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03534B1 -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rupting image acquisi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rupting image acquisi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3534B1
KR101803534B1 KR1020160087812A KR20160087812A KR101803534B1 KR 101803534 B1 KR101803534 B1 KR 101803534B1 KR 1020160087812 A KR1020160087812 A KR 1020160087812A KR 20160087812 A KR20160087812 A KR 20160087812A KR 101803534 B1 KR101803534 B1 KR 101803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emitting
emitting unit
image acquisition
im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78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일수
Original Assignee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87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353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3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3534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3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60Noise processing, e.g. detecting, correcting, reducing or removing nois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2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 H04N5/217
    • H04N5/2257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에 관한 것이며,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는, 미리 설정된 파장의 광을 발산하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광은,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의 광을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image acquisition obstruction device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light of a predetermined wavelength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And may include light in a wavelength range.

Description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RUPTING IMAGE ACQUISITION}[0001]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RUPTING IMAGE ACQUISITION [0002]

본원은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image acquisition.

오늘날 대부분의 무선통신 단말기에는 카메라가 구비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카메라가 구비된 무선통신 단말기(카메라폰)가 공중 화장실이나 목욕탕, 수영장 등에서 몰래 카메라로 사용되고 있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Most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today are equipped with cameras. In recent years,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camera phones) equipped with cameras have been used as secret cameras in public toilets, public baths, swimming pools and the like, which is a social problem.

이에 따라, 정보통신부는 카메라폰의 불법적인 사용을 규제하기 위해 카메라폰으로 사진 촬영 시, 빛을 발산하거나 신호음을 내도록 하여 촬영을 당하는 사람이 현재 사진 촬영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하도록 적극 유도하고 있으나, 편법 등으로 인해 그 효과가 미미한 실정이다.Accordingly,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t may be configured to allow the person who is being photographed to emit light or make a beep sound when photographing a camera phone to regulate the illegal use of the camera phone, Function, but the effect is insignificant due to the convenience method and the like.

한편, 일반적으로 몰래 카메라를 방지하기 위한, 무선 전파의 신호 세기 검출을 이용하는 무선 검출 방식과 렌즈의 반사 빛을 수동식으로 검출하는 렌즈 검출 방식을 이용하는 몰래 카메라 탐지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무선 검출 방식은 전문 FRO 장비와 숙련도를 필요로 하고, 정확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렌즈 검출 방식은 빨간색 광원을 쏘고 리드 필터(red filter)를 통해 육안으로 밝은 빛을 찾는 방식이기 때문에, 별도의 장비를 구비해야 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며 정확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general, a covert camera detection technique using a radio detection method that uses signal intensity detection of radio waves and a lens detection method that manually detects reflected light of a lens is used to prevent a camera in secret. However, the wireless detection method requires a professional FRO equipment and skill, and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accuracy is low. Since the lens detection method shoots a red light source and finds a bright light with the naked eye through a lead filter (red filter) And it takes a lot of time and accuracy.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598053호 (등록일: 2006.06.30)에 개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598053 (filed on June 30, 2006).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몰래 카메라 촬영에 의한 피해를 근절시킬 수 있는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preventing image acquisition that can eliminate damage caused by camera shooting.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순히 몰래 카메라를 탐지하는 것이 아니라 몰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내에 객체가 노이즈로 인해 식별 불가능하도록 하는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obstructing image acquisition that prevents an object from being unidentifiable due to noise in an image captured by a camera, .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technical scop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는, 미리 설정된 파장의 광을 발산하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광은,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의 광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acquisition obstruction device comprising: a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light having a predetermined wavelength;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May include light in a wavelength range that is recognizable by the image acquiring apparatus.

또한,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의 광은 인간 시야를 통한 광 인식이 불가능한 파장 범위에 포함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light in a wavelength range recognizable by the image acquiring apparatus can be set to be included in a wavelength range in which optical recognition through human vision is impossibl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산되는 광의 속성을 정해진 패턴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hange the property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attern.

또한, 상기 정해진 패턴은 상기 광의 속성을 불규칙한 주기에 따라 변경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determined pattern may change the property of the light according to an irregular period.

또한, 상기 정해진 패턴은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의 자동 초점 기능, 자동 노출 조절 기능 및 획득한 이미지의 후보정 기능 중 하나 이상에 대한 기능 수행이 교란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determined pattern may be set such that the performance of the function of at least one of the autofocus function, the automatic exposure adjustment function, and the acquired function of the acquired image of the image acquisition apparatus is disturbed.

또한, 상기 정해진 패턴은 광의 밝기 변화에 관한 패턴인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determined pattern may be a pattern related to a change in brightness of light.

또한, 상기 정해진 패턴은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의 이미지센서에 노이즈가 발생되도록 광이 불규칙적인 주기에 따라 점멸되는 패턴인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determined pattern may be a pattern in which light is blinked in an irregular period so that noise is generated in the image sensor of the image acquiring apparatus.

또한, 상기 광은, 근자외선 영역의 광 및 근적외선 영역의 광 중 인간 시야를 통한 광 인식이 불가능하고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의 광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 may include light in a near-ultraviolet region and light in a near-infrared region, which can not be recognized by human vision and can be recognized by the image acquiring apparatus.

또한, 상기 광은, 400nm 이하의 파장이되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를 갖는 광 및 680nm 이상의 파장이되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를 갖는 광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400 nm or less and having a wavelength range capable of being recognized by the image acquiring apparatus and light having a wavelength range of 680 nm or more and capable of being recognized by the image acquiring apparatus .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는 상기 발광부의 동작 여부에 기초하여 소음을 발생시키는 소음 발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부가 동작하면 상기 소음이 발생되도록 상기 소음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acquisition obstru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noise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noise based on whether the light emission unit is operated,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noise generation unit The operation can be controlled.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방법은, 발광부의 광 발산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파장의 광을 발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광은,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의 광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acquisition interruption method including the steps of: receiving a signal from a user to determine whether or not light is emitted from a light emitting portion;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portion based on the input; And the light may include light of a wavelength range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image obtaining apparatus.

또한,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의 광은 인간 시야를 통한 광 인식이 불가능한 파장 범위에 포함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light in a wavelength range recognizable by the image acquiring apparatus can be set to be included in a wavelength range in which optical recognition through human vision is impossible.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산되는 광의 속성을 정해진 패턴에 따라 변경하고, 상기 정해진 패턴은 상기 광의 속성을 불규칙한 주기에 따라 변경하는 것일 수 있다.Further, the controlling step may change an attribute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attern, and the predetermined pattern may change an attribute of the light according to an irregular period.

또한, 상기 정해진 패턴은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의 자동 초점 기능, 자동 노출 조절 기능 및 획득한 이미지의 후보정 기능 중 하나 이상에 대한 기능 수행이 교란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determined pattern may be set such that the performance of the function of at least one of the autofocus function, the automatic exposure adjustment function, and the acquired function of the acquired image of the image acquisition apparatus is disturbed.

또한, 상기 정해진 패턴은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의 이미지센서에 노이즈가 발생되도록 광이 불규칙적인 주기에 따라 점멸되는 패턴인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determined pattern may be a pattern in which light is blinked in an irregular period so that noise is generated in the image sensor of the image acquiring apparatus.

또한, 상기 광은, 근자외선 영역의 광 및 근적외선 영역의 광 중 인간 시야를 통한 광 인식이 불가능하고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의 광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 may include light in a near-ultraviolet region and light in a near-infrared region, which can not be recognized by human vision and can be recognized by the image acquiring apparatus.

또한, 상기 광은, 400nm 이하의 파장이되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를 갖는 광 및 680nm 이상의 파장이되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를 갖는 광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400 nm or less and having a wavelength range capable of being recognized by the image acquiring apparatus and light having a wavelength range of 680 nm or more and capable of being recognized by the image acquiring apparatus .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버튼 입력시마다 교대로 상기 발광부의 동작이 ON/OFF되도록 제어하는 제1 동작 모드 및 사용자의 초기 입력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발광부의 동작이 ON된 다음 OFF되도록 제어하는 제2 동작 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ing step may include a first operation mode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is alternately turned on / off each time a user presses a button, and a second operation mode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is turned on And a second operation mode for controlling the light emitting unit to be turned on and off.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동작 제어에 관한 신호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입력 유지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동작 모드와 상기 제2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를 상기 제1 동작 모드와 상기 제2 동작 모드 중 다른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it is determined that the signal related to the operation control is input and held at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the control step may be configured to change any one of the first operation mode and the second operation mode to the first operation Mode and the second operation mode.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에 기초하여 소음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광을 발산하는 단계는 상기 소음 발생부를 통해 소음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ing step may include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noise generating unit based on the input, and the step of emitting the light may include generating noise through the noise generating unit.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task solution is merely exemplar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disclosure. In addition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re may be additional embodiments in the drawing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의 광을 발광부를 통해 발산함으로써, 이미지 획득 장치의 이미지센서에 노이즈를 발생시켜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촬영을 방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in the wavelength range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image obtaining apparatus is diverted through the light emitting unit, so that noise is generated in the image sensor of the image obtaining apparatus, There is an effect.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인식은 가능하고 인간 시야를 통한 광 인식은 불가능한 파장 범위의 광을 발광부를 통해 발산함으로써, 인간 시야를 교란하지 않으면서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촬영을 방해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emitting light in a wavelength range that is recognizable by the image acquiring device and can not recognize light through human vision through the light emitting portion, There is an effect of obstructing the photographing.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발광부로부터 발산되는 광의 속성을 불규칙한 주기에 따라 변경시킴으로써, 이미지 획득 장치가 노이즈로 인해 정확한 화상을 촬영하지 못하게 하여 몰래 촬영에 의한 피해를 근절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hanging the property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ortion according to an irregular perio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mage acquiring device from shooting an accurate image due to noise, .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광의 불규칙한 주기의 변경에 의해, 이미지 획득 장치의 자동 초점 기능, 자동 노출 조절 기능 및 획득한 이미지의 후보정 기능 중 하나 이상에 대한 기능 수행을 교란시킴으로써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이미지 획득을 방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hanging the irregular period of light, disturbing the function of performing at least one of the autofocus function, the automatic exposure adjustment function and the acquired function of the obtained image of the image obtaining apparatu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mage acquisition by the image pickup device.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일반적으로 인간이 인지할 수 있는 가시광선의 파장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원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동작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image acquisition interf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wavelength range of a visible light ray which can be perceived by humans in general.
FIG.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image acquisition interf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mage acquisition interf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image acquisition interf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ure 6 is a schematic operational flow diagram for an image acquisition interferometry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bers ar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o refer to the same or like part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is intended to be understood tha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or "indirectly connected" "Is included.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when a member is located on another member "top", "top", "under", "bottom" But also the case where there is another member between the two members as well as the case where they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 an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원은, 광의 불규칙한 주기의 변경에 의해, 이미지 획득 장치의 자동 초점 기능이나 자동 노출 조절 기능 등의 수행을 교란시킴으로써, 이미지 획득 장치가 노이즈로 인해 정확한 화상을 촬영하지 못하게 하여 몰래 촬영에 의한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In this application, by changing the irregular period of light, disturbing the performance of the auto-focus function or the automatic exposure control function of the image acquiring device, the image acquiring device can prevent the accurate image from being taken due to the nois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image acquisition.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image acquisition interf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100)는 발광부(110) 및 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n image acquisition interfe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unit 110 and a control unit 120.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100)는 이미지 획득 장치(200)가 노이즈로 인해 정확한 화상을 촬영하지 못하도록 방해하는 장치일 수 있으며, 일예로, 이미지 획득 장치(200)에 의한 촬영을 방해하는 조명 장치일 수 있다.The image acquisition interrupter 100 may be a device that prevents the image acquiring device 200 from shooting an accurate image due to noise. For example, the image acquiring interrupter 100 may be an illuminating device that interferes with shooting by the image acquiring device 200 have.

이미지 획득 장치(200)는 이미지 촬영이 가능한 장치로서 이미지 획득 모듈, 이미지 센서 등이 구비된 장치일 수 있다. 이미지 획득 장치(200)는 일예로,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아날로그 카메라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즉, 이미지 획득 장치(200)는 촬영 등을 통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미지 획득 장치(200)에 의해 획득되는 이미지는 정지 이미지, 동영상 이미지 등의 다양한 이미지 형태일 수 있다.The image acquisition device 200 may be an image capture device capable of acquiring images, an image sensor, and the like.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200 may be, for example, a smart phone, a digital camera, an analog camera,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image acquiring device 200 is preferably understood as a concept encompassing various devices capable of acquiring images through photography or the like. In addition, the image acquired by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200 may be in the form of various images, such as still images, moving images, and the like.

발광부(110)는 미리 설정된 파장의 광을 발산할 수 있다. 이때, 발광부(110)로부터 발산되는 광은 이미지 획득 장치(200)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의 광을 포함할 수 있다. The light emitting unit 110 can emit light of a predetermined wavelength. At this tim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10 may include light in a wavelength range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200.

또한, 발광부(110)로부터 발산되는 광에 포함된 이미지 획득 장치(200)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의 광은 인간 시야를 통한 광 인식이 불가능한 파장 범위에 포함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 in the wavelength range recognizable by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200 included in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10 may be set to be included in a wavelength range in which light recognition through the human view is impossible.

여기서, 인간 시야를 통한 광 인식이 불가능한 파장 범위라 함은, 모든 인간이 볼 수 없는 파장의 범위를 의미할 수 있지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파장 범위는 일부의 사람들은 광 인식이 가능하지만, 나머지 일부의 사람들은 광 인식이 불가능한 파장 범위를 의미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인간 시야를 통한 광 인식이 불가능한 파장 범위라 함은, 사람마다 광을 인식할 수 있는 범위가 상이할 수 있음을 고려하여, 소정의 표준편차 내에 속하는 평균적인 인간에 있어서 광 인식이 불가능한 파장의 범위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이는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Here, the wavelength range in which optical recognition through human vision is impossible can mean a range of wavelengths not visible to all humans,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wavelength range may mean a wavelength range where some people are optically recognizable but some others are not optically recognizable. Accordingly, the wavelength range in which light recognition through human vision is not possible means that the wavelength range where light can not be recognized in an average human being within a predetermined standard deviation Quot; of < / RTI > This can be more easily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FIG.

도 2는 일반적으로 인간이 인지할 수 있는 가시광선의 파장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wavelength range of a visible light ray which can be perceived by humans in general.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380nm~780nm의 파장 영역은 가시광선 영역을 나타내고, 380nm 이하의 파장 영역은 자외선 영역을, 780nm 이상의 파장 영역은 적외선 영역을 나타낸다. 이때, 가시광선 영역이라 하더라도 모든 사람들이 380nm~780nm의 파장 영역을 인식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사람에 따라 광 인식 범위에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 한편, 이미지 획득 장치(200)는 특정 파장 이하의 광(자외선 광) 또는 특정 파장 이상의 광(적외선 광)은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wavelength region of 380 nm to 780 nm generally represents a visible light region, a wavelength region of 380 nm or less represents an ultraviolet region, and a wavelength region of 780 nm or more represents an infrared region. At this time, even in the visible light region, not all persons can recognize the wavelength region of 380 nm to 780 nm, and there may be a difference in the light recognition range depending on the person. On the other hand, the image acquisition apparatus 200 may not recognize light of a specific wavelength or less (ultraviolet light) or light of a specific wavelength or more (infrared light).

이에 따라,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100)는, 발광부(110)를 통해 인간의 눈에는 잘 보이지 않고, 이미지 획득 장치(200)의 이미지센서에는 강하게 반응하는 파장의 광을 발생시킴으로써, 이미지 획득 장치(200)가 노이즈로 인해 정확히 화상을 촬영 또는 녹화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image acquisition obstruc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preventing light of a wavelength that is hardly visible to the human eye through the light emitting portion 110 and strongly reacts to the image sensor of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2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mage acquiring device 200 from shooting or recording an image precisely due to noise.

일예로, 발광부(110)는, 인간 시야를 통한 광 인식이 불가능하고 이미지 획득 장치(200)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에 포함된 광으로서, 380nm 부근에 해당하는 파장의 광(근자외선 광) 또는 780nm 부근에 해당하는 파장의 광(근적외선 광)을 발산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light emitting unit 110 is light included in a wavelength range that can not recognize light through the human vision and is recognizable by the image acquiring apparatus 200, and includes light having a wavelength near 380 nm ) Or light having a wavelength near 780 nm (near-infrared light).

발광부(110)는 근자외선 영역의 광 및 근적외선 영역의 광 중 인간 시야를 통한 광 인식이 불가능하고 이미지 획득 장치(200)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의 광을 발산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110 is capable of emitting light in a wavelength range in which light in the near-ultraviolet region and light in the near-infrared region can not be recognized through human vision and can be recognized by the image acquiring apparatus 200.

일반적으로 가시광의 파장 범위는 대략 380nm 내지780nm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도 2를 참조하면, 가시광 영역의 파장 범위는 자외선 영역의 파장 범위 및 적외선 영역의 파장 범위와 특정 파장값에서 명확하게 구분되지는 않는다. 즉, 가시광의 파장 범위와 자외선의 파장 범위 사이에는 근자외선 영역이 존재하고, 가시광의 파장 범위와 적외선의 파장 범위 사이에도 근적외선 영역이 존재한다. 이러한 근자외선 영역과 근적외선 영역을 고려하였을 때, 가시광의 파장 범위는 좁게는 대략 400nm 내지 680nm, 넓게는 대략 360nm 내지 830nm라 할 수 있다.Generally, the wavelength range of visible light is approximately 380 nm to 780 nm. However, referring to FIG. 2, the wavelength range of the visible light region is not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wavelength range of the ultraviolet region and the wavelength range of the infrared region and the specific wavelength value. That is, a near-ultraviolet ray region exists between the wavelength range of visible light and ultraviolet ray, and a near-infrared ray region exists between the wavelength range of visible light and the infrared ray wavelength range. When the near-ultraviolet region and the near-infrared region are considered, the wavelength range of the visible light can be narrowly from about 400 nm to 680 nm, and broadly from about 360 nm to 830 nm.

이에 따르면, 발광부(110)를 통해 발산되는 광은, 400nm 이하의 파장이되 이미지 획득 장치(200)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를 갖는 광 및 680nm 이상의 파장이되 이미지 획득 장치(200)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를 갖는 광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400nm 이하의 파장의 광이더라도 적어도 일부 사람들에게는 광이 인식될 수 있고, 680nm 이상의 파장의 광이더라도 적어도 일부 사람들에게는 광이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이러한 수치범위에 속한 파장을 갖는 광의 경우, 광을 인식할 수 있는 사람이라고 하더라도 명확한 인식은 어려운 수준일 수 있고, 자극의 정도가 낮을 수 있다.According to this, the light emitted through the light emitting unit 110 becomes a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400 nm or less, a light having a wavelength range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image acquisition apparatus 200, and a wavelength of 680 nm or more. And light having a wavelength range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light source. As such, even if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400 nm or less, light can be recognized by at least some people, and light with a wavelength of 680 nm or more can be recognized by at least some people. However, in the case of light having a wavelength within the above-mentioned numerical range, even if it is a person who can recognize the light, the clear recognition may be difficult and the degree of stimulation may be low.

발광부(110)는 발광소자로서 일예로 엘이디(LED)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The light emitting unit 110 may be, for example, an LED as the light emitting devi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발광부(110)는 본원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일예로, 발광부(110)는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광을 발산하도록 2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발광부(110)의 구비 개수, 구비 형태 등은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다. 본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110)의 구비 형태, 구비 개수 등은 후술할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unit 11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light emitting unit 110 may include two light emitting units 110 so as to emit light in mutually opposite directions. At this time, the number of the light emitting units 110, the form of the light emitting units 110, and the like are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variously embodied. The shape, number, and the like of the light emitting unit 11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제어부(120)는 발광부(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110. [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발광부(110)로부터 발산되는 광의 속성을 정해진 패턴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정해진 패턴은, 광의 속성을 불규칙한 주기에 따라 변경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발광부(110)로부터 발산되는 광의 속성을 불규칙한 주기에 따라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20 can change the property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10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attern. Here, the predetermined pattern may be to change the light property according to an irregular period. That is, the control unit 120 may control the property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10 to change according to an irregular period.

발광부(110)가 불규칙한 주기로 변경되는 정해진 패턴의 광을 발산함으로써,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100)는 이미지 획득 장치(200)의 자동 초점 기능 및 자동 노출 조절 기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기능 수행을 교란할 수 있다. 즉, 정해진 패턴은, 이미지 획득 장치(200)의 자동 초점 기능, 자동 노출 조절 기능 및 이미지 획득 장치(200)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의 후보정 기능 중 하나 이상에 대한 기능 수행이 교란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The image acquisition obstacle device 100 may disturb the performance of at least one of the autofocus function and the automatic exposure adjustment function of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200 by emitting light of a predetermined pattern in which the light emitting part 110 is changed at an irregular period can do. That is, the predetermined pattern may be set such that the performance of the function of at least one of the autofocus function of the image acquisition apparatus 200, the automatic exposure adjustment function, and the acquired function of the image obtained through the image acquisition apparatus 200 is disturbed .

또한, 제어부(120)에 의해 변경되는 정해진 패턴은, 발광부(110)로부터 발산되는 광의 밝기 변화에 관한 패턴일 수 있으며, 이는 제어부(120)에 의하여 불규칙하게 변경될 수 있다. 광의 밝기 변화에 관한 패턴이라 함은, 광 밝기의 정도가 변화되는 패턴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광의 밝기 파라미터 및 광 밝기의 변화 속도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되는 패턴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광의 밝기 변화에 관한 패턴은 발광부(110)로부터 발산되는 광이 점멸되는 변화까지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일예로, 발광부(110)로부터 발산되는 광의 밝기 값 파라미터는 100 → 62 → 0 → 45 -> 22 -> 3 -> 80과 같이 불규칙하게(무작위로) 제어부(120)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다.The predetermined pattern changed by the control unit 120 may be a pattern related to the brightness chang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10 and may be irregularly changed by the control unit 120. [ The pattern regarding the change in brightness of light means a pattern in which the degree of light brightness is changed and may mean a pattern in which at least one of brightness parameter of light and change rate parameter of light brightness is chang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pattern regarding the change in brightness of light includes a change in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10 to blink. For example, the brightness value parameter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10 may be changed irregularly (randomly) by the control unit 120 as 100 → 62 → 0 → 45 → 22 → 3 → 80 .

또한, 제어부(120)에 의해 불규칙하게 변경되는 정해진 패턴에는, 발광부(110)를 통해 근자외선 광과 근적외선 광이 교번하여 발산되는 주기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근자외선 광과 근적외선 광의 교번 발산도 불규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자외선 광이 2회 발산되고 근적외선 광이 1회 발산되고 다시 근자외선 광이 4회 발산되는 등 발광부(110)로부터 발산되는 광은 상이한 파장 범위를 갖는 광이 불규칙한 주기로 교번하여 발산될 수 있다.The predetermined pattern that is irregularly changed by the control unit 120 may include period information in which the near ultraviolet light and the near-infrared light are alternately emitted through the light-emitting unit 110. In addition, alternate divergence of near-ultraviolet light and near-infrared light may be irregular. For exampl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ortion 110, such as a near-ultraviolet light emitted two times, a near-infrared light emitted one time, and a near-ultraviolet light emitted four times, may be alternately emitted at irregular intervals Can be diverted.

달리 표현하여, 제어부(120), 발광부(110)의 밝기 파라미터, 밝기의 변화 속도 파라미터, 점멸 ON/OFF, 점멸되는 주기 및 근자외선 광과 근적외선 광의 발산 교번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함으로써, 발광부(110)가 불규칙한 주기의 패턴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By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brightness parameters of the control unit 120, the light emitting unit 110, the brightness change rate parameter, the blinking ON / OFF, the flickering period, and the divergent alternating cycle of the near ultraviolet light and near infrared ligh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unit 110 to operate in an irregular periodic pattern.

제어부(120)에 의해 변경되는 정해진 패턴은, 이미지 획득 장치(200)의 이미지센서에 노이즈(또는 오버플로우)가 발생되도록 광이 불규칙적인 주기에 따라 점멸되는 패턴을 의미할 수 있다.The predetermined pattern changed by the control unit 120 may mean a pattern in which light is blinked in an irregular period so that noise (or an overflow) occurs in the image sensor of the image obtaining apparatus 200. [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100)는 버튼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image acquisition interfe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utton unit 130.

버튼부(130)는 발광부(110)에 대한 제어부(120)의 동작 제어에 관한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버튼부(130)는 물리적 버튼, 터치식 버튼 등을 포괄하는 개념의 버튼을 의미할 수 있다.The button unit 130 may receive a signal related to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20 with respect to the light emitting unit 110 from the user. The button unit 130 may mean a conceptual button including a physical button, a touch button, and the like.

이때, 제어부(120)의 동작 제어에 관한 신호로는 제1 동작 모드에 관한 신호와 제2 동작 모드에 관한 신호가 포함될 수 있으며, 제어부(120)는 제1 동작 모드와 제2 동작 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발광부(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ignal related to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controller 120 may include a signal related to the first operation mode and a signal relating to the second operation mode, and the controller 12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first operation mode and the second operation mode And the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110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one.

제1 동작 모드는 버튼부(130)의 입력시마다 교대로 발광부(110)의 동작이 ON/OFF 되는 토글형 동작 모드로서, 제어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버튼부(130)가 입력될 때마다 발광부(110)가 교대로 ON/OFF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first operation mode is a toggle operation mode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110 is turned on / off alternately each time the button unit 130 is input. 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button unit 130 when the button unit 130 is input by the user The light emitting unit 110 can be turned on and off alternately.

일예로,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버튼부(130)를 한번 클릭한 경우에는 발광부(110)가 ON 되도록 제어하고, 이후 사용자가 다시 한번 버튼부(130)를 클릭한 경우에는 발광부(110)가 OFF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clicks the button unit 130 once, 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light emitting unit 110 to be turned on. If the user then clicks the button unit 130 again, (110) is turned off.

제2 동작 모드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에만 발광부(110)가 ON 되는 타이머형 동작 모드로서,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초기 입력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시간 동안 발광부(110)의 동작이 ON 된 다음 OFF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초기 입력이라 함은 동작 모드에 대한 초기 설정 입력 또는 기설정된 시간에 대한 초기 설정 입력을 의미할 수 있다.The second operation mode is a timer-type operation mode in which the light emitting unit 110 is turned ON only for a preset time. 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110 for a predetermined time based on the initial input of the user And then turned OFF. Herein, the initial input may mean an initial setting input for the operation mode or an initial setting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예를 들어, 동작 모드의 초기 입력 값이 제2 동작 모드이고, 기설정된 시간의 초기 입력 값이 20초인 경우라 가정하자. 이때,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버튼부(130)를 한번 클릭한 경우 20초 동안에만 발광부(110)가 ON 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후 20초 후에는 자동으로 OFF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assume that the initial input value of the operation mode is the second operation mode, and the initial input value of the predetermined time is 20 seconds. At this time, when the user clicks the button unit 130 once, the control unit 120 can control the light emitting unit 110 to be turned on only for 20 seconds, and can be controlled to be automatically turned off after 20 seconds .

또한, 발광부(110)가 제2 동작 모드(타이머형 동작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중에 버튼부(130)에 대한 클릭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발광부(110)가 제2 동작 모드로 ON 되고 있는 상태라 하더라도 버튼부(130)에 대한 클릭 이벤트의 발생이 감지됨과 동시에 발광부(110)가 OFF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a click event has occurred on the button unit 130 while the light emitting unit 110 is operating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timer operation mode), the controller 120 controls the light emitting unit 110 Even if the second operation mode is turned on, the occurrence of a click event on the button unit 130 is detected and the light emitting unit 110 is turned off.

또한, 제어부(120)는 사용자로부터 버튼부(130)를 통해 입력받은 동작 제어에 관한 신호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입력 유지된 것(예를 들어, 기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누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 동작 모드와 제2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를 제1 동작 모드와 제2 동작 모드 중 다른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20 determines that the signal related to the operation control input through the button unit 130 from the user is input and held at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for example, the user is pressing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 It is possible to switch any one of the first operation mode and the second operation mode to any one of the first operation mode and the second operation mode.

예를 들어, 제1 동작 모드인 상태에서 버튼부(13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3초) 이상으로 입력된 경우, 제어부(120)는 제1 동작 모드를 제2 동작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반면, 제2 동작 모드인 상태에서 버튼부(13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3초) 이상으로 입력된 경우, 제어부(120)는 제2 동작 모드를 제1 동작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input to the button unit 130 is input at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3 seconds) or more in the first operation mode, the controller 120 sets the first operation mode to the second operation mode It is possible to switch to the operation mode.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input to the button unit 130 is input in a state of being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at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3 seconds) or more, the controller 120 sets the second operation mode to the first operation mode . ≪ / RTI >

한편,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100)는, 제2 동작 모드 시 동작하는 시간(즉, 기설정된 시간)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타이머 설정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타이머 설정부(미도시)는 터치식, 버튼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1, the image acquisition interrupt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imer setting unit 130 for receiving a time (i.e., a predetermined time) for operating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from a user, (Not shown). The timer setting unit (not shown) may be equipped with a touch type or a button type.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100)는 상태 표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태 표시부(미도시)는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100)에 관한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이때, 상태 표시부는 상태를 표시하는 것 뿐만 아니라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100)에 대한 동작 제어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mage acquisition obstruc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atus indicator (not shown). A status indicator (not shown) may be a display panel that displays status information regarding the image acquisition interceptor 100. At this time, the status display unit may receive not only the status but also an operation control signal for the image acquisition interrupter 100 from the user.

보다 구체적으로, 상태 표시부(미도시)는 타이머 설정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태 표시부는 제2 동작 모드의 동작 시간(예를 들어 20초)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입력된 동작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태 표시부는 현재의 동작 모드 상태(예를 들어, 제1 모드인지 또는 제2 모드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태 표시부는 후술할 배터리부(140)의 배터리 잔량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100)는 상태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동작 모드의 전환 시 기준이 되는 버튼부(130)의 누름 시간(예를 들어 3초) 설정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tatus display unit (not shown) may include a timer setting unit (not shown). In this case, the status display unit receives the operation time of the second operation mode (for example, 20 seconds) The input operation time can be displayed. Further, the status display section can display the current operation mode state (for example, whether it is the first mode or the second mode). In addition, the status display unit can display a remaining battery level of the battery unit 1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image acquisition obstacl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isplay the setting information of the pushing time (e.g., 3 seconds) of the button unit 130, which is a reference for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from the user, Input can be received.

배터리부(140)는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10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배터리부(140)에 의하여, 제어부(120)는 버튼부(13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동작 제어에 관한 신호를 수신한 후,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발광부(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배터리부(140)의 잔량 정보는 상태 표시부(미도시)에 표시될 수 있다.The battery unit 140 can apply power to the image acquisition interrupter 100. [ The controller 12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110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after receiving the signal related to the operation control from the user through the button unit 130 by the battery unit 140 . The remaining amount information of the battery unit 140 may be displayed on a status display unit (not shown).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100)는 배터리 충전 단자(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배터리부(140)는 배터리 충전 단자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mage acquisition interrupt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attery charging terminal (not shown), and the battery unit 140 may receive power from the outside through a battery charging terminal .

또한,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100)는 소음을 발생시키는 소음 발생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음 발생부는 발광부(110)의 동작 여부에 기초하여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Also, although not shown in FIG. 1, the image acquisition interfe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noise generating unit (not shown) for generating noise. The noise generating unit may generate noise based on whether the light emitting unit 110 is operated or not.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100)는 소음 발생부를 통해 소음을 발생시킴으로써 이미지 획득 장치(200)에 구비된 사운드(소리) 기록 모듈 또는 이미지 획득 장치(200)와는 별도로 구비되는 사운드 기록 모듈(예를 들어, 녹음기 등)에 의한 녹음을 방해할 수 있다. 소음 발생부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은 사운드 기록 장치(모듈)에 의한 사운드 기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도록 교란 또는 방해하는 사운드(소리)로 설정될 수 있다. 소음 발생부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은 소음 발생부의 동작시 사운드 기록 장치 내지 모듈에 기록되는 사운드에 노이즈가 포함되어 기록된 사운드의 인식 내지 분간이 어려워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음 발생부는 사운드 기록 장치(모듈)에 의한 사운드 기록을 교란 또는 방해하는 패턴(주파수, 진폭 등의 설정 패턴)으로 소음을 생성할 수 있다.The image acquisition interrupter 100 may include a sound recording module provided in the image obtaining apparatus 200 or a sound recording modul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image obtaining apparatus 200 by generating noise through the noise generating unit 200 Recorder, etc.). The noise generated by the noise generating unit may be set to sound (sound) disturbing or interfering with sound recording by the sound recording apparatus (module) so as not to be normally performed. The noise generated by the noise generating unit may be set so that the sound recorded in the sound recording apparatus or the module during operation of the noise generating unit includes noise and difficulty in recognizing or distinguishing the recorded sound. For example, the noise generating unit may generate noise in a pattern (a setting pattern of frequency, amplitude, etc.) that disturbs or interrupts the sound recording by the sound recording apparatus (module).

또한, 소음 발생부는 적어도 일부(예를 들면, 대부분)의 인간의 귀에는 인식이 불가능하지만(또는 인식 가능하더라도 아주 미미하지만) 사운드 기록 장치(모듈)는 인식 가능한 영역의 소음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소음 발생부가 동작하더라도 사용자가 그에 따른 소음 인식이 미미해 소음 발생부 이용에 있어서의 불편함을 크게 줄일 수 있다.Also, although the noise generator is not recognizable to at least some (e.g., most) human ears, the sound recording device (module) can generate noise in the recognizable area, though it is very small, even if recognizable. According to this, even if the noise generator operates, the noise recognition by the user is insignificant, and the inconvenience in using the noise generator can be greatly reduced.

제어부(120)는 발광부(110)가 동작하면, 소음 발생부를 통해 소음(예를 들어, 화이트 노이즈)이 발생되도록 소음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녹화 뿐만 아니라 녹음(녹취)도 방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발광부(110)가 동작하는 동안에(즉 발광부(110)로부터 광이 발산되는 동안에), 소음 발생부를 통해 소음이 발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noise generating unit to generate noise (e.g., white noise) through the noise generating unit when the light emitting unit 110 operates, It can interfere.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20 may control the noise generating unit to generate noise during the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110 (that is, while light is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10).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100)는 소음 발생부(미도시)에 대한 제어부(120)의 동작 제어에 관한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도록 음량 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음량 스위치(미도시)는 물리적 버튼, 터치식 버튼 등을 포괄하는 개념의 스위치(또는 버튼)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음량 스위치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소음 발생부의 동작 ON/OFF를 제어할 수 있고, 또한, 소음 발생부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의 음량 크기(예를 들어, 단계별 음량 크기, 무음 등)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acquisition obstruc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olume switch (not shown) for receiving a signal related to an operation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20 with respect to a noise generating unit . The volume switch (not shown) may mean a switch (or a button) concept including a physical button, a touch button, and the like. The control unit 120 can control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noise generating unit based on the user input through the volume switch, and can also control the volume magnitude of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noise generating unit (for example, Can be controlled.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100)는 클립형, 목걸이형, 휴대용 단말기 액세서리형, 팔찌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image acquisition obstacle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clip type, a necklace type, a portable terminal accessory type, a bracelet type, and the like.

이러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100)는, 인간의 눈에는 잘 감지되지 않고 이미지 획득 장치(200)의 이미지 센서에는 인식이 가능한(반응하는) 근자외선 또는 근적외선의 파장을 발광부(110)를 통해 발산함으로써, 몰래 촬영을 시도하는 사용자에게는 이미지 확득의 방해를 인지하지 못하도록 하고, 몰래 촬영을 시도하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이미지 획득 장치(200)에 대해서는 너무 밝은 광원으로 인하여 노이즈(오버플로우)에 의해 정확한 이미지(화상)가 획득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The image acquisition obstruc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a near ultraviolet or near infrared ray that is not well recognized by a human eye and can be recognized (reacted) by an image sensor of the image acquiring apparatus 200 The user who attempts to secretly photograph the image can not recognize the obstruction of the image acquisition and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200 used by the user who intends to secretly photograph the image is caused to overheat due to a light source that is too bright. Flow) can prevent an accurate image (image) from being obtained.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100)는 발광부(110)로부터 발산되는 광의 밝기 변화에 관한 패턴(예를 들어, 밝기 파라미터, 밝기 변화 속도 파라미터, 점멸 ON/OFF, 근자외선과 근적외선의 교번 점멸 주기 등)을 불규칙한 주기에 따라 변경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이미지 획득 장치(200)의 자동 초점 기능이나 자동 노출 조절 기능에 대한 수행을 교란하여 이미지 획득 장치(200)가 정확한 화상을 획득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acquisition obstacle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attern (for example, a brightness parameter, a brightness change rate parameter, a blink ON / OFF,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200 may disturb the performance of the auto focus function or the automatic exposure control function of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200 so that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200 can accurately reproduce the image It can not be acquired.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기에 설명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100)의 다양한 구현 예를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various implementations of the image acquisition obstruction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FIG.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image acquisition interf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본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300)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도 3(b)는 본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300)의 평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3 (a) is a front view of the image acquisition obstruction device 3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b) is a plan view of the image acquisition obstruction device 3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300)는 본체(10), 발광부(20), 버튼부(30), 전원 스위치(40), 배터리 충전 단자(50) 및 상태 표시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발광부(20), 버튼부(30), 배터리 충전 단자(50) 및 상태 표시부(60)에 대한 설명은 상기의 발광부(110), 버튼부(130), 배터리 충전 단자(미도시) 및 상태 표시부(미도시)에 대하여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300)는 제어부(120), 배터리부(140), 소음 발생부(미도시) 및 음량 스위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에 보다 자세히 설명했으므로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3 (a) and 3 (b), an image acquisition obstruction device 3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a light emitting portion 20, a button portion 30, A charging terminal 40, a battery charging terminal 50, and a status display 60. The descript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20, the button unit 30, the battery charging terminal 50 and the status display unit 6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ight emitting unit 110, the button unit 130, And a status display unit (not shown), and thus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3, the image acquisition interrupter 300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120, a battery unit 140, a noise generating unit (not shown), and a volume switch (not shown)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전원 스위치(40)는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300)의 전원을 ON/OFF하는 스위치일 수 있다.The power switch 40 may be a switch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supply of the image acquisition interrupter 300.

본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300)는 발광부(20)가 본체(10)의 일면에 1개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전원 스위치(40)가 ON 되면, 발광부(20)는 버튼부(30)를 통해 입력된 동작 제어에 관한 신호(예를 들어, 제1 동작 모드 또는 제2 동작 모드에 관한 신호)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패턴(또는, 정해진 패턴으로서, 미리 설정된 불규칙한 주기)에 따라 광을 발산할 수 있다.The image acquisition obstruction device 3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one light emitting portion 20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 When the power switch 40 is turned on by a user input, the light emitting unit 20 outputs a signal related to the operation control inputted through the button unit 30 (for example, a signal related to the first operation mode or the second operation mode (Or an irregular cycle set in advance as a predetermined pattern) based on a predetermined pattern (e.g., a predetermined pattern).

한편, 도 3(c)는 본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300)의 평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c)를 참조하면, 본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300)는 전후면에 대하여 광 발산이 가능하도록, 2개의 발광부(20a, 20b)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구비될 수 있다. 3 (c) is a plan sectional view of the image acquisition obstruction device 3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c), the image acquisition obstruction device 3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wo light emitting portions 20a and 20b facing each other in opposite directions .

일예로, 화장실 등에서 몰래 촬영시에는, 화장실의 위쪽 또는 아래쪽에서 이미지 획득 장치(200)를 통해 이미지가 획득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본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300)는 양 방향(위쪽 또는 아래쪽)에서의 이미지 획득이 방해되도록, 2개의 발광부(20a, 20b)를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photographing secretly in a toilet or the like, an image may be obtained through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200 at the upper or lower part of the toilet. In consideration of this, the image acquisition obstacle device 3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two light emitting portions 20a and 20b are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so that image acquisition in both directions (upward or downward) .

도 4는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mage acquisition interf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4에 도시된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400)는 도 3에 도시된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300)에서 발광부(20)의 개수 및 배치 구조만 다를 뿐 다른 구성들은 모두 동일하므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image acquisition obstruction device 4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4 differs from the image acquisition obstacle device 300 shown in FIG. 3 only in the number and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light emitting portions 20, And therefore, duplicate explanations will be omitted.

도 4(a)는 본원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400)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도 4(b)는 본원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400)의 평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4 (a) shows a front view of the image acquisition obstruction device 4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b) shows a top view of the image acquisition obstruction device 4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원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400)는 복수의 발광부(20, 21, …, 2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발광부(20, 21, …, 27)는 버튼부(30)를 중심으로 원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발광부(20, 21, …, 27)는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400)의 전면을 향해 미리 설정된 파장의 광을 발산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발광부(20, 21, …, 27)로부터 발산되는 광이 보다 광범위한 영역에 발산(사방으로 발산)될 수 있도록, 복수의 발광부(20, 21, …, 27) 중 적어도 일부의 발광부가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a) and 4 (b), the image acquisition interrupter 4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20, 21, ...,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20, 21, ..., 27 may be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with the button unit 30 as a center.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20, 21, ..., 27 may emit light of a predetermined wavelength toward the front surface of the image acquisition interfering apparatus 400. At this time, at least part of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portions 20, 21, ..., 27 is formed so that light emitted from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portions 20, 21, ..., 27 can be diverged (diverged in four directions) The light emitting portion of the light emitting diode can be arranged to be inclined.

한편, 도 4(c)는 본원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400)의 평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c)를 참조하면, 본원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400)는 전후면에 대하여 광 발산이 가능하도록, 전후면 각각에 복수의 발광부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본원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400)의 경우, 전면에는 복수의 발광부(20a, 21a, …, 27a)가 구비되고, 후면에는 전면에 구비된 발광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발광부(20b, 21b, …, 27b)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버튼부(30a, 30b) 또한 전후면 각각에 구비될 수도 있다.4 (c) is a plan sectional view of the image acquisition obstruction device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c), the image acquisition obstruction device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on the front and rear sides, respectively, so that light can be diverged from the front and rear surfaces. That is, in the case of the image acquisition interrupter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20a, 21a, ..., and 27a ar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portions 20b, 21b, ..., and 27b may be provided. At this time, the button portions 30a and 30b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respectively.

도 3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된 발광부(20)의 개수, 배열 형태 및 각 구성들의 배치 구조 등은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The number of the light emitting portions 20, the arrangement form and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each of the structure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3 to 4 are merely examples for facilitat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to.

도 5는 본원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image acquisition interf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300)는 일예로 클립형으로 제공되어 사용자의 의류 등에 쉽게 탈부착 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클립 부재(70)가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300)의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300)는 클립형 외에, 목걸이 팬던트형,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 가능한 액세서리형, 팔찌형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image acquisition interfering apparatus 3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a clip-like form, for example,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a user's garment. To this end, 300,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image acquisition obstruction device 3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clip-on type, a necklace pendant type, an accessory type that is provided in a portable terminal, a bracelet type, or the like.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원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flow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based on the details described above.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동작 흐름도이다.Figure 6 is a schematic operational flow diagram for an image acquisition interferometry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6에 도시된 이미지 획득 방해 방법은 앞서 설명된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100, 300, 4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100, 300, 40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도 6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image acquisition interruption method shown in FIG. 6 can be performed by the image acquisition interruption apparatuses 100, 300, and 400 described above. Therefore, even if the contents are omit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description of the image acquisition interrupter 100, 300, 400 can be applied to FIG. 6 as well.

도 6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방법은 앞서 설명된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100, 300, 400)의 제어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an image acquisition ob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mean a control method of the image acquisition obstruction device 100, 300, 400 described above.

도 6을 참조하면, 단계S610에서는, 버튼부(130)를 통해, 발광부(110)의 광 발산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in step S610, a signal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light is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10 may be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button unit 130. [

다음으로, 단계S620에서는, 제어부(120)를 통해, 단계S610에서 입력된 신호 입력에 기초하여 발광부(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Next, in step S620, the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110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unit 120 based on the signal input in step S610.

단계S610에서 제어부(120)는 발광부(110)로부터 발산되는 광의 속성을 정해진 패턴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정해진 패턴은, 광의 속성을 불규칙한 주기에 따라 변경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정해진 패턴은, 이미지 획득 장치(200)의 자동 초점 기능, 자동 노출 조절 기능 및 획득한 이미지의 후보정 기능 중 하나 이상에 대한 기능 수행이 교란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정해진 패턴은 광의 밝기 변화에 관한 패턴일 수 있다. 또한, 정해진 패턴은 이미지 획득 장치(200)의 이미지센서에 노이즈가 발생되도록 광이 불규칙적인 주기에 따라 점멸되는 패턴일 수 있다.In step S610, the control unit 120 may change the property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10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attern. At this time, the predetermined pattern may be to change the property of light according to an irregular period. Further, the predetermined pattern may be set such that the performance of the function of at least one of the autofocus function, the automatic exposure adjustment function, and the acquired function of the acquired image of the image acquisition apparatus 200 is disturbed. Further, the predetermined pattern may be a pattern related to a change in brightness of light. In addition, the predetermined pattern may be a pattern in which light is blinked in an irregular period so that noise is generated in the image sensor of the image acquisition apparatus 200. [

또한, 단계S620에서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버튼 입력시마다 교대로 발광부(110)의 동작이 ON/OFF되도록 제어하는 제1 동작 모드, 및 사용자의 초기 입력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시간 동안 발광부(110)의 동작이 ON된 다음 OFF되도록 제어하는 제2 동작 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발광부(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in step S620, the control unit 120 may include a first operation mode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110 is turned on / off alternately each time a user presses a button, and a second operation mode The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110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operation mode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unit 110 is turned on and then the second operation mode in which the unit 110 is turned off.

이때, 제어부(120)는 동작 제어에 관한 신호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입력 유지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 동작 모드와 제2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를 제1 동작 모드와 제2 동작 모드 중 다른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ignal related to the operation control is inputted and held at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the control unit 120 sets any one of the first operation mode and the second operation mode as the first operation mode and the second operation Mode can be switched to any one of the other operation modes.

또한, 단계S620에서 제어부(120)는 소음 발생부(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발광부(110)의 동작 여부에 기초하여 소음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In step S620, the controller 12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noise generator (not shown).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2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noise generating unit based on whether the light emitting unit 110 is operated or not.

다음으로, 단계S630에서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기초하여 발광부(110)를 통해 미리 설정된 파장의 광을 발산할 수 있다.Next, in step S630, light of a predetermined wavelength can be emitted through the light emitting unit 110 based on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20. [

이때, 발광부(110)를 통해 발산되는 광은, 이미지 획득 장치(200)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의 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획득 장치(200)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의 광은 인간 시야를 통한 광 인식이 불가능한 파장 범위에 포함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light emitted through the light emitting unit 110 may include light in a wavelength range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200. In addition, light in a wavelength range recognizable by the image obtaining apparatus 200 can be set to be included in a wavelength range in which light recognition through human vision is impossible.

보다 자세하게는, 발광부(110)는 근자외선 영역의 광 및 근적외선 영역의 광 중 인간 시야를 통한 광 인식이 불가능하고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의 광을 발산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light emitting unit 110 can emit light in a wavelength range in which light in the near-ultraviolet region and light in the near-infrared region can not be recognized through human vision and can be recognized by the image acquiring apparatus.

또한, 발광부(110)는 400nm 이하의 파장이되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를 갖는 광 및 680nm 이상의 파장이되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를 갖는 광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광을 발산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light having a wavelength range of 400 nm or shorter and a wavelength range capable of being recognized by the image acquisition apparatus and a light having a wavelength range of 680 nm or longer, It is possible to emit light including the light.

또한, 단계S630에서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기초하여, 소음 발생부를 통해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소음 발생부는 외부의 사운드 기록 장치(모듈)에 의한 사운드 기록을 교란 또는 방해하는 형태(패턴)의 소음을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step S630, based on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20, the noise may be generated through the noise generating unit. Here, the noise generating unit may generate a noise (pattern) that disturbs or interrupts the sound recording by the external sound recording device (module).

단계S610 내지 단계S630을 통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100, 300, 400)는 이미지 획득 장치(200)에 의한 이미지 획득을 방해할 수 있다.Through steps S610 to S630, the image acquisition interrupter 100, 300,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terfere with image acquisition by the image acquisition apparatus 200. [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610 내지 S630은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steps S610 to S630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steps or combined into fewer step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lso, some of the steps may be omitted as necessary, and the order between the steps may be changed.

본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image acquisition interruption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또한, 전술한 이미지 획득 방해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image acquisition interruption method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 program or an application executed by a computer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modify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300, 400: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
110: 발광부 120: 제어부
130: 버튼부 140: 배터리부
100, 300, 400: image acquisition interferer
110: light emitting unit 120:
130: Button part 140: Battery part

Claims (21)

미리 설정된 파장의 광을 발산하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광은,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의 광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버튼 입력시마다 교대로 상기 발광부의 동작이 ON/OFF되도록 제어하는 제1 동작 모드; 및
사용자의 초기 입력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발광부의 동작이 ON된 다음 OFF되도록 제어하는 제2 동작 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
A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light of a predetermined wavelength;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 ≪ / RTI &
Wherein the light includes light in a wavelength range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image obtaining apparatus,
The control unit
A first operation mode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is turned on / off alternately each time a button of a user is input; And
A second operation mode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is turned on and then turned off for a predetermined time based on the user's initial inpu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light emitt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의 광은 인간 시야를 통한 광 인식이 불가능한 파장 범위에 포함되도록 설정되는 것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light of a wavelength range recognizable by the image acquiring device is set to be included in a wavelength range in which light recognition through human view is impossi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산되는 광의 속성을 정해진 패턴에 따라 변경하는 것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changes an attribute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atter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해진 패턴은 상기 광의 속성을 불규칙한 주기에 따라 변경하는 것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redetermined pattern changes an attribute of the light according to an irregular perio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해진 패턴은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의 자동 초점 기능, 자동 노출 조절 기능 및 획득한 이미지의 후보정 기능 중 하나 이상에 대한 기능 수행이 교란되도록 설정되는 것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redetermined pattern is set such that the performance of the function for at least one of the autofocus function, the automatic exposure adjustment function, and the acquired function of the obtained image is disturb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해진 패턴은 광의 밝기 변화에 관한 패턴인 것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redetermined pattern is a pattern relating to a change in brightness of ligh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해진 패턴은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의 이미지센서에 노이즈가 발생되도록 광이 불규칙적인 주기에 따라 점멸되는 패턴인 것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redetermined pattern is a pattern in which light is flickered in an irregular period so that noise is generated in the image sensor of the image acquiring apparatu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은, 근자외선 영역의 광 및 근적외선 영역의 광 중 인간 시야를 통한 광 인식이 불가능하고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의 광을 포함하는 것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ight includes light in a near-ultraviolet region and light in a near-infrared region, wherein light is not perceptible through human vision and is recognizable by the image acquisition apparatu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은, 400nm 이하의 파장이되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를 갖는 광 및 680nm 이상의 파장이되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를 갖는 광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ight includes at least one of a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400 nm or shorter and a wavelength range capable of being recognized by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and a light having a wavelength range of 680 nm or longer and being recognizable by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An image acquisition interferome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의 동작 여부에 기초하여 소음을 발생시키는 소음 발생부,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부가 동작하면 상기 소음이 발생되도록 상기 소음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noise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noise based on whether the light emitting unit is operated,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noise generating unit so that the noise is generated when the light emitting unit is operated.
발광부의 광 발산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파장의 광을 발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광은,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의 광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버튼 입력시마다 교대로 상기 발광부의 동작이 ON/OFF되도록 제어하는 제1 동작 모드; 및
사용자의 초기 입력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발광부의 동작이 ON된 다음 OFF되도록 제어하는 제2 동작 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인, 이미지 획득 방해 방법.
Receiving a signal from a user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light is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based on the input; And
Emitting a light of a predetermined wavelength based on the control;
, ≪ / RTI &
Wherein the light includes light in a wavelength range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image obtaining apparatus,
Wherein the controlling comprises:
A first operation mode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is turned on / off alternately each time a button of a user is input; And
A second operation mode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is turned on and then turned off for a predetermined time based on the user's initial inpu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light emitting uni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의 광은 인간 시야를 통한 광 인식이 불가능한 파장 범위에 포함되도록 설정되는 것인, 이미지 획득 방해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light of a wavelength range recognizable by the image acquiring device is set to be included in a wavelength range in which light recognition through human vision is impossibl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산되는 광의 속성을 정해진 패턴에 따라 변경하고,
상기 정해진 패턴은 상기 광의 속성을 불규칙한 주기에 따라 변경하는 것인, 이미지 획득 방해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controlling comprises:
Changes the property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or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attern,
Wherein the predetermined pattern changes an attribute of the light according to an irregular perio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정해진 패턴은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의 자동 초점 기능, 자동 노출 조절 기능 및 획득한 이미지의 후보정 기능 중 하나 이상에 대한 기능 수행이 교란되도록 설정되는 것인, 이미지 획득 방해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predetermined pattern is set such that the performance of the function for at least one of the autofocus function, the automatic exposure adjustment function, and the acquired function of the acquired image of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is disturbe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정해진 패턴은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의 이미지센서에 노이즈가 발생되도록 광이 불규칙적인 주기에 따라 점멸되는 패턴인 것인, 이미지 획득 방해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predetermined pattern is a pattern in which light is flickered according to an irregular period so that noise is generated in the image sensor of the image acquiring apparatu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은, 근자외선 영역의 광 및 근적외선 영역의 광 중 인간 시야를 통한 광 인식이 불가능하고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의 광을 포함하는 것인, 이미지 획득 방해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light includes light in a near-ultraviolet region and light in a near-infrared region, wherein light is not perceptible through human vision and is recognizable by the image acquisition apparatu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은, 400nm 이하의 파장이되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를 갖는 광 및 680nm 이상의 파장이되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를 갖는 광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이미지 획득 방해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light includes at least one of a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400 nm or shorter and a wavelength range capable of being recognized by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and a light having a wavelength range of 680 nm or longer and being recognizable by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An image acquisition interfering method.
삭제delet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동작 제어에 관한 신호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입력 유지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동작 모드와 상기 제2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를 상기 제1 동작 모드와 상기 제2 동작 모드 중 다른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것인, 이미지 획득 방해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controlling comprises:
Wherei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ignal related to the operation control is input and held at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any one of the first operation mode and the second operation mode is switched between the first operation mode and the second operation mode And switches to one of the other operation mode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에 기초하여 소음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광을 발산하는 단계는 상기 소음 발생부를 통해 소음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이미지 획득 방해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controlling step includes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noise generating unit based on the input,
Wherein the step of diverging the light comprises generating noise through the noise generating unit.
제11항 내지 제17항, 제19항 및 제2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1 to 17, 19, and 20 in a computer.
KR1020160087812A 2016-07-12 2016-07-12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rupting image acquisition Expired - Fee Related KR1018035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812A KR101803534B1 (en) 2016-07-12 2016-07-12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rupting image acqui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812A KR101803534B1 (en) 2016-07-12 2016-07-12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rupting image acquisi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3534B1 true KR101803534B1 (en) 2017-11-30

Family

ID=60812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812A Expired - Fee Related KR101803534B1 (en) 2016-07-12 2016-07-12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rupting image acquisi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353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017B1 (en) * 2018-10-09 2019-05-10 대한민국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illegal photograph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1213A (en) * 2002-09-18 2004-04-08 Sony Corp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method
JP2009512025A (en) * 2005-10-07 2009-03-19 オークトエヌワイシー 19 エルエルシー Detection and prevention of content signals resulting from theater performanc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1213A (en) * 2002-09-18 2004-04-08 Sony Corp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method
JP2009512025A (en) * 2005-10-07 2009-03-19 オークトエヌワイシー 19 エルエルシー Detection and prevention of content signals resulting from theater performan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017B1 (en) * 2018-10-09 2019-05-10 대한민국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illegal photograph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98927B2 (en) Mobile terminal iris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having human-computer interaction mechanism
JP4808420B2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and power management using eye detection
KR101205039B1 (en) Safe eye detection
JP5354008B2 (en) Switching device, switch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JP5979967B2 (en)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subject detection function, image pickup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WO2016147272A1 (en) Living body detection device, living body detec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03620535A (en) Information input device
CN105359502B (en) Tracking device, tracking method, and non-volatile storage medium storing tracking program
CN103799965B (en) The control method of ophthalmic image taking apparatus and ophthalmic image taking apparatus
KR200411448Y1 (en) Camera detector
KR10180353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rupting image acquisition
JP2021032927A (en) Image captur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210034151A1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KR10173355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ring eye
JP2021151304A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program for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KR101629553B1 (en) Display screen controlling apparatus in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JP4063583B2 (en) Digital camera
JP2006141589A (en) Personal authentication device and method
JP5874009B2 (en) Imaging device
KR20150117883A (en) iris recognition module and method
JP2006318374A (en) Glasses discrimination device, authentication device, and glasses discrimination method
KR20170002545A (en) Image Shooting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CN106878536B (en) Terminal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05063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tracting vein
US20230125838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electronic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2112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21125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