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5144B1 - Interlocking device and Hybrid transfer machin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Interlocking device and Hybrid transfer machin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25144B1 KR101825144B1 KR1020150163783A KR20150163783A KR101825144B1 KR 101825144 B1 KR101825144 B1 KR 101825144B1 KR 1020150163783 A KR1020150163783 A KR 1020150163783A KR 20150163783 A KR20150163783 A KR 20150163783A KR 101825144 B1 KR101825144 B1 KR 1018251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ulley
- drum
- power
- winding
- receiv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9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023 transfer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518 transcri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897 transcri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885 constant fun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6/00—Transfer printing apparatu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6/00—Transfer printing apparatus
- B41F16/02—Transfer printing apparatus for textile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3/00—Indicating, counting, warning, control or safety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36—Pulle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10—Friction g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동장치와 이를 갖춘 하이브리드 전사기에 관한 것으로서, 제1·2바디부와; 제1바디부에 설치되는 동력풀리와; 제1바디부에 설치되는 동력풀리 구동수단과; 제1바디부에 설치되는 제1지지풀리와; 제2바디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2지지풀리;로 구성된 바디: 가이드홀을 통해 수용홈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회전축과;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는 요홈을 갖추고서, 회전축에 고정되며, 요홈을 통해 인입된 동력풀리와 제1지지풀리에 의해 지지되면서 동력풀리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연동풀리;로 구성된 드럼설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연동풀리와 회전축으로 구성된 드럼설치대를 바디의 수용홈에 삽입시켜 주는 것만으로도 연동풀리 및 회전축이 동력풀리와 제1지지풀리 및 제2지지풀리에 상호 맞물리는 구조를 이루게 되며, 사용 후 또는 교체가 필요한 경우 별다른 조작 없이 드럼설치대를 외부로 인출하면 되므로 설치 및 이탈작업이 매우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locking device and a hybrid transfer device having the interlocking device, comprising: a first and a second body part; A power pulley installed in the first body part; A power pulley driving means provided in the first body portion; A first support pulley installed in the first body part; And a pair of second support pulleys installed on the second body part: a rotating shaft rotatably received in the receiving recess through the guide hole; And a driven pulley fixed to the rotating shaft, the driven pulley being supported by a power pulley and a first supporting pulley which are inserted through the groove and rot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pulley, .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interlocking pulley and the rotating shaft are engaged with the power pulley, the first supporting pulley and the second supporting pulley by inserting the drum mounting table composed of the interlocking pulley and the rotating shaft into the receiving grooves of the body. If the drum unit is to be used after the use or when the drum unit is to be replaced, it is advantageous that the drum unit is taken out to the outside without any special opera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연동장치와 이를 갖춘 하이브리드 전사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별다른 조작 없이 쉽고 간편하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는 연동장치와, 하나의 장치로 피스방식과 롤방식 모두를 필요에 따라 취사선택해 사용할 수 있는 연동장치를 갖춘 하이브리드 전사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locking device and a hybrid transcription device having the interlocking devic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locking device that can be easily and easily installed and disassembled without any operation, and a device To a hybrid transducer with interlocking devices that can be used.
일반적으로 손수건이나 옷감 같은 직물지는 각양각색의 도안류를 주로 전사인쇄방식에 의하여 인쇄를 하고 있다.Generally, various kinds of fabrics such as handkerchiefs and cloths are printed by the transfer printing method.
이러한 전사인쇄방식은 특정 도안 및 사진 등이 입혀진 전사지를 인쇄대상이 되는 원단(섬유) 위에 올려놓은 다음 적정온도로 가열된 히팅롤러로 전사지와 원단(섬유)을 밀착되게 가압한 상태에서 일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서 전사지상의 도안이 원단(섬유)으로 옮겨지도록 한 인쇄방식이다.In such a transfer printing method, a transfer sheet coated with a specific pattern and a photograph is placed on a fabric (fiber) to be printed, and then the transfer sheet and the fabric (fiber) are pressed tightly with a heating roller heated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And the pattern on the transfer sheet is transferred to the fabric (fiber) by moving.
일반적으로 전사인쇄장치는 히팅롤러의 전방, 하부, 상부, 후방에 각각 공급롤러, 텐션롤러, 배출롤러, 다수의 아이들롤러를 설치하고, 벨트 외측면은 히팅롤러의 원주를 감싸고 내주면은 공급롤러, 텐션롤러, 배출롤러, 다수의 아이들롤러의 외주면에 접동되게 설치하며, 전사지와 원단(섬유)을 히팅롤러와 벨트 사이에 적층공급하여 전사인쇄되도록 한 것이다.Generally, in a transfer printing apparatus, a supply roller, a tension roller, a discharge roller, and a plurality of idle rollers are provided at the front, the lower, the upper and the rear of the heating roller, respectively. The outer surface of the belt surrounds the circumference of the heating roller, A tension roller, a discharge roller, and a plurality of idle rollers, and the transfer paper and the fabric are laminated and supplied between the heating roller and the belt to be transferred and printed.
상기와 같은 전사인쇄장치는 크게 롤방식과 피스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롤방식은 원단과 전사지가 자동으로 연속해서 공급되는 방식이고, 피스방식은 전사지는 자동으로 공급이 되나 원단은 낱장으로 공급되는 방식이다.The transfer printing apparatus may be divided into a roll type and a piece type. In the roll type, a cloth and a transfer sheet are automatically and continuously supplied. In the piece type, a transfer sheet is automatically supplied. .
그런데, 종래에는 원단(섬유) 또는 전사지가 권취된 봉(또는 드럼)을 전사기에 거치한 후, 양단으로 노출된 봉에 별도의 나사봉으로 체결하여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하고, 교체가 필요한 경우 체결된 나사봉을 해체 후 외부로 인출해야만 했기 때문에 설치 및 해체작업이 번거롭고 시간이 과다하게 소용되는 문제가 있었다.Conventionally, a rod (or a drum) wound with a fabric or a transfer sheet is mounted on a transcription machine and then fastened to a rod exposed at both ends with a separate threaded rod so as to be firmly fixed so as not to be released to the outsid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work is troublesome and the time is consumed in an excessive amount because it is necessary to disassemble the fastening bar and take it out to the outside.
한편, 종래에는 이와 같은 롤방식과 피스방식의 전사기를 모두 별도로 구매해야 했기 때문에 운용비용이 늘어날 수밖에 없었고, 두 대가 모두 한 공간상에 배치됨에 따라 공간활용성이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었다.Conventionally, since the roll type and the piece type transfer machines have to be purchased separately, the operation cost has to be increased. Both of them have been arranged on one space, and the space utilization has been inevitably decreas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별다른 조작 없이 쉽고 간편하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고, 동력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고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연동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terlocking device capable of easily and easily installing and disassembling without any operation, minimizing power loss, .
본 발명이 다른 목적은 피스방식과 롤방식 모두를 필요에 따라 취사선택해 사용할 수 있어 범용성과 공간활용성 및 운용효율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연동장치를 갖춘 하이브리드 전사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ybrid transfer device having an interlocking device that greatly improves versatility, space usability, and operation efficiency since both the piece method and the roll method can be selectively used according to ne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회전축이 인입되는 가이드홀과, 인입된 회전축이 수용되는 수용홈으로 구성된 설치대장착부를 갖추고서, 상호 마주보게 이격배치되는 제1·2바디부와; 제1바디부의 수용홈 보다 낮으면서 전방에 배치되어 제1바디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동력풀리와; 제1바디부에 설치되어, 동력풀리를 구동시키는 동력풀리 구동수단과; 제1바디부의 수용홈 보다 낮으면서 후방에 배치되어 제1바디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지지풀리와; 제2바디부의 수용홈 보다 낮으면서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되어 제2바디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2지지풀리;로 구성된 바디:A first and a second body portion having a mounting hole for receiving a rotary shaft and a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rotary shaft, the first and second body portions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power pulley disposed forwardly and lower than a receiving groove of the first body part and rotatably installed in the first body part; A power pulley driving means provided in the first body portion for driving the power pulley; A first support pulley dispos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first body part and disposed rearwardly and rotatably installed in the first body part; And a pair of second support pulleys dispos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second body portion and lower than the receiving recesses of the second body portion and rotatably mounted on the second body portion.
상기 가이드홀을 통해 수용홈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며 제2지지풀리에 의해 지지되는 회전축과;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요홈을 갖추고서, 회전축에 고정되며, 요홈을 통해 인입된 동력풀리와 제1지지풀리에 의해 지지되면서 동력풀리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연동풀리;로 구성된 드럼설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rotation shaft which is rotatably received in the receiving groove through the guide hole and is 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ing pulley; And a driven pulley fixed to the rotating shaft, the driven pulley being supported by the first pulley and the power pulley received through the groove, and being rot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pulley .
또한, 본 발명에서,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1·2바디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수용홈보다 높으며 후방에 배치되는 경사홀이 보강 구비되고;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body portions is provided with a reinforcing inclined hole which is higher than the receiving groove and disposed at the rear side;
상기 경사홀에 이동 및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동력풀리와 제1지지풀리 사이 및 제2지지풀리 사이에 연동풀리 및 회전축이 안착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풀리;가 더 보강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장치.
And a guide pulley movably and rotatably installed in the inclined hole and guiding the interlocking pulley and the rotary shaft between the power pulley and the first support pulley and between the power pulley and the second support pulley are further reinforced. .
또한, 본 발명에서,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동력풀리의 외주면에는 연동풀리와의 마찰력을 증강시키기 위한 링이 보강 구비되거나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ring for reinforcing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interlocking pulley is reinforced or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ower pulley.
또한, 본 발명에서,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1·2바디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body portions has,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회전축을 걸어 수용홈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토록 하는 후크;가 더 보강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hook for preventing a detachment from the receiving groove by hooking a rotating shaft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회전축이 인입되는 가이드홀과 인입된 회전축이 수용되는 수용홈으로 구성된 설치대장착부를 갖추고서, 상호 마주보게 이격배치되는 제1·2바디부와, 제1바디부의 수용홈 보다 낮으면서 전방에 배치되어 제1바디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동력풀리와, 제1바디부에 설치되어 동력풀리를 구동시키는 동력풀리 구동수단과, 제1바디부의 수용홈 보다 낮으면서 후방에 배치되어 제1바디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지지풀리와; 제2바디부의 수용홈 보다 낮으면서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되어 제2바디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2지지풀리;로 구성되며, 공급용 전사지드럼 설치부와 권취용 전사지드럼 설치부를 구비하는 제1바디와; 권취용 메인드럼 설치부를 구비하는 제2바디와; 양쪽 선단부가 각각 제1바디와 제2바디에 설치되는 작업대;로 구성된 본체;A first and a second body part having a guide hole for receiving a rotary shaft and a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a rotary shaft inserted therei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mutually opposing manner and disposed forwardly while being lower than a receiving groove of the first body part A power pulley driving means provided in the first body portion for driving the power pulley; a power pulley driving means provided in the rear of the first body portion and lower tha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first body portion, A first support pulley rotatably installed; And a pair of second support pulleys disposed at front and rear sides of the second body portion and lower than the receiving recesses of the second body portion and rotatably installed in the second body portion, A first body having a portion; A second body having a winding main drum mounting portion; And a work table on which both end portions are installed o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respectively;
상기 제1바디에 설치되어, 원단을 감지해 동력풀리 구동수단을 동작제어하는 원단감지센서;A fabric detection sensor installed on the first body for detecting a fabric and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power pulley driving means;
상기 제1바디에 설치되어, 권취용 원단드럼 설치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권취용 전사지드럼을 구동하는 권취용 전사지드럼 구동수단;A take-up transfer paper drum drive means provided in the first body for driving a take-up transfer paper drum provided rotatably on the take-up original drum installation portion;
상기 제2바디에 설치되어, 작업대로부터 공급되는 원단과 전사지를 가열하여 전사지의 인쇄물이 원단에 전사되도록 하는 열전사유닛;A thermal transfer unit installed on the second body for heating a raw material and a transfer sheet supplied from a work table to transfer the printed material of the transfer sheet to the raw material;
상기 제2바디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메인안내롤러로부터 공급되는 전사지를 권취용 메인드럼 설치부로 안내하는 피스방식용 롤러;A piece-type roller rotatably installed on the second body and guiding a transfer sheet fed from the main guide roller to a winding main drum installation portion;
상기 제2바디에 설치되어, 권취용 메인드럼 설치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권취용 원단드럼 또는 권취용 전사지드럼을 구동하는 권취용 메인드럼 구동수단;A main drum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winding drum or the winding drum for the winding which is provided on the second body and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winding main drum installation portion;
상기 제2바디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열전사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사지를 피스방식용 롤러로 안내하거나, 열전사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원단을 권취용 메인드럼 설치부로 안내하는 메인안내롤러;A main guide roller rotatably installed on the second body for guiding a transfer sheet supplied from the thermal transfer unit to a piece type roller or guiding a raw material supplied from the thermal transfer unit to a winding main drum mounting portion;
상기 제2바디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열전사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사지를 권취용 전사지드럼 설치부로 안내하는 롤방식용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roll type roller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econd body and guides the transfer sheet fed from the thermal transfer unit to the winding drum for installing the transfer sheet.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연동풀리와 회전축으로 구성된 드럼설치대를 바디의 수용홈에 삽입시켜 주는 것만으로도 연동풀리 및 회전축이 동력풀리와 제1지지풀리 및 제2지지풀리에 상호 맞물리는 구조를 이루게 되며, 사용 후 또는 교체가 필요한 경우 별다른 조작 없이 회전축을 외부로 인출하면 되므로 설치 및 이탈작업이 매우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interlocking pulley and the rotating shaft are engaged with the power pulley, the first supporting pulley and the second supporting pulley by inserting the drum mounting table composed of the interlocking pulley and the rotating shaft into the receiving grooves of the body. And the rotary shaft can be taken out to the outside without any other operation if it is needed after use or replacement.
또한, 연동풀리의 요홈으로 동력풀리와 제1지지풀리가 삽입되어 상호 맞물림에 따라 회전축에 미세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요홈에 삽입된 동력풀리와 제1지지풀리에 의해 회전축이 횡 방향으로 이동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고, 별도의 이동방지용 부재를 회전축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power pulley and the first support pulley are inserted into the recess of the interlocking pulley and the minute shaft vibration occurs due to mutual engagement, the problem that the rotation shaft is moved in the lateral direction by the power pulley inserted into the recess and the first support pulley It is basically possible to eliminate the need to provide a separate anti-movement member on the rotary shaft.
그리고, 동력풀리의 둘레면을 널링(knurling)해 표면을 거칠게 하거나, 또는 둘레면에 고무재질의 링을 보강해 줌으로서 동력풀리와 연동풀리 간에 슬립발생이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다 확실하게 동력을 전달할 수 있어 동력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By maki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wer pulley knurl to roughen the surface or to reinforce the rubber ring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he occurrence of slip between the power pulley and the interlocking pulley can be minimized, Power can be transmitted, and power loss can be minimized.
게다가, 후크를 제자리에서 회전시켜 주는 것만으로 회전축에 걸거나 또는 풀어줄 수 있기 때문에 회전축을 보다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설치 및 해체작업이 매우 간소화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ook can be hooked or released only by rotating the hook in place, the rotary shaft can be more easily fixed, thereby simplifying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더욱이,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원단을 낱장(개별적)으로 공급하여 전사하는 피스방식과, 롤형 원단을 연속으로 공급하여 전사하는 롤방식, 모두를 필요에 따라 취사선택해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범용성이 매우 뛰어날 뿐만 아니라, 공간활용성 및 운용효율이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a piece type in which the cloths are fed in a single sheet (individually) and a roll type in which the roll type cloth is continuously fed and transferred can be selected and used as needed, It is not only excellent, but also has an advantage of improving space utilization and operating efficiency.
또한, 기존에 사용하던 본체를 더 확장하지 않고도 제1바디와 제2바디의 여분의 공간에 구성요소들을 적절하게 배치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컴팩트한 제조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mponents can be appropriately disposed in an extra space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without further expanding the conventional body,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compactly,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There is an advantage.
더욱이, 동력풀리 구동수단과 원단감지센서에 의해 원단이 미리 풀린 상태에서 공급되므로 원단에 과도한 장력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Furthermore, since the fabric is supplied in a state in which the fabric has been previously unwound by the power pulley drive means and the fabric detection sensor, there is an advantage that excessive tension can be suppressed from being generated in the fabric.
나아가, 원단 및 전사지가 열전사유닛으로 공급될 때에 티슈를 함께 공급되도록 하여 원단을 투과하는 오염원이 티슈에 모두 흡수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벨트의 오염(또는 이염)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원단이 오염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함으로써 제품불량품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Further, when the fabric and the transfer paper are supplied to the thermal transfer unit, the tissue is supplied together so that the contamination source penetrating the fabric can be absorbed by the tissue, thereby preventing the belt from being dirty (or dyed) By fundamentally eliminating the problem, there is an advantage that product defective products can be drastically reduced.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동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동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동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요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동장치를 갖춘 하이브리드 전사기의 제1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동장치를 갖춘 하이브리드 전사기의 제2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동장치를 갖춘 하이브리드 전사기의 제3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of an inter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inter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inter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hybrid transfer machine equipped with a lin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hybrid transfer machine equipped with a lin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a hybrid transfer machine equipped with a lin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동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동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동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요부사시도이다.
FIG. 3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inter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ter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lambship perspective.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연동장치는, 바디(A)와 드럼설치대(B)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S. 1 to 4, the inter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body A and a drum mounting base B.
상기 바디(A)는 제1·2바디부(11A,11B)와 동력풀리(62), 동력풀리 구동수단(63), 제1·2지지풀리(64,64')로 구성되며, 여기에 가이드풀리(65)와 링(66) 및 후크(6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body A is composed of first and
상기 드럼설치대(B)는 회전축(B1)과 연동풀리(B2)로 구성된다.
The drum mount B comprises a rotating shaft B1 and an interlocking pulley B2.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2바디부(11A,11B)는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부재로서, 설치대장착부(11b)를 구비하며, 설치대장착부(11b)는 가이드홀(11b-1)과 수용홈(11b-2)으로 구성된다.1 to 4, the first and
여기서, 상기 가이드홀(11b-1)은 연동풀리(B2)가 설치된 회전축(B1)을 내측으로 가이드하는 기능을 하고, 수용홈(11b-2)은 인입된 회전축(B1)이 수용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The
특히, 상기 수용홈(11b-2)은 수용되는 회전축(B1)을 쉽게 유도할 수 있으면서도 수용 후에는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최대한 제한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Particularly, the
또한, 상기 제1·2바디부(11A,11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경사홀(11b-3)이 보강될 수 있으며, 이 경사홀(11b-3)에는 이후에 설명될 가이드풀리(65)가 회전 및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동력풀리(62)는 제1바디부(11A)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좀 더 명확하게는 제1바디부(11A)의 수용홈(11b-2) 보다 낮으면서 전방에 배치되게 설치된다.1 to 4, the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동력풀리(62)는 연동풀리(B2)를 지지하면서 상호 맞물리며, 동력풀리 구동수단(63)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연동풀리(B2)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한다.In this embodiment, the
일 예로서, 단순히 드럼설치대(B) 즉, 연동풀리(B2)가 설치된 회전축(B1)을 동력풀리(62)와 제1지지풀리(64) 및 제2지지풀리(64')에 상호 맞물리게 설치한 상태에서 구동을 할 경우, 자칫 반복적인 미세진동에 의해 회전축(B1)이 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정위치를 벗어나 원활한 구동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As an example, the rotating shaft B1 provided with the drum mounting base B, that is, the interlocking pulley B2, is installed so as to be interlocked with the
이에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연동풀리(B2)의 둘레면을 따라 요홈(B2a)을 형성하고, 이 요홈(B2a)에 동력풀리(62)와 제1지지풀리(64)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였다.In this embodiment, a groove B2a is formed along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interlocking pulley B2 and a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연동풀리(B2)의 요홈(B2a)으로 동력풀리(62)와 제1지지풀리(64)가 삽입되어 상호 맞물림에 따라 회전축(B1)에 미세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요홈(B2a)에 삽입된 동력풀리(62)와 제1지지풀리(64)에 의해 회전축(B1)이 횡 방향으로 이동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고, 별도의 이동방지용 부재를 회전축(B1)에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설치구조를 단순화시킴은 물론 설치 및 이탈작업이 더욱더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Even though the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동력풀리 구동수단(63)은 (서보)모터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동력풀리(62)가 설치된 바디(A)에 설치되어 동력풀리(62)를 강제로 회전시키는 기능을 한다.
1 to 4, the power pulley driving means 63 is a (servo) moto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wer pulley driving means 63 is provided in the body A provided with the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지지풀리(64)는 동력풀리(62)가 설치된 제1바디부(11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좀 더 명확하게는 제1바디부(11A)의 수용홈(1b-2) 보다 낮으면서 후방에 배치되어서 연동풀리(B2)를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1 to 4, the first supporting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2지지풀리(64')는 한 쌍을 이루며, 제2바디부(11B)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좀 더 명확하게는 제2바디부(11B)의 수용홈(11b-2) 보다 낮으면서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되게 설치되어 회전축(B1)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2, the second support pulleys 64 'are formed as a pair and are rotatably installed on the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풀리(65)는 제1·2바디부(11A,11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 경사홀(11b-3)에 이동 및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좀 더 명확하게는 수용홈(11b-2)보다 높으며 후방에 배치되게 설치되어 동력풀리(62)와 제1지지풀리(64) 사이 및 제2지지풀리(64') 사이에 연동풀리(B2) 및 회전축(B1)이 안착되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한다.1 to 4, the
또한, 상기 가이드풀리(65)는 연동풀리(B2)와 회전축(B1)의 구동시 상호 맞대어져 있어 미세한 진동을 잡아주는 기능을 함께 겸한다.
The
일 예로서, 상기 연동풀리(B2)가 설치된 회전축(B1)은 제1·2바디부(11A,11B)의 가이드홀(11b-1)을 거쳐 수용홈(11b-2)으로 삽입되는데, 연동풀리(B2)는 동력풀리(62)와 제1지지풀리(64) 사이에 자중에 의한 압입으로 안착되어 상호 맞물리고, 회전축(B1)은 제2지지풀리(64') 사이에 자중에 의한 압입으로 안착되어 맞대어진다.The rotary shaft B1 provided with the interlocking pulley B2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상기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동력풀리 구동수단(63)을 매개로 동력풀리(62)를 회전시켜 주게 되면, 동력풀리(62)가 회전하게 되고, 동력풀리(62)와 맞물려있던 연동풀리(B2)가 자연스럽게 회전하게 되며, 연동풀리(B2)의 회전으로 인해 회전축(B1)이 회전하게 된다.When the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연동풀리(B2)를 갖춘 회전축(B1)을 바디(A)의 수용홈(11b-2)에 삽입시켜 주는 것만으로도 연동풀리(B2) 및 회전축(B1)이 동력풀리(62)와 제1지지풀리(64) 및 제2지지풀리(64')에 상호 맞물리는 구조를 이루게 되며, 사용 후 교체가 필요한 경우 별다른 조작 없이 드럼설치대(B)를 외부로 인출하면 되므로 설치 및 이탈작업이 매우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Therefore, only the interlocking pulley B2 and the rotating shaft B1 ar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한편, 상기 동력풀리(62)와 연동풀리(B2)가 상호 맞물린 상태에서 동력풀리(62)의 회전에 의해 연동풀리(B2)가 회전하게 되는데, 동력풀리(62)와 연동풀리(B2)가 맞대어지는 면이 매끄러운 경우 자칫 슬립이 발생하게 되면서 원활한 구동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The
이에, 본 실시 예의 경우, 상호 간의 마찰력 증강을 위해 동력풀리(62)의 둘레면을 널링(knurling;도 1 및 도 2 참조) 해주거나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풀리(62)의 둘레면에 고무재질의 링(66)을 보강하여 동력풀리(62)와 연동풀리(B2) 간에 슬립발생이 최소화되도록 하였다.1 and 2) of the
특히, 상기 동력풀리(62)에 고무재질의 링(66)을 설치함에 앞서, 동력풀리(62)의 둘레면에 요홈을 형성하고, 이 요홈에 링(66)을 삽입하여 링(66)의 이탈을 방지토록 함이 바람직하다.Particularly, before installing the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동력풀리(62)의 둘레면을 널링(knurling)해 표면을 거칠게 하거나, 또는 둘레면에 고무재질의 링(66)을 보강해 줌으로서 동력풀리(62)와 연동풀리(B2) 간에 슬립발생이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다 확실하게 동력을 전달할 수 있어 동력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후크(67)는 제1·2바디부(11A,11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수용홈(11b-2)에 안착된 회전축(B1)에 후크(67)를 걸어 회전축(B1)이 수용홈(11b-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기능을 한다.1 to 4, the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후크(67)를 제자리에서 회전시켜 주는 것만으로 회전축(B1)에 걸거나 또는 풀어줄 수 있기 때문에 회전축(B1)을 보다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설치 및 해체작업이 매우 간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한편, 이하에서는 연동장치를 갖춘 하이브리드 전사기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hybrid transfer machine equipped with the interlocking devic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앞선 실시 예에의 바디(A)의 경우 이후 실시 예의 설명에서는 제1바디(11)로 지칭되며, 설치대장착부(11b)의 경우 공급용 원단드럼 설치부(11b)로 지칭된다.
First, in the case of the body A in the previous embodiment, the
본 발명의 주된 특징은 원단(F)을 낱장(개별적)으로 공급하여 전사하는 피스방식(제1실시 예)과, 롤형 원단(F)을 연속으로 공급하여 전사하는 롤방식(제2실시 예), 모두를 하나의 장치에서 필요에 따라 취사선택해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주기 바란다.
The main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roll type (second embodiment) in which the cloth F is fed in a sheet-fed manner (first embodiment) and the roll type (F) , Please note that all of them can be selected and used by one device as neede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사기의 제1실시 예(피스방식)를 도시한 도면이다.
5 is a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piece method) of the hybrid transdu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피스방식)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사기는, 본체(10)와 열전사유닛(20), 피스방식용 롤러(30), 메인안내롤러(40) 및 권취용 메인드럼 구동수단(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5, the hybrid transfer machi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piec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10)는 제1바디(11)와 제2바디(12) 및 작업대(13)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5, the
상기 제1바디(11)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한 쌍의 판으로 구성(도 1 및 도 2 참조)되며, 공급용 전사지드럼 설치부(11a)와, 공급용 원단드럼 설치부(11b), 및 권취용 전사지드럼 설치부(11c)를 구비한다.The
여기서, 상기 공급용 원단드럼 설치부(11b)는 가이드홀(11b-1)과 수용홈(11b-2)으로 구성된다.Here, the supplying-source
상기 제2바디(12) 또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한 쌍의 판으로 구성되며, 권취용 메인드럼 설치부(12a)를 구비한다.The
상기 작업대(13)는 양쪽 선단부가 각각 제1·2바디(11,12) 사이에 설치되며며, 명확하게는 제1·2바디(11,12)의 상부 사이에 설치된다.
The work table 13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and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열전사유닛(20)은 히팅드럼(21)과 밀착기구(22) 및 구동풀리 구동수단(23)으로 구성되어 제2바디(12)에 설치되는 장치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히팅드럼(21)과 밀착기구(22) 사이로 인입된 전사지(P)와 원단(F)을 가압(압착)함과 동시에 열을 가하여 전사지(P)의 인쇄물이 원단(F)에 전사되도록 한 후 이를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Referring to FIG. 5, the
상기 히팅드럼(21)은 내부에 히터(미도시)가 구비된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제2바디(1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The
상기 밀착기구(22)는 히팅드럼(21)의 둘레에 인접배치되며 구동풀리 구동수단(23)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풀리(22a)와, 종동풀리(22b) 그리고, 구동풀리(22a)와 종동풀리(22b)를 감싸 구동풀리(22a)로부터 동력을 종동풀리(22b)로 전달하며 히팅드럼(21)의 둘레면에 밀착되어 히팅드럼(21)을 회전시키는 벨트(22c)로 구성된다.The
상기 구동풀리 구동수단(23)은 (서보)모터로서, 구동풀리(22a)와 연결수단(예:벨트, 체인 등)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어 구동풀리(22a)를 구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The drive pulley drive means 23 is a (servo) motor and is connected to the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구동풀리(22a)는 구동풀리 구동수단(23)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고, 구동풀리(22a)의 회전으로 인해 구동풀리(22a)를 경유하는 벨트(22c)가 회전하며, 이로 인해 구동풀리(22a)와 벨트(22c)를 매개로 상호 연결된 종동풀리(22b)가 회전하게 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또한, 상기 벨트(22c)가 회전함에 따라 벨트(22c)와 맞대어져 있는 히팅드럼(21) 역시 함께 회전하게 된다.Also, as the
참고로, 상기 벨트(22c)와 히팅드럼(21) 사이의 이격도를 조절하기 위해 종동풀리(22b)의 일부는 이동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a part of the driven
한편, 종래처럼 구동풀리 구동수단(23)을 구동풀리(22a)와 연결하지 않고 히팅드럼(21)과 연결수단(예:벨트, 체인 등)을 매개로 상호 연결하여 히팅드럼(21)을 회전시켜 줌으로서 마찰력에 의해 벨트(22c)를 회전시키는 형태로 변형실시될 수도 있다.
The driving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피스방식용 롤러(30)는 제2바디(1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열전사유닛(2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사지(P)를 권취용 메인드럼 설치부(12a)로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1, the piece-
일 예로서, 상기 피스방식용 롤러(30)는 제2바디(12)로부터 돌출된 지지대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As one example, the piece-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안내롤러(40)는 제2바디(1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열전사유닛(2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사지(P)를 피스방식용 롤러(30)로 안내하거나, 열전사유닛(20)으로부터 공급되는 원단(F)을 권취용 메인드럼 설치부(12a)로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1, the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피스방식용 롤러(30)는 전사지(P)를 메인안내롤러(40)로부터 공급받아 권취용 메인드럼 설치부(12a)로 안내하게 되는데, 메인안내롤러(40)에서부터 피스방식용 롤러(30)까지의 이송구간에서는 전사지(P)가 자연스럽게 컨베이어 역할을 하며, 이를 매개로 원단(F)이 원활하게 이송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iece-
한편, 상기 제2바디(12)에는 전사지(P)와 원단(F)이 피스방식용 롤러(30)를 경유하는 과정에 낙하하는 원단(F)을 수거할 수 있는 수거함이 설치될 수 있다.
The
상기 권취용 메인드럼 구동수단(90)은 (서보)모터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제2바디(12)에 설치되어, 권취용 메인드럼 설치부(12a)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권취용 원단드럼(D4) 또는 권취용 전사지드럼(D3)을 구동하는 기능을 한다.The winding main drum driving means 90 is a (servo) moto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inding main drum driving means 90 is provided on the
본 실시 예에서는 메인안내롤러(40) 및 피스방식용 롤러(30)에 의해 전사지(P)가 안내됨에 따라 권취용 전사지드럼(D3)이 권취용 메인드럼 설치부(12a)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The transfer sheet P is guided by th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1실시 예(피스방식)의 동작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first embodiment (piece method)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제1바디(11)의 공급용 전사지드럼 설치부(11a)에 전사지(P)가 권취된 공급용 전사지드럼(D1)을 거치해 준 다음, 전사지(P)를 작업대(13)와 열전사유닛(20), 메인안내롤러(40) 및 피스방식용 롤러(30)를 거치도록 경유시켜 준 다음 권취용 전사드럼(D3)에 감아준다.The transfer sheet P is transferred to the work table 13 and the thermal transfer sheet P is transferred to the transfer
이때, 상기 공급용 전사지드럼(D1)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수용홈(11c)에 인접배치된 후크(H)를 걸어 고정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hook H arranged adjacent to the receiving
상기와 같이 전사지(P)를 설치한 상태에서 구동풀리 구동수단(23)과 권취용 메인드럼 구동수단(90)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구동풀리 구동수단(23)에 의해 히터드럼(21)과 밀착기구(22)가 상호 맞대어진 상태로 회전하게 되고, 메인드럼 구동수단(90)에 의해 권취용 전사지드럼(D3)이 구동되면서 전사지(P)를 서서히 감게 되며, 이로 인해 공급용 전사지드럼(D1)이 회전하게 되면서 전사지(P)를 풀게 된다.When power is applied to the drive pulley drive means 23 and the winding main drum drive means 90 in the state where the transfer paper P is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the drive pulley drive means 23 drives the
그리고, 상기 작업대(13)를 따라 이동하는 전사지(P)의 상면으로 낱장(피스)의 원단(F)을 얹혀 함께 이동되도록 하며, 서로 중첩된 전사지(P)와 원단(F)은 열전사유닛(20)으로 진입하게 된다.The cloth F of the sheet P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sheet P moving along the work table 13 and is moved together with the transfer sheet P and the cloth F overlapped with each other, (20).
상기 열전사유닛(20)으로 진입된 전사지(P)와 원단(F)는 히터드럼(21)과 밀착기구(22)에 의해 가압(압착) 및 가열됨에 따라 전사지(P)의 인쇄물이 원단(F)에 전사되며, 전사지(P)와 원단(F)은 열전사유닛(20)을 통과해 메인안내롤러(40)를 지나 피스방식용 롤러(30)로 공급된다.The transfer sheet P and the fabric F which have entered the
이때, 상기 메인안내롤러(40)로부터 피스방식용 롤러(30)로 공급되는 전사지(P)는 일종의 컨베이어 역할을 함에 따라 원단(F)은 전사지(P)를 매개로 이송되고, 이송된 원단(F)은 전사지(P)로부터 분리하며, 전사지(P)는 피스방식용 롤러(30)를 지나 권취용 전사지드럼(D3)에 권취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transfer sheet P supplied from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사기는 롤방식으로 전환이 가능하며, 이를 도 6과 같이 도시하였다.Meanwhile, the hybrid transdu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witched to roll mode, as shown in FIG.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사기의 제2실시 예(롤방식)를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roll system) of the hybrid transdu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사기의 제2실시 예(롤방식)는, 앞선 제1실시 예의 구성에 롤방식용 롤러(50)와 연동장치, 원단감지센서(70) 및 권취용 전사지드럼 구동수단(80)이 더 보강되며, 권취용 메인드럼 설치부(12a)에는 권취용 전사지드럼(D3) 대신 권취용 원단드럼(D4)이 설치되고, 권취용 전사지드럼(D3)은 권취용 전사지드럼 설치부(11c)에 설치된다.
The second embodiment (roll type) of the hybrid impregn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the roll type roller 50 and the interlocking device, the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롤방식용 롤러(50)는 제2바디(1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열전사유닛(2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사지(P)를 권취용 전사지드럼 설치부(11c)로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6, the roll type roller 5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연동장치는 제1바디(11)와 드럼설치대(B)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6, the interlocking device includes a
상기 제1바디(11)는 제1·2바디부(11A,11B)와 동력풀리(62), 동력풀리 구동수단(63), 제1·2지지풀리(64,64')로 구성되며, 여기에 가이드풀리(65)와 링(66) 및 후크(6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드럼설치대(B)는 회전축(B1)과 연동풀리(B2)로 구성되며, 회전축(B1)에는 공급용 원단드럼(D2)이 설치된다.
The drum mount B is composed of a rotary shaft B1 and an interlocking pulley B2 and the rotary drum B1 is provided with a feed drum D2.
상기 제1바디부(11A)에는 동력풀리(62), 동력풀리 구동수단(63), 제1지지풀리(64)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바디부(11B)에는 한 쌍의 제2지지풀리(64')가 설치된다.
A
상기 동력풀리 구동수단(63)은 (서보)모터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제1바디(11)에 설치되어, 회전축(B1)에 고정된 공급용 원단드럼(D2)을 구동하는 기능을 하며, 원단감지센서(70)에 의해 동작제어된다.
The power pulley drive means 63 is a (servo) motor. In this embodiment, the power pulley drive means 63 is provided in the
상기 연동장치의 경우 이미 앞선 실시 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해 앞선 설명으로 대신한다.
Since the interlocking device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in the previous embodiment, it is replaced with the preceding description in order to avoid redundant description.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원단감지센서(70)는 제1바디(11), 좀 더 명확하게는 동력풀리 구동수단(63)이 설치된 제1바디부(11A)에 설치되어, 원단(F)을 감지해 동력풀리 구동수단(63)을 동작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6, the
일 예로서, 상기 동력풀리 구동수단(63)에 의해 동력풀리(62)가 회전하게 되고, 이와 맞물려 있는 연동풀리(B2)가 회전하게 되면서 회전축(B1)이 함께 회전하게 되며, 회전축(B1)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축(B1)에 고정된 공급용 원단드럼(D2)이 회전되면서 권취된 원단(F)이 서서히 풀리면서 늘어지게 되고, 이와 같이 늘어진 원단(F)과의 거리를 원단감지센서(70)가 감지하게 된다.The
이때, 원단(F)과의 간격이 일정거리 내에 있다면 동력풀리 구동수단(63)은 동작하지 않지만, 일정거리를 벗어난 경우 원단감지센서(70)는 감지신호를 동력풀리 구동수단(63)으로 출력하게 되고, 동력풀리 구동수단(63)은 이를 전달받아 원단감지센서(70)와 원단(F)이 일정거리 내에 위치할 때까지 공급용 원단드럼(D2)을 회전시켜 원단(F)을 풀어주게 된다. At this time, if the distance from the fabric F is within a certain distance, the power pulley driving means 63 does not operate. However, when the distance is out of a certain distance, the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동력풀리 구동수단(63)과 원단감지센서(70)에 의해 공급용 원단드럼(D2)에 권취된 원단(F)이 항상 일정길이로 풀린 상태에서 공급되므로 원단(F)에 과도한 장력발생 및 신축에 의한 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fabric F wound around the supply source drum D2 by the power pulley drive means 63 and the
한편, 상기 제1바디(11)에는 공지의 장력조절기(Ts)가 설치되는데, 장력조절기(Ts)에는 원단(F)이 경유하여 통과되도록 설치되며, 원단(F)에 가해지는 장력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A known tension adjuster Ts is installed in the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권취용 전사지드럼 구동수단(80)은 (서보)모터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제1바디(11)에 설치되어, 권취용 원단드럼 설치부(11c)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권취용 전사지드럼(D3)을 구동하는 기능을 한다.
Referring to Fig. 6, the winding transfer drum driving means 80 is a (servo) motor. In this embodiment, the transfer drum driving means 80 is provided on th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2실시 예(롤방식)의 동작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roll system)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제1바디(11)에 형성된 공급용 전사지드럼 설치부(11a)의 가이드홀(11b-1) 및 수용홈(11b-2)으로 회전축(B1)을 매개로 전사지(P)가 권취된 공급용 전사지드럼(D1)을 거치해 준 다음, 전사지(P)를 작업대(13)와 열전사유닛(20) 및 롤방식용 롤러(50)를 거치도록 경유시켜 준 상태에서 권취용 전사지드럼 설치부(11c)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권취용 전사지드럼(D3)에 감아준다.First, a transfer sheet P is wound around a rotary shaft B1 by a
또한, 제1바디(11)의 공급용 원단드럼 설치부(11b)에 원단(F)이 권취된 공급용 원단드럼(D2)을 거치해 준 다음, 원단(F)을 장력조절기(Ts)와 작업대(13), 열전사유닛(20), 메인안내롤러(40)를 거치도록 경유시켜 준 상태에서 권취용 메인드럼설치부(12a)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권취용 원단드럼(D4)에 감아준다.After the raw material drum D2 on which the raw fabric F is wound is placed on the raw material
상기와 같이 세팅된 상태에서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각 구동수단이 동작하게 되는데, 이를 좀 더 상세하세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the power is applied in the set state 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driving means operates,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먼저, 구동풀리 구동수단(23)에 의해 히터드럼(21)과 밀착기구(22)가 상호 맞대어진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First, the
또한, 권취용 전사지드럼 구동수단(80)에 의해 권취용 전사지드럼(D3)이 구동되면서 전사지(P)를 서서히 감게 되며, 이로 인해 공급용 전사지드럼(D1)이 회전하게 되면서 전사지(P)를 풀게 된다.The transfer paper P is slowly wound while the winding paper S for the take-up transfer drum D3 is driven by the take-up transfer paper drum driving means 80 so that the transfer paper S is rotated, It is solved.
그리고, 동력풀리 구동수단(63)에 의해 동력풀리(62)가 회전하게 되고, 이와 맞물려 있는 연동풀리(B2)가 회전하게 되면서 회전축(B1)이 회전하게 되며, 회전축(B1)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축(B1)에 고정된 공급용 원단드럼(D2)이 회전되면서 권취된 원단(F)이 서서히 풀리면서 늘어지게 되는데, 이때 원단(F)과의 간격을 원단감지센서(70)가 감지하여 동력풀리 구동수단(63)을 동작제어하게 된다.The
또한, 권취용 메인드럼 구동수단(90)에 의해 권취용 원단드럼(D4)이 구동되면서 원단(F)을 서서히 감게 되며, 이로 인해 풀려 있던 원단(F)은 장력조절기(Ts)를 경유해 작업대(13)로 이송된다.The fabric F is slowly wound while the winding drum D4 is driven by the winding main drum driving means 90 so that the loose fabric F is loosened by the tension adjuster Ts, (13).
상기 작업대(13)를 따라 이동하는 전사지(P)와 원단(F)은 열전사유닛(20)으로 진입하게 되는데, 진입된 전사지(P)와 원단(F)은 히터드럼(21)과 밀착기구(22)에 의해 가압(압착) 및 가열됨에 따라 전사지(P)의 인쇄물이 원단(F)에 전사되며, 전사지(P)는 열전사유닛(20)을 통과해 롤방식용 롤러(50)를 지나 권취용 전사지드럼(D3)에 권취되고, 원단(F)은 열전사유닛(20)을 통과해 메인안내롤러(40)를 지나 권취용 원단드럼(D4)에 권취된다.The transfer paper P and the fabric F moving along the work table 13 enter the
한편, 원단(F)이 지속적으로 공급됨에 따라 일정길이로 풀려 있던 원단(F)과 원단감지센서(70) 간에 간격이 점점 벌어지게 되는데, 이와 같이 일정거리를 벗어난 경우 원단감지센서(70)는 감지신호를 동력풀리 구동수단(63)으로 출력하게 되고, 동력풀리 구동수단(63)은 이를 전달받아 원단감지센서(70)와 원단(F)이 일정거리 내에 위치할 때까지 공급용 원단드럼(D2)을 회전시켜 원단(F)을 풀어주게 된다. As the fabric F is continuously supplied, the gap between the fabric F and the
따라서, 동력풀리 구동수단(63)과 원단감지센서(70)에 의해 공급용 원단드럼(D2)에 권취된 원단(F)이 항상 일정길이로 풀린 상태에서 공급되므로 원단(F)에 과도한 장력발생 및 신축에 의한 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refore, since the fabric F wound around the supply source drum D2 by the power pulley drive means 63 and the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원단(F)을 낱장(개별적)으로 공급하여 전사하는 피스방식(제1실시 예)과, 롤형 원단(F)을 연속으로 공급하여 전사하는 롤방식(제2실시 예), 모두를 하나의 장치에서 필요에 따라 취사선택해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범용성이 매우 뛰어날 뿐만 아니라, 공간활용성 및 운용효율이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re are provided a piece type (first embodiment) in which the fabrics F are fed in a single sheet (individual) and a roll type (second embodiment) in which the roll type fabric F is continuously fed, , All of which can be selected and used in a single apparatus according to need, which is very versatile and has an advantage of improving space utilization and operating efficiency.
또한, 기존에 사용하던 본체(10)를 더 확장하지 않고도 제1바디(11)과 제2바디(12)의 여분의 공간에 구성요소들을 적절하게 배치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컴팩트한 제조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arrange the components in the extra space of the
한편, 권취된 전사지(P) 및 원단(F)이 전부 소진되어 교체가 필요한 경우, 공급용 전사지드럼(D1)과 공급용 원단드럼(D2)을 억류하고 있는 후크(H,67)를 각각 회동시켜 고정상태를 해제한 다음, 새로운 공급용 전사지드럼(D1)과 공급용 원단드럼(D2)으로 교체 후, 후크(H,67)를 걸어 고정해주면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rolled transfer paper P and the fabric F are completely consumed and need to be replaced, the hooks H and 67, which are holding the supply transfer drum D1 and the supply source drum D2, The transfer material drum D1 and the supply material drum D2 are replaced with each other, and the hooks H and 67 are hooked and fixed.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사기의 제3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hybrid transdu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사기의 제3실시 예는, 앞선 제2실시 예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다만 공급용 티슈드럼 설치부(12b)와 권취용 티슈드럼 설치부(12c) 및 권취용 티슈드럼 구동수단(100)이 더 보강 구비된다는 점만 상이하다.
The third embodiment of the hybrid transdu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tructure of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except that the feed-use tissue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공급용 티슈드럼 설치부(12b)와, 권취용 티슈드럼 설치부(12c)는 제2바디(12)에 구비된다.Referring to FIG. 7, the supply-side tissue
상기 공급용 티슈드럼 설치부(12b)에는 티슈(T)가 권취된 공급용 티슈드럼(D5)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권취용 티슈드럼 설치부(12c)에는 티슈(T)를 권취하는 권취용 티슈드럼(D6)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The supply tissue
상기 권취용 티슈드럼 구동수단(100)은 (서보)모터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제2바디(12)에 설치되어, 권취용 티슈드럼 설치부(12c)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권취용 티슈드럼(D6)을 구동하는 기능을 한다.The winding tissue drum driving means 100 is a (servo) motor.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winding tissue drum driving means 100 is provided on the
이때, 메인안내롤러(40)는 열전사유닛(20)으로 인입된 티슈(T)를 열전사유닛(20)으로부터 전달받아 권취용 티슈드럼 설치부(12c)로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At this time, the
여기서, 상기 티슈(T)는 원단(F)과 열전사유닛(20)의 벨트(22c) 사이에 배치되어 벨트(22c)가 오염(또는 이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The tissue T is disposed between the fabric F and the
일 예로서, 상기 열전사유닛(20) 내에서 전사지(P)에 인쇄물이 원단(F)에 전사(프린팅)되는데, 이 과정에 인쇄물의 화학성분이 원단(F)을 투과할 경우 자칫 벨트(22c)를 오염(또는 이염)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원단(F)을 함께 오염시켜 불량품을 양산하게 되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For example, in the
따라서, 상기 원단(F) 및 전사지(P)가 열전사유닛(20)으로 공급될 때에 티슈(T)를 함께 공급하여 벨트(22c)가 오염(또는 이염)되는 것을 방지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It is therefore preferable to supply the tissue T together when the fabric F and the transfer paper P are supplied to the
일 예로서, 상기 공급용 티슈드럼(D5)에 권취된 티슈(T)를 열전사유닛(20) 및 메인안내롤러(40)를 경유해 권취용 티슈드럼(D6)에 감아준 상태에서 권취용 티슈드럼 구동수단(100)을 동작시켜주게 되면, 서서히 티슈(T)가 권취용 티슈드럼(D6)에 감기게 되고 공급용 티슈드럼(D5)에 권취된 티슈(T)는 서서히 풀리면서 공급된다.
The tissue T wound around the supplying tissue drum D5 is wound around the winding drum T6 via the
한편, 본 실시 예의 경우 구동풀리 구동수단(23)과 권취용 전사지드럼 구동수단(80), 권취용 메인드럼 구동수단(90) 및 권취용 티슈드럼 구동수단(100)이 개별구동되는 것을 도시 및 기재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예컨대 이들을 하나의 동력으로부터 구동될 수 있게 변형실시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drive pulley drive means 23, the transfer paper transfer drum drive means 80, the winding main drum drive means 90 and the take-up tissue drum drive means 100 are separately drive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modified to be driven from a single power source, for example.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
P: 전사지 F: 원단 T: 티슈
10: 본체 11: 제1바디
11a: 공급용 전사지드럼 설치부 11b: 공급용 원단드럼 설치부
11c: 권취용 전사지드럼 설치부 12: 제2바디
12a: 권취용 메인드럼 설치부 12b: 공급용 티슈드럼 설치부
12c: 권취용 티슈드럼 설치부 13: 작업대
20: 열전사유닛 21: 히팅드럼 22: 밀착기구
22a: 구동풀리 22b: 종동풀리 22c: 벨트
23: 구동풀리 구동수단 30: 피스방식용 롤러 40: 메인안내롤러
50: 롤방식용 롤러 60: 연동장치 61: 회전축
61a: 연동풀리 61a-1: 요홈 62: 동력풀리
63: 동력풀리 구동수단 64: 제1지지풀리 64': 제2지지풀리
65: 가이드롤러 66: 링 67: 후크
70: 원단감지센서 80: 권취용 전사지드럼 구동부
90: 권취용 메인드럼 구동수단 100: 권취용 티슈드럼 구동수단
D1: 공급용 전사지드럼 D2: 공급용 원단드럼 D3: 권취용 전사지드럼
D4: 권취용 원단드럼 D5: 공급용 티슈드럼 D6: 권취용 티슈드럼
Ts: 장력조절기 11b-1: 가이드홀 11b-2: 수용홈
11b-3: 경사홀P: Transfer paper F: Fabric T: Tissue
10: main body 11: first body
11a: Supply transfer
11c: winding drum for installing transfer drum 12: second body
12a: winding main
12c: a take-up tissue drum mounting portion 13: a work table
20: thermal transfer unit 21: heating drum 22:
22a: drive
23: driving pulley driving means 30: roller for piece method 40: main guide roller
50: roller for roll system 60: interlocking device 61:
61a: interlocking
63: power pulley drive means 64: first support pulley 64 ': second support pulley
65: guide roller 66: ring 67: hook
70: Fabric detection sensor 80: Driving drum drive unit for winding
90: winding main drum driving means 100: winding-up tissue drum driving means
D1: Transfer drum Drum D2: Drum drum for supply D3: Drum drum for winding
D4: winding drum D5: supplying drum T6: winding drum
Ts:
11b-3: inclined hole
Claims (5)
상기 가이드홀을 통해 수용홈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며 제2지지풀리에 의해 지지되는 회전축과;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요홈을 갖추고서, 회전축에 고정되며, 요홈을 통해 인입된 동력풀리와 제1지지풀리에 의해 지지되면서 동력풀리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연동풀리;로 구성된 드럼설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장치.
A first and a second body portion having a mounting hole for receiving a rotary shaft and a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rotary shaft, the first and second body portions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power pulley disposed forwardly and lower than a receiving groove of the first body part and rotatably installed in the first body part; A power pulley driving means provided in the first body portion for driving the power pulley; A first support pulley dispos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first body part and disposed rearwardly and rotatably installed in the first body part; And a pair of second support pulleys dispos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second body portion and lower than the receiving recesses of the second body portion and rotatably mounted on the second body portion.
A rotation shaft which is rotatably received in the receiving groove through the guide hole and is 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ing pulley; And a driven pulley fixed to the rotating shaft, the driven pulley being supported by the first pulley and the power pulley received through the groove, and being rot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pulley Wherein the interlocking device is provided with an interlocking device.
상기 제1·2바디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수용홈보다 높으며 후방에 배치되는 경사홀이 보강 구비되고;
상기 경사홀에 이동 및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동력풀리와 제1지지풀리 사이 및 제2지지풀리 사이에 연동풀리 및 회전축이 안착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풀리;가 더 보강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body portions is provided with a reinforcing inclined hole which is higher than the receiving groove and disposed at the rear side;
And a guide pulley movably and rotatably installed in the inclined hole and guiding the interlocking pulley and the rotary shaft between the power pulley and the first support pulley and between the power pulley and the second support pulley are further reinforced. .
상기 동력풀리의 외주면에는 연동풀리와의 마찰력을 증강시키기 위한 링이 보강 구비되거나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ring for reinforcing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interlocking pulley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wer pulley, or irregularitie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wer pulley.
상기 제1·2바디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회전축을 걸어 수용홈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토록 하는 후크;가 더 보강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body portions has,
And a hook for preventing a deviation from a receiving groove by engaging a rotary shaft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상기 제1바디에 설치되어, 원단을 감지해 동력풀리 구동수단을 동작제어하는 원단감지센서;
상기 제1바디에 설치되어, 권취용 원단드럼 설치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권취용 전사지드럼을 구동하는 권취용 전사지드럼 구동수단;
상기 제2바디에 설치되어, 작업대로부터 공급되는 원단과 전사지를 가열하여 전사지의 인쇄물이 원단에 전사되도록 하는 열전사유닛;
상기 제2바디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메인안내롤러로부터 공급되는 전사지를 권취용 메인드럼 설치부로 안내하는 피스방식용 롤러;
상기 제2바디에 설치되어, 권취용 메인드럼 설치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권취용 원단드럼 또는 권취용 전사지드럼을 구동하는 권취용 메인드럼 구동수단;
상기 제2바디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열전사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사지를 피스방식용 롤러로 안내하거나, 열전사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원단을 권취용 메인드럼 설치부로 안내하는 메인안내롤러;
상기 제2바디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열전사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사지를 권취용 전사지드럼 설치부로 안내하는 롤방식용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장치를 갖춘 하이브리드 전사기.A first and a second body part having a guide hole for receiving a rotary shaft and a receiving material groove for receiving a rotary shaft received therein,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acing each other; A power pulley driving means provided in the first body portion and driven to drive the power pulley; a power pulley driving means disposed in the rear of the first body portion, A first support pulley rotatably installed in the body part; And a pair of second support pulleys disposed at front and rear sides of the second body portion and lower than the receiving recesses of the second body portion and rotatably installed in the second body portion, A first body having a portion; A second body having a winding main drum mounting portion; And a work table on which both end portions are installed o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respectively;
A fabric detection sensor installed on the first body for detecting a fabric and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power pulley driving means;
A take-up transfer paper drum drive means provided in the first body for driving a take-up transfer paper drum provided rotatably on the take-up original drum installation portion;
A thermal transfer unit installed on the second body for heating a raw material and a transfer sheet supplied from a work table to transfer the printed material of the transfer sheet to the raw material;
A piece-type roller rotatably installed on the second body and guiding a transfer sheet fed from the main guide roller to a winding main drum installation portion;
A main drum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winding drum or the winding drum for the winding which is provided on the second body and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winding main drum installation portion;
A main guide roller rotatably installed on the second body for guiding a transfer sheet supplied from the thermal transfer unit to a piece type roller or guiding a raw material supplied from the thermal transfer unit to a winding main drum mounting portion;
And a roll type roller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econd body and guides the transfer sheet fed from the thermal transfer unit to the winding drum for installing the transfer pap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3783A KR101825144B1 (en) | 2015-11-23 | 2015-11-23 | Interlocking device and Hybrid transfer machine hav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3783A KR101825144B1 (en) | 2015-11-23 | 2015-11-23 | Interlocking device and Hybrid transfer machine hav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59620A KR20170059620A (en) | 2017-05-31 |
KR101825144B1 true KR101825144B1 (en) | 2018-02-06 |
Family
ID=59052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63783A Active KR101825144B1 (en) | 2015-11-23 | 2015-11-23 | Interlocking device and Hybrid transfer machine hav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25144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45549A (en) | 2017-10-24 | 2019-05-03 | (주) 경일테크 | Easy-to-use roller fixing device |
CN108675030B (en) * | 2018-05-22 | 2019-10-22 | 合肥汉闻数字印刷设备有限公司 | Digital printer winds structure with automatic cutting |
KR102539651B1 (en) * | 2023-02-08 | 2023-06-05 | 이재완 | Pouch packing machine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91682A (en) * | 1997-04-17 | 1998-11-04 | Minolta Co Ltd | Image recording device |
JP2000062227A (en) | 1998-08-12 | 2000-02-29 | Eiposu:Kk | Indirect thermal transfer printing method for cut sheet |
JP2002531292A (en) | 1998-12-02 | 2002-09-24 | ソシエテ・アー・ペー・エス・エンジニアリング・エス・アー・エール・エル | Easy-to-close thermal printing device |
KR100385055B1 (en) * | 2001-01-31 | 2003-05-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apparatus for adjusting a head-gab of ink-jet printer |
JP2007054969A (en) | 2005-08-22 | 2007-03-08 | Funai Electric Co Ltd | Image forming device |
KR101040249B1 (en) | 2009-09-08 | 2011-06-09 | 김선기 | Decal comania fabric device |
JP2011194680A (en) * | 2010-03-18 | 2011-10-06 | Ricoh Co Ltd | Paper feed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KR101423705B1 (en) | 2013-08-06 | 2014-08-04 | 서정환 | Multiple processing apparatus |
-
2015
- 2015-11-23 KR KR1020150163783A patent/KR10182514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91682A (en) * | 1997-04-17 | 1998-11-04 | Minolta Co Ltd | Image recording device |
JP2000062227A (en) | 1998-08-12 | 2000-02-29 | Eiposu:Kk | Indirect thermal transfer printing method for cut sheet |
JP2002531292A (en) | 1998-12-02 | 2002-09-24 | ソシエテ・アー・ペー・エス・エンジニアリング・エス・アー・エール・エル | Easy-to-close thermal printing device |
KR100385055B1 (en) * | 2001-01-31 | 2003-05-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apparatus for adjusting a head-gab of ink-jet printer |
JP2007054969A (en) | 2005-08-22 | 2007-03-08 | Funai Electric Co Ltd | Image forming device |
KR101040249B1 (en) | 2009-09-08 | 2011-06-09 | 김선기 | Decal comania fabric device |
JP2011194680A (en) * | 2010-03-18 | 2011-10-06 | Ricoh Co Ltd | Paper feed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KR101423705B1 (en) | 2013-08-06 | 2014-08-04 | 서정환 | Multiple processing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59620A (en) | 2017-05-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09264B1 (en) | Hybrid transfer machine | |
KR101825144B1 (en) | Interlocking device and Hybrid transfer machine having the same | |
JP2008120602A (en) | Sheet transport device | |
JP5619844B2 (en) | Sheet feeding device | |
JP5142935B2 (en) | Roller device | |
JP5761858B2 (en) | Fixing device for sheet-fed electrophotographic printing machine | |
AU2017426690B2 (en) | Hybrid transcriber with improved workability | |
KR101968314B1 (en) | Hybrid transfer machine | |
EP0712729B1 (en) | Feeding unit | |
US4436296A (en) | Feeder device for folding machines | |
KR101135531B1 (en) | Decalcomania printing apparatus supplying transfer sheet automatically | |
KR102068191B1 (en) | Transfer machine having fabric unwinder device | |
KR20190019982A (en) | Hybrid transfer machine | |
JP2008279766A (en) | Device for supplying printing plate to plate cylinder | |
KR100387161B1 (en) | Apparatus for supplying wallpaper-stencil | |
KR20240168146A (en) | Transfering device for textile fabric | |
KR102045769B1 (en) | Transfer machine with removing to noxious gas | |
CN221320294U (en) | Cushion device for sewing | |
JPH1120972A (en) | Sheet convey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device | |
CN217807618U (en) | Feeding device of glazing machine | |
JP2803948B2 (en) | Plate making equipment | |
JP2001088417A (en) | Plate making equipment | |
JPH05117921A (en) | Automatic lap connection | |
KR100424903B1 (en) | an apparatus for sticking sheet to the paper pipe of adhesive tape automatically | |
JP5176597B2 (en) | Web automatic loading apparatus and web automatic loading method of printing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21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1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