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5085B1 - Smart home network system - Google Patents
Smart home network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35085B1 KR101835085B1 KR1020170168139A KR20170168139A KR101835085B1 KR 101835085 B1 KR101835085 B1 KR 101835085B1 KR 1020170168139 A KR1020170168139 A KR 1020170168139A KR 20170168139 A KR20170168139 A KR 20170168139A KR 101835085 B1 KR101835085 B1 KR 1018350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home
- portable terminal
- terminal
- contro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0—Current supply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 H04M1/7253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주택에 설치되어 홈 네트워크가 가능한 잠금장치, 조명장치, 난방장치, 전기설비, IOT 기기 등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며, 생활에 편리한 다양한 부가 기능을 탑재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는데 있다.
일례로, 홈 시스템 기기와 각각 연결된 홈 스위치 단말; 및 휴대단말에 설치되어 상기 홈 스위치 단말을 원격 제어하고, 상기 홈 시스템 기기의 상태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홈 스위치 단말은, 상기 홈 시스템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제어부; 실내환경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실내환경상태 감지부; 무선공유기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과 연결되고,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상기 홈 시스템 기기의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시스템 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홈 스위치 단말 간을 상호 연결하는 공유기 브리지부; 상기 휴대단말과 연결되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음원 데이터를 수신하는 근거리무선통신부; 상기 홈 시스템 기기의 제어를 위한 음성제어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시스템 제어부로 전달하는 음성 인식부; 및 상기 홈 시스템 기기의 제어상태 데이터, 상기 실내환경상태 데이터, 및 상기 음원 데이터를 각각 출력하는 정보 출력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시한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home network system, and a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home network system in which a lock device, a lighting device, a heating device, an electric appliance, an IOT device, It is equipped with additional functions to enhance user's convenience.
For example, a home switch terminal connected to a home system device; And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home-switch terminal and for checking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home-system appliance, wherein the home-switch terminal comprises: a system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home-system appliance; An indoor environmental condition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n indoor environmental condition; A router bridge unit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a wireless router, receiving a remote control signal of the home system unit from the portable terminal, transmitting the remote control signal to the system controller, and interconnecting the home switch terminals;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to activate the application and receive sound source data from the portable terminal; A voice recognition unit for receiving a voice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home system device and transmitting the voice control command to the system control unit; And an informatio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control state data, the indoor environment state data, and the sound source data of the home system unit, respectively.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마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home network system.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댁 내에 설치된 각종 홈 디바이스(device)들을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함으로써 홈 디바이스들 간의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발전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홈 디바이스들을 홈 게이트웨이(Home Gateway: HGW 또는 H-GW)를 통해 통합하여 외부의 공용 데이터 네트워크, 일 예로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네트워크(즉 인터넷)로 연결함으로써 인터넷과 연계된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홈 디바이스들을 제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The home network system refers to a system that enables communication between home devices by connecting various home devices installed in the home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The developed home network system integrates home devices through a home gateway (HGW or H-GW) and connects to an external public data network, for example,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Provide more connected services. In such a home network system, the home devices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a request of a user to provide a desired service.
최근 홈 디바이스들의 종류가 점차 다양해지고 이에 대한 사용자 요구 또한 점차 다양해짐에 따라, 다양한 사용자 요구를 수용하여 최선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을 필요하다.Recently, as the types of home devices have been variously diversified and users' demands have been variously diversified, efforts to provide the best services by accommodating various user needs are needed.
본 발명의 실시예는, 주택에 설치되어 홈 네트워크가 가능한 잠금장치, 조명장치, 난방장치, 전기설비, IOT 기기 등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며, 생활에 편리한 다양한 부가 기능을 탑재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스마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tegrally controls a lock device, a lighting device, a heating device, an electric appliance, and an IOT device installed in a house and capable of a home network, and various convenience functions convenient for the user are installed, And provides a smart home network system that can be us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홈 시스템 기기와 각각 연결된 홈 스위치 단말; 및 휴대단말에 설치되어 상기 홈 스위치 단말을 원격 제어하고, 상기 홈 시스템 기기의 상태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홈 스위치 단말은, 상기 홈 시스템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제어부; 실내환경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실내환경상태 감지부; 무선공유기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과 연결되고,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상기 홈 시스템 기기의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시스템 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홈 스위치 단말 간을 상호 연결하는 공유기 브리지부; 상기 휴대단말과 연결되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음원 데이터를 수신하는 근거리무선통신부; 상기 홈 시스템 기기의 제어를 위한 음성제어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시스템 제어부로 전달하는 음성 인식부; 및 상기 홈 시스템 기기의 제어상태 데이터, 상기 실내환경상태 데이터, 및 상기 음원 데이터를 각각 출력하는 정보 출력부를 포함한다.A smart hom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me switch terminal connected to a home system device; And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home-switch terminal and for checking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home-system appliance, wherein the home-switch terminal comprises: a system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home-system appliance; An indoor environmental condition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n indoor environmental condition; A router bridge unit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a wireless router, receiving a remote control signal of the home system unit from the portable terminal, transmitting the remote control signal to the system controller, and interconnecting the home switch terminals;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to activate the application and receive sound source data from the portable terminal; A voice recognition unit for receiving a voice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home system device and transmitting the voice control command to the system control unit; And an informatio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control state data, the indoor environment state data, and the sound source data of the home system unit, respectively.
또한, 각각의 주택으로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홈 시스템 기기로 공급하기 위한 SMPS(Switched Mode Power Supply)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ystem may further include an SMPS (Switched Mode Power Supply) for converting AC power supplied to each house into DC power and supplying the DC power to the home system.
또한, 상기 홈 스위치 단말과 각각 연결된 클라우드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성 인식부는 외부환경상태 및 인터넷 검색 키워드에 대한 음성검색명령을 더 입력 받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음성검색명령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홈 스위치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The voice recognition unit may further receive a voice search command for an external environment condition and an Internet search keyword, and the cloud server may search for information on the voice search command To the home switch terminal.
또한, 상기 홈 시스템 기기는 도어락, 도어폰, 조명기기, 난방기기 및 IOT 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home system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oor lock, a door phone, a lighting device, a heating device, and an IOT device.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시스템 제어부를 원격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 인터페이스부; 상기 원격제어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된 조작 제어 값을 상기 휴대단말의 무선인터넷통신을 통해 상기 홈 스위치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원격무선데이터 처리부; 상기 원격제어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홈 시스템 기기에 대한 조작 제어 값을 미리 설정하기 위한 제어 값 설정부; 및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근거리무선통신부에 태깅되는 경우 상기 근거리무선통신부로부터 상기 휴대단말을 통해 활성화 명령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활성화 명령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조작 제어 값을 상기 근거리무선통신부로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근거리무선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may further include: a remote control interface unit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system control unit; A remote wireless data process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operation control value input through the remote control interface unit to the home switch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 control value setting unit for presetting an operation control value for the home system device through the remote control interface unit;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an activation command signal from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tagged in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activating the application in response to the received activation command signal, And a local wireless data processing unit for selectively transmitting the local wireless data to the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unit.
또한, 상기 홈 스위치 단말은, 상기 시스템 제어부의 조작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버튼 조작부; 상기 홈 시스템 기기의 제어상태 데이터 및 상기 실내환경상태 데이터를 출력하고, 터치 방식으로 상기 시스템 제어부의 조작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월 패드; 및 상기 월 패드를 탈착 가능하게 거치하기 위한 패드 거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ome switch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button operation unit for receiving an operation command of the system control unit; A wall pad for outputting control state data of the home system equipment and the indoor environment state data and for receiving an operation command of the system control unit in a touch manner; And a pad mount for detachably mounting the wall pad.
또한, 상기 패드 거치부는, 상기 월 패드가 상기 패드 거치부로부터 분리되어 형성되는 공간 내에 상기 휴대단말을 거치하도록 형성되되, 상부와 하부에 상기 휴대단말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가드가 각각 형성된 단말 거치부; 상기 단말 거치부의 바닥면에 상기 월 패드 및 상기 휴대단말의 유선충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유선 충전부; 및 상기 단말 거치부의 후면에 상기 휴대단말의 무선충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무선 충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ad mounting portion may be formed in a space formed by separating the wall pad from the pad mounting portion. The pad mounting portion may include a terminal mounting portion having upper and lower guards for preventing detach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part; A wire charging unit install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terminal mounting unit so as to enable wire charging of the wall pad and the portable terminal; And a wireless charging unit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station unit to wirelessly charge the portable terminal.
또한, 상기 월 패드는, 상기 패드 거치부로부터의 탈착을 인식하고, 상기 패드 거치부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공유기 브리지부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과 연결되어 상기 휴대단말에 대한 화면공유 및 원격제어 기능을 자동 실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ll pad recognizes the attachment / detachment from the pad mounting portion, and when disconnected from the pad mounting portion, the wall pad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router bridge portion to automatically perform screen sharing and remote control functions for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executed.
본 발명에 따르면, 주택에 설치되어 홈 네트워크가 가능한 잠금장치, 조명장치, 난방장치, 전기설비, IOT 기기 등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며, 생활에 편리한 다양한 부가 기능을 탑재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스마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tegrally control a lock device, a lighting device, a heating device, an electric appliance, an IOT device, etc. installed in a house and capable of a home network, A smart home network system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 내지 제4 타입 별로 구현된 홈 스위치 단말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4 타입의 홈 스위치 단말에 대한 휴대단말의 충전 및 월 패드의 화면공유제어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smart hom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hom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and FIG. 4 are views showing an appearance of a home switch terminal implemented for each of the first to fourth typ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charging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nd a screen sharing control method of a wall pad for a fourth type home switch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Also, in certain cases, there may be a term selected arbitrarily by the applicant, in which case the meaning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not on the name of a simple term, but on the entir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an elem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the terms "part," " module, "and the lik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units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개요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 내지 제4 타입 별로 구현된 홈 스위치 단말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4 타입의 홈 스위치 단말에 대한 휴대단말의 충전 및 월 패드의 화면공유제어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hom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 and 4 are diagrams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mart hom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are views illustrating an appearance of a home switch terminal implemented by the first to fourth typ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reen sharing control method of the wall pad.
도 1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네트워크 시스템(1000)은 홈 스위치 단말(100)과 어플리케이션(200)을 포함하며, 더불어 SMPS(Switched Mode Power Supply)(300)과 클라우드 서버(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1 to 7, a smart
상기 홈 스위치 단말(100)은, 다양한 홈 시스템 기기(50) 및 무선공유기(20)와 연결될 수 있고, 주택 내 다수의 방 중 적어도 하나의 방에 설치될 수 있으며, 각 방마다 설치되는 경우 각각의 홈 스위치 단말(100) 간은 블루투스(Bluetooth)나 와이파이(Wi-Fi)와 같은 무선통신을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홈 스위치 단말(100)은 주택 내 벽면에 매립된 형태로 설치되어 사용자가 이동 간에 쉽게 조작하고 다양한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다. The
이하, 본 실시예의 홈 스위치 단말(100)이 다수 개로 이루어지는 경우, 그 중 하나를 메인 홈 스위치 단말(100a)로 정의하고, 나머지 단말들을 서브 홈 스위치 단말(100b)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메인 홈 스위치 단말(100a)과 서브 홈 스위치 단말(100b)은 기본적인 구성에 대한 차이는 없으나, 메인 홈 스위치 단말(100a)이 다수의 홈 스위치 단말(100) 중 어플리케이션(200), 클라우드 서버(400), 무선공유기(20)와의 최초 연결되는 단말로서 역할을 하고, 메인 홈 스위치 단말(100a)의 조작에 따라 서브 홈 스위치 단말(100b)이 제어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휴대단말(10)의 충전 및 휴대단말(10)과의 화면공유(screen sharing) 및 원격제어(remote control)(이하, 화면공유제어라고 함) 기능을 위한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추가된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Hereinafter,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상기 홈 스위치 단말(100)은 시스템 제어부(110), 실내환경상태 감지부(120), 공유기 브리지부(130), 근거리무선통신부(130), 음성 인식부(150) 및 정보 출력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시스템 제어부(110)는, 홈 시스템 기기(50)의 다양한 기능을 조작하고 설정하는 등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홈 시스템 기기(50)는 아파트 건물의 공동 현관에 설치된 도어락(51)과 도어폰(52), 주택 현관에 설치된 도어락(51)과 도어폰(52), 주택 내 설치되는 각종 조명기기(53), 난방기기(54), IOT 기기(55)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구성만으로 홈 시스템 기기(50)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홈 시스템과 관련된 좀 더 다양한 기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조작 수단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후술하는 음성 인식부(150), 버튼 조작부(170) 및 월 패드(180)와 같은 별도의 조작 수단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한편, 홈 스위치 단말(100)뿐만 아니라 홈 시스템 기기(50) 중 직류전원을 필요로 하는 기기의 경우 SMPS(Switched Mode Power Supply)(300)를 통해 세대 분전함(30)으로부터 출력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제공 받을 수 있으며, 직류전원을 필요로 하는 일례로는 LED 조명기기를 들 수 있다. 다만, 교류전류를 필요로 하는 홈 시스템 기기(50)의 경우 콘센트(40) 등을 통해 기존과 동일한 방식으로 교류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상기 실내환경상태 감지부(120)는 실내환경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실내환경상태는 실내온도, 실내습도, 실내 CO2 농도, 실내 미세먼지 농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내환경상태를 각각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가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감지센서들이 실내환경상태를 감지하면 해당 감지 데이터를 시스템 제어부(110)로 전달하여 시스템 제어부(110)를 통해 실내온도, 실내습도, 실내 CO2 농도, 실내 미세먼지 농도 등을 적정 수준으로 조절하기 위해 홈 시스템 기기(50)를 자동 제어할 수 있으며, 이는 시스템 제어부(110)의 자동 운전 모드 시 가능하며, 수동 운전 모드 시에는 사용자가 시스템 제어부(110)를 직접 컨트롤하거나, 음성 인식부(150), 버튼 조작부(170) 및 월 패드(180)와 같은 별도의 조작 수단을 통해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The indoor environmental
한편, 시스템 제어부(110)에 의해 실내 CO2 농도, 실내 미세먼지 농도 등을 적정 수준으로 조절하기 위한 기기는 공기청정기능을 수행하는 IOT 기기(55)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apparatus for adjusting the indoor CO 2 concentration, the indoor fine dust concentration, and the like to an appropriate level by the
상기 공유기 브리지부(130)는, 무선공유기(20)를 통해 휴대단말(10) 및 클라우드 서버(400)와 연결될 수 있고, 휴대단말(10)로부터 홈 시스템 기기(50)의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시스템 제어부(110)로 전달하며, 홈 스위치 단말 즉 메인 홈 스위치 단말(100a)과 서브 홈 스위치 단말(100b) 사이, 그리고 서브 홈 스위치 단말(100b) 사이를 상호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공유기 브리지부(130)는 주택 내에서 무선인터넷신호를 증폭시켜 무선인터넷신호에 대한 음영지역을 해결할 수 있다. The
상기 근거리무선통신부(130)는 휴대단말(10)과 무선 연결되어 어플리케이션(200)을 자동으로 활성화시키고, 휴대단말(10)로부터 음원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무선통신부(13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과 같은 대략 10m 이내의 가까운 거리에서 무선 데이터를 주고 받는 제1 통신모듈과, 블루투스(Bluetooth) 등 대략 10m 이내의 비교적 먼 거리에서 무선 데이터를 주고 받는 제2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hort range
이러한 근거리무선통신부(130)의 제1 통신모듈은 휴대단말(10)이 일정 거리(대략 10cm 이내)로 접근하거나 태깅하는 경우, 휴대단말(10)로 활성화 명령신호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휴대단말(10)의 어플리케이션(200)으로부터 조작 제어 값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어플리케이션(200)의 조작 제어 값은 어플리케이션(200)의 설정 즉, 자동 설정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활성화 응답으로서 선택적으로 제공 받을 수 있다.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of the short range
그리고, 근거리무선통신부(130)의 제2 통신모듈은 휴대단말(10)에 블루투스(Bluetooth)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휴대단말(10)과 연결되어, 휴대단말(10)로부터 음원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근거리무선통신부(130)를 통해 수신되는 음원 데이터는 정보 출력부(160)로 전달될 수 있다.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of the short-distance
상기 음성 인식부(150)는 홈 시스템 기기(50)의 제어를 위한 음성제어명령을 입력받아 시스템 제어부(11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음성 인식부(150)는 사람의 음성과 언어를 인식할 수 있는 인공지능모듈이 탑재된 구성으로, 예를 들어 "불꺼", "불켜", "온도내려", "온도올려" 등 시스템 제어부(110)의 제어를 위한 음성제어명령을 입력받아 해당 명령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The
또한, 음성 인식부(150)는, "오늘 날씨는 어때", "xx 노래 들려죠" 등 외부환경상태 및 음원과 관련된 인터넷 검색 키워드에 대한 음성제어명령을 입력받아 해당 명령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제어신호는 시스템 제어부(110)로 전달되어 홈 시스템 기기(50)를 제어하거나, 클라우드 서버(400)로 전송되어 해당 명령에 상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제공 받을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한편, 음성 인식부(150)는 "습도올려", "습도내려", "티비켜", "티비꺼" 등 IOT 기기(55)의 제어를 위한 음성제어명령을 입력받아 시스템 제어부(110)로 전달되어 해당 명령에 따른 IOT 기기(55)의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정보 출력부(160)는 홈 시스템 기기(55)의 제어상태 데이터, 실내환경상태 데이터, 및 음원 데이터를 각각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정보 출력부는 디스플레이 패널(161)과 스피커(16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61)은 시스템 제어부(110)로부터 홈 시스템 기기(50)의 각종 제어상태와 실내환경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각각 수신하여 해당 패널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타입의 홈 스위치 단말(100A)의 경우 제어용 다이얼 버튼 상에 온도, 습도, CO2 농도, 미세먼지 농도 등의 각종 정보가 표시될 수 있으며, 제2 타입의 홈 스위치 단말(100B)의 경우 상단 부분에 설치되어 각종 정보가 한번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제3 타입의 홈 스위치 단말(100C)의 경우 재어용 다이얼 버튼과는 별도로 상단 부분에 패드가 매립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상기 스피커(162)는 근거리무선통신부(140) 및 음성 인식부(150)와 연동하여 근거리무선통신부(140)를 통해 수신되는 음원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음성 인식부(150)를 통해 처리된 음성제어명령에 대한 음성응답메시지나 음원 데이터 등을 출력할 수 있다.The
상기 어플리케이션(200)는 휴대단말(10)에 설치되어 홈 스위치 단말(100)을 원격 제어하고, 홈 시스템 기기(50)의 제어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200)은 무선인터넷을 통해 홈 스위치 단말(100)과 연결되어 홈 스위치 단말(100)을 통해 홈 시스템 기기(50)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으며, 그 제어정보와 함께 홈 시스템 기기(50)에 상태정보를 원격에서 실시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어플리케이션(200)은 원격제어 인터페이스부(210), 원격무선데이터 처리부(220), 제어 값 설정부(230) 및 근거리무선데이터 처리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원격제어 인터페이스부(210)는 시스템 제어부(110)를 원격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원격제어 인터페이스부(210)는 홈 시스템 기기(50)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습도, CO2 농도, 미세먼지 농도뿐만 아니라, 조명기기(53), 난방기기(54), IOT 기기(55) 등을 각각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remote
상기 원격무선데이터 처리부(220)는 원격제어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입력된 조작 제어 값을 휴대단말(10)의 무선인터넷통신을 통해 홈 스위치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조작 제어 값은 도어락(51), 도어폰(52), 조명기기(53), 난방기기(54), IOT 기기(55) 등의 홈 시스템 기기(50)를 원격으로 각각 제어하기 위해 원격제어 인터페이스부(210)의 입력 값을 의미할 수 있다. The remote wireless
상기 제어 값 설정부(230)는 원격제어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홈 시스템 기기(50)에 대한 조작 제어 값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값 설정부(230)는 홈 시스템 기기(50)를 실시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사용자가 해당 주택으로 들어가 휴대단말(10)을 홈 스위치 단말(100)에 태깅했을 때 전달되는 조작 제어 값을 사전에 설정하여 저장해 놓기 위한 수단이다. 즉, 제어 값 설정부(230)를 통해 설정된 제어 값들은 홈 스위치 단말(100)을 통해 홈 시스템 기기(50)에 바로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휴대단말(10)과 홈 스위치 단말(100)이 NFC 또는 RFID와 같은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상호 연결 시 휴대단말(10)에서 홈 스위치 단말(100)로 전송되어 적용될 수 있다. The control
다만, 제어 값 설정부(230)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 온/오프가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 휴대단말(10)을 홈 스위치 단말(100)에 태깅할 때 설정된 조작 제어 값이 적용되도록 전송되나, 사용 설정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 휴대단말(10)을 홈 스위치 단말(100)에 태깅하더라도 해당 조작 제어 값은 전송되지 않으며, 근거리무선데이터 처리부(240)에 따라 어플리케이션(200)만 활성화될 수 있다.The control
상기 근거리무선데이터 처리부(240)는 휴대단말(10)이 근거리무선통신부(140)에 태깅되는 경우 근거리무선통신부(140)로부터 휴대단말(10)을 통해 활성화 명령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활성화 명령신호에 응답하여 어플리케이션(200)을 활성화시키고, 휴대단말(10)로부터 수신되는 조작 제어 값을 근거리무선통신부(140)로 선택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선택적으로 전송한다는 의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 값 설정부(230)의 사용 설정 상태에 따라 미리 설정해 놓은 조작 제어 값을 전송하거나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e short range
상기 SMPS(Switched Mode Power Supply)(300)는 각각의 주택으로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홈 시스템 기기(50)로 공급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SMPS(Switched Mode Power Supply)(300)는 세대 분전함(30)으로부터 출력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제공 받을 수 있으며, 직류전원을 필요로 하는 LED 조명기기 등에는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교류전류를 필요로 하는 홈 시스템 기기(50)의 경우 콘센트(40) 등을 통해 기존과 동일한 방식으로 교류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다. The SMPS (Switched Mode Power Supply) 300 converts AC power supplied to each house into DC power and supplies the DC power to the
본 실시예에 따른 홈 스위치 단말(100D)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제4 타입과 같이 구현되는 경우, 버튼 조작부(170), 월 패드(180) 및 패드 거치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제4 타입의 홈 스위치 단말(100D)은 기본적으로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101)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중앙부분에 버튼 조작부(170), 상부에 하우징(101)과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월 패드(180), 및 월 패드(180)를 거치하기 위한 패드 거치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4 타입의 홈 스위치 단말(100D)의 하부에는 스피커(162)가 설치될 수 있다.The fourth type of
상기 버튼 조작부(170)는 시스템 제어부(110)의 조작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터치 버튼 및 다이얼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월 패드(180)는 홈 스위치 단말(100D)와 유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되고, 패드 거치부(190)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거치되는 경우 기존의 월 패드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61)과 같이 홈 시스템 기기(50)의 제어상태 데이터 및 실내환경상태 데이터를 출력하고, 터치 방식으로 시스템 제어부(110)의 조작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The
또한, 월 패드(180)는 패드 거치부(19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사용자 선택에 따라 홈 스위치 단말(100D)과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사용자 선택에 따라 휴대단말(10)과 연결되어 화면공유제어 기능이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좀 더 구체적으로, 월 패드(180)는 패드 거치부(190)로부터의 탈착을 인식할 수 있으며, 패드 거치부(19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이를 인식하여 공유기 브리지부(130)를 통해 휴대단말(10)과 연결되고, 휴대단말(10)에 대한 화면공유 및 원격제어 기능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휴대단말(10)은 패드 거치부(190)에 거치되면서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때 사용자가 휴대단말(10)을 사용하기가 불편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월 패드(180)를 통해 휴대단말(10)의 화면공유와 원격제어를 통하여 휴대단말(10)을 직접적으로 조작하지 않더라도 원격에서 휴대단말(10)을 간접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한편, 월 패드(180)는 홈 스위치 단말(100D)의 패드 거치부(190)에 거치되는 경우 이를 인식하여 화면공유와 원격제어 기능을 종료하고, 다시 원래의 기능으로 동작하도록 복귀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상기 월 패드(180)가 패드 거치부(190)로의 탈착을 인식하는 방법은 유선 충전부(192)와의 결합 여부로 인식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탈착 인식 방법을 상기와 같은 자동 인식 방법으로만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홈 스위치 단말(100D)에 별도의 스위치를 구성하여 해당 스위치를 눌렀을 때 탈착 여부가 각각 인식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method of recognizing the detachment of the
상기 패드 거치부(190)는 월 패드(180)를 탈착 가능하게 거치하기 위해 홈 스위치 단말(100D)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패드 거치부(19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거치부(191), 유선 충전부(192) 및 무선 충전부(19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단말 거치부(191)는 월 패드(180)가 패드 거치부(190)로부터 분리되어 형성되는 공간 내에 휴대단말(10)을 거치하도록 형성되되, 그 상부와 하부에 휴대단말(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가드(191a, 191b)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단말 거치부(191)는 패드 거치부(190)에서 월 패드(180)를 제거하여 마련된 공간으로 기본 구성되며, 해당 공간의 전방에 형성되는 개방부를 통해 휴대단말(10)이 홈 스위치 단말(1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양측을 가로지르는 띠 모양의 상, 하부 가드(191a, 191b)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유선 충전부(192)는 단말 거치부(191)의 바닥면에 월 패드(180) 및 휴대단말(10)의 유선충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다양한 충전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충전단자는 월 패드(180) 및 휴대단말(10)의 충전단자에 맞는 충전핀을 제공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USB-C 타입의 5핀과 8핀을 모두 지원하거나 각각 지원하는 충전핀이 설치될 수 있다. 개별 충전핀으로 구현되는 경우 각각의 충전단자가 단말 거치부(191)의 바닥면으로부터 인출이 자유롭도록 구성되어 상황에 따라 적합한 충전단자를 꺼내어 사용할 수 있다.The wired charging unit 192 may b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상기 무선 충전부(193)는 단말 거치부(191)의 후면 또는 벽면에 휴대단말(10)의 무선충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이를 위해 무선송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충전부(193)는 무선 충전을 지원하는 휴대단말(10)의 경우 사용 가능하며, 단말 거치부(191)에 거치되어 있는 동안 휴대단말(10)을 무선 충전시킬 수 있다.The
상기 클라우드 서버(400)은 인터넷통신을 통해 홈 스위치 단말(100)과 연결되어, 홈 스위치 단말(100)의 음성 인식부(15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검색명령을 입력 받고, 그에 따른 적합한 정보를 검색하여 검색된 해당 정보를 다시 홈 스위치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The
상기 클라우드 서버(400)는 IOT 서버(500)와 연결되어, 홈 시스템 기기(50) 중 IOT 기기(55)와 통신하여 IOT 관리를 위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중계할 수 있다. The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can be applied to a smart hom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00: 홈 네트워크 시스템 100: 홈 스위치 단말
101: 하우징 110: 시스템 제어부
120: 실내환경상태 감지부 130: 공유기 브리지부
140: 근거리무선통신부 150: 음성 인식부
160: 정보 출력부 161: 디스플레이 패널
162: 스피커 170: 버튼 조작부
180: 월 패드 190: 패드 거치부
191: 단말 거치부 192: 유선 충전부
193: 무선 충전부 200: 어플리케이션
210: 원격제어 인터페이스부 220: 원격무선데이터 처리부
230: 제어 값 설정부 240: 근거리무선데이터 처리부
300: SMPS 400: 클라우드 서버
10: 휴대단말 20: 무선공유기
30: 세대 분전함 40: 콘센트
50: 홈 시스템 기기 51: 도어락
52: 도어폰 53: 조명기기
54: 난방기기 55: IOT 기기1000: Home network system 100: Home switch terminal
101: housing 110: system controller
120: Indoor environment condition sensing unit 130: Router bridge unit
140: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0: voice recognition unit
160: Information output unit 161: Display panel
162: speaker 170: button operation section
180: Wall pad 190: Pad mounting part
191: terminal station unit 192: wire-
193: Wireless charging unit 200: Application
210: remote control interface unit 220: remote wireless data processing unit
230: Control value setting unit 240: Near field wireless data processing unit
300: SMPS 400: Cloud server
10: mobile terminal 20: wireless router
30: Generation distribution box 40: Outlet
50: Home system appliance 51: Door lock
52: Door phone 53: Lighting device
54: Heating device 55: IOT device
Claims (8)
휴대단말에 설치되어 상기 홈 스위치 단말을 원격 제어하고, 상기 홈 시스템 기기의 상태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홈 스위치 단말은,
상기 홈 시스템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제어부;
실내환경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실내환경상태 감지부;
무선공유기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과 연결되고,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상기 홈 시스템 기기의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시스템 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홈 스위치 단말 간을 상호 연결하는 공유기 브리지부;
상기 휴대단말과 연결되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음원 데이터를 수신하는 근거리무선통신부;
상기 홈 시스템 기기의 제어를 위한 음성제어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시스템 제어부로 전달하는 음성 인식부;
상기 홈 시스템 기기의 제어상태 데이터, 상기 실내환경상태 데이터, 및 상기 음원 데이터를 각각 출력하는 정보 출력부;
상기 시스템 제어부의 조작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버튼 조작부;
상기 홈 시스템 기기의 제어상태 데이터 및 상기 실내환경상태 데이터를 출력하고, 터치 방식으로 상기 시스템 제어부의 조작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월 패드; 및
상기 월 패드를 탈착 가능하게 거치하기 위한 패드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월 패드는,
상기 패드 거치부로부터의 탈착을 인식하고, 상기 패드 거치부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되는 경우 상기 공유기 브리지부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과 연결되어 상기 휴대단말에 대한 화면공유 및 원격제어 기능을 자동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홈 네트워크 시스템.
A home switch terminal connected to the home system device and provided on a wall surface of the house; And
And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to remotely control the home switch terminal and to confirm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home system apparatus,
The home switch terminal,
A system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home system device;
An indoor environmental condition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n indoor environmental condition;
A router bridge unit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a wireless router, receiving a remote control signal of the home system unit from the portable terminal, transmitting the remote control signal to the system controller, and interconnecting the home switch terminals;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to activate the application and receive sound source data from the portable terminal;
A voice recognition unit for receiving a voice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home system device and transmitting the voice control command to the system control unit;
An informatio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control state data of the home system device, the indoor environment state data, and the sound source data, respectively;
A button operation unit for receiving an operation command of the system control unit;
A wall pad for outputting control state data of the home system equipment and the indoor environment state data and for receiving an operation command of the system control unit in a touch manner; And
And a pad mount for detachably mounting the wall pad,
The above-
Recognizes the detachment from the pad mounting portion and automatically disconnects the remote control function from the portable terminal when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router bridge portion when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pad mounting portion. A smart home network system.
각각의 주택으로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홈 시스템 기기로 공급하기 위한 SMPS(Switched Mode Power Supply)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홈 네트워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SMPS (Switched Mode Power Supply) for converting the AC power supplied to each of the houses into DC power and supplying the DC power to the home system device.
상기 홈 스위치 단말과 각각 연결된 클라우드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성 인식부는 외부환경상태 및 인터넷 검색 키워드에 대한 음성검색명령을 더 입력 받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음성검색명령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홈 스위치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홈 네트워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loud server connected to the home switch terminal,
Wherein the voice recognition unit further receives a voice search command for an external environment condition and an Internet search keyword,
Wherein the cloud server retrieves information on the voice search command and provides the information to the home switch terminal.
상기 홈 시스템 기기는 도어락, 도어폰, 조명기기, 난방기기 및 IOT 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홈 네트워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me system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of a door lock, a door phone, a lighting device, a heating device, and an IOT device.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시스템 제어부를 원격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 인터페이스부;
상기 원격제어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된 조작 제어 값을 상기 휴대단말의 무선인터넷통신을 통해 상기 홈 스위치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원격무선데이터 처리부;
상기 원격제어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홈 시스템 기기에 대한 조작 제어 값을 미리 설정하기 위한 제어 값 설정부; 및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근거리무선통신부에 태깅되는 경우 상기 근거리무선통신부로부터 상기 휴대단말을 통해 활성화 명령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활성화 명령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조작 제어 값을 상기 근거리무선통신부로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근거리무선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홈 네트워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pplication comprises:
A remote control interface unit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system control unit;
A remote wireless data process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operation control value input through the remote control interface unit to the home switch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 control value setting unit for presetting an operation control value for the home system device through the remote control interface unit; And
Wherein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tagged in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an activation command signal from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activates the application in response to the received activation command signal, And a local wireless data processing unit for selectively transmitting the local wireless data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상기 패드 거치부는,
상기 월 패드가 상기 패드 거치부로부터 분리되어 형성되는 공간 내에 상기 휴대단말을 거치하도록 형성되되, 상부와 하부에 상기 휴대단말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가드가 각각 형성된 단말 거치부;
상기 단말 거치부의 바닥면에 상기 월 패드 및 상기 휴대단말의 유선충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유선 충전부; 및
상기 단말 거치부의 후면에 상기 휴대단말의 무선충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무선 충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홈 네트워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ad mounting portion includes:
A terminal holder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obile terminal so as to prevent the mobile terminal from detaching from the mobile terminal,
A wire charging unit install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terminal mounting unit so as to enable wire charging of the wall pad and the portable terminal; And
And a wireless charging unit installed on a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mounting unit so as to wirelessly charge the portable termina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8139A KR101835085B1 (en) | 2017-12-08 | 2017-12-08 | Smart home network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8139A KR101835085B1 (en) | 2017-12-08 | 2017-12-08 | Smart home network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35085B1 true KR101835085B1 (en) | 2018-03-08 |
Family
ID=61725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68139A Expired - Fee Related KR101835085B1 (en) | 2017-12-08 | 2017-12-08 | Smart home network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35085B1 (en) |
Cited B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513004A (en) * | 2018-03-22 | 2018-09-07 | 四川斐讯信息技术有限公司 | A kind of intelligent interactive method, system and intelligent interaction wireless router |
CN108710310A (en) * | 2018-06-05 | 2018-10-26 | 南京邮电大学 | A kind of fuzzy command exchange method suitable for smart home |
CN109842538A (en) * | 2019-01-03 | 2019-06-04 | 苏州佳世达光电有限公司 | Information presentation system |
CN110045628A (en) * | 2019-05-23 | 2019-07-23 | 合肥泛米智能科技有限公司 | It is a kind of with the smart home device that can prejudge function |
CN110400400A (en) * | 2019-06-19 | 2019-11-01 | 浙江工业大学之江学院 | An intelligent access control system |
WO2019235810A1 (en) * | 2018-06-08 | 2019-12-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xtual expansion between iot devices |
CN110708805A (en) * | 2019-11-27 | 2020-01-17 | 深圳市深川科技有限公司 | Smart home hanging rod system |
KR20200137384A (en) | 2019-05-30 | 2020-12-09 | 김민수 | Button control apparatus and smart home system including it |
KR102190190B1 (en) | 2020-08-19 | 2020-12-14 | 탑이앤지 주식회사 | Integrat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 for Apartment Housing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
KR20200140595A (en) * | 2019-06-07 | 2020-12-16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Intelligent Voice Service for Lightweight IoT devices |
CN112365636A (en) * | 2020-10-30 | 2021-02-12 | 深圳坚朗海贝斯智能科技有限公司 | Intelligent lock management system based on mobile intelligent terminal and working method thereof |
WO2020123692A3 (en) * | 2018-12-11 | 2021-03-04 | Vmware, Inc | Internet of things system topology generation |
KR102226476B1 (en) | 2020-08-24 | 2021-03-11 | (주)구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 Information Communication Operation System Connected to High-Speed Internet in Apartment Houses |
US11530836B2 (en) | 2018-05-18 | 2022-12-2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102528165B1 (en) | 2022-01-19 | 2023-05-04 | (주)한동엔지니어링 | Intergrated management system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 apartment houses |
CN117895664A (en) * | 2024-01-23 | 2024-04-16 | 南京国电南思科技发展股份有限公司 | Intelligent interactive AC and DC power supply storage and charging integrated equipment |
-
2017
- 2017-12-08 KR KR1020170168139A patent/KR10183508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513004A (en) * | 2018-03-22 | 2018-09-07 | 四川斐讯信息技术有限公司 | A kind of intelligent interactive method, system and intelligent interaction wireless router |
US11530836B2 (en) | 2018-05-18 | 2022-12-2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N108710310A (en) * | 2018-06-05 | 2018-10-26 | 南京邮电大学 | A kind of fuzzy command exchange method suitable for smart home |
WO2019235810A1 (en) * | 2018-06-08 | 2019-12-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xtual expansion between iot devices |
WO2020123692A3 (en) * | 2018-12-11 | 2021-03-04 | Vmware, Inc | Internet of things system topology generation |
CN109842538B (en) * | 2019-01-03 | 2021-03-30 | 苏州佳世达光电有限公司 | Information prompting system |
CN109842538A (en) * | 2019-01-03 | 2019-06-04 | 苏州佳世达光电有限公司 | Information presentation system |
CN110045628A (en) * | 2019-05-23 | 2019-07-23 | 合肥泛米智能科技有限公司 | It is a kind of with the smart home device that can prejudge function |
KR20200137384A (en) | 2019-05-30 | 2020-12-09 | 김민수 | Button control apparatus and smart home system including it |
KR20200140595A (en) * | 2019-06-07 | 2020-12-16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Intelligent Voice Service for Lightweight IoT devices |
KR102252526B1 (en) | 2019-06-07 | 2021-05-14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Intelligent Voice Service for Lightweight IoT devices |
CN110400400A (en) * | 2019-06-19 | 2019-11-01 | 浙江工业大学之江学院 | An intelligent access control system |
CN110708805A (en) * | 2019-11-27 | 2020-01-17 | 深圳市深川科技有限公司 | Smart home hanging rod system |
KR102190190B1 (en) | 2020-08-19 | 2020-12-14 | 탑이앤지 주식회사 | Integrat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 for Apartment Housing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
KR102226476B1 (en) | 2020-08-24 | 2021-03-11 | (주)구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 Information Communication Operation System Connected to High-Speed Internet in Apartment Houses |
CN112365636A (en) * | 2020-10-30 | 2021-02-12 | 深圳坚朗海贝斯智能科技有限公司 | Intelligent lock management system based on mobile intelligent terminal and working method thereof |
KR102528165B1 (en) | 2022-01-19 | 2023-05-04 | (주)한동엔지니어링 | Intergrated management system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 apartment houses |
CN117895664A (en) * | 2024-01-23 | 2024-04-16 | 南京国电南思科技发展股份有限公司 | Intelligent interactive AC and DC power supply storage and charging integrated equipmen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35085B1 (en) | Smart home network system | |
US10943470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home device remotely in a home network system | |
EP3173888B1 (en) | Method for managing household devices | |
US20140180447A1 (en) | Smart adapter and remote control system using the same | |
US20140129006A1 (en) | Smart gateway, smart home system and smart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WO2007069241A2 (en) | Active ip control device | |
CN105137841A (en) | Remote control method and device based on intelligent socket | |
CN102736577A (en) | Power measuring apparatus and equipment control system | |
CN112425268A (en) | Sensor-based lighting system with integrated wireless signal repeater | |
CN107255933A (en) | Intelligent household control system based on network technology | |
CN101262728A (en) | Light switch used as a communication device | |
CN112866068A (en) | Intelligent interaction system, interaction terminal and control platform | |
CN104914730A (en) | Novel intelligent household operation interface automatic switch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 |
CN103118070A (en) | Automatic after-sale service system of home gateway | |
US8958788B2 (en) | Home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system, home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and wireless home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terminal | |
US20180032041A1 (en) | Automated Control System for Homes | |
JP2016100792A (en) |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in monitoring system | |
CN105511316A (en) | Controller and control system | |
KR101677144B1 (en) | Home network system utilizing the existing interphone | |
JP2006067417A (en) | Network control terminal equipment | |
CN108062026B (en) | Intelligent terminal, indoor electric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 |
JP2007235230A (en) | Intercom device | |
CN105659301A (en) | Internet-based cloud visual doorbell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 |
KR102226476B1 (en) | Information Communication Operation System Connected to High-Speed Internet in Apartment Houses | |
KR102335420B1 (en) | Hub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in home device u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4022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4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