Gain ratio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50: instantaneous image transmission unit 200: communication unit
210: Gain Rate Information Calculation Unit 212:
214: Image analysis section 216: Deep analysis section
220: Providing information on video and infantile rate information 230:
240: Learning Video Offering 250: Competitor Candidate Information Provisioning

Claims (10)

격투기 스포츠에 참가해 경기를 치루는 제 1 대상선수와 제 2 대상선수 간의 실제 경기 상황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며, 상기 촬영된 실황 동영상을 증강현실 전용 컨텐츠의 3차원 증강현실 화면창에 띄우고, 상기 3차원 증강현실 화면창에 나타난 득점 보드판을 향한 가상 터치 동작을 인지해 가상터치 신호를 생성시키는 터치인식 센서를 구동시키며, 상기 가상터치 신호의 생성으로 빅데이터화된 상기 제1 대상선수의 제 1 득실율 정보와 제 2 대상선수의 제 2 득실율 정보를 각각 기록 및 임시저장하는 증강현실용 영상표시 단말기; 및
증강현실용 영상표시 단말기로부터 입수된 상기 실황 동영상 또는 상기 제 1, 2 득실율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과 기연결된 방송국 서버에 전달해 TV 수신기의 화면을 통해 상기 실황 동영상 또는 상기 제 1, 2 득실율 정보가 실시간으로 보이도록 정보 제공하며, 상기 제 1, 2 득실율 정보가 일/주/월/년별로 누적됨에 따라 축적된 제 1, 2 빅데이터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 1, 2 대상선수마다 각기 달리 통계 분석된 제 1, 2 경기력 향상 심층분석 정보를 상기 제 1, 2 대상선수가 소지한 제 1, 2 스마트 통신 단말기에 각각 전달해 주거나 혹은, 제 1, 2 스마트 통신 단말기가 사전 허여해 준 제 3 스마트 통신 단말기에 한해 상기 제 1, 2 경기력 향상 심층분석 정보를 유상 혹은 무상으로 정보 제공해 주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격투기 스포츠에서 치뤄지는 다수의 경기를 통해 이기거나 진 상기 제 1 대상선수 혹은 제 2 대상선수를 대상으로 한 승률, 격투기 기술 중 상기 제 1 대상선수 혹은 제 2 대상선수가 많이 사용한 주특기, 상기 다수의 경기에서 득점한 점수 중 상기 주특기를 사용해서 획득한 점수를 백분율로 환산한 득점율, 상기 다수의 경기에서 실점한 점수 대비 취약 부위에서 실점한 점수를 상기 백분율로 환산한 실점율을 포함하는 제 1, 2 경기력 향상 심층분석 정보를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격투기 스포츠의 공정심사 솔루션 제공용 빅데이터 분석처리 시스템.
Shooting real-time sports scenes between a first target player and a second target player participating in a martial arts sports game, displaying the captured live-action videos on a three-dimensional augmented reality screen window of content for augmented reality only, A touch recognition sensor for recognizing a virtual touch operation toward a scoreboard displayed on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window to generate a virtual touch signal, and for generating a virtual touch signal, the first target player's first gain factor information And a second target player's second gain / loss ratio information; And
And transmits the live video or the first and second gai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augmented reality video display terminal to a broadcasting server connected to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displays the live video or the first and second gain ratio information Information on the first and second target players is displayed in real time on the basis of the first and second big data information accumulated as the first and second gain ratio information are accumulated per day / week / month / The first and second smart performance enhancing in depth analysis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and second smart communication terminals respectively possessed by the first and second target players or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and second smart communication terminals, And a management server for providing the first and second performance improvement in-depth analysis information to the smart communication terminal in a free or charged manner,
The management server includes:
A plurality of competitions performed in the martial arts sports, a winning ratio used for the first target player or the second target player, , A score obtained by converting the score obtained by using the above-mentioned special skill among the scores scored in the game of the first game, and a score obtained by converting the score obtained by scoring the weakest score , And the two-game-ability in-depth analysis information is generated. The Big Data Analysis Processing System for Providing the Process Screening Solution of Martial Arts Sports Using the Augmented Realit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용 영상표시 단말기는,
상기 가상터치 신호가 생성된 현 시점을 자동 캐치해 상기 실황 동영상 중 상기 현 시점과 시차적으로 일치하는 순간 동영상 이미지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격투기 스포츠의 공정심사 솔루션 제공용 빅데이터 분석처리 시스템.
2. The image display terminal for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irtual touch signal generated by the virtual touch signal is automatically caught and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at the moment when the virtual touch signal coincides with the current time point of the real- Big data analysis processing system.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순간 동영상 이미지를 근거로 이미지 분석을 실시함에 따라, 상기 제 1 대상선수가 제 2 대상선수에게 가격한 이미지 대비 제 2 대상선수에게 가격당한 이미지를 백분율로 산출한 상기 제 1' 득실율 정보 및 상기 제 2 대상선수가 제 1 대상선수에 가격한 이미지 대비 제 1 대상선수에게 가격당한 이미지를 백분율로 산출한 제 2' 득실율 정보를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격투기 스포츠의 공정심사 솔루션 제공용 빅데이터 분석처리 시스템.
The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image analysis is performed on the basis of the instantaneous moving image, the first 'gain-rate information and the second gain-rate information, which are calculated as a percentage of the image of the second target player, Wherein the second goal rate information is obtained by calculating, as a percentage, an image of a price charged to the first target athlete by the second target athlete of the first target athlete. Big data analysis processing system for providing solution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제 1 득실율 정보와 제 1' 득실율 정보 간을 각각 대비해, 상기 제 1 득실율 정보가 상기 제 1' 득실율 정보와 오차범위 +5% 내지 -5% 내 속하면 상기 제 1 득실율 정보를 자동으로 채택하고, 상기 제 1 득실율 정보가 상기 제 1' 득실율 정보와 오차범위 +10% 내지 -10%를 벗어나면 상기 제 1' 득실율 정보를 자동 채택하며,
상기 제 2 득실율 정보와 제 2' 득실율 정보 간을 각각 대비해, 상기 제 2 득실율 정보가 상기 제 2' 득실율 정보와 오차범위 +5% 내지 -5% 내 속하면 상기 제 2 득실율 정보를 자동 채택하고, 상기 제 2 득실율 정보가 상기 제 2' 득실율 정보와 오차범위 +10% 내지 -10%를 벗어나면 상기 제 2' 득실율 정보를 자동 채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격투기 스포츠의 공정심사 솔루션 제공용 빅데이터 분석처리 시스템.
The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claim 3,
When the first rate of gain information is within the error range of + 5% to -5% with respect to the first rate of gain ratio information, in comparison with the first rate of gain information and the first rate of gain information, Automatically adopts the first gain ratio information when the first gain ratio information is out of the error range + 10% to -10% with the first gain ratio information,
When the second gain ratio information is within the error range of + 5% to -5% with respect to the second gain ratio information, the second gain ratio information is compared with the second gain ratio information and the second gain ratio information, And automatically adopts the second 'gain ratio information when the second gain ratio information is out of the error range + 10% to -10% with the second gain ratio information. Big Data Analysis Processing System for Providing Process Screening Solution for Martial Arts Sports U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용 영상표시 단말기는,
상기 제 1 대상선수가 제 2 대상선수에게 가격한 순간을 포착해 상기 가상 터치 신호를 생성시킨 제 1 득점버튼 입력횟수와 상기 제 1 대상선수가 제 2 대상선수에게 가격당한 순간을 포착해 상기 가상 터치 신호를 생성시킨 제 1 실점버튼 입력횟수를 실시간으로 기록하고 상기 제 1 득점버튼 입력횟수 대비 제 1 실점버튼 입력횟수를 백분율로 환산한 상기 제 1 득실율 정보를 자동 연산해 화면 표출시키거나,
상기 제 2 대상선수가 제 1 대상선수에게 가격한 순간을 포착해 상기 가상 터치 신호를 생성시킨 제 2 득점버튼 입력횟수와 상기 제 2 대상선수가 제 1 대상선수에게 가격당한 순간을 포착해 상기 가상 터치 신호를 생성시킨 제 2 실점버튼 입력횟수를 실시간으로 기록하고 상기 제 2 득점버튼 입력횟수 대비 제 2 실점버튼 입력횟수를 백분율로 환산한 상기 제 2 득실율 정보를 자동 연산해 화면 표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격투기 스포츠의 공정심사 솔루션 제공용 빅데이터 분석처리 시스템.
2. The image display terminal for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claim 1,
Capturing a moment when the first target player has made a price for the second target player and capturing the first number of times of input of the button of the number of times of the point-of-interest button that generated the virtual touch signal and the moment when the first target player is charged to the second target player,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real-time recording of the number of times of input of the first execution point button that has generated the touch signal, automatically calculating the first gain ratio information converted into a percentage of the first number of times of button-
Capturing a moment when the second target player makes a price with the first target player and capturing a second number of times of input of the point-of-view button that generated the virtual touch signal and a moment when the second target player is priced by the first target player, The second number of times of input of the second point of the button that generated the touch signal is recorded in real time and the second rate of gain information obtained by converting the number of times of input of the second point of click button relative to the number of times of input of the second point of point button is converted into a percentage, Big Data Analysis Processing System for Providing Process Screening Solution for Combat Sports Using Augmented Reality.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제 1, 2 경기력 향상 심층분석 정보 내 통계 분석된 실점율을 줄일 수 있는 대책 마련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대책 마련 정보 중 맞춤식 재교육용 격투기 동영상, 실점한 장면포착 동영상 또는 격투기 교본 자료를 제 1, 2 스마트 통신 단말기에게 무상 또는 유상으로 제공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격투기 스포츠의 공정심사 솔루션 제공용 빅데이터 분석처리 시스템.
The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information on preparation of measures to reduce the statistical analysis rate of the first and second playability improvement in-depth analysis information is provided, and the customized re-education martial arts video, , 2 smart communication terminals free or for free. The Big Data Analysis Processing System for Providing a Process Screening Solution for Combat Sports Using Augmented Realit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스마트 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 1, 2 경기력 향상 심층분석 정보를 유상 혹은 무상으로 온라인 신청해 상기 관리 서버의 승인하에 다운로드하며, 상기 제 1, 2 경기력 향상 심층분석 정보 내 각각 기록된 제 1, 2 대상선수의 프로필 및 주특기, 승률, 득점율, 실점율을 세부 검토해 상기 제 1 대상선수와 상기 경기를 차후에 치룰 제 1 상대선수 리스트 정보를 생성시켜 상기 제 1 스마트 통신 단말기에 제공하거나, 상기 제 2 대상선수와 상기 경기를 차후에 치룰만한 제 2 상대선수 리스트 정보를 생성시켜 상기 제 2 스마트 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격투기 스포츠의 공정심사 솔루션 제공용 빅데이터 분석처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hird smart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es:
The first and second competitiveness improvement in-depth analysis information is requested to be paid online or free of charge and downloaded under the approval of the management server, and the profiles of the first and second competitors recorded in the first and second competitiveness improvement in- The second smart player may generate the first smart game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ation to generate the first smart game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ation for the first smart game player and the first smart game player terminal to play the game first, And generates the second opponent player list information to be prepared in the future, and provides the second opponent player list information to the second smart communication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전용 컨텐츠는
상기 격투기 스포츠에 포함되는 무에타이, 가라데, 킥복싱, 태권도, 복싱 및 유도 중 선택된 하나와 1:1 매칭되는 가상 배경(Virtual Screen)을 호출해 상기 3차원 증강현실 화면창에 띄어 노출시켜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격투기 스포츠의 공정심사 솔루션 제공용 빅데이터 분석처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A virtual screen which is 1: 1 matched with a selected one of Muay Thai, Karate, Kickboxing, Taekwondo, Boxing and Judo included in the Martial Arts Sports is called and displayed on the 3D augmented reality screen window Big Data Analysis Processing System for Providing Process Screening Solution for Combat Sports Using Augmented Reality.
증강현실용 영상표시 단말기와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격투기 스포츠의 공정심사 솔루션 제공용 빅데이터 분석처리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그 구동방법에 있어서,
증강현실용 영상표시 단말기가 격투기 스포츠에 참가해 경기를 치루는 제 1 대상선수와 제 2 대상선수 간의 실제 경기 상황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며, 상기 촬영된 실황 동영상을 증강현실 전용 컨텐츠의 3차원 증강현실 화면창에 띄우는 단계;
상기 증강현실용 영상표시 단말기가 상기 3차원 증강현실 화면창에 나타난 득점 보드판을 향한 가상 터치 동작을 인지해 가상터치 신호를 생성시키는 터치인식 센서를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증강현실용 영상표시 단말기가 상기 가상터치 신호의 생성으로 빅데이터화된 상기 제 1 대상선수의 제 1 득실율 정보와 제 2 대상선수의 제 2 득실율 정보를 각각 기록 및 임시저장하는 단계;
관리 서버가 증강현실용 영상표시 단말기로부터 입수된 상기 실황 동영상 또는 상기 제 1, 2 득실율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과 기연결된 방송국 서버에 전달해 TV 수신기의 화면을 통해 상기 실황 동영상 또는 상기 제 1, 2 득실율 정보가 실시간으로 보이도록 정보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 1, 2 득실율 정보가 일/주/월/년별로 누적됨에 따라 축적된 제 1, 2 빅데이터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 1, 2 대상선수마다 각기 달리 통계 분석된 제 1, 2 경기력 향상 심층분석 정보를 상기 제 1, 2 대상선수가 소지한 제 1, 2 스마트 통신 단말기에 각각 전달해 주거나 혹은, 제 1, 2 스마트 통신 단말기가 사전 허여해 준 제 3 스마트 통신 단말기에 한해 상기 제 1, 2 경기력 향상 심층분석 정보를 유상 혹은 무상으로 정보 제공해 주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격투기 스포츠에서 치뤄지는 다수의 경기를 통해 이기거나 진 상기 제 1 대상선수 혹은 제 2 대상선수를 대상으로 한 승률, 격투기 기술 중 상기 제 1 대상선수 혹은 제 2 대상선수가 많이 사용한 주특기, 상기 다수의 경기에서 득점한 점수 중 상기 주특기를 사용해서 획득한 점수를 백분율로 환산한 득점율, 상기 다수의 경기에서 실점한 점수 대비 취약 부위에서 실점한 점수를 상기 백분율로 환산한 실점율을 포함하는 제 1, 2 경기력 향상 심층분석 정보를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격투기 스포츠의 공정심사 솔루션 제공용 빅데이터 분석처리 시스템의 구동방법.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driving a large data analysis processing system for providing a process examination solution of a combat sports using an augmented reality including a video display terminal for augmented reality and a management server,
The augmented reality video display terminal captures the actual competition situation between the first target player and the second target player participating in the fighting sport in real time and displays the captured live video on the 3D augmented reality screen o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opping up a window;
Driving a touch recognition sensor for recognizing a virtual touch operation toward a scoreboard board displayed on the 3D enhanced real-time screen window to generate a virtual touch signal;
Recording and temporarily storing first gain ratio information of the first target player and second gain ratio information of the second target player, each of which has been converted into big data by generation of the virtual touch signal, by the image display terminal for augmented reality;
The management server transmits the live video or the first and second gain rat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augmented reality video display terminal to a broadcasting server connected to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s the live video or the first, Providing rate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Wherein the management server is configured to perform statistical analysis for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target players based on the accumulated first and second big data information as the first and second gain ratio information are accumulated for each day / week / month / 1 and 2 performance improvement in-depth analysis information to the first and second smart communication terminals possessed by the first and second target players, respectively, or to the third smart communication terminals previously provided by the first and second smart communication terminals A step of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first and second performance improvement in-depth analysis information, free or in charge,
The management server includes:
A plurality of competitions performed in the martial arts sports, a winning ratio used for the first target player or the second target player, , A score obtained by converting the score obtained by using the above-mentioned special skill among the scores scored in the game of the first game, and a score obtained by converting the score obtained by scoring the weakest score , And the two-game-ability in-depth analysis information is generated. The driving method of the big data analysis processing system for providing the process examination solution of the combat sports using the augmented reality.
KR1020160153793A 2016-11-18 2016-11-18 System for providing solution of justice on martial arts sports and analyzing bigdata using augmented reality, and Drive Method of the Same Expired - Fee Related KR1018640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793A KR101864039B1 (en) 2016-11-18 2016-11-18 System for providing solution of justice on martial arts sports and analyzing bigdata using augmented reality, and Drive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793A KR101864039B1 (en) 2016-11-18 2016-11-18 System for providing solution of justice on martial arts sports and analyzing bigdata using augmented reality, and Drive Method of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055A KR20180056055A (en) 2018-05-28
KR101864039B1 true KR101864039B1 (en) 2018-06-12

Family

ID=62451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3793A Expired - Fee Related KR101864039B1 (en) 2016-11-18 2016-11-18 System for providing solution of justice on martial arts sports and analyzing bigdata using augmented reality, and Drive Method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03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5934B1 (en) * 2020-04-10 2021-05-26 주식회사 제미타 Combat sports scoring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KR102133274B1 (en) * 2020-04-10 2020-07-13 주식회사 다락컴퍼니 Image synthesis device for television broadcast of taekwondo competition
KR102828739B1 (en) * 2021-02-04 2025-07-0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Online physical education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contents
KR102825922B1 (en) * 2022-12-14 2025-07-03 씨제이올리브네트웍스 주식회사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apparatus and method for relaying fighting vide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4919B1 (en) * 2014-10-30 2016-04-22 아바드(주) A sports relay broadcasting system using an wearable camera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4114A (en) 1997-12-11 1998-03-30 양승택 Augmented Reality-based Golf Support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KR100830830B1 (en) * 2005-09-20 2008-05-20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and system for multi-user game service using motion capture
KR100788765B1 (en) * 2005-11-23 2007-12-26 장광순 Method of providing a golf information
KR20120075565A (en) 2010-12-15 2012-07-09 고스트리트(주) Mobile sports guide system and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KR20130098770A (en) 2012-02-28 2013-09-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Expanded 3d space based virtual sports simulation system
KR101556721B1 (en) 2013-11-29 2015-10-05 주식회사 비주얼리액터 Interactive 5D Extreme Sports Experience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4919B1 (en) * 2014-10-30 2016-04-22 아바드(주) A sports relay broadcasting system using an wearable came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055A (en) 2018-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7737B2 (en) Athletic training system and method
US11049258B2 (en) Stereoscopic image capture with performance outcome prediction in sporting environments
US10607349B2 (en) Multi-sensor event system
KR101864039B1 (en) System for providing solution of justice on martial arts sports and analyzing bigdata using augmented reality, and Drive Method of the Same
CN111184994A (en) Batting training method, terminal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US20250082997A1 (en) Augmented realit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sports data analytics systems and methods
CN118803302A (en) Data display method, device, electronic device, storage medium and program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21052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K11-X000 Ip right revival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1-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10529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3-oth-PR04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24052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40529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