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4190B1 - Stamp type electrocardiogram electrode assembly - Google Patents
Stamp type electrocardiogram electrode assembl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34190B1 KR101834190B1 KR1020160059428A KR20160059428A KR101834190B1 KR 101834190 B1 KR101834190 B1 KR 101834190B1 KR 1020160059428 A KR1020160059428 A KR 1020160059428A KR 20160059428 A KR20160059428 A KR 20160059428A KR 101834190 B1 KR101834190 B1 KR 1018341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tch
- patches
- adhesive
- housing
- electrode sens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51—Means for maintaining electrode contact with the body
- A61B5/257—Means for maintaining electrode contact with the body using adhesive means, e.g. adhesive pads or tapes
-
- A61B5/0408—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1—Arrangements of electrodes with cords, cables or leads, e.g. single leads or patient cord assembli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2—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using adhesiv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2—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using adhesives
- A61B5/6833—Adhesive patch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09—Special features of electrodes classified in A61B5/24, A61B5/25, A61B5/283, A61B5/291, A61B5/296, A61B5/053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12—Manufacturing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sensors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125—Manufacturing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sensors for in-vivo measur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e of electrod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16—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Details of structural supports for sens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22—Arrangements of medical sensors with cables or leads; Connectors or couplings specifically adapted for medical sensors
- A61B2562/221—Arrangements of sensors with cables or leads, e.g. cable harnes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장형 심전도 전극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장형 심전도 전극 조립체는, 심전도를 감지하는 전극센서; 상기 전극센서가 배치되는 전극배치영역과 인체의 표피에 대하여 결합력이 있는 접착성분이 도포되는 접착영역과 다른 패치와 접착력이 있는 접착성분이 도포되는 연결영역과 접착성분이 도포되지 않고 상기 연결영역과 접합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 비접착영역이 형성된 패치; 및 상기 패치를 인출가능하게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패치는, 복수로 구비되어 적층배치되고, 인출 반대방향인 후면에는 상기 연결영역이 형성되고, 인출방향인 전면에는 상기 접착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영역은, 상기 패치의 적층순서에 따라 상기 전극센서의 위치를 중심으로 어느 일측에만 교번하여 형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ated electrocardiogram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ated electrocardiogram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n electrode sensor for sensing an electrocardiogram; A connection region to which an adhesive component to which an adhesive component having a bonding force with respect to the skin of the human body is applied and a bonding region to which an adhesive component having an adhesive force with another patch are applied, A patch having a non-adhesive region formed of a bondable material; And a housing for drawably receiving the patch, wherein the plurality of patches are stacked, the patch area is formed on a rear surfa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rawing direction, and the adhesive area is formed on a front surface in a drawing direction , The connection area is alternately formed on only one side of the position of the electrode sensor in accordance with the stacking order of the patches.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장형 심전도 전극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험자의 신체에 심전도 검사를 위한 전극을 쉽게 붙일 수 있는 도장형 심전도 전극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ated electrocardiogram electrode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ated electrocardiogram electrode assembly capable of easily attaching an electrode for an electrocardiogram to a subject's body.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m)란 심장 근육의 수축 확장에 따른 활동 전류로서 외부에서 전극을 부착하여 측정하여 기록한다. 심장 근육이 수축 이완할 때 발생되는 활동 전위는 심장으로부터 온몸으로 퍼지는 전류를 일으키며 이 전류는 몸의 위치에 따라 전위차를 발생시키는데 이 전위차는 인체의 피부에 부착된 표면 전극(surface electrode)을 통해 검출하여 기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심전도는 심장의 이상 유무 확인에 이용되며, 협심증, 심근경색 및 부정맥 등 심장계 질환의 진단에 기본적인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어 매우 중요하다. Electrocardiogram (ECG) is an active current due to the contraction and expansion of cardiac muscle. The action potential, which occurs when the cardiac muscle relaxes and contracts, causes a current to flow from the heart to the body. This current generates a potential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body, which is detected through a surface electrode attached to the skin of the human body Can be recorded. These electrocardiograms are used to check for cardiac abnormalities and are very important because they are used as a basic method for diagnosing cardiac diseases such as angina pectoris, myocardial infarction and arrhythmia.
일반적으로 심전도를 측정하는 장치는 피부와 접촉하여 활동 전위를 측정하는 전극, 전원 공급부 및 상기에서 측정된 신호를 해석 및 처리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Generally, an apparatus for measuring electrocardiogram includes an electrode for measuring an action potential in contact with the skin, a power supply unit, and a controller for analyzing and processing the signal measured in the above.
심전도 측정 장치의 전극은 표면에 전해질을 포함하는지 여부에 따라 습식 및 건식 전극으로 나눌 수 있다. 건식 전극을 포함하는 장치의 경우 주로 신축성 밴드를 이용하여 가슴 부위에 착용한다. 하지만, 착용시 가슴 압박감이 있어, 장시간 착용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최초 부착시 사용자 실수에 의하여 느슨하게 부착되거나 장시간 사용으로 인해 건식 전극의 습도가 저감될 경우 신호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습식 전극의 경우 별도의 밴드를 필요로 하지 않지만 접착 성분을 사용한다.Electrocardiogram (ECG) electrodes can be divided into wet and dry electrode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y contain electrolytes on the surface. For devices containing dry electrodes, they are usually worn on the chest using elastic bands. However, there is a feeling of chest tightness when worn, and it is not suitable for wearing for a long time. In addition, the quality of the signal may be degraded if the dry electrode is loosely adhered due to a user mistake at the time of initial attachment or when the humidity of the dry electrode is reduced due to use for a long time. On the other hand, a wet electrode does not require a separate band but uses an adhesive component.
전극은 대략 10개 이상이 사용되므로, 측정자는 피 측정자의 피부에 전극을 일일이 붙이기 위해 많은 시간을 소요하게 된다. Since more than 10 electrodes are used, the measurer takes a lot of time to attach the electrodes individually to the subject's skin.
한편, 심전도 측정 장치는 선의 유무에 따라 무선 및 유선 장치로 나눌 수 있다. 무선 장치는 피부와 접촉하는 전극, 전원공급부, 컨트롤러 및 신호의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유선 장치는 주로 병원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피부와 접촉하는 전극은 와이어를 통해 전원공급부 및 컨트롤러와 연결된다.On the other hand, an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can be divided into a wireless and a wired device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wire. The wireless device includes an electrode that contacts the skin, a power supply, a controller, and a transceiver of the signal. The wired device is mainly used in hospitals. The electrode that contacts the skin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and the controller through the wire.
이중 유선 방식으로 심전도를 측정하려면, 심전도 측정장치의 외부로 와이어가 다수의 연장형성되어 측정 하고자 하는 위치에 와이어의 끝단에 형성된 표면전극을 부착하여 피 측정자로부터 심전도를 측정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심전도 측정장치의 와이어는 대략 10개 이상이 되므로, 피 측정자의 손, 발, 가 슴 등에 표면전극을 부착하여 사용함에 따라 심전도 측정중에 심전도 케이블이 엉키거나 꼬임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은, 본 발명과 유사한 구성을 포함하는 심전도 측정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은 구체적으로, 심전도 측정 장치에 있어서, 제1 면 및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이 상기 피측자의 신체에 부착되는 본체와, 각각 선정된(Predetermined)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본체의 제1 면에 설치되는 세 개 이상의 전극(Electrode) 및 상기 각각의 전극 둘레에 도포되는 도전성 겔(Gel)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을 통해 상기 피측자의 슈도 ECG(Pseudo ElectroCardioGram)신호를 입력 받는 전극부와, 및 상기 각각의 전극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의 제2 면에 설치되고, 상기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소정의 컨트롤러와 물리적 부착 및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슈도 ECG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기 위한 제1 커넥터 수단을 포함하는 심전도 측정 패치; 및 상기 심전도 측정 패치의 제1 커넥터 수단과 물리적 부착 및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슈도 ECG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커넥터 수단과, 상기 슈도 ECG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 수단과, 및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슈도 ECG 신호를 소정의 메모리 수단 또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슈도 ECG 신호 분석 장치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는 심전도 측정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전도 측정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의 경우에도 심전도 검사를 위한 준비 시간을 단축이나, 보다 패치를 검사자에게 쉽게 붙이기 어려운 문제점은 여전히 존재하였다.
In order to measure electrocardiogram in a dual-wire system, a plurality of wires are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and electrocardiogram should be measured from the subject by attaching a surface electrode formed at the end of the wire at a position to be measured. However, since the number of wires of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apparatus is more than 10,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electrocardiogram cable is entangled or twisted during the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due to the use of the surface electrodes attached to the hand, foot, and chest of the subject .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n electrocardiogram measuring apparatus including a configuration similar to tha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the techniqu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is an electrocardiogram measuring apparatus comprising a body including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the first surface being attached to the body of the subject, And a conductive gel (Gel) applied to the periphery of each of the electrodes, wherein the pseudo ECG (Pseudo ECG) of the pendulum And a second electro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respectivel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respectively, An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patch comprising first connector means for transmitting a pseudo ECG signal to the controller; Second connector means physically attach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means of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patch to receive the pseudo ECG signal; A / D converter means for converting the pseudo ECG signal to a digital signal; And a dat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pseudo ECG signal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to a pseudo ECG signal analyzer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memory unit or a wire / wireless network.
However, even in the case of the techniqu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there is still a problem that the preparation time for the electrocardiogram is shortened, but it is difficult to easily attach the patch to the examinee.
삭제delet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첫째, 접착이 용이하고 신체에 쉽게 붙일 수 있는 패치를 구비하는 스틱형 심전도 전극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Firs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ick-type electrocardiographic electrode assembly having a patch which is easy to be adhered and easily adhered to the body.
둘째, 복수의 패치와 복수의 와이어를 효율적으로 배치하여 검사 준비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심전도 전극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Seco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ocardiogram electrode assembly capable of efficiently arranging a plurality of patches and a plurality of wires to shorten the preparation tim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장형 심전도 전극 조립체는, 심전도를 감지하는 전극센서; 상기 전극센서가 배치되는 전극배치영역과 인체의 표피에 대하여 결합력이 있는 접착성분이 도포되는 접착영역과 다른 패치와 접착력이 있는 접착성분이 도포되는 연결영역과 접착성분이 도포되지 않고 상기 연결영역과 접합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 비접착영역이 형성된 패치; 및 상기 패치를 인출가능하게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패치는, 복수로 구비되어 적층배치되고, 인출 반대방향인 후면에는 상기 연결영역이 형성되고, 인출방향인 전면에는 상기 접착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영역은, 상기 패치의 적층순서에 따라 상기 전극센서의 위치를 중심으로 어느 일측에만 교번하여 형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ated electrocardiogram (ECG)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n electrode sensor for sensing electrocardiogram; A connection region to which an adhesive component to which an adhesive component having a bonding force with respect to the skin of the human body is applied and a bonding region to which an adhesive component having an adhesive force with another patch are applied, A patch having a non-adhesive region formed of a bondable material; And a housing for drawably receiving the patch, wherein the plurality of patches are stacked, the patch area is formed on a rear surfa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rawing direction, and the adhesive area is formed on a front surface in a drawing direction , The connection area is alternately formed on only one side of the position of the electrode sensor in accordance with the stacking order of the patches.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접착이 용이하고 신체에 쉽게 붙일 수 있는 패치를 구비하는 스틱형 심전도 전극 조립체를 제공한다.First, there is provided a stick-type electrocardiographic electrode assembly having a patch that is easy to adhere and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body.
둘째, 복수의 패치와 복수의 와이어를 효율적으로 배치하여 검사 준비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심전도 전극 조립체를 제공한다.Secondly, there is provided an electrocardiogram electrode assembly capable of efficiently arranging a plurality of patches and a plurality of wires to shorten the preparation tim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심전도 측정장치의 개념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심전도 측정장치의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심전도 측정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패치의 부착위치를 표현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수의 와이어들의 길이 차이를 표현한 것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7은 도6의 하우징의 측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9는 도8의 하우징의 측단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틱형 심전도 전극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11은 도10의 패치의 전면 및 후면을 표현한 것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틱형 심전도 전극 조립체의 활용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장형 심전도 전극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14는 도13의 패치의 전면 및 후면을 표현한 것이다.
도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장형 심전도 전극 조립체의 활용도이다.
도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방 착탈형 심전도 전극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17은 도16의 패치의 전면 및 후면을 표현한 것이다.
도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방 착탈형 심전도 전극 조립체의 활용도이다.
도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방 착탈형 심전도 전극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20은 도19의 패치의 전면 및 후면을 표현한 것이다.
도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방 착탈형 심전도 전극 조립체의 활용도이다.
도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우징의 분해사시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electrocardiogram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cardiogram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shows a part of an electrocardiogram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 attachment position of a pa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 length difference of a plurality of wi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using of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us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using of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ick-type electrocardiographic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of the patch of FIG.
12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use of a stick-type electrocardiographic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ated electrocardiogram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of the patch of FIG.
15 is an explanatory view of a coating type electrocardiographic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one-way detachable ECG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shows the front and rear views of the patch of FIG. 16; FIG.
18 is an explanatory view of an embodiment of a one-way detachable electrocardiogram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perspective view of a bi-directional electrocardiogram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0 shows the front and rear views of the patch of FIG. 19; FIG.
21 is an explanatory view of a bi-directional electrocardiogram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의하여 도장형 심전도 전극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 coating type electrocardiographic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심전도 측정장치의 개념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심전도 측정장치의 블록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electrocardiogram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cardiogram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 내지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심전도 측정장치는, 신체로부터 전기신호를 감지하는 전극센서(10); 전극센서(10)가 배치되는 전극배치영역(110, 210, 31a0, 410)과 인체의 표피에 대하여 결합력이 있는 접착성분이 도포되는 접착영역(120, 220, 320, 420)과 다른 패치(100, 200, 300, 400)와 접착력이 있는 접착성분이 도포되는 연결영역(230, 330, 430)과 접착성분이 도포되지 않고 연결영역(230, 330, 430)과 접합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 비접착영역(240, 340, 440)이 형성된 패치(100, 200, 300, 400); 복수의 패치(100, 200, 300, 400)들 각각과 연결되어 전극센서(10)가 측정한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와이어(50); 복수의 패치(100, 200, 300, 400)를 적층한 상태로 수용하고 복수의 와이어(50)를 수용하는 하우징(30); 복수의 와이어(50)와 연결되고 회로기판에 장착 가능하며, 하우징(30) 내부에 인출 가능하게 수용된 커넥터(60); 및 커넥터(60)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통해 심전도 신호를 계산하는 측정장치(70)를 포함한다. 1 and 2, an electrocardiogram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측정장치(70)는, 커넥터(60)로부터 전달된 전기신호를 심전도 신호로 변경하는 제어부(71); 제어부(71)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73); 및 제어부(71)에서 계산된 심전도 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부(75)를 포함한다. The measuring
전극센서(10)는 인체에 부착되어 전압을 측정한다. 전극센서(10)는 일회용 겔 타입일 수 있다. 전극센서(10)는 드라이 타입의 도체 전극일 수 있다. 전극센서(10)는 전위 센서일 수 있다. The
패치(100, 200, 300, 400)는 전극센서(10)가 부착된다. 패치(100, 200, 300, 400)는 신체에 접착된다. 패치(100, 200, 300, 400)는 전극센서(10)를 신체에 밀착시킨다.The
와이어(50)는 전극센서(10)의 신호를 전달한다. 와이어(50)의 일단에는 전극센서(10)가 연결되고 타단에는 커넥터(60)가 연결된다. 와이어(50)는 피복되어 있고, 내부에는 신호가 전달되는 도체를 내장한다. The
커넥터(60)는 외로기판에 장착가능하다. 커넥터(60)는 측정장치(70)와 연결된다. 커넥터(60)는 측정장치(70)와 분리 가능하다.The
하우징(30) 내부에는 전극센서(10)와 패치(100, 200, 300, 400)와 와이어(50)와 커넥터(60)가 수용된다. 하우징(30)은 손잡이(95)와 연결된다.The
측정장치(70)는 제어부(71)와 디스플레이부(73)와 메모리부(75)를 포함한다. 측정장치(70)는 커넥터(60)와 연결된다. The measuring
제어부(71)는 커넥터(60)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증폭하고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제어부(71)는 심전도 신호를 측정한다. 제어부(71)에서 연산된 정보는 메모리부(75)에 저장된다. The
제어부(71)는 연산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73)에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73)는 터치스크린이 구비될 수 있다. The
메모리부(75)는 제어부(71)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참조 데이터,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 등을 저장하며, 제어부(71)의 위킹 메모리로 제공된다. 패치(100, 200, 300, 4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The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심전도 측정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FIG. 3 shows a part of an electrocardiogram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체형 심전도 측정장치는, 심전도를 감지하는 전극센서(10); 전극센서(10)가 배치되는 전극배치영역(110, 210, 31a0, 410)과 인체의 표피에 대하여 결합력이 있는 접착성분이 도포되는 접착영역(120, 220, 320, 420)과 다른 패치(100, 200, 300, 400)와 접착력이 있는 접착성분이 도포되는 연결영역(230, 330, 430)과 접착성분이 도포되지 않고 연결영역(230, 330, 430)과 접합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 비접착영역(240, 340, 440)이 형성된 패치(100, 200, 300, 400); 복수의 패치(100, 200, 300, 400)들 각각과 연결되어 전극센서(10)가 측정한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와이어(50); 복수의 패치(100, 200, 300, 400)를 적층한 상태로 수용하고 복수의 와이어(50)를 수용하는 하우징(30); 및 복수의 와이어(50)와 연결되고 회로기판에 장착 가능하며, 하우징(30) 내부에 인출 가능하게 수용되고 복수의 패치(100, 200, 300, 400)들의 최하단에 배치된 커넥터(6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integrated type electrocardiograph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커넥터(60)는 하우징(30) 내부에 수용되며 복수의 적층된 패치(100, 200, 300, 400)들 하단에 배치된다. 검사자가 패치(100, 200, 300, 400)를 모두 사용하면 커넥터(60)는 하우징(30)에서 인출 가능한 상태가 된다.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체형 심전도 측정장치는, 하우징(30) 내부에 수용되어 패치(100, 200, 300, 400)의 인출방향을 향해 복원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91); 및 탄성부재(91)와 커넥터(60) 사이에 배치된 분리판(93)을 포함한다. The integrated type electrocardiograph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탄성부재(91)는 코일스프링 일 수 있다. 코일스프링은 패치(100, 200, 300, 400) 및 커넥터(60)를 인출방향을 향해 밀어낸다. The
다른 예로, 하우징(30)은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형상의 로드(rod)를 수용할 수도 있다. 로드를 회전하면 나사산으로 인해 하우징(30) 내부에서 이동한다. 검사자는 로드를 회전시켜 패치(100, 200, 300, 400)를 원하는 만큼 인출방향을 향해 밀어낼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패치의 부착위치를 표현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수의 와이어들의 길이 차이를 표현한 것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7은 도6의 하우징의 측단면도이다.4 is a view showing an attachment position of a pa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 length difference of a plurality of wi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using of Fig.
도4내지 도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간섭방지형 하우징을 구비하는 심전도 측정장치는, 심전도를 감지하는 전극센서(10); 전극센서(10)가 배치되는 전극배치영역(110, 210, 31a0, 410)과 인체의 표피에 대하여 결합력이 있는 접착성분이 도포되는 접착영역(120, 220, 320, 420)과 다른 패치(100, 200, 300, 400)와 접착력이 있는 접착성분이 도포되는 연결영역(230, 330, 430)과 접착성분이 도포되지 않고 연결영역(230, 330, 430)과 접합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 비접착영역(240, 340, 440)이 형성된 패치(100, 200, 300, 400); 패치(100, 200, 300, 400)와 연결되어 전극센서(10)가 측정한 신호를 전달하는 와이어(50); 및 패치(100, 200, 300, 400)를 수용하고, 패치(100, 200, 300, 400)와 함께 와이어(50)가 이동하도록 패치(100, 200, 300, 400)의 반경 방향에 와이어 수용부(55)가 형성된 하우징(30)을 포함한다. 4 to 7, an electrocardiogram measuring apparatus having an interference-proof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하우징(30)의 측면에는 와이어 수용부(55)가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수용부(55)는 복수의 와이어(50)를 수용한다. 복수의 와이어(50)는 와이어 수용부(55)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와이어 수용부(55)는 와이어(5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와이어 수용부(55)는 패치(100, 200, 300, 400)의 반경방향에 형성된다. A
복수의 와이어(50)는, V1과 V2사이의 거리차, V2과 V3사이의 거리차, V3과 V4사이의 거리차, V4과 V5사이의 거리차, V5과 V6사이의 거리차 이상이 되도록 길이가 각각 다르게 형성되고 커넥터(60)와 연결된 제1와이어 묶음(51)을 포함한다. The plurality of
여기서 V1은 우측 흉골단 위(제4늑간), V2는 좌측 흉골단 위(제4늑간), V3은 V2와 V4를 잇는 직선 위의 중간 지점, V4는 쇄골 중앙선 위(제5늑간), V5는 V4와 수평선상(전액와선 위) V6은 V4와 V5와 수평선상(중앙액와선 위)를 의미한다.V3 is the midpoint above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V2 and V4, V4 is the midline above the collarbone (fifth intercostal), V5 is the middle sternum of the sternum (fourth intercostal), V2 is the left sternal intercostal space V4 and the horizontal line (above the full line) V6 means V4 and V5 and the horizontal line (above the center line).
복수의 와이어(50)는 심전도 검사를 위해 패치(100, 200, 300, 400)가 부착될 위치를 고려하여 미리 길이가 정해질 수 있다. 와이어(50)의 길이는 패치(100, 200, 300, 400)의 위치가 다름을 고려하여 각각 다르게 정해질 수 있다. 모든 와이어(50), 패치(100, 200, 300, 400) 및 커넥터(60)는 하우징(30) 내에 수용되므로 와이어(50)의 부피는 최소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lurality of
복수의 와이어(50)는, V1과 RA의 거리차, V1과 RL의 거리차, V1과 LA의 거리차, V1과 LL의 거리차 이상이 되도록 길이가 각각 다르게 형성되고 커넥터(60)와 연결된 제2와이어 묶음(52)을 포함한다. The plurality of
여기서 RA는 오른쪽 빗장뼈 말단 아래 오목 지점, RL은 오른쪽 갈비뼈 말단 아래 지점, LA는 왼쪽 빗장뼈 말단 아래 오목 지점, LL은 왼쪽 갈비뼈 말단 아래 지점을 의미한다. Where RA is the concave point below the right clavicular bone, RL is the point below the right rib end, LA is the concave point below the left clavicular bone, and LL is the point below the left rib end.
패치(100, 200, 300, 400)는, 복수로 구비되어 적층배치되고, 인출 반대방향인 후면에는 연결영역(230, 330, 430)이 형성되고, 인출 방향인 전면에는 접착영역(120, 220, 320, 420)이 형성되며, 연결영역(230, 330, 430)은, 패치(100, 200, 300, 400)의 적층순서에 따라 전극센서(10)의 위치를 중심으로 어느 일측에만 교번하여 형성된다. A plurality of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9는 도8의 하우징의 측단면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us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using of Fig.
도8내지 도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간섭방지형 패치를 구비하는 심전도 측정장치는, 심전도를 감지하는 전극센서(10); 전극센서(10)가 배치되는 전극배치영역(110, 210, 31a0, 410)과 인체의 표피에 대하여 결합력이 있는 접착성분이 도포되는 접착영역(120, 220, 320, 420)과 다른 패치(100, 200, 300, 400)와 접착력이 있는 접착성분이 도포되는 연결영역(230, 330, 430)과 접착성분이 도포되지 않고 연결영역(230, 330, 430)과 접합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 비접착영역(240, 340, 440)이 형성된 패치(100, 200, 300, 400); 패치(100, 200, 300, 400)와 연결되어 전극센서(10)가 측정한 신호를 전달하는 와이어(50); 및 패치(100, 200, 300, 400)와 와이어(50)를 수용하는 하우징(30)을 포함하고, 패치(100, 200, 300, 400) 및 와이어(50)는 복수로 구비되고, 하우징(30)은, 복수의 패치(100, 200, 300, 400)를 적층 상태로 수용하고, 패치(100, 200, 300, 400)는, 하우징(30)과 복수의 와이어(50)의 간섭을 피하도록 하우징(30)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복수의 와이어(50)가 이동 가능한 와이어 수용홈(57)이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S. 8 to 9, an electrocardiogram measuring apparatus having an anti-interference pa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패치(100, 200, 300, 400)에는 와이어 수용홈(57)이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수용홈(57)은 복수의 와이어(50)를 수용할 수 있다. 패치(100, 200, 300, 400)는 복수로 구비되어 적층되므로 아래에 배치된 패치(100, 200, 300, 400)는 위에 배치된 패치(100, 200, 300, 400)와 연결된 와이어(50)도 함께 수용한다. 따라서 가장 아래에 배치된 패치(100, 200, 300, 400)는 실장된 모든 와이어(50)의 직경을 수용할 수 있는 정도의 와이어 수용홈(57)이 형성되어야 한다. 복수의 와이어(50)는 와이어 수용홈(57)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와이어 수용홈(57)은 와이어(5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와이어 수용홈(57)은 패치(100, 200, 300, 400)의 반경방향에 형성된다. A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틱형 심전도 전극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11은 도10의 패치의 전면 및 후면을 표현한 것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틱형 심전도 전극 조립체의 활용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ick-type electrocardiographic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of the patch of FIG. 12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use of a stick-type electrocardiographic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0 내지 도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틱형 심전도 전극 조립체는, 심전도를 감지하는 전극센서(10); 전극센서(10)가 배치되는 전극배치영역(110)과 인체의 표피에 대하여 결합력이 있는 접착성분이 도포되는 접착영역(120)이 형성된 패치(100); 및 패치(100)를 인출가능하게 수용하는 하우징(30)을 포함하고, 패치(100)는, 인출방향인 전면(101a, 102a)에 접착영역(120)이 형성되고, 하우징(30)은, 패치(100)의 인출을 제한하는 걸림턱(31a)이 형성된다. 10 to 12, a stick type electrocardiograph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하우징(30)에는 걸림턱(31a)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31a)은 하우징(30)의 인출방향 단부에 형성된다. 걸림턱(31a)은 패드의 임의 탈거 또는 패드의 임의적인 분리를 방지한다. 걸림턱(31a)은 패드의 양단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으며 어느 일측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The
패치(100)는, 접착성분과 결합되지 않는 비결합성분이 코팅된 코팅영역(150)이 형성되고, 코팅영역(150)은, 패치(100)의 인출방향의 반대면인 후면(101b, 102b)에 형성된다. The
접착영역(120)은 전면(101a, 102a)에 형성될 수 있다. 검사자는 하우징(30)의 인출방향을 신체의 피부를 향하게 하고 하우징(30)을 피부에 밀착시킨다. 접착영역(120)은 피부와 밀착되어 피부와 결합하므로, 그 결합력으로 인해 패치(100)는 분리된다. The
코팅영역(150)은 인출방향 후면(101b, 102b)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층에 배치된 패치(100)의 코팅영역(150)은 하층에 배치된 패치(100)의 접착영역(120)과 접하게된다. The
코팅영역(150)과 접착영역(120)은 서로 결합되지 않으므로 상층의 패치(100)가 신체와 결합되어 분리되더라도 하층의 패치(100)는 남게된다. 그리고 이후 하단에 배치된 탄성부재(91)의 복원력으로 인해 하층의 패치(100)는 상층의 패치(100)의 자리를 채우게 된다. Since the
검사자는 피부에 하우징(30)을 밀착시키는것 만으로 패치(100)를 원하는 위치에 붙일 수 있다. The inspector can attach the
코팅영역(150)은, 패치(100)의 전면(101a, 102a) 중 걸림턱(31a)과 맞닿는 부분에 형성된다. The
패치(100)와 걸림턱(31a)의 접합지점에는 코팅영역(150)이 형성된다. 걸림턱(31a)과 패치(100)의 마찰력은 패치(100)의 임의탈거를 방지하는 수준으로 최소화 할 수 있다. 도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장형 심전도 전극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14는 도13의 패치의 전면 및 후면을 표현한 것이다. 도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장형 심전도 전극 조립체의 활용도이다.A
도13 내지 도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장형 심전도 전극 조립체는, 심전도를 감지하는 전극센서(10); 전극센서(10)가 배치되는 전극배치영역(210)과 인체의 표피에 대하여 결합력이 있는 접착성분이 도포되는 접착영역(220)과 다른 패치(200)와 접착력이 있는 접착성분이 도포되는 연결영역(230)과 접착성분이 도포되지 않고 연결영역(230)과 접합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 비접착영역(240)이 형성된 패치(200); 및 패치(200)를 인출가능하게 수용하는 하우징(30)을 포함하고, 패치(200)는, 복수로 구비되어 적층배치되고, 인출 반대방향인 후면(201b, 202b, 203b, 204b)에는 연결영역(230)이 형성되고, 인출방향인 전면(201a, 202a, 203a, 204a)에는 접착영역(220)이 형성되며, 연결영역(230)은, 패치(200)의 적층순서에 따라 전극센서(10)의 위치를 중심으로 어느 일측에만 교번하여 형성된다. 하우징(30)은, 인출방향에 비접착영역(240)을 향해 돌출되어 패치(200)의 인출을 제한하는 걸림턱(31a)이 형성된다. 13 to 15, a coated electrocardiogram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하우징(30)에는 걸림턱(31a)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31a)은 하우징(30)의 인출방향 단부에 형성된다. 걸림턱(31a)은 패치(200)의 임의 탈거 또는 패치(200)의 임의적인 분리를 방지한다. 걸림턱(31a)은 패치(200)의 양단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으며 어느 일측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The
패치(200)는, 복수로 구비되어 차례대로 인출가능하도록 적층되며, 제1패치(201a, 201b)와 제1패치(201a, 201b)의 하층에 배치되고 서로 연결된 제2패치(202a, 202b)와 제2패치(202a, 202b)의 하층에 배치되고 서로 연결된 제3패치(203a, 203b)와 제3패치(203a, 203b)의 하층에 배치되고 서로 연결된 제4패치(204a, 204b)를 포함하고, 연결영역(230)은, 제1패치(201a, 201b), 제2패치(202a, 202b), 제3패치(203a, 203b) 및 제4패치(204a, 204b)에 각각 형성되고, 제1패치(201a, 201b)에 형성된 연결영역(230)과 제3패치(203a, 203b)에 형성된 연결영역(230)은 전극센서(10)를 중심으로 동일 방향에 형성되고, 제2패치(202a, 202b)에 형성된 연결영역(230)과 제4패치(204a, 204b)에 형성된 연결영역(230)은 전극센서(10)를 중심으로 동일 방향에 형성되며, 제1패치(201a, 201b)에 형성된 연결영역(230)과 제2패치(202a, 202b)에 형성된 연결영역(230)은 전극센서(10)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에 형성되며, 제3패치(203a, 203b)에 형성된 연결영역(230)과 제4패치(204a, 204b)에 형성된 연결영역(230)은 전극센서(10)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에 형성된다. The patches 200 are stacked so as to be capable of being taken out one after another and are provided with first patches 201a and 201b and second patches 202a and 202b disposed under the first patches 201a and 201b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ird patches 203a and 203b disposed on the lower layers of the second patches 202a and 202b and fourth patches 204a and 204b disposed on the lower layers of the third patches 203a and 203b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connection area 230 is formed in each of the first patches 201a and 201b, the second patches 202a and 202b, the third patches 203a and 203b and the fourth patches 204a and 204b, The connection area 230 formed in the first patches 201a and 201b and the connection area 230 formed in the third patches 203a and 203b are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with the electrode sensor 10 as a center, The connection areas 230 formed on the first patches 202a and 202b and the connection areas 230 formed on the fourth patches 204a and 204b are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electrode sensor 10, The connection areas 230 formed and the openings formed in the second patches 202a and 202b The connecting areas 230 formed in the third patches 203a and 203b and the connecting areas 230 formed in the fourth patches 204a and 204b are formed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electrode sensor 10 230 are formed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electrode sensor 10.
결합영역은 전면(201a, 202a, 203a, 204a)에 형성될 수 있다. 검사자는 하우징(30)의 인출방향을 신체의 피부를 향하게 하고 하우징(30)을 피부에 밀착시킨다. 결합영역은 피부와 밀착되어 피부와 결합하므로, 그 결합력으로 인해 패치(200)는 분리된다. The coupling regions may be formed on the front faces 201a, 202a, 203a, and 204a. The examinee directs the pulling direction of the
코팅영역(250) 은 인출방향인 후면(201b, 202b, 203b, 204b)에 배치된다. The
따라서 상층에 배치된 패치(200)의 코팅영역(250) 은 하층에 배치된 패치(200)의 결합영역과 접하게된다. Therefore, the
코팅영역(250) 과 결합영역은 서로 결합되지 않으므로 상층의 패치(200)가 신체와 결합되어 분리되더라도 하층의 패치(200)는 남게된다. 그리고 이후 하단에 배치된 탄성부재(91)의 복원력으로 인해 하층의 패치(200)는 상층의 패치(200)의 자리를 채우게 된다. Since the
검사자는 피부에 대하여 하우징(30)을 갖다대는 것 만으로 패치(200)를 원하는 위치에 붙일 수 있다. The inspector can attach the
연결영역(230)의 위치는 교번하여 형성된다. 연결영역(230)은 상측의 패치(200)가 빠져나가면 하측의 패치(200)를 끌고 함께 이동하여 걸림턱(31a)의 상측으로 이용한다. 하측 패치(200)는 일부분이 항상 걸림턱(31a)의 상측으로 올라가게된다. The positions of the
이와 같은 배치는 걸림턱(31a)에 불구하고 피부와 접착영역(220)의 최초 접촉면적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패치(200)의 크기, 접착력의 정도, 하우징(30)의 크기에 비하여 상측의 패치(200)를 하측에 패치(200)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방 착탈형 심전도 전극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17은 도16의 패치의 전면 및 후면을 표현한 것이다. 도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방 착탈형 심전도 전극 조립체의 활용도이다.Such an arrangement increases the initial contact area between the skin and the
도16 내지 도18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방 착탈형 심전도 전극 조립체는, 심전도를 감지하는 전극센서(10); 전극센서(10)가 배치되는 전극배치영역(31a0)과 인체의 표피에 대하여 결합력이 있는 접착성분이 도포되는 접착영역(320)과 다른 패치(300)와 접착력이 있는 접착성분이 도포되는 연결영역(330)과 접착성분이 도포되지 않고 연결영역(330)과 접합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 비접착영역(340)과 접착성분과 결합되지 않는 비결합성분이 코팅된 코팅영역(350)이 형성된 패치(300); 및 패치(300)를 인출가능하게 수용하는 하우징(30)을 포함하고, 패치(300)는, 복수로 구비되어 적층배치되고, 인출 반대방향인 후면(301b, 302b, 303b, 304b)에는 연결영역(330)과 접착영역(320)이 형성되며, 연결영역(330)은, 전극센서(10)의 위치를 중심으로 어느 일측에만 형성된다. 16 to 18, a one-way detachable electrocardiographic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결합영역은 후면(301b, 302b, 303b, 304b)에 형성될 수 있다. 검사자는 하우징(30)으로부터 패치(300)를 하나씩 떼어낼 수 있다. 패치(300)는 와이어(50)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패치(300)는 와이어(50)와 함께 하우징(30)으로부터 인출된다. The coupling regions may be formed on the
코팅영역(350)은 인출방향을 바라보는 전면(301a, 302a, 303a, 304a)에 배치된다. 따라서 검사자가 패치(300)를 ?센爭? 때 코팅영역(350)이 외측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패치(300)의 오염이 방지된다. The
또한 하층에 배치된 패치(300)의 코팅영역(350)은 상층에 배치된 패치(300)의 결합영역과 접하게된다. Also, the
코팅영역(350)과 결합영역은 서로 결합되지 않으므로 상층의 패치(300)가 신체와 결합되어 분리되더라도 하층의 패치(300)는 남게된다. 그리고 이후 하단에 배치된 탄성부재(91)의 복원력으로 인해 하층의 패치(300)는 상층의 패치(300)의 자리를 채우게 된다. Since the
검사자는 피부에 하우징(30)을 밀착시키는 것 만으로 패치(300)를 원하는 위치에 붙일 수 있다. The inspector can attach the
또한, 연결영역(330)이 일방에만 형성되어 있어 패치(300)의 적층 및 분리가 용이하다. Also, since the
또한, 결합영역은 후면(301b, 302b, 303b, 304b)에 형성되어 있어 먼지 등 이물질로 인한 접착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어 보관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체형 심전도 측정장치는, 하우징(30) 내부에 수용되어 패치(100, 200, 300, 400)의 인출방향을 향해 복원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91); 및 탄성부재(91)와 커넥터(60) 사이에 배치된 분리판(93)을 포함한다. In addition, since the bonding region is formed on the
탄성부재(91)는 코일스프링 일 수 있다. 코일스프링은 패치(300) 및 커넥터(60)를 인출방향을 향해 밀어낸다. The
다른 예로 하우징(30)은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형상의 로드(rod)를 수용할 수도 있다. 로드를 회전하면 나사산으로 인해 하우징(30) 내부에서 이동한다. 검사자는 로드를 회전시켜 패치(300)를 원하는 만큼 인출방향을 향해 밀어낼 수도 있다. 도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방 착탈형 심전도 전극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20은 도19의 패치의 전면 및 후면을 표현한 것이다. 도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방 착탈형 심전도 전극 조립체의 활용도이다.As another example, the
도19 내지 도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방 착탈형 심전도 전극 조립체는, 심전도를 감지하는 전극센서(10); 전극센서(10)가 배치되는 전극배치영역(410)과 인체의 표피에 대하여 결합력이 있는 접착성분이 도포되는 접착영역(420)과 다른 패치(400)와 접착력이 있는 접착성분이 도포되는 연결영역(430)과 접착성분이 도포되지 않고 연결영역(430)과 접합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 비접착영역(440)과 접착성분과 결합되지 않는 비결합성분이 코팅된 코팅영역(450)이 형성된 패치(400); 및 패치(400)를 인출가능하게 수용하는 하우징(30)을 포함하고, 패치(400)는, 복수로 구비되어 적층배치되고, 인출 반대방향인 후면(401b, 402b, 403b, 404b)에는 연결영역(430)과 접착영역(420)이 형성되며, 연결영역(430)은, 패치(400)의 적층순서에 따라 전극센서(10)의 위치를 중심으로 어느 일측에만 교번하여 형성된다. 19 to 21, a bi-directional electrocardiogram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하우징(30)에는 걸림턱(31a)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31a)은 하우징(30)의 인출방향 단부에 형성된다. 걸림턱(31a)은 패드의 임의 탈거 또는 패드의 임의적인 분리를 방지한다. 걸림턱(31a)은 패드의 양단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으며 어느 일측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The
하우징(30)은, 인출방향에 비접착영역(440)을 향해 돌출되어 패치(400)의 인출을 제한하는 걸림턱(31a)이 형성된다. The
결합영역은 후면(401b, 402b, 403b, 404b)에 형성될 수 있다. 검사자는 하우징(30)으로부터 패치(400)를 하나씩 떼어낼 수 있다. 패치(400)는 와이어(50)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패치(400)는 와이어(50)와 함께 하우징(30)으로부터 인출된다. A coupling region may be formed in the
코팅영역(450)은 인출방향을 바라보는 전면(401a, 402a, 403a, 404a)에 배치된다. 따라서 검사자가 패치(400)를 ?센爭? 때 코팅영역(450)이 외측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패치(400)의 오염이 방지된다. The
또한 하층에 배치된 패치(400)의 코팅영역(450)은 상층에 배치된 패치(400)의 결합영역과 접하게된다. The
코팅영역(450)과 결합영역은 서로 결합되지 않으므로 상층의 패치(400)가 신체와 결합되어 분리되더라도 하층의 패치(400)는 남게된다. 그리고 이후 하단에 배치된 탄성부재(91)의 복원력으로 인해 하층의 패치(400)는 상층의 패치(400)의 자리를 채우게 된다. Since the
검사자는 피부에 대하여 하우징(30)을 갖다대는 것 만으로 패치(400)를 원하는 위치에 붙일 수 있다. The inspector can attach the
연결영역(430)의 위치는 교번하여 형성된다. 연결영역(430)은 상측의 패치(400)가 빠져나가면 하측의 패치(400)를 끌고 함께 이동하여 걸림턱(31a)의 상측으로 이용한다. 하측 패치(400)는 일부분이 항상 걸림턱(31a)의 상측으로 올라가게된다. The positions of the
이와 같은 배치는 걸림턱(31a)에 불구하고 피부와 접착영역(420)의 최초 접촉면적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패치(400)의 크기, 접착력의 정도, 하우징(30)의 크기에 비하여 상측의 패치(400)를 하측에 패치(400)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결합영역은 후면(401b, 402b, 403b, 404b)에 형성되어 있어 먼지 등 이물질로 인한 접착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어 보관이 용이하다. This arrangement increases the initial contact area between the skin and the
패치(400)는, 복수로 구비되어 차례대로 인출가능하도록 적층되며, 제1패치(401a, 401b)와 제1패치(401a, 401b)의 하층에 배치되고 서로 연결된 제2패치(402a, 402b)와 제2패치(402a, 402b)의 하층에 배치되고 서로 연결된 제3패치(403a, 403b)와 제3패치(403a, 403b)의 하층에 배치되고 서로 연결된 제4패치(404a, 404b)를 포함하고, 연결영역(430)은, 제1패치(401a, 401b), 제2패치(402a, 402b), 제3패치(403a, 403b) 및 제4패치(404a, 404b)에 각각 형성되고, 제1패치(401a, 401b)에 형성된 연결영역(430)과 제3패치(403a, 403b)에 형성된 연결영역(430)은 전극센서(10)를 중심으로 동일 방향에 형성되고, 제2패치(402a, 402b)에 형성된 연결영역(430)과 제4패치(404a, 404b)에 형성된 연결영역(430)은 전극센서(10)를 중심으로 동일 방향에 형성되며, 제1패치(401a, 401b)에 형성된 연결영역(430)과 제2패치(402a, 402b)에 형성된 연결영역(430)은 전극센서(10)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에 형성되며, 제3패치(403a, 403b)에 형성된 연결영역(430)과 제4패치(404a, 404b)에 형성된 연결영역(430)은 전극센서(10)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에 형성된다. A plurality of patches 400 are stacked so as to be drawn out one after another and are provided with first patches 401a and 401b and second patches 402a and 402b disposed under the first patches 401a and 401b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ird patches 403a and 403b disposed on the lower layers of the second patches 402a and 402b and fourth patches 404a and 404b disposed on the lower layers of the third patches 403a and 403b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connection area 430 is formed in each of the first patches 401a and 401b, the second patches 402a and 402b, the third patches 403a and 403b and the fourth patches 404a and 404b, The connection area 430 formed in the first patches 401a and 401b and the connection area 430 formed in the third patches 403a and 403b are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with the electrode sensor 10 as the center, The connection areas 430 formed in the first patches 402a and 402b and the connection areas 430 formed in the fourth patches 404a and 404b are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electrode sensor 10, The connection areas 430 formed and the openings formed in the second patches 402a and 402b The connection areas 430 formed in the third patches 403a and 403b and the connection areas 430 formed in the fourth patches 404a and 404b are formed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electrode sensor 10 430 are formed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electrode sensor 10.
패치(100, 200, 300, 400)는 전극배치영역(110, 210, 31a0, 410)을 포함한다. 전극배치영역(110, 210, 31a0, 410)은 전극센서(10)가 배치되는 공간이다. 전극배치영역(110, 210, 31a0, 410)은 패치(100, 200, 300, 400)의 중심에 형성된다. 접착영역(120, 220, 320, 420)은 인체와 밀착되는 부분이다. 접착영역(120, 220, 320, 420)은 패치(100, 200, 300, 400)를 피부와 밀착시킨다. The
연결영역(230, 330, 430)은 패치(100, 200, 300, 400)를 다른 패치(100, 200, 300, 400)와 접착시키는 부분이다. 연결영역(230, 330, 430)에 도포되는 접착제는 접착영역(120, 220, 320, 420)에 도포되는 접착제와 다른 성분일 수 있다. 연결영역(230, 330, 430)에 도포되는 접착제는 접착영역(120, 220, 320, 420)에 도포되는 접착제보다 접착력이 약할 수 있다. 연결영역(230, 330, 430)에 도포되는 접착제는 패치(100, 200, 300, 400)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정도면 충분하다. The
비접착영역(240, 340, 440)은 패치(100, 200, 300, 400)의 표면에 인위적인 다른 것이 도포되지 않는 부위일 수 있다. 비접착영역(240, 340, 440)은 연결영역(230, 330, 430)과 접착된다. The
코팅영역(150, 250, 350, 450)은 접착영역(120, 220, 320, 420)으로 인해 패치(100, 200, 300, 400)와 패치(100, 200, 300, 400)가 연결되는 것을 방지한다. 접착영역(120, 220, 320, 420)은 접착력이 비교적 강한 접착제가 도포되므로 패치(100, 200, 300, 400)의 분리를 어렵게 한다. 따라서 코팅영역(150, 250, 350, 450)은 접착영역(120, 220, 320, 420)에 도포되는 접착제와 결합력이 없는 성분이 도포된다. The
하우징(30)에는 걸림턱(31a)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31a)은 하우징(30)의 인출방향 단부에 형성된다. 걸림턱(31a)은 패치(100, 200, 300, 400)의 임의 탈거 또는 패치(100, 200, 300, 400)의 임의적인 분리를 방지한다. 걸림턱(31a)은 패치(100, 200, 300, 400)의 양단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으며 어느 일측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The
도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우징의 분해사시도이다.2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2를 참조하면, 하우징(30)은, 걸림턱(31a)이 형성된 상부하우징(31); 상부하우징(31)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패치(100, 200, 300, 400)를 수용하는 하부하우징(33)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2, the
패치(100, 200, 300, 400)는 심전도 검사전 하부하우징(33)에 미리 수용된다. 패치(100, 200, 300, 400)는 걸림턱(31a)에 의해 임의적인 인출이 제한된다. 패치(100, 200, 300, 400)를 하부하우징(33)에 모두 수용하면 걸림턱(31a)이 형성된 상부하우징(31)으로 하부하우징(33)을 덮는다.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전극센서
30: 하우징
31: 상부하우징
31a: 걸림턱
33: 하부하우징
50: 와이어
51: 제1와이어묶음
52: 제2와이어묶음
55: 와이어 수용부
57: 와이어 수용홈
60: 커넥터
70: 측정장치
71: 제어부
73: 디스플레이부
75: 메모리부
91: 탄성부재
93: 분리판
95: 손잡이
100, 200, 300, 400: 패치
110, 210, 310, 410: 전극배치영역
120, 220, 320, 420: 접착영역
230, 330, 430: 연결영역
240, 340, 440: 비접착영역
150, 250, 350, 450: 코팅영역
101a, 201a, 301a, 401a: 제1패치의 전면
101b, 201b, 301b, 401b: 제1패치의 후면
102a, 202a, 302a, 402a: 제2패치의 전면
102b, 202b, 302b, 402b: 제2패치의 후면
303a, 403a: 제3패치의 전면
303b, 403b: 제3패치의 후면
304a, 404a: 제4패치의 전면
304b, 404b: 제4패치의 후면10: Electrode sensor
30: Housing
31: upper housing
31a:
33: Lower housing
50: wire
51: 1st wire bundle
52: 2nd wire bundle
55:
57: Wire receiving groove
60: Connector
70: Measuring device
71:
73:
75:
91: Elastic member
93: separation plate
95: Handle
100, 200, 300, 400: patch
110, 210, 310, 410: electrode arrangement region
120, 220, 320, 420: adhesive area
230, 330, 430: connection area
240, 340, 440: non-adhesive area
150, 250, 350, 450: Coating area
101a, 201a, 301a, 401a: front face of the first patch
101b, 201b, 301b, 401b: the rear face of the first patch
102a, 202a, 302a, 402a: front surface of the second patch
102b, 202b, 302b, 402b: the rear face of the second patch
303a, 403a: front face of the third patch
303b, 403b: rear face of the third patch
304a, 404a: Front of the fourth patch
304b, 404b: the rear face of the fourth patch
Claims (5)
상기 전극센서가 배치되는 전극배치영역과 인체의 표피에 대하여 결합력이 있는 접착성분이 도포되는 접착영역과 다른 패치와 접착력이 있는 접착성분이 도포되는 연결영역과 접착성분이 도포되지 않고 상기 연결영역과 접합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 비접착영역이 형성된 패치; 및
상기 패치를 인출가능하게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패치는,
복수로 구비되어 적층배치되고, 인출 반대방향인 후면에는 상기 연결영역이 형성되고,
인출방향인 전면에는 상기 접착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영역은,
상기 패치의 적층순서에 따라 상기 전극센서의 위치를 중심으로 어느 일측에만 교번하여 형성되는 도장형 심전도 전극 조립체.An electrode sensor for sensing electrocardiogram;
A connection region to which an adhesive component to which an adhesive component having a bonding force with respect to the skin of the human body is applied and a bonding region to which an adhesive component having an adhesive force with another patch are applied, A patch having a non-adhesive region formed of a bondable material; And
And a housing for drawably receiving the patch,
The patch includes:
A plurality of the connecting regions are stacked, and the connecting region is formed on a rear surfa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rawing direction,
The adhesive region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in the drawing direction,
Wherein the connection region comprises:
Wherein the electrodes are alternately formed on only one side of the position of the electrode sensor according to a stacking order of the patches.
상기 하우징은,
인출방향에 상기 비접착영역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패치의 인출을 제한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도장형 심전도 전극 조립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includes:
And a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non-adhesive region in the pull-out direction to restrict the pull-out of the patch.
상기 패치는,
복수로 구비되어 차례대로 인출가능하도록 적층되며, 제1패치와 상기 제1패치의 하층에 배치되고 서로 연결된 제2패치와 상기 제2패치의 하층에 배치되고 서로 연결된 제3패치와 상기 제3패치의 하층에 배치되고 서로 연결된 제4패치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영역은,
상기 제1패치, 상기 제2패치, 상기 제3패치 및 상기 제4패치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패치에 형성된 연결영역과 상기 제3패치에 형성된 연결영역은 상기 전극센서를 중심으로 동일 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제2패치에 형성된 연결영역과 상기 제4패치에 형성된 연결영역은 상기 전극센서를 중심으로 동일 방향에 형성되며,
상기 제1패치에 형성된 연결영역과 상기 제2패치에 형성된 연결영역은 상기 전극센서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에 형성되며,
상기 제3패치에 형성된 연결영역과 상기 제4패치에 형성된 연결영역은 상기 전극센서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에 형성된 도장형 심전도 전극 조립체.3. The method of claim 2,
The patch includes:
A second patch disposed on a lower layer of the first patch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 third patch disposed on a lower layer of the second patch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fourth patch disposed on the lower layer of the fourth patch and connected to each other,
Wherein the connection region comprises:
Wherein the first patch, the second patch, the third patch, and the fourth patch,
A connection region formed in the first patch and a connection region formed in the third patch are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with the electrode sensor as a center,
A connection region formed in the second patch and a connection region formed in the fourth patch are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with the electrode sensor as a center,
A connection region formed in the first patch and a connection region formed in the second patch are formed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electrode sensor,
Wherein the connection region formed in the third patch and the connection region formed in the fourth patch are formed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electrode sensor.
상기 패치와 연결되어 상기 전극센서가 측정한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와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와이어는,
V1과 V2사이의 거리차, V2과 V3사이의 거리차, V3과 V4사이의 거리차, V4과 V5사이의 거리차, V5과 V6사이의 거리차 이상이 되도록 길이가 각각 다르게 형성되고 커넥터와 연결된 제1와이어묶음을 포함하는 도장형 심전도 전극 조립체.
여기서 V1은 우측 흉골단 위(제4늑간), V2는 좌측 흉골단 위(제4늑간), V3은 V2와 V4를 잇는 직선 위의 중간 지점, V4는 쇄골 중앙선 위(제5늑간), V5는 V4와 수평선상(전액와선 위) V6은 V4와 V5와 수평선상(중앙액와선 위)를 의미한다.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wires connected to the patch for transmitting a signal measured by the electrode sensor,
Wherein the plurality of wires
A distance difference between V1 and V2, a distance difference between V2 and V3, a distance difference between V3 and V4, a distance difference between V4 and V5, and a distance difference between V5 and V6, A first wire bundle connected to the first wire bundle;
V3 is the midpoint on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V2 and V4, V4 is the midline of the collarbone (fifth intercostal), V5 is the middle sternum of the sternum (fourth intercostal), V2 is the left sternal intercostal space V4 and the horizontal line (above the full line) V6 means V4 and V5 and the horizontal line (above the center line).
상기 복수의 와이어는,
V1과 RA의 거리차, V1과 RL의 거리차, V1과 LA의 거리차, V1과 LL의 거리차 이상이 되도록 길이가 각각 다르게 형성되고 커넥터와 연결된 제2와이어묶음을 포함하는 도장형 심전도 전극 조립체.
여기서 V1은 우측 흉골단 위(제4늑간), RA는 오른쪽 빗장뼈 말단 아래 오목 지점, RL은 오른쪽 갈비뼈 말단 아래 지점, LA는 왼쪽 빗장뼈 말단 아래 오목 지점, LL은 왼쪽 갈비뼈 말단 아래 지점을 의미한다.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lurality of wires
A coating type electrocardiogram electrode having a length difference between V1 and RA, a distance difference between V1 and RL, a distance difference between V1 and LA, and a distance difference between V1 and LL, Assembly.
Where V1 is the location of the right sternum (fourth intercostal space), RA is the concave point below the right clavicular bone, RL is the point below the right rib end, LA is the concave point below the left clavicular bone, and LL is the point below the left rib end d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9428A KR101834190B1 (en) | 2016-05-16 | 2016-05-16 | Stamp type electrocardiogram electrode assemb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9428A KR101834190B1 (en) | 2016-05-16 | 2016-05-16 | Stamp type electrocardiogram electrode assembl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28858A KR20170128858A (en) | 2017-11-24 |
KR101834190B1 true KR101834190B1 (en) | 2018-03-06 |
Family
ID=60810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59428A Expired - Fee Related KR101834190B1 (en) | 2016-05-16 | 2016-05-16 | Stamp type electrocardiogram electrode assembl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34190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282350A1 (en) | 2006-06-05 | 2007-12-06 | Hernest Lynne J | Device for arranging wire leads from medical testing apparatus |
US20120226177A1 (en) | 2006-12-05 | 2012-09-06 | Tyco Healthcare Group Lp | Ecg lead wire organizer and dispenser |
KR101370048B1 (en) | 2013-02-05 | 2014-03-04 | 주식회사 한독 | Catheter for denervation |
-
2016
- 2016-05-16 KR KR1020160059428A patent/KR10183419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282350A1 (en) | 2006-06-05 | 2007-12-06 | Hernest Lynne J | Device for arranging wire leads from medical testing apparatus |
US20120226177A1 (en) | 2006-12-05 | 2012-09-06 | Tyco Healthcare Group Lp | Ecg lead wire organizer and dispenser |
US20140180054A1 (en) | 2006-12-05 | 2014-06-26 | Covidien Lp | Ecg lead wire organizer and dispenser |
KR101370048B1 (en) | 2013-02-05 | 2014-03-04 | 주식회사 한독 | Catheter for denerva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28858A (en) | 2017-11-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409314C2 (en) | Electrode and method for determining of bioelectric potential | |
CA2864095C (en) | Ecg system with multi mode electrode units | |
US20170100046A1 (en) | Wearable wireless 12-channel electrocardiogram system | |
CN102525455A (en) | Single radio-transparent connector for multi-functional reference patch | |
WO2014107018A1 (en) | Patch-type electrode for measuring biosignals | |
JPH07508903A (en) | Wireless electrocardiography system and wireless electrode assembly | |
JP2015096236A (en) | Method of detecting time varying signal | |
KR20040081427A (en) | Wireless electrocardiograph system | |
JP2008520328A (en) | Ergometry belt | |
KR101780926B1 (en) | Patch type electrocardiogram sensor | |
KR20120084950A (en) | Electrode patch for measuring electrocardiogram and measuring device | |
JP2019088786A (en) | Noise level reduction associated with sensed ECG signal | |
KR20170128859A (en) | one-way detachable type electrocardiogram electrode assembly | |
KR101851775B1 (en) |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device | |
CN214856586U (en) | Lead wire harness, physiological data monitoring and sensing device and physiological data monitoring equipment | |
KR101834190B1 (en) | Stamp type electrocardiogram electrode assembly | |
KR101834189B1 (en) |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device having Interference preventing type patch | |
CN101879090A (en) | Jacket and hand-held electrocardio measuring instrument applying the same | |
KR101851776B1 (en) | two-way detachable type electrocardiogram electrode assembly | |
JP2004249107A (en) | Patient monitoring system | |
KR20170128855A (en) | Integral type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device | |
KR20170128856A (en) |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device having Interference preventing type housing | |
RU2615127C2 (en) | Suction device and electrode cable for electrocardiography | |
KR102333295B1 (en) | A disposable simple attached precordial electrodes for electrocardiography and use method thereof | |
US11817660B1 (en) | Connector device for a cable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AMND | Amendment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R15-X000 | Change to inventor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5-oth-X000 |
|
R16-X000 | Change to inventor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6-oth-X000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
|
AMND | Amendment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X0901 | Re-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2-rex-PX0901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X0701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102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10227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