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9784B1 - System generating data for interpretating dental image - Google Patents
System generating data for interpretating dental ima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39784B1 KR101839784B1 KR1020170097618A KR20170097618A KR101839784B1 KR 101839784 B1 KR101839784 B1 KR 101839784B1 KR 1020170097618 A KR1020170097618 A KR 1020170097618A KR 20170097618 A KR20170097618 A KR 20170097618A KR 101839784 B1 KR101839784 B1 KR 1018397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ntal image
- input
- area
- reading
- data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User input means
- A61B5/7475—User input or interface means, e.g. keyboard, pointing device, joystick
- A61B5/748—Selection of a region of interest, e.g. using a graphics tablet
-
- G06F19/321—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36—Dental; Teeth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04—Mark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은 구강의 해부학적 구조가 촬영된 치과 영상과, 상기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해부학적 식별 번호 및 복수 개의 진단명들을 포함하는 진단 정보와, 상기 치과 영상에 대한 결과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치과 영상 중 상기 해부학적 구조에 대응하는 영역의 선택을 포함하는 제1입력과, 선택된 영역에 대응하는 진단명의 선택을 포함하는 제2입력이 수신되는 입력부; 상기 제1입력과 상기 제2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치과 영상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처리부; 및 상기 치과 영상과 상기 결과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data generation system for reading a dental image includes diagnostic information including a dental image of anatomical structure of the oral cavity, an anatomical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anatomical structure, a plurality of diagnosis names,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resultant data; A first input including a selection of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anatomical structure of the dental image and a second input including a selection of a diagnosis nam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region; A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result data for the dental image based on the first input and the second input;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dental image and the resultant data.
Description
이하, 실시예들은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relate to a data generation system for reading a dental image.
의료 분야에서 영상을 판독하는 일은 진단 및 치료에 있어 중요하다. 특히, 일반적인 의료 영상과는 달리, 치과 영상에는 다중 질환(multi-disease)이 혼재된 상태의 구강의 해부학적 구조가 촬영되어 있어 치과 의사의 복합적인 판단을 요구하는 경우가 종종 있으므로, 치과 분야에서 인체의 상악골(maxilla) 및 하악골(mandibula)이 촬영된 영상, 즉 치과 영상을 판독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사용이 간편하고 고품질의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도구들이 개발되고 있다.Reading images in the medical field is important for diagnosis and treatment. Particularly, unlike general medical images, the anatomical structure of the oral cavity in which the multi-disease is mixed is often photographed in the dental image, so that a complex judgment of the dentist is often required. When the image of a maxilla and a mandible of a human body is taken, that is, a dental image is read, a tool which is easy to use and produces high quality result data has been developed.
예를 들어,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83645호는 CT 스캔 분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시하고 있다.For example,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7-0083645 discloses a user interface for CT scan analysis.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을 위한 데이터로 사용되는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to provide a data generation system for dental image reading that produces result data used as data for machine learning.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사용자에게 사용이 간편하고 고품질의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ata generation system for reading a dental image that is easy to use and produces high-quality result data for a user.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은 구강의 해부학적 구조가 촬영된 치과 영상과, 상기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해부학적 식별 번호 및 복수 개의 진단명들을 포함하는 진단 정보와, 상기 치과 영상에 대한 결과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치과 영상 중 상기 해부학적 구조에 대응하는 영역의 선택을 포함하는 제1입력과, 선택된 영역에 대응하는 진단명의 선택을 포함하는 제2입력이 수신되는 입력부; 상기 제1입력과 상기 제2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치과 영상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처리부; 및 상기 치과 영상과 상기 결과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generation system for reading a dent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diagnostic information including a dental image of anatomical structures of the oral cavity, an anatomical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anatomical structure, a plurality of diagnosis names,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resultant data; A first input including a selection of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anatomical structure of the dental image and a second input including a selection of a diagnosis nam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region; A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result data for the dental image based on the first input and the second input;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dental image and the resultant data.
상기 처리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입력부로 제1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치과 영상 중 상기 해부학적 구조에서 선택된 영역을 인식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치과 영상과 함께 상기 선택된 영역에 마커를 표시할 수 있다.The processing unit recognizes a region selected from the anatomical structure of the dental image when a first input is received from the user to the input unit, and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marker in the selected region together with the dental image.
상기 처리부는, 인식된 영역에 상기 해부학적 식별 번호를 매칭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해부학적 식별 번호를 더 표시할 수 있다.The processing unit may match the anatomical identification number with the recognized area, and the display unit may further display the anatomical identification number.
상기 처리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입력부로 제2입력이 수신되면 인식된 영역에 진단명을 매칭하고, 상기 표시부는, 매칭된 진단명을 더 표시할 수 있다.The processing unit may match the diagnosis name to the recognized area when the second input is received from the user to the input unit, and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the matched diagnosis name.
상기 처리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입력부로 수신된 제2입력 중 진단명이 선택되는 횟수를 카운트하여 선택된 진단명에 대하여 카운트된 횟수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The processing unit counts the number of times the diagnosis name is selected from the second input received from the user to the input unit, and stores the counted number of times for the selected diagnosis name in the storage unit.
상기 처리부는, 선택된 진단명에 대하여 카운트된 횟수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진단명들의 우선 순위를 설정하고, 상기 표시부는,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나열된 복수 개의 진단명들을 더 표시할 수 있다.The processing unit sets the priority of the plurality of diagnosis names according to the counted number of times for the selected diagnosis name, and the display unit may further display a plurality of diagnosis names listed in accordance with the set priority.
상기 제1입력은, 상기 해부학적 식별 번호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개의 제1서브 아이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입력은, 상기 복수 개의 진단명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개의 제2서브 아이콘들을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first input comprises a plurality of first sub icons each corresponding to the anatomical identification number and the second input comprises a plurality of second sub icon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diagnosis names have.
상기 처리부는, 생성된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추가적인 치과 영상이 필요한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processing unit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an additional dental image is required based on the generated result data.
상기 처리부는, 결과 데이터를 생성한 횟수를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결과 데이터를 생성한 횟수 및 결과 데이터를 생성한 시간에 기초하여 시간에 따른 결과 데이터를 생성한 횟수에 대한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The processing unit counts the number of times the result data has been generated, generates a pattern of the number of times the result data has been generated over time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of generating the counted result data and the time of generating the result data.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사용이 간편하고 고품질의 판독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The data generation system for reading dental image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use for a user and can generate a high quality reading result.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은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을 위한 데이터로 사용되는 판독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A data generation system for dental image rea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generate a reading result used as data for machine learning.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data generation system for dental image read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에 의하여 결과 데이터가 생성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의 작업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에 의하여 우선 순위에 따라 진단명이 나열되는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의 메인 화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의 피드백 제공 화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에 의하여 치과 영상의 영상 표시값이 변경되는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에 의하여 치과 영상의 영상 표시값이 변경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의 보안 접속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의 보안 접속 방식에 따른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ata generation system for reading a dental imag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result data by a data generation system for reading a dental imag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FIGS. 3 and 4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state of a data generation system for reading a dental imag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FIG. 5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arranging diagnosis names according to priorities by a data generation system for reading dental image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6 is a schematic view of a main screen of a data generation system for reading a dent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and 8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feedback providing screen of a data generating system for reading a dent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9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changing an image display value of a dental image by a data generation system for reading a dental imag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0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mage display value of a dental image is changed by a data generation system for reading a dent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11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ecure connection method of a data generation system for reading a dental imag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FIG. 12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ata access system for reading a dent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best of an understanding clear.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Quot;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components included in any one embodiment and the components including common functions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names in other embodi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the description of any one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overlapping scope.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ata generation system for reading a dental imag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100)은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을 위한 학습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대상체의 구강의 해부학적 구조가 촬영된 치과 영상에서 구강의 해부학적 구조에 대응하는 영역을 선택하여 선택된 영역에 진단명을 매칭시켜 치과 영상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치과 영상과 함께 결과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되는 결과 데이터는 사용자의 조작을 위해 표시되는 것이고, 생성되는 결과 데이터는 기계 학습을 위한 학습 데이터로서 사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본원에서 치과 영상은 이산적인 이미지 요소들(예를 들어, 2차원 이미지에 있어서의 픽셀들 및 3차원 이미지에 있어서의 복셀들)로 구성된 다차원(multi-dimensional)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는 Xray, CT(Computed Tom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초음파 및 다른 의료 영상 시스템에 의하여 획득된 대상체의 의료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dental image herein may refer to multi-dimensional data consisting of discrete image elements (e.g., pixels in a two-dimensional image and voxels in a three-dimensional image). For example, the image may include Xray, Computed Tomography (CT),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ultrasound, and medical images of objects obtained by other medical imaging systems.
본원에서 대상체는 사람 또는 동물, 또는 사람 또는 동물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는 의료 전문가로서 의사, 간호사, 임상 병리사, 의료 영상 전문가 등이 될 수 있으며, 의료 장치/시스템을 수리하는 기술자가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subject may be a person or animal, or a part of a person or an animal, and the user may be a medical professional such as a doctor, a nurse, a clinical pathologist, a medical imaging expert,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100)은 저장부(110), 입력부(120), 처리부(130) 및 표시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저장부(110)에는 구강의 해부학적 구조가 촬영된 치과 영상과,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해부학적 식별 번호 및 복수 개의 진단명들을 포함하는 진단 정보와, 치과 영상에 대한 결과 데이터가 각각 저장될 수 있다.Diagnostic information including anatomical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anatomical structure, a plurality of diagnosis names, and result data for the dental image can be stored in the
본원에서 구강의 해부학적 구조는 인체의 상악골과 하악골이 포함된 구조를 가리킬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anatomical structure of the oral cavity herein may indicate, but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including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structures of the human body.
본원에서 구강의 해부학적 식별 번호는 세계 보건 기구(WHO)에서 제작된 ISO 규격(ISO 3950)에 따라 부여되거나, 아메리칸 시스템(American System)(또는 범용 넘버링 시스템(universal numbering system))에 따라 부여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ISO 규격에 따른 식별 번호 부여 방식의 경우, 구강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4분면으로 나뉘어 1 내지 8까지 치아 번호가 부여되는 방식이고, 아메리칸 시스템에 따른 식별 번호 부여 방식의 경우, 구강의 좌측 상단으로부터 하측 하단으로 시계 방향으로 돌아가며 치아 번호(영문 포함)가 부여되는 방식이다. 본원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ISO 규격(ISO 3950)에 따라 부여되는 구강의 해부학적 식별 번호(치식)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 the anatomical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oral cavity is given according to the ISO standard (ISO 3950) produc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or given according to the American System (or universal numbering system) But are not limited thereto. In the case of the identification numbering method according to the ISO standard, a tooth number is assigned to 1 to 8 divided into four quadrants based on the center line of the mouth. In the case of the identification number assigning method according to the American system, It rotates clockwise to the bottom, and the teeth number (including English) is give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using anatomical identification numbers (teeth) of the mouth according to the ISO standard (ISO 3950).
본원에서 진단명은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표에 따른 진단명, 국제진단기준에 따른 진단명 등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diagnosis name herein may be, but not limited to, a diagnosis name according to the Korean standard disease / sign classification chart, a diagnosis name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diagnosis standard, and the like.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은 치과 영상 중 구강의 해부학적 구조에 대응하는 영역의 선택을 포함하는 제1입력, 선택된 영역에 대응하는 진단명의 선택을 포함하는 제2입력, 선택된 영역에 점, 선 또는 면을 포함하는 도형 정보를 매칭시키는 제3입력, 치과 영상의 영상 표시값을 변경하는 제4입력, 설정 코드와 비교를 위한 비밀 코드의 입력을 포함하는 제5입력 등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필요한 개수만큼의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각각의 입력에 관한 설명은 뒤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The
처리부(13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치과 영상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결과 데이터는 치과 영상에 도형 정보, 진단 정보 등이 함께 표시되는 방식으로 표현되거나, 판독문으로서 테이블 형태로 구강의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식별 번호, 진단명, 진단 코드 등이 표시되는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결과 데이터의 형태는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The
표시부(140)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치과 영상과 처리부(130)에 의하여 생성된 결과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UI(user interface), 사용자 정보 또는 대상체 정보 등 사용자가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생성한 결과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40)는 CRT 디스플레이, LCD 디스플레이, PDP 디스플레이, OLED 디스플레이, FED 디스플레이, LED 디스플레이, VFD 디스플레이, DLP 디스플레이, PFD 디스플레이, 3D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기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40)가 표시하는 다양한 형태에 관하여는 후술할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100)은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외부 장치 또는 외부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는 클라우드 기반으로 작동하는 서버일 수 있다. 통신부가 서버인 경우,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100)은 웹 기반으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결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의 특성이나 종류에 구애 받지 않고 결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1, the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에 의하여 결과 데이터가 생성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result data by a data generation system for reading a dental imag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2를 참고하면, 먼저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은 치과 영상을 로드(210)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data generation system for reading a dental image may load (210) a dental image.
이후,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은 제1입력에 기초하여 해부학적 구조에 대응하는 영역을 인식할 수 있다(22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입력은 치과 영상 중 구강의 해부학적 구조에 대응하는 영역의 선택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사용자가 치과 영상을 보면서 치과 영상에 표시된 구강의 해부학적 구조 중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측 상단의 3번째 치아를 선택한 경우,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은 치과 영상에서 구강의 해부학적 구조 중 사용자가 선택한 좌측 상단의 3번째 치아에 해당하는 영역을 인식할 수 있다.Thereafter, the data generation system for dental image reading may recognize 220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anatomical structure based on the first input.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input may include selection of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anatomical structure of the oral cavity in the dental image. For example, if a user views a dental image and selects the third tooth on the upper left side of the virtual center line of the anatomical structure of the oral cavity displayed on the dental image,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third tooth on the upper left side selected by the user can be recognized.
이후,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은 제2입력에 기초하여 해부학적 구조에 대응하는 영역에 진단명을 매칭시킬 수 있다(23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입력은 선택된 영역에 대응하는 진단명의 선택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사용자가 제1입력 이후 선택된 영역이 "수직골 소실"이라고 판단하여 "수직골 소실"이라는 진단명을 선택한 경우,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은 치과 영상에서 사용자가 제1입력으로 선택한 영역에 "수직골 소실"이라는 진단명을 매칭시킬 수 있다.Thereafter, the data generation system for dental image reading may match the diagnosis name to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anatomical structure based on the second input (230).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input may include selection of a diagnostic nam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area. For example, if the user selects a diagnosis name of "vertical bone loss" after determining that the selected region after the first input is "vertical bone loss ", the data generation system for reading the dental image, Can be matched with the diagnosis name "vertical bone loss ".
이후,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은 치과 영상, 해부학적 구조에 대응하는 영역 및 진단명을 표시(디스플레이)할 수 있다(240).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이 표시하는 방식에 관하여는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Thereafter, the data generation system for dental image reading may display the dental image,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anatomical structure, and the diagnosis name (240). The manner in which the data generating system for reading dental images is display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FIG.
도 3 및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의 작업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서는 구강의 해부학적 구조 중 일부 영역을 선택하고 진단명을 부여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FIGS. 3 and 4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state of a data generation system for reading a dental imag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 FIGS. 3 and 4, a case will be exemplified in which a part of the anatomical structure of the oral cavity is selected and a diagnosis is given.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3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과 영상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과 영상에 대하여 작업하기 위한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300)은 제1영역(31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과 영상을 표시하고, 제2영역(320)에 특정 규칙에 따른 구강의 해부학적 식별 번호가 입력되기 위한 복수 개의 아이콘들을 표시하고, 제3영역(330)에 특정 규칙에 따른 진단명이 입력되기 위한 복수 개의 아이콘들을 표시하고, 제4영역(340)에 병변이 있는 영역에 대한 구강의 해부학적 식별 번호와 이의 진단명 및 이들의 추가/수정/삭제 이이콘들을 표시하고, 제5영역(350)에 작업 저장 아이콘 또는 작업 완료 아이콘을 표시하고, 제6영역(36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과 영상이 편집되기 위한 복수 개의 편집 아이콘들(예를 들어, 색 부여, 삭제, 확대, 되돌리기 등)을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300)이 제1영역(310)에 치과 영상을 로드하면, 사용자는 구강의 해부학적 구조가 도시된 치과 영상을 판독하면서 병변이 있는 영역에 대응하는 구강의 해부학적 식별 번호를 매칭시키기 위하여 제2영역(320)에 표시된 복수 개의 아이콘들 중 적어도 일부의 아이콘들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강의 해부학적 구조를 가상으로 4등분한 경우에,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 상단 3번째 영역(13번 치아)을 선택할 수 있다.When the
이후, 사용자는 좌측 상단 3번째 영역(13번 치아)에 점, 선 또는 면을 포함하는 도형 정보를 매칭시키기 위하여 제6영역(360)에 표시된 복수 개의 편집 아이콘들 중 드로잉 기능을 수행하는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좌측 상단 3번째 영역(13번 치아)에 특정 색깔의 면으로 해당 영역을 드로잉할 수 있다.Then, in order to match the figure information including the point, line or face to the upper left third region (tooth no. 13), an icon for performing a drawing function among a plurality of edit icons displayed in the
또한, 사용자는 좌측 상단 3번째 영역(13번 치아)에 진단명을 매칭시키기 위하여 제3영역(330)에 표시된 복수 개의 아이콘들 중 해당 진단명이 표시된 어느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좌측 상단 3번째 영역(13번 치아)에 대한 진단명이 "교합면 마모"라는 판단이 든 경우,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3영역(330)에 표시된 복수 개의 아이콘들 중 "교합면 마모"라고 표시된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select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cons displayed in the
사용자가 제2영역(320)에 표시된 구강의 해부학적 식별 번호와, 제3영역(330)에 표시된 진단명을 각각 선택하고, 필요에 따라 제6영역(360)에 표시된 편집 아이콘을 사용하여 치과 영상을 편집하면,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300)은 제4영역(340)에 사용자가 선택한 구강의 해부학적 식별 번호(치식), 진단명(Present illness), 진단 코드(미도시) 등을 포함하는 판독문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4영역에 표시된 구강의 해부학적 식별 번호, 진단명 등을 검토하여 판독문이 올바르게 작성되었는지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추가 아이콘, 수정 아이콘 또는 삭제 아이콘을 사용하여 해당 치과 영상에 대한 구강의 해부학적 식별 번호, 진단명 등을 추가, 수정 또는 삭제할 수 있다.The user selects the anatomical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oral cavity displayed in the
이후, 사용자는 임시적으로 치과 영상에 대한 작업을 저장하기 위하여 제5영역(350)에 표시된 작업 저장 아이콘을 이용하여 임시적으로 편집된 치과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최종적으로 치과 영상에 대한 작업을 저장하기 위하여 제5영역(350)에 표시된 작업 완료 아이콘을 이용하여 편집된 치과 영상을 저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300)에는 편집된 치과 영상과 함께 치과 영상의 헤더에 구강의 해부학적 식별 번호, 진단명, 도형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Thereafter, the user can temporarily save the edited dental image using the job storage icon displayed in the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치과 영상에 대한 또 다른 작업으로서, 사용자는 우측 하단 1번째 영역(41번 치아)에 해부학적 식별번호를 선택하고, 진단명을 부여하고, 필요에 따라 도형 정보를 매칭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통상의 기술자가 앞서 설명한 사항들을 참고하면 자명한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s described above, as another operation for one dental image, the user selects an anatomical identification number in the first lower right region (# 41 tooth), gives a diagnosis name, and matches the figure information as needed .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upon reference to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에 의하여 우선 순위에 따라 진단명이 나열되는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FIG. 5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arranging diagnosis names according to priorities by a data generation system for reading dental image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5를 참고하면, 먼저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은 제2입력에 기초하여 진단명의 선택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510). 여기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입력은 선택된 영역에 대응하는 진단명의 선택을 포함할 수 있다.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이 사용자로부터 제2입력을 수신하면,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은 사용자가 선택한 진단명의 선택 횟수를 카운트하여 저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data generation system for dental image reading can firstly count the number of selection of the diagnosis name based on the second input (510). Here,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input may include selection of a diagnosis nam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area. When the data generation system for reading the dental image receives the second input from the user, the data generation system for reading the dental image may count and store the number of selection of the diagnosis name selected by the user.
이후,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은 진단명의 선택 횟수에 기초하여 진단명들의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520).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진단명으로 "임플란트"를 제1횟수만큼 선택하고 "매복치"를 제1횟수보다 큰 제2횟수만큼 선택하면,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은 "매복치"의 우선 순위를 "임플란트"의 우선 순위보다 앞서도록 설정할 수 있다.Thereafter, the data generation system for reading the dental image can set the priority of the diagnosis names based on the number of selection of the diagnosis name (520). For example, if the user selects a first number of "implants" as the diagnosis name and selects a second number of "implants" greater than the first number, the data generation system for reading the dental images will determine the priority of "implants" Can be set to be higher than the priority of "implant ".
이후,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은 우선 순위에 따라 진단명들을 순서대로 표시할 수 있다(530). 위의 예에서, 제2횟수만큼 선택된 "매복치"가 제1횟수만큼 선택된 "임플란트"보다 사용자에게 우선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3을 다시 참고하면, 제3영역(330)에 표시된 진단명에 대한 복수 개의 아이콘들 중 "매복치"로 표시된 아이콘이 "임플란트"로 표시된 아이콘보다 위로 및 좌측으로 정렬되어 표시됨을 확인할 수 있다.Thereafter, the data generation system for reading the dental image may sequentially display the diagnosis names according to the priority (530). In the above example, the "implants" selected a second number of times may be preferentially displayed to the user than the "implants" selected a first number of times. Referring back to FIG. 3, it can be seen that among the plurality of icons for the diagnosis name displayed in the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의 메인 화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schematic view of a main screen of a data generation system for reading a dent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6을 참고하면,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600)은 사용자에 의하여 미처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과 영상의 현황과, 작업 중인 치과 영상의 현황 및 생성된 결과 데이터의 현황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600)은 제1영역(610)에 미처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과 영상의 현황을 표시하고, 제2영역(620)에 작업 중인 치과 영상의 현황을 표시하고, 제3영역(630)에 생성된 결과 데이터의 현황을 표시하고, 제4영역(640)에 메인 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아이콘(HOME) 및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아이콘(DASHBOARD)을 표시할 수 있다. 제4영역(640)에 표시된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아이콘(DASHBOARD)의 선택으로 인한 결과에 관하여는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6, a
도 7 및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의 피드백 제공 화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7 and 8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feedback providing screen of a data generating system for reading a dent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7을 참고하면,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700)은 제1영역에 월(month), 주(weekly), 일(daily)에 따른 치과 영상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생성한 횟수를 그래프화하여 표시하고, 제2영역에 사용자 별 치과 영상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생성한 횟수를 그래프화여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개개인의 결과 데이터를 생성한 횟수를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 개개인에게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도 8을 참고하면,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800)은 제1영역에 월(month)에 따른 치과 영상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생성한 횟수를 2차원적으로 그래프화하여 표시하고, 제2영역에 제1기간(1년)에 따른 전체적인 결과 데이터를 생성한 횟수와, 제2기간(1주일)에 따른 전체적인 결과 데이터를 생성한 횟수와, 제3기간(1일)에 따른 전체적인 결과 데이터를 생성한 횟수를 표시할 수 있다. 제1영역에 표시된 치과 영상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생성한 횟수는 횟수의 많고 적음에 따라 음영의 정도가 달라지게 2차원적으로 그래프화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에 의하여 치과 영상의 영상 표시값이 변경되는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FIG. 9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changing an image display value of a dental image by a data generation system for reading a dental imag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9를 참고하면, 먼저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은 제4입력에 기초하여 치과 영상의 영상 표시값을 변경할 수 있다(810). 여기서, 제4입력은 치과 영상의 영상 표시값을 변경하는 입력을 의미할 수 있다. 이후,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은 영상 표시값이 변경된 치과 영상을 표시(디스플레이)할 수 있다(820). 이에 따라, 12비트로 구성되는 일반적인 의료 영상과 달리, 영상 표시값을 변경하여 8비트로 구성된 치과 영상은 정해진 규격에 맞게 기계 학습을 위한 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data generation system for reading a dental image may change the image display value of the dental image based on the fourth input (810). Here, the fourth input may mean an input for changing the image display value of the dental image. Thereafter, the data generation system for reading the dental image may display (display) the dental image having the changed image display value (820). Accordingly, unlike a general medical image composed of 12 bits, a dental image composed of 8 bits can be used as data for machine learning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tandard by changing the image display value.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에 의하여 치과 영상의 영상 표시값이 변경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0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mage display value of a dental image is changed by a data generation system for reading a dent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0을 참고하면,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1000)은 치과 영상의 영상 표시값을 변경하는 사용자의 제4입력에 기초하여 치과 영상의 영상 표시값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마우스의 스크롤을 홀딩(holding)한 채로 위 또는 아래로 이동시키면,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1000)은 치과 영상의 윈도우 센터(window center)값 또는 경사(slope)값을 변경시켜 사용자에게 영상 표시값이 변경된 치과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a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의 보안 접속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11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ecure connection method of a data generation system for reading a dental imag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1을 참고하면, 먼저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은 비밀 코드 입력창을 생성할 수 있다(1110).Referring to FIG. 11, a data generation system for reading a dental image may generate a secret code input window (1110).
이후,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은 제5입력에 기초하여 입력된 코드가 설정 코드와 일치하는지 판별할 수 있다(1120). 여기서, 제5입력은 설정 코드와 비교를 위한 비밀 코드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에 의하여 생성된 비밀 코드 입력창에 제5입력인 사용자 개인의 비밀 코드를 입력하면,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은 입력된 사용자의 비밀 코드와 설정 코드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Thereafter, the data generating system for reading the dental image may determine 1120 that the entered code matches the set code based on the fifth input. Here, the fifth input may include an input of a secret code for comparison with the set code. When a user inputs a secret code of a user, which is a fifth input, into a secret code input window created by a data generation system for reading a dental image, a data generation system for reading a dental image reads the secret code of the input user, Can be compared to determine whether they match.
이후,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은 메인 화면으로 연결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1130). 제5입력의 비밀 코드와 설정 코드가 일치하는 경우,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은 메인 화면(예를 들어, 도 6의 메인 화면)으로 연결시키고, 제5입력의 비밀 코드와 설정 코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은 메인 화면으로의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에 대하여 사용이 허가된 사용자만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대상체의 각종 정보들의 획득을 방지할 수 있다.Thereafter, the data generation system for reading the dental image may determine whether to connect to the main screen (1130). When the secret code of the fifth input coincides with the setting code, the data generating system for reading the dental image connects to the main screen (for example, the main screen of Fig. 6), and the secret code and the setting code of the fifth input If they do not match, the data generation system for reading the dental image may block the connection to the main screen. Accordingly, only a user who is authorized to use the data generation system for reading dental images can use a data generation system for reading dental images, thereby preventing the acquisition of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of the object from the outside.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의 보안 접속 방식에 따른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12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ata access system for reading a dent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고하면,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1200)은 사용자에게 비밀 코드를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1200)에 저장시키기 위하여 비밀 코드 등록창을 생성할 수 있다.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1200)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이름, 아이디(ID), 비밀 번호(Password), 이메일(e-mail), 사용자의 고유의 비밀 코드(Secret code)를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a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to be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s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For exampl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ques described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s, and / or that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s, structures, devices, circuits, Lt; / RTI > or equivalents, even if it is replaced or replaced.
Claims (8)
상기 치과 영상 중 상기 해부학적 구조에 대응하는 영역의 선택을 포함하는 제1입력과, 선택된 영역에 대응하는 진단명의 선택을 포함하는 제2입력과, 선택된 영역에 점, 선 또는 면을 포함하는 도형 정보를 매칭시키는 제3입력이 수신되는 입력부로서, 상기 제3입력은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지원되는, 상기 선택된 영역에 매칭되는 상기 도형 정보의 드로잉을 포함하는, 입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치과 영상을 로드하고, 상기 제1입력에 기초하여 로드된 치과 영상 중 해부학적 구조에 대응하는 영역을 인식하고, 인식된 영역에 해부학적 식별 번호를 매칭하고, 상기 제2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인식된 영역에 대응하는 진단명을 매칭하고, 상기 제3입력에 기초하여 인식된 영역에 선택된 도형 정보를 매칭함으로써,
기계 학습을 위한 학습 데이터로 사용되는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되, 상기 결과 데이터는 상기 치과 영상 중 인식된 영역과, 상기 인식된 영역에 대응하는 해부학적 식별 번호와, 매칭된 진단명을 포함하는 진단 정보와, 매칭된 도형 정보를 포함하는 처리부; 및
상기 로드된 치과 영상과 상기 결과 데이터를 표시하되, 어느 하나의 영역에 로드된 치과 영상과 매칭된 도형 정보를 표시하고, 다른 하나의 영역에 인식된 영역에 대응하는 해부학적 식별 번호와 진단명을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되,
상기 표시부는, 상기 치과 영상 중 선택된 영역에 매칭된 도형 정보로서 마커를 표시하며,
상기 제1입력은, 상기 해부학적 식별 번호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개의 제1서브 아이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입력은, 상기 복수 개의 진단명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개의 제2서브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
Diagnostic information including an anatomical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anatomical structure and a plurality of diagnosis names, and a resultant data for the dental image;
A first input including a selection of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anatomical structure of the dental image, a second input including a selection of a diagnosis nam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region, and a second input including a point, An input for receiving a third input for matching information, the third input being supported via a predetermined user interface, the input including a drawing of the graphic information matched to the selected area;
A dental image stored in the storage unit is loaded,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anatomical structure of the loaded dental image is recognized based on the first input, an anatomical identification number is matched with the recognized area, By matching the diagnosis name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area and matching the selected figure information to the recognized area based on the third input,
Generating result data to be used as learning data for machine learning, wherein the resultant data includes diagnostic information including a recognized region of the dental image, an anatomical identification number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region, and a matched diagnosis name A processing unit including matched geometry information; And
Displaying the loaded dental image and the result data, displaying figure information matched with a loaded dental image in one area, displaying an anatomical identification number and a diagnosis name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area in another area ;
, ≪ / RTI &
Wherein the display unit displays markers as figure information matched to a selected area of the dental image,
Wherein the first input comprises a plurality of first sub icons each corresponding to the anatomical identification number,
Wherein the second input comprises a plurality of second sub-icons each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diagnostics names.
상기 처리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입력부로 수신된 제2입력 중 진단명이 선택되는 횟수를 카운트하여 선택된 진단명에 대하여 카운트된 횟수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cessing unit counts the number of times the diagnosis name is selected from the second input received from the user to the input unit and stores the counted number of times for the selected diagnosis name in the storage unit.
상기 처리부는, 선택된 진단명에 대하여 카운트된 횟수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진단명들의 우선 순위를 설정하고,
상기 표시부는,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나열된 복수 개의 진단명들을 더 표시하는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rocessing unit sets the priority of the plurality of diagnosis names according to the counted number of times for the selected diagnosis name,
Wherein the display unit further displays a plurality of diagnosis names listed in accordance with the set priorities.
상기 처리부는, 결과 데이터를 생성한 횟수를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결과 데이터를 생성한 횟수 및 결과 데이터를 생성한 시간에 기초하여 시간에 따른 결과 데이터를 생성한 횟수에 대한 패턴을 생성하는 치과 영상 판독을 위한 데이터 생성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ing unit counts the number of times of generating the result data, reads out the dental image that generates a pattern of the number of times the result data is generated over time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of generating the counted result data and the time of generating the result data A data generation system for a computer.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7618A KR101839784B1 (en) | 2017-08-01 | 2017-08-01 | System generating data for interpretating dental image |
PCT/KR2018/008260 WO2019027166A1 (en) | 2017-08-01 | 2018-07-23 | Data generation system for reading dental image and read data generation system for dental ima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7618A KR101839784B1 (en) | 2017-08-01 | 2017-08-01 | System generating data for interpretating dental imag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39784B1 true KR101839784B1 (en) | 2018-03-19 |
Family
ID=61911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97618A Active KR101839784B1 (en) | 2017-08-01 | 2017-08-01 | System generating data for interpretating dental imag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39784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75622A (en) | 2018-12-18 | 2020-06-26 | (주)제노레이 |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aring Medical Image Data And Treatment Data |
KR20200075621A (en) | 2018-12-18 | 2020-06-26 | (주)제노레이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Medical Image Data And Treatment Data |
KR102496565B1 (en) * | 2022-01-12 | 2023-02-06 | 주식회사 인비전랩 |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oral health analysis service based on remote reading of oral images including cone beam ct |
US12102464B2 (en) | 2020-01-23 | 2024-10-01 | Korea University Research And Business Foundation | Bone age estimation method and apparatus |
-
2017
- 2017-08-01 KR KR1020170097618A patent/KR101839784B1/en active Active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75622A (en) | 2018-12-18 | 2020-06-26 | (주)제노레이 |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aring Medical Image Data And Treatment Data |
KR20200075621A (en) | 2018-12-18 | 2020-06-26 | (주)제노레이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Medical Image Data And Treatment Data |
US12102464B2 (en) | 2020-01-23 | 2024-10-01 | Korea University Research And Business Foundation | Bone age estimation method and apparatus |
KR102496565B1 (en) * | 2022-01-12 | 2023-02-06 | 주식회사 인비전랩 |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oral health analysis service based on remote reading of oral images including cone beam c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39789B1 (en) | System for generating interpretation data of dental image | |
Mangano et al. |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ugmented reality for guided implant surgery planning: a proof of concept | |
JP7254025B2 (en) | dynamic arch map | |
US8371849B2 (en) | Method and system of anatomy modeling for dental implant treatment planning | |
US10485614B2 (en) | Augmented reality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ugmented reality for dental surgery | |
KR101839784B1 (en) | System generating data for interpretating dental image | |
JP6099310B2 (en) | Automatic dental chart creation method using digital images | |
US20200081413A1 (en) |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orthodontic appliance | |
EP3998037B1 (en) | Implant surgery planning method using automatic placement of implant structure, user interface providing method therefor, and teeth image processing device therefor | |
EP2918229A1 (en) | Implant image creating method and implant image creating system | |
AU2015245927A1 (en) | Dental implant guide formation system | |
KR102322518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urgical report using a user-customized template | |
KR20210008220A (en) | Method for displaying multi-bone density for dental implant planning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ereof | |
KR102473722B1 (en) | Method for providing section image of tooth and den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erefor | |
US20160374785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al Visualization and Dental or Operational Planning | |
KR102314891B1 (en) | Implant surgery guide desig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creen using the same | |
JP7152738B2 (en) |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 |
CN114445561A (en) | A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isplaying and updating interactive dental three-dimensional images | |
US20230071852A1 (en) |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
US8447378B2 (en) | System and method of capturing images | |
KR102633824B1 (en) | Dental imag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
EP2368498A1 (en) | Method for deriving shape information of a person's dentition | |
KR102367197B1 (en) | Method for providing dentistry image and dentistry image processing device therefor | |
KR102474298B1 (en) | Method for designing prosthetic model and apparatus thereof | |
KR20200118327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signing implant surgery guide using drilling simul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708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0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8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712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8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12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10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2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8021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12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10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3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3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